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998B1 - 자동개폐 기능을 갖는 분수용 안전 노즐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개폐 기능을 갖는 분수용 안전 노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998B1
KR102627998B1 KR1020220015340A KR20220015340A KR102627998B1 KR 102627998 B1 KR102627998 B1 KR 102627998B1 KR 1020220015340 A KR1020220015340 A KR 1020220015340A KR 20220015340 A KR20220015340 A KR 20220015340A KR 102627998 B1 KR102627998 B1 KR 102627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shutter
guide
open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5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9339A (ko
Inventor
남순관
Original Assignee
남순관
(주)태경조경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순관, (주)태경조경건설 filed Critical 남순관
Priority to KR1020220015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998B1/ko
Publication of KR20230119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9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14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ntrolling structural damage to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e.g. for breaking at desired places; Arrangements for handling or replacing damaged parts
    • B05B15/1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ntrolling structural damage to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e.g. for breaking at desired places; Arrangements for handling or replacing damaged parts for preventing non-intended contact between spray heads or nozzles and foreign bodies, e.g. nozzle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2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8Fountains

Landscapes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개폐 기능을 갖는 분수용 안전 노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노즐 가이드는 중공을 갖고 상하단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노즐 캡은 노즐 가이드의 상측에 내부 공간을 한정하도록 결합되며, 상부에 물 분사구가 형성된다. 노즐은 노즐 가이드 내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노즐 가이드의 하측을 통한 물 공급 여부에 따라 승강 동작하며, 상승 동작시 상단 개구가 물 분사구에 위치된 상태로 하단 개구를 통해 공급받은 물을 분사한다. 제1,2 셔터는 노즐 캡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노즐의 상승 동작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호 이격되게 회전 동작해서 물 분사구를 개방하고, 노즐의 하강 동작시 자중에 의해 상호 근접되게 회전 동작해서 물 분사구를 폐쇄한다.

Description

자동개폐 기능을 갖는 분수용 안전 노즐 장치{Safety nozzle device for fountain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본 발명은 물을 뿜어 올려 주변 분위기를 아름답게 연출하는 바닥 분수에 채용되는 노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구 온난화가 더욱 문제시되고 도시의 열섬 현상이 해마다 가중되는 현재의 상황에서, 단순히 시각적으로 분수를 감상하는데 그치지 않고, 바닥에 다양한 패턴으로 노즐이 설치된 바닥 분수와 같이 노즐을 통해 뿜어져 나오는 물줄기를 이용자가 직접 맞으면서 온몸으로 즐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등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바닥 분수는 분수대의 형태 중 사람의 접근이 용이한 지역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인데, 바닥 분수는 사람의 접근이 수시로 허용되므로 분수로 인한 안전사고의 예방이 주요한 고려사항이다.
기존의 바닥 분수는 사용되지 않을 때에도 바닥에 설치된 노즐이 노출되고, 노즐의 관 내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노출된 노즐의 설치구멍이나 구멍 주위에 끼임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외부로 개방된 노즐의 내부로 이물질이 쌓여 노즐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노즐이 사용되지 않을 때에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노즐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자동개폐 기능을 갖는 분수용 안전 노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 기능을 갖는 분수용 안전 노즐 장치는 노즐 가이드와, 노즐 캡과, 노즐, 및 제1,2 셔터를 포함한다. 노즐 가이드는 중공을 갖고 상하단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노즐 캡은 노즐 가이드의 상측에 내부 공간을 한정하도록 결합되며, 상부에 물 분사구가 형성된다. 노즐은 노즐 가이드 내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노즐 가이드의 하측을 통한 물 공급 여부에 따라 승강 동작하며, 상승 동작시 상단 개구가 물 분사구에 위치된 상태로 하단 개구를 통해 공급받은 물을 분사한다. 제1,2 셔터는 노즐 캡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노즐의 상승 동작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호 이격되게 회전 동작해서 물 분사구를 개방하고, 노즐의 하강 동작시 자중에 의해 상호 근접되게 회전 동작해서 물 분사구를 폐쇄한다.
