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3792B1 - Elevator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Elevator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792B1
KR102623792B1 KR1020237034504A KR20237034504A KR102623792B1 KR 102623792 B1 KR102623792 B1 KR 102623792B1 KR 1020237034504 A KR1020237034504 A KR 1020237034504A KR 20237034504 A KR20237034504 A KR 20237034504A KR 102623792 B1 KR102623792 B1 KR 102623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information
management
response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45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50393A (en
Inventor
고지 무로키
아키라 요시하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50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03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7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 natural event, e.g. earthqu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물적 손해가 발생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지진 후 대응에 누락이 발생하기 어려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관리 시스템(12)은 응답 정보 접수부(21)와, 조작 정보 접수부(23)와, 리스트 관리부(25)를 구비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엘리베이터(2)에 대해 지진 후 대응을 관리하는 관리 대상 리스트를 기억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응답 정보 접수부(21)가 지진동에 대한 응답 정보를 접수한 엘리베이터(2)를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조작 정보 접수부(23)가 입력 조작을 접수한 엘리베이터(2)에 대한 물적 손해 정보를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한다.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된 엘리베이터(2)의 복구 정보를 응답 정보 접수부(21)가 접수할 때에, 리스트 관리부(25)는, 미복구 물적 손해가 등록되어 있는 엘리베이터(2)에 대해서, 관리 대상 리스트에 있어서의 지진 후 대응의 완료를 보류한다. Even in the event of material damage to an elevator, we provide a management system that is difficult to miss in post-earthquake response. The management system 12 includes a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1, an operation information reception unit 23, and a list management unit 25. The list management unit 25 stores a management target list for managing post-earthquake response to the elevator 2. The list management unit 25 registers the elevator 2 for which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1 has received response information on earthquake motion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The list management unit 25 registers material damage information about the elevator 2 for which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ption unit 23 has received an input operation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When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1 receives restoration information for the elevator 2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the list management unit 25 lists the elevator 2 with unrecoverable material damage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Suspending completion of post-earthquake response.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관리 시스템Elevator management system

본 개시는 엘리베이터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is disclosure relates to a management system for an elevator.

특허문헌 1은 엘리베이터의 예를 개시한다.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지진파를 감지하는 감지기가 마련된다. 미리 설정된 조건 하에서 감지기가 지진파를 감지할 때에, 엘리베이터로부터 감시 센터로의 보고가 행해진다. 감시 센터의 오퍼레이터는, 엘리베이터로부터의 보고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가 마련되는 현지로 보수원을 파견한다.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n example of an elevator. In an elevator, a detector is provided to detect seismic waves. When the sensor detects seismic waves under preset conditions, a report is made from the elevator to the monitoring center. The operator of the monitoring center dispatches a maintenance worker to the site where the elevator is installed, based on the report from the elevator.

일본 특개 2007-246183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7-246183

특허문헌 1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지진동에 의해서 물적 손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물적 손해가 발생했을 경우에, 대상 물품의 준비 등을 위해, 지진 후 대응의 완료에 시간을 필요로 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 응급 처치 등에 의해서 물적 손해가 발생한 엘리베이터를 임시로 복구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엘리베이터의 복구 정보가 감시 센터에 송신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복구 정보의 수신으로 엘리베이터의 지진 후 대응이 완료된 것으로 처리되면, 지진 후 대응에 누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In the elevator of Patent Document 1, there are cases where material damage occurs due to earthquake motion. In the event of material damage, it may take time to complete the post-earthquake response due to preparation of affected items, etc. In this case, an elevator that has suffered material damage may be temporarily restored through emergency treatment, etc. At this time, there are cases where the elevator recovery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center. Here, if the post-earthquake response of the elevator is treated as completed upon receipt of recovery informa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n omission may occur in the post-earthquake response.

본 개시는 이와 같은 과제의 해결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물적 손해가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도, 지진 후 대응에 누락이 발생하기 어려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This disclosure relates to solving such problems.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management system that makes it difficult for lapses in post-earthquake response to occur even when material damage occurs in an elevator.

본 개시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 적어도 어느 것으로부터 지진동에 대한 응답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 지진동에 응답한 엘리베이터의 해당 응답으로부터의 복구를 나타내는 복구 정보를 접수하는 응답 정보 접수부와, 보수원이 조작하는 보수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 어느 것에 대한 물적 손해 정보의 입력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정보 접수부와,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 적어도 어느 것에 대해 지진 후 대응을 관리하는 관리 대상 리스트를 기억하고, 상기 응답 정보 접수부가 응답 정보를 접수할 때에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 해당 응답 정보를 보고한 엘리베이터를 상기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하고, 상기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된 엘리베이터 중 어느 것에 대한 물적 손해 정보의 입력 조작을 상기 조작 정보 접수부가 접수할 때에 해당 물적 손해 정보를 해당 엘리베이터에 대응지어 상기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하고, 상기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된 엘리베이터의 복구 정보를 상기 응답 정보 접수부가 접수할 때에, 해당 엘리베이터에 대해 미복구 물적 손해가 상기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해당 엘리베이터에 대해 상기 관리 대상 리스트에 있어서의 지진 후 대응을 완료로 하고, 해당 엘리베이터에 대해 미복구 물적 손해가 상기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 엘리베이터에 대해 상기 관리 대상 리스트에 있어서의 지진 후 대응의 완료를 보류하는 리스트 관리부를 구비한다. The elevato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response information that receives response information to ground motion from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elevators, and recovery information indicating recovery from the response of the elevator that responded to the ground motion among the plurality of elevators. A reception unit, an operation information reception unit that receives an input operation of material damage information for any of the plurality of elevators from a maintenance terminal operated by a maintenance worker, and a management object that manages post-earthquake response fo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levators. The list is stored, and when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receives response information, the elevator that reported the response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elevators is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and the physical information for any of the elevators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is registered. When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ption unit receives an input operation of damage information, the material damage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in correspondence with the relevant elevator, and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receives restoration information of the elevator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When doing so, if unrecoverable material damage to the relevant elevator is not registered in the above-mentioned management target list, the post-earthquake response in the above-mentioned management target list to the relevant elevator shall be completed, and unrecoverable material damage to the relevant elevator shall be completed. A list management unit is provided to postpone completion of post-earthquake response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for the elevator in case it is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본 개시에 따른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물적 손해가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도, 지진 후 대응에 누락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According to th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even in the case where material damage occurs in an elevator, it becomes difficult for lapses in post-earthquake response to occur.

도 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보수 단말에 있어서의 표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관리 시스템의 동작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보수 단말에 있어서의 표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보수 단말에 있어서의 표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관리 시스템의 동작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보수 단말에 있어서의 표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보수 단말에 있어서의 표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관리 시스템의 주요부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 1.
FIG.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on a maintenance terminal according to Embodiment 1.
Fig. 3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 1.
Fig.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in the maintenance terminal according to Embodiment 1.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in the maintenance terminal according to Embodiment 1.
Fig. 6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 1.
Fig.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in the maintenance terminal according to Embodiment 1.
Fig. 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in the maintenance terminal according to Embodiment 1.
Figure 9 is a hardware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ain part of th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 1.

본 개시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간략화 또는 생략한다. A mode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each drawing, identical or equivalent par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are appropriately simplified or omitted.

실시 형태 1. Embodiment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1)의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vator system 1 according to Embodiment 1.

엘리베이터 시스템(1)은 복수의 엘리베이터(2)를 포함하는 시스템이다. 각각의 엘리베이터(2)는, 예를 들면 복수의 층상을 가지는 건물 등에 적용된다. 하나의 건물에 있어서, 복수의 엘리베이터(2)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건물에 있어서, 엘리베이터(2)의 승강로(3)가 마련된다. 승강로(3)는 복수의 층상에 걸치는 상하 방향으로 긴 공간이다. 이 예에 있어서, 각각의 엘리베이터(2)는, 트랙션식의 엘리베이터이다. 또한, 엘리베이터 시스템(1)은 예를 들면 권동(卷胴)식의 엘리베이터, 및 유압식의 엘리베이터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트랙션식의 엘리베이터는, 권상기(4)와, 메인 로프(5)와, 엘리베이터 칸(6)과, 균형추(7)와, 지진 감지기(8)와, 제어반(9)을 구비한다. The elevator system 1 is a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elevators 2. Each elevator 2 is applied to, for example, a building with multiple floors. In one building, a plurality of elevators 2 may be provided. In the building, a hoistway (3) for an elevator (2) is provided. The hoistway 3 is a space that is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pans a plurality of floors. In this example, each elevator 2 is a traction type elevator. Additionally, the elevator system 1 may include, for example, a winding-type elevator and a hydraulic-type elevator. The traction type elevator is provided with a hoisting machine (4), a main rope (5), an elevator car (6), a counterweight (7), an earthquake detector (8), and a control panel (9).

권상기(4)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모터가 발생시키는 구동력에 의해서 회전하는 시브를 구비한다. 권상기(4)는 예를 들면 승강로(3)의 상부 또는 하부 등에 배치된다. 혹은, 엘리베이터(2)에 있어서 예를 들면 승강로(3)의 상방 등에 기계실이 마련되는 경우에, 권상기(4)는 기계실에 배치되어도 된다. The traction machine 4 includes a motor that generates driving force, and a sheave that rotates by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motor. The hoisting machine 4 is disposed, for example, at the top or bottom of the hoistway 3. Alternatively, in the case where a machine room is provided in the elevator 2, for example, above the hoistway 3, the hoisting machine 4 may be placed in the machine room.

메인 로프(5)는 승강로(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의 하중을 지지하는 로프이다. 메인 로프(5)는 권상기(4)의 시브에 감겨 걸려 있다. 메인 로프(5)는 권상기(4)의 시브의 일방측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6)의 하중을 지지한다. 메인 로프(5)는 권상기(4)의 시브의 타방측에 있어서 균형추(7)의 하중을 지지한다. 메인 로프(5)는, 권상기(4)의 모터가 발생시키는 구동력에 의해서, 권상기(4)의 시브의 어느 일방측을 끌어올리도록 이동한다. The main rope 5 is a rope that supports the load of the elevator car 6 and the counterweight 7 in the hoistway 3. The main rope (5) is wound and hung on the sheave of the hoisting machine (4). The main rope 5 supports the load of the elevator car 6 on one side of the sheave of the hoisting machine 4. The main rope 5 supports the load of the counterweight 7 on the other side of the sheave of the hoisting machine 4. The main rope 5 moves to raise either side of the sheave of the hoisting machine 4 by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motor of the hoisting machine 4.

엘리베이터 칸(6)은 승강로(3)를 상하 방향으로 주행함으로써 엘리베이터(2)의 승객 등을 복수의 층상 사이에서 수송하는 기기이다. 엘리베이터 칸(6)의 내부에 있어서, 통화 장치(10)가 마련된다. 통화 장치(10)는 예를 들면 인터폰 또는 전화기(17) 등이다. 균형추(7)는, 권상기(4)의 시브의 일방측에 걸리는 엘리베이터 칸(6)의 하중에 대해서, 권상기(4)의 시브의 타방측에서 하중의 균형을 잡는 기기이다.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는, 권상기(4)의 모터에 의한 메인 로프(5)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하 방향에 있어서 승강로(3)를 서로 반대측으로 주행한다. The elevator car 6 is a device that transports passengers of the elevator 2 between a plurality of floors by traveling up and down the hoistway 3. Inside the elevator car 6, a communication device 10 is provided. The communication device 10 is, for example, an interphone or a telephone 17. The counterweight 7 is a device that balances the load on the other side of the sheave of the traction machine 4 with respect to the load of the elevator car 6 applied to one side of the sheave of the traction machine 4. The elevator car 6 and the counterweight 7 travel on opposite sides of the hoistway 3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with the movement of the main rope 5 by the motor of the hoisting machine 4.

지진 감지기(8)는 엘리베이터(2)가 마련된 장소에 있어서 지진파를 감지하는 기기이다. 지진 감지기(8)는, 예를 들면, 승강로(3) 등에 배치된다. 혹은, 기계실이 마련되는 경우에, 지진 감지기(8)는 기계실에 배치되어도 된다. The earthquake detector 8 is a device that detects seismic waves in a place where the elevator 2 is installed. The earthquake detector 8 is placed, for example, in the hoistway 3. Alternatively, when a machine room is provided, the earthquake detector 8 may be placed in the machine room.

제어반(9)은 엘리베이터(2)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기이다. 엘리베이터(2)의 동작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6)의 주행 등을 포함한다. 제어반(9)은 예를 들면 승강로(3)의 상부 또는 하부 등에 배치된다. 혹은, 기계실이 마련되는 경우에, 제어반(9)은 기계실에 배치되어도 된다. 제어반(9)은 엘리베이터(2)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엘리베이터(2)의 상태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2)의 기기 등에 접속된다. 제어반(9)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2)의 엘리베이터 칸(6), 권상기(4), 또는 승강로(3) 등에 마련된 센서 또는 스위치 등으로부터 엘리베이터(2)의 상태의 정보를 취득한다. 제어반(9)은 지진 감지기(8)로부터 지진파 감지의 정보를 취득한다. The control panel 9 is a device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2.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2 includes, for example, the running of the elevator car 6. The control panel 9 is placed, for example, at the top or bottom of the hoistway 3. Alternatively, when a machine room is provided, the control panel 9 may be placed in the machine room. The control panel 9 is connected to the equipment of the elevator 2, etc., so as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state of the elevator 2 us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2. The control panel 9 obtains information on the state of the elevator 2 from, for example, sensors or switches provided in the car 6, the hoisting machine 4, or the hoistway 3 of the elevator 2. The control panel 9 acquires information on seismic wave detection from the earthquake detector 8.

제어반(9)은, 지진 감지기(8)로부터 취득한 지진파 감지의 정보에 기초하여, 지진동에 대한 응답을 행한다. 지진동에 대한 응답은, 예를 들면, 관제 운전 및 운전 휴지(休止) 등의 응답을 포함한다. 관제 운전은 발생한 지진에 응답하는 자동 운전 등이다. 관제 운전은 엘리베이터(2)에 대한 지진동의 영향을 진단하는 진단 운전 등을 포함한다. 운전 휴지는 엘리베이터 칸(6)을 주행시키지 않고 휴지하여 대기하는 응답이다. The control panel 9 responds to the ground motion based on the seismic wave detection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earthquake detector 8. Responses to ground motion include, for example, responses such as control operation and operation suspension. Controlled operation is automatic operation that responds to an earthquake that has occurred. Control operation includes diagnostic operation that diagnoses the effects of ground motion on the elevator (2). The operation pause is a response in which the elevator car 6 is paused and waited without running.

각각의 엘리베이터(2)는, 원격 감시 장치(11)를 구비한다. 원격 감시 장치(11)는 엘리베이터(2)의 상태를 감시하는 장치이다. 원격 감시 장치(11)는 엘리베이터(2)의 상태의 정보를 예를 들면 제어반(9) 등으로부터 취득한다. Each elevator 2 is equipped with a remote monitoring device 11.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11 is a device that monitors the status of the elevator 2.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11 obtains information on the state of the elevator 2 from, for example, the control panel 9.

엘리베이터 시스템(1)에 있어서, 관리 시스템(12)이 적용된다. 관리 시스템(12)은 엘리베이터 시스템(1)에 있어서의 복수의 엘리베이터(2)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관리 시스템(12)은 중앙 관리 장치(13)와, 작업 관리 장치(14)와, 대응 관리 장치(15)를 구비한다. In the elevator system 1, a management system 12 is applied. The management system 12 is a system that manages a plurality of elevators 2 in the elevator system 1. The management system 12 includes a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a job management device 14, and a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중앙 관리 장치(13)는 각각의 엘리베이터(2)를 원격 감시하는 장치이다. 중앙 관리 장치(13)는 예를 들면 정보 센터(16) 등에 배치된다. 정보 센터(16)는 복수의 엘리베이터(2)의 정보를 수집하는 거점이다. 중앙 관리 장치(13)는 예를 들면 하나 또는 복수의 서버 장치 등이다. 중앙 관리 장치(13)는, 통상 운전시의 각각의 엘리베이터(2)의 상태 등을 통신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관리 시스템(12)을 운용하는 보수 회사의 인트라넷 등을 통해서 각각의 원격 감시 장치(11)로부터 접속된다. 중앙 관리 장치(13)는 각각의 엘리베이터(2)에 대한 통보의 정보를 접수하는 기능을 탑재한다. 각각의 엘리베이터(2)에 대한 통보는, 예를 들면 해당 엘리베이터(2)의 승객 또는 관리자 등으로부터의 음성 통화에 의한 통보를 포함한다. 음성 통화에 의한 통보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2)의 승객 또는 관리자가 이용하는 휴대 전화 또는 고정 전화 등의 전화기를 통해서 행해진다. 혹은, 음성 통화에 의한 통보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2)의 엘리베이터 칸(6)에 마련된 통화 장치(10)가 인터폰일 때에, 인터폰을 통해서 행해져도 된다. 음성 통화에 의한 통보의 정보는, 예를 들면 해당 통보를 받은 오퍼레이터 등에 의해서 중앙 관리 장치(13)에 입력된다.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is a device that remotely monitors each elevator 2.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is placed in an information center 16, for example. The information center 16 is a base for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the plurality of elevators 2.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is, for example, one or more server devices.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is a remote monitoring device so that the status of each elevator 2 during normal operation can be communicated, for example, through the intranet of the maintenance company that operates the management system 12. It is connected from (11).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is equipped with a function to receive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elevator 2. The notification to each elevator 2 includes, for example, a notification via voice call from a passenger or manager of the elevator 2 in question. Notification by voice call is made, for example, through a telephone such as a mobile phone or fixed telephone used by passengers or managers of the elevator 2. Alternatively, notification by voice call may be made through an interphone, for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device 10 provided in the car 6 of the elevator 2 is an interphone. The information of the notification via voice call is input into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for example, by the operator who received the notification.

