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579Y1 - 바닥 분수대 - Google Patents

바닥 분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579Y1
KR200407579Y1 KR2020050032972U KR20050032972U KR200407579Y1 KR 200407579 Y1 KR200407579 Y1 KR 200407579Y1 KR 2020050032972 U KR2020050032972 U KR 2020050032972U KR 20050032972 U KR20050032972 U KR 20050032972U KR 200407579 Y1 KR200407579 Y1 KR 2004075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horizontal support
water
fountain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9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운익
Original Assignee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329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5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5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5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8Foun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2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13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 B05B1/3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with a ball-shaped valve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2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fount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사노즐을 커버링하는 노즐커버를 구비함으로써 이물질의 침투와 이물질로 인한 분사노즐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노즐커버의 개폐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고, 분사노즐과 조명등을 일체로 조립함으로써, 분수대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바닥 분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바닥 분수대는, 바닥에 형성된 설치홈 내에 수평 설치되는 판상의 수평지지대(10)와, 수평지지대의 중심부 저면에 수직 설치되는 중공의 가이드(20)와, 가이드 내에 스프링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탄설되고 상부가 수평지지대의 중심부를 관통하며 하단에는 물이 유입되는 물 유입홀이 형성된 분사노즐(30)과, 수평지지대의 중심부 상면에 좌우로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지지대(50)와, 수직지지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분사노즐을 커버링하는 한 쌍의 노즐커버(60), 및 수평지지대의 상면에 설치되는 조명등(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평지지대, 가이드, 분사노즐, 수직지지대, 노즐커버, 조명등

Description

바닥 분수대{Paving fountai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분수대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 선단면도.
도 3은 도 2 에서 분사노즐이 상승하여 노즐커버가 개폐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분사노즐로 물이 공급되는 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수평지지대의 사시도.
도 6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분사노즐의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 분수대 10 : 수평지지대
11 : 고정부 20 : 가이드
30 : 분사노즐 40 : 스프링
50 : 수직지지대 60 : 노즐커버
70 : 조명등
본 고안은 분수기능과 보행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바닥 분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을 분출하는 분사노즐과 조명등을 일체로 설치하고, 물을 분출하지 않을 때 분사노즐을 커버로 차폐하도록 된 바닥 분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 분수대라함은 건물앞 광장, 호텔이나 건물의 1층 로비 등의 바닥에 설치되어 분수가 동작되지 않은 때에는 보행도로로서 사용되고, 분수가 동작되는 경우에도 인도와 분수의 경계가 특별히 구분되지 않음으로써 자유스러운 심미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형태의 분수를 의미한다.
종래에 시행되어 왔던 바닥 분수대는, 바닥에 형성된 수조의 내부에 분수장치에 필요한 펌프, 및 분사노즐 등을 설치하고, 수조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판석에 분사노즐의 상단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을 형성한 형태가 주를 이루고 있다.
여기에, 분사노즐의 주위에 조명등을 설치하여 다양한 색상을 갖는 물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된 바닥 분수대의 형태도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바닥 분수대는, 수조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판석에 분사노즐의 상단부를 관통시키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관통홀을 통해 이물질이 침투할 염려가 있고 이물질 등으로 인해 분사노즐 등이 파손될 염려가 있다.
