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9043B1 -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 및 이에 사용되는 보강편재 - Google Patents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 및 이에 사용되는 보강편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9043B1
KR102629043B1 KR1020220013751A KR20220013751A KR102629043B1 KR 102629043 B1 KR102629043 B1 KR 102629043B1 KR 1020220013751 A KR1020220013751 A KR 1020220013751A KR 20220013751 A KR20220013751 A KR 20220013751A KR 102629043 B1 KR102629043 B1 KR 102629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eck
reinforcing
delete delete
body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3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5763A (ko
Inventor
신동훈
Original Assignee
신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훈 filed Critical 신동훈
Priority to KR1020220013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9043B1/ko
Publication of KR20220025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5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3Floor structures of extraordinary design;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Floor structures specially designed for resting on columns only, e.g. mushroom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oor Finish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 및 이에 사용되는 보강편재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몸체상부판(21), 몸체상부판(21)의 양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형성되어 사다리꼴 단면의 양측면을 이루는 한 쌍의 몸체측면판(23a 및 23b), 몸체측면판(23a 및 23b)의 하단에는 외측 방향으로 몸체상부판(21)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몸체하부판(26), 및 몸체측면판의 하부면(23b)에서 몸체측면판의 하부면(23b)의 외측으로 길이방향과 수평하게 돌출된 제1 결합부(45)를 포함하는 데크몸체(20); 및 보강상부판(41), 보강상부판(41)의 양 단부에서 하향 절곡되어 몸체측면판(23a 및 23b)의 경사에 대응되는 각도로 형성된 보강측면판(43), 보강상부판(41)의 중앙에는 철근(16)을 길이방향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된 철근 거치부(42), 보강측면판(43)에서 홈이 구비되어 데크몸체(20)와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된 제2 결합부(44)를 포함하는 보강편재(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 및 이에 사용되는 보강편재{Deep Depth Deck-Plate And Reinforcement Composition Used for the Same}
본 개시는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 및 이에 사용되는 보강편재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데크플레이트는 크게 거푸집용 데크플레이트, 구조용 데크플레이트 및 합성 데크플레이트로 구분된다. 거푸집용 데크플레이트는 구조재의 기능 없이 거푸집으로 사용된다. 반면에 구조용 데크플레이트는 데크플레이트를 구조재로서 설계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여기서 콘크리트는 비구조재로서 바닥의 평활성, 진동, 소음방지 및 보온재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합성 데크플레이트는 거푸집용 데크플레이트와 구조용 데크플레이트의 기능을 병합한 것으로서, 거푸집 역할을 함과 동시에 합성 데크플레이트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콘크리트와 일체화된 합성단면으로 구조재의 역할도 수행한다. 여기서 콘크리트는 압축력을 부담하고 합성 데크플레이트는 인장력을 부담한다. 이들 데크플레이트 중에는 단면에 골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그 골의 깊이가 100 mm를 초과하는 이른바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가 있다.
도 1은 소위 '나사못 박기 작업'과 '스페이싱 작업'이 필요한 종래의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의 예시도이다.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는 얇은 금속판을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하고 이를 절곡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좁고 긴 전체의 모양과 함께 사다리꼴의 단면 모양을 가진 단위 부재로 구성된다. 이들 단위 부재는 부재 양끝단에 설치된 암수 형태로 이루어진 연결고리의 체결에 의해 이웃한 단위 부재와 1차 결합이 되고, 도 1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연결고리 상부에 약 1 m 간격으로 이루어지는 나사못(14) 박기에 의해 2차 결합이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단위 부재가 결합이 되면서 건축물 혹은 구조물에 있어 바닥의 기초가 되는 일정한 너비를 가진 판이 형성된다.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의 경우 구조물에 필요한 강성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거의 예외 없이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의 골 하부에 철근(16)을 삽입한다. 이 때 철근(16)의 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적정한 구조적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데크플레이트의 골 하부로부터 약 20 mm 내지 30 mm정도의 높이에 철근(16)이 놓이는데, 이 간격 유지를 위하여 도 1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주로 플라스틱 재질의 철근거치대인 원형의 '스페이서(15)'가 사용된다. 골의 내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들 '스페이서(15)'를 놓고 여기에 철근(16)을 거치하는 소위 '스페이싱 작업'이 이루어지고 그 위에 콘크리트가 채워지면서 건축물 혹은 구조물의 바닥 본체가 형성된다.