작업 관리 장치(14)는 각각의 엘리베이터(2)에 있어서 행해지는 점검, 정비, 또는 수리 등의 보수 작업의 관리를 행하는 장치이다. 작업 관리 장치(14)는 작업 관리부의 예이다. 작업 관리 장치(14)는 예를 들면 보수 작업의 예정, 및 보수 작업의 실시 상황 등을 관리한다. 작업 관리 장치(14)는 예를 들면 정보 센터(16) 등에 배치된다. 작업 관리 장치(14)는 예를 들면 하나 또는 복수의 서버 장치 등이다. 작업 관리 장치(14)는 예를 들면 보수원이 소지하는 보수 단말(18) 등으로부터 보수 작업 예정의 입력을 접수한다. 여기서, 보수 단말(18)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 등의 가반식 정보 단말이다. 보수 단말(18)은 보수원이 근무하는 보수 회사의 사업소 등에 배치된 범용 컴퓨터 등이어도 된다. 작업 관리 장치(14)는 예를 들면 보수 회사의 인트라넷 등을 통해서 보수 단말(18)로부터 접속된다. 또한, 작업 관리 장치(14)는 보수 단말(18) 등으로부터 보수 작업의 개시를 나타내는 작업 신고의 입력을 접수한다. 또한, 작업 관리 장치(14)는 보수 단말(18) 등으로부터 보수 작업의 완료를 나타내는 작업 완료 신고의 입력을 접수한다. 작업 관리 장치(14)는, 관리하고 있는 보수 작업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보수 회사의 인트라넷 등을 통해서 중앙 관리 장치(13)에 접속된다. The work management device 14 is a device that manages maintenance work such as inspection, maintenance, or repair performed on each elevator 2. The task management device 14 is an example of a task management uni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4 manages, for example, the schedule of maintenance work and the execution status of the maintenance work. The job management device 14 is placed, for example, in the information center 16. The job management device 14 is, for example, one or more server devices. The work management device 14 receives, for example, an input of a maintenance work schedule from a maintenance terminal 18 carried by a maintenance worker. Here, the maintenance terminal 18 is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for example. The maintenance terminal 18 may be a general-purpose computer, etc. placed at the business office of the maintenance company where the maintenance worker works. The work management device 14 is connected from the maintenance terminal 18 through, for example, the maintenance company's intranet. Additionally, the work management device 14 receives an input of a work report indicating the start of maintenance work from the maintenance terminal 18 or the like. Additionally, the work management device 14 receives an input of a work completion report indicating completion of the maintenance work from the maintenance terminal 18 or the like. The work management device 14 is connected to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through, for example, the maintenance company's intranet, etc., so that information on the maintenance work being managed can be shared.

대응 관리 장치(15)는, 지진에 의한 지진동이 발생한 지역에 마련된 엘리베이터(2) 각각에 대해서, 지진 후 대응 상황을 관리하는 장치이다. 대응 관리 장치(15)는 예를 들면 정보 센터(16) 등에 배치된다. 대응 관리 장치(15)는 예를 들면 하나 또는 복수의 서버 장치 등이다. 중앙 관리 장치(13)는, 각각의 엘리베이터(2)의 지진동에 대한 응답 정보 등을 통신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보수 회사의 인트라넷 등을 통해서 각각의 원격 감시 장치(11)로부터 접속된다. 대응 관리 장치(15)는, 관리하고 있는 대응 상황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보수 회사의 인트라넷 등을 통해서 중앙 관리 장치(13)에 접속된다. 대응 관리 장치(15)는, 외부 서비스(19)로부터의 정보를 접수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인터넷 또는 전화 회선망 등의 통신망에 접속된다. 외부 서비스(19)는 예를 들면 지진 정보를 전달하는 관리 시스템(12)의 외부의 서비스이다. 외부 서비스(19)는 예를 들면 일본에 있어서의 기상청 혹은 다른 나라 등에 있어서의 마찬가지의 기관 등의 공공 기관, 또는 민간 기관 등에 의해서 제공된다. The response management device 15 is a device that manages the post-earthquake response situation for each elevator 2 provided in an area where ground motion due to an earthquake occurred.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is placed, for example, in the information center 16.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is, for example, one or more server devices.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is connected from each remote monitoring device 11 through, for example, the maintenance company's intranet, etc., so that response information, etc. to the ground motion of each elevator 2 can be communicated. The response management device 15 is connected to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through, for example, the maintenance company's intranet, etc., so that information on the response status being managed can be shared.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i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or a telephone network, for example, so that it can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service 19. The external service 19 is a service external to the management system 12 that delivers earthquak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external service 19 is provided by, for example, a public institution such as the Meteorological Agency in Japan or a similar institution in another country, or a private institution.

대응 관리 장치(15)는 지진 정보 접수부(20)와, 응답 정보 접수부(21)와, 작업 판정부(22)와, 조작 정보 접수부(23)와, 관리 정보 접수부(24)와, 리스트 관리부(25)와, 기준 기억부(26)와, 집계부(27)와, 제시부(28)와, 문의부(29)를 구비한다. The response management device 15 includes an earthquak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0, a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1, an operation judgment unit 22, an operation information reception unit 23, a management information reception unit 24, and a list management unit ( 25), a standard storage unit 26, a counting unit 27, a presentation unit 28, and an inquiry unit 29.

지진 정보 접수부(20)는 외부 서비스(19)로부터 지진 정보를 접수하는 부분이다. 지진 정보 접수부(20)는 복수의 엘리베이터(2) 중 적어도 어느 것이 마련된 지역에 대한 지진 정보를 외부 서비스(19)로부터 접수한다. 지진 정보는 지진이 발생할 때에 외부 서비스(19)로부터 전달된다. 지진 정보는 예를 들면 지진동이 발생한 지역, 지진동이 발생한 시각, 및 발생한 지진동의 크기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지진동의 크기는, 예를 들면 진도 계급의 정보 등을 포함한다. 지진 정보는 지진동을 발생시킨 지진의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지진이 발생한 시각, 지진의 진원, 및 지진의 규모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지진의 규모는, 예를 들면 진도(magnitude)의 정보 등을 포함한다. The earthquak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0 is a part that receives earthquake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service 19. The earthquak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0 receives earthquake information about an area wher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levators 2 is provided from the external service 19. Earthquake information is delivered from an external service 19 when an earthquake occurs. Earthquake information includes, for example, information such as the area where the ground motion occurred, the time when the ground motion occurred, and the size of the generated ground motion. The size of the earthquake motion includes, for example, information on the seismic intensity level. Earthquak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earthquake that caused the ground motion. It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the time the earthquake occurred, the epicenter of the earthquake, and the magnitude of the earthquake. The magnitude of an earthquake includes, for example, information on magnitude.

응답 정보 접수부(21)는 각각의 원격 감시 장치(11)로부터 엘리베이터(2)의 지진동에 대한 응답 정보를 접수하는 부분이다. 응답 정보는 엘리베이터(2)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2)를 특정하는 정보는, 예를 들면 해당 엘리베이터(2)가 마련된 건물의 건물 번호, 및 해당 건물에 있어서 고유하게 설정되는 엘리베이터(2)의 호기 번호 등의 정보 등이다. 응답 정보는 지진동에 대한 응답의 유무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1 is a part that receives response information about the earthquake motion of the elevator 2 from each remote monitoring device 11. The response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specifying the elevator 2. Information that specifies the elevator 2 is, for example, information such as the building number of the building where the elevator 2 is installed and the number of the elevator 2 that is uniquely set in the building. Response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sponse to ground motion.

작업 판정부(22)는, 응답 정보 접수부(21)가 응답 정보를 접수할 때에, 해당 응답 정보를 보고한 엘리베이터(2)에 대해 보수 작업의 정보를 판정하는 부분이다. 작업 판정부(22)는, 예를 들면, 작업 관리 장치(14) 등의 작업 관리부가 관리하는 정보를 참조하여 판정을 행한다. 작업 판정부(22)는 예를 들면 중앙 관리 장치(13)를 통해서 작업 관리 장치(14)를 참조해도 된다. 작업 판정부(22)는, 예를 들면, 응답 정보가 접수된 시각은 해당 응답 정보를 보고한 엘리베이터(2)에 보수 작업이 예정되어 있는 시각인지를 판정한다. 혹은, 작업 판정부(22)는, 예를 들면, 응답 정보가 접수되었을 때에, 해당 응답 정보를 보고한 엘리베이터(2)에 있어서 보수 작업이 행해지고 있는지를 판정한다. The work determination unit 22 is a part that determines maintenance work information for the elevator 2 that reported the response information when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1 receives response information. The job determination unit 22 makes a decision with reference to information managed by a job management unit such as the job management device 14, for example. The job determination unit 22 may refer to the job management device 14 via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for example. For example, the work determination unit 22 determines whether the time at which the response information was received is the time at which maintenance work is scheduled for the elevator 2 that reported the response information. Alternatively, for example, when response information is received, the work determination unit 22 determines whether maintenance work is being performed on the elevator 2 that reported the response information.

조작 정보 접수부(23)는 보수원에 의한 보수 단말(18)을 통한 조작을 접수하는 부분이다. 조작 정보 접수부(23)가 접수하는 조작은, 예를 들면 관리 시스템(12)에 있어서의 설정 변경의 조작 등을 포함한다. 조작 정보 접수부(23)가 접수하는 조작은, 예를 들면 지진 후 대응 상황에 대한 정보 입력의 조작 등을 포함한다.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ption unit 23 is a part that receives operations through the maintenance terminal 18 by a maintenance worker. The operations accepted by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ption unit 23 include, for example, operations to change settings in the management system 12. The operations accepted by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ption unit 23 include, for example, operations to input information about the post-earthquake response situation.

관리 정보 접수부(24)는 중앙 관리 장치(13)로부터 정보를 접수하는 부분이다. 관리 정보 접수부(24)가 접수하는 정보는, 예를 들면 중앙 관리 장치(13)로부터 통지되는 정보, 또는 중앙 관리 장치(13)에 요구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관리 정보 접수부(24)가 접수하는 정보는, 중앙 관리 장치(13)가 중계하는 예를 들면 작업 관리 장치(14) 등으로부터의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The management information reception unit 24 is a part that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Information received by the management information reception unit 24 includes, for example, information notified from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or information requested from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management information reception unit 24 may include information relayed by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for example, from the work management device 14 or the like.

리스트 관리부(25)는 관리 대상 리스트의 관리를 행하는 부분이다. 관리 대상 리스트는 지진동이 발생한 지역에 마련된 엘리베이터(2) 각각에 대한 지진 후 대응의 관리에 이용되는 정보이다. 이 예에 있어서, 관리 대상 리스트는 리스트 관리부(25)에 기억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복수의 엘리베이터(2) 중, 지진 후 대응의 관리가 필요한 엘리베이터(2)를 관리 대상으로서 등록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관리 대상 리스트에 있어서 지진 후 대응의 정보를 엘리베이터(2)에 대응지어 등록한다. The list management unit 25 is a part that manages the management target list. The management target list is information used to manage post-earthquake response for each elevator (2) provided in the area where earthquake motion occurred. In this example, the management target list is stored in the list management unit 25. The list management unit 25 registers, among the plurality of elevators 2, the elevator 2 that requires post-earthquake response management as a management target. The list management unit 25 registers information on post-earthquake response in association with the elevator 2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리스트 관리부(25)는, 응답 정보 접수부(21)가 응답 정보를 접수할 때에, 해당 응답 정보를 송신한 엘리베이터(2)를 관리 대상 리스트에 관리 대상으로서 확정적으로 등록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지진 정보 접수부(20)가 지진 정보를 접수할 때에, 각각의 엘리베이터(2)가 마련된 지역에 있어서 발생한 지진동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크기보다 큰 지를 판정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미리 설정된 규모보다 크다고 판정된 지역에 마련된 하나 또는 복수의 엘리베이터(2) 각각을, 관리 대상 리스트에 관리 대상으로서 잠정적으로 등록한다. 여기서, 관리 대상 리스트에의 확정적인 등록은, 복수의 엘리베이터(2)에 있어서의 지진 후 대응이 완료된 후에 있어서도 대응 이력으로서 유지된다. 또한, 관리 대상 리스트에의 잠정적인 등록은, 복수의 엘리베이터(2)에 있어서의 지진 후 대응이 완료되기까지, 확정적인 등록으로 이행할지, 또는 등록이 해제될지 등의 처리가 행해진다. 관리 대상 리스트에 있어서, 확정적으로 등록된 엘리베이터(2), 및 잠정적으로 등록된 엘리베이터(2)는,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된 엘리베이터(2)로서 마찬가지로 취급된다. When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1 receives response information, the list management unit 25 definitively registers the elevator 2 that transmitted the response information as a management object in the management object list. When the earthquak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0 receives earthquake information, the list management unit 25 determines whether the magnitude of the earthquake motion occurring in the area where each elevator 2 is provided is greater than a preset magnitude. The list management unit 25 temporarily registers each of one or more elevators 2 provided in an area determined to be larger than the preset size as a management target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Here, the definitive registration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is maintained as a response history even after the post-earthquake response in the plurality of elevators 2 is completed. Additionally, provisional registration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is subject to processing such as whether to transition to definitive registration or whether registration is canceled until post-earthquake response in the plurality of elevators 2 is complet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the definitively registered elevator 2 and the provisionally registered elevator 2 are treated similarly as the elevator 2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또한, 리스트 관리부(25)는, 지진동에 대한 응답 정보에 의해서 이미 확정적으로 등록되어 있는 엘리베이터(2)에 대해서, 중복된 등록이 행해지지 않도록, 해당 지진동의 지진 정보에 의한 잠정적인 등록의 처리를 스킵해도 된다. 이 예에 있어서, 잠정적인 등록을 행하는 기준값이 되는 지진동의 크기는, 엘리베이터(2)마다 개별적으로 설정된다. 또한, 잠정적인 등록을 행하는 기준값이 되는 지진동의 크기는, 전 엘리베이터(2)에 대해서 공통되어도 되고, 지역마다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In addition, the list management unit 25 processes provisional registration based on the earthquake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earthquake motion to prevent duplicate registration of the elevator 2 that has already been definitively registered based on the response information for the earthquake motion. You can skip it. In this example, the magnitude of the ground motion that serves as a reference value for provisional registration is set individually for each elevator 2. Additionally, the magnitude of the earthquake motion that serves as a reference value for provisional registration may be common to all elevators 2 or may be set for each region.

기준 기억부(26)는 엘리베이터(2)마다 잠정적인 등록을 행하는 기준값이 되는 지진동의 크기의 설정값을 기억하는 부분이다. 지진동의 크기의 설정값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2)가 준거하는 내진 기준 등에 의해서 지정된다. 여기서 지정된 내진 기준에 따라서, 관리 대상 리스트에의 잠정적인 등록을 행하는 기준값이 되는 진도 계급 등의 지진동의 크기의 정보가 설정된다. 기준 기억부(26)는 이와 같이 설정된 지진동의 크기의 기준값을 기억한다. The standard storage unit 26 is a part that stores the set value of the magnitude of the ground motion that serves as a reference value for provisional registration for each elevator 2. The set value of the magnitude of the earthquake motion is specified, for example, by the seismic standards that the elevator 2 complies with. According to the earthquake resistance standard specified here, information on the magnitude of earthquake motion, such as seismic intensity level, is set as a reference value for provisional registration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The reference storage unit 26 stores the reference value of the magnitude of the earthquake motion set in this way.

집계부(27)는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된 엘리베이터(2)의 집계를 행하는 부분이다. 집계부(27)는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에어리어마다 집계를 행한다. 집계부(27)가 집계에 이용하는 에어리어는, 외부 서비스(19)로부터의 지진 정보에 의해서 나타내지는 지역과 상이해도 된다. 집계부(27)는 예를 들면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된 엘리베이터(2)의 수, 및, 그 중 지진 후 대응이 완료된 엘리베이터(2)의 수를 에어리어마다 집계한다. 또한, 집계부(27)는 예를 들면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된 엘리베이터(2)에 있어서 발생한 갇힘의 건수, 및, 그 중 구출이 완료된 갇힘의 건수를 에어리어마다 집계한다. The counting unit 27 is a part that counts the elevators 2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The counting unit 27 performs counting for each preset area, for example. The area used by the counting unit 27 for counting may be different from the area indicated by the earthquake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service 19. For example, the counting unit 27 counts for each area the number of elevators 2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and, among them, the number of elevators 2 for which post-earthquake response has been completed. Additionally, the counting unit 27 counts, for example, the number of cases of entrapment in the elevator 2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and the number of cases of entrapment for which rescue has been completed, for each area.

제시부(28)는, 보수 단말(18)로부터 송신되는 표시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서, 관리 대상 리스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보수 단말(18)에 송신하는 부분이다. 제시부(28)는 집계부(27)에 의한 집계 결과를 함께 보수 단말(18)에 송신해도 된다. 보수 단말(18)은 관리 대상 리스트로부터 송신되는 정보를 보수원에게 표시한다. The presentation unit 28 is a part that transmits information indicating the management target list to the maintenance terminal 18 as a response to a display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maintenance terminal 18. The presentation unit 28 may transmit the tally result by the counting unit 27 to the reward terminal 18 together. The maintenance terminal 18 display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anagement target list to the maintenance worker.

