KR102629610B1 - 문화관광 체험과 온·오프라인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메타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문화관광 체험과 온·오프라인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메타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9610B1
KR102629610B1 KR1020220018968A KR20220018968A KR102629610B1 KR 102629610 B1 KR102629610 B1 KR 102629610B1 KR 1020220018968 A KR1020220018968 A KR 1020220018968A KR 20220018968 A KR20220018968 A KR 20220018968A KR 102629610 B1 KR102629610 B1 KR 102629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irtual space
user
character
tour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8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2378A (ko
Inventor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주)케이앤엘정보시스템
김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앤엘정보시스템, 김영진 filed Critical (주)케이앤엘정보시스템
Priority to KR1020220018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9610B1/ko
Publication of KR20230122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2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6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제 관광지의 가상공간과 접속 사용자별 캐릭터를 구축하며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 접속 가능하게 하고, 가상공간상에서 캐릭터를 이동하거나 상호 간 소통 가능하게 하면서 공연, 전시, 방송, 마켓 기능을 통해 가상공간에서 문화관광 체험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관광 체험에 대한 대가로 메시지 및 쿠폰 등을 사용자의 접속 기기로 전송하여 실제 관광지에서 사용 가능하게 하는 온·오프라인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메타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신호의 입력 및 정보의 송수신, 출력 가능한 사용자부(100); 다수 사용자부(100)의 동시 접속이 가능하게 인터넷망에 구축되고 선택에 따라 외부에 저장 관리되는 정보를 호출하여 출력되게 하면서 설정 물품의 구매를 가능하게 하는 웹서비스부(200); 웹서비스부(200)와 연동되어 문화관광 체험을 위한 가상공간 및 관광 체험 오브젝트를 모델링 및 가상공간상에 접속된 다수의 사용자부(100)가 각기 다른 인체 형상의 캐릭터로 변환될 수 있도록 캐릭터를 모델링하고, 캐릭터의 움직임 또는 사용자부(100)로부터 입력된 메시지가 가상공간에 출력되게 하여 실시간 소통을 가능하게 하며, 가상공간상에서 캐릭터의 이동으로 설정 오브젝트에 도달하면 영상과 이미지 출력과 설정 조건을 만족할 시 사용자부(100)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타버스부(300); 사용자부(100), 웹서비스부(200), 메타버스부(300) 상호 간 송·수신되는 신호 및 데이터 정보를 전송받아 유지 관리하고 제어신호의 전송이 가능한 관리부(40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문화관광 체험과 온·오프라인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메타버스 시스템 {Metaverse system that enables cultural tourism experience and online and offline interactive services}
본 발명은 문화관광 체험이 가능한 메타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제 관광지의 가상공간과 접속 사용자별 캐릭터를 구축하며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 접속 가능하게 하고, 가상공간상에서 캐릭터를 이동하거나 상호 간 소통 가능하게 하면서 공연, 전시, 방송, 마켓 기능을 통해 가상공간에서 문화관광 체험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관광 체험에 대한 대가로 메시지 및 쿠폰 등을 사용자의 접속 기기로 전송하여 실제 관광지에서 사용 가능하게 하는 온·오프라인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메타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이란 컴퓨터를 통해 생성된 가상의 공간으로 3차원 시각효과를 통해 현실성을 부여하는 공간이다. 가상현실 구현을 위한 기술은 사용자의 입력을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현실 세계에 있는 것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는 기술로, 멀티미디어를 뛰어 넘는 차세대 기술이다.
최근 예기치 못하게 급작스러운 비대면 시대가 도래하게 됨에 따라 가상공간이 접목되어 관광 체험 활동을 하는 것과 같은 활성화가 더딘 기술분야의 비약적인 공급의 요청이 있다. 즉, 실제로 체험과 같은 활동들이 이루어져야만 하는 역사, 문화유산 기반 관광 체험 분야의 디지털 역량은 그 수요를 모두 충족시킬 수 없는 상황이다.