하지만, 종래에 통용되고 있는 이들 '나사못 박기' 작업 그리고 '스페이싱' 작업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데크플레이트 단위 부재 간 2차 결합을 위한 '나사못(14) 박기'의 경우, 첫째,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의 특성상 15 cm 이상 크게는 30 cm로 깊고 6 cm 내지 10 cm의 좁은 틈으로 공구를 집어넣어 1 cm 내지 2 cm 남짓한 매우 제한적인 면으로 이루어진 연결고리 상부의 정해진 장소에 나사못을 박아야 하기 때문에 그 작업 자체가 매우 까다롭다. 둘째, 약 1 m 간격으로 전체 바닥판에 이루어지는 '나사못(14) 박기' 작업의 방대한 작업량은 그 어려움을 더욱 가중시킨다. 셋째, '나사못(14) 박기'는 나사못이 데크플레이트를 관통하고 이로 인해 연결부위에 구멍이 생기면서 콘크리트 타설 시 누설이 발생하는 부작용을 낳기도 한다.
플라스틱 재질의 스페이서(15)를 사용한 '스페이싱' 작업의 경우, 첫째, 플라스틱 스페이서(15)가 놓일 부분의 데크플레이트의 골의 크기와 일치하는 규격을 가진 스페이서(15)를 구하기 어렵다. 둘째, 규격이 맞는 스페이서(15)를 구해 작업이 이루어졌다 해도 얇고 둥근 플라스틱 재질이라는 '스페이서(15)'의 구조적 특성상 주저앉거나 옆으로 돌아가 철근(16)을 제자리에 배치하기가 어렵다. 셋째, 배치한 이후에도 작업자의 이동 등의 작은 충격에도 철근(16)이 자리를 쉽게 이탈하여 교정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고, 해당 교정 작업이 상부 철근(16) 사이 그리고 골 안쪽 깊이까지 손을 밀어 넣은 채로 행하여져야 하는 것으로 그 자체가 또한 대단히 어려우며, 수많은 단위 부재의 결합에 의해 수많은 골이 존재하고 있는 만큼 교정의 잠재적 대상이 많을 수 있어 그 어려움이 가중될 수 있으며,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정모멘트 구간에 더 큰 인장력을 확보하기 위해 도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16) 위에 추가적인 보강철근(17)을 배치해 고정시켜야 할 경우에 그 어려움은 더욱 커진다. 넷째, 교정을 포함한 철근(16) 배치가 완료되었다 하더라도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그 충격으로 인해 철근(16)이 이탈되어 품질 저하의 요인이 된다. 참고로, 플라스틱 재질의 철근 거치대(15)는 데크플레이트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성능을 저하시키는 이물질로 간주되어 국가기술표준 등에서 그 사용을 제한하고 있을 정도로 애초에 문제의 소지를 안고 있는 자재이기도 하다.
