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590B1 - 바닥분수용 안전노즐 - Google Patents

바닥분수용 안전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2590B1
KR102262590B1 KR1020200087622A KR20200087622A KR102262590B1 KR 102262590 B1 KR102262590 B1 KR 102262590B1 KR 1020200087622 A KR1020200087622 A KR 1020200087622A KR 20200087622 A KR20200087622 A KR 20200087622A KR 102262590 B1 KR102262590 B1 KR 102262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nozzle
shaft
clos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운근
Original Assignee
태양환경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양환경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양환경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7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5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14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ntrolling structural damage to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e.g. for breaking at desired places; Arrangements for handling or replacing damaged parts
    • B05B15/1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ntrolling structural damage to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e.g. for breaking at desired places; Arrangements for handling or replacing damaged parts for preventing non-intended contact between spray heads or nozzles and foreign bodies, e.g. nozzle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2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8Fountains

Landscapes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분수용 안전노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을 통과시키도록 중공이 형성된 샤프트를 가지는 노즐몸체, 상기 노즐몸체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며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면서 하우징과 결합하며 물 분출을 위한 분출홀이 형성되는 노즐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몸체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승강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통해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승강하고, 상기 노즐몸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분출홀이 개폐되어 도로나 광장 등의 바닥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되, 물을 분사하지 않을때는 노즐커버에 형성된 분출홀이 닫히고, 물을 분사할때는 분출홀이 열려 물을 분사하도록 구비되며 물의 분사를 위한 물 유입시 노즐몸체가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승하고, 노즐몸체의 회전에 의해 분출홀이 개폐 어셈블리를 통해 개폐되어 분출홀이 임의로 열리거나 닫히지 않는 바닥분수용 안전노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닥분수용 안전노즐{Safety Nozzle for Floor Fountain}
본 발명은 바닥분수용 안전노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을 통과시키도록 중공이 형성된 샤프트를 가지는 노즐몸체, 상기 노즐몸체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며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면서 하우징과 결합하며 물 분출을 위한 분출홀이 형성되는 노즐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몸체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승강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통해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승강하고, 상기 노즐몸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분출홀이 개폐되어 도로나 광장 등의 바닥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되, 물을 분사하지 않을때는 노즐커버에 형성된 분출홀이 닫히고, 물을 분사할때는 분출홀이 열려 물을 분사하도록 구비되며 물의 분사를 위한 물 유입시 노즐몸체가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승하고, 노즐몸체의 회전에 의해 분출홀이 개폐 어셈블리를 통해 개폐되어 분출홀이 임의로 열리거나 닫히지 않는 바닥분수용 안전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 분수대라함은 건물앞 광장, 호텔이나 건물의 1층 로비 등의 바닥에 설치되어 분수가 동작되지 않은 때에는 보행도로로서 사용되고, 분수가 동작되는 경우에도 인도와 분수의 경계가 특별히 구분되지 않음으로써 자유스러운 심미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형태의 분수를 의미한다.
종래 바닥 분수 안전 노즐이 등록특허공보(등록번호 제10-0752130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바닥 분수 안전 노즐은 분수용 물공급 연결관에 결합하는 하부몸체, 분출로를 가지면서 수압에 따라 승강되는 유동노즐, 하부몸체에 결합되어 유동노즐을 덮는 커버 몸체 및 상기 커버 몸체의 상단에 결합되고, 센터에 분출 홀이 형성된 외부 노출형의 상부몸체로 구성되어 수압에 의해 유동노즐이 상승하여 분출로를 통한 외부로의 물 분출이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종래의 바닥분수 안전노즐은 수압에 의해 수직으로 급상승하게 되어, 접촉부분의 마모와 파손이 발생하기 쉬웠으며, 분출홀이 임의로 열릴 수 있어 안전노즐 내부에 이물질이나 어린이의 손가락 등이 삽입되어 안전상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바닥분수의 운영 중 분출홀이 임의로 닫히는 경우가 발생하여 분수가 제대로 운영되지 않거나, 분출홀 주변의 구성이 수압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수압에 의한 노즐의 상승에 따라 부드럽게 분출홀이 개방되고, 외력에 의해 임의로 분출홀이 개방되지 않으며, 바닥분수의 운영 중 분출홀이 임의로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 바닥분수용 안전노즐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52130호(2007.08. 2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을 통과시키도록 중공이 형성된 샤프트를 가지는 노즐몸체, 상기 노즐몸체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며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면서 하우징과 결합하며 물 분출을 위한 분출홀이 형성되는 노즐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몸체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승강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통해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승강하고, 상기 노즐몸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분출홀이 개폐되어 노즐몸체의 회전상승에 의해 부드럽게 분출홀이 개폐되는 바닥분수용 안전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노즐커버는 분출홀이 형성된 노즐캡과, 상기 노즐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분출홀을 개폐시키는 개폐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몸체는 상기 샤프트와 동심으로 형성되는 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 어셈블리는 상기 벽부와 연결되어 상기 벽부의 회전에 따라 분출홀을 개폐하는 바닥분수용 안전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 어셈블리는 분출홀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개폐힌지, 상기 개폐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블록, 회전블록의 일면에서 상기 분출홀 측으로 연장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일단에 분출홀을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개폐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벽부는 상단으로부터 소정높이 함입형성된 