여기서, 노즐은 상측 좌우로부터 각각 돌출된 작동핀들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셔터는 물 분사구의 한쪽 절반을 개폐하도록 회전 동작하는 제1 셔터 상판과, 제1 셔터 상판의 좌우변으로부터 각각 하측으로 연장되어 노즐 가이드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제1 가이드면들이 작동핀들에 맞닿은 상태로 작동핀들의 상승 동작에 따라 개방 방향으로 밀려 제1 셔터 상판을 개방 동작시키는 한 쌍의 제1 셔터 측판들, 및 제1 셔터 측판들의 연장 단에 장착되어 제1 셔터를 허용 개방 위치로부터 자중에 의해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게 하고 제2 셔터의 허용 개방 각도를 제한하는 제1 중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셔터는 물 분사구의 다른 쪽 절반을 개폐하도록 회전 동작하는 제2 셔터 상판과, 제2 셔터 상판의 좌우변으로부터 각각 하측으로 제1 셔터 측판들의 내측과 일부 겹치게 연장되어 노즐 가이드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제2 가이드면들이 작동핀들에 맞닿은 상태로 작동핀들의 상승 동작에 따라 개방 방향으로 밀려 제2 셔터 상판을 개방 동작시키는 한 쌍의 제2 셔터 측판들, 및 제2 셔터 측판들의 연장 단에 장착되어 제2 셔터를 허용 개방 위치로부터 자중에 의해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게 하는 제2 중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양상으로, 노즐 가이드는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회전방지 가이드핀을 구비하며, 노즐은 외면에 상하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회전방지 가이드핀을 끼우는 회전방지 가이드홈을 구비하여 승강 동작시 회전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수용 안전 노즐 장치는 노즐이 사용되지 않을 때에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노즐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개폐 기능을 갖는 분수용 안전 노즐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분수용 안전 노즐 장치의 폐쇄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분수용 안전 노즐 장치의 개방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분수용 안전 노즐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개폐 기능을 갖는 분수용 안전 노즐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분수용 안전 노즐 장치의 폐쇄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분수용 안전 노즐 장치의 개방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개폐 기능을 갖는 분수용 안전 노즐 장치(100)는 노즐 가이드(110)와, 노즐 캡(120)과, 노즐(130), 및 제1,2 셔터(140, 150)를 포함한다.
노즐 가이드(110)는 중공을 갖고 상하단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노즐 가이드(110)는 중공에 노즐(130)을 끼워 승강 가능하게 지지한다. 노즐 가이드(110)는 하측 개구를 통해 내부로 가압 상태의 물을 공급받고, 상측 개구를 통해 노즐(130)을 인출시킨다. 노즐 가이드(110)는 상측 개구 주변에 제1,2 셔터(140, 15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노즐 가이드(110)는 상측에 노즐 캡(120)을 결합한다.
일 예로, 노즐 가이드(110)는 가이드 몸체(111)와, 가이드 블록(11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몸체(111)는 상,하단이 개구된 중공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진다. 가이드 몸체(111)는 중공에 노즐(130)을 끼워 승강 안내한다.
가이드 몸체(111)는 노즐(130)이 하사점까지 하강한 상태에서 노즐(130)을 걸림 처리하는 걸림턱(111a)이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130)은 사용되지 않을 때 하사점에서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은 상태로 상승 동작을 위해 대기할 수 있다.
가이드 블록(112)은 중공을 갖고 중공에 가이드 몸체(111)의 상측 부위를 끼운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블록(112)은 중공 내면에 암나사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몸체(111)는 상측 외주에 수나사를 갖고 가이드 블록(112)의 암나사와 나사 체결될 수 있다.
