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251B1 - 분수용 안전노즐 - Google Patents

분수용 안전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251B1
KR102165251B1 KR1020200066336A KR20200066336A KR102165251B1 KR 102165251 B1 KR102165251 B1 KR 102165251B1 KR 1020200066336 A KR1020200066336 A KR 1020200066336A KR 20200066336 A KR20200066336 A KR 20200066336A KR 102165251 B1 KR102165251 B1 KR 102165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opening
fountain
safety
clo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갑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일워터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일워터플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일워터플랜
Priority to KR1020200066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2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14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ntrolling structural damage to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e.g. for breaking at desired places; Arrangements for handling or replacing damag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8Fountains

Landscapes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공급관과 연결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삽입되어 수압에 따라 하강된 제1위치와 상승된 제2위치 사이에서 승강하도록 구성되는 노즐;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덮개; 상기 몸체의 상부에 상호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노즐의 승강에 대응하여 회전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제1개폐유닛과 제2개폐유닛; 및 상기 노즐의 외주에서 돌출되어, 상기 노즐과 함께 이동하는 고정핀을 구비하며, 상기 제1개폐유닛과 제2개폐유닛에는 상기 노즐이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에 걸림되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노즐이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상승함에 따라 상기 걸림홈을 벗어나도록 형성되는 분수용 안전노즐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분수용 안전노즐{SAFETY NOZZLE FOR FOUNTAIN}
본 발명은 분수용 안전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덮개의 개구가 가려진 상태로 유지되다가 분수 작동시에는 개구를 통해 노즐이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노즐의 파손과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는 분수용 안전노즐에 관한 것이다.
바닥 분수는 노즐을 통해 강한 수압의 물을 공중으로 뿜어 뿌려지도록 매립 설치되는 인공설비이다. 바닥 분수는 물놀이 시설, 공원, 행사장 등에 주로 설치되어, 환상적인 수광경을 연출하여 사람들의 시선을 집중시킴과 동시에, 시각적으로 시원함을 제공하고, 특히 더울 때에는 물놀이를 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바닥 분수에는 노즐의 파손과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는 안전노즐이 적용된다. 안전노즐은 평상시에는 덮개의 개구가 가려져 노즐로 이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이용자의 신체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고, 분수 작동시에는 개구를 통해 노즐이 노출되어 물 분사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기존의 분수용 안전노즐은 노즐의 승강에 대응하여 덮개의 개구를 가리는 구조가 복잡하게 구성되어, 여러 번 작동이 이루어진 후에 해당 구조가 파손되거나, 개구의 정확한 개폐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노즐이 하강된 상태에서 덮개의 개구가 가려진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보다 심플한 구조의 분수용 안전노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 공급관과 연결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삽입되어 수압에 따라 하강된 제1위치와 상승된 제2위치 사이에서 승강하도록 구성되는 노즐;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덮개; 상기 몸체의 상부에 상호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노즐의 승강에 대응하여 회전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제1개폐유닛과 제2개폐유닛; 및 상기 노즐의 외주에서 돌출되어, 상기 노즐과 함께 이동하는 고정핀을 구비하며, 상기 제1개폐유닛과 제2개폐유닛에는 상기 노즐이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에 걸림되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노즐이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상승함에 따라 상기 걸림홈을 벗어나도록 형성되는 분수용 안전노즐을 개시한다.
상기 고정핀은 상기 노즐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노즐의 양측에서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노즐이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가이드홈과 상기 걸림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노즐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가이드홈 또는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어 하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개폐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에 장착되는 회전축에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회전축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개폐유닛과 상기 제2개폐유닛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에 장착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걸림홈을 구비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가림부; 및 상기 연결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무게추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림부와 상기 무게추부는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노즐이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개폐유닛의 상기 걸림홈은 상기 회전축의 상측에 상방을 향하여 개구된 형태로 정렬된다.
상기 가림부는, 상기 노즐이 상승하면 상기 노즐에 의해 가압 회전되어 상기 노즐의 양측으로 배치되었다가, 상기 노즐이 하강하면 상기 무게추부의 자중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노즐의 상측을 덮도록 배치된다.
