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596B1 -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의 복합방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의 복합방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596B1
KR102627596B1 KR1020230127789A KR20230127789A KR102627596B1 KR 102627596 B1 KR102627596 B1 KR 102627596B1 KR 1020230127789 A KR1020230127789 A KR 1020230127789A KR 20230127789 A KR20230127789 A KR 20230127789A KR 102627596 B1 KR102627596 B1 KR 102627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waterproofing
performance
asph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7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만우
Original Assignee
이만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만우 filed Critical 이만우
Priority to KR1020230127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5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5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2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4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45Fiv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6Copolymers with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스팔트 50 내지 80 중량%, 고성능 충진제 10 내지 30 중량%, 개량 첨가제 5 내지 20 중량%, 점착부여제 1 내지 10 중량% 및 가소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고성능 충진제는 산화규소 100 중량부, 소석회 50 내지 70 중량부, 니켈포스페이트 10 내지 30 중량부, 투링자이트(thuringite) 1 내지 10 중량부 및 아연 하이드록시스타네이트(ZnSn(OH)6)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개량 첨가제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100 중량부, 에틸렌-옥텐 고무(EOR) 60 내지 80 중량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30 내지 50 중량부, 리토콜린산 1 내지 10 중량부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레아기 함유 이미다졸륨 아이오다이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완벽하게 일체화된 도막방수층 및 시트층을 연속적으로 적층시공한 복합방수층을 형성함으로써, 균일한 두께의 복합방수층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서로 다른 열팽창계수를 갖는 강성의 콘크리트 구조체에 뛰어난 인장성능 및 전단접착성능으로 완벽하게 일체화되고,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팽창에 의한 균열 추종성이 매우 뛰어나고, 알칼리, 물에 대하여 내구성이 뛰어나, 기후변화 및 외부 열화인자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되어 교면의 방수성능을 극대화시키고 교면의 수명 연장 및 교량의 안전성에 기여할 수 있는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의 복합방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은 C4 내지 C7의 알킬기이고, R2는 C1 내지 C3의 알킬기이다.

Description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의 복합방수 시공방법{High-performance modified asphalt composition for coating-type waterproofing and sheets for composite waterproofing and constructing method for composite waterproofing on surface of bridge deck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완벽하게 일체화된 도막방수층 및 시트층을 연속적으로 적층시공한 복합방수층을 형성함으로써, 균일한 두께의 복합방수층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서로 다른 열팽창계수를 갖는 강성의 콘크리트 구조체에 뛰어난 인장성능 및 전단접착성능으로 완벽하게 일체화되고,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팽창에 의한 균열 추종성이 매우 뛰어나고, 알칼리, 물에 대하여 내구성이 뛰어나, 기후변화 및 외부 열화인자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되어 교면의 방수성능을 극대화시키고 교면의 수명 연장 및 교량의 안전성에 기여할 수 있는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의 복합방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바닥판은 차량의 하중 뿐만 아니라, 비, 눈, 제설재(염화물), 직사광선에 의한 자외선, 대기오염 물질 등 가혹한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환경은 아스팔트 콘크리트로 포장된 교면에 열화인자로 작용하여,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면의 결합력 저하, 온도변화에 의한 체적변화에 따른 공극균열 발생 및 균열 확대에 따른 수분, 염화물 침투, 동해발생 등은 교면의 강도 및 수명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우수 등의 열화인자가 균열부분, 중앙분리대 및 조인트 부위의 틈새 또는 공극을 통해 더욱 침투함로써 교면 내부의 철근까지 부식시켜 교면의 수명단축 및 심할 경우 교량붕괴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교량의 안전성 및 교면의 내구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교면에 방수공법을 적용하게 된다. 이러한 교면에 대한 기존의 교면 방수공법은 도막 방수공법, 시트 방수공법, 도막시트 복합방수공법으로 분류될 수 있다.
