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4602B1 -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 - Google Patents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4602B1
KR102624602B1 KR1020230088842A KR20230088842A KR102624602B1 KR 102624602 B1 KR102624602 B1 KR 102624602B1 KR 1020230088842 A KR1020230088842 A KR 1020230088842A KR 20230088842 A KR20230088842 A KR 20230088842A KR 102624602 B1 KR102624602 B1 KR 102624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nection
body unit
coupling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8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대
조상현
이원영
김준수
Original Assignee
남영전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영전설(주) filed Critical 남영전설(주)
Priority to KR1020230088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46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6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Landscapes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가 지지(즉, 설치)되는 구조물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 가능하며 포설관에 연결되어 내부로 전선을 안내하는 부분의 각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를 개시한다.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는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전선이 설치되는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로서, 전면부가 개방되고 전선이 인입되거나 혹은 인출될 수 있도록 그 양측면에 복수의 연통홀을 가지는 몸체유닛, 연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연통홀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몸체유닛의 외측에서 몸체유닛의 내측으로 전선의 인입 및 전선의 인출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유닛, 복수의 가이드유닛에 일대일 대응되며 몸체유닛의 양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의 가이드유닛 각각의 회전되는 각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의 가이드유닛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조절유닛, 전면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몸체유닛 내측에 설치되는 수납유닛, 몸체유닛으로 인입된 전선의 결선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내부에 전선의 결선부위가 삽입된 상태에서 수납유닛에 탈착 가능한 보호유닛, 조절유닛과 몸체유닛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유닛 및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가 지지되는 구조물로부터 몸체유닛을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구조물에 설치되고 나머지 일부가 몸체유닛을 관통하여 몸체유닛에 결합되고 나머지 일부가 슬라이딩 이동하며 몸체유닛으로 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결합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Outlet box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에 관한 것으로,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가 지지되는 구조물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 가능한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충전용 콘센트 상자(Outlet box)란, 전기선, 전화선, 인터넷 전용선, 안테나선과 같은 전선의 연결단자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건물의 벽체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장치를 말한다.
충전용 콘센트 상자의 내부에는 옥내 배선으로부터 연결된 전선이 단말을 구성하는 수납공간에 형성되며, 충전용 콘센트 상자 내부에 다양한 전자부품이 수납될 수 있다. 이때, 전선이 충전용 콘센트 상자 내부로 인입되고, 충전용 콘센트 상자 내부에서 전선들이 서로 결속되거나, 콘센트 또는 스위치와 같은 전기부속기구가 충전용 콘센트 상자에 설치되어 마감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최근에는, 충전용 콘센트 상자가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구조물에 설치되어 전기차를 충전하는 전선을 수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해 설치되는 충전용 콘센트 상자는 전기차 충전용 포트가 설치되는 구조물의 벽체에 충전용 콘센트 상자가 매설되고 시멘트 몰탈이 타설되며 구조물 벽체에 매립되는 방식으로 전기차 충전용 구조물에 설치된다.
하지만, 종래의 충전용 콘센트 상자는 벽체에 매립되고 시멘트 몰탈이 타설되는 방식에 의해 구조물에 설치되므로, 충전용 콘센트 상자를 유지보수 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충전용 콘센트 상자에 누전이 발생되어 유지 보수를 할 경우, 충전용 콘센트 상자를 구조물 벽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충전용 콘센트 상자가 구조물로부터 어렵게 분리하되어 유지 보수(즉, 수리)되더라도, 유지 보수 후, 충전용 콘센트 상자를 벽체에 재설치함에 있어서 다시 구조물에 몰탈 방식으로 설치하므로 재설치함에 있어 불편함이 야기된다.
이에 이와 같은 문제점이 해결된 충전용 콘센트 상자가 필요한 실정이다.
KR 10-2006-0036081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가 지지(즉, 설치)되는 구조물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 가능하며 포설관에 연결되어 내부로 전선을 안내하는 부분의 각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는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전선이 설치되는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로서, 전면부가 개방되고, 전선이 인입되거나 혹은 인출될 수 있도록 그 양측면에 복수의 연통홀을 가지는 몸체유닛; 상기 연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연통홀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유닛의 외측에서 상기 몸체유닛의 내측으로 전선의 인입 및 전선의 인출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유닛; 복수의 상기 가이드유닛에 일대일 대응되며 상기 몸체유닛의 양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가이드유닛 각각의 회전되는 각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의 상기 가이드유닛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조절유닛; 전면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몸체유닛 내측에 설치되는 수납유닛; 상기 몸체유닛으로 인입된 전선의 결선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내부에 전선의 결선부위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유닛에 탈착 가능한 보호유닛; 상기 조절유닛과 상기 몸체유닛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유닛; 및 상기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가 지지되는 구조물로부터 상기 몸체유닛을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몸체유닛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나머지 일부가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몸체유닛으로 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결합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유닛은, 상기 연통홀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유닛과 상기 조절유닛과 상기 수납유닛과 상기 연결유닛이 설치되고, 그 후면측 상부와 하부에 각각 돌출되는 복수의 메인브라켓부재를 가지는 몸체유닛몸체부; 상기 몸체유닛몸체부의 후면측과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몸체유닛몸체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그 전면측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복수의 상기 메인브라켓부재와 결합되는 복수의 서브브라켓부재를 가지는 몸체유닛지지부; 상기 몸체유닛지지부는, 상기 몸체유닛몸체부와 마주보는 일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관통홀; 상기 일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유닛지지부의 전측면 중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는 위치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지지부가이드부재; 상기 지지부가이드부재의 전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돌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제1 결합유닛연결부; 및 상기 제1 결합유닛연결부를 상기 몸체유닛지지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 결합유닛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유닛연결부는, 상기 일방향을 기준으로 그 전면측에서 그 내측으로 함몰 관통된 결합홀; 상기 결합홀의 내측면에서 상기 일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형성되는 제1 연결부요철부재; 및 상기 제1 연결부요철부재의 원주방향에 따른 일측단에서 상기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연결부제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유닛연결부는,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제2 연결부제동부재; 상기 제2 연결부제동부재의 외주면에서 상기 일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2 연결부요철부재; 상기 일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연결부제동부재의 전면측에 위치하여 상기 관통홀의 외주 부분을 지지하고, 그 외주면에 제1 기어를 가지는 제2-1 연결부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요철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요철부재는, 각각 오목하게 함몰된 요부와 볼록하게 돌출되는 철부가 각각 테이퍼 형상의 나사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요철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요철부재가 서로 어긋나는 삽입 각도로 상기 제2 결합유닛연결부를 상기 제1 결합유닛연결부의 상기 결합홀에 삽입하고, 상기 제1 연결부요철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요철부재가 서로 중첩되고 상기 제1 연결부제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2 연결부요철부재의 회전이 차단되는 체결 각도로 상기 제2 결합유닛연결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1 연결부요철부재에 의해 상기 제2 연결부요철부재가 지지됨에 따라 상기 몸체유닛지지부를 상기 제1 결합유닛연결부에 고정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지지부가이드부재가 삽입되는 가이드슬릿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기어와 결합되는 제2 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돌출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가이드슬릿홀이 상기 지지부가이드부재에 의해 차단되는 범위 내에서 직선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 사이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2 결합유닛연결부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몸체유닛지지부의 상기 일방향 전면측에 결합되고 복수개로 마련되는 제1 결합유닛연동부; 및 복수의 상기 제1 결합유닛연동부에 연결되고, 복수의 상기 제1 결합유닛연동부를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제2 결합유닛연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몸체유닛지지부에서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제2 결합유닛연결부는, 상기 제2 연결부요철부재과 상기 제2-1 연결부지지부재 사이의 외측면에 상기 일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방향으로 소정 각도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제2-2 연결부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유닛연결부를 상기 몸체유닛지지부의 상기 관통홀에 삽입할 경우, 상기 제2-1 연결부지지부재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게 되고, 상기 