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9344B1 - 커피머신 - Google Patents

커피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9344B1
KR102629344B1 KR1020237003883A KR20237003883A KR102629344B1 KR 102629344 B1 KR102629344 B1 KR 102629344B1 KR 1020237003883 A KR1020237003883 A KR 1020237003883A KR 20237003883 A KR20237003883 A KR 20237003883A KR 102629344 B1 KR102629344 B1 KR 102629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lade
grinder
main body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3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3266A (ko
Inventor
도시오 사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토 기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1197320A external-priority patent/JP7144098B1/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토 기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토 기켄
Publication of KR20230133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3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3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0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grinding cones
    • A47J42/06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grinding cones mechanically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0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grinding cones
    • A47J42/08Adjust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1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grinding discs
    • A47J42/16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grinding discs mechanically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1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grinding discs
    • A47J42/18Adjust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 A47J42/46Driving mechanisms; Coupling to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 A47J42/52Coffee mills combined with roas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커피콩을 분쇄하는 그라인더를 구비한 커피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커피콩을 분쇄하는 칼날을 다른 패턴의 칼날로 간단하고 또한 저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본체(GMb)는, 구동원(551)과 제1동력전달부(552, 553)와 기어부(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의 기어)를 구비하고, 그라인더 유닛(5BMu)이 삽입되는 것이고, 그라인더 유닛(5BMu)은, 제2동력전달부(550) 등과 연동부(697, 691, 710)를 구비하고, 본체(GMb)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는 것이며, 그라인더 유닛(5BMu)이 본체(GMb)에 삽입되면, 제2동력전달부(550) 등이 제1동력전달부(552, 553)에 연결됨과 아울러 연동부(697, 691, 710)가 기어부(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의 기어)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커피머신
본 발명은 커피콩을 분쇄하는 그라인더(grinder)를 구비한 커피머신에 관한 것이다.
커피콩을 사용한 조제(調製)를 실시하는 커피머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특허문헌1에서 제안되어 있는 커피머신은, 커피콩 분쇄기구(그라인더)와 커피음료 추출기구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그라인더만을 탑재한 것도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분쇄두의 입도(粒度)를 변경하면 같은 로스트 커피콩이어도 추출된 커피음료의 맛에 차이가 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1: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9-30433호 공보
본 발명자는,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커피콩을 분쇄하는 칼날의 패턴에 의해서도 추출된 커피음료의 맛에 차이가 나는 것을 밝혀냈다.
그래서, 1대의 커피머신에서, 커피콩을 분쇄하는 칼날을 다른 패턴의 칼날로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으면, 같은 커피콩에서도 다양한 맛의 커피음료를 가볍게 즐길 수 있다. 한편,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지만, 그 때문에 비용상승이 생겨버려서는, 다른 패턴의 칼날을 탑재한 2대의 커피머신을 준비하는 경우에 비하여의 비용적인 메리트가 작아져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커피콩을 분쇄하는 칼날을 다른 패턴의 칼날로 간단하고 또한 저렴하게 교환할 수 있는 커피머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는 본 발명의 커피머신은,
본체와,
제1칼날과 제2칼날 사이에서 커피콩을 분쇄하는 그라인더 유닛과,
상기 제2칼날을 회전구동하는 회전구동기구와,
상기 제1칼날과 상기 제2칼날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조정기구를
구비한 커피머신으로서,
상기 회전구동기구는, 상기 제2칼날을 회전구동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와, 상기 제1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상기 제2칼날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간격조정기구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와 연동하는 연동부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본체는, 상기 구동원과 상기 제1동력전달부와 상기 기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그라인더 유닛이 삽입되는 것이며,
상기 그라인더 유닛은, 상기 제2동력전달부와 상기 연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그라인더 유닛이 상기 본체에 삽입되면, 상기 제2동력전달부가 상기 제1동력전달부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연동부가 상기 기어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예를 들면 본체(GMb)]에 대한 상기 그라인더 유닛[예를 들면 본밀유닛(5BMu)]의 삽입를 해제하면, 상기 제2동력전달부와 상기 제1동력전달부의 연결이 풀어짐과 아울러 상기 연동부와 상기 기어부의 연결도 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그라인더 유닛은, 상기 제1칼날과 상기 제2칼날 사이에서 분쇄된 분쇄두가 외부로 흘러내리는 출구[예를 들면 슈트(GM31)의 출구(GM311)]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 하방으로부터 삽입되는 것이며,
상기 출구는, 상기 제2동력전달부와 상기 제1동력전달부의 연결위치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연동부와 상기 기어부의 연결위치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것인[예를 들면 도5],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본체는, 프레임 부재를 구비한 것이며,
상기 그라인더 유닛은, 외형을 획정하는 케이스체[예를 들면 회전칼날 케이스체(721)]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체와 상기 프레임 부재의 삽입구조에 의해 상기 본체에 부착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본체는 부착구멍이 형성된 것이며,
상기 그라인더 유닛은, 상기 케이스체의 하방으로 1방향으로 연장된 아암부[예를 들면 아암부(7222)]를 구비한 것이며,
상기 아암부는, 상기 케이스체가 상기 프레임 부재에 삽입되면 선단부가 상기 부착구멍과 일치하고, 상기 선단부로부터 상기 부착구멍에 삽입된 고정나사[예를 들면 고정나사(701)]에 의해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이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커피머신에 의하면, 커피콩을 분쇄하는 칼날을 다른 패턴의 칼날로 간단하고 또한 저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도1]커피콩 분쇄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2]커피콩 분쇄기의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3]제2그라인더(5B)의 구성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제2실시형태의 커피콩 분쇄기의 사시도이다.
[도5]커피콩의 경로와 채프 등의 불요물의 경로와 애프터클리닝의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커피콩 분쇄기(GM)의 본체(GMb)로부터 본밀유닛(5BMu)을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7]본밀유닛(5BMu)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있다.
[도8]도7의 좌측 밑에 나타낸, 본밀유닛(5BMu)으로부터 회전칼날유닛(720)이 떼내어진 상태에 있어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9](A)는 베이스 부재(712)의 단면 사시도이며, (B)는 중간부재(713)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10]압축코일 스프링(716)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서 고정칼날 연결체(717)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11](A)는, 도7의 좌측 밑에 나타낸, 본밀유닛(5BMu)으로부터 회전칼날유닛(720)이 떼내어진 상태를 상하가 거꾸로 되도록 반전시킨 도면이며, (B)는 본밀유닛(5BMu)으로부터 떼어낸 회전칼날유닛(720)의 사시도이다.
[도12]도6에 나타내는 본체(GMb)에 본밀유닛(5BMu)을 장착한 커피콩 분쇄기(GM)로부터, 본밀유닛(5BMu), 본밀모터, 본밀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기구,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 스프링(699) 및 센서기판(GM316) 및 메커닉스 스위치 유닛(600)을 뽑아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은 커피콩 분쇄기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2는 커피콩 분쇄기의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1에 나타내는 커피콩 분쇄기(GM)는, 저장장치(4) 및 분쇄장치(5)와, 이들을 제어하는 도2에 나타내는 제어장치(11)를 갖추고 있다. 또한 커피콩 분쇄기(GM)는, 제어장치(11)와 무선으로 접속된 정보표시장치(12)(도2 참조)도 갖추고 있다. 정보표시장치(12)는, 커피콩 분쇄기(GM)의 각종 제어의 지시나 설정치 등의 입력을 실시하기 위한 터치패널식의 디스플레이이며, 각종 정보의 표시 이외에 관리자나 사용자의 입력을 접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정보표시장치(12)에는 스피커나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장치(11)는 커피콩 분쇄기(GM)의 전체를 제어한다. 제어장치(11)는, 처리부(11a), 기억부(1lb) 및 I/F(인터페이스)부(11c)를 포함한다. 처리부(11a)는 예를 들면 CPU 등의 프로세서이다. 기억부(1lb)는 예를 들면 RAM이나 ROM이다. 이 기억부(1lb)에는 레시피가 기억되어 있다. 레시피는, 커피콩을 분쇄하기 위한 각종 조건의 정보나, 콩정보나, 레시피 작성자 정보나, 레시피 작성자의 코멘트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I/F부(11c)는 외부 디바이스와 처리부(11a) 사이의 신호의 입출력을 실시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I/F부(11c)는, 또한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15)를 통하여 서버(16), 휴대단말(17) 등의 외부단말과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서버(16)는, 통신 네트워크(15)를 통하여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17)과의 통신이 가능하여, 예를 들면 수요자의 휴대단말(17)로부터 커피의 분쇄두제조의 예약이나 감상 등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커피콩 분쇄기(GM)와 서버(16)와 휴대단말(17)을 포함하여, 커피콩을 분쇄하기 위한 커피콩 분쇄 시스템(GS)을 구성한다.