블록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블록의 일단이 상기 블록수용홈에 수용되어 상기 벽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블록이 회전하여 바닥분수의 작동에 따라 분출홀의 개폐가 연동되는 바닥분수용 안전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개폐 어셈블리는 한 쌍이 상기 분출홀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구비되고, 상기 개폐블록은 반원 형상을 가져 한 쌍의 개폐블록이 인접할 때 상기 분출홀을 차폐하는 바닥분수용 안전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회전블록은 노즐몸체가 수압에 의해 상승회전함에 따라 이격되어 상기 분출홀을 개방시키는 바닥분수용 안전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노즐몸체는 샤프트의 외면으로부터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샤프트와 벽부를 연결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연장부에 의해 연장부로부터 상측으로 소정거리 연장되는 상부샤프트와 연장부 하측의 하부샤프트로 구분지어지는 바닥분수용 안전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상부샤프트는 수압에 의한 노즐몸체의 상승 시 이격된 한 쌍의 회전블록 사이에 수용되어 분출홀의 임의 폐쇄를 방지하는 바닥분수용 안전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바닥분수용 안전노즐은 상기 샤프트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상기 샤프트 내로 물을 유입시키도록 중공을 가지는 유입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의 외면을 따라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나선홈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관은 상기 유입관의 일면을 관통하면서 상기 나선홈에 수용되는 부재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안내홀을 포함하여, 물 유입시 상기 노즐몸체가 나선홈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승하는 바닥분수용 안전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샤프트는 소정 높이에 샤프트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턱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턱은 상기 유입관의 내면에 형성되는 단턱에 거치되어 빠지지 않는 바닥분수용 안전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물을 통과시키도록 중공이 형성된 샤프트를 가지는 노즐몸체, 상기 노즐몸체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며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면서 하우징과 결합하며 물 분출을 위한 분출홀이 형성되는 노즐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몸체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승강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통해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승강하고, 상기 노즐몸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분출홀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노즐커버는 분출홀이 형성된 노즐캡과, 상기 노즐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분출홀을 개폐시키는 개폐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몸체는 상기 샤프트와 동심으로 형성되는 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 어셈블리는 상기 벽부와 연결되어 상기 벽부의 회전에 따라 분출홀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개폐 어셈블리는 분출홀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개폐힌지 및 상기 개폐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벽부는 상단으로부터 소정높이 함입형성된 블록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블록의 일단이 상기 블록수용홈에 수용되어 상기 벽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블록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개폐 어셈블리는 회전블록의 일면에서 상기 분출홀 측으로 연장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일단에 분출홀을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개폐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개폐 어셈블리는 한 쌍이 상기 분출홀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구비되고, 상기 개폐블록은 반원 형상을 가져 한 쌍의 개폐블록이 인접할 때 상기 분출홀을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한 쌍의 회전블록은 노즐몸체가 수압에 의해 상승회전함에 따라 이격되어 상기 분출홀을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노즐몸체는 샤프트의 외면으로부터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샤프트와 벽부를 연결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연장부에 의해 연장부로부터 상측으로 소정거리 연장되는 상부샤프트와 연장부 하측의 하부샤프트로 구분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상부샤프트는 수압에 의한 노즐몸체의 상승 시 이격된 한 쌍의 회전블록 사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바닥분수용 안전노즐은 상기 샤프트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상기 샤프트 내로 물을 유입시키도록 중공을 가지는 유입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의 외면을 따라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나선홈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관은 상기 유입관의 일면을 관통하면서 상기 나선홈에 수용되는 부재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안내홀을 포함하여, 물 유입시 상기 노즐몸체가 나선홈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샤프트는 소정 높이에 샤프트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턱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턱은 상기 유입관의 내면에 형성되는 단턱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물을 통과시키도록 중공이 형성된 샤프트를 가지는 노즐몸체, 상기 노즐몸체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며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면서 하우징과 결합하며 물 분출을 위한 분출홀이 형성되는 노즐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몸체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승강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통해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승강하고, 상기 노즐몸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분출홀이 개폐되어 노즐몸체의 회전상승에 의해 부드럽게 분출홀이 개폐되는 바닥분수용 안전노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노즐커버는 분출홀이 형성된 노즐캡과, 상기 노즐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분출홀을 개폐시키는 개폐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몸체는 상기 샤프트와 동심으로 형성되는 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 어셈블리는 상기 벽부와 연결되어 상기 벽부의 회전에 따라 분출홀을 개폐하는 바닥분수용 안전노즐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개폐 어셈블리는 분출홀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개폐힌지, 상기 개폐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블록, 회전블록의 일면에서 상기 분출홀 측으로 연장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일단에 분출홀을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개폐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벽부는 상단으로부터 소정높이 함입형성된 블록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블록의 일단이 상기 블록수용홈에 수용되어 상기 벽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블록이 회전하여 바닥분수의 작동에 따라 분출홀의 개폐가 연동되는 효과를 수반한다.
