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2752B1 - 분수용 안전노즐 - Google Patents

분수용 안전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2752B1
KR100832752B1 KR1020070028142A KR20070028142A KR100832752B1 KR 100832752 B1 KR100832752 B1 KR 100832752B1 KR 1020070028142 A KR1020070028142 A KR 1020070028142A KR 20070028142 A KR20070028142 A KR 20070028142A KR 100832752 B1 KR100832752 B1 KR 100832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opening
fountain
closing
low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8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건수
이중재
Original Assignee
물춤워터아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물춤워터아트(주) filed Critical 물춤워터아트(주)
Priority to KR1020070028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2752B1/ko
Priority to PCT/KR2008/001630 priority patent/WO200811503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 B05B15/656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whereby the flow conduit length is chang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2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14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ntrolling structural damage to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e.g. for breaking at desired places; Arrangements for handling or replacing damaged parts
    • B05B15/1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ntrolling structural damage to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e.g. for breaking at desired places; Arrangements for handling or replacing damaged parts for preventing non-intended contact between spray heads or nozzles and foreign bodies, e.g. nozzle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8Fountains

Landscapes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승하는 노즐에 의해 개폐부를 상부케이스 내부로 개폐시킴으로써, 안전성과 분수의 아름다움을 극대화시킨 분수용 안전노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수용 안전노즐은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관통하여 상승하강하는 노즐을 구비한 분수용 안전노즐에 있어서, 상기 노즐이 관통하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주위에 형성되고, 상기 노즐이 상승할 때에 수평 일측을 밀어올려 상기 하부케이스의 일측에 연결된 꺾인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상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 상기 유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개폐부를 안내하는 안내부; 및 상기 노즐의 상승하강에 의해 이동 또는 회전하여 상기 개폐부에 대한 지지 여부를 정하는 잠금부를 포함한다.
노즐, 유출구, 개폐부, 연결부, 안내부, 잠금부

Description

분수용 안전노즐{Safety nozzle for fountain}
도 1a는 본 발명의 분수용 안전노즐의 분해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반대편에서 바라본 분수용 안전노즐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수용 안전노즐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분수용 안전노즐의 상부케이스가 제거된 사용상태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분수용 안전노즐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노즐 11: 돌기
20: 상부케이스 21: 유출구
30: 하부케이스 32: 안내부
40: 고정부 42: 돌출부
43: 연결부 44: 개폐부
50: 연결관 51: 제1걸림턱
52: 제2걸림턱 60: 잠금부
70: 안개노즐 71: 분사구
본 발명은 분수용 안전노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면서 폐쇄되어 있으며, 분수 작동시에 그 수압에 의해 노즐이 상승하여 개폐부는 내부로 개방되게 하고 노즐의 끝단이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거나 약간 돌출되게 분수 작동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함과 동시에 바닥면을 활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최근에는 분수를 여러 개 설치하고 음악에 맞추어 각각의 분수가 음성신호에 따라 개별적으로 작동되게 하여 마치 춤을 추는 듯한 광경을 연출하는 음악분수가 등장하여 각광을 받고 있으며, 바닥에 다양한 패턴으로 분수를 설치하여 어린이 또는 연인들에게 뛰놀면서 분수를 통해 뿜어져 나오는 물줄기를 직접 맞을 수 있게 하여 온몸으로 분수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등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하여 본 출원인은 등록실용신안 제20-263793호에서 평상시에는 바닥면과 수평한 상태로 개폐부를 유지하다가 분수 작동시 개폐부가 바닥면 상부로 노출되는 분수용 안전노즐을 개시한 바 있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시도들도 있었다.
