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1502A -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1502A
KR20110081502A KR1020100001695A KR20100001695A KR20110081502A KR 20110081502 A KR20110081502 A KR 20110081502A KR 1020100001695 A KR1020100001695 A KR 1020100001695A KR 20100001695 A KR20100001695 A KR 20100001695A KR 20110081502 A KR20110081502 A KR 20110081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stopper
drill body
implan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1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2133B1 (ko
Inventor
박광범
류경호
성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to KR1020100001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133B1/ko
Publication of KR20110081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1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5/00Rotary letterpress machines
    • B41F5/24Rotary letterpress machines for flexographic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C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SURFACES
    • B41C1/00Forme pr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02Letterpress printing, e.g. book printing
    • B41M1/04Flexographic pri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은, 드릴몸체; 드릴몸체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치조골을 절삭하거나 치조골에 이식된 골이식재를 가압하는 가압헤드부; 및 드릴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드릴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가압헤드부가 인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악동 치조골을 절삭해 홀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악동 치조골과 상악동 내막 사이에 이식된 골이식재를 가압할 수 있으며, 절삭 및 가압 시 인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DRILL FOR OPERATING IMPLAN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조골을 절삭하거나 절삭된 치조골에 골이식재를 이식하였을 때 골이식재가 단단해지도록 골이식재를 가압할 수 있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상실된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임플란트는 단일 결속치 수복은 물론이거니와 부분 무치아 및 완전 무치아 환자에게 의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치아 보철 수복의 심미적인 면을 개선시킨다. 나아가 주위의 지지골 조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시킴은 물론 치열의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
한편, 이러한 임플란트 시술 중 상악 구치부에서의 임플란트 성공률은 다른 부위, 예를 들면 하악 구치부에서의 성공률에 비해 비교적 낮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는 상악 구치부는 비교적 골질이 약하고, 그 내측에 상악동(Sinus)이 있으므로 임플란트를 식립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상악 구치부의 상부, 보다 정확히는, 윗 어금니와 코 옆에 사이에 존재하는 상악동은 점막으로 둘러싸인 공간으로서 생리적으로 치아가 상실되면 밑으로 내려오면서 확장되므로 상악 구치부의 치아가 상실되면 치아 상실에 따른 골 흡수와 함께 하방으로의 확장으로 인해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는 골 량이 부족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악 구치부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기가 어려워지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악동 내막을 거상시켜 공간을 형성한 후, 확보된 공간에 골이식재를 이식하고 여기에 임플란트를 매식하는 방법을 이용하게 되며, 이러한 방법에는 수직접근법 및 측방접근법 등이 있다.
먼저, 수직접근법은 임플란트 시술 부위에 잔존골이 어느 정도 확보되었을 때의 방법으로, 상악동 내막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끌과 망치 형태의 오스테오톰이라는 기구로 상악을 여러 번 두드려 소정 크기의 홀을 형성한 다음, 홀을 통해 골이식재를 조금씩 넣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러한 수직접근을 이용하는 경우, 시술 과정에서 상악동 내막을 직접 볼 수 없기 때문에 그 과정을 엑스레이로 확인하면서 매우 조심스럽게 작업을 진행하게 되므로 시술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측방접근법은 임플란트 시술 부위의 잔존골이 매우 부족할 때의 방법으로, 상악동의 측면에 홀을 형성하여 상악동 내막을 거상시킨 후 홀을 통해 골이식재를 이식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수직 접근법에 비해 빠른 시술이 가능하다는 장점은 있지만, 시술 부위에 부종이 발생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수술 자체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일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이 연구되고 있으며, 나아가 실제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상악동 거상술을 시술할 때 사용되는 절삭용 드릴은 드릴표면에 코팅된 다이아몬드 입자 때문에 세척이 쉽지 않고, 절삭용 드릴의 절삭표면이 마모되면서 절삭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사용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절삭표면을 다이아몬드 입자로 코팅함으로써 품질 안정화가 어렵고 제품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악동 거상술을 시행함에 있어서, 절삭용 드릴로 상악동 치조골을 절삭한 후에는 상악동 내막을 거상함으로써 발생되는 공간에 인입된 골이식재를 가압하는 가압용 드릴이 별도로 필요한데 이에 의하여 상악동 거상술을 시술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드릴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절삭용 드릴의 문제점을 보완하면서 상악동 치조골을 절삭한 후 치조골과 상악동 내막 사이로 이식되는 