제2 결합유닛연결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2 연결부지지부재와 상기 제2-1 연결부지지부재 사이에 상기 몸체유닛지지부의 상기 관통홀의 외주 부분이 개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몸체유닛과 상기 결합유닛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인 일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조절유닛의 후면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상기 몸체유닛의 후면과 상기 조절유닛를 연결하고, 상기 수납유닛은, 상기 몸체유닛의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유닛의 내측 둘레의 좌측과 우측을 구획하는 복수의 수납유닛종부; 그 양측면이 복수의 상기 수납유닛종부 각각의 일단에 탈착가능하고, 상기 수납유닛종부의 일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유닛의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유닛의 내측 가로둘레의 구획하는 수납유닛횡부; 상기 보호유닛은, 상기 수납유닛횡부에 일정 간격으로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조절유닛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해 있을 때에는 신장되어 상기 조절유닛을 후방으로 당기고, 상기 조절유닛이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해 있을 때에는 상기 조절유닛이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몸체유닛의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조절유닛은, 작업자의 손가락이 삽입되어 상기 조절유닛을 전방으로 당겨 상기 조절유닛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양측면의 일부가 개통되어 형성되는 조절유닛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는, 상기 몸체유닛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유닛의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일방향에 수평하게 교차하는 교차방향 중 상기 몸체유닛의 내측 둘레의 좌측에 형성되는 제1 고정유닛고정부와, 상기 몸체유닛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유닛의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교차방향 중 상기 몸체유닛의 내측 둘레의 우측에 형성되는 제2 고정유닛고정부를 포함하는 고정유닛;을 더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수납유닛종부 중 어느 하나는 복수의 제1 수납유닛종부재로 구성되고, 복수의 상기 수납유닛종부 중 다른 하나는 복수의 제2 수납유닛종부재로 구성되며, 복수의 상기 제1 수납유닛종부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고정유닛고정부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수납유닛종부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고정유닛고정부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제1 수납유닛종부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고정유닛고정부에 결합 및 고정되어 상기 몸체유닛 내측 상부의 좌측을 구획하고, 복수의 상기 제1 수납유닛종부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고정유닛고정부에 결합 및 고정되어 상기 몸체유닛 내측 상부의 우측을 구획하고, 복수의 상기 제2 수납유닛종부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고정유닛고정부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제2 수납유닛종부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고정유닛고정부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제2 수납유닛종부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고정유닛고정부에 결합 및 고정되어 상기 몸체유닛 내측 하부의 좌측을 구획하고, 복수의 상기 제2 수납유닛종부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고정부재에 결합 및 고정되어 상기 몸체유닛 내측 하부의 우측을 구획한다.
상기 몸체유닛은, 상기 몸체유닛에 설치되며, 화재가 발생한 위치로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절곡 가능한 소화노즐을 구비하는 소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부는, 화재감지센서와, 공급호스와, 상기 소화노즐이 설치되고 상기 공급호스가 연결되는 소화부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노즐은, 상기 소화부몸체에 설치되고, 그 외주면에 구동피니언기어를 구비하며, 그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구동피니언기어에 맞물리는 구동랙기어를 구비하는 제1 노즐배관; 그 양측부 중 그 일측부의 길이가 그 타측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구동랙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노즐배관의 내부로 인입 가능하게 상기 제1 노즐배관에 결합되는 제2 노즐배관; 상기 제2 노즐배관에 결합되고, 그 단부를 향하여 내경이 작게 형성되는 분사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소화노즐은, 회전노즐(Swivel nozzle)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납유닛종부재는, 상기 제1 수납유닛종부재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종부돌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납유닛종부재는, 상기 제2 수납유닛종부재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종부돌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유닛고정부는, 상기 제1 수납유닛종부재와 제2 수납유닛종부재의 폭의 길이만큼 이격되어 상기 몸체유닛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돌기체고정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제1 돌기체고정부에는, 각각 서로 대향하여 마주보는 내면에 상기 제1 종부돌기체 및 제2 종부돌기체가 맞물려 상기 제1 수납유닛종부재 및 제2 수납유닛종부재를 고정시키는 제1 돌기체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유닛고정부는, 상기 제1 수납유닛종부재와 제2 수납유닛종부재의 폭길이만큼 떨어져 상기 몸체유닛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2 돌기체고정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제2 돌기고정부는, 각각 서로 대향하여 마주보는 내면에 상기 제1 종부돌기체 및 제2 종부돌기체가 맞물려 상기 제1 수납유닛종부재 및 제2 수납유닛종부재를 고정시키는 제2 돌기체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연통홀에 끼워지는 둘레에 돌기들이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유닛치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가이드유닛이 관통하여 끼워지는 조절유닛관통부; 및 상기 조절유닛관통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조절유닛이 상기 일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해 있을 때에는 상기 가이드유닛치합부에 맞물려 상기 가이드유닛의 회전을 고정하고, 상기 조절유닛이 상기 일방향에 대하여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해 있을 때에는 상기 가이드유닛치합부에서 이탈하여 상기 가이드유닛의 고정을 해제하는 조절유닛치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종부돌기체와 상기 제2 종부돌기체는, 그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가 그 돌출된 방향을 따라 폭이 증가하는 역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유닛은, 그 내부로 삽입되는 전선에 접촉되며 전선의 입출시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유닛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 및 상기 가이드유닛의 내벽체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롤러와 상기 롤러지지체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복수의 상기 가이드롤러와 복수의 상기 롤러지지체는, 상기 가이드유닛이 연장되는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가이드롤러와 복수의 상기 롤러지지체는, 적어도 세개 이상으로 마련되어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가이드롤러는, 서로 이격되는 한쌍의 허브; 상기 한쌍의 허브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한쌍의 허브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45°의 경사로 배치되는 복수의 패시브롤러; 상기 복수의 패시브롤러의 중심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양단부가 상기 한쌍의 허브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구동롤러샤프트; 상기 한쌍의 허브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패시브롤러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패시브롤러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링; 상기 지지링을 상기 패시브롤러와 함께 회전되도록 유도하는 회전유도체; 및 복수의 상기 패시브롤러의 외주면에 씌워지는 타이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유도체는, 상기 한쌍의 허브의 중심부에 삽입되는 회전유도체샤프트; 및 상기 회전유도체샤프트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상기 회전유도체샤프트에 삽입되고, 그 외주면에 상기 지지링이 고정되는 복수의 제1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링은, 상기 패시브롤러의 굴곡진 외주면에 대응하여 상기 패시브롤러를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홈을 형성하고, 상기 함몰홈의 외주면이 마찰표면처리(Knurling)되고, 상기 한쌍의 허브는, 제1 허브부재와, 상기 제1 허브부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허브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허브부재는, 상기 제1 허브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사선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1 허브부재 가장자리부분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슬릿; 그 내부에 상기 복수의 구동롤러샤프트가 삽입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슬릿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제2 베어링; 및 상기 복수의 가이드슬릿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 베어링 각각을 지지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슬릿에서 상기 제2 베어링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가이드슬릿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조절기;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어부재는, 내부고무층; 상기 내부고무층의 일면 상에 배치된 어드헤시브층; 및 상기 어드헤시브층 상에 배치된 앱솔션층;을 포함하고, 상기 어드헤시브층은, 아크릴계 수지와 물과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성 아크릴계 접착제를 포함하며, 상기 수성 아크릴계 접착제는, 유리 전이 온도가 -50℃ 내지 -10℃이고, 25℃에서의 점도가 9,000 내지 15,000cps이고,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모노머와 카르복실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모노머는 (메타)아크릴산 메틸, (메타) 아크릴산 에틸, (메타)아크릴산 프로필, (메타)아크릴산 부틸, (메타)아크릴산 이소부틸, (메타)아크릴산 tert-부틸, (메타)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타) 아크릴산 옥틸, (메타)아크릴산 노닐, (메타)아크릴산 사이클로헥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어드헤시브층의 물의 함량은, 상기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60 중량부이고, 상기 앱솔션층은, 폴리우레탄 발포 폼, 폴리우레아 발포 폼, 폴리염화비닐 발포 폼, 폴리프로필렌 발포 폼, 폴리에틸렌 발포 폼, 폴리스티렌 발포 폼,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폼, 멜라민 발포 폼, 페놀 발포 폼, 아크릴 발포 폼, 부직포, 섬유직물, 글라스울, 미네랄울 및 락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를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가 설치될 위치인 전기차 충전용 구조물에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다. 이에,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가 유지보수 될 경우,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가 더 용이하게 구조물로부터 이탈되며,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를 유지 보수할 수 있다.