본 발명은, 상기 개폐 어셈블리는 한 쌍이 상기 분출홀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구비되고, 상기 개폐블록은 반원 형상을 가져 한 쌍의 개폐블록이 인접할 때 상기 분출홀을 차폐하는 바닥분수용 안전노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한 쌍의 회전블록은 노즐몸체가 수압에 의해 상승회전함에 따라 이격되어 상기 분출홀을 개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노즐몸체는 샤프트의 외면으로부터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샤프트와 벽부를 연결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연장부에 의해 연장부로부터 상측으로 소정거리 연장되는 상부샤프트와 연장부 하측의 하부샤프트로 구분지어지는 바닥분수용 안전노즐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상부샤프트는 수압에 의한 노즐몸체의 상승 시 이격된 한 쌍의 회전블록 사이에 수용되어 분출홀의 임의 폐쇄를 방지한다.
본 발명은, 상기 샤프트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상기 샤프트 내로 물을 유입시키도록 중공을 가지는 유입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의 외면을 따라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나선홈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관은 상기 유입관의 일면을 관통하면서 상기 나선홈에 수용되는 부재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안내홀을 포함하여, 물 유입시 상기 노즐몸체가 나선홈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승하는 바닥분수용 안전노즐을 제공하는 효과를 안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샤프트는 소정 높이에 샤프트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턱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턱은 상기 유입관의 내면에 형성되는 단턱에 거치되어 빠지지 않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바닥 분수 안전 노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분수용 안전노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분수용 안전노즐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의 절개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몸체(30)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커버(50)의 사시도
도 7은 개폐 어셈블리(53)의 운동에 의해 분출홀(51a)이 열리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유입부(70)의 사시도
도 9는 물이 유입되지 않을 때와 바닥분수의 가동에 따라 물이 유입되어 수압에 따라 노즐몸체(30)가 회전하며 상승할 때 도 2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C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11은 노즐몸체(30)의 회전에 따라 노즐몸체(30)와 연결된 개폐 어셈블리(53)가 회전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돌출블록(533a)이 회전하면서 블록수용홈(35a)에 걸리는 것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분수용 안전노즐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고, 다른 구성요소 또한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는 것은 직접 연결될 수도 있으나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분수용 안전노즐(1)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분수용 안전노즐(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바닥분수용 안전노즐(1)은 도로나 광장 등의 바닥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되, 물을 분사하지 않을때는 노즐커버에 형성된 분출홀이 닫히고, 물을 분사할때는 분출홀이 열려 물을 분사하도록 구비되며 물의 분사를 위한 물 유입시 노즐몸체가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승하고, 노즐몸체의 회전에 의해 분출홀이 개폐 어셈블리를 통해 개폐되어 분출홀이 임의로 열리거나 닫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분수용 안전노즐(1)은 하우징(10), 노즐몸체(30), 노즐커버(50) 및 물 유입부(70)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의 절개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하우징(10)은 후술하는 노즐몸체(3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며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구비되어 노즐몸체(30)가 하우징(10) 내에서 승강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바람직하게는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부보다 작은 직경의 개구부가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바디(11)와 하판(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11)는 하우징(10)의 외면을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중공을 가진 원통 형상을 가지고, 상단에는 후술하는 노즐커버(50)와 결합을 위한 단턱(11a)을 형성한다. 또한, 바디(11) 상단에는 결합공(11b)이 형성되어 노즐커버(50)와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하판(13)은 하우징(10)의 하단에 개구부를 가지면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형성되고, 개구부의 측면을 따라 나사산(13a)이 형성됨에 따라 후술하는 유입관(71)과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판(13)은 바디(11)와 일체로 형성되어 하우징(10)을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몸체(30)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노즐몸체(30)는 물의 유입시 수압에 의해 상기 하우징(10) 내에서 회전하면서 승강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노즐몸체(30)의 회전 승강에 따라 후술하는 개폐 어셈블리(53)의 회전을 야기하여 분출홀(51a)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노즐몸체(30)는 샤프트(31), 연장부(33) 및 벽부(35)를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31)는 물을 통과시키도록 중공을 가지면서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노즐몸체(30)는 샤프트(31)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승강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31)는 후술하는 연장부(33)에 의해 하부샤프트(311)와 상부샤프트(313)로 구분되어진다.
