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560B1 - 백-스윙 탑을 청각적으로 알리는 스윙연습용 골프클럽 - Google Patents

백-스윙 탑을 청각적으로 알리는 스윙연습용 골프클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560B1
KR102627560B1 KR1020220010874A KR20220010874A KR102627560B1 KR 102627560 B1 KR102627560 B1 KR 102627560B1 KR 1020220010874 A KR1020220010874 A KR 1020220010874A KR 20220010874 A KR20220010874 A KR 20220010874A KR 102627560 B1 KR102627560 B1 KR 102627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shaft
steel ball
golf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0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4558A (ko
Inventor
최승원
Original Assignee
최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원 filed Critical 최승원
Priority to KR1020220010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560B1/ko
Publication of KR20230114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4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63B69/3635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with sound-emitting sour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63B2071/063Spoken or verbal i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스윙 탑을 청각적으로 알리는 스윙연습용 골프클럽』에 관한 것으로, 이의 목적은 샤프트 끝단이 지면을 향하면서 백-스윙 탑이 이루어지면 알림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연습자가 백-스윙 탑의 스윙각도 및 속도를 용이하게 인지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바르게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백-스윙 탑을 청각적으로 알리는 스윙연습용 골프클럽』에 의하면; 백-스윙 알림수단(300)이 샤프트(100)의 후단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수용 배치되며, 내부가 텅 빈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하단부위 내벽을 따라 국부적으로 나선돌기(311)가 마련된 중공관체(310)와; 중공관체(310)의 내부에서 자중에 의해 상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되, 중공관체(310)의 하단부위에서는 나선돌기(311)를 따라 돌아가면서 서서히 이동하는 강구(320)와; 중공관체(310)의 상단을 덮도록 덮도록 배치되며, 골프 스윙을 연습하는 과정 중에 백-스윙 탑이 진행되면서 샤프트(100) 끝단이 지면을 항하면 강구(320)가 자중에 의해 이동하면서 타격하여 '타격음'을 발생시키는 금속재질의 덮개판(3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백-스윙 탑을 청각적으로 알리는 스윙연습용 골프클럽{GOLF CLUB FOR SWING TRAINING}
본 발명은 스윙연습용 골프클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 스윙을 연습하는 과정에서 샤프트 끝단이 지면을 향하면서 백-스윙 탑이 이루어지면 알림음을 발생시켜 백-스윙 탑을 청각적으로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적절한 리듬을 유지하면서 다운 스윙을 유도할 수 있는 『백-스윙 탑을 청각적으로 알리는 스윙연습용 골프클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 스윙은 적절한 리듬을 갖추고 있어야만 미스샷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백 스윙과 다운 스윙 시에 한 적당한 리듬(탬포)를 유지하면서 헤드 스피드를 빠르게 하는 것이 장타의 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골프 다운 스윙시에 헤드 스피드는 임팩트시에 가장 빠르게 내야 하고, 이러한 임팩트시에 가장 빠른 헤드 스피드는 적절한 리듬을 유지해야만 얻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최근에는 골프 스윙 시 적당한 리듬을 갖추면 일정한 알람음을 발생시키는 음 발생기, 스윙 스피드를 증가시키기 위해 헤드 무게를 증대시킨 연습용 골프클럽 등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대부분의 골프 스윙 연습기는 백-스윙 탑에서 다운-스윙을 하는 과정에서 헤드 스피드를 단순히 증대시키기 위한 구조가 적용되어 있다. 따라서 초보 골퍼의 경우 어드레스에서 백-스윙 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하게 빠른 속도로 다운-스윙만을 연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러한 잘못된 연습방법으로는 부상의 염려가 있고 골프 실력을 향상시키는데 그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159878호(2020년 09월 18일 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165309호(2020년 10월 06일 등록)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골프 스윙을 연습하는 과정에서 샤프트 끝단이 지면을 향하면서 백-스윙 탑이 이루어지면 알림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연습자가 백-스윙 탑의 스윙각도 및 속도를 용이하게 인지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바르게 교정할 수 있는 『백-스윙 탑을 청각적으로 알리는 스윙연습용 골프클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미끄럼 방지를 위해 후단부에 고무재질의 그립이 씌워진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선단부에 부착되어 무게감을 주기 위한 헤드와, 상기 샤프트의 후단부에 마련되며 골프 스윙을 연습하는 과정에서 상기 샤프트 후단이 지면을 향하면서 백-스윙 탑이 이루어짐을 청각적으로 알리기 위한 백-스윙 알림수단을 갖춘 스윙연습용 골프클럽에 있어서;