이에, 본 개시는 단위 데크플레이트 부재 간의 결합을 위한 소위 '나사못(14) 박기' 그리고 철근 배근 시 플라스틱 재질의 스페이서를 사용한 소위 '스페이싱'을 대신하기 위한 맞춤 제작된 보강편재와 이에 사용되는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의 제공을 통해 건축공정을 단순화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의 골에 보강편재를 끼움결합하여 단위 데크플레이트 부재 간의 결합 시 '나사못 박기 작업'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의 골에 보강편재를 끼움결합하여 '나사못 박기 작업'에 따른 관통에 의해 발생하는 콘크리트 누설을 방지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의 골에 보강편재를 끼움결합하여 보강편재 상단에 철근을 쉽게 놓음은 물론 이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의 골에 복수의 보강편재를 끼움결합하여, 종래에 이루어지고 있는 '이탈한 철근을 제자리에 위치하도록 하는 교정작업'을 생략토록 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의 골에 복수개의 보강편재를 끼움결합하여, 콘크리트를 데크플레이트 상부에 타설하는 과정에서도 철근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 중앙부에 복수개의 보강편재를 끼움결합하여 별도의 철근을 추가하지 않고도 추가 인장력을 확보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몸체상부판(21), 몸체상부판(21)의 양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형성되어 사다리꼴 단면의 양측면을 이루는 한 쌍의 몸체측면판(23a 및 23b), 몸체측면판(23a 및 23b)의 하단에는 외측 방향으로 몸체상부판(21)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몸체하부판(26), 및 몸체측면판의 하부면(23b)에서 몸체측면판의 하부면(23b)의 외측으로 길이방향과 수평하게 돌출된 제1 결합부(45)를 포함하는 데크몸체(20); 및 보강상부판(41), 보강상부판(41)의 양 단부에서 하향 절곡되어 몸체측면판(23a 및 23b)의 경사에 대응되는 각도로 형성된 보강측면판(43), 보강상부판(41)의 중앙에는 철근(16)을 길이방향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된 철근 거치부(42), 보강측면판(43)에서 홈이 구비되어 데크몸체(20)와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된 제2 결합부(44)를 포함하는 보강편재(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를 제공한다.
또한, 보강상부판(41); 보강상부판(41)의 양 단부에서 기 설정된 각도로 하향 절곡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보강측면판(43); 보강상부판(41)의 중앙에서 철근(16)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된 철근 거치부(42); 및 보강측면판(43)에서 홈이 구비되어 데크몸체(20)의 돌출된 결합부(45) 부분과 밀착하여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보강측면판(43)의 내측 방향으로 홈이 함몰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44)를 포함하는 보강편재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 및 이에 사용되는 보강편재는 보강편재를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 사이에 가압하여 끼움결합함으로써 보강편재가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의 좌우측의 측면판을 외측으로 밀어내어 체결 고리의 결속을 강화시키며, 그 결과로 종래의 나사못 박기 작업이 없이도 데크플레이트 간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어 건축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철근 거치부를 구비하고 있는 부재를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의 골에 가압하여 끼움결합하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설치함으로써 철근 배근과 관련된 건축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강편재의 측면에서 형성된 제2 결합부를 이용하여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의 골에 설치된 보강편재를 고정하여 기울어짐이 없게 하고, 보강편재 상단에 철근이 놓여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철근을 1열로 일정한 높이에 배치된 보강편재의 철근 지지부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콘크리트를 데크플레이트 상부에 타설하는 과정에서 철근이 이동되지 않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의 중앙부에서 새로운 보강용 철근을 추가하지 않고도 보강편재를 복수 개 배치시킴으로써 요구되는 인장력을 확보하게 되어 보강 철근의 배근에 따른 추가 작업을 생략 혹은 축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나사못 박기와 스페이싱 작업이 필요한 종래의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보강편재가 측면몸체부의 하부면 사이에 끼움결합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보강편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길이방향'이라는 용어는 데크몸체(20)의 길이방향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10에는 보강편재(27)와 몸체측면판의 하부면(23b) 사이의 간격, 및 암컷 체결 고리와 수컷 체결 고리 사이의 간격이 밀착되어 결합 또는 체결된 것으로 보이지 않으나, 이는 구성 간 설명 편의 및 구성을 명확히 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 실시예는 후술할 내용과 같이 밀착하여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는 데크몸체(20) 및 보강편재(27)를 포함한다.
데크몸체(20)는 몸체상부판(21), 몸체측면판(23a 및 23b), 몸체하부판(26), 체결절곡부(25) 및 제1 결합부(45)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몸체상부판(21)의 중앙에는 상부홈(22)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상부홈(22)은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효과와 함께, 타설되어 양생되는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높여 일체로 거동할 수 있게 한다.
데크몸체(20)는 몸체상부판(21)의 양 단부에서 하부로 한 쌍의 몸체측면판(23a 및 23b)이 연장 형성되어 사다리꼴 단면의 양측면을 이룬다. 즉, 몸체측면판(23a 및 23b)은 몸체상부판(21)의 좌우 양측 단부 각각에서 미리 설정된 각도로 하향 절곡되어 사다리꼴 단면의 양측면을 이루도록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의 단위 유닛 마다 한 쌍의 몸체측면판(23a 및 23b)이 구비된다.