예컨대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57494호에 실시간 가상 여행 및 만남을 제공하는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에 관한 기술사상이 게시되어 있다. 해당 기술사상은 세계 각지의 관광지 또는 명소 등의 여행을 가상공간상에서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이점이 있는 기술사상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57404호(공개일자 2021. 12. 28.)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실제 관광지의 가상공간과 접속 사용자별 캐릭터를 구축하며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 접속 가능하게 하고, 가상공간상에서 캐릭터를 이동하거나 상호 간 소통 가능하게 하면서 공연, 전시, 방송, 마켓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가상공간에서 문화관광 체험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관광 체험에 대한 대가로 메시지 및 쿠폰 등을 사용자의 접속 기기로 전송하여 실제 관광지에서 사용 가능하게 하는 온·오프라인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메타버스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문화관광 체험과 온·오프라인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메타버스 시스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신호의 입력 및 정보의 송수신, 출력 가능한 사용자부(100); 다수 사용자부(100)의 동시 접속이 가능하게 인터넷망에 구축되고 선택에 따라 외부에 저장 관리되는 정보를 호출하여 출력되게 하면서 설정 물품의 구매를 가능하게 하는 웹서비스부(200); 웹서비스부(200)와 연동되어 문화관광 체험을 위한 가상공간 및 관광 체험 오브젝트를 모델링 및 가상공간상에 접속된 다수의 사용자부(100)가 각기 다른 인체 형상의 캐릭터로 변환될 수 있도록 캐릭터를 모델링하고, 캐릭터의 움직임 또는 사용자부(100)로부터 입력된 메시지가 가상공간에 출력되게 하여 실시간 소통을 가능하게 하며, 가상공간상에서 캐릭터의 이동으로 설정 오브젝트에 도달하면 영상과 이미지 출력과 설정 조건을 만족할 시 사용자부(100)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타버스부(300); 사용자부(100), 웹서비스부(200), 메타버스부(300) 상호 간 송·수신되는 신호 및 데이터 정보를 전송받아 유지 관리하고 제어신호의 전송이 가능한 관리부(400);로 이루어짐으로써 메타버스부(300)에 의한 가상공간으로 접속된 다수 사용자부(100)의 캐릭터 간 소통을 가능하게 하면서 캐릭터의 이동으로 문화관광 체험을 완료한 사용자부(100)에게 메시지 및 쿠폰을 전송하여 실제 관광지에서 사용 가능하게 하고,
상기 메타버스부(300)는,
관광 체험을 위해 설정 관광지에 배치된 건축물, 도로의 가상공간과 인체 형상의 캐릭터, 관광 체험 오브젝트를 구축하는 삼차원모델링부(310); 캐릭터의 이동 및 모션 인식, 텍스트 출력을 가능하게 하여 가상공간상에서 캐릭터 간 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캐릭터가 이동하여 관광 체험 오브젝트에 도달하여 설정 조건을 만족할 시 사용자부(100)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커뮤니케이션부(320); 웹서비스부(200)로부터 접속 여부를 판별 산출한 정보, 가상공간 및 캐릭터, 관광 체험 오브젝트, 영상, 이미지 정보와 캐릭터 이동 동선을 저장하고, 외부에 저장 관리되는 정보를 호출 수집하여 영상, 이미지, 관광 체험 오브젝트 정보로 분류 저장하는 데이터센터(330); 수신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설정 경로로 데이터센터(330)에 저장 수집된 정보를 전송하는 송수신부(340);를 포함하며,
상기 삼차원모델링부(310)는 문화관광 체험을 위해 관광지에 배치된 건축물, 도로를 가상공간으로 구축하는 가상공간구축부(311)와, 가상공간에 배치되고 사용자부(100)의 입력 신호에 따라 동작 수행이 가능한 캐릭터를 구축하는 캐릭터구축부(312)와, 가상공간의 설정 위치에 관광 체험 오브젝트를 구축하는 이벤트 구축부(313)로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센터(330)는 삼차원모델링부(310)의 가상공간 및 캐릭터, 관광 체험 오브젝트 정보를 저장하는 가상저장부(331)와, 커뮤니케이션부(320)의 이벤트부(325)의 영상,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이미지저장부(332)와, 서비스부(100)와 웹서비스부(200)의 접속 여부를 판별하고 웹서비스부(200)를 통해 메타버스부(300)에 접속 여부를 판별하고 기록 저장하는 접속데이터관리부(333)와, 카메라제어부(323) 및 캐릭터동작부(324)의 변화 동작 및 동선을 저장 관리하는 동선데이터관리부(334)와, 외부에서 저장 관리되는 정보를 수집하여 영상, 이미지, 관광 체험 오브젝트 정보를 분류 수집하는 오픈정보수집부(335)와, 판매가 가능한 상품목록을 제공하고 사용자부(100)의 물품 구매 입력신호를 기록 저장하는 거래기록부(336)와, 사용자부(100)로 전송되는 메시지 및 쿠폰의 발급 내역과 사용 내역을 기록 저장하는 사용관리부(337)와, 접속데이터관리부(333) 및 동선데이터관리부(334)에 저장 관리되는 정보를 토대로 관광 체험의 선호 패턴을 산출하고, 거래기록부(336) 및 사용관리부(337)의 정보를 토대로 구매패턴을 산출하여 저장 관리하는 패턴관리부(338)로 구성되며,
상기 커뮤니케이션부(320)는,
사용자부(100)에서 입력된 신호를 기반으로 캐릭터의 외형을 형성하고 외형 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캐릭터외형부(321); 가상공간상에 캐릭터구축부(312)의 캐릭터 움직임 내지 사용자부(100)에서 입력된 설정 텍스트가 출력되게 하는 대화창출력부(332); 사용자부(100)의 입력 신호에 따라 캐릭터 시점을 제어하는 카메라를 제어하는 카메라제어부(333); 카메라제어부(333)에서 선택된 시점 방향으로 캐릭터를 이동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부(100)의 입력 신호에 따라 캐릭터의 모션을 형성하는 캐릭터동작부(324); 가상공간상에 캐릭터가 이동하여 이벤트구축부(313)에서 지정된 위치의 관광 체험 오브젝트에 도달하면 영상 및 질문지가 출력되도록 하고 설정 조건을 만족할 시 사용자부(100)로 메시지 및 접속된 가상공간과 부합하는 관광체험의 쿠폰을 전송하는 이벤트발생부(325);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발생부(325)는,
