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000B1 - 커피머신 - Google Patents

커피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9000B1
KR102579000B1 KR1020237002127A KR20237002127A KR102579000B1 KR 102579000 B1 KR102579000 B1 KR 102579000B1 KR 1020237002127 A KR1020237002127 A KR 1020237002127A KR 20237002127 A KR20237002127 A KR 20237002127A KR 102579000 B1 KR102579000 B1 KR 102579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er
unit
grinding
coffee
coffee b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2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7363A (ko
Inventor
도시오 사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토 기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토 기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토 기켄
Publication of KR20230017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0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커피콩을 분쇄하는 그라인더를 구비한 커피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채프나 미분이라고 하는 불요물의 회수에 우수한 커피머신을 제공한다.
커피콩을 분쇄하는 그라인더(5A)와, 커피콩으로부터 불요물을 분리하는 분리부(SC)와, 분리부(SC)에 있어서 커피콩으로부터 분리된 불요물을 저장하는 저장부(62)를 구비한 커피머신으로서, 저장부(62)는, 외측 케이스체(60Bo) 및 외측 케이스체(60Bo)의 내부에 내측 케이스체(60Bi)를 구비하는 것이고, 내측 케이스체(60Bi)는, 둘레벽(6iw)에 외측 케이스체(60Bo)의 내부로 이어지는 개구(6io)가 형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커피머신
본 발명은 커피콩을 분쇄(粉碎)하는 그라인더(grinder)를 구비한 커피머신에 관한 것이다.
커피콩을 사용한 조제(調製)를 실시하는 커피머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특허문헌1에서 제안되어 있는 커피머신은, 커피콩 분쇄장치(그라인더)와 커피음료 추출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커피콩 분쇄기(그라인더)만을 탑재한 것도 있다.
특허문헌1: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9-30433호 공보
종래의 커피머신에서는, 커피콩을 그라인드 처리할 때에 그 커피콩으로부터 발생하는 채프(chaff)나 미분(微粉)이라고 하는 불요물(不要物)의 회수에 대해서 개량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채프나 미분이라고 하는 불요물의 회수에 우수한 커피머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는 본 발명의 커피머신은,
커피콩을 분쇄하는 그라인더와,
커피콩으로부터 불요물을 분리하는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에 있어서 커피콩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불요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한 커피머신으로서,
상기 저장부는, 외측 케이스체 및 상기 외측 케이스체의 내부에 내측 케이스체를 구비하는 것이고,
상기 내측 케이스체는, 둘레벽에 상기 외측 케이스체의 내부로 이어지는 개구가 형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구는, 상기 불요물이 통과하는 경우가 있어도 좋고, 기류가 통과하는 경우가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커피머신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보다도 상방에 흡인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케이스체는, 상기 둘레벽보다도 내측으로 상기 불요물을 포함한 기류가 들어가고, 상기 내측에서 상기 불요물이 자체 중량에 의하여 낙하하는 한편, 상기 흡인부에 의하여 흡인되어서 상승하는 기류가 발생하는 것이며,
상기 외측 케이스체는, 상기 개구를 통과한 상기 불요물을 저장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더라도 좋다.
또, 상기 내측 케이스체는, 상기 둘레벽을 따라 상기 불요물을 포함한 기류가 선회하고, 상기 개구 부근에서 상기 불요물이 자체 중량에 의하여 낙하하는[예를 들면 도30(b)에 나타나 있는 1점쇄선의 화살표] 한편, 상기 흡인부에 의하여 흡인되어서 상승하는 기류[예를 들면 도30(b)에 나타나 있는 2점쇄선의 화살표]가 발생하는 것이며, 상기 외측 케이스체는, 상기 개구 부근으로부터 낙하해온 상기 불요물[예를 들면 도30(b)에 나타나 있는 1점쇄선의 화살표]을 저장하는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커피머신에 있어서,
상기 외측 케이스체는, 투명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커피머신에 있어서,
상기 내측 케이스체는, 투명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커피머신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보다도 상방에, 상기 저장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커피머신에 있어서,
상기 그라인더는, 제1그라인더 및 제2그라인더를 구비하는 것이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제1그라인더의 하류이며 상기 제2그라인더의 상류에 설치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채프나 미분이라고 하는 불요물의 회수에 우수한 커피머신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음료제조장치(1)의 외관도이다.
[도2]음료제조장치(1)의 부분정면도이다.
[도3]음료제조장치(1)의 기능의 개요도이다.
[도4]분리장치(6)의 일부 절단 사시도이다.
[도5]구동유닛(8) 및 추출용기(9)의 사시도이다.
[도6]추출용기(9)의 폐쇄상태 및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상부유닛(8A) 및 하부유닛(8C)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8]도7의 종단면도이다.
[도9]중부유닛(8B)의 도식도이다.
[도10]제어장치(11)의 블록도이다.
[도11](A)는 1회의 커피음료 제조동작에 관한 제어처리의 플로차트이며, (B)는 S3의 추출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12]분쇄장치(5)의 사시도이다.
[도13]도12에 나타내는 분쇄장치(5)의 종단면도이다.
[도14]분리장치(6)의 일부 절단 사시도이다.
[도15]형성유닛(6B)의 종단면도이다.
[도16]형성유닛(6B)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17]형성유닛(6B)의 평면도로서, 단면적의 비교 설명도이다.
[도18]커피콩 분쇄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19]커피콩 분쇄기의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20](a)는, 도18에 나타내는 캐니스터 수납유닛(401)을 대신하여, 호퍼유닛(402)이 부착된 커피콩 분쇄기(GM)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펀넬유닛(funnel unit)(403)이 부착된 커피콩 분쇄기(GM)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1](a)는, 옵션부착부(GM11)에 계량유닛(404)이 부착된 상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전동 스크루 컨베이어(ESC)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2]반송통로(4042)의 하류단 개구(4042o)에 배치된 덮개부재(460)의 몇개의 태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3]덮개부재(460)의 또 다른 태양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24](a)는, 커피콩 분쇄기(GM)의 센터 케이싱(GM10)에 형성된 콩배출구(GM20)를 개폐하는 뚜껑유닛(GM21)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그 뚜껑유닛(GM21)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5]안내로 형성부재(GM22)가 정면을 향한 자세의 커피콩 분쇄기(GM)에 내장된 분쇄장치(5)의 주요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6]제1그라인더(5A)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7]도19에 나타내는 처리부(11a)에 의하여 실행되는, 제1그라인더(5A)의 그라인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28](a)는 분리장치(6)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회수용기(60B)의 상부(61)의 외주벽(61a)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9](a)는, 외측 케이스(60Bo)를 떼어낸 분리장치(6)를 비스듬히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외측 케이스(60Bo)와 내측 케이스(60Bi)의 위치관계를 외측 케이스(60Bo)를 투시함으로써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0](a)는, 도29에 나타내는 분리장치내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 등의 현상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변형예의 분리장치내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 등의 현상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1]도25에 나타내는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을 떼어내고, 연결덕트(661)의 전체가 보이도록 한 도면이다.
[도32]제2그라인더(5B)의 구성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3]초기동작에서 실행되는 캘리브레이션의 공정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34]캘리브레이션의 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5]그라인드 처리에 있어서의 제2그라인더(5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6](a)는,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과 미세조정용 노브 다이얼(696)을 제2모터(503a)와 함께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 및 제2모터(503a)를 떼어내고, 연결 다이얼(697)과 미세조정용 노브 다이얼(696)의 회전축(696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7]그라인드 처리에 있어서의 처리부(11a)의 제어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38]주문정보에 따라서 그라인드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의 처리부(11a)가 실행하는 제어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39]서버(16)에 기억되는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0]주문정보의 입력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1]주문정보가 입력된 상태의 입력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2]주문정보의 입력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3]주문정보의 변경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4]주문에 대한 제2그라인더(5B)의 제어 파라미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5]그라인드 처리의 실행중에 있어서의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6](a)는 에스프레소 음료를 제조할 때에 사용되는 포터필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핸들(PFh)을 잡고 커피콩 분쇄기의 슈트(GM31)에, 홀딩부(PFr)에 홀딩된 바스켓(PFb)을 꽉 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c)는 미세분쇄상태(微細粉碎狀態)로부터 조대분쇄상태(粗大粉碎狀態)가 되는 분쇄방법으로 분쇄된 분쇄두를 바스켓(PFb)에 채우고, 레벨링과 탬핑을 실시한 상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7](a)는, 제1그라인더(5A)를 구성하는 회전칼날(58a)을 단체(單體)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도25 등에 나타나 있는 분쇄장치(5)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음료제조장치의 개요>
도1은 음료제조장치(1)의 외관도이다. 도1에 나타내는 음료제조장치(1)는, 로스트 커피콩과 액체(여기에서는 물)로부터 커피음료를 자동으로 제조하는 장치로서, 1회의 제조동작으로 컵 1잔분의 커피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원료가 되는 로스트 커피콩은, 캐니스터(40)에 수용할 수 있다. 음료제조장치(1)의 하부에는 컵의 재치부(110)가 설치되어 있고, 제조된 커피음료는 주입부(10c)로부터 컵에 부어진다.
음료제조장치(1)는, 그 외장을 형성해서 내부기구를 포위하는 하우징(100)을 구비한다. 하우징(100)은, 본체부(101)와, 음료제조장치(1)의 정면의 일부 및 측면의 일부를 덮는 커버부(102)로 대별된다. 커버부(102)에는 정보표시장치(12)가 설치되어 있다. 도1에 나타내는 정보표시장치(12)는, 터치패널식의 디스플레이로서, 각종 정보의 표시 이외에 장치의 관리자나 음료의 수요자의 입력을 접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보표시장치(12)는, 이동기구(12a)를 통하여 커버부(102)에 부착할 수 있어, 이동기구(12a)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범위에서 이동할 수 있다.
커버부(102)에는, 또한 콩투입구(103)와, 콩투입구(103)을 개폐하는 개폐문(103a)이 설치되어 있다. 개폐문(103a)를 개방해서 콩투입구(103)에, 캐니스터(40)에 수용되어 있는 로스트 커피콩과는 다른 로스트 커피콩을 투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료의 수요자에 특별한 한잔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에 나타내는 커버부(102)는, 아크릴이나 글라스 등의 투광성(透光性)을 갖춘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전체가 투과부가 되는 투명커버를 구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커버부(102)에 의하여 덮여진 그 내측의 기구가 외부로부터 시인(視認)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1에 나타내는 음료제조장치(1)에서는, 커피음료를 제조하는 제조부의 일부가 커버부(102)를 투과하여 시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1에 나타내는 본체부(101)는 그 전체가 비투과부로 되어 있어서, 그 내부를 외부로부터 시인하는 것이 곤란하다.
도2는 음료제조장치(1)의 부분정면도로서, 음료제조장치(1)를 정면에서 볼 때에 유저가 시인할 수 있는 제조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커버부(102)나 정보표시장치(12)는 가상선으로 도면에 나타나 있다.
음료제조장치(1)의 정면부에 있어서의 하우징(100)은, 본체부(101)와, 그 외측(전방측)의 커버부(102)의 2중구조로 되어 있다. 전후방향에서 본체부(101)와 커버부(102)의 사이에 제조부의 일부의 기구가 배치되어 있고, 유저가 커버부(102)를 통하여 시인할 수 있다.
커버부(102)를 통하여 유저가 시인할 수 있는 제조부의 일부의 기구는, 집합반송부(42), 제1그라인더(5A), 제2그라인더(5B), 분리장치(6), 추출용기(9) 등이다. 본체부(101)의 정면부에는, 안쪽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4각형상의 오목부(101a)가 형성되어 있고, 추출용기(9) 등은 이 오목부(101a)내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커버부(102)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이들의 기구가 시인할 수 있는 것에 의하여 관리자에 있어서는 점검이나 동작확인이 용이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음료의 수요자에 있어서는 커피음료의 제조과정을 즐길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또, 커버부(102)는, 그 우단부에 있어서 힌지(102a)를 통하여 본체부(101)에 가로 열기식으로 개폐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커버부(102)의 좌단부에는, 본체부(101)와 커버부(102)를 폐쇄상태로 유지하는 결합부(102b)가 설치되어 있다. 결합부(102b)는 예를 들면 자석과 철의 조합이다. 관리자는 커버부(102)를 개방함으로써 그 내측의 상기한 제조부의 일부의 점검 등을 할 수 있다.
또, 도1에 나타내는 커버부(102)는 가로 열기식이지만, 세로 열기식(상하 열기식)이더라도 좋고, 슬라이드식이더라도 좋다. 또한 커버부(102)가 개폐 불가능한 구성이더라도 좋다.
도3은 음료제조장치(1)의 기능의 개요도이다. 음료제조장치(1)는 커피음료의 제조부로서, 콩처리장치(2) 및 추출장치(3)를 포함한다.
콩처리장치(2)는, 로스트 커피콩으로부터 분쇄두를 생성한다. 추출장치(3)는 콩처리장치(2)로부터 공급되는 분쇄두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한다. 추출장치(3)는, 유체공급유닛(7), 후술하는 구동유닛(8)(도5 참조), 추출용기(9) 및 전환유닛(10)을 포함한다. 콩처리장치(2)로부터 공급되는 분쇄두는, 추출용기(9)로 투입된다. 유체공급유닛(7)은, 추출용기(9)에 탕수(湯水)를 투입한다. 추출용기(9)내에서 분쇄두로부터 커피액이 추출된다. 추출된 커피액을 포함하는 탕수가 전환유닛(10)을 통하여 커피음료로서 컵(C)으로 송출된다.
<2.유체공급유닛 및 전환유닛>
유체공급유닛(7) 및 전환유닛(10)의 구성에 대하여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유체공급유닛(7)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체공급유닛(7)은, 추출용기(9)에 대한 탕수의 공급이나, 추출용기(9)내의 기압의 제어 등을 실시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압을 숫자로 예시하고 있을 경우에,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절대압을 의미하고, 게이지압이라 함은 대기압을 0기압으로 하는 기압이다. 대기압이라 함은, 추출용기(9)의 주위의 기압 또는 음료제조장치(1)의 기압을 가리키고, 예를 들면 음료제조장치(1)가 해발 0m의 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국제민간항공기관(=「International Civil Aviatio n Organization」〔[약자] ICAO〕)이 1976년에 제정한 국제표준대기(=「International Standard Atmosphere」〔[약자] ISA〕)의 해발 0m에서의 기준기압(1013.25hPa)이다.
유체공급유닛(7)은 배관(L1∼L3)을 포함한다. 배관(L1)은 공기가 유통하는 배관이고, 배관(L2)은 물이 유통하는 배관이다. 배관(L3)은 공기와 물의 쌍방이 유통(流通)할 수 있는 배관이다.
유체공급유닛(7)은, 가압원(加壓源)으로서 컴프레서(70)를 포함한다. 컴프레서(70)는 대기를 압축해서 송출한다. 컴프레서(70)는 예를 들면 모터(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를 구동원으로 하여 구동된다. 컴프레서(70)로부터 송출되는 압축공기는, 첵크밸브(71a)를 통하여 리저브 탱크(어큐뮬레이터)(71)로 공급된다. 리저브 탱크(71)내의 기압은 압력센서(7lb)에 의하여 감시되어, 소정의 기압(예를 들면 7기압(게이지압으로 6기압))으로 유지되도록 컴프레서(70)가 구동된다. 리저브 탱크(71)에는 배수용의 드레인(71c)이 설치되어 있어, 공기의 압축에 의하여 발생하는 물을 배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물탱크(72)에는 커피음료를 구성하는 탕수(물)가 축적된다. 물탱크(72)에는, 물탱크(72)내의 물을 가온(加溫)하는 히터(72a) 및 물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센서(72b)가 설치되어 있다. 히터(72a)는 온도센서(72b)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축적되는 탕수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예를 들면 섭씨120도)로 유지한다. 히터(72a)는 예를 들면 탕수의 온도가 섭씨 118도에서 ON이 되고, 섭씨 120도에서 OFF가 된다.
물탱크(72)에는 또한 수위센서(72c)가 설치되어 있다. 수위센서(72c)는 물탱크(72)내의 탕수의 수위를 검출한다. 수위센서(72c)에 의하여 소정의 수위보다도 수위가 내려간 것이 검출되면, 물탱크(72)에 물이 공급된다. 도3에 나타내는 물탱크(72)에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정수기를 통하여 수돗물이 공급된다. 정수기로부터의 배관(L2)의 도중에는 전자밸브(72d)가 설치되어 있어, 수위센서(72c)에 의하여 수위의 저하가 검출되면 전자밸브(72d)가 개방되어서 물이 공급되고, 소정의 수위에 도달하면 전자밸브(72d)가 폐쇄되어서 물의 공급이 차단된다. 이렇게 해서 물탱크(72)내의 탕수가 일정한 수위로 유지된다. 또, 물탱크(72)에 대한 급수는 1회의 커피음료의 제조에 사용하는 탕수를 배출할 때마다 실시하여도 좋다.
물탱크(72)에는, 또한 압력센서(72g)가 설치되어 있다. 압력센서(72g)는 물탱크(72)내의 기압을 검출한다. 물탱크(72)에는 압력조정밸브(72e) 및 전자밸브(72f)를 통하여 리저브 탱크(71)내의 기압이 공급된다. 압력조정밸브(72e)는 리저브 탱크(71)로부터 공급되는 기압을 소정의 기압으로 감압한다. 예를 들면 3기압(게이지압으로 2기압)으로 압력을 내린다. 전자밸브(72f)는 압력조정밸브(72e)에 의하여 압력이 조정된 기압의, 물탱크(72)에 대한 공급과 차단을 전환한다. 전자밸브(72f)는, 물탱크(72)에 대한 수돗물의 공급시를 제외하고, 물탱크(72)내의 기압이 3기압으로 유지되도록 개폐제어 된다. 물탱크(72)에 대한 수돗물의 공급시에는, 수돗물의 수압에 의하여 물탱크(72)에 원활하게 수돗물이 보급되도록, 전자밸브(72h)에 의하여 물탱크(72)내의 기압을 수돗물의 수압보다도 낮은 압력(예를 들면 2.5기압미만)으로 압력을 내린다. 전자밸브(72h)는 물탱크(72)내를 대기로 개방할 것인가 아닌가를 전환하고, 감압시에는 물탱크(72)내를 대기로 개방한다. 또한 전자밸브(72h)는 물탱크(72)에 대한 수돗물의 공급시 이외에, 물탱크(72)내의 기압이 3기압을 넘는 경우에 물탱크(72)내를 대기로 개방하여 물탱크(72)내를 3기압으로 유지한다.
물탱크(72)내의 탕수는, 첵크밸브(72j), 전자밸브(72i) 및 배관(L3)을 통하여 추출용기(9)로 공급된다. 전자밸브(72i)를 개방함으로써 추출용기(9)에 탕수가 공급되고, 폐쇄함으로써 탕수의 공급이 차단된다. 추출용기(9)에 대한 탕수의 공급량은, 전자밸브(72i)의 개방시간에 의하여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공급량을 계측해서 전자밸브(72i)의 개폐를 제어하더라도 좋다. 배관(L3)에는 탕수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센서(73e)가 설치되어 있어서, 추출용기(9)로 공급되는 탕온이 감시된다.
리저브 탱크(71)의 기압은 또한 압력조정밸브(73a), 전자밸브(73b)를 통하여 추출용기(9)에 공급된다. 압력조정밸브(73a)는 리저브 탱크(71)로부터 공급되는 기압을 소정의 기압으로 압력을 내린다. 예를 들면 5기압(게이지압으로 4기압)으로 압력을 내린다. 전자밸브(73b)는 압력조정밸브(73a)에 의하여 압력이 조정된 기압의, 추출용기(9)에 대한 공급과 차단을 전환한다. 추출용기(9)내의 기압은 압력센서(73d)로 검출된다. 추출용기(9)내의 가압시에, 압력센서(73d)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전자밸브(73b)가 개방되어, 추출용기(9)내를 소정의 기압(예를 들면 최대로 5기압(게이지압으로 4기압))으로 가압한다. 추출용기(9)내의 기압은 전자밸브(73c)로 감압할 수 있다. 전자밸브(73c)는 추출용기(9)내를 대기로 개방할 것인가 아닌가를 전환하여, 압력이상(壓力異常)시(예를 들면 추출용기(9)내가 5기압을 넘을 경우)에는 추출용기(9)내를 대기로 개방한다.
1회의 커피음료의 제조가 끝나면, 추출용기(9)내를 수돗물에 의하여 세정한다. 전자밸브(73f)는 세정시에 개방되어, 추출용기(9)에 수돗물을 공급한다.
다음에 전환유닛(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환유닛(10)은 추출용기(9)로부터 송출되는 액체의 송출처를 주입부(10c)와 폐기탱크(T) 중의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유닛이다. 전환유닛(10)은, 전환밸브(10a)와 전환밸브(10a)를 구동하는 모터(10b)를 포함한다. 전환밸브(10a)는, 추출용기(9)내의 커피음료를 송출하는 경우에는 주입부(10c)로 유로를 전환한다. 커피음료는 주입부(10c)로부터 컵(C)에 부어진다. 세정시의 폐액(수돗물) 및 잔사(분쇄두)를 배출하는 경우에는 폐기탱크(T)로 유로를 전환한다. 도3에 나타내는 전환밸브(10a)는 3포트의 볼밸브이다. 세정시에는 전환밸브(10a)를 잔사가 통과하므로 전환밸브(10a)는 볼밸브가 바람직하고, 모터(10b)는 그 회전축을 회전함으로써 유로를 전환한다.
<3.콩처리장치>
도1, 도2를 참조하여 콩처리장치(2)에 대하여 설명한다. 콩처리장치(2)는, 저장장치(4) 및 분쇄장치(5)를 포함한다.
<3-1.저장장치>
저장장치(4)는, 로스팅후의 커피콩이 수용되는 복수의 캐니스터(40)를 포함한다. 도1에 나타내는 캐니스터(40)는 3개 설치되어 있다. 캐니스터(40)는, 로스트 커피콩을 수용하는 통모양의 본체(40a)와, 본체(40a)에 설치된 손잡이(40b)를 포함하고, 음료제조장치(1)에 대하여 착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캐니스터(40)는, 서로 다른 종류의 로스트 커피콩을 수용하고, 정보표시장치(12)에 대한 조작입력에 의하여 커피음료의 제조에 사용하는 로스트 커피콩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종류가 서로 다른 로스트 커피콩이라 함은, 예를 들면 커피콩의 품종이 다른 로스트 커피콩이다. 또한 종류가 서로 다른 로스트 커피콩이라 함은, 같은 품종의 커피콩이지만, 로스팅도(roasting度)가 서로 다른 로스트 커피콩이더라도 좋다. 또한 종류가 서로 다른 로스트 커피콩이라 함은, 품종도 로스팅도도 다른 로스트 커피콩이더라도 좋다. 또한 3개의 캐니스터(40)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복수 종류의 품종의 로스트 커피콩이 혼합된 로스트 커피콩이 수용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 각 품종의 로스트 커피콩은, 로스팅도가 같은 정도이더라도 좋다.
또, 도1에 나타내는 음료제조장치(1)에서는 복수의 캐니스터(40)를 설치했지만, 하나의 캐니스터(40)만이 설치되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또한 복수의 캐니스터(40)를 설치한 경우에, 같은 종류의 로스트 커피콩이 전부 또는 복수의 캐니스터(40)에 수용되더라도 좋다.
각 캐니스터(40)는, 계량반송장치(計量搬送裝置)인 컨베이어(41)에 착탈하도록 장착된다. 컨베이어(41)는, 예를 들면 전동 스크루 컨베이어로서, 캐니스터(40)에 수용된 소정의 양의 로스트 커피콩을 자동으로 계량해서 하류측으로 송출한다.
각 컨베이어(41)는 하류측의 집합반송부(42)로 로스트 커피콩을 배출한다. 집합반송부(42)는 중공(中空)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각 컨베이어(41)로부터 분쇄장치(5)(특히 제1그라인더(5A))에 대한 로스트 커피콩의 반송통로를 형성한다. 각 컨베이어(41)로부터 배출된 로스트 커피콩은 집합반송부(42)의 내부를 자체 중량에 의하여 이동하여, 분쇄장치(5)로 흘러내린다.
집합반송부(42)에는, 콩투입구(103)에 대응하는 위치에 안내부(42a)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42a)는 콩투입구(103)로부터 투입된 로스트 커피콩을 분쇄장치(5)(특히 제1그라인더(5A))로 안내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캐니스터(40)에 수용된 로스트 커피콩 이외에, 콩투입구(103)로부터 투입되는 로스트 커피콩을 원료로 하는 커피음료도 제조할 수 있다.
<3-2.분쇄장치>
도2 및 도4를 참조하여 분쇄장치(5)를 설명한다. 도4는 분리장치(6)의 일부 절단 사시도이다. 분쇄장치(5)는, 제1그라인더(5A), 제2그라인더(5B) 및 분리장치(6)를 포함한다. 제1그라인더(5A) 및 제2그라인더(5B)는, 저장장치(4)로부터 공급되는 로스트 커피콩을 분쇄하는 기구이다. 저장장치(4)로부터 공급되는 로스트 커피콩은, 제1그라인더(5A)로 분쇄된 후에, 제2그라인더(5B)에 의하여 더 분쇄되어서 분말상태로 되어, 배출관(5C)으로부터 추출용기(9)로 투입된다.
제1그라인더(5A) 및 제2그라인더(5B)는, 콩을 분쇄하는 입도가 서로 다르게 되어 있다. 제1그라인더(5A)는 조대분쇄용의 그라인더이고, 제2그라인더(5B)는 미세분쇄용의 그라인더이다. 제1그라인더(5A) 및 제2그라인더(5B)는 각각 전동 그라인더로서, 구동원인 모터와,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회전칼날 등을 포함한다. 회전칼날의 회전수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분쇄되는 로스트 커피콩의 크기(입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분리장치(6)는 분쇄두로부터 불요물을 분리하는 기구이다. 분리장치(6)는 제1그라인더(5A)와 제2그라인더(5B)의 사이에 배치된 통로부(63a)를 포함한다. 통로부(63a)는 제1그라인더(5A)로부터 자유낙하해오는 분쇄두가 통과하는 분리실을 형성하는 중공체(中空體)이다. 통로부(63a)에는, 분쇄두의 통과방향(예를 들면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예를 들면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부(63b)가 접속되고 있고, 이 통로부(63b)에는 흡인유닛(60)이 접속되어 있다. 흡인유닛(60)이 통로부(63a)내의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채프(chaff)나 미분(微粉)이라고 하는 경량의 물체가 흡인된다. 이에 따라 분쇄두로부터 불요물을 분리할 수 있다.
흡인유닛(60)은 원심분리방식의 기구이다. 흡인유닛(60)은, 송풍유닛(60A) 및 회수용기(60B)를 포함한다. 도4에 나타내는 송풍유닛(60A)은 팬모터로서, 회수용기(60B)내의 공기를 상방으로 배기한다.
회수용기(60B)는, 분리할 수 있게 결합하는 상부(61)와 하부(62)를 포함한다. 하부(62)는 상방이 개방되고 바닥을 구비하는 통형을 이루고 있어, 불요물을 축적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부(61)는 하부(62)의 개구에 장착되는 뚜껑부를 구성한다. 상부(61)는, 원통형상의 외주벽(61a)과, 이것과 동축상으로 형성된 배기통(6lb)을 포함한다. 송풍유닛(60A)은 배기통(6lb)내의 공기를 흡인하도록, 배기통(6lb)의 상방에 있어서 상부(61)에 고정되어 있다. 상부(61)에는 통로부(63b)가 접속되어 있다. 통로부(63b)는 배기통(6lb)의 측방으로 개구하고 있다.
송풍유닛(60A)의 구동에 의하여 도4에 있어서 화살표(d1∼d3)로 나타내는 기류가 발생한다. 이 기류에 의하여 통로부(63a)로부터 불요물을 포함한 공기가 통로부(63b)를 통해서 회수용기(60B)내로 흡인된다. 통로부(63b)는 배기통(6lb)의 측방으로 개구하고 있기 때문에, 불요물을 포함한 공기는 배기통(6lb)의 주위를 선회한다. 공기중의 불요물(D)은, 그 중량에 의하여 낙하하여 회수용기(60B)의 일부에 모아진다(하부(62)의 바닥면 위에 퇴적한다). 공기는 배기통(6lb)의 내부를 통하여 상방으로 배기된다.
배기통(6lb)의 둘레면에는 복수의 핀(61d)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핀(61d)은 배기통(6lb)의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개개의 핀(61d)은, 배기통(6lb)의 축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경사져 있다. 이러한 핀(61d)를 설치함으로써 불요물(D)을 포함한 공기가 배기통(6lb)의 주위를 선회하는 것을 촉진한다.
도4에 나타내는 하부(62)는 아크릴, 글라스 등의 투광성을 갖춘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전체가 투과부가 되는 투명용기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하부(62)는 커버부(102)로 덮여진 부분이다(도2). 관리자나 음료의 수요자는, 커버부(102), 하부(62)의 둘레벽을 투과하여, 하부(62)내에 축적된 불요물(D)을 시인할 수 있다. 관리자에 있어서는, 하부(62)의 청소 타이밍을 확인하기 쉬운 경우가 있고, 음료의 수요자에 있어서는 불요물(D)이 제거되어 있는 것을 시인할 수 있으므로 제조중의 커피음료의 품질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저장장치(4)로부터 공급되는 로스트 커피콩은, 우선, 제1그라인더(5A)로 조대분쇄 되고, 그 조대분쇄두가 통로부(63a)를 통과할 때에, 분리장치(6)에 의하여 불요물이 분리된다. 불요물이 분리된 조대분쇄두는, 제2그라인더(5B)에 의하여 미세분쇄 된다. 분리장치(6)에 의하여 분리하는 불요물은 대표적으로는 채프나 미분이다. 이들은 커피음료의 맛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어, 분쇄두로부터 채프 등을 제거함으로써 커피음료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로스트 커피콩의 분쇄는, 하나의 그라인더(1단계의 분쇄)이더라도 좋다. 그러나 제1그라인더(5A) 및 제2그라인더(5B)에 의한 2단계의 분쇄로 함으로써 분쇄두의 입도가 일정하게 되기 쉬어져, 커피액의 추출정도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콩의 분쇄시에는 커터와 콩과의 마찰에 의하여 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2단계의 분쇄로 함으로써 분쇄시의 마찰에 의한 발열을 억제하여, 분쇄두의 열화(예를 들면 풍미가 떨어진다)를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조대분쇄→불요물의 분리→미세분쇄라고 하는 단계를 거침으로써 채프 등의 불요물을 분리할 때에, 불요물과 분쇄두(필요부분)의 질량차이를 크게 할 수 있다. 이것은 불요물의 분리효율을 올릴 수 있음과 아울러 분쇄두(필요부분)가 불요물로서 분리되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대분쇄와 미세분쇄의 사이에, 공기의 흡인을 이용한 불요물의 분리처리가 삽입됨으로써 공랭(空冷)에 의하여 분쇄두의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쇄두의 열화(예를 들면 풍미가 떨어진다)를 방지할 수도 있다.
<4.구동유닛 및 추출용기>
<4-1.개요>
추출장치(3)의 구동유닛(8) 및 추출용기(9)에 대하여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5는 구동유닛(8) 및 추출용기(9)의 사시도이다. 구동유닛(8)의 대부분은 본체부(101)에 포위되어 있다.
구동유닛(8)은 프레임(F)에 지지되어 있다. 프레임(F)은, 상하의 들보부(F1, F2) 및 들보부(F1, F2)를 지지하는 기둥부(F3)를 포함한다. 구동유닛(8)은, 상부유닛(8A), 중부유닛(8B) 및 하부유닛(8C)의 3개의 유닛으로 대별된다. 상부유닛(8A)은 들보부(F1)에 지지되어 있다. 중부유닛(8B)은 들보부(F1)와 들보부(F2)의 사이에 있어서, 들보부(F1) 및 기둥부(F3)에 지지되어 있다. 하부유닛(8C)은 들보부(F2)에 지지되어 있다.
추출용기(9)는, 용기본체(90) 및 뚜껑유닛(91)을 포함하는 챔버이다. 추출용기(9)를 챔버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중부유닛(8B)은, 용기본체(90)를 착탈하도록 홀딩하는 아암부재(820)를 구비한다. 아암부재(820)는, 홀딩부재(820a)와, 좌우로 이간(離間)한 한쌍의 축부재(820b)를 포함한다. 홀딩부재(820a)는, C자형의 클립 모양으로 형성된 수지 등의 탄성부재로서, 그 탄성력에 의하여 용기본체(90)를 홀딩한다. 홀딩부재(820a)는 용기본체(90)의 좌우의 측부를 홀딩하고, 용기본체(90)의 전방측은 노출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용기본체(90)의 내부를 정면에서 볼 때에 시인하기 쉬워진다.