상기 하부샤프트(311)는 연장부(33) 아래쪽에 구비되는 샤프트로 정의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입관(71)에 수용되어 노즐몸체(30)의 회전을 담보한다. 하부샤프트(311)는 소정 높이에서 하부샤프트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턱(311a)과, 하부샤프트의 외면을 따라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형성된 나선홈(311b)을 포함한다. 상기 나선홈은 수직으로부터 30도, 45도, 60 등의 각도를 가지면서 비스듬하게 하부샤프트(311)의 외면을 따라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샤프트(31)의 승강에 따른 회전을 담보할 수 있으면 족하다. 상기 나선홈(311b)은, 도 5 및 도 8 내지 도 10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나선홈(311b)이 하부샤프트(311)의 외면을 따라 서로 반대 부분에 형성되며, 수압에 의한 샤프트의 상승 시 회전이 가능하도록 같은 방향(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함입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샤프트(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하도록, 나선홈이 하부샤프트(311)의 외면을 따라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반시계방향으로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샤프트(313)는 연장부(33) 위쪽으로 연장되는 샤프트로 정의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압에 의한 노즐몸체(30)의 회전상승 시 이격된 회전블록(533)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33)는 샤프트(31)의 상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에서 대략 평평하게 연장되어 샤프트(31)와 후술하는 벽부(35)를 연결한다. 연장부(33)는 원형 평면을 가짐으로써 노즐몸체(3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벽부(35)는 상기 샤프트(31)와 동심으로 형성되며, 연장부(33)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됨으로써 원통형의 형상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벽부(3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개폐 어셈블리(53)와 연결되어 노즐몸체(30)의 회전에 따라 개폐 어셈블리(53)가 분출홀(51a)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단으로부터 소정높이 함입형성된 블록수용홈(35a)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노즐몸체(30)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중공을 가지면서,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물이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블록수용홈(35a)은 후술하는 돌출블록(533a)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1폭(D1)을 가지고 형성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의 중심축을 지나는 직선 X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록수용홈(35a)은 원통형의 벽부의 가상의 지름 양단에 구비되어 개폐 어셈블리(53)의 회전을 매개한다. 상기 블록수용홈(35a)과 돌출블록(533a) 사이의 상호작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커버(50)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노즐커버(50)는 상기 하우징(10)의 상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커버하면서 하우징과 결합하며, 노즐몸체(30)로부터의 물을 분출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노즐커버(50)는 노즐캡(51)과 개폐 어셈블리(53)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캡(51)은 하우징(10) 상측의 개구부를 커버하는 구성으로, 대략 평평하게 형성된 면의 끝에서 하방으로 절곡연장되어 하우징(10)의 바디(11)에 형성된 단턱(11a)에 안착되어 바디(11)와 결합될 수 있다. 노즐캡(51)의 대략 평평하게 형성된 면에는 분출홀(51a)이 구비되는데, 원형의 형상으로 노즐캡(51)의 중앙에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하방으로 절곡연장된 부분에는 결합공(51b)이 형성되어 바디(11)의 결합공(11b)과 체결수단을 통해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노즐캡(51)은 개폐안내부(511)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개폐안내부(511)는 분출홀(51a)이 형성된 부분 주변으로 노즐캡(51)의 하면이 소정높이 함입됨으로써 후술하는 개폐블록(535a)의 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개폐안내부(511)가 구비되어 한 쌍의 개폐블록(535a)의 운동을 안내한다.