처리부(11a)는 기억부(1lb)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레시피에 따라서 저장장치(4)나 분쇄장치(5)를 제어한다. 보다 자세히 보면, 처리부(11a)는, 액추에이터군(14)을 레시피에 따라서 제어하거나, 그 액추에이터군(14)을, 정보표시장치(12)로부터의 지시나 센서군(13)의 검출결과 또는 서버(16)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제어한다. 센서군(13)은 저장장치(4)나 분쇄장치(5)에 설치된 각종 센서(예를 들면 기구의 동작위치 검출센서 등)이다. 액추에이터군(14)은, 저장장치(4)나 분쇄장치(5)에 설치된 각종 액추에이터(예를 들면 모터 등)이다.
도1에 나타내는 저장장치(4)는, 원통모양의 캐니스터 수납유닛(401)과, 그 캐니스터 수납유닛(401)의 상단부에 나사결합 하여 캐니스터 수납유닛(401)의 상면을 덮는 제거 가능한 캡(401c)을 구비한다. 캐니스터 수납유닛(401)의 내측에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캐니스터 수납실이 설치되어 있다. 캐니스터 수납실은 원주방향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고, 캐니스터 수납유닛(401)의 내측에는 복수의 캐니스터를 수납할 수 있다. 저장장치(4)에서는, 수납되어 있는 복수의 캐니스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품종이 서로 다른 로스트 커피콩이나, 로스팅도(roasting 程度)가 서로 다른 로스트 커피콩을 선택해서 그라인드 처리를 할 수도 있고, 품종이나 로스팅도가 서로 다른 복수 종류의 로스트 커피콩을 섞어서 그라인드 처리를 할 수도 있다.
또한 캐니스터 수납유닛(401)은, 커피콩 분쇄기(GM)의 센터 케이싱(GM10)의 상부에 설치된 옵션부착부(GM11)에 착탈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 옵션부착부(GM11)에는, 캐니스터 수납유닛(401) 이외에 복수 종류의 유닛이 부착되어 있다. 센터 케이싱(GM10)의 상부는, 옵션부착부(GM11)에 부착된 유닛의 하부를 덮게 된다. 또, 커피콩 분쇄기(GM)와 통신할 수 있는 휴대단말(17) 등의 외부단말에, 옵션부착부(GM11)에 부착된 유닛의 종류가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분쇄장치(5)는, 제1그라인더(5A), 제2그라인더(5B) 및 분리장치(6)를 갖추고 있다. 제1그라인더(5A) 및 제2그라인더(5B)는, 로스트 커피콩을 분쇄하는 기구이다. 로스트 커피콩은 제1그라인더(5A)로 분쇄된 후에, 제2그라인더(5B)에 의하여 더 분쇄되어서 분말상태로 된다. 즉 제1그라인더(5A) 및 제2그라인더(5B)는, 콩을 분쇄하는 입도가 다르게 되어 있다. 제1그라인더(5A)는 조대분쇄용(粗大粉碎用)의 그라인더이며, 제2그라인더(5B)는 미세분쇄용(微細粉碎用)의 그라인더이다. 제1그라인더(5A) 및 제2그라인더(5B)는 각각 전동 그라인더로서, 구동원(驅動源)인 모터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칼날 등을 포함한다. 회전칼날의 회전수를 변화시킴으로써 분쇄되는 로스트 커피콩의 크기(입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분리장치(6)는 분쇄두로부터 채프(chaff)나 미분(微粉)이라고 하는 불요물(不要物)을 분리하는 기구이다.
제2그라인더(5B)에 의해 분쇄된 분쇄두는, 도1에 나타내는 슈트(GM31)로부터 배출된다.
도1에 나타내는 슈트(GM31)는 대략 수평방향으로 송출되어 오는 분쇄두를 하측을 향하여 안내하는 것이다. 도1에 나타내는 커피콩 분쇄기(GM)에는, 슈트(GM31)를 두드리는 해머부재(GM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해머부재(GM3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GM32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대략 수평방향으로 송출되어 오는 분쇄두는, 슈트(GM31)의 내벽에 부딪쳐 그 내벽에 부착되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사용자는, 해머부재(GM32)를 회전시켜서 슈트(GM31)를 두드리고, 그 부착된 분쇄두에 충격을 주어서 낙하시킨다.
도3은, 제2그라인더(5B)의 구성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그라인더(5B)는, 제2모터(52b), 모터 베이스(502), 베이스부(505a) 및 입도조정기구(503)를 갖추고 있다.
제2모터(52b)는 제2그라인더(5B)의 구동원으로서, 모터 베이스(502)의 상방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모터 베이스(502)의 위에는, 제2모터(52b)의 출력축에 고정되는 피니언 기어(52b')와, 이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502a)가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부(505a)의 위에는, 기어(502a)와 맞물리는 기어(55b')가 배치되어 있다. 기어(55b')에는 회전축(54b)이 고정되어 있고, 회전축(54b)은 베이스부(505a)에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기어(502a)를 통하여 기어(55b')에 전달되는 제2모터(52b)의 구동력이 회전축(54b)을 회전시킨다. 회전축(54b)의 단부에는 회전칼날(58b)이 설치되어 있고, 회전칼날(58b)의 상측에는 고정칼날(57b)이 설치되어 있다. 즉 고정칼날(57b)은 회전칼날(58b)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입도조정기구(503)는, 그 구동원인 조정용 모터(503a)와, 조정용 모터(503a)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웜기어(692)를 갖추고 있다. 웜휠(691)의 기어부(691g)는 웜기어(692)와 맞물려 있다.
또한 이 도3에는, 프레임 부재(694)가 나타나 있다. 프레임 부재(694)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케이싱에 고정되어 배치된 것으로서, 내주면에는 너트부가 형성되어 있다. 홀더부(693)의 외주면에 형성된 볼트부(693s)는, 이 프레임 부재(694)의 너트부와 맞물려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칼날(57b)은, 홀더부(693)를 통하여 웜휠(691)의 접속부에 나사결합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웜휠(691)의 기어부(691g)가 회전하면 고정칼날(57b)이 그 축방향으로 승강한다. 또, 웜휠(691)의 연결구(691j)는 연결덕트(661)의 하단과 랩하도록 접속되어 있고, 웜휠(691)이 하강해도 연결덕트(661)의 하단과의 접속은 유지된다. 도3에 나타내는 고정칼날(57b)은 초기위치에 위치하고, 회전칼날(58b)과 가장 분리된 상태에 있다.