사용자부(100)의 입력 신호에 따라 이동한 캐릭터가 관광 체험 오브젝트에 도달하면 영상 내지 이미지를 가상공간상에 출력하는 영상체험부(325a); 사용자부(100)에서 입력된 신호에 따라 질문지의 오답과 정답을 분류하는 오답분류부(325b); 분류된 오답과 정답의 개수를 산출하여 설정 조건을 만족할 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전송부(325c); 메시지전송부(325c)가 메세지를 보낼 때 체험한 가상공간과 부합하는 관광지에 대한 쿠폰을 전송하는 쿠폰전송부(325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웹서비스부(200)는 회원정보의 입력 및 외부에 저장 관리되는 정보를 호출 가능하고 물품 구매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부(210); 인터페이스부(210)에 입력된 회원정보를 승인하는 회원가입부(220); 승인된 회원의 메타버스부(300) 접속을 안내하는 접속안내부(230); 메타버스부(300)에 다중 접속을 허용하여 실시간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포톤서버부(240);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실제 관광지와 같은 가상공간을 구축하여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는 문화체험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당해 분야에서 부족한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공간에 접속하는 접속 사용자별 캐릭터를 구축하고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 접속 가능하게 하므로 단순 가상공간에 배치된 오브젝트를 즐긴다는 개념을 넘어 사용자에게 실제 관광체험을 한다는 느낌을 심어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가상공간상에서 캐릭터를 이동하거나 상호 간 소통 가능하게 하면서 공연, 전시, 방송, 마켓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가상공간에서 문화관광 체험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관광 체험에 대한 대가로 메시지 및 쿠폰 등을 사용자의 접속 기기로 전송하고 실제 관광지에서 사용 가능하게 하는바, 온·오프라인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이점 또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문화관광 체험과 온·오프라인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메타버스 시스템의 전체 동작도.
도 2는 본 발명인 문화관광 체험과 온·오프라인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메타버스 시스템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문화관광 체험과 온·오프라인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메타버스 시스템의 메타버스부(300)의 상세 블럭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의 의미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를 의미하며, "부"로 지칭하는 것에 모듈 및 별도의 데이터베이스(datebase)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부"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라는 용어의 정의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부"는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요소들과, 프로세스, 함수, 속성, 프로시저, 서부루틴,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 드라이버.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 테이블, 어레이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의 서술 중 당해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구성과 동작의 서술은 생략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인터넷망은 정보 통신이 가능한 것을 의미하고, 컴퓨터나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외부에 저장 관리되는 정보"는 Open API의 연동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러한 정보의 호출과 수집으로 유지, 관리된다, 또, 가상공간 관리를 위한 CMS서버 등이 더 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제 관광지의 가상의 공간과 접속 사용자별 캐릭터를 구축하며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 접속 가능하게 하고, 가상공간상에서 캐릭터를 이동하거나 상호 간 소통 가능하게 하면서 공연, 전시, 방송, 마켓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가상공간에서 문화관광 체험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관광 체험에 대한 대가로 메시지 및 쿠폰 등을 사용자의 접속 기기로 전송하여 실제 관광지에서 사용 가능하게 하는 온·오프라인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메타버스 시스템에 관한 것임을 주지하여야 한다.