상기 백-스윙 알림수단이; 상기 샤프트의 후단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수용 배치되며, 내부가 텅 빈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하단부위 내벽을 따라 국부적으로 나선돌기가 마련된 중공관체와; 상기 중공관체의 내부에서 자중에 의해 상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중공관체의 하단부위에서는 상기 나선돌기를 따라 돌아가면서 서서히 이동하는 강구와; 상기 중공관체의 상단을 덮도록 덮도록 배치되며, 골프 스윙을 연습하는 과정 중에 백-스윙 탑이 진행되면서 상기 샤프트 끝단이 지면을 항하면 상기 강구가 자중에 의해 이동하면서 타격하여 '타격음'을 발생시키는 금속재질의 덮개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덮개판의 중앙부위를 일부 절결하여 아래측으로 돌출되게 이루어지며 상기 강구가 중앙부위를 타격하는 판스프링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백-스윙 알림수단이 상기 샤프트의 후단부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수용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되고 하단부가 상기 판스프링부재와 당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강구의 타격 시 상기 판스프링부재의 가압에 의해 스위칭 동작하는 택트스위치와, 상기 회로기판에 탑재되며 상기 택트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신호가 감지되면 메모리된 멘트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갖춘 음성출력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백-스윙 탑을 청각적으로 알리는 스윙연습용 골프클럽』에 의하면; 그립을 잡고 골프 스윙을 하는 과정에서 샤프트의 후단(그립 끝단)이 지면을 향하면서 백-스윙 정점(탑)이 이루어지면, 강구가 중공관체 내부를 따라 내려와 덮개판의 중앙부위를 타격함으로써 타격음(알림음)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연습자는 어드레스 자세에서 백-스윙, 백-스윙 탑, 다운-스윙, 임팩트 존을 지나면서 팔로우-스윙으로 이어지는 전체적인 골프 스윙에서 백-스윙의 정점(탑)이 이루어짐을 타격음(알림음)을 통해 청각적으로 인식한 후 다운-스윙을 시작함으로써, 백-스윙 탑의 스윙각도 및 속도를 용이하게 인지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바르게 교정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강구가 나선돌기를 따라 돌아가면서 서시히 내려오다가 백-스윙 정점(탑)이 이루어지면 빠른 속도로 내려와 덮개판부 중앙을 타격함으로써, 연습자는 백-스윙 탑이 이루어진 시점을 용이하게 인식하여 골프 백-스윙의 리듬과 탬포를 효과적으로 익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스윙 탑을 청각적으로 알리는 스윙연습용 골프클럽』에 의하면; 판스프링부재가 덮개판의 중앙부위에서 아래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있어서, 강구가 백-스윙 과정에서 하강하여 정확하게 덮개판 중앙을 타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스윙 탑을 청각적으로 알리는 스윙연습용 골프클럽』에 의하면; 강구의 타격동작으로 택트스위치가 스위칭 동작하면 메모리된 멘트의 음성이 자동 출력되고, 이로 인해 연습자가 백-스윙의 정점을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윙연습용 골프클럽의 전체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윙연습용 골프클럽의 백-스윙 알림수단을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백-스윙 알림수단의 내부 구조를 보인 분해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윙연습용 골프클럽을 이용한 골프스윙 연습시 어드레스 상태에서 백-스윙 알림수단의 초기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윙연습용 골프클럽을 이용한 골프스윙 연습시 백-스윙 탑이 진행되면서 알림음이 발생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참고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전방, 후방, 양단, 좌측, 우측, 상측, 하측, 수평방향, 전후 등은 상대적인 위치나 방향을 구분하여 지칭하기 위한 것이며, 절대적인 위치나 방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윙연습용 골프클럽의 구성 설명>
본 발명에 따른 스윙연습용 골프클럽은 연습자가 어드레스 자세로부터 백-스윙, 다운-스윙, 임팩트 존을 지나면서 팔로우-스윙으로 이어지는 전반적인 골프 스윙 중에서 백-스윙의 정점(탑)을 인지한 후 다운-스윙이 이루어지게 하는 연습을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단부에 고무재질의 그립(110)이 씌워진 샤프트(100)와, 이 샤프트(100)의 선단부에 부착되어 무게감을 주기 위한 헤드(200)와, 샤프트(100)의 후단부에 마련된 백-스윙 알림수단(300)을 갖추고 있다.
