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368Y1 - 분수용 안전노즐 - Google Patents
분수용 안전노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98368Y1 KR200398368Y1 KR20-2005-0022461U KR20050022461U KR200398368Y1 KR 200398368 Y1 KR200398368 Y1 KR 200398368Y1 KR 20050022461 U KR20050022461 U KR 20050022461U KR 200398368 Y1 KR200398368 Y1 KR 20039836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untain
- nozzle
- flange
- main body
- diamet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 B05B15/656—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whereby the flow conduit length is change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2—Spou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14—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ntrolling structural damage to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e.g. for breaking at desired places; Arrangements for handling or replacing damaged parts
- B05B15/1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ntrolling structural damage to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e.g. for breaking at desired places; Arrangements for handling or replacing damaged parts for preventing non-intended contact between spray heads or nozzles and foreign bodies, e.g. nozzle guar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8—Fountai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2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fountai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수용 안전노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주요구성은, 지면에 설치되어 분수로 사용시에만 노즐의 상단부가 돌출되어 분수 기능을 수행하는 통상의 분수용 안전노즐에 있어서, 지면에 돌출되어 설치되는 원판형상의 상판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의 하부에 원형으로 가이드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 제1걸림턱이 형성되도록 가이드부의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동작부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동작부의 하부에 제2걸림턱이 형성되도록 동작부의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슬라이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하부에 제2암나사부가 형성된 몸체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제1걸림턱에 일측이 걸린 상태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타측에 접촉됨과 함께 슬라이딩부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에 밀착되어 승강하며 상판의 중앙 상부로 돌출 또는 함입되는 상부관이 플랜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의 하부에 하부관이 형성됨과 함께 상부관과 플랜지 및 하부관을 관통하며 형성된 토출공이 구비된 유동노즐과; 상기 유동노즐에 구비된 플랜지 하부의 외주연에 접촉되도록 본체의 제2암나사부와 나사체결되는 제2숫나사부가 형성되고, 중앙에 유동노즐의 하부관보다 큰 지름의 공급공이 관통되어 형성된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분수 기능을 수행시 상승한 유동노즐을 분수 기능이 멈추면 강제적으로 하강시켜 본체의 상판에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효과적으로 분수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분수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때 지면을 다양한 용도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분수용 안전노즐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지면과 평행을 이루면서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다가 분수가 작동될 때에만 수압에 의해 상부로 돌출되어 분수가 작동되게 함으로서, 평상시에는 지면을 다른 용도로 사용하다가 분수가 필요할 시에는 분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분수용 안전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수는 강한 수압으로 노즐을 통해 물을 위로 뿜어서 뿌려지도록 만든 인공설비로서, 각종 공원이나 행사장 등에 주로 설치되어 환상적인 광경을 연출하여 사람들의 시선을 집중시킴과 동시에 시원함을 제공하고, 더울 때에는 물놀이를 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수의 종류 중, 요즘에는 지면에 노즐을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평평한 바닥으로 되어 있다가, 분수로 사용할 때에는 노즐이 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분수대로 사용하는 분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분수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63793호("분수용 안전노즐", 2001.11.05 출원)에 개시된 바 있으며,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과 같이 종래 분수용 안전노즐은, 케이싱(10)과 제1밸브체(20) 및 제2밸브체(30)와 노즐본체(40)로 구성되는바, 상기 케이싱(10)은 내부 하단에 나사골(11)이 형성되고, 상부는 폐쇄되어 그 중앙부에는 별도의 압력이 없는 한 상시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상단면과 수평을 이루는 2개의 개폐문(12)(13)이 양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 내부 상부에는 끼움홈(14)과 제1걸림턱(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체(20)는, 상단부에 케이싱(10)의 제1걸림턱(15)에 걸리는 제2걸림턱(21)이 형성되어 케이싱(10)의 끼움홈(14)에 끼워져 삽입되고, 중간부 측벽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물 유입공(22)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내부의 물유입공(22) 하부위치에는 제3걸림턱(2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밸브체(30)는, 중간에 케이싱(10)의 나사골(11)에 대응되는 나사산(31)이 형성되어 케이싱(10)에 나사 결합되면서 그 상부가 제1밸브체(20)의 하부와 밀착되며, 상부 측벽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물배출공(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본체(40)는, 제1밸브체(20)와 제2밸브체(30)에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지고 하부 일측의 외주연에 제1밸브체(20)의 제3걸림턱(23)과 제2밸브체(30)의 상단면에 걸리는 제4걸림턱(41)이 링형으로 형성되며, 제4걸림턱(41)의 윗부분부터 상단부까지 원통형으로 되고, 제4걸림턱(41)의 상부위치에는 제4걸림턱(41)이 제1밸브체(20)의 제3걸림턱(23)에 걸리는 시점에서 제1밸브체(20)의 물유입공(22)과 통하는 다수의 물유입공(42)이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제1밸브체(20)의 개폐문(12)(1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면서 물을 분사한다.