이하, 위를 참조하여 첨부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부(100), 웹서비스부(200), 메타버스부(300), 관리부(40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신호의 입력 및 정보의 송수신, 출력이 가능한 사용자부(100); 다수의 사용자부(100)의 동시 접속 가능하게 하게 인터넷망에 구축되고 선택에 따라 외부에 저장 관리되는 정보를 호출하여 출력되게 하면서 설정 물품의 구매를 가능하게 하는 웹서비스부(200); 웹서비스부(200)와 연동되어 문화관광 체험을 위한 가상공간 및 관광 체험 오브젝트를 모델링 및 가상공간상에 접속된 다수의 사용자부(100)가 각기 다른 인체 형상의 캐릭터로 변환될 수 있도록 캐릭터를 모델링하고, 캐릭터의 움직임 또는 사용자부(100)로부터 입력된 메시지가 가상공간에 출력되게 하여 실시간 소통을 가능하게 하며, 가상공간상에서 캐릭터의 이동으로 설정 오브젝트에 도달하면 영상과 이미지 출력과 설정 조건을 만족할 시 사용자부(100)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타버스부(300); 사용자부(100), 웹서비스부(200), 메타버스부(300) 상호 간 송·수신되는 신호 및 데이터, 정보를 전송받아 유지 관리하고 제어신호의 전송이 가능한 관리부(400);로 구성하여, 메타버스부(300)에 의해 구축된 가상공간에 접속된 다수의 사용자부(100)의 캐릭터 간 소통을 가능하게 하며, 캐릭터의 이동으로 문화관광 체험을 완료한 사용자부(100)에게 메시지 및 쿠폰을 전송하여 실제 관광지에서 사용 가능하게 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사용자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하드웨어를 의미하고 인터넷망과 연결 가능하여 사용자의 조작으로 신호를 입력하거나 각종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상기 웹서비스부(200)는 웹(Web) 상에 구축되어 다수의 사용자부(100)가 연결 가능하며 클라우드 기반의 포톤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상기 웹서비스부(200)는 회원정보의 입력 및 외부에 저장 관리되는 정보를 호출 가능하고 물품 구매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부(210); 인터페이스부(210)에 입력된 회원정보를 승인하는 회원가입부(220); 승인된 회원의 메타버스부(300) 접속을 안내하는 접속안내부(230); 메타버스부(300)에 다중 접속을 허용하여 실시간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포톤서버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210)의 "물품 구매"는 외부 결제시스템을 포함하고 그 목록 제공함에 있어, 가상공간으로 구축된 문화관광 체험지의 전통 물품의 목록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회원가입부(220)는 최소한의 정보 입력을 가능하게 하면서 그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데, 일반적 회원가입 절차와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포톤서버부(2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니티툴로 개발한 룸(room) 형식의 클라우드 기반 서버로 가상공간에 사용자부(100)의 다중 접속을 허용하고 캐릭터화된 사용자부(100)간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타버스부(300)는, 문화체험 및 캐릭터간 소통이 되는 장소인 가상공간을 구축하고, 문화체험을 위한 영상, 이미지 등 관광 체험 오브젝트,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관광 체험 오브젝트란, 각기 다른 문화관광지에서 존재하는 건축작품, 미술작품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사용자부(100)의 조작으로 가상공간에 배치된 캐릭터를 지정된 관광 체험 오브젝트에 도달시키면 특정 이벤트 발생으로 영상,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메타버스부(300)는, 관광 체험을 위해 관광지에 배치된 건축물, 도로의 가상공간과 인체 형상의 캐릭터, 관광 체험 오브젝트를 구축하는 삼차원모델링부(310); 캐릭터의 이동 및 모션 인식, 텍스트 출력을 가능하게 하여 가상공간상에서 캐릭터 간 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캐릭터가 이동하여 관광 체험 오브젝트에 도달하여 설정 조건을 만족할 시 사용자부(100)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커뮤니케이션부(320); 웹서비스부(200)로부터 접속 여부를 판별 산출한 정보, 가상공간 및 캐릭터, 관광 체험 오브젝트, 영상, 이미지 정보와 캐릭터 이동 동선을 저장하고, 외부에 저장 관리되는 정보를 호출 수집하여 영상, 이미지, 관광 체험 오브젝트 정보로 분류 저장하는 데이터센터(330); 수신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설정 경로로 데이터센터(330)에 저장 수집된 정보를 전송하는 송수신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커뮤니케이션부(320)는, 가상공간상에서 이루어지는 동작을 실현시키는 하나의 구성으로서, 캐릭터 간 대화를 위한 대화창 형성, 모션 인식에 의한 캐릭터 동작, 그리고 캐릭터의 이동을 위한 카메라 시점 제어, 이동을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뮤니케이션부(320)는 사용자부(100)에서 입력된 신호를 토대로 캐릭터의 외형을 형성되도록 하고 외형 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캐릭터외형부(321); 가상공간상에 캐릭터구축부(312)의 캐릭터 움직임 내지 사용자부(100)에서 입력된 설정 텍스트가 출력되도록 하는 대화창출력부(332); 사용자부(100)의 입력 신호에 따라 캐릭터 시점을 제어하는 카메라를 제어하는 카메라제어부(333); 카메라제어부(333)에서 선택된 시점 방향으로 캐릭터를 이동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부(100)의 입력 신호에 따라 캐릭터의 모션을 형성하는 캐릭터동작부(324); 가상공간상에 캐릭터가 이동하여 이벤트구축부(313)에서 지정된 위치의 관광 체험 오브젝트에 도달하면 영상 및 질문지가 출력되도록 하고 설정 조건을 만족할 시 사용자부(100)로 메시지 및 접속된 가상공간과 부합하는 관광 체험의 쿠폰을 전송하는 이벤트발생부(325);를 포함한다.