샤프트(100)는 통상 탄성을 갖는 플랙시블한 재질로 제작되는데, 이로 인해 다운-스윙 시 연습자는 헤드 무게를 느끼면서 보다 부드러운 스윙 리듬과 템포를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샤프트(100)는 그라파이트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샤프트(100)의 후단부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고무재질의 그립(110)이 씌워진다.
헤드(200)는 샤프트(100)의 선단에 장착되며, 소정의 무게를 갖는 중량체로 이루어진다. 스윙 연습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해 연습 클럽의 헤드(200) 무게는 실제 골프 클럽에 비해 무겁게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백-스윙 알림수단(300)은 골프 스윙을 연습하는 과정에서 샤프트(100) 후단이 지면을 향하면서 백-스윙 정점(TOP)이 이루어졌음을 청각적으로 알리기 위한 것으로; 샤프트(100) 후단 내부에 끼워져 고정 배치되는 중공관체(310)와, 중공관체(310)의 내부에서 자중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져 이동하는 강구(320)와, 중공관체(310)의 상단을 덮도록 마련되며 강구(320)가 미끄러져 이동하면서 타격하여 타격음을 발생시키는 덮개판(330)과, 강구(320)가 덮개판(330)의 중앙부위를 타격함을 감지하여 메모리된 멘트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유닛(340)으로 정의된다.
중공관체(310)는 샤프트(100)의 후단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배치되며, 내부가 텅 빈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중공관체(310)의 하단부위 내벽을 따라 국부적으로 나선돌기(311)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로 인해 강구(320)는 중공관체(310)의 하단부 구간을 서서히 이동하게 된다.
강구(320)는 자중에 의해 중공관체(310) 내부를 상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직경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중공관체(310)의 하단부위를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나선돌기(311)를 따라 돌아가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서서히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것은 백-스윙이 시작되는 과정에서 강구(320)가 덮개판(330)측으로 급작스럽게 떨어져 이동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금속재질의 덮개판(330)은 중공관체(310)의 상단을 덮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중앙부위를 일부 절결하여 판스프링부재(331)를 일체로 구성하였다. 판스프링부재(331)는 중앙부위가 아래측으로 돌출되게 이루어져 있어서, 강구(320)가 덮개판(330)의 판스프링부재(331) 중앙부위를 타격하게 된다. 따라서 골프스윙을 연습하는 과정 중에 백-스윙 탑이 진행되면서 샤프트(100) 끝단이 지면을 항하게 되면, 강구(320)가 자중에 의해 미끄러져 내려와 덮개판(330)의 하단부 중앙부위(판스프링부재(331) 중앙부위)를 타격하여 기구적인 타격음(백-스윙 정점 알림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음성출력유닛(340)은 강구(320)의 타격동작 시 메모리된 멘트의 음성을 전자적으로 출력하여 백-스윙 정점(탑)을 보다 정확하게 청각적으로 알리기 위한 것으로; 샤프트(100) 후단부에 끼워져 배치되며 내부에 회로기판(341)과 여기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342)가 수용 설치된 하우징(343)과, 회로기판(341)에 실장되며 하단부가 판스프링부재(331)와 당접하게 배치되어 강구(320)의 타격 시 판스프링부재(331)의 가압에 의해 스위칭 동작하는 택트스위치(344)와, 회로기판(341)에 탑재되며 택트스위치(344)의 스위칭 동작신호가 감지되면 메모리된 멘트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345)로 이루어져 있다. 음성출력부(345)는 택트스위치(344)의 스위칭 동작을 감지하는 마이컴(345a)과, 스위칭 동작이 감지되면 메모리된 멘트의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IC(345b;일명, 보이스 칩)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윙연습용 골프클럽의 사용 및 효과 설명>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윙연습용 골프클럽을 이용한 연습과정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연습자가 그립(110)을 파지한 상태에서 어드레스 자세를 취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구(320)는 자중에 의해 중공관체(310)의 하단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백-스윙, 백-스윙 탑, 다운-스윙 그리고 임팩트 존을 지나면서 팔로우-스윙으로 이어지는 골프 스윙을 하면, 헤드(200)가 몸을 중심으로 큰 원을 그리면서 회전한다.