도2에 나타내는 처리부(11a)는, 조정용 모터(503a)의 회전량을 제어하여, 회전칼날(58b)과 고정칼날(57b)의 간격을 조절한다. 이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제2그라인더(5B)에 있어서의 분쇄두의 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승강하는 고정칼날(57b)은, 회전칼날(58b)로부터 소정의 길이(예를 들면 0.7mm) 떨어진 위치가 검출위치가 된다. 검출위치는, 고정칼날(57b)의 초기위치보다도 회전칼날(58b)에 가까운 위치이다. 제2그라인더(5B)에는, 고정칼날(57b)이 검출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센서(57c)가 설치되어 있다.
계속하여 도1에 나타내는 커피콩 분쇄기를 제1실시형태의 커피콩 분쇄기로 하였을 경우의 제2실시형태의 커피콩 분쇄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음의 설명에서도, 지금까지 설명한 구성요소의 명칭과 같은 명칭의 구성요소에는, 지금까지 사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또한 도1에 나타내는 커피콩 분쇄기와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 제2실시형태의 커피콩 분쇄기(GM)에는, 제1실시형태의 커피콩 분쇄기(GM)가 구비하는 분쇄장치(5)와 같은 구조의 분쇄장치(5)를 구비하고 있지만, 이 제2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제1그라인더(5A)를 톱밀(5AM)이라고 부르고, 제2그라인더(5B)를 본밀(5BM)이라고 부른다. 또한 톱밀(5AM)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톱밀모터(제1모터에 상당)이라고 부르고, 본밀(5BM)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본밀모터라고 부른다.
도4는, 제2실시형태의 커피콩 분쇄기의 사시도이다. 도4(A)는, 컵(CP)을 홀딩한 상태의 커피콩 분쇄기(GM)를, 기계의 좌측 비스듬한 앞, 즉 조작자로부터 보면 우측 비스듬한 앞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며, 동 도(B)는, 컵(CP)을 떼어낸 커피콩 분쇄기(GM)를 기계의 우측 비스듬한 앞, 즉 조작자로부터 보면 좌측 비스듬한 앞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5는, 커피콩의 경로와 채프 등의 불요물의 경로와 애프터클리닝의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에는, 톱밀(5AM), 톱밀(5AM)의 상부로부터 위를 덮는 톱밀 상부 케이스(501), 분리실 형성부(64), 연결덕트(661), 연결 다이얼(697), 웜휠(691), 본밀(5BM)을 덮는 프레임 부재(694), 슈트(GM31), 관부(63), 회수용기(60B)의 상부(61), 그 하부(62)에 배치된 내측 케이스(60Bi) 및 팬유닛(60A)이 나타나 있다. 또, 회수용기(60B)의 하부(62)에 배치된 외측 케이스(60Bo)는 도면에 나타내는 것이 생략되어 있다.
또한 도5에서는, 커피콩의 경로가 1점쇄선으로 나타나 있다. 즉 로스트 커피콩은 톱밀(5AM)에 의해 중간분쇄두가 되고, 중간분쇄두는 분리실 형성부(64)을 거쳐서 연결덕트(661)를 통과하여 본밀(5BM)에 의하여 분쇄두가 되고, 분쇄두는 슈트(GM31)로부터 흘러서 내려간다.
또한 도5에서는, 채프 등의 불요물의 경로가 2점쇄선으로 나타나 있다. 즉 중간분쇄두과 함께 분리실 형성부(64)에 진입한 채프 등의 불요물은, 팬유닛(60A)에 있어서의 채프팬의 회전에 의해 흡인되어, 분리실 형성부(64)로부터 관부(63)를 통하여 회수용기(60B)에 도달한다. 회수용기(60B)에서는 채프 등의 불요물은 자체 중량에 의해 회수용기(60B)의 하부(62)의 바닥(도면에 나타내지 않는 외측 케이스(60Bo)의 바닥면)에 퇴적한다. 또, 불요물이 분리된 공기는, 내측 케이스(60Bi)내에서 상승기류가 되어서 팬유닛(60A)를 통과하여 커피콩 분쇄기(GM)의 밖으로 배기된다. 이렇게 하여 톱밀(5AM)의 회전중에 팬유닛(60A)에 의해 채프 등의 불요물을 흡인하고 있어도, 설정치가 낮을 경우(흡인력이 약할 경우)에는, 관부(63) 및 분리실 형성부(64)의 내부영역에 채프 등의 불요물이 남아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설정치가 높은 경우이더라도 관부(63) 및 분리실 형성부(64)의 내주벽에 채프 등의 불요물이 부착되어 전부 제거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그라인드 처리의 종료후에, 보다 강한 흡인력에 의하여 관부(63) 및 분리실 형성부(64)의 내부영역(도5에서 굵은 실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내부영역)을 흡인하여, 내부영역에 남은 채프 등의 불요물을 회수하거나 내주벽에 부착된 채프 등의 불요물을 떼어낸다. 내부영역에 남아 있거나 내주벽에 부착되어 있었던 채프 등의 불요물은, 굵은 실선의 화살표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수용기(60B)에 도달해 자체 중량에 의해 낙하한다. 또한 그라인드 처리의 종료시마다 애프터클리닝을 함으로써, 내주벽에 채프 등의 불요물이 퇴적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6은, 커피콩 분쇄기(GM)의 본체(GMb)로부터 본밀유닛(5BMu)을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밀유닛(5BMu)은, 본체(GMb)에 고정나사(70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즉 1개의 고정나사(701)를 떼어냄으로써 본체(GMb)로부터 본밀유닛(5BMu)을 떼어낼 수 있다.
본밀유닛(5BMu)은, 지금까지 설명해온 연결덕트(661), 연결 다이얼(697), 웜휠(691), 슈트(GM31)를 갖추고 있다. 또한 본밀유닛(5BMu)은, 고정칼날유닛(710)과 회전칼날유닛(720)을 갖추고 있다. 또, 연결덕트(661)는, 웜휠(691)의 위에 재치되어 있을 뿐이다. 연결덕트(661)의 상단으로부터 톱밀(5AM)에 의하여 분쇄된 분쇄두가 투입된다.
도7은, 본밀유닛(5BMu)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의 상방에는, 도6에 나타내는 본밀유닛(5BMu)을 방향을 바꾸어서 나타낸 사시도가 나타나 있다. 도7의 상방에 나타내는 본밀유닛(5BMu)은, 슈트(GM31)가 좌측 안쪽에 위치하고 있고, 도6에 나타내는 고정나사(701)가 도7에서는 오른쪽 앞에 나타나 있다. 또한 연결덕트(661), 연결 다이얼(697), 웜휠(691), 고정칼날유닛(710) 및 회전칼날유닛(720)이 나타나 있다. 또한 연결덕트(661)에 형성된 공기흡입구(661a)나, 연결 다이얼(697)에 형성된 연결기어(697g)도 나타나 있다.
고정칼날유닛(710)과 회전칼날유닛(720)은 분리할 수 있다. 도7의 하방에는, 본밀유닛(5BMu)으로부터 회전칼날유닛(720)을 분리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즉 도7의 우측 밑에는, 본밀유닛(5BMu)으로부터 떼어낸 회전칼날유닛(720)이 나타나 있다. 한편, 도7의 좌측 밑에는, 본밀유닛(5BMu)으로부터 회전칼날유닛(720)이 떼내어진 상태가 나타나 있다. 즉 연결덕트(661), 연결 다이얼(697), 웜휠(691) 및 고정칼날유닛(710)이 나타나 있다.
도8은, 도7의 좌측 밑에 나타낸, 본밀유닛(5BMu)으로부터 회전칼날유닛(720)이 떼내어진 상태에 있어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즉 연결덕트(661), 연결 다이얼(697), 웜휠(691) 및 고정칼날유닛(710)을 분해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8에는 위로부터, 연결덕트(661), 연결 다이얼(697), 웜휠(691)의 순서로 나타나 있다.