홀딩부재(820a)에 대한 용기본체(90)의 착탈은 수동조작으로 실시하고, 홀딩부재(820a)에 용기본체(90)를 전후방향의 후방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용기본체(90)가 홀딩부재(820a)에 장착된다. 또한 용기본체(90)를 홀딩부재(820a)로부터 전후방향의 앞측으로 뽑아냄으로써 용기본체(90)를 홀딩부재(820a)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1쌍의 축부재(820b)는, 각각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로드로서, 홀딩부재(820a)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또, 축부재(820b)의 수를 2개라고 했지만, 1개이어도 좋고, 3개 이상이더라도 좋다. 홀딩부재(820a)는, 한쌍의 축부재(820b)의 앞측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후술하는 기구에 의하여 1쌍의 축부재(820b)는 전후방향으로 진퇴되고, 이에 따라 홀딩부재(820a)가 전후로 진퇴하여, 용기본체(90)를 전후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하는 이동동작을 할 수 있다. 중부유닛(8B)은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추출용기(9)의 상하를 반전시키는 회전동작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4-2.추출용기>
도6을 참조하여 추출용기(9)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6은 추출용기(9)의 폐쇄상태 및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추출용기(9)는 중부유닛(8B)에 의하여 상하가 반전된다. 도6의 추출용기(9)는, 뚜껑유닛(91)이 상측에 위치하고 있는 기본자세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의 설명에 있어서 상하의 위치관계를 설명하는 경우에,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은 기본자세에 있어서의 상하의 위치관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용기본체(90)는 바닥을 구비하는 용기로서, 넥부(90b), 어깨부(90d), 몸통부(90e) 및 바닥부(90f)를 구비하는 병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넥부(90b)의 단부(용기본체(90)의 상단부)에는, 용기본체(90)의 내부공간과 통하게 하는 개구(90a)를 획정(劃定)하는 플랜지부(90c)가 형성되어 있다.
넥부(90b) 및 몸통부(90e)는, 어느 것이나 모두 원통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어깨부(90d)는, 넥부(90b)와 몸통부(90e)의 사이의 부분으로서, 그 내부공간의 단면적이 몸통부(90e)측에서 넥부(90b)측을 향하여 서서히 작아지도록 테이퍼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뚜껑유닛(91)은 개구(90a)를 개폐하는 유닛이다. 뚜껑유닛(91)의 개폐동작(승강동작)은 상부유닛(8A)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용기본체(90)는, 본체부재(900) 및 바닥부재(901)를 포함한다. 본체부재(900)는, 넥부(90b), 어깨부(90d), 몸통부(90e)를 형성하고 상하가 개방된 통부재이다. 바닥부재(901)는 바닥부(90f)를 형성하는 부재로서, 본체부재(900)의 하부에 삽입되어서 고정된다. 본체부재(900)와 바닥부재(901)의 사이에는 밀봉부재(902)가 삽입되어, 용기본체(90)내의 기밀성을 향상시킨다.
도6에 나타내는 본체부재(900)는 아크릴, 글라스 등의 투광성을 갖춘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전체가 투과부가 되는 투명용기를 구성하고 있다. 관리자나 음료의 수요자는, 커버부(102), 용기본체(90)의 본체부재(900)를 투과하여, 용기본체(90)내에서의 커피음료의 추출상황을 시인할 수 있다. 관리자에 있어서는, 추출동작을 확인하기 쉬운 경우가 있고, 음료의 수요자에 있어서는 추출상황을 즐길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바닥부재(901)의 중심부에는 볼록부(901c)가 설치되고, 이 볼록부(901c)에는, 용기본체(90)내를 외부와 통하게 하는 연통구멍이나, 이 연통구멍을 개폐하는 밸브(도8의 밸브(903))가 설치되어 있다. 연통구멍은, 용기본체(90)내를 세정할 때의 폐액 및 잔사의 배출에 사용된다. 볼록부(901c)에는 밀봉부재(908)가 설치되어 있고, 밀봉부재(908)는, 상부유닛(8A) 또는 하부유닛(8C)과 바닥부재(901)의 사이를 기밀(氣密)하게 유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뚜껑유닛(91)은, 모자모양의 베이스 부재(911)를 구비한다. 베이스 부재(911)는, 볼록부(911d) 및 닫힐 때에 플랜지부(90c)와 겹치는 돌출부(911c)를 갖춘다. 볼록부(911d)에는, 용기본체(90)에 있어서의 볼록부(901c)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고, 용기본체(90)내를 외부와 통하게 하는 연통구멍이나, 이 연통구멍을 개폐하는 밸브(도8의 밸브(913))가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911d)의 연통구멍은, 주로 용기본체(90)내에 대한 탕수의 주입과 커피음료의 송출에 사용된다. 볼록부(911d)에는 밀봉부재(918a)가 설치되어 있다. 밀봉부재(918a)는, 상부유닛(8A) 또는 하부유닛(8C)과 베이스 부재(911)의 사이를 기밀하게 유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뚜껑유닛(91)에는, 또한 밀봉부재(919)가 설치되어 있다. 밀봉부재(919)는, 뚜껑유닛(91)이 닫힐 때에 뚜껑유닛(91)과 용기본체(90)의 기밀성을 향상시킨다. 뚜껑유닛(91)에는 여과용의 필터가 홀딩된다.
<4-3.상부유닛 및 하부유닛>
상부유닛(8A) 및 하부유닛(8C)에 대하여 도7,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7은 상부유닛(8A) 및 하부유닛(8C)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8은 도7의 종단면도이다.
상부유닛(8A)은, 조작유닛(81A)을 포함한다. 조작유닛(81A)은 용기본체(90)에 대한 뚜껑유닛(91)의 개폐조작(승강) 및 볼록부(901c) 및 볼록부(911d)의 밸브의 개폐조작을 실시한다. 조작유닛(81A)은, 지지부재(800), 홀딩부재(801), 승강축(802) 및 프로브(803)를 포함한다.
지지부재(800)는 프레임(F)에 대한 상대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고, 홀딩부재(801)를 수용한다. 지지부재(800)는, 또한 배관(L3)과 지지부재(800)내를 통하게 하는 연통부(800a)를 구비한다. 배관(L3)으로부터 공급되는 탕수, 수돗물 및 기압이 연통부(800a)를 통하여 지지부재(800)내로 유입된다.
홀딩부재(801)는, 뚜껑유닛(91)을 착탈하도록 홀딩할 수 있는 부재이다. 홀딩부재(801)는 뚜껑유닛(91)의 볼록부(911d) 또는 바닥부재(901)의 볼록부(901c)가 삽입되는 원통모양의 공간을 구비하고 또한 이들을 착탈하도록 홀딩하는 기구를 구비한다. 이 기구는, 예를 들면 스냅링 기구로서, 일정한 가압력에 의하여 결합하고, 일정한 분리력에 의하여 결합이 해제된다. 배관(L3)으로부터 공급되는 탕수, 수돗물 및 기압은, 연통부(800a) 및 홀딩부재(801)의 연통구멍(801a)을 통하여 추출용기(9)내로 공급할 수 있다.
홀딩부재(801)는 지지부재(800)내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도록 설치된 가동부재이기도 하다. 승강축(802)은 그 축방향이 상하방향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승강축(802)은 지지부재(800)의 천장부를 상하방향으로 기밀하게 관통하고, 지지부재(800)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승강축(802)의 하단부에는 홀딩부재(801)의 천장부가 고정되어 있다. 승강축(802)의 승강에 의하여 홀딩부재(801)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하고, 볼록부(911d)나 볼록부(901c)에 대한 홀딩부재(801)의 장착과 분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90)에 대한 뚜껑유닛(91)의 개폐를 할 수 있다.
승강축(802)의 외주면에는 리드 스크루 기구를 구성하는 나사(80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802a)에는 너트(804b)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부유닛(8A)은 모터(804a)를 구비하고 있고, 너트(804b)는 모터(804a)의 구동력에 의하여 그 자리에서(상하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회전된다. 너트(804b)의 회전에 의하여 승강축(802)이 승강한다.
승강축(802)은, 중심축에 관통구멍을 갖춘 관상(管狀)의 축으로서, 이 관통구멍에 프로브(803)가 상하로 슬라이드 하도록 삽입되어 있다. 프로브(803)는 홀딩부재(801)의 천장부를 상하방향으로 기밀하게 관통하고, 지지부재(800) 및 홀딩부재(801)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프로브(803)는, 볼록부(911d, 901c)의 내부에 설치한 밸브(913, 903)를 개폐하는 조작자(操作子)로서, 프로브(803)의 하강에 의하여 밸브(913, 903)를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하고, 프로브(803)의 상승에 의하여 밸브를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도면에 나타내지 않는 리턴스프링의 작용에 의함)로 할 수 있다.
프로브(803)의 외주면에는 리드 스크루 기구를 구성하는 나사(80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803a)에는 너트(805b)가 나사결합되어 있어 있다. 상부유닛(8A)은 모터(805a)를 구비하고 있고, 너트(805b)는 모터(805a)의 구동력에 의하여 그 자리에서(상하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너트(805b)의 회전에 의하여 프로브(803)가 승강한다.
하부유닛(8C)은 조작유닛(81C)을 포함한다. 조작유닛(81C)은, 조작유닛(81A)을 상하로 반전(反轉)시킨 구성으로서, 볼록부(911d, 901c)의 내부에 설치한 밸브(913, 903)의 개폐조작을 실시한다. 조작유닛(81C)도 뚜껑유닛(91)의 개폐가 가능한 구성이지만, 조작유닛(81C)을 뚜껑유닛(91)의 개폐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이하, 조작유닛(81A)의 설명과 대략 같지만, 조작유닛(81C)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작유닛(81C)은, 지지부재(810), 홀딩부재(811), 승강축(812) 및 프로브(813)를 포함한다.
지지부재(810)는 프레임(F)에 대한 상대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고, 홀딩부재(811)를 수용한다. 지지부재(810)는, 또한 전환유닛(10)의 전환밸브(10a)와 지지부재(810)내를 통하게 하는 연통부(810a)를 구비한다. 용기본체(90)내의 커피음료, 수돗물, 분쇄두의 잔사가 연통부(810a)를 통하여 전환밸브(10a)로 유입된다.
홀딩부재(811)는, 뚜껑유닛(91)의 볼록부(911d) 또는 바닥부재(901)의 볼록부(901c)가 삽입되는 원통모양의 공간을 구비하고 또한 이들을 착탈하도록 홀딩하는 기구를 구비한다. 이 기구는 예를 들면 스냅링 기구로서, 일정한 가압력에 의하여 결합하고, 일정한 분리력에 의하여 결합이 해제된다. 용기본체(90)내의 커피음료, 수돗물, 분쇄두의 잔사가 연통부(810a) 및 홀딩부재(811)의 연통구멍(811a)을 통하여 전환밸브(10a)로 유입된다.
홀딩부재(811)는 지지부재(810)내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도록 설치된 가동부재이기도 하다. 승강축(812)은 그 축방향이 상하방향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승강축(812)은 지지부재(800)의 바닥부를 상하방향으로 기밀하게 관통하고, 지지부재(810)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승강축(812)의 하단부에는 홀딩부재(811)의 바닥부가 고정되어 있다. 승강축(812)의 승강에 의하여 홀딩부재(811)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하여, 볼록부(901c)나 볼록부(911d)에 대한 홀딩부재(811)의 장착과 분리를 할 수 있다.
승강축(812)의 외주면에는 리드 스크루 기구를 구성하는 나사(81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812a)에는 너트(814b)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하부유닛(8C)은 모터(814a)를 구비하고 있고, 너트(814b)는 모터(814a)의 구동력에 의하여 그 자리에서(상하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회전된다. 너트(814b)의 회전에 의하여 승강축(812)이 승강한다.
승강축(812)은, 중심축에 관통구멍을 갖춘 관상의 축으로서, 이 관통구멍에 프로브(813)가 상하로 슬라이드 하도록 삽입되어 있다. 프로브(813)는 홀딩부재(811)의 바닥부를 상하방향으로 기밀하게 관통하고, 지지부재(810) 및 홀딩부재(811)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프로브(813)는, 볼록부(911d, 901c)의 내부에 설치한 밸브(913, 903)를 개폐하는 조작자로서, 프로브(813)의 상승에 의하여 밸브(913, 903)를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하고, 프로브(813)의 하강에 의하여 밸브를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도면에 나타내지 않는 리턴스프링의 작용에 의함)로 할 수 있다.
프로브(813)의 외주면에는 리드 스크루 기구를 구성하는 나사(81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813a)에는 너트(815b)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하부유닛(8C)은 모터(815a)를 구비하고 있어, 너트(815b)는 모터(815a)의 구동력에 의하여 그 자리에서(상하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너트(815b)의 회전에 의하여 프로브(813)가 승강한다.
<4-4.중부유닛>
중부유닛(8B)에 대하여 도5 및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9는 중부유닛(8B)의 도식도이다. 중부유닛(8B)은 추출용기(9)를 지지하는 지지유닛(81B)을 포함한다. 지지유닛(81B)은 상기한 아암부재(820) 이외에 로크기구(821)를 지지하는 유닛본체(81B')를 포함한다.
로크기구(821)는, 뚜껑유닛(91)을 용기본체(90)에 대하여 폐쇄상태로 유지하는 기구이다. 로크기구(821)는, 뚜껑유닛(91)의 돌출부(911c)와 용기본체(90)의 플랜지부(90c)를 상하로 협지(挾持)하는 한쌍의 파지부재(把持部材)(821a)를 포함한다. 한쌍의 파지부재(821a)는, 돌출부(911c)와 플랜지부(90c)를 협지하여 결합하는 C자형의 단면을 구비하고 있어, 모터(822)의 구동력에 의하여 좌우방향으로 개폐된다. 한쌍의 파지부재(821a)가 폐쇄상태인 경우에, 도9의 원형의 도면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파지부재(821a)는 돌출부(911c)와 플랜지부(90c)를 상하로 협지하도록 하여 이들에 결합하고, 뚜껑유닛(91)이 용기본체(90)에 대하여 기밀하게 로크(lock)된다. 이 잠금상태에 있어서는, 홀딩부재(801)를 승강축(802)에 의하여 상승시켜서 뚜껑유닛(91)을 개방하려고 하더라도, 뚜껑유닛(91)은 이동하지 않는다(로크는 해제되지 않는다). 즉, 홀딩부재(801)를 사용하여 뚜껑유닛(91)을 개방하는 힘보다도 로크기구(821)에 의한 로크의 힘쪽이 강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상(異常)시에 용기본체(90)에 대하여 뚜껑유닛(91)이 개방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파지부재(821a)가 개방상태인 경우에, 도9의 원형의 도면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돌출부(911c)와 플랜지부(90c)로부터 각 파지부재(821a)가 이간한 상태가 되어, 뚜껑유닛(91)과 용기본체(90)의 로크가 해제된다.
홀딩부재(801)가 뚜껑유닛(91)을 홀딩한 상태에 있고 또한 홀딩부재(801)를 강하위치로부터 상승위치로 상승시키는 경우에, 한쌍의 파지부재(821a)가 개방상태인 경우에는 용기본체(90)로부터 뚜껑유닛(91)이 분리된다. 반대로 한쌍의 파지부재(821a)가 폐쇄상태인 경우에는 뚜껑유닛(91)에 대한 홀딩부재(801)의 결합이 해제되어, 홀딩부재(801)만이 상승하게 된다.
중부유닛(8B)은, 또한 모터(823)를 구동원으로 하여 아암부재(820)를 전후방향으로 수평으로 이동하는 기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아암부재(820)에 지지된 용기본체(90)를 후측의 추출위치(상태ST1)와 앞측의 콩투입위치(상태ST2)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콩투입위치는 용기본체(90)에 분쇄두를 투입하는 위치로서, 뚜껑유닛(91)이 분리된 용기본체(90)의 개구(90a)에 제2그라인더(5B)로 분쇄된 분쇄두가 도2에 나타내는 배출관(5C)으로부터 투입된다. 환언하면, 배출관(5C)의 위치는, 콩투입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용기본체(90)의 상방이다.
추출위치는, 용기본체(90)가 조작유닛(81A) 및 조작유닛(81C)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위치로서, 프로브(803, 813)와 동축상의 위치로서 커피액의 추출을 실시하는 위치이다. 추출위치는 콩투입위치보다도 안쪽의 위치이다. 도5, 도7 및 도8은 어느 것이나 모두 용기본체(90)가 추출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분쇄두의 투입과 커피액의 추출 및 물의 공급에 있어서, 용기본체(90)의 위치를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하여 커피액추출시에 발생하는 김이, 분쇄두의 공급부인 배출관(5C)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중부유닛(8B)은, 또한 모터(824)를 구동원으로 하여 지지유닛(81B)을 전후방향의 축(825)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기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용기본체(90)(추출용기(9))의 자세를 넥부(90b)가 상측이 되는 정립자세(상태ST1)로부터 넥부(90b)가 하측이 되는 도립자세(상태ST3)로 변화시킬 수 있다. 추출용기(9)의 회전중에는, 로크기구(821)에 의하여 용기본체(90)에 뚜껑유닛(91)이 로크된 상태가 유지된다. 정립자세와 도립자세에서 추출용기(9)는 상하가 반전된다. 정립자세에 있어서의 볼록부(901c)의 위치에, 도립자세에서는 볼록부(911d)가 위치한다. 또한 정립자세에 있어서의 볼록부(911d)의 위치에, 도립자세에서는 볼록부(901c)가 위치한다. 이 때문에 도립자세에서는 밸브(903)에 대한 개폐조작을 조작유닛(81A)이 실시할 수 있고, 또한 밸브(913)에 대한 개폐조작을 조작유닛(81C)이 실시할 수 있다.
<5.제어장치>
도10을 참조하여 음료제조장치(1)의 제어장치(1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0은 제어장치(11)의 블록도이다.
제어장치(11)는 음료제조장치(1)의 전체를 제어한다. 제어장치(11)는, 처리부(11a), 기억부(1lb) 및 I/F(인터페이스)부(11c)를 포함한다. 처리부(11a)는 예를 들면 CPU 등의 프로세서이다. 기억부(1lb)는 예를 들면 R AM이나 ROM이다. I/F부(11c)는 외부 디바이스와 처리부(11a)의 사이의 신호의 입출력을 실행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I/F부(11c)는, 또한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15)를 통하여 서버(16)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서버(16)는, 통신 네트워크(15)를 통하여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17)과의 통신이 가능하여, 예를 들면 음료의 수요자의 휴대단말(17)로부터 음료제조의 예약이나 감상 등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처리부(11a)는 기억부(1lb)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정보표시장치(12)로부터의 지시 또는 센서군(13)의 검출결과 또는 서버(16)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액추에이터군(14)을 제어한다. 센서군(13)은 음료제조장치(1)에 설치된 각종 센서(예를 들면 탕수의 온도센서, 기구의 동작위치 검출센서, 압력센서 등)이다. 액추에이터군(14)은 음료제조장치(1)에 설치된 각종 액추에이터(예를 들면 모터, 전자밸브, 히터 등)이다.
<6.동작제어예>
처리부(11a)가 실행하는 음료제조장치(1)의 제어처리예에 대하여 도11(A) 및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1(A)는 1회의 커피음료 제조동작에 관한 제어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조지시전의 음료제조장치(1)의 상태를 대기상태라고 부른다. 대기상태에 있어서의 각 기구의 상태는 아래와 같다.
추출장치(3)는 도5의 상태에 있다. 추출용기(9)는 정립자세이고 또한 추출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로크기구(821)는 폐쇄상태이며, 뚜껑유닛(91)은 용기본체(90)의 개구(90a)를 폐쇄하고 있다. 홀딩부재(801)는 강하위치에 있고, 볼록부(911d)에 장착되어 있다. 홀딩부재(811)는 상승위치에 있고, 볼록부(901c)에 장착되어 있다. 밸브(903) 및 밸브(913)는 폐쇄상태에 있다. 전환밸브(10a)는 조작유닛(81C)의 연통부(810a)를 폐기탱크(T)와 통하게 한다.
대기상태에 있어서, 커피음료의 제조지시가 있으면, 도11(A)의 처리가 실행된다. S1에서는 예열처리가 실행된다. 이 처리는 용기본체(90)내에 탕수를 붓고, 용기본체(90)를 사전에 가온하는 처리이다. 우선, 밸브(903) 및 밸브(913)를 개방상태로 한다. 이에 따라 배관(L3), 추출용기(9), 폐기탱그(T)가 연통상태가 된다.
전자밸브(72i)를 소정시간(예를 들면 1500msec)만 개방한 뒤에 폐쇄한다. 이에 따라 물탱크(72)로부터 추출용기(9)내에 탕수가 주입된다. 계속하여 전자밸브(73b)를 소정시간(예를 들면 500msec)만 개방한 뒤에 폐쇄한다. 이에 따라 추출용기(9)내의 공기가 가압되어, 폐기탱크(T)에 대한 탕수의 배출을 촉진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하여 추출용기(9)의 내부 및 배관(L2)이 예열되어, 이것에 계속되는 커피음료의 제조에 있어서, 탕수가 식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S2에서는 그라인드 처리를 한다. 여기에서는 로스트 커피콩을 분쇄하고, 그 분쇄두를 용기본체(90)에 투입한다. 우선, 로크기구(821)를 개방상태로 하여 홀딩부재(801)가 상승위치로 상승한다. 뚜껑유닛(91)은 홀딩부재(801)에 홀딩되어, 홀딩부재(801)와 함께 상승한다. 이 결과, 뚜껑유닛(91)은 용기본체(90)로부터 분리된다. 홀딩부재(811)는 강하위치로 하강한다. 용기본체(90)를 콩투입위치로 이동시킨다. 계속하여 저장장치(4) 및 분쇄장치(5)를 작동한다. 이에 따라 저장장치(4)로부터 1잔분의 로스트 커피콩이 제1그라인더(5A)로 공급된다. 제1그라인더(5A) 및 제2그라인더(5B)로 로스트 커피콩이 2단계로 분쇄되고 또한 분리장치(6)로 불요물이 분리된다. 분쇄두는 용기본체(90)에 투입된다.
용기본체(90)를 추출위치로 되돌린다. 홀딩부재(801)가 강하위치로 하강해서 용기본체(90)에 뚜껑유닛(91)을 장착한다. 로크기구(821)를 폐쇄상태로 하여 뚜껑유닛(91)이 용기본체(90)에 대하여 기밀하게 로크된다. 홀딩부재(811)는 상승위치로 상승한다. 밸브(903), 밸브(913) 중에서, 밸브(903)는 폐쇄상태로 하고 밸브(913)는 개방상태로 한다.
S3에서는 추출처리를 실시한다. 여기에서는 용기본체(90)내의 분쇄두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한다. 도11(B)는 S3의 추출처리의 플로차트이다.
S41에서는 추출용기(9)내의 분쇄두를 뜸들이기 위해서, 1잔분의 탕수보다도 적은 양의 탕수를 추출용기(9)에 주입한다. 여기에서는, 전자밸브(72i)를 소정시간(예를 들면 500msec) 개방하고 폐쇄한다. 이에 따라 물탱크(72)로부터 추출용기(9)내에 탕수가 주입된다. 그 후에 소정시간(예를 들면 5000msec) 대기하고, S41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 처리에 의하여 분쇄두를 뜸들일 수 있다. 분쇄두를 뜸들임으로써 분쇄두에 포함되는 탄산가스를 방출시켜, 그 후의 추출효과를 높일 수 있다.
S42에서는, 1잔분의 탕수가 추출용기(9)에 수용되도록, 나머지 양의 탕수를 추출용기(9)에 주입한다. 여기에서는, 전자밸브(72i)를 소정시간(예를 들면 7000msec) 개방하고 폐쇄한다. 이에 따라 물탱크(72)로부터 추출용기(9)내에 탕수가 주입된다.
S42의 처리에 의하여 추출용기(9)내를, 1기압이고 섭씨 100도를 넘는 온도(예를 들면 섭씨 110도정도)의 상태로 할 수 있다. 계속하여 S43에 의하여 추출용기(9)내를 가압한다. 여기에서는 전자밸브(73b)를 소정시간(예를 들면 1000msec) 개방하고 폐쇄하여, 추출용기(9)내를 탕수가 비등하지 않는 기압(예를 들면 4기압정도(게이지압으로 3기압정도))으로 가압한다. 그 후에 밸브(913)를 폐쇄상태로 한다.
계속하여 이 상태를 소정시간(예를 들면 7000msec) 유지해서 침지식(浸漬式)의 커피액추출을 실시한다(S44). 이에 따라 고온고압하에서의 침지식에 의한 커피액의 추출이 이루어진다. 고온고압하에서의 침지식의 추출에서는, 다음의 효과를 예상할 수 있다. 첫번째는, 고압으로 함으로써 분쇄두의 내부에 탕수를 침투시키기 쉽게 하여 커피액의 추출을 촉진시킬 수 있다. 두번째는, 고온으로 함으로써 커피액의 추출이 촉진된다. 세번째는, 고온으로 함으로써 분쇄두에 포함되는 오일의 점성이 내려가서 오일의 추출이 촉진된다. 이에 따라 향기가 짙은 커피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탕수(고온수)의 온도는, 섭씨 100도를 넘으면 좋지만, 보다 고온인 쪽이 커피액의 추출의 점에서 유리하다. 한편, 탕수의 온도를 높게 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비용상승이 수반된다. 따라서 탕수의 온도는, 예를 들면 섭씨 105도이상 또는 섭씨 110도이상 또는 섭씨 115도이상으로 하고 또한 예를 들면 섭씨 130도이하 또는 섭씨 120도이하로 하여도 좋다. 기압은 탕수가 비등하지 않는 기압이면 좋다.
S45에서는 추출용기(9)내를 감압한다. 여기에서는, 추출용기(9)내의 기압을 탕수가 비등하는 기압으로 전환한다. 구체적으로는, 밸브(913)를 개방상태로 하여 전자밸브(73c)를 소정시간(예를 들면 1000msec) 개방하고 폐쇄한다. 추출용기(9)내가 대기로 개방된다. 그 후에 밸브(913)를 다시 폐쇄상태로 한다.
추출용기(9)내가 비등점압(沸騰點壓)보다도 낮은 기압으로 급격하게 감압되어, 추출용기(9)내의 탕수가 단숨에 비등한다. 추출용기(9)내의 탕수, 분쇄두는, 추출용기(9)내로 폭발적으로 비산한다. 이에 따라 탕수를 균일하게 비등시킬 수 있다. 또한 분쇄두의 세포벽의 파괴를 촉진시킬 수 있고, 그 후의 커피액의 추출을 더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비등에 의하여 분쇄두와 탕수를 교반시키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커피액의 추출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커피액의 추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S46에서는 추출용기(9)를 정립자세로부터 도립자세로 반전한다. 여기에서는, 홀딩부재(801)를 상승위치로, 홀딩부재(811)를 강하위치로 각각 이동한다. 그리고 지지유닛(81B)을 회전시킨다. 그 후에 홀딩부재(801)를 강하위치로, 홀딩부재(811)를 상승위치로 각각 되돌린다. 도립자세의 추출용기(9)는, 넥부(90b)나 뚜껑유닛(91)이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S47에서는 투과식의 커피액추출을 실시하고, 컵(C)에 커피음료를 송출한다. 여기에서는, 전환밸브(10a)를 전환하여 주입부(10c)와 조작유닛(81C)의 통로부(810a)를 통하게 한다. 또한 밸브(903), 밸브(913)를 어느 것이나 모두 개방상태로 한다. 또한 전자밸브(73b)를 소정시간(예를 들면 10000msec)개방하고, 추출용기(9)내를 소정의 기압(예를 들면 1.7기압(게이지압으로 0.7기압))으로 한다. 추출용기(9)내에 있어서, 커피액이 탕수에 용해된 커피음료가 뚜껑유닛(91)에 설치한 필터를 투과해서 컵(C)으로 송출된다. 필터는 분쇄두의 잔사가 누출되는 것을 규제한다. 이상에 의하여 추출처리가 종료한다.
S44에서의 침지식의 추출과 S47에서의 투과식의 추출을 병용함으로써 커피액의 추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추출용기(9)가 정립자세인 상태에서는, 분쇄두가 몸통부(90e)로부터 바닥부(90f)에 걸쳐서 퇴적한다. 한편, 추출용기(9)가 도립자세인 상태에서는, 분쇄두가 어깨부(90d)로부터 넥부(90b)에 걸쳐서 퇴적한다. 넥부(90b)의 단면적보다도 몸통부(90e)의 단면적 쪽이 크고, 도립자세에서의 분쇄두의 퇴적두께는 정립자세에서의 퇴적두께보다도 두꺼워진다. 즉, 분쇄두는 추출용기(9)가 정립자세인 상태에서는 상대적으로 얇고 널리 퇴적하고, 도립자세의 상태에서는 상대적으로 두껍고 좁게 퇴적한다.
S44의 침지식 추출은 추출용기(9)가 정립자세인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탕수와 분쇄두를 광범위하게 걸쳐 접촉시킬 수 있어, 커피액의 추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탕수와 분쇄두가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S47의 투과식 추출은 추출용기(9)가 도립자세인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탕수가 더 많은 분쇄두와 접촉하면서 퇴적한 분쇄두를 통과하게 된다. 탕수가 보다 많이 분쇄두와 접촉하게 되어, 커피액의 추출효율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11(A)로 되돌아가서, S3의 추출처리의 뒤에는, S4의 배출처리를 실시한다. 여기에서는 추출용기(9)내의 청소에 관한 처리를 한다. 추출용기(9)의 청소는, 추출용기(9)를 도립자세로부터 정립자세로 되돌리고, 추출용기(9)에 수돗물(정수)을 공급함으로써 실시한다. 그리고 추출용기(9)내를 가압하고, 추출용기(9)내의 물을 분쇄두의 잔사와 함께 폐기탱크(T)로 배출한다.
이상에 의하여 1회의 커피음료제조처리가 종료한다. 이후, 동일한 처리가 제조지시마다 반복된다. 1회의 커피음료의 제조에 필요로 하는 시간은, 예를 들면 60∼90초정도이다.
<7.장치구성에 관한 소괄>
상기한 바와 같이, 음료제조장치(1)는, 콩처리장치(2) 및 추출장치(3)를 제조부로서 구비하고, 더 상세하게는, 콩처리장치(2)는, 저장장치(4) 및 분쇄장치(5)를 포함하고, 추출장치(3)는, 유체공급유닛(7), 구동유닛(8), 추출용기(9) 및 전환유닛(10)을 포함한다(도2, 도3 등 참조). 분쇄장치(5)는, 1잔분의 로스트 커피콩을 저장장치(4)로부터 받아, 제1그라인더(5A) 및 제2그라인더(5B)에 의하여 2단계의 콩분쇄를 실시한다. 이 때에, 분쇄두로부터 채프 등의 불요물이 분리장치(6)에 의하여 분리된다. 상기 분쇄두가 추출용기(9)로 투입된 후에, 유체공급유닛(7)에 의한 추출용기(9)에 대한 주탕(注湯), 구동유닛(8)에 의한 추출용기(9)의 자세의 반전, 전환유닛(10)에 의한 추출용기(9)로부터 컵(C)으로의 액체의 송출 등을 거쳐서 1잔분의 음료가 제공된다.
상기 제조부의 일부는, 전체가 투과부인 투명커버로서 구성된 커버부(102)에 의하여 덮여져 있고, 유저(예를 들면 음료제조장치(1)의 관리자, 음료의 수요자 등)가 음료제조장치(1)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제조부 중에서, 저장장치(4)의 일부인 복수의 캐니스터(40)가 노출되고, 다른 요소는 실질적으로 하우징(100)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제조부의 전부가 하우징(100)내에 수용되어 있더라도 좋다. 환언하면, 커버부(102)는, 제조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설치되면 좋다.
제조부의 적어도 일부가 커버부(102)에 의하여 음료제조장치(1)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있게 덮여져 있으므로, 예를 들면 유저가 음료제조장치(1)의 관리자인 경우에는, 상기 관리자는 음료의 제조준비와 함께 장치의 동작점검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한 경우가 있다. 유저가 음료의 구입자인 경우에는, 상기 구입자는 음료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면서 상기 음료의 제조완료를 대기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추출장치(3)의 추출용기(9)가 커버부(102)를 통하여 음료제조장치(1)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있고, 음료를 제조하는 몇개의 프로세스 중에서 유저에 있어서 비교적 관심도가 높은 추출공정을 관찰할 수 있다. 구동유닛(8)은 추출용기(9)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자세변화유닛으로서 작용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추출용기(9)는, 제조부에 있어서 상하반전이 가능한 가동부분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추출용기(9)의 반전동작은 유저의 흥미를 비교적 끌기 쉬워, 이것을 유저에 의하여 관찰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유저를 즐겁게 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가 있다.
계속하여 분쇄장치(5)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음의 설명에서는, 지금까지 설명한 구성요소의 명칭과 같은 명칭의 구성요소에는, 지금까지 사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분쇄장치(5)는, 도2에 나타내는 분쇄장치와 외관은 다르게 되지만 기능적으로는 같은 것이다.
도12는 분쇄장치(5)의 사시도이고, 도13은 도12에 나타내는 분쇄장치(5)의 종단면도이다.