상기 개폐안내부(511)는 분출홀(51a) 주변에서 후술하는 개폐블록(535a)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해 노즐캡(51)의 하면으로부터 소정깊이 함입되어 형성된다. 개폐안내부(511)는 개폐블록(535a)의 운동을 안내하여 분출홀(51a)을 폐색하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개폐블록(535a)은 한 쌍이 반원 형태를 가지면서 운동하게 되는데, 반원 형태의 개폐블록(535a)이 개폐안내부(511) 내에서 원활하게 운동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을 가지고 연장되어 함입되는 직선홈(511a)과 상기 직선홈(511a)의 양단에서 반원 형태로 함입된 반원홈(511b)을 포함할 수 있다. 직선홈(511a)의 폭(D2)은 분출홀(51a)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직선홈과 반원홈이 연결됨에 따라 반원홈의 직경(D2)은 직선홈의 폭(D2)과 상응할 수 있다. 반원 형상으로 함입된 반원홈(511b)의 직경(D2)은 후술하는 개폐블록(535a)의 직경(D3)보다 커서 반원 형상의 개폐블록(535a)이 소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 어셈블리(53)는 노즐몸체(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분출홀(51a)을 개폐시키도록 구비된다. 개폐 어셈블리(53)는 상기 벽부(35)와 연결되어 상기 벽부의 회전에 따라 분출홀을 개폐함으로써, 바닥분수가 작동하지 않을 때는 분출홀(51a)을 닫아 이물질이나 손가락 등이 분출홀(51a)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며, 분수가 작동할 대는 분출홀(51a)을 개방하여 임의로 닫히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개폐 어셈블리(53)는 개폐힌지(531), 회전블록(533), 로드(535) 및 개폐블록(535a)을 포함한다.
상기 개폐힌지(531)는 분출홀(51a)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후술하는 회전블록(533)이 개폐힌지(531)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노즐캡(51)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부재와 회전블록(533)과 연결되는 부재가 서로 원통과 원기둥 형상으로 베어링을 통해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블록(533)은 개폐힌지(531)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분출홀(51a)이 구비되는 부분까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연장된다. 회전블록(533)은 분출(51a)의 반대쪽으로 연장된 일단에 소정길이 돌출된 돌출블록(533a)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돌출블록(533a)은 상술한 블록수용홈(35a)에 수용되어 노즐몸체(30)의 회전 시 회전블록(533)이 노즐몸체(3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돌출블록(533a)은 소정의 폭(w1)을 가지되, 블록수용홈(35a)의 폭(D1)보다는 작도록 형성되어 블록수용홈(35a)에 수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드(535)는 회전블록(533)의 일면에서 분출홀(51a)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로드(535)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기둥 형상을 가짐이 바람직하나, 다른 형상을 가져도 무방하며, 로드(535) 일단에 형성되는 개폐블록(535a)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면서 연장될 수도 있다.
상기 로드(535)의 일단에는 분출홀(51a)을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개폐블록(535a)이 형성된다. 상기 개폐블록(535a)은 분출홀(51a)을 충분히 차폐할 수 있는 크기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로드(535)와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개폐블록(535a)은 상기 개폐안내부(511)를 따라 운동할 수 있으며, 개폐블록(535a)이 개폐안내부(511)의 단부, 즉 반원홈(511b)에 걸림에 따라 회전블록(533)의 회전반경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개폐블록(535a)은 직경(D3)이 직선홈(511a)의 폭(D2) 또는 반원홈(511b)의 직경(D2)보다 소정 크기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폐블록(535a)의 직선 부분은, 상기 회전블록(533)이 연장되는 방향과 대략 평행하도록 구비되어 회전블록(533)의 회전에 따라 분출홀(51a)을 온전히 차폐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개폐블록(535a)의 직선 부분이 회전블록(533)과 평행하지 않더라도 회전블록(533)의 회전에 따라 분출홀(51a)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권리범위에서 배제하지는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어셈블리(53)가 회전하여 분출홀이 개폐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 어셈블리(53)는, 도 6 내지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한 쌍으로 형성되며, 분출홀(51a)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개폐힌지(531), 회전블록(533), 로드(535)는 분출홀(51a)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점대칭의 위치에 각각 구비되고, 개폐블록(535a)은 반원 형태로 구비되어 원형의 분출홀(51a)을 차폐할 수 있다. 도 7의 (a)를 참고하면, 분출홀(51a)이 닫혀있는 경우 개폐힌지(531)는 상술한 블록수용홈(35a)이 구비된 가상의 직선 X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회전블록(533)은 각각 소정의 폭을 가지므로,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직선 X로부터 α의 각도를 이루면서 위치한다. 샤프트(30)와 개폐 어셈블리(53)가 회전함에 따라, 도 7의 (b)를 참고하면, 각 회전블록(533)은 개폐힌지(531)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직선 X에 대하여 β의 각도를 가지게 되고(β>α), 개폐힌지(531) 역시 직선X 상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때, 회전블록(533)과 연결된 로드(535)의 일단에 구비된 개폐블록(535a)은 회전블록(533)과 연동되므로 서로 이격되어 분출홀(51a)이 열리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유입부(70)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물 유입부(70)는 바닥분수의 가동시 물이 유입되는 부분으로, 유입관(71)과 밀착너트(73)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관(71)은 샤프트(3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샤프트(31) 내로 물을 유입시키도록 중공을 가지면서 형성되며, 외면에 유입관(71)의 일면을 관통하면서 상기 나선홈(311b)에 수용되는 부재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안내홀(71a)이 형성된다. 또한, 유입관(71)의 상측 일부에는 외면에 나사산(71b)이 형성되어 상기 하판(13)와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됨으로써 유입관(71)과 하우징(10)의 결합이 담보될 수 있다. 또한, 유입관(71)은 내측으로 돌출된 단턱(71c)을 포함하여, 물이 유입되지 않을 시 샤프트의 돌출턱(311a)이 단턱(71c)에 거치된 상태로 존재하도록 한다.
