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8786B1 - 앰플 자동체결 방법 및 그에 따른 무통마취 주사장치 - Google Patents

앰플 자동체결 방법 및 그에 따른 무통마취 주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8786B1
KR102628786B1 KR1020210179049A KR20210179049A KR102628786B1 KR 102628786 B1 KR102628786 B1 KR 102628786B1 KR 1020210179049 A KR1020210179049 A KR 1020210179049A KR 20210179049 A KR20210179049 A KR 20210179049A KR 102628786 B1 KR102628786 B1 KR 102628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ampoule
pin
hook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9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0441A (ko
Inventor
심기봉
김정일
심상우
길근형
오윤상
윤재민
홍현기
김정수
박성열
김찬호
김용희
조성환
성현수
김지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덴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덴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덴티스
Priority to KR1020210179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786B1/ko
Publication of KR20230090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0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7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8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combined with anaesthetis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9/00Local anaesthesia; Hypo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66Means improving security or handling thereof
    • A61M5/31568Means keeping track of the total dose administered, e.g. since the cartridge was inser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2005/2433Ampoule fixed to ampoule holder
    • A61M2005/2437Ampoule fixed to ampoule holder by clam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25Details specific display means, e.g. to indicate dose setting
    • A61M2005/3126Specific display means related to do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2005/3158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electrically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68Liquids non-physiological
    • A61M2202/048Anaesthe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무통마취 주사장치는, 일측종단은 앰플의 결합부재를 뚫고 들어갈 수 있도록 첨예하며, 상기 첨예한 부분에서 타측종단방향으로는 갈고리 형상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를 뚫고 들어가 상기 결합부재내에 갈고리 형상 부분이 걸려 상기 앰플과 체결될 수 있게 형성된 후크부; 상기 후크부의 타측종단과 모터의 구동축 사이에 연결되는 모터핀; 상기 모터핀을 전진시키기 위해 정방향 회전하거나 상기 모터핀을 후진시키기 위해 역방향 회전하는 모터;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 상기 모터핀의 이동거리를 지시하는 상기 모터의 회전량을 센싱하는 엔코더 센서; 및 앰플 체결이 요청되면, 미리 정해둔 제1거리만큼 상기 모터핀이 전진하도록 상기 모터를 정회전하여 상기 후크부의 첨예한 부분이 상기 앰플의 결합부재를 회전하면서 뚫고 들어가게 한 후에, 미리 정해둔 제2거리만큼 상기 모터핀이 후진하도록 상기 모터를 역회전하여 상기 후크부의 갈고리 형상부분이 상기 앰플의 결합부재에 걸리게 회전하면서 당기도록 상기 모터 제어부를 제어하는 앰플체결과정을 수행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앰플은 액상의 물질이 수용되며 일측종단에 후크부가 뚫고 들어가거나 후크부에 의해 당겨지는 결합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앰플은 상기 후크부 전면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앰플 자동체결 방법 및 그에 따른 무통마취 주사장치{Automatic ampoule fastening method and painless anesthesia injection device according thereto}
본 발명은 무통 마취 주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통마취 주사장치의 모터에 연결된 모터핀과 앰플을 연결하는 후크부를 앰플측으로 회전하면서 밀고 당기는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앰플과 상기 후크부가 안정적으로 체결되게 하여, 앰플과 후크부 사이의 체결신뢰도를 높이는 앰플 자동체결 방법 및 그에 따른 무통마취 주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령화 사회 및 국민의 소득지수가 높아짐에 따라 건강에 대한 관심이 굉장히 높아졌다. 그 중 치과 치료에 대한 관심은 굉장히 높으며 특히 고령화 사회가 됨에 따라서 임플란트 및 보철치료와 같은 치과 치료에 대한 수요는 굉장히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치과 치료에 대한 환자들의 만족도 연구, 대한치과의사협회, 2007(3)호'에 따르면 많은 환자들이 치과 치료에 대해 공포심이 있으며, 그 중 통증에 대한 공포심이 매우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치과에서는 시술 부위에 대해 국부 마취를 행하여 환자의 통증을 최소화하고 있다.