도12에 나타내는 분쇄장치(5)도 도2에 나타내는 분쇄장치와 마찬가지로, 제1그라인더(5A), 제2그라인더(5B) 및 분리장치(6)를 포함한다. 제1그라인더(5A) 및 제2그라인더(5B)는, 도2에 나타내는 저장장치(4)로부터 공급되는 로스트 커피콩을 분쇄하는 기구이다. 제1그라인더(5A)는, 커피콩에 부착되어 있는 불요물을 분리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예를 들면 1/4정도)의 크기로 분쇄하기 위한 그라인더이다. 또 제2그라인더(5B)는, 제1그라인더(5A)로 분쇄된 상태의 커피콩을 원하는 입도의 커피의 분쇄두로 하기 위한 그라인더이다. 이 때문에 이들의 제1그라인더(5A) 및 제2그라인더(5B)는, 콩을 분쇄하는 입도가 서로 다르게 되어 있어, 제1그라인더(5A)보다도 제2그라인더(5B)쪽이 보다 가는 입도의 그라인더로 되어 있다. 또, 제2그라인더(5B)에 있어서의 분쇄두의 입도에 대해서는, 오차(±5μm 정도)가 발생할 경우가 있지만, 회전칼날(58b)과 고정칼날(57b)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제1그라인더(5A)는, 모터(52a)(도12 참조) 및 본체부(53a)를 포함한다. 모터(52a)는 제1그라인더(5A)의 구동원이다. 본체부(53a)는 커터를 수용하는 유닛으로서, 도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축(54a)이 내장되어 있다. 회전축(54a)에는 기어(55a)가 설치되어 있고, 모터(52a)의 구동력이 기어(55a)를 통하여 회전축(54a)으로 전달된다.
도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축(54a)에는, 커터인 회전칼날(58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칼날(58a)의 주위에는, 커터인 고정칼날(57a)이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53a)의 내부는 투입구(50a)(도12 참조) 및 배출구(51a)(도13 참조)와 통하게 되어 있다. 도2에 나타내는 저장장치(4)로부터 공급되는 로스트 커피콩은 본체부(53a)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투입구(50a)로부터 본체부(53a)로 진입하고, 도13에 나타내는 회전칼날(58a)과 고정칼날(57a)의 사이에 끼워져 있도록 해서 분쇄된다. 또한 도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축(54a)의 회전칼날(58a)보다도 상측에는 억제판(56a)이 설치되어 있고, 억제판(56a)은 로스트 커피콩이 상측으로 도망가는 것을 억제한다. 제1그라인더(5A)에서는 로스트 커피콩이 예를 들면 1/4정도로 분쇄된다. 분쇄된 분쇄두는 배출구(51a)로부터 분리장치(6)로 배출된다.
또, 투입구(50a)로 공급된 로스트 커피콩은, 회전칼날(58a)의 상방으로부터가 아니라, 측면에 부딪히는 것 같은 높이로 공급되더라도 좋다. 그 경우에는, 회전칼날(58a)에 의하여 로스트 커피콩이 상측으로 도망가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억제판(56a)을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제1그라인더(5A)는, 회전칼날(58a)의 회전수를 변화시킴으로써 분쇄된 후에 배출되는 로스트 커피콩의 크기를 변화시켜도 좋다. 또한 회전칼날(58a)과 고정칼날(57a)의 사이의 거리를 수동으로 조정함으로써 변화시켜도 좋다.
도12에 나타내는 분리장치(6)는, 도4를 사용하여 설명한 분리장치(6)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그라인더(5A)와 제2그라인더(5B)의 사이에 배치되어, 분쇄두로부터 채프나 미분이라고 하는 불요물을 공기의 흡인력에 의하여 분리하는 기구이다. 저장장치(4)로부터 공급되는 로스트 커피콩은, 우선 제1그라인더(5A)로 조대분쇄 되고, 그 조대분쇄두로부터 분리장치(6)에 의하여 불요물이 분리된다. 불요물이 분리된 조대분쇄두는, 제2그라인더(5B)에 의하여 미세분쇄 된다.
제2그라인더(5B)는, 모터(52b)(도12 참조) 및 본체부(53b)를 포함한다. 모터(52b)는 제2그라인더(5B)의 구동원이다. 본체부(53b)는 커터를 수용하는 유닛으로서, 도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축(54b)이 내장되어 있다. 회전축(54b)에는 풀리(55b)가 설치되어 있고, 모터(52b)의 구동력이 벨트(59b) 및 풀리(55b)를 통하여 회전축(54b)으로 전달된다.
도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축(54b)에는, 회전칼날(58b)이 더 설치되어 있고, 회전칼날(58b)의 상측에는 고정칼날(57b)이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53b)의 내부는, 도12에 나타내는 투입구(50b) 및 같은 도12에 나타내는 배출구(5lb)와 통하게 되어 있다. 분리장치(6)로부터 낙하해오는 분쇄두는 투입구(50b)로부터 본체부(53b)로 진입하여, 회전칼날(58b)과 고정칼날(57b) 사이에 끼이도록 되어 더 분쇄된다. 분말상태로 분쇄된 분쇄두는 배출구(5lb)로부터 배출된다. 또, 제2그라인더(5B)에 있어서의 분쇄두의 입도는, 회전칼날(58b)과 고정칼날(57b)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계속하여 분리장치(6)에 대해서, 지금까지의 설명과 중복하는 부분도 있지만 다시 설명한다. 도14는 분리장치(6)의 일부 절단 사시도이다. 분리장치(6)는, 흡인유닛(6A) 및 형성유닛(6B)을 포함한다. 형성유닛(6B)은, 제1그라인더(5A)로부터 자유낙하해오는 분쇄두가 통과하는 분리실(SC)(도13 참조)을 형성하는 중공체이다. 흡인유닛(6A)은, 분쇄두의 통과방향(이 예에서는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 예에서는 좌우방향)으로 분리실(SC)과 통하게 되어, 분리실(SC)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유닛이다. 분리실(SC)내의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채프나 미분이라고 하는 경량의 물체가 흡인된다. 이에 따라 분쇄두로부터 불요물을 분리할 수 있다.
흡인유닛(6A)은 원심분리방식의 기구이다. 흡인유닛(6A)은, 송풍유닛(60A) 및 회수용기(60B)를 포함한다. 송풍유닛(60A)은 팬모터로서, 회수용기(60B)내의 공기를 상방으로 배기한다.
회수용기(60B)는, 분리할 수 있게 결합하는 상부(61)와 하부(62)를 포함한다. 하부(62)는 상방이 개방되고 바닥을 구비하는 통형을 이루고 있어, 불요물을 축적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부(61)는 하부(62)의 개구에 장착되는 뚜껑부를 구성한다. 도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부(61)는, 원통형상의 외주벽(61a)과, 이것과 동축상으로 형성된 배기통(6lb)을 포함한다. 송풍유닛(60A)은 배기통(6lb)내의 공기를 흡인하도록 배기통(6lb)의 상방에 있어서 상부(61)에 고정되어 있다. 상부(61)는, 또한 지름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통모양의 접속부(61c)를 포함한다. 접속부(61c)는 형성유닛(6B)과 접속되어, 분리실(SC)과 회수용기(60B)를 통하게 한다. 접속부(61c)는 배기통(6lb)의 측방으로 개구하고 있다.
송풍유닛(60A)의 구동에 의하여 도14에 있어서 화살표(d1∼d3)로 나타내는 기류가 발생한다. 이 기류에 의하여 분리실(SC)로부터 불요물을 포함한 공기가 접속부(61c)를 통해서 회수용기(60B)내로 흡인된다. 접속부(61c)는 배기통(6lb)의 측방으로 개구하고 있기 때문에, 불요물을 포함한 공기는 배기통(6lb)의 주위를 선회한다. 공기중의 불요물(D)은, 그 중량에 의하여 낙하하여 회수용기(60B)의 일부에 모아진다(하부(62)의 바닥면 위에 퇴적한다). 공기는 배기통(6lb)의 내부를 통하여 상방으로 배기된다.
배기통(6lb)의 둘레면에는 복수의 핀(61d)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핀(61d)은 배기통(6lb)의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개개의 핀(61d)은, 배기통(6lb)의 축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경사져 있다. 이러한 핀(61d)을 형성함으로써 불요물(D)을 포함한 공기가 배기통(6lb)의 주위로 선회하는 것을 촉진한다. 또한 핀(61d)에 의하여 불요물(D)의 분리가 촉진된다. 그 결과, 흡인유닛(6A)의 상하방향의 길이를 억제할 수 있어, 장치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또한 제1그라인더(5A) 및 제2그라인더(5B)에 의한 분쇄두의 낙하경로에 형성유닛(6B)이 배치되고, 낙하경로의 측방에 원심분리방식의 흡인유닛(6A)이 배치되어 있다. 원심분리방식의 기구는 상하방향으로 길어지기 쉽지만, 흡인유닛(6A)을 낙하경로로부터 비키어 놓아서 측방에 배치함으로써 흡인유닛(6A)을 제1그라인더(5A) 및 제2그라인더(5B)에 대하여 가로방향에 나란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것은 장치의 상하방향의 길이를 억제하는 것에 기여한다. 특히, 제1그라인더(5A) 및 제2그라인더(5B)에 의하여 2단계의 분쇄를 하는 경우에, 장치의 상하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흡인유닛(6A)의 이러한 배치가 장치의 소형화에 유효하다.
도12∼도17을 참조하여 형성유닛(6B)을 설명한다. 도15는 형성유닛(6B)의 종단면도이다. 도16은 형성유닛(6B)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17은 형성유닛(6B)의 평면도로서, 단면적의 비교 설명도이다.
도15에 나타내는 형성유닛(6B)은, 상하로 반으로 분할된 2부재를 결합해서 형성되어 있다. 형성유닛(6B)은, 관부(63) 및 분리실 형성부(64)를 포함하고, 평면에서 볼 때에 스푼형상(spoon形狀)을 구비하고 있다. 관부(63)는, 흡인유닛(6A)과의 연통로(63a)를 형성하는 통체로서, 가로방향(후술하는 중심선(CL)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분리실 형성부(64)는 관부(63)에 접속되어 분리실(SC)을 형성하고, 중앙이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원환형상(圓環形狀)의 중공체이다.
도14에 나타내는 분리장치(6)에서는, 분쇄두로부터 불요물을 분리함에 있어서, 제1그라인더(5A)로부터 낙하해오는 분쇄두에 가로방향의 풍압을 작용시켜서 불요물을 흡인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것은, 원심분리방식보다도 연직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도15에 나타내는 분리실 형성부(64)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통모양부(65)를 포함한다. 통모양부(65)는 그 상하방향의 중앙부에서 하부에 걸쳐서 분리실(SC)내로 돌출하고 있다. 통모양부(65)는 상측의 일단에 개구부(65a)를 구비하고, 개구부(65a)는 분리실(SC)과 통하게 되어 분쇄두의 투입구를 형성하고 있다. 개구부(65a)는 분리실(SC) 밖에 위치하고 있고, 제1그라인더(5A)의 배출구(51a)(도13 참조)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배출구(51a)로부터 낙하하는 분쇄두가 빠짐 없이 분리실 형성부(64)로 유입된다. 통모양부(65)는 하측의 타단에 개구부(65b)를 구비한다. 개구부(65b)는 분리실(SC)내에 위치하고 있다. 개구부(65b)가 분리실(SC)과 면하고 있기 때문에, 배출구(51a)로부터 낙하하는 분쇄두가 빠짐 없이 분리실(SC)로 유입된다.
통모양부(65)는 원통형상을 구비하고 있어, 개구부(65a) 및 개구부(65b)는 중심선(CL)상에 위치하는 동심의 원형모양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배출구(51a)로부터 낙하하는 분쇄두가 통모양부(65)를 통과하기 쉬워진다. 통모양부(65)는 내부공간의 단면적이 개구부(65a)측으로부터 개구부(65b)측을 향하여 서서히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통모양부(65)의 내벽이 유발형상(乳鉢形狀)이 되기 때문에, 낙하해오는 분쇄두가 내벽에 충돌하기 쉬워진다. 제1그라인더(5A)로부터 낙하해오는 분쇄두는, 알갱이 상호간이 밀착해서 덩어리가 되어서 낙하해오는 경우가 있다. 분쇄두가 덩어리의 상태이면, 불요물의 분리효율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도15에 나타내는 통모양부(65)에서는, 덩어리가 된 분쇄두가 통모양부(65)의 내벽에 충돌함으로써 덩어리가 깨져서 불요물을 분리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분쇄두의 덩어리를 깨트리는 점에서는, 통모양부(65)의 내벽은 유발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모양부(65)의 도중 부위에 개구부(65a)보다도 내부공간의 단면적이 작은 장소가 있고, 그것에 의하여 중심선(CL)에 대하여 경사진(수평이지 않은) 내벽이 있으면, 덩어리와의 충돌을 촉진하면서, 분쇄두를 원활하게 낙하시킬 수 있다. 또한 통모양부(65)는 분리실(SC)내로 돌출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분리실 형성부(64)의 외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한 부분만을 갖춘 것이더라도 좋다. 다만, 통모양부(65)를 분리실(SC)내로 돌출시킴으로써 통모양부(65)의 주위의 풍속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관부(63)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영역(R1)에 있어서, 풍압에 의한 불요물의 분리효과를 높일 수 있다.
분리실 형성부(64)는, 불요물을 분리한 후의 분쇄두가 배출되고, 분리실(SC)과 통하는 배출구(66)를 구비하고 있다. 도15에 나타내는 배출구(66)는 개구부(65b)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어, 통모양부(65)를 거친 분쇄두는, 분리실(SC)을 통과해서 배출구(66)로부터 자유낙하한다. 배출구(66)는 중심선(CL)상에 위치하는 원형의 개구로서, 개구부(65a) 및 개구부(65b)와 동심원의 개구이다. 이 때문에 분쇄두가 분리실 형성부(64)를 자유낙하에 의하여 통과하기 쉬워져, 분리실 형성부(64)내에 분쇄두가 퇴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개구부(65b)의 단면적(SC1)보다도 배출구(66)의 단면적(SC2) 쪽이 크다. 개구부(65b)와 배출구(66)는, 상하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고 있다. 따라서 배출구(66)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개구부(65b)를 투영하면, 배출구(66)의 내측에 개구부(65b)가 들어가게 된다. 환언하면, 개구부(65b)는, 배출구(66)를 상하방향으로 연장한 영역내에 들어간다. 개구부(65b)와 배출구(66)가 동일한 중심선상에는 없지만 겹치고 있는 구성이나, 적어도 일방이 원형이 아니지만 겹치고 있는 구성도 채용가능하다.
단면적(SC2)에 대한 단면적(SC1)의 비율은, 예를 들면 95%이하 또는 85%이하이며, 또한 예를 들면 60%이상 또는 70%이상이다. 개구부(65b), 배출구(66)는 동심원이기 때문에 중심선(CL) 방향에서 보면 서로 겹치고 있다. 이 때문에 개구부(65b)로부터 자유낙하하는 분쇄두가 배출구(66)로부터 배출되기 쉬워진다. 또한 낙하하는 분쇄두가 배출구(66)의 테두리에 충돌해서 관부(63)측으로 뛰어오르는 것을 방지하고, 필요한 분쇄두가 흡인유닛(6A)에 흡인되어버리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배출구(예를 들면 66)의 개구면적보다도 일단 개구부(예를 들면 65a)의 개구면적 쪽이 작다고 예시했지만, 배출구(예를 들면 66)의 개구면적과 일단 개구부(예를 들면 65a)의 개구면적은 같더라도 좋고, 배출구(예를 들면 66)의 개구면적보다도 일단 개구부(예를 들면 65a)의 개구면적 쪽이 커도 좋다. 배출구(예를 들면 66)의 개구면적보다도 타단 개구부(예를 들면 65b)의 개구면적 쪽이 작다고 예시했지만, 배출구(예를 들면 66)의 개구면적과 타단 개구부(예를 들면 65b)의 개구면적은 같더라도 좋고, 배출구(예를 들면 66)의 개구면적보다도 타단 개구부(예를 들면 65b)의 개구면적 쪽이 커도 좋다. 흡인유닛(예를 들면 6A)에 의하여 배출구(66) 및 투입구(예를 들면 65a, 65a')로부터 공기가 흡인되는 것을 예시했지만, 투입구(예를 들면 65a, 65a')로부터 흡인되는 공기의 양보다도 배출구(66)로부터 흡인되는 공기의 양이 많아지도록 하여도 좋다. 이것은, 분리실내에 타단 개구부(예를 들면 65b)가 돌출하고 있는 것이나, 일단 개구부(예를 들면 65 a)의 개구면적의 크기보다도 배출구(66)의 단면적의 크기가 큰 것으로 실현시켜도 좋고, 타단 개구부(예를 들면 65b)의 개구면적의 크기보다도 배출구(66)의 단면적의 크기가 큰 것으로 실현시켜도 좋고, 일단 개구부(예를 들면 65a)로부터 분리실까지의 거리보다도 배출구(66)로부터 분리실까지의 거리가 가까운 것으로 실현시켜도 좋고, 일단 개구부(예를 들면 65a)로부터 배기통(6lb)까지의 거리보다도 배출구(66)로부터 배기통(6lb)까지의 거리가 가까운 것으로 실현시켜도 좋고, 일단 개구부(예를 들면 65a)로부터 송풍유닛(60A)까지의 거리보다도 배출구(66)로부터 송풍유닛(60A)까지의 거리가 가까운 것으로 실현시켜도 좋다. 형성유닛(6B)이나 분리실(SC)을 구성하는 부재(63∼65)의 내벽부 중의 어느 하나나 통모양부(65)나 타단 개구부(예를 들면 65b)이지만, 그라인더(5A 및 5B 중에서 적어도 일방)와 직접적으로 또는 다른 부재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그라인더의 회전에 의한 진동이 전달되어, 진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실시예에 있어서의 커피콩 분쇄기(GM)의 경우에, 그들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그라인더의 동작 중에, 형성유닛(6B)이나 분리실(SC)을 구성하는 부재(63∼65)의 내벽부 중의 어느 하나나 통모양부(65)나 타단 개구부(예를 들면 65b)가 진동하고, 진동에 의하여 상기 분리실(SC)내로 발생하는 흐트러진 공기에 의하여 타단 개구부(예를 들면 65b)로부터 분리실(SC)로 진입하는 가벼운 불요물에 제동을 걸어, 상기 불요물을 흡인유닛(예를 들면 6A)에 의하여 흡인하기 쉽게 하고 있다. 특히, 실시예에 있어서의 커피콩 분쇄기(GM)와 같이, 형성유닛(6B)은 제1그라인더(5A) 및 제2그라인더(5B) 중에서 제1그라인더(5A)와 직접 접촉하고 있지만, 이렇게 하나의 그라인더에 직접 접촉시킴으로써 형성유닛(6B)에 적절한 진동을 가하여, 가벼운 불요물을 흡인하기 쉽게 하더라도 좋다.
흡인유닛(6A)에 의하여 흡인되는 공기는, 주로 배출구(66)로부터 흡인된다. 이 때문에 도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출구(66)와 제2그라인더(5B)의 투입구(50b)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어 있어서, 공기의 흡인이 촉진된다. 도15에 나타내는 화살표(d4)는 흡인유닛(6A)에 의하여 흡인되는 공기의 기류의 방향을 도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배출구(66)로부터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불요물이 배출구(66)로부터 배출되기 어려워져, 분쇄두와 불요물의 분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흡인유닛(6A)에 의하여 흡인되는 공기는 개구부(65a)로부터도 흡인된다.
배출구(66)를 획정하는 주위벽(周圍壁)에는 난류촉진부(67)가 형성되어 있다. 난류촉진부(67)는 배출구(66)로부터 분리실(SC)로 흡인되는 공기에 난류(亂流)를 생기게 한다. 난류촉진부(67)를 형성함으로써 특히 개구부(65b)와 배출구(66) 사이의 영역(R2)에 있어서 난류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도15에 나타내는 형성유닛(6B)에서는 통모양부(65)의 주위에서 풍속이 향상되기 때문에 영역(R2)에서의 난류의 발생을 상승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다.
개구부(65a)에 투입된 분쇄두는 영역(R2)을 통과할 때에 난류의 영향을 받아서 휘저어진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개구부(65b)의 단면적(SC1)보다도 배출구(66)의 단면적(SC2) 쪽이 크기 때문에, 분쇄두는 영역(R2)을 반드시 통과한다. 난류에 의하여 채프나 미분이라고 하는 불요물이 분쇄두로부터 분리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분리실(SC)이 작은 공간이더라도 불요물의 분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분리실(SC)의 상하방향의 길이를 작게 하는 것에 기여하여, 제1그라인더(5A) 및 제2그라인더(5B)로 2단계의 분쇄를 하는 경우의 장치의 소형화에 유리하다.
도15 및 도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난류촉진부(67)는 복수의 난류촉진요소(67a)를 포함한다. 난류촉진요소(67a)는, 상하방향에서 하향으로 돌출한 돌기이다. 난류촉진요소(67a)의 돌출방향은 어느 방향이더라도 좋지만, 분리실(SC)내에 난류를 보다 더 발생시키기 쉽게 하는 점에서, 하측방향으로부터 지름방향 내측방향의 범위내의 방향이 바람직하다. 돌출방향이 하측방향이면, 낙하해온 분쇄두가 걸리는 일이 없어서 더 바람직하다.
난류촉진요소(67a)의 단면형상은, 사다리꼴형상의 4각기둥을 단면의 윗변이 중심선(CL)측으로 배치되고 또한 도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선단부의 내측에 베벨링(67b)이 실시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난류촉진요소(67a)의 형상은 이 형상에 한정되지 않지만, 배출구(66)의 형상을 3차원적으로 복잡하게 하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도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난류촉진요소(67a)는, 배출구(66)의 주위방향(d5)으로 반복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영역(R2)에 다방향으로부터 공기가 분출되어 난류의 발생이 촉진된다. 인접하는 난류촉진요소(67a)의 피치는 동일한 피치이지만, 다른 피치이더라도 좋다. 또한 난류촉진요소(67a)는 12개 형성되어 있지만, 난류촉진요소(67a)의 수는 임의이다.
이상, 도12∼도17을 사용하여 설명한 분쇄장치(5)는 도1에 나타내는 음료제조장치(1)에 조립되는 것이었지만, 분쇄장치(5) 단체로 커피콩 분쇄기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로스팅후의 커피콩을 수용하여 투입구(50a)에 그 커피콩을 공급하는 저장장치나, 분쇄장치(5)의 제어를 실시하는 제어장치나, 정보표시장치가 추가된다.
도18은 커피콩 분쇄기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19는 커피콩 분쇄기의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18에 나타내는 커피콩 분쇄기의 기본구성은, 도12∼도17을 사용하여 설명한 분쇄장치(5)의 기본구성과 거의 같다. 이하, 지금까지 설명한 구성요소의 명칭과 같은 명칭의 구성요소에는, 지금까지 사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도12∼도17을 사용하여 설명한 분쇄장치(5)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18에 나타내는 커피콩 분쇄기(GM)는, 저장장치(4) 및 분쇄장치(5)와, 이들을 제어하는 도19에 나타내는 제어장치(11)을 갖춘다. 또한 커피콩 분쇄기(GM)는, 제어장치(11)와 무선으로 접속된 정보표시장치(12)(도19 참조)도 갖춘다. 정보표시장치(12)는, 커피콩 분쇄기(GM)의 각종 제어의 지시나 설정치 등의 입력을 하기 위한 터치패널식의 디스플레이로서, 각종 정보의 표시 이외에 관리자나 사용자의 입력을 접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정보표시장치(12)에는 스피커나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장치(11)는 커피콩 분쇄기(GM)의 전체를 제어한다. 제어장치(11)는, 처리부(11a), 기억부(1lb) 및 I/F(인터페이스)부(11c)를 포함한다. 처리부(11a)는 예를 들면 CPU 등의 프로세서이다. 기억부(1lb)는 예를 들면 RAM이나 ROM이다. 이 기억부(1lb)에는 레시피가 기억되어 있다. 레시피는, 커피콩을 분쇄하기 위한 각종 조건의 정보나, 콩정보나, 레시피 작성자 정보나, 레시피 작성자의 코멘트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I/F부(11c)는 외부 디바이스와 처리부(11a) 사이의 신호의 입출력을 실행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I/F부(11c)는, 또한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15)를 통하여 서버(16), 휴대단말(17) 등의 외부단말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서버(16)는, 통신 네트워크(15)를 통하여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17)과의 통신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수요자의 휴대단말(17)로부터 커피의 분쇄두 제조의 예약이나, 감상 등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커피콩 분쇄기(GM)와, 서버(16)와, 휴대단말(17)을 포함하여, 커피콩을 분쇄하기 위한 커피콩 분쇄 시스템(GS)을 구성한다.
처리부(11a)는 기억부(1lb)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레시피에 따라서 저장장치(4)나 분쇄장치(5)를 제어한다.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처리부(11a)는 액추에이터군(14)을 레시피에 따라서 제어하거나, 그 액추에이터군(14)을, 정보표시장치(12)로부터의 지시나 센서군(13)의 검출결과 혹은 서버(16)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제어한다. 센서군(13)은 저장장치(4)나 분쇄장치(5)에 설치된 각종 센서(예를 들면 기구의 동작위치 검출센서 등)이다. 액추에이터군(14)은, 저장장치(4)나 분쇄장치(5)에 설치된 각종 액추에이터(예를 들면 모터 등)이다.
도18에 나타내는 저장장치(4)는, 원통모양의 캐니스터 수납유닛(401)과, 그 캐니스터 수납유닛(401)의 상단부에 나사결합 하여 캐니스터 수납유닛(401)의 상면을 덮는 제거 가능한 캡(401c)을 구비한다. 캐니스터 수납유닛(401)의 내측에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캐니스터 수납실이 설치되어 있다. 캐니스터 수납실은 원주방향으로 복수로 설치되어 있고, 캐니스터 수납유닛(401)의 내측에는 복수의 캐니스터를 수납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캐니스터는, 도1이나 도2에 나타내는 캐니스터와, 손잡이(40b)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점을 제외하면 같은 구조의 것이다. 저장장치(4)에서는, 수납되어 있는 복수의 캐니스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품종이 서로 다른 로스트 커피콩이나, 로스팅도가 서로 다른 로스트 커피콩을 선택해서 그라인드 처리를 할 수도 있고, 품종이나 로스팅도가 서로 다른 복수 종류의 로스트 커피콩을 섞어서 그라인드 처리를 할 수도 있다.
또한 캐니스터 수납유닛(401)은, 커피콩 분쇄기(GM)의 센터 케이싱(GM10)의 상부에 설치된 옵션부착부(GM11)에 착탈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 옵션부착부(GM11)에는, 캐니스터 수납유닛(401) 이외에 복수 종류의 유닛이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센터 케이싱(GM10)의 상부는, 옵션부착부(GM11)에 부착된 유닛의 하부를 덮게 된다. 또, 커피콩 분쇄기(GM)와 통신할 수 있는 휴대단말(17) 등의 외부단말에, 옵션부착부(GM11)에 부착된 유닛의 종류가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도20(a)는, 도18에 나타내는 캐니스터 수납유닛(401)을 대신하여, 호퍼유닛(402)이 부착된 커피콩 분쇄기(GM)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동 도(b)는, 펀넬유닛(funnel unit)(403)이 부착된 커피콩 분쇄기(GM)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8은, 커피콩 분쇄기(GM)를 좌경사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었지만, 도20은, 커피콩 분쇄기(GM)를 우경사 전방에서 본 사시도가 된다.
도18에 나타내는 옵션부착부(GM11)는, 센터 케이싱(GM10)의 내주면에 설치된 것이다. 이 옵션부착부(GM11)에 대한 각 유닛의 부착방식은 나사결합방식이더라도 좋고, 각 유닛에 형성된 결합폴이 옵션부착부(GM11)에 결합하는 방식이더라도 좋고, 옵션부착부(GM11)에 형성된 결합폴이 각 유닛에 결합하는 방식이더라도 좋다.
도20(a)에 나타나 있는 호퍼유닛(402)은 투명한 용기로서, 내부에 로스트 커피콩이 수용되고, 상면은 떼어내기가 가능한 캡(402c)에 의하여 덮여져 있다. 이 호퍼유닛(402)은, 큰 단체(單體)의 캐니스터에 상당한다.
한편, 도20(b)에 나타나 있는 펀넬유닛(403)은, 내측이 옵션부착부(GM11)측을 향해서 끝이 가늘어진 깔때기 모양의 것으로서, 상단이 개구하고 있다. 이 펀넬유닛(403)에도 로스트 커피콩이 수용된다. 펀넬유닛(403)에서는, 캐니스터나 호퍼유닛(402)에 비하여 하류측으로 로스트 커피콩의 공급이 원활하다. 캐니스터 수납유닛(401)도, 호퍼유닛(402)도, 펀넬유닛(403)도 로스트 커피콩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유닛이다. 이들의 저장유닛(401∼403)에는, 로스트 커피콩을 하류측으로 공급하는 공급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옵션부착부(GM11)에는 계량유닛도 부착이 가능하다.
도21(a)는, 옵션부착부(GM11)에 계량유닛(404)이 부착된 상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1(a)에 나타나 있는 커피콩 분쇄기(GM)는, 옵션부착부(GM11)에 부착된 계량유닛(404)에, 도20에 나타내는 캐니스터 수납유닛(401)이 더 부착되어 있다. 계량유닛(404)에는, 로스팅 커피콩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유닛(401∼403)이 착탈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계량유닛(404)에 대한 저장유닛의 부착방식은, 옵션부착부(GM11)에 대한 각 유닛의 부착방식과 마찬가지로, 나사결합방식이더라도 좋고, 각 유닛에 형성된 결합폴이 계량유닛(404)에 결합하는 방식이더라도 좋고, 계량유닛(404)에 형성된 결합폴이 저장유닛에 결합하는 방식이더라도 좋다. 도21(a)에 나타나 있는 예에서는, 계량유닛(404)에 형성된 결합폴(404k)이 옵션부착부(GM11)의 돌기부(GM11t)에 결합하고 있다. 또한 캐니스터 수납유닛(401)에 형성된 결합폴(401k)은 계량유닛(404)의 내주벽 상부에 형성된 돌기부(404t)에 결합하고 있다.
계량유닛(404)은, 수용구(4040)와, 안내통로(4041)와, 반송통로(4042)와, 송출구(4043)를 갖춘다. 저장유닛(401∼403)이 계량유닛(404)에 부착되면, 저장유닛의 공급구(USP)가 계량유닛(404)의 수용구(4040)에 접속하여, 저장유닛에 저장되어 있었던 로스트 커피콩이 수용구(4040)로 공급된다. 수용구(4040)와 반송통로(4042)의 상류측은 안내통로(4041)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도21(a)에 나타나 있는 반송통로(4042)에서는, 우측이 상류측이 되고 좌측이 하류측이 된다. 반송통로(4042)내에는 전동 스크루 컨베이어(ESC)가 배치되어 있고, 반송통로(4042)내를 로스트 커피콩이 반송되어 송출구(4043)로부터 분쇄장치(5)를 향해서 송출된다. 즉 수용구(4040)로 공급된 로스트 커피콩은, 안내통로(4041)를 통하여 반송통로(4042)로 유도되어, 도21(a)에 나타나 있는 반송통로(4042)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해서 반송된다. 도21(a)에 나타나 있는 반송통로(4042)는 수평으로 설치된 것이지만, 반송통로(4042)의 하류단 개구(4042o)는 비스듬하게 위쪽을 향해서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반송통로(4042)는, 상류측에서도 하류측쪽이 높아지도록 경사진 것이더라도 좋다.
도21(b)는, 전동 스크루 컨베이어(ESC)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1(b)에 나타나 있는 전동 스크루 컨베이어(ESC)에서는, 우측 안쪽이 상류측이 되고, 왼쪽 앞측이 하류측이 된다. 전동 스크루 컨베이어(ESC)는, 스크루축(ESC1)과, 그 스크루축(ESC1)의 외주면에 나선상으로 설치된 스크루 날개(ESC2)를 갖춘다. 또한 전동 스크루 컨베이어(ECS)의 상류단부에는, 스크루축(ESC1)을 회전구동하는 모터(ESC3)가 내장되어 있다. 반송통로(4042)로 유도된 로스트 커피콩은, 회전하는 스크루 날개(ESC2)에 의하여 반송통로(4042)내에서 반송된다. 제어장치(11)는, 모터(ESC3)의 회전을 제어하고 있어, 스크루축(ESC1)의 회전량에 의하여 로스트 커피콩의 양이 자동으로 계량된다. 전동 스크루 컨베이어(ESC)는, 저장유닛(401∼403)에 수용되어 있었던 로스트 커피콩을 자동으로 계량해서 하류측을 향하여 반송한다.
도21(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반송통로(4042)의 하류단 개구(4042o)에는 덮개부재(4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류단 개구(4042o)는 비스듬하게 위쪽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어, 덮개부재(460)도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덮개부재(460)는, 덮개판(461)과 띠모양 부재(451)를 갖춘다.
도22는, 반송통로(4042)의 하류단 개구(4042o)에 배치된 덮개부재(460)의 몇개의 태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2(a)에 나타나 있는 하류단 개구(4042o)는, 상반부가 덮개판(461)에 의하여 덮여져 있다. 덮개판(461)은 수지제의 강체(剛體)이다.