또한 이 도8에는, 고정칼날유닛(710)이 분해되어 나타나 있다. 고정칼날유닛(710)은, 고정칼날 케이스체(711), 베이스 부재(712), 중간부재(713) 및 고정칼날(57b)을 구비한다. 고정칼날 케이스체(711)는, 도3에 나타내는 프레임 부재(694)에 상당한다. 고정칼날 케이스체(711)는, 내측에 베이스 부재(712), 중간부재(713) 및 고정칼날(57b)을 수용하고, 그 내주면에는 너트부(711s)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고정칼날 케이스체(711)에는 슈트(GM31)가 부착되어 있고, 슈트(GM31)의 입구가, 고정칼날 케이스체(711)에 형성되어 있는, 분쇄두의 출구(7111)에 접속하고 있다.
베이스 부재(712)에는,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3개의 수납구멍(71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3개의 수납구멍(7121)에는 인자트(ensat; 인서트 너트)(715)가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없게 수납된다. 수납구멍(7121) 밑에는 볼트관통구멍(7124)(도9(A) 참조)이 형성되어 있고, 이 볼트관통구멍(7124)은 수납구멍(7121)에 연결된다. 또한 베이스 부재(712)에는, 수납구멍(7121)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나사구멍(7122)도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구멍(7122)도,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3개 형성되어 있다. 도8에는, 3개의 간격조정부재 연결볼트(690)도 나타나 있다. 이들 3개의 간격조정부재 연결볼트(690) 각각은, 연결 다이얼(697)의 연결구멍(6971) 및 웜휠(691)의 연결구멍(6911)을 관통하여 베이스 부재(712)에 형성된 나사구멍(7122)에 나사결합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연결 다이얼(697)과 웜휠(691)이 일체가 되어서 고정칼날유닛(710)에 연결된다.
중간부재(713)에는,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3개의 확경부(71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부재(713)에는, 확경부(7131)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스프링 수납 오목부(7132)도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수납 오목부(7132)도,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3개 형성되어 있다. 3개의 스프링 수납 오목부(7132) 각각에는, 압축코일 스프링(716)의 하단측이 수납된다. 압축코일 스프링(716)의 작용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고정칼날(57b)에는,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3개의 부착구멍(579)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칼날(57b), 중간부재(713) 및 베이스 부재(712)는, 부착구멍(579)과 확경부(7131)와 볼트관통구멍(7124)(도9(A) 참조) 및 수납구멍(7121)이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고정칼날(57b)측(하측)으로부터 연결볼트(714)가 삽입되어 연결볼트(714)의 두부(7141)가 고정칼날(57b)에 접촉하고, 선단부(7142)가 수납구멍(7121)에 수납된 인자트(715)에 나사결합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고정칼날(57b), 중간부재(713) 및 베이스 부재(712)는 연결되어, 고정칼날(57b)과 베이스 부재(712) 사이에 중간부재(713)가 끼워진 상태가 된다.
베이스 부재(712)의 최외주면에 있어서 중간부재(713)측(하측)에는 볼트부(712s)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부재(713)의 최외주면에도 볼트부(713s)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칼날(57b), 중간부재(713) 및 베이스 부재(712)가 연결볼트(714)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는, 베이스 부재(712)의 볼트부(712s)와 중간부재(713)의 볼트부(713s)에 의해 연속하는 볼트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속하는 볼트부는, 도3에 나타내는 볼트부(693s)에 상당하고, 이하에서 연결볼트부(710s)라고 부른다. 이 연결볼트부(710s)는, 고정칼날 케이스체(711)의 내주면에 형성된 너트부(711s)와 맞물린다. 고정칼날 케이스체(711)의 너트부(711s)는, 도3에 나타내는 프레임 부재(694)의 너트부에 상당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고정칼날(57b), 중간부재(713) 및 베이스 부재(712)가 연결볼트(714)에 의해 연결된 것을 고정칼날 연결체(717)라고 부른다.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도12 참조)은, 연결 다이얼(697)의 위에 재치된다.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이 연결 다이얼(697)의 위에 재치되면, 연결기어(697g)와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의 기어가 교합한다.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을 회전조작 하면, 연결기어(697g)를 통하여 고정칼날 연결체(717)가 회전한다. 본밀유닛(5BMu)은 본체(GMb)에 고정나사(701)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칼날 케이스체(711)도 본체(GMb)에 고정되어 있고, 그 고정칼날 케이스체(711)의 너트부(711s)에 연결볼트부(710s)가 맞물려 있으므로,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의 회전조작에 따라 고정칼날 연결체(717)가 고정칼날 케이스체(711)내를 승강한다. 이에 따라 고정칼날(57b)이 회전칼날(58b)에 대하여 접리(接離)하여 본밀 간격이 조정된다.
도9(A)는, 베이스 부재(712)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9(A)에 나타나 있는 베이스 부재(712)의 우단에는, 수납구멍(7121)과 그 수납구멍(7121)에 이어진 볼트관통구멍(7124)의 단면이 나타나 있다. 한편, 반대측의 좌단에는 스프링 삽입 오목부(7123)가 나타나 있다. 베이스 부재(712)에 있어서 중간부재(713)측(하측)에는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3개의 스프링 삽입 오목부(7123)가 형성되어 있고, 도9(A)에서는 그 중의 하나의 스프링 삽입 오목부(7123)가 나타나 있다. 이 스프링 삽입 오목부(7123)는, 중간부재(713)의 스프링 수납 오목부(7132)에 대응하는 것이다. 스프링 삽입 오목부(7123)는 관통구멍이 아니라, 천장면(7123a)을 구비하는 함몰(陷沒)된 것이다.
도9(B)는 중간부재(713)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9(B)에 나타나 있는 중간부재(713)의 우단에는, 확경부(7131)를 구성하는 경사면(7131a)이 나타나 있다. 또, 지면 중앙 안쪽에도 확경부(7131)가 나타나 있고, 이 확경부(7131)를 구성하는 경사면(7131a)도 나타나 있다.
또한 이 도9(B)에는, 2개의 압축코일 스프링(716)이 나타나 있다. 지면 중앙 안쪽에 나타내는 압축코일 스프링(716)은, 스프링 수납 오목부(7132)에 수납되어 있어 상측부분만이 보이고 있는 상태이다. 한편, 좌측에 나타내는 압축코일 스프링(716)은, 하측부분이 스프링 수납 오목부(7132)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스프링 수납 오목부(7132)도 관통구멍이 아니라, 스프링 수납 오목부(7132)는 바닥면(7132a)을 구비하는 함몰된 것이다. 압축코일 스프링(716)은, 베이스 부재(712)측(상측)으로부터 스프링 수납 오목부(7132)에 삽입되어, 고정칼날(57b)측(하측)의 단부가 바닥면(7132a)에 지지되고, 스프링 수납 오목부(7132)에 하측부분이 수납된다. 스프링 수납 오목부(7132)에 하측부분이 수납된 압축코일 스프링(716)의 상측부분은 중간부재(713)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압축코일 스프링(716)의, 이 돌출된 부분 중에서 일부 또는 전부가, 도9(A)에 나타나 있는 베이스 부재(712)의 스프링 삽입 오목부(7123)에 삽입된다.
도10은, 압축코일 스프링(716)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서 고정칼날 연결체(717)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10에 나타내는 고정칼날 연결체(717)의 우측에는, 고정칼날(57b)의 부착구멍(579)으로부터 삽입되어, 확경부(7131)에 의해 넓혀진 공간을 통하여 중간부재(713)와는 접촉하지 않고, 베이스 부재(712)의 수납구멍(7121)에 수납된 인자트(715)에 나사결합 하는 연결볼트(714)가 나타나 있다. 이 연결볼트(714)는, 두부(7141)가 고정칼날(57b)에 접촉하고 있어, 고정칼날(57b)은 연결볼트(714)에 의해 베이스 부재(712)에 고정되어 있다.