이러한 골프 스윙을 연습하는 과정 중에 백-스윙 탑이 진행되면서 샤프트(100) 끝단이 지면을 향하면;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구(320)는 자중에 의해 중공관체(310)에서 미끄러져 내려와 덮개판(330)의 판스프링부재(331)를 타격하여 백-스윙 탑을 청각적으로 알리는 '타격음'을 발생시킨다. 아울러, 강구(320)의 타격으로 판스프링부재(331)가 택트스위치(344)를 스위칭 동작시키다. 따라서 음성출력유닛(340)에서는 택트스위치(344)의 스위칭 동작을 감지하고, 음성출력부(345)에서는 메모리된 멘트의 음성(예를 들면 '탑')을 출력한다.
따라서 연습자는 금속재질의 덮개판(330)에서 발생되는 타격음(알림음)과 음성출력유닛(340)에서 출력되는 음성을 통해 백-스윙 탑이 이루어졌음을 인지한 후 다운-스윙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연습자는 반복적인 연습 스윙을 하는 과정에서 알림음을 듣고 백-스윙 탑의 스윙각도 및 속도를 용이하게 인지하여 골프 스윙 자세를 바르게 교정할 수 있다.
특히,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스윙시 강구(320)가 중공관체(310)의 나선돌기(311)를 따라 돌아가면서 중공관체(310)의 하단부위를 서서히 벗어나고 그 이후에는 보다 빠른 속도로 이동하여 덮개판(330)을 타격한다. 결국, 강구(320)는 백-스윙 속도에 맞춰 서서히 이동하다가 급작스럽게 내려가 덮개판(330) 중앙을 타격함으로써, 연습자는 백-스윙 탑이 이루어진 시점을 보다 정확하게 인식하여 골프 백-스윙의 리듬과 탬포를 효과적으로 익힐 수 있다.
