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891B1 - 탈취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탈취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891B1
KR102627891B1 KR1020180007653A KR20180007653A KR102627891B1 KR 102627891 B1 KR102627891 B1 KR 102627891B1 KR 1020180007653 A KR1020180007653 A KR 1020180007653A KR 20180007653 A KR20180007653 A KR 20180007653A KR 102627891 B1 KR102627891 B1 KR 102627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source unit
deodorizing module
flow path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9328A (ko
Inventor
김지원
신상철
정웅기
정재학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7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891B1/ko
Priority to JP2020539268A priority patent/JP7305657B2/ja
Priority to EP19741653.0A priority patent/EP3744354A4/en
Priority to PCT/KR2019/000779 priority patent/WO2019143191A1/ko
Priority to CN201980003182.9A priority patent/CN111065420A/zh
Publication of KR20190089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328A/ko
Priority to US16/935,462 priority patent/US2020034588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Abstract

본 출원은 탈취 모듈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하게는 건조 기능을 지원하는 세탁기 또는 건조기에 적용되어 탈취 동작을 수행하는 탈취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탈취 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제공되는 광촉매 필터;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제공되며, 상기 광촉매 필터를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원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광촉매 필터는 상기 유로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광원 유닛은 상기 유로의 외측에 위치한다.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탈취 모듈은 세탁기 또는 건조기에 설치되어 탈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탈취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 장치{DEODORIZING MODULE AND EXSICCA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출원은 탈취 모듈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하게는 건조 기능을 지원하는 세탁기 또는 건조기에 적용되어 탈취 동작을 수행하는 탈취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조 기능을 지원하는 세탁기가 일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건조 기능을 지원하는 세탁기는 의복에 부착된 오염 물질을 물과 세제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이후 물에 젖은 의류를 열풍(hot air)을 사용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물에 젖은 의류를 세탁기로부터 꺼내어 건조대에서 별도로 건조시키는 수고를 덜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건조 기능을 지원하는 세탁기는 냄새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세탁기를 오랫동안 청소하지 않아 세탁기 내부에 오염 물질이 축적된 상태에서 건조 기능을 동작시키는 경우, 열풍에 의하여 활성화된 냄새 입자가 의류에 부착되게 된다. 이 경우, 세탁된 의류에서 불쾌한 냄새가 남아있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출원의 목적은 건조 기능을 지원하는 세탁기 또는 건조기에 설치되어 탈취 동작을 수행하는 탈취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탈취 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제공되는 광촉매 필터;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제공되며, 상기 광촉매 필터를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원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광촉매 필터는 상기 유로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광원 유닛은 상기 유로의 외측에 위치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필터와 상기 광원 유닛 사이에 위치하는 투명 부재를 더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상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과 체결되며, 상면이 개방된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광촉매 필터는 상기 개방된 상부 하우징의 상면을 통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에 수납되고, 상기 투명 부재는 상기 개방된 상부 하우징의 하면을 통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에 수납되며, 상기 광원 유닛은 상기 개방된 하부 하우징의 상면을 통하여 상기 하부 하우징에 수납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광촉매 필터의 일면을 고정하는 필터 고정부;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측면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광촉매 필터의 타면이 안착되는 필터 안착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필터 안착부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더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의 하단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투명 부재의 일면과 접촉된 스페이서를 더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단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투명 부재의 타면과 접촉된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광원 유닛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를 더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광원 유닛의 형상에 대응하는 방열홀; 및 상기 광원 유닛에 연결된 전선을 외부로 인출하는 인출홀을 더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유로 내의 공기는 상기 개방된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면을 통하여 상기 광촉매 필터의 일면에 접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광촉매 필터의 타면에 접촉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광원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실장하는 기판을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광원 유닛에 접촉되며, 상기 광원 유닛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 부재를 더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방열 기판이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유로 내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 유닛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광촉매 필터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울어져 배치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유로 내에 배치되며, 상기 광촉매 필터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울어진 유로 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로 가이드의 적어도 일면에는 반사 물질이 코팅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유로 내의 공기는 제1 방향으로 유동하고, 상기 광촉매 필터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유로 내의 공기는 제1 방향으로 유동하고, 상기 광촉매 필터는 상기 제1 방향에 소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배치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광원 유닛은 상기 제1 방향에 소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배치된 상기 광촉매 필터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건조 장치는 내부에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건조 히터; 상기 건조 히터에 의해 가열된 열풍을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유로; 상기 건조 히터에 의해 가열된 열풍을 드럼 내부로 송풍하는 송풍팬; 및 상기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열풍에 대한 탈취 동작을 수행하는 탈취 모듈을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건조 히터와 상기 탈취 모듈은 동시에 구동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건조 히터의 건조 동작이 완료된 후에, 상기 탈취 모듈의 탈취 동작이 수행된다.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탈취 모듈은 세탁기 또는 건조기에 설치되어 탈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탈취 모듈이 유로에 설치된 모습을 간략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탈취 모듈(100)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절취선을 따라 절단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광촉매 필터의 형상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광촉매 필터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상부 하우징을 좀 더 자세히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의 하부 하우징을 좀 더 자세히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기판에 광원이 장착된 모습을 좀 더 자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광원의 구조를 좀 더 자세히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탈취 모듈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탈취 모듈이 유로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a는 방열 부재를 구비한 탈취 모듈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b는 방열 기판을 구비한 탈취 모듈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탈취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a 내지 도 16d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탈취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7은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탈취 모듈이 세탁기에 설치된 일 예를 간략히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탈취 모듈의 효과를 보여주는 실험 결과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탈취 모듈(100)이 유로(10)에 설치된 모습을 간략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탈취 모듈(100)은 건조 기능을 제공하는 세탁기 또는 건조기의 유로(10)에 설치되어, 건조 동작 시에 열풍(hot air)에 의하여 용출된 냄새 입자를 광촉매 반응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탈취 모듈(100)은 광촉매 필터(110) 및 광원 유닛(140)을 포함한다.
광촉매 필터(110)는 유로(10)의 내측에 위치하며, 광촉매 물질이 코팅되거나 흡착되어 있다. 광촉매 필터(110)는 유로(10)를 흐르는 공기의 진행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며, 이에 따라 공기는 광촉매 필터(110)와 넓은 면적에 걸쳐 접촉될 수 있다.