먼저, 도막 방수공법은 접착력이 우수한 액상의 도막방수재를 교면 시공대상 바탕면의 표면에 로울러나 붓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도포하여 방수효과를 얻는 방법으로, 시공성 및 방수층의 신장력이 우수하여 교면의 미세균열에 대응하기 용이하고, 연결 부위가 없는 점착층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도막방수재를 수차례 도포해야 하기 때문에 방수층의 균등한 두께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방수층의 에어포켓, 점착층 들뜸 발생 등의 원인으로 각종 결함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특히 교면 바닥의 함수율 및 습윤상태에 따라 시공이 불가할 수 있어 시공 시 바탕면의 습윤상태를 확인하고 시공하여야 하는 한계가 있다. 즉, 바탕면의 평활도 및 건조상태에 영향을 크게 받는데, 작업현상에서 액상으로 도포되어 흐름성이 좋기 때문에, 바탕면의 굴곡으로 인해 도막 두께가 불균일해질 수 있고, 도막의 두께를 충분히 형성하여야 하나 현장 시공상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시트 방수공법은 공장에서 일정한 두께로 미리 생산된 규격별 방수시트를 콘크리트 건축 구조물의 표면에 점착시켜 방수 효과를 얻는 방법으로, 시공 품질의 안전성이 우수하지만 시공 시 방수시트가 서로 중첩되는 겹침부가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바, 부분 보수가 어렵고, 시트 단부 및 코너 처리가 곤란하고, 구조물의 거동 및 계절 변화에 따라 방수시트가 뒤틀리거나 변형되어 콘크리트 구조물과 방수시트가 들뜨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방수시트가 서로 중첩되는 겹침부의 접착력 약화, 들뜸, 박리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시트간 겹침부(조인트)에서의 수밀성이 취약해져 완전한 수밀성을 이루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 방수공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도막 방수공법 및 시트 방수공법을 복합적으로 조합하여 이들 방수공법의 장점만을 취합한 도막시트 복합방수공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도막시트 복합방수공법은 도막재에 포함된 유기용제에 의해 시트가 용해되어 방수성능이 저하되거나, 구조체의 균열부를 통해 용해물이 배출되어 구조물을 훼손하는 등의 하자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고, 특히 도막재 및 시트간에 서로 다른 이질(異質) 재료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두 재료 간의 층간 일체성이 결여되어 층간의 분리현상과 유연성 부족으로 시트 상호간의 접합부 파단 문제는 여전히 문제점으로 남아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외기온도에 따라 도막 및 시트가 상이한 수축과 팽창거동을 반복하면서 접합부위 도막의 균열 또는 파단이 발생하여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는 실정이다. 또한, 도막시트 복합방수공법은 도막재가 양생되고 난 후 비로소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작업이 가능하므로, 공사기간이 길고, 기존의 도막 방수공법과 시트 방수공법에 비하여 공사비용이 매우 고가인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5768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808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4592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397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교량의 안전성 및 교면의 내구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방수층의 균등한 두께를 형성하면서도, 도막재 및 시트간에 서로 다른 이질(異質) 재료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두 재료 간의 층간 일체성이 결여되어 층간의 분리현상과 유연성 부족으로 인한 시트 상호간의 접합부 파단 문제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거동이나 외기온도에 따라 도막 및 시트가 상이한 수축과 팽창거동을 반복하면서 방수층의 뒤틀림, 변형, 들뜸, 박리현상, 접착력 약화, 균열 또는 파단이 발생하여 방수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의 복합방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아스팔트 50 내지 80 중량%, 고성능 충진제 10 내지 30 중량%, 개량 첨가제 5 내지 20 중량%, 점착부여제 1 내지 10 중량% 및 가소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고성능 충진제는 산화규소 100 중량부, 소석회 50 내지 70 중량부, 니켈포스페이트 10 내지 30 중량부, 투링자이트(thuringite) 1 내지 10 중량부 및 아연 하이드록시스타네이트(ZnSn(OH)6)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개량 첨가제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100 중량부, 에틸렌-옥텐 고무(EOR) 60 내지 80 중량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30 내지 50 중량부, 리토콜린산 1 내지 10 중량부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레아기 함유 이미다졸륨 아이오다이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은 C4 내지 C7의 알킬기이고, R2는 C1 내지 C3의 알킬기이다.
상기 에틸렌-옥텐 고무는 에틸렌-옥텐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GMA) 0.5 내지 2 중량부가 그라프팅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투링자이트는 메틸 에스테르화된 투링자이트인 것이고;
상기 메틸 에스테르화된 투링자이트는 평균입경이 50 내지 150 μm인 투링자이트 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투링자이트 분말을 n-부탄올 및 황산을 1 내지 5: 100 부피비율로 혼합한 침지용액에 침지시켜 침지 혼합용액을 제조한 후, 80 내지 100 ℃의 온도에서, 8 내지 15 시간 동안 교반하여, 메틸 에스테르화 반응시키는 단계; 및 메틸 에스테르화 반응이 완료된 침지 혼합용액을 여과, 세척 및 건조하여 메틸 에스테르화된 투링자이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침지용액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N-벤즈히드릴 퀴누클리딘 유도체 0.1 내지 0.5 부피비율을 더욱 혼합한 것일 수 있다.
[화학식 2]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C1 내지 C4의 알콕시기이고,
R2는 수소 또는 C1 내지 C4의 알킬기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을 이용한 교면의 복합방수 시공방법으로서,
시공대상인 교면의 포장을 절삭한 후, 이물질을 제거함과 아울러 돌출된 부분을 절삭하여 평편하게 유지시켜 바탕면(100)을 정리하는 단계;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을 도포하여, 아스팔트 도막방수층(200)을 형성하는 단계;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을 함유하는 아스팔트 시트를 부착시공하여, 아스팔트 시트층(300)을 형성하는 단계; 및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다짐 및 양생하여, 아스콘 포장층(40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교면의 복합방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아스팔트 시트는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또는 단섬유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중심보강재(302)를 상기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301, 301')에 함침시킨 후, 상기 아스팔트 시트의 상면, 하면 또는 양면에 규사(303)를 부착시켜 마감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의 