또한, 분사노즐의 주위에 설치되는 조명등이 분사노즐과는 별도로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시 분사노즐 등을 설치한 후 조명등을 추가로 설치해야 하므로 바닥분수의 시공이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설치공간이 넓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분사노즐을 커버링하는 노즐커버를 구비함으로써 이물질의 침투와 이물질로 인한 분사노즐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노즐커버의 개폐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바닥 분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분사노즐과 조명등을 일체로 조립함으로써, 분수대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바닥 분수대를 제공하는 목적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바닥 분수대는, 건물앞 광장이나 건물의 1층 로비 등의 바닥에 설치되어 분수가 동작되지 않을 때에는 보행도로로서 사용되는 구성에 있어서, 바닥에 형성된 설치홈 내에 수평 설치되는 판상의 수평지지대와, 수평지지대의 중심부 저면에 수직 설치되는 중공의 가이드와, 가이드 내에 스프링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탄설되고 상부가 수평지지대의 중심부를 관통하며 하단에는 물이 유입되는 물 유입홀이 형성된 분사노즐과, 수평지지대의 중심부 상면에 좌우로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지지대와, 수직지지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분사노즐을 커버링하는 한 쌍의 노즐커버, 및 수평지지대의 상면에 설치되는 조명등을 포함하여, 물이 분사되지 않을 때에는 스프링에 의해 분사노즐이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가이드의 하단을 통해 분사노즐로 고압의 물이 공급되면 물의 압력에 의해 분사노즐이 상승되고, 상승되는 분사노즐에 의해 노즐커버가 개방되도록 이루어진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스프링의 상단은 수평지지대의 저면에 접촉되고 하단은 분사노즐의 외측에 형성된 스프링 안착턱에 안착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물 유입홀의 직경은 분사노즐의 내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노즐커버의 회동범위는 90°미만이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분사노즐로 고압의 물을 공급하는 고압호스는 주름과 형태로 형성되어 가이드의 하단에 연결되며, 고압호스에는 분사되는 물의 양 및 분사강도를 조절하는 볼밸브 및 솔레노이드밸브가 연결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분사노즐의 내부는 방사상의 격벽에 의해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획되어 물이 균일하게 상승되도록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닥 분수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분수대(1)는, 바닥에 형성된 설치홈(2) 내에 수평 설치되는 수평지지대(10)와, 수평지지대(10)의 중심부 저면에 설치되는 가이드(20)와, 가이드(20) 내에 승강 가능하게 탄설되는 분사노즐(30)과, 수평지지대(10)의 중심부 상면에 좌우로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지지대(50)와, 각 수직지지대(5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노즐커버(60), 및 수평지지대(10)의 상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조명등(70)을 포함 하여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수평지지대(10)는 설치홈(2) 내에 수평 설치되는 것으로,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그 가장자리에는 설치홈(2)의 내벽에 밀착되어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11)가 수직 하방으로 절곡 형성된다.
그리고, 수평지지대(10)의 중심부에는 분사노즐(30)의 상부가 관통되는 노즐 관통홀(10a)이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가이드(20)는 수평지지대(10)의 중심부 저면에 수직 설치되는 것으로, 분사노즐(30)이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중공의 관 형태로 형성되며, 그 하단에는 고압의 물이 공급되는 고압호스(90)가 니플(100)에 의해 연결된다.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분사노즐(30)은 가이드(20) 내에서 스프링(40)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탄설되는 것으로, 그 상단부는 수평지지대(10)의 노즐 관통홀(10a)을 관통하며 그 외주연에는 스프링(40)의 하단이 안착되는 스프링 안착턱(30a)이 형성된다.
그리고, 분사노즐(30)의 하단면은 막혀 있으며, 그 하단면에는 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물 유입홀(30b)이 형성된다.
이 때, 고압호스(90)를 통해 가이드(20) 내로 유입되는 고압의 물이 분사노즐(30)의 하단면에 부딪히면서 그 압력에 의해 분사노즐(30)이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물 유입홀(30b)은 분사노즐(30)의 내경보다 작다.
가이드(20)로 유입되는 고압의 물은 분사노즐(30)을 상승시키면서 분사노즐(30)의 하단면에 형성된 물 유입홀(30b)을 통해 분사노즐(30) 내로 유입된 후 외부로 분출된다.
한편, 분사노즐(30)의 내부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사상의 격벽(31)에 의해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획되어 물이 균일하게 상승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물 유입홀(30b)은 각 구간별로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된다.