골이식재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용 드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악동 치조골을 절삭할 수 있는 절삭용 드릴과 상악동 치조골과 상악동 내막 사이에 이식되는 골이식재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용 드릴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고, 치조골의 절삭과 골이식재를 가압할 시 필요이상의 깊이로 들어가지 않도록 스토퍼 기능이 추가된 하나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드릴몸체; 상기 드릴몸체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치조골을 절삭하거나 상기 치조골에 이식된 골이식재를 가압하는 가압헤드부; 및 상기 드릴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드릴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상기 가압헤드부가 인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스토퍼부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스토퍼 몸체; 상기 스토퍼 몸체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스토퍼 몸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유도부; 상기 스토퍼 몸체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드릴몸체의 회전 시 상기 스토퍼 몸체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 링; 및 상기 회전유도부와 대칭되는 상기 스토퍼 몸체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제한 링이 상기 스토퍼 몸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몸체의 중앙 영역에는 상기 드릴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상기 드릴몸체와 결합되는 드릴몸체 결합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몸체에는 상기 드릴몸체 결합구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제한 링은 상기 관통구를 통하여 상기 드릴몸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드릴몸체 결합구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스토퍼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릴몸체는 상기 스토퍼 암나사와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드릴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드릴몸체 수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릴몸체의 외주면의 일영역에는 상기 드릴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드릴몸체 수나사가 형성된 일면을 절삭한 절삭면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절삭면에는 상기 가압헤드부의 인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인입 깊이 표시부가 마련되고, 상기 인입 깊이 표시부는 복수의 인입 깊이 표시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유도부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헤드부는 상기 드릴몸체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드릴몸체와 대칭되는 상기 가압헤드부의 일단부는 반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헤드부는 복수의 그루브가 상기 가압헤드부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악동 치조골을 절삭해 홀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악동 치조골과 상악동 내막 사이에 이식된 골이식재를 가압할 수 있으며, 절삭 및 가압 시 인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의 사시도이다 .
도 2는 도 1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스토퍼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따른 스토퍼부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스토퍼부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따른 스토퍼부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은, 드릴몸체(110)와, 드릴몸체(110)의 일단부에 마련되고 치조골을 절삭하여 홀을 형성하거나 형성된 홀을 통해서 상악동 치조골과 상악동 내막 사이에 이식된 골이식재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헤드부(130)와, 드릴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드릴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가압헤드부(130)의 식립 깊이를 제한할 수 있는 스토퍼부(200)을 포함한다.
가압헤드부(130)의 크기는 개인의 치조골 크기에 맞춰 다양한 크기로 형성할 수 있고, 드릴몸체(110)의 크기는 가압헤드부(130)의 크기에 비례하여 적정한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드릴몸체(110)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고, 드릴몸체(110)의 타단부 즉, 가압헤드부(130)가 마련되는 일단부와 반대되는 측 단부에는 드릴로드(125)가 마련되고, 드릴로드(125)에서 드릴몸체(110)가 마련되는 측과 반대되는 단부에는 드릴몸체(110)를 회전시킬 수 있는 치과용 핸드피스(hand piece)와 연결할 수 있도록 생크부(120)가 마련된다.
드릴로드(125)는 그 외주면의 둘레 크기가 드릴몸체(110) 외주면의 둘레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일반적으로 한다. 그리고 드릴몸체(110)의 외주면에는 드릴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드릴몸체 수나사(113)가 형성된다.
드릴몸체 수나사(113)는 왼나사 또는 오른나사로 형성될 수 있는데, 드릴몸체 수나사(113)의 형성 방향은 핸드피스에 연결되는 드릴몸체(110)의 회전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핸드피스에 연결되는 드릴몸체(110)의 회전 방향이 오른쪽이므로 드릴몸체 수나사(130)는 왼나사로 형성한다.
드릴몸체 수나사(130)는 다양한 피치 간격을 가질 수 있지만 사용자가 드릴몸체(110) 상에서 왕복 이동하는 스토퍼부(200)를 인입되는 깊이에 맞추어 정확하게 멈출 수 있도록 드릴몸체 수나사(130)의 피치 간격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토퍼부(200)를 인입 깊이에 맞춰 멈춤시키기 용이하게 0.5의 피치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드릴몸체(110)의 외주면 일영역에는 절삭면(115)이 형성되는데, 드릴몸체(110)의 외주면에 드릴몸체 수나사(113)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삭면(115)은 드릴몸체 수나사(113)가 형성된 일면을 절삭함으로써 마련된다.