또한,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의 양측에 설치되는 전선을 인입하기 위한 구성의 회전각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전선을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의 내부로 보다 용이하게 인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의 구조 및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가 설치되는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몸체유닛지지부와 결합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결합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2 결합유닛연결부가 제1 결합유닛연결부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부분확대저면도이다.
도 5는 제2 결합유닛연결부가 제1 결합유닛연결부로부터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부분확대저면도이다.
도 6은 제2 결합유닛연결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유닛과 가이드유닛과 조절유닛과 수납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유닛 중 상측에 위치한 조절유닛의 슬라이딩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유닛 중 하측에 위치한 조절유닛의 슬라이딩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수납유닛의 변형에 따른 구조와 고정유닛이 더 마련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변형예에 따른 수납유닛의 구조 및 고정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도사시도이다.
도 12는 은 변형예에 따른 수납유닛의 구조 및 고정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13은 가이드롤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가이드롤러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가이드롤러의 타이어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의 구조 및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가 설치되는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몸체유닛지지부와 결합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결합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제2 결합유닛연결부가 제1 결합유닛연결부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부분확대저면도이고, 도 5는 제2 결합유닛연결부가 제1 결합유닛연결부로부터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부분확대저면도이고, 도 6은 제2 결합유닛연결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유닛과 가이드유닛과 조절유닛과 수납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유닛 중 상측에 위치한 조절유닛의 슬라이딩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유닛 중 하측에 위치한 조절유닛의 슬라이딩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수납유닛의 변형에 따른 구조와 고정유닛이 더 마련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변형예에 따른 수납유닛의 구조 및 고정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도사시도이고, 도 12는 은 변형예에 따른 수납유닛의 구조 및 고정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13은 가이드롤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가이드롤러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5는 가이드롤러의 타이어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100)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100)는 전선(w)을 그 내부로 인입하거나, 인입된 전선(w)을 그 외측으로 인출하는 상자일 수 있다.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100)는 몸체유닛(110), 가이드유닛(120), 조절유닛(130), 수납유닛(140), 보호유닛(150), 연결유닛(160), 결합유닛(170) 및 고정유닛(180)을 포함한다.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100)는 전면이 개방되고, 양측면의 내면과 외면의 일부가 개통되어 전선(w)이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연통홀(111)이 양측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몸체유닛(110), 가이드유닛(120), 조절유닛(130), 복수개의 수납유닛종부(141)와 복수개의 수납유닛횡부(142)를 포함하는 수납유닛(140) 및 보호유닛(15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100)는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전선(w)이 설치되는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로서, 전면부가 개방되고 전선(w)이 인입되거나 혹은 인출될 수 있도록 그 양측면에 복수의 연통홀을 가지는 몸체유닛(110), 연통홀(1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연통홀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몸체유닛(110)의 외측에서 몸체유닛의 내측으로 전선(w)의 인입 및 전선(w)의 인출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유닛(120), 복수의 가이드유닛(120)에 일대일 대응되며 몸체유닛(110)의 양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의 가이드유닛(120) 각각의 회전되는 각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의 가이드유닛(120)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조절유닛(130), 전면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몸체유닛(110) 내측에 설치되는 수납유닛(140), 몸체유닛(110)으로 인입된 전선(w)의 결선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내부에 전선(w)의 결선부위가 삽입된 상태에서 수납유닛에 탈착 가능한 보호유닛(150), 조절유닛(130)과 몸체유닛(110)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유닛(160) 및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가 지지되는 구조물(1)로부터 몸체유닛을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구조물(1)에 설치되고 나머지 일부가 몸체유닛(110)을 관통하여 몸체유닛(110)에 결합되고 나머지 일부가 슬라이딩 이동하며 몸체유닛(110)으로 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결합유닛(170)을 포함한다.
몸체유닛(110)은 연통홀(111)을 가지며 상하방향(도 1 참조)를 따라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가이드유닛(120)과 조절유닛(130)과 수납유닛(140)과 연결유닛(160)이 설치되며 그 후면측 상부와 하부에 각각 돌출되는 복수의 메인브라켓부재(112a)를 가지는 몸체유닛몸체부(112), 몸체유닛몸체부(112)의 후면측과 수평하게 배치되고 몸체유닛몸체부(112)를 향하여 돌출되고 그 전면측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복수의 메인브라켓부재(112a)와 결합되는 복수의 서브브라켓부재(113a)를 가지는 몸체유닛지지부(113)를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유닛지지부(113)는 몸체유닛몸체부(112)와 마주보는 일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관통홀(113b), 일방향(도 1에 참조)을 기준으로 몸체유닛지지부(113)의 전측면 중 관통홀(113b)이 형성되는 위치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지지부가이드부재(113c), 지지부가이드부재(113c)의 전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돌출부재(113d)를 포함한다.
한편, 몸체유닛(110)은 화재가 발생한 위치로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절곡 가능한 소화노즐(116c)을 구비하는 소화부(116)를 더 포함한다. 한편, 소화부(116)는 몸체유닛(110)의 화재를 감재할 수 있는 화재감지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소화부(116)는 몸체유닛(110) 및 배전부(130) 중 화재가 발생한 위치로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몸체유닛(110)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절곡 가능한 소화노즐(을 구비할 수 있다.
소화부(116)는 공급호스(116a)와, 소화노즐(116c)이 설치되고 공급호스(116a)가 연결되는 소화부몸체(116b)를 포함할 수 있다.