문의부(29)는 관리 대상 리스트에 잠정적으로 등록된 엘리베이터(2)에 대해서 운전 상태를 문의하는 부분이다. 문의부(29)는 예를 들면 지진 정보 접수부(20)가 지진 정보를 접수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에, 운전 상태의 문의를 행한다. 문의부(29)는 예를 들면 지진 정보 접수부(20)가 지진 정보를 접수한 후에,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운전 상태의 문의를 행해도 된다. 문의부(29)가 운전 상태의 문의를 행하는 타이밍은, 엘리베이터(2)마다 상이해도 된다. 문의부(29)는, 문의의 신호로서, 예를 들면 원격 감시 장치(11)에 폴링(polling) 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문의부(29)는, 폴링 신호를 수신한 원격 감시 장치(11)로부터, 엘리베이터(2)의 운전 상태의 정보를 수신한다. The inquiry unit 29 is a part that inquires about the operation status of the elevator 2 provisionally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For example, the inquiry unit 29 inquires about the driving status when a preset time elapses after the earthquak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0 receives the earthquak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inquiry unit 29 may inquire about the driving status whenever a preset time elapses after the earthquak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0 receives the earthquake information. The timing at which the inquiry unit 29 inquires about the operating status may be different for each elevator 2. The inquiry unit 29 transmits, for example, a polling signal to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11 as an inquiry signal. At this time, the inquiry unit 29 receives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vator 2 from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11 that has received the polling signal.

문의부(29)에 의한 문의 결과에 기초하여, 리스트 관리부(25)는, 지진동에 대한 응답을 행하고 있는 상태의 엘리베이터(2)에 대해서, 관리 대상 리스트에의 잠정적인 등록을 확정적인 등록으로 한다. 지진동에 대한 응답을 행하고 있는 상태의 엘리베이터(2)는, 예를 들면 관제 운전을 행하고 있는 엘리베이터(2), 또는 운전 휴지를 계속하고 있는 엘리베이터(2)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2)는 지진동에 대한 응답을 행하고 있으므로, 보수원 등에 의한 지진 후 대응의 대상이 된다. 또한, 문의부(29)의 문의 결과에 기초하여, 리스트 관리부(25)는, 통상 운전을 행하고 있는 상태의 엘리베이터(2)에 대해서, 관리 대상 리스트에의 잠정적인 등록을 해제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2)는, 지진동에 대한 응답을 행하지 않고 통상 운전을 계속하고 있으므로, 보수원 등에 의한 지진 후 대응의 대상외가 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문의부(29)의 문의에 대한 대답이 얻어지지 않는 엘리베이터(2) 등의 상태가 불명한 엘리베이터(2)에 대해서, 관리 대상 리스트에의 잠정적인 등록을 유지한다. 문의부(29)는, 해당 엘리베이터(2)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다시 문의를 행해도 된다.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quiry by the inquiry unit 29, the list management unit 25 converts the provisional registration of the elevator 2 in the state of responding to the ground motion into a definitive registration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 The elevator 2 in a state of responding to ground motion includes, for example, the elevator 2 in controlled operation or the elevator 2 in a state of continuous idle operation. Since this type of elevator 2 responds to earthquake motions, it is subject to post-earthquake response by maintenance workers and the like. Furthermore, based on the inquiry result of the inquiry unit 29, the list management unit 25 cancels the provisional registration of the elevator 2 in the normal operation state to the management target list. Since such an elevator 2 continues to operate normally without responding to earthquake motions, it is not subject to post-earthquake response by maintenance personnel or the like. The list management unit 25 maintains provisional registration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for elevators 2 whose status is unknown, such as elevators 2 for which answers to inquiries from the inquiry unit 29 have not been obtained. The inquiry unit 29 may make an inquiry again about the elevator 2 in question after a preset time has elapsed.

도 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보수 단말(18)에 있어서의 표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on the maintenance terminal 18 according to Embodiment 1.

도 2에 있어서, 관리 시스템(12)에 있어서의 설정 변경의 화면의 예가 나타내진다. In Fig. 2, an example of a setting change screen in the management system 12 is shown.

보수원은, 엘리베이터(2)마다, 해당 엘리베이터(2)가 준거하는 내진 기준 등을 지정한다. 이 예에 있어서, 2009년에 공공 기관에 의해서 책정된 내진 기준이 지정되어 있다. 여기서 지정된 정보는, 기준 기억부(26)에 기억된다. 또한, 보수원은, 엘리베이터(2)마다, 해당 엘리베이터(2)에 마련된 지진 감지기(8)의 설정값의 정보를 함께 입력해도 된다. 이 예의 지진 감지기(8)에 있어서, 지진파 감지의 임계값으로서 저갈(低gal)값 및 고갈(高gal)값의 2단계 값이 설정되어 있다. 이 예에 있어서, 저갈값으로서 150갈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고갈값으로서 200갈이 설정되어 있다. The maintenance worker specifies, for each elevator 2, the seismic standards that the elevator 2 complies with. In this example, seismic standards established by public institutions in 2009 are specified. The information specified here is stored in the standard storage unit 26. Additionally, the maintenance worker may also input information on the setting value of the earthquake detector 8 provided in the elevator 2 for each elevator 2. In the earthquake detector 8 of this example, two levels of low gal value and high gal value are set as threshold values for seismic wave detection. In this example, 150 gal is set as the low gal value. Additionally, 200 gal is set as the depletion value.

이어서, 도 3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관리 시스템(12)의 동작의 예를 설명한다. Next,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management system 12 will be described using FIGS. 3 to 8.

도 3 및 도 6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관리 시스템(12)의 동작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3 and 6 are flowcharts showing examples of operations of the management system 12 according to Embodiment 1.

도 4, 도 5, 도 7, 및 도 8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보수 단말(18)에 있어서의 표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s 4, 5, 7, and 8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displays on the maintenance terminal 18 according to Embodiment 1.

도 3에 있어서, 관리 대상 리스트에의 등록에 관한 관리 시스템(12)의 처리의 예가 나타내진다. In Fig. 3, an example of processing of the management system 12 regarding registration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is shown.

지진이 발생하고 있지 않을 때에, 각각의 엘리베이터(2)는, 통상 운전을 행하고 있다. 통상 운전을 행하고 있을 때의 엘리베이터(2)의 정보는, 제어반(9) 등을 통해서 원격 감시 장치(11)에 수집된다. 원격 감시 장치(11)는 수집한 정보를 예를 들면 중앙 관리 장치(13)에 송신한다. 중앙 관리 장치(13)는 원격 감시 장치(11)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축적한다. 정보 센터(16)에 있어서, 축적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엘리베이터(2)의 원격 감시가 행해진다. When an earthquake is not occurring, each elevator 2 operates normally. Information on the elevator 2 during normal operation is collected by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11 through the control panel 9 or the like.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11 transmits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for example,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accumulate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11. In the information center 16, remote monitoring of each elevator 2 is performed based on accumulated information.

지진이 발생하고 있지 않을 때에, 어느 엘리베이터(2)에 있어서, 보수 작업 등이 행해지고 있어도 된다. 보수 작업은 작업 관리 장치(14)에 있어서 관리되고 있는 예정에 따라서 행해진다. 보수원은, 보수 작업을 개시할 때에, 보수 단말(18)을 통해서 작업 신고의 입력 조작을 행한다. 작업 관리 장치(14)는, 보수원으로부터의 작업 신고의 입력 조작에 의해서, 해당 보수원이 행하는 보수 작업의 상태를 실시중으로서 관리한다. 보수원은, 보수 작업을 종료할 때에, 보수 단말(18)을 통해서 작업 완료 신고의 입력 조작을 행한다. 작업 관리 장치(14)는, 보수원으로부터의 작업 완료 신고의 입력 조작에 의해서, 해당 보수원이 행하는 보수 작업의 상태를 작업 완료로서 관리한다. When an earthquake is not occurring, maintenance work or the like may be performed on any elevator 2. Maintenance work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chedule managed in the work management device 14. When starting maintenance work, the maintenance worker inputs a work report through the maintenance terminal 18. The work management device 14 manages the status of maintenance work performed by the maintenance person as being performed by inputting a work report from the maintenance person. When completing maintenance work, the maintenance worker inputs a work completion report through the maintenance terminal 18. The work management device 14 manages the status of the maintenance work performed by the maintenance person as work completion by inputting a work completion report from the maintenance person.

한편, 지진이 발생할 때에, 어느 엘리베이터(2)가 마련된 지역에 있어서 지진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해당 지역에 마련된 엘리베이터(2)의 일부 또는 전부의 지진 감지기(8)는, 지진에 의한 지진파를 감지한다. 지진 감지기(8)가 지진파를 감지한 엘리베이터(2)는, 관제 운전 또는 운전 휴지 등의 지진동에 대한 응답을 행한다. 이때, 해당 엘리베이터(2)의 원격 감시 장치(11)는, 지진동에 대한 응답을 나타내는 응답 정보를 대응 관리 장치(15)에 송신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an earthquake occurs, seismic motion may occur in an area where an elevator 2 is installed. At this time, the earthquake detectors 8 of some or all of the elevators 2 provided in the area detect seismic waves caused by the earthquake. The elevator 2, for which the seismic sensor 8 detects seismic waves, responds to the seismic motion, such as during controlled operation or suspension of operation. At this time,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11 of the elevator 2 transmits response information indicating a response to the ground motion to the response management device 15.

또한, 지진이 발생할 때에, 외부 서비스(19)는 해당 지진의 지진 정보를 전달한다. 대응 관리 장치(15)의 지진 정보 접수부(20)는, 전달된 지진 정보를 취득한다. Additionally, when an earthquake occurs, the external service 19 delivers seismic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earthquake. The earthquak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0 of the response management device 15 acquires the delivered earthquake information.

여기서, 발생한 지진의 규모가 클 때에, 광범위에 걸친 다수의 엘리베이터(2)가 동시기에 지진동에 대한 응답을 개시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다수의 원격 감시 장치(11)로부터의 지진동에 대한 응답을 나타내는 응답 정보의 통신이 단시간에 집중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원격 감시 장치(11)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정보는, 대응 관리 장치(15)에 도달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응답 정보의 송신에 실패한 원격 감시 장치(11)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등에, 응답 정보의 재송신을 행한다. 그렇지만, 통신의 집중이 여전히 해소되고 있지 않을 경우 등에, 재송신된 응답 정보도 대응 관리 장치(15)에 도달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지진동에 의해서, 엘리베이터(2) 근방에 마련된 통신 설비 등에 장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원격 감시 장치(11)로부터의 응답 정보의 송신이 실패할 가능성이 있다. Here, when the magnitude of an earthquake that occurs is large, a large number of elevators 2 over a wide area may start responding to the ground motion at the same time. At this time, there are cases where communication of response information indicating responses to ground motion from multiple remote monitoring devices 11 is concentrated in a short period of time. In this case, the respons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11 may not reach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11 that fails to transmit the response information retransmits the response information, such as after a preset time has elapsed. However, in cases where the concentration of communication has not yet been resolv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retransmitted response information may not reach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In addition, there are cases where disturbance occurs in communication facilitie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elevator 2 due to earthquake motion. At this tim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ransmission of response information from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11 may fail.

이와 같은 경우에, 대응 관리 장치(15)는 지진동에 대한 응답을 행한 엘리베이터(2)로부터의 응답 정보를 다 수집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대응 관리 장치(15)는, 외부 서비스(19)로부터 취득한 지진 정보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지진 후 대응의 관리를 행한다. In such a ca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response management device 15 cannot collect all the response information from the elevator 2 that responded to the ground motion. For this reason, the response management device 15 uses the earthquake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external service 19 to manage post-earthquake response as follows, for example.

스텝 S101에 있어서, 응답 정보 접수부(21)는 어느 엘리베이터(2)로부터 응답 정보를 접수했는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에, 대응 관리 장치(15)의 처리는, 스텝 S102로 진행한다.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에, 대응 관리 장치(15)의 처리는, 스텝 S106으로 진행한다. In step S101,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1 determines from which elevator 2 the response information has been received.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Yes, the processing of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proceeds to step S102.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No, the processing of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proceeds to step S106.

스텝 S102에 있어서, 리스트 관리부(25)는, 응답 정보 접수부(21)가 접수한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응답 정보를 송신한 엘리베이터(2)를 특정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특정한 엘리베이터(2)를 관리 대상 리스트에 확정적으로 등록한다. 이때, 리스트 관리부(25)는, 해당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엘리베이터(2)의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해당 엘리베이터(2)에 대응지어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한다. 여기서, 엘리베이터(2)에 대응지어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되는 정보는, 예를 들면 해당 엘리베이터(2)가 통상 운전중인지 여부, 진단 운전중인지 여부, 운전 휴지중인지 여부, 또는 복구 완료인지 여부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되는 정보는, 복구 완료된 엘리베이터(2)에 대해서, 보수원에 의한 현장 확인 유무의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그 후, 대응 관리 장치(15)의 처리는, 스텝 S103으로 진행한다. In step S102, the list management unit 25 specifies the elevator 2 that transmitted the response information based on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1. The list management unit 25 definitively registers the specific elevator 2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At this time, the list management unit 25 registers information indicating the status of the elevator 2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in association with the elevator 2, based on the response information. Here, the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in association with the elevator 2 is, for example, information such as whether the elevator 2 is in normal operation, in diagnostic operation, in operation suspension, or in recovery. Includes. The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on-site confirmation by a maintenance worker regarding the restored elevator 2. After that, the processing of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proceeds to step S103.

스텝 S103에 있어서, 작업 판정부(22)는, 작업 관리 장치(14)를 참조하여,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엘리베이터(2)에 대한 보수 작업이 있는지를 판정한다. 작업 판정부(22)는, 예를 들면, 응답 정보가 접수된 시각이 해당 엘리베이터(2)에 보수 작업이 예정되어 있는 시간에 포함되는 경우에, 해당 엘리베이터(2)에 대한 보수 작업이 있다고 판정한다. 혹은, 작업 판정부(22)는, 예를 들면, 응답 정보가 접수되었을 때에 해당 엘리베이터(2)에 있어서 보수 작업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 해당 엘리베이터(2)에 대한 보수 작업이 있다고 판정한다. 작업 판정부(22)는, 예를 들면, 응답 정보가 접수된 시각이 해당 엘리베이터(2)에 보수 작업이 예정되어 있는 시간에 포함되지 않고, 또한, 해당 시각에 있어서 해당 엘리베이터(2)에서 보수 작업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 해당 엘리베이터(2)에 대한 보수 작업이 없다고 판정한다. 보수 작업이 있는지의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에, 대응 관리 장치(15)의 처리는, 스텝 S105로 진행한다.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에, 대응 관리 장치(15)의 처리는, 스텝 S104로 진행한다. In step S103, the work determination unit 22 refers to the work management device 14 and determines whether there is maintenance work for the specified elevator 2 based on the respons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work determination unit 22 determines that there is maintenance work for the elevator 2 when the time at which the response information is received is included in the time when maintenance work is scheduled for the elevator 2. do. Alternatively, the work determination unit 22 determines that there is maintenance work on the elevator 2, for example, if maintenance work is being performed on the elevator 2 when the response information is received. For example, the work determination unit 22 determines that the time at which the response information is received is not included in the time at which maintenance work is scheduled for the elevator 2, and that the repair work is not performed on the elevator 2 at that time. If no work is being don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maintenance work for the elevator 2 in question. If the determination result of whether there is maintenance work is Yes, the processing of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proceeds to step S105.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No, the processing of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proceeds to step S104.

스텝 S104에 있어서, 지진 정보 접수부(20)는,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엘리베이터(2)가 마련된 지역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크기보다 큰 지진동이 발생하고 있었는지를 판정한다. 지진 정보 접수부(20)는, 예를 들면, 기준 기억부(26)에 기억된 해당 엘리베이터(2)의 기준값보다 큰 지진동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지진 정보를 외부 서비스(19)로부터 접수하고 있는지에 의해서, 지진동의 유무를 판정한다. 지진 정보 접수부(20)는, 예를 들면, 응답 정보가 접수된 시각을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 있어서, 해당 지진 정보의 유무를 판정해도 된다. 지진동이 발생하고 있었는지의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에, 대응 관리 장치(15)의 처리는, 스텝 S105로 진행한다.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에, 대응 관리 장치(15)의 처리는, 스텝 S106으로 진행한다. In step S104, the earthquak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0 determines whether an earthquake larger than a preset magnitude has occurred in the area where the elevator 2 specified based on the response information is installed. For example, the earthquak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0 receives from the external service 19 earthquak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earthquake motion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of the elevator 2 stored in the reference storage unit 26 has occurred.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earthquake motion. For example, the earthquak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0 may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orresponding earthquake information within a preset time range including the time at which the response information was received.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whether ground shaking has occurred is No, the processing of the response management device 15 proceeds to step S105.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Yes, the processing of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proceeds to step S106.

스텝 S105에 있어서, 리스트 관리부(25)는 응답 정보 접수부(21)가 접수한 응답 정보를 오보고라고 판정한다. 예를 들어, 리스트 관리부(25)는,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엘리베이터(2)에 대한 보수 작업이 있는 경우에, 보수 작업중인 보수원이 지진 감지기(8)에 잘못해서 접촉하는 것 등에 의한 오보고라고 해당 응답 정보를 판정한다. 혹은, 리스트 관리부(25)는, 해당 엘리베이터(2)가 마련된 지역에 대해서 지진동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지진 감지기(8) 혹은 그 외의 기기의 오작동, 또는 엘리베이터(2) 근방의 작업에 수반하는 진동 등에 의한 오보고라고 해당 응답 정보를 판정한다. 이때, 리스트 관리부(25)는 해당 엘리베이터(2)의 관리 대상 리스트에의 등록을 해제한다. 그 후, 대응 관리 장치(15)의 처리는, 스텝 S106으로 진행한다. In step S105, the list management unit 25 determines that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1 is a false report. For example, when there is maintenance work on the elevator 2 specified based on the response information, the list management unit 25 may prevent maintenance work due to, for example, a maintenance worker performing the repair work accidentally contacting the earthquake detector 8. The response information is determined to be a false report. Alternatively, the list management unit 25 may detect a malfunction of the earthquake detector 8 or other equipment, or work in the vicinity of the elevator 2, when no seismic motion is occurring in the area where the elevator 2 is installed. The response information is determined to be a misreport due to vibration, etc. At this time, the list management unit 25 deregisters the elevator 2 from the management target list. After that, the processing of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proceeds to step S106.