또한 반송통로(4042)의 하류단에는 출구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출구부(45)는, 가요성을 갖춘 띠모양 부재(451)가 간격(W1)을 두고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것이다. 띠모양 부재(451)는, 덮개판(461)보다도 가요성(可撓性)을 갖춘 것이다. 띠모양 부재(451)의 간격(W1)은, 일반적인 로스트 커피콩(B)의 크기보다도 좁다. 또한 띠모양 부재(451)의 상단은 덮개판(461)의 하연부(下緣部)에 고정되어 있지만, 띠모양 부재(451)의 하단은 자유단(自由端)이다. 또한 띠모양 부재(451)의 하단은, 하류단 개구(4042o)를 획정하는 테두리(4042e)보다도, 로스트 커피콩(B)의 크기보다도 짧은 길이만큼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띠모양 부재(451)는 하류단 개구(4042o)의 면적을 좁히는 것이지만, 회전하는 스크루 날개(ESC2)에 의하여 반송되어 오는 로스트 커피콩(B)의 통과를 가요성에 의하여 허용한다. 즉, 애초에 하류단 개구(4042o)의 면적은 덮개판(461)에 의하여 반정도까지 좁혀져서, 스크루 날개(ESC2)의 회전이 멈춘 시점으로부터 로스트 커피콩(B)은 하류단 개구(4042o)로부터 낙하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띠모양 부재(451)에 의하여 하류단 개구(4042o)의 면적은 더 좁혀져서, 로스트 커피콩(B)은 하류단 개구(4042o)로부터 보다 더 낙하하기 어려워져 있다. 따라서 로스트 커피콩(B)이 뜻하지 않게 하류측으로 휩쓸리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한편, 띠모양 부재(451)는 가요성을 구비하고 하단이 자유단이기 때문에, 회전하는 스크루 날개(ESC2)에 의하여 반송되어 오는 로스트 커피콩(B)의 압출력(押出力)(반송력에 상당)에 의하여 외측으로 들린다. 이 결과, 띠모양 부재(451)의 간격(W1)이나, 띠모양 부재(451)의 하단과 하류단 개구(4042o)를 획정하는 테두리(4042e)와의 간격이 넓어지고, 넓어진 간격이나 간극으로부터 로스트 커피콩(B)이 송출된다.
또한 비스듬하게 위쪽을 향해서 배치된 덮개부재(460)에서는, 띠모양 부재(451)도 경사져 있고, 출구부(45)도 비스듬하게 위쪽을 향하고 있다. 도22(a)∼동 도(f)에 나타나 있는 출구부(45)는, 비스듬하게 위쪽을 향하고 있다. 이렇게 출구부(45)가 비스듬하게 위쪽을 향하고 있는 것으로도, 로스트 커피콩(B)이 출구부(45)로부터 낙하하기 어려워져 있다. 다만 도22(a)∼동 도(f)에 나타나 있는 출구부(45)는 바로 옆을 향한 것이더라도 좋다.
도22(a)에 나타나 있는 하류단 개구(4042o)는, 상반부가 덮개판(461)에 의하여 덮여져 있다. 덮개판(461)은 수지제의 강체이다.
도22(b) 및 동 도(c)에 나타나 있는 덮개부재(460)는, 동 도(a)에 나타나 있는 덮개부재(460)에 비하여 띠모양 부재(451)가 긴 것 이외에는 같다. 도22(b)에 나타나 있는 띠모양 부재(451)는, 하류단 개구(4042o)를 획정하는 테두리(4042e)를 넘어서 하방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그 띠모양 부재(451)의 하단은 테두리(4042e)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22(c)에 나타나 있는 띠모양 부재(451)는, 하류단 개구(4042o)를 획정하는 테두리(4042e)까지만 하방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그 띠모양 부재(451)의 하단은 테두리(4042e)와 겹치고 있다. 따라서 도22(b) 및 동 도(c)에 나타나 있는 덮개부재(460)에서는 어느 것이나 모두가, 동 도(a)에 나타나 있는 덮개부재(460)에 비하여 하류단 개구(4042o)의 면적을 보다 좁힐 수 있어, 로스트 커피콩(B)의 통과의 허용성이 낮아진다. 그러나 도22(b)에 나타나 있는 띠모양 부재(451)도, 동 도(c)에 나타나 있는 띠모양 부재(451)도 가요성을 구비하고 하단이 자유단이기 때문에, 회전하는 스크루 날개(ESC2)에 의하여 반송되어 오는 로스트 커피콩(B)의 압출력에 의하여 외측으로 들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도22(b)에 나타나 있는 출구부(45)로부터도 동 도(c)에 나타나 있는 출구부(45)로부터도 로스트 커피콩(B)이 압출력에 의하여 송출된다.
도22(d) 및 동 도(e)에 나타나 있는 덮개부재(460)는, 동 도(a)에 나타나 있는 덮개부재(460)에 비하여 덮개판(461)의 크기가 다른 것 이외에는 같다. 도22(d)에 나타나 있는 덮개부재(460)에서는, 하류단 개구(4042o)의 1/3의 크기에 상당하는 상방부분을 덮개판(461)에 의하여 덮고 있다. 도22(e)에 나타나 있는 덮개부재(460)에서는, 하류단 개구(4042o)의 2/3의 크기에 상당하는 부분을 상방으로부터 중간에 걸쳐서 덮개판(461)에 의하여 덮고 있다. 따라서 도22(d)에 나타나 있는 덮개부재(460)에서는, 동 도(a)에 나타나 있는 덮개부재(460)에 비하여 하류단 개구(4042o)의 면적을 좁히고 있지 않아서 로스트 커피콩(B)의 통과의 허용성이 높아진다. 다만 띠모양 부재(451)를 고려하면, 하류단 개구(4042o)의 면적을 반정도 이상은 좁히고 있어, 스크루 날개(ESC2)의 회전이 멈춘 시점으로부터 로스트 커피콩(B)은 출구부(45)로부터 낙하하기 어려워져 있다. 또한 도22(e)에 나타나 있는 덮개부재(460)에서는, 동 도(a)에 나타나 있는 덮개부재(460)에 비하여 하류단 개구(4042o)의 면적을 더 좁히고 있어, 로스트 커피콩(B)의 통과의 허용성은 상당히 낮다. 이 때문에 도22(a)에 나타나 있는 띠모양 부재(451)보다도 가요성이 우수한 띠모양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2(f)에 나타나 있는 덮개부재(460)는, 덮개판(461)을 없애고, 띠모양 부재(451)로 이루어지는 출구부(45)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띠모양 부재(451)는, 양단이 하류단 개구(4042o)를 획정하는 테두리(4042e)에 고정되어 있다. 도22(f)에 나타나 있는 덮개부재(460)에서는, 띠모양 부재(451)에 의하여 하류단 개구(4042o)의 면적을 좁히고 있다. 또한 띠모양 부재(451)는 양단이 고정된 것이기 때문에 일방측의 단부가 외측으로 올려지는 일은 없다. 다만 회전하는 스크루 날개(ESC2)에 의하여 반송되어 오는 로스트 커피콩(B)의 압출력에 의하여 띠모양 부재(451)의 간격(W2)은 넓어진다. 도22(f)에 나타나 있는 띠모양 부재(451)는, 동 도(a)에 나타나 있는 띠모양 부재(451)보다도 가늘다. 또한 도22(f)에 나타나 있는 띠모양 부재(451)의 간격(W2)은 일반적인 로스트 커피콩(B)의 크기보다는 좁지만, 동 도(a)에 나타나 있는 띠모양 부재(451)의 간격(W1)보다는 넓다. 이 때문에 도22(f)에 나타나 있는 띠모양 부재(451)는, 동 도(a)에 나타나 있는 띠모양 부재(451)에 비하여 반송되어 오는 로스트 커피콩(B)의 압출력에 의하여 간격(W2)이 넓어지기 쉽고 또한 넓어진 후의 간격도 크다. 따라서 도22(f)에 나타나 있는 출구부(45)로부터도 로스트 커피콩(B)이 압출력에 의하여 송출된다.
도23은, 덮개부재(460)의 또 다른 태양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23(a)에 나타나 있는 덮개부재(460)는, 도22(a)에 나타나 있는 덮개부재(460)에 비하여 출구부(45)의 구성이 다른 것 이외는 모두 같다. 즉 하류단 개구(4042o)의 상반부를 덮개판(461)에 의하여 덮고 있고, 하반부에 출구부(45)가 형성되어 있다. 도23(a)에 나타나 있는 출구부(45)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452)과, 그 회전축(452)을 회전중심으로 해서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뚜껑부재(453)로 구성되어 있다. 뚜껑부재(453)는, 하류단 개구(4042o)의 하반부 전부를 덮는 것으로서, 외형은 4각형상이다. 도23(a)에 나타나 있는 뚜껑부재(453)는, 하류단 개구(4042o)의 하반부 전부를 덮은 상태로서, 스크루 날개(ESC2)의 회전이 멈춘 시점으로부터 로스트 커피콩(B)은 출구부(45)로부터 낙하하기 어려워져 있다. 또한 도23에 나타내는 각 출구부(45)도 비스듬하게 위쪽을 향하고 있다. 이 때문에 뚜껑부재(453)도 비스듬하게 위쪽을 향하고 있어, 상측방향으로 회전하기 어려워져 있다. 그러나 회전하는 스크루 날개(ESC2)에 의하여 반송되어 오는 로스트 커피콩(B)의 압출력에 의하여 뚜껑부재(453)는 도면 중의 화살표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회전하고, 도23(a)에 나타나 있는 출구부(45)로부터도 로스트 커피콩(B)이 송출된다.
도23(b)에 나타나 있는 덮개부재(460)는, 동 도(a)에 나타나 있는 덮개부재(460)에 비하여 뚜껑부재(453)의 크기와 형상이 다른 것 이외에는 모두 같다. 도23(b)에 나타나 있는 뚜껑부재(453)는, 하류단 개구(4042o)의 하반부 중의 일부를 덮는 것으로서 외형은 반원이다. 따라서 하류단 개구(4042o)를 획정하는 테두리(4042e)와 뚜껑부재(453) 사이에는 간격(W3)이 발생하고 있지만, 그 간격(W3)은 일반적인 로스트 커피콩(B)의 크기보다도 좁다. 도23(b)에 나타나 있는 덮개부재(460)에서도, 스크루 날개(ESC2)의 회전이 멈춘 시점으로부터 로스트 커피콩(B)이 낙하하기 어려워져 있다. 한편, 반송되어 오는 로스트 커피콩(B)의 압출력에 의하여 뚜껑부재(453)는 도면 중의 화살표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회전하여, 도23(b)에 나타나 있는 출구부(45)로부터도 로스트 커피콩(B)이 송출된다. 특히, 도23(b)에 나타나 있는 출구부(45)에서는 간격(W3)이 있기 때문에, 로스트 커피콩(B)의 통과의 허용성은 동 도(a)에 나타나 있는 출구부(45)보다도 높다.
도23(c)에 나타나 있는 덮개부재(460)는, 덮개판(461)을 제거하고 2개의 회전축(452L, 452R)과 좌우 한쌍의 뚜껑부재(453L, 453R)를 구비하는 출구부(45)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2개의 회전축(452L, 452R)은, 하류단 개구(4042o)가 비스듬하게 위쪽을 향하고 있는 관계로 수직방향으로부터 경사진 것으로 되어 있다. 좌측의 뚜껑부재(453L)는, 하류단 개구(4042o)의 좌측 반을 덮는 것으로서 외형은 반원이다. 우측의 뚜껑부재(453R)는, 하류단 개구(4042o)의 우측 반을 덮는 것으로서 외형은 반원이다. 도23(c)에 나타나 있는 출구부(45)에서도, 스크루 날개(ESC2)의 회전이 멈춘 시점으로부터 로스트 커피콩(B)이 낙하하기 어려워져 있다. 한편, 반송되어 오는 로스트 커피콩(B)의 압출력에 의하여 도면 중의 화살표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의 뚜껑부재(453L)는 우측으로 회전하고, 우측의 뚜껑부재(453R)는 좌측으로 회전하여, 도23(c)에 나타나 있는 출구부(45)로부터도 로스트 커피콩(B)이 송출된다.
또, 도23에 나타내는 각 출구부(45)도 비스듬하게 위쪽을 향하고 있지만, 바로 옆을 향한 것이더라도 좋다.
이상의 기재에서는,
『커피콩을 사용한 조제를 실시하는 커피머신으로서,
커피콩을 개구[예를 들면 하류단 개구(4042o)]를 향해서 반송하는 반송기구[예를 들면 전동 스크루 컨베이어(ESC)]와,
상기 개구의 면적을 좁히면서 상기 반송기구에 의하여 반송되어온 상기 커피콩의 통과를 허용하는 출구부[예를 들면 출구부(4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예를 들면 음료제조장치(1), 커피콩 분쇄기(GM)].』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반송기구는 통체 안에 배치된 것이며, 상기 통체는, 상류측이 상기 커피콩을 저장한 저장측이 되고, 하류측에 상기 개구를 갖춘 것이더라도 좋다.
여기에서 커피콩을 저장한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로부터의 상기 커피콩을 개구를 향해서 반송하는 반송기구와, 상기 개구의 면적을 좁히면서 상기 반송기구에 의하여 반송되어온 상기 커피콩의 통과를 허용하는 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출구부는, 가요성을 갖춘 띠모양 부재[예를 들면 띠모양 부재(451)]가 간격[예를 들면 간격(W1, W2)]을 두고서 일방향[예를 들면 가로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일방향은 가로방향이더라도 좋고, 세로방향이더라도 좋고, 경사방향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출구부는 빗(comb) 모양의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띠모양 부재는 양단이 고정되어 있는 것이더라도 좋다[예를 들면 도22(f)에 나타나 있는 띠모양 부재(451)].
또한,
『상기 띠모양 부재는 일단이 고정단이며, 타단이 자유단인[예를 들면 도22(a)∼동 도(e)에 나타나 있는 띠모양 부재(451)]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타단은, 상기 개구를 획정하는 테두리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는[예를 들면 도22(a), 동 도(d), 및 동 도(e)에 나타나 있는 띠모양 부재(451)],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 상기 타단은, 상기 개구를 획정하는 테두리[예를 들면 테두리(4042e)]로부터 내측에 제1길이만큼 떨어진 것이며, 상기 제1길이는 커피콩의 크기보다도 짧은 길이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띠모양 부재는, 상기 타단이 되는 측[예를 들면 자유단측]의 일부가, 상기 개구를 획정하는 테두리[예를 들면 테두리(4042e)]와 겹친[예를 들면 도22(b) 및 동 도(c)에 나타나 있는 띠모양 부재(451)],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조장치.』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즉 상기 타단은, 상기 테두리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것[예를 들면 도22(b)에 나타나 있는 띠모양 부재(451)에 있어서의 선단]이더라도 좋고, 상기 테두리에 위치하는 것[예를 들면 도22(c)에 나타나 있는 띠모양 부재(451)에 있어서의 선단]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간격[예를 들면 간격(W1),W2]은, 상기 커피콩의 크기보다도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출구부와는 별도로, 상기 개구의 일부를 덮는 덮개부[예를 들면 덮개판(46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 상기 덮개부는, 상기 개구의 외주를 따라 고정되어 배치된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덮개부는 판모양의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출구부는, 상기 반송기구에 의한 커피콩의 반송력[예를 들면 회전하는 스크루 날개(ESC2)에 의하여 반송되어 오는 로스트 커피콩(B)의 압출력]에 의하여 열리는 뚜껑부재[예를 들면 도23에 나타내는 뚜껑부재(453), 좌측의 뚜껑부재(453L)와 우측의 뚜껑부재(453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출구부는, 비스듬하게 위쪽을 향한[예를 들면 도21(a)에 나타나 있는 하류단 개구(4042o) 참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계속하여 콩배출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4(a)는, 커피콩 분쇄기(GM)의 센터 케이싱(GM10)에 형성된 콩배출구(GM20)를 개폐하는 뚜껑유닛(GM21)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동 도(b)는 그 뚜껑유닛(GM21)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커피콩 분쇄기(GM)의 센터 케이싱(GM10)의 상부는 옵션부착부(GM1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센터 케이싱(GM10)의 높이방향 중간부분에는, 누름으로써 그라인드 처리의 시작을 지시하는 스타트 버튼(GM1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센터 케이싱(GM10)의 하부는 제1그라인더(5A)를 덮고 있다. 도24(b)에 나타나 있는 콩배출구(GM20)는, 옵션부착부(GM11)보다도 하류이고 제1그라인더(5A)보다는 상류에 설치되어 있다. 즉 콩배출구(GM20)의 위치는, 옵션부착부(GM11)에 계량유닛(404)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계량유닛(404)의 송출구(4043)(도21(a) 참조)보다도 하류측의 위치이고, 옵션부착부(GM11)에 저장유닛(401∼403)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저장유닛의 공급구(USP)(도21(a) 참조)보다도 하류측의 위치이다. 콩배출구(GM20)로부터는, 저장유닛(401∼403)에 저장되어 있었던 로스트 커피콩이 배출된다. 또한 옵션부착부(GM11)에 계량유닛(404)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콩배출구(GM20)로부터는, 계량의 결과, 남은 콩이 배출되는 경우도 있다. 콩배출구(GM20)로부터 배출된 로스트 커피콩이 날아서 흩어지는 일이 없도록, 센터 케이싱(GM10)에는 안내로 형성부재(GM22)가 부착되어 있다. 도2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콩배출구(GM20)로부터 배출된 로스트 커피콩(B)은, 이 안내로 형성부재(GM22)에 안내되어서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미끄러져 떨어진다. 안내로 형성부재(GM22)의 선단 부근에 회수용기를 꽉 대면, 배출된 로스트 커피콩을 회수용기로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도2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뚜껑유닛(GM21)은, 내뚜껑(GM211)과 겉뚜껑(GM212)을 갖춘다. 내뚜껑(GM211)은, 도24(a)에 나타나 있는 닫힌 상태에서는, 센터 케이싱(GM10)의 내측에 설치된,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콩반송로의 둘레벽을 구성하는 일부이다. 한편, 겉뚜껑(GM212)은, 도24(a)에 나타나 있는 닫힌 상태에서는, 센터 케이싱(GM10)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재이다. 센터 케이싱(GM10)에 형성된 콩배출구(GM20)는, 이 겉뚜껑(GM212)에 의하여 막혀져 있다.
뚜껑유닛(GM21)은, 예를 들면 계량유닛(404)에 의한 계량이 종료하고, 계량한 로스트 커피콩을 제1그라인더(5A)에 반송한 후에, 제어장치(11)의 제어에 의하여 폐쇄상태로부터 자동으로 개방상태가 된다. 뚜껑유닛(GM21)이 개방상태가 되면, 스크루 날개(ESC2)가 회전을 재개하여 남은 로스트 커피콩이 반송되고, 제1그라인더(5A)에 도달하기 전에 콩배출구(GM20)로부터 배출된다. 전동 스크루 컨베이어(ESC)내에 로스트 커피콩이 남아 있으면, 다음에 종류가 다른 로스트 커피콩을 그라인드 처리할 때에, 종류가 서로 다른 로스트 커피콩이 혼합되어버린다. 이 때문에 남은 로스트 커피콩을 전동 스크루 컨베이어(ESC)내에서 외부로 배출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계량유닛(404)이 장착되어 있지 않고, 같은 종류의 로스트 커피콩을 분쇄할 경우이더라도 콩배출구(GM20)는 유효하게 기능한다. 보통, 제1그라인더(5A)의 제1모터의 회전속도가 정속에 도달할 때까지는 로스트 커피콩을 제1그라인더(5A)로 공급하지 않지만, 제1그라인더(5A)의 전방에 남아 있는 콩은, 제1그라인더(5A)에 의하여 분쇄되어버려 버릴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콩배출구(GM20)가 있으면, 콩배출구(GM20)로부터 제1그라인더(5A)의 전방에 남아 있는 콩을 회수할 수 있어, 콩의 낭비가 발생하지 않는다. 뚜껑유닛(GM21)은, 제1그라인더(5A)의 구동이 정지하면, 제어장치(11)의 제어에 의하여 폐쇄상태로부터 자동으로 개방상태가 된다. 또, 자동으로 개방상태가 되는 경우에는, 미리 개방상태가 되는 것이 통지된다. 또한 남은 로스트 커피콩에 한하지 않고, 그라인드 처리를 도중에 중지하는 경우에도, 뚜껑유닛(GM21)이 열리고 커피콩 분쇄기(GM) 내부로부터 로스트 커피콩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뚜껑유닛(GM21)은, 수동으로 개방상태로 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제1그라인더(5A)가 구동중인 경우에는 뚜껑유닛(GM21)에 오토록(auto lock)이 걸려 열릴 수 없지만, 제1그라인더(5A)가 정지중인 경우에는, 그 오토록이 해제되어 언제라도 수동으로 열릴 수 있는 태양이더라도 좋다. 또는, 휴대단말(17) 등의 외부단말로부터의 지시에 의해서도 뚜껑유닛(GM21)이 열리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커피콩 분쇄기(GM)에 있어서의 그라인드 방법에서는, 우선, 제1그라인더(5A)의 상류에 설치된 옵션부착부(GM11)에 커피콩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유닛(401∼403)을 부착한다(부착스텝). 계속하여 옵션부착부(GM11)에 부착된 저장유닛에 저장되어 있는 커피콩을 제1그라인더(5A)로 공급한다(공급스텝). 그리고 공급된 커피콩을 제1그라인더(5A)로 분쇄한다(그라인드 스텝). 마직막으로, 저장유닛(401∼403)과 제1그라인더(5A)의 사이에 남아 있는 커피콩을 콩배출구(GM20)로부터 외부로 배출한다(배출스텝).
또, 콩배출구(GM20) 및 그 콩배출구(GM20)를 개폐하는 겉뚜껑(GM212)은, 도1에 나타내는 음료제조장치(1)에도 적용할 수 있다. 콩배출구(GM20)는, 정보표시장치(12)의 부착위치를 변경하여 분쇄장치(5)보다도 상류가 되는, 콩투입구(103)의 하방의 위치에 설치해도 좋다.
이상의 기재에 의하면,
『커피콩을 분쇄하는 그라인더[예를 들면 분쇄장치(5)]을 구비한 커피콩 분쇄기로서,
상기 그라인더의 상류에, 옵션부착부[예를 들면 옵션부착부(GM11)]를 구비하고,
상기 옵션부착부에, 커피콩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유닛[예를 들면 도18에 나타내는 캐니스터 수납유닛(401), 도20(a)에 나타나 있는 호퍼유닛(402)]을 부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기[예를 들면 도18에 나타내는 커피콩 분쇄기(GM)].』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 커피콩 분쇄기에 의하면, 상기 옵션부착부에 다양한 옵션유닛을 부착할 수 있어서 발전성(發展性)이 우수하다. 옵션유닛의 일례로서는, 상기 그라인더로 공급하는 로스트 커피콩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유닛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옵션부착부에, 커피콩을 유입시키는 깔때기 유닛[예를 들면 도20(b)에 나타나 있는 펀넬유닛(403)]을 부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기.』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옵션부착부에, 커피콩을 계량해서 하류측을 향하여 반송하는 계량유닛[예를 들면 도21에 나타내는 계량유닛(404)]을 부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기.』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그라인더의 상류이며 상기 옵션부착부의 하류에, 커피콩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예를 들면 콩배출구(GM2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기.』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뚜껑[예를 들면 겉뚜껑(GM212)]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기.』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커피콩 분쇄기와 통신할 수 있는 외부장치(예를 들면 서버(16), 휴대단말(1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 시스템(예를 들면 도10이나 도19).」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커피콩을 분쇄하는 그라인더에 있어서의 커피콩의 그라인드 방법으로서,
상기 그라인더의 상류에 설치된 옵션부착부[예를 들면 옵션부착부(GM11)]에 커피콩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유닛[예를 들면 도18에 나타내는 캐니스터 수납유닛(401), 도20(a)에 나타나 있는 호퍼유닛(402), 도20(b)에 나타나 있는 펀넬유닛(403)]을 부착하는 부착스텝과,
상기 옵션부착부에 부착되는 저장유닛에 저장되어 있는 커피콩을 상기 그라인더에 의하여 분쇄하는 그라인드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의 그라인드 방법.」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이상의 기재에 의하면,
『커피콩을 분쇄하는 그라인더[예를 들면 분쇄장치(5)]를 구비한 커피콩 분쇄기로서,
상기 그라인더의 상류에, 커피콩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예를 들면 콩배출구(GM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기[예를 들면, 도1에 나타내는 음료제조장치(1)나 도18에 나타내는 커피콩 분쇄기(GM)].』
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 커피콩 분쇄기에 의하면, 상기 그라인더로 공급할 필요가 없는 커피콩을 상기 배출구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결과, 그라인드 처리할 필요가 없는 커피콩을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뚜껑[예를 들면 겉뚜껑(GM21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기.』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그라인더의 상류에, 커피콩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예를 들면 저장장치(4)]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었던 커피콩을 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기.』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그라인더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체[예를 들면 센터 케이싱(GM10)]을 구비하고,
상기 뚜껑이 개방상태인 경우에, 상기 커버체의 일부도 개방상태가 되어 커피콩이 배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기.』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저장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체[예를 들면 센터 케이싱(GM10)]을 구비하고,
상기 뚜껑이 개방상태인 경우에, 상기 커버체의 일부도 개방상태가 되어 커피콩이 배출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기.』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커피콩을 안내하는 안내로[예를 들면 안내로 형성부재(GM22)에 의하여 형성된 안내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기.』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커피콩 분쇄기와 통신할 수 있는 외부장치(예를 들면 서버(16), 휴대단말(1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 시스템(예를 들면 도10이나 도19).」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커피콩을 분쇄하는 그라인더에 있어서의 커피콩의 그라인드 방법으로서,
상기 그라인더에 커피콩을 공급하는 공급스텝과,
상기 공급스텝에서 공급된 커피콩을 상기 그라인더에 의하여 분쇄하는 그라인드 스텝과,
상기 그라인더의 상류에 설치된 배출구로부터 커피콩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의 그라인드 방법.」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다음에, 커피콩 분쇄기(GM)의 분쇄장치(5)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분쇄장치(5)의 기본구성은, 도12∼도17을 사용하여 설명한 분쇄장치(5)의 기본구성과 같아서, 제1그라인더(5A), 제2그라인더(5B) 및 분리장치(6)를 갖춘다. 이하, 도12∼도17을 사용하여 설명한 분쇄장치(5)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25는, 도24에 나타내는 안내로 형성부재(GM22)가 정면을 향한 자세의 커피콩 분쇄기(GM)에 내장된 분쇄장치(5)의 주요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25에는, 상류측으로부터 제1그라인더(5A), 형성유닛(6B) 및 제2그라인더(5B)가 배치되어 있다. 즉 형성유닛(6B)은, 제1그라인더(5A)의 하류이며 제2그라인더(5B)의 상류에 설치되어 있다. 제1그라인더(5A) 및 제2그라인더(5B)는, 캐니스터 수납유닛(401), 호퍼유닛(402) 혹은 펀넬유닛(403)이라고 하는 저장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로스트 커피콩을 분쇄하는 기구이다. 또한 도21(a)에 나타나 있는 계량유닛(404)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그라인더(5A) 및 제2그라인더(5B)는, 전동 스크루 컨베이어(ESC)에 의하여 반송되어 오는 로스트 커피콩을 분쇄하는 기구가 된다. 제1그라인더(5A)와 형성유닛(6B)의 접속구조는, 도13을 사용하여 설명한 접속구조와 같다, 즉 형성유닛(6B)에는, 여기에서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통모양부(65)(도13 참조)가 설치되고, 그 통모양부(65)의 상단의 개구부(65a)(도13 참조)에 제1그라인더(5A)의 배출구(51a)(도13 또는 도26 참조)가 접속하고 있다.
형성유닛(6B)의 배출구(66)에는, 연결덕트(661)의 상단이 접속하고 있다. 도25에서는, 이 연결덕트(661)의 하측부분이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에 의하여 보이지 않고 있다. 연결덕트(661) 및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은 커피콩 분쇄기(GM)에만 설치된 것으로서,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도25에는, 제2그라인더(5B)를 구성하는, 상측에 배치된 고정칼날(57b)과 하측에 배치된 회전칼날(58b)이 나타나 있다.
또한 고정칼날(57b)은 회전칼날(58b)에 대하여 승강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회전칼날(58b)과 고정칼날(57b)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분쇄두의 입도를 조정할 수 있다. 도25에는, 고정칼날(57b)의 승강기구의 일부로서, 웜휠(691)과, 웜휠(691)에 교합한 웜기어(692)도 나타나 있다. 고정칼날(57b)의 승강기구에 관해서도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우선, 제1그라인더(5A)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6은, 제1그라인더(5A)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6에 나타내는 제1그라인더(5A)는, 커피콩에 부착되어 있는 불요물을 분리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예를 들면 1/4정도)의 크기로 분쇄하기 위한 그라인더이다. 도26에서는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한 회전축이 상방으로부터 연장하고 있고, 그 회전축에 커터인 회전칼날(58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칼날(58a)의 주위에는, 커터인 고정칼날(57a)이 설치되어 있다. 도26에 나타내는 고정칼날(57a)은, 본체부(53a)의 내주면에 설치된 것이다. 회전축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제1모터(도12에 나타내는 모터(52a) 참조)에 의하여 회전하여 회전칼날(58a)이 회전한다.
센터 케이싱(GM10)의 내측에 설치된 콩반송로로 유입된 로스트 커피콩은, 도24(b)에 나타나 있는 내뚜껑(GM211)에 의하여 막혀진 부분을 통과하여 제1그라인더(5A)에 도달한다.
도27은, 도19에 나타내는 처리부(11a)에 의하여 실행되는, 제1그라인더(5A)의 그라인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27에 나타내는 제1그라인더(5A)의 그라인드 처리는, 도24에 나타내는 스타트 버튼(GM15)이 눌려지는 것에 대응하여 시작된다. 또한 도21에 나타내는 계량유닛(404)이 옵션부착부(GM11)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크루 날개(ESC2)의 회전개시에 대응하여 시작되어도 좋다. 한편, 설정량의 로스트 커피콩을 전동 스크루 컨베이어(ESC)가 다 반송하고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종료조건이 만족되어, 제1그라인더(5A)의 그라인드 처리는 종료한다. 또, 제1그라인더(5A)의 투입구를 통과하는 로스트 커피콩을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해 두고, 이 센서의 검출결과에 대응하여, 제1그라인더(5A)의 그라인드 처리를 시작하거나 종료하여도 좋다.
우선, 처리부(11a)는 제1모터의 정회전을 시작시켜(스텝 S11), 회전칼날(58a)이 정회전을 시작한다. 계속하여 상기 종료조건이 만족되고 있는가 아닌가에 의하여 제1모터의 정회전을 계속시킬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여(스텝 S12), 종료조건이 만족하고 있으면, No의 판정결과가 되어 제1모터의 정회전을 정지시키고(스텝 S17), 제1그라인더(5A)의 그라인드 처리는 종료한다. 한편, 종료조건을 만족하지 않고 있으면, Yes의 판정결과가 되어 스텝 S13으로 진행하여 제1모터의 정회전은 계속된다.
회전칼날(58a)의 상면(58a1)은, 정회전방향 하류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적어도, 회전칼날(58a)의 상면(58a1)의 가장 높은 위치는 고정칼날(57a)보다도 위의 위치가 된다. 제1그라인더(5A)에 도달한 로스트 커피콩은, 회전하는 회전칼날(58a)의 상면(58a1)으로 안내됨과 아울러 원심력에 의하여 고정칼날(57a)로 향하거나, 혹은 회전칼날(58a)의 상면(58a1)에 안내되지 않더라도 고정칼날(57a)로 향하여 고정칼날(57a)과 회전하는 회전칼날(58a)과의 사이에 끼워져 있도록 해서 분쇄된다. 분쇄된 분쇄두는 배출구(51a)(도26(a) 참조)부터 형성유닛(6B)으로 배출된다.
드물기는 하지만, 제1그라인더(5A)에 도달한 로스트 커피콩(B) 중에 돌이나 못과 같은 로스트 커피콩(B)보다도 딱딱한 이물질이 혼합되어 들어가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이물질은, 고정칼날(57a)과 회전칼날(58a)의 사이에서 분쇄할 수 없어, 그 사이에 끼워져 있는 채로 있어서 회전칼날(58a)이 정상적으로 회전할 수 없게 되어버린다.
도26(a)에서는 고정칼날(57a)과 회전칼날(58a)의 사이에 돌(St)이 끼여 있어, 회전칼날(58a)이 정상적으로 정회전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즉 회전이 정지하거나, 회전속도가 대폭적으로 늦게 된다. 도19에 나타내는 처리부(11a)는, 제1모터에 흐르는 전류치를 감시하고 있다. 회전칼날(58a)이 정상적으로 정회전할 수 없게 되면 전류치가 이상치(異常値)(기준치를 넘은 값)가 된다. 도27에 나타내는 스텝 S13에서는, 처리부(11a)는, 그 전류치가 이상치인가 아닌가의 판정을 실시하여, 전류치가 정상값이면 스텝 S12로 되돌아간다. 한편, 전류치가 이상치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제1모터를 역회전 시켜(스텝 S14), 회전칼날(58a)이 역회전을 시작한다.