상기 삼차원모델링부(310)는 문화관광 체험을 위해 관광지에 배치된 건축물, 도로를 가상공간으로 구축하는 가상공간구축부(311); 가상공간에 배치되고 사용자부(100)의 입력 신호에 따라 동작 수행이 가능한 캐릭터를 구축하는 캐릭터구축부(312); 가상공간의 설정 위치에 관광 체험 오브젝트를 구축하는 이벤트 구축부(313);를 포함한다.
상기 이벤트발생부(325)의 설정 조건이란 질문지에 대해 답변의 정답률을 퍼센트로 계산하여 일정 수치를 의미하고. 물론, 영상을 모두 시청한 것으로도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해당 조건은 당연 관광지별 요구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나이, 성별 등에 의해서도 조절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부(100)의 입력 신호에 따라 이동한 캐릭터가 관광 체험 오브젝트에 도달하면 영상 내지 이미지를 가상공간상에 출력하는 영상체험부(325a); 사용자부(100)에서 입력된 신호에 따라 질문지의 오답과 정답을 분류하는 오답분류부(325b); 분류된 오답과 정답의 개수를 산출하여 설정 조건을 만족할 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전송부(325c); 메시지전송부(325c)가 메시지를 보낼 때 체험한 가상공간과 부합하는 관광지에 대한 쿠폰을 전송하는 쿠폰전송부(325d);를 더 포함한다.
상기 메시지전송부(325c)는 MTS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별도의 모듈, 데이터베이스 등이 더 운용될 수 있다.
상기 쿠폰전송부(325d)는 메시지전송부(325c)와 연동되어 메시지의 전송과 함께 체험한 문화관광지의 물품 구매 내지 입장권 할인 등과 같은 쿠폰을 전송한다. 쿠폰의 형식은 QR코드, 일반 숫자코드, 바코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시 말해 고유식별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실제 사용했는지 여부를 판가름할 수 있고 수요통계 등을 손쉽게 작성할 수 있다.
관광지를 가상공간으로 구축, 운용함에 있어 필요한 정보를 호출하는 Open API와 연동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집된 모든 정보 및 신호의 송·수신, 이미지, 영상, 가상공간을 유지 관리하기 위해 별도의 데이터집합체를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데이터센터(330)에서 수행하도록 하며, 이를 위해 데이터센터(330)는 삼차원모델링부(310)의 가상공간 및 캐릭터, 관광 체험 오브젝트 정보를 저장하는 가상저장부(331); 커뮤니케이션부(320)의 이벤트부(325)의 영상,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이미지저장부(332); 서비스부(100)와 웹서비스부(200)의 접속 여부를 판별하고 웹서비스부(200)를 통해 메타버스부(300)에 접속 여부를 판별하고 기록 저장하는 접속데이터관리부(333); 카메라제어부(323) 및 캐릭터동작부(324)의 변화 동작 및 동선을 저장 관리하는 동선데이터관리부(334); 외부에서 저장 관리되는 정보를 수집하여 영상, 이미지, 관광 체험 오브젝트 정보를 분류 수집하는 오픈정보수집부(335); 판매가 가능한 상품목록을 제공하고 사용자부(100)의 물품 구매 입력신호를 기록 저장하는 거래기록부(336); 사용자부(100)로 전송되는 메시지 및 쿠폰의 발급 내역과 사용 내역을 기록 저장하는 사용관리부(337); 접속데이터관리부(333) 및 동선데이터관리부(334)에 저장 관리되는 정보를 토대로 관광 체험의 선호 패턴을 산출하고, 거래기록부(336) 및 사용관리부(337)의 정보를 토대로 구매패턴을 산출하여 저장 관리하는 패턴관리부(338)를 더 포함한다.