몸체하부판(26)은 몸체측면판(23a 및 23b) 하단의 외측 방향으로 몸체상부판(21)과 평행하게 한 쌍의 몸체하부판(26)이 연장 형성된다. 즉, 몸체하부판(26)은 몸체측면판(23a 및 23b) 각각의 하단부에서 몸체상부판(21)과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외측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몸체하부판(26)은 몸체측면판(23a 및 23b)과 마찬가지로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의 단위 유닛 마다 한 쌍이 구비된다.
몸체상부판(21) 및 몸체측면판(23a 및 23b)에는 복수개의 엠보싱(24)이 형성되어 있다. 엠보싱(24)은 몸체상부판(21) 및 몸체측면판(23a 및 23b)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복수 개가 배치되어 있다. 엠보싱(24)은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효과와 함께, 타설되어 양생되는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높여 일체로 거동할 수 있게 한다.
몸체측면판(23a 및 23b)은 몸체측면판의 상부면(23a)과 몸체측면판의 하부면(23b)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몸체측면판의 상부면(23a)과 몸체측면판의 하부면(23b)은 몸체측면판(23a 및 23b)에 형성된 엠보싱(24)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엠보싱(24) 하단부의 상부는 몸체측면판의 상부면(23a), 그 외의 부분은 몸체측면판의 하부면(23b)에 해당한다.
몸체측면판의 하부면(23b)은 보강편재(27)가 끼움결합되는 부분과 몸체하부판(26)에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 홈(29) 부분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보강편재(27)가 끼움결합되는 부분’이라 함은 몸체측면판의 하부면(23b)에 보강편재(27)가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몸체측면판(23a 및 23b)의 외측방향으로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의 길이방향과 수평하게 돌출된 제1 결합부(45)를 뜻한다. 제1 결합부(45)는 몸체하부판(26)으로부터 20 mm 내지 50 mm 떨어져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몸체측면판의 하부면(23b)마다 각각 하나의 제1 결합부(45)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1 결합부(45)의 개수는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측면판의 하부면(23b)과 몸체하부판(26) 사이에는 데크몸체(2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홈(29)이 형성된다. 이러한 홈(29)은 10 mm 내지 20 m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홈(29)은 보강편재(27)가 좌우측의 데크몸체(20)를 밀어내는 힘이 작용할 때 이에 맞서 데크몸체(20)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고, 체결절곡부(25) 간의 결합 또한 견고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홈(29)은 몸체하부판(26)과 50도 내지 70도의 각도를 이루고, 몸체측면판의 하부면(23b)과 130도 내지 150도의 각도를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몸체상부판(21)과 몸체하부판(26) 사이의 수직 거리는 150 mm보다 길거나 같다. 몸체상부판(21)과 몸체하부판(26) 사이의 수직 거리는 170 mm 내지 300 mm가 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체결절곡부(25)는 몸체하부판(26)의 외측 단부에서 여러 개의 데크몸체(20)가 좌우 체결될 수 있도록 절곡 형성된다. 체결절곡부(25)는 데크몸체(20)의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암수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낚시 바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체결절곡부(25)의 형상은 예시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데크몸체(20)를 좌우방향으로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몸체하부판(26) 외측 단부에 절곡 형성된 모든 형상을 포함한다.
보강편재(27)는 보강상부판(41) 중앙에 홈이 형성되고, 보강측면판(43)에 제2 결합부(44)가 형성되어 골 형성부(28) 내에서 몸체측면판의 하부면(23b) 사이에 끼움결합된다.
