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4183B1 - 약물 주입장치 - Google Patents

약물 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183B1
KR102304183B1 KR1020210018897A KR20210018897A KR102304183B1 KR 102304183 B1 KR102304183 B1 KR 102304183B1 KR 1020210018897 A KR1020210018897 A KR 1020210018897A KR 20210018897 A KR20210018897 A KR 20210018897A KR 102304183 B1 KR102304183 B1 KR 102304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ampoule
drug
support
inj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더블유파트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더블유파트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더블유파트너스
Priority to KR1020210018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1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5/2422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using emptying means to expel or eject media, e.g. pistons, deformation of the ampoule, or telescoping of the ampou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61M5/3137Specially designed finger grip means, e.g. for easy manipulation of the syringe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11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 A61M5/31513Piston constructions to improve sealing or sli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25Details specific display means, e.g. to indicate dose set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약물 주입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장치는, 약물이 충진되는 앰플(ample)이 설치되는 하우징 바디; 하우징 바디의 단부 영역에 결합하며, 앰플 내의 약물이 토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니들이 연결되는 니들 홀더; 일측이 하우징 바디 내에서 앰플에 배치되어 앰플 내의 약물을 니들 쪽으로 가압하는 플런저(plunger); 및 약물 주입을 위하여 플런저를 앰플 쪽으로 가압하는 플런저 가압부와, 플런저 가압부를 가압할 때 손가락이 지지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 개로 마련되는 제1 및 제2 가압 지지대를 구비하는 플런저 가압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약물 주입장치{Apparatus for injecting medicine}
본 발명은, 약물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취액을 포함한 소정의 약물을 피시술자에게 주입하는 작업을 종래보다 손쉽게 진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잔량의 약물을 폐기하는 데 따른 로스(loss)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약물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implant)란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한다. 다만, 치과에서 말하는 임플란트(dental implant)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아를 이식하는 일련의 시술을 가리킨다.
임플란트를 간단히 설명하면, 상실된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치근인 픽스츄어(fixture)를 치아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이러한 임플란트 시술은 픽스츄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지만 소정의 드릴을 사용하여 식립위치를 천공한 후 픽스츄어를 치조골에 식립하여 뼈에 골융합시킨 다음, 픽스츄어에 지대주(abutment)를 결합시킨 후에, 지대주에 최종 보철물을 씌움으로써 완료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임플란트 시술은, 단일 결손치 수복은 물론이거니와 부분 무치아 및 완전 무치아 환자에게 의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치아 보철 수복의 심미적인 면을 개선시키며, 나아가 주위의 지지골 조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시킴과 아울러 치열의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
한편, 임플란트 시술 과정에서 잇몸 절개, 드릴에 의한 천공 등을 수행하기 때문에, 피시술자에게 많은 고통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 시술에서 시술부위에 대한 국부마취는 필수적이다. 이러한 국부마취는 소위, 마취용 주사기라도 불리는 약물 주입장치를 통해 진행된다. 즉 주사기 형태로 된 약물 주입장치로 약물, 예컨대 마취액을 가압해서 시술부위의 잇몸에 마취액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마취액의 주입 속도, 즉 마취액의 가압 속도가 빠르면 마취액의 주입부위에 과도한 압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피시술자가 통증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마취액의 주입은 될 수 있는 대로 느린 속도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이처럼 속도를 늦추면서 일정한 압력으로 마취액을 주입하다 보면 약물 주입장치를 가압하는 손가락이 약물 주입장치를 지지하는 손가락에 가까워짐에 따라 마취액의 주입 끝 지점에서 힘을 더 주기 어렵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럴 때는 보통 주입 작업을 중단하고 잔량의 마취액을 폐기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 마취액의 낭비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기술보완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7-001374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마취액을 포함한 소정의 약물을 피시술자에게 주입하는 작업을 종래보다 손쉽게 진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잔량의 약물을 폐기하는 데 따른 로스(loss)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약물 