중간부재(713)는, 베이스 부재(712)와 고정칼날(57b)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중간부재(713)는, 가동칼날(58b)에 대하여 접리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 이 상하방향을 접리방향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10에 나타내는 고정칼날 연결체(717)의 좌측에는, 스프링 수납 오목부(7132)에 하측부분이 수납된 압축코일 스프링(716)이 나타나 있다.
도10(A)에는, 도8에 나타내는 고정칼날 케이스체(711)의 너트부(711s)에 연결볼트부(710s)를 맞물리게 하기 전의 상태의 고정칼날 연결체(717)가 나타나 있다. 즉 고정칼날 케이스체(711)내에 수납되기 전의 고정칼날 연결체(717)의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
도10(A)에 나타나 있는 고정칼날 연결체(717)에서는 베이스 부재(712)와 중간부재(713)가 이간하고 있어, 압축코일 스프링(716)의 상단과 스프링 삽입 오목부(7123)의 천장면(7123a) 사이에는 간격이 남아 있다. 이 때문에 압축코일 스프링(716)은 다 늘어진 상태로서, 가압력은 발생하지 않고 있다.
도10(B)에는, 도8에 나타내는 고정칼날 케이스체(711)내에 상방으로부터 고정칼날 연결체(717)를 나사로 체결하고 있는 상태의 고정칼날 연결체(717)가 나타나 있다. 즉 고정칼날 케이스체(711)의 너트부(711s)에 연결볼트부(710s)가 물려져 있어, 고정칼날 연결체(717)에는 상방으로부터 나사로 체결할 때에 아래방향의 힘(도면 중의 굵은 선의 화살표 참조)이 걸리고 있다.
도10(B)에 나타나 있는 고정칼날 연결체(717)에서는, 베이스 부재(712)와 중간부재(713)가 접촉하고 있고, 중간부재(713)와 고정칼날(57b)이 이간하고 있다. 압축코일 스프링(716)의 상단은 스프링 삽입 오목부(7123)의 천장면(7123a)(도10(A) 참조)에 접촉하고, 압축코일 스프링(716)은 가장 수축한 상태로서 최대가압력을 발생하고 있다. 즉 도10(B)에 있어서 굵고 가운데가 빈 화살표가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압축코일 스프링(716)은, 중간부재(713)를 하방으로 가압함과 아울러 베이스 부재(712)를 상방을 향하여 가압하고 있다.
도10(C)에는, 본밀 간격의 조정이 종료된 상태의 고정칼날 연결체(717)가 나타나 있다. 이 도10(C)에 나타나 있는 고정칼날 연결체(717)는, 실제로 커피콩을 분쇄하고 있는 상태의 것이 된다.
도10(C)에 나타나 있는 고정칼날 연결체(717)에서는, 베이스 부재(712)와 중간부재(713) 사이에 약간의 간격이 발생하여, 중간부재(713)와 고정칼날(57b)도 이간하고 있다. 압축코일 스프링(716)의 상단은 스프링 삽입 오목부(7123)의 천장면(7123a)(도10(A) 참조)에 접촉하고, 압축코일 스프링(716)은 수축한 상태로서 어느 정도의 가압력을 발생하고 있다. 연결볼트부(710s)와 도8에 나타내는 너트부(711s) 사이에는 아무래도 백래쉬(backlash) 만큼의 간격이 존재해버린다. 이 간격은, 본밀 간격의 미세한 조정에 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다. 도10(C)에 있어서의 좀 가늘고 가운데가 빈 화살표가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압축코일 스프링(716)은, 상기 백래쉬 만큼의 간격을 없애도록 중간부재(713)를 하방으로 가압함과 아울러 베이스 부재(712)를 상방을 향하여 가압하고 있다. 이 가압력에 의하여 중간부재(713)의 접리방향(상하방향)의 위치가 규제됨과 아울러 베이스 부재(712)의 접리방향의 위치도 규제된다. 또한 베이스 부재(712)의 위치가 규제됨으로써 베이스 부재(712)에 고정된 고정칼날(57b)의 위치도 규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볼트부(710s)와 너트부(711s) 사이에 발생하는 백래쉬 만큼의 간격은, 압축코일 스프링(716)의 가압력에 의해 저감된다. 또한 압축코일 스프링(716)은,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부재(713) 및 베이스 부재(712)의 접리방향의 위치가 원주방향으로 균일하게 규제되어, 고정칼날(57b)의 접리방향의 위치도 원주방향으로 균일하게 규제된다. 그 결과, 본밀 간격의 미세한 조정이 정확하게 반영되어, 분쇄두의 입도를 고정밀도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11(A)는, 도7의 좌측 밑에 나타내는, 본밀유닛(5BMu)으로부터 회전칼날유닛(720)이 떼내어진 상태를 상하가 거꾸로 되도록 반전시킨 도면이다. 즉 이 도11(A)는, 연결덕트(661)를 손으로 누르고, 연결덕트(661), 연결 다이얼(697), 웜휠(691) 및 고정칼날유닛(710)을 상하가 거꾸로 되도록 반전시킨 도면이다.
이 도11(A)의 고정칼날유닛(710)의 고정칼날 케이스체(711)에도, 도8과 같이 슈트(GM31)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도11(A)에서는 고정칼날(57b)의 칼날면이 보이고 있다. 또, 그 칼날면에는 연결볼트(714)의 두부(7141)가 보이고 있다.
거기에다, 고정칼날 케이스체(711)에 있어서 회전칼날유닛(720)측의 내주 가장자리부에는 합체용 너트부(7112)가 형성되어 있다.
도11(B)는, 본밀유닛(5BMu)으로부터 떼어낸 회전칼날유닛(720)의 사시도로서, 도7의 우측 밑에 나타내는 도면과 같은 도면이다.
회전칼날유닛(720)은 회전칼날 케이스체(721)와 본체부착 프레임(722)을 구비한다. 회전칼날 케이스체(721)에 있어서 고정칼날유닛(710)측의 외주 가장자리부에는 합체용 볼트부(7211)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칼날 케이스체(711)에 있어서 회전칼날유닛(720)측의 내주 가장자리부를, 회전칼날 케이스체(721)에 있어서 고정칼날유닛(710)측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칼날 케이스체(711)와 회전칼날 케이스체(721)의 어느 일방의 케이스체를 소정방향으로 손으로 돌리면, 합체용 너트부(7112)와 합체용 볼트부(7211)가 나사결합 하여, 고정칼날 케이스체(711)와 회전칼날 케이스체(721)는 일체가 된다. 한편, 고정칼날 케이스체(711)와 회전칼날 케이스체(721)가 일체가 된 상태에서, 어느 일방의 케이스체를 소정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손으로 돌리면, 고정칼날 케이스체(711)와 회전칼날 케이스체(721)는 분리된다. 고정칼날 케이스체(711)와 회전칼날 케이스체(721)의 분리방향은 본밀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고정칼날 케이스체(711)와 회전칼날 케이스체(721)를 일체로 하거나, 고정칼날 케이스체(711)와 회전칼날 케이스체(721)를 분리하거나 할 수 있어서 유지보수성이 양호하다.