복합방수 시공방법에 의하면, 종래의 도막 방수공법 및 시트 방수공법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완벽하게 일체화된 도막방수층 및 시트층을 연속적으로 적층시공한 복합방수층을 형성함으로써, 균일한 두께의 복합방수층을 얻을 수 있고, 시공기간이 단축되며 안전하고도 용이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자 발생 빈도가 높은 인접 시트층의 겹침부분을 완전히 밀폐시키고, 겹침부분의 방수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복합방수층은 서로 다른 열팽창계수를 갖는 강성의 콘크리트 구조체에 뛰어난 인장성능 및 전단접착성능으로 완벽하게 일체화되고,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팽창에 의한 균열 추종성이 매우 뛰어나고, 알칼리, 물에 대하여 내구성이 뛰어나, 기후변화 및 외부 열화인자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되어 교면의 방수성능을 극대화시키고 교면의 수명 연장 및 교량의 안전성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교면의 복합방수 시공방법의 다양한 시공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교면의 복합방수 시공방법의 다양한 시공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교면의 복합방수 시공방법에 따라서 시공된 개략적인 시공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아스팔트 50 내지 80 중량%, 고성능 충진제 10 내지 30 중량%, 개량 첨가제 5 내지 20 중량%, 점착부여제 1 내지 10 중량% 및 가소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고성능 충진제는 산화규소 100 중량부, 소석회 50 내지 70 중량부, 니켈포스페이트 10 내지 30 중량부, 투링자이트(thuringite) 1 내지 10 중량부 및 아연 하이드록시스타네이트(ZnSn(OH)6)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개량 첨가제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100 중량부, 에틸렌-옥텐 고무(EOR) 60 내지 80 중량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30 내지 50 중량부, 리토콜린산 1 내지 10 중량부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레아기 함유 이미다졸륨 아이오다이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은 C4 내지 C7의 알킬기이고, R2는 C1 내지 C3의 알킬기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의 복합방수 시공방법에 의하면, 종래의 도막 방수공법 및 시트 방수공법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완벽하게 일체화된 도막방수층 및 시트층을 연속적으로 적층시공한 복합방수층을 형성함으로써, 균일한 두께의 복합방수층을 얻을 수 있고, 시공기간이 단축되며 안전하고도 용이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자 발생 빈도가 높은 인접 시트층의 겹침부분을 완전히 밀폐시키고, 겹침부분의 방수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복합방수층은 서로 다른 열팽창계수를 갖는 강성의 콘크리트 구조체에 뛰어난 인장성능 및 전단접착성능으로 완벽하게 일체화되고,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팽창에 의한 균열 추종성이 매우 뛰어나고, 알칼리, 물에 대하여 내구성이 뛰어나, 기후변화 및 외부 열화인자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되어 교면의 방수성능을 극대화시키고 교면의 수명 연장 및 교량의 안전성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은 아스팔트 50 내지 80 중량%, 고성능 충진제 10 내지 30 중량%, 개량 첨가제 5 내지 20 중량%, 점착부여제 1 내지 10 중량% 및 가소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아스팔트는 우수한 인장성능, 접착성능, 방수성능 및 균열에 대한 대응성을 구현하고, 유동성을 향상시켜, 우수한 작업성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블론 아스팔트(blown asphalt), 컷백 아스팔트(cutback asphalt)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및 블론 아스팔트(blown asphalt)를 5 내지 10: 1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여, 아스팔트 도막방수용 및 아스팔트 시트용으로 동시에 사용되어, 상기한 개선효과를 더욱 향상시킴과 함께 특히, 작업성이 매우 개선되고, 외부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팽창에 의한 균열 추종성이 매우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아스팔트는 본 발명의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에 50 내지 80 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아스팔트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아스팔트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오히려 접착성능이 감소되고 경도가 지나치게 상승되어 균열에 대한 저항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고성능 충진제는 기공을 충전시켜 균일한 두께의 안정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압축강도, 내움푹 패임성, 경도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며, 우수한 내알칼리성, 염화이온 침투저항성, 내수성, 불투수성, 내열성, 내피로성 등의 내구성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고성능 충진제는 본 발명의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에 10 내지 30 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성능 충진제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고성능 충진제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오히려 방수성 및 작업성이 저하되거나 제조원가가 높아져 가격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성능 충진제는 산화규소 100 중량부, 소석회 50 내지 70 중량부, 니켈포스페이트 10 내지 30 중량부, 투링자이트(thuringite) 1 내지 10 중량부 및 아연 하이드록시스타네이트(ZnSn(OH)6)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산화규소는 기공을 충전시켜 균일한 두께의 안정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압축강도, 내움푹 패임성, 경도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며, 우수한 내수성, 불투수성, 내화학성, 내열성, 내피로성의 내구성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뿐만 아니라, 노화를 억제시켜 장기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하, 상기 고성능 충진제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 성분들의 함량은 상기 산화규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