상기의 국부 마취는 주사기를 이용하여 마취액을 시술 부위에 주입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마취액을 주입할 때 마취액 주입속도를 높이게 되면 환부에 과도한 압력이 생성되어 환자가 고통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마취액을 주입할 때에는 적절한 주입속도로 주입해야만 하고, 가급적 느린 속도로 주입하면 환자는 큰 통증을 느끼지 못한다. 하지만 마취액이 느린 속도로 주입되어 시술 시간이 지연되는 경우 시술자는 시간적 손실을 감수해야 하고, 환자 입장에서도 시술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감내해야만 한다.
이에 종래에는 모터를 이용하여 일정한 속도로 약물을 주입함으로써 마취시의 통증을 최소화하는 기구인 무통마취 주사장치가 개발되어 상용화되기에 이르렀다.
상기의 무통마취 주사장치는 배터리가 내장된 건 타입(Gun type)과 마취액이 수용되는 앰플이 결합되는 마취기 몸체와 이 마취기 몸체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배터리가 내장된 본체를 구비하는 핸드피스 타입(Handpiece type)과, 풋 스위치에 의해 마취액이 주입되는 풋 스위치 타입(Footswitch type)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건 타입의 무통마취 주사장치는 내장된 배터리와 다른 부품 등에 의해 무게가 많이 나가고, 무게 중심이 안정적이지 못하여 마취액 주입시 마취기 자체의 흔들림으로 인해 마취액의 주입이 적절한 속도로 이루어질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핸드피스 타입의 무통마취 주사장치는, 배터리를 손으로 잡는 마취기 몸체가 아닌 본체에 내장시키므로 무게로 인한 영향은 전술한 건 타입의 무통 마취기에 비해 현저히 적으나, 별도의 본체를 구비하는 점에서 부가적인 비용이 소요되고, 마취 작업 시에도 본체의 간섭으로 작업이 불편해질 수 있다.
그리고 풋 스위치 타입의 무통마취 주사장치는 마취액의 주입을 위해 풋 스위치를 발로 눌러주면 되므로 마취액의 주입이 편리하나, 풋 스위치 등을 구비하므로 무겁고 주변기기와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다양한 형태의 무통마취 주사장치가 고안되어 장치의 신뢰도를 높임은 물론이고 사용자의 편이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상기의 무통마취 주사장치는 모터와 연결된 구동축의 구동력에 의해 마취액 앰플내의 마취액이 시술부위에 내삽된 주사바늘을 통해 시술부위의 내부로 토출되면서 마취액이 시술부위에 주입되게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마취액을 주입함에 따라 마취액 앰플내로 혈액이 유입되어 마취액이 잘못 주입되는 의료사고가 발생될 수 있어, 종래에 무통마취 주사장치는 흡인 기능을 구비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마취액 앰플내의 마취액의 주입을 제어하거나 마취액 앰플로 혈액이 유입되지 않게 방지하기 위해서는 마취액 앰플이 모터의 구동축에 안정적으로 체결되어야 하므로, 종래에는 마취액 앰플을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망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53709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0281호
본 발명은 무통마취 주사장치의 모터에 연결된 모터핀과 앰플을 연결하는 후크부를 앰플측으로 회전하면서 밀고 당기는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앰플과 상기 후크부가 안정적으로 체결되게 하여, 앰플과 후크부 사이의 체결신뢰도를 높이는 앰플 자동체결 방법 및 그에 따른 무통마취 주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무통마취 주사장치는, 일측종단은 앰플의 결합부재를 뚫고 들어갈 수 있도록 첨예하며, 상기 첨예한 부분에서 타측종단방향으로는 갈고리 형상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를 뚫고 들어가 상기 결합부재내에 갈고리 형상 부분이 걸려 상기 앰플과 체결될 수 있게 형성된 후크부; 상기 후크부의 타측종단과 모터의 구동축 사이에 연결되는 모터핀; 상기 모터핀을 전진시키기 위해 정방향 회전하거나 상기 모터핀을 후진시키기 위해 역방향 회전하는 모터;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 상기 모터핀의 이동거리를 지시하는 상기 모터의 회전량을 센싱하는 엔코더 센서; 및 앰플 체결이 요청되면, 미리 정해둔 제1거리만큼 상기 모터핀이 전진하도록 상기 모터를 정회전하여 상기 후크부의 첨예한 부분이 상기 앰플의 결합부재를 회전하면서 뚫고 들어가게 한 후에, 미리 정해둔 제2거리만큼 상기 모터핀이 후진하도록 상기 모터를 역회전하여 상기 후크부의 