가이드 블록(112)은 원형 외주를 갖는다. 가이드 블록(112)은 상측 외주가 하측 외주보다 작은 지름을 갖고 단차질 수 있다. 가이드 블록(112)은 단차진 부위에 노즐 캡(120)의 하측 개구 주변을 안착시킬 수 있다. 가이드 블록(112)은 상측 개구 주변에 제1,2 셔터(140, 15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노즐 캡(120)은 노즐 가이드(110)의 상측에 내부 공간을 한정하도록 결합된다. 노즐 캡(120)은 내부 공간을 갖고 하측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노즐 캡(120)은 원형 외주를 갖는다. 노즐 캡(120)은 하측 부위가 가이드 블록(112)의 상측 외주를 감싼 상태로 볼팅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노즐 캡(120)과 가이드 블록(112)이 결합된 부위는 링형 커버(122)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노즐 캡(120)의 하측 외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링형 커버(122)의 내면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노즐 캡(120)은 상부에 물 분사구(121)가 형성된다. 물 분사구(121)는 노즐 캡(120)의 상부 중앙에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노즐 캡(120)은 물 분사구(121) 이외의 부분이 노즐(130)의 상측 부위와 제1,2 셔터(140, 150)를 감싸서 보호할 수 있게 한다.
노즐(130)은 노즐 가이드(110) 내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노즐 가이드(110)의 하측을 통한 물 공급 여부에 따라 승강 동작한다. 노즐(130)은 상승 동작시 상단 개구가 물 분사구(121)에 위치된 상태로 하단 개구를 통해 공급받은 물을 분사한다. 노즐(130)은 상사점에서 상단이 물 분사구(121)로부터 상방으로 인출되어 상측 개구를 통해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노즐(130)은 중앙 외주가 상,하측 외주보다 큰 외경을 갖고 단차질 수 있다. 노즐(130)은 노즐 가이드(110)에 끼워진 상태로 중앙 외주의 하측 단차 부위가 노즐 가이드(110) 내의 걸림턱(111a)에 걸림 처리되어 하사점에서 대기할 수 있다.
노즐(130)은 노즐 가이드(110)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방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노즐 가이드(110)는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회전방지 가이드핀(113)을 구비할 수 있다. 회전방지 가이드핀(113)은 노즐 가이드(110)의 외측으로부터 노즐 가이드(110)를 관통하여 노즐 가이드(110)의 내면으로 돌출되게 장착될 수 있다.
노즐(130)은 외면에 상하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회전방지 가이드핀(113)을 끼우는 회전방지 가이드홈(131)을 구비하여 승강 동작시 회전방지될 수 있다. 회전방지 가이드홈(131)은 노즐(130)의 중앙 외주에 형성될 수 있다. 회전방지 가이드홈(131)은 회전방지 가이드핀(113)을 끼운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만 상대 이동할 수 있게 제한한다.
따라서, 노즐(130)은 노즐 가이드(110)에 대해 회전방지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만 노즐 가이드(110)의 안내를 받아 승강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 회전방지 가이드핀(113)이 노즐(130)의 외면에 구비되고, 회전방지 가이드홈(131)이 노즐 가이드(110)의 내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제1,2 셔터(140, 150)는 노즐 캡(12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노즐(130)의 상승 동작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호 이격되게 회전 동작해서 물 분사구(121)를 개방하고, 노즐(130)의 하강 동작시 자중에 의해 상호 근접되게 회전 동작해서 물 분사구(121)를 폐쇄한다.
즉, 제1,2 셔터(140, 150)는 노즐(130)이 사용되지 않을 때 상호 근접되어 물 분사구(121)를 폐쇄하고 있다가, 노즐(130)이 사용되어 상승 동작함에 따라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호 이격되어 물 분사구(121)를 개방시킨다. 제1,2 셔터(140, 150)는 노즐(130)이 사용되고 난 후 하강함에 따라 자중에 의해 상호 근접되어 물 분사구(121)를 폐쇄한다.
따라서, 제1,2 셔터(140, 150)는 노즐(130)이 사용되지 않을 때 물 분사구(121)를 폐쇄해서 노즐(130)의 외부 노출을 방지함으로써, 물 분사구(121)에 끼임 등의 사고가 발생되지 않게 하고, 노즐(130)의 내부로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여 노즐(130)이 제 기능을 발휘하도록 할 수 있다.