스텝 S106에 있어서, 지진 정보 접수부(20)는 외부 서비스(19)로부터 지진 정보를 접수했는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에, 대응 관리 장치(15)의 처리는, 스텝 S101로 진행한다.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에, 대응 관리 장치(15)의 처리는, 스텝 S107로 진행한다. In step S106, the earthquak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0 determines whether earthquake information has been received from the external service 19.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No, the processing of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proceeds to step S101.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Yes, the processing of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proceeds to step S107.

스텝 S107에 있어서, 리스트 관리부(25)는, 기준 기억부(26)가 기억하고 있는 지진동의 기준값을 참조하여, 접수된 지진 정보에 기초하여, 어느 엘리베이터(2)에 대해서 기준값을 초과하는 크기의 지진동이 발생한 지역이 있는지를 판정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발생한 지진동의 크기가 기준값을 초과한 엘리베이터(2) 각각을, 관리 대상 리스트에 잠정적으로 등록한다. 그 후, 대응 관리 장치(15)의 처리는, 스텝 S108로 진행한다. In step S107, the list management unit 25 refers to the standard value of the earthquake motion stored in the standard storage unit 26 and, based on the received earthquake information, sets a size exceeding the standard value for a certain elevator 2.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rea where earthquake motion occurred. The list management unit 25 provisionally registers each of the elevators 2 in which the magnitude of the generated ground motion exceeds the standard value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After that, the processing of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proceeds to step S108.

스텝 S108에 있어서, 문의부(29)는 지진 정보 접수부(20)가 지진 정보를 접수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문의부(29)가 이미 1회 이상의 문의를 행하고 있는 경우에, 문의부(29)는 전회의 문의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판정해도 된다.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에, 대응 관리 장치(15)의 처리는, 다시 스텝 S108로 진행한다.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에, 대응 관리 장치(15)의 처리는, 스텝 S109로 진행한다. In step S108, the inquiry unit 29 determines whether a preset time has elapsed since the earthquak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0 received the earthquake information. Here, when the inquiry unit 29 has already made one or more inquiries, the inquiry unit 29 may determine whether a preset time has elapsed since the previous inquiry.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No, the processing of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proceeds again to step S108.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Yes, the processing of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proceeds to step S109.

스텝 S109에 있어서, 문의부(29)는, 관리 대상 리스트에 잠정적으로 등록된 엘리베이터(2) 각각에 대해서, 운전 상태를 문의한다. 그 후, 대응 관리 장치(15)의 처리는, 스텝 S110으로 진행한다. In step S109, the inquiry unit 29 inquires about the operation status of each elevator 2 provisionally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After that, the processing of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proceeds to step S110.

스텝 S110에 있어서, 문의부(29)는, 문의의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해당 신호를 접수한 원격 감시 장치(11)로부터 엘리베이터(2)의 운전 상태의 정보를 수신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관리 대상 리스트를 갱신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문의부(29)의 문의에 의해서 지진동에 대한 응답을 행하고 있는 것이 판명된 엘리베이터(2)에 대해서, 관리 대상 리스트에의 잠정적인 등록을 확정적인 등록으로 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문의부(29)의 문의에 의해서 통상 운전을 행하고 있는 것이 판명된 엘리베이터(2)에 대해서, 관리 대상 리스트에의 잠정적인 등록을 해제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문의부(29)의 문의에 의해서는 상태가 판명되지 않았던 엘리베이터(2)에 대해서, 관리 대상 리스트에의 잠정적인 등록을 유지한다. 그 후, 대응 관리 장치(15)의 처리는, 스텝 S108로 진행한다. In step S110, the inquiry unit 29 receives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vator 2 from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11 that has received the signal as a response to the inquiry signal. The list management unit 25 updates the management target list as follows, for example. The list management unit 25 converts the provisional registration of the elevator 2, which has been found to be responding to earthquake motions through an inquiry by the inquiry unit 29, into a definitive registration into the management target list. The list management unit 25 cancels provisional registration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for the elevator 2 that is found to be in normal operation through an inquiry by the inquiry unit 29. The list management unit 25 maintains provisional registration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for the elevator 2 whose status has not been determined through inquiries from the inquiry unit 29. After that, the processing of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proceeds to step S108.

이와 같이 등록이 행해진 관리 대상 리스트를 이용하여, 보수원은 각각의 엘리베이터(2)에 대한 지진 후 대응을 행한다. 보수원은, 소지하고 있는 보수 단말(18)을 통해서, 관리 대상 리스트의 표시 요구를 대응 관리 장치(15)에 송신한다. 제시부(28)는, 보수 단말(18)로부터 송신된 표시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서, 리스트 관리부(25)가 관리하는 관리 대상 리스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해당 보수 단말(18)에 송신한다. 보수 단말(18)은, 제시부(28)로부터 송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관리 대상 리스트의 정보를 표시한다. Using the management target list registered in this way, the maintenance person performs post-earthquake response to each elevator 2. The maintenance worker transmits a request to display the management target list to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through the maintenance terminal 18 that he or she possesses. In response to the display request sent from the reward terminal 18, the presentation unit 28 transmits information indicating the management target list managed by the list management unit 25 to the reward terminal 18. The maintenance terminal 18 displays information on the management target list based o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resentation unit 28.

도 4에 있어서, 보수 단말(18)에 있어서의 관리 대상 리스트의 정보의 표시의 예가 나타내진다. In Fig. 4, an example of display of information on the management target list in the maintenance terminal 18 is shown.

이 예에 있어서, 보수 단말(18)은 카드 표시에 의해서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된 각각의 엘리베이터(2)를 표시한다. 각각의 카드는, 어느 엘리베이터(2)에 대응한다. 각각의 카드에 있어서, 대응하는 엘리베이터(2)가 마련된 건물 등의 정보가 상측에 표시된다. 카드의 상측에 표시되는 정보는, 예를 들면 건물의 명칭, 또는 건물 번호 등이다. 각각의 카드에 있어서, 대응하는 엘리베이터(2)의 정보가 하측에 표시된다. 카드의 하측에 표시되는 정보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2)의 호기 번호 등을 포함한다. 또한, 카드의 하측에 표시되는 정보는, 지진 후 대응의 상황 등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2)의 상태의 정보를 포함한다. In this example, the maintenance terminal 18 displays each elevator 2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by card display. Each card corresponds to a certain elevator 2. In each card, information such as the building where the corresponding elevator 2 is provided is displayed on the upper sid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top of the card is, for example, the name of the building or the building number. For each card,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elevator 2 is displayed at the bottom.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rd includes, for example, the number of the elevator 2, etc. Additionally,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rd includes information on the status of the elevator 2, including the situation of response after an earthquake.

제시부(28)는 확정적으로 등록된 엘리베이터(2) 및 잠정적으로 등록된 엘리베이터(2) 양방의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대상 리스트를 보수 단말(18)에 송신한다. 보수 단말(18)은 관리 대상 리스트에 확정적으로 등록된 엘리베이터(2) 및 잠정적으로 등록된 엘리베이터(2) 양방에 대해 카드의 표시 등을 행한다. 이때, 보수 단말(18)은, 예를 들면 「등록(잠정)」 등의 정보를, 잠정적으로 등록된 엘리베이터(2)의 상태로서 해당 엘리베이터(2)에 대응하는 카드에 표시한다. The presentation unit 28 transmits to the maintenance terminal 18 a management target list containing information on both the definitively registered elevator 2 and the provisionally registered elevator 2. The maintenance terminal 18 displays cards for both the elevator 2 definitively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and the elevator 2 provisionally registered. At this time, the maintenance terminal 18 displays information such as “registration (provisional)” on the card corresponding to the elevator 2 as the status of the elevator 2 that has been provisionally registered.

여기서, 엘리베이터(2)가 지진동 등에 의해서 운전 휴지할 때에, 엘리베이터 칸(6)은 건물의 층상 사이에 정지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해당 엘리베이터(2)의 원격 감시 장치(11)는, 갇힘이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하여 보고를 행한다. 해당 보고는 응답 정보와 함께 대응 관리 장치(15)에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해당 보고는 층상 사이에 정지한 엘리베이터 칸(6) 내의 승객의 유무를 확인하지 않고 송신되어도 된다. 이때, 리스트 관리부(25)는, 엘리베이터(2)로부터의 해당 보고에 기초하여, 승객의 유무가 불명한 갇힘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해당 엘리베이터(2)에 대응지어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한다. Here, when the elevator 2 is out of operation due to earthquake motion or the like, the elevator car 6 may stop between floors of the building. At this time,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11 of the elevator 2 report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entrapment has occurred. The report may be transmitted to the response management device 15 together with response information. Additionally, the report may be transmitted without confirm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ssengers in the elevator car 6 stopped between floors. At this time, based on the report from the elevator 2, the list management unit 25 register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trap in which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ssengers is unknown has occur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in association with the elevator 2. do.

또한, 엘리베이터(2)가 지진동 등에 의해서 운전 휴지할 때에, 엘리베이터 칸(6)에 승차하고 있던 승객이 갇히는 경우가 있다. 이때, 승객은, 엘리베이터 칸(6)에 마련된 통화 장치(10)를 통한 음성 통화에 의해서, 갇힘의 통보를 행한다. 해당 통보는 예를 들면 정보 센터(16)에 있어서 오퍼레이터에 의해서 접수된다. 통보를 접수한 오퍼레이터는, 승객이 있는 것이 확인된 갇힘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중앙 관리 장치(13)에 입력한다. 중앙 관리 장치(13)는 입력된 정보를 대응 관리 장치(15)에 출력함으로써 공유한다. 관리 정보 접수부(24)는 중앙 관리 장치(13)와 공유하는 정보를 접수한다. 이때, 리스트 관리부(25)는, 관리 정보 접수부(24)가 접수한 정보에 기초하여, 승객이 있는 것이 확인된 갇힘이 엘리베이터(2)에 발생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해당 엘리베이터(2)에 대응지어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한다. Additionally, when the elevator 2 is stopped due to earthquake motion or the like, passengers riding in the elevator car 6 may become trapped. At this time, the passenger notifies of being trapped through a voice call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10 provided in the elevator car 6. The notification is received by an operator, for example in the information center 16. The operator who has received the notification input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trap in which a passenger has been confirmed is occurring into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shares the input information by outputting it to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The management information reception unit 24 receives information shared with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At this time, the list management unit 25,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management information reception unit 24, send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jam in which a passenger is confirmed to be occurring in the elevator 2 to the elevator 2. Register the corresponding wor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제시부(28)는, 표시 요구를 송신한 보수 단말(18)에, 엘리베이터(2)에 대응지어 등록된 해당 엘리베이터(2)의 상황의 정보를 포함하여 관리 대상 리스트의 정보를 송신한다. 보수 단말(18)은, 제시부(28)로부터 송신된 정보에 따라서, 엘리베이터(2)의 상태의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보수 단말(18)은, 갇힘이 발생하고 있는 엘리베이터(2)의 카드에 있어서, 예를 들면 「갇힘(승객 불명)」 및 「갇힘(승객 있음)」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보수 단말(18)은, 운전 휴지중인 엘리베이터(2)의 카드에 있어서, 「운전 휴지」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보수 단말(18)은, 진단 운전중인 엘리베이터(2)의 카드에 있어서, 「진단 운전」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보수 단말(18)은, 통상 운전중인 엘리베이터(2)의 카드에 있어서, 「통상 운전」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보수 단말(18)은 진단 운전 결과에 기초하여 운전을 자동 복구했지만, 보수원에 의한 현장 확인이 완료되어 있지 않은 엘리베이터(2)의 카드에 있어서, 「가복구」 등의 정보를 표시해도 된다. The presentation unit 28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management target list,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status of the elevator 2 registered in association with the elevator 2, to the maintenance terminal 18 that transmitted the display request. The maintenance terminal 18 displays information on the status of the elevator 2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resentation unit 28. For example, the maintenance terminal 18 displays information such as “trapped (unknown passenger)” and “trapped (passenger present)” on the card of the elevator 2 in which the jamming is occurring. Additionally, the maintenance terminal 18 displays information such as “operation suspended” on the card of the elevator 2 that is in operation suspension. Additionally, the maintenance terminal 18 displays information such as “diagnostic operation” on the card of the elevator 2 in diagnostic operation. Additionally, the maintenance terminal 18 displays information such as “normal operation” on the card of the elevator 2 in normal operation. In addition, the maintenance terminal 18 automatically restored the operation based on the diagnostic operation results, but even if information such as “temporary restoration” is displayed on the card of the elevator 2 for which on-site confirmation by the maintenance worker has not been completed, do.

이 예에 있어서, 리스트 관리부(25)는,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된 엘리베이터(2) 각각에 대해서, 지진 후 대응의 우선도의 정보를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한다. 우선도는, 예를 들면, 각각의 엘리베이터(2)의 상태에 따라 설정된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2)에 있어서 승객의 갇힘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 등에, 해당 엘리베이터(2)에 높은 우선도가 설정된다. 우선도는, 예를 들면, 관리 시스템(12)에 있어서 미리 등록된, 각각의 엘리베이터(2) 또는 해당 엘리베이터(2)가 마련되는 건물의 속성 등에 기초하여 설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2)가 마련되는 건물이 병원 등의 공익 시설인 경우에, 해당 엘리베이터(2)의 우선도에 미리 설정된 값이 가산된다. In this example, the list management unit 25 registers information on the priority of post-earthquake response for each elevator 2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The priority is set according to the state of each elevator 2, for example. For example, when a passenger is trapped in the elevator 2, a high priority is set to the elevator 2. For example, the priority may be set based on the properties of each elevator 2 or the building in which the elevator 2 is provided, which are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management system 12. For example, when the building where the elevator 2 is installed is a public facility such as a hospital, a preset value is added to the priority of the elevator 2.

제시부(28)는, 표시 요구를 송신한 보수 단말(18)에, 우선도의 정보를 포함하여 관리 대상 리스트의 정보를 송신한다. 보수 단말(18)은, 각각의 엘리베이터(2)의 우선도에 따라서, 해당 엘리베이터(2)에 대응하는 카드의 색, 또는 테두리 등의 강조 표시의 유무를 전환한다. 이것에 의해, 보수원은 대응의 우선도가 높은 엘리베이터(2)를 파악하기 쉽게 된다. 보수 단말(18)은 각각의 엘리베이터(2)의 카드를 우선도에 따라 재정열하여 표시해도 된다. The presentation unit 28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management target list, including priority information, to the maintenance terminal 18 that transmitted the display request. The maintenance terminal 18 switches the color of the card corresponding to the elevator 2 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highlighting, such as a border,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each elevator 2. This makes it easier for maintenance personnel to identify the elevator 2 with a high response priority. The maintenance terminal 18 may rearrange and display the cards of each elevator 2 according to priority.

또한, 엘리베이터(2)마다의 개별 사정 등에 의해서, 응답 정보를 보고하고 있지 않는 엘리베이터(2)에 대해서도, 지진 후 대응의 관리가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보수원은,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엘리베이터(2)를, 지진 후 대응의 관리가 필요한 엘리베이터(2)로서 지정해도 된다. 보수원은, 예를 들면, 보수 단말(18)을 통해서 해당 엘리베이터(2)를 지정하는 조작을 행한다. 보수 단말(18)은 보수원에 의한 조작을 대응 관리 장치(15)에 송신한다. 조작 정보 접수부(23)는 보수원에 의한 조작을 접수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조작 정보 접수부(23)가 지정을 접수한 엘리베이터(2)를, 관리 대상 리스트에 잠정적으로 등록한다. Additionally, depending on the individual circumstances of each elevator 2, post-earthquake response management may be necessary even for the elevators 2 that do not report response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maintenance worker may designate the elevator 2 that is not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as the elevator 2 that requires post-earthquake response management. The maintenance worker performs an operation to designate the relevant elevator 2 through the maintenance terminal 18, for example. The maintenance terminal 18 transmits the operation by the maintenance worker to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ption unit 23 receives operations by maintenance personnel. The list management unit 25 temporarily registers the elevator 2 for which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ption unit 23 has received the designation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또한, 엘리베이터(2)가 홈 엘리베이터인 경우 등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6)의 내부에 통화 장치(10)로서 전화기가 마련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관리 시스템(12)에 있어서, 해당 통화 장치(10)에 대한 연락처가 등록되어 있다. 통화 장치(10)에 대한 연락처는, 예를 들면 해당 통화 장치(10)에 접속하는 회선의 전화 번호 등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제시부(28)는 통화 장치(10)에 대한 연락처를 관리 대상 리스트의 정보와 함께 보수 단말(18)에 송신한다. 보수 단말(18)은, 해당 엘리베이터(2)에 대응하는 카드의 하측에 있어서, 해당 통화 장치(10)에 대한 연락처를 표시한다. 혹은, 해당 카드에 있어서, 연락처가 표시되는 화면으로 천이하기 위한 링크 등이 표시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보수원은 해당 엘리베이터(2)의 엘리베이터 칸(6) 내로의 연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보수원은 갇힘이 발생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엘리베이터 칸(6) 내로의 연락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Additionally, in cases where the elevator 2 is a home elevator, etc., a telephone may be provided as a communication device 10 inside the elevator car 6. At this time, in the management system 12, the contact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device 10 is registered. Contact information for the call device 10 includes, for example, the telephone number of the line connected to the call device 10. In this case, the presentation unit 28 transmits the contact information for the call device 10 to the maintenance terminal 18 along with information on the management target list. The maintenance terminal 18 displays contact information for the call device 10 on the lower side of the card corresponding to the elevator 2. Alternatively, a link for transitioning to a screen where contact information is displayed may be displayed on the card. This allows maintenance personnel to easily make contact within the elevator car 6 of the elevator 2. For this reason, maintenance personnel can efficiently make contact within the elevator car 6 to confirm whether entrapment has occurred.