도26(b)는, 제1모터가 역회전을 시작하여 고정칼날(57a)과 회전칼날(58a)의 사이에 끼여 있었던 돌(St)이 낙하하고 있다. 또, 처리부(11a)는, 전류치 이외에, 회전토크를 감시하여 회전토크의 값이 이상치인가 아닌가의 판정을 하여도 좋다. 또는, 처리부(11a)는, 제1모터를 감시하는 것이 아니라, 회전칼날(58a)의 회전수나 회전속도를 감시하여 그들의 값이 이상치인가 아닌가의 판정을 하여도 좋다.
도27에 나타내는 스텝 S14에 계속되는 스텝 S15에서는, 이상치가 검출된 것에 관한 통지의 출력을 지시한다. 여기에서의 통지는, 정보표시장치(12)의 표시화면에 표시되는 에러표시(예를 들면 「제1그라인더(5A)에 콩막힘 에러가 발생했습니다」라고 하는 문자표시)이지만, 정보표시장치(12)에 설치된 스피커로부터 에러통지음을 출력하더라도 좋다. 또한 처리부(11a)는, 기억부(1lb)에 이상치가 검출된 것을 나타내는 로그를 기록한다(스텝 S16). 또, 이상통지와 이상로그기록은 어느쪽인가 하나가 먼저 실행되더라도 좋고, 동시에 실행되더라도 좋다. 또는, 어느쪽인가 일방만이 실행되지 않아도 좋고, 양쪽 모두 실행되지 않아도 좋다.
스텝 S16의 실행이 완료하면, 스텝 S11로 되돌아가서 처리부(11a)는 제1모터의 정회전개시의 지시를 출력한다.
도26(c)에서는 제1모터의 회전이 정회전으로 복귀하고, 로스트 커피콩(B)이 정상적으로 분쇄되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 도26(b)에 나타나 있는 제1모터의 역회전은 한 순간이며, 정회전으로의 복귀는 바로 이루어진다. 또, 제1모터의 역회전을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 계속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이상통지가 이루어지고 있는 사이에는 제1모터의 역회전을 계속하고, 정회전으로 복귀하면, 「콩막힘 에러가 해소되었습니다」라고 하는 에러해소통지를 출력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도26(b)에서 낙하해간 돌(St)은 제2그라인더(5B)에 도달한다. 제2그라인더(5B)는 미세분쇄용의 그라인더이기 때문에 고정칼날(57b)과 회전칼날(58b)의 간격이 좁아서, 이 간격에 삽입할 가능성은 낮아 고정칼날(57b)의 위에 실린 채로 있다. 스텝 S15에 있어서의 에러통지나 스텝 S16의 이상로그의 기억에 의하여, 이 후에 분쇄장치(5)의 메인터넌스가 이루어지고 그 때에 돌(St)은 제거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처리부(11a)가 실행하는 제1그라인더(5A)의 그라인드 처리 안에서 제1모터의 역회전이 이루어지지만, 도19에 나타내는 휴대단말(17) 등의 외부단말로부터 제1모터의 역회전시작의 지시가 출력될 수 있어도 좋다. 또는, 외부단말로부터 제1모터의 회전정지의 지시가 출력 가능하게 되어도 좋다. 또한 외부단말로부터 커피콩 분쇄기(GM) 전체의 동작정지의 지시가 출력 가능하게 되어도 좋다. 처리부(11a)는, 이러한 외부단말로부터의 지시에 대응하여 액추에이터군(14)의 제어를 실시한다.
또한 도26을 사용한 설명에서는, 고정칼날(57a)과 회전칼날(58a)의 사이에 돌이 끼워져 있을 경우의 예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매우 딱딱하게 변질된 로스트 커피콩이 끼워져 있는 경우도 있고, 이러한 경우이어도 스텝 S14의 역회전제어가 이루어짐으로써 제1그라인더(5A)의 그라인드 처리를 계속할 수 있다. 또한 제1모터나 고정칼날(57a)이나 회전칼날(58a)을 상하지 않게 한다.
또, 제1모터를 역회전 시키는 역회전 스위치를 설치해 두고, 이상치가 검출되면, 스텝 S14의 역회전제어는 실시하지 않고 스텝 S15의 이상통지의 지시를 실시하고, 제1모터의 역회전은, 이 커피콩 분쇄기(GM)의 사용자가 역회전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이루어지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21에 나타내는 계량유닛(404)을 사용하면, 로스트 커피콩의 계량을 더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지만, 이 계량유닛(404)을 사용하지 않아도, 제1그라인더(5A)에 단위시간당 소정량의 로스트 커피콩이 계속 공급되는 것을 전제로 하면, 제1그라인더(5A)로 계량할 수 있다. 즉 제1그라인더(5A)의 제1모터의 전류치가, 콩을 분쇄하기 시작하면서 높아지기까지의 시간을 계측함으로써 제1그라인더(5A)가 콩을 분쇄한 양을 산출할 수 있다.
이상, 도26 및 도27을 사용하여 설명한 제1그라인더(5A)의 그라인드 처리는, 도1에 나타내는 음료제조장치(1)에 있어서의 제1그라인더(5A)의 그라인드 처리로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26 및 도27을 사용하여 설명한 제1그라인더(5A)의 그라인드 처리는, 제2그라인더(5B)의 그라인드 처리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의 기재에 의하면,
『커피콩을 분쇄하는 그라인더[예를 들면 제1그라인더(5A)]를 구비한 커피머신으로서,
상기 그라인더는, 소정의 회전동작이 가능한 분쇄부[예를 들면 회전칼날(58a)]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분쇄부가 정상의 회전동작을 행할 수 있는 정상상태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판정장치[예를 들면 도27에 나타내는 스텝 S13을 실행하는 처리부(11a)]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예를 들면 도1에 나타내는 음료제조장치(1)나 도18에 나타내는 커피콩 분쇄기(GM)].』
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 커피머신에 의하면, 상기 판정장치의 판정결과에 의하여 상기 분쇄부가 정상인 회전동작을 할 수 없다라고 하는 이상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라인더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예를 들면 도10이나 도19에 나타내는 처리부(11a)]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판정장치가 상기 분쇄부가 상기 정상상태가 아니라고 판정하였을 경우에, 소정의 회전동작과는 역방향의 회전동작을 상기 분쇄부에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인[예를 들면 도27에 나타내는 스텝 S14],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분쇄부를 구동하는 구동부[예를 들면 도12에 나타내는 모터(52a)나 제1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판정장치는, 상기 구동부에 흐르는 전류가 소정치를 넘는 것인가 아닌가에 의하여 상기 분쇄부가 상기 정상상태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것인[예를 들면 도27에 나타내는 스텝 S13],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판정장치가 상기 분쇄부가 상기 정상상태가 아니라고 판정하였을 경우에, 이상상태라는 취지를 통지[예를 들면 에러표시나 에러통지음의 출력]하는 통지장치[예를 들면 정보표시장치(1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판정장치가 상기 분쇄부가 상기 정상상태가 아니라고 판정하였을 경우에, 이상상태라는 취지[예를 들면 이상로그]를 기억할 수 있는 기억장치[예를 들면 도10이나 도19에 나타내는 기억부(1lb)]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커피머신과 통신할 수 있는 외부장치(예를 들면 서버(16), 휴대단말(1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시스템(예를 들면 도10이나 도19).」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커피콩을 분쇄하는 분쇄부의 회전동작을 시작하는 시작스텝[예를 들면 도27에 나타내는 스텝 S11]과,
상기 분쇄부가 정상인 회전동작을 행할 수 있는 정상상태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판정스텝[예를 들면 도27에 나타내는 스텝 S13]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의 그라인드 방법.」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계속하여, 도25에서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던 흡인유닛(6A)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8(a)는, 분리장치(6)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28(a)에는, 분리장치(6)를 구성하는 흡인유닛(6A)과 형성유닛(6B)이 나타나 있다.
도28(a)에 나타나 있는 형성유닛(6B)의 구성은, 도13∼도17을 사용하여 설명한 형성유닛(6B)의 구성과 같아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28(a)에 나타나 있는 흡인유닛(6A)은, 분쇄두의 통과방향(BP)(이 예에서는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 예에서는 좌우방향)으로 분리실(SC)(도13 및 도15도 참조)와 통하게 되어, 분리실(SC)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유닛이다. 분리실(SC)내의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채프나 미분이라고 하는 경량의 물체가 흡인된다. 이에 따라 분쇄두로부터 불요물을 분리할 수 있다.
흡인유닛(6A)은 원심분리방식의 기구이다. 흡인유닛(6A)은, 송풍유닛(60A) 및 회수용기(60B)를 구비한다. 송풍유닛(60A)은 팬모터로서, 이 팬모터가 구동됨으로써 분리실(SC)내의 공기가 흡인되어, 채프나 미분이라고 하는 경량의 물체가 회수용기(60B)내로 모아진다. 이 송풍유닛(60A)은, 도18에 나타내는 케이싱(60C)으로 덮여져 있어, 도18에 나타내는 커피콩 분쇄기(GM)의 외관 사시도에서는 송풍유닛(60A)은 보이지 않고 있다. 케이싱(60C)의 이면측에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배기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송풍유닛(60A)으로 흡인된 공기는 그 배기슬릿으로부터 커피콩 분쇄기(GM)의 밖으로 배기된다. 송풍유닛(60A)의 상방에는, 풍량 다이얼(60D)(도18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이 풍량 다이얼(60D)을 조작함으로써 송풍유닛(60A)의 팬모터의 흡입량을 변경할 수 있다.
도28(a)에 나타나 있는 회수용기(60B)는, 도13 및 도14를 사용하여 설명한 회수용기(60B)와 마찬가지로, 상부(61)와 하부(62)로 구성되어 있다.
도28(b)는, 회수용기(60B)의 상부(61)의 외주벽(61a)(동 도(a) 참조)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8(b)에는, 제거한 외주벽(61a)에 부착되어 있는 송풍유닛(60A)이 나타나 있다. 또한 상부(61)의 배기통(6lb)도 나타나 있다. 도28(b)에 나타나 있는 배기통(6lb)도, 도14에 나타내는 배기통(6lb)과 마찬가지로 둘레면에 복수의 핀(61d)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핀(61d)은 배기통(6lb)의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개개의 핀(61d)은, 배기통(61b)의 축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경사져 있다. 이러한 핀(61d)를 설치함으로써 불요물을 포함한 공기가 배기통(6lb)의 주위에서 선회하는 것을 촉진한다.
또한 도28(b)에는, 회수용기(60B)의 하부(62)의 내부구조가 보이고 있다. 도28(b)에 나타나 있는 하부(62)는, 도14에 나타내는 하부(62)와는 달리 외측 케이스(60Bo)와 내측 케이스(60Bi)에 의한 2중구조이다. 도28(b)에서는 외측 케이스(60Bo)의 내측에 배치된 내측 케이스(60Bi)의 일부가 보이고 있다. 내측 케이스(60Bi)는 상방을 향해서 개구한 상단 개구(6uo)를 구비하고 있고, 그 상단 개구(6uo)의 내측 상방으로 배기통(6lb)이 위치하고 있다.
도29(a)는, 외측 케이스(60Bo)를 떼어낸 분리장치(6)를 비스듬히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이 도29(a)에는, 내측 케이스(60Bi)가 나타나 있다. 내측 케이스(60Bi)의 둘레벽(6iw)에 있어서의 밑부분에는,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이 예에서는 4개)의 개구(6io)가 형성되어 있다. 각 개구(6io)를 획정하는 테두리 중에 하부 테두리(6ioe)는, 내측 케이스(60Bi)의 바닥면(6ibs)의 외주 가장자리의 일부가 된다.
도29(b)는, 외측 케이스(60Bo)와 내측 케이스(60Bi)의 위치관계를 외측 케이스(60Bo)를 투시함으로써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9(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외측 케이스(60Bo)의 높이방향 중간위치 부근에 내측 케이스(60Bi)의 바닥면(6ibs)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외측 케이스(60Bo)의 내주면(6ois)과 내측 케이스(60Bi)의 외주면(6ios)의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도30(a)는, 도29에 나타내는 분리장치내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 등의 현상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0(a) 및 후술하는 동 도(b)에서는 채프나 미분이라고 하는 불요물을 포함한 공기의 흐름을 실선 또는 점선의 화살표로 나타내고, 불요물의 움직임을 1점쇄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며, 불요물이 분리된 공기의 흐름을 2점쇄선의 화살표로 나타낸다.
송풍유닛(60A)의 구동에 의하여, 도29(a)에 나타나 있는 형성유닛(6B)내의 분리실(SC)로부터, 채프나 미분이라고 하는 불요물을 포함한 공기가 접속부(61c)를 통해서 회수용기(60B)의 상부(61)의 내부에 도달한다. 접속부(61c)는 배기통(6lb)의 측방으로 개구하고 있어, 불요물을 포함한 공기는, 도30(a)에 실선 및 점선의 화살표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기통(6lb)의 주위를 선회하고, 이윽고 내측 케이스(60Bi)의 상단 개구(6uo)로부터 내측 케이스(60Bi)내로 들어간다. 내측 케이스(60Bi)내의 상방부분에서는, 채프나 미분이라고 하는 불요물이 그 중량에 의하여 낙하해(1점쇄선의 화살표 참조), 내측 케이스(60Bi)의 바닥면(6ibs) 근방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6io)로부터, 외측 케이스(60Bo)내로 더 낙하하여(1점쇄선의 화살표 참조), 외측 케이스(60Bo)의 바닥면(6obs)에 퇴적한다. 내측 케이스(60Bi)내에서 불요물이 낙하하여 불요물이 분리된 공기는, 2점쇄선의 화살표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내측 케이스(60Bi)내에서 상승기류가 되어서 배기통(6lb)의 중심축을 따라 상승하고, 도18에 나타내는 케이싱(60C)의 이면측에 형성된 배기슬릿(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으로부터 커피콩 분쇄기(GM)의 밖으로 배기된다. 이 결과, 채프나 미분이라고 하는 불요물이 퇴적하고 있는 케이스(외측 케이스(60Bo))와 상승기류가 발생하는 케이스(내측 케이스(60Bi))는 서로 다른 케이스가 되어, 불요물의 날아오름이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불요물이 역류하는 것이 저감된다.
또한, 외측 케이스(60Bo)도 내측 케이스(60Bi)도 전체가 투명해서, 내부의 상태를 밖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채프나 미분이라고 하는 불요물의 퇴적상황이나 기류의 흐름을 밖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또, 전체가 투명하지 않아도 일부가 투명하여도 좋고, 또한 투명한 대신에 반투명이라도 좋다.
도30(b)는, 변형예의 분리장치내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 등의 현상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내측 케이스(60Bi)의 상단은 완전히 개구하고 있지 않고, 도넛 모양의 상판(6ub)으로 막혀져 있다. 배기통(6lb)의 주위를 선회하는 채프나 미분이라고 하는 불요물을 포함한 공기는, 계속하여 내측 케이스(60Bi)의 외주면(6ios)을 따라 선회를 계속하고, 내측 케이스(60Bi)의 바닥면(6ibs)을 향한다(실선 및 점선의 화살표 참조). 이윽고, 내측 케이스(60Bi)의 바닥면(6ibs) 근방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6io)로부터 내측 케이스(60Bi)로 들어간다. 이 때에, 채프나 미분이라고 하는 불요물이 그 중량에 의하여 낙하하고(1점쇄선의 화살표참조), 외측 케이스(60Bo)의 바닥면(6obs)에 퇴적한다. 불요물이 낙하해 불요물이 분리된 공기는, 2점쇄선의 화살표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내측 케이스(6Bi)내에서 상승기류가 되어 내측 케이스(6Bi)의 중심축을 따라 상승하고, 배기통(6lb)의 내측을 통하여 상방을 향하여 도18에 나타내는 케이싱(60C)의 이면측에 형성된 배기슬릿(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으로부터 커피콩 분쇄기(GM)의 밖으로 배기된다. 이 변형예에서도, 채프나 미분이라고 하는 불요물이 퇴적하고 있는 케이스(외측 케이스(60Bo))와 상승기류가 발생하는 케이스(내측 케이스(60Bi))는 서로 다른 케이스가 되어, 불요물의 날아오름이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불요물이 역류하는 것이 저감된다.
이상, 도28∼도30을 사용하여 설명한 분리장치(6)는, 도1에 나타내는 음료제조장치(1)의 분리장치로서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의 기재에 의하면,
『커피콩을 분쇄하는 그라인더[예를 들면 제1그라인더(5A)]와,
커피콩으로부터 불요물[예를 들면 채프나 미분]을 분리하는 분리부[예를 들면 분리실(SC)]와,
상기 분리부에 있어서 커피콩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불요물을 저장하는 저장부[예를 들면 회수용기(60B)의 하부(62)]
를 구비한 커피머신으로서,
상기 저장부는, 외측 케이스체[예를 들면 도28이나 도29(b)에 나타나 있는 외측 케이스(60Bo)] 및 상기 외측 케이스체의 내부에 내측 케이스체[예를 들면 도29에 나타내는 내측 케이스(60Bi)]를 구비하는 것이고,
상기 내측 케이스체는, 둘레벽[예를 들면 도29(a)에 나타나 있는 둘레벽(6iw)]에 상기 외측 케이스체의 내부로 이어지는 개구[예를 들면 개구(6io)]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예를 들면 도1에 나타내는 음료제조장치(1)나 도18에 나타내는 커피콩 분쇄기(GM)].』
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기 개구는, 상기 불요물이 통과하는 경우가 있어도 좋고, 기류가 통과하는 경우가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저장부보다도 상방에 흡인부[예를 들면 송풍유닛(60A)]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케이스체는, 상기 둘레벽보다도 내측으로 상기 불요물을 포함한 기류가 들어가고, 상기 내측에서 상기 불요물이 자체 중량에 의하여 낙하하는[예를 들면 도30(a)에 나타나 있는 1점쇄선] 한편, 상기 흡인부에 의하여 흡인되어서 상승하는 기류[예를 들면 도30(a)에 나타나 있는 2점쇄선]이 발생하는 것이며,
상기 외측 케이스체는, 상기 개구를 통과한 상기 불요물[예를 들면 도30(a)에 나타나 있는 1점쇄선]을 저장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내측 케이스체는, 상기 둘레벽을 따라 상기 불요물을 포함한 기류가 선회하고, 상기 개구 부근에서, 상기 불요물이 자체 중량에 의하여 낙하하는[예를 들면 도30(b)에 나타나 있는 1점쇄선의 화살표] 한편, 상기 흡인부에 의하여 흡인되어서 상승하는 기류[예를 들면 도30(b)에 나타나 있는 2점쇄선의 화살표]가 발생하는 것이며, 상기 외측 케이스체는, 상기 개구 부근으로부터 낙하해온 상기 불요물[예를 들면 도30(b)에 나타나 있는 1점쇄선의 화살표]을 저장하는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외측 케이스체는, 투명부[예를 들면 전체가 투명]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내측 케이스체는, 투명부[예를 들면 전체가 투명]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저장부보다도 상방에, 상기 저장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예를 들면 케이싱(60C)의 이면측에 형성된 배기슬릿]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그라인더는, 제1그라인더[예를 들면 제1그라인더(5A)] 및 제2그라인더[예를 들면 제2그라인더(5B)]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분리부는, 상기 제1그라인더의 하류이며 상기 제2그라인더의 상류에 설치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커피머신과 통신할 수 있는 외부장치(예를 들면 서버(16), 휴대단말(1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시스템(예를 들면 도10이나 도19).」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커피콩을 그라인드 처리할 때에 그 커피콩으로부터 발생하는 불요물의 회수방법으로서,
커피콩으로부터 불요물을 분리하는 분리스텝과,
외측 케이스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둘레벽에 상기 외측 케이스체의 내부로 이어지는 개구가 형성된 내측 케이스체의 상기 둘레벽보다도 내측에 상기 불요물을 포함한 기류를 향하게 하는 제1스텝과,
상기 둘레벽보다도 내측을 상방으로부터 흡인함으로써 상기 내측에 있어서 상승기류를 생기게 하는 제2스텝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요물의 회수방법.」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이 불요물의 회수방법에 의하면, 상기 제2스텝에 있어서 상기 불요물은 상기 내측 케이스체의 저벽으로 자체 중량에 의하여 낙하하고, 또한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외측 케이스체의 저벽으로까지 낙하하는 경우가 있다.
이어서, 연결덕트(66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31은, 도25에 나타내는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을 떼어내고, 연결덕트(661)의 전체가 보이도록 한 도면이다.
도31에는, 제2그라인더(5B)를 구성하는 회전칼날(58b)과, 그 회전칼날(58b)에 대하여 승강시킬 수 있는 고정칼날(57b)과, 고정칼날(57b)의 승강기구의 일부로서 웜휠(691)과 웜휠(691)에 교합한 웜기어(692)가 나타나 있다. 웜휠(691)은, 기어부(691g)와 접속부(691c)와 연결구(連結口)(691j)(도32 참조)를 갖춘다. 또한 도31에는, 고정칼날(57b)과 웜휠(691)의 사이에 설치된 홀더부(693)가 나타나 있다. 고정칼날(57b)은, 홀더부(693)를 통하여 웜휠(691)의 접속부(691c)에 나사결합 되어 있다. 따라서 웜휠(691)의 기어부(691g)가 회전하면 홀더부(693)와 함께 고정칼날(57b)도 회전한다. 홀더부(693)의 외주면에는 나사홈(693s)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웜휠(691)의 연결구(691j)는 연결덕트(661)의 하단과 접속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형성유닛(6B)의 배출구(66) → 연결덕트(661) → 웜휠(691) → 홀더부(693) → 고정칼날(57b) → 회전칼날(58b)이라고 하는 로스트 커피콩의 통과경로가 형성된다. 또, 도3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결덕트(661)의 하부에는 공기흡입구(66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기흡입구(661a)는, 도13에 나타내는 배출구(66)와 제2그라인더(5B)의 투입구(50b)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기능을 구비하여, 공기흡입구(661a)로부터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분쇄두와 불요물의 분리성능이 향상된다.
도32는, 제2그라인더(5B)의 구성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그라인더(5B)는, 제2모터(52b), 모터 베이스(502), 베이스부(505a) 및 입도조정기구(503)를 갖춘다.
제2모터(52b)는 제2그라인더(5B)의 구동원(驅動源)으로서, 모터 베이스(502)의 상방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모터 베이스(502)의 위에는, 제2모터(52b)의 출력축에 고정되는 피니언 기어(52b')와, 이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502a)가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부(505a)의 위에는, 기어(502a)와 맞물리는 기어(55b')가 배치되어 있다. 기어(55b')에는 회전축(54b)이 고정되어 있고, 회전축(54b)은 베이스부(505a)에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기어(502a)를 통하여 기어(55b')로 전달되는 제2모터(52b)의 구동력이 회전축(54b)을 회전시킨다. 회전축(54b)의 단부에는 회전칼날(58b)이 설치되어 있고, 회전칼날(58b)의 상측에는 고정칼날(57b)이 설치되어 있다. 즉 고정칼날(57b)은 회전칼날(58b)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입도조정기구(503)는, 그 구동원인 모터(503a)와, 모터(503a)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웜기어(692)를 갖춘다. 웜휠(691)의 기어부(691g)는 웜기어(692)와 맞물려 있다.
또한 이 도32에는 프레임 부재(694)가 나타나 있다. 프레임 부재(694)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케이싱에 고정되어 배치된 것으로서, 내주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다. 홀더부(693)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홈(693s)은 이 프레임 부재(694)의 나사홈과 교합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칼날(57b)은, 홀더부(693)를 통하여 웜휠(691)의 접속부에 나사결합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웜휠(691)의 기어부(691g)가 회전하면 고정칼날(57b)이 그 축방향으로 승강한다. 또, 웜휠(691)의 연결구(691j)는 연결덕트(661)의 하단과 랩하도록 접속되어 있고, 웜휠(691)이 하강해도 연결덕트(661)의 하단과의 접속은 유지된다. 도32에 나타내는 고정칼날(57b)은 초기위치에 위치하여, 회전칼날(58b)과 가장 분리된 상태에 있다.
도19에 나타내는 처리부(11a)는, 모터(503a)의 회전량을 제어하여 회전칼날(58b)과 고정칼날(57b)의 간격을 조절한다. 이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제2그라인더(5B)에 있어서의 분쇄두의 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승강하는 고정칼날(57b)은, 회전칼날(58b)로부터 소정의 길이(예를 들면, 0.7mm) 떨어진 위치가 검출위치가 된다. 검출위치는, 고정칼날(57b)의 초기위치보다도 회전칼날(58b)에 가까운 위치이다. 제2그라인더(5B)에는, 고정칼날(57b)이 검출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센서(57c)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2그라인더(5B)는, 커피콩 분쇄기(GM)에 전원이 투입되면 초기동작이 이루어진다. 제2그라인더(5B)에 있어서의 초기동작에서는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이 실행된다.
도33은, 초기동작에서 실행되는 캘리브레이션의 공정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또한 도34는, 캘리브레이션의 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그라인더(5B)에서는 로스트 커피콩의 분쇄가 종료하면, 고정칼날(57b)은 초기위치로 되돌아간다.
초기동작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고정칼날(57b)은 초기위치에 위치하고 있어, 캘리브레이션의 최초의 공정으로서 도33에 나타내는 접촉공정(스텝 S51)이 실행된다. 접촉공정에서는, 도19에 나타내는 처리부(11a)가 도32에 나타내는 모터(503a)를 구동시킨다. 모터(503a)의 구동에 의하여 웜휠(691)의 기어부(691g)가 회전하여, 초기위치에 있는 고정칼날(57b)은 회전칼날(58b)에 접촉할 때까지 하강한다. 도34(a)는, 1회째의 접촉공정이 실행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34(a)에서는, 초기위치에 위치하는 고정칼날(57b)을 2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2그라인더(5B)의 조립에 있어서, 고정칼날(57b)과 회전칼날(58b)을 설계대로 부착했다고 하더라도, 약각의 부착오차가 발생하여 고정칼날(57b)과 회전칼날(58b)의 부착자세에 오류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장기간의 사용 등에 의해서도, 고정칼날(57b)과 회전칼날(58b)의 부착자세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프레임 부재(694)나 회전축(54b)이 경사지게 부착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도34에서는, 고정칼날(57b)과 회전칼날(58b)의 부착자세에 오류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과장해서 나타내고 있다. 설계대로이면, 고정칼날(57b)도 회전칼날(58b)도 항상 수평자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도34(a)에 나타나 있는 회전칼날(58b)은 우상방을 향하여 기운 자세이고, 고정칼날(57b)은 우하쪽을 향해서 기운 자세이다. 접촉공정이 실행되면, 고정칼날(57b)은 도면 중의 화살표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강하고, 도34(a)에 실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정칼날(57b)은 기울어 있으므로,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이, 기울어져 있음으로써 회전칼날(58b) 중에서 가장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접촉한다. 고정칼날(57b)의 어느 일부가 회전칼날(58b)의 어느 일부에라도 접촉하면, 모터(503a)의 회전토크나 전류치가 상승한다. 처리부(11a)는, 회전토크의 상승 또는 전류치의 상승을 검출하면, 모터(503a)를 정지시켜 접촉공정이 종료가 된다.
계속하여 이동공정(스텝 S52)이 실행된다. 이동공정에서는, 처리부(11a)가 모터(503a)를 접촉공정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칼날(57b)을 검출위치까지 상승시킨다. 도34(b)는, 1회째의 이동공정이 실행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동공정이 실행되면, 고정칼날(57b)은, 도면 중의 화살표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승하고, 도32에 나타내는 센서(57c)에 고정칼날(57b)이 검출될 때까지 고정칼날(57b)은 상승을 계속한다. 처리부(11a)는, 센서(57c)로부터의 검출신호를 취득하면 모터(503a)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모터(503a)는 스텝핑 모터이며, 처리부(11a)는, 이동공정에 있어서 모터(503a)가 회전을 시작하고 나서 정지할 때까지의 스텝수를 카운트 하고, 도19에 나타내는 기억부(1lb)에 기억한다. 도34(b)의 이동공정에서는 20150 스텝이었다.
계속하여 회전공정(스텝 S53)이 실행된다. 회전공정에서는, 처리부(11a)가 도32에 나타내는 제2모터(52b)를 소정의 회전각도만 회전시킨다. 여기에서 말하는 소정의 회전각도는 360도 이외의 각도이면 좋고, 여기에서는 알기 쉽도록 90도로 하지만, 실제로는 예를 들면 35도 전후의 소정의 각도이다. 이 결과, 도34(c)에 나타나 있는 회전칼날(58b)은, 지면의 안쪽을 향해서 상방으로 기운 자세로 상태가 변화되고 있다. 또, 제2모터(52b)를 소정시간(예를 들면 0.1초)만 회전시켜도 좋다.
다음에 스텝 S54가 실행되어, 캘리브레이션을 시작하고 나서 회전칼날(58b)이 1회전 했는지를 판정한다. 이 예에서는, 스텝 S53의 회전공정에 있어서의 소정의 회전각도가 360도 미만이기 때문에, 스텝 S54에서는 회전칼날(58b)이 1회전 했는지를 판정하지만, 스텝 S54는, 스텝수의 카운트값을 복수회 취득할 수 있었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스텝이다. 또한 정밀도를 올리기 위해서, 스텝 S54는, 스텝수의 카운트값을 소정회 취득할 수 있었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스텝이더라도 좋다. 소정회의 횟수가 많을수록, 캘리브레이션의 정밀도는 향상되지만, 캘리브레이션을 끝낼 때까지 시간이 걸리게 된다. 소정회의 횟수의 일례로서는 10회 정도를 들 수 있다.
스텝 S54의 판정에서 「NO」의 경우에는, 접촉공정(스텝 S51), 이동공정(스텝 S52), 및 회전공정(스텝 S53)의 3개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취득처리를 다시 실행한다. 도34(d)에서는 2회째의 접촉공정이 실행되어, 고정칼날(57b)은 도면 중의 화살표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강한다. 회전공정이 실행됨으로써 1회째의 접촉공정의 때와는, 회전칼날(58b)에 있어서의 가장 상방에 있는 부분의 둘레방향의 위치가 다르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34(d)에 나타나 있는 고정칼날(57b)과 회전칼날(58b)에서는 1회째의 접촉공정의 때와는 다른 부분 상호간이 접촉하고 있다. 도34(e)에서는 2회째의 이동공정이 실행되어 있다. 이 2회째의 이동공정에서는 20170스텝이었다. 도34(f)에서는 2회째의 회전공정이 실행되어, 회전칼날(58b)은 90도 회전하고 있다. 이 결과, 도34(f)에 나타나 있는 회전칼날(58b)은, 좌상방을 향하여 기운 자세로 상태가 변화되어 있다.
도34(f)에 있어서의 회전공정을 끝낸 시점에서, 회전칼날(58b)은, 캘리브레이션을 시작하고 나서 180도 회전한 상태로서, 3회째의 데이터 취득처리를 실행한다. 도34(g)에서는 3회째의 접촉공정이 실행되어, 고정칼날(57b)은 도면 중의 화살표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강한다. 2회째의 회전공정이 실행됨으로써 도34(g)에 나타나 있는 고정칼날(57b)과 회전칼날(58b)에서는 지금까지의 접촉공정의 때와는 다른 부분 상호간이 접촉하고 있다. 도34(h)에서는 3회째의 이동공정이 실행되어 있다. 이 3회째의 이동공정에서는 20160스텝이었다. 도34(i)에서는 3회째의 회전공정이 실행되어, 회전칼날(58b)은 90도 회전하고 있다. 이 결과, 도34(i)에 나타나 있는 회전칼날(58b)은, 지면전방측을 향해서 상방으로 기운 자세로 상태가 변화되어 있다.
도34(i)에 있어서의 회전공정을 끝낸 시점에서, 회전칼날(58b)은, 캘리브레이션을 시작하고 나서 270도 회전한 상태이며, 4회째의 데이터 취득처리를 실행한다. 도34에서는, 4회째의 데이터 취득처리의 상태는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하지만, 도34(d) ∼ 동 도(f)와 비슷한 상태가 된다. 4회째의 이동공정에서는 20168스텝이었다. 또한 4회째의 회전공정이 실행되면, 회전칼날(58b)은, 캘리브레이션을 시작하고 나서 360도 회전한 상태가 되고, 도33에 나타내는 스텝 S54의 판정에서 「Yes」가 되어 스텝 S55로 진행한다.
스텝 S55에서는, 도19에 나타내는 처리부(11a)가 교정치의 산출공정을 실행한다. 기억부(1lb)에는, 4회의 데이터 취득처리에 있어서 각각 취득한 모터(503a)의 스텝수의 카운트값이 기억되어 있다. 처리부(11a)는, 이들 4회의 카운트값으로부터 교정치를 산출한다. 교정치는, 4회의 카운트값의 평균치이더라도 좋고, 4회의 카운트값의 중간치(최소치와 최대치를 합한 값의 1/2의 값)이더라도 좋다. 도34에 나타내는 예에서라면, 평균치는 20162스텝이며, 중간치는 20160스텝이다. 산출한 교정치는 기억부(1lb)에 기억된다. 교정치는, 커피콩 분쇄기(GM)에 전원이 투입되어 초기동작이 이루어질 때마다 갱신된다. 스텝 S55의 실행이 완료하면 캘리브레이션은 종료가 된다.