상기 소석회는 기공을 충전시켜 균일한 두께의 안정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압축강도, 내움푹 패임성을 향상시키며, 우수한 내알칼리성, 염화이온 침투저항성을 제공하고, 박리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노화를 억제시켜 장기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점성을 증대시켜 조성물의 피로 저항성을 개선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소석회는 상기 산화규소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7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석회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소석회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강도특성 및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니켈포스페이트는 압축강도, 내움푹 패임성, 경도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며, 우수한 내알칼리성, 염화이온 침투저항성, 불투수성, 내수성, 내열성, 내피로성의 내구성을 제공하고, 박리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노화를 억제시켜 장기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니켈포스페이트는 VSB-1 또는 VSB-5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니켈포스페이트는 밤껍질 유래 탄닌으로 표면개질된 것을 사용하여, 상기한 개선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접착 및 전단접착성능이 개선되고, 박리방지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밤껍질 유래 탄닌으로 표면개질된 니켈포스페이트는 저급 알코올계 용매에 밤껍질 유래 탄닌 및 포름 알데하이드를 100: 10 내지 20: 1 내지 10 부피비율로 혼합하여 침지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침지용액 300 내지 500 중량부에 니켈포스페이트 100 중량부를 침지한 이후, 아염소산나트륨(NaClO2) 40 내지 70 중량부를 더욱 첨가하여 60 내지 90 ℃의 온도에서, 10 내지 24 시간 동안 교반하여, 침지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침지 혼합용액에 수산화나트륨(NaOH)을 첨가하여 pH가 5 내지 6으로 조정한 후, 여과, 세척 및 건조하여 밤껍질 유래 탄닌으로 표면개질된 니켈포스페이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밤껍질 유래 탄닌은 밤껍질 1 중량부에 추출용매로서의 물 1.2 내지 2 중량부를 처리하고 70 내지 90 ℃ 온도에서 6 내지 20 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저급 알코올계 용매는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알코올 용매로서,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n-부탄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니켈포스페이트는 상기 산화규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니켈포스페이트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니켈포스페이트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더이상의 개선효과는 기대할 수 없어 가격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투링자이트(thuringite)는 기공을 충전시켜 균일한 두께의 안정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압축강도, 인장강도, 내움푹 패임성, 경도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며, 우수한 내알칼리성, 염화이온 침투저항성, 내열성, 내피로성, 박리방지 및 노화억제의 내구성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투링자이트는 메틸 에스테르화된 투링자이트인 것을 사용하여, 상기한 개선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특히, 내알칼리성, 염화이온 침투저항성 및 내피로성이 매우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틸 에스테르화된 투링자이트는 평균입경이 50 내지 150 μm인 투링자이트 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투링자이트 분말을 n-부탄올 및 황산을 1 내지 5: 100 부피비율로 혼합한 침지용액에 침지시켜 침지 혼합용액을 제조한 후, 80 내지 100 ℃의 온도에서, 8 내지 15 시간 동안 교반하여, 메틸 에스테르화 반응시키는 단계; 및 메틸 에스테르화 반응이 완료된 침지 혼합용액을 여과, 세척 및 건조하여 메틸 에스테르화된 투링자이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지용액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N-벤즈히드릴 퀴누클리딘 유도체 0.1 내지 0.5 부피비율을 더욱 혼합한 것을 사용하여, 상기한 개선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화학식 2]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C1 내지 C4의 알콕시기이고,
R2는 수소 또는 C1 내지 C4의 알킬기이다.
이때,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N-벤즈히드릴 퀴누클리딘 유도체는 2-(디페닐메틸)-N-(2-메톡시벤질)퀴누클리딘-3-아민(2-(Diphenylmethyl)-N-(2-methoxybenzyl)quinuclidin-3-amine); 및 (2S,3S)-2-(디페닐메틸)-N-[2-메톡시-5-(2-메틸-2-프로파닐)벤질]퀴누클리딘-3-아민((2S,3S)-2-(Diphenylmethyl)-N-[2-methoxy-5-(2-methyl-2-propanyl)benzyl]quinuclidin-3-amine)을 1: 1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투링자이트(thuringite)는 상기 산화규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링자이트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투링자이트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더이상의 개선효과는 기대할 수 없어 가격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아연 하이드록시스타네이트(ZnSn(OH)6)는 기공을 충전시켜 균일한 두께의 안정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압축강도, 내움푹 패임성, 경도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며, 우수한 내열성, 내피로성의 내구성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아연 하이드록시스타네이트(ZnSn(OH)6)는 상기 산화규소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연 하이드록시스타네이트(ZnSn(OH)6)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아연 하이드록시스타네이트(ZnSn(OH)6)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오히려 강도성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개량 첨가제는 아스팔트와의 상용성을 개선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방수성능, 인장성능 및 전단접착성능을 구현하며, 탄성강도를 증가시켜 충격저항성능, 균열저항성, 소성변형저항성, 휨 추정성을 향상시키고, 열안정성, 저온특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알칼리성, 염화이온 침투저항성, 내수성, 불투수성, 내열성, 내피로성의 내구성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개량 첨가제는 본 발명의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에 5 내지 20 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개량 첨가제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개량 첨가제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내움푹 패임성, 경도 및 내마모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량 첨가제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100 중량부, 에틸렌-옥텐 고무(EOR) 60 내지 80 중량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30 내지 50 중량부, 리토콜린산 1 내지 10 중량부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레아기 함유 이미다졸륨 아이오다이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은 C4 내지 C7의 알킬기이고, R2는 C1 내지 C3의 알킬기이다.