보수원은, 보수 단말(18)의 표시에 의해서,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된 엘리베이터(2) 각각의 상황을 파악한다. 이것에 의해, 보수원은, 자신의 위치, 그리고 각각의 엘리베이터(2)의 위치 및 상황 등의 정보에 의해서, 자신이 현장으로 향해야 할 엘리베이터(2)를 자발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근에 복수의 보수원이 있는 경우에, 복수의 보수원은, 서로 연락을 취하여 각각이 현장으로 향해야 할 엘리베이터(2)를 조정해도 된다. The maintenance worker determines the status of each elevator 2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based on the display on the maintenance terminal 18. This allows the maintenance worker to voluntarily determine which elevator 2 he should head to the site based on information such as his own position and the position and situation of each elevator 2. Additionally,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maintenance workers nearby, the plurality of maintenance workers may contact each other and adjust which elevator 2 each should head to the site.

보수원은, 각각의 엘리베이터(2)의 현장에 도착한 후에, 해당 엘리베이터(2)의 상황에 따라 지진 후 대응을 행한다. 지진 후 대응은, 엘리베이터(2)의 현상의 확인을 포함한다. 지진 후 대응은, 예를 들면, 갇힘이 발생한 엘리베이터(2)에 있어서의 승객의 구출 등을 포함한다. 지진 후 대응은, 예를 들면, 운전 휴지하고 있는 엘리베이터(2)의 복구 등을 포함한다. 지진 후 대응은, 예를 들면, 자동 복구된 엘리베이터(2)의 현장 확인 등을 포함한다. 지진 후 대응은, 예를 들면, 고객인 엘리베이터(2)의 관리자 등으로부터의 문의 혹은 독촉 등에 대한 대응, 또는 관리자 등으로의 보수 작업의 보고 등의 고객 대응 등을 포함한다. After arriving at the site of each elevator 2, the maintenance crew responds after the earthquake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elevator 2 in question. Post-earthquake response includes confirmation of the condition of the elevator 2. Post-earthquake response includes, for example, rescuing passengers in a trapped elevator 2, etc. Response after an earthquake includes, for example, restoration of an elevator 2 that is out of operation. Post-earthquake response includes, for example, on-site verification of automatically restored elevators (2). Post-earthquake response includes, for example, responding to inquiries or reminders from the manager of the elevator 2, who is a customer, or responding to customers, such as reporting maintenance work to the manager, etc.

보수원은, 보수 단말(18)을 통해서, 엘리베이터(2)에 대해서 행한 대응의 내용을 경과 정보로서 입력하는 조작을 행한다. 이 예에 있어서, 경과 정보는 엘리베이터(2)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2)를 특정하는 정보는, 예를 들면 보수원에 의해서 입력된다. 혹은, 엘리베이터(2)를 특정하는 정보는, 보수 단말(18)의 위치 정보 등에 기초하여 경과 정보에 자동적으로 부가되어도 된다. 보수 단말(18)은 보수원에 의한 조작을 대응 관리 장치(15)에 송신한다. 조작 정보 접수부(23)는 보수원에 의한 조작을 접수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입력 조작이 접수된 경과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경과 정보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2)를 특정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해당 경과 정보를, 해당 엘리베이터(2)에 대응지어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한다. 여기서, 경과 정보는, 예를 들면 갇힘의 정보, 혹은 고객 대응의 정보, 또는 물적 손해 정보 등을 포함한다. 물적 손해 정보는 예를 들면 물적 손해의 유무, 물적 손해의 대상 물품, 대상 물품의 준비 상황, 및 물적 손해에 대한 대응이 완료되었는지 여부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The maintenance worker performs an operation to input the contents of the response to the elevator 2 as progress information through the maintenance terminal 18. In this example, the progress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specifying the elevator 2. Information specifying the elevator 2 is input by, for example, a maintenance worker. Alternatively, the information specifying the elevator 2 may be automatically added to the progress information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aintenance terminal 18, etc. The maintenance terminal 18 transmits the operation by the maintenance worker to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ption unit 23 receives operations by maintenance personnel. Based on the progress information for which an input operation has been received, the list management unit 25 specifies the elevator 2 corresponding to the progress information. The list management unit 25 registers the progress information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in association with the elevator 2 in question. Here, the progress information includes, for example, trapping information, customer response information, or material damage information. The material damage information includes, for example, information such as the presence or absence of material damage, the object of material damage, the preparation status of the object, and whether response to the material damage has been completed.

리스트 관리부(25)는, 보수원으로부터 보수 단말(18)을 통해서 경과 정보가 입력된 엘리베이터(2)에 대해서, 관리 대상 리스트에의 잠정적인 등록을 확정적인 등록으로 한다. 또한, 보수원은, 관리 대상 리스트에 잠정적으로 등록된 엘리베이터(2)가 통상 운전을 행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 등에, 보수 단말(18)을 통해서 해당 엘리베이터(2)의 잠정적인 등록을 해제하는 조작을 행해도 된다. 이때, 리스트 관리부(25)는, 해당 엘리베이터(2)에 대해서, 관리 대상 리스트에의 잠정적인 등록을 해제한다. The list management unit 25 converts provisional registration into definitive registration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for the elevator 2 for which progress information has been input from the maintenance person through the maintenance terminal 18. In addition, when the maintenance worker confirms that the elevator 2 provisionally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is operating normally, the maintenance worker performs an operation to cancel the provisional registration of the elevator 2 through the maintenance terminal 18. You can do it. At this time, the list management unit 25 cancels the provisional registration of the elevator 2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도 5에 있어서, 경과 정보가 입력될 때의 보수 단말(18)의 표시의 예가 나타내진다. In Fig. 5, an example of the display on the maintenance terminal 18 when progress information is input is shown.

도 5에 있어서, 경과 정보로서, 갇힘의 정보가 입력된다. In Fig. 5, information about the trapping is input as progress information.

보수원은 갇힘이 발생한 엘리베이터(2)의 현장에 대한 도착 시각을 입력한다. 또한, 보수원은, 해당 엘리베이터(2)에 있어서 승객의 구출을 행한 후에, 구출 시각, 구출 인원수, 구출 구분, 구출 방법, 및 구출된 승객 용태의 정보 등을 입력한다. 여기서 입력된 정보는, 갇힘의 정보를 나타내는 경과 정보로서, 보수 단말(18)을 통해서 대응 관리 장치(15)에 송신된다. The maintenance worker inputs the arrival time at the scene of the stuck elevator (2). Additionally, after rescuing a passenger in the elevator 2, the maintenance worker inputs information such as rescue time, number of people to be rescued, rescue category, rescue method, and the condition of the rescued passenger. The information input here is progress information indicating trapping information, and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through the maintenance terminal 18.

보수원은, 엘리베이터(2)에 있어서 지진 후 대응이 완료되었을 때에, 예를 들면 원격 감시 장치(11)를 통해서, 엘리베이터(2)의 복구를 나타내는 복구 정보를 대응 관리 장치(15)에 송신한다. 이 예에 있어서, 복구 정보는 엘리베이터(2)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When the post-earthquake response to the elevator 2 is completed, the maintenance worker transmits recovery information indicating restoration of the elevator 2 to the response management device 15, for example, through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11. . In this example, the recovery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specifying the elevator 2.

대응 관리 장치(15)에 있어서, 응답 정보 접수부(21)가, 복구 정보를 접수한다. 응답 정보 접수부(21)가 복구 정보를 접수할 때에, 리스트 관리부(25)는, 해당 복구 정보에 의해서 특정되는 엘리베이터(2)에 대해서, 관리 대상 리스트에 있어서의 지진 후 대응을 완료로서 처리한다. 엘리베이터(2)에 대해서 지진 후 대응이 완료되기 때까지의 경과는, 복수의 경과 정보 등으로 하여 해당 엘리베이터(2)에 대응지어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된다.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된 경과는, 예를 들면 보수 단말(18)로부터 표시 요구를 대응 관리 장치(15)에 송신함으로써, 해당 보수 단말(18)에 있어서 확인할 수 있다. 보수 단말(18)로부터 송신되는 표시 요구에 대한 응답은, 관리 대상 리스트 자체의 정보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제시부(28)로부터 해당 보수 단말(18)에 송신된다. In the response management device 15,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1 receives recovery information. When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1 receives recovery information, the list management unit 25 processes the post-earthquake response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as complete for the elevator 2 specified by the recovery information. The elapsed time until the post-earthquake response for the elevator 2 is completed is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in association with the elevator 2 as a plurality of progress information, etc. The progress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can be confirmed at the maintenance terminal 18, for example, by transmitting a display request from the maintenance terminal 18 to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The response to the display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reward terminal 18 is transmitted from the presentation unit 28 to the reward terminal 18, for example, like information on the management target list itself.

도 6에 있어서, 관리 시스템(12)에 있어서의 복구 정보의 처리의 예가 나타내진다. In Fig. 6, an example of processing of recovery information in the management system 12 is shown.

스텝 S201에 있어서, 응답 정보 접수부(21)는 어느 엘리베이터(2)로부터 복구 정보를 접수했는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에, 대응 관리 장치(15)의 처리는, 다시 스텝 S201로 진행한다.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에, 대응 관리 장치(15)의 처리는, 스텝 S202로 진행한다. In step S201,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1 determines from which elevator 2 the recovery information has been received.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No, the processing of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proceeds again to step S201.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Yes, the processing of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proceeds to step S202.

스텝 S202에 있어서, 리스트 관리부(25)는, 응답 정보 접수부(21)가 접수한 복구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복구 정보를 송신한 엘리베이터(2)를 특정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특정한 엘리베이터(2)가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에, 대응 관리 장치(15)의 처리는, 스텝 S203으로 진행한다.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에, 대응 관리 장치(15)의 처리는, 스텝 S204로 진행한다. In step S202, the list management unit 25 specifies the elevator 2 that transmitted the recovery information based on the recovery information received by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1. The list management unit 25 determines whether a specific elevator 2 is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No, the processing of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proceeds to step S203.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Yes, the processing of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proceeds to step S204.

스텝 S203에 있어서, 리스트 관리부(25)는, 응답 정보 접수부(21)가 접수한 복구 정보를, 테스트 보고 또는 불요(不要) 보고라고 판정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테스트 보고 또는 불요 보고라고 판정한 복구 정보를, 관리 대상 리스트의 외부에 기억한다. 그 후, 관리 시스템(12)에 있어서의 복구 정보의 처리는, 종료된다. In step S203, the list management unit 25 determines that the recovery information received by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1 is a test report or an unnecessary report. The list management unit 25 stores recovery information determined to be a test report or an unnecessary report outside of the management target list. After that, the processing of recovery information in the management system 12 ends.

여기서, 예를 들어 여진에 의한 지진동 등에 의해서, 한 번 복구가 완료된 엘리베이터(2)로부터 지진동에 대한 응답 정보가 다시 송신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동일한 엘리베이터(2)의 대상 관리 리스트에의 등록이 복수 회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리스트 관리부(25)는, 복구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엘리베이터(2)에 대해서, 대상 관리 리스트에의 등록이 복수 회 행해지고 있을 때에, 해당 복구 정보에 대한 이하의 처리를, 해당 엘리베이터(2)에 대한 최신 등록에 대해서 행한다. Here, for example, there are cases where response information to the ground motion is transmitted again from the elevator 2 that has once been restored due to ground motion caused by an aftershock. In such cases, registration of the same elevator 2 in the target management list may be performed multiple times. When the elevator 2 specified based on recovery information has been registered in the target management list multiple times, the list management unit 25 performs the following processing on the recovery information on the elevator 2. This is done for the latest registration.

스텝 S204에 있어서, 리스트 관리부(25)는, 복구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엘리베이터(2)에 대해서, 물적 손해 정보가 대상 관리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에, 대응 관리 장치(15)의 처리는, 스텝 S205로 진행한다.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에, 대응 관리 장치(15)의 처리는, 스텝 S206으로 진행한다. In step S204, the list management unit 25 determines whether material damage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the target management list for the elevator 2 specified based on the restoration information.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Yes, the processing of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proceeds to step S205.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No, the processing of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proceeds to step S206.

스텝 S205에 있어서, 리스트 관리부(25)는, 복구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엘리베이터(2)에 대해서, 물적 손해 정보에 기초하여, 물적 손해에 대한 대응이 완료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에, 대응 관리 장치(15)의 처리는, 스텝 S206으로 진행한다.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에, 대응 관리 장치(15)의 처리는, 스텝 S208로 진행한다. In step S205, the list management unit 25 determines whether response to material damage has been completed for the elevator 2 specified based on the restor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material damage information.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Yes, the processing of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proceeds to step S206.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No, the processing of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proceeds to step S208.

스텝 S206에 있어서, 리스트 관리부(25)는, 복구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엘리베이터(2)에 대해서, 지진 후 대응이 이미 완료로서 처리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에, 대응 관리 장치(15)의 처리는, 스텝 S207로 진행한다.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에, 대응 관리 장치(15)의 처리는, 스텝 S208로 진행한다. In step S206, the list management unit 25 determines whether post-earthquake response has already been processed as completed for the elevator 2 specified based on the recovery information.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No, the processing of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proceeds to step S207.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Yes, the processing of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proceeds to step S208.

스텝 S207에 있어서, 리스트 관리부(25)는, 복구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엘리베이터(2)에 대해서, 관리 대상 리스트에 있어서의 지진 후 대응을 완료로서 처리한다. 그 후, 관리 시스템(12)에 있어서의 복구 정보의 처리는, 종료한다. In step S207, the list management unit 25 processes the post-earthquake response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as complete for the elevator 2 specified based on the recovery information. After that, the processing of recovery information in the management system 12 ends.

스텝 S208에 있어서, 리스트 관리부(25)는 복구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엘리베이터(2)에 대응지어, 해당 복구 정보의 접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경과 정보로서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한다. 해당 엘리베이터(2)에 대해 지진 후 대응이 이미 완료되어 있는 경우에, 리스트 관리부(25)는, 경과 정보를 참고 정보로서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해도 된다. 한편, 해당 엘리베이터(2)에 대해 지진 후 대응이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리스트 관리부(25)는 지진 후 대응을 완료로 하지 않고 경과 정보를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한다. 그 후, 관리 시스템(12)에 있어서의 복구 정보의 처리는, 종료한다. In step S208, the list management unit 25 associates the elevator 2 specified based on the restoration information and registers information indicating receipt of the restoration information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as progress information. If post-earthquake response has already been completed for the relevant elevator 2, the list management unit 25 may register the progress information as reference information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On the other hand, if the post-earthquake response has not been completed for the relevant elevator 2, the list management unit 25 does not complete the post-earthquake response and registers progress information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After that, the processing of recovery information in the management system 12 ends.

도 7에 있어서, 지진 후 대응의 경과의 표시의 예가 나타내진다. In Fig. 7, an example of the display of the progress of response after an earthquake is shown.

보수원은, 각각의 엘리베이터(2)에 대해 지진 후 대응의 경과를 파악할 수 있도록, 보수 단말(18)을 통해서 경과 표시 요구를 대응 관리 장치(15)에 송신한다. 이 예에 있어서, 경과 표시 요구는 엘리베이터(2)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제시부(28)는, 보수 단말(18)로부터 경과 표시 요구를 접수할 때에, 해당 경과 표시 요구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2)를 특정한다. 제시부(28)는 특정된 엘리베이터(2)에 대응지어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경과의 정보를, 경과 표시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서 해당 보수 단말(18)에 송신한다. 보수 단말(18)은 경과의 정보를 보수원에게 표시한다. The maintenance worker transmits a progress display request to the response management device 15 through the maintenance terminal 18 so that the progress of the post-earthquake response can be ascertained for each elevator 2. In this example, the progress display request includes information specifying the elevator 2. When receiving a progress display request from the maintenance terminal 18, the presentation unit 28 specifies the elevator 2 based on the progress display request. The presentation unit 28 transmits progress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ed elevator 2 to the corresponding maintenance terminal 18 as a response to the progress display request. The maintenance terminal 18 displays progress information to the maintenance worker.