그러나 그런 시도 중의 하나인 특허출원 제2004-93278호는 케이스 내의 물의 흐름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수압도 상당히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분수관이 상부케이스 내부로 하강하게 되고 분수관의 상부에 개폐부가 위치하게 되므로, 분수관을 통해 뿜어져 나오는 물이 개폐부나 상부케이스의 출구에 부딪히게 된다. 그러면 분수를 통해 뿜어져 나온 물줄기가 깨어져 분수가 아름답지 않을 뿐만 아니라 원하는 분수의 형상을 만들 수도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상승하는 노즐에 의해 개폐부를 상부케이스 내부로 개폐시킴으로써, 안전성과 분수의 아름다움을 극대화시킨 분수용 안전노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분수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에는 외부에서 개폐부를 누르더라도 개폐부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분수용 안전노즐은,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관통하여 상승하강하는 노즐을 구비한 분수용 안전노즐에 있어서, 상기 노즐이 관통하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주위에 형성되고, 상기 노즐이 상승할 때에 수평 일측을 밀어올려 상기 하부케이스의 일측에 연결된 꺾인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상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 상기 유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개폐부를 안내하는 안내부; 및 상기 노즐의 상승하강에 의해 이동 또는 회전하여 상기 개폐부에 대한 지지 여부를 정하는 잠금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수용 안전노즐은 도 1a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20)와 하부케이스(30)를 관통하여 상승하강하는 노즐(10)과, 상승하는 노즐(10)이 수평 일측을 밀어올려 하부케이스(30)의 일측에 연결된 꺾인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연결부(43)와, 연결부(43)에 연결되어 유출구(21)를 개폐하는 개폐부(44)와, 개폐부(44)를 안내하는 안내부(32), 및 개폐부(44)의 지지 여부를 정하는 잠금부(60)를 포함한다.
하부케이스(30)는, 관통홀(31)이 형성된 고정부(40)와; 상기 고정부(40)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노즐(10)이 위치하는 연결관(50)을 포함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고정부(40)의 관통홀(31) 하단에 제1걸림턱(51)을 형성하고, 고정부(40)의 하단에 연결관(50)을 나사결합으로 연결하며, 연결관(50)의 내부에 제2걸림턱(52)을 형성하여 돌기(11)가 형성된 노즐(10)이 제1 및 제2걸림턱(51,52) 사이에서 상승하강하도록 한다.
원통형의 상부케이스(20)의 중앙에는 유출구(21)가 형성되고, 상부케이스(20)의 내면 하단에는 나사골을 형성하고 하부케이스(30)의 외면 상단에는 나사 산을 형성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하부케이스(30)에 상부케이스(20)를 끼운 후에 별도의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노즐(10)에 돌기(11)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는 노즐(10)의 상부 끝단의 일부가 유출구(21)가 형성된 상부케이스(20)에 걸리도록 하고, 노즐(10)의 하부 끝단이 제2걸림턱(52)에 걸리도록 할 수도 있다.
하부케이스(30)는 고정부(40)와 연결관(50)을 포함하는데, 일체로 형성하거나 고정부(40)의 내면 하단에는 나사골을 형성하고 연결관(50)의 외면 상단에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일체로 형성된 경우에는, 제1걸림턱(51)이 형성된 하부케이스(30)에 돌기가 형성된 노즐(10)을 삽입하고, 제2걸림턱(52)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물 공급관(미도시)의 외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하부케이스(30)의 내면 하단에 나사골을 형성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정부(40)와 연결관(50)이 나사결합된 경우에는 노즐(10)을 제2걸림턱(52)이 형성된 연결관(50)에 먼저 삽입하고, 연결관(50)을 내면에 제1걸림턱(51)이 형성된 고정부(40)에 끼우게 된다.
노즐(10)이 관통하는 하부케이스(30)의 주위 일측에 꺾인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연결부(43)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40)의 상면에 노즐(10)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홀(31)을 형성하고, 관통홀(31) 주위에 돌출부(42)를 형성하며, 돌출부(42)는 “ㄴ”자 형상의 연결부(43)의 꺾인 부분과 링크결합되고, 연결부(43)의 상부 일측은 개폐부(44)와 링크결합된다. 이때, 돌출부(42), 연결부(43), 개폐부(44)를 각각 하나씩 형성할 수 있으나, 좌우 대칭을 위해 고정 부(4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마주보도록 각각 한 쌍씩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개폐부(44)가 유출구(21)를 정확하게 개폐하도록 하기 위하여 개폐부(44)를 안내하는 안내부(32)가 고정부(40)의 상면 일측에 구비된다. 이때, 안내부(32)의 외형은 개폐부(44)의 작동 괘적에 따르게 된다. 만약 안내부(32)가 개폐부(44)의 끝단을 지지하면서 안내하지 않는다면, 개폐부(44)의 자중에 의해 개폐부(44)의 끝단이 연결부(43)의 수평 일측과 항상 맞닿아 있게 되므로 개폐부(44)가 유출구를 정확하게 개폐할 수 없게 될 것이다.