노즐(130)은 상측 좌우로부터 각각 돌출된 작동핀(132)들을 구비할 수 있다. 작동핀(132)은 원형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작동핀(132)은 제1,2 셔터(140, 150)의 제1,2 가이드면(143a, 153a)에 원형 외주로 접촉되어 제1,2 셔터(140, 150)를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셔터(140)는 제1 셔터 상판(141)과, 한 쌍의 제1 셔터 측판(142)들, 및 제1 중량체(1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셔터 상판(141)은 물 분사구(121)의 한쪽 절반을 개폐하도록 회전 동작한다. 제1 셔터 상판(141)은 폐쇄 위치에서 제2 셔터 상판(151)과 전체적으로 맞닿게 형성되어 물 분사구(121)를 빈틈없이 폐쇄할 수 있다.
제1 셔터 측판(142)들은 제1 셔터 상판(141)의 좌우변으로부터 각각 하측으로 연장되어 노즐 가이드(11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제1 셔터 측판(142)들은 제2 셔터 측판(152)을 향한 상측 코너 부위들이 절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셔터 측판(142)들은 제1 셔터(140)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에서 제1 셔터 상판(141)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셔터 측판(142)은 제1 상측 연장부(143)가 제1 셔터 상판(141)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제1 하측 연장부(144)가 제1 상측 연장부(143)의 하단으로부터 제2 셔터(150) 쪽으로 굽어져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셔터 측판(142)들은 제1 하측 연장부(144)들이 한 쌍의 힌지 기구(160)들에 의해 노즐 가이드(110)의 가이드 블록(1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각각의 힌지 기구(160)는 제1,2 힌지축(161, 162)이 힌지 브라켓(163)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힌지 기구(160)는 제1,2 힌지축(161, 162)이 제1,2 셔터 측판(142, 152)의 제1,2 축홀(144a, 154a)에 각각 끼워진 상태로 힌지 브라켓(163)이 가이드 블록(112)의 상면에 볼팅됨으로써, 제1,2 셔터 측판(142, 15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1 하측 연장부(144)는 제1 힌지축(161)을 끼우는 제1 축홀(144a)을 갖는다. 제1 하측 연장부(144)는 연장 단에 제1 중량체(146)를 장착할 수 있게 한다. 제1 하측 연장부(144)는 제1 셔터(140)의 허용 개방 각도에서 제1 중량체(146)와 함께 제1 셔터(140)의 무게 중심을 제1 힌지축(161)으로부터 벗어나 제2 힌지축(163)에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제1 셔터(140)는 허용 개방 각도까지 회전한 상태에서 노즐(130)의 하강시 자중에 의해 폐쇄 위치로 자동 복귀할 수 있다. 제1 하측 연장부(144)는 제1 셔터(140)의 회전 동작시 제2 힌지축(162)과 간섭을 피하기 위한 제1 회피홈(144b)을 가질 수 있다.
제1 셔터 측판(142)들은 제1 가이드면(143a)들이 작동핀(132)들에 맞닿은 상태로 작동핀(142)들의 상승 동작에 따라 개방 방향으로 밀려 제1 셔터 상판(141)을 개방 동작시킨다. 제1 가이드면(143a)은 작동핀(132)을 향한 제1 상측 연장부(143)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면(143a)은 작동핀(132)에 맞닿은 상태로 작동핀(132)의 상승 동작에 따라 제1 셔터 측판(142)을 개방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밀어내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가이드면(143a)은 제1 셔터(140)의 폐쇄 위치 기준으로 하측 영역이 오목한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측 영역이 제2 셔터(150) 쪽으로 경사진 직선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중량체(146)는 제1 셔터 측판(142)들의 연장 단에 장착되어 제1 셔터(140)를 허용 개방 위치로부터 자중에 의해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게 한다. 제1 중량체(146)는 제1 셔터(140)의 허용 개방 각도에서 제1 셔터(140)의 무게 중심을 제1 힌지축(161)보다 제2 힌지축(162)에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제1 셔터(140)는 허용 개방 각도에서 자중에 의해 폐쇄 위치로 자동 복귀할 수 있다.