주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약물이 충진되는 앰플(ample)이 설치되는 하우징 바디; 상기 하우징 바디의 단부 영역에 결합하며, 상기 앰플 내의 약물이 토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니들이 연결되는 니들 홀더; 일측이 상기 하우징 바디 내에서 상기 앰플에 배치되어 상기 앰플 내의 약물을 상기 니들 쪽으로 가압하는 플런저(plunger); 및 약물 주입을 위하여 상기 플런저를 상기 앰플 쪽으로 가압하는 플런저 가압부와, 상기 플런저 가압부를 가압할 때 손가락이 지지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 개로 마련되는 제1 및 제2 가압 지지대를 구비하는 플런저 가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플런저 가압 유닛은,상기 하우징 바디에 상기 제1 가압 지지대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착탈식 지지대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지지대 고정부가 탄성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 바디의 일단부에는 다른 영역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상기 착탈식 지지대 고정부가 끼워지는 단차 끼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지지대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 바디의 단차 끼움부가 배치되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벽에 형성되되 상기 단차 끼움부와의 밀착도를 유지시키는 내벽 테이퍼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벽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가압 지지대가 자리배치되게 안착되는 자리배치용 단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지지대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벽에 상기 제1 가압 지지대를 가이드하는 외벽 테이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런저 가압 유닛은, 내부에 상기 플런저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1 가압 지지대와 상기 제2 가압 지지대 사이에서 상기 제1 가압 지지대와 상기 제2 가압 지지대를 이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 이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 이격부재는 측벽에 홈(groove) 형태의 손가락 배치홈부가 형성되게 절구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플런저 가압 유닛은, 상기 플런저가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면서 상기 제2 가압 지지대를 고정하는 지지대 고정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런저 가압부는 링(ring) 형상으로 제작되되 상기 플런저가 결합하는 플런저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가압 지지대의 폭이 상기 제2 가압 지지대의 폭보다 좁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바디의 일측에는 상기 앰플의 출입을 위한 앰플 출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앰플 출입부의 반대편에 상기 앰플 내의 약물 잔량을 관찰하는 약물 잔량 관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런저의 단부에는 상기 앰플의 피스톤과 연결되는 피스톤 연결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플런저와 연결되어 상기 플런저를 지지하되 상기 플런저 가압 유닛의 작동에 의한 상기 플런저의 동작을 가이드하는 플런저 가이드 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취액을 포함한 소정의 약물을 피시술자에게 주입하는 작업을 종래보다 손쉽게 진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잔량의 약물을 폐기하는 데 따른 로스(loss)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앰플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플런저 가압 유닛 영역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착탈식 지지대 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장치의 플런저 가압 유닛 영역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하우징 바디의 위치 조정을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앰플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플런저 가압 유닛 영역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7은 착탈식 지지대 고정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장치(100)를 사용할 경우, 마취액을 포함한 소정의 약물을 피시술자에게 주입하는 작업을 종래보다 손쉽게 진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잔량의 약물을 폐기하는 데 따른 로스(loss)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약물이란 병원에서 인간을 대상으로, 혹은 동물을 대상으로 사용하는 액상의 주사액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치과에서 임플란트 등의 치과 치료 시 사용될 수 있는 치과용 국부 마취액을 약물이라 하기로 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약물과 마취액을 같은 용어로 간주한다.
이처럼 치과 치료 시 약물, 예컨대 치과용 국부 마취액을 잇몸에 주입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장치(100)는 약물이 충진되는 앰플(ample, M)이 설치되는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바디(110)에 결합하는 니들 홀더(120)와, 앰플 내의 약물을 가압하는 플런저(plunger, 130)와, 플런저(130)를 가압하는 플런저 가압 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바디(110)는 앰플(M)이 설치되는 장소를 이룬다. 앰플(M)이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우징 바디(110)는 앰플(M)과 유사하되 앰플(M)보다는 큰 부피를 갖는 파이프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 바디(110)의 일측에는 앰플(M)의 출입을 위한 앰플 출입부(111)가 형성된다. 앰플 출입부(111)는 하우징 바디(110)의 일측 벽체를 절개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 바디(110)의 반대편에는 앰플(M) 내의 약물 잔량을 관찰하는 약물 잔량 관찰공(112)이 형성된다.
