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3354B1 - 헤드 업 교정용 퍼팅 연습 장치 - Google Patents

헤드 업 교정용 퍼팅 연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3354B1
KR101133354B1 KR1020090048142A KR20090048142A KR101133354B1 KR 101133354 B1 KR101133354 B1 KR 101133354B1 KR 1020090048142 A KR1020090048142 A KR 1020090048142A KR 20090048142 A KR20090048142 A KR 20090048142A KR 101133354 B1 KR101133354 B1 KR 101133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ll
head
sensor
light emitting
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9538A (ko
Inventor
박정규
Original Assignee
박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규 filed Critical 박정규
Priority to KR1020090048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3354B1/ko
Publication of KR20100129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3/00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 A63B43/06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with illuminating devices ; with reflect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63B69/3682Visual means not attached to the body for aligning, positioning the trainee's head or for detecting head movement, e.g. by parallax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86Timers, rhythm indicators or pacing apparatus using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28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 A63B2024/0031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at the starting poi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 업 교정용 퍼팅 연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퍼팅매트 상에서 골프공이 놓여지는 장소에서 골프공의 유무를 감지하여 골프공이 존재하면 OFF 신호를 출력하고, 골프공이 없을 때에는 ON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과 함께 골프공이 놓여지는 위치에 설치되어 감지신호에서 출력되는 ON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발광수단; 상기 발광수단이 동작하는 시간을 조정하기 위하여 타이머를 구비하는 지연시간 조절수단; 및 상기 발광수단이 점등된 상태를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지속시켜주는 자기유지수단; 을 구비하여 스윙 연습을 하는 과정에서 발광수단이 점등된 상태와 음향을 시청각적으로 확인하여 헤드 업을 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습관을 통하여 헤드 업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것이다.
Figure 112009033003462-pat00001
골프, 퍼팅, 헤드 업, 감지센서

Description

헤드 업 교정용 퍼팅 연습 장치 {The putting practice system for head up revision}
본 발명은 골프 입문자가 스스로 자세 교정을 할 수 있는 골프 연습 장치에 관한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센서가 골프공을 감지하고 있을 때에는 램프가 소등된 상태에 있다가 퍼팅이 이루어진 다음 약 2~5초의 지연 시간을 두고 램프가 점등하게 되어 연습자가 램프의 불빛을 보도록 유도함으로써 헤드 업(head-up)을 유발하는 자세를 스스로 인식하면서 교정할 수 있고, 백스윙과 퍼러우를 할 때에 퍼터헤드가 똑바로 이동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퍼팅시의 올바른 자세를 빠른 시일 내에 교정할 수 있는 헤드 업 교정용 퍼팅 연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공을 경타하는 퍼팅은 골프공을 홀에 넣는 최종적인 과정으로서 신중한 타격 자세를 요구한다. 올바른 스윙 준비 자세로는, 먼저 골프공의 윗부분에 시선을 두면서, 양쪽의 눈을 타켓 라인과 평행하게 유지하고, 어깨를 타켓 라인과 평행하게 유지하여야 하며, 퍼터 헤드의 전면 중심선이 타켓 라인에서 골프공의 뒷부분에 위치하도록 하여야 한다.
골프 스윙은 백스윙(back swing)과 다운스윙(down swing), 팔로우 스로 우(follow through), 탑오브스윙(top of the swing), 피니쉬(finish)로 나눌 수 있으며, 골프 스윙 중에서 백스윙과 다운스윙 및 퍼터 스윙은 머리와 등뼈를 회전축으로 하여 백스윙, 임팩트, 피니쉬 까지 고정되어 있어야 정확한 임팩트를 구사할 수 있다. 골프에 입문하는 초심자들은 중심축이 좌우상하로 많이 움직이게 되고, 공을 가격하기 전에 머리를 움직여서 목표 방향을 주시하는 동작을 일컷는 헤드 업(head up)을 하게 된다. 이러한 헤드 업은 스윙 궤도는 물론 클럽 페이스가 어긋나 미스샷(miss shot)을 하는 주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코치로부터 지속적인 지도를 받아야 한다.