광원 유닛(140)은 유로(10)의 외측에 위치하며, 광촉매 필터(110)를 향하여 광을 조사한다. 예를 들어, 광원 유닛(140)은 자외선 파장 대역의 광을 출사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자외선을 출사하는 광원으로는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 예에 있어서, 광촉매 필터(110)의 광촉매 물질은 광원 유닛(140)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촉매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광촉매와 접촉하는 공기 내의 각종 오염 물질, 특히 냄새 입자를 산화 및 환원하여 분해시킬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일반적인 세탁기 또는 건조기에서 건조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열풍(hot air)에 의하여 세탁기 또는 건조기 내의 오염물질로부터 냄새 입자가 용출되고, 이러한 활성화된 냄새 입자가 의류에 부착되어 건조 동작이 완료된 의류에 불쾌한 냄새가 남아 있을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탈취 모듈(100)은 건조 동작 수행 시에 열풍(hot air)에 의하여 활성화된 냄새 입자를 제거함으로써, 세탁된 의류에 불쾌한 냄새가 잔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탈취 모듈(100)은 유로(10)의 내측에 광촉매 필터(110)를 위치시키고, 유로(10)의 외측에 광원 유닛(140)을 위치시킨다. 따라서, 유로(10)를 흐르는 공기에 포함된 물 분자가 광원 유닛(140)으로 침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온의 기류(hot air)에 의하여 광원 유닛(140)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탈취 모듈(100)은 투명 부재(130)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투명 부재(130)는 광원 유닛(14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투과하는 재질로 형성된다. 투명 부재(130)는 광원 유닛(140)과 광촉매 필터(110) 사이에 위치하며, 광원 유닛(140)을 광촉매 필터(110)로부터 차단한다. 이에 따라 유로(10)를 흐르는 고온의 기류 및 물 분자가 광촉매 필터(110)를 통하여 광원 유닛(140)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여, 광원 유닛(140)이 보호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탈취 모듈(100)을 좀 더 자세히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은 각각 탈취 모듈(100)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절취선(Ⅰ-Ⅰ')을 따라 절단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탈취 모듈(100)은 광촉매 필터(110), 상부 하우징(120), 투명 부재(130), 광원 유닛(140) 및 하부 하우징(150)을 포함한다.
광촉매 필터(110)는 광촉매 물질이 코팅되거나 흡착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촉매 필터(110)는 다공성의 세라믹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광촉매 필터(110)는 종이 재질, 패브릭 재질 및/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광촉매 필터(110)는 니켈(Ni), 철(Fe), 알루미늄(Al), 크롬(Cr), 스테인리스 등을 포함하는 금속 폼(foam)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광촉매 필터(110)의 표면은 광촉매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광촉매 필터(110)의 광촉매 물질은 광원 유닛(140)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촉매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광촉매와 접촉하는 공기 내의 각종 오염 물질 및 냄새 입자 등을 산화 및 환원하여 분해시킨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광촉매는 밴드갭(band gap) 에너지 이상의 광에 노출될 때, 전자와 정공이 생성되는 촉매 반응을 일으킨다. 이에 따라 공기 내의 화합물, 예를 들어, 물이나 유기 물질이 분해되어 수산기 라디칼(Hydroxy Radical)이 형성될 수 있다. 수산기 라디칼은 산화력이 매우 강한 물질로서, 공기 내의 오염 물질을 분해하거나 세균을 살균한다. 이러한 광촉매 물질로는 산화티탄(TiO2), 산화아연(ZnO), 산화주석(SnO2) 등을 들 수 있다.
광촉매의 표면에서 생성된 정공과 전자는 재결합 속도가 대단히 빠르기 때문에 광화학 반응에 이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Pt, Ni, Mn, Ag, W, Cr, Mo, Zn 등의 금속 또는 그것들의 산화물을 첨가하여 정공과 전자의 재결합 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다. 정공과 전자의 재결합 속도가 지연되는 경우 산화 및/또는 분해시키고자 하는 대상 물질과의 접촉 가능성이 증가하며, 그 결과 반응도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광촉매 물질의 밴드갭(band gap)을 제어함으로써 광촉매의 개선된 활성도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광촉매 반응을 이용하면 공기를 살균, 정화, 탈취 처리 등을 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20)은, 제1 방향(D1)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되고 측면의 일부가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상부 하우징(120)은 탈취 모듈(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또한, 상부 하우징(120)은 광촉매 필터(110) 및 투명 부재(130)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투명 부재(130)는 상부 하우징(120)에 수납되며, 상부 하우징(12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부재(130)가 안착될 상부 하우징(120)의 하면이 사각형의 개구부 형상인 경우, 투명 부재(130)는 상부 하우징(120)의 하면의 형상과 같이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투명 부재(130)의 형상은 상부 하우징(120)이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투명 부재(130)는 광촉매 필터(110)와 광원 유닛(140) 사이에 배치되어 광촉매 필터(110)와 광원 유닛(140)을 서로 차단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촉매 필터(110)가 유로(10) 내에 위치하는 경우, 광촉매 필터(110)를 통하여 고온의 기류 및/또는 물 분자가 광원 유닛(140)으로 침투할 수 있다. 광촉매 필터(110)를 통하여 고온의 기류 및/또는 물 분자가 광원 유닛(140)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투명 부재(130)는 투명 부재(130)는 광촉매 필터(110)와 광원 유닛(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촉매 필터(110)와 광원 유닛(140)이 서로 차단된다.
계속해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광원 유닛(140)은 하부 하우징(150) 내에 배치되며, 광촉매 필터(110)를 향하여 광을 조사한다. 광원 유닛(14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파장 대역은 광촉매 필터(110)에 제공되는 광촉매 물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광원 유닛(140)은 광촉매 물질에 따라 파장 대역 중 일부만을 출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 유닛(140)은 자외선 파장 대역의 광을 출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광원 유닛(140)은 약 100나노미터 내지 약 420나노미터 파장 대역의 광을 출사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광원 유닛(14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파장 대역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을 출사하기 위해, 광원 유닛(140)은 광을 출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은 광촉매 물질과 반응하는 파장 대역의 광을 출사하는 것이라면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광원 유닛(140)이 자외선 파장 대역의 광을 출사하는 경우, 자외선을 출사하는 다양한 광원이 사용될 수 있다. 자외선을 출사하는 광원으로는 대표적으로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광원 유닛(140)이 그 이외의 파장 대역의 광을 출사하는 경우, 공지된 다른 광원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부 하우징(150)은, 제1 방향(D1)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에는 홀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하부 하우징(150)은 상부 하우징(120)과 함께 탈취 모듈(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또한, 하부 하우징(150)은 광원 유닛(140)이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도 5 및 도 6은 도 3의 광촉매 필터(110)를 좀 더 자세히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도 3의 광촉매 필터(110)의 형상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광촉매 필터(110)의 다른 실시 예들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광촉매 필터(110)는 복수의 관통 홀들(111)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관통 홀들(111) 각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개구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관통 홀들(111)은 격자 구조와 같이 규칙적인 배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광촉매 필터(150)의 모양, 크기, 구조 및 배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촉매 필터(110_1)의 관통 홀들(111_1)은 원형의 개구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관통 홀들(111_1)은 원형의 둘레를 따라 외부 압력을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때문에 강성이 좋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관통 홀들(111-1)이 원형의 개구부 형태로 형성된 경우, 동일한 면적에 가능한 많은 관통 홀들(111_1)을 형성함으로써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원형의 관통 홀들(111_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zigzag)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원형의 관통 홀들(111_1)은 격자 구조 또는 병렬 구조와 같이 규칙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촉매 필터(110_2, 110_3)는 복수 개의 비드들을 소결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광촉매 필터(110_2, 110_3)의 소결된 비드들 사이에는 포어들(111_2~111_4)이 위치할 수 있다.