이때 상기 개폐문(12)(13)은, 자중에 의해 상시 닫히는 방향으로 작용되면서 마주보는 방향측으로 무게가 치우치게 구성하게 되며, 상부측으로는 개방되면서 하강할 때 케이싱(10)의 상단면을 막아줄 수 있도록 측면상 "ㄷ"자 형상을 취하게 되고, 안쪽 중간부위에는 개방시 노즐본체(40)의 외부 둥근 면과 밀착되도록 반원형의 홈(12a)(13a)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노즐본체(40)는 분사되는 물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그 선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게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분수용 안전노즐은, 먼저 제2밸브체(30)에 연결된 입수관을 통해 물을 소정의 압력으로 보내게 되고, 상기 제2밸브체(30)의 상단부에 끼워져 있던 노즐본체(40)가 그 수압에 의해 상부로 밀리면서 제2밸브체(30)의 물배출공(32)이 드러나게 되며, 물은 상기 물배출공(32)을 통해 배출되어 제1밸브체(20)와 케이싱(1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노즐본체(40)는, 상부로 밀리면서 제4걸림턱(41)이 제1밸브체(20)의 제3걸림턱(23)에 걸리게 되며, 상기 노즐본체(40)와 제1밸브체(20)의 각 물유입공(22)(42)이 통하게 되어, 제1밸브체(20)와 케이싱(1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승하는 물은 물유입공(22)(42)을 통해 노즐본체(4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노즐본체(40)는, 상부로 밀리면서 그 선단부가 케이싱(10)의 양 개폐문(12)(13)을 밀어올려 외부로 노출되어 노즐본체(40)의 내측으로 유입된 물이 노즐본체(40)의 선단부를 통해 원활하게 분사된다.
또한 상기 입수관에서 물 유입이 중단되면, 수압이 떨어지며 노즐본체(40)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되고, 상기 양 개폐문(12)(13)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돌출된 부분이 없어져 안전하게 바닥면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분수용 안전노즐은 입수관에서 물 유입이 중단되었을 때, 자중에 의해 노즐본체(40)가 하강함과 아울러 양 개폐문(12)(13)도 하강해야 하지만, 상기 제2밸브체(30)와 케이싱(10) 내부에 차있던 물이 빠져나갈 공간이 없어 노즐본체(40)의 상단부 및 양 개폐문(12)(13)이 바닥면에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사람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대단히 큰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분수용 안전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공급이 중단되면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노즐 상단부분을 강제로 하강시켜 사람들의 안전을 보호함과 동시에 분수를 사용하지 않을 때 안전하게 바닥면을 사용하도록 하는 분수용 안전노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과 부수되는 많은 효과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지면에 설치되어 분수로 사용시에만 노즐의 상단부가 돌출되어 분수 기능을 수행하는 통상의 분수용 안전노즐에 있어서, 지면에 돌출되어 설치되는 원판형상의 상판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의 하부에 원형으로 가이드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 제1걸림턱이 형성되도록 가이드부의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동작부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동작부의 하부에 제2걸림턱이 형성되도록 동작부의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슬라이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하부에 제2암나사부가 형성된 몸체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제1걸림턱에 일측이 걸린 상태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타측에 접촉됨과 함께 슬라이딩부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에 밀착되어 승강하며 상판의 중앙 상부로 돌출 또는 함입되는 상부관이 플랜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의 하부에 하부관이 형성됨과 함께 상부관과 플랜지 및 하부관을 관통하며 형성된 토출공이 구비된 유동노즐과; 상기 유동노즐에 구비된 플랜지 하부의 외주연에 접촉되도록 본체의 제2암나사부와 나사체결되는 제2숫나사부가 형성되고, 중앙에 유동노즐의 하부관보다 큰 지름의 공급공이 관통되어 형성된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유동노즐이 상판 상부로 돌출되어 분수 기능을 수행한 후 분수 기능을 멈추고 스프링에 의해 하강할 때 본체 내부에 차있던 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유동노즐이 원활하게 하강할 수 있도록 동작부의 일개소에 몸체 외부와 관통되어 형성되는 누출공을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의 