또한, 제1 중랑체(146)는 제2 셔터(150)의 허용 개방 각도를 제한한다. 제1 중량체(146)는 원형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중량체(146)는 제1 셔터 측판(142)들을 가로질러 양단이 제1 하측 연장부(114)들의 연장 단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중량체(146)는 제2 셔터(150)가 개방 동작한 상태에서 제2 셔터 측판(152)들과 맞닿아 정지시킴으로써, 제2 셔터(150)의 개방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제2 셔터(150)는 제2 셔터 상판(151)과, 한 쌍의 제2 셔터 측판(152)들, 및 제2 중량체(15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셔터 상판(151)은 물 분사구(121)의 다른 쪽 절반을 개폐하도록 회전 동작한다. 제2 셔터 상판(151)은 폐쇄 위치에서 제1 셔터 상판(151)과 전체적으로 맞닿게 형성되어 물 분사구(121)를 빈틈없이 폐쇄할 수 있다. 제2 셔터 상판(151)은 제2 셔터 측판(152)들이 제1 셔터 측판(142)들의 내측과 일부 겹치게 제1 셔터 상판(141)보다 좁은 폭을 갖는다.
제2 셔터 측판(152)들은 제2 셔터 상판(151)의 좌우변으로부터 각각 하측으로 제1 셔터 측판(142)들의 내측과 일부 겹치게 연장되어 노즐 가이드(11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제2 셔터 측판(152)들은 제1 셔터 측판(142)들과 상호 대칭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셔터 측판(152)은 제2 상측 연장부(153)가 제2 셔터 상판(151)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제2 하측 연장부(154)가 제2 상측 연장부(152)의 하단으로부터 제1 셔터(140) 쪽으로 굽어져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셔터 측판(152)들은 제2 하측 연장부(154)들이 한 쌍의 힌지 기구(160)들에 의해 노즐 가이드(110)의 가이드 블록(1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2 셔터 측판(152)들은 제2 하측 연장부(154)들의 제2 축홀(154a)들에 힌지 기구(160)의 제2 힌지축(162)들을 끼워 회전 지지될 수 있다.
제2 하측 연장부(154)는 연장 단에 제2 중량체(156)를 장착할 수 있게 한다. 제2 하측 연장부(154)는 제2 셔터(150)의 허용 개방 각도에서 제2 중량체(156)와 함께 제2 셔터(150)의 무게 중심을 제2 힌지축(162)으로부터 벗어나 제1 힌지축(161)에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제2 셔터(150)는 허용 개방 각도까지 회전한 상태에서 노즐(130)의 하강시 자중에 의해 폐쇄 위치로 자동 복귀할 수 있다. 제2 하측 연장부(154)는 제2 셔터(150)의 회전 동작시 제1 힌지축(161)과 간섭을 피하기 위한 제2 회피홈(154b)을 가질 수 있다.
제2 셔터 측판(152)들은 제2 가이드면(153a)들이 작동핀(132)들에 맞닿은 상태로 작동핀(132)들의 상승 동작에 따라 개방 방향으로 밀려 제2 셔터 상판(151)을 개방 동작시킨다. 제2 가이드면(153a)은 작동핀(132)을 향한 제2 상측 연장부(153)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면(153a)은 제1 가이드면(143a)과 상호 대칭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중량체(156)는 제2 셔터 측판(152)들의 제2 하측 연장부(154)의 연장 단에 장착되어 제2 셔터(150)를 허용 개방 위치로부터 자중에 의해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게 한다. 제2 중량체(156)는 제2 셔터(150)의 허용 개방 각도에서 제2 셔터(150)의 무게 중심을 제2 힌지축(162)보다 제1 힌지축(161)에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제2 셔터(150)는 허용 개방 각도에서 자중에 의해 폐쇄 위치로 자동 복귀할 수 있다. 제2 중량체(156)는 제1 중량체(146)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분수용 안전 노즐 장치(100)의 작용 예에 대해,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130)이 노즐 가이드(110) 내에서 하사점까지 하강한 상태로 대기해 있다. 이때, 노즐(130)의 작동핀(132)들은 제1 셔터(140)의 제1 가이드면(143a)과 제2 셔터(150)의 제2 가이드면(153a) 사이에서 최하측으로 하강해 있고, 그에 따라 제1,2 셔터(140, 150)는 노즐 캡(120)의 물 분사구(121)를 폐쇄한 상태로 대기해 있다.
