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3778B1 -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778B1
KR102623778B1 KR1020190048397A KR20190048397A KR102623778B1 KR 102623778 B1 KR102623778 B1 KR 102623778B1 KR 1020190048397 A KR1020190048397 A KR 1020190048397A KR 20190048397 A KR20190048397 A KR 20190048397A KR 102623778 B1 KR102623778 B1 KR 102623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road surface
wheel speed
speed value
a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4925A (ko
Inventor
김성남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8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778B1/ko
Publication of KR20200124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6Brake regulation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excessive wheel slip during vehicle deceleration, e.g. ABS
    • B60T8/1764Regulation during travel on surface with different coefficients of friction, e.g. between left and right sides, mu-split or between front and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21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deceleration
    • B60T8/329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speed sens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10/00Detection or estimation of road or environment conditions; Detection or estimation of road shapes
    • B60T2210/10Detection or estimation of road conditions
    • B60T2210/12Friction
    • B60T2210/124Roads with different friction le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10ABS contro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B60Y2400/3032Wheel spee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은 휠 속도값을 감지하는 감지부; 감지된 휠 속도값을 기초로 차량 속도값을 판단하고, 감지된 휠 속도값을 기초로 휠 가속도값을 판단하며, 감지된 휠 속도값 및 판단된 차량 속도값을 기초로 휠 슬립값을 판단하는 판단하고, 브레이크 장치의 ABS(Anti-lock Brake System) 모드 동작시에 ABS 모드 동작 시점에 따라 감지된 휠 속도값과 판단된 휠 가속도값 및 판단된 휠 슬립값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며,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이면 고마찰 노면에 대응하는 제동 압력값으로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브레이크 장치의 ABS(Anti-lock Brake System) 모드는 차량이 긴급 제동할 때에, 휠이 잠기는 현상을 방지하였다
일예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7-0042552(2017.04.19)에 기재된 바와 같이, ABS 제어 시스템에서 μ-스플릿 상황이 존재할 때에, 좌측 프론트 휠이 낮은 마찰계수측 상에서 존재하고, 우측 프론트 휠이 높은 마찰 계수측 상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μ-스플릿 상황에서 차량의 슬립-제어 시스템의 제어 전략을 적응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었다.
그런데, 종래 μ-스플릿 상황에서 차량의 슬립-제어 시스템의 제어 전략을 적응시키는 방법은 ABS 제어시에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를 빠르고 정확하게 판단하는데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 μ-스플릿 상황에서 차량의 슬립-제어 시스템의 제어 전략을 적응시키는 방법은 ABS 제어 성능을 빠르고 정확하게 향상시키는데에 한계가 있었으므로, 제동 밀림 현상을 빠르고 정확하게 억제시키는데에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7-0042552(2017.04.19)
본 발명의 실시 예는, ABS 제어시에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를 빠르게 판단하여 제동 밀림 현상을 빠르게 억제시킬 수가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ABS 제어시에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제동 밀림 현상을 정확하게 억제시킬 수가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휠 속도값을 감지하는 감지부; 감지된 휠 속도값을 기초로 차량 속도값을 판단하고, 감지된 휠 속도값을 기초로 휠 가속도값을 판단하며, 감지된 휠 속도값 및 상기 판단된 차량 속도값을 기초로 휠 슬립값을 판단하고, 브레이크 장치의 ABS(Anti-lock Brake System) 모드 동작시에 ABS 모드 동작 시점에 따라 감지된 휠 속도값과 판단된 휠 가속도값 및 판단된 휠 슬립값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며,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이면 고마찰 노면에 대응하는 제동 압력값으로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어부는 ABS 모드 동작 시점이 ABS 제어 진입에 도달한 시점인지를 판단하고, ABS 모드 동작 시점이 ABS 제어 진입에 도달한 시점이면, 판단된 휠 가속도값을 이용하여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어부는 ABS 모드 동작 시점이 ABS 제어 진입 이후에 ABS 제어를 수행하려는 시점인지를 판단하고, ABS 모드 동작 시점이 ABS 제어 진입 이후에 ABS 제어를 수행하려는 시점이면, 감지된 휠 속도값과 판단된 휠 가속도값 및 판단된 휠 슬립값을 이용하여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어부는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할 때에, 감지된 휠 속도값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상태, 감지된 휠 속도값이 상기 판단된 차량 속도값에 지속적으로 수렴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노면 천이 추측 신호가 설정된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노면 천이 추측 신호가 설정된 상태가 아니면, 판단된 차량 속도값 및 감지된 휠 속도값간의 차이값, 감지된 휠 속도값중 좌측 휠속도값과 우측 휠속도값간의 차이값, 및 판단된 휠 가속도값이 설정된 임계값의 범위인지를 판단하며; 임계값의 범위이면, 노면 천이 추측 신호를 