노즐(10)은 외면에 돌기(11)가 형성되어 제1걸림턱(51)과 제2걸림턱(52)사이를 왕복하게 된다. 이때, 노즐(10)의 상부 끝단을 테이퍼 가공하여 연결부(43)의 수평 일측을 부드럽게 밀어올리게 하고, 노즐(10)의 내경을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할 수도 있다.
노즐(10)이 관통하는 하부케이스(30)의 주위 일측에 노즐(10)의 상승하강에 의해 이동 또는 회전하여 개폐부(44)에 대한 지지 여부를 정하는 잠금부(60)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관통홀(31) 주위의 고정부(40)의 상면에 돌출부(42)를 형성하고, 돌출부(42)에는 잠금부(60)의 일측이 링크결합되어 있어 상승하는 노즐(10)에 의해 잠금부(60)는 개폐부(44)의 하부에서 빠지게 되며, 노즐(10)이 하강할 때에 자중에 의해 회전한 잠금부(60)는 다시 개폐부(44)의 하부에 위치하여 개폐부(44)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잠금부(60)의 무게중심이 노즐(10) 쪽으로 치우치게 하여 자중에 의해 잠금부(60)가 원위치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노즐(10)이 하강할 때에 자중에 의한 연결부(43)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연결부(43)의 수평 끝단에 중심추(45)를 구비하여 무게중심을 한쪽으로 치우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심추(45)를 더 크게 하기 위하여 고정부(40)의 상면에 중심홀(46)을 형성하여 중심추(45)를 중심홀(46)에 안착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노즐(10)의 상부 끝단에는 안개노즐(70)을 형성하여 분사되는 물이 안개처럼 분무되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개노즐(70)의 분사구(71)의 직경은 굉장히 작아서 이물질에 의해 쉽게 막힐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분수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개폐부(44)를 통해 분사구(7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분사구(71)의 하부에는 노즐(10)을 통과하는 물이 나선형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외주연에 나선형 홈(73)이 형성된 나선체(72)가 형성되고, 상기 나선체(72)를 통과하면서 물은 회전하여 좁은 분사구(71)를 통해 안개처럼 분사되는 것이다. 물을 안개처럼 분사할 수 있는 안개노즐(70)이라면 어떤 형상의 변형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수용 안전노즐의 기능 및 작용을 도 3a 및 도 3b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분수용 안전노즐은 평상시에는 상부케이스(20)의 유출구(21)가 개폐부(44)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므로 상부케이스(20)를 바닥면과 수평으로 설치하게 되면, 모든 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이러한 바닥에서 뛰거나 하 여도 걸려 넘어지거나 하는 위험이 전혀 없다.
이러한 분수용 안전노즐을 동작시킬 때에는 먼저 노즐(10)로 소정의 압력을 가진 물이 유입되고, 돌기(11)에 의해 제2걸림턱(52)에 놓여져 있는 노즐(10)이 수압에 의해 상승하게 되며, 노즐(10)이 잠금부(60)를 회전시켜 잠금부(60)가 더 이상 개폐부(44)를 지지하지 못하도록 한 후에 노즐(10)이 연결부(43)의 수평 일측을 밀어올리게 된다. 이때, ㄴ자 형상의 연결부(43)가 링크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연결부(43)의 상부 일측과 링크결합된 개폐부(44)는 안내부(32)에 의해 지지되면서 개폐되기 시작한다.
돌기(11)가 제1걸림턱(51)에 걸릴 때까지 노즐(10)은 상승하게 되고, 안내부(32)를 벗어난 개폐부(44)의 끝단은 연결부(43)의 수평 끝단에 안착하면서 상부케이스(20)의 내부로 개폐부(44)가 열리게 된다. 이때, 노즐(10)의 끝단이 상부케이스(20)의 상면보다 조금 돌출되거나 상부케이스(20)의 상면과 수평이 되므로, 분수 작동시에 분수용 안전노즐이 설치된 바닥에서 뛰어놀더라도 안전사고의 염려가 전혀 없게 된다. 또한, 노즐(10)의 끝단이 상부케이스(20)의 상면보다 조금 돌출된 경우라도 분수이용자가 이를 밟게 되면 노즐(10)은 하강하게 된다.
