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6272B1 - 소파블럭 자동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소파블럭 자동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6272B1
KR102626272B1 KR1020210148084A KR20210148084A KR102626272B1 KR 102626272 B1 KR102626272 B1 KR 102626272B1 KR 1020210148084 A KR1020210148084 A KR 1020210148084A KR 20210148084 A KR20210148084 A KR 20210148084A KR 102626272 B1 KR102626272 B1 KR 102626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ofa block
link
wire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8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3149A (ko
Inventor
신창주
권오순
서정민
강현
박해용
만동우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10148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272B1/ko
Publication of KR20230063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소파블럭 자동 분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럭 자동 분리장치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수평 지지부와, 각 중간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관통공과 하단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부 관통공을 각각을 구비하여 상기 작동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수평 지지부의 저면 양쪽에서 직하방으로 마련되는 두 쌍의 링크 지지단과, 상기 수평 지지부 저면의 양쪽 바깥쪽에 각각 직하방으로 마련되는 한 쌍의 축 지지단을 포함하는 지지체; 하단 연결부가 양쪽의 상기 링크 지지단 사이에 위치하고, 상단 연결부는 상기 작동공을 통하여 상향으로 노출되어 크레인의 인양 와이어와 연결되며, 상기 하단 연결부와 상기 수평 지지부의 저면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체에 의해 하향으로 탄력 지지되는 작동부재; 각 상단부가 상기 작동부재의 하단 연결부 양쪽에 각각 축 결합되고 각 중간부는 양쪽의 상기 축 지지단에 축 결합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 및 소파블럭을 감싸는 각 연결 와이어의 고정단이 고정되도록 양쪽 상기 링크 지지단 사이에 마련되는 제1 고정체와, 연결 와이어의 자유단을 걸어 고정하거나 걸림 해제하기 위한 제2 고정체를 포함하는 와이어 걸림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파블럭 자동 분리장치{AUTO SEPARATING APPARATUS FOR WAVE ABSOBING BLOCK}
본 발명은 소파블럭 자동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파블럭에 와이어를 걸어 결합한 상태에서 소파블럭을 들어 올리면 양쪽의 링크부재가 와이어를 고정하고, 소파블럭을 시공 장소에 안착시키면 와이어의 고정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되어 와이어를 회수할 수 있는 소파블럭 자동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파블럭(tetrapod)은 방파제의 유실과 월파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파도의 힘을 소멸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다.
방파제의 경사면에 피복 및 소파용으로 사용하는 소파블럭의 대표적인 콘크리트 블럭인 테트라포드는 단위 중량이 크고 형상이 4개의 각주가 균일한 상관각도를 가지는 방사상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파도의 흡수가 양호하고 각주의 단면이 원형으로 되어 있어 블럭과 블럭의 대접면이 적고 정적 또는 난적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공극이 형성되어 통수성이 양호하다. 따라서 테트라포드와 포드사이에서 파도를 다양하게 산개, 소산시키므로 소파효과가 양호하나 다양한 형태의 공극을 형성하기 위하여서는 중량물인 테트라포드를 한 개씩 이동 거치해야하므로 시공 작업시간이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소파블럭은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8-0091642호(공개일 : 2008.10.14)에는 테트라포드 소파블럭과 이 테트라포드 소파블럭이 피복된경사식 방파제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492257호(공고일 : 2005.05.30)에는 방파용 소파블럭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266993호(공고일 : 2002.03.06)에는 결속고리를 갖는 테트라포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소파블럭을 원하는 장소에 안착시켜 시공하기 위해서는, 크레인과 소파블럭을 와이어로 연결하여 들어 올린 후 시공장소에 안착시키고, 소파블럭이 시공장소에 안착되면 소파블럭에 걸린 와이어를 걸림 해제시켜 회수하는 작업을 반복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소파블럭을 들어 올려 시공장소에 안착시킨 후 소파블럭에 걸린 와이어를 걸림 해제시키는 작업을 작업자가 직접 해당 소파블럭에 접근(지상 또는 수중)하여 수작업으로 수행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 위험성이 현저하게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8-0091642호(공개일 : 2008.10.14)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492257호(공고일 : 2005.05.30) .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266993호(공고일 : 2002.03.06)