갈고리 형상부분이 상기 앰플의 결합부재에 걸리게 회전하면서 당기도록 상기 모터 제어부를 제어하는 앰플체결과정을 수행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앰플은 액상의 물질이 수용되며 일측종단에 후크부가 뚫고 들어가거나 후크부에 의해 당겨지는 결합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앰플은 상기 후크부 전면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무통마취 주사장치는 모터에 연결된 모터핀과 앰플을 연결하는 후크부를 앰플측으로 회전하면서 밀고 당기는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앰플과 상기 후크부가 안정적으로 체결되게 하여, 앰플과 후크부 사이의 체결신뢰도를 높여 기구적인 편차 또는 센서 인식에 따른 편차, 모터 토크 편차를 보완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야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무통마취 주사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무통마취 주사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무통마취 주사장치의 앰플 자동체결 방법의 절차도.
본 발명의 무통마취 주사장치는 모터에 연결된 모터핀과 앰플을 연결하는 후크부를 앰플측으로 회전하면서 밀고 당기는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앰플과 상기 후크부가 안정적으로 체결되게 하여, 앰플과 후크부 사이의 체결신뢰도를 높인다. 이로서 본 발명은 무통마취 주사장치의 기구적인 편차 또는 센서 인식에 따른 편차, 모터 토크 편차를 보완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앰플 자동체결 방법 및 그에 따른 무통마취 주사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무통마취 주사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무통마취 주사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무통마취 주사장치의 블록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무통마취 주사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무통마취 주사장치는 원통형의 하우징에 내장 또는 설치된 제어장치(100)와 모터(102)와 모터핀(104)과 후크부(106)와 홈 표식부재(108)와 홈 센서(110)와 엔코더 센서(112)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후크부(106)의 전면에는 앰플이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간이 위치되며 상기 앰플은 상기 수납공간에 장착된다. 상기 앰플은 액상의 물질이 수용되며 일측종단에 상기 후크부(106)에 형성된 첨예한 부분이 뚫고 들어가거나 상기 후크부(106)에 형성된 갈고리 형상부분이 걸릴 수 있는 결합부재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재는 통상 실리콘으로 제작되므로 이하 편이상 실리콘 부재라 일컫는다.
상기 제어장치(100)는 제어모듈(150)과 메모리부(152)와 표시모듈(154)과 통신모듈(156)과 모터 제어부(156)와 조작버튼부(158)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장치(100)의 제어모듈(150)은 상기 무통마취 주사장치의 각부를 제어하며,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모터(102)와 연결된 모터핀(104)의 종단에 위치하는 후크(106)를 회전시키면서 밀거나 당겨 앰플의 후면에 위치하는 실리콘 부재에 상기 후크(106)가 체결되도록 모터 제어부(160)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50)은 상기 후크부(106)를 회전시키면서 밀고 당기는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앰플과 상기 후크부(106)가 안정적으로 체결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앰플과 후크부(106) 사이의 체결신뢰도를 높임으로써 기구적인 편차 및 센서 인식에 따른 편차, 모터 토크 편차를 보완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메모리부(152)는 상기 제어모듈(150)의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며,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홈 위치 센싱들, 모터핀의 이동거리를 지시하는 모터의 회전량에 대응되는 엔코더 센싱값들, 설정시간정보 등을 저장한다.