이 예에 있어서, 응답 정보 접수부(21)는 엘리베이터(2)의 원격 감시 장치(11)로부터의 응답 정보를 시각 07:59에 접수하고 있다. 이때, 리스트 관리부(25)는 해당 엘리베이터(2)에 대응지어, 정보원을 나타내는 정보를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한다. In this example,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1 is receiving response information from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11 of the elevator 2 at time 07:59. At this time, the list management unit 25 registers information indicating the information source in correspondence with the elevator 2 in question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그 후, 엘리베이터 칸(6) 내의 통화 장치(10)를 통해서, 승객으로부터의 갇힘의 통보가 행해진다. 해당 통보를 접수한 오퍼레이터는, 중앙 관리 장치(13)에 갇힘의 정보를 시각 08:05에 입력한다. 중앙 관리 장치(13)는 입력된 정보를 대응 관리 장치(15)에 출력함으로써 공유한다. 관리 정보 접수부(24)는 중앙 관리 장치(13)와 공유하는 정보를 접수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정보원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오퍼레이터를 특정하는 ID(IDentifier) 등의 정보를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한다. Afterwards, notification of being trapped is made from the passenger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10 in the elevator car 6. The operator who received the notification inputs the information about the trapping into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at 08:05.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shares the input information by outputting it to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The management information reception unit 24 receives information shared with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The list management unit 25 registers information such as an ID (IDentifier) that specifies the operator as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information source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그 후, 엘리베이터 칸(6) 내의 통화 장치(10)를 통해서, 승객으로부터의 음성 통화에 의한 구출의 독촉이 행해진다. 해당 독촉을 접수한 오퍼레이터는, 중앙 관리 장치(13)에 독촉이 있었던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시각 08:25에 입력한다. 중앙 관리 장치(13)는 입력된 정보를 대응 관리 장치(15)에 출력함으로써 공유한다. 관리 정보 접수부(24)는 중앙 관리 장치(13)와 공유하는 정보를 접수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정보원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오퍼레이터를 특정하는 ID 등의 정보를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한다. Afterwards, a rescue request is made via a voice call from the passenger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10 in the elevator car 6. The operator who received the reminder input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reminder was sent to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at 08:25.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shares the input information by outputting it to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The management information reception unit 24 receives information shared with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The list management unit 25 registers information such as ID that specifies the operator as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information source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그 후, 보수원에 의한 갇힘으로부터의 구출이 행해진다. 구출을 행한 보수원은, 보수 단말(18)을 통해서 구출 완료를 나타내는 경과 정보를 시각 08:45에 입력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정보원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보수원을 특정하는 ID 등의 정보를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한다. Afterwards, rescue from confinement is carried out by maintenance personnel. The maintenance worker who performed the rescue inputs progress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mpletion of the rescue through the maintenance terminal 18 at 08:45. The list management unit 25 registers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information source, such as an ID that specifies the maintenance source,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이와 같이, 경과의 정보가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되므로, 대응 이력이 보수 단말(18)을 통해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since the progress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the response history can be easily confirmed through the maintenance terminal 18.

도 8에 있어서, 집계부(27)에 의한 집계 결과의 표시의 예가 나타내진다. In Fig. 8, an example of display of the tally results by the tally unit 27 is shown.

보수원은, 관리 시스템(12)에 있어서 관리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2)에 대해 지진 후 대응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보수 단말(18)을 통해서 집계 요구를 대응 관리 장치(15)에 송신한다. 집계부(27)는, 보수 단말(18)로부터 집계 요구를 접수할 때에,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된 엘리베이터(2)의 집계 처리를 개시한다. 제시부(28)는 보수 단말(18)로부터 송신된 집계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서 집계부(27)에 의한 집계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해당 보수 단말(18)에 송신한다. 보수 단말(18)은 집계 결과를 일람표 등의 형식에 의해서 보수원에게 표시한다. The maintenance worker transmits a tally request to the response management device 15 through the maintenance terminal 18 so that the status of post-earthquake response can be ascertained for the plurality of elevators 2 managed in the management system 12. . When receiving a tally request from the maintenance terminal 18, the tally unit 27 starts tally processing for the elevator 2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In response to the tally request sent from the reward terminal 18, the presentation unit 28 transmits information indicating the tally result by the tally unit 27 to the reward terminal 18. The maintenance terminal 18 displays the tally results to the maintenance staff in a form such as a list.

이 예에 있어서, 집계부(27)는 에어리어 XXX, 에어리어 YYY, 에어리어 ZZZ 등의 미리 설정된 에어리어에 대해서 집계를 행한다. 집계부(27)는 운전 휴지된 엘리베이터(2)의 수, 및, 그 중 복구가 완료된 엘리베이터(2)의 수를 에어리어마다 집계한다. 또한, 집계부(27)는 예를 들면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된 엘리베이터(2)에 있어서 발생한 갇힘의 건수, 및, 그 중 구출이 완료된 갇힘의 건수를 에어리어마다 집계한다. 이때, 집계부(27)는 승객의 유무가 불명한 갇힘, 및 승객이 있는 것이 확인된 갇힘 각각에 대해서 집계를 행한다. In this example, the counting unit 27 performs counting for preset areas such as area XXX, area YYY, and area ZZZ. The counting unit 27 counts the number of elevators 2 that are out of service and, among them, the number of elevators 2 that have been restored for each area. Additionally, the counting unit 27 counts, for example, the number of cases of entrapment in the elevator 2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and the number of cases of entrapment for which rescue has been completed, for each area. At this time, the counting unit 27 counts each of the traps in which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ssengers is unknown and the traps in which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passengers.

보수 단말(18)은, 집계부(27)에 의한 에어리어마다의 집계 결과를, 일람표에 의해서 보수원에게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보수원은 지진 후 대응의 진척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The maintenance terminal 18 displays the counting results for each area by the counting unit 27 to the maintenance staff in a table. This allows maintenance personnel to keep track of the progress of post-earthquake response.

또한, 엘리베이터 시스템(1)에 있어서, 복수의 엘리베이터(2)가 지진 감지기(8)를 공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시스템(1)에 있어서, 복수의 엘리베이터(2)가 원격 감시 장치(11)를 공유하고 있어도 된다. Additionally, in the elevator system 1, a plurality of elevators 2 may share the earthquake detector 8. Additionally, in the elevator system 1, a plurality of elevators 2 may share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11.

또한, 엘리베이터 시스템(1)은 원격 감시 장치(11)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엘리베이터(2)를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에, 해당 엘리베이터(2)로부터의 응답 정보는 대응 관리 장치(15)에 입력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해당 엘리베이터(2)는, 먼저 해당 엘리베이터(2)가 마련되는 지역의 지진 정보에 기초하여, 잠정적으로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된다. 그 후, 보수원으로부터 보수 단말(18)을 통해서 입력되는 경과 정보 등에 기초하여, 해당 엘리베이터(2)의 관리 대상 리스트에의 잠정적인 등록으로부터 확정적인 등록으로의 이행 등의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해당 엘리베이터(2)에 대한 복구 정보는, 보수 단말(18)을 통해서 대응 관리 장치(15)에 입력되어도 된다. Additionally, the elevator system 1 may include an elevator 2 that is not equipped with the remote monitoring device 11. In this case, response information from the elevator 2 is not input to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For this reason, the elevator 2 is first temporarily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based on earthquake information of the area where the elevator 2 is installed. Thereafter, processing such as transition from provisional registration to definitive registration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of the relevant elevator 2 is performed based on progress information input from the maintenance person through the maintenance terminal 18. Additionally, recovery information for the elevator 2 may be input into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through the maintenance terminal 18.

또한, 관리 시스템(12)에 있어서, 작업 관리부는 대응 관리 장치(15), 또는 중앙 관리 장치(13)에 탑재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작업 판정부(22)는 중앙 관리 장치(13), 또는 작업 관리 장치(14)에 탑재되어 있어도 된다. Additionally, in the management system 12, the job management unit may be mounted in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or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Additionally, the job determination unit 22 may be mounted on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or the job management device 14.

또한, 관리 시스템(12)에 있어서, 복수의 정보 센터(16)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때, 복수의 정보 센터(16)에 마련되는 장치는, 서로를 다중화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Additionally, in the management system 12, a plurality of information centers 16 may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devices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centers 16 may be configured to multiplex each other.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1에 따른 관리 시스템(12)은, 응답 정보 접수부(21)와, 지진 정보 접수부(20)와, 리스트 관리부(25)를 구비한다. 응답 정보 접수부(21)는 적어도 어느 엘리베이터(2)로부터 지진동에 대한 응답 정보를 접수한다. 지진 정보 접수부(20)는, 적어도 어느 엘리베이터(2)가 마련된 지역에서 지진동이 발생할 때에, 해당 지진동의 지진 정보를 외부 서비스(19)로부터 접수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관리 대상 리스트를 기억한다. 관리 리스트는 복수의 엘리베이터(2) 중 적어도 어느 것에 대해 지진 후 대응을 관리하는 리스트이다. 리스트 관리부(25)는, 응답 정보 접수부(21)가 응답 정보를 접수할 때에, 해당 응답 정보를 보고한 엘리베이터(2)를 관리 대상 리스트에 확정적으로 등록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미리 설정된 크기보다 큰 지진동이 어느 지역에 있어서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지진 정보를 지진 정보 접수부(20)가 접수할 때에, 해당 지역에 마련된 엘리베이터(2) 각각을 관리 대상 리스트에 잠정적으로 등록한다. As explained above, the management system 12 according to Embodiment 1 includes a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1, an earthquak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0, and a list management unit 25.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1 receives response information about the ground motion from at least one elevator 2. When earthquake motion occurs in an area where at least a certain elevator 2 is installed, the earthquak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0 receives earthquake information on the earthquake motion from the external service 19. The list management unit 25 stores a list of management targets. The management list is a list that manages post-earthquake response fo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levators (2). When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1 receives response information, the list management unit 25 definitively registers the elevator 2 that reported the response information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When the earthquak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0 receives earthquak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n earthquake larger than a preset size occurred in a certain area, the list management unit 25 provisionally adds each of the elevators 2 provided in the area to the management target list. Register as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엘리베이터(2)로부터의 응답 정보가 취득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지진 정보에 기초하여 지진동에 대한 응답을 행했을 가능성이 있는 엘리베이터(2) 각각이 관리 대상 리스트에 통합해서 잠정적으로 등록된다. 또한, 엘리베이터(2) 및 정보 센터(16) 사이에 통신 장해 또는 통신 용량의 혼잡 등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지진동에 대한 응답을 행했을 가능성이 있는 엘리베이터(2)는 지진 정보에 기초하여 관리 대상 리스트에 잠정적으로 등록되게 된다. 잠정적인 등록은 대응 관리 장치(15)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행해지므로, 관리 대상 리스트에 있어서 지진 후 대응을 관리하는 관리 대상의 엘리베이터(2)의 등록의 누락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이 때문에, 지진 후 대응을 행하는 엘리베이터(2)의 보수원의 현지로의 파견의 누락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With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response information from the elevator 2 is not acquired, each of the elevators 2 that may have responded to the ground motion based on the seismic information is integrated into the management target list and provisionally registered. is registered as Additionally, even in cases where communication failure or communication capacity congestion occurs between the elevator 2 and the information center 16, the elevator 2, which may have responded to the earthquake motion, responds to the earthquake information based on the earthquake information. It will be temporarily registered on the management target list. Since provisional registrat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response management device 15, it becomes difficult for the elevator 2, a management object to manage post-earthquake response, to be omitted from registration in the management object list. For this reason, it becomes difficult for maintenance personnel of the elevator 2 who respond after an earthquake to be missed in dispatching to the site.

또한, 관리 시스템(12)은 문의부(29)를 구비한다. 문의부(29)는 관리 대상 리스트에 잠정적으로 등록된 엘리베이터(2) 각각에 대해 운전 상태를 문의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문의부(29)의 문의 결과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지진동에 대한 응답을 행하고 있는 상태의 엘리베이터(2)에 대해서, 관리 대상 리스트에의 잠정적인 등록을 확정적인 등록으로 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통상 운전을 행하고 있는 상태의 엘리베이터(2)에 대해서, 관리 대상 리스트에의 잠정적인 등록을 해제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상태가 불명한 엘리베이터(2)에 대해서, 관리 대상 리스트에의 잠정적인 등록을 유지한다. Additionally, the management system 12 includes an inquiry unit 29. The inquiry unit 29 inquires about the operation status of each elevator 2 provisionally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The list management unit 25 performs processing based on the inquiry results of the inquiry unit 29. The list management unit 25 converts provisional registration into definitive registration of the elevator 2 in the state of responding to ground motion into the management target list. The list management unit 25 cancels the provisional registration of the elevator 2 in normal operation to the management target list. The list management unit 25 maintains provisional registration of elevators 2 whose status is unknown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관리 시스템(12)은, 관리 대상 리스트에 잠정적으로 등록된 엘리베이터(2)에 대해서도, 지진 발생 후의 문의에 의해서 해당 엘리베이터(2)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2)마다의 지진 후 대응의 필요 여부가 명확하게 파악되므로, 지진 후 대응의 작업 효율이 보다 향상된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management system 12 can determine the status of the elevator 2 provisionally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by making inquiries after the occurrence of an earthquake. As a result, the need for post-earthquake response for each elevator 2 is clearly identified,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of post-earthquake response.

또한, 관리 시스템(12)은 조작 정보 접수부(23)를 구비한다. 조작 정보 접수부(23)는 지진 후 대응을 관리하는 엘리베이터(2)를 지정하는 보수원의 조작을 접수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조작 정보 접수부(23)가 지정을 접수한 엘리베이터(2)를 관리 대상 리스트에 잠정적으로 등록한다. Additionally, the management system 12 includes an operation information reception unit 23.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ption unit 23 receives the operation of a maintenance worker designating the elevator 2 to manage the post-earthquake response. The list management unit 25 temporarily registers the elevator 2 for which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ption unit 23 has received designation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엘리베이터(2)마다의 개별 사정 등에 따른 지진 후 대응의 관리가 행하기 쉽게 된다. 이것에 의해, 지진 후 대응의 누락 등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This configuration makes it easy to manage post-earthquake response according to individual circumstances for each elevator 2, etc. This makes it difficult for omissions in response after an earthquake to occur.

또한, 관리 시스템(12)은 기준 기억부(26)를 구비한다. 기준 기억부(26)는, 각각의 엘리베이터(2)에 대해서, 발생 후의 대응을 관리하는 지진동의 크기의 정보를 기억한다. 지진 정보 접수부(20)는 지진동이 어느 지역에 있어서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지진 정보를 접수한다. 이때에, 리스트 관리부(25)는 해당 지역에 마련되고, 또한, 발생한 지진동의 크기가 기준 기억부(26)에 기억되어 있는 크기를 초과하는 엘리베이터(2) 각각을, 관리 대상 리스트에 잠정적으로 등록한다. Additionally, the management system 12 includes a reference storage unit 26. The standard storage unit 26 stores, for each elevator 2, information on the magnitude of earthquake motion to manage response after occurrence. The earthquak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0 receives earthquake information indicating which region the earthquake occurred. At this time, the list management unit 25 provisionally registers each of the elevators 2 provided in the area and whose size of the generated earthquake motion exceeds the size stored in the standard storage unit 26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do.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엘리베이터(2)마다의 특성에 따라 관리 대상 리스트에의 잠정적인 등록이 행해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 관리 대상 리스트에의 불필요한 등록이 행해지지 않게 되므로, 지진 후 대응의 작업 효율이 보다 향상된다. With this configuration, provisional registration to the management target list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levator 2. As a result, unnecessary registration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is prevented, and the work efficiency of post-earthquake response is further improved.

또한, 실시 형태 1에 따른 관리 시스템(12)은, 대응 관리 장치(15)를 구비한다. 대응 관리 장치(15)는 중앙 관리 장치(13)로부터 독립적으로 마련된다. 중앙 관리 장치(13)는 각각의 엘리베이터(2)를 원격 감시하고, 각각의 엘리베이터(2)에 대한 통보의 정보를 접수한다. 대응 관리 장치(15)는 응답 정보 접수부(21)와, 리스트 관리부(25)를 구비한다. 응답 정보 접수부(21)는 적어도 어느 엘리베이터(2)로부터 지진동에 대한 응답 정보를 접수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관리 대상 리스트를 기억한다. 관리 리스트는 복수의 엘리베이터(2) 중 적어도 어느 것에 대해 지진 후 대응을 관리하는 리스트이다. 리스트 관리부(25)는, 응답 정보 접수부(21)가 응답 정보를 접수할 때에, 해당 응답 정보를 보고한 엘리베이터(2)를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한다. Additionally, the management system 12 according to Embodiment 1 includes a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is provided independently from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remotely monitors each elevator 2 and receives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elevator 2. The response management device 15 includes a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1 and a list management unit 25.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1 receives response information about the ground motion from at least one elevator 2. The list management unit 25 stores a list of management targets. The management list is a list that manages post-earthquake response fo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levators (2). When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1 receives response information, the list management unit 25 registers the elevator 2 that reported the response information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음성 통화에 의한 통보 등의 정보, 및 엘리베이터(2)로부터의 응답 정보는, 중앙 관리 장치(13) 및 대응 관리 장치(15) 사이에서 분산하여 접수된다. 이것에 의해, 지진 발생 직후의 통신의 집중이 억제된다. 이 때문에, 통신 장해의 발생이 억제되게 되므로, 지진 후 대응을 행하는 엘리베이터(2)의 보수원의 현지로의 파견의 지연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리스트 관리부(25)는, 응답 정보가 접수된 엘리베이터(2)를, 보수원이 지진 후 대응 시에 참조하는 관리 대상 리스트에 직접 등록한다. 이것에 의해, 보수원은 오퍼레이터로부터의 지시에 의하지 않고, 관리 대상 리스트를 참조하여 자신이 현장으로 향해야 할 엘리베이터(2)를 자발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보수원의 현지로의 도착의 지연이 보다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With this configuration, information such as notifications through voice calls and response information from the elevator 2 are distributed and received between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and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This suppresses the concentration of communication immediately after an earthquake occurs. For this reason, the occurrence of communication failures is suppressed, making it difficult to cause delays in dispatching maintenance personnel of the elevator 2 to the site to respond after an earthquake. Additionally, the list management unit 25 directly registers the elevator 2 for which response information has been receiv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that maintenance personnel refer to when responding after an earthquake. This allows the maintenance worker to voluntarily determine which elevator 2 he should head to the site by referring to the management target list, without relying on instructions from the operator. This makes it more difficult for delays in the arrival of maintenance workers to the site.