공기는 포어들(111_2~111_4)을 통해 광촉매 필터(110_2, 110_3)의 일측으로부터 다른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포어들(111_2~111_4)의 밀도에 따라 공기와 광촉매 필터(110_1, 110_2)의 접촉 면적이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촉매 필터(110_2, 110_3)를 형성하는 비드들의 크기 및 소결 공정에서의 조건이 조절될 수 있으며, 그 결과 포어들(111_2~111_4)은 다양한 크기와 분포를 가질 수 있다.
즉, 포어들(111_2~111_4)의 크기에 대한 배치는 공기의 이동 속도, 광촉매와의 반응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의 도 16a와 같이, 공기가 광촉매 필터(110)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유동하는 경우, 공기가 머무르는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포어들(111_2~111_4)의 크기와 밀도를 순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포어들 중 일부에 대해서만 도시되었으며, 그 형태도 구형으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실제 포어들은 도시된 것보다 높은 밀도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각 포어마다 크기나 형상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상부 하우징(120)을 좀 더 자세히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부 하우징(120)은 제1 몸체부(121) 및 제2 몸체부(122)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몸체부(121)는 제1 방향(D1)에서 볼 때,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제1 몸체부(121)의 개방된 상면을 통하여, 광촉매 필터(110)가 수납될 수 있다. 제1 몸체부(121)에는 필터 고정부(121_1), 필터 안착부(121_2), 필터 파지홈(121_3), 개구부(121_4), 리브(121_5) 등이 형성되어 있다.
필터 고정부(121_1)는 제1 몸체부(121)로 수납된 광촉매 필터(110)가 외부로 탈출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필터 고정부(121_1)는 제1 몸체부(121)의 양 측면에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되, 제1 및 제3 방향(D1, D3)을 따라 돌출된 후크 형태로 형성된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광촉매 필터(11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면, 필터 고정부(121_1)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필터 안착부(121_2)는 제1 몸체부(121)로 수납된 광촉매 필터(110)를 지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한다. 필터 안착부(121_2)는 제1 몸체부(121)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광촉매 필터(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면, 필터 안착부(121_2)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필터 파지홈(121_3)은 광촉매 필터(110)를 장착하거나 교체할 때에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제1 몸체부(121)에 수납된 광촉매 필터(110)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킨다. 필터 파지홈(121_3)은, 예를 들어, 제1 몸체부(121)의 양 측면에 서로 대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21_4)는 제1 몸체부(121)의 하단,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필터 안착부(121_2)의 하단에 서로 대향하여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촉매 필터(110)가 수납된 경우에도 개구부(121_4)는 광촉매 필터(110)에 의하여 차단되지 않고, 제2 방향(D2)으로 관통된 구조를 갖는다.
한편, 리브(121_5)는 개구부(121_4) 내에 형성되며, 제1 몸체부(12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에서는, 3개의 리브(121_5)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 몸체부(12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면, 리브(121_5)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계속해서 도 7을 참조하면, 제2 몸체부(122)는 제1 방향(D1)에서 볼 때,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제2 몸체부(122)의 개방된 하면을 통하여, 투명 부재(130)가 수납될 수 있다.
제2 몸체부(122)의 제2 및 제3 방향(D2, D3)으로의 길이는 제1 몸체부(121)보다 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몸체부(122)로 삽입되는 투명 부재(130)의 제2 및 제3 방향(D2, D3)으로의 길이는 제1 몸체부(121)로 삽입되는 광촉매 필터(110)보다 길 수 있다. 따라서, 제2 몸체부(122)에 수납되는 투명 부재(130)의 크기는 제1 몸체부(121)에 수납되는 광촉매 필터(110)보다 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물 분자가 광촉매 필터(110)를 통하여 광원 유닛(140)으로 침투하는 것을 좀 더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제2 몸체부(122)에는 스페이서(122_1), 하우징 체결부(122_2) 및 유로 체결부(122_3)가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122_1)는 단턱으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 몸체부(122)의 하면을 통하여 수납된 투명 부재(130)는 스페이서(122_1)와 접촉하며, 투명 부재(130)는 스페이서(122_1)에 의하여 단턱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다.
하우징 체결부(122_2)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부 하우징(120)과 하부 하우징(150)을 서로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체결부(122_2)는 제2 몸체부(122)의 양 측면에서 서로 대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체결부(122_2)는, 예를 들어, 그 중앙에 체결 홀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로 체결부(122_3)는 제2 방향(D2)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 체결부(122_3)는 제2 몸체부(122)의 양 측면에서 서로 대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하부 하우징(150)을 좀 더 자세히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하부 하우징(150)은 상면이 개방된 제3 몸체부(151)를 포함하며, 제3 몸체부(151)에는 개방된 상면을 통하여 광원 유닛(140)이 수납된다. 제3 몸체부(151)에는 단턱(152), 스페이서(153), 고정돌기(154), 기판 고정부(155), 방열홀(156), 인출홀(157) 및 하우징 체결돌기(158)가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153)는 제1 방향(D1)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스페이서(153)는 상부 하우징(120)의 스페이서(122_1)와 함께 투명 부재(130)에 접촉한다. 하부 하우징(150)과 상부 하우징(120)을 체결하는 경우, 하부 하우징(150)의 스페이서(153)와 상부 하우징(120)의 스페이서(122_1)는 서로 마주본 상태에서 투명 부재(130)를 향하여 서로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투명 부재(130)는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된다.