한편, 물 유입을 중단하게 되면, 노즐(10)에 가해진 수압이 해제되어 노즐(10)이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게 되고, 연결부(43)가 회전하면서 개폐부(44)의 끝단은 안내부(32)에 얹히게 되며, 개폐부(44)는 유출구(21)를 닫게 된다. 이때, 연결부(43)의 수평 끝단에 중심추(45)를 더 구비하게 되면, 자중이 더 커져서 개폐부(44)를 더 원활하게 닫을 수 있다.
또한, 유출구(21)를 닫은 개폐부(44)의 하부에는 자중에 의해 회전된 잠금부(60)가 원위치하게 되어 개폐부(44)를 지지한다. 분수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에는 잠금부(60)가 항상 개폐부(44)를 지지하고 있어 어린아이가 호기심에 개폐부(44)를 누르더라도 개폐부(44)는 전혀 열리지 않으므로, 노즐(10)이나 유출구(21)에 어린아이의 손가락이 끼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분수용 안전 노즐은, 분수가 작동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노즐의 보호가 개폐부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바닥면을 안정적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반면에 분수 작동시에도 노즐이나 개폐부가 지상으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지상으로 돌출시 개폐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수 작동 중 지상에서 활동하는 분수이용자들이 노즐에 의하여 부상당할 위험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노즐이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거나 조금 돌출되므로 분수를 통해 뿜어져 나온 물이 개폐부 등에 의해 방해받지 않아서 분수의 아름다움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사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잠금부가 항상 개폐부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개폐부가 열림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관통하여 상승하강하는 노즐을 구비한 분수용 안전노즐에 있어서,
    상기 노즐이 관통하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주위에 형성되고, 상기 노즐이 상승할 때에 수평 일측을 밀어올려 상기 하부케이스의 일측에 연결된 꺾인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상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
    상기 유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개폐부를 안내하는 안내부; 및
    상기 노즐의 상승하강에 의해 이동 또는 회전하여 상기 개폐부에 대한 지지 여부를 정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용 안전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는,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노즐이 위치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용 안전노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이 하강할 때, 상기 연결부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의 수평 끝단에 중심추가 구비되거나, 상기 잠금부의 무게중심이 상기 노즐 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자중에 의해 상기 잠금부가 원위치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용 안전노즐.
  4.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관통하여 상승하강하는 노즐을 구비한 분수용 안전노즐에 있어서,
    상기 노즐이 관통하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주위에 형성되고, 상기 노즐이 상승할 때에 수평 일측을 밀어올려 상기 하부케이스의 일측에 연결된 꺾인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상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
    상기 유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개폐부를 안내하는 안내부; 및
    상기 노즐의 상부 끝단에 형성되어 안개처럼 분무하는 안개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용 안전노즐.
KR1020070028142A 2007-03-22 2007-03-22 분수용 안전노즐 KR100832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142A KR100832752B1 (ko) 2007-03-22 2007-03-22 분수용 안전노즐
PCT/KR2008/001630 WO2008115038A1 (en) 2007-03-22 2008-03-22 Safety nozzle for fount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142A KR100832752B1 (ko) 2007-03-22 2007-03-22 분수용 안전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2752B1 true KR100832752B1 (ko) 2008-05-27

Family

ID=39665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8142A KR100832752B1 (ko) 2007-03-22 2007-03-22 분수용 안전노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32752B1 (ko)