분사노즐(30)의 외측에 개재되는 스프링(40)은 상단이 수평지지대(10)의 저면에 접면되고 하단이 분사노즐(30)의 스프링 안착턱(30a)에 안착됨으로써, 물 분사시 물의 압력에 의해 분사노즐(30)이 상승하면 도 3에서와 같이 압축되었다가 물 분사가 멈추게 되면 분사노즐(30)을 상승시켰던 압력이 해제되므로 스프링(40)의 복원력에 의해 분사노즐(30)이 하강하여 도 2에서와 같이 원상태로 복귀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수직지지대(50)는 수평지지대(10)의 상면에 입설되되, 수평지지대(10)의 노즐 관통홀(10a)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된 위치에 이격 설치되어 후술할 노즐커버(6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노즐커버(60)는 한 쌍의 수직지지대(50)에 각각 힌지(6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물분사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닫혀 있다가 분사노즐(30)이 상승하게 되면 분사노즐(30)에 의해 밀려 열리게 된다.
이 때, 노즐커버(60)는 90°미만으로 회동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분사노즐(30)이 다시 하강할 때 자중에 의해 원상태로 회동할 수 있다.
이러한 노즐커버(60)는 분수대를 작동시키지 않을 때 분사노즐(30)을 보호함과 더불어 이물질등이 분사노즐(30) 및 설치홈(2) 내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조명등(70)은 수평지지대(10)의 상면에 동심원상으로 설치되어 물분사시 물줄기를 비춰줌으로써, 다양한 색상을 갖는 물줄기를 연출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20)에 연결되는 고압호스(90)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주름관으로 형성되고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인파이프(110)와 연결되며, 각 고압호스(90)에는 수량 및 수압을 조정하기 위한 볼밸브(120) 및 솔레노이드밸브(130)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설치홈(2)의 개방된 상부 가장자리에는 그레이팅(140)이 설치되어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그레이팅(140)과 노즐커버(60) 사이에는 투명판(150)이 놓여져 설치홈(2) 내에 설치된 기기들을 보호함과 더불어 조명등(70)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투과시키게 된다.
또한, 투명판(150)의 적소에는 홀(150a)이 형성되어 그레이팅(140)과 더불어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미설명부호 160은 설치홈(2)의 내벽과 바닥에 설치되어 물이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지수판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분 수대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물분사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도 2와 같이 스프링(40)에 의해 분사노즐(30)이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며, 노즐커버(60)도 폐쇄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다가, 물분사를 위해 고압호스(90)를 통해 가이드(20)의 하부로 고압의 물을 공급하면, 고압의 물이 분사노즐(30)의 하단면에 부딪히면서 도 3에서와 같이 분사노즐(30)을 상승시키게 되고, 분사노즐(30)이 상승하면서 노즐커버(60)를 개방함으로써, 분사노즐(30)의 상단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 때, 스프링(40)은 압축된다.
그리고, 고압의 물은 분사노즐(30)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분사노즐(30)의 하단면에 형성된 물 유입홀(30b)을 통해 분사노즐(30) 내로 유입된 후 외부로 노출되는 분사노즐(30)의 상단부를 통해 공중으로 분사된다.
이처럼, 물분사가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계속해서 분사노즐(30)의 하단면에 압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분사노즐(30)이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물분사를 마치기 위해 물공급을 중단하면 분사노즐(30)을 상승시키던 압력이 해제되므로 스프링(40)의 복원력에 의해 분사노즐(30)이 하강하게 되고, 분사노즐(30)에 의해 회동되었던 노즐커버(60)도 원상태로 회동하여 분사노즐(30) 및 설치홈(2)을 차폐하게 된다.