종래에 초보자들은 퍼팅연습을 하기 위해서 실내에 설치되는 가상 타켓에 대하여 반복연습을 행하는 과정에서 교수자에 의하여 고정을 받으면서 자세 교정을 하였다. 이 경우 교수자가 전적으로 연습자의 교정을 지도하는 것은 여러 가지 여건상 불가능하여 초보자가 정확한 퍼팅자세를 빠른 시일 내에 습득하기 어렵기 때문에 오랜 시일이 지나야 비교적 정확한 퍼팅자세를 습득할 수 있게 된다.
스윙 연습 과정에서 골퍼 스스로 스윙 자세를 교정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골퍼가 자신의 자세를 거울에 비추어 볼 수 있어 스윙자세를 교정하면서 스윙연습을 할 수 있는 것이 있으나, 이는 헤드 업을 하였는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다.
골프가 점차 대중화되어감에 따라 초보자가 스스로 골프 연습을 할 수 있게 한 장치가 다양하게 보급되었다.
이러한 골프 연습 장치의 사례로서 실용신안등록 제20-220556호(2001.04. 16.공고)의 '골프 연습기'는 속도감지센서가 양단부에 설치된 제1케이스와, 퍼터의 백스트로크를 감지하는 광센서가 설치된 투명창을 가진 제2케이스를 구성하여, 퍼터의 백스트로크의 거리와 공의 속도를 센서로 감지하여 스윙 강도를 조절하는 연습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한 골프 스윙 연습기는 골프공의 스윙강도를 연습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으로 스윙을 할 때 헤드 업을 방지를 위한 자세 교정 연습을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서 초보자가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것이다.
또 선행기술인 실용신안등록 제20-227508호 '골프 연습기'는 그린매트의 두 지점에 광센서를 설치하여 공의 속도를 측정가능하게 하고 공의 투입구와 회수경로가 구비된 본체를 그린매트의 선단부에 설치하여 투입구를 향하여 스윙한 골프공의 속도를 광센서에 의하여 감지하여 공의 속도를 실제 그린에서의 구름저항을 이용하여 스윙 거리를 디지털 표시기에 표시하여 그 결과를 보면서 스윙 연습을 하게 되어 있다.
상기한 골프 연습기 또한 골프에 입문할 때에 중요한 자세 교정을 할 수 있는 것이 아니어서 초보자의 헤드 업을 교정하는 연습을 할 수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골프 연습 장치는 단지 흥미를 유발시키기 위한 연습 장치로서 가장 중요하게 여겨져야 하는 자세 교정을 스스로 할 수 있는 수단이 전혀 고려되지 않은 것이어서, 대부분의 골프 초심자들은 교수자의 지도를 통해서만 자 세 교정을 할 수 있었기 때문에 초보자가 정확한 스윙자세를 빠른 시일 내에 습득하기 어려웠던 것이다.
골프를 즐기기 위한 것과 잘치기 위한 방법으로 수없이 많은 이론이 있고, 그 이론에 근거하여 많은 연습을 필요로 하지만 골프를 잘치기 위한 중요한 요소를 꼭 지켜야 하는데, 아무런 도움없이 지켜야 할 사항을 혼자서 습득하기에는 사실 어려운 면이 있지만 좀 더 과학적으로 접근한다면 보다 좋은 결과를 얻어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골프 연습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든다면 골프를 정확하게 구사하거나 퍼팅을 잘하기 위해서 꼭 지켜야 할 사항으로 헤드 업을 하지 않도록 머리를 고정시키는 것인데, 이를 지키는 것은 골프 이론 중에서도 가장 힘든 부분이며, 또한 열심히 연습을 한다고 하여도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잘된다는 보장도 없는 것이다.