고정돌기(154)는 제1 방향(D1)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광원 유닛(140)의 고정홈(144, 도 9 참조)에 대응하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고정돌기(154)가 광원 유닛(140)의 고정홈(144)에 결함됨으로써, 광원 유닛(140)이 하부 하우징(15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 고정돌기(154)는 2개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광원 유닛(14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면, 고정돌기(154)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기판 고정부(155)는 제1 및 제2 방향(D1, D2)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기판 고정부(155)는 광원 유닛(140)의 기판(141, 도 9 참조)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7에서, 기판 고정부(155)는 2개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광원 유닛(140)의 기판(141)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면, 기판 고정부(155)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방열홀(156)은 탈취 모듈(100) 동작 시에 광원 유닛(140)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방열홀(156)은 제1 방향에서 볼 때, 하부 하우징(150)의 하면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방열홀(156)은, 예를 들어, 광원 유닛(140)의 기판(14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기판(141)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광원 유닛(140)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만 있다면, 방열홀(156)의 형태 및 형성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인출홀(157)은 광원 유닛(140)의 커넥터(143)에 연결된 전선을 외부로 인출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인출홀(157)은, 예를 들어, 제1 방향에서 볼 때, 하부 하우징(150)의 하면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 체결돌기(158)는 제3 방향(D3)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하우징 체결돌기(158)는 상부 하우징(120)의 하우징 체결부(122_2)와 결합하여, 하부 하우징(150)과 상부 하우징(120)을 서로 체결한다.
도 9 내지 도 10은 광원 유닛(140)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9는 기판(141)에 광원(142)이 장착된 모습을 좀 더 자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0a 및 도 10b는 광원(142)의 구조를 좀 더 자세히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광원 유닛(140)은 기판(141), 광원(142), 커넥터(143), 고정홈(144) 및 방열홀(145)을 포함한다..
기판(141)의 상면에는 광원(142)이 실장된다. 기판(141)의 일측에는 광원(14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143)가 형성된다. 기판(141)의 양 측에는 기판(141)을 하부 하우징(150)에 고정시킬 때에 고정돌기(154, 도 8 참조)를 통과시키기 위한 고정홈(144)이 형성된다.
기판(141)의 중앙에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홀(145)이 형성된다. 기판(141)은, 예를 들어, 방열 기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기판(141)은 인쇄 회로 기판일 수도 있다.
광원(142)은 기판(141)의 상면에 실장되며, 광촉매 필터(110)를 향하여 광을 방출한다. 도 9에서는, 예시적으로, 기판(141)의 상면에 세 개의 광원(142)이 실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광원(142)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판(141)의 상면에는 하나의 광원이 실장될 수도 있다.
광원 유닛(140)가 복수 개의 광원들(142)을 포함하는 경우, 각 광원은 동일한 파장 대역의 광을 출사하거나, 서로 다른 파장 대역의 광을 출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광원은 모두 자외선 파장 대역의 광을 출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일부 광원들은 자외선 파장 대역 중 일부를 출사하고, 나머지 광원들은 자외선 파장 대역 중 다른 파장 대역의 일부를 출사할 수 있다.
광원들이 서로 다른 파장 대역을 갖는 경우, 광원들은 다양한 순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파장 대역의 광을 출사하는 광원을 제 1 광원이라 하고, 제 1 파장 대역과 다른 제 2 파장 대역의 광을 출사하는 광원을 제 2 광원이라고 하면, 제 1 광원과 제 2 광원이 서로 교번하여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 광원(142)은 내부의 칩을 보호하는 렌즈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원(142)은 렌즈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다른 예로, 기판(141)에 실장된 복수의 광원들(142) 중에서 일부는 렌즈를 구비하고, 다른 일부는 렌즈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0a에서는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원(142)에 사용되는 칩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b에서는 도 10의 절취선 A-B-B'-A'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원(142)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 활성층(1112)과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13)을 포함하는 메사(M), 제1 절연층(1130), 제1 전극(1140), 및 제2 절연층(11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성장 기판(1100) 및 제2 전극(1120)을 포함할 수 있다.
성장 기판(1100)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 활성층(1112),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13)을 성장시킬 수 있는 기판이면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사파이어 기판, 실리콘 카바이드 기판, 질화갈륨 기판, 질화알루미늄 기판, 실리콘 기판 등일 수 있다. 성장 기판(1100)의 측면은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활성층(1112)에서 생성된 광의 추출이 개선될 수 있다.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13)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활성층(1112)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 활성층(1112),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13)은 Ⅲ-Ⅴ 계열 화합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Al, Ga, In)N과 같은 질화물계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은 n형 불순물(예를 들어, Si)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13)은 p형 불순물(예를 들어, Mg)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 반대일 수도 있다. 활성층(1112)은 다중양자우물구조(MQM)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142)에 순방향 바이어스가 가해지면 활성층(1112)에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하면서 빛을 방출하게 된다.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 활성층(1112),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13)은 금속유기화학 기상증착(MOCVD) 또는 분자선에피택시(MBE)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성장 기판(1100) 상에 성장될 수 있다.