상기 표시모듈(154)은 상기 제어모듈(150)의 제어에 따른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상기 정보의 표출은 디스플레이를 통한 안내문구의 표시 또는 LED 점등 등 다양한 형태가 채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의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 통신모듈(156)은 외부와 제어모듈(150) 사이의 통신을 담당한다.
상기 조작버튼부(158)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정보를 상기 제어모듈(150)에 제공하며, 본 발명에서는 앰플의 장착, 앰플의 체결 등을 명령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정보의 입력시에 사용된다.
상기 모터 제어부(160)는 상기 제어모듈(150)의 제어에 따라 모터(102)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 구동한다.
상기 모터(102)는 상기 모터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정회전하여 모터핀(104)을 정회전시키면서 전진시키거나, 상기 모터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역회전하여 모터핀(104)을 역회전시키면서 후진시킨다.
상기 모터핀(104)은 원통형 막대 형태를 가지는 부재로서, 일측 종단면은 상기 모터(102)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측 종단면에는 후크부(106)가 연결된다.
상기 후크부(106)는 일측종단은 앰플의 실리콘 부재를 뚫고 들어갈 수 있도록 첨예하며, 상기 첨예한 부분에서 타측종단방향으로는 갈고리 형상이 형성되어, 상기 실리콘 부재를 뚫고 들어가 상기 실리콘 부재내에 갈고리 형상 부분이 걸려 상기 앰플과 체결될 수 있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홈 표식부재(108)에 대응되는 외부 하우징에는 홈 센서(110)가 장착되며, 상기 홈 센서(110)에 의해 홈 표식부재(108)를 센싱될 때에 상기 제어모듈(150)은 모터핀(104)이 홈 위치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엔코더 센서(112)는 상기 모터핀(104)의 이동거리를 지시하는 상기 모터(102)의 회전량을 센싱한 센싱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모듈(150)로 제공한다.
이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무통마취 주사장치에 적용가능한 본 발명에 따르는 앰플 자동체결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무통마취 주차장치의 앰플 자동체결 방법의 절차>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무통마취 주사장치의 앰플 자동체결 방법의 절차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무통마취 주사장치의 제어모듈(150)은 조작버튼부(158)를 통한 앰플 장착이 요청되면(200단계), 모터 제어부(160)를 통해 모터(102)를 역회전하면서, 모터핀(104)이 홈 위치에 위치하는지를 센싱하는 홈 센서(110)로부터의 센싱값을 제공받는다(202단계). 상기 제어모듈(150)은 모터(102)의 역회전시에 상기 홈 센서(110)로부터 홈 센싱을 지시하는 센싱값이 제공되면 모터핀(104)이 홈 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앰플 장착을 안내하는 정보를 표시모듈(154)을 통해 안내한다(204,206단계).
상기의 안내에 따라 앰플이 장착한 사용자가 다시 조작버튼부(158)를 통해 앰플 체결을 요청되면(208단계), 상기 제어모듈(150)은 모터핀(104)이 제1위치까지 이동되도록 모터(102)를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내부 타이머를 구동함과 아울러 모터핀(104)의 이동거리를 엔코더 센서(112)를 통해 센싱한다(210단계). 여기서, 상기 모터핀(104)의 이동거리 즉, 모터(102)의 회전량은 엔코더 센서(112)를 통해 센싱된다. 상기 모터(102)가 정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모터핀(104)은 전진하며, 상기 모터핀(104)의 전진에 따라 상기 모터핀(104)의 종단에 결합된 후크부(106)가 상기 앰플의 실리콘 부재측으로 회전하면서 밀면서 들어가 상기 후크부(106)가 상기 앰플의 실리콘 부재를 뚫고 들어가게 된다.