가이드부 상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가이드부 상부에 제1암나사부가 구비된 삽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의 제1암나사부와 나사체결되는 제1숫나사부가 구비된 결합부가 하부에 형성된 마개를 더 구비시키고, 상기 상판 상면의 원주상 등간격으로 다양한 빛을 발산하는 다이오드 또는 램프가 구비된 조명부를 더 결합시킴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특징이 적용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 분수용 안전노즐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분수용 안전노즐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본 고안 분수용 안전노즐은, 본체(100)와 스프링(120) 및 유동노즐(130)과 고정부재(140)로 크게 대별된다.
즉, 상기 본체(100)는 원판 형상의 상판(101)과 상기 상판(101)의 하부에 원기둥 형상으로 일체로 제작되는 몸체(110)로 구분되며, 상기 상판(101)에는 다수개의 조명부(102)가 원주상 등간격으로 배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101)의 중앙에는 제1암나사부(112)가 형성된 삽입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111)에는 제1숫나사부(152)가 형성된 결합부(151)가 하부에 구비된 마개(150)가 나사체결에 의해 결합되어 삽입부(111)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111)의 하부에는 삽입부(111)보다 작은 지름으로 가이드부(113)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113)의 하부에는 가이드부(113)보다 큰 지름으로 동작부(114)가 형성되어 가이드부(113)와 동작부(114)의 단차에 의해 제1걸림턱(11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동작부(114)의 일개소에는 몸체(110)의 외면으로 관통되는 누출공(1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동작부(114)의 하부에는 동작부(114)보다 큰 지름으로 슬라이딩부(117)가 형성되고, 상기 동작부(114)와 슬라이딩부(117)의 단차에 의해 제2걸림턱(118)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부(117)의 하부에는 제2암나사부(119)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체(100)의 제1걸림턱(115)에는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120)이 일측 끝단을 접촉시키며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120)의 타측 끝단에 접촉되는 플랜지(131)가 구비된 유동노즐(130)이 몸체(110)의 내부에 결합 되는바, 상기 유동노즐(130)은, 상기 플랜지(131)의 상·하부에 상·하부관(132)(13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유동노즐(130)의 상·하부관(132)(133)을 관통하는 토출공(13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관(132)은, 스프링(120)의 내부를 통하여 삽입된 후 상기 본체(100)의 가이드부(113) 내면과 밀착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상기 상부관(132)과 가이드부(113)의 지름은 동일하거나 가이드부(113)의 지름이 약간 더 크게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며, 상기 스프링(120)의 내경은 상부관(132)보다 좀더 큰 크기의 지름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120)의 외경보다 좀더 큰 크기의 지름으로 동작부(114)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플랜지(131)는, 슬라이딩부(117)의 지름보다 약간 작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는 추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유동노즐(130)의 하부에는 고정부재(140)가 위치되는바, 상기 고정부재(140)의 상면은 유동노즐(130)의 플랜지(131) 하부에 접촉되며 고정부재(140)의 상부에 형성된 제2숫나사부(142)가 몸체(110)의 제2암나사부(119)와 나사체결하며 몸체(110)에 고정부재(14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140)에는 공급공(141)이 관통되어 형성되는바, 상기 공급공(141)은 유동노즐(130)의 플랜지(131) 하부를 접촉하여야 하므로 플랜지(131)의 끝단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공(141)의 내부에는 플랜지(131)의 하부관(133)이 위치되는바, 상기 공급공(141)의 내면과 하부관(133)의 외면에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부관(133)과 공급공(141)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 분수용 안전노즐의 결합이 완료되면 도 4와 같이 되는바, 상기 고정부재(140)의 하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골이 형성된 연결관(160)이 본체(100)의 하부와 연결되어 공급유로(161)가 형성된다.