회전칼날 케이스체(721)에는 회전기대(59)가 부착되고, 그 회전기대(59)에 회전칼날(58b)이 볼트(59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회전칼날 케이스체(721)에는 구동기어(550)가 수용되어 있다. 회전칼날(58b)의 중심에는, 도3을 사용하여 설명한 회전축(54b)과 같은 회전축(이 도11(B)에서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이 관통하고 있고, 이 회전축에 회전칼날(58b)은 볼트(595)와 회전방지 와셔(596)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회전축이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회전칼날(58b)도 회전한다. 고정칼날 케이스체(711)와 회전칼날 케이스체(721)의 분리방향은, 이 회전축의 연장방향과도 일치하고 있다. 또, 도11(B)에는 6개의 블레이드(593)가 나타나 있다. 이들 6개의 블레이드(593)는, 고정칼날 케이스체(711)와 회전칼날 케이스체(721)가 일체가 된 상태에서는, 고정칼날 케이스체(711)내에서 회전하여 분쇄두를 원주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분쇄두는, 도9에 나타내는 분쇄두의 출구(7111)로부터 슈트(GM31)를 통하여 머신 밖으로 배출된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회전축은, 회전칼날 케이스체(721)의 기어교합창(7212)으로부터 일부가 보이고 있는 구동기어(550)가 회전함으로써 회전한다. 이 구동기어(550)는 도3에 나타내는 기어(55b')에 상당한다.
또한 이 도11(B)에서는 회전칼날(58b)의 칼날면이 보이고 있다. 고정칼날 케이스체(711)와 회전칼날 케이스체(721)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고정칼날 케이스체(711)에 부착된 고정칼날(57b)의 칼날이나 칼날면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여, 고정칼날(57b)의 유지보수를 할 수 있다. 또한 연결볼트(714)를 돌려서 뽑아내면, 고정칼날(57b)의 교환도 가능하다. 또한 고정칼날 케이스체(711)와 회전칼날 케이스체(721)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회전칼날 케이스체(721)에 부착된 회전칼날(58b)의 칼날이나 칼날면에도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여 회전칼날(58b)의 유지보수를 실시할 수도 있고, 회전칼날(58b)의 교환도 가능하다.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1종류의 칼날의 패턴의 고정칼날 및 회전칼날을 장착한 본밀유닛(5BMu) 밖에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다른 칼날의 패턴의 고정칼날 및 회전칼날을 장착한 본밀유닛을 복수개 준비해 두고, 고정칼날(57b) 및 회전칼날(58b) 자체를 교환하는 것은 아니라, 본밀유닛(5BMu)별로 교환한다.
도12는, 도6에 나타내는 본체(GMb)에 본밀유닛(5BMu)을 장착한 커피콩 분쇄기(GM)로부터, 본밀유닛(5BMu), 본밀모터, 본밀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기구,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 스프링(699) 및 센서기판(GM316) 및 메커닉스 스위치 유닛(600)을 제거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2(A)의 사시도에서는 슈트(GM31)가 왼쪽 앞측에 위치하고 있어, 약간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로 되어 있다.
도12(A)에 나타나 있는 스프링(699)은,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을 연결 다이얼(697)에 가압하는 것이다.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을 연결 다이얼(697)의 위에 재치하면,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의 기어(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와 연결기어(697g)(도면8 등 참조)가 교합하여,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의 회전조작이 연결 다이얼(697)에 전달되지만,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이 떠 있게 되면,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의 회전조작이 연결 다이얼(697)에 전달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을 연결 다이얼(697)에 스프링(699)에 의해 가압하고 있다.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과 스프링(699)은 본체(GMb)에 배치된 것이다.
또한 도12(A)에 나타나 있는 센서기판(GM316)은, 슈트(GM31)를 검출하는 센서가 실장된 기판이다. 슈트(GM31)는 회전함으로써 개폐할 수 있다. 도12(A)에 나타나 있는 슈트(GM31)는 닫힌 상태이지만, 슈트(GM31)가 열려 있는 경우에는, 이 센서기판(GM316)으로부터 슈트(GM31)가 미검출인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된다. 센서기판(GM316)도 본체(GMb)에 배치된 것이다.
또한 도12(A)에는 본밀모터(551)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기구로서, 전달벨트(552)와 전달기어(553)가 나타나 있다. 본밀모터(551)의 회전축(5511)과 전달기어(553) 사이에는 전달벨트(552)가 감겨져 있어, 그 전달벨트(552)에 의하여 본밀모터(551)의 구동력은 전달기어(553)에 전달된다. 본밀모터(551), 전달벨트(552) 및 전달기어(553)는 본체(GMb)에 배치된 것이다.
도12(B)는 동 도(A)와는 방향을 바꾼 사시도로서, 슈트(GM31)가 우측 안쪽에 위치하고 있어, 약간 하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로 되어 있다.
이 도1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체부착 프레임(722)은, 회전칼날 케이스체(721)의 바닥부를 덮는 덮개부(7221)와, 그 덮개부(7221)로부터 본밀모터(551)측으로 연장한 아암부(7222)를 구비한다. 회전칼날 케이스체(721)의 바닥부는 본체부착 프레임(722)의 덮개부(7221)에 의해 덮어져 있고, 회전칼날 케이스체(721)와 본체부착 프레임(722)은 연결볼트(72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본체(GMb)에는, 고정칼날 케이스체(711)를 삽입시키는 프레임 부재(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가 배치되어 있다. 도12(B)에는, 메커닉스 스위치 유닛(600)도 나타나 있다. 이 메커닉스 스위치 유닛(600)은, 웜휠(691)의 외주에 형성된 기어부를 구성하는 톱니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것이다.
본밀유닛(5BMu)을 본체(GMb)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하방에서 본밀유닛(5BMu)을 꽉 대고 고정칼날 케이스체(711)를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프레임 부재에 삽입하면, 본체부착 프레임(722)의 아암부(7222)의 선단부가 본체(GMb)에 설치된 부착구멍과 일치한다. 다음은, 그 선단부에 도6이나 도7에 나타내는 고정나사(701)를 삽입시켜, 고정나사(701)를 단단히 조인다. 본밀유닛(5BMu)은 본체(GMb)에 이 고정나사(701)만으로 나사결합되어 있지만,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프레임 부재는, 고정칼날 케이스체(711)에 슈트(GM31)부착부분 등을 제외한 원주의 2/3 이상의 범위에서 접촉하고 있어, 고정칼날 케이스체(711)에 있어서 프레임 부재와의 삽입구조는 강고한 것이다.
본밀유닛(5BMu)가 본체(GMb)에 장착되면, 본체측의 전달기어(553)에 유닛측의 구동기어(550)가 교합한다. 이에 따라 본밀모터(551)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이 전달벨트(552) 및 전달기어(553)를 통하여 구동기어(550)에 전달되어 구동기어(550)가 회전함으로써 도3에 나타내는 회전축(54b)과 같은 회전축이 회전하고, 그 회전축에 고정된 회전칼날(58b)이 회전구동한다. 따라서 구동기어(550) 및 도3에 나타내는 회전축(54b)과 같은 회전축이, 본밀유닛(5BMu)에 탑재된 동력전달부가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실시형태의 커피콩 분쇄기(GM)에서는 본밀모터(551), 전달벨트(552) 및 전달기어(553)가 본체(GMb)에 탑재되어 있고,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과 스프링(699)도 본체(GMb)에 탑재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밀유닛(5BMu)을 교환해도, 이들은 공통으로 사용되어 본밀유닛(5BMu)의 비용절감이 실현된다. 또한 전달기어(553)와 구동기어(550)라고 하는 교합장소와,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의 기어(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와 연결기어(697g)라고 하는 교합장소로, 본체(GMb)와 본밀유닛(5BMu)이 구분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들의 기어 상호간을 교합시킴으로써 본체(GMb)에 본밀유닛(5BMu)을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어, 본밀유닛(5BMu)의 부착작업도 용이하다.