도 3에는 한 쌍의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가 체결절곡부(25)에 의해 체결된 후, 골 형성부(28)에 복수 개의 보강편재(27)를 끼움결합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보강편재(27)의 크기는 도 3의 도시된 것보다 더 크거나 작을 수 있고,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편재(27)의 개수 및 배치 형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의 예시를 참조하면, 몸체측면판의 하부면(23b)에 끼움결합되는 복수의 보강편재(27) 간의 간격은 골 형성부(28)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골 형성부(28)의 중앙부로 갈수록 정모먼트가 형성되는데, 인장력을 확보하기 위해 보강편재(27)를 더욱 촘촘하게 끼움결합할 수 있다. 또한, 골 형성부(28)의 중앙부로 갈수록 정모먼트에 대응하는 인장력 확보를 위해 보강편재(27)의 폭, 보강편재(27)의 두께가 커지면서 보강편재(27)의 강성이 증가될 수 있다. 종래에는 중앙부에 추가적인 철근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작업을 하였으나, 본 개시는 보강편재(27)가 인장력을 확보해주므로 철근(16)의 추가가 필요 없게 되거나 혹은 그 양이 감소될 수 있다.
도 4는 보강편재가 측면몸체부의 하부면 사이에 끼움결합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보강편재(27)는 보강상부판(41), 보강측면판(43), 철근 거치부(42) 및 제2 결합부(44)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보강측면판(43)은 보강상부판(41)의 양 단부에서 하향 절곡되어 몸체측면판(23a 및 23b)의 경사에 대응되는 각도로 한 쌍이 형성된다. 여기서 보강상부판(41)과 보강측면판(43)이 이루는 제1 각도(A)는 몸체하부판(26)과 몸체측면판의 하부면(23b)이 이루는 각도의 외각인 제2 각도(B)와 동일할 수 있다. 하지만, 제1 각도(A)가 제2 각도(B)보다 클 경우, 보강편재(27)를 골 형성부(28)에서 끼움결합할 때 더욱 견고하게 밀착결합될 수 있다. 보강편재(27)가 끼움결합됨으로써 보강편재(27)의 좌우측에 있는 데크몸체(20)도 보강편재(27)의 외측 방향으로 밀려지게 되는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절곡부(25)가 서로 밀착결속되어 데크몸체(20) 간에 결속을 견고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절곡부(25)를 이루는 낚시바늘 형태와 유사한 좌측 수컷 고리와 우측 암컷 고리가 각각 데크몸체(20)의 외측 방향, 즉 서로의 반대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두 고리가 밀착하게 되어 결속이 견고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증대하기 위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몸체(20)의 체결절곡부(25)를 이루는 우측 암컷 고리의 구부러진 각도(D)를 좌측 수컷 고리의 구부러진 각도(C)보다 작게 하여, 우측 암컷 고리와 좌측 수컷 고리의 밀착시 데크몸체(20) 간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C는 40도 내지 45도로 형성되고, D는 30도 내지 35도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강편재(27)가 몸체측면판의 하부면(23b) 사이에 끼움결합되면서 데크몸체(20)가 외측방향으로 밀리게 되고 동시에 수컷 고리와 암컷 고리가 밀착되어지는데, 여기서 각도가 작은 암컷 고리에 압력이 가해지고 이에 저항하는 힘이 발생하면서 밀착 상태가 더욱 견고 해 질 수 있다.
몸체측면판의 하부면(23b)에 데크몸체(2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10 mm 내지 20 mm의 폭을 가진 홈(29)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홈(29)은 몸체하부판(26)과 50도 내지 70도의 각도로 예각을 이루고, 몸체측면판의 하부면(23b)과 130도 내지 150도의 각도로 둔각을 이루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홈(29)의 구조는 보강편재(27)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체결절곡부(25)의 암수고리의 체결을 견고히 하는 데 일조를 한다. 구체적으로, 보강편재(27)가 끼움결합되면서 압력에 의해 몸체측면판(23a 및 23b)과 몸체하부판(26)이 이루는 각도가 벌어지게 되는데, 몸체측면판(23a 및 23b)과 몸체하부판(26)이 접하는 부위에 재료가 추가되고 동시에 해당 부위가 상대적으로 예각 처리됨에 따라 강성이 강화되어 몸체측면판(23a 및 23b)과 몸체하부판(26)간의 각도의 벌어짐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로 보강편재(27)가 끼움결합되면서 체결절곡부(25)에 가해지는 압력이 유지되는데, 이는 곧 체결절곡부(25)의 수컷 고리와 암컷 고리가 고리에 발생하는 외측방향으로 당겨지는 압력이 유지되는 것과 다르지 않다. 결국 두 개의 고리가 서로 밀착하게 되어 결속이 강화될 수 있는 조건이 된다.