상기의 모터(102)의 정방향 회전은 상기 모터핀(104)이 제1위치에 도착하거나 미리 정해둔 설정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이루어지며(212,214단계), 이는 앰플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크기와 경도를 가짐에 따라, 모터핀(104)이 설정된 모터(150)의 토크로는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여 제1위치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 모터(102)의 정방향 회전을 중단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모터핀(104)이 제1위치에 도착하거나 미리 정해둔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어모듈(150)은 모터핀(104)이 제1위치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하여 모터(102)의 구동을 멈추고 타이머를 초기화한다(216단계).
이후 상기 제어모듈(150)은 모터핀(104)이 제2위치까지 이동되도록 모터(102)를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타이머를 구동함과 아울러 모터핀(104)의 위치를 엔코더 센서(112)를 통해 센싱한다(218단계). 상기 모터(102)가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모터핀(104)은 후진하며, 상기 모터핀(104)의 후진에 따라 상기 모터핀(104)의 종단에 결합된 후크(106)의 갈고리 부분이 상기 앰플의 실리콘 부재에 대해 회전하면서 당겨 상기 후크(106)의 갈고리 부분이 상기 앰플의 실리콘 부재에 더 잘 끼워져 결합되게 한다.
상기의 모터(102)의 역방향 회전은 상기 모터핀(104)이 제2위치에 도착하거나 미리 정해둔 설정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이루어지며(220,222단계), 이는 앰플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크기에 따라, 모터핀(104)이 설정된 모터(150)의 토크로는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여 제2위치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에 모터(102)의 역방향 회전을 중단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모터핀(104)이 제2위치에 도착하거나 미리 정해둔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어모듈(150)은 모터(102)의 구동을 중지하고 타이머를 초기화한다(224단계).
이후 상기 제어모듈(150)은 모터핀(104)이 제3위치까지 이동되도록 모터(102)를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타이머를 구동함과 아울러 모터핀(104)의 위치를 엔코더 센서(112)를 통해 센싱한다(226단계). 상기 모터(102)가 정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모터핀(104)은 전진하며, 상기 모터핀(104)의 전진에 따라 상기 모터핀(104)의 종단에 결합된 후크부(106)가 상기 앰플의 실리콘 부재측으로 회전하면서 더 깊이 뚫고 들어가 상기 후크부(106)가 상기 앰플의 실리콘 부재에 결합되게 한다. 특히 상기 제3위치는 제1위치에 대해 좀더 모터핀(104)이 앰플측으로 전진한 위치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며, 제3위치로의 이동시에는 모터(102)의 토크가 좀더 세게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의 모터(102)의 정방향 회전은 상기 모터핀(104)이 제3위치에 도착하거나 미리 정해둔 설정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이루어진다(228,230단계).
이와 같이 모터핀(104)이 제3위치에 도착하거나 미리 정해둔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어모듈(150)은 모터(102)의 구동을 중지하고 타이머를 초기화한다(232단계).
이후 상기 제어모듈(150)은 모터핀(104)이 제2위치까지 이동되도록 모터(102)를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타이머를 구동함과 아울러 모터핀(104)의 위치를 엔코더 센서(112)를 통해 센싱한다(234단계). 상기 모터(102)가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모터핀(104)은 후진하며, 상기 모터핀(104)의 후진에 따라 상기 모터핀(104)의 종단에 결합된 후크부(106)의 갈고리 부분이 상기 앰플의 실리콘 부재에 대해 회전하면서 당겨 상기 후크부(106)가 상기 앰플의 실리콘 부재에 더 잘 결합되게 한다.
상기의 모터(102)의 역방향 회전은 상기 모터핀(104)이 제2위치에 도착하거나 미리 정해둔 설정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이루어진다(236,238단계).
이와 같이 모터핀(104)이 제2위치에 도착하거나 미리 정해둔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어모듈(150)은 모터(102)의 구동을 중지하고 타이머를 초기화한다(240단계).