본 발명의 목적은, 소파블럭에 와이어를 걸어 결합한 상태에서 크레인으로 소파블럭을 들어 올려 시공 장소에 안착시킨 후 안착된 소파블럭으로부터 와이어를 걸림 해제시키는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소파블럭을 시공하는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작업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중앙에 작동공이 형성된 수평 지지부와, 각 중간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관통공과 하단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부 관통공을 각각을 구비하여 상기 작동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수평 지지부의 저면 양쪽에서 직하방으로 마련되는 두 쌍의 링크 지지단과, 상기 수평 지지부 저면의 양쪽 바깥쪽에 각각 직하방으로 마련되는 한 쌍의 축 지지단을 포함하는 지지체; 하단 연결부가 양쪽의 상기 링크 지지단 사이에 위치하고, 상단 연결부는 상기 작동공을 통하여 상향으로 노출되어 크레인의 인양 와이어와 연결되며, 상기 하단 연결부와 상기 수평 지지부의 저면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체에 의해 하향으로 탄력 지지되는 작동부재; 각 상단부가 상기 작동부재의 하단 연결부 양쪽에 각각 축 결합되고 각 중간부는 양쪽의 상기 축 지지단에 축 결합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 및 소파블럭을 감싸는 각 연결 와이어의 고정단이 고정되도록 양쪽 상기 링크 지지단 사이에 마련되는 제1 고정체와, 각 상기 링크부재의 하단부에 각 일단이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작동부재의 상승으로 각 상기 링크부재의 하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오므라들 때 각 타단이 상기 하부 관통공에 삽입되어 각 상기 연결 와이어의 자유단을 걸어 고정하고, 상기 작동부재의 하강으로 각 상기 링크부재의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벌어질 때 각 상기 타단이 상기 하부 관통공에서 이탈되어 각 상기 자유단의 걸림을 해제하는 제2 고정체를 포함하는 와이어 걸림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럭 자동 분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 고정체에는, 상기 연결 와이어의 각 고정단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간섭방지돌기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의 하단부에는, 상기 링크부재가 상기 중간부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내에서 회전할 때 상기 제2 고정체의 타단이 원활하게 상기 하부 관통공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도록 상기 제2 고정체의 일단이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수직장공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단 연결부의 양쪽에는, 상기 작동부재의 상승할 때 상기 링크부재의 상단부가 상기 중간부를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도록 수평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파블럭을 감싸는 각각의 연결 와이어의 자유단이 자동으로 걸림 해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크레인으로 소파블럭을 원하는 시공위치에 안착시킴에 따라 양쪽의 링크부재가 탄성체에 의해 하강하는 작동부재에 의해 벌어지면서 각 연결 와이어의 각 자유단의 걸림을 자동으로 해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크레인으로 소파블럭을 시공위치에 안착시키는 동작만으로 연결 와이어가 소파블럭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음으로써 각 연결 와이어를 소파블럭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직접 해당 소파블럭에 접근하지 않아도 되고, 따라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파블럭을 감싼 각 연결 와이어가 자동으로 걸림 해제되어 분리됨으로써 소파블럭을 안치하는 시공작업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럭 자동 분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파블럭 자동 분리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소파블럭 자동 분리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소파블럭 자동 분리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상태 단면도로, 연결 와이어의 자유단이 걸려 고정된 상태를 표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소파블럭 자동 분리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상태 단면도로, 연결 와이어의 자유단이 걸림 해제된 상태를 표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럭 