종합하면, 보강편재(27)가 데크몸체(20) 사이에 가압 방식으로 끼움결합되는데 있어 미리 계산되어 조정된 데크몸체(20)의 몸체측면판의 하부면(23b)과 보강편재의 보강측면판(43) 간의 경사 각도, 체결절곡부(25)의 암수 고리간의 구부러진 각도 및 몸체측면판의 하부면(23b)에 형성된 일정 형태의 홈(29)이 연동되면서 체결절곡부(25)의 결합 기능이 강화되고 이를 통해 데크몸체(20) 간에 견고한 체결이 이루어진다. 그 결과로 통상적으로 이루어지는 데크몸체(20) 간에 체결을 위한 소위 2차 결합인 나사못 박기를 생략할 수 있게 되어, 공정의 단순화를 꾀할 수 있음은 물론,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나사못 박기 작업에 의해 생기는 타공에 의한 콘크리트의 누설의 문제 또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철근 거치부(42)는 보강상부판(41) 중앙에 함몰되어 철근(16)을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철근 거치부(42)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반드시 반원호 형태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통상적으로 직경 10 mm에서 15 mm 정도의 철근(16)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U'형 및 'V'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할 경우 두 개의 철근(16)을 거치하기 위해 'W'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철근 거치부(42)는 두개 이상의 철근(16)을 거치할 수 있도록 보강상부판(41)의 상부에 두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철근 거치부(42)는 철근(16)이 거치되어 배근되는 높이를 고려하여 몸체하부판(26)의 바닥면에서 20 mm 내지 50 mm 이격된 지점에 철근(16)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철근 거치부(42)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결합부(44)는 보강측면판(43)에서 홈이 구비되어 보강편재(27)가 데크몸체(20)와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함몰형성되어 있다. 제2 결합부(44)의 상부는 곡면의 형상을 가지고 제2 결합부(44)의 하부는 몸체측면판의 하부면(23b)과 수직을 이루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2 결합부(44)가 이러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보강편재(27)를 끼움결합할 때는 곡면에 미끄러지듯 간편히 결합되는 반면에, 결합 이후에는 제2 결합부(44)에서 몸체측면판의 하부면(23b)과 수직인 부분이 보강편재(27)를 고정하여 보강편재(27)가 상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제1 결합부(45)의 돌출된 모양 또한 제2 결합부(44)에 상응하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보강편재(27)의 좌우측에 각각 두개의 제2 결합부(44)가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결합부(44)는 보강편재(27)의 좌우측면판에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44)가 보강편재(27)의 좌우측면판에 각각 둘 이상 형성되어 있고, 제 1 결합부(45)가 몸체측면판의 하부면(23b)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경우, 필요에 따라 제2 결합부(44)에 있는 두 개의 홈 중에 하나의 홈을 이용하여 제1 결합부(45)와 끼움결합시킬 수 있어 제작 과정 혹은 현장 설치 과정 중 발생하는 오차 등의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제2 결합부(44)에 있는 복수의 홈은 보강편재(27)가 데크몸체(20) 사이에 끼움결합되는 가압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체결절곡부(25)의 결합을 강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종합하면, 보강편재(27)의 제2 결합부(44)가 데크몸체(20)의 제1 결합부(45)와 끼움결합되는 간단한 방법으로 철근(16)이 놓일 자리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구조상 철근(16)이 놓일 자리의 높이가 일정하게 되고, 철근(16)이 자리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플라스틱 소재의 원형 스페이서를 사용한 철근 배근과 달리, 본 개시는 작업이 용이하고 별도의 교정 작업 또한 필요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45)와 제2 결합부(44)의 개수가 반드시 동일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 결합부(45)가 몸체측면판의 하부면(23b)에 각각 하나가 형성되어 있고, 제2 결합부(44)가 보강측면판(43)에 각각 두개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본 개시의 효과를 그대로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몸체측면판의 하부면(23b)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45)와 보강측면판(43)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44)의 개수는 한 면마다 각각 두 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데크몸체(20)는 두 개의 몸체상부판(21) 및 두 쌍의 몸체측면판(23)을 포함하며, 중앙 골 형성부(28)에 체결절곡부(25)의 결합 없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두 개의 데크몸체(20)가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개시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 또한 도 2와 마찬가지로,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는 데크몸체(20)와 보강편재(27)를 포함한다. 