이때, 도 4와 같이 본 고안 분수용 안전노즐은, 동절기나 분수의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에 본체(100)의 삽입부(111)를 마개(150)로 막아서 지면을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분수용 안전노즐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 분수용 안전노즐의 동작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본 고안 분수용 안전노즐을 분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5a처럼, 상기 마개(150)를 돌려 본체(100)의 삽입부(111)에서 제거하면 분수 기능을 수행할 준비가 된다.
또한 도 5b와 같이, 상기 연결관(160)의 공급유로(161)를 통해 고압의 물이 공급되면 본 고안 분수용 안전노즐이 분수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바, 상기 공급유로(161)로 공급된 고압의 물은 고정부재(140)의 공급공(141)을 통과하게 되고, 상기 공급공(141)을 통과한 물은 유동노즐(130)의 토출공(134)으로 토출됨과 함께 유동노즐(130)의 하부관(133)과 고정부재(140)의 공급공(141) 사이의 공간으로도 공급되어 유동노즐(130)의 플랜지(131) 하부를 상부로 밀어올리게 된다.
이때 상기 유동노즐(130)은 플랜지(131) 상면에 타측이 접하고 있던 스프링(120)을 압착시키며 상승하게 되고, 상기 상승하던 유동노즐(130)의 플랜지(131)는 제2걸림턱(119)에 걸리며 더이상 상승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유로(161)를 통해 공급된 고압의 물은 플랜지(131)의 하부를 밀어올리는 힘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유동노즐(130)의 하부관(133)과 상부관(132)을 관통하여 형성된 토출공(134)으로 토출되어 분수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동노즐(130)의 상부관(132) 상단부는 본체(100)의 상판(101)보다 높게 돌출되며, 이는 토출공(134)을 통해 토출되는 물이 상판(101)의 삽입부(111)에 저항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고안 분수용 안전노즐이 분수의 기능을 멈추게 되면 도 5c와 같이 되는바, 분수용 안전노즐이 분수 기능을 멈추려면 자연적으로 공급유로(161)를 통해 공급되던 물이 공급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공급유로(161)를 통해 물이 공급되지 않으면 유동노즐(130)의 플랜지(131) 하부를 밀어 올리던 물의 수압이 없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플랜지(131)의 상면과 본체(100)의 제1걸림턱(115)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120)이 탄성력을 발휘하며 유동노즐(130)을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급유로(161)와 공급공(141), 그리고 슬라이딩부(117) 및 동작부(114)와 토출공(134)에는 잔류된 물이 위치하게 되는바, 상기 동작부(114)에 형성된 누출공(116)에 의해 잔류된 물이 유동노즐(130)의 하강동작에 저항을 주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스프링(120)의 탄성력으로 유동노즐(130)이 하강하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부(117)와 동작부(114)에 잔류된 물은 자연스럽게 누출공(116)을 통해 본체(100)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40)의 공급공(141)에 잔류된 물은, 플랜지(131)와 슬라이딩(117)부 사이의 틈으로 상승하여 동작부(114)의 누출공(116)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급공(141)에 잔류된 물이 플랜지(131)와 슬라이딩부(117) 사이의 틈으로 상승시키기 위해 기 설명한 바와 같이 플랜지(131)의 지름을 슬라이딩부(117)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누출공(116)을 슬라이딩부(117)에 형성시킬 수도 있으나, 플랜지(131)와 슬라이딩부(117) 사이의 틈으로 인해 분수 기능을 수행시 누출공(116)을 통해 물이 누출될 수 있으므로, 분수 기능 수행시 플랜지(131)의 상면과 제2걸림턱(118)이 완벽하게 밀착됨을 이용해 동작부(114)에 누출공(116)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누출공(116)을 다수개 형성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상판(101)에는 다이오드 또는 램프가 구비된 조명부(102)가 결합되어 분수 기능 수행시 다양한 빛을 발산하도록 하여 분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이때 상기 조명부(102)는 방수처리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조명부(102) 대신에 레이져를 발산하는 장치를 결합하여 분수에 레이져를 쏘아 다양한 느낌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 분수용 안전노즐에 관하여, 본 고안의 범주 내에서 각 부품들의 여러 가지 설계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분수 기능을 수행시 상승한 유동노즐을 분수 기능이 멈추면 강제적으로 하강시켜 본체의 