이러한 절삭면(115)은 드릴몸체(110)의 중심축선을 포함하는 가상의 면과 평행하고, 절삭면(115)의 표면에는 드릴몸체(110) 상에서 왕복 이동하는 스토퍼부(200)가 인입 깊이에 맞출 수 있도록 인입 깊이 표시부(150)가 형성된다.
만약 절삭면(115)이 없는 경우 인입 깊이 표시부(150)는 드릴몸체 수나사(113)상에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 경우 드릴몸체(110)에는 가압헤드부(130)가 인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부(200)가 결합되어 왕복 이동을 하고 있기 때문에 반복 사용 시 스토퍼부(200)의 잦은 왕복 이동으로 인해 인입 깊이 표시부(150) 마모되어 제거될 수 있으므로 드릴몸체(110)의 외주면 일부에 절삭면(115)을 형성하여 절삭면(115)에도 인입 깊이 표시부(150)가 형성되도록 하면 스토퍼부(200)의 왕복 이동에 의해서도 절삭면(115)의 인입 깊이 표시부(150)는 제거되지 않게 된다.
인입 깊이 표시부(150)는 다수의 인입 깊이 표시선으로 형성되는데 인입 깊이 표시선의 두께와 간격은 다양한 형태의 홀에 대응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다양한 두께와 간격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드릴몸체(110)의 일단부에는 상악동의 치조골을 절삭하여 홀을 형성하거나 형성된 홀을 통해 상악동 치조골과 상악동 내막 사이에 이식된 골이식재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헤드부(130)가 연장 형성되어 마련된다.
가압헤드부(130)는 그 외주면의 둘레 크기가 드릴몸체(110) 외주면의 둘레 크기보다 큰 원기둥 형태의 몸체(131)에 드릴몸체(110)와 연결되는 측과 반대되는 단부, 즉 가압헤드부(130)의 일단부(133)가 골이식재를 가압하기 쉽도록 반구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가압헤드부(130)의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칭되는 그루브(133a)가 가압헤드부(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단부(133)로부터 몸체(131)로 이어져 형성된다. 그리고 그루브(133a)로 인해 가압헤드부(130)에 형성된 모서리(130a)는 상악동 치조골을 절삭할 수 있는 절삭날의 역할을 한다.
한편, 드릴몸체(110)에 결합하여 왕복 이동하며 가압헤드부(130)가 인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부(200)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 몸체(210)와, 스토퍼 몸체(210)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스토퍼 몸체(21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유도부(230)와, 스토퍼 몸체(210)의 외주면에 끼움되어 드릴몸체(110)가 회전 시 스토퍼 몸체(210)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 링(250)과, 스토퍼 몸체(210)의 타단부, 즉 회전유도부(230)가 마련되는 스토퍼 몸체(210)의 일단부와 반대되는 단부에 마련되어 회전제한 링(250)이 스토퍼 몸체(2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270)을 포함한다.
스토퍼 몸체(21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스토퍼 몸체(210)의 중앙 영역에는 드릴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드릴몸체 결합구(211)가 형성된다.
드릴몸체 결합구(211)를 통해 스토퍼 몸체(210)가 드릴몸체(110)에 결합되어 드릴몸체(110) 상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드릴몸체 결합구(211)의 내주면에는 드릴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드릴몸체(110) 수나사(113)에 대응되는 스토퍼 암나사(213)가 형성된다.
이에 의하여 드릴몸체 결합구(211)에 형성된 스토퍼 암나사(213)는 드릴몸체(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드릴몸체 수나사(113) 체결되어 스토퍼부(200)가 드릴몸체(110) 상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스토퍼 몸체(210)의 외주면의 일부 영역들이 스토퍼 몸체(210)의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어 절삭되는데 이때 절삭되는 두께는 스토퍼 몸체(210)의 외주면에서부터 드릴몸체 결합구(211)가 형성되는 내주면까지의 두께(T)만큼 절삭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스토퍼 몸체(210)의 외주면의 상호 이격된 일부 영역들이 절삭되면 스토퍼 몸체(210)에는 스토퍼 몸체(210)를 관통하며 드릴몸체 결합구(211)와 연통되는 관통구(215)가 형성된다.