이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가이드(110)의 하측 개구로 가압 상태의 물이 공급되면, 노즐(130)이 노즐 가이드(110)의 안내를 받아 상승 동작한다. 그러면, 노즐(130)의 작동핀(132)들은 제1 셔터(140)의 제1 가이드면(143a)과 제2 셔터(150)의 제2 가이드면(153a) 사이에서 상승하면서 제1,2 가이드면(143a, 153a)을 밀어내게 된다. 그에 따라, 제1,2 셔터(140, 150)가 개방 방향으로 회전 동작하면서 노즐 캡(120)의 물 분사구(121)를 개방시킨다.
계속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130)이 노즐 가이드(110)의 안내를 받아 상사점까지 상승한다. 그러면, 노즐(130)의 작동핀(132)들은 제1 셔터(140)의 제1 가이드면(143a)과 제2 셔터(150)의 제2 가이드면(153a) 사이에서 최상측으로 상승하면서 제1,2 가이드면(143a, 153a)을 밀어내게 된다. 그에 따라, 제1,2 셔터(140, 150)가 개방 방향으로 계속 회전 동작해서 노즐 캡(120)의 물 분사구(121)를 완전히 개방시킨다. 이때, 제1 셔터(140)의 제1 중량체(146)가 제2 셔터(150)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되므로, 제1,2 셔터(140, 150)는 허용 개방 각도까지만 회전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노즐 가이드(110)의 하측 개구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중단되면, 노즐(130)은 노즐 가이드(110)의 안내를 받아 하강 동작한다. 그러면, 노즐(130)의 작동핀(132)들은 제1 셔터(140)의 제1 가이드면(143a)과 제2 셔터(150)의 제2 가이드면(153a) 사이에서 하강하게 된다. 그에 따라, 제1,2 셔터(140, 150)는 자중에 의해 폐쇄 방향으로 회전 동작함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캡(120)의 물 분사구(121)를 다시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분수용 안전 노즐 장치(100)는 노즐(130)이 사용되지 않을 때에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노즐(130)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분수용 안전 노즐 장치 110..노즐 가이드
111..가이드 몸체 111a..걸림턱
112..가이드 블록 113..회전방지 가이드핀
120..노즐 캡 121..물 분사구
122..링형 커버 130..노즐
131..회전방지 가이드홈 132..작동핀
140..제1 셔터 141..제1 셔터 상판
142..제1 셔터 측판 143..제1 상측 연장부
143a..제1 가이드면 144..제1 하측 연장부
144a..제1 축홀 144b..제1 회피홈
146..제1 중량체 150..제2 셔터
151..제2 셔터 상판 152..제2 셔터 측판
153..제2 상측 연장부 153a..제2 가이드면
154..제2 하측 연장부 154a..제2 축홀
154b..제2 회피홈 156..제2 중량체
160..힌지 기구 161..제1 힌지축
162..제2 힌지축 163..힌지 브라켓

Claims (3)

  1. 중공을 갖고 상하단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진 노즐 가이드;
    상기 노즐 가이드의 상측에 내부 공간을 한정하도록 결합되며, 상부에 물 분사구가 형성된 노즐 캡;
    상기 노즐 가이드 내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상기 노즐 가이드의 하측을 통한 물 공급 여부에 따라 승강 동작하며, 상승 동작시 상단 개구가 상기 물 분사구에 위치된 상태로 하단 개구를 통해 공급받은 물을 분사하며, 상측 좌우로부터 각각 돌출된 작동핀들을 구비하는 노즐; 및
    상기 노즐 캡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의 상승 동작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호 이격되게 회전 동작해서 상기 물 분사구를 개방하고, 상기 노즐의 하강 동작시 자중에 의해 상호 근접되게 회전 동작해서 상기 물 분사구를 폐쇄하는 제1,2 셔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셔터는,
    상기 물 분사구의 한쪽 절반을 개폐하도록 회전 동작하는 제1 셔터 상판과,