그래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습관화시키기 위해서는 골프 연습을 위한 보조기구가 필요하며,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정확한 골프 이론에 부합되는 골프 스윙을 습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골프 연습기로서 특히 퍼팅(putting)연습시에 퍼터(putter)가 헤드 업을 하였는지를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되어 퍼팅 연습시 의 헤드 업을 방지하기 위한 자세 교정 연습을 보다 효율적으로 연습할 수 있는 헤드 업 교정용 퍼팅 연습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 업 교정용 퍼팅 연습 장치는 퍼팅매트 상에서 골프공이 놓여지는 장소에서 골프공의 유무를 감지하여 골프공이 존재하면 OFF 신호를 출력하고, 골프공이 없을 때에는 ON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과 함께 골프공이 놓여지는 위치에 설치되어 감지신호에서 출력되는 ON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발광수단;
상기 발광수단이 동작하는 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타이머를 구비하는 지연시간 조절수단; 및
상기 발광수단이 점등된 상태를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지속시켜주는 자기유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감지수단은 예를 들면 빛을 검출할 수 있는 검출부로 구성되는 광전식 근접센서, 고주파 발진과 같은 전자유도 방식의 유도형 근접센서, 금속이 증착된 부위의 유무를 판별하는 정전용량형 근접센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발광수단은 LED, 광섬유, 또는 램프로 될 수 있는데, LED로 구성되는 것이 제작 및 유지관리에 있어서 보다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광수단은 퍼팅매트의 어느 위치에 설치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골프공이 놓여지는 위치에 설치되어 골프연습자의 시선이 골프공이 놓여져 있었던 위치에 집중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연시간 유지수단은 퍼팅 시도 후 2~5초 후에 발광수단이 점등되게 하거나 음향이 발생되게 함으로써 헤드 업 방지를 유지할 수 있으며, 자기유지수단은 발광수단이 점등된 상태를 일정 시간 동안 유지시킨 다음 음향발생장치와 함께 off 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퍼팅매트에서 볼을 놓는 지점에 감지수단을 설치하고, 그 부분에서 발광수단이 점등되게 한다. 즉 감지수단 위에 볼을 놓으면 빛이 차단되어 전원이 연결이 안되게 하고, 볼이 감지수단을 떠나게 되면 전원이 연결되어 볼을 치고 난 다음 불이 점등하게 되면서 눈으로 불빛을 확인한 다음 볼이 진행하는 방향을 보게 되는데, 이때 적어도 발광수단이 2~5초 후에 점등하게 하여, 점등될 때까지 머리를 고정하고 눈으로 확인하게 하는 연습을 반복적으로 하게 됨으로써 본인 스스로가 퍼팅 스윙 연습을 하면서 헤드 업을 하였는지를 인식하면서 헤드 업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정에서 연습자의 스윙에 의하여 램프가 점등되는 시간이 극히 짧을 경우에는 인지하기가 곤란할 수 있기 때문에 지연시간 조절수단은 램프가 점등되는 시간을 2~5초 정도 지속시켜줄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연습자는 점등된 발광수단이 소등될 때까지 발광수단을 확인하면서 헤드 업 발생 여부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헤드 업 교정 연습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발광수단을 점등시키는 입력 신호에 대하여 일정시간 동안 발광수단이 점등된 상태를 유지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렇게 발광수단이 점등된 상태를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지속시킬 수 있는 유지수단으로써 릴레이, 타이머, 또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사용하여 입력된 신호에 대하여 램프가 일정시간 동안 점등된 다음에 소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감지수단과 발광수단은 골프공이 놓여지는 위치에 한정하여 설치할 수 있고, 백스윙과 퍼러우를 할 때에 퍼터헤드가 똑바로 이동하였는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골프공이 놓여지는 장소의 전후에서 퍼터헤드가 진행되는 방향으로 감지수단 및 발광수단을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헤드 업 방지는 물론이고 백스윙과 퍼러우 상태를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스윙을 하는 과정에서 발광수단이 점등된 상태와 음향을 시청각적으로 확인하여 헤드 업을 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습관을 통하여 헤드 업 자세 교정을 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백스윙과 퍼러우 스윙의 상태를 연습자 스스로 또한 시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트레이너의 도움이 없이 골프 연습자가 퍼팅 스윙 궤도와 임팩트를 스스로 교정하여 빠른 시일 내에 헤드 업 방지를 포함한 퍼팅 자세를 올바르게 익히거나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퍼팅매트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은 분리형 매트가 적용된 퍼팅매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체형 매트가 적용된 퍼팅매트의 사시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분리형 퍼팅매트(1)는 발판(10), 감지수단이 형성되는 제1매트(11), 표시수단이 형성되는 제2매트(12)가 분리되어 형성되어, 제1매트(11)와 제2매트(12)가 전기 코드(13)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매트(12)는 전원 콘센트에 결합되는 플러그(14)를 구비하는 전원코드(15)가 형성되어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게 되면서 발광수단과 음향발생장치(13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선택스위치(16?17)와 음행발생장치(130)로부터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18)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은 일체형 퍼팅매트(2)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지수단과 표시수단이 하나의 매트(21)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플러그(24)가 형성된 전원코드(25)에 의하여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게 되고, 선택스위치(16a,17a)와 스피커(18a)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이 일체형 퍼팅매트(2)에 형성되는 상태를 예로 들어 설명된다.