소화노즐(116c)은 소화부몸체(116b)에 설치되고, 그 외주면에 구동피니언기어(미도시)를 구비하며, 그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구동피니언기어에 맞물리는 구동랙기어(미도시)를 구비하는 제1 노즐배관(116ca)과, 그 양측부 중 그 일측부의 길이가 그 타측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구동랙기어의 회전에 의해 제1 노즐배관(116ca)의 내부로 인입 가능하게 제1 노즐배관(116ca)에 결합되는 제2 노즐배관(116cb)과, 제2 노즐배관(116cb)에 결합되고 그 단부를 향하여 내경이 작게 형성되는 분사배관(116cc)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소화노즐(116c)은 화재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 일자로 배치되고, 화재가 발생될 경우, 상기 몸체유닛(110)의 내부공간을 향하여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화노즐(116c)은, 회전노즐(Swivel nozzle)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유닛(120)은 연통홀(1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연통홀(111)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몸체유닛(110) 외부에서 내부로 전선(w)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조절유닛(130)은 가이드유닛(120)와 일대일로 대응되어 몸체유닛(110)의 양측면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이드유닛(120)의 회전 각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조절유닛(130)은 가이드유닛(120)이 관통하여 끼워지는 조절유닛관통부(132) 및 조절유닛관통부(132)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조절유닛(130)이 일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해 있을 때에는 가이드유닛치합부(121)에 맞물려 가이드유닛(120)의 회전을 고정하고, 조절유닛(130)이 일방향에 대하여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해 있을 때에는 가이드유닛치합부(121)에서 이탈하여 가이드유닛(120)의 고정을 해제하는 조절유닛치합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선은 몸체유닛(110) 외부에서 가이드유닛(120)을 통하여 몸체유닛(110) 내부로 인입하게 되는데, 이 때, 포설관(10)이 가이드유닛(120)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전선은 포설관(10)과 가이드유닛(120)을 차례대로 통과하여 몸체유닛(110) 내부로 인입할 수 있다.
포설관(10)은 내부가 빈 관의 형태일 수 있으며, 포설관(10)은 용이하게 굴곡될 수 있도록 산과 골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주름관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몸체유닛(110)의 내부에는 전기부속기구 등이 설치되는 수용공간(S)을 확보하기 위하여 몸체유닛(110) 내측에는 수용공간(S)의 우측과 좌측을 구획하는 복수개의 수납유닛종부(141)가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수납유닛횡부(142)는 각각 수납유닛종부(141)의 일단과 타단에 결합할 수 있다.
복수개의 수납유닛횡부(142) 중 어느 하나는 복수개의 수납유닛종부(141) 각각의 일단에 탈착가능하며, 복수개의 수납유닛횡부(142) 중 다른 하나는 복수개의 수납유닛종부(141) 각각의 타단에 탈착가능하다.
복수개의 수납유닛횡부(142) 중 어느 하나는 복수개의 수납유닛종부(141) 각각의 일단에 결합되어 몸체유닛(110)의 중앙을 중심으로 몸체유닛(110)의 내측 가로둘레의 상측을 구획하고, 복수개의 수납유닛횡부(142) 중 다른 하나는 복수개의 수납유닛종부(141) 각각의 타단에 결합되어 몸체유닛(110)의 중앙을 중심으로 몸체유닛(110)의 내측 가로둘레의 하측을 구획하여 몸체유닛(110) 중앙을 중심으로 수용공간(S)을 형성한다.
보호유닛(150)은 몸체유닛(110)의 내부로 인입된 전선의 결선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내부에 전선의 결선부위가 삽입되어, 수납유닛횡부(142)에 일정 간격으로 탈착가능하다.
보호유닛(15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와이어컨넥터를 이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유닛(150)은 꼬깔모양의 형상으로 내부로 결선대상인 전선을 삽입하여 꼬면서 전선을 서로 결선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유닛(150)의 형상은 예시일 뿐이며, 보호유닛(150)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또한, 보호유닛(150)이 수납유닛횡부(142)에 탈착가능하기 위하여 수납유닛횡부(142)에는 결선보호부재결합공(142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결선보호부재결합공(142a)은 수납유닛횡부(142)의 상면과 하면의 일부분이 개통되어 형성되고, 그 형상은 보호유닛(150)의 형상에 따라 보호유닛(150)이 맞물릴 수 있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선보호부재결합공(142a)는 원형으로 수납유닛횡부(142)의 상면과 하면이 개통되어 형성되고,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유닛(150)의 꼬깔모양의 형상에 따른 것이다.
또한, 결선보호부재결합공(142a)에는 보호유닛(150)이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결선보호부재(142b)가 형성될 수 있다.
결선보호부재(142b)는 결선보호부재결합공(142a)의 내면에서 내측으로 일정길이를 갖고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결선보호부재(142b)는 일정이상의 힘을 가하면 휘어지는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소재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보호유닛(150)의 내부에 전선이 결선되어 삽입된 상태에서 보호유닛(150)을 결선보호부재결합공(142a)의 하면 또는 상면에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밀면 결선보호부재(142b)가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휘어지게 되면서 보호유닛(150)이 결선보호부재(142b)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이 때, 보호유닛(150)이 결선보호부재(142b)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기 위하여 보호유닛(150)에는 보호유닛결합부(15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보호유닛결합부(151)는 보호유닛(150)의 외주면을 따라 결선보호부재(142b)가 끼움결함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보호유닛(150)이 결선보호부재결합공(142a)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보호유닛결합부(151)에 결선보호부재(142b)가 끼움결합하면서 보호유닛(150)은 수납유닛횡부(142)에 고정되게 된다.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100)는 몸체유닛(110) 내부로 인입된 전선이 결선되어 보호유닛(150)의 내부에 삽입되고 보호유닛(150)이 수납유닛횡부(142)에 결합된 다음에, 수납유닛횡부(142)가 수납유닛종부(141)에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몸체유닛(110) 내부로 인입된 전선의 결선작업을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할 수 있으며, 수납유닛횡부(142)가 수납유닛종부(141)에 결합되면 몸체유닛(110)의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되어 몸체유닛(110) 내부에 전기부속기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전선과 전기부속기구 사이에 직접 접촉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선과 전기부속기구의 접촉에 따른 합선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유닛(120)은 연통홀(111)에 끼워지는 둘레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가이드유닛치합부(121)를 포함하고, 조절유닛(130)은 가이드유닛(120)이 관통하여 끼워지는 조절유닛관통부(132) 및 조절유닛파지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유닛파지부(131)는 조절유닛관통부(132)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조절유닛(130)이 일방향(도 1 참조)을 기준으로 그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해 있을 때에는 가이드유닛치합부(121)에 맞물려 가이드유닛(120)의 회전을 고정하고, 조절유닛(13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해 있을 때에는 가이드유닛치합부(121)에서 이탈하여 가이드유닛(12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조절유닛(130)에는 조절유닛(130) 양측면의 일부가 개통되어 형성되는 조절유닛파지부(131)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조절유닛파지부(131)는 작업자의 손가락이 삽입되어 조절유닛(130)을 전방으로 당겨 조절유닛(130)을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몸체유닛(110)의 양측면 각각의 외면에는 외방으로 돌출되어 조절유닛(130)의 슬라이딩되는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몸체유닛안내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몸체유닛안내부(114)는 조절유닛(130)의 상면과 하면이 각각 맞닿을 수 있게 조절유닛(130)의 너비길이만큼 떨어져 몸체유닛(110)의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조절유닛(130)의 상면과 하면이 몸체유닛안내부(114)상에서 슬라이딩되어 몸체유닛(110)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몸체유닛(110)의 후면은 몸체유닛(110)의 양측면보다 외방으로 슬라이드부의 폭길이만큼 더 돌출되어 조절유닛(130)이 몸체유닛(110)의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절유닛(130)의 후면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는 연결유닛(160)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연결유닛(160)은 몸체유닛(110)의 후면과 조절유닛(130)을 연결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연결유닛(160)은 조절유닛(13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해 있을 때에는 신장되어 조절유닛(130)을 후방으로 당기고, 조절유닛(130)이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해 있을 때에는 조절유닛(13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몸체유닛(110)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몸체유닛(110)은 양측면의 일부분이 일정길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몸체유닛로킹부(115)를 더 포함될 수 있고, 조절유닛(130)의 후부에는 일부분이 전방으로 몸체유닛로킹부(115)의 돌출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조절유닛고정부(13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조절유닛고정부(134)는 조절유닛(130)이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있을 때에 몸체유닛로킹부(115)에 맞물려 조절유닛(130)을 상하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몸체유닛(110)의 일측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가이드유닛(120) 중 상단에 설치된 가이드유닛(12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몸체유닛(110)의 일측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가이드유닛(120)에 일대일로 대응하여 복수개의 조절유닛(130)이 설치되어 있다. 몸체유닛(110)의 일측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가이드유닛 중 상단에 설치된 가이드유닛(120)(이하, "제1 가이드유닛(120))"라고 지칭하기로 한다.)의 회전각도고정 및 해제는 몸체유닛(110)의 일측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조절유닛(130) 중 제1 가이드유닛(120)에 설치된 조절유닛(130)(이하, "제1 조절유닛(130a))"이라고 지칭하기로 한다.)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가이드유닛(12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먼저 작업자가 제1 조절유닛(130a)의 조절유닛파지부(131)를 사용하여 전방으로 제1 조절유닛(130a)을 당긴다. 제1 조절유닛(130a)이 전방으로 당겨져 제1 조절유닛(130a)이 몸체유닛안내부(114)를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면 제1 조절유닛(130a)의 조절유닛파지부(131)가 제1 가이드유닛(1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유닛치합부(121)에서 이탈되게 되고, 제1 가이드유닛(120)의 고정이 해제되게 된다. 제1 가이드유닛(120)의 고정이 해제되면, 제1 가이드유닛(120)을 회전시켜 원하는 각도로 조절한 뒤, 작업자가 제1 조절유닛(130a)의 조절유닛파지부(131)를 놓으면 몸체유닛(110)의 후면과 제1 조절유닛(130a)을 연결하는 연결유닛(160)이 탄성력에 의하여 압축되면서 제1 조절유닛(130a)이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조절유닛(130a)이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되면 제1 조절유닛(130a)의 조절유닛파지부(131)는 다시 제1 가이드유닛(1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유닛치합부(121)에 맞물리게 되고, 이를 통해 제1 가이드유닛(120)의 회전각도가 조절된 채로 고정될 수 있다.