먼저,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는 우수한 방수성능, 인장성능 및 전단접착성능을 구현하며, 탄성강도를 증가시켜 충격저항성능, 균열저항성, 소성변형저항성, 휨 추정성을 향상시키고, 열안정성, 저온특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하, 상기 개량 첨가제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 성분들의 함량은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
상기 에틸렌-옥텐 고무(EOR)는 아스팔트와의 상용성을 개선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방수성능, 인장성능 및 전단접착성능을 구현하며, 탄성강도를 증가시켜 충격저항성능, 균열저항성, 소성변형저항성, 휨 추정성을 향상시키고, 열안정성, 저온특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에틸렌-옥텐 고무는 에틸렌-옥텐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GMA) 0.5 내지 2 중량부가 그라프팅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여 상기한 개선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특히, 우수한 열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에틸렌-옥텐 고무(EOR)는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60 내지 8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옥텐 고무(EOR)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에틸렌-옥텐 고무(EOR)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오히려 경도 및 강도 성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는 아스팔트와의 상용성을 개선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방수성능, 인장성능 및 전단접착성능을 구현하며, 탄성강도를 증가시켜 충격저항성능, 균열저항성, 소성변형저항성, 휨 추정성을 향상시키고, 열안정성, 저온특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수성, 불투수성, 내열성, 내피로성의 내구성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는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5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더이상의 개선효과는 기대할 수 없어 가격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리토콜린산은 우수한 혼화성, 작업성을 개선함과 함께, 내알칼리성, 염화이온 침투저항성, 내피로성의 내구성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리토콜린산은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토콜린산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리토콜린산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더이상의 개선효과는 기대할 수 없어 가격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레아기 함유 이미다졸륨 아이오다이드는 아스팔트와의 상용성을 개선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전단접착성능 및 박리방지 효과를 구현하며, 우수한 내알칼리성, 염화이온 침투저항성, 내수성, 불투수성의 내구성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레아기 함유 이미다졸륨 아이오다이드는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레아기 함유 이미다졸륨 아이오다이드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레아기 함유 이미다졸륨 아이오다이드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더이상의 개선효과는 기대할 수 없어 가격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점착부여제는 조성물 간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고, 점착력을 향상시켜, 콘크리트, 강재, 아스콘 포장층 등의 어떠한 피착면과도 부착이 잘 되어 저온에서의 분리현상을 방지하고, 아스팔트의 노화를 개선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점착부여제는 석유 수지(C9계, C5계, C9-C5 공중합계), 말레인화 석유 수지, 에스테르화 석유 수지, 로진 에스테르, 페놀 수지, 송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부여제는 본 발명의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에 1 내지 10 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점착부여제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점착부여제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오히려 탄성이 저하되고 저온 취성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가소제는 조성물의 상용성 향상과 동시에 점성을 줄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탄성 및 유연성의 향상을 보조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가소제는 파라핀계 오일(Paraffinc Oil), 나프텐계 오일(Naphthenic Oil), 아로마틱계 오일(Aromatic Oil)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프로세스 오일(Process oil)을 사용하거나; 상기 프로세스 오일(Process oil) 1 중량부를 글리콜유(Glycol Oil), 미네랄 스프리트 오일(Mireral Sprit Oil)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가소제 0.05 내지 0.3 중량부와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본 발명의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에 1 내지 10 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가소제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져 오히려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을 이용한 교면의 복합방수 시공방법으로서,
시공대상인 교면의 포장을 절삭한 후, 이물질을 제거함과 아울러 돌출된 부분을 절삭하여 평편하게 유지시켜 바탕면(100)을 정리하는 단계;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을 도포하여, 아스팔트 도막방수층(200)을 형성하는 단계;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을 함유하는 아스팔트 시트를 부착시공하여, 아스팔트 시트층(300)을 형성하는 단계; 및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다짐 및 양생하여, 아스콘 포장층(40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교면의 복합방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교면의 복합방수 시공방법의 다양한 시공순서도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교면의 복합방수 시공방법에 따라서 시공된 개략적인 시공단면도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다만,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교면의 복합방수 시공방법의 다양한 시공순서도 및 개략적인 시공단면도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교면의 복합방수 시공방법 및 시공단면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공대상인 교면은 교량 상판의 바탕면으로서 콘크리트 상판, 강상판 모두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은 바탕면에 대한 충분한 접착력을 구현할 수 있는 바, 프라이머의 도포를 생략할 수 있으나, 바탕면에 대한 더욱 우수한 접착력 개선효과 및 일체화 효과를 구현하기 위하여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의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교면의 복합방수 시공방법은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로써, 보다 우수한 강도 보강 효과, 수분 상승의 방지, 접착력 