광원(142)은 활성층(1112)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13)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사(M)를 포함할 수 있다. 메사(M)는 복수개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돌출부들 사이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원(142)은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메사(M)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사(M)의 측면은 포토레지스트 리플로우와 같은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경사진 메사(M)의 측면은 활성층(112)에서 생성된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은 메사(M)를 통해 노출되는 제1 컨택 영역(R1) 및 제2 컨택 영역(R2)을 포함할 수 있다. 메사(M)는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 상에 배치된 활성층(1112)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13)을 제거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메사(M)를 제외한 부분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의 노출된 상면인 컨택 영역이 된다. 제1 전극(1140)은 제1 컨택 영역(R1) 및 제2 컨택 영역(R2)과 접함으로써,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제1 컨택 영역(R1)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의 외곽을 따라 메사(M) 주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메사(M)와 광원(142)의 측면 사이에서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의 상면 외곽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2 컨택 영역(R2)은 메사(M)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제2 컨택 영역(R2)의 장축 방향의 길이는 광원(142)의 일 변 길이의 0.5배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극(1140)과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이 접하는 영역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제1 전극(1140)에서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으로 흐르는 전류가 더욱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어서, 순방향 전압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제2 전극(1120)은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13) 상에 배치되며,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13)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제2 전극(1120)은 메사(M) 상에 형성되며, 메사(M)의 형상을 따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전극(1120)은 반사 금속층(1121)을 포함하며, 나아가 장벽 금속층(11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장벽 금속층(1122)은 반사 금속층(1121)의 상면 및 측면을 덮을 수 있다. 예컨대, 반사 금속층(1121)의 패턴을 형성하고, 그 위에 장벽 금속층(1122)을 형성함으로써, 장벽 금속층(1122)이 반사 금속층(1121)의 상면 및 측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 금속층(1121)은 Ag, Ag 합금, Ni/Ag, NiZn/Ag, TiO/Ag층을 증착 및 패터닝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장벽 금속층(1122)은 Ni, Cr, Ti, Pt, Au 또는 그 복합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2 도전형 반도체층(1113) 상면에 순차적으로 Ni/Ag/[Ni/Ti]2/Au/Ti으로 형성된 복합층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제2 전극(1120)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는 300Å 두께의 Ti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1120)의 상면 중 제1 절연층과 접하는 영역이 Ti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절연층(1130)과 제2 전극(1120)의 접착력이 개선되어, 광원(142)의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제2 전극(1120) 상에 전극 보호층(116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전극 보호층(1160)은 제1 전극(1140)과 동일한 재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제1 절연층(1130)은 제1 전극(1140)과 메사(M)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130)을 통해, 제1 전극(1140)과 메사(M)가 절연될 수 있으며, 제1 전극(1140)과 제2 전극(1120)이 절연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130)은 제1 컨택 영역(R1) 및 제2 컨택 영역(R2)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절연층(1130)은 개구부(1130a)를 통해 제2 컨택 영역(R2)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으며, 제1 절연층(1130)이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의 외곽과 메사(M) 사이에서 제1 컨택 영역(R1)의 일부 영역만을 덮어, 제1 컨택 영역(R1)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130)이 제2 컨택 영역(R2) 상에서, 제2 컨택 영역(R2)의 외곽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동시에, 제1 절연층(1130)은 제1 컨택 영역(R1)과 제1 전극(1140)이 접하는 영역보다 메사(M)에 인접하게 한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130)은 제2 전극(1120)을 노출시키는 개구부(1130b)를 가질 수 있다. 개구부(1130b)를 통해 제2 전극(1120)은 패드 또는 범프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제1 컨택 영역(R1)과 제1 전극(140)이 접하는 영역이 제1 도전형 반도체층 상면의 전 외곽을 따라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컨택 영역(R1)과 제1 전극(1140)이 접하는 영역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의 네 측면과 모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메사(M)를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극(1140)과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이 접하는 영역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제1 전극(1140)에서 제1 도전형 반도체층(1111)으로 흐르는 전류가 더욱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어서, 순방향 전압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광원(142)의 제1 전극(1140) 및 제2 전극(1120)은 직접 혹은 패드를 통하여 기판(141)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142)이 패드를 통하여 기판(141)에 실장되는 경우, 광원(142)과 기판(141) 사이에 배치된 두 개의 패드가 제공될 수 있으며, 두 개의 패드 각각은 각각 제1 전극(1140) 및 제2 전극(1120)에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드는 솔더 또는 유테틱 메틸(Eutectic Metal) 일 수 있으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유테틱 메탈로 AuSn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광원(142)이 직접 기판(141)에 실장되는 경우, 광원(142)의 제1 전극(1140) 및 제2 전극(1120)이 직접 기판(141) 상의 배선에 본딩될 수 있다. 이 경우, 본딩 물질은 도전 성질을 갖는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딩 물질은 은(Ag), 주석(Sn), 구리(Cu)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딩 물질은 도전성을 갖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탈취 모듈(100)은 세탁기, 드럼 세탁기 또는 건조기의 유로(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광촉매 반응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탈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탈취 모듈(100)의 구조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탈취 모듈(100)은 다양하게 변경 및 응용되어, 유로(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탈취 모듈의 적용 예 및 응용 예들이 좀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탈취 모듈(100_1)을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탈취 모듈(100_1)이 유로(10)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의 탈취 모듈(100_1)은 도 1 내지 도 10의 탈취 모듈(100)과 유사하다. 따라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여 표기되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이하 생략될 것이다.
도 11의 탈취 모듈(100_1)은 도 1 내지 도 10의 탈취 모듈(100)에 비하여 좀 더 큰 개구부(121_4a)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 11의 탈취 모듈(100_1)의 리브(121_5a)의 길이(A)는 도 1 내지 10의 탈취 모듈(100)의 리브(121_5)에 비하여 좀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러브(121_5a)의 길이는 유로(10)의 내측면(12)의 직경의 1/4 이상 3/4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취 모듈(100_1)의 광촉매 필터(110)는 유로(1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탈취 모듈(100)의 광촉매 필터(110)가 유로(10)의 내측면(12)에 인접하게 위치하는데 반하여, 도 12에 도시된 탈취 모듈(100_1)의 광촉매 필터(110)는 유로(10)의 내측면(12)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하여 위치한다.
이 때, 탈취 모듈(100_1)의 개구부들(121_5a)이 공기 이동 통로를 형성하기 때문에, 유로(10) 내의 공기는 광촉매 필터(110)의 양 측면에 접촉하면서 흐를 수 있다. 결국, 유로(10) 내의 공기가 광촉매 필터(110)와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탈취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탈취 모듈(100_2)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3a는 방열 부재(160)를 구비한 탈취 모듈(100_2)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3b는 방열 기판(141_1)을 구비한 탈취 모듈(100_2)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의 탈취 모듈(100_2)은 도 1 내지 도 10의 탈취 모듈(100)과 유사하다. 따라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여 표기되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이하 생략될 것이다.
도 13의 탈취 모듈(100_2)은 도 1 내지 도 10의 탈취 모듈(100)에 비하여 광원 유닛(140)에서 발행한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 구조를 더 구비한다.
예를 들어,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취 모듈(100_2)은 광원 유닛(140)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 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열 부재(160)는, 예를 들어,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도전판일 수 있으며, 광원 유닛(140)의 열을 분산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취 모듈(100_2)의 광원 유닛(140)은 방열 기판(141_1)을 구비할 수도 있다. 즉, 탈취 모듈(100_2)의 광원들(142)은 방열 기판(141_1) 상에 실장될 수 있다.