도 2와의 차이점은 데크몸체(20) 중 몸체상부판(21)의 형상 및 폭의 차이이다. 도 6의 경우, 몸체상부판(21)에는 총 4열의 엠보싱(24) 배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체상부판(21)의 너비 또한 더욱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보강편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보강편재(27)의 보강상부판(71)은 철근 거치부(72)를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있다. 이러한 모양은 철근(16)을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의 골 형성부(28) 하단에 있는 부분으로까지 옮길 때, 경사를 이용하여 더욱 간단하게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보강편재(27)의 제2 결합부(84)가 함몰 형성이 아닌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실시예를 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부(84)가 외측 돌출 형성된 경우, 데크몸체(20)의 몸체측면판의 하부면(23b)에 형성된 제1 결합부(85)는 끼움결합을 위해 함몰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보강편재(27)는 보강측면판(93)의 하단부에서 보강상부판(91)과 나란하게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편재지지부(96)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편재지지부(96)를 추가 형성함으로써, 철근(16)이 거치될 때 철근(16)의 하중을 편재지지부(96)가 일부 감당함으로써, 여러 개의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가 결속됐을 때에도 안정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보강편재(27)의 철근 거치부(102)는 'W'의 형태로 형성되어 두 개의 철근(16)을 거치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강편재(27)는 데크몸체(20)의 인장력 확보를 위해 골 형성부(28)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간편하게 두 개의 철근(16)을 거치할 수 있다.
보강편재(27)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여러 개의 실시예뿐 아니라, 통상적으로 철근(16)을 거치할 수 있는 홈 부분이 보강상부판(41)에 형성되어 있고, 측면부에 돌출부분 또는 함몰부분이 형성되어 몸체측면판의 하부면(23b)에 밀착해 끼움결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 데크몸체 21: 몸체상부판
22: 상부홈 23: 몸체측면판
24: 엠보싱 25: 체결절곡부
26: 몸체하부판 27: 보강편재
28: 골 형성부 29: 홈
41: 보강상부판 42: 철근 거치부
43: 보강측면판 44: 제2 결합부
45: 제1 결합부

Claims (15)

  1. 몸체상부판(21), 상기 몸체상부판(21)의 양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형성되어 사다리꼴 단면의 양측면을 이루는 한 쌍의 몸체측면판(23a 및 23b), 상기 몸체측면판(23a 및 23b) 각각의 하단에 외측 방향으로 상기 몸체상부판(21)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몸체하부판(26), 상기 몸체측면판의 하부면(23b)에서 상기 몸체측면판의 하부면(23b)의 외측으로 길이방향과 수평하게 돌출된 제1 결합부(45), 상기 몸체하부판(26) 양쪽의 외측 단부에 암수 형태의 연결고리로 형성된 한 쌍의 체결절곡부(25), 및 상기 몸체측면판의 하부면(23b)과 상기 몸체하부판(26)이 접하는 부위에 형성된 홈(29)을 포함하는 데크몸체(20); 및
    보강상부판(41) 및 상기 보강상부판(41)의 양 단부에서 하향 절곡되어 상기 몸체측면판(23a 및 23b)의 경사에 대응되는 각도로 형성된 보강측면판(43)을 포함하는 보강편재(27)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상부판(41)의 중앙에는 철근(16)을 상기 길이방향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된 철근 거치부(42)가 구비되고, 상기 보강측면판(43)에는 홈이 구비되어 상기 데크몸체(20)의 상기 제1 결합부(45)와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된 제2 결합부(44)를 포함하며,