도35는, 그라인드 처리에 있어서의 제2그라인더(5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5(a)는, 설계대로 고정칼날(57b)도 회전칼날(58b)도 항상 수평자세를 유지하고 있는 이상적인 상태에 있어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5(a)의 좌측에 나타내는 도면은, 고정칼날(57b)이 초기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9에 나타내는 처리부(11a)는, 기억부(1lb)에 기억되어 있는, 로스트 커피콩을 분쇄하기 위한 각종 제조조건(레시피)에 따라서, 제2그라인더(5B)에 있어서의 분쇄두의 입도를, 도32에 나타내는 입도조정기구(503)를 사용하여 조절한다. 상기 레시피에는, 이상적인 상태에 있어서의 제조조건이 규정되어 있고, 제2그라인더(5B)에 있어서의 분쇄두의 입도조정에서는, 모터(503a)를 20160스텝분 회전시켜 고정칼날(57b)을 초기위치로부터 하강시킨다. 도35(a)의 우측에 나타내는 도면은, 로스트 커피콩(B)의 분쇄를 하고 있는 상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우측의 도면에 있어서의 고정칼날(57b)은, 초기위치로부터 모터(503a)를 20160스텝분 회전시켜서 하강시킴으로써 레시피에서 규정한 대로의 위치에 있다.
도35(b)는, 도34에 나타내는, 고정칼날(57b)과 회전칼날(58b)의 부착자세에 오류가 발생한 상태에 있어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5(b)의 좌측에 나타내는 도면도, 고정칼날(57b)이 초기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5(b)에 나타나 있는 고정칼날(57b)은, 우하쪽을 향해서 기운 자세이다. 한편, 도35(b)에 나타나 있는 회전칼날(58b)은 우상방을 향하여 기운 자세이다. 여기에서도, 도35(a)에 나타나 있는 예와 같은 레시피가 사용된다. 그 때문에 모터(503a)를 20160스텝분 회전시키게 될 것이지만, 도33에서 나타내는 스텝 S55에서 구한 교정치를 사용하여 모터(503a)의 회전량을 보정한다. 도35(a)에 나타나 있는 이상적인 경우에, 고정칼날(57b)이 회전칼날(58b)에 접촉한 상태로부터 고정칼날(57b)을 검출위치까지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모터(503a)의 스텝수는, 도19에 나타내는 기억부(1lb)에 기준치로서 미리 기억되어 있다. 모터(503a)의 회전량의 보정에서는, 도33에서 나타내는 스텝 S55에서 구한 교정치와 기억부(1lb)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기준치의 비율로부터, 보정후의 회전량을 산출한다. 이 예에서는, 보정후의 회전량은 20140스텝이었다. 도35(b)의 우측에 나타내는 도면도, 로스트 커피콩(B)의 분쇄를 하고 있는 상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우측의 도면에 있어서의 고정칼날(57b)은, 초기위치로부터, 모터(503a)를 20140스텝분 회전시켜서 하강시킴으로써 보정후의 위치에 있다. 다만 도35(b)에 나타나 있는 고정칼날(57b)과 회전칼날(58b)의 평균간격은, 도35(a)에 나타나 있는 고정칼날(57b)과 회전칼날(58b)의 간격과 거의 같다. 이 때문에 도35(b)의 우측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로스트 커피콩(B)의 분쇄를 하여도, 동 도(a)의 우측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로스트 커피콩(B)의 분쇄를 한 경우와 같은 입도의 분쇄두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고정칼날(57b)을 검출위치까지 상승시킬 때의 모터(503a)의 스텝수를 사용하여 교정치를 구하고 있지만, 검출위치로부터 고정칼날(57b)을 하강시켜 고정칼날(57b)이 회전칼날(58b)에 접촉할 때까지의 스텝수를 사용하여 교정치를 구할 수도 있다.
또한 고정칼날(57b)과 회전칼날(58b) 중에서 고정칼날(57b)만이 승강하는 구성이었지만, 회전칼날(58b)도 승강하는 구성이더라도 좋고, 이 경우에는, 양방의 칼날의 스텝수를 사용하여 교정치를 구하면 좋다. 또한 칼날의 이동은 승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좌우측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좋다. 또한 고정칼날(57b)과 회전칼날(58b)의 위치는 반대이어도 좋아, 고정칼날(57b)이 하방에 배치되고 회전칼날(58b)이 상방에 배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로스트 커피콩(B)을 분쇄할 때에 고정칼날(57b)은 회전하지 않지만, 고정칼날(57b)이 회전하는 경우이더라도 도33에 나타내는 캘리브레이션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33에 나타내는 캘리브레이션의 방법은 제2그라인더(5B)에 대한 방법이었지만, 도33에 나타내는 캘리브레이션의 방법을 제1그라인더(5A)에 관해서도 동일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도33에 나타내는 스텝 S55의 교정치 산출공정은 캘리브레이션의 단계에서는 실행하지 않고, 복수회분의 카운트값만 기억부(1lb)에 기억시키고, 사용하는 레시피가 결정된 단계에서 교정치를 산출하더라도 좋고, 기억시켜 둔 복수회분의 카운트값으로부터 직접 회전량을 보정하더라도 좋다. 또, 교정치의 산출이나 회전량의 보정은, 도19에 나타내는 처리부(11a)를 대신하여 정보표시장치(12)의 제어부가 하여도 좋다.
이상의 기재에서는,
『제1분쇄부[예를 들면 회전칼날(58b)]와,
제2분쇄부[예를 들면 고정칼날(57b)]와,
상기 제1분쇄부와 상기 제2분쇄부의 적어도 어느 일방의 분쇄부[예를 들면 회전칼날(58b)]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예를 들면 제2모터(52b), 피니언 기어(52b'), 기어(502a), 기어(55b'), 회전축(54b)]와,
상기 제1분쇄부와 상기 제2분쇄부 중에서 적어도 상기 제2분쇄부를 이동[예를 들면 승강]시켜, 상기 제1분쇄부와 상기 제2분쇄부의 간격을 조정하는 이동기구[예를 들면 입도조정기구(503)]와,
상기 제1분쇄부로부터 소정의 길이[예를 들면 0.7mm] 떨어진 위치[예를 들면 검출위치]에 있는 상기 제2분쇄부를 검출하는 센서[예를 들면 센서(57c)]와,
상기 이동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예를 들면 도19에 나타내는 처리부(11a)]를,
구비하고,
추출대상[예를 들면 저장장치(4)에 저장되어 있었던 로스트 커피콩 혹은 제1그라인더(5A)로 분쇄된 로스트 커피콩(B)(분쇄두)]을, 상기 제1분쇄부와 상기 제2분쇄부의 사이에서 분쇄하고,
상기 제2분쇄부가 상기 제1분쇄부에 접촉한 상태[예를 들면 도34(a), 동 도(d), 동 도(g)에 나타나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센서가 상기 제2분쇄부를 검출할 때까지 상기 제2분쇄부를 이동시키는 동작[예를 들면 도34(b), 동 도(e), 동 도(h)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동작]을, 상기 회전기구에 의한 회전에 의하여 분쇄부의 상태[예를 들면 회전칼날(58b)의 방향]를 바꾸어서 복수회 실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회의 상기 동작에 있어서의 상기 제2분쇄부의 이동량에 관한 값[예를 들면 모터(503a)의 스텝수의 카운트값]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기구를 제어하는[예를 들면 교정치를 구하고, 그 교정치를 사용하여 보정한 회전량만큼 모터(503a)를 회전시키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대상 분쇄장치[예를 들면 제2그라인더(5B)].』
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 상기 회전기구는, 상기 제1분쇄부를 회전시키는 것이더라도 좋고, 상기 제2분쇄부를 회전시키는 것이더라도 좋으며, 상기 제1분쇄부와 상기 제2분쇄부의 양방의 칼날을 회전시키는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이동기구는, 상기 제1분쇄부와 상기 제2분쇄부 중에서 상기 제2분쇄부만을 이동시키는 것이더라도 좋고, 상기 제1분쇄부도 이동시키는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동작은, 상기 제1분쇄부와 상기 제2분쇄부 중에서 상기 제2분쇄부만을 이동시키는 동작이더라도 좋고, 상기 제1분쇄부와 상기 제2분쇄부의 양방의 칼날을 이동시키는 동작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동작에 있어서의 분쇄부의 상태변경은, 상기 제1분쇄부의 상태변경이더라도 좋고, 상기 제2분쇄부의 상태변경이더라도 좋고, 상기 제1분쇄부와 상기 제2분쇄부의 양방의 분쇄부의 상태변경이더라도 좋다. 또한 여기에 말하는 상태변경이라 함은, 방향변경이더라도 좋고 자세변경이어도 좋다.
또한,
「제1분쇄부[예를 들면 회전칼날(58b)] 및 제2분쇄부[예를 들면 고정칼날(57b)]와,
상기 제1분쇄부와 상기 제2분쇄부의 적어도 어느 일방의 분쇄부[예를 들면 회전칼날(58b)]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예를 들면 제2모터(52b), 피니언 기어(52b'), 기어(502a), 기어(55b'), 회전축(54b)]와,
상기 제1분쇄부와 상기 제2분쇄부 중에서 적어도 상기 제2분쇄부를 이동[예를 들면 승강]시켜서, 상기 제1분쇄부와 상기 제2분쇄부의 간격을 조정하는 이동기구[예를 들면 입도조정기구(503)]와,
상기 제1분쇄부로부터 소정의 길이[예를 들면 0.7mm] 떨어진 위치[예를 들면 검출위치]에 있는 상기 제2분쇄부를 검출하는 센서[예를 들면 센서(57c)]와,
상기 이동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예를 들면 도19에 나타내는 처리부(11a)]를,
구비하고,
추출대상을, 상기 제1분쇄부와 상기 제2분쇄부의 사이에서 분쇄하고,
상기 제2분쇄부가 상기 제1분쇄부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분리된 상태[예를 들면 도34(b), 동 도(e), 동 도(h)에 나타나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제1분쇄부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제2분쇄부를 이동시키는 동작[예를 들면 도34(a), 동 도(d), 동 도(g)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동작]을, 상기 회전기구에 의한 회전[예를 들면 도34(c), 동 도(f), 동 도(i)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회전]에 의하여 분쇄부의 상태[예를 들면 회전칼날(58b)의 방향]을 바꾸어서 복수회 실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회의 상기 동작에 있어서의 상기 제2분쇄부의 이동량에 관한 값[예를 들면 모터(503a)의 스텝수의 카운트값]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기구를 제어하는[예를 들면 교정치를 구하고, 그 교정치를 사용하여 보정한 회전량만큼 모터(503a)를 회전시키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대상 분쇄장치[예를 들면 제2그라인더(5B)].」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제1분쇄부와, 상기 제1분쇄부와 대향해서 부착된 제2분쇄부와, 상기 제1분쇄부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와, 상기 제2분쇄부를 상기 하나의 칼날에 대하여 접리(接離)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와, 상기 제1분쇄부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는 상기 제2분쇄부를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이동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추출대상을, 상기 제1분쇄부와 상기 제2분쇄부의 사이에서 분쇄하고, 상기 제2분쇄부가 상기 제1분쇄부에 접촉한 상태로부터 상기 센서가 상기 제2분쇄부를 검출할 때까지 상기 제2분쇄부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상기 회전기구에 의한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분쇄부의 방향을 바꾸어서 복수회 실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회의 상기 동작에 있어서의 상기 제2분쇄부의 이동량에 관한 값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기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대상 분쇄장치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복수회의 상기 동작에 있어서의 상기 제2분쇄부의 이동량에 관한 값의 평균치 또는 중간치[예를 들면 최소치와 최대치를 더한 값의 1/2의 값]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기구를 제어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대상 분쇄장치.』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동작은, 전원투입시의 초기동작에 있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대상 분쇄장치.』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대상의 분쇄후의 원하는 입도[예를 들면 분쇄두의 입도]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기구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기구에 상기 간격을 조정시키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대상 분쇄장치.』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이동기구는, 구동원을 모터[예를 들면 제2모터(52b)]로 하는 것이고,
상기 제2분쇄부의 이동량에 관한 값이라 함은, 상기 모터의 회전량에 관한 값[예를 들면 모터(503a)의 스텝수의 카운트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대상 분쇄장치.』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제1분쇄부는 제1칼날[예를 들면 회전칼날(58b)]이며,
상기 제2분쇄부는 제2칼날[예를 들면 고정칼날(57b)]이며,
상기 제2분쇄부는, 상기 제1분쇄부와 대향해서 부착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대상 분쇄장치.』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제2분쇄부가 상기 제1분쇄부에 접촉한 상태로부터 상기 센서가 상기 제2분쇄부를 검출할 때까지 상기 제2분쇄부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상기 회전기구에 의한 회전에 의하여 분쇄부의 방향을 바꾸어서 복수회 실시하는[예를 들면 도34에 나타내는 예],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대상 분쇄장치.』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이상의 기재에서는,
『추출대상 분쇄장치[예를 들면 제2그라인더(5B)]에 있어서 전원이 투입되면 실행되는 캘리브레이션 방법으로서,
제1분쇄부[예를 들면 회전칼날(58b)]와 제2분쇄부[예를 들면 고정칼날(57b)]가 접촉한 상태로부터, 상기 제1분쇄부로부터 상기 제2분쇄부가 소정의 길이[예를 들면 0.7mm]만큼 분리된 상태가 될 때까지 상기 제2분쇄부를 이동시키는 이동공정[예를 들면 스텝 S52의 이동공정, 도34(b), 동 도(e) 및 동 도(h)]과,
상기 이동공정을 실시한 후에, 상기 제1분쇄부와 상기 제2분쇄부의 적어도 어느 일방의 분쇄부[예를 들면 회전칼날(58b)]의 상태를 변경하는 상태변경공정[예를 들면 스텝 S53의 회전공정, 도34(c), 동 도(f) 및 동 도(i)]과,
상기 상태변경공정에 의하여 상기 분쇄부의 상태가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제1분쇄부로부터 소정의 길이 멀어진 상기 제2분쇄부를 상기 제1분쇄부에 접촉시키는 접촉공정[예를 들면 스텝 S51, 도34(a), 동 도(d) 및 동 도(g)]과,
상기 이동공정, 상기 상태변경공정 및 상기 접촉공정[예를 들면 도33에 나타내는 데이터 취득처리]을 반복하여 실행함으로써, 상기 분쇄부의 상태[예를 들면 회전칼날(58b)의 방향]를 변경하여 상기 제2분쇄부의 이동량에 관한 값[예를 들면 모터(503a)의 스텝수의 카운트값]을 복수회 취득하는,
것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브레이션 방법[예를 들면 도33에 나타내는 캘리브레이션의 방법].』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 상기 상태변경공정은, 상기 이동공정을 실시한 후에, 상기 제1분쇄부와 상기 제2분쇄부의 적어도 어느 일방의 분쇄부를 회전시켜 상기 분쇄부의 방향을 변경하는 회전공정이며, 상기 이동공정, 상기 회전공정, 및 상기 접촉공정을 반복하여 실행함으로써 상기 분쇄부의 방향을 바꾸어서 상기 제2분쇄부의 이동량에 관한 값을 복수회 취득하는 태양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제2분쇄부의 이동량에 관한 값은, 상기 이동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제2분쇄부의 이동량[예를 들면 상승량]에 관한 값이더라도 좋고, 상기 접촉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제2분쇄부의 이동량[예를 들면 하강량]에 관한 값이더라도 좋다. 또는 양자를 병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복수회 취득한 상기 제2분쇄부의 이동량에 의거하여 교정치를 산출하는 교정치 산출처리[예를 들면 스텝 S55의 교정치 산출공정]를 구비하더라도 좋다. 상기 교정치는, 복수회 취득한 상기 제2분쇄부의 이동량의 평균치이더라도 좋고, 중간치이더라도 좋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고정칼날(57b)은 제2모터(52b)의 구동에 의하여 승강했지만, 수동으로도 고정칼날(57b)을 승강시키고, 분쇄두의 입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 수동에 의한 분쇄두의 입도설정은,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과 미세조정용 노브 다이얼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36(a)는,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과 미세조정용 노브 다이얼(696)을 제2모터(503a)와 함께 나타내는 도면이고, 동 도(b)는,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 및 제2모터(503a)를 떼어내고, 연결 다이얼(697)과 미세조정용 노브 다이얼(696)의 회전축(696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36에는, 연결덕트(661)나 형성유닛(6B)의 일부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36(b)에는,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해머부재(GM32)도 나타나 있다.
도36에는, 레버부재(698)도 나타나 있다. 도36(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웜휠(691)의 기어부(691g)에 교합한 웜기어(692)의 회전축(6921)은, 이 레버부재(698)에 축지되어 있다. 또한 도36(b)에 나타나 있는 미세조정용 노브 다이얼(696)의 회전축(6961)에 레버부재(698)가 축지되어 있다. 도36에 나타내는 레버부재(698)의 자세는 초기자세이다. 레버부재(698)가 초기자세에 있는 상태에서는, 웜휠(691)의 기어부(691g)에 웜기어(692)가 교합한 상태로서, 웜기어(692)가 회전함으로써 웜휠(691)이 회전하여 고정칼날(57b)이 승강한다. 레버부재(698)는, 미세조정용 노브 다이얼(696)의 회전축(6961)을 회전중심으로 해서 동 도(b)에 나타나 있는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레버부재(698)는,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들어올려져 해제자세로 변화되고, 그 해제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레버부재(698)가 들어올려져 해제자세로 변화되면, 레버부재(698)에 축지되어 있는 웜기어(692)가 웜휠(691)의 기어부(691g)로부터 멀어져서 그 기어부(691g)와의 교합이 해제된다. 또, 레버부재(698)는 초기자세와 해제자세의 사이에서 자세변화가 가능한 것이지만, 회전축(6961)에 설치된 스프링 부재(6981)에 의하여 초기자세로 되돌아가는 방향으로 가압력이 작용하고 있다. 레버부재(698)가 해제자세에 있으면, 웜휠(691)은 회전이 가능한 상태이며, 고정칼날(57b)도 회전할 수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그라인드 처리를 하면, 회전칼날(58b)의 회전에 따라 고정칼날(57b)도 회전해버려, 고정칼날(57b)과 회전칼날(58b)의 간격이 넓어져버린다. 이 때문에 그라인드 처리중에는 레버부재(698)를 초기자세로 되돌려 놓아야 한다.
도36(a)에는, 제2모터(503a)의 회전축에 부착된 피니언 기어(503b)가 나타나 있고, 그 제2모터(503a)를 제거한 동 도(b)에도, 피니언 기어(503b)이 나타나 있다. 제2모터(503a)의 회전구동력은, 이 피니언 기어(503b)로부터, 후술하는 2단기어 및 전달기어(6962)를 경유해서 웜기어(692)로부터 웜휠(691)의 기어부(691g)로 전달된다.
도36(b)에 나타나 있는 연결 다이얼(697)은,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과 웜기어(692)를 연결하는 것이다. 도36(b)에는, 웜휠(691)에 연결된 연결 다이얼(697)이 나타나 있고, 양자는 함께 회전한다. 연결 다이얼(697)의 상면에는 연결기어(697g)가 형성되어 있다. 도36(a)에 나타나 있는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에는, 이 연결기어(697g)와 교합하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기어가 형성되어 있고,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을 연결 다이얼(697)의 위에 재치하면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기어와 연결기어(697g)가 교합한다.
레버부재(698)가 초기자세인 상태에서는, 웜기어(692)가 웜휠(691)의 기어부(691g)에 교합하고 있기 때문에,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을 회전조작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한편, 레버부재(698)가 해제자세인 상태에서는, 웜기어(692)가 웜휠(691)의 기어부(691g)에 교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을 회전조작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을 회전조작 하면, 연결기어(697g)를 통하여 웜기어(692)가 회전하여 고정칼날(57b)을 승강시킬 수 있다.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의 회전조작으로 조정할 수 있는 최소단위는, 웜휠(691)의 기어부(691g)의 1톱니분이 된다. 즉 웜휠(691)의 기어부(691g)를 1톱니분만큼 회전시키지 않으면, 웜기어(692)가 기어부(691g)에 교합할 수 없어, 레버부재(698)가 해제자세로부터 초기자세로 복귀할 수 없다. 따라서 그 1톱니분 미만의 조정은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로는 불가능하다.
한편, 제2모터(503a)가 회전해서 웜기어(692)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그 웜기어(692)의 감속비에 의하여 큰 조정(1톱니분 이상의 조정)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큰 조정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웜휠(691)을 직접 회전조작 할 수 있는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을 조작함으로써 민첩한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을 사용한 조정에서는, 고정칼날(57b)을 하강시켜 가며 회전칼날(58b)에 접촉한 순간의 고정칼날(57b)의 위치를 기준점(제로점)으로 한다. 이렇게 접촉한 순간은, 칼날이 닿는 음으로 알 수 있다.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에는,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되어 있지만, 원주방향으로 0을 포함한 눈금이 매겨져 있다. 또한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은, 도18 등에 나타나 있는 센터 케이싱(GM10)의 하방에서 회전하는 것이고, 센터 케이싱(GM10)의 하단부에는 기준선(GM10k)이 적혀 있다.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을 회전조작 시켜 고정칼날(57b)을 하강시켜 가다가, 그 고정칼날(57b)이 회전칼날(58b)에 접촉하면 그 시점에서 회전조작을 중단한다.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을 들어 올려, 0의 눈금을 센터 케이싱(GM10)에 적혀진 기준선(GM10k)에 맞추고나서, 들어 올리고 있었던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을 바로 아래로 내린다. 이렇게 함으로써 기준점(제로점)을 기록할 수 있다. 분쇄두의 입도설정에서는, 이렇게 해서 기록한 기준점(제로점)을 기준으로 하여 고정칼날(57b)을 승강시켜서, 고정칼날(57b)과 회전칼날(58b)의 간격을 조정한다.
또한 미세조정용 노브 다이얼(696)의 회전축(6961)의 종단(終端)에는 전달기어(696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달기어(6962)는, 2단기어의 제2기어(503c2)(도36(b) 참조)에 교합함과 아울러 웜기어(692)에도 교합하고 있다. 이 2단기어의 제1기어(503c1)는 피니언 기어(503b)에 교합하고 있다. 따라서 제2모터(503a)가 회전구동하면, 미세조정용 노브 다이얼(696)도 회전하고 웜휠(691)도 회전한다. 또한 제2모터(503a)가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미세조정용 노브 다이얼(696)을 회전조작 할 수 있고, 미세조정용 노브 다이얼(696)을 회전조작함으로써도 웜휠(691)은 회전한다. 미세조정용 노브 다이얼(696)을 1회전 시키면 웜휠(691)의 기어부(691g)는 1톱니분만 회전한다. 따라서 미세조정용 노브 다이얼(696)을 회전조작 하였을 경우에는, 제2모터(503a)가 회전구동해서 웜휠(691)이 회전하는 경우와 같이, 웜기어(692)의 1톱니분 미만의 조정이 가능하다. 수동에 의한 분쇄두의 입도설정에서는,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에 의하여 우선 대충 입도의 설정을 해두고, 미세조정용 노브 다이얼(696)에 의하여 설정입도의 미세조정을 실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신속하고 또한 정교한 입도설정을 할 수 있다.
또,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 및 미세조정용 노브 다이얼(696)에 의한 수동설정은, 도1에 나타내는 음료제조장치(1)의 제2그라인더(5B)에도 적용할 수 있다.
계속하여 제2그라인더(5B)에의 분쇄두의 투입량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그라인더(5A)에 의하여 로스트 커피콩은 어느 정도(예를 들면 1/4정도)의 크기로 분쇄된다. 이하, 제1그라인더(5A)에 의하여 어느 정도의 크기로 분쇄된 콩을, 분쇄두(특히 조대분쇄두)와 구별하기 위해서 중간분쇄두라고 부른다. 제2그라인더(5B)는, 제1그라인더(5A)로 분쇄된 중간분쇄두를 원하는 입도의 분쇄두로 한다. 여기에서 제2그라인더(5B)에 의한 그라인드 처리의 적절한 허용량을 넘어, 제1그라인더(5A)로부터 중간분쇄두가 대량으로 보내져오면, 고정칼날(57b)과 회전칼날(58b) 사이에 중간분쇄두가 과도하게 들어가서, 고정칼날(57b)과 회전칼날(58b) 사이에 분쇄두가 체류해버린다. 체류하고 있는 분쇄두는 회전하는 회전칼날(58b)로부터 마찰열을 받아 뜨꺼워진다. 특히, 가늘게 분쇄된 상태에서는, 열의 영향을 받기 쉽기 때문에, 분쇄두의 표면에 유분이 필요 이상으로 나가기 쉬워진다. 이렇게 분쇄된 분쇄두로부터 추출된 커피음료는 어두운 맛이 되기 쉽다.
제1그라인더(5A)가 처리능력의 상한에서 구동하고 있는 경우에, 제1그라인더(5A)용의 제1모터의 회전수를 저하시키면, 제1그라인더(5A)로부터 보내지는 중간분쇄두의 단위시간당의 양은 감소한다.
도37은, 그라인드 처리에 있어서의 처리부(11a)의 제어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37에 나타내는 제어처리는, 도24에 나타내는 스타트 버튼(GM15)의 누름에 대응하여 시작된다. 또한 도21에 나타내는 계량유닛(404)이 옵션부착부(GM11)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21(b)에 나타나 있는 스크루 날개(ESC2)의 회전개시에 대응하여 시작되도록 하여도 좋다.
우선, 처리부(11a)는 제1그라인더(5A)용의 제1모터 및 제2그라인더(5B)용의 제2모터(503a)의 회전을 시작시킨다(스텝 S21). 이 스텝 S21에서는, 제1모터도 제2모터(503a)도 각각 미리 설정된 설정회전속도로 회전을 시작시킨다. 그 결과, 제1그라인더(5A)에서는 회전칼날(58a)이 회전을 시작하고, 제2그라인더(5B)에서는 회전칼날(58b)이 회전을 시작한다. 또, 제1모터의 회전과 제2모터(503a)의 회전은 동시에 시작하지 않아도 좋아서, 제1모터의 회전을 시작한 후에 제2모터(503a)의 회전을 시작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제1그라인더(5A)로 그라인드 처리가 시작되면, 제1모터의 회전토크나 전류치가 상승한다. 처리부(11a)는, 제1모터의 회전토크의 상승 또는 전류치의 상승을 검출하면, 제2모터(503a)의 회전을 시작시켜도 좋다. 제1그라인더(5A)용의 제1모터가 회전을 시작하는 것에 의하여 제2그라인더(5B)에 중간분쇄두가 보내져온다.
계속되는 스텝 S22에서는, 제1모터의 회전을 계속시킬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전동 스크루 컨베이어(ESC)가 반송을 끝내고 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하거나, 제1모터의 회전토크가 저하하고 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하거나, 제1모터의 전류치가 저하하고 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No의 판정결과가 되어 제1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킨다(스텝 S27). 한편, Yes의 판정결과인 경우에는 스텝 S23으로 진행한다.
제2그라인더(5B)의 투입구 부근에 중간분쇄두의 통과를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하고, 도19에 나타내는 처리부(11a)는, 제2그라인더(5B)에 투입되는 중간분쇄두의 단위시간당의 투입량을 감시한다. 스텝 S23에서는, 그 단위시간당의 투입량이 기준치를 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기준치는, 커피콩의 종류나 분쇄두의 입도나 제2모터(503a)에 설정된 회전속도 등에 의하여 변경되는 변수로서, 복수 종류의 기준치가 도19에 나타내는 기억부(1lb)에 기억되어 있다. 예를 들면 딱딱한 커피콩일수록 기준치는 작은 값이 된다. 레시피에는, 커피콩의 종류나 분쇄두의 입도 등이 지정되어 있고, 처리부(11a)는 레시피에 대응하여 기준치를 선택하여 스텝 S23의 판정처리를 실행하거나, 각종 설정치에 대응하여 기준치를 선택하여 스텝 S23의 판정처리를 실행한다. 단위시간당의 투입량이 기준치를 넘고 있는 경우에는, 제1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스텝 S24), 스텝 S22로 되돌아간다. 제1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비율은, 미리 결정된 비율이더라도 좋고 상기 투입량이 기준치를 넘고 있는 정도에 따른 비율이더라도 좋다. 제1모터의 회전속도가 늦으면, 제1그라인더(5A)로부터 송출되어 오는 단위시간당의 중간분쇄두의 양은 감소한다. 이 결과, 상기 투입량도 감소시킬 수 있고, 고정칼날(57b)과 회전칼날(58b) 사이에 분쇄두가 체류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분쇄두는 열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진다. 이렇게 분쇄된 분쇄두로부터 추출된 커피음료는, 유분의 악영향을 받지 않고 밝은 맛이 되기 쉽다.
스텝 S23에 있어서의 판정에서, 상기 투입량이 기준치이하인 경우에는, 제1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킨 상태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감속시킨 상태가 아니면 스텝 S22에 되돌아가고, 감속시킨 상태이면 상기 설정회전속도로 복귀시키고(스텝 S26) 나서 스텝 S22로 되돌아간다.
제1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텝 S27에 계속되는 스텝 S28에서는, 이번은 제2모터(503a)의 회전을 정지시킬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제2모터(503a)의 회전토크가 저하하고 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하거나, 제2모터(503a)의 전류치가 저하하고 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Yes의 판정결과가 되고, 제2모터의 회전을 정지시켜(스텝 S29) 이 제어처리는 종료가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어처리에서는, 제1그라인더(5A)용의 제1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제2그라인더(5B)에 대한 분쇄두의 투입량을 제어했지만, 도21에 나타내는 계량유닛(404)의 스크루 날개(ESC2)를 회전시키는 모터(ESC3)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도, 제2그라인더(5B)에 대한 분쇄두의 투입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모터의 회전속도와 모터(ESC3)의 회전속도의 양방을 제어함으로써도, 제2그라인더(5B)에의 분쇄두의 투입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도37에 나타내는 제어처리는, 도10에 나타내는 처리부(11a)에 의해서도 실행할 수 있고, 도12에 나타내는 제1그라인더(5A)용의 모터(52a)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거나 혹은 도2에 나타내는 컨베이어(41)의 반송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도2에 나타내는 제2그라인더(5B)에의 분쇄두의 투입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로스트 커피콩의 단단함 등에 의하여 제1그라인더(5A)의 회전칼날(58a)의 회전속도가 변화되는 경우가 있다. 원래, 제2그라인더(5B)에 의한 그라인드 처리의 허용량을 넘지 않도록, 제1그라인더(5A)의 제1모터의 회전속도가 설정되어 있지만, 제1그라인더(5A)의 회전칼날(58a) 혹은 제1모터의 단위시간당의 회전수(회전속도)를 감시하고, 그 단위시간당의 회전수가 기준치를 넘고 있는 경우에는 제1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도 좋다.
이상, 도37을 사용하여 설명한 그라인드 처리에 있어서의 제어처리는, 도1에 나타내는 음료제조장치(1)의 분쇄장치의 그라인드 처리에 있어서의 제어처리로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19에 나타내는 휴대단말(17) 등의 외부단말로부터 제1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거나 복귀시키는 지시가 출력될 수 있어도 좋다.
이상의 기재에 의하면,
『커피콩을 분쇄하는 제2그라인더[예를 들면 제2그라인더(5B)]를 구비한 커피머신으로서,
상기 제2그라인더에 투입하는 커피콩의 투입량을 제어하는[예를 들면 도37에 나타내는 스텝 S24],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예를 들면 도18에 나타내는 커피콩 분쇄기(GM)나 도1에 나타내는 음료제조장치(1)].』
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 커피머신에 의하면, 그라인더에 있어서의 커피콩을 분쇄하는 상태를 고려해서 상기 투입량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또, 여기에서 말하는 커피콩은, 깨진 콩이더라도 좋고 분쇄된 콩이더라도 좋고, 깨지거나 분쇄되거나 하지 않은 콩이더라도 좋다.