또한, 대응 관리 장치(15)는 제시부(28)를 구비한다. 제시부(28)는, 보수원이 조작하는 보수 단말(18)로부터 송신된 표시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서, 관리 대상 리스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해당 보수 단말(18)에 송신한다. Additionally, the correspondence management device 15 is provided with a presentation unit 28. The presentation unit 28 transmits information indicating the management target list to the maintenance terminal 18 as a response to a display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maintenance terminal 18 operated by the maintenance worker.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보수원은 각자가 조작하는 보수 단말(18)로부터 관리 대상 리스트를 참조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보수원은 자신이 현장으로 향해야 할 엘리베이터(2)의 판단을 보다 행하기 쉽게 된다. 또한, 관리 대상 리스트의 참조에 있어서 보수 단말(18)은 중앙 관리 장치(13)로의 액세스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중앙 관리 장치(13)로의 통신이 집중되기 어렵게 된다. With this configuration, each maintenance worker can refer to the management target list from the maintenance terminal 18 that he or she operates. This makes it easier for the maintenance worker to judge which elevator 2 he should head to the site. Additionally, since the maintenance terminal 18 does not require access to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when referring to the management target list, it becomes difficult for communication to be concentrated in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또한, 제시부(28)는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된 엘리베이터(2) 중, 엘리베이터 칸(6) 내로의 연락처가 등록된 엘리베이터(2)에 대해서, 해당 연락처의 정보를 보수 단말(18)에 송신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ation unit 28 transmits the information on the contact information to the maintenance terminal 18 for the elevator 2 in which the contact information in the elevator car 6 is registered among the elevators 2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보수원은, 보수 단말(18)을 통한 중앙 관리 장치(13) 등으로의 액세스를 필요로 하지 않고, 해당 엘리베이터(2)에 있어서 갇힘이 발생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엘리베이터 칸(6) 내로의 연락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maintenance person does not need access to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or the like through the maintenance terminal 18, but can check whether a jam has occurred in the elevator 2 in question. (6) Internal communication can be carried out efficiently.

또한, 대응 관리 장치(15)는 조작 정보 접수부(23)를 구비한다. 조작 정보 접수부(23)는 복수의 엘리베이터(2) 중 어느 것에 대한 경과 정보의 입력 조작을, 보수 단말(18)로부터 접수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된 엘리베이터(2)에 대한 경과 정보의 입력 조작을 조작 정보 접수부(23)가 접수할 때에, 해당 경과 정보를 해당 엘리베이터(2)에 대응지어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한다. Additionally,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information reception unit 23.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ption unit 23 receives an input operation of progress information for any of the plurality of elevators 2 from the maintenance terminal 18. When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ption unit 23 receives an input operation of progress information for an elevator 2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the list management unit 25 associates the progress information with the elevator 2 and selects the management target. Register on the list.

또한, 대응 관리 장치(15)는 관리 정보 접수부(24)를 구비한다. 관리 정보 접수부(24)는, 어느 엘리베이터(2)에 대한 경과 정보를 중앙 관리 장치(13)가 접수할 때에, 해당 경과 정보를 중앙 관리 장치(13)로부터 접수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된 엘리베이터(2)에 대한 경과 정보를 관리 정보 접수부(24)가 접수할 때에, 해당 경과 정보를 해당 엘리베이터(2)에 대응지어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한다. Additionally,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device 15 is provided with a management information reception unit 24. When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receives progress information for a certain elevator 2, the management information reception unit 24 receives the progress information from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When the management information reception unit 24 receives progress information about the elevator 2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the list management unit 25 associates the progress information with the relevant elevator 2 and registers it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do.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보수원이 지진 후 대응 시에 참조하는 관리 대상 리스트에, 대응의 경과가 통합적으로 관리된다. 이것에 의해, 보수원은 대응의 경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동일한 엘리베이터(2)의 대응을 복수의 보수원이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대응의 누락 또는 중복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이것에 의해, 지진 후 대응의 작업 효율이 보다 향상된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progress of the response is managed comprehensively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that maintenance personnel refer to when responding after an earthquake. As a result, the maintenance worker can easily understand the status of the response, so even when multiple maintenance workers perform the response to the same elevator 2, omission or duplication of the response is unlikely to occur. This further improves the work efficiency of post-earthquake response.

또한, 조작 정보 접수부(23)는 엘리베이터(2)에 대한 갇힘의 정보의 입력 조작을 보수 단말(18)로부터 접수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된 엘리베이터(2)에 대한 갇힘의 정보의 입력 조작을 조작 정보 접수부(23)가 접수할 때에, 해당 갇힘의 정보를 해당 엘리베이터(2)에 대응지어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한다. Additionally,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ption unit 23 receives an operation to input information about the trapping of the elevator 2 from the maintenance terminal 18. When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ption unit 23 receives an input operation of trapping information for the elevator 2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the list management unit 25 associates the trapping information with the elevator 2 in question. Register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또한, 관리 정보 접수부(24)는 엘리베이터(2)에 대한 갇힘의 정보를 중앙 관리 장치(13)로부터 접수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된 엘리베이터(2)에 대한 갇힘의 정보를 관리 정보 접수부(24)가 접수할 때에, 해당 갇힘의 정보를 해당 엘리베이터(2)에 대응지어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한다. In addition, the management information reception unit 24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jamming of the elevator 2 from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When the management information reception unit 24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trapping of the elevator 2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the list management unit 25 associates the trapping information with the elevator 2 and stores it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Register in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보수원이 지진 후 대응 시에 참조하는 관리 대상 리스트에, 갇힘의 정보가 통합적으로 관리된다. 보수원은 갇힘의 정보를 참조하여 자신이 현장으로 향해야 할 엘리베이터(2)의 판단을 행할 수 있게 되므로, 긴급성이 높은 갇힘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With this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entrapment is managed comprehensively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that maintenance personnel refer to when responding after an earthquake. Since the maintenance worker can refer to the information on the jam to determine which elevator 2 he should head to the scene, he can quickly respond to the jam with a high degree of urgency.

또한, 조작 정보 접수부(23)는 엘리베이터(2)에 대한 고객 대응의 정보의 입력 조작을 보수 단말(18)로부터 접수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된 엘리베이터(2)에 대한 고객 대응의 정보의 입력 조작을 조작 정보 접수부(23)가 접수할 때에, 해당 고객 대응의 정보를 해당 엘리베이터(2)에 대응지어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한다. Additionally,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ption unit 23 receives an input operation of customer-corresponding information for the elevator 2 from the maintenance terminal 18. When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ption unit 23 receives an input operation of customer-corresponding information for the elevator 2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the list management unit 25 sends the customer-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elevator 2. Register the corresponding wor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또한, 관리 정보 접수부(24)는 엘리베이터(2)에 대한 고객 대응의 정보를 중앙 관리 장치(13)로부터 접수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된 엘리베이터(2)에 대한 고객 대응의 정보를 관리 정보 접수부(24)가 접수할 때에, 해당 고객 대응의 정보를 해당 엘리베이터(2)에 대응지어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한다. Additionally, the management information reception unit 24 receives customer response information for the elevator 2 from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13. When the management information reception unit 24 receives customer correspondence information for the elevator 2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the list management unit 25 manages the customer correspondence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the elevator 2 in question. Register in the target list.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보수원이 지진 후 대응 시에 참조하는 관리 대상 리스트에, 고객 대응의 정보가 통합적으로 관리된다. 보수원은 고객 대응의 경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고객 대응의 누락 또는 중복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이것에 의해, 지진 후 대응의 품질이 보다 향상된다. With this configuration, customer response information is managed comprehensively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that maintenance personnel refer to when responding after an earthquake. Since maintenance personnel can easily understand the status of customer response, it becomes difficult for omission or duplication of customer response to occur. This further improves the quality of post-earthquake response.

또한, 대응 관리 장치(15)는 집계부(27)를 구비한다. 집계부(27)는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된 엘리베이터(2)의 집계를 행한다. 제시부(28)는, 보수 단말(18)로부터 송신된 집계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서, 집계부(27)에 의한 집계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해당 보수 단말(18)에 송신한다. Additionally, the correspondence management device 15 is provided with an aggregation unit 27. The counting unit 27 counts the elevators 2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As a response to the tally request sent from the reward terminal 18, the presentation unit 28 transmits information indicating the tally result by the tally unit 27 to the reward terminal 18.

또한, 집계부(27)는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된 엘리베이터(2)를 미리 설정된 에어리어마다 집계한다. Additionally, the counting unit 27 counts the elevators 2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for each preset area.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보수원은 지진 후 대응의 진척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보수원은 지진 후 대응의 지원의 필요 여부 등을 보다 판단하기 쉽게 된다. With this configuration, maintenance personnel can easily grasp the progress of post-earthquake response. This makes it easier for maintenance personnel to determine whether post-earthquake response support is necessary.

또한, 실시 형태 1에 따른 관리 시스템(12)은, 응답 정보 접수부(21)와, 리스트 관리부(25)와, 작업 관리 장치(14)와, 작업 판정부(22)를 구비한다. 응답 정보 접수부(21)는 적어도 어느 엘리베이터(2)로부터 지진동에 대한 응답 정보를 접수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관리 대상 리스트를 기억한다. 관리 대상 리스트는 복수의 엘리베이터(2) 중 적어도 어느 것에 대해 지진 후 대응을 관리하는 리스트이다. 리스트 관리부(25)는, 응답 정보 접수부(21)가 응답 정보를 접수할 때에, 해당 응답 정보를 보고한 엘리베이터(2)를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한다. 작업 관리 장치(14)는 각각의 엘리베이터(2)의 보수 작업의 예정을 관리한다. 작업 판정부(22)는, 응답 정보 접수부(21)가 응답 정보를 접수할 때에, 해당 응답 정보를 보고한 엘리베이터(2)에 대해 보수 작업이 예정되어 있는 시간인지를, 작업 관리 장치(14)를 참조하여 판정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보수 작업이 예정되어 있는 시간이라고 작업 판정부(22)가 판정한 엘리베이터(2)에 대해서, 관리 대상 리스트에의 등록을 해제한다. 혹은, 작업 판정부(22)는, 응답 정보 접수부(21)가 응답 정보를 접수할 때에, 해당 응답 정보를 보고한 엘리베이터(2)에 대해 보수 작업이 행해지고 있는지를, 작업 관리 장치(14)를 참조하여 판정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보수 작업이 행해지고 있다고 작업 판정부(22)가 판정한 엘리베이터(2)에 대해서, 관리 대상 리스트에의 등록을 해제한다. Additionally, the management system 12 according to Embodiment 1 includes a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1, a list management unit 25, a job management device 14, and a job judgment unit 22.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1 receives response information about the ground motion from at least one elevator 2. The list management unit 25 stores a list of management targets. The management target list is a list that manages post-earthquake response fo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levators (2). When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1 receives response information, the list management unit 25 registers the elevator 2 that reported the response information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The work management device 14 manages the schedule of maintenance work for each elevator 2. When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1 receives response information, the work determination unit 22 determines whether the time at which maintenance work is scheduled for the elevator 2 that reported the response information is performed by the work management device 14. Determine with reference to . The list management unit 25 cancels registration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for the elevator 2 for which the work determination unit 22 has determined that maintenance work is scheduled to be performed. Alternatively, when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1 receives response information, the work determination unit 22 determines whether maintenance work is being performed on the elevator 2 for which the response information has been reported, by checking the work management device 14. Make a decision based on reference. The list management unit 25 deregisters the elevator 2 on which maintenance work has been determined by the work determination unit 22 from the management target list.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보수 작업 등 시에 보수원이 감지기에 잘못해서 접촉하는 것 등에 의한 응답 정보의 오보고가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도, 보수 작업의 유무에 기초하여 해당 보고가 오보고인지 여부가 자동적으로 판정된다. 이것에 의해, 정보 센터(16) 등에 있어서의 해당 보고는 오보고인지 여부의 확인 작업이 필요하게 되지 않기 때문에, 엘리베이터(2)의 관리 효율이 저하되기 어렵게 된다. With this configuration, even in the case where a misreport of response information occurs due to a maintenance worker accidentally touching the detector during maintenance work, etc., it is automatically determined whether the report is a misreport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maintenance work. It is judged as As a result,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the elevator 2 is less likely to deteriorate because there is no need to confirm whether the report in question at the information center 16 or the like is an erroneous report.

또한, 관리 시스템(12)은 지진 정보 접수부(20)를 구비한다. 지진 정보 접수부(20)는, 적어도 어느 엘리베이터(2)가 마련된 지역에서 지진동이 발생할 때에, 해당 지진동의 지진 정보를 외부 서비스(19)로부터 접수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지진 정보 접수부(20)가 접수한 지진 정보에 기초하여, 어느 지역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크기보다 큰 지진동이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리스트 관리부(25)는, 해당 지역에 마련된 엘리베이터(2)에 대해서, 관리 대상 리스트에의 등록을 해제한다. Additionally, the management system 12 includes an earthquak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0. When earthquake motion occurs in an area where at least a certain elevator 2 is installed, the earthquak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0 receives earthquake information on the earthquake motion from the external service 19. The list management unit 25 may determine, based on the earthquak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earthquak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0, that earthquake motions larger than a preset magnitude are not occurring in a certain area. At this time, the list management unit 25 deregisters the elevator 2 provided in the area from the management target list.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지진 감지기(8) 등의 오작동, 또는 엘리베이터(2) 근방의 작업에 수반하는 진동 등에 의한 응답 정보의 오보고가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도, 지진 정보의 유무에 기초하여 해당 보고가 오보고인지 여부가 자동적으로 판정된다. 이것에 의해, 정보 센터(16) 등에 있어서의 해당 보고는 오보고인지 여부의 확인 작업이 필요하게 되지 않기 때문에, 엘리베이터(2)의 관리 효율이 저하되기 어렵게 된다. With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erroneous reporting of response information occurs due to a malfunction of the earthquake detector 8 or the like or vibration accompanying work near the elevator 2, the corresponding report is made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earthquake information. It is automatically determined whether it is a false report. As a result,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the elevator 2 is less likely to deteriorate because there is no need to confirm whether the report in question at the information center 16 or the like is an erroneous report.

또한, 실시 형태 1에 따른 관리 시스템(12)은, 응답 정보 접수부(21)와, 조작 정보 접수부(23)와, 리스트 관리부(25)를 구비한다. 응답 정보 접수부(21)는 적어도 어느 엘리베이터(2)로부터 지진동에 대한 응답 정보를 접수한다. 응답 정보 접수부(21)는 지진동에 응답한 엘리베이터(2)의 해당 응답으로부터의 복구를 나타내는 복구 정보를 접수한다. 조작 정보 접수부(23)는 보수원이 조작하는 보수 단말(18)로부터, 어느 엘리베이터(2)에 대한 물적 손해 정보의 입력 조작을 접수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관리 대상 리스트를 기억한다. 관리 대상 리스트는 복수의 엘리베이터(2) 중 적어도 어느 것에 대해 지진 후 대응을 관리하는 리스트이다. 리스트 관리부(25)는, 응답 정보 접수부(21)가 응답 정보를 접수할 때에, 해당 응답 정보를 보고한 엘리베이터(2)를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한다. 리스트 관리부(25)는,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된 엘리베이터(2)에 대한 물적 손해 정보의 입력 조작을 조작 정보 접수부(23)가 접수할 때에, 해당 물적 손해 정보를 해당 엘리베이터(2)에 대응지어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한다. 응답 정보 접수부(21)는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된 엘리베이터(2)의 복구 정보를 접수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에, 리스트 관리부(25)는, 해당 엘리베이터(2)에 대해 미복구 물적 손해가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해당 엘리베이터(2)에 대해 관리 대상 리스트에 있어서의 지진 후 대응을 완료로서 처리한다. 한편, 리스트 관리부(25)는, 해당 엘리베이터(2)에 대해 미복구 물적 손해가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 엘리베이터(2)에 대해 관리 대상 리스트에 있어서의 지진 후 대응의 완료를 보류한다. Additionally, the management system 12 according to Embodiment 1 includes a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1, an operation information reception unit 23, and a list management unit 25.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1 receives response information about the ground motion from at least one elevator 2.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1 receives recovery information indicating recovery from the response of the elevator 2 that responded to the earthquake motion.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ption unit 23 receives an input operation of material damage information for a certain elevator 2 from the maintenance terminal 18 operated by a maintenance worker. The list management unit 25 stores a list of management targets. The management target list is a list that manages post-earthquake response fo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levators (2). When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1 receives response information, the list management unit 25 registers the elevator 2 that reported the response information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When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ption unit 23 receives an input operation of material damage information for the elevator 2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the list management unit 25 associates the material damage information with the elevator 2. Register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1 may receive recovery information for the elevator 2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At this time, if unrecovered material damage to the elevator 2 is not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the list management unit 25 performs post-earthquake response for the elevator 2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Treat it as complete. On the other hand, when unrecovered material damage to the elevator 2 is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the list management unit 25 determines the completion of post-earthquake response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for the elevator 2. put on hold

어느 엘리베이터(2)에 있어서, 지진동에 의해서 물적 손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물적 손해가 발생했을 경우에, 대상 물품의 준비 등을 위해, 지진 후 대응의 완료에 시간을 필요로 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 응급 처치 등에 의해서 물적 손해가 발생한 엘리베이터(2)를, 운행할 수 있도록 임시로 복구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엘리베이터(2)의 복구 정보가 정보 센터(16)에 송신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관리 시스템(12)에 있어서, 미복구 물적 손해가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대응의 완료가 보류되므로, 복구 정보의 수신으로 지진 후 대응이 완료된 것으로 처리되지 않아, 지진 후 대응에 누락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In a certain elevator 2, material damage may occur due to earthquake motion. In the event of material damage, it may take time to complete the post-earthquake response due to preparation of affected items, etc. In this case, the elevator 2 that has suffered material damage may be temporarily restored so that it can operate due to emergency treatment or the like. At this time, recovery information of the elevator 2 may be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center 16. At this time, in the management system 12, when unrecovered material damage is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the completion of the response is put on hold, so the post-earthquake response is not processed as completed upon receipt of recovery information, and post-earthquake response is not processed. It becomes difficult for omissions to occur.