상기 밀착너트(73)는 하우징(10)과 유입관(71)의 결합 후 추가로 나사산(71b) 상에서 유입관(71)과 하우징(10)이 밀착하도록 하며, O-ring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노즐몸체(30)가 물 유입 시 수압에 의해 회전상승함에 따른 각 구성의 변동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물이 유입되지 않을 때와 바닥분수의 가동에 따라 물이 유입되어 수압에 따라 노즐몸체(30)가 회전하며 상승할 때 도 2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C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노즐몸체(30)의 회전에 따라 노즐몸체(30)와 연결된 개폐 어셈블리(53)가 회전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돌출블록(533a)이 회전하면서 블록수용홈(35a)에 걸리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9를 참고하여 개략적인 매커니즘을 설명하면, 하우징(10)의 하판(13) 유입관(71)이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되고, 노즐몸체(30)가 하우징(10)과 유입관(71)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때, 하부샤프트(311)의 돌출턱(311a)은 유입관 내의 단턱(71c) 상에 거치되어 있다. 물이 유입되고 수압에 의한 노즐몸체(30)의 상승 시, 샤프트(31)를 중심으로 샤프트(31), 연장부(33), 벽부(35)가 회전하면서 상승하고, 벽부(35)와 결합된 개폐 어셈블리(53)가 벽부의 회전에 따라 개폐힌지(531)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분출홀이 개방된다.
도 10을 참고하면, 유입관(71)에 형성된 안내홀(71a)을 통해 나선홈(311b)에 수용되는 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나선홈(311b)에 수용되는 부재는 볼트일 수 있다. 상기 볼트가 나선홈(311b)에 수용된 채로 안내홀(71a)에 고정됨에 따라, 나선홈(311b)의 운동반경이 제한된다. 도 10의 (a)에서 물이 유입되지 않을 때는 볼트가 나선홈(311b)의 상부에 위치하나, 도 10의 (b)에서 수압에 의해 하부샤프트(311)가 상승하게 되면, 나선홈(311b)에 의해 하부샤프트(311) 및 하부샤프트(311)와 일체로 연결된 노즐몸체(30)는 나선홈(311b)의 형상대로 회전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상술한 노즐몸체(30)의 회전 상승은 노즐몸체(30)와 연결된 개폐 어셈블리(53)의 운동을 야기한다. 도 11의 (a)에서, 회전블록(533)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돌출블록(533a)은 벽부(35)에 형성된 블록수용홈(35a)에 수용된 상태로 위치하며, 반원형의 개폐블록(535a)이 서로 맞닿아 분출홀을 차폐하는 상태로 존재한다. 노즐몸체(30)가 회전상승하여 도 11의 (b)와 같은 상태가 되면, 블록수용홈(35a)에 수용된 돌출블록(533a)이 움직임에 따라 회전블록이 개폐힌지(531)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 쌍의 회전블록(533)이 서로 이격됨에 따라, 개폐블록(535a)은 개폐안내부(511) 내에서 분출홀(51a)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분출홀(51a)이 열려 물이 분출된다.