    상기 제1 셔터 상판의 좌우변으로부터 각각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노즐 가이드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제1 가이드면들이 상기 작동핀들에 맞닿은 상태로 상기 작동핀들의 상승 동작에 따라 개방 방향으로 밀려 상기 제1 셔터 상판을 개방 동작시키는 한 쌍의 제1 셔터 측판들, 및
    상기 제1 셔터 측판들의 연장 단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셔터를 허용 개방 위치로부터 자중에 의해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게 하고 상기 제2 셔터의 허용 개방 각도를 제한하는 제1 중량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셔터는,
    상기 물 분사구의 다른 쪽 절반을 개폐하도록 회전 동작하는 제2 셔터 상판과,
    상기 제2 셔터 상판의 좌우변으로부터 각각 하측으로 상기 제1 셔터 측판들의 내측과 일부 겹치게 연장되어 상기 노즐 가이드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제2 가이드면들이 상기 작동핀들에 맞닿은 상태로 상기 작동핀들의 상승 동작에 따라 개방 방향으로 밀려 상기 제2 셔터 상판을 개방 동작시키는 한 쌍의 제2 셔터 측판들, 및
    상기 제2 셔터 측판들의 연장 단에 장착되어 상기 제2 셔터를 허용 개방 위치로부터 자중에 의해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게 하는 제2 중량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셔터 측판들은 제1 하측 연장부들의 제1 축홀들에 힌지 기구의 제1 힌지축들을 끼워 회전 지지되고, 상기 각각의 제1 하측 연장부는 상기 제1 셔터의 회전 동작시 상기 힌지 기구의 제2 힌지축과 간섭을 피하기 위한 제1 회피홈을 가지며;
    상기 제2 셔터 측판들은 제2 하측 연장부들의 제2 축홀들에 상기 힌지 기구의 제2 힌지축들을 끼워 회전 지지되고, 상기 각각의 제2 하측 연장부는 상기 제2 셔터의 회전 동작시 제1 힌지축과 간섭을 피하기 위한 제2 회피홈을 가지며;
    상기 제1 가이드면은 상기 제1 셔터 측판의 제1 상측 연장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 셔터의 폐쇄 위치 기준으로 오목한 곡면으로 이루어진 하측 영역과 상기 제2 셔터 쪽으로 경사진 직선면으로 이루어진 상측 영역을 가지며, 상기 작동핀에 맞닿은 상태로 상기 작동핀의 상승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셔터 측판을 개방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밀어내며;
    상기 제2 가이드면은 상기 제2 셔터 측판의 제2 상측 연장부의 가장자리에 상기 제1 가이드면과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노즐 가이드는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회전방지 가이드핀을 구비하며;
    상기 노즐은 외면에 상하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상기 회전방지 가이드핀을 끼우는 회전방지 가이드홈을 구비하여 승강 동작시 회전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 기능을 갖는 분수용 안전 노즐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20015340A 2022-02-07 2022-02-07 자동개폐 기능을 갖는 분수용 안전 노즐 장치 KR102627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340A KR102627998B1 (ko) 2022-02-07 2022-02-07 자동개폐 기능을 갖는 분수용 안전 노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340A KR102627998B1 (ko) 2022-02-07 2022-02-07 자동개폐 기능을 갖는 분수용 안전 노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339A KR20230119339A (ko) 2023-08-16
KR102627998B1 true KR102627998B1 (ko) 2024-01-23

Family

ID=87848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5340A KR102627998B1 (ko) 2022-02-07 2022-02-07 자동개폐 기능을 갖는 분수용 안전 노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99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456B1 (ko) 2006-03-24 2007-04-18 물춤워터아트(주) 분수용 안전노즐