한편, 분사노즐(30)로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공급되는 물의 양과 분사강도는 고압호스(90)에 연결된 볼밸브(120) 및 솔레노이드밸브(130)에 의해 조절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 분수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바닥 분수대에 따르면, 분사노즐을 커버링하는 노즐커버를 구비함으로써 이물질이 분사노즐 및 설치홈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물질로 인해 분사노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급되는 고압의 물에 의해 분사노즐이 상승하면서 노즐커버가 개방되고 공급되는 물이 차단될 때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분사노즐이 하강하면서 노즐커버가 폐쇄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노즐커버의 개폐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분사노즐과 조명등이 일체로 조립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설치공간을 축소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설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Claims (6)

  1. 건물앞 광장이나 건물의 1층 로비 등의 바닥에 설치되어 분수가 동작되지 않을 때에는 보행도로로서 사용되는 바닥 분수대에 있어서,
    바닥에 형성된 설치홈 내에 수평 설치되는 판상의 수평지지대;
    상기 수평지지대의 중심부 저면에 수직 설치되는 중공의 가이드;
    상기 가이드 내에 스프링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탄설되고, 상부가 상기 수평지지대의 중심부를 관통하며, 하단면에 물이 유입되는 물 유입홀이 형성된 분사노즐;
    상기 수평지지대의 중심부 상면에 좌우로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분사노즐을 커버링하는 한 쌍의 노즐커버; 및
    상기 수평지지대의 상면에 설치되는 조명등을 포함하여,
    물이 분사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분사노즐이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가이드의 하단을 통해 상기 분사노즐로 고압의 물이 공급되면 물의 압력에 의해 상기 분사노즐이 상승되고, 상승되는 분사노즐에 의해 상기 노즐커버가 개방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분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상단은 상기 수평지지대의 저면에 접촉되고 하단은 상기 분사노즐의 외측에 형성된 스프링 안착턱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분수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유입홀의 직경은 상기 분사노즐의 내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분수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커버의 회동범위는 90°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분수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로 고압의 물을 공급하는 고압호스는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고압호스에는 분사되는 물의 양 및 분사강도를 조절하는 볼밸브 및 솔레노이드밸브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분수대.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의 내부는 방사상의 격벽에 의해 복수 개의 구간으로 구획되어 물이 균일하게 상승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분수대.
KR2020050032972U 2005-11-22 2005-11-22 바닥 분수대 KR2004075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972U KR200407579Y1 (ko) 2005-11-22 2005-11-22 바닥 분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972U KR200407579Y1 (ko) 2005-11-22 2005-11-22 바닥 분수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1715A Division KR100678613B1 (ko) 2005-11-22 2005-11-22 바닥 분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579Y1 true KR200407579Y1 (ko) 2006-01-31

Family

ID=49296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972U KR200407579Y1 (ko) 2005-11-22 2005-11-22 바닥 분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57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559B1 (ko) 2006-09-26 2008-03-18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교량용 분수시스템
KR100975396B1 (ko) 2007-11-23 2010-08-11 윤중원 분수용 안전노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559B1 (ko) 2006-09-26 2008-03-18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교량용 분수시스템
KR100975396B1 (ko) 2007-11-23 2010-08-11 윤중원 분수용 안전노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8613B1 (ko) 바닥 분수대
KR200449186Y1 (ko) 지상소화전
KR200390981Y1 (ko) 분수용 노즐
KR100916247B1 (ko) 분수용 안전노즐
KR200407579Y1 (ko) 바닥 분수대
KR100610817B1 (ko) 분수용 안전 노즐
KR100969246B1 (ko) 분수용 수평 개폐식 안전노즐
KR200398368Y1 (ko) 분수용 안전노즐
US5754990A (en) Emergency wash station
US20100237608A1 (en) Universal mounting fixture and interchangeable water park features and methods
KR200407577Y1 (ko) 바닥 분수대
KR101056411B1 (ko) 분수용 안전노즐
KR100946781B1 (ko) 분수용 노즐
KR20090067783A (ko) 분수용 안전노즐
KR200385767Y1 (ko) 조명등이 구비된 분수노즐
KR101048187B1 (ko) 분수용 노즐
KR100809559B1 (ko) 교량용 분수시스템
KR20050030945A (ko) 조명등이 구비된 분수노즐
KR20160042579A (ko) 바닥분수용 노즐 장치
KR200450921Y1 (ko) 분사용 안전노즐
KR100975396B1 (ko) 분수용 안전노즐
KR100985941B1 (ko) 엘이디 수중노즐
KR200377235Y1 (ko) 분수용 안전 노즐
KR200415650Y1 (ko) 맨홀덮개
KR100996429B1 (ko) 램프 설치가 용이한 가로등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5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