자동 분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파블럭 자동 분리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소파블럭 자동 분리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럭 자동 분리장치(40)는, 크레인과 인양 와이어(20) 및 각각의 연결 와이어(30)들을 이용하여 소파블럭(10)을 들어 올린 후 시공위치로 이동시켜 안치가 완료되면 소파블럭(10)을 감싸고 있던 각 연결 와이어(30)들의 걸림 상태를 자동으로 해제하여 각 연결 와이어(30)들만 회수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소파블럭 자동 분리장치(40)는, 크레인의 인양 와이어(20)와 연결되는 지지체(50)와, 지지체(50)에 마련되어 인양 와이어(20)와 연결되는 작동부재(60)와, 작동부재(60)와 연결되어 작동부재(60)의 상승 및 하강 작동에 의해 벌어지거나 오므라드는 한 쌍의 링크부재(70)와, 각 링크부재(70)의 하단부(76)에 각각 마련되어 링크부재(70)의 벌어짐 작동시 각 연결 와이어(30)의 자유단(34)을 걸림 해제하는 와이어 걸림해제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지지체(50)는, 작동부재(60)와 링크부재(7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작동공(52A)이 형성된 수평 지지부(52)와, 각 중간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관통공(54A)과 하단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부 관통공(54B)을 각각을 구비하여 수평 지지부(52)의 작동공(52A)을 사이에 두고 수평 지지부(52)의 저면 양쪽에서 직하방으로 마련되는 두 쌍의 링크 지지단(54)과, 각 링크 지지단(54)의 바깥쪽에 해당하는 수평 지지부(52) 저면의 양쪽 바깥쪽에 각각 직하방으로 마련되는 한 쌍의 축 지지단(56)을 포함한다. 상부 관통공(54A)과 하부 관통공(54B)은 작동공(52A)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 즉 도 1 내지 도 3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양쪽의 축 지지단(56)들의 하단은 축공을 구비하여 상부 관통공(54A) 또는 상부 관통공(54A)의 바깥쪽에 위치한다. 링크 지지단(54)은 고중량의 하중을 견디도록 2개가 한 쌍을 이루어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한편, 하나의 링크 지지단(54)이 2개가 한 쌍을 이루어 구성됨으로써, 하부쪽에 제1,2 하단 지지부(54C,54D)가 각각 형성되며, 하부 관통공(54B)은 제1,2 하단 지지부(54C,54D)에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1 하단 지지부(54C)와 제2 하단 지지부(54D) 사이에는 연결 와이어(30)의 자유단(34)이 위치하기 위한 걸림공간(S)이 형성된다. 그리고 자유단(34)이 걸림공간(S)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2 고정체(84)가 각 하부 관통공(54B)을 관통함에 따라 자유단(34)은 걸림 상태가 되고, 제2 고정체(84)가 하부 관통공(54B)에서 이탈됨에 따라 자유단(34)의 걸림 상태를 해제될 수 있다. 이때, 제1 하단 지지부(54C)에 형성되는 하부 관통공(54B-1)은 관통 형성되고, 제2 하단 지지부(54D)에 형성되는 하부 관통공(54B-2)는 제2 고정체(84)의 단부만 삽입되도록 일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동부재(60)는, 크레인의 인양 와이어(20)와 연결되어 링크부재(70)를 작동시키 위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연결부(62)가 양쪽의 링크 지지단(54) 사이에 위치하고, 상단 연결부(64)는 작동공(52A)을 통하여 상향으로 노출되어 크레인의 인양 와이어(20)와 연결되며, 하단 연결부(62)와 수평 지지부(52)의 저면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체(66)에 의해 하향으로 탄력 지지된다. 이와 같이 하단 연결부(62)와 수평 지지부(52)의 저면 사이에 탄성체(66)가 구비됨으로써 인양 와이어(20)를 상향으로 당기는 하중이 사라지면 작동부재(60)는 탄성체(66)의 복원 탄성에 의해 원위치, 즉 하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전술한 작동부재(60)의 하단 연결부(62) 양쪽에는, 수평장공(62A)이 각각 형성된다. 이 수평장공(62A)은 링크부재(70)의 상단부(72)가 축으로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링크부재(70)는, 작동부재(60)에 의해 벌어지거나 오므라들도록 작동되어 각 연결 와이어(30)의 자유단(34)을 걸림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 각 상단부(72)가 작동부재(60)의 하단 연결부(62) 양쪽에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축으로 결합되고, 각 중간부(74)는 양쪽의 각 축 지지단(54)에 축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링크부재(70)는 작동부재(60)를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배치된다. 이때, 각 링크부재(70)의 상단부(72)는 하단 연결부(62)의 수평장공(62A)에 축으로 결합된다. 