이후 상기 제어모듈(150)은 모터핀(104)이 제4위치까지 이동되도록 모터(102)를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타이머를 구동함과 아울러 모터핀(104)의 위치를 엔코더 센서(112)를 통해 센싱한다(242단계). 상기 모터(102)가 정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모터핀(104)은 전진하며, 상기 모터핀(104)의 전진에 따라 상기 모터핀(104)의 종단에 결합된 후크부(106)가 상기 앰플의 실리콘 부재측으로 회전하면서 밀면서 들어가 상기 후크부(106)가 상기 앰플의 실리콘 부재에 결합되게 한다. 특히 상기 제4위치는 제3위치에 대해 좀더 모터핀(104)이 앰플측으로 전진한 위치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며, 제4위치로의 이동시에는 모터(102)의 토크가 좀더 세게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의 모터(102)의 정방향 회전은 상기 모터핀(104)이 제4위치에 도착하거나 미리 정해둔 설정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이루어진다(244,246단계).
이와 같이 모터핀(104)이 제4위치에 도착하거나 미리 정해둔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어모듈(150)은 모터(102)의 구동을 중지하고 타이머를 초기화한다(248단계).
이후 상기 제어모듈(150)은 모터핀(104)이 제2위치까지 이동되도록 모터(102)를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타이머를 구동함과 아울러 모터핀(104)의 위치를 엔코더 센서(112)를 통해 센싱한다(250단계). 상기 모터(102)가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모터핀(104)은 후진하며, 상기 모터핀(104)의 후진에 따라 상기 모터핀(104)의 종단에 결합된 후크부(106)가 상기 앰플의 실리콘 부재에 대해 회전하면서 당겨 상기 후크부(106)가 상기 앰플의 실리콘 부재에 더 잘 결합되게 한다.
상기의 모터(102)의 역방향 회전은 상기 모터핀(104)이 제2위치에 도착하거나 미리 정해둔 설정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이루어진다(252,254단계).
이와 같이 모터핀(104)이 제2위치에 도착하거나 미리 정해둔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어모듈(150)은 모터(102)의 구동을 중지하고 타이머를 초기화한다(256단계)
이후 상기 제어모듈(150)은 모터(102)를 역/정방향으로 회전하여 모터핀을 최종설정위치, 예를 들면 홈위치로 이동한 후에 앰플장착 및 체결완료를 안내하는 정보를 표시모듈(154)을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한다(258단계).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무통마취 주사장치는 모터에 연결된 모터핀과 앰플을 연결하는 후크부를 앰플측으로 회전하면서 밀고 당기는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앰플과 상기 후크부가 안정적으로 체결되게 하여, 앰플과 후크부 사이의 체결신뢰도를 높인다. 이로서 본 발명은 무통마취 주사장치의 기구적인 편차 또는 센서 인식에 따른 편차, 모터 토크 편차를 보완할 수 있게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제어장치
102 : 모터
104 : 모터 핀
106 : 후크부
108 : 홈 표식부재
110 : 홈 센서
112 : 엔코더 센서

Claims (12)

  1. 무통마취 주사장치에 있어서,
    일측종단은 앰플의 결합부재를 뚫고 들어갈 수 있도록 첨예하며, 상기 첨예한 부분에서 타측종단방향으로는 갈고리 형상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를 뚫고 들어가 상기 결합부재내에 갈고리 형상 부분이 걸려 상기 앰플과 체결될 수 있게 형성된 후크부;
    상기 후크부의 타측종단과 모터의 구동축 사이에 연결되는 모터핀;
    상기 모터핀을 전진시키기 위해 정방향 회전하거나 상기 모터핀을 후진시키기 위해 역방향 회전하는 모터;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
    상기 모터핀의 이동거리를 지시하는 상기 모터의 회전량을 센싱하는 엔코더 센서; 및
    앰플 체결이 요청되면, 미리 정해둔 제1거리만큼 상기 모터핀이 전진하도록 상기 모터를 정회전하여 상기 후크부의 첨예한 부분이 상기 앰플의 결합부재를 회전하면서 뚫고 들어가게 한 후에, 미리 정해둔 제2거리만큼 상기 모터핀이 후진하도록 상기 모터를 역회전하여 상기 후크부의 갈고리 형상부분이 상기 앰플의 결합부재에 걸리게 회전하면서 당기도록 상기 모터 제어부를 제어하는 앰플체결과정을 수행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앰플은 액상의 물질이 수용되며 일측종단에 후크부가 뚫고 들어가거나 후크부에 의해 당겨지는 결합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앰플은 상기 후크부 전면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모터핀에는 미리 정해진 부분에 홈 식별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핀에 구비된 홈 식별부재를 센싱하여 상기 모터핀의 홈 위치를 센싱하는 홈센서; 및