상판에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효과적으로 분수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분수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때 지면을 다양한 용도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에 형성된 누출공에 의해 몸체 내부에 잔류된 물이 본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유동노즐의 하강동작에 가해지는 저항을 없애 유동노즐이 원활하게 하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상판에 결합된 다수개의 조명부에 의해 분수 자체의 시원한 효과는 물론 조명에 의한 다양한 느낌을 더 부여하여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최대한으로 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개를 이용하여 본체의 삽입부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분수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때에는 마개로 삽입부를 폐쇄시켜 분수용 안전노즐을 보호하고 동절기에는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분수용 안전노즐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a와 도 2b는 종래 분수용 안전노즐의 동작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분수용 안전노즐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분수용 안전노즐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 분수용 안전노즐의 동작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01 - 상판
110 - 몸체 111 - 삽입부
113 - 가이드부 114 - 동작부
117 - 슬라이딩부 120 - 스프링
130 - 유동노즐 131 - 플랜지
132,133 - 상·하부관 134 - 토출공
140 - 고정부재 141 - 공급공
Claims (4)
- 지면에 설치되어 분수로 사용시에만 노즐의 상단부가 돌출되어 분수 기능을 수행하는 통상의 분수용 안전노즐에 있어서,지면에 돌출되어 설치되는 원판형상의 상판(101)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101)의 하부에 원형으로 가이드부(113)가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113)의 하부에 제1걸림턱(115)이 형성되도록 가이드부(113)의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동작부(114)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동작부(114)의 하부에 제2걸림턱(118)이 형성되도록 동작부(114)의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슬라이딩부(117)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117)의 하부에 제2암나사부(119)가 형성된 몸체(110)로 이루어진 본체(100)와;상기 본체(100)의 제1걸림턱(115)에 일측이 걸린 상태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120)과;상기 스프링(120)의 타측에 접촉됨과 함께 슬라이딩부(117)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플랜지(131)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113)에 밀착되어 승강하며 상판(101)의 중앙 상부로 돌출 또는 함입되는 상부관(132)이 플랜지(131)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131)의 하부에 하부관(133)이 형성됨과 함께 상부관(132)과 플랜지(131) 및 하부관(133)을 관통하며 형성된 토출공(134)이 구비된 유동노즐(130)과;상기 유동노즐(130)에 구비된 플랜지(131) 하부의 외주연에 접촉되도록 본체(100)의 제2암나사부(119)와 나사체결되는 제2숫나사부(142)가 형성되고, 중앙에 유동노즐(130)의 하부관(133)보다 큰 지름의 공급공(141)이 관통되어 형성된 고정부재(1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용 안전노즐.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유동노즐(130)이 상판(101) 상부로 돌출되어 분수 기능을 수행한 후 분수 기능을 멈추고 스프링(120)에 의해 하강할 때 본체(100) 내부에 차있던 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유동노즐(130)이 원활하게 하강할 수 있도록 동작부(114)의 일개소에 몸체(110) 외부와 관통되어 형성되는 누출공(116)을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용 안전노즐.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본체(100)의 가이드부(113) 상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의 가이드부(113) 상부에 제1암나사부(112)가 구비된 삽입부(111)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111)의 제1암나사부(112)와 나사체결되는 제1숫나사부(152)가 구비된 결합부(151)가 하부에 형성된 마개(150)를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용 안전노즐.