상단부(72)가 수평장공(62A)에 축으로 결합되므로써 작동부재(60)의 상승할 때 링크부재(70)의 상단부(72)가 중간부(74)의 축을 중심으로 수평장공(62A)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상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을 기준으로 상단부(72)는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단부에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중간부(74)가 형성되며, 중간부(74)의 단부에서 직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단부(76)가 형성되고, 중간부(74)와 상단부(72)의 경계영역이 축 지지단(54)에 축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는 링크부재(70)의 상단부(72)가 작동부재(60)에 의해 중간부(74)의 축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될 때 하단부(76)가 바깥쪽(링크 지지단의 반대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와이어 걸림해제부(80)는, 작동부재(60)의 상승 및 하강 작동에 따라 벌어지거나 오므라드는 작동을 하는 한 쌍의 링크부재(70)에 의해 작동되어 각 연결 와이어(30)의 자유단(34)의 걸림을 자동으로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와이어 걸림해제부(80)는, 소파블럭(10)을 감싸는 각 연결 와이어(30)의 고정단(32)이 고정되도록 양쪽 링크 지지단(54)의 사이에 마련되는 제1 고정체(82)를 포함한다. 또한, 양쪽의 각 링크부재(70)의 각 하단부(76)에 각 일단(84B)이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작동부재(60)의 상승으로 양쪽 각 링크부재(70)의 하단부(76)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오므라들 때 각 타단(84A)이 제1 하단 지지부(54C)에 형성된 하부 관통공(54B-1)과 제2 하부 지지부(54D)에 형성된 하부 관통공(54B-2)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각 연결 와이어(30)의 자유단(34)을 걸어 고정하고, 작동부재(60)의 하강으로 각 링크부재(70)의 하단부(76)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벌어질 때 각 타단(84A)이 각 하부 관통공(54B-1,54B-2)에서 이탈되어 각 자유단(34)의 걸림을 해제하는 제2 고정체(84)를 포함한다.
제1 고정체(82)에는, 연결 와이어(30)의 각 고정단(82)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간섭방지돌기(82A)들이 각각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고정체(84)의 일단(84B)은, 링크부재(70)의 하단부(76)에 형성되는 수직장공(76A)에 상,하부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는 링크부재(70)가 중간부(74)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내에서 회전할 때 제2 고정체(84)의 타단(84A)이 원활하게 각 하부 관통공(54B-1,54B-2)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제2 고정체(84)의 일단(84B)이 링크부재(70)의 하단부(76)에 형성되는 수직장공(76A)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링크부재(70)가 중간부(74)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내에서 회전할 때 제2 고정체(84)가 수평방향으로 직선운동하여 그 타단(84A)이 원활하게 각 하부 관통공(54B-1,54B-2)에 삽입되거나 이탈될 수 있다. 이때, 제2 고정체(84)의 일단(84B)은 링크부재(70)의 수직장공(76A)에 축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일단(84B) 양쪽에 마련되는 원형의 축 지지부에 의해 유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럭 자동 분리장치(40)를 이용하여 소파블럭(10)을 감싼 연결 와이어(30)를 자동으로 분리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소파블럭 자동 분리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상태 단면도로, 연결 와이어의 자유단이 걸려 고정된 상태를 표현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과 연결된 인양 와이어(20)가 작동부재(60)의 상단 연결부(64)에 연결되고, 각 연결 와이어(30)들은 소파블럭(10)을 감싼 상태이며, 크레인이 소파블럭(10)을 들어 올린 상태이다. 그리고 각 연결 와이어(30)의 고정단(32)는 제1 고정체(82)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각 자유단(34)은 제2 고정체(84)에 걸려 고정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크레인이 인양 와이어(20)와 연결 와이어(30)들을 이용하여 소파블럭(10)을 들어 올리면, 작동부재(60)가 탄성체(66)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상향으로 이동된 상태이고, 이에 따라 양쪽의 링크부재(70)는 중간부(74)를 회전 중심으로 상단부(72)는 상향으로 회전하고 하단부(76)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고정체(84)들을 각각 하부 관통공(54B-1,54B-2)으로 삽입한다.
다시 설명하면, 링크부재(70)는 중간부(74)를 회전 중심으로 소정 각도 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각 하단부(76)가 각각의 제2 고정체(84)들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직선운동시켜 각 하부 관통공(54B-1,54B-2)으로 삽입시킨다.
제2 고정체(84)가 각 하부 관통공(54B-1,54B-2)으로 삽입됨에 따라 제1,2 하단 지지부(54C,54D)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공간(S)에서 연결 와이어(30)들의 각 자유단(34)이 제2 고정체(84)에 걸려 고정된 상태가 된다.