이상의 기재에서는,
『본체[예를 들면 본체(GMb)]와,
제1칼날[예를 들면 고정칼날(57b)]과 제2칼날[예를 들면 회전칼날(58b)] 사이에서 커피콩을 분쇄하는 그라인더 유닛[예를 들면 본밀유닛(5BMu)]과,
상기 제1칼날과 상기 제2칼날의 간격[예를 들면 본밀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조정기구[예를 들면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 연결 다이얼(697), 웜휠(691), 고정칼날 케이스체(711) 및 고정칼날유닛(710)]를
구비한 커피머신으로서,
상기 그라인더 유닛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간격조정기구는, 상기 간격이 조작에 따라 조정되는 조작부[예를 들면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작부와 연동하는 연동부[예를 들면 연결 다이얼(697), 웜휠(691) 및 고정칼날유닛(710)]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된 것이며,
상기 연동부는, 상기 그라인더 유닛에 설치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 커피머신에서는, 서로 다른 패턴의 제1칼날과 제2칼날을 갖추는 상기 그라인더 유닛을 복수개 준비해 두면, 상기 그라인더 유닛을 교환함으로써 다른 패턴의 칼날로 교환할 수 있고, 제1칼날과 제2칼날이라고 하는 2매의 칼날 자체를 교환하는 경우에 비하여 유닛교환의 쪽이 간단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조작부가 유닛교환이 이루어져도 공통으로 사용되어, 상기 그라인더 유닛의 비용상승이 억제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칼날은 고정칼날이며, 상기 제2칼날은 회전칼날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간격조정기구는 수동으로 상기 간격을 조정하는 것이고, 상기 조작부는 예를 들면 회전 다이얼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제2칼날을 회전구동하는 구동원[예를 들면 본밀모터(551)]을 구비하는 것이고, 상기 그라인더 유닛은, 상기 본체에 부착했을 때에 상기 구동원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상기 제2칼날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예를 들면 구동기어(550) 및 도3에 나타내는 회전축(54b)과 같은 회전축]를 갖추는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제1칼날과 상기 제2칼날은 플래트식이더라도 좋고, 코니컬식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제1칼날과 상기 제2칼날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것이더라도 좋고,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것이더라도 좋다.
상기 그라인더 유닛은, 상기 본체에 외팔보식으로 고정된 것이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그라인더 유닛은, 상기 본체에 대한 고정장소 중에서, 1군데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고 다른 장소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본체에 삽입되는 것이더라도 좋다.
상기 그라인더 유닛은, 분쇄두가 나오는 슈트[예를 들면 슈트(GM31)]를 갖추는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그라인더 유닛은, 상기 제1칼날[예를 들면 고정칼날(57b)]로부터 보아서 상기 제2칼날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베이스 부재[예를 들면 고정칼날유닛(710)의 베이스 부재(712)]와, 상기 베이스 부재와 맞물리는 나사부[예를 들면 고정칼날 케이스체(711)의 너트부(711s)]와, 상기 제1칼날과 상기 베이스 부재 사이에 배치된 위치제한부재[예를 들면 압축코일 스프링(716), 중간부재(713)]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나사부와의 교합구조[예를 들면 베이스 부재(712)의 볼트부(712s)와 고정칼날 케이스체(711)의 너트부(711s)의 교합구조]에 의해 상기 제2칼날에 대하여 접리하는 접리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이며,
상기 위치제한부재는, 상기 접리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베이스 부재의 위치를 규제하는 것이고,
상기 제1칼날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부착된 것이며[예를 들면 연결볼트(714)에 의한 부착], 상기 베이스 부재의 위치가 상기 위치제한부재에 의해 규제됨으로써 자신의 위치도 규제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교합구조의 백래쉬에 의한 흔들림이 억제되어, 상기 제1칼날의 위치가 변화되기 어려워져서 상기 간격조정기구에 의하여 조정한 상기 간격을 충실하게 유지하기 쉬워진다.
또,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나사부와의 교합구조에 의해 상기 간격의 신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이더라도 좋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제1칼날과 상기 베이스 부재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위치제한부재는, 상기 접리방향으로 신축하는 탄성체와, 상기 제1칼날과 상기 베이스 부재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중간부재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중간부재는, 상기 제1칼날과 상기 베이스 부재 사이에 상기 탄성체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접리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규제되는 것이며,
상기 베이스 부재도, 상기 제1칼날과 상기 베이스 부재 사이에 상기 탄성체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접리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규제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 상기 탄성체는 압축 스프링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그라인더 유닛은, 상기 제1칼날이 부착된 제1케이스체[예를 들면 고정칼날 케이스체(711)]와 상기 제2칼날이 부착된 제2케이스체[예를 들면 회전칼날 케이스체(721)]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제1케이스체와 상기 제2케이스체는, 일체가 된 상태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할 수 있고, 분리된 상태로부터 일체가 된 상태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되돌리는 것도 가능한 것인[예를 들면 고정칼날 케이스체(711)의 합체용 너트부(7112)와 회전칼날 케이스체(721)의 합체용 볼트부(7211)의 나사결합구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공구가 불필요하므로 유지보수성이 양호해진다.
또, 상기 제1케이스체와 상기 제2케이스체는 결합함으로써 일체가 된 상태가 되는 것이더라도 좋고, 삽입됨으로써 일체가 된 상태가 되는 것이더라도 좋고, 나사결합함으로써 일체가 된 상태가 되는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제1칼날은, 상기 제1케이스체내에 수용된 것이더라도 좋고, 상기 제1케이스체의 외주면에 부착된 것이더라도 좋다. 상기 제2칼날은, 상기 제2케이스체의 외주면에 부착된 것이더라도 좋고, 상기 제2케이스체내에 수용된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간격조정기구는, 적어도 일부[예를 들면 고정칼날유닛(710)]가 상기 제1케이스체[예를 들면 고정칼날 케이스체(711)]에 설치된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제1칼날은, 상기 제1케이스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케이스체가 상기 제2케이스체와 분리되어 있으면, 칼날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며,
상기 제2칼날은, 상기 제2케이스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케이스체가 상기 제1케이스체와 분리되어 있으면, 칼날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이 태양에 의하면, 칼날의 유지보수를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칼날은, 상기 제1케이스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케이스체가 상기 제2케이스체와 분리되어 있으면, 칼날면 전체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더라도 좋고, 상기 제1케이스체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한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제2칼날은, 상기 제2케이스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케이스체가 상기 제1케이스체와 분리되어 있으면, 칼날면 전체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더라도 좋고, 상기 제2케이스체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한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체와 상기 제2케이스체는, 상기 제2칼날의 회전축[예를 들면 도3을 사용하여 설명한 회전축(54b)과 같은 회전축]의 연장방향으로 분리할 수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 상기 제1케이스체와 상기 제2케이스체는, 상기 간격[예를 들면 본밀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로 분리할 수 있는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이상의 기재에서는,
『본체[예를 들면 본체(GMb)]와,
제1칼날[예를 들면 고정칼날(57b)]과 제2칼날[예를 들면 회전칼날(58b)] 사이에서 커피콩을 분쇄하는 그라인더 유닛[예를 들면 본밀유닛(5BMu)]과,
상기 제2칼날을 회전구동하는 회전구동기구와,
상기 제1칼날과 상기 제2칼날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조정기구를
구비하는 커피머신으로서,
상기 회전구동기구는, 상기 제2칼날을 회전구동하는 구동원[예를 들면 본밀모터(551)]과,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예를 들면 전달벨트(552) 및 전달기어(553)]와, 상기 제1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상기 제2칼날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예를 들면 구동기어(550) 및 도3에 나타내는 회전축(54b)과 같은 회전축]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간격조정기구는, 기어부[예를 들면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의 기어]와, 상기 기어부와 연동하는 연동부[예를 들면 연결 다이얼(697), 웜휠(691) 및 고정칼날유닛(710)]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본체는, 상기 구동원과 상기 제1동력전달부와 상기 기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그라인더 유닛이 삽입되는 것이며,