방열기판(141_1)은, 예를 들어, 세라믹 재질의 상부 절연기판(11)과 하부 절연기판(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절연기판(11)과 하부 절연기판(12)은 상하로 적층될 수 있으며, 상기 절연기판들의 적층에는 접착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상부 절연기판(11)의 상면에는 상부 도전패턴(13)이 형성되고, 하부 절연기판(12)의 하면에는 하부 도전패턴들(1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절연기판(11)과 하부 절연기판(12) 사이에는 중간 도전패턴(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도전패턴(13), 중간 도전패턴(14) 및 하부 도전패턴(15)은 Au 또는 Ag 등의 금속을 재질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취 모듈(100_2)이 방열 구조를 더 구비함으로써, 광원 유닛(140)의 작동에 의한 온도 증가 또는 유로(10) 내 열풍(hot air)에 의한 온도 증가로부터 광원 유닛(140)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탈취 모듈(100_3, 100_4)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4는 반사판(170)을 포함하는 탈취 모듈(100_3)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5는 반사 물질이 코팅된 유로 가이드(170_1)를 포함하는 탈취 모듈(100_4)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의 탈취 모듈(100_3, 100_4)은 도 1 내지 도 10의 탈취 모듈(100)과 유사하다. 따라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여 표기되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이하 생략될 것이다.
먼저, 도 14를 참조하면, 탈취 모듈(100_3)은 광원 유닛(140)으로부터 출사된 자외선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판(170)을 더 포함한다. 반사판(170)은, 예를 들어, 반사율이 높은 물질(예를 들어, 스텐레스, 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테프론 등)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반사판(170)은, 유로(10)의 내측면(12)에 반사율이 높은 물질을 코팅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반사판(170)은 광원 유닛(140)으로부터 출사된 자외선을 반사시켜, 광촉매 필터(110)로 향하도록 한다. 따라서, 자외선이 유로(10)의 내측면(12)에 부딪쳐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탈취 모듈(100)의 탈취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탈취 모듈(100_4)은 유로(10) 내의 공기를 광촉매 필터(110) 방향으로 유도하는 유로 가이드(170_1)를 구비하되, 상기 유로 가이드(170_1)의 일면에 반사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 가이드(170_1)는 광촉매 필터(110) 방향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져 배치되어 유로(10) 내의 공기를 광촉매 필터(110) 방향으로 유도하되, 광촉매 필터(110)를 마주보는 유로 가이드(170_1)의 일면에는 반사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로 가이드(170_1)는 광원 유닛(140)으로부터 출사된 자외선을 반사시킬 뿐만 아니라, 유로(10) 내의 공기를 광촉매 필터(110) 방향으로 유도한다. 따라서 더욱 많은 공기가 광촉매 필터(110)와 접촉함으로써, 탈취 모듈(100_4)의 탈취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유로 가이드(170_1)가 도 15와 같이 광촉매 필터(110) 방향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져 배치된 경우, 공기가 유입되는 개구부(121_5b)의 면적은 공기가 토출되는 개구부(121_5c)의 면적보다 크며, 이에 따라 광촉매 필터(110)로 유도된 공기가 머무르는 시간이 증가한다. 따라서, 공기와 광촉매 필터(110)의 반응 시간이 늘어나 탈취 모듈(100_4)의 탈취 효율이 더욱 증가될 수 있다.
한편, 도 15에서는, 탈취 모듈(100_4)은 반사 물질이 코팅된 유로 가이드(170_1)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탈취 모듈(100_4)은 반사 물질이 코팅된 유로 가이드를 대신하여 반사판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반사판이 유로 가이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6a 내지 도 16d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탈취 모듈(100_5~100_8)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6a 내지 도 16d의 탈취 모듈(100_5~100_8)은 도 1 내지 도 10의 탈취 모듈(100)과 유사하다. 따라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여 표기되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이하 생략될 것이다.
먼저, 도 16a를 참조하면, 탈취 모듈(100_5)은 광촉매 필터(110_1)를 구비하되, 광촉매 필터(110_1)는 공기의 유동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 경우, 유로(10) 내의 공기는 모두 광촉매 필터(110_1)에 형성된 관통 홀들을 통과하여 흐르며, 이에 따라 광촉매 필터(110_1)와 접촉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6b를 참조하면, 탈취 모듈(100_6)의 광촉매 필터(110_2)는 공기의 유동 방향에 소정 각도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촉매 필터(110_2)의 기울어진 각도는 광원 유닛(14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지향각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로(10) 내의 공기가 모두 광촉매 필터(110_2)를 통과할 뿐만 아니라, 광촉매 필터(110_2)에 충분한 양의 광이 조사되어, 탈취 모듈(100_6)의 탈취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도 16c를 참조하면, 탈취 모듈(100_7)의 광촉매 필터(110_3)가 공기의 유동 방향에 소정 각도 기울어져 배치되며, 광원 유닛(140_1)은 광촉매 필터(110_3)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광촉매 필터(110_3)에 더욱 많은 양의 광이 조사되어, 탈취 모듈(100_7)의 탈취 효율이 더욱 증가될 수 있다
도 16d를 참조하면, 탈취 모듈(100_8)은 광촉매 필터(110_4)를 구비하되, 광촉매 필터(110_4)는 그 단면이 반원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촉매 필터(110_4)는 종이 재질, 패브릭 재질 또는 금속 폼을 재질로 하여, 그 단면이 반원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광촉매 필터(110_1)와 접촉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하여, 탈취 모듈(100_8)의 탈취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도 17은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탈취 모듈(100)이 세탁기(1000)에 설치된 일 예를 간략히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건조 기능을 지원하는 세탁기(1000)가 제공된다. 세탁기(1000)는, 설명의 편의상, 드럼 세탁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일반 세탁기, 건조기 등이 제공될 수도 있다.
세탁기(1000)는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1100), 터브(1100)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내부에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1200), 상기 드럼(1200)을 차폐하는 도어(1300),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1400), 상기 드럼(120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건조 히터(1500), 상기 건조 히터(1500)에 의해 가열된 열풍을 드럼(1200) 내부로 공급하는 유로(10), 상기 건조 히터(1500)에 의해 가열된 열풍을 드럼(1200) 내부로 강제 송풍하는 송풍팬(1600), 세탁수를 외부로 도출하는 세탁수 토출부(1700)를 포함한다. 유로(10)의 열풍 토출구(10a)는 드럼(1200) 전방에 위치하고, 유로(10)의 습공기 회수구(10b)는 드럼(1200) 후방에 위치한다.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탈취 모듈(100)은 유로(10)에 설치된다. 이 경우, 탈취 모듈(100)은 세탁수가 광원 유닛(140)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세탁수 토출부(1700)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탈취 모듈(100)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히터(1500)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탈취 모듈(100)은 건조 히터(1500)의 전방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탈취 모듈(100)을 건조 기능을 지원하는 세탁기(1000)의 유로(10) 내에 설치함으로써, 세탁 및 건조된 의류에 대해 탈취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8은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탈취 모듈(100)의 효과를 보여주는 실험 결과이다.