이에 의하여 스토퍼부(200)가 드릴몸체(110)에 결합하게 되면 드릴몸체 수나사(113)는 관통구(215)를 통해 노출된다. 그리고 스토퍼 몸체(210)의 외주면에 회전제한 링(250)이 끼움되면 회전제한 링(250)이 관통구(215)를 통해 노출되는 드릴몸체 수나사(113)와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제한 링(250)이 드릴몸체 수나사(113)와 접촉하게 되면 스토퍼부(200)가 드릴몸체(110)에 회전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마찰력을 얻게 된다.
따라서 핸드피스에 연결된 드릴몸체(110)가 상악동 치조골에 홀을 형성하기 위해 회전하게 되면 드릴몸체 수나사(113)와 접촉된 회전제한 링(250)이 그 마찰력으로 스토퍼부(200)의 관성모멘트에 대하여 드릴몸체(110) 회전 시 스토퍼부(200)가 회전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제한 링(250)은 탄성을 갖는 재질인 탄성체로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본 실시예에서 회전제한 링(250)은 오링(O-ring)이 적용된다.
스토퍼 몸체(210)의 일단부에는 드릴몸체(110)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가압헤드부(130)가 인입되는 깊이에 맞춰 스토퍼부(200)의 위치를 정할 수 있도록 스토퍼 몸체(21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유도부(230)가 마련된다.
회전유도부(230)는 스토퍼 몸체(210) 외주면의 둘레 크기보다 더 큰 외주면 둘레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회전유도부(230) 외주면 둘레의 크기는 가압헤드부(130)의 외주면 둘레 크기보다도 더 크게 형성되어 시술자가 스토퍼부(200)의 위치를 정하기 위해 회전유도부(230)를 잡고 회전시킬 경우 가압헤드부(130)와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회전유도부(230)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돌기(231)가 형성된다. 복수의 돌기(231)는 동일한 크기의 복수의 돌기(231)가 일정한 간격을 갖고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시술자가 스토퍼부(200)의 위치를 정하기 위해 회전유도부(230)를 이용하여 스토퍼 몸체(210)를 회전시킬 때 매끈한 표면에 의해 미끄러질 수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한편, 회전유도부(230)가 마련되는 스토퍼 몸체(210)의 일단부와 반대되는 단부, 즉 스토퍼 몸체(210)의 타단부에는 스토퍼 몸체(210)의 외주면 둘레 크기보다 큰 외주면 둘레 크기를 갖는 이탈방지턱(270)이 마련된다.
이탈방지턱(270)은 스토퍼 몸체(210)의 외주면에 끼움되어 드릴몸체(110)의 회전 시 스토퍼부(200)가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는 회전제한 링(250)이 스토퍼 몸체(2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탈방지턱(270)은 스토퍼 몸체(210) 외주면에 끼움된 회전제한 링(25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기 때문에 스토퍼 몸체(210) 외주면에 회전제한 링(250)이 끼움된 상태에서 회전제한 링(25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둘레를 갖도록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임플란트 시술들 중 하나인 상악동 거상술과 관련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임플란트가 식립될 위치, 예를 들면 상악동 치조골에 가이드 드릴(미도시)을 이용하여 얇은 홀을 형성하고 형성된 홀의 센터를 위치 표시한다. 다시 말해, 가이드 드릴(미도시)을 이용하여 상악동 내막으로부터 대략 3mm 인접한 위치까지 얕은 홀을 형성한다.
이어서, 천공용 드릴(미도시)을 이용하여 상악동 내막으로부터 대략 1mm 인접한 위치까지 홀을 형성한다. 이 때 천공용 드릴의 중심은 가이드 드릴에 의해 표시된 홀의 중심에 얼라인(align)되어야 한다.
한편, 천공용 드릴이 상악동 내막으로부터 대략 2mm 인접한 위치까지 치조골의 홀을 형성할 때는 핸드피스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홀을 형성하고, 이후 대략 1mm 인접한 위치까지는 시술자가 직접 천공용 드릴을 회전하며 천공 작업을 실행한다.