상기 그라인더 유닛은, 상기 제2동력전달부와 상기 연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그라인더 유닛이 상기 본체에 삽입되면, 상기 제2동력전달부가 상기 제1동력전달부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연동부가 상기 기어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2실시형태의 커피콩 분쇄기(GM)의 구성은, 제1실시형태의 커피콩 분쇄기(GM)에 적용할 수도 있고, 분쇄장치 이외에 추출장치도 구비한 음료제조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 나타낸 몇개의 태양 및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들의 내용은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서로 조합할 수 있고, 또한 목적 등에 따라 부분적으로 변경되더라도 좋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개개의 용어는, 본 발명에 관하여 설명하는 목적으로 사용된 것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이 그 용어의 엄밀한 의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고, 그 균등물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치」, 「부」 등의 표현은 「유닛」, 「모듈」 등이라고 바꿔 말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GM 커피콩 분쇄기
GMb 본체
57b 고정칼날
58b 회전칼날
5BMu 본밀유닛
551 본밀모터
552 전달벨트
553 전달기어
550 구동기어
695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
697 연결 다이얼
691 웜휠
710 고정칼날유닛

Claims (5)

  1. 본체와,
    제1칼날과 제2칼날 사이에서 커피콩을 분쇄하는 그라인더 유닛과,
    상기 제2칼날을 회전구동하는 회전구동기구와,
    상기 제1칼날과 상기 제2칼날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조정기구를
    구비한 커피머신으로서,
    상기 회전구동기구는, 상기 제2칼날을 회전구동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와, 상기 제1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상기 제2칼날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간격조정기구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와 연동하는 연동부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본체는, 상기 구동원과 상기 제1동력전달부와 상기 기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그라인더 유닛이 삽입되는 것이며,
    상기 그라인더 유닛은, 상기 제2동력전달부와 상기 연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그라인더 유닛이 상기 본체에 삽입되면, 상기 제2동력전달부가 상기 제1동력전달부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연동부가 상기 기어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그라인더 유닛의 삽입를 해제하면, 상기 제2동력전달부와 상기 제1동력전달부의 연결이 풀어짐과 아울러 상기 연동부와 상기 기어부의 연결도 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인더 유닛은, 상기 제1칼날과 상기 제2칼날 사이에서 분쇄된 분쇄두가 외부로 흘러내리는 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 하방으로부터 삽입되는 것이며,
    상기 출구는, 상기 제2동력전달부와 상기 제1동력전달부의 연결위치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연동부와 상기 기어부의 연결위치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프레임 부재를 구비한 것이며,
    상기 그라인더 유닛은, 외형을 획정(劃定)하는 케이스체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체와 상기 프레임 부재의 삽입구조에 의해 상기 본체에 부착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부착구멍이 형성된 것이며,
    상기 그라인더 유닛은, 상기 케이스체의 하방으로 1방향으로 연장하는 아암부를 구비한 것이며,
    상기 아암부는, 상기 케이스체가 상기 프레임 부재에 삽입되면 선단부가 상기 부착구멍과 일치하여, 상기 선단부로부터 상기 부착구멍에 삽입한 고정나사에 의해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KR1020237003883A 2021-12-03 2022-12-01 커피머신 KR1026293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97320 2021-12-03
JP2021197320A JP7144098B1 (ja) 2021-12-03 2021-12-03 コーヒーマシン
PCT/JP2022/044347 WO2023100972A1 (ja) 2021-12-03 2022-12-01 コーヒーマシ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3266A KR20230133266A (ko) 2023-09-19
KR102629344B1 true KR102629344B1 (ko) 2024-01-24

Family

ID=86558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3883A KR102629344B1 (ko) 2021-12-03 2022-12-01 커피머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864686B2 (ko)
EP (1) EP4215094A4 (ko)
KR (1) KR102629344B1 (ko)
CN (1) CN116568187B (ko)
CA (1) CA319424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43480A1 (en) 2014-11-24 2016-05-26 Jim Watts Manually Operable Herb Grinder
US20200061629A1 (en) 2018-08-23 2020-02-27 Superior Precision Engineering Llc Dba Spe Machining Herb Grinder and Blades for Herb Grind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94866A1 (en) 2007-05-23 2008-11-26 Rhea Vendors S.p.A. Device for grinding coffee or other alimentary substances
US20120017765A1 (en) * 2010-07-21 2012-01-26 Simatelex Manufactory Co. Ltd. Coffee maker having a bean grinder and coffee bean grinder
EP3114975B1 (de) * 2015-07-10 2018-08-29 Jura Elektroapparate Ag Mahlwerk für kaffeemaschinen
CN105768950B (zh) * 2016-05-11 2019-08-06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咖啡机磨豆装置
KR101775685B1 (ko) * 2016-11-03 2017-09-06 주식회사 테쿰 물 및 원두 자동공급장치
JP7052983B6 (ja) 2017-08-07 2022-07-15 株式会社大都技研 粉砕装置及び飲料製造装置
KR101981334B1 (ko) 2017-09-14 2019-05-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분산형 데이터 패킷 처리가 적용된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EP3741271B1 (en) * 2018-01-19 2022-09-14 Three Peace Co., Ltd. Coffee bean grinding mechanism
JP6690668B2 (ja) * 2018-05-30 2020-04-28 富士電機株式会社 抽出原料の粉砕装置
NL2022259B1 (nl) * 2018-12-20 2020-07-14 J M De Jong Duke Automatenfabriek B V Maalinrichting, koffiemachine en werkwijze voor het instellen daarvan
JP7265365B2 (ja) * 2019-01-25 2023-04-26 株式会社ツインバード コーヒーメーカー
KR20210122570A (ko) * 2020-04-01 2021-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피추출장치
EP3912534A1 (en) * 2020-05-18 2021-11-24 Tsann Kuen (Zhangzhou) Enterprise Co., Ltd. Coffee bean grinder
CN212878946U (zh) * 2020-06-08 2021-04-06 宁波宏一电器有限公司 一种智能型咖啡磨豆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43480A1 (en) 2014-11-24 2016-05-26 Jim Watts Manually Operable Herb Grinder
US20200061629A1 (en) 2018-08-23 2020-02-27 Superior Precision Engineering Llc Dba Spe Machining Herb Grinder and Blades for Herb Gri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92951A1 (en) 2023-09-21
CN116568187B (zh) 2023-11-10
CA3194245A1 (en) 2023-06-03
CN116568187A (zh) 2023-08-08
EP4215094A4 (en) 2024-02-07
EP4215094A1 (en) 2023-07-26
US11864686B2 (en) 2024-01-09
KR20230133266A (ko) 202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9344B1 (ko) 커피머신
CN108187860A (zh) 一种中药材的粉碎研磨设备
JPS5839580B2 (ja) コナヒキキ
WO2023100972A1 (ja) コーヒーマシン
JP5323571B2 (ja) 粉体圧縮成形機
KR102579000B1 (ko) 커피머신
WO2022196246A1 (ja) コーヒーマシン
JP2022144794A (ja) コーヒー豆挽き機
KR102566640B1 (ko) 커피머신
KR102612898B1 (ko) 커피머신
WO2022196248A1 (ja) コーヒーマシン
JP7282422B2 (ja) コーヒーマシン
WO2023090055A1 (ja) コーヒーマシン
TWI829226B (zh) 咖啡機
WO2022270619A1 (ja) コーヒーマシン
CN2616030Y (zh) 风选脱粒机
TWI829429B (zh) 咖啡機
KR20230098131A (ko) 커피머신
JP2022144795A (ja) コーヒー豆挽き機
JP2022144799A (ja) コーヒー豆挽き機
JP2022144792A (ja) コーヒー豆挽き機
KR20230101912A (ko) 커피콩 분쇄장치
KR20230101913A (ko) 커피콩 분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