하우징 바디(110)의 일단부에는 다른 영역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후술할 착탈식 지지대 고정부(170)가 끼워지는 단차 끼움부(110a)가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착탈식 지지대 고정부(170)는 단차 끼움부(110a)에 끼워진 상태로 제1 가압 지지대(161)를 고정한다.
앰플(M)은 앞서 기술한 것처럼 약물, 예컨대 치과용 국부 마취액이 충진되는 용기다.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앰플(M)은 양단부가 개구된 파이프(pipe) 형태의 앰플 바디(M1)와, 앰플 바디(M1)의 일측 개구부를 밀봉하는 실링 캡(M2)과, 앰플 바디(M1)의 타측 개구부를 밀봉하되 앰플 바디(M1)의 내측벽을 따라 이동 가능한 피스톤(미도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플런저 가압 유닛(140)을 통해 플런저(30)로 피스톤을 가압하면 피스톤의 이동 가압력에 의해 앰플 바디(M1) 내의 마취액이 니들(21) 쪽으로 배출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니들(121)을 통한 약물 주입이 가능해진다.
니들 홀더(120)는 하우징 바디(110)의 단부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때, 니들 홀더(120)는 하우징 바디(110)의 단부 영역에 형성되는 나사부(113)에 착탈식으로 결합한다.
니들 홀더(120)에는 니들(121)이 연결된다. 니들(121)은 니들 홀더(120) 내외를 관통하게 니들 홀더(120)에 연결된다.
니들(121)의 일단부는 앰플(M1)의 실링 캡(M2)을 관통하여 앰플(M) 내의 마취액에 배치된다. 따라서, 플런저(130)를 통해 앰플(M)의 피스톤을 가압하면 앰플(M) 내의 마취액이 니들(121)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니들(121)의 타단부를 통해 피시술자에게 주입이 가능해진다.
플런저(130)는 앰플(M) 내의 마취액이 니들(121) 쪽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즉 플런저(130)는 그 일측이 하우징 바디(110) 내에서 앰플(M)에 배치되어 앰플(M) 내의 약물을 니들(121) 쪽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플런저(130)는 앰플(M)의 피스톤을 가압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를 위해 플런저(130)의 단부에는 앰플(M)의 피스톤과 연결되는 피스톤 연결부(131)가 마련된다.
앰플(M)의 피스톤은 탄성이 있는 연질의 고무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플런저(130)의 피스톤 연결부(131)와 연결될 수 있다.
피스톤 연결부(131)는 후크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처럼 후크 형상의 피스톤 연결부(131)가 앰플(M)의 피스톤 내에 삽입되면 후크 형상으로 인해 피스톤과 피스톤 연결부(131)가 분리되는 것이 저지된다. 따라서, 플런저(30)가 피스톤을 가압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피스톤이 플런저(30)와 분리되지 않고 당겨져 함께 역방향으로 이동된다.
앰플(M)의 피스톤을 가압하여 운동, 예컨대 왕복운동시키는 플런저(130)는 플런저 가압 유닛(140)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장치(100)에 마련되는 플런저 가압 유닛(140)은 플런저(130)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피시술자에게 마취액을 주입하고자 할 때, 앰플(M)의 피스톤은 플런저(13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는데, 플런저(130)는 플런저 가압 유닛(140)의 작동으로 가압되어 앰플(M) 내의 마취액이 니들(121) 외부로 토출되어 피시술자의 잇몸에 주입될 수 있도록 한다.