상기 패턴관리부(338)는 관광 체험의 선호 패턴을 사용자부(100)와 메타버스부(300)에 의해 구축된 가상공관의 연동된 횟수에 따라 분석하고, 상품 내지 관광지 방문 등 구매패턴 산출을 위해 거래기록부(336) 및 사용관리부(337)의 정보를 이용한다.
상기와 같은 모든 구성 신호의 송·수신 정보 수집, 동작, 정보의 갱신 등을 관리 및 제어하기 위해 관리부(400)를 더 포함하고, 관리부(400)는 아래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관리부(400)는 사용자부(100)와 웹서비스부(200) 상호간 내지 웹서비스부(200)와 메타버스부(300)의 상호간 접속 여부를 제어하는 접속제어부(410); 메타버스부(300)의 가상공간 및 영상, 이미지의 갱신을 제어하는 갱신제어부(420); 메타버스부(300)의 데이터센터(330)에 저장, 관리되는 정보를 전송받아 출력하고 관리 가능하게 하는 통합정보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통합정보부(430)는 데이터센터(330)의 모든 정보를 도시화하기 위해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운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일괄 관리와 통계자료 도출을 도모한다. 이에 더하여, 패턴관리부(338)는 각 사용자의 패턴 분석을 제공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기존 저장된 정보의 삭제 등 갱신을 강제할 수도 있다. 이는 색인 등의 방법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실제 관광지와 같은 가상공간을 구축하여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는 문화체험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당해 분야에서 부족한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공간에 접속하는 접속 사용자별 캐릭터를 구축하고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 접속 가능하게 하므로 단순 가상공간에 배치된 오브젝트를 즐긴다는 개념을 넘어 사용자에게 실제 관광체험을 한다는 느낌을 심어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가상공간상에서 캐릭터를 이동하거나 상호 간 소통 가능하게 하면서 공연, 전시, 방송, 마켓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가상공간에서 문화관광 체험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관광 체험에 대한 대가로 메시지 및 쿠폰 등을 사용자의 접속 기기로 전송하고 실제 관광지에서 사용 가능하게 하는바, 온·오프라인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이점 또한 기대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가상공간에서 문화관광 체험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학교, 관공서, 은행 등에도 본 발명을 적용하여 사용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사용자부 200 : 웹서비스부
210 : 인터페이스부 220 : 회원가입부
230 : 접속부 240 : 포톤서버부
300 : 메타버스부 310 : 삼차원모델링부
320 : 커뮤니케이션부 330 : 데이터센터
340 : 송수신부 400 : 관리부
410 : 접속제어부 420 : 갱신제어부
430 : 통합정보부

Claims (5)

  1.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신호의 입력 및 정보의 송수신, 출력 가능한 사용자부(100); 다수 사용자부(100)의 동시 접속이 가능하게 인터넷망에 구축되고 선택에 따라 외부에 저장 관리되는 정보를 호출하여 출력되게 하면서 설정 물품의 구매를 가능하게 하는 웹서비스부(200); 웹서비스부(200)와 연동되어 문화관광 체험을 위한 가상공간 및 관광 체험 오브젝트를 모델링 및 가상공간상에 접속된 다수의 사용자부(100)가 각기 다른 인체 형상의 캐릭터로 변환될 수 있도록 캐릭터를 모델링하고, 캐릭터의 움직임 또는 사용자부(100)로부터 입력된 메시지가 가상공간에 출력되게 하여 실시간 소통을 가능하게 하며, 가상공간상에서 캐릭터의 이동으로 설정 오브젝트에 도달하면 영상과 이미지 출력과 설정 조건을 만족할 시 사용자부(100)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타버스부(300); 사용자부(100), 웹서비스부(200), 메타버스부(300) 상호 간 송·수신되는 신호 및 데이터 정보를 전송받아 유지 관리하고 제어신호의 전송이 가능한 관리부(400);로 이루어짐으로써 메타버스부(300)에 의한 가상공간으로 접속된 다수 사용자부(100)의 캐릭터 간 소통을 가능하게 하면서 캐릭터의 이동으로 문화관광 체험을 완료한 사용자부(100)에게 메시지 및 쿠폰을 전송하여 실제 관광지에서 사용 가능하게 하고,
    상기 메타버스부(300)는,
    관광 체험을 위해 설정 관광지에 배치된 건축물, 도로의 가상공간과 인체 형상의 캐릭터, 관광 체험 오브젝트를 구축하는 삼차원모델링부(310); 캐릭터의 이동 및 모션 인식, 텍스트 출력을 가능하게 하여 가상공간상에서 캐릭터 간 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캐릭터가 이동하여 관광 체험 오브젝트에 도달하여 설정 조건을 만족할 시 사용자부(100)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커뮤니케이션부(320); 웹서비스부(200)로부터 접속 여부를 판별 산출한 정보, 가상공간 및 캐릭터, 관광 체험 오브젝트, 영상, 이미지 정보와 캐릭터 이동 동선을 저장하고, 외부에 저장 관리되는 정보를 호출 수집하여 영상, 이미지, 관광 체험 오브젝트 정보로 분류 저장하는 데이터센터(330); 수신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설정 경로로 데이터센터(330)에 저장 수집된 정보를 전송하는 송수신부(340);를 포함하며,