상기 투입량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2그라인더에 분쇄두가 체류하는 시간을 필요 이상으로 길게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제2그라인더에서는, 분쇄두를 송출하는 양보다 투입되는 커피콩의 양쪽이 많아지면, 분쇄두는 상기 제2그라인더에 체류하는 시간이 길어져서, 분쇄두는 열에 의한 악영향을 받기 쉬워진다. 따라서, 상기 커피머신에서는, 이렇게되지 않도록 투입량을 제어한다. 따라서 그라인더에 있어서의 커피콩을 분쇄하는 상태를 고려해서 머신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또한,
『커피콩의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 투입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 상기 커피콩의 종류라 함은, 커피콩의 품종이거나 커피콩의 로스팅도이거나 품종과 로스팅도의 조합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제2그라인더보다도 상류에, 커피콩을 분쇄하는 제1그라인더[예를 들면 제1그라인더(5A)]를 구비하고,
상기 제1그라인더가 커피콩을 분쇄하는 속도[예를 들면 제1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2그라인더에 투입하는 커피콩의 투입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제2그라인더보다도 상류에, 커피콩을 하류로 공급하는 공급장치[예를 들면 도21에 나타내는 계량유닛(404), 도2에 나타내는 컨베이어(41)]를 구비하고,
상기 공급장치에 의한 커피콩의 공급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2그라인더에 투입하는 커피콩의 투입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제2그라인더보다도 상류에 배치되어 커피콩을 분쇄하는 제1그라인더[예를 들면 제1그라인더(5A)]와,
상기 제1그라인더보다도 상류에 배치되어 커피콩을 하류로 공급하는 공급장치[예를 들면 도21에 나타내는 계량유닛(404), 도2에 나타내는 컨베이어(41)]를
구비하고,
상기 제1그라인더 및 상기 공급장치 중에서 적어도 어느 일방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2그라인더에 투입하는 커피콩의 투입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예를 들면, 상기 제1그라인더 및 상기 공급장치의 양방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2그라인더에 투입하는 커피콩의 투입량을 감소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 커피머신과 통신할 수 있는 외부장치(예를 들면 서버(16), 휴대단말(17))를 구비한 커피머신 시스템(예를 들면 도10나 도19).」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제2그라인더에 대한 커피콩의 투입을 시작하는 스텝(도37에 나타내는 스텝 S21)과,
제2그라인더에 투입하는 커피콩의 투입량을 제어하는 스텝(도37에 나타내는 스텝 S24)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의 그라인드 방법.」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제2그라인더(5B)에 의하여 분쇄된 분쇄두는, 도18에 나타내는 슈트(GM31)로부터 배출된다.
도18에 나타내는 슈트(GM31)는 대략 수평방향으로 송출되어 오는 분쇄두를 하측을 향하여 안내하는 것이다. 도18에 나타내는 커피콩 분쇄기(GM)에는, 슈트(GM31)를 두드리는 해머부재(GM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해머부재(GM3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GM32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대략 수평방향으로 송출되어 오는 분쇄두는, 슈트(GM31)의 내벽에 부딪쳐 그 내벽에 부착되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사용자는, 해머부재(GM32)를 회전시켜서 슈트(GM31)를 두드리고, 그 부착된 분쇄두에 충격을 주어서 낙하시킨다.
계속하여 커피콩 분쇄기(GM)의 외부(예를 들면 도19에 나타내는 서버(16)나 휴대단말(17))부터의 주문정보에 따라서 그라인드 처리를 실행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38은, 주문정보에 따라서 그라인드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의 처리부(11a)가 실행하는 제어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스텝 S31에서는, 주문정보를 접수한 것인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주문정보를 접수하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이 스텝 S31이 반복하여 실행된다. 그리고 주문정보를 접수한 경우에는 스텝 S32로 진행한다. 또, 주문정보의 구체적인 내용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스텝 S32에서는, 수신한 주문정보가 도19에 나타내는 정보표시장치(12)에 표시되고 스텝 S33으로 진행한다.
스텝 S33에서는, 커피콩의 그라인드 개시 조작을 접수한 것인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여기에서의 그라인드 개시 조작은,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정보표시장치(12)의 조작이 된다. 그라인드 개시 조작을 접수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34로 진행하고, 그라인드 개시 조작을 접수한 경우에는 스텝 S36으로 진행한다.
스텝 S34에서는, 주문정보의 변경조작을 접수한 것인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여기에서의 주문정보의 변경조작에 관해서도,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정보표시장치(12)의 조작이 된다. 주문정보의 변경조작을 접수한 경우에는 스텝 S35로 진행하고, 주문정보의 변경조작을 접수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33으로 되돌아간다.
스텝 S35에서는, 주문정보의 변경조작에 따라서 접수한 주문정보가 갱신되고, 스텝 S33으로 되돌아간다.
주문정보를 접수하고 나서 그라인드 개시 조작을 접수하기까지의 사이에 있어서는, 스텝 S34, 스텝 S35에 의하여 접수한 주문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그라인드 개시 조작이나 주문정보의 변경조작은, 정보표시장치(12)의 조작에 한하지 않고, 휴대단말(17)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여도 좋고, 또한 이 조작의 정보는 커피콩 분쇄기(GM)로 송신되는 것이라면, 그 송신경로는 어떤 경로이더라도 좋다.
스텝 S36에서는, 커피콩의 그라인드 처리가 실행된다. 우선, 주문정보에서 지정된 분량의 로스트 커피콩이 저장장치(4)로부터 제1그라인더(5B)로 공급된다. 제1그라인더(5B)에서는 분쇄된 중간분쇄두는, 분리장치(6)에 의하여 불요물이 분리된 후에, 제2그라인더(5B)로 공급된다. 이 제2그라인더(5B)에서는 주문정보에 따라서 고정칼날(57b)과 회전칼날(58b)의 간격을 소정의 간격(예를 들면 50μm단위)으로 변경하면서 커피콩이 분쇄되어, 커피의 분쇄두가 도18에 나타내는 슈트(GM31)로부터 배출된다. 이 그라인드 처리가 종료하면, 커피의 분쇄두의 제조처리가 종료한다.
상기의 예에서는, 커피콩 분쇄기(GM)의 외부로부터의 주문정보에 따라서 그라인드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정보표시장치(12)를 사용하여 직접 커피콩 분쇄기(GM)에 주문정보를 입력하는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 구성의 경우에는, 도38에 나타내는 스텝 S32, 스텝 S34 및 스텝 S35을 삭제한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한 예에서는, 주문정보를 접수하고 나서 그라인드 개시 조작을 접수하기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주문정보를 변경할 수 있지만, 이러한 변경의 기회를 두지 않고, 주문정보를 접수하면 그대로 그라인드 처리가 시작되도록 하여도 좋다.
여기에서 레시피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한다. 레시피에는, 커피콩을 분쇄하기 위한 그라인드 정보만을 포함한 그라인드 레시피와, 그라인드 정보 이외에 커피음료의 추출조건 등 커피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각종 제조조건의 정보를 포함한 음료제조 레시피가 있다. 커피콩 분쇄기(GM)에서는, 그라인드 레시피만 있으면 그라인드 처리를 실행할 수 있지만, 음료제조 레시피가 정보표시장치(12)에 표시되면, 그라인드 처리의 다음에 실행되는 커피음료의 추출처리의 조건을 비추어 보고, 그라인드 조건을 수정할 수 있을 경우가 있어서 보다 양질의 커피음료가 얻어지는 경우가 있다.
도19에 나타내는 기억부(1lb)는, 레시피를 계속해서 기억하는 것이더라도 좋고, 그라인드 처리를 시작하기 전에 서버(16)로부터 레시피를 취득하고, 그라인드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사이에만 기억하고, 그라인드 처리를 종료한 후에는, 기억부(1lb)로부터 레시피는 소거(消去)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는, 기억부(1lb)에는, 레시피 중에서 일부의 정보(예를 들면 콩정보나, 레시피 작성자 정보)만이 기억되어 있고, 그라인드 처리를 시작하기 전에 서버(16)로부터, 레시피의 나머지 정보(예를 들면 커피콩을 분쇄하기 위한 각종 조건의 정보)을 취득하고, 그라인드 처리를 종료한 후에는, 기억부(1lb)로부터 나머지 정보는 소거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 기억부(1lb)에 기억된 레시피는 암호화되어 있다.
또한 레시피는, 서버(16)에 있어서 데이터 베이스화되어서 관리되고 있다.
도39(A)∼도39(C)는, 서버(16)에 기억되는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9(A)는, 음료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기억되는 데이터(1500)이다. 데이터(1500)는, 레시피ID(1501), 레시피의 고안자를 나타내는 고안자 정보(1502), 과거에 유저에 의하여 음료정보가 선택되어 제조된 횟수를 나타내는 제조횟수정보(1503), 원재료정보, 제조방법, 타입(1512, 1513)을 포함한다. 원재료정보는, 콩의 종류를 나타내는 콩정보(1504), 콩의 산지를 나타내는 산지정보(1505), 콩의 로스팅도를 나타내는 로스팅도 정보(1506)를 포함한다. 또한 제조방법은, 1회의 추출에서 사용하는 콩의 양(1507), 콩의 분쇄입도(1508), 뜸들이기 탕량(1509), 뜸들이기 시간(1510), 추출탕량(1511)을 포함한다. 이들의 정보 중에서, 그라인드 처리에서 가장 필요하게 되는 정보는 콩의 분쇄입도(1508)이지만, 그 이외의 정보도 콩의 분쇄입도(1508)를 검토하는 데에 있어서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타입1(1512)은, 음료가 핫음료인지 아이스 음료인지를 나타내는 타입정보, 타입2(1513)는, 음료의 플레이버(flavor)를 나타내는 타입정보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조횟수정보(1503)는, 제조횟수정보(1503)에 대응하는 음료를 복수의 음료제조장치가 제조한 횟수인 것으로서 설명을 하지만, 음료제조장치별로 제조횟수정보(1503)를 저장하더라도 좋다.
도39(B)는, 유저정보 데이터 베이스의 예시적인 데이터(1520)이다. 유저는, 점포이거나 그 점포의 점원이나 손님이기도 하다. 데이터(1520)는, 유저 식별자를 나타내는 ID정보(1521), 유저의 성명을 나타내는 성명정보(1522), 유저의 연령을 나타내는 연령정보(1523), 유저의 성별을 나타내는 성별정보(1524)를 포함한다. 일례로서는, 데이터(1520)는, 유저의 주소에 대응하는 정보나 유저의 닉네임 정보, 유저의 사진 데이터를 더 포함해도 좋다.
도39(C)는, 그라인드 이력 데이터 베이스의 예시적인 데이터(1530)이다. 데이터(1530)는, 그라인드를 지시한 유저에 관한 유저정보(1531), 그라인드 일시에 관한 일시정보(1532), 그라인드 처리에서 사용된 레시피ID(1533), 그라인드 처리를 한 커피콩 분쇄기(GM)에 대응하는 머신ID(1534), 상기 커피콩 분쇄기(GM)가 설치되는 점포에 대응하는 점포ID(1535)를 포함한다. 일례로서는, 데이터(1530)는, 그라인드한 커피의 분쇄두의 가격에 대응하는 가격정보 등을 더 포함해도 좋다. 또한 그라인드 이력 데이터 베이스와 비슷하게, 커피음료의 제조이력 데이터 베이스도 기억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데이터(1500, 1510, 1530)는, 커피콩 분쇄기(GM)에 있어서의 제어장치(11)의 기억부(1lb)에도 기억되어 있더라도 좋다.
계속하여, 도38을 사용하여 설명한 제어처리의 플로우를 참조하면서, 주문정보에 대한 동작의 예에 대해서, 도40∼도45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40∼도42는, 주문정보의 입력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3은 주문정보의 변경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4는, 주문에 대한 제2그라인더(5B)의 제어 파라미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5는, 그라인드 처리의 실행중에 있어서의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17)에 커피의 분쇄두에 관한 주문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40에는, 이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주문정보의 입력화면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이 입력화면에서는, 주문의 타이틀 입력란(170), 희망하는 커피콩의 종류(1711), 커피콩의 양(1712), 커피콩을 분쇄할 때의 입도에 대한 비율을 지정하는 입력 테이블(172), 미세분쇄상태로부터 조대분쇄상태가 되는 분쇄방법을 지시하는 세→조 버튼(173a)과 조대분쇄상태로부터 미세분쇄상태가 되는 분쇄방법을 지시하는 조→세 버튼(173b), 입력 테이블(172)에 입력된 내용을 그래프에 표시하기 위한 그래프 에어리어(174), 주문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버튼(175) 및 주문정보를 그라인드 레시피로서 등록하기 위한 레시피 등록 버튼(176)이 표시되어 있다. 희망하는 커피콩의 종류는, 이 휴대단말(17)이 통신하는 커피콩 분쇄기(GM)로부터, 선택할 수 있는 커피콩의 종류가 송신되어, 우단의 풀다운 버튼을 탭함으로써, 송신되어온 선택할 수 있는 커피콩의 종류가 모두 표시된다. 예를 들면 도18에 나타내는 캐니스터 수납유닛(401)에 현재 수납되어 있는 캐니스터에 저장되어 있는 콩의 종류가 모두 표시된다. 또는, 그 커피콩 분쇄기(GM)가 설치된 점포에서 준비되는 콩의 종류가 모두 표시될 경우가 있어도 좋다. 커피콩의 종류는, 커피콩의 품종 이외에 재배된 농장명으로도 구별된다. 또한 로스팅도(극천(極淺) 로스팅, 천(淺) 로스팅, 중천(中淺) 로스팅, 중(中) 로스팅, 중심(中深) 로스팅, 심(深) 로스팅, 극심(極深) 로스팅, 극극심(極極深) 로스팅)으로도 구별된다. 커피콩의 양(1712)도, 풀다운메뉴에 의하여 5g 단위로 지정할 수 있다. 또, 직접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여도 좋다. 커피콩을 분쇄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상세하게는 후술한다.
도41에는, 주문정보가 입력된 상태의 입력화면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이 입력화면에서는, 타이틀 입력란(170)에 게이샤 프렌치 프레스(geisha french press)용」이라는 문자가 입력되어 있다. 또한 커피콩의 종류(1711)에서는, 코페이 농원에서 재배된 품종명이 게이샤(geisha)인 커피콩으로서, 극심 로스팅으로 볶아진 것이 선택되고, 커피콩의 양은 60g이 선택되어 있다. 입력 테이블(172)에는, 입도 200μm의 비율을 나타내는 「40」과 입도 800μm의 비율을 나타내는 「60」이 입력되어, 그 합계비율이 「100」%인 것이 나타나 있다. 또한 입도 200μm, 입도 800μm, 합계에 각각 대응하는 코멘트가 입력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또한, 세→조대분쇄 버튼(173a)이 선택되어 있다. 그래프 에어리어(174)에는, 입력 테이블(172)에 입력된 내용이 그래프로 표시되어 있다. 이 그래프에서는 2개의 피크가 나타나 있지만, 이 중에서 좌측의 피크는 200μm의 입도가 40%의 비율인 것을 나타내고, 우측의 피크는 800μm의 입도가 60%의 비율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래프 에어리어(174)에서는, 그래프의 일부를 드래그함으로써 입력 테이블(172)에 입력된 내용을 간접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42에서는, 도41에 나타내는 그래프 에어리어(174)의 2개의 피크 중에서, 우측의 피크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있는 예가 나타나 있다. 그리고 이 조작에 의하여 입력 테이블(172)에 입력되어 있었던 입도 800μm의 비율을 나타내는 「60」이 「0」이 되고, 입도 600μm의 비율을 나타내는 「0」이 「60」으로 변경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이러한 그래프를 드래그하는 것에 의한 입력방법은, 입도를 변경시키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비율을 변경하는 것이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그래프의 일부를 상하로 드래그함으로써 대응하는 입도의 비율을 증감시키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4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입력 테이블(172)에 값이 입력된 후에, 그래프의 일부를 드래그함으로써 입력 테이블(172)에 입력된 값을 변경하고 있다. 이 구성에 한하지 않고, 입력 테이블(172)에 값을 입력하기 전의 상태(초기상태)로부터 그래프 에어리어(174)에 초기상태의 그래프(평면인 직선, 도40에서는 굵은 선으로 나타낸다)를 표시하도록 해 두고, 이 그래프를 드래그함으로써 입력 테이블(172)의 값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와 같은 그래프를 사용한 입력방법에 의하여 유저가 보다 직감적으로 입도의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어떤 피크에 대하여 그 크기가 증가하면, 다른 피크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감소하도록, 하나의 피크에 대하여 그 크기를 증감함으로써 다른 피크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증감하여도 좋다. 그래프 에어리어(174)의 크기가 한정되고 있는 것 같은 경우에는, 그래프 에어리어(174)를 보다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타이틀, 커피콩의 종류와 양, 입도의 비율 및 분쇄하는 방법(세→조, 조→세)을 설정한 후에, 송신버튼(175)을 탭함으로써 도19에 나타내는 통신 네트워크(15)를 통하여 커피콩 분쇄기(GM)의 제어장치(11)에 주문정보가 송신된다. 또, 일단 서버(16)로 송신한 후에, 서버(16) 및 통신 네트워크(15)를 통하여 커피콩 분쇄기(GM)로 송신되는 것이더라도 좋다.
또 여기에서는, 타이틀, 커피콩의 종류와 양, 입도의 비율 및 분쇄하는 방법(세→조, 조→세)으로 하는 주문정보의 설정을 하였지만, 이들의 주문정보를 저장하고, 그라인드 레시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레시피 등록 버튼(176)을 탭함으로써 통신 네트워크(15)를 통하여 서버(16)에 주문정보가 송신된다. 서버(16)에서는, 그라인드 레시피에 관해서도 데이터 베이스화해서 관리하고 있어, 여기에서 송신되어온 주문정보에 그라인드 레시피ID가 부여되어 기억된다. 서버(16)로 송신할 때에, 레시피의 제한에 대하여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제조(그라인드)금지, 표시금지, 다운로드 금지, 복제금지, 개변(改變)금지라고 하는 각종 제한을 선택하는 화면이 휴대단말(17)에 표시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화면에서는, 이들의 제한의 해제방법(과금(課金), 기간경과, 과금에 의한 일정 횟수이상의 사용 등)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입력된 작성자의 코멘트도 그라인드 레시피의 일부로서 기억되고, 레시피 표시시에는 코멘트 표시도 가능하다.
또한 주문정보 및 그라인드 레시피로서, 채프제거강도(채프의 제거율)(%)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주문정보를 수신하면, 정보표시장치(12)에는 수신한 주문정보의 내용이 표시된다(도38의 스텝 S31에서 Yes, 스텝 S32). 도43(A)에는, 도42에 나타내는 내용으로 송신된 주문정보를 제어장치(11)가 수신하고, 정보표시장치(12)에 그 내용이 표시된 예가 나타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42의 타이틀 입력란(170)에 입력된 타이틀과 입력 테이블(172) 중에서 비율이 0이고 또한 코멘트란이 공란인 입도의 행(도42에서는 입도 400μm, 1000μm의 행)을 제외한 부분의 내용이 수신 테이블(121)에 표시되어 있다. 또한 분쇄방법 지시란(122)에는, 도42에 있어서 세→조대분쇄 버튼(173a)이 선택된으로써 미세분쇄상태로부터 조대분쇄상태가 되는 분쇄방법이 지시된 것이 나타나 있다. 또한 콩종류란(1231)에는 수신한 콩의 종류가 나타나고, 콩량란(123)에는, 수신한 콩의 양이 나타나 있다. 또, 콩의 양에 관해서는 점포측에서 별도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이 상태에서 그라인드 시작 버튼(124)을 탭하면 커피콩의 그라인드 처리가 실행되는데(상세한 것은 후술), 그라인드 시작 버튼(124)을 탭하기 전의 상태에서는, 주문정보를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38의 스텝 S33에서 No, 스텝 S34에서 Yes, 스텝 S35). 주문정보를 변경하였을 경우에는, 이 정보에 따라서 커피콩의 그라인드 처리가 실행된다. 그라인드시의 기온이나 습도에 따라서는, 커피의 분쇄두의 입도가 낮아지는(혹은 높아지는) 경우가 있으나, 점포측에서 주문정보를 변경해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43(A)의 주문정보를 수신했지만, 습도가 낮기 때문에 커피의 분쇄두의 입도가 좀 낮아져버린 상황이라고 가정한다. 이 때 예를 들면 도4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신 테이블(121)에 있어서, 입도 200μm의 비율을 나타내는 「40」을 「45」로 변경하고, 또한 입도 600μ m의 비율을 나타내는 「60」을 「55」로 변경함으로써 커피의 분쇄두의 입도를 거칠게 해서 원하는 입도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 이 도43(B)의 예에서는 코멘트란에 「저습도→비율증가」의 기재가 추가되어 있지만, 이러한 코멘트가 있으므로 예를 들면 수정 이유와 같은 정보를 전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피콩 분쇄기(GM)의 설치환경에 대응하여, 주문정보(여기에서는 분쇄두의 입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정보표시장치(12)의 표시화면에도 레시피 등록 버튼(125)이 준비되어 있고, 정보표시장치(12)(커피콩 분쇄기(GM))로부터도, 주문정보를 그라인드 레시피로서 서버(16)에 등록시킬 수 있다. 커피콩 분쇄기(GM)의 설치환경에 대응하여 수정을 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그라인드 레시피를 서버(16)에 코멘트를 붙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그라인드 레시피에는, 주문정보(레시피)작성시의 환경정보(온도, 습도, 기압 등)도 포함시켜도 좋다. 커피콩 분쇄기(GM)에, 온습도센서나 기압센서를 설치해 두고, 레시피 등록 버튼(125)이 탭되면, 그들의 센서에 의하여 취득된 환경정보가 그라인드 레시피에 자동으로 추가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커피콩 분쇄기(GM)로부터 서버(16)로 송신할 때에도, 정보표시장치(12)의 표시화면에 선택화면이 표시되어, 레시피의 제한에 대하여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선택화면에서는, 이들의 제한의 해제방법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커피콩 분쇄기(GM)에 있어서의 제어장치(11)의 기억부(1lb)에 주문정보를 그라인드 레시피로서 암호화해서 기억시킬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휴대단말(17)로부터도, 그 기억부(1lb)에 그라인드 레시피로서 암호화해서 기억시킬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렇게 해서 등록한 그라인드 레시피는, 커피콩 분쇄기(GM)와 커피추출장치를 탑재한 커피음료 제조장치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그라인드 시작 버튼(124)을 탭한 이후의 동작에 대해서, 도43(B)에 나타나 있는 상태에서 그라인드 시작 버튼(124)이 탭되었을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라인드 시작 버튼(124)을 탭하면, 주문정보에 따라서 커피콩의 그라인드 처리가 실행된다(도38의 스텝 S33에서 Yes, 스텝 S36). 또, 저장장치(4)에 저장되어 있는 커피콩 이외의 것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지정된 커피콩을 저장장치(4)에 세트하고 나서 그라인드 처리가 시작된다.
또한 도33을 사용하여 설명한, 초기동작에서 실행되는 캘리브레이션을 실시한 후에 그라인드 처리가 시작되어도 좋다. 이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의 유무는, 주문정보와 함께 휴대단말(17)로부터 송신되어 온다. 즉 휴대단말(17)로 주문정보에 의거한 그라인드 처리를 시작하기 전에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지정할 수 있다.
도44(A)에는, 도43(B)에서 지정된 입도 및 그 비율이 나타나 있다. 이 그라인드 처리에서는, 제조되는 커피 분쇄두의 입도분포가, 주문정보에서 지정된 커피 분쇄두의 입도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범위(본 실시형태에서는, ±100∼150μm의 범위)까지 넓어지도록, 제2그라인더(5B)의 칼날의 간격(고정칼날(57b)과 회전칼날(58b)의 간격)을 소정의 간격(예를 들면 50μm단위)으로 변경하면서 커피콩을 분쇄하는 제어가 도19에 나타내는 처리부(11a)에 의하여 실행된다. 예를 들면 도44(B)에는, 도44(A)에서 지정되어 있는 입도 200μm의 지정에 대하여, 제2그라인더(5B)의 칼날의 간격을 50∼350μm의 범위에서 변경하면서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시간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또한 도44(B)에는, 도44(A)에서 지정되어 있는 입도 600μm의 지정에 대하여 제2그라인더(5B)의 칼날의 간격을 450∼700μm의 범위에서 변경하면서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시간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또한 도44(D)에는, 도44(B)에 나타나 있는 제2그라인더(5B)의 칼날의 간격별 동작시간의 길이가 그래프에서 나타나 있다. 또, 여기에서 설정된 제2그라인더(5B)의 칼날의 간격과 그 동작시간은, 주문정보에 의거하여 처리부(11a)가 산출한 것으로서, 제조되는 커피 분쇄두의 입도분포에 대응하는 것이기 때문에 입도분포가 설정되어 있다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그라인드 처리 시작전의 초기동작에서 캘리브레이션이 실행된 경우에는, 처리부(11a)는, 도33에서 나타내는 스텝 S55에서 구한 교정치를 사용하여 모터(503a)의 회전량을 보정하면서, 제2그라인더(5B)의 칼날의 간격을 변경해 가는 제어를 실시한다.
상기의 예에서는, 주문정보에서 지정된 60g의 분량의 커피 분쇄두를 제조하는데에 합계 30초가 걸린다고 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 동작시간 중에 45%(13.5초)를 입도 200μm에 대한 동작에 할당하고 있다. 상기한 예에서는, 입도 200μm의 지정에 대하여 제2그라인더(5B)의 칼날의 간격을 50∼350μm의 범위에서 변경하면서 동작시키는 것으로부터, 13.5초의 동작시간을 이 범위에서의 그라인더 동작에 할당하고 있다. 또, 도44(B)에서는 간격 50∼350μm의 범위에서의 그라인더의 동작시간의 합계가 13.5초가 되어 있다. 또한 합계 30초의 동작시간 중에서 55%(16.5초)를 입도 600μm에 대한 동작에 할당하고 있다. 상기한 예에서는, 입도 600μm의 지정에 대하여 제2그라인더(5B)의 칼날의 간격을 450∼700μm의 범위에서 변경하면서 동작시키는 것으로부터, 16.5초의 동작시간을 이 범위에서의 그라인더 동작에 할당하고 있다. 또, 도44(B)에서는 간격 450∼700μm의 범위에서의 그라인더의 동작시간의 합계가 16.5초가 되어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도44(B)에 나타나 있는 동작시간은, 커피 분쇄두의 제조에 요하는 시간으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또, 도44(B)에서는 2종류의 입도의 지정에 대한 제2그라인더(5B)의 칼날의 간격의 범위가 중복하지 않고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들의 범위가 중복하는 경우에는 그 부분의 동작시간이 가산된다.
도44(B)의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그라인더(5B)의 칼날의 간격을 변경하면서 커피 분쇄두를 제조함으로써 커피 분쇄두의 입도를 분산시킬 수 있다. 입도가 분산되게 한 커피 분쇄두로부터 추출된 커피는, 입도를 분산시키지 않은 커피 분쇄두로부터 추출된 커피와 비교하여 다양한 맛을 포함시킬 수 있다. 또, 이러한 맛이 기호가 아닌 사람을 대상으로, 예를 들면 도44(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동작시간이 설정될 경우를 설정하여도 좋다. 이 도44(C)에서는 제2그라인더(5B)의 동작시간이, 주문정보에서 지정된 입도와 동일한 값의 칼날의 간격에서의 동작에 대해서만 설정되어 있고, 입도의 분산을 억제한 입도분포에 대응한 것이 되어 있다. 이들의 구성은 일례이며, 입도의 지정시에 입도분포의 범위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 도44(B)의 예에서는, 주문정보에서 지정된 입도와 동일한 값의 칼날의 간격에서의 동작시간이 가장 길고, 지정된 입도와 제2그라인더(5B)의 칼날의 간격과의 차이가 커지게 됨에 따라 동작시간이 짧아져 있지만, 예를 들면 지정된 입도에 대하여 ±50μm의 제2그라인더(5B)의 칼날의 간격에서의 동작에 대하여 동작시간을 동일한 값으로 설정하여도 좋고, 입도분포의 패턴을 복수 형성해서 거기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44(B)와 같은 동작시간의 정보를 주문정보작성시에 입력할 수 있게 하고, 주문정보에 동작시간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이 정보에 따라서 그라인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44(B)나 동 도(c)에 나타나 있는 동작시간의 정보(제2그라인더(5B)의 칼날의 간격의 변경패턴)도 그라인드 레시피의 일부로 하여, 서버(16)나 기억부(1lb)에 저장되어도 좋다. 즉 분쇄두의 입도와 관련지어서 각종 정보가 서버(16)나 기억부(1lb)에 저장되어도 좋다. 부가하여, 기억부(1lb)에 저장된 이들의 정보나 그라인드 레시피는, 통신 네트워크(15)를 통하여 서버(16)나 휴대단말(17) 등의 외부단말로 출력할 수 있어도 좋다.
또, 도44(A)에서는 2종류의 입도의 값이 설정되어 있지만, 값이 지정되는 입도의 종류의 수에 관해서는 복수가 아니라 1종류이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1종류의 입도의 값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값에 의거하여 동작시간이 설정된다.