도 3 및 도 4는 상기한 감지수단을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감지수단은 헤드 업 방지 연습을 할 수 있도록 매트(21)상에서 골프공(B)이 놓여지는 위치(P)에 형성되는 홈(22) 내부에서 골프공(B)을 향하여 설치되어 골프공(B)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제1센서(23)와, 퍼터헤드(H)의 이동 직진성을 감지할 수 있도록 골프공(B)이 놓이는 위치(P)의 앞쪽과 뒷쪽으로 퍼터헤드(H)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매트(21)에 설치되는 금속 증착띠(26)와, 퍼터헤드(H)에 부착되어 상기 금속 증착띠(26)를 감지하는 제2센서(27)로 구성된다.
제1센서(23)는 매트 상에서 골프공이 놓여지는 위치에서 골프공의 유무를 감지한 신호를 출력하여 발광수단을 ON/OFF 시키게 됨으로써 헤드 업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하고, 금속증착띠(26)와 제2센서(27)는 퍼팅시 퍼터헤드의 직진 이동성을 감지하여 올바른 퍼팅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에 관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제1센서(23)는 골프공이 놓여지는 위치에서 골프공이 존재하는지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예를 들면 광원(led)과 이 빛을 검출할 수 있는 검출부로 구성되는 광전식 근접센서, 고주파 발진과 같은 전자유도 방식의 유도형 근접센서가 적용될 수 있고, 퍼팅시 퍼터헤드의 직진 이동성을 감지하여 올바른 퍼팅이 이루어졌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은 금속증착띠(26)와 제2센서(27)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표시수단은 상기 제1센서(23)에 의하여 감지되는 신호로 작동하는 발광수단과 상기 발광수단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지연시간 조절수단 및 자기유지수단과, 상기 제2센서(27)에 의하여 감지되는 신호로 작동하는 음향발생장치(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표시수단은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골프공이 존재하면 발광수단을 OFF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골프공이 없을 때에는 ON 신호를 출력하면서 지연시간 조절수단과 자기유지수단에 의하여 발광수단이 점등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하며, 퍼터헤드(H)가 스윙궤도를 그리는 직진 이동성이 안정된 범위 내에 있는 것이 감지되면 음향발생장치(130)에서 특정한 음향이 발생하여 스윙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발광수단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센서(23)와 함께 골프공(B)이 놓여지는 위치(P)에 설치되는 LED(28) 또는 램프로 구성되어, 상기 감지센서와 함께 골프공이 놓여지는 위치에 설치되어 제1센서(2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지연시간 조절수단은 상기 발광수단이 동작하는 시간을 조정한다.