100..샤프트 110..그립
200..헤드 300..백-스윙 알림수단
310..중공관체 311..나선돌기
320..강구 330..덮개판
331..판스프링부재 340..음성출력유닛
341..회로기판 342..배터리
343..하우징 344..택트스위치
345..음성출력부 345a..마이컴
345b..음성IC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미끄럼 방지를 위해 후단부에 고무재질의 그립(110)이 씌워진 샤프트(100)와, 상기 샤프트(100)의 선단부에 부착되어 무게감을 주기 위한 헤드(200)와, 상기 샤프트(100)의 후단부에 마련되며 골프 스윙을 연습하는 과정에서 상기 샤프트(100) 후단이 지면을 향하면서 백-스윙 탑이 이루어짐을 청각적으로 알리기 위한 백-스윙 알림수단(300)을 갖춘 스윙연습용 골프클럽에 있어서;
    상기 백-스윙 알림수단(300)은;
    상기 샤프트(100)의 후단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수용 배치되며, 내부가 텅 빈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하단부위 내벽을 따라 국부적으로 나선돌기(311)가 마련된 중공관체(310)와;
    상기 중공관체(310)의 내부에서 자중에 의해 상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중공관체(310)의 하단부위에서는 상기 나선돌기(311)를 따라 돌아가면서 서서히 이동하는 강구(320)와;
    상기 중공관체(310)의 상단을 덮도록 덮도록 배치되어 골프 스윙을 연습하는 과정 중에 백-스윙 탑이 진행되면서 상기 샤프트(100) 끝단이 지면을 항하면 상기 강구(320)가 자중에 의해 이동하면서 타격하여 '타격음'을 발생시키며, 중앙부위를 일부 절결하여 아래측으로 돌출되게 이루어지며 상기 강구(320)가 중앙부위를 타격하는 판스프링부재(331)가 마련된 금속재질의 덮개판(330)과;
    상기 샤프트(100)의 후단부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회로기판(341)과 상기 회로기판(341)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342)가 수용 설치되는 하우징(343)과, 상기 회로기판(341)에 실장되고 하단부가 상기 판스프링부재(331)와 당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강구(320)의 타격 시 상기 판스프링부재(331)의 가압에 의해 스위칭 동작하는 택트스위치(344)와, 상기 회로기판(341)에 탑재되며 상기 택트스위치(344)의 스위칭 동작신호가 감지되면 메모리된 멘트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345)를 갖춘 음성출력유닛(34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스윙 탑을 청각적으로 알리는 스윙연습용 골프클럽.
KR1020220010874A 2022-01-25 2022-01-25 백-스윙 탑을 청각적으로 알리는 스윙연습용 골프클럽 KR102627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874A KR102627560B1 (ko) 2022-01-25 2022-01-25 백-스윙 탑을 청각적으로 알리는 스윙연습용 골프클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874A KR102627560B1 (ko) 2022-01-25 2022-01-25 백-스윙 탑을 청각적으로 알리는 스윙연습용 골프클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558A KR20230114558A (ko) 2023-08-01
KR102627560B1 true KR102627560B1 (ko) 2024-01-19

Family

ID=87561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0874A KR102627560B1 (ko) 2022-01-25 2022-01-25 백-스윙 탑을 청각적으로 알리는 스윙연습용 골프클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56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335B1 (ko) * 2007-07-06 2008-10-13 오창윤 다운스윙타임 조정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878B1 (ko) * 2019-02-18 2020-09-24 유준호 골프 스윙 연습 장치
KR102165309B1 (ko) 2020-03-24 2020-10-13 진익현 연습용 골프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335B1 (ko) * 2007-07-06 2008-10-13 오창윤 다운스윙타임 조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558A (ko) 202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9036B2 (en) Batting swing trainer and method
US8187124B2 (en) Batting swing trainer and method
US4027886A (en) Golf swing timing device
KR200410215Y1 (ko) 스윙연습용 골프채
US4560166A (en) Golfer&#39;s head movement indicating device
KR100936095B1 (ko) 골프 스윙연습기
JP2009508624A (ja) ゴルフパッティング練習器具
US20080220892A1 (en) Golf ball and club handle
US5513842A (en) Golf swing training aid
US4583738A (en)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627560B1 (ko) 백-스윙 탑을 청각적으로 알리는 스윙연습용 골프클럽
KR200376169Y1 (ko) 연습용 골프클럽
KR101133354B1 (ko) 헤드 업 교정용 퍼팅 연습 장치
KR101337757B1 (ko) 스윙 연습 골프채
KR200311959Y1 (ko) 골프 스윙 연습기구
US5215306A (en) Golf swing training aid
KR20190086308A (ko)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100919936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KR100926615B1 (ko)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KR101572205B1 (ko) 다운 블로우 스윙 연습장치
KR100489838B1 (ko) 골프스윙보조장치
KR100977320B1 (ko) 골프용 다목적 운동기기
KR20090087318A (ko) 골프 스윙 발광 트레이너
KR100907143B1 (ko) 탄성부재가 내장된 백스윙 연습용 골프 클럽
KR100874141B1 (ko) 코킹연습용 골프스윙연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