강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프라이머는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종류를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이러한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교면의 복합방수 시공방법의 다양한 시공순서도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교면의 복합방수 시공방법의 다양한 시공순서도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아스팔트 교면의 복합방수 시공방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을 도포하여, 아스팔트 도막방수층(200)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을 180 내지 220 ℃의 온도범위로 가열용융하여 서로 완전하게 혼합한 이후, 도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는 상기 아스팔트 도막방수층이 1 내지 2 mm의 두께를 가질 때까지 1 내지 2회 범위로 다수회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스팔트 시트는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또는 단섬유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중심보강재(302)를 상기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301, 301')에 함침시킨 후, 상기 아스팔트 시트의 상면, 하면 또는 양면에 규사(303)를 부착시켜 마감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아스팔트 시트는 2 내지 3 mm의 두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심보강재(302)의 함침은 상기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을 180 내지 220 ℃의 온도범위로 가열용융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규사는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종류를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비제한적인 예를 들면, 7호 또는 8호 규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의 복합방수 시공방법에 의하면, 종래의 도막 방수공법 및 시트 방수공법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완벽하게 일체화된 도막방수층 및 시트층을 연속적으로 적층시공한 복합방수층을 형성함으로써, 균일한 두께의 복합방수층을 얻을 수 있고, 시공기간이 단축되며 안전하고도 용이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자 발생 빈도가 높은 인접 시트층의 겹침부분을 완전히 밀폐시키고, 겹침부분의 방수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복합방수층은 서로 다른 열팽창계수를 갖는 강성의 콘크리트 구조체에 뛰어난 인장성능 및 전단접착성능으로 완벽하게 일체화되고,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팽창에 의한 균열 추종성이 매우 뛰어나고, 알칼리, 물에 대하여 내구성이 뛰어나, 기후변화 및 외부 열화인자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되어 교면의 방수성능을 극대화시키고 교면의 수명 연장 및 교량의 안전성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제조예 1>
밤껍질 유래 탄닌으로 표면개질된 니켈포스페이트의 제조
밤껍질 1 중량부에 추출용매로서의 물 2 중량부를 혼합하여 80 ℃ 온도에서 15 시간 동안 가열하여 밤껍질 유래 탄닌을 열수 추출하였다. 상기 열수 추출물은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하고, 상기 상등액을 동결건조함으로써, 밤껍질 유래 탄닌을 준비하였다. 이후, n-부탄올 용매에 상기 준비된 밤껍질 유래 탄닌 및 포름 알데하이드를 100: 15: 3 부피비율로 혼합하여 침지용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침지용액 500 중량부에 니켈포스페이트(VSB-5 구조) 100 중량부를 침지한 이후, 아염소산나트륨(NaClO2) 50 중량부를 더욱 첨가하여 80 ℃의 온도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여, 침지 혼합용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침지 혼합용액에 수산화나트륨(NaOH)을 첨가하여 pH 5로 조정한 후, 여과, 세척 및 건조하여 밤껍질 유래 탄닌으로 표면개질된 니켈포스페이트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메틸 에스테르화된 투링자이트의 제조
투링자이트 분말(평균입경: 78 μm)을 n-부탄올 및 황산을 3: 100 부피비율로 혼합한 침지용액에 침지시켜 침지 혼합용액을 제조한 후, 85 ℃의 온도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여, 메틸 에스테르화 반응시켰다. 이후, 메틸 에스테르화 반응이 완료된 침지 혼합용액을 여과, 세척 및 건조하여 메틸 에스테르화된 투링자이트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메틸 에스테르화된 투링자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메틸 에스테르화된 투링자이트를 제조하되; 상기 침지용액은 n-부탄올, 황산 및 N-벤즈히드릴 퀴누클리딘 유도체는 2-(디페닐메틸)-N-(2-메톡시벤질)퀴누클리딘-3-아민(2-(Diphenylmethyl)-N-(2-methoxybenzyl)quinuclidin-3-amine)을 3: 100: 0.5 부피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제조예 4>
메틸 에스테르화된 투링자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메틸 에스테르화된 투링자이트를 제조하되; 상기 침지용액은 n-부탄올, 황산, N-벤즈히드릴 퀴누클리딘 유도체는 2-(디페닐메틸)-N-(2-메톡시벤질)퀴누클리딘-3-아민(2-(Diphenylmethyl)-N-(2-methoxybenzyl)quinuclidin-3-amine) 및 (2S,3S)-2-(디페닐메틸)-N-[2-메톡시-5-(2-메틸-2-프로파닐)벤질]퀴누클리딘-3-아민((2S,3S)-2-(Diphenylmethyl)-N-[2-methoxy-5-(2-methyl-2-propanyl)benzyl]quinuclidin-3-amine)을 3: 100: 0.25: 0.25 부피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성분 및 함량 조건으로 혼합하여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 및 비교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5종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48 56 56 63 48
블론 아스팔트(blown asphalt) 15 7 7 - 15
고성능 충진제 12 12 12 12 12
(중량부) 산화규소 100 100 100 100 100
소석회 65 65 65 - 65
니켈포스페이트
[VSB-5 구조]
11 11 11
[제조예1]
- -
투링자이트 분말
[평균입경: 78 μm]
7
[제조예2]
7
[제조예3]
7
[제조예4]
- 7
아연 하이드록시스타네이트 2 2 2 - -
개량 첨가제 14 14 14 14 14
(중량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100 100 100 100 100
에틸렌-옥텐 고무(EOR) 70 70 1) 70 1) - -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35 35 35 - 35
리토콜린산 5 5 5 - -
우레아기 함유 이미다졸륨 아이오다이드
[화학식 1-1]
5 5 5 - -
점착부여제[C5계 석유 수지] 8 8 8 8 8
가소제
[파라핀계 오일(Paraffinc Oil)]
3 3 2.5 3 3
가소제
[글리콜유(Glycol Oil)]
- - 0.5 - -
1) 에틸렌-옥텐 고무: 에틸렌-옥텐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GMA) 1.8 중량부가 그라프팅되어 있는 것을 사용함.

[화학식 1-1]

상기 식에서, R1은 2-에틸부틸이고, R2는 메틸기이다.
실시예 4 내지 6 및 비교예 3 내지 4: 아스팔트 시트의 제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부직포로 구성되는 중심보강재를 각각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른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 및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른 비교용 조성물의 사이에 함침시킨 후, 양면에 7호 규사를 부착시켜 마감함으로써, 아스팔트 시트를 제조하였다.
아래의 시험예들은 상기에 개시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특성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의 특성을 비교한 실험결과들을 나타낸 것이다.