먼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탈취 모듈(100)을 구비하였을 때에, 탈취 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건조 히터(1500)와 탈취 모듈(100)을 동시에 구동하였을 때에, 탈취 효율이 가장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탈취 모듈(100)과 건조 히터(1500)가 동시에 구동되도록 세탁기(100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 경우, 열풍(hot air)에 의하여 탈취 모듈(100)의 광원 유닛(140)이 손상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탈취 모듈(100)이 추가적인 방열 구조(도 13a, 도 13b 참조)를 구비할 때에만, 탈취 모듈(100)과 건조 히터(1500)를 동시에 구동하도록 세탁기(10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어, 탈취 모듈(100)이 추가적인 방열 구조를 구비하지 않는다면, 건조 히터(1500)에 의한 건조 동작이 수행된 후에 탈취 모듈(100)에 의한 탈취 동작이 수행되도록 세탁기(10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유로
100: 탈취 모듈
110: 광촉매 필터
120: 상부 하우징
130: 투명 부재
140: 광원 유닛
150: 하부 하우징

Claims (22)

  1. 유로에 설치되는 탈취 모듈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제공되는 광촉매 필터;
    상기 하우징 내에 제공되며, 상기 광촉매 필터를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원 유닛; 및
    상기 광촉매 필터와 상기 광원 유닛 사이에 위치하는 투명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광촉매 필터는 상기 유로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광원 유닛은 상기 유로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투명 부재는 상기 유로를 흐르는 공기로부터 상기 광원 유닛을 보호하는, 탈취 모듈.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상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과 체결되며, 상면이 개방된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광촉매 필터는 상기 개방된 상부 하우징의 상면을 통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에 수납되고,
    상기 투명 부재는 상기 개방된 상부 하우징의 하면을 통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에 수납되며,
    상기 광원 유닛은 상기 개방된 하부 하우징의 상면을 통하여 상기 하부 하우징에 수납되는, 탈취 모듈.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광촉매 필터의 일면을 고정하는 필터 고정부;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측면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광촉매 필터의 타면이 안착되는 필터 안착부를 포함하는, 탈취 모듈.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필터 안착부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더 포함하는, 탈취 모듈.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의 하단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투명 부재의 일면과 접촉된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탈취 모듈.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단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투명 부재의 타면과 접촉된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탈취 모듈.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광원 유닛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탈취 모듈.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광원 유닛의 형상에 대응하는 방열홀; 및
    상기 광원 유닛에 연결된 전선을 외부로 인출하는 인출홀을 더 포함하는, 탈취 모듈.
  10.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내의 공기는 상기 개방된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면을 통하여 상기 광촉매 필터의 일면에 접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광촉매 필터의 타면에 접촉하는, 탈취 모듈.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실장하는 기판을 포함하는, 탈취 모듈.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유닛에 접촉되며, 상기 광원 유닛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 부재를 더 포함하는, 탈취 모듈.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방열 기판인, 탈취 모듈.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내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 유닛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탈취 모듈.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광촉매 필터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울어져 배치된, 탈취 모듈.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내에 배치되며, 상기 광촉매 필터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울어진 유로 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로 가이드의 적어도 일면에는 반사 물질이 코팅된, 탈취 모듈.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내의 공기는 제1 방향으로 유동하고,
    상기 광촉매 필터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탈취 모듈.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내의 공기는 제1 방향으로 유동하고,
    상기 광촉매 필터는 상기 제1 방향에 소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배치된, 탈취 모듈.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유닛은 상기 제1 방향에 소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배치된 상기 광촉매 필터에 평행하게 배치된, 탈취 모듈.
  20. 내부에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건조 히터;
    상기 건조 히터에 의해 가열된 열풍을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유로;
    상기 건조 히터에 의해 가열된 열풍을 드럼 내부로 송풍하는 송풍팬; 및
    상기 열풍에 대한 탈취 동작을 수행하는 청구항 1 및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의 탈취 모듈을 포함하는, 건조 장치.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히터와 상기 탈취 모듈은 동시에 구동되는, 건조 장치.
  22.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히터의 건조 동작이 완료된 후에, 상기 탈취 모듈의 탈취 동작이 수행되는, 건조 장치.
KR1020180007653A 2018-01-22 2018-01-22 탈취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 장치 KR102627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653A KR102627891B1 (ko) 2018-01-22 2018-01-22 탈취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 장치
JP2020539268A JP7305657B2 (ja) 2018-01-22 2019-01-18 脱臭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備える乾燥装置
EP19741653.0A EP3744354A4 (en) 2018-01-22 2019-01-18 DEODORIZATION MODULE AND DRYING DEVICE WITH IT
PCT/KR2019/000779 WO2019143191A1 (ko) 2018-01-22 2019-01-18 탈취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 장치
CN201980003182.9A CN111065420A (zh) 2018-01-22 2019-01-18 除臭模组及具备其的干燥装置
US16/935,462 US20200345887A1 (en) 2018-01-22 2020-07-22 Deodorization module and drying apparatus including a deodorization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653A KR102627891B1 (ko) 2018-01-22 2018-01-22 탈취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328A KR20190089328A (ko) 2019-07-31
KR102627891B1 true KR102627891B1 (ko) 2024-01-23