몸체유닛(110)의 일측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가이드유닛(120) 중 하단에 설치된 가이드유닛(12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몸체유닛(110)의 일측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전선안내부 중 하단에 설치된 가이드유닛(120)(이하, "제2 가이드유닛(120))"이라고 지칭하기로 한다.)의 회전각도고정 및 해제는 몸체유닛(110)의 일측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조절유닛(130) 중 제2 가이드유닛(120)에 설치된 조절유닛(130)(이하, "제2 조절유닛(130b))"이라고 지칭하기로 한다.)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제2 가이드유닛(120)의 회전각도는 제1 가이드유닛(12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유닛(110)의 가이드유닛(120)은 개별적으로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고정되거나 해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유닛(160)을 통하여 작업자가 조절유닛(130)을 전방으로 당기고 놓는 동작으로 간편하게 조절유닛(130)을 조작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종래에 몸체유닛(110)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가이드유닛(120)의 회전각도를 동시에 조절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작업의 편이성도 높아질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변형예에 따른 수납유닛(140)은 수납유닛종부(141)가 복수개의 제1 수납유닛종부재(141a)와 복수개의 제2 수납유닛종부재(141b)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100)는 제1 고정유닛고정부(181)와, 제1 돌기체고정부(182)와, 제1 돌기체지지부(183)와, 제2 고정유닛고정부(184)와, 제2 돌기체고정부(185)와, 제2 돌기체지지부(186)를 구비하는 고정유닛(180)을 더 포함한다. 즉, 고정유닛(180)은 몸체유닛(110)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몸체유닛(110)의 중앙을 중심으로 일방향에 수평하게 교차하는 교차방향(도 1 참조) 중 몸체유닛의 내측 둘레의 좌측에 형성되는 제1 고정유닛고정부(181)와, 몸체유닛(110)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몸체유닛(110)의 중앙을 중심으로 교차방향 중 몸체유닛의 내측 둘레의 우측에 형성되는 제2 고정유닛고정부(184)를 포함한다.
또한, 제1 고정유닛고정부(181)는 몸체유닛(110)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몸체유닛(110)의 중앙을 중심으로 몸체유닛(110)의 내측 둘레의 좌측에 형성되고, 제2 고정유닛고정부(184)는 몸체유닛(110)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몸체유닛(110)의 중앙을 중심으로 몸체유닛(110)의 내측 둘레의 우측에 형성된다.
한편, 제1 수납유닛종부재(141a)는 제1 수납유닛종부재(141a)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 종부돌기체(141aa)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수납유닛종부재(141b)는 제2 수납유닛종부재(141b)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 종부돌기체(141b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유닛고정부(181)는 제1 수납유닛종부재(141a)와 제2 수납유닛종부재(141b)의 폭길이를 더한 길이만큼 이격되어 몸체유닛(110)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 돌기체고정부(18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1 돌기체고정부(182) 각각은 서로 대향하여 마주보는 내면에 제1 종부돌기체(141aa) 및 제2 종부돌기체(141ba)가 맞물려 제1 수납유닛종부재(141a) 및 제2 수납유닛종부재(141b)를 고정시키는 제1 돌기체지지부(18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유닛고정부(184)는 제1 수납유닛종부재(141a)와 제2 수납유닛종부재(141b)의 폭길이를 더한 길이만큼 떨어져 몸체유닛(110)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 돌기체고정부(18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2 돌기고정부 각각은 서로 대향하여 마주보는 내면에 제1 종부돌기체(141aa) 및 제2 종부돌기체(141ba)가 맞물려 제1 수납유닛종부재(141a) 및 제2 수납유닛종부재(141b)를 고정시키는 제2 돌기체지지부(186)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수납유닛종부재(141a) 중 어느 하나는 제1 고정유닛고정부(181)에 탈착가능하고, 복수개의 제1 수납유닛종부재(141a) 중 다른 하나는 제2 고정유닛고정부(184)에 탈착가능하며, 복수개의 제1 수납유닛종부재(141a) 중 어느 하나가 제1 고정유닛고정부(181)에 결합 및 고정되면 몸체유닛(110) 내측 상부의 좌측을 구획하고, 복수개의 제1 수납유닛종부재(141a) 중 다른 하나는 제2 고정유닛고정부(184)에 결합 및 고정되면 몸체유닛(110) 내측 상부의 우측을 구획한다.
또한, 복수개의 제2 수납유닛종부재(141b) 중 어느 하나는 제1 고정유닛고정부(181)에 탈착가능하고, 복수개의 제2 수납유닛종부재(141b) 중 다른 하나는 제2 고정유닛고정부(184)에 탈착가능하며, 복수개의 제2 수납유닛종부재(141b) 중 어느 하나는 제2 고정유닛고정부(184)에 결합 및 고정되면 몸체유닛(110) 내측 하부의 좌측을 구획하고, 복수개의 제2 수납유닛종부재(141b) 중 다른 하나는 제2 고정부재에 결합 및 고정되면 몸체유닛(110) 내측 하부의 우측을 구획한다.
한편, 복수개의 수납유닛횡부(142)는 각각 제1 수납유닛종부재(141a)의 일단과 제2 수납유닛종부재(141b)의 일단에 탈착될 수 있다.