    상기 삼차원모델링부(310)는 문화관광 체험을 위해 관광지에 배치된 건축물, 도로를 가상공간으로 구축하는 가상공간구축부(311)와, 가상공간에 배치되고 사용자부(100)의 입력 신호에 따라 동작 수행이 가능한 캐릭터를 구축하는 캐릭터구축부(312)와, 가상공간의 설정 위치에 관광 체험 오브젝트를 구축하는 이벤트 구축부(313)로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센터(330)는 삼차원모델링부(310)의 가상공간 및 캐릭터, 관광 체험 오브젝트 정보를 저장하는 가상저장부(331)와, 커뮤니케이션부(320)의 이벤트부(325)의 영상,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이미지저장부(332)와, 서비스부(100)와 웹서비스부(200)의 접속 여부를 판별하고 웹서비스부(200)를 통해 메타버스부(300)에 접속 여부를 판별하고 기록 저장하는 접속데이터관리부(333)와, 카메라제어부(323) 및 캐릭터동작부(324)의 변화 동작 및 동선을 저장 관리하는 동선데이터관리부(334)와, 외부에서 저장 관리되는 정보를 수집하여 영상, 이미지, 관광 체험 오브젝트 정보를 분류 수집하는 오픈정보수집부(335)와, 판매가 가능한 상품목록을 제공하고 사용자부(100)의 물품 구매 입력신호를 기록 저장하는 거래기록부(336)와, 사용자부(100)로 전송되는 메시지 및 쿠폰의 발급 내역과 사용 내역을 기록 저장하는 사용관리부(337)와, 접속데이터관리부(333) 및 동선데이터관리부(334)에 저장 관리되는 정보를 토대로 관광 체험의 선호 패턴을 산출하고, 거래기록부(336) 및 사용관리부(337)의 정보를 토대로 구매패턴을 산출하여 저장 관리하는 패턴관리부(338)로 구성되며,
    상기 커뮤니케이션부(320)는,
    사용자부(100)에서 입력된 신호를 기반으로 캐릭터의 외형을 형성하고 외형 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캐릭터외형부(321); 가상공간상에 캐릭터구축부(312)의 캐릭터 움직임 내지 사용자부(100)에서 입력된 설정 텍스트가 출력되게 하는 대화창출력부(332); 사용자부(100)의 입력 신호에 따라 캐릭터 시점을 제어하는 카메라를 제어하는 카메라제어부(333); 카메라제어부(333)에서 선택된 시점 방향으로 캐릭터를 이동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부(100)의 입력 신호에 따라 캐릭터의 모션을 형성하는 캐릭터동작부(324); 가상공간상에 캐릭터가 이동하여 이벤트구축부(313)에서 지정된 위치의 관광 체험 오브젝트에 도달하면 영상 및 질문지가 출력되도록 하고 설정 조건을 만족할 시 사용자부(100)로 메시지 및 접속된 가상공간과 부합하는 관광체험의 쿠폰을 전송하는 이벤트발생부(325);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발생부(325)는,
    사용자부(100)의 입력 신호에 따라 이동한 캐릭터가 관광 체험 오브젝트에 도달하면 영상 내지 이미지를 가상공간상에 출력하는 영상체험부(325a); 사용자부(100)에서 입력된 신호에 따라 질문지의 오답과 정답을 분류하는 오답분류부(325b); 분류된 오답과 정답의 개수를 산출하여 설정 조건을 만족할 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전송부(325c); 메시지전송부(325c)가 메세지를 보낼 때 체험한 가상공간과 부합하는 관광지에 대한 쿠폰을 전송하는 쿠폰전송부(325d);를 포함하는 문화관광 체험과 온·오프라인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메타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비스부(200)는,
    회원정보의 입력 및 외부에 저장 관리되는 정보를 호출 가능하고 물품 구매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부(210);
    인터페이스부(210)에 입력된 회원정보를 승인하는 회원가입부(220);
    승인된 회원의 메타버스부(300) 접속을 안내하는 접속안내부(230);
    메타버스부(300)에 다중 접속을 허용하여 실시간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포톤서버부(240);
    를 포함하는 문화관광 체험과 온·오프라인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메타버스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18968A 2022-02-14 2022-02-14 문화관광 체험과 온·오프라인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메타버스 시스템 KR102629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968A KR102629610B1 (ko) 2022-02-14 2022-02-14 문화관광 체험과 온·오프라인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메타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968A KR102629610B1 (ko) 2022-02-14 2022-02-14 문화관광 체험과 온·오프라인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메타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2378A KR20230122378A (ko) 2023-08-22
KR102629610B1 true KR102629610B1 (ko) 2024-01-31

Family