Family

ID=67301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653A KR102627891B1 (ko) 2018-01-22 2018-01-22 탈취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345887A1 (ko)
EP (1) EP3744354A4 (ko)
JP (1) JP7305657B2 (ko)
KR (1) KR102627891B1 (ko)
CN (1) CN111065420A (ko)
WO (1) WO20191431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116A (ko) * 2018-07-05 2020-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KR20210047013A (ko) * 2019-10-21 2021-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EP3967334A1 (de) * 2020-09-10 2022-03-16 emz-Hanauer GmbH & Co. KGaA Luftaufbereitungsvorrichtung für ein haushaltsgerät
CN114165970A (zh) * 2020-09-10 2022-03-11 emz-汉拿两合有限公司 用于家用电器的空气处理设备
KR102351680B1 (ko) * 2021-03-12 2022-01-14 위아비 주식회사 광촉매 필터 모듈
KR102601645B1 (ko) * 2021-12-07 2023-11-14 위아비 주식회사 소음 모듈이 장착된 공기 조화 장치
KR102522050B1 (ko) * 2022-03-10 2023-04-14 경명현 살균 기능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646Y1 (ko) 2003-06-20 2003-09-17 양원규 광촉매재를 이용한 의류 건조기
JP2007144381A (ja) 2005-11-25 2007-06-14 Takeshi Yamaura 二酸化チタン担持ガラス発泡体及び光触媒浄化フィルター並びに空気脱臭器
WO2016147792A1 (ja) 2015-03-19 2016-09-22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空気清浄機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734A (ko) * 2001-04-17 2002-10-26 주식회사 엘에스글로벌 의류 건조 살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531836B1 (ko) * 2004-04-07 2005-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처리장치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
FR2889886A1 (fr) * 2005-08-19 2007-02-23 Saint Gobain Lampe uv plane a decharge coplanaire et utilisations
KR100949035B1 (ko) * 2007-09-04 2010-03-23 정훈재 살균 탈취 기능을 갖는 의류 및 신발 건조기
TWI413536B (zh) * 2008-06-02 2013-11-01 Advanced Optoelectronic Tech 光觸媒燈具
DE102009026712A1 (de) * 2009-06-04 2010-12-0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gerät mit einer Oberfläche, welche einen Photokatalysator aufweist
JP2011092873A (ja) * 2009-10-30 2011-05-12 Sanyo Electric Co Ltd 光触媒構造体および脱臭装置
JP5275388B2 (ja) * 2011-02-28 2013-08-28 株式会社東芝 照明装置
DE102011087583A1 (de) * 2011-12-01 2013-06-0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einem Desodorierungssystem zum Entfernen geruchsaktiver Moleküle
KR20140095875A (ko) * 2013-01-25 2014-08-04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Uvled를 이용하는 공기 정화 장치
EP2759632A1 (de) * 2013-01-29 2014-07-30 V-Zug AG Wäschebehandlungsschrank
CN104109970B (zh) * 2013-04-22 2018-08-07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设置杀菌除味装置的干衣机
JP6346947B2 (ja) * 2013-07-05 2018-06-20 日東電工株式会社 汚染物質を分解するためのフィルタエレメント、汚染物質を分解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該システムを使用する方法
CN104674530B (zh) * 2013-11-27 2018-08-07 海尔集团公司 一种具有气体净化装置的干衣机
CN103643466B (zh) * 2013-12-02 2018-05-01 周海兵 光触媒干衣机
KR102014759B1 (ko) * 2014-01-22 2019-08-2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JP6250155B2 (ja) 2014-01-22 2017-12-20 ハンオン システムズ 光触媒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用空調装置
KR20160054731A (ko) * 2014-11-06 2016-05-17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Uv led와 광촉매 필터를 사용한 소형 공기 정화기
WO2016175274A1 (ja) * 2015-04-28 2016-11-03 シャープ株式会社 光触媒モジュール、それを備える冷蔵庫
CN204785889U (zh) * 2015-07-10 2015-11-18 中山市尚层兄弟照明有限公司 一种散热效率高的led射灯
KR101561981B1 (ko) * 2015-07-27 2015-10-22 주식회사 기영 Uv 도료분진의 집진장치에서 발생되는 총탄화수소를 저감시키는 기능을 갖는 uv led램프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총탄화수소를 저감시키는 방법
JP2017148202A (ja) * 2016-02-24 2017-08-31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異物除去フィル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洗濯機
KR102637740B1 (ko) * 2016-07-05 2024-02-1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탈취 모듈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저장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646Y1 (ko) 2003-06-20 2003-09-17 양원규 광촉매재를 이용한 의류 건조기
JP2007144381A (ja) 2005-11-25 2007-06-14 Takeshi Yamaura 二酸化チタン担持ガラス発泡体及び光触媒浄化フィルター並びに空気脱臭器
WO2016147792A1 (ja) 2015-03-19 2016-09-22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空気清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45887A1 (en) 2020-11-05
EP3744354A1 (en) 2020-12-02
JP7305657B2 (ja) 2023-07-10
WO2019143191A1 (ko) 2019-07-25
EP3744354A4 (en) 2021-10-27
CN111065420A (zh) 2020-04-24
KR20190089328A (ko) 2019-07-31
JP2021511136A (ja)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7891B1 (ko) 탈취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 장치
CN109425052B (zh) 空气净化模块
US10871295B2 (en) Air cleaning module
JPH11309202A (ja) 光触媒用光源
JP2003290664A (ja) 光触媒装置、脱臭装置および冷蔵庫
CN111225560B (zh) 捕虫器
KR20220123355A (ko) 유체 처리 장치
KR20200115869A (ko) 하향식 형태 광원을 구비한 벽면형 전등에 탈부착되는 광촉매모듈
JP2016209819A (ja) 浄化装置
KR20200115872A (ko) 하향식 형태 광원을 구비한 천정형 전등에 탈부착되는 광촉매모듈
AU2023200678A1 (en) Gas purification device
KR20200030716A (ko) 하향식 전구 형태 광원을 구비한 천정형 전등에 거치되는 광촉매모듈
KR20200030676A (ko) 측면식 전구 형태 광원을 구비한 거치형 전등에 탈부착되는 광촉매 기반 공기정화모듈
KR20200030655A (ko) 하향식 전구 형태 광원을 구비한 거치형 전등에 거치되는 광촉매모듈
KR20200030720A (ko) 천정형 전등의 상향식 전구 형태 광원에 탈부착되는 광촉매모듈
KR20200115876A (ko) 측면식 형태 광원을 구비한 천정형 전등에 탈부착되는 광촉매모듈
KR20200115867A (ko) 측면식 형태 광원을 구비한 거치형 전등에 탈부착되는 광촉매모듈
KR20200115864A (ko) 하향식 형태 광원을 구비한 거치형 전등에 탈부착되는 광촉매모듈
KR20200030664A (ko) 거치형 전등의 측면식 전구 형태 광원에 탈부착되는 광촉매모듈
KR20200030673A (ko) 상향식 전구 형태 광원을 구비한 거치형 전등에 탈부착되는 광촉매 기반 공기정화모듈
KR20200030669A (ko) 거치형 전등의 하향식 전구 형태 광원에 탈부착되는 광촉매 기반 공기정화모듈
KR20200115871A (ko) 측면식 형태 광원을 구비한 벽면형 전등에 탈부착되는 광촉매모듈
KR20200115865A (ko) 상향식 형태 광원을 구비한 거치형 전등에 탈부착되는 광촉매모듈
KR20200030672A (ko) 거치형 전등의 상향식 전구 형태 광원에 탈부착되는 광촉매 기반 공기정화모듈
KR20200030668A (ko) 하향식 전구 형태 광원을 구비한 거치형 전등에 거치되는 광촉매 기반 공기정화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