또한 도40∼도45를 사용하여 설명한, 외부단말(휴대단말(17))로부터의 주문정보의 입력과 그 주문정보에 의거한 제2그라인더(5B)의 제어 파라미터의 산출은 도1에 나타내는 음료제조장치(1)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의 기재에 의하면,
『설정된 조건[예를 들면 도44(B)나 동 도(C)에 나타나 있는, 주문정보에서 지정된 입도에 따른 칼날의 간격과 동작시간]으로 커피콩을 분쇄하는 그라인더[예를 들면 제2그라인더(5B)]와,
유저에 의한 지정[예를 들면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17)로부터의 주문정보]을 접수하는 접수부[예를 들면 도10이나 도19에 나타내는 I/F부(11c)]와,
상기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부[예를 들면 도10이나 도19에 나타내는 처리부(11a)]를
구비한 커피콩 분쇄기로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접수부에 의하여 접수되는 상기 지정에 의하여 상기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며[예를 들면 처리부(11a)가, 주문정보에 의거하여 도44(B)나 동 도(C)에 나타나 있는 제어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제어데이터에 의거하여 제2그라인더(5B)를 제어한다],
상기 접수부는, 상기 지정을 포함하는 신호를 외부로부터 입력할 수 있는 것인[예를 들면 도10이나 도19],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기[예를 들면 도1에 나타내는 음료제조장치(1)나 도18에 나타내는 커피콩 분쇄기(GM)].』
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 커피콩 분쇄기에 의하면, 유저에 의한 지정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상기 지정은, 분쇄두의 입도의 지정이거나, 상기 그라인더의 초기동작에 있어서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하는 지정이다. 또한 상기 지정은, 그라인드 레시피에 있어서의 각종 지정(예를 들면 사용하는 커피콩의 종류나 양의 지정, 분쇄하는 방법의 지정)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접수부에 의하여 접수되는 상기 지정[예를 들면 제2그라인더(5B)의 초기동작에 있어서 고정칼날(57b)과 회전칼날(58b)의 간격에 관한 캘리브레이션을 실시하는 지정]에 의하여 상기 조건을 설정할 때의 교정치[예를 들면 도33에 나타내는 스텝 S55로 산출되는 교정치]를 취득할 수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기.』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접수부에서 접수한 지정[예를 들면 그라인드 레시피나 음료제조 레시피]을 기억하는 기억장치[예를 들면 도10이나 도19에 나타내는 기억부(1lb)]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기.』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접수부는, 상기 지정으로서 적어도 분쇄두의 입도의 지정[예를 들면 도41에 나타내는 입력 테이블(172)에 있어서의 입도의 지정]을 접수하는 것이며,
상기 기억장치는, 상기 분쇄두의 입도와 관련지어서 각종 정보[예를 들면 도44(B)나 동 도(C)에 나타나 있는 제어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기.』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 상기 입도라 함은, 입도분포에 있어서의 피크가 나타내는 입도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각종 정보라 함은, 상기 그라인더에 의하여 커피콩을 상기 입도로 분쇄하기 위해서 상기 그라인더에 설정하는 조건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기억장치에 기억된 정보를 외부[예를 들면 서버(16)나 휴대단말(17)]로 출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기.』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커피콩 분쇄기와 통신할 수 있는 외부장치(예를 들면 서버(16), 휴대단말(17))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장치는, 유저에 의한 지정조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 시스템(예를 들면 도10이나 도19).」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설정된 조건으로 커피콩을 분쇄하는 그라인더에 있어서의 커피콩의 그라인드 방법으로서,
유저에 의한 지정[예를 들면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17)로부터의 주문정보]을 접수하는 접수스텝[예를 들면 도38에 나타내는 스텝 S31의 전제가 되는 처리]과,
상기 접수스텝에 의하여 접수되는 상기 지정에 의하여 상기 조건을 설정하는 조건설정스텝[예를 들면 도38에 나타내는 스텝 S32와 스텝 S33 사이에 있어서 이루어지는 처리 혹은 스텝 S34와 스텝 S33 사이에 있어서 이루어지는 처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의 그라인드 방법.」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이상의 기재에 의하면,
『설정된 조건[예를 들면 도44(B)나 동 도(C)에 나타나 있는, 주문정보에서 지정된 입도에 따른 칼날의 간격과 동작시간]으로 커피콩을 분쇄하는 그라인더[예를 들면 제2그라인더(5B)]와,
상기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부[예를 들면 도10이나 도19에 나타내는 처리부(11a)]와,
유저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예를 들면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695), 미세조정용 노브 다이얼(696)]를,
구비한 커피콩 분쇄기로서,
상기 설정부는, 입력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며[예를 들면 처리부(11a)가, 주문정보에 의거하여 도44(B)나 동 도(C)에 나타나 있는 제어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제어데이터에 의거하여 제2그라인더(5B)를 제어한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조건 중에서 분쇄두의 입도에 관한 조건[예를 들면 고정칼날(57b)과 회전칼날(58b)의 간격]을, 조작에 대응하여 변경할 수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기[예를 들면 도1에 나타내는 음료제조장치(1)나 도18에 나타내는 커피콩 분쇄기(GM)].』
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 커피콩 분쇄기에 의하면, 입력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조건이 설정된 뒤에, 수동으로도 분쇄두의 입도에 관한 조건을 조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입도는, 입도분포에 있어서의 피크가 나타내는 입도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입력정보는, 분쇄두의 입도의 정보이거나, 상기 그라인더의 초기동작에 있어서 캘리브레이션의 실행을 지시하는 정보이다. 또한 상기 입력정보는, 그라인드 레시피에 있어서의 각종 정보(예를 들면 사용하는 커피콩의 종류나 양의 정보, 분쇄하는 방법의 정보)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조건을 설정할 때의 교정치[예를 들면 도33에 나타내는 스텝 S55로 산출되는 교정치]를 취득할 수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기.』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입력정보[예를 들면 그라인드 레시피나 음료제조 레시피]를 기억하는 기억장치[예를 들면 도10이나 도19에 나타내는 기억부(1lb)]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기.』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입력정보[예를 들면 도41에 나타내는 입력 테이블(172)에 있어서의 입도의 지정]에 의거하여 분쇄두의 입도에 관한 조건[예를 들면 도44(B)나 동 도(C)에 나타나 있는, 주문정보에서 지정된 입도에 따른 칼날의 간격과 동작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기억장치는, 상기 분쇄두의 입도와 관련지어서 각종 정보[예를 들면 도44(B)나 동 도(C)에 나타나 있는 제어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기.』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 상기 각종 정보는, 상기 그라인더에 의하여 커피콩을 상기 입도로 분쇄하기 위해서 상기 그라인더에 설정하는 조건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기억장치에 기억된 정보를 외부[예를 들면 서버(16)나 휴대단말(17)]로 출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기.』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커피콩 분쇄기와 통신할 수 있는 외부장치(예를 들면 서버(16), 휴대단말(17))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조건을 지정하는 유저에 의한 조작이 이루어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 시스템(예를 들면 도10이나 도19).」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설정된 조건으로 커피콩을 분쇄하는 그라인더에 있어서의 커피콩의 그라인드 방법으로서,
입력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조건을 자동설정하는 자동설정스텝과,
상기 조건 중에서 분쇄두의 입도에 관한 조건을 조작에 대응하여 변경하는 수동변경스텝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의 그라인드 방법.」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 상기 자동설정스텝과 상기 수동변경스텝은, 어느쪽이 먼저 실행되더라도 좋고, 어느쪽인가 일방만이 실행되지 않을 경우가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2그라인더(5B)에 있어서의 분쇄방법은, 미세분쇄상태로부터 조대분쇄상태가 되는 분쇄방법과, 조대분쇄상태로부터 미세분쇄상태가 되는 분쇄방법의 2종류가 있고, 도40에서 설명한 세→조대분쇄 버튼(173a)와 조→미세분쇄 버튼(173b)을 사용하여 어느 하나의 분쇄방법이 지정된다. 미세분쇄상태로부터 조대분쇄상태가 되는 분쇄방법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그라인더(5B)의 칼날의 간격을 50μm로부터 1000μm까지 넓히면서, 각 간격에 대하여 설정된 동작시간만 제2그라인더(5B)를 동작시킨다. 한편, 조대분쇄상태로부터 미세분쇄상태가 되는 분쇄방법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그라인더(5B)의 칼날의 간격을 1000μm로부터 50μm까지 좁히면서, 각 간격에 대하여 설정된 동작시간만 제2그라인더(5B)를 동작시킨다. 이 분쇄방법에 따라서는, 제조되는 커피 분쇄두의 입도분포에 미묘한 차이가 발생할 경우가 있고, 맛에 차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들의 분쇄하는 방법을 설정할 수 있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도43(B)에서는 미세분쇄상태로부터 조대분쇄상태가 되는 분쇄방법이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2그라인더(5B)의 칼날의 간격을 50μm로부터 1000μm까지 넓히면서, 각 간격에 대하여 설정된 동작시간만 제2그라인더(5B)를 동작시킨다. 이 때에, 정보표시장치(12)에는, 도44(D)에 나타나 있는 그래프가 표시되고, 이 동작의 진행에 따라 그래프내의 영역의 색이 변화된다. 도45(A)에는, 그라인드 시작으로부터 12.4초가 경과했을 때의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 때에, 제2그라인더(5B)의 칼날의 간격은 250μm로 설정된 상태로 되어 있고, 도45(A)에서는, 이 250μm를 경계로 좌측의 영역의 색이 변화된 것이 해칭에 의하여 나타나 있다. 이 해칭은, 해당하는 영역의 그라인드 처리가 종료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일례이다. 또한 도45(B)에는, 그라인드 시작으로부터 30초가 경과해서 그라인드 처리가 종료했을 때의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 도45(B)에 있어서는, 모든 영역이 해칭되어 있는 것은, 모든 그라인드 처리가 완료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일례이다. 도45(A), (B)의 예와 같이, 그라인드 처리의 진행상태가 표시됨으로써 고객의 대기시간을 싫증나지 않도록 하거나, 점원이 그 사이에 다른 작업을 한다고 하는 것 같은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도46(a)는, 에스프레소 음료를 제조할 때에 사용되는 포터필터(portafilter)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6(a)에 나타나 있는 포터필터(PF)는 네이키드 타입(naked type)의 것으로서, 바닥면이 필터구조인 금속제의 바스켓(PFb)(도46(c) 참조)에 분쇄두가 충전되어, 그 바스켓(PFb)을 원통모양의 홀딩부(PFr)로 홀딩한다. 홀딩부(PFr)에는 핸들(PFh)이 설치되어 있다.
도46(b)는, 핸들(PFh)을 쥐고 커피콩 분쇄기의 슈트(GM31)에 홀딩부(PFr)에 홀딩된 바스켓(PFb)을 꽉 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슈트(GM31)로부터는 분쇄두가 배출되어, 바스켓(PFb)에 분쇄두가 채워져 간다. 이 작업은 도우징(dosing)이라고 불린다. 또, 조작자가 핸들(PFh)을 쥐고 꽉 대는 번잡스러움을 생략하기 위해서, 바스켓(PFb)을 슈트(GM31)의 배출구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계속하여 바스켓(PFb)에, 분쇄두가 균일하게 채워져 있도록, 고르게하는 작업(레벨링)을 실시한다. 마직막으로, 균일하게 채워진 분쇄두를 가압하여 굳혀가는 탬핑(tamping)이라고 하는 작업을 실시한다.
도46(c)는, 미세분쇄상태로부터 조대분쇄상태가 되는 분쇄방법으로 분쇄된 분쇄두를 바스켓(PFb)에 채우고, 레벨링과 탬핑을 실시한 상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6(c)에는, 홀딩부(PFr)에 홀딩된 바스켓(PFb)이 나타나 있다. 이 바스켓(PFb)의 바닥면(FPf)은 필터구조로 되고 있어, 도46(c)에는, 필터의 눈(Fi)이 도식적으로 나타나 있지만, 실제로는 더 가는 눈이다. 이 바닥면(FPf)측의 영역에는, 입도분포에서 200μm의 입도를 피크로 가지는 극세분쇄두(Bvt)가 충전되어 있다. 도46(c)에서는 극세분쇄두(Bvt)가 충전되어 있는 상태를 눈이 가는 크로스 해칭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그 영역 위의 영역에는, 입도분포에서 600μm의 입도를 피크로 가지는 중미세분쇄콩(BMt)이 충전되어 있다. 도46(c)에서는 중미세분쇄콩(Bmt)이 충전되어 있는 상태를 눈이 큰 크로스 해칭으로 나타내고 있다. 즉 필터에 가까운 영역에 상대적으로 가는 분쇄두가 수용되고, 필터로부터 먼 영역에 상대적으로 거친 분쇄두가 수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준비된 포터필터(PF)를 사용하여 추출작업을 실시하면, 입도가 큰 영역에서는 탕수의 빠짐이 양호하여, 맛이 나는 지표인 추출효율은 저하한다. 한편, 입도가 작은 영역에서는 탕수의 빠짐이 나빠지고 추출효율은 상승한다. 상방(필터와는 반대측)으로부터 부어진 탕수는, 처음에 추출효율이 낮은 영역을 통과하고, 마직막으로 추출효율이 높은 입도를 통과한다. 여기에서 이 반대를 생각해 보면, 부어진 탕수는, 처음의 영역에서 짙은 커피음료가 되고, 마지막의 영역에서는 입도가 큰 분쇄두로부터는 커피성분이 추출되기 어려워져, 마지막 영역에 있는 분쇄두가 쓸모가 없기 쉬워지는 것이 예상된다. 이 예상은, 탕수에 대하여는 커피성분은 추출하기 쉽지만, 커피음료에 대하여는 커피성분은 추출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는 것에 의거하는 것이다. 부어진 탕수가, 처음에 추출효율이 낮은 영역을 통과함으로써 그 영역의 분쇄두로부터 커피음료가 충분하게 추출된다. 다만 옅은 커피음료다. 그러나 옅은 커피음료이기 때문에 커피음료의 농도에 여유가 있고, 추출효율이 높은 영역을 통과해도 커피음료가 확실히 추출된다. 이와 같이 포터필터(PF)내의 분쇄두 모두를 유효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필터에 가까운 영역일수록 가는 분쇄두인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특히, 에스프레소와 같은 짙은 커피음료를 추출할 때에 유효하다.
또한 도1에 나타내는 음료제조장치(1)에 있어서의 제2그라인더(5B)에서도 마찬가지로 미세분쇄상태로부터 조대분쇄상태가 되는 분쇄방법이나, 조대분쇄상태로부터 미세분쇄상태가 되는 분쇄방법을 실시할 수 있다. 도1에 나타내는 음료제조장치(1)에서는, 분쇄두는 추출용기(9)에 수용된다. 이 추출용기(9)는 반전하는 것이고, 분쇄두의 수용시점(추출용기(9)의 반전 전)에서는, 하방의 영역에 상대적으로 거친 분쇄두가 수용되고, 상방의 영역에 상대적으로 가는 분쇄두가 수용되며, 추출용기(9)가 반전함으로써, 하방의 영역에 상대적으로 가는 분쇄두가 위치하고, 상방의 영역에 상대적으로 거친 분쇄두가 위치하게 된다. 다만 도6 등에 나타나 있는 뚜껑유닛(91)에 설치된 필터를 기준으로 보면, 바스켓(PFb)과 마찬가지로 필터에 가까운 영역에 상대적으로 가는 분쇄두가 수용되고, 필터로부터 먼 영역에 상대적으로 거친 분쇄두가 수용되어 있게 된다.
또한, 1회의 그라인드 개시 조작에서 복수회분의 추출용의 분쇄두를 분쇄할 수 있도록, 복수 세트의 그라인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바스켓(PFb)을 복수개 준비해 두고, 1세트별로 새로운 바스켓(PFb)을 슈트(GM31)에 꽉 끼우도록 하면 좋다.
또한 도45(A), (B)의 예에서는 미세분쇄상태로부터 조대분쇄상태가 되는 분쇄방법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 그래프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서 해칭이 넓어져 가는 표시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조대분쇄상태로부터 미세분쇄상태가 되는 분쇄방법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45(A), (B)의 예와는 달리, 그래프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해서 해칭이 넓어져 가는 표시가 된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정보표시장치(12)에 그라인드 처리의 진행상태가 표시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주문정보를 송신한 휴대단말(17)에 있어서 그라인드 처리의 진행상태가 표시되는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상의 기재에 의하면,
『커피콩을 분쇄하는 그라인더[예를 들면 제2그라인더(5B)]와,
상기 그라인더에 의하여 분쇄된 분쇄두를 수용하는 용기[예를 들면 바스켓(PFb)이나 추출용기(9)]를,
구비한 커피콩 분쇄기로서,
유저에 의한 스타트 조작[예를 들면 그라인드 시작 버튼(124)의 탭이나 스타트 버튼(GM15)의 누름 혹은 커피음료의 제조지시]에 대응하여, 1세트의 분쇄동작을 실행할 수 있고,
상기 1세트의 분쇄동작은, 상기 용기의 제1영역[예를 들면 필터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영역 혹은 하방의 영역]에 제1입도[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잔 입도 혹은 거친 입도]의 분쇄두가 수용되어, 상기 용기의 제2영역[예를 들면 필터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영역 혹은 상방의 영역]에 제2입도[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거친 입도 혹은 잔 입도]의 분쇄두가 수용되도록 커피콩을 다른 입도로 분쇄하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기[예를 들면 도18에 나타내는 커피콩 분쇄기(GM)나 도1에 나타내는 음료제조장치(1)].』
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분쇄두의 입도가 가늘어지면 가늘어질수록, 탕수의 빠짐은 나빠져서 추출효율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 커피머신에 의하면, 이 경향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입도의 분쇄두가 수용된 영역을 형성하고, 영역별로 추출효율이 다르게 되게 해서 커피음료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1세트의 분쇄동작에 의하여 분쇄되는 커피콩의 양은, 1잔분의 커피음료를 추출하는 데에도 필요한 양이더라도 좋고, 1회분의 추출에 필요한 양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제1입도는, 상기 제2입도보다도 거친 입도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제1입도는, 상기 제2입도보다도 가는 입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기.』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용기는, 필터[예를 들면 도46(c)에 나타나 있는 바닥면(FPf)에 설치된 필터의 눈(Fi) 혹은 도6 등에 나타나 있는 뚜껑유닛(91)에 설치된 필터]를 구비하는 것이고,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용기에 있어서의 상기 제2영역보다도 상기 필터에 가까운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기.』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용기에 있어서의 상기 제2영역보다도 아래의 영역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1세트의 분쇄동작을 레시피로서 기억할 수 있는 기억장치[예를 들면 도10이나 도19에 나타내는 기억부(1lb)]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기.』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유저에 의한 스타트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1세트의 분쇄동작을 복수회 실행할 수 있는[예를 들면 복수회분의 추출용의 분쇄두를 분쇄하는 것이 가능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기.』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커피콩 분쇄기와 통신할 수 있는 외부장치(예를 들면 서버(16), 휴대단말(1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기 시스템(예를 들면 도10이나 도19).」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용기[예를 들면 바스켓(PFb)이나 추출용기(9)]의 제1영역[예를 들면 필터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영역 혹은 하방의 영역]에 제1입도[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가는 입도 혹은 거친 입도]의 분쇄두를 수용하는 제1스텝과,
상기 용기의 제2영역[예를 들면 필터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영역 혹은 상방의 영역]에 제2입도[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거친 입도 혹은 가는 입도]의 분쇄두를 수용하는 제2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의 그라인드 방법.」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다음에 제1그라인더(5A)와 제2그라인더(5B)의 조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5 등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그라인더(5A)와 제2그라인더(5B)는, 커피콩의 반송방향으로부터 보면 상류와 하류에 설치된 직렬의 관계에 있다. 제1그라인더(5A)는, 제2그라인더(5B)보다도 고정밀도로 거친 입도의 커피콩을 분쇄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며, 제2그라인더(5B)는, 제1그라인더(5A)보다도 고정밀도로 가는 입도의 커피콩을 분쇄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1그라인더(5A)는, 로스트 커피콩을, 어느 정도(예를 들면 1/4정도)의 크기로 분쇄하여 중간분쇄두으로 한다. 제2그라인더(5B)는, 제1그라인더(5A)로 분쇄된 중간분쇄두를 원하는 입도의 분쇄두로 한다. 예를 들면 제2그라인더(5B)는, 조대분쇄, 중분쇄, 중미세분쇄, 미세분쇄, 극미세분쇄를 할 수 있고, 제1그라인더(5A)는, 조대분쇄일수록 가늘게는 분쇄할 수 없다. 다만 커피콩에 부착되어 있는 불요물을 분리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제1그라인더(5A)로 어느 정도의 크기까지 분쇄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분리장치(6)에 의한, 채프나 미분이라고 하는 불요물의 분리의 용이함을 무시하면, 제1그라인더(5A)를 구동하지 않고, 제2그라인더(5B)만에 의하여 커피콩의 그라인드 처리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47(a)는, 제1그라인더(5A)를 구성하는 회전칼날(58a)을 낱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회전칼날(58a)에는, 4매의 칼날(58a1∼58a4) 각각으로부터 회전축(58as) 주위에서 비스듬히 아래로 연장되는 안내로(58ag)가 설치되어 있다. 도4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칼날(58a)이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는, 저장장치(4)로부터 보내져온 로스트 커피콩(B)은, 이 안내로(58ag)를 통하여, 형상 및 크기를 유지한 채 제2그라인더(5B)로 반송된다. 그리고 제2그라인더(5B)에서는 원하는 입도로 분쇄된다. 이 경우에는, 제1그라인더(5A) 및 제2그라인더(5B)에 의한 2단계의 분쇄가 아니라, 제2그라인더(5B)만에 의한 1단계의 분쇄가 된다.
또, 제1그라인더(5A)를 대신하여, 제2그라인더(5B)와 같은 그라인더를 설치하고, 상류측의 그라인더에서도 조대분쇄, 중분쇄, 중미세분쇄, 미세분쇄, 극미세분쇄를 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상류측의 그라인더에 의하여 조대분쇄를 실시하고, 분리장치(6)에 의한 불요물의 분리를 한 뒤에, 제2그라인더(5B)로 중분쇄 이하의 가는 분쇄방법을 하더라도 좋다. 또는, 상류측의 그라인더에 의하여 중미세분쇄를 실시하고, 분리장치(6)에 의한 불요물의 분리를 한 뒤에, 제2그라인더(5B)에서는 그라인드 처리는 실시하지 않고, 슈트(GM31)로부터 중미세분쇄 된 분쇄두를 배출하여도 좋다.
도47(b)는, 도25 등에 나타나 있는 분쇄장치(5)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5 등에 나타나 있는 분쇄장치(5)는, 2개의 그라인더가 직렬로 배치된 것이었지만, 이 변형예의 분쇄장치(5')에서는, 3개의 그라인더 중에서 하류측의 2개의 그라인더는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도47(b)에 나타나 있는 저장장치(4)의 하류측에는, 제1그라인더(5A)가 배치되어 있다. 도25 등에 나타나 있는 분쇄장치(5)에서는, 제1그라인더(5A)의 하류에는 형성유닛(6B)이 설치되어 있지만, 이 변형예에서는, 형성유닛(6B)은 생략되고 통모양의 안내통로(6C)가 설치되어 있다. 안내통로(6C)의 하류측에는, 연결덕트(661)가 각각 접속한 제2그라인더(5B)가 2개 배치되어 있다. 안내통로(6C)는, 이들 2개의 제2그라인더(5B) 중에서 어느 일방으로 제1그라인더(5A)로 그라인드 처리된 중간분쇄두를 분리하는 통로다. 또, 제2그라인더(5B)의 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이더라도 좋다. 도19에 나타내는 처리부(11a)에 의하여 안내통로(6C)의 통로전환이 실행된다. 또한 안내통로(6C)의 통로전환은 수동으로도 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는, 휴대단말(17) 등의 외부단말로부터의 지시에 의하여 통로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도 좋다. 이 변형예에서는, 1대의 제1그라인더(5A) 및 2대의 제2그라인더(5B)라고 하는 합계 3대의 그라인더를 구비한 커피콩 분쇄기(GM)에 있어서, 커피콩을 분쇄하는 그라인더를, 이들 3대의 그라인더 중에서 선택하는 선택스텝과, 선택한 그라인더에 커피콩을 공급하는 공급스텝과, 공급스텝에서 공급된 커피콩을 그라인더에 의하여 분쇄하는 그라인드 스텝이 실행된다. 공급스텝에서는, 2대의 제2그라인더(5B) 중에서 어느 일방의 제2그라인더(5B)가 선택된 경우에는, 그 선택된 제2그라인더(5B)로 안내통로(6C)에 의하여 커피콩이 공급된다. 또, 선택스텝에서는, 1대의 제1그라인더(5A)의 선택은 임의이지만, 2대의 제2그라인더(5B)의 선택에서는 어느 일방의 제2그라인더(5B)가 반드시 선택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는, 2대의 제2그라인더(5B)가 선택되지 않는 경우에는, 안내통로(6C)으로부터 커피콩이 직접 배출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 변형예에 의하면, 제2그라인더(5B)가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제2그라인더(5B)에 의한 그라인드 처리를 병행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37을 사용하여 설명한, 제2그라인더(5B)에 대한 분쇄두의 투입량 제어에 있어서, 첫번째의 제2그라인더(5B)에 대한 투입량을 감소시킬 필요가 발생한 경우에는, 안내통로(6C)의 통로전환을 실시하고, 두번째의 제2그라인더(5B)에 대한 투입을 시작하면, 투입량을 감소시킬 필요가 없어져서 그라인드 처리의 효율저하를 피할 수 있다.
또, 도47(b)에 나타나 있는 변형예에서는, 형성유닛(6B)은 생략되어 있지만, 안내통로(6C)의 상류단에 형성유닛(6B)을 설치해 두고, 통로전환이 완료하고 나서 불요물의 분리를 하더라도 좋다. 또한 전환할 수 있는 안내통로(6C) 대신에 고정통로를 설치하고, 복수 준비된 제2그라인더(5B)가, 그 고정통로의 하류단으로 이동해 오는 것으로 그라인더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태양이더라도 좋다. 또한 동(同) 기능의 그라인더를 복수대 병렬로 설치해 두는 것이 아니라, 다른 기능의 그라인더를 복수대 병렬로 설치해 두어도 좋다. 예를 들면 조대분쇄 전용의 그라인더와, 중분쇄 전용의 그라인더와, 중미세분쇄 전용의 그라인더와, 미세분쇄 전용의 그라인더와, 극미세분쇄 전용의 그라인더를 병렬로 설치해 두고,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류측의 제1그라인더(5A)를 생략하더라도 좋다. 또는, 제2그라인더(5B)보다도 하류에 그라인더를 더 설치하여도 좋다. 제2그라인더(5B)보다도 하류에 설치되는 그라인더는 1대이더라도 좋고, 복수대이더라도 좋다. 복수대인 경우에는, 직렬로 배치되어 있더라도 좋고 병렬로 배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상, 도47을 사용하여 설명한 분쇄장치(5)의 태양은, 도1에 나타내는 음료제조장치(1)의 분쇄장치로서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의 기재에 의하면,
『복수의 그라인더[예를 들면 직렬관계의 제1그라인더(5A) 및 제2그라인더(5B) 혹은 병렬관계의 복수의 제2그라인더(5B)]를 구비한 커피콩 분쇄기로서,
커피콩을 분쇄하는 그라인더를 상기 복수의 그라인더로부터 선택할 수 있는[예를 들면 직렬관계의 제1그라인더(5A) 및 제2그라인더(5B)의 양방을 선택, 제2그라인더(5B)만을 선택 혹은 병렬관계의 복수의 제2그라인더(5B)를 1대씩 선택],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기[예를 들면 도18에 나타내는 커피콩 분쇄기(GM)나 도1에 나타내는 음료제조장치(1)].』
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 커피콩 분쇄기에 의하면, 커피콩을 분쇄하는 그라인더를 복수의 그라인더로부터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커피콩 분쇄기보다도 많은 그라인드 처리의 요망에 대응하기 쉽다.
또, 선택하는 그라인더는, 1개이더라도 좋고 복수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복수의 그라인더는, 제1그라인더[예를 들면 제1그라인더(5A)] 및 제2그라인더[예를 들면 제2그라인더(5B)]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제1그라인더 및 상기 제2그라인더 중의 일방[예를 들면 제2그라인더(5B)만] 또는 양방[예를 들면 제1그라인더(5A) 및 제2그라인더(5B)]에 의하여 커피콩을 분쇄할 것인가 아닌가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기.』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제2그라인더보다도 상기 제1그라인더쪽이 커피콩을 고정밀도로 거칠게 분쇄하는[예를 들면 로스트 커피콩을, 어느 정도(예를 들면 1/4정도)의 크기로 분쇄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1그라인더보다도 상기 제2그라인더쪽이 커피콩을 고정밀도로 가늘게 분쇄하는 것이 가능[예를 들면 조대분쇄, 중분쇄, 중미세분쇄, 미세분쇄, 극미세분쇄를 할 수 있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기.』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제1그라인더[예를 들면 제1그라인더(5A)] 및 상기 제2그라인더[예를 들면 제2그라인더(5B)]의 양방의 그라인더에 의하여 커피콩을 분쇄할 경우에, 상기 제1그라인더[예를 들면 상류측의 제1그라인더(5A)]에 의하여 분쇄한 커피콩을 상기 제2그라인더[예를 들면 하류측의 제2그라인더(5B)]에 의하여 더 가늘게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기.』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제1그라인더[예를 들면 도47(b)에 나타나 있는 좌측의 제2그라인더(5B)] 및 상기 제2그라인더[예를 들면 도47(b)에 나타나 있는 우측의 제2그라인더(5B)]의 일방의 그라인더에 의하여 커피콩을 분쇄할 경우에, 커피콩이 그 일방의 그라인더에 안내되는[예를 들면 안내통로(6C)에 의하여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기.』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즉 상기 제1그라인더 및 상기 제2그라인더 중에서 어느 일방의 그라인더로 커피콩을 안내하는 안내통로[예를 들면 도47(b)에 나타나 있는 안내통로(6C)]를 구비한 태양이더라도 좋다. 상기 일방의 그라인더에 대하여 상기 안내통로가 움직임으로써, 그 일방의 그라인더로 커피콩을 안내하는 태양이더라도 좋고, 상기 안내통로에 대하여 상기 일방의 그라인더가 이동함으로써, 그 일방의 그라인더로 커피콩이 안내되는 태양이더라도 좋고, 상기 안내통로가 움직임과 아울러 상기 일방의 그라인더도 이동함으로써, 그 일방의 그라인더로 커피콩이 안내되는 태양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커피콩 분쇄기와 통신할 수 있는 외부장치(예를 들면 서버(16), 휴대단말(1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 분쇄기 시스템(예를 들면 도10이나 도19).」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한,
「복수의 그라인더를 구비한 커피콩 분쇄기에 있어서 커피콩을 분쇄하는 그라인더를 상기 복수의 그라인더로부터 선택하는 선택스텝과,
선택한 그라인더로 커피콩을 공급하는 공급스텝과,
상기 공급스텝에서 공급된 커피콩을 상기 그라인더에 의하여 분쇄하는 그라인드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콩의 그라인드 방법.」
에 관해서도 설명하였다.
또, 선택하는 그라인더는 1개이더라도 좋고 복수이더라도 좋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나타낸 몇개의 태양 및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들의 내용은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서로 조합할 수 있고, 또한 목적 등에 대응하여 부분적으로 변경되더라도 좋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개개의 용어는, 본 발명에 관하여 설명한는 목적으로 사용된 것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은, 그 용어의 엄밀한 의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말할 필요도 없고, 그 균등물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치」, 「부」 등의 표현은 「유닛」, 「모듈」 등이라고 바꿔서 말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1 음료제조장치
2 콩처리장치
3 추출장치
4 저장장치
401 캐니스터 수납유닛
402 호퍼유닛
403 펀넬유닛
404 계량유닛
5 분쇄장치
5A 제1그라인더
57a 고정칼날
58a 회전칼날
5B 제2그라인더
57b 고정칼날
58b 회전칼날
6 분리장치
6A 흡인유닛
6B 형성유닛
6C 안내통로
60 흡인유닛
60B 회수용기
60Bo 외측 케이스
60Bi 내측 케이스
6io 개구
695 수동설정용 원반 다이얼
696 미세조정용 노브 다이얼
698 레버부재
7 유체공급유닛
9 추출용기
11 제어장치
11a 처리부
12 정보표시장치
17 휴대단말
GM 커피콩 분쇄기
GM10 센터 케이싱
GM11 옵션부착부
GM20 콩배출구
GM21 뚜껑유닛
GM22 안내로 형성부재
PF 포터필터
PFb 바스켓

Claims (6)

  1. 커피콩을 분쇄하는 그라인더와,
    커피콩으로부터 불요물을 분리하는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에 있어서 커피콩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불요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한 커피머신으로서,
    상기 저장부는, 외측 케이스체 및 상기 외측 케이스체의 내부에 내측 케이스체를 구비하는 것이고,
    상기 내측 케이스체는, 둘레벽의 밑부분에 상기 외측 케이스체의 내부로 이어지는 개구가 형성된 것이며,
    상기 저장부보다도 상방에 흡인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케이스체는, 상기 둘레벽보다도 내측으로 상기 불요물을 포함한 기류가 들어가고, 상기 내측에서 상기 불요물이 자체 중량에 의하여 낙하하는 한편, 상기 흡인부에 의해 흡인되어서 상승하는 기류가 발생하는 것이며,
    상기 개구는, 상기 내측 케이스체의 상기 내측에서 자체 중량에 의하여 낙하해온 상기 불요물이 상기 외측 케이스체의 바닥면을 향하여 통과하는 것이고,
    상기 외측 케이스체는, 상기 개구를 통과한 상기 불요물을 저장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케이스체는, 투명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케이스체는, 투명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보다도 상방에 상기 저장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
  5. 삭제
  6. 삭제
KR1020237002127A 2021-03-19 2022-02-18 커피머신 KR1025790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45961A JP7112131B1 (ja) 2021-03-19 2021-03-19 コーヒーマシン
JPJP-P-2021-045961 2021-03-19
PCT/JP2022/006675 WO2022196247A1 (ja) 2021-03-19 2022-02-18 コーヒーマシ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363A KR20230017363A (ko) 2023-02-03
KR102579000B1 true KR102579000B1 (ko) 2023-09-14

Family

ID=82701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2127A KR102579000B1 (ko) 2021-03-19 2022-02-18 커피머신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871868B2 (ko)
EP (1) EP4201272A4 (ko)
JP (1) JP7112131B1 (ko)
KR (1) KR102579000B1 (ko)
CN (1) CN116075249B (ko)
CA (1) CA3194178A1 (ko)
TW (1) TWI819525B (ko)
WO (1) WO20221962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007750A1 (de) * 2018-10-02 2020-04-02 Spengler Gmbh & Co. Kg Verfahren zur Ausgabe eines Heißgetränk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7731Y2 (ja) * 1991-07-17 1999-07-12 睦男 田中 全自動コーヒー抽出装置
WO2019031364A1 (ja) * 2017-08-07 2019-02-14 株式会社Tree Field 飲料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0619A (ja) * 1994-01-28 1995-10-03 Haatec:Kk コーヒーのチャフ除去装置
KR200310767Y1 (ko) * 2003-01-22 2003-04-16 주식회사 유니코사이버컴 자동 두부제조장치
US8327754B2 (en) * 2003-07-22 2012-12-11 The Coca-Cola Company Coffee and tea pod
TWI432162B (zh) * 2011-07-26 2014-04-01 Bing Yang Lee A coffee bean grinder with a stripping function
JP2013066697A (ja) * 2011-09-05 2013-04-18 Toru Imai 破砕コーヒー豆の渋皮(チャフ)及び微粉除去装置
GB2531687B (en) * 2015-11-25 2016-09-07 Cambdev Ltd Coffee dispensing apparatus
CN107042203A (zh) * 2017-02-06 2017-08-15 郑州蓝山咖啡机械科技有限公司 风送式咖啡豆除石机
KR102082818B1 (ko) * 2017-08-07 2020-03-02 가부시키가이샤 트리 필드 분쇄 방법, 분쇄 장치 및 음료 제조 장치
JP7052983B6 (ja) 2017-08-07 2022-07-15 株式会社大都技研 粉砕装置及び飲料製造装置
KR101981334B1 (ko) 2017-09-14 2019-05-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분산형 데이터 패킷 처리가 적용된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2012808B1 (ko) * 2018-03-22 2019-08-21 (주)청류에프앤에스 원두로스터용 제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7731Y2 (ja) * 1991-07-17 1999-07-12 睦男 田中 全自動コーヒー抽出装置
WO2019031364A1 (ja) * 2017-08-07 2019-02-14 株式会社Tree Field 飲料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96247A1 (ja) 2022-09-22
EP4201272A4 (en) 2024-01-10
EP4201272A1 (en) 2023-06-28
JP7112131B1 (ja) 2022-08-03
CN116075249B (zh) 2023-08-18
JP2022144796A (ja) 2022-10-03
TW202243633A (zh) 2022-11-16
TWI819525B (zh) 2023-10-21
US20230240469A1 (en) 2023-08-03
CN116075249A (zh) 2023-05-05
CA3194178A1 (en) 2022-09-22
US11871868B2 (en) 2024-01-16
KR20230017363A (ko) 2023-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9000B1 (ko) 커피머신
KR102578998B1 (ko) 커피머신
JP2022144794A (ja) コーヒー豆挽き機
TWI819677B (zh) 咖啡機
JP7282422B2 (ja) コーヒーマシン
KR102637246B1 (ko) 커피머신
WO2022196248A1 (ja) コーヒーマシン
TWI829429B (zh) 咖啡機
TWI829225B (zh) 咖啡機
TWI829226B (zh) 咖啡機
TWI829227B (zh) 咖啡機
JP2022144793A (ja) コーヒー豆挽き機
JP2022144792A (ja) コーヒー豆挽き機
JP2022144799A (ja) コーヒー豆挽き機
JP2022144798A (ja) コーヒー豆挽き機
JP2022144795A (ja) コーヒー豆挽き機
JP7385967B2 (ja) コーヒーマシ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