<시험예 1>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른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 및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른 비교용 조성물에 대하여, 콘크리트 교면용 도막 방수재 품질기준(KS F 4932)에 따른 물성 시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항목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작업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휘발성(%) 85 88 87 71 73
인장
성능
인장강도
(N/㎟)
무처리 1.8 1.7 2.0 1.2 1.4
알칼리처리 1.5 1.6 1.8 1.0 1.2
가열처리 1.6 1.6 1.8 0.9 1.2
신장률
(%)
무처리 112 117 115 91 103
알칼리처리 103 108 111 83 97
가열처리 105 107 114 81 99
전단
접착
성능
전단접착강도
(N/㎟)
-20℃ 1.0 1.2 1.2 0.5 0.8
20℃ 0.19 0.21 0.22 0.14 0.17
전단접착
변형률(%)
-20℃ 0.5 0.7 0.6 0.1 0.3
20℃ 1.3 1.5 1.5 0.7 0.9
인장 접착 강도
(N/㎟)
-20℃ 1.5 1.7 1.8 0.8 1.3
20℃ 0.7 0.8 0.9 0.2 0.5
내투수성 투수되지
않음
투수되지
않음
투수되지
않음
투수발생 투수되지
않음
염화 이온 침투 저항성(coulombs) 72 65 61 153 90
내약품성(10% 황산)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들뜸발생 이상없음
내약품성(10% HCl)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들뜸발생 들뜸발생
내약품성(10% 가성소다)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들뜸발생 들뜸발생
내움푹 패임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구멍발생 구멍발생
내열치수
안정성(%)
150℃,
30분
0.6 0.3 0.2 2.5 2.1
내피로성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잔금발생 잔금발생
내균열성 -20℃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잔금발생 잔금발생
저온 굴곡성 -10℃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균열발생 균열발생
수침 7일후의 인장접착성 20℃ 0.6 0.6 0.7 0.1 0.3
상기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른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른 비교용 조성물과 비교하여,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과 비교예 3 및 비교예 4에 따른 아스팔트 시트에 대하여, 콘크리트 교면용시트 방수재 품질기준(KS F 4931)에 따른 물성 시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항목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3 비교예4
인장
성능
인장강도
(N/㎟)
무처리 5.5 5.7 5.8 2.3 4.2
알칼리처리 4.5 4.8 5.1 1.6 3.4
가열처리 4.7 4.8 5.3 1.5 3.5
신장률
(%)
무처리 55 57 57 31 38
알칼리처리 47 49 48 20 27
가열처리 49 51 52 21 29
전단
접착
성능
전단접착강도
(N/㎟)
-10℃ 1.8 1.9 2.0 1.1 1.3
23℃ 0.4 0.6 0.7 0.1 0.2
전단접착
변형률(%)
-10℃ 0.5 0.7 0.6 0.2 0.3
23℃ 1.5 1.7 1.7 0.5 0.9
인장 접착 강도
(N/㎟)
-10℃ 1.9 2.0 2.2 0.8 1.3
23℃ 1.2 1.4 1.5 0.3 0.8
내투수성 투수되지
않음
투수되지
않음
투수되지
않음
투수발생 투수되지
않음
염화 이온 침투 저항성(coulombs) 32 28 25 85 73
내움푹 패임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구멍발생 이상없음
내열치수
안정성(%)
150℃,
30분
0.8 0.7 0.5 2.3 1.8
내피로성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잔금발생 이상없음
내균열성 -10℃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피로균열시험 -10℃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잔금발생 잔금발생
저온 굴곡성 -10℃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균열발생 균열발생
수침 7일후의 인장접착성 20℃ 1.1 1.2 1.4 0.1 0.5
상기 표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에 따른 아스팔트 시트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른 아스팔트 시트와 비교하여,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바탕면
200: 아스팔트 도막방수층
300: 아스팔트 시트층
301, 301':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
302: 중심보강재
303: 규사

Claims (6)

  1. 아스팔트 50 내지 80 중량%, 고성능 충진제 10 내지 30 중량%, 개량 첨가제 5 내지 20 중량%, 점착부여제 1 내지 10 중량% 및 가소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고성능 충진제는 산화규소 100 중량부, 소석회 50 내지 70 중량부, 니켈포스페이트 10 내지 30 중량부, 투링자이트(thuringite) 1 내지 10 중량부 및 아연 하이드록시스타네이트(ZnSn(OH)6)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개량 첨가제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100 중량부, 에틸렌-옥텐 고무(EOR) 60 내지 80 중량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30 내지 50 중량부, 리토콜린산 1 내지 10 중량부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레아기 함유 이미다졸륨 아이오다이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은 C4 내지 C7의 알킬기이고, R2는 C1 내지 C3의 알킬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옥텐 고무는
    에틸렌-옥텐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GMA) 0.5 내지 2 중량부가 그라프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링자이트는 메틸 에스테르화된 투링자이트인 것이고;
    상기 메틸 에스테르화된 투링자이트는
    평균입경이 50 내지 150 μm인 투링자이트 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투링자이트 분말을 n-부탄올 및 황산을 1 내지 5: 100 부피비율로 혼합한 침지용액에 침지시켜 침지 혼합용액을 제조한 후, 80 내지 100 ℃의 온도에서, 8 내지 15 시간 동안 교반하여, 메틸 에스테르화 반응시키는 단계; 및 메틸 에스테르화 반응이 완료된 침지 혼합용액을 여과, 세척 및 건조하여 메틸 에스테르화된 투링자이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침지용액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N-벤즈히드릴 퀴누클리딘 유도체 0.1 내지 0.5 부피비율을 더욱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
    [화학식 2]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C1 내지 C4의 알콕시기이고,
    R2는 수소 또는 C1 내지 C4의 알킬기이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항에 따른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을 이용한 교면의 복합방수 시공방법으로서,
    시공대상인 교면의 포장을 절삭한 후, 이물질을 제거함과 아울러 돌출된 부분을 절삭하여 평편하게 유지시켜 바탕면(100)을 정리하는 단계;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을 도포하여, 아스팔트 도막방수층(200)을 형성하는 단계;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을 함유하는 아스팔트 시트를 부착시공하여, 아스팔트 시트층(300)을 형성하는 단계; 및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다짐 및 양생하여, 아스콘 포장층(40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의 복합방수 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시트는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또는 단섬유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중심보강재(302)를 상기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301, 301')에 함침시킨 후, 상기 아스팔트 시트의 상면, 하면 또는 양면에 규사(303)를 부착시켜 마감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의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20230127789A 2023-09-25 2023-09-25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의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2627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7789A KR102627596B1 (ko) 2023-09-25 2023-09-25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의 복합방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7789A KR102627596B1 (ko) 2023-09-25 2023-09-25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의 복합방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7596B1 true KR102627596B1 (ko) 2024-01-22