KR100832752B1 (ko) 2007-03-22 2008-05-27 물춤워터아트(주) 분수용 안전노즐
KR200440367Y1 (ko) 2007-04-10 2008-06-10 물춤워터아트(주) 분수용 안전노즐
KR100979528B1 (ko) 2009-03-05 2010-09-06 주식회사 한길개발 링크 개폐 방식의 분수용 안전노즐
KR101215767B1 (ko) 2011-10-28 2012-12-26 정상희 크랭크를 이용한 수평개폐식 안전노즐
KR102165251B1 (ko) * 2020-06-02 2020-10-13 주식회사 서일워터플랜 분수용 안전노즐
KR102262590B1 (ko) * 2020-07-15 2021-06-11 태양환경개발 주식회사 바닥분수용 안전노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165Y1 (ko) * 2008-05-20 2010-09-08 물춤워터아트(주) 분수용 안전노즐
KR100998629B1 (ko) * 2008-06-20 2010-12-07 물춤워터아트(주) 바닥분수용 노즐
KR20100124074A (ko) * 2009-05-18 2010-11-26 명인조경(주) 분수용 안전노즐장치
KR101180306B1 (ko) * 2010-05-04 2012-09-10 최종필 분수용 안전노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456B1 (ko) 2006-03-24 2007-04-18 물춤워터아트(주) 분수용 안전노즐
KR100832752B1 (ko) 2007-03-22 2008-05-27 물춤워터아트(주) 분수용 안전노즐
KR200440367Y1 (ko) 2007-04-10 2008-06-10 물춤워터아트(주) 분수용 안전노즐
KR100979528B1 (ko) 2009-03-05 2010-09-06 주식회사 한길개발 링크 개폐 방식의 분수용 안전노즐
KR101215767B1 (ko) 2011-10-28 2012-12-26 정상희 크랭크를 이용한 수평개폐식 안전노즐
KR102165251B1 (ko) * 2020-06-02 2020-10-13 주식회사 서일워터플랜 분수용 안전노즐
KR102262590B1 (ko) * 2020-07-15 2021-06-11 태양환경개발 주식회사 바닥분수용 안전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339A (ko) 202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5251B1 (ko) 분수용 안전노즐
KR101728880B1 (ko) 분수용 개폐형 노즐 장치
KR102627998B1 (ko) 자동개폐 기능을 갖는 분수용 안전 노즐 장치
WO2008115038A1 (en) Safety nozzle for fountain
KR101010903B1 (ko) 바닥 분수대용 노즐조립체
EP3753862A1 (en) Child-resistant disk-top closure and locking system for a container
KR102262590B1 (ko) 바닥분수용 안전노즐
KR100979528B1 (ko) 링크 개폐 방식의 분수용 안전노즐
KR100613225B1 (ko) 병 마개
KR101215767B1 (ko) 크랭크를 이용한 수평개폐식 안전노즐
KR200433607Y1 (ko) 자동개폐 립스틱용기
JP2014014465A (ja) 圧力調理器
KR102607067B1 (ko) 회전 분사 기능을 갖는 바닥 분수용 안전 노즐 조립체 및 이에 이용되는 회전식 노즐
KR102648578B1 (ko) 바닥 분수용 경사각 분사 안전노즐 조립체
KR102496853B1 (ko) 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분수용 안전 노즐 조립체
RU2180311C1 (ru) Защитная пробка
WO2017038206A1 (ja) 排水栓装置
KR200409955Y1 (ko) 샤워부스 문
WO2017186233A1 (de) Trinkflaschenverschluss für eine trinkflasche
KR200349573Y1 (ko) 비데용 조작부의 방수구조
RU104203U1 (ru) Крышка люка с запор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и плита крышки люка
KR102473343B1 (ko) 호스릴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다목적 소방시스템
KR20200071252A (ko) 세면대 팝업 밸브
KR200407579Y1 (ko) 바닥 분수대
JP2011136722A (ja) 液体噴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