또한, 응답 정보 접수부(21)는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된 엘리베이터(2)의 복구 정보를 접수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에, 리스트 관리부(25)는, 해당 엘리베이터(2)에 대해 미복구 물적 손해가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 복구 정보의 접수를 경과 정보로서 해당 엘리베이터(2)에 대응지어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한다. Additionally,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1 may receive recovery information for the elevator 2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At this time, when unrecovered material damage to the elevator 2 is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the list management unit 25 manages the reception of the restoration information in correspondence to the elevator 2 as progress information. Register in the target list.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복구 정보의 수신이 관리 대상 리스트에 통합적으로 관리되므로, 보수원은 해당 복구 정보를 오보고로서 처리해야 할지 여부를 대응의 경과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2)의 지진 후 대응의 관리가 보다 효율적으로 된다. With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reception of recovery information is managed in an integrated manner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the maintenance worker can determine based on the progress of the response whether the recovery information should be treated as a false report. Thereby, management of post-earthquake response of the elevator 2 becomes more efficient.

또한, 응답 정보 접수부(21)는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엘리베이터(2)의 복구 정보를 접수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에, 리스트 관리부(25)는 해당 복구 정보의 접수를 관리 대상 리스트의 외부에 기억한다. Additionally,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1 may receive restoration information for the elevator 2 that is not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At this time, the list management unit 25 stores the receipt of the corresponding recovery information outside of the management target list.

확정적으로도 잠정적으로도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엘리베이터(2)로부터의 복구 정보는, 오보고라고 판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구 정보가 관리 대상 리스트의 외부에서 관리되므로, 관리 대상 리스트를 참조하여 행하는 작업원의 판단이 방해받기 어렵게 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2)의 지진 후 대응의 관리가 보다 효율적으로 된다. Recovery information from the elevator 2 that is neither definitively nor provisionally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can be determined to be a false report. Since such recovery information is managed outside of the management target list, it becomes difficult for the operator's judgment to be interfered with by referring to the management target list. Thereby, management of post-earthquake response of the elevator 2 becomes more efficient.

또한, 응답 정보 접수부(21)는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된 엘리베이터(2)의 복구 정보를 접수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에, 리스트 관리부(25)는, 해당 엘리베이터(2)에 대해 관리 대상 리스트에 있어서의 지진 후 대응이 완료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 복구 정보의 접수를 경과 정보로서 해당 엘리베이터(2)에 대응지어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한다. Additionally,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1 may receive recovery information for the elevator 2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At this time, when the post-earthquake response for the elevator 2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has been completed, the list management unit 25 responds to the elevator 2 with the receipt of the recovery information as progress information. Register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이미 대응이 완료된 엘리베이터(2)로부터의 복구 정보는, 오보고라고 판정할 수 있다. 복구 정보의 수신이 관리 대상 리스트에 통합적으로 관리되므로, 보수원은 해당 복구 정보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여부를 대응의 경과에 기초하여 사후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Recovery information from the elevator 2 for which response has already been completed can be determined to be a false report. Since the reception of recovery information is managed integrally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maintenance personnel can later determine how to handle the recovery information based on the progress of the response.

또한, 응답 정보 접수부(21)는 관리 대상 리스트에 복수 회 등록된 엘리베이터(2)의 복구 정보를 접수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에, 리스트 관리부(25)는 해당 엘리베이터(2)에 대한 최신 등록에 대해서 해당 복구 정보의 접수에 대한 처리를 행한다. Additionally,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1 may receive restoration information for the elevator 2 registered multiple times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At this time, the list management unit 25 processes the reception of the recovery information for the latest registration for the elevator 2 in question.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여진에 의한 지진동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최신 엘리베이터(2)의 상태에 대해서 복구 정보의 처리가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지진 후 대응의 누락 등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With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earthquakes due to aftershocks, etc. occur, recovery information is processed for the state of the latest elevator 2. This makes it difficult for omissions in response after an earthquake to occur.

이어서, 도 9를 이용하여, 관리 시스템(12)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Next, an example of the hardware configuration of the management system 12 will be described using FIG. 9.

도 9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관리 시스템(12)의 주요부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Fig. 9 is a hardware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ain part of the management system 12 according to Embodiment 1.

관리 시스템(12)의 각 기능은, 처리 회로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처리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a)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00b)를 구비한다. 처리 회로는, 프로세서(100a) 및 메모리(100b)와 함께, 혹은 그것들의 대용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전용 하드웨어(200)를 구비해도 된다. Each function of the management system 12 can be realized by a processing circuit. The processing circuitry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100a and at least one memory 100b. The processing circuit may include at least one dedicated hardware 200 together with the processor 100a and the memory 100b or as a substitute for them.

처리 회로가 프로세서(100a)와 메모리(100b)를 구비하는 경우, 관리 시스템(12)의 각 기능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펌웨어의 조합으로 실현된다.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중 적어도 일방은, 프로그램으로서 기술된다. 그 프로그램은 메모리(100b)에 격납된다. 프로세서(100a)는, 메모리(100b)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관리 시스템(12)의 각 기능을 실현한다. When the processing circuit includes the processor 100a and the memory 100b, each function of the management system 12 is realized by software, firmware, or a combination of software and firmware. At least one of software and firmware is described as a program. The program is stored in memory 100b. The processor 100a realizes each function of the management system 12 by reading and executing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100b.

프로세서(100a)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처리 장치, 연산 장치,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컴퓨터, DSP라고도 한다. 메모리(100b)는, 예를 들면, RAM, ROM, 플래시 메모리, EPROM, EEPROM 등의, 불휘발성 또는 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 등에 의해 구성된다. The processor 100a is also called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a processing unit, an arithmetic unit, a microprocessor, a microcomputer, or a DSP. The memory 100b is composed of non-volatile or 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such as RAM, ROM, flash memory, EPROM, and EEPROM, for example.

처리 회로가 전용 하드웨어(200)를 구비하는 경우, 처리 회로는, 예를 들면, 단일 회로, 복합 회로,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병렬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ASIC, FPGA, 또는 이것들의 조합으로 실현된다. When the processing circuit has dedicated hardware 200, the processing circuit is realized as, for example, a single circuit, a complex circuit, a programmed processor, a parallel programmed processor, an ASIC, an FPGA, or a combination thereof.

관리 시스템(12)의 각 기능은, 각각 처리 회로로 실현할 수 있다. 혹은, 관리 시스템(12)의 각 기능은, 통합해서 처리 회로로 실현할 수도 있다. 관리 시스템(12)의 각 기능에 대해서, 일부를 전용 하드웨어(200)로 실현하고, 다른 부분을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실현해도 된다. 이와 같이, 처리 회로는 전용 하드웨어(200),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것들의 조합으로 관리 시스템(12)의 각 기능을 실현한다. Each function of the management system 12 can be realized by each processing circuit. Alternatively, each function of the management system 12 can be integrated and realized by a processing circuit. For each function of the management system 12, part of it may be realized by dedicated hardware 200, and other parts may be realized by software or firmware. In this way, the processing circuit realizes each function of the management system 12 using dedicated hardware 200, software, firm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본 개시에 따른 관리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Th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applied to an elevator.

1 : 엘리베이터 시스템 2 : 엘리베이터
3 : 승강로 4 : 권상기
5 : 메인 로프 6 : 엘리베이터 칸
7 : 균형추 8 : 지진 감지기
9 : 제어반 10 : 통화 장치
11 : 원격 감시 장치 12 : 관리 시스템
13 : 중앙 관리 장치 14 : 작업 관리 장치
15 : 대응 관리 장치 16 : 정보 센터
17 : 전화기 18 : 보수 단말
19 : 외부 서비스 20 : 지진 정보 접수부
21 : 응답 정보 접수부 22 : 작업 판정부
23 : 조작 정보 접수부 24 : 관리 정보 접수부
25 : 리스트 관리부 26 : 기준 기억부
27 : 집계부 28 : 제시부
29 : 문의부 100a : 프로세서
100b : 메모리 200 : 전용 하드웨어
1: Elevator System 2: Elevator
3: hoistway 4: hoisting machine
5: Main rope 6: Elevator car
7: Counterweight 8: Earthquake detector
9: Control panel 10: Call device
11: remote monitoring device 12: management system
13: Central management device 14: Task management device
15: Response management device 16: Information center
17: Telephone 18: Maintenance terminal
19: External service 20: Earthquake information reception desk
21: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22: task judgment unit
23: operation information reception unit 24: management information reception unit
25: list management unit 26: standard storage unit
27: tally section 28: presentation section
29: Inquiry unit 100a: Processor
100b: memory 200: dedicated hardware

Claims (5)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 적어도 어느 것으로부터 지진동에 대한 응답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 지진동에 응답한 엘리베이터의 상기 응답으로부터의 복구를 나타내는 복구 정보를 접수하는 응답 정보 접수부와,
보수원이 조작하는 보수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 어느 것에 대한 물적 손해 정보의 입력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정보 접수부와,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 적어도 어느 것에 대해 지진 후 대응을 관리하는 관리 대상 리스트를 기억하고, 상기 응답 정보 접수부가 응답 정보를 접수할 때에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 상기 응답 정보를 보고한 엘리베이터를 상기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하고, 상기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된 엘리베이터 중 어느 것에 대한 물적 손해 정보의 입력 조작을 상기 조작 정보 접수부가 접수할 때에 상기 물적 손해 정보를 상기 엘리베이터에 대응지어 상기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하고, 상기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된 엘리베이터의 복구 정보를 상기 응답 정보 접수부가 접수할 때에, 상기 엘리베이터에 대해 미복구 물적 손해가 상기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엘리베이터에 대해 상기 관리 대상 리스트에 있어서의 지진 후 대응을 완료로 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에 대해 미복구 물적 손해가 상기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엘리베이터에 대해 상기 관리 대상 리스트에 있어서의 지진 후 대응의 완료를 보류하는 리스트 관리부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의 관리 시스템.
a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that receives response information to ground motion from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levators, and recovery information indicating recovery from the response of an elevator that responded to the ground motion among the plurality of elevators;
an operation information reception unit that receives an input operation of material damage information for any of the plurality of elevators from a maintenance terminal operated by a maintenance worker;
A management target list for managing post-earthquake response fo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levators is stored, and when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receives response information, an elevator that reported the response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elevators is sto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Registered in, and when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ption unit receives an input operation of material damage information for any of the elevators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the property damage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in association with the elevator, and When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receives recovery information for an elevator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if unrecoverable material damage to the elevator is not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the elevator is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A list management unit that suspends the completion of the post-earthquake response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for the elevator when the post-earthquake response is completed and unrecovered material damage to the elevator is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A management system for elevator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관리부는, 상기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된 엘리베이터의 복구 정보를 상기 응답 정보 접수부가 접수할 때에, 상기 엘리베이터에 대해 미복구 물적 손해가 상기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복구 정보의 접수를 경과 정보로서 상기 엘리베이터에 대응지어 상기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하는 엘리베이터의 관리 시스템.
In claim 1,
The list management unit, when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receives recovery information of an elevator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if unrecovered material damage to the elevator is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the recovery information An elevator management system that associates reception with the elevator as progress information and registers it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관리부는, 상기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엘리베이터의 복구 정보를 상기 응답 정보 접수부가 접수할 때에, 상기 복구 정보의 접수를 상기 관리 대상 리스트의 외부에 기억하는 엘리베이터의 관리 시스템.
In claim 1 or claim 2,
An elevator management system in which the list management section stores the receipt of the recovery information outside of the management target list when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section receives recovery information for an elevator that is not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관리부는, 상기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된 엘리베이터의 복구 정보를 상기 응답 정보 접수부가 접수할 때에, 상기 엘리베이터에 대해 상기 관리 대상 리스트에 있어서의 지진 후 대응이 완료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복구 정보의 접수를 경과 정보로서 상기 엘리베이터에 대응지어 상기 관리 대상 리스트에 등록하는 엘리베이터의 관리 시스템.
In claim 1 or claim 2,
When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receives recovery information of an elevator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the list management unit provides the recovery information if post-earthquake response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has been completed for the elevator. An elevator management system that associates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with the elevator as progress information and registers it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관리부는, 상기 관리 대상 리스트에 복수 회 등록된 엘리베이터의 복구 정보를 상기 응답 정보 접수부가 접수할 때에, 상기 엘리베이터에 대한 최신 등록에 대해서 상기 복구 정보의 접수에 대한 처리를 행하는 엘리베이터의 관리 시스템.
In claim 1 or claim 2,
The list management unit is an elevator management system that, when the response information reception unit receives recovery information for an elevator registered multiple times in the management target list, processes the reception of the recovery information for the most recent registration for the elevator. .
KR1020237034504A 2021-06-10 2022-03-25 Elevator management system KR10262379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97485 2021-06-10
JP2021097485A JP7097531B1 (en) 2021-06-10 2021-06-10 Elevator management system
PCT/JP2022/014519 WO2022259712A1 (en) 2021-06-10 2022-03-25 Management system for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0393A KR20230150393A (en) 2023-10-30
KR102623792B1 true KR102623792B1 (en) 2024-01-12

Family

ID=82356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4504A KR102623792B1 (en) 2021-06-10 2022-03-25 Elevator management system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097531B1 (en)
KR (1) KR102623792B1 (en)
CN (1) CN117425611A (en)
WO (1) WO2022259712A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9107A (en) 2005-10-25 2007-05-17 Toshiba Elevator Co Ltd Movement management system for maintenance person
JP2007238202A (en) 2006-03-06 2007-09-20 Toshiba Elevator Co Ltd Maintenance/inspection management system
JP2008007308A (en) 2006-06-30 2008-01-17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Operation report system used when earthquake occur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1489B2 (en) * 1992-01-17 1998-07-30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Fault response support device for elevator remote monitoring device
JP2002316780A (en) * 2001-04-24 2002-10-31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Operation report system used when earthquake occurs
JP2007246183A (en) 2006-03-13 2007-09-27 Toshiba Elevator Co Ltd Operation controller of elevator
WO2007125996A1 (en) 2006-04-26 2007-11-08 Ikeda, Yoshiaki Water quality improving unit and water quality improving device
JP2008019044A (en) * 2006-07-12 2008-01-31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Device for supporting restoration of elevator from earthquake
JP5495684B2 (en) * 2009-09-14 2014-05-21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earthquake damage prediction device
CN102596781A (en) * 2009-10-30 2012-07-18 三菱电机株式会社 Elevato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JP5200049B2 (en) * 2010-03-24 2013-05-15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Wide area disaster recovery support system
JP6319176B2 (en) * 2015-05-13 2018-05-09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Elevator restor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device and restor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method
DE112016006796T5 (en) * 2016-04-26 2019-01-2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PPLICATION MAINTENANCE ASSISTANCE SYSTEM AND LIFT MAINTENANCE ASSISTANCE PROCEDURE
JP6647972B2 (en) * 2016-06-20 2020-02-14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Elevator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information monitoring center
JP6249063B1 (en) * 2016-09-01 2017-12-20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Elevator control panel and maintenance terminal with automatic recovery function
JP6730966B2 (en) * 2017-09-12 2020-07-29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Elevator maintenance work management system and elevator maintenance work management method
CN110155845B (en) * 2019-06-05 2020-09-29 江苏正一物联科技有限公司 Elevator remote control system capable of monitoring faults and disasters simultaneous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9107A (en) 2005-10-25 2007-05-17 Toshiba Elevator Co Ltd Movement management system for maintenance person
JP2007238202A (en) 2006-03-06 2007-09-20 Toshiba Elevator Co Ltd Maintenance/inspection management system
JP2008007308A (en) 2006-06-30 2008-01-17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Operation report system used when earthquake occu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89104A (en) 2022-12-22
JP7097531B1 (en) 2022-07-08
WO2022259712A1 (en) 2022-12-15
CN117425611A (en) 2024-01-19
KR20230150393A (en) 202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4010B2 (en) Elevator maintenance management device
KR102623790B1 (en) Elevator management system
JP2007238202A (en) Maintenance/inspection management system
KR102623792B1 (en) Elevator management system
KR102604449B1 (en) Elevator management system
KR102623791B1 (en) Elevator management system
WO2021176705A1 (en) Elevator control system
CN115367579B (en) Elevator system and maintenance method for elevator system
JP2010024024A (en) Earthquake control preferential communication system
CN117355471B (en) Elevator management system
JP7412316B2 (en) Elevator call registration method and elevator system
WO2022079884A1 (en) Elevator stoppage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JP2017226502A (en)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information monitoring center of elevator
WO2024062538A1 (en) Earthquake damage management system
JP6042285B2 (en) Elevator remote monitoring device
WO2022029898A1 (en) Determination system
JP7364127B2 (en) Elevator call registration system and elevator system
CN117500737B (en) Elevator call registration system and elevator system
WO2024062568A1 (en) Disaster management system for elevator equipment
JP2023135992A (en) Confirmation device and confirmation method
JP4924305B2 (en) Elevator earthquake control system and external terminal for system control
JP2016003087A (en) Operation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of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