상기 노즐에 의한 가압시에 상기 가림부가 외측으로 밀려나도록, 상기 노즐과 대향하는 상기 가림부의 내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게추부는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몸체의 상부로부터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해결수단을 통해 얻게 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노즐이 하강된 상태에서 노즐의 외주에서 돌출된 고정핀이 제1 및 제2개폐유닛의 걸림홈에 걸림되도록 구성되므로, 제1 및 제2개폐유닛의 회전이 방지되어, 덮개의 개구가 가려진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특히, 고정핀이 노즐에 직접 장착되어 노즐과 함께 승강하도록 구성되므로, 노즐의 승강에 메커니즘적으로 연동된 추가 고정부재를 이용한 다른 구조 대비, 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고정핀이 걸림홈(또는 가이드홈)에 걸림되어 하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기존의 노즐의 하강 위치를 제한하기 위하여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었던 걸림턱이 제거되어, 보다 심플한 구조의 분수용 안전노즐이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수용 안전노즐의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수용 안전노즐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분수용 안전노즐에서 상부케이스를 제거하여 구동과정을 보인 개념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분수용 안전노즐의 구동과정을 보인 단면도.
이하, 분수용 안전노즐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수용 안전노즐(100)의 개념도이다.
(a)는 분수가 작동되지 않는 평상시에 분수용 안전노즐(100)의 모습을 보인 것으로서, 덮개(130)의 개구(130a)가 제1 및 제2개폐유닛(160, 170)에 의해 가려져 노즐(120)의 파손과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b)는 분수 작동시에 분수용 안전노즐(100)의 모습을 보인 것으로서, 개구(130a)를 통해 노즐(120)이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노즐(120)의 단부에는 물이 분사되는 분사구(120a)가 형성된다.
노즐(120)의 단부는 덮개(130)의 개구(130a)에 삽입될 수 있으며, 개구(130a)를 통해 노출된 노즐(120)의 상단은 덮개(130)의 상면보다 조금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노즐(120)의 상단이 덮개(130)의 상면보다 조금 돌출된 경우라도, 분수 이용자가 밟아 가압되면 노즐(120)은 수압을 이기고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또는, 개구(130a)를 통해 노출된 노즐(120)의 상단은 덮개(130)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의해, 분수 이용자가 분수용 안전노즐(100)이 설치된 바닥에서 뛰어놀더라도 노즐(120)의 파손과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수용 안전노즐(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분수용 안전노즐(100)은 몸체(110), 노즐(120), 덮개(130), 제1지지부(140), 제2지지부(150), 제1개폐유닛(160), 제2개폐유닛(170) 및 고정핀(180)을 포함한다.
몸체(110)는 물 공급관(미도시)과 연결된다. 몸체(110)에는 노즐가이드(110a)가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노즐가이드(110a)는 물 공급관과 연통된다. 본 도면에서는, 노즐가이드(110a)가 몸체(110)의 중앙부분에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몸체(110)는 복수의 피스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몸체(110)가 하부몸체(111), 상부몸체(112) 및 링부재(113)를 포함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
하부몸체(111)는 물 공급관과 연결된다.
상부몸체(112)는 하부몸체(111)에 결합되며, 제1지지부(140)와 제2지지부(150)가 장착되는 공간을 마련한다. 상부몸체(112)에는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배수홀(112a)이 구비된다. 덮개(130)는 상부몸체(112)에 결합될 수 있다.
노즐가이드(110a)는 하부몸체(111)와 상부몸체(112)에 걸쳐 형성된다.
링부재(113)는 상부몸체(112)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링부재(113)는 상부몸체(112)에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노즐(120)은 몸체(110)에 삽입되어, 물 공급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수압에 따라 승강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공급되는 수압이 제1수압 이하인 경우 노즐(120)은 하강된 제1위치에 위치하고, 공급되는 수압이 점차 증가되어 제2수압에 다다르면 노즐(120)은 상승된 제2위치에 위치한다. 공급되는 수압이 제1수압 초과 제2수압 미만인 경우, 노즐(120)은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 위치한다.
즉, 노즐(120)은 하강된 제1위치와 상승된 제2위치 사이에서 승강하도록 구성된다.
제1위치는 후술하는 고정핀(180)이 걸림홈(161a", 161b" / 171a") 또는 가이드홈(142b, 152b)에 걸림되는 위치가 될 수 있다. 제2위치는 노즐(120)의 외주에서 돌출된 부분(121)이 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걸림턱(112b)에 걸림되는 위치가 될 수 있다.
덮개(130)는 몸체(110)의 상부를 덮도록 몸체(110)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체결부재(미도시)가 덮개(130)의 외주를 관통하여 상부몸체(112)의 측면에 체결될 수 있다.