자기유지수단은 상기 발광수단이 점등된 상태를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지속시킨다. 감지수단으로부터 골프공이 존재하면 발광수단을 OFF하는 신호를 출력하 고, 골프공이 없을 때에는 ON 신호를 출력하면서 지연시간 조절수단과 자기유지수단에 의하여 발광수단이 점등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매트(21)의 홈(22)에 제1센서(23)와 LED(28)가 설치된 상태에서 골프공(B)이 놓이는 위치(P)에 골프공(B)이 있을 때에는 제1센서(23)로부터 LED(28)가 소등된 상태를 유지하고, 퍼팅을 하여 골프공(B)이 이동을 하면 제1센서(23)가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지연시간 조절수단에서 약 2~5초 사이에서 설정된 시간 동안 지연된 다음 자기유지수단에 의하여 LED(28)가 일정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2~5초 동안 점등되어 연습자가 퍼팅 후 이 불빛을 보도록 유도함으로서 헤드 업을 방지하는 자세를 습관화시키게 된다.
이때 퍼터헤드(H)가 이동하면서 퍼터헤드(H)에 부착된 제2센서(27)가 금속증착띠(26)를 감지한 신호가 출력됨으로써 퍼터헤드의 직진 이동 상태가 감지되어 정상적인 범위가 감지되거나 비정상적인 범위가 감지됨에 따라 음향발생장치에서 선택적인 음향이 출력된다.
이렇게 퍼터헤드(H)의 직진 이동 상태는 음향발생장치를 이용하는 것보다 스윙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현시킴으로서 연습자는 자신의 퍼팅 자세에 신뢰를 가지면서 자세교정 및 숙련을 위한 연습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 6 및 도 9에 의하여 설명된다.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퍼팅매트(2a)에서 골프공(Ba)이 놓이는 위치(Pa)에 형성된 홈(22a)에는 헤드 업 방지를 연습하기 위한 감지수단으로서 골프공(Ba)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제1센서(23a)가 설치되어 있고, 발광수단으로서 제1 LED(28a)가 형성되어 있으며, 퍼터헤드(Ha)의 이동 직진성을 감지할 수 있도록 골프공(Ba)이 놓이는 위치(Pa)의 앞쪽과 뒷쪽으로는 퍼터헤드(Ha)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다수개의 제2센서(270)와 제2 LED(280)가 적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제2센서(270)와 함께 설치되는 다수의 제2 LED(280)는 정상적인 백스윙이 이루어지는 구간(A1)과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구간(B1)의 색상이 다르게 설치되고, 또한 정상적인 퍼로우 스윙이 이루어지는 구간(A2)과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구간(B2)의 색상이 다르게 설치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골프공(Ba)이 놓이는 위치(Pa)에 형성된 홈(22a)에 골프공(Ba)이 있을 때에는 제1센서(23a)로부터 제1 LED(28a)가 소등된 상태를 유지하고, 퍼팅을 하여 골프공(Ba)이 이동을 하면 제1센서(23a)가 이를 감지한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지연시간 조절수단에서 약 2~5초 사이에서 설정된 시간 동안 지연된 다음 자기유지수단에 의하여 제1 LED(28a)가 일정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2~5초 동안 점등되는데, 연습자가 퍼팅 후 이 불빛을 보도록 유도하므로 헤드 업을 방지하는 자세를 습관화시키게 된다.
이때 퍼터헤드(Ha)가 이동하면서 퍼팅매트(2a)에 설치된 제2센서(270)로부터 퍼터헤드(Ha)가 근접한 상태를 감지한 신호가 출력됨으로써 퍼터헤드의 직진 이동 상태가 감지되어 정상적인 범위가 감지되거나 비정상적인 범위가 감지되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다수개의 제2센서(270)중에서 퍼터헤드(Ha)가 근접한 상태를 감지한 제2센서(270)와 함께 설치된 제2 LED(280)가 점등됨으로써 퍼터헤드가 이동된 범위를 연습자가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2센서(270)와 함께 설치되는 제2 LED(280) 중에서 정상적인 백스윙이 이루어지는 구간(A1)과 정상적인 퍼로우 스윙이 이루어지는 구간(A2)에 해당하는 LED에 불빛이 들어오지 않을 경우에는 퍼팅시 퍼터헤드의 진행 방향이 잘못되었음을 곧바로 알 수 있고, 비정상적인 백스윙이 이루어지는 구간(B1)이나 비정상적인 퍼로우 스윙이 이루어지는 구간에 해당해는 LED에 점등이 되면 이 역시 퍼팅이 잘못되었음을 곧바로 알 수 있다.