    각종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 안내하는 표시장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모듈이, 앰플 장착이 요청되면 상기 모터핀이 홈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센싱될 때까지 상기 모터를 역 또는 정회전시키도록 상기 모터 제어부를 제어한 후에, 상기 앰플을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하도록 안내하는 정보를 상기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통마취 주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앰플체결과정을 미리 정해둔 횟수만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통마취 주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미리 정해둔 횟수만큼 수행되는 앰플체결과정마다 각기 다른 거리만큼 상기 모터핀이 전진 또는 후진하게 상기 모터를 구동하도록 상기 모터 제어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통마취 주사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미리 정해둔 횟수만큼 수행되는 앰플체결과정마다 각기 다른 모터 토크로 상기 모터를 구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통마취 주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모터 구동 시간을 카운트하여, 미리 정해둔 시간이 경과되면 제1거리 또는 제2거리만큼 모터핀의 이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모터의 구동을 종료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통마취 주사장치.
  7. 무통마취 주사장치의 앰플체결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통마취 주사장치는, 일측종단은 앰플의 결합부재를 뚫고 들어갈 수 있도록 첨예하며, 상기 첨예한 부분에서 타측종단방향으로는 갈고리 형상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를 뚫고 들어가 상기 결합부재내에 갈고리 형상 부분이 걸려 상기 앰플과 체결될 수 있게 형성된 후크부, 상기 후크부의 타측종단과 모터의 구동축 사이에 연결되는 모터핀, 상기 모터핀을 전진시키기 위해 정방향 회전하거나 상기 모터핀을 후진시키기 위해 역방향 회전하는 모터;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 상기 모터핀의 이동거리를 지시하는 상기 모터의 회전량을 센싱하는 엔코더 센서, 및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모터핀에는 미리 정해진 부분에 홈 식별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무통마취 주사장치에는 상기 모터핀에 구비된 홈 식별부재를 센싱하여 상기 모터핀의 홈 위치를 센싱하는 홈센서 및 각종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 안내하는 표시장치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어모듈이, 앰플 장착이 요청되면 상기 모터핀이 홈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센싱될 때까지 상기 모터를 역 또는 정회전시키도록 상기 모터 제어부를 제어한 후에, 상기 앰플을 수납공간에 수납하도록 안내하는 정보를 상기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제1단계;
    상기 앰플 체결이 요청되면, 미리 정해둔 제1거리만큼 상기 모터핀이 전진하도록 상기 모터를 정회전하여 상기 후크부의 첨예한 부분이 상기 앰플의 결합부재를 회전하면서 뚫고 들어가게 상기 모터 제어부를 제어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모터핀이 상기 제1거리만큼 이동하면, 미리 정해둔 제2거리만큼 상기 모터핀이 후진하도록 상기 모터를 역회전하여 상기 후크부의 갈고리 형상부분이 상기 앰플의 결합부재에 걸리게 회전하면서 당기도록 상기 모터 제어부를 제어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통마취 주사장치의 앰플체결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제2 및 제3 단계를 미리 정해둔 횟수만큼 반복하여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통마취 주사장치의 앰플체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미리 정해둔 횟수만큼 수행되는 제2 및 제3단계마다 각기 다른 거리만큼 상기 모터핀이 전진 또는 후진하게 상기 모터를 구동하도록 상기 모터 제어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통마취 주사장치의 앰플체결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미리 정해둔 횟수만큼 수행되는 제2 및 제3단계마다 각기 다른 모터 토크로 상기 모터를 구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통마취 주사장치의 앰플체결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모터 구동 시간을 카운트하여, 미리 정해둔 시간이 경과되면 제1거리 또는 제2거리만큼 모터핀의 이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모터의 구동을 종료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통마취 주사장치의 앰플체결방법.