덮개(130)의 중앙부분에는 개구(130a)가 형성된다. 덮개(130)가 몸체(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개구(130a)는 노즐(120)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된다.
제1지지부(140)와 제2지지부(150)는 몸체(110)의 상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상호 마주하도록 설치된다. 제1지지부(140)와 제2지지부(150)는 후술하는 제1개폐유닛(160)과 제2개폐유닛(17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본 도면에서는, 제1지지부(140)와 제2지지부(150)가 'ㄴ'자 형태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1지지부(140)와 제2지지부(150)는, 몸체(110)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부분(141, 151)과, 제1부분(141, 151)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진 형태로 연장되고 홀(142a, 152a)을 구비하는 제2부분(142, 152)을 포함한다. 참고로, 회전축(190)은 제1 및 제2개폐유닛(160, 170)을 관통하여 홀(142a, 152a)에 삽입 고정된다.
제1 및 제2지지부(140, 150) 중 적어도 하나에는 홀(142a, 142b)의 상측에 상방으로 개구된 형태를 가지는 가이드홈(142b, 152b)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및 제2지지부(140, 150)에 가이드홈(142b, 152b)이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가이드홈(142b, 152b)은 노즐(120)이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개폐유닛(160, 170)의 걸림홈(161a", 161b" / 171a")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어, 고정핀(180)이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1개폐유닛(160)과 제2개폐유닛(170)은 제1지지부(140)와 제2지지부(15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도면에서는, 제1개폐유닛(160)이 제1지지부(140)와 제2지지부(150) 사이에 배치되며, 제1개폐유닛(160)의 양측이 제1지지부(140)와 2지지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
제1 및 제2개폐유닛(160, 170)은 제1 및 제2지지부(140, 150)에 장착되는 회전축(190)에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제1 및 제2개폐유닛(160, 170)은 회전축(190)을 공유한다.
제1개폐유닛(160)과 제2개폐유닛(170)은 노즐(120)의 승강에 대응하여 회전되어 개구(130a)를 개폐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노즐(120)이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개폐유닛(160)과 제2개폐유닛(170)은 개구(130a)를 가리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노즐(120)은 개구(130a)를 통해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노즐(120)이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개폐유닛(160)과 제2개폐유닛(170)은 개구(130a)를 개방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노즐(120)이 개구(130a)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노즐(120)의 상승에 따라, 제1개폐유닛(160)과 제2개폐유닛(170)은 회전축(190)을 지나는 몸체(110)의 상부에 수직한 면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된 형태로 회전된다. 즉, 노즐(120)이 상승되면, 제1개폐유닛(16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개폐유닛(17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제1개폐유닛(160)과 제2개폐유닛(170) 각각은 연결부(161, 171), 가림부(162, 172) 및 무게추부(163, 173)를 구비한다.
연결부(161, 171)는 제1 및 제2지지부(140, 150)에 장착되는 회전축(19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연결부(161, 171)는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제1 및 제2지지부(140, 15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피스(161a, 161b / 171a, 171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 두 피스(161a, 161b / 171a, 171b)는 가림부(162, 172)와 무게추부(163, 173)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61, 171)에는 회전축(190)이 관통하는 관통홀(161a', 161b' / 171a')이 구비된다.
연결부(161, 171)에는 노즐(120)이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핀(180)에 걸림되는 걸림홈(161a", 161b" / 171a")이 구비된다. 제1개폐유닛(160)의 걸림홈(161a", 161b" / 171a")과 제2개폐유닛(170)의 걸림홈(161a", 161b" / 171a")은 노즐(120)이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노즐(120)의 반경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개폐유닛(160)의 걸림홈(161a", 161b")과 제2개폐유닛(170)의 걸림홈(171a")은 노즐(120)이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서로 최대로 이격되며, 노즐(120)이 하강함에 따라 점차 가까워지다가, 노즐(120)이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고정핀(18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노즐(120)의 반경 방향으로 오버랩된다. 노즐(120)이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개폐유닛(160, 170)의 걸림홈(161a", 161b" / 171a")은 회전축(190)의 상측에 상방을 향하여 개구된 형태로 정렬된다.