WO (1) WO2008115038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165Y1 (ko) * 2008-05-20 2010-09-08 물춤워터아트(주) 분수용 안전노즐
KR100985941B1 (ko) 2010-04-07 2010-10-06 주식회사 협신그린워터 엘이디 수중노즐
KR100998629B1 (ko) * 2008-06-20 2010-12-07 물춤워터아트(주) 바닥분수용 노즐
KR101010903B1 (ko) * 2008-08-21 2011-01-25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바닥 분수대용 노즐조립체
KR101073004B1 (ko) 2009-07-23 2011-10-12 경원조경주식회사 분수용 안전노즐
KR20160019325A (ko) 2014-08-11 2016-02-19 이태봉 수평분사식 분수노즐
KR102165251B1 (ko) * 2020-06-02 2020-10-13 주식회사 서일워터플랜 분수용 안전노즐
KR20220149058A (ko) * 2021-04-30 2022-11-08 디자인그룹 빅 주식회사 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분수용 안전 노즐 조립체
KR102481678B1 (ko) 2021-07-16 2023-01-09 태양환경개발 주식회사 오염방지 분수노즐
KR20230119339A (ko) * 2022-02-07 2023-08-16 남순관 자동개폐 기능을 갖는 분수용 안전 노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7211A (ko) * 2004-11-15 2005-01-17 플러스파운틴(주) 분수용 안전 노즐
KR200388161Y1 (ko) 2005-04-14 2005-06-29 거성에이티엘(주) 분수용 안전 노즐
KR200398368Y1 (ko) 2005-08-03 2005-10-12 이은길 분수용 안전노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0556U (ja) * 1992-01-17 1993-08-10 株式会社クボタ 間欠型噴水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7211A (ko) * 2004-11-15 2005-01-17 플러스파운틴(주) 분수용 안전 노즐
KR200388161Y1 (ko) 2005-04-14 2005-06-29 거성에이티엘(주) 분수용 안전 노즐
KR200398368Y1 (ko) 2005-08-03 2005-10-12 이은길 분수용 안전노즐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165Y1 (ko) * 2008-05-20 2010-09-08 물춤워터아트(주) 분수용 안전노즐
KR100998629B1 (ko) * 2008-06-20 2010-12-07 물춤워터아트(주) 바닥분수용 노즐
KR101010903B1 (ko) * 2008-08-21 2011-01-25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바닥 분수대용 노즐조립체
KR101073004B1 (ko) 2009-07-23 2011-10-12 경원조경주식회사 분수용 안전노즐
KR100985941B1 (ko) 2010-04-07 2010-10-06 주식회사 협신그린워터 엘이디 수중노즐
KR20160019325A (ko) 2014-08-11 2016-02-19 이태봉 수평분사식 분수노즐
KR102165251B1 (ko) * 2020-06-02 2020-10-13 주식회사 서일워터플랜 분수용 안전노즐
KR20220149058A (ko) * 2021-04-30 2022-11-08 디자인그룹 빅 주식회사 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분수용 안전 노즐 조립체
KR102496853B1 (ko) 2021-04-30 2023-02-07 디자인그룹 빅 주식회사 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분수용 안전 노즐 조립체
KR102481678B1 (ko) 2021-07-16 2023-01-09 태양환경개발 주식회사 오염방지 분수노즐
KR20230119339A (ko) * 2022-02-07 2023-08-16 남순관 자동개폐 기능을 갖는 분수용 안전 노즐 장치
KR102627998B1 (ko) 2022-02-07 2024-01-23 남순관 자동개폐 기능을 갖는 분수용 안전 노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15038A1 (en) 200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2752B1 (ko) 분수용 안전노즐
CN105498997B (zh) 具有自动止水和自清洁功能的花洒
KR200450165Y1 (ko) 분수용 안전노즐
KR100708456B1 (ko) 분수용 안전노즐
US20160263414A1 (en) Horizontal bar hook
JP2020509868A (ja) 口腔剤との併用のための口腔洗浄器ハンドル
KR100998629B1 (ko) 바닥분수용 노즐
JPS58500894A (ja) 分配型キヤツプ封鎖装置
BRPI0719101A2 (pt) Sprinkler oculto
KR200440367Y1 (ko) 분수용 안전노즐
KR100610817B1 (ko) 분수용 안전 노즐
US20050167520A1 (en) Method for cleaning pool surface
KR102262590B1 (ko) 바닥분수용 안전노즐
JP4871937B2 (ja) 美顔器
KR100824221B1 (ko) 자동식 소화노즐
CN205712429U (zh) 快速排水的防臭地漏
KR100946781B1 (ko) 분수용 노즐
KR100914014B1 (ko) 분수 노즐용 개폐장치
KR20220034649A (ko) 역류 방지를 위한 비눗방울 놀이 장치
KR101426326B1 (ko) 수도꼭지 연장탭
KR100873282B1 (ko) 변좌커버 자립 구조를 갖는 비데
KR200433909Y1 (ko) 도어 스토퍼
KR200377235Y1 (ko) 분수용 안전 노즐
CN207492628U (zh) 出水组件及饮水机
KR101121553B1 (ko) 분수 노즐용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