플런저 가압 유닛(140)의 작동으로 플런저(130)가 잘 동작하기 위해 플런저(130)에는 플런저 가이드 보스(135)가 연결된다. 플런저 가이드 보스(135)는 플런저 가압 유닛(140)과 플런저(130)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플런저(13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한편, 플런저 가압 유닛(140)은 앞서 기술한 것처럼 플런저(130)를 가압해서 마취액이 니들(121) 외부로 토출되어 피시술자의 잇몸에 주입될 수 있게끔 하는 수동 조작부이다.
이러한 플런저 가압 유닛(140)은 약물 주입을 위하여 플런저(130)를 앰플(M) 쪽으로 가압하는 플런저 가압부(150)와, 플런저 가압부(150)를 가압할 때 손가락이 지지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 개로 마련되는 제1 및 제2 가압 지지대(161,162)를 포함한다.
플런저 가압부(150)를 도 6의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면 플런저(130)가 앰플(M)의 피스톤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마취액이 니들(121)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플런저 가압부(150)는 링(ring) 형상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예컨대 엄지손가락을 끼운 상태로 플런저 가압부(150)를 가압할 수 있다. 플런저 가압부(150)에 의해 플런저(130)가 가압되기 위하여 플런저 가압부(150)에는 플런저 결합부(151)가 마련된다.
이처럼 플런저 가압부(150)를 도 6의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면 플런저(130)가 앰플(M)의 피스톤을 가압하게 되는데, 이때 지지점이 필요하다. 즉 플런저 가압부(150)를 가압하는 엄지손가락 이외의 다른 손가락을 지지해야 엄지손가락으로 플런저 가압부(150)를 가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가압 지지대(161)와 제2 가압 지지대(162)가 마련된다.
제1 가압 지지대(161)와 제2 가압 지지대(162)는 예컨대, 검지와 중지가 지지되는 장소를 이룰 수 있다. 마취액을 초기에 주입할 때는 검지와 중지를 제1 가압 지지대(161)에 지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플런저 가압부(150)를 가압하면 되고, 마취액이 어느 정도 주입된 이후에는 검지와 중지를 제2 가압 지지대(162)로 옮겨 제2 가압 지지대(162)에 지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플런저 가압부(150)를 가압하면 된다. 그러면, 힘이 덜 들면서도 마취액을 끝까지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이 가능해질 수 있게 본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장치(100)에 제1 가압 지지대(161)와 제2 가압 지지대(162)가 마련되는데, 제1 가압 지지대(161)와 제2 가압 지지대(162)는 형상은 유사하지만, 제1 가압 지지대(161)의 폭이 제2 가압 지지대(162)의 폭보다 좁게 마련된다. 따라서, 마취액 주입 과정에서 검지와 중지를 제1 가압 지지대(161)에서 제2 가압 지지대(162)로 옮기는 데 유리하다.
제1 가압 지지대(161)와 제2 가압 지지대(162)에는 조립을 위한 제1 및 제2 조립공(161a,162a)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검지와 중지를 지지할 때, 검지와 중지가 이탈하지 않게 제1 가압 지지대(161)와 제2 가압 지지대(162)의 양단부는 아래로 휘어진 형상을 취한다. 따라서, 검지와 중지를 지지하기가 쉬워질뿐더러 강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가압 지지대(161)와 제2 가압 지지대(162)를 해당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착탈식 지지대 고정부(170)와 지지대 고정캡(185)이 사용된다.
착탈식 지지대 고정부(170)는 하우징 바디(110)에 제1 가압 지지대(161)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착탈식 지지대 고정부(170)는 탄성재질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 바디(110)의 일단부에는 다른 영역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단차 끼움부(110a)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단차 끼움부(110a)에 착탈식 지지대 고정부(170)가 끼워진 상태로 하우징 바디(110)에 제1 가압 지지대(161)를 고정한다.