이렇게 백스윙과 퍼로우 스윙 상태는 음향발생장치(130)를 통하여 특정 음향으로 출력될 수도 있다.
도 9는 이러한 감지수단에 의한 검출주기를 나타내고 있다. 즉 퍼터헤드가 센서에 일정 거리 이상 근접하면 해당하는 센서가 퍼터헤드를 감지하게 되고, 이렇게 접근한 퍼터헤드를 감지한 센서와 함께 설치된 LED가 점등하게 됨으로써, 퍼터헤드의 직진성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실시예의 전기적인 장치는 도 10의 회로도에 나타나 있다.
메인 스위치(100), 제1?제2선택스위치(16?17), 제1센서(23a) 및 제2센서(270), 음향발생장치(130), 제1?제2릴레이(140?140a), 제1 LED(28a) 및 제2 LED(280) , 그리고 상기 제1?제2릴레이(140?140a)에 의하여 작동되는 제1?제2릴레이 스위치(160?160a)로 구성된다.
메인 스위치(100)는 전원을 인가시키는데, 출력측이 제1선택스위치(16)와 제2선택스위치(17)의 입력측으로 분기된다.
제1?제2선택스위치(16?17)는 제1 LED(28a) 및 제2 LED(280)와 음향발생장치(13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 스위치로써, 제1선택스위치(16)는 제1?제2릴레이(140?140a)와 제1?제2 LED(28a?280)와 연결되고, 제2선택스위치(17)는 음향발생장치(130)에 연결되어 있다.
감지수단은 매트(2a)에 각각 설치되는 제1센서(23a) 및 제2센서(270)이다.
제1센서(23a)는 아웃단자(OUT1)가 음향발생장치(130)의 인에이블 단자(EN1)와 제1릴레이(140)에 연결되고, 제2센서(270)의 아웃단자(OUT2)는 음향발생장치(130)의 인에이블 단자(EN2)와 제2릴레이(140a)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센서(23a)는 퍼터헤드가 골프공을 타격하여 이동할 때에 온(ON) 신호를 출력하면서 아웃단자(OUT1)를 통해서 샷 상태를 알려주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제2센서(270)는 (ON) 신호를 출력하여 음향발생장치(13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타격이 이루어졌음을 알려주는 제1?제2 LED(28a?280)를 점등시키는 제 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바람직하게 일정 시간이 지난 다음에 출력한다.
음향발생장치(130)는 제1센서(23a)와 제2센서(270)와 연결되어 샷을 한 상태에 따라 설정된 음향을 출력한다.
제1릴레이(140)는 퍼팅시 한편의 제1센서(23a)의 아웃단자(OUT1)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여자되어 제1릴레이 스위치(160)를 접점시켜서 제1 LED(28a)를 점등시키며, 제2릴레이(140a)는 퍼팅시 제2센서(270)의 아웃단자(OUT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여자되어 제2릴레이스위치(140a)를 접점시켜서 제2 LED(280)를 점등시킨다.
이러한 회로의 작용은 먼저, 사용자가 메인 스위치(100)를 온(ON)시키고, 제1?제2 LED(28a?280)를 작동시킬 것인지, 음향장치(130)를 작동시킬 것인지, 또는 제1?제2 LED(28a?280)와 음향장치(130)를 모두 사용할 것인지에 따라서 제1선택스위치(16)와 제2선택스위치(17)를 선별하여 선택하거나 모두 선택하면 된다.
따라서 제1선택스위치(16)를 온(on)으로 설정하면 제1?제2릴레이(140?140a)가 준비 상태가 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제1?제2 LED(28a?280)가 점등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제2선택스위치(17)를 온(ON)으로 설정하면 음향발생장치(130)가 준비되는 상태로 된다.
다음의 설명에서는 퍼팅시 제1?제2 LED(28a?280)와 음향발생장치(130)가 동시에 구동하는 것으로 한다.
제1?제2선택스위치(16?17)가 모두 온(on)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연습자가 퍼터헤더로 퍼팅을 하면 퍼터헤더가 이동하는 상태를 제1센서(23a)와 제2센서(270)가 감지하여 신호가 출력된다.