한편, 제1 또는 제2지지부(150) 중 적어도 하나에 가이드홈(142b, 152b)이 형성될 경우, 상기 가이드홈(142b, 152b)은 노즐(120)이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개폐유닛(160, 170)의 걸림홈(161a", 161b" / 171a")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노즐(120)이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핀(180)은 가이드홈(142b, 152b)과 걸림홈(161a", 161b" / 171a")에 삽입된다.
노즐(120)은 제1위치에서 걸림홈(161a", 161b" / 171a") 또는 가이드홈(142b, 152b)에 걸림되어 하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의 노즐(120)의 하강 위치를 제한하기 위하여 구비되었던 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었던 걸림턱이 제거될 수 있다.
즉, 제1위치는 고정핀(180)이 걸림홈(161a", 161b" / 171a") 또는 가이드홈(142b, 152b)에 걸림되는 위치가 될 수 있다. 제2위치는 노즐(120)의 외주에서 돌출된 부분(121)이 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걸림턱(112b)에 걸림되는 위치가 될 수 있다.
가림부(162, 172)와 무게추부(163, 173)는 회전축(190)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가림부(162, 172)는 연결부(161, 171)의 일측(도면상 상측)에 위치하고, 개구(130a)를 개폐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개폐유닛(160)의 가림부(162, 172)는 개구(130a)의 일부를 가리도록 형성되고, 제2개폐유닛(170)의 가림부(162, 172)는 개구(130a)의 다른 일부를 가리도록 형성된다. 즉, 제1 및 제2개폐유닛(160, 170)의 가림부(162, 172)는 개구(130a)를 함께 가리도록 배치된다.
노즐(120)이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개폐유닛(160, 170)의 가림부(162, 172)는 노즐(120)의 상측에서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편의상 이 상태를 초기 상태라고 명명한다. 이때, 제1 및 제2개폐유닛(160, 170)의 가림부(162, 172)는 상호 접촉될 수 있다.
노즐(120)이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개폐유닛(160, 170)의 가림부(162, 172)는 노즐(120)에 의해 양측으로 밀려나서 노즐(12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노즐(120)에 의한 가압시에 가림부(162, 172)가 외측으로 밀려나도록, 노즐(120)과 대향하는 가림부(162, 172)의 내측에는 경사면(162a, 172a)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가림부(162, 172)의 내측에 라운드진 형태를 갖는 경사면(162a, 172a)이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무게추부(163, 173)는 연결부(161, 171)의 타측(도면상 하측)에 위치하고, 노즐(120)의 상승에 의해 제1 및 제2개폐유닛(160, 170)이 회전되어 가림부(162, 172)가 서로 멀어지도록 배치되었을 때, 자중에 의한 반대방향 회전을 일으키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노즐(120)이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무게추부(163, 173)는 상면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증가한 들어올려진 상태에 놓인다. 이후, 노즐(120)이 하강하면, 제1 및 제2개폐유닛(160, 170)은 무게추부(163, 173)의 자중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술한 초기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한편, 무게추부(163, 173)가 제1위치에서 몸체(110)의 상부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면, 제1 및 제2개폐유닛(160, 170)이 상술한 초기 상태로 돌아갈 때, 상기 접촉에 의해 제1 및 제2개폐유닛(160, 170)에 큰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무게추부(163, 173)는 제1위치에서 상기 몸체(110)의 상부로부터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제1 및 제2개폐유닛(160, 170)에 직/간접적으로 가해지는 충격이 감소되어 작동 수명이 증가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분수용 안전노즐(100)의 내구성과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개폐유닛(160)의 연결부(161a, 161b) 사이의 공간에 제2개폐유닛(170)의 연결부(171a, 171b)가 배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 즉, 제1개폐유닛(160)의 연결부(161a, 161b)는 제2개폐유닛(170)의 연결부(171a, 171b)를 외측에서 덮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2개폐유닛(170)의 가림부(172)와 무게추부(173)는 제1개폐유닛(160)의 가림부(162)와 무게추부(163)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다.
노즐(120)의 외주에는 고정핀(180)이 돌출 형성되어, 노즐(120)과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노즐(120)의 승강시에 고정핀(180)도 함께 승강하도록 형성된다. 고정핀(180)은 노즐(120)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본 도면에서는, 노즐(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노즐(120)의 양측에 고정핀(180)이 각각 돌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핀(180)은 노즐(120)의 일측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조에 의한 분수용 안전노즐(100)의 메커니즘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분수용 안전노즐(100)에서 상부케이스를 제거하여 구동과정을 보인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분수용 안전노즐(100)의 구동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4에서는 고정핀(180)이 걸림홈(161a", 161b" / 171a")에 삽입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지지부(140, 150)를 생략하였다.