한편,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소파블럭 자동 분리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상태 단면도로, 연결 와이어의 자유단이 걸림 해제된 상태를 표현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과정으로 각 연결 와이어(30)로 소파블럭(10)을 감싸거나 걸어 크레인으로 들어 올린 후 시공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시공위치는 육상일 수 있고 수중일 수 있다.
크레인에 의해 소파블럭(10)이 시공위치에 안착되면, 작동부재(60)를 상향으로 당기는 힘이 소실되므로 작동부재(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66)의 복원 탄성력에 의해 하향으로 이동한다.
작동부재(60)가 하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양쪽의 각 링크부재(70)는 중간부(74)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양쪽의 링크부재(70)가 각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각 링크부재(70)의 하단부(76)는 각각 서로 반대방향, 즉 바깥쪽으로 회전한다.
각 링크부재(70)의 하단부가(76)가 바깥쪽으로 회전함에 따라 각 하단부(76)는 각각의 제2 고정체(84)를 바깥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제2 고정체(84)의 타단(84A)은 하부 관통공(54B) 중에서 안쪽의 하부 관통공(54B-2)에서 빠지면서 걸려 있던 자유단(34)을 걸림 해제한다.
이 과정으로 각각의 자유단(34)은 걸림공간(S)에서 이탈될 수 있고, 각 자유단(34)의 걸림이 해제되므로 각 연결 와이어(30)는 소파블럭(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크레인으로 소파블럭(10)을 들어 올린 후 시공위치에 안착시키는 동작만으로 소파블럭(10)을 감싸면서 걸린 각 연결 와이어(30)들의 걸림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될 수 있음으로써 소파블럭(10)을 시공현장에 안착한 후에 소파블럭(10)에 걸린 연결 와이어(30)들을 회수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해당 소파블럭(10)에 접근하지 않아도 되고, 이에 따라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소파블럭 20 : 인양 와이어
30 : 연결 와이어 32 : 고정단
34 : 자유단 40 : 분리장치
50 : 지지체 52 : 작동공
54 : 링크 지지단 56 : 축 지지단
60 : 작동부재 62 : 하부 연결부
64 : 상부 연결부 66 : 탄성체
70 : 링크부재 72 : 상단부
74 : 중간부 76 : 하단부
80 : 와이어 걸림해제부 82 : 제1 고정체
84 : 제2 고정체

Claims (4)

  1. 중앙에 작동공이 형성된 수평 지지부와, 각 중간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관통공과 하단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부 관통공을 각각을 구비하여 상기 작동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수평 지지부의 저면 양쪽에서 직하방으로 마련되는 두 쌍의 링크 지지단과, 상기 수평 지지부 저면의 양쪽 바깥쪽에 각각 직하방으로 마련되는 한 쌍의 축 지지단을 포함하는 지지체;
    하단 연결부가 양쪽의 상기 링크 지지단 사이에 위치하고, 상단 연결부는 상기 작동공을 통하여 상향으로 노출되어 크레인의 인양 와이어와 연결되며, 상기 하단 연결부와 상기 수평 지지부의 저면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체에 의해 하향으로 탄력 지지되는 작동부재;
    각 상단부가 상기 작동부재의 하단 연결부 양쪽에 각각 축 결합되고 각 중간부는 양쪽의 상기 축 지지단에 축 결합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 및
    소파블럭을 감싸는 각 연결 와이어의 고정단이 고정되도록 양쪽 상기 링크 지지단 사이에 마련되는 제1 고정체와, 각 상기 링크부재의 하단부에 각 일단이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작동부재의 상승으로 각 상기 링크부재의 하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오므라들 때 각 타단이 상기 하부 관통공에 삽입되어 각 상기 연결 와이어의 자유단을 걸어 고정하고, 상기 작동부재의 하강으로 각 상기 링크부재의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벌어질 때 각 상기 타단이 상기 하부 관통공에서 이탈되어 각 상기 자유단의 걸림을 해제하는 제2 고정체를 포함하는 와이어 걸림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럭 자동 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체에는,
    상기 연결 와이어의 각 고정단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간섭방지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럭 자동 분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의 하단부에는,
    상기 링크부재가 상기 중간부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내에서 회전할 때 상기 제2 고정체의 타단이 원활하게 상기 하부 관통공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도록 상기 제2 고정체의 일단이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수직장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럭 자동 분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연결부의 양쪽에는,
    상기 작동부재의 상승할 때 상기 링크부재의 상단부가 상기 중간부를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도록 수평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럭 자동 분리장치.