이러한 착탈식 지지대 고정부(170)는 도 6 내지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 바디(110)의 단차 끼움부(110a)가 배치되는 관통부(172)를 구비하는 몸체부(171)와, 몸체부(171)의 내벽에 형성되되 단차 끼움부(110a)와의 밀착도를 유지시키는 내벽 테이퍼부(173)와, 몸체부(171)의 외벽에 형성되며, 제1 가압 지지대(161)가 자리배치되게 안착되는 자리배치용 단턱부(174)와, 몸체부(171)의 외벽에 형성되되 제1 가압 지지대(161)를 가이드하는 외벽 테이퍼부(175)를 포함한다.
몸체부(171)의 내벽에 내벽 테이퍼부(173)가 형성되기 때문에 착탈식 지지대 고정부(170)를 하우징 바디(110)의 단차 끼움부(110a)에 끼우기가 쉽고 끼운 이후에는 잘 빠지지 않는 이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몸체부(171)의 외벽에 외벽 테이퍼부(175)가 형성되기 때문에 제1 가압 지지대(161)의 제1 조립공(161a)을 끼우기가 쉽고 끼운 이후에는 잘 빠지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외벽 테이퍼부(175)가 끝나는 지점에 자리배치용 단턱부(174)가 있어서 제1 가압 지지대(161)를 쉽게 조립할 수 있다.
지지대 고정캡(185)은 플런저(130)가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면서 제2 가압 지지대(162)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처럼 지지대 고정캡(185)은 제2 가압 지지대(162)의 제2 조립공(162a)에 끼워진 상태로 지지대 이격부재(180)의 상단부에 지지된다. 지지대 고정캡(185) 역시, 탄성재질일 수 있다.
이들 구성 외에도 플런저 가압 유닛(140)은 지지대 이격부재(180)를 더 포함한다. 지지대 이격부재(180)는 내부에 플런저(130)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되 제1 가압 지지대(161)와 제2 가압 지지대(162) 사이에서 제1 가압 지지대(161)와 제2 가압 지지대(162)를 이격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대 이격부재(180)는 측벽에 홈(groove) 형태의 손가락 배치홈부(181)가 형성되게 절구 형상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제2 가압 지지대(162)에 검지와 중지가 지지되었을 때, 안정적이면서 편안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앰플(M)을 끼운 후, 마취액을 초기에 주입할 때는 검지와 중지를 제1 가압 지지대(161)에 지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플런저 가압부(150)를 가압하면 되고, 마취액이 어느 정도 주입된 이후에는 검지와 중지를 제2 가압 지지대(162)로 옮겨 제2 가압 지지대(162)에 지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플런저 가압부(150)를 가압하면 된다. 그러면, 힘이 덜 들면서도 마취액을 끝까지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마취액을 포함한 소정의 약물을 피시술자에게 주입하는 작업을 종래보다 손쉽게 진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잔량의 약물을 폐기하는 데 따른 로스(loss) 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장치의 플런저 가압 유닛 영역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하우징 바디의 위치 조정을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장치(200) 역시, 전술한 시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구비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플런저 가압 유닛(240)에서 착탈식 지지대 고정부(270)의 구조가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하다. 물론, 착탈식 지지대 고정부(270)의 구조에 대응되게 하우징 바디(210)의 단차 끼움부(110a) 역시, 구조가 일부 변경된다.
살펴보면, 착탈식 지지대 고정부(270)의 내벽에 위치 조정을 위한 복수 개의 위치 조정 돌기부(271)가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게 하우징 바디(210)의 단차 끼움부(110a)에 복수 개의 위치 조정 돌기홈부(211)가 형성된다.