도 3의 (a)와 도 4의 (a)는 노즐(120)이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보인 것으로, 분수가 작동되지 않는 평상시에 해당한다. 이는 도 1의 (a) 상태에 대응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120)이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핀(180)은 걸림홈(161a", 161b" / 171a")에 걸림된다. 이에 따라, 가림부(162, 172)가 노즐(120)의 상측에서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된 상태로 제1 및 제2개폐유닛(160, 170)의 회전이 제한된다. 이때, 가림부(162, 172)는 덮개(130)의 개구(130a)를 가리도록 배치된다.
노즐(120)이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상승함에 따라, 고정핀(180)은 상측으로 이동되어 걸림홈(161a", 161b" / 171a")을 벗어나도록 형성된다. 고정핀(180)이 걸림홈(161a", 161b" / 171a")에서 완전히 벗어나면, 제1 및 제2개폐유닛(160, 170)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노즐(120)의 상단은 경사면(162a, 172a)을 가압하게 되고, 가림부(162, 172)는 노즐(120)의 양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도 3의 (b)와 도 4의 (b)는 노즐(120)이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보인 것으로, 분수가 작동하는 상태에 해당한다. 이는 도 1의 (b) 상태에 대응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120)이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개폐유닛(160, 170)의 가림부(162, 172)는 노즐(12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가림부(162, 172)는 덮개(130)의 개구(130a)를 개방하고, 개방된 개구(130a)를 통해 노즐(120)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후, 수압이 내려가서 노즐(120)이 하강하게 되면, 제1 및 제2개폐유닛(160, 170)은 무게추부(163, 173)의 자중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3의 (a)와 도 4의 (a)에 도시된 초기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Claims (10)

  1. 물 공급관과 연결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삽입되어 수압에 따라 하강된 제1위치와 상승된 제2위치 사이에서 승강하도록 구성되는 노즐;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덮개;
    상기 몸체의 상부에 상호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노즐의 승강에 대응하여 회전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제1개폐유닛과 제2개폐유닛; 및
    상기 노즐의 외주에서 돌출되어, 상기 노즐과 함께 이동하는 고정핀을 구비하며,
    상기 제1개폐유닛과 제2개폐유닛에는 상기 노즐이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에 걸림되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노즐이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상승함에 따라 상기 걸림홈을 벗어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용 안전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노즐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노즐의 양측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용 안전노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노즐이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가이드홈과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용 안전노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가이드홈 또는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어 하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용 안전노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개폐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에 장착되는 회전축에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회전축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용 안전노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유닛과 상기 제2개폐유닛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에 장착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걸림홈을 구비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가림부; 및
    상기 연결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무게추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림부와 상기 무게추부는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용 안전노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이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개폐유닛의 상기 걸림홈은 상기 회전축의 상측에 상방을 향하여 개구된 형태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용 안전노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는, 상기 노즐이 상승하면 상기 노즐에 의해 가압 회전되어 상기 노즐의 양측으로 배치되었다가, 상기 노즐이 하강하면 상기 무게추부의 자중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노즐의 상측을 덮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용 안전노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에 의한 가압시에 상기 가림부가 외측으로 밀려나도록, 상기 노즐과 대향하는 상기 가림부의 내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용 안전노즐.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부는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몸체의 상부로부터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용 안전노즐.