ID=87799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8968A KR102629610B1 (ko) 2022-02-14 2022-02-14 문화관광 체험과 온·오프라인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메타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96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92352B (zh) * 2023-12-11 2024-02-13 南京市文化投资控股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元宇宙的模型塑造操作管理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048B1 (ko) * 2005-04-28 2007-05-30 유선기 가상현실 여행 방법
KR20140132846A (ko) * 2013-05-08 2014-11-19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학습형 역사 문화 체험 교육용 게임 방법
KR101785911B1 (ko) * 2015-11-02 2017-10-16 백명섭 전시자 맞춤형 3차원 가상 갤러리 관리 방법
KR20180126145A (ko) * 2017-05-17 2018-11-27 배성실 시대별 문화재의 영상물을 구비한 가상 역사 체험 시스템 및 시대별 문화재 영상물 제작방법
CN114731488A (zh) 2020-01-07 2022-07-08 Lg电子株式会社 终端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信号的方法
KR20210097268A (ko) * 2020-01-29 2021-08-09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현실을 이용한 원격 교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2378A (ko) 202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9375B2 (en) Multi-instance, multi-user virtual reality spaces
Calvin et al. The SIMNET virtual world architecture
US20190287307A1 (en) Integrated operating environment
US20080231630A1 (en) Web Enabled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US201100607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Detection of Affinity Between Virtual Entities
US20110055732A1 (en) Creation and Prioritization of Multiple Virtual Universe Teleports In Response to an Event
US8595632B2 (en) Method to monitor user trajectories within a virtual universe
KR102629610B1 (ko) 문화관광 체험과 온·오프라인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메타버스 시스템
WO2019099912A1 (en) Integrated operating environment
Cabrerizo et al. A fuzzy linguistic extended LibQUAL+ model to assess service quality in academic libraries
Shaw Time geography in a hybrid physical–virtual world
KR101819722B1 (ko) 사용자 체험 기반 가상융합현실 제공방법 및 시스템
Stratigea et al. Experiential marketing and local tourist development: A policy perspective
US7904395B2 (en) Consumer rating and customer service based thereon within a virtual universe
CN110174952A (zh) 一种基于增强现实技术的策划管理系统
Wigley et al. Will the real smart city please make itself visible?
KR20070043945A (ko) 3차원 가상 현실 공간에서의 집회 및 시위 개최 시스템 및그 방법
KR102262943B1 (ko) Vr 콘텐츠를 이용한 모의 주식 및 파생상품 트레이딩 시스템을 구현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248081B1 (ko) 아바타 로봇을 이용한 비대면 범용원격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0734613B1 (ko) 인터넷상의 3차원 멀티플렉스 및 포탈서비스 시스템과 그방법 및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기록매체
Ishida et al. Connecting digital and physical cities
KR102535936B1 (ko) 메타버스 기반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Bochenek Comparative analysis of virtual three-dimensional visual display systems: Contributions to cross-functional team collaboration in a product design review environment
Rostami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Advanced Metaverse Realms of Experience
KR20170012838A (ko) Ict 기술을 연동한 사용자 체험 기반 디지털 융복합 테마파크 운영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