도 12의 (a)에 보이는 것과 같이, 소정의 폭(D1)을 갖는 블록수용홈(35a)은, 블록수용홈의 폭보다 작은 폭(w1)을 가지는 돌출블록(533a)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샤프트가 회전하지 않을 시에는 돌출블록(533a)과 블록수용홈(35a)이 대략 수직을 이루면서 정지해 있다. 도 12의 (b)와 같이, 샤프트(30)가 회전하면서 벽부(35)도 회전하게 되면, 벽부의 블록수용홈(35a)은 샤프트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회전블록(533)은 개폐힌지(531)를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회전블록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블록(533a)과 블록수용홈(35a)은 소정의 각도를 이루게 된다. 이때, 돌출블록(533a)이 블록수용홈(35a) 내의 공간에 비스듬히 걸리면서, 블록수용홈(35a) 내를 점유하는 부분의 폭(w2)은 돌출블록(533a)의 폭(w1)보다 크고 블록수용홈(35a)의 폭(D1)과는 상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샤프트의 회전 전에는 블록수용홈(35a)과 돌출블록(533a) 사이에 소정의 여유공간이 있을 수 있고, 샤프트의 회전 시에는 돌출블록(533a)이 블록수용홈(35a)에 완전히 걸려 샤프트의 회전과 개폐 어셈블리의 회전이 온전히 연동될 수 있다.
이때, 노즐몸체(30)가 상승함에 따라 한 쌍의 회전블록(533)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상부샤프트(311)가 수용되는데, 상기 상부샤프트(311)가 회전블록(533) 사이에 수용됨으로써 회전블록이 회전하여 분출홀(51a)이 임의로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바닥분수용 안전노즐
10: 하우징 11: 바디
13: 하판
30: 노즐몸체 31: 샤프트
311: 하부샤프트 313: 상부샤프트
33: 연장부 35: 벽부
35a: 블록수용홈
50: 노즐커버 51: 노즐캡
51a: 분출홀 53: 개폐 어셈블리
531: 개폐 힌지 533: 회전블록
535: 로드 535a: 개폐블록
70: 물 유입부 71: 유입관
73: 밀착너트

Claims (12)

  1. 물을 통과시키는 노즐몸체, 상기 노즐몸체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며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면서 하우징과 결합하며 상기 노즐몸체의 회전에 따라 물 분출을 위해 형성된 분출홀을 개폐시키는 개폐 어셈블리를 가지는 노즐커버 및 중공을 가지는 유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몸체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승강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수직으로 연장되며 중공이 형성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외면을 따라 형성된 나선홈 및 상기 샤프트와 동심으로 형성되는 벽부의 상단으로부터 소정높이 함입형성된 블록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관은 상기 샤프트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되, 유입관의 적어도 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안내홀 및 나선홈에 수용된 채로 안내홀에 고정되는 부재를 포함하여 샤프트가 회전하면서 승강하고,
    상기 개폐 어셈블리는 상기 노즐몸체에 회전에 따라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블록, 상기 회전블록과 연결되어 분출홀을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개폐블록 및 회전블록의 일단에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블록수용홈에 수용되는 돌출블록을 포함하여,
    유입되는 물에 수압으로 인한 상기 노즐몸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분출홀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분수용 안전노즐.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어셈블리는 분출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개폐힌지, 회전블록의 일면에서 상기 분출홀 측으로 연장되는 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블록이 개폐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개폐블록은 상기 로드를 통해 회전블록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분수용 안전노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어셈블리는 한 쌍이 상기 분출홀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구비되고, 상기 개폐블록은 반원 형상을 가져 한 쌍의 개폐블록이 인접할 때 상기 분출홀을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분수용 안전노즐.
  6. 제5항에 있어서, 한 쌍의 회전블록은 노즐몸체가 수압에 의해 상승회전함에 따라 이격되고 상기 회전블록과 연결된 한 쌍의 개폐블록이 이격되어 상기 분출홀을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분수용 안전노즐.
  7. 제6항에 있어서, 노즐몸체는 샤프트의 외면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샤프트와 벽부를 연결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연장부에 의해 연장부로부터 상측으로 소정거리 연장되는 상부샤프트와 연장부 하측의 하부샤프트로 구분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분수용 안전노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샤프트는 수압에 의한 노즐몸체의 상승 시 이격된 한 쌍의 회전블록 사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분수용 안전노즐.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소정 높이에 샤프트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턱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턱은 상기 유입관의 내면에 형성되는 단턱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분수용 안전노즐.