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상판(101) 상면의 원주상 등간격으로 다양한 빛을 발산하는 다이오드 또는 램프가 구비된 조명부(102)를 더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용 안전노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22461U KR200398368Y1 (ko) | 2005-08-03 | 2005-08-03 | 분수용 안전노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22461U KR200398368Y1 (ko) | 2005-08-03 | 2005-08-03 | 분수용 안전노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98368Y1 true KR200398368Y1 (ko) | 2005-10-12 |
Family
ID=43699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22461U KR200398368Y1 (ko) | 2005-08-03 | 2005-08-03 | 분수용 안전노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98368Y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2752B1 (ko) | 2007-03-22 | 2008-05-27 | 물춤워터아트(주) | 분수용 안전노즐 |
KR100957840B1 (ko) * | 2009-09-10 | 2010-05-14 | 플러스파운틴(주) | 분수 노즐 어셈블리 |
KR100975396B1 (ko) | 2007-11-23 | 2010-08-11 | 윤중원 | 분수용 안전노즐 |
KR101006105B1 (ko) * | 2009-10-28 | 2011-01-07 | (주)성주 워터피아건설 | 분수용 잠수 노즐 |
KR101048187B1 (ko) | 2011-04-11 | 2011-07-08 | 장병천 | 분수용 노즐 |
KR200456647Y1 (ko) * | 2010-12-01 | 2011-11-10 | 주식회사 협신이앤씨 | 분수 장치 보호구 |
KR20160019325A (ko) * | 2014-08-11 | 2016-02-19 | 이태봉 | 수평분사식 분수노즐 |
-
2005
- 2005-08-03 KR KR20-2005-0022461U patent/KR20039836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2752B1 (ko) | 2007-03-22 | 2008-05-27 | 물춤워터아트(주) | 분수용 안전노즐 |
KR100975396B1 (ko) | 2007-11-23 | 2010-08-11 | 윤중원 | 분수용 안전노즐 |
KR100957840B1 (ko) * | 2009-09-10 | 2010-05-14 | 플러스파운틴(주) | 분수 노즐 어셈블리 |
KR101006105B1 (ko) * | 2009-10-28 | 2011-01-07 | (주)성주 워터피아건설 | 분수용 잠수 노즐 |
KR200456647Y1 (ko) * | 2010-12-01 | 2011-11-10 | 주식회사 협신이앤씨 | 분수 장치 보호구 |
KR101048187B1 (ko) | 2011-04-11 | 2011-07-08 | 장병천 | 분수용 노즐 |
KR20160019325A (ko) * | 2014-08-11 | 2016-02-19 | 이태봉 | 수평분사식 분수노즐 |
KR101656064B1 (ko) * | 2014-08-11 | 2016-09-09 | 이태봉 | 수평분사식 분수노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398368Y1 (ko) | 분수용 안전노즐 | |
KR200449186Y1 (ko) | 지상소화전 | |
US9162244B2 (en) | Sprinkler body insertable check valve to prevent downhill drainage | |
KR200390981Y1 (ko) | 분수용 노즐 | |
KR20050080119A (ko) | 샤워기용 절수장치 | |
US6868916B2 (en) | Fire sprinkler systems | |
KR20100013783A (ko) | 옥내소화전방수구 | |
CN108374939A (zh) | 一种便于维护可单独更换的快拆式消防用喷淋头 | |
KR101200621B1 (ko) | 동파방지용 스프링클러 | |
KR200263793Y1 (ko) | 분수용 안전노즐 | |
KR100610817B1 (ko) | 분수용 안전 노즐 | |
CN207003553U (zh) | 一种消防栓给水装置 | |
CN109723874B (zh) | 一种轻按式延时自闭阀芯 | |
KR100824221B1 (ko) | 자동식 소화노즐 | |
KR200385767Y1 (ko) | 조명등이 구비된 분수노즐 | |
US5288053A (en) | Discharge controlling device for faucets | |
TW202206190A (zh) | 供液系統 | |
TWM559974U (zh) | 儲液桶之氣動吸排結構 | |
CN208527023U (zh) | 液压控制出水花洒 | |
CN101377243B (zh) | 一种停水后能自动关闭的水龙头 | |
US8528836B2 (en) | Leak stopping sprinkler heads | |
CN208153921U (zh) | 一种便于维护可单独更换的快拆式消防用喷淋头 | |
KR20220040304A (ko) | 결로방지용 에어벤트를 구비한 조명등 | |
CN221523721U (zh) | 一种消防栓 | |
CN109519594A (zh) | 一种形状记忆合金自动防火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1102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