즉, 제1 수납유닛종부재(141a)와 제2 수납유닛종부재(141b)가 제1 고정유닛고정부(181)와 제2 고정유닛고정부(184)에 탈착가능하고, 제1 돌기체지지부(183)와 제2 돌기체지지부(186)에 맞물리는 제1 종부돌기체(141aa)와 제2 종부돌기체(141ba)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수납유닛횡부(142)가 각각 제1 수납유닛종부재(141a)와 제2 수납유닛종부재(141b)의 일단에 끼움결합하여 몸체유닛(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S)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몸체유닛(110) 내부의 제1 수납유닛종부재(141a), 제2 수납유닛종부재(141b)를 제거하여 수용공간(S)을 형성하지 않게 할 수도 있다.
몸체유닛(110)의 양측면에 복수개 설치된 가이드유닛(120)의 회전각도가 조절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포설관(10)이 연결캡(20)에 의해 각각의 가이드유닛(120)의 일단에 연결된다.
연결캡(20)은 포설관(10)에 형성되는 주름관의 골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가이드유닛(120)의 일단에 나사결합됨으로써, 포설관(10)과 가이드유닛(120)을 서로 연결시킴과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다.
포설관(10)이 연결캡(20)에 의해 각각의 가이드유닛(120)의 일단에 연결되면, 포설관(10)의 내부에 전선이 포설되고, 전선은 포설관(10)과 가이드유닛(120)을 통과하여 몸체유닛(110) 내부로 인입 및 결속되어 보호유닛(150)의 내부로 삽입된다.
그 후, 보호유닛(150)을 수납유닛횡부(142)에 삽입하여 끼움고정하고 수납유닛횡부(142)는 제1 수납유닛종부재(141a) 또는 제2 수납유닛종부재(141b)에 끼움결합하여 몸체유닛(110) 내부에서 고정되게 된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수납유닛종부재(141a)와 제2 수납유닛종부재(141b)가 제1 고정유닛고정부(181)와 제2 고정유닛고정부(184)에 결합되는 위치를 조정되어 수용공간(S)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고, 크기가 조절된 수용공간(S) 내부에 전기부속기구가 설치될 수 있으며, 몸체유닛(110)의 중앙을 중심으로 몸체유닛(110)의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전선이 중앙부분에 위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합선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가이드유닛(120)은 내부로 인입되거나, 혹은 내부로 인입되어 다시 외부로 인출되는 전선에 접촉되어 전선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롤러(123) 및 가이드롤러(123)를 지지하는 가이드롤러지지체(122)를 포함한다.
가이드롤러지지체(122)는 가이드유닛(120)의 내벽체에 설치되고, 가이드롤러(12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이드롤러(123)는 허브(123a), 패시브롤러(123b), 구동롤러샤프트(123c), 지지링(123d), 회전유도체(123e) 및 타이어부재(123f)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롤러(123)는 서로 이격되는 한쌍의 허브(123a), 한쌍의 허브(123a) 사이에 배치되고 한쌍의 허브(123a)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45°의 경사로 배치되는 복수의 패시브롤러(123b), 복수의 패시브롤러의 중심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양단부가 한쌍의 허브(123a)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구동롤러샤프트(123c), 한쌍의 허브(123a)의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패시브롤러(123b)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패시브롤러(123b)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링(123d), 지지링(123d)을 패시브롤러(123b)와 함께 회전되도록 유도하는 회전유도체(123e)를 포함한다.
한편, 회전유도체(123e)는 한쌍의 허브(123a)의 중심부에 삽입되는 회전유도체샤프트(123ea) 및 회전유도체샤프트(123ea)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회전유도체샤프트(123ea)에 삽입되고 그 외주면에 지지링(123d)이 고정되는 복수의 제1 베어링(123eb)을 포함한다.
한편, 지지링(123d)은 패시브롤러(123b)의 굴곡진 외주면에 대응하여 패시브롤러(123b)를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홈(123da)을 형성하고 함몰홈(123da)의 외주면이 마찰표면처리(Knurling)된다.
또한, 한쌍의 허브(123a)는 제1 허브부재(123aa)와, 제1 허브부재(123aa)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허브부재(123ab)를 포함한다.
또한, 제1 허브부재(123aa)는 제1 허브부재(123aa)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사선 경사지게 연장되고, 제1 허브부재(123aa) 가장자리부분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슬릿(123aaa), 그 내부에 복수의 구동롤러샤프트(123c)가 삽입되고 복수의 가이드슬릿(123aa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제2 베어링(123aab) 및 복수의 가이드슬릿(123aaa)에 설치되고 복수의 제2 베어링(123aab) 각각을 지지하며, 복수의 가이드슬릿(123aaa)에서 제2 베어링(123aab)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의 가이드슬릿(123aaa)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조절기(123aac)를 포함한다.
타이어부재(123f)는 트레드부(123fa), 사이드월부(123fb), 비드부(123fc), 카카스층(123fd), 비드 코어(123fe), 벨트층(123ff)을 포함한다.
트레드부(123fa)는 레일유닛바디(121)의 상부와 접하는 부분으로, 레일유닛바디(121)에 쌓일 수 있는 먼지 및 불순물로부터의 충격, 외상으로부터 패시브롤러(123b)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트레드부(123fa)의 표면에는 타이어의 배수성 향성을 위해 그루브(groove)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개의 블록들이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월부(123fb)는 트레드부(123fa)의 양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타이어부재(123f)의 측면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주행 중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수축 및 팽창작용을 견디며, 내측면에 위치하는 카카스층(123fd)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비드부(123fc)는 사이드월부(123fb)의 양단에 구비되어 코드지의 끝부분을 감싸고 있으며, 비드부(123fc)는 링 형태의 강선재를 포함하는 비드 코어(123fe)를 포함한다.
즉, 좌우 한 쌍의 비드부(123fc) 사이에는 카카스층(123fd)이 위치하며 타이어부재(123f) 내부에서 골격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고 카카스층(123fd)이 비드 코어(123fe) 주위를 그 내측에서 외측으로 감아 올라가고 있다.
카카스층(123fd)의 내측의 일면상에는 내부고무층(123fg)이 위치한다.
트레드부(123fa)에 위치하는 카카스층(123fd)의 외측면에는 트레드부의 탄성을 높이고, 조종성 및 안정성을 갖도록 하는 보강층으로서 벨트층(123ff)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타이어부재(123f)는 내부고무층(123fg), 내부고무층(123fg)의 일면 상에 배치된 어드헤시브층(123fh) 및 어드헤시브층(123fh) 상에 배치된 앱솔션층(123fi)을 더 포함한다.
어드헤시브층(123fh)은 아크릴계 수지와 물과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성 아크릴계 접착제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수성 아크릴계 접착제는, 유리 전이 온도가 -50℃ 내지 -10℃이고, 25℃에서의 점도가 9,000 내지 15,000cps이고,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모노머와 카르복실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한편, 상술한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모노머는 (메타)아크릴산 메틸, (메타) 아크릴산 에틸, (메타)아크릴산 프로필, (메타)아크릴산 부틸, (메타)아크릴산 이소부틸, (메타)아크릴산 tert-부틸, (메타)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타) 아크릴산 옥틸, (메타)아크릴산 노닐, (메타)아크릴산 사이클로헥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한편, 어드헤시브층의 물의 함량은, 상기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60 중량부이다.