KR1020210179049A 2021-12-14 2021-12-14 앰플 자동체결 방법 및 그에 따른 무통마취 주사장치 KR102628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049A KR102628786B1 (ko) 2021-12-14 2021-12-14 앰플 자동체결 방법 및 그에 따른 무통마취 주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049A KR102628786B1 (ko) 2021-12-14 2021-12-14 앰플 자동체결 방법 및 그에 따른 무통마취 주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441A KR20230090441A (ko) 2023-06-22
KR102628786B1 true KR102628786B1 (ko) 2024-01-24

Family

ID=86989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9049A KR102628786B1 (ko) 2021-12-14 2021-12-14 앰플 자동체결 방법 및 그에 따른 무통마취 주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87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870Y1 (ko) 2006-05-03 2006-07-18 배응준 액상용액 앰플 자동 공급장치
KR101762677B1 (ko) * 2016-07-19 2017-08-04 권영배 전동식 약물 주입기
KR102304183B1 (ko) * 2021-02-10 2021-09-23 주식회사 에이더블유파트너스 약물 주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502B1 (ko) 2011-10-14 2013-08-07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무통 마취기
KR20190101062A (ko) * 2018-02-22 2019-08-30 메디허브 주식회사 무통 마취 주사장치
KR20200053709A (ko) 2018-11-08 2020-05-19 메디허브 주식회사 무통 마취 주사장치의 제어방법
KR20200056506A (ko) * 2018-11-14 2020-05-25 메디허브 주식회사 정량 정속 가변 설정이 가능한 자동주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870Y1 (ko) 2006-05-03 2006-07-18 배응준 액상용액 앰플 자동 공급장치
KR101762677B1 (ko) * 2016-07-19 2017-08-04 권영배 전동식 약물 주입기
KR102304183B1 (ko) * 2021-02-10 2021-09-23 주식회사 에이더블유파트너스 약물 주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441A (ko)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50042B2 (ja) オートインジェクタシステム
US10814064B2 (en) Automatic administration instrument for medical use
CA2302570C (en) Dental anesthetic and delivery injection unit
JP5089991B2 (ja) 液状薬剤を注射する手持ち型電子制御式注射器械
EP3013390B1 (en) Drug infusion device with safety interlock
JP4847678B2 (ja) 薬剤注入装置に関する改良
US20050101935A1 (en) Anesthetic dental injection apparatus and methods
JP2014510573A (ja) 薬物送達注入セット用の自蔵式ねじりばね挿入器
KR101709733B1 (ko) 멀티니들을 구비한 주사용 인젝터
JP2014502886A (ja) 自動注射器
KR20190101062A (ko) 무통 마취 주사장치
US10751472B2 (en) Drug injecting implement equipped with sliding attachment unit
EP3137134A1 (en) Drug delivery device with indicator guidance
CA2407079C (en) Fluid material dispensing syringe
CN109789267B (zh) 给药液装置以及给药液装置的控制方法
US6152734A (en) Dental anesthetic and delivery injection unit
KR101762677B1 (ko) 전동식 약물 주입기
KR102628786B1 (ko) 앰플 자동체결 방법 및 그에 따른 무통마취 주사장치
KR102637080B1 (ko) 정량정속 약물주입 방법 및 그에 따른 무통마취 주사장치
KR20230139448A (ko) 조그버튼에 의해 약물 주입이 조절되는 자동 주사기
CN117679579A (zh) 药物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