이때 상기 제1센서(23a)의 출력단(OUT1)은 음향발생장치(130)의 인에이블 단자(EN1)와 제1릴레이(140)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릴레이(140)에 의하여 제1 LED(28a)가 점등되며, 이와 동시에 음향발생장치(130)는 퍼터헤더의 이동 상태에 따르는 음향을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LED(28a)가 점등되어 있는 시간은 2~5초 정도 지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센서(23a)의 출력단(OUT1)에서 발생한 순간적인 신호는 제1릴레이(140)가 제1릴레이스위치(160)를 2~5초 동안 구동시킨 후에 제1 LED(28a)를 소등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2 LED(280)가 점멸하는 시간은 제1램프(28a)와 같이 2~5초 동안 유지되도록 제2릴레이(140a)에서 일정 시간 동안 제2릴레이스위치(160a)를 구동시킨다.
따라서 연습자가 퍼팅을 정상적으로 수행하면 음향발생장치(130)로부터 송출되는 음성과 디스플레이 되는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퍼팅 상태를 스스로 인식하면서 연습할 수 있게 되고, 또한 퍼팅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램프가 점등되는 것을 확인토록 함으로써 헤드 업을 교정하는 연습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발명의 퍼팅매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타격 연습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퍼팅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퍼팅매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퍼팅매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
도 10은 감지수단의 동작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제1매트 12 : 제2매트
16?17 : 선택스위치 23?23a : 제1센서
26 : 금속증착띠 27 : 제2센서
28 : LED 28a : 제1 LED
270 : 제2 센서 280 : 제2 LED

Claims (6)

  1. 삭제
  2. 퍼팅매트 상에서 골프공이 놓여지는 장소에서 골프공의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과 함께 골프공이 놓여지는 위치에 설치되어 감지신호에서 출력되는 ON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발광수단과, 상기 발광수단이 점등된 상태를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지속시켜주는 자기유지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골프공이 존재하는 신호가 감지되면 발광수단을 OFF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골프공이 없는 신호가 감지되면 발광수단을 ON하는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자기유지수단에 의하여 발광수단이 점등된 상태를 확인하도록 하여 헤드 업을 방지토록 하는 공지된 헤드 업 교정용 퍼팅 연습 장치에 있어서,
    감지수단과 발광수단이 골프공이 놓여지는 장소의 전후에서 퍼터헤드가 진행되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백스윙과 퍼러우를 할 때 퍼터헤드의 이동구간을 감지하여 백스윙과 퍼러우 상태를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업 교정용 퍼팅 연습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이 동작하는 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타이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업 교정용 퍼팅 연습 장치.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감지수단이 매트(21)상에서 골프공(B)이 놓여지는 위치(P)에 형성되는 홈(22) 내부에서 골프공(B)을 향하여 설치되어 공프공(B)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제1센서(23)와, 퍼터헤드(H)의 이동 직진성을 감지할 수 있도록 골프공(B)이 놓이는 위치(P)의 앞쪽과 뒷쪽으로 퍼터헤드(H)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매트(21)에 설치되는 금속 증착띠(26)와, 퍼터헤드(H)에 부착되어 상기 금속 증착띠(26)를 감지하는 제2센서(27)로 되고,
    발광수단은 제1센서(23)와 함께 골프공(B)이 놓여지는 위치(P)에 설치되는 LED(28)로 구성되어, 제1센서(2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업 교정용 퍼팅 연습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감지수단은 골프공(Ba)이 놓이는 위치(Pa)를 감지하는 제1센서(23a)와 다수개의 제2센서(270)로 되고,
    발광수단은 퍼터헤드(Ha)의 이동 직진성을 감지할 수 있도록 골프공(Ba)이 놓이는 위치(Pa)의 앞쪽과 뒷쪽으로 퍼터헤드(Ha)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다수개의 제2센서(270)와 제2 LED(280)가 적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되면서, 제2센서(270)와 함께 설치되는 다수의 제2 LED(280)는 정상적인 백스윙이 이루어지는 구간(A1)과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구간(B1)의 색상이 다르게 설치되고, 정상적인 퍼로우 스윙이 이루어지는 구간(A2)과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구간(B2)의 색상이 다르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업 교정용 퍼팅 연습 장치.