또한, 앱솔션층(123fi)은 폴리우레탄 발포 폼, 폴리우레아 발포 폼, 폴리염화비닐 발포 폼, 폴리프로필렌 발포 폼, 폴리에틸렌 발포 폼, 폴리스티렌 발포 폼,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발포 폼, 멜라민 발포 폼, 페놀 발포 폼, 아크릴 발포 폼, 부직포, 섬유직물, 글라스울, 미네랄울 및 락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결합유닛(170)은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100)가 지지되는 구조물(1)로부터 몸체유닛(110)을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구조물(1)에 설치되고, 나머지 일부가 몸체유닛(110)을 관통하여 몸체유닛(110)에 결합되고, 나머지 일부가 슬라이딩 이동하며 몸체유닛(110)으로 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결합유닛(170)은 제1 결합유닛연결부(171), 제2 결합유닛연결부(172), 제1 결합유닛연동부(173) 및 제2 결합유닛연동부(174)를 포함한다.
결합유닛연결부(172)는 구조물(1)에 고정된다. 또한, 제1 결합유닛연결부(171)는 일방향(도 1 참조)을 기준으로 그 전면측에서 그 내측으로 함몰 관통된 결합홀(171a), 결합홀(171a)의 내측면에서 일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형성되는 제1 연결부요철부재(171b) 및 제1 연결부요철부재(171b)의 원주방향에 따른 일측단에서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연결부제동부재(171c)를 포함한다.
제2 결합유닛연결부(172)는 제1 결합유닛연결부(171)를 몸체유닛지지부(113)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유닛연결부(172)는 결합홀(171a)에 삽입되는 제2 연결부제동부재(172a), 제2 연결부제동부재(172a)의 외주면에서 일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2 연결부제동부재(172b), 일방향을 기준으로 제2 연결부제동부재(172a)의 전면측에 위치하여 관통홀의 외주 부분을 지지하고, 그 외주면에 제1 기어(172ca)를 가지는 제2-1 연결부지지부재(172c)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연결부요철부재(171b)와 제2 연결부제동부재(172b)는, 각각 오목하게 함몰된 요부와 볼록하게 돌출되는 철부가 각각 테이퍼 형상의 나사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제1 연결부요철부재(171b)와 제2 연결부제동부재(172b)가 서로 어긋나는 삽입 각도로 제2 결합유닛연결부(172)를 제1 결합유닛연결부(171)의 결합홀(171a)에 삽입하고, 제1 연결부요철부재(171b)와 제2 연결부제동부재(172b)가 서로 중첩되고 제1 연결부제동부재(171c)에 의해 제2 연결부제동부재(172b)의 회전이 차단되는 체결 각도로 제2 결합유닛연결부(172)를 회전시켜 제1 연결부요철부재(171b)에 의해 제2 연결부제동부재(172b)가 지지됨에 따라 몸체유닛지지부(113)를 제1 결합유닛연결부(171)에 고정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유닛연동부(173)는 지지부가이드부재(113c)가 삽입되는 가이드슬릿홀(173a)을 구비하고, 제1 기어(172ca)와 결합되는 제2 기어(173b)가 형성되며, 지지부돌출부재(113d)에 의해 지지되고, 가이드슬릿홀(173a)이 지지부가이드부재(113c)에 의해 차단되는 범위 내에서 직선 왕복 이동하면서 제1 기어(172ca)와 제2 기어(173b) 사이의 결합에 의해 제2 결합유닛연결부(172)를 회전시키도록 몸체유닛지지부(113)의 일방향 전면측에 결합되고 복수개로 마련된다.
제2 결합유닛연동부(174)는 복수의 제1 결합유닛연동부(173)에 연결되고, 복수의 제1 결합유닛연동부(173)를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여기서, 관통홀(113b)은, 몸체유닛지지부(113)에서 복수개로 마련된다.
또한, 제2 결합유닛연결부(172)는 제2 연결부제동부재(172b)과 제2-1 연결부지지부재(172c) 사이의 외측면에 일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방향으로 소정 각도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제2-2 연결부지지부재(172d)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2 결합유닛연결부(172)를 몸체유닛지지부(113)의 관통홀에 삽입할 경우, 제2-1 연결부지지부재(172c)가 관통홀(113b)을 통과하게 되고, 제2 결합유닛연결부(172)가 회전함에 따라 제2-2 연결부지지부재(172d)와 제2-1 연결부지지부재(172c) 사이에 몸체유닛지지부(113)의 관통홀(113b)의 외주 부분이 개재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를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가 설치될 위치인 전기차 충전용 구조물에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다. 이에,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가 유지보수 될 경우,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가 더 용이하게 구조물로부터 이탈되며,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를 유지 보수할 수 있다. 또한,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의 양측에 설치되는 전선을 인입하기 위한 구성의 회전각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전선을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의 내부로 보다 용이하게 인입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 110: 몸체유닛
120: 가이드유닛 130: 조절유닛
140: 수납유닛 150: 보호유닛
160: 연결유닛 170: 결합유닛
180: 고정유닛

Claims (3)

  1.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전선이 설치되는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로서,
    전면부가 개방되고, 전선이 인입되거나 혹은 인출될 수 있도록 그 양측면에 복수의 연통홀을 가지는 몸체유닛;
    상기 연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연통홀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유닛의 외측에서 상기 몸체유닛의 내측으로 전선의 인입 및 전선의 인출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유닛;
    복수의 상기 가이드유닛에 일대일 대응되며 상기 몸체유닛의 양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가이드유닛 각각의 회전되는 각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의 상기 가이드유닛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조절유닛;
    전면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몸체유닛 내측에 설치되는 수납유닛;
    상기 몸체유닛으로 인입된 전선의 결선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내부에 전선의 결선부위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유닛에 탈착 가능한 보호유닛;
    상기 조절유닛과 상기 몸체유닛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유닛; 및
    상기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가 지지되는 구조물로부터 상기 몸체유닛을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몸체유닛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나머지 일부가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몸체유닛으로 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결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유닛은,
    상기 연통홀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유닛과 상기 조절유닛과 상기 수납유닛과 상기 연결유닛이 설치되고, 그 후면측 상부와 하부에 각각 돌출되는 복수의 메인브라켓부재를 가지는 몸체유닛몸체부;
    상기 몸체유닛몸체부의 후면측과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몸체유닛몸체부를 향하여 돌출되고 그 전면측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복수의 상기 메인브라켓부재와 결합되는 복수의 서브브라켓부재를 가지는 몸체유닛지지부;
    상기 몸체유닛지지부는,
    상기 몸체유닛몸체부와 마주보는 일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관통홀;
    상기 일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유닛지지부의 전측면 중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는 위치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지지부가이드부재;
    상기 지지부가이드부재의 전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돌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제1 결합유닛연결부; 및
    상기 제1 결합유닛연결부를 상기 몸체유닛지지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 결합유닛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유닛연결부는,
    상기 일방향을 기준으로 그 전면측에서 그 내측으로 함몰 관통된 결합홀;
    상기 결합홀의 내측면에서 상기 일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형성되는 제1 연결부요철부재; 및
    상기 제1 연결부요철부재의 원주방향에 따른 일측단에서 상기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연결부제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유닛연결부는,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제2 연결부제동부재;
    상기 제2 연결부제동부재의 외주면에서 상기 일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2 연결부요철부재;