즉, 핸드피스로 천공용 드릴을 회전시키는 경우 천공용 드릴의 천공 작업을 정확히 제어할 수 없으나, 시술자가 직접 천공용 드릴을 회전하며 작업하는 경우 원하는 깊이까지 치조골의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치조골의 홀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을 인입하여 가압헤드부(130) 중 반구 형태로 형성된 일단부(133)가 상악동 내막에 접면될 때까지 천공 작업을 진행한다.
천공 작업은 가압헤드부(130) 중 반구 형태로 형성된 일단부(133)로부터 가압헤드부(130)의 몸체(131)까지 형성된 그루브(133a)에 의한 모서리(130a)가 절삭날의 역할을 하여 치조골을 절삭하며 천공작업을 하게 된다. 한편, 치조골의 절삭된 뼈들은 가압헤드부(130)에 형성된 그루브(133a)를 통해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상악동 내막은 가압헤드부(130)의 반구 형태 일단부(133)에 의해서 약간 거상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악동 거상용 기구(미도시)를 치조골의 홀에 인입하여 부분적으로 노출된 상악동 내막을 거상시킨다.
이후, 상악동 내막 거상 작업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골이식재(미도시)를 채운 후, 본 발명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에서 가압헤드부(130)의 반구 형태의 일단부(133)를 이용하여 골이식재를 가압한다. 가압헤드부(130)의 일단부(133)는 반구 형태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악동 내막 및 치조골 사이사이로 균일하면서도 밀도 있게 가압할 수 있다.
한편, 가압헤드부(130)와 연결되는 드릴몸체(110)에는 가압헤드부(130)가 인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부(200)가 결합되어 있다. 스토퍼부(200)는 드릴몸체(100)상에서 드릴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어 시술자가 가압헤드부(130)가 인입되는 깊이에 따라 스토퍼부(200)의 위치를 결정한다.
따라서 스토퍼부(200)를 이용하여 상악동 치조골을 절삭하거나 상악동 내막과 치조골 사이에 골이식재를 가압할 때 가압헤드부(130)가 불필요하게 더 깊숙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에 의하면, 치조골에 천공 작업과 치조골과 상악동 내막 사이로 이식된 골이식재를 가압하기 위해 별도로 구비해야 했던 절삭용 드릴과 가압용 드릴을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하나로 대체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절삭용 드릴에 다이아몬드 입자 코팅이 이루어지던 것을 삭제하고, 형상을 단순화시킴으로써 제품생산 및 품질이 안정화 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절삭용 드릴과 가압용 드릴에는 마련되어 있지 않던 스토퍼부(200)를 마련함으로써 시술자의 작업 능력에만 의존하여 인입 깊이를 조절해 드릴의 인입 깊이가 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110: 드릴몸체
113: 드릴몸체 수나사 115: 절삭면
120: 생크부 125: 드릴로드
130: 가압헤드부 133a: 그루브
200: 스토퍼부 210: 스토퍼 몸체
211: 드릴몸체 결합구 213: 스토퍼 암나사
230: 회전유도부 250: 회전제한 링
270: 이탈방지턱

Claims (11)

  1. 드릴몸체;
    상기 드릴몸체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치조골을 절삭하거나 상기 치조골에 이식된 골이식재를 가압하는 가압헤드부; 및
    상기 드릴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드릴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상기 가압헤드부가 인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스토퍼 몸체;
    상기 스토퍼 몸체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스토퍼 몸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유도부;
    상기 스토퍼 몸체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드릴몸체의 회전 시 상기 스토퍼 몸체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 링; 및
    상기 회전유도부와 대칭되는 상기 스토퍼 몸체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제한 링이 상기 스토퍼 몸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몸체의 중앙 영역에는 상기 드릴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상기 드릴몸체와 결합되는 드릴몸체 결합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몸체에는 상기 드릴몸체 결합구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제한 링은 상기 관통구를 통하여 상기 드릴몸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몸체 결합구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스토퍼 암나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몸체는 상기 스토퍼 암나사와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드릴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드릴몸체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몸체의 외주면의 일영역에는 상기 드릴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드릴몸체 수나사가 형성된 일면을 절삭한 절삭면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면에는 상기 가압헤드부의 인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인입 깊이 표시부가 마련되고,
    상기 인입 깊이 표시부는 복수의 인입 깊이 표시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도부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10. 제1에 있어서,