KR1020210148084A 2021-11-01 2021-11-01 소파블럭 자동 분리장치 KR102626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084A KR102626272B1 (ko) 2021-11-01 2021-11-01 소파블럭 자동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084A KR102626272B1 (ko) 2021-11-01 2021-11-01 소파블럭 자동 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149A KR20230063149A (ko) 2023-05-09
KR102626272B1 true KR102626272B1 (ko) 2024-01-16

Family

ID=86409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8084A KR102626272B1 (ko) 2021-11-01 2021-11-01 소파블럭 자동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2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331B1 (ko) 2008-07-10 2009-04-14 주식회사 두성정공 중량물 회전집게
KR101593447B1 (ko) 2015-09-17 2016-02-12 항진해양개발 주식회사 리치스택커를 이용하여 테트라포드를 운송하기 위한 거치장비, 운송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993Y1 (ko) 2001-12-04 2002-03-06 주식회사 건일엔지니어링 결속고리를 가진 테트라포트
KR100492257B1 (ko) 2002-06-19 2005-05-30 주식회사 혜인이엔씨 방파용 소파블럭
KR100626352B1 (ko) * 2004-12-18 2006-09-21 가부시키가이샤 토오테츠 중량물용 호이스트 슬링의 분리 장치
KR20080091642A (ko) 2007-04-09 2008-10-14 원 회 양 테트라포드 소파블럭과 이 테트라포드 소파블럭이 피복된경사식 방파제
KR20160020858A (ko) * 2014-08-14 2016-02-24 (주)삼성에코텍 해저케이블 보호용 콘크리트 매트리스의 자동리프트장치
KR20160038362A (ko) * 2014-09-30 2016-04-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매트리스 리프팅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매트리스 설치 시스템
KR102650837B1 (ko) * 2021-10-06 2024-03-22 박상화 반자동 록킹 및 언록킹 기능을 갖는 중량물 인양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331B1 (ko) 2008-07-10 2009-04-14 주식회사 두성정공 중량물 회전집게
KR101593447B1 (ko) 2015-09-17 2016-02-12 항진해양개발 주식회사 리치스택커를 이용하여 테트라포드를 운송하기 위한 거치장비, 운송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149A (ko)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28892B1 (en) Subsea wellhead protection structure, canopy and installation
KR101419782B1 (ko) 해양용 강제 회수장치
KR100760286B1 (ko)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KR102626272B1 (ko) 소파블럭 자동 분리장치
KR101595207B1 (ko) 갱폼의 앵커볼트 잠금장치
KR20190113468A (ko) 잠금부를 구비한 갱폼 추락방지장치
KR101873394B1 (ko) 건축용 클라이밍 시스템의 고정슈
US20160002873A1 (en) Method for installing an elongate element in a stretch of water, and associated device and installation
EP3424864B1 (en) Release mechanism
GB2533142A (en) Hook arrangement
JP4759586B2 (ja) 原子炉の気水分離器の仮置き架台
KR101976378B1 (ko) 구조적인 안전성을 갖는 샤클
KR101721773B1 (ko) 자동잠금기능을 가진 퀵커플러 시스템 및 그 장치
KR101804044B1 (ko) 중량물 인양용 후크 어셈블리
US5018904A (en) Sea-bed support device for the legs of a self-elevating oil-rig platform
JP3560913B2 (ja) 地下埋構造物用落下防止網付き梯子
JP4855365B2 (ja) 地下構造物用転落防止装置
JP2016023021A (ja) 柱吊り治具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200486390Y1 (ko) 접이식 인양기
CN109989333A (zh) 用于混凝土水平支撑的型钢栈桥结构及其安装方法
GB2582616A (en) Safety net support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ing safety net assembly
KR102455291B1 (ko)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KR101690752B1 (ko) 크레인 붐 레스트
KR102322705B1 (ko) 갱폼 안전 인양장치
GB2355034A (en) Subsea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