    두 개의 데크몸체(20)의 체결절곡부(25)를 암수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보강편재(27)가 상기 두 개의 데크몸체(20) 사이에 형성되는 골 형성부(28)에 끼움결합될 때, 상기 보강편재(27)는 상기 몸체측면판(23a 및 23b)에 의해 상기 골 형성부(28) 내에 지지되고 상기 보강측면판(43)이 상기 두 개의 데크몸체(20)를 좌우로 밀어내어 상기 두 개의 데크몸체(20)의 체결절곡부(25) 간의 결속을 견고히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220013751A 2020-08-07 2022-01-28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 및 이에 사용되는 보강편재 KR102629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751A KR102629043B1 (ko) 2020-08-07 2022-01-28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 및 이에 사용되는 보강편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910 2020-08-07
KR1020220013751A KR102629043B1 (ko) 2020-08-07 2022-01-28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 및 이에 사용되는 보강편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910 Division 2020-08-07 2020-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5763A KR20220025763A (ko) 2022-03-03
KR102629043B1 true KR102629043B1 (ko) 2024-01-23

Family

ID=80818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3751A KR102629043B1 (ko) 2020-08-07 2022-01-28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 및 이에 사용되는 보강편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90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842Y1 (ko) * 2006-03-14 2006-06-14 박무용 딥 데크의 연결부간 고정구조
JP2013209838A (ja) * 2012-03-30 2013-10-10 Nippon Steel & Sumikin Metal Products Co Ltd デッキプレートの補強部材及び同補強部材を使用した合成スラブ構造
KR101942842B1 (ko) * 2018-07-31 2019-01-28 최창식 장스팬용 데크플레이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2357Y2 (ja) * 1991-07-12 1997-07-23 日鐵建材工業株式会社 デッキプレートの鉄筋スペーサー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842Y1 (ko) * 2006-03-14 2006-06-14 박무용 딥 데크의 연결부간 고정구조
JP2013209838A (ja) * 2012-03-30 2013-10-10 Nippon Steel & Sumikin Metal Products Co Ltd デッキプレートの補強部材及び同補強部材を使用した合成スラブ構造
KR101942842B1 (ko) * 2018-07-31 2019-01-28 최창식 장스팬용 데크플레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5763A (ko)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4586B1 (ko) 장스팬 적용 및 층고 절감을 위한 폐단면 강재 보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합성보 시스템
KR100997243B1 (ko)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
KR102174773B1 (ko) 횡좌굴 방지 클립부재를 구비한 래티스 보강철근 조립체-파형 플레이트의 합성데크 및 그 제작방법
KR102085694B1 (ko) 방진형 터널 구조체
KR20070110187A (ko)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철근 캡 조립체
KR100624075B1 (ko) 기초보강재
JP7076333B2 (ja) 支持構造体及び支持構造体を備えた合成スラブ構造
KR102629043B1 (ko)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 및 이에 사용되는 보강편재
KR20190012766A (ko) 탑u형 래티스 합성보
KR101540649B1 (ko) 원터치 고정형 격자철선을 이용한 철근 일체형 합성구조
KR101027973B1 (ko) 벽면 타설용 폼 블록 구조물
KR10122220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와 데크플레이트의 합성보
KR102173275B1 (ko) 장스팬 합성보
KR101216632B1 (ko) 벽면 타설용 폼 블록 구조물을 이용한 벽면 시공방법
KR102186162B1 (ko) 스페이서를 구비한 장스팬용 데크플레이트
JP2005344289A (ja) 柱脚金物
KR102310264B1 (ko) 강콘크리트 합성보용 강판 조립보
KR101012010B1 (ko) 골형 웨브 강판 조립보
KR101797960B1 (ko)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 및 이를 이용한 합성보
KR102042090B1 (ko) 프리캐스트 바닥판-보강철근 결합체와 지지판을 이용한 h말뚝과 콘크리트 교대 구조체의 일체화 구성을 가지는 일체식 교대 및 그 시공방법
KR100454787B1 (ko) 콘크리트 거푸집널
KR101366716B1 (ko) 웨브 단면보강형 데크플레이트
KR20170061463A (ko) 탈형 데크 플레이트
KR20160043501A (ko)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JP6604650B2 (ja) 擁壁型枠の固定金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