KR1020200066336A 2020-06-02 2020-06-02 분수용 안전노즐 KR102165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336A KR102165251B1 (ko) 2020-06-02 2020-06-02 분수용 안전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336A KR102165251B1 (ko) 2020-06-02 2020-06-02 분수용 안전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251B1 true KR102165251B1 (ko) 2020-10-13

Family

ID=72884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336A KR102165251B1 (ko) 2020-06-02 2020-06-02 분수용 안전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25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46803A (zh) * 2021-07-21 2021-10-26 杭州华艺喷泉设备有限公司 一种气爆喷泉装置
KR20220149058A (ko) 2021-04-30 2022-11-08 디자인그룹 빅 주식회사 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분수용 안전 노즐 조립체
KR20230119339A (ko) * 2022-02-07 2023-08-16 남순관 자동개폐 기능을 갖는 분수용 안전 노즐 장치
KR102607067B1 (ko) 2022-09-27 2023-11-29 디자인그룹 빅 주식회사 회전 분사 기능을 갖는 바닥 분수용 안전 노즐 조립체 및 이에 이용되는 회전식 노즐
KR102648578B1 (ko) 2022-09-27 2024-03-18 디자인그룹 빅 주식회사 바닥 분수용 경사각 분사 안전노즐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752B1 (ko) * 2007-03-22 2008-05-27 물춤워터아트(주) 분수용 안전노즐
KR20090132354A (ko) * 2008-06-20 2009-12-30 물춤워터아트(주) 바닥분수용 노즐
KR100979528B1 (ko) * 2009-03-05 2010-09-06 주식회사 한길개발 링크 개폐 방식의 분수용 안전노즐
KR101215767B1 (ko) * 2011-10-28 2012-12-26 정상희 크랭크를 이용한 수평개폐식 안전노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752B1 (ko) * 2007-03-22 2008-05-27 물춤워터아트(주) 분수용 안전노즐
KR20090132354A (ko) * 2008-06-20 2009-12-30 물춤워터아트(주) 바닥분수용 노즐
KR100979528B1 (ko) * 2009-03-05 2010-09-06 주식회사 한길개발 링크 개폐 방식의 분수용 안전노즐
KR101215767B1 (ko) * 2011-10-28 2012-12-26 정상희 크랭크를 이용한 수평개폐식 안전노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9058A (ko) 2021-04-30 2022-11-08 디자인그룹 빅 주식회사 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분수용 안전 노즐 조립체
KR102496853B1 (ko) * 2021-04-30 2023-02-07 디자인그룹 빅 주식회사 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분수용 안전 노즐 조립체
CN113546803A (zh) * 2021-07-21 2021-10-26 杭州华艺喷泉设备有限公司 一种气爆喷泉装置
KR20230119339A (ko) * 2022-02-07 2023-08-16 남순관 자동개폐 기능을 갖는 분수용 안전 노즐 장치
KR102627998B1 (ko) * 2022-02-07 2024-01-23 남순관 자동개폐 기능을 갖는 분수용 안전 노즐 장치
KR102607067B1 (ko) 2022-09-27 2023-11-29 디자인그룹 빅 주식회사 회전 분사 기능을 갖는 바닥 분수용 안전 노즐 조립체 및 이에 이용되는 회전식 노즐
KR102648578B1 (ko) 2022-09-27 2024-03-18 디자인그룹 빅 주식회사 바닥 분수용 경사각 분사 안전노즐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5251B1 (ko) 분수용 안전노즐
KR100678613B1 (ko) 바닥 분수대
BR102019003662A2 (pt) mecanismo de descarga destinado a ser montado em uma caixa de privada
EP0814204B1 (en) Improved gully top and manhole top for vehicular and pedestrian areas
KR101215767B1 (ko) 크랭크를 이용한 수평개폐식 안전노즐
KR20060038151A (ko) 저수지 비상 방수문의 개폐 안전장치
KR101240285B1 (ko) 부양 기능을 갖는 잠금형 맨홀
KR100983597B1 (ko) 가동보 수문
CN103260769A (zh) 四边形喷洒器装置
KR102554348B1 (ko) 높이 상승 기능을 갖는 투신자살 방지용 안전휀스
KR102211180B1 (ko) 차수문
KR102607067B1 (ko) 회전 분사 기능을 갖는 바닥 분수용 안전 노즐 조립체 및 이에 이용되는 회전식 노즐
KR102627998B1 (ko) 자동개폐 기능을 갖는 분수용 안전 노즐 장치
CN113463967B (zh) 一种电子钥匙控制的配电架空线路水泥杆防攀爬装置
KR102532041B1 (ko) 기능성 경첩
KR102648578B1 (ko) 바닥 분수용 경사각 분사 안전노즐 조립체
KR101121740B1 (ko) 어도형 전도각도의 조절 가능한 전도 수문
KR200422824Y1 (ko) 차량 진입 방지용 지주
CN205348867U (zh) 一种泳池安全扶梯结构
KR200407579Y1 (ko) 바닥 분수대
US1424913A (en) Gate-operating mechanism
KR102021334B1 (ko) 공동주택의 안전기능이 향상된 발코니 난간대
US7765737B2 (en) Gate assembly
KR200182673Y1 (ko) 함체의 도어 고정장치
KR102496853B1 (ko) 자동 개폐 기능을 갖는 분수용 안전 노즐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