물론, 위치 조정 돌기부(271)와 위치 조정 돌기홈부(211)의 위치는 반대가 될 수도 있다. 즉 위치 조정 돌기부(271)가 하우징 바디(210)의 단차 끼움부(110a)에, 그리고, 위치 조정 돌기홈부(211)가 착탈식 지지대 고정부(27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처럼 위치 조정 돌기부(271)와 위치 조정 돌기홈부(211)가 마련되면 도 10 및 도 11처럼 하우징 바디(2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11처럼 하우징 바디(210)를 내리면 플런저(130)가 뒤로 후퇴하는 상황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플런저 가압부(150)를 뒤로 빼지 않더라도 잔량의 마취액을 전부 주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뿐만 아니라 사이즈가 다른 지지대 이격부재(180)로 교체할 경우, 제1 및 제2 가압 지지대(161,162) 간의 거리 조절이 자유로워질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마취액을 포함한 소정의 약물을 피시술자에게 주입하는 작업을 종래보다 손쉽게 진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잔량의 약물을 폐기하는 데 따른 로스(loss)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약물 주입장치 110 : 하우징 바디
110a : 단차 끼움부 M : 앰플
111 : 앰플 출입부 112 : 약물 잔량 관찰공
113 : 나사부 120 : 니들 홀더
121 : 니들 130 : 플런저
131 : 피스톤 연결부 135 : 플런저 가이드 보스
140 : 플런저 가압 유닛 150 : 플런저 가압부
151 : 플런저 결합부 161 : 제1 가압 지지대
162 : 제2 가압 지지대 170 : 착탈식 지지대 고정부
171 : 몸체부 172 : 관통부
173 : 내벽 테이퍼부 174 : 자리배치용 단턱부
175 : 외벽 테이퍼부 180 : 지지대 이격부재
181 : 손가락 배치홈부 185 : 지지대 고정캡

Claims (12)

  1. 약물이 충진되는 앰플(ample)이 설치되는 하우징 바디;
    상기 하우징 바디의 단부 영역에 결합하며, 상기 앰플 내의 약물이 토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니들이 연결되는 니들 홀더;
    일측이 상기 하우징 바디 내에서 상기 앰플에 배치되어 상기 앰플 내의 약물을 상기 니들 쪽으로 가압하는 플런저(plunger); 및
    상기 플런저를 가압하는 플런저 가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플런저 가압 유닛은,
    약물 주입을 위하여 상기 플런저를 상기 앰플 쪽으로 가압하는 플런저 가압부;
    상기 플런저 가압부를 가압할 때 손가락이 지지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 개로 마련되는 제1 및 제2 가압 지지대; 및
    상기 플런저가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면서 상기 제2 가압 지지대를 고정하는 지지대 고정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가압 유닛은,
    상기 하우징 바디에 상기 제1 가압 지지대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착탈식 지지대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지지대 고정부가 탄성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하우징 바디의 일단부에는 다른 영역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상기 착탈식 지지대 고정부가 끼워지는 단차 끼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지지대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 바디의 단차 끼움부가 배치되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벽에 형성되되 상기 단차 끼움부와의 밀착도를 유지시키는 내벽 테이퍼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벽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가압 지지대가 자리배치되게 안착되는 자리배치용 단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지지대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벽에 상기 제1 가압 지지대를 가이드하는 외벽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가압 유닛은,
    내부에 상기 플런저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1 가압 지지대와 상기 제2 가압 지지대 사이에서 상기 제1 가압 지지대와 상기 제2 가압 지지대를 이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 이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이격부재는 측벽에 홈(groove) 형태의 손가락 배치홈부가 형성되게 절구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가압부는 링(ring) 형상으로 제작되되 상기 플런저가 결합하는 플런저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가압 지지대의 폭이 상기 제2 가압 지지대의 폭보다 좁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바디의 일측에는 상기 앰플의 출입을 위한 앰플 출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앰플 출입부의 반대편에 상기 앰플 내의 약물 잔량을 관찰하는 약물 잔량 관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단부에는 상기 앰플의 피스톤과 연결되는 피스톤 연결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와 연결되어 상기 플런저를 지지하되 상기 플런저 가압 유닛의 작동에 의한 상기 플런저의 동작을 가이드하는 플런저 가이드 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장치.