    상기 가압헤드부는 상기 드릴몸체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드릴몸체와 대칭되는 상기 가압헤드부의 일단부는 반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헤드부는 복수의 그루브가 상기 가압헤드부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1020100001695A 2010-01-08 2010-01-08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101122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695A KR101122133B1 (ko) 2010-01-08 2010-01-08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695A KR101122133B1 (ko) 2010-01-08 2010-01-08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1502A true KR20110081502A (ko) 2011-07-14
KR101122133B1 KR101122133B1 (ko) 2012-03-20

Family

ID=44919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1695A KR101122133B1 (ko) 2010-01-08 2010-01-08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213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604B1 (ko) * 2013-10-07 2015-03-10 주식회사 제노스 드릴링 시술용 디바이스
KR101516950B1 (ko) * 2013-11-06 2015-05-04 주식회사 디오 어버트먼트 프로파일 드릴장치
WO2016098976A1 (ko) * 2014-12-15 2016-06-23 주식회사 제노스 치아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링 유니트
CN110448351A (zh) * 2019-08-23 2019-11-15 山东大学齐鲁医院(青岛) 一种髋臼骨赘去除用限深骨刀
CN113662691A (zh) * 2021-03-16 2021-11-19 梁光强 一种上颌窦内提升工具盒
KR20220109041A (ko) * 2021-01-28 2022-08-04 (주)메디메카 치아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797B1 (ko) 2012-06-22 2014-07-09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골 채취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195558B1 (pl) * 1999-06-03 2007-10-31 Arsline Sa Urządzenie zabezpieczające do obrotowego przyrządu wiercącego, stosowanego między innymi w chirurgii dentystycznej, oraz sposób wstępnego kalibrowania i zachowywania głębokości wiercenia za pomocą tego urządzenia
FR2836372B1 (fr) * 2002-02-28 2004-06-04 Obl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place d'implants dentaires
KR100930911B1 (ko) * 2007-11-22 2009-12-1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
KR100981718B1 (ko) * 2008-06-13 2010-09-13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604B1 (ko) * 2013-10-07 2015-03-10 주식회사 제노스 드릴링 시술용 디바이스
KR101516950B1 (ko) * 2013-11-06 2015-05-04 주식회사 디오 어버트먼트 프로파일 드릴장치
WO2016098976A1 (ko) * 2014-12-15 2016-06-23 주식회사 제노스 치아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링 유니트
CN110448351A (zh) * 2019-08-23 2019-11-15 山东大学齐鲁医院(青岛) 一种髋臼骨赘去除用限深骨刀
CN110448351B (zh) * 2019-08-23 2024-02-27 山东大学齐鲁医院(青岛) 一种髋臼骨赘去除用限深骨刀
KR20220109041A (ko) * 2021-01-28 2022-08-04 (주)메디메카 치아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CN113662691A (zh) * 2021-03-16 2021-11-19 梁光强 一种上颌窦内提升工具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2133B1 (ko) 201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133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US10207092B2 (en) Multi-functional osteotome and method of use for sinus lift procedure
KR100981717B1 (ko) 상악동 거상용 드릴 툴
JP5501361B2 (ja) インプラント用の穿孔ドリル
US8075564B2 (en) Piezotome for maxillary sinus operation
KR100660374B1 (ko) 상악동 거상술을 위한 임플란트 드릴
KR100962166B1 (ko) 임플란트용 일체형 치조골절개 확장기
US1025844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nus lift procedure
US8702423B2 (en) Cortical drilling
CN207084863U (zh) 种植牙用钻机及具有其种植牙用钻机装置
KR101720605B1 (ko) 치과용 평탄화 드릴
KR100981718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100981716B1 (ko) 상악동 거상용 드릴 툴
KR102258699B1 (ko) 멤브레인 리프팅 장치
KR100743181B1 (ko) 치과용 응급 임플란트의 내부결합형 픽스츄어
KR101516950B1 (ko) 어버트먼트 프로파일 드릴장치
US11986372B2 (en) Dental surgery method
KR102291513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키트
KR101566457B1 (ko) 어버트먼트 제거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어버트먼트 제거 장치
Palmer et al. Immediate and early replacement implants and restorations
KR101181923B1 (ko)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
KR101723967B1 (ko) 치과용 평탄화 드릴
KR200452712Y1 (ko) 치과용 회전기구
KR200417745Y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CN211271277U (zh) 一种新型用于骨粉输送、压实的螺旋压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