KR1020090048142A 2009-06-01 2009-06-01 헤드 업 교정용 퍼팅 연습 장치 KR101133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142A KR101133354B1 (ko) 2009-06-01 2009-06-01 헤드 업 교정용 퍼팅 연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142A KR101133354B1 (ko) 2009-06-01 2009-06-01 헤드 업 교정용 퍼팅 연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538A KR20100129538A (ko) 2010-12-09
KR101133354B1 true KR101133354B1 (ko) 2012-04-06

Family

ID=43506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142A KR101133354B1 (ko) 2009-06-01 2009-06-01 헤드 업 교정용 퍼팅 연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33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8601A1 (ko) * 2013-04-30 2014-11-06 주식회사 베스컨 퍼팅 연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533B1 (ko) 2011-01-10 2011-06-23 이동원 고효율 전원을 구비한 led 조명장치
KR102426455B1 (ko) * 2020-09-15 2022-07-29 주식회사 엔터미디어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US20230095595A1 (en) * 2021-09-27 2023-03-30 Th2Mat, Llc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a predetermined sequence of exercise rout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305Y1 (ko) 2000-03-04 2000-08-16 신성산업주식회사 골프 퍼팅 연습기
US6149532A (en) 1998-06-16 2000-11-21 Kim; Cheol K. Golf ball impact detection system for improving a golf swing
KR20030078625A (ko) * 2002-03-28 2003-10-08 박정규 골프 연습 장치
KR20090036067A (ko) * 2007-10-08 2009-04-13 성태식 헤드업 방지용 골프 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9532A (en) 1998-06-16 2000-11-21 Kim; Cheol K. Golf ball impact detection system for improving a golf swing
KR200193305Y1 (ko) 2000-03-04 2000-08-16 신성산업주식회사 골프 퍼팅 연습기
KR20030078625A (ko) * 2002-03-28 2003-10-08 박정규 골프 연습 장치
KR20090036067A (ko) * 2007-10-08 2009-04-13 성태식 헤드업 방지용 골프 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8601A1 (ko) * 2013-04-30 2014-11-06 주식회사 베스컨 퍼팅 연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538A (ko) 201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1469B1 (ko) 골프 스윙 동작 보정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동작보정 장치
US20110306435A1 (en) Golf swing action correcting unit, and a golf swing action correc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7896756B2 (en) Apparatus for training a golf swing
US20070249428A1 (en) Putting Training Device
KR101133354B1 (ko) 헤드 업 교정용 퍼팅 연습 장치
US20200078655A1 (en) Digital putting diagnosis device
KR100489418B1 (ko) 퍼팅교정 및 연습장치
US8753217B2 (en) Apparatus for correcting a head-up phenomenon during a golf swing
US20140038739A1 (en) Club-Swing Practice Apparatus
KR100981703B1 (ko) 골프 스윙 자세 교정기
KR20200124826A (ko) 골프 스윙 시 정타를 확인할 수 있는 골프 클럽
KR100699526B1 (ko) 골프 스윙 확인장치
KR101355882B1 (ko) 골프 스윙연습기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KR101720671B1 (ko) 골프스윙 보조기구
US20170326427A1 (en) Golf swing teaching device
KR20130001830U (ko) 골프 스윙 연습기
KR200476024Y1 (ko) 골프용 가이드 표시 장치
KR101081473B1 (ko) 골프 스윙 동작 보정 유닛
US20110118061A1 (en) Laser toss assist
KR200275673Y1 (ko)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100933306B1 (ko) 골프 스윙 교정기
KR101075303B1 (ko) 골프 스웨이 감지 장치
KR100429149B1 (ko) 골프 스윙 연습기
JP2008295911A (ja) ゴルフ練習器
KR200220556Y1 (ko) 골프 퍼팅 연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