    상기 일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연결부제동부재의 전면측에 위치하여 상기 관통홀의 외주 부분을 지지하고, 그 외주면에 제1 기어를 가지는 제2-1 연결부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요철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요철부재는, 각각 오목하게 함몰된 요부와 볼록하게 돌출되는 철부가 각각 테이퍼 형상의 나사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요철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요철부재가 서로 어긋나는 삽입 각도로 상기 제2 결합유닛연결부를 상기 제1 결합유닛연결부의 상기 결합홀에 삽입하고, 상기 제1 연결부요철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요철부재가 서로 중첩되고 상기 제1 연결부제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2 연결부요철부재의 회전이 차단되는 체결 각도로 상기 제2 결합유닛연결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1 연결부요철부재에 의해 상기 제2 연결부요철부재가 지지됨에 따라 상기 몸체유닛지지부를 상기 제1 결합유닛연결부에 고정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지지부가이드부재가 삽입되는 가이드슬릿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기어와 결합되는 제2 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돌출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가이드슬릿홀이 상기 지지부가이드부재에 의해 차단되는 범위 내에서 직선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 사이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2 결합유닛연결부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몸체유닛지지부의 상기 일방향 전면측에 결합되고 복수개로 마련되는 제1 결합유닛연동부; 및
    복수의 상기 제1 결합유닛연동부에 연결되고, 복수의 상기 제1 결합유닛연동부를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제2 결합유닛연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몸체유닛지지부에서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제2 결합유닛연결부는, 상기 제2 연결부요철부재과 상기 제2-1 연결부지지부재 사이의 외측면에 상기 일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방향으로 소정 각도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제2-2 연결부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유닛연결부를 상기 몸체유닛지지부의 상기 관통홀에 삽입할 경우, 상기 제2 연결부제동부재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게 되고, 상기 제2 결합유닛연결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2 연결부지지부재와 상기 제2-1 연결부지지부재 사이에 상기 몸체유닛지지부의 상기 관통홀의 외주 부분이 개재되도록 구성되는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몸체유닛과 상기 결합유닛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인 일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조절유닛의 후면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상기 몸체유닛의 후면과 상기 조절유닛를 연결하고,
    상기 수납유닛은, 상기 몸체유닛의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유닛의 내측 둘레의 좌측과 우측을 구획하는 복수의 수납유닛종부;
    그 양측면이 복수의 상기 수납유닛종부 각각의 일단에 탈착가능하고, 상기 수납유닛종부의 일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유닛의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유닛의 내측 가로둘레의 구획하는 수납유닛횡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유닛은, 상기 수납유닛횡부에 일정 간격으로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조절유닛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해 있을 때에는 신장되어 상기 조절유닛을 후방으로 당기고, 상기 조절유닛이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해 있을 때에는 상기 조절유닛이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몸체유닛의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조절유닛은, 작업자의 손가락이 삽입되어 상기 조절유닛을 전방으로 당겨 상기 조절유닛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양측면의 일부가 개통되어 형성되는 조절유닛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는, 상기 몸체유닛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유닛의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일방향에 수평하게 교차하는 교차방향 중 상기 몸체유닛의 내측 둘레의 좌측에 형성되는 제1 고정유닛고정부와, 상기 몸체유닛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유닛의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교차방향 중 상기 몸체유닛의 내측 둘레의 우측에 형성되는 제2 고정유닛고정부를 포함하는 고정유닛;을 더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수납유닛종부 중 어느 하나는 복수의 제1 수납유닛종부재로 구성되고, 복수의 상기 수납유닛종부 중 다른 하나는 복수의 제2 수납유닛종부재로 구성되며,
    복수의 상기 제1 수납유닛종부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고정유닛고정부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수납유닛종부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고정유닛고정부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제1 수납유닛종부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고정유닛고정부에 결합 및 고정되어 상기 몸체유닛 내측 상부의 좌측을 구획하고, 복수의 상기 제1 수납유닛종부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고정유닛고정부에 결합 및 고정되어 상기 몸체유닛 내측 상부의 우측을 구획하고,
    복수의 상기 제2 수납유닛종부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고정유닛고정부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제2 수납유닛종부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고정유닛고정부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제2 수납유닛종부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고정유닛고정부에 결합 및 고정되어 상기 몸체유닛 내측 하부의 좌측을 구획하고, 복수의 상기 제2 수납유닛종부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고정유닛고정부에 결합 및 고정되어 상기 몸체유닛 내측 하부의 우측을 구획하는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
KR1020230088842A 2023-07-10 2023-07-10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 KR102624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8842A KR102624602B1 (ko) 2023-07-10 2023-07-10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8842A KR102624602B1 (ko) 2023-07-10 2023-07-10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4602B1 true KR102624602B1 (ko) 2024-01-12

Family

ID=89541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8842A KR102624602B1 (ko) 2023-07-10 2023-07-10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460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6081A (ko) 2003-07-08 2006-04-27 엑스카운터 에이비 토모신디사이즈를 위한 스캐닝 기반의 전리 방사선 검출
KR101444195B1 (ko) * 2014-03-05 2014-09-26 주식회사 디에이치콘트롤스 나사조임식 버터플라이 밸브
KR101572087B1 (ko) * 2014-11-11 2015-11-25 주식회사 에스피앤에스 도어 잠금 장치
KR102130542B1 (ko) * 2020-03-13 2020-08-05 (주)다산엔지니어링 공동주택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시설
KR102180547B1 (ko) * 2020-05-15 2020-11-18 (주)선경엔지니어링 건축용 통신 단자함 방수구조
KR102218807B1 (ko) * 2020-12-11 2021-02-23 오영대 작업 편의성이 향상된 아웃렛박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6081A (ko) 2003-07-08 2006-04-27 엑스카운터 에이비 토모신디사이즈를 위한 스캐닝 기반의 전리 방사선 검출
KR101444195B1 (ko) * 2014-03-05 2014-09-26 주식회사 디에이치콘트롤스 나사조임식 버터플라이 밸브
KR101572087B1 (ko) * 2014-11-11 2015-11-25 주식회사 에스피앤에스 도어 잠금 장치
KR102130542B1 (ko) * 2020-03-13 2020-08-05 (주)다산엔지니어링 공동주택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시설
KR102180547B1 (ko) * 2020-05-15 2020-11-18 (주)선경엔지니어링 건축용 통신 단자함 방수구조
KR102218807B1 (ko) * 2020-12-11 2021-02-23 오영대 작업 편의성이 향상된 아웃렛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38274B2 (ja) マンホール用ケーブル誘導装置
CA2935675C (en) Conductor guide system
KR102624602B1 (ko) 전기차 충전용 콘센트 상자
CN102362084B (zh) 用于传输线缆的锚固装置
CN210162903U (zh) 一种便于移动的电缆放线架
CN208814413U (zh) 立体车库及其充电线收放装置
CA2995013A1 (en) Line penetration with integrated smoke stop
CN101338649A (zh) 一种伸缩梯
KR101541837B1 (ko) 외부 거푸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
KR102104514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케이블 포설용 케이블 가이드 구조물 및 그 장치
KR20200046824A (ko) 클램프
CN104863244B (zh) 一种地漏水流导通用穿刺针机构
KR102211083B1 (ko) 간편 설치형 케이블 포설용 서포트 로울러
KR20150037350A (ko) 원터치 롤러 방식의 케이블 포설용 클램프
KR101572804B1 (ko) 유압호스 자동 와인딩 장치
CN215955976U (zh) 一种地铁施工高压线防护装置
CN209448365U (zh) 应用于管廊内的电力缆线支架
KR200484989Y1 (ko) 파이프 안전캡
KR200488678Y1 (ko) 슬리브 인출장치
CN218264618U (zh) 一种屋面一体成型拉钢丝设备
CN215911857U (zh) 一种电气工程线缆保护结构
KR101468195B1 (ko) 케이블 포설장치
CA2755445C (en) Tool and method for installing cable into molding
CN216042745U (zh) 一种房屋建筑用砌砖参照线固定装置
JP5249741B2 (ja) 管ライニング材引き込み装置及び引き込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