KR1020210018897A 2021-02-10 2021-02-10 약물 주입장치 KR102304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897A KR102304183B1 (ko) 2021-02-10 2021-02-10 약물 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897A KR102304183B1 (ko) 2021-02-10 2021-02-10 약물 주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4183B1 true KR102304183B1 (ko) 2021-09-23

Family

ID=77926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897A KR102304183B1 (ko) 2021-02-10 2021-02-10 약물 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1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0443A (ko) * 2021-12-14 2023-06-22 주식회사 덴티스 정량정속 약물주입 방법 및 그에 따른 무통마취 주사장치
KR20230090441A (ko) * 2021-12-14 2023-06-22 주식회사 덴티스 앰플 자동체결 방법 및 그에 따른 무통마취 주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3740A (ko) 2005-07-27 2007-01-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조립라인용 리프트장치
JP2013504397A (ja) * 2009-09-16 2013-02-07 サノフィ−アベンティス・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薬物送達デバイス及び薬物の投与方法
KR20160107056A (ko) * 2015-03-03 2016-09-13 21세기메디칼 주식회사 마취액 주입기
KR20170118177A (ko) * 2015-02-19 2017-10-24 알렉산더 리 치과용 카트리지 주사기 장치와 그 사용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3740A (ko) 2005-07-27 2007-01-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조립라인용 리프트장치
JP2013504397A (ja) * 2009-09-16 2013-02-07 サノフィ−アベンティス・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薬物送達デバイス及び薬物の投与方法
KR20170118177A (ko) * 2015-02-19 2017-10-24 알렉산더 리 치과용 카트리지 주사기 장치와 그 사용방법
KR20160107056A (ko) * 2015-03-03 2016-09-13 21세기메디칼 주식회사 마취액 주입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0443A (ko) * 2021-12-14 2023-06-22 주식회사 덴티스 정량정속 약물주입 방법 및 그에 따른 무통마취 주사장치
KR20230090441A (ko) * 2021-12-14 2023-06-22 주식회사 덴티스 앰플 자동체결 방법 및 그에 따른 무통마취 주사장치
KR102628786B1 (ko) * 2021-12-14 2024-01-24 주식회사 덴티스 앰플 자동체결 방법 및 그에 따른 무통마취 주사장치
KR102637080B1 (ko) 2021-12-14 2024-02-16 주식회사 덴티스 정량정속 약물주입 방법 및 그에 따른 무통마취 주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4183B1 (ko) 약물 주입장치
RU2567272C2 (ru)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варианты)
KR101959774B1 (ko) 외부 주수 장치를 구비하는 치아 임플란트 시술용 서지컬 가이드 시스템
US10207092B2 (en) Multi-functional osteotome and method of use for sinus lift procedure
EP0586700A1 (en) Instrument for applying pharmaceutical to inside of brain
JP2018118056A (ja) 様々な大きさのステム部を有する膝関節用仮スペーサーを作製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462438B1 (ko) 약물 주입 장치
KR100674219B1 (ko) 치과 임플란트용 천공 가이드 장치
US20110183287A1 (en) Bone infuser for an osseous tissue implanting syringe
KR20180132222A (ko) 치간공극을 이용한 다기능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KR101763763B1 (ko) 임플란트 식립위치 가이드기구
KR20140142084A (ko) 약물 주입 장치
KR102258699B1 (ko) 멤브레인 리프팅 장치
KR20110081502A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20190040590A (ko) 시술 과정이 감소되는 범용 어버트먼트
KR101330741B1 (ko) 상악동 점막 거상장치
KR101166901B1 (ko) 임플란트용 주입기
KR102058165B1 (ko) 상악동 임플란트 시스템
KR101575619B1 (ko) 약물 주입 장치
KR101198082B1 (ko) 임플란트용 인공뼈 주입기구
KR100781967B1 (ko) 신경성장인자 공급용 임플란트
KR102291513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키트
KR101304281B1 (ko) 치과용 채혈기구
CN219963113U (zh) 牙钻导向器
KR101699498B1 (ko)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