  11. 제5항에 있어서, 블록수용홈은 돌출블록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1폭을 가지고 형성되며, 벽부의 지름 양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분수용 안전노즐.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커버는 분출홀이 형성된 부분 주변으로 일측면이 소정높이 함입된 부분을 통해 개폐블록의 운동을 안내하는 개폐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안내부는 소정의 폭을 가지고 연장되어 함입되는 직선홈과 상기 직선홈의 양단에서 반원 형태로 함입된 반원홈을 포함하며,
    상기 직선홈의 폭은 분출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반원홈의 직경은 직선홈의 폭과 상응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분수용 안전노즐.
KR1020200087622A 2020-07-15 2020-07-15 바닥분수용 안전노즐 KR102262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622A KR102262590B1 (ko) 2020-07-15 2020-07-15 바닥분수용 안전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622A KR102262590B1 (ko) 2020-07-15 2020-07-15 바닥분수용 안전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2590B1 true KR102262590B1 (ko) 2021-06-11

Family

ID=76376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622A KR102262590B1 (ko) 2020-07-15 2020-07-15 바닥분수용 안전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25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9339A (ko) * 2022-02-07 2023-08-16 남순관 자동개폐 기능을 갖는 분수용 안전 노즐 장치
WO2023201972A1 (zh) * 2022-04-22 2023-10-26 福建龙氟化工有限公司 一种电子级氢氟酸制备用的尾气处理装置及处理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130B1 (ko) 2006-07-18 2007-08-29 플러스파운틴(주) 분수용 안전 노즐
KR20090067783A (ko) * 2007-12-21 2009-06-25 대도하이텍 주식회사 분수용 안전노즐
KR101047026B1 (ko) * 2009-02-26 2011-07-06 (주)에이아이펠라스 분수대용 분사노즐의 결합구조
KR20110122357A (ko) * 2010-05-04 2011-11-10 최종필 분수용 안전노즐
KR20190037510A (ko) * 2017-09-29 2019-04-08 김정민 분수용 안전노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130B1 (ko) 2006-07-18 2007-08-29 플러스파운틴(주) 분수용 안전 노즐
KR20090067783A (ko) * 2007-12-21 2009-06-25 대도하이텍 주식회사 분수용 안전노즐
KR101047026B1 (ko) * 2009-02-26 2011-07-06 (주)에이아이펠라스 분수대용 분사노즐의 결합구조
KR20110122357A (ko) * 2010-05-04 2011-11-10 최종필 분수용 안전노즐
KR20190037510A (ko) * 2017-09-29 2019-04-08 김정민 분수용 안전노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9339A (ko) * 2022-02-07 2023-08-16 남순관 자동개폐 기능을 갖는 분수용 안전 노즐 장치
KR102627998B1 (ko) * 2022-02-07 2024-01-23 남순관 자동개폐 기능을 갖는 분수용 안전 노즐 장치
WO2023201972A1 (zh) * 2022-04-22 2023-10-26 福建龙氟化工有限公司 一种电子级氢氟酸制备用的尾气处理装置及处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2590B1 (ko) 바닥분수용 안전노즐
US8056836B2 (en) Swinging switching structure of outlet device
US20200129374A1 (en) Emergency wash system
WO2008115038A1 (en) Safety nozzle for fountain
JP2008536678A (ja) ディスペンス装置
US6484327B2 (en) Toilet valve assembly
US20130140380A1 (en) Vortex atomizing foam pump and refill unit utilizing same
US6247613B1 (en) Spray dispensing device with nozzle closure
RU2256473C2 (ru) Распылительная головка для распылителя, действующего на принципе сжимания емкости
US4930704A (en) Flow controllable spray nozzle
KR20090067783A (ko) 분수용 안전노즐
KR200263793Y1 (ko) 분수용 안전노즐
KR100959386B1 (ko) 분수용 노즐 및 이를 이용한 바닥용 분수
KR20050007211A (ko) 분수용 안전 노즐
CN108699822A (zh) 用于冲水箱的排水配件
KR100975396B1 (ko) 분수용 안전노즐
US5182820A (en) Nozzle mountings
KR102304796B1 (ko) 옥외 지상식 소화전
US5083328A (en) Delivery fitting for hydromassage bath tub
JP5360827B2 (ja) 液体噴出容器
KR102627998B1 (ko) 자동개폐 기능을 갖는 분수용 안전 노즐 장치
KR20090127979A (ko) 분무기
WO2006113685A2 (en) Spray dispensing device with nozzle closure
JPH08332423A (ja) 手動式ディスペンサ−の正立・倒立兼用バルブおよび手動式ディスペンサ−
JP3667422B2 (ja) 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