Family

ID=89716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7789A KR102627596B1 (ko) 2023-09-25 2023-09-25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의 복합방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596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759B1 (ko) * 2003-01-11 2010-05-12 제이티엘주식회사 항균성, 소취성, 원적외선 방사율이 뛰어난 메모리 폼
KR101144678B1 (ko) * 2010-07-09 2012-05-24 주식회사 제이에스기술 탄성 도막 방수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378722B1 (ko) * 2011-12-13 2014-03-31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신규의 우레아 함유 이미다졸륨 아이오다이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전해질
KR101557685B1 (ko) 2015-08-17 2015-10-06 강충모 개질아스팔트시트와 액상형 도막재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718082B1 (ko) 2016-06-15 2017-03-17 주식회사 알. 브이 양면샌드 방수시트 및 저융점 개질아스팔트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1745921B1 (ko) 2016-09-28 2017-06-27 주식회사 로드씰 탄소섬유를 활용한 고내구성 아스팔트계 도막방수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도막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교면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1973978B1 (ko) 2018-10-24 2019-05-02 매일엔지니어링 (주) 교면 보수용 가열 복합방수공법
KR102382624B1 (ko) * 2021-09-14 2022-04-04 더본드 주식회사 교면 복합방수용 개질 아스팔트 도막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2574272B1 (ko) * 2023-08-07 2023-09-01 정승호 접착 및 인장강도 성능이 우수한 가열식 아스팔트계도막 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교면 방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759B1 (ko) * 2003-01-11 2010-05-12 제이티엘주식회사 항균성, 소취성, 원적외선 방사율이 뛰어난 메모리 폼
KR101144678B1 (ko) * 2010-07-09 2012-05-24 주식회사 제이에스기술 탄성 도막 방수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378722B1 (ko) * 2011-12-13 2014-03-31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신규의 우레아 함유 이미다졸륨 아이오다이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전해질
KR101557685B1 (ko) 2015-08-17 2015-10-06 강충모 개질아스팔트시트와 액상형 도막재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718082B1 (ko) 2016-06-15 2017-03-17 주식회사 알. 브이 양면샌드 방수시트 및 저융점 개질아스팔트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1745921B1 (ko) 2016-09-28 2017-06-27 주식회사 로드씰 탄소섬유를 활용한 고내구성 아스팔트계 도막방수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도막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교면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1973978B1 (ko) 2018-10-24 2019-05-02 매일엔지니어링 (주) 교면 보수용 가열 복합방수공법
KR102382624B1 (ko) * 2021-09-14 2022-04-04 더본드 주식회사 교면 복합방수용 개질 아스팔트 도막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2574272B1 (ko) * 2023-08-07 2023-09-01 정승호 접착 및 인장강도 성능이 우수한 가열식 아스팔트계도막 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교면 방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2624B1 (ko) 교면 복합방수용 개질 아스팔트 도막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195263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기능성 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복합 방수 공법
KR101253028B1 (ko) 수용성 도막방수제를 이용한 시트복합 방수공법
KR101512965B1 (ko) 친환경 표면 보호제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표면 보호공법
KR101643519B1 (ko) 슈퍼마이크로 섬유를 이용한 바탕조정재
US9512342B1 (en) Moisture cured polymer and recycled glass roof coating, caulk/sealant and patching compound membranes
CN1834160A (zh) 可延展加橡胶沥青毡以及具有沥青玛帝脂铺展膜和所述毡的叠层防水材料
KR102036879B1 (ko)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513759B1 (ko) 고기능성 아스팔트계 도막 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교면방수 시공방법
KR102574272B1 (ko) 접착 및 인장강도 성능이 우수한 가열식 아스팔트계도막 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교면 방수 시공방법
KR20100096761A (ko) 저융점 개질아스팔트 도막방수제와 양면규사시트의 접착을 이용한 복합방수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837412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
KR102002499B1 (ko) 교면 방수용 하이브리드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과 시공장치를 이용한 교면 방수공법
KR102178147B1 (ko)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119756B1 (ko) Sis, seb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도막 방수제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91173B1 (ko) Frp 리바 매립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구조체 보강공법
KR102058021B1 (ko)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 조성물과 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1643520B1 (ko) 슈퍼마이크로섬유 바탕조정재를 이용한 폴리우레아방수 코팅공법
KR101408630B1 (ko) 수용성 복합시트 방수공법
KR20160087131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 보수공법
KR102627596B1 (ko) 도막식 방수용 및 복합방수 시트용 고성능 개량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의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0351109B1 (ko) 수용성 1액형 도막 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복합 도막 방수시공방법
KR102525769B1 (ko) 콘크리트 외벽의 중성화 및 미세균열 방지 도장방법
KR100571292B1 (ko) 방수용 아스팔트 접착제 조성물과, 그를 이용한 아스팔트시트방수시공방법
KR102626762B1 (ko) 아스팔트 교면의 복합방수용 고기능성 아스팔트계 방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교면의 복합방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