설정 준비하면서 노면 천이 상태를 카운팅하기 위한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를 초기화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어부는 임계값의 범위가 아니면, 저마찰 노면에 대응하는 제동 압력값으로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어부는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할 때에, 감지된 휠 속도값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상태, 감지된 휠 속도값이 판단된 차량 속도값에 지속적으로 수렴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노면 천이 추측 신호가 설정된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노면 천이 추측 신호가 설정된 상태이면, 노면 천이 상태를 카운팅하기 위한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를 생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어부는 판단된 차량 속도값 및 감지된 휠 속도값간의 차이값, 감지된 휠 속도값중 좌측 휠속도값과 우측 휠속도값간의 차이값이 설정된 임계값의 범위인지를 판단하고; 임계값의 범위이면,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의 카운팅 값이 설정된 목표 카운팅값의 범위인지를 판단하며; 임계값의 범위가 아니면, 노면 천이 추측 신호를 해제하고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를 초기화하며 저마찰 노면에 대응하는 제동 압력값으로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어부는 목표 카운팅값의 범위이면, 노면 천이 추측 신호를 해제하고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를 초기화하며 노면 천이 상태임을 확신하기 위한 노면 천이 확신 신호를 설정하고 고마찰 노면에 대응하는 제동 압력값으로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휠 속도값을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휠 속도값을 기초로 차량 속도값을 판단하고, 감지된 휠 속도값을 기초로 휠 가속도값을 판단하며, 감지된 휠 속도값 및 판단된 차량 속도값을 기초로 휠 슬립값을 판단하는 단계; 브레이크 장치의 ABS(Anti-lock Brake System) 모드가 동작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ABS 모드가 동작하는 상태이면, ABS 모드 동작 시점에 따라 감지된 휠 속도값과 판단된 휠 가속도값 및 판단된 휠 슬립값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이면, 고마찰 노면에 대응하는 제동 압력값으로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ABS 모드 동작 시점이 ABS 제어 진입에 도달한 시점인지를 판단하고, ABS 모드 동작 시점이 ABS 제어 진입에 도달한 시점이면, 판단된 휠 가속도값을 이용하여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ABS 모드 동작 시점이 ABS 제어 진입 이후에 ABS 제어를 수행하려는 시점인지를 판단하고, ABS 모드 동작 시점이 ABS 제어 진입 이후에 ABS 제어를 수행하려는 시점이면, 감지된 휠 속도값과 판단된 휠 가속도값 및 판단된 휠 슬립값을 이용하여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할 때에, 감지된 휠 속도값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상태, 감지된 휠 속도값이 판단된 차량 속도값에 지속적으로 수렴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노면 천이 추측 신호가 설정된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노면 천이 추측 신호가 설정된 상태가 아니면, 판단된 차량 속도값 및 감지된 휠 속도값간의 차이값, 감지된 휠 속도값중 좌측 휠속도값과 우측 휠속도값간의 차이값, 및 판단된 휠 가속도값이 설정된 임계값의 범위인지를 판단하며; 임계값의 범위이면, 노면 천이 추측 신호를 설정 준비하면서 노면 천이 상태를 카운팅하기 위한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를 초기화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임계값의 범위가 아니면, 저마찰 노면에 대응하는 제동 압력값으로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할 때에, 감지된 휠 속도값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상태, 감지된 휠 속도값이 판단된 차량 속도값에 지속적으로 수렴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노면 천이 추측 신호가 설정된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노면 천이 추측 신호가 설정된 상태이면, 노면 천이 상태를 카운팅하기 위한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를 생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판단된 차량 속도값 및 감지된 휠 속도값간의 차이값, 감지된 휠 속도값중 좌측 휠속도값과 우측 휠속도값간의 차이값이 설정된 임계값의 범위인지를 판단하고; 임계값의 범위이면,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의 카운팅 값이 설정된 목표 카운팅값의 범위인지를 판단하며; 임계값의 범위가 아니면, 노면 천이 추측 신호를 해제하고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를 초기화하며 저마찰 노면에 대응하는 제동 압력값으로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목표 카운팅값의 범위이면, 노면 천이 추측 신호를 해제하고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를 초기화하며 노면 천이 상태임을 확신하기 위한 노면 천이 확신 신호를 설정하고 고마찰 노면에 대응하는 제동 압력값으로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은, ABS 제어시에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를 빠르게 판단하여 제동 밀림 현상을 빠르게 억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은, ABS 제어시에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제동 밀림 현상을 정확하게 억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제어부에서 노면 천이 추측 신호와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 및 노면 천이 확신 신호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는 감지부(102)와 제어부(104)를 포함한다.
감지부(102)는 휠 속도값을 감지한다.
제어부(104)는 감지부(102)에 의해 감지된 휠 속도값을 기초로 차량 속도값을 판단하고, 감지부(102)에 의해 감지된 휠 속도값을 기초로 휠 가속도값을 판단하며, 감지부(102)에 의해 감지된 휠 속도값 및 판단된 차량 속도값을 기초로 휠 슬립값을 판단한다.
이때, 휠 가속도값은 휠 속도값을 미분하여 판단할 수가 있고, 휠 슬립값은 (휠 속도값 - 차량 속도값)/차량 속도값으로 판단할 수가 있다.
또한, 제어부(104)는 브레이크 장치(10)의 ABS(Anti-lock Brake System) 모드(10a) 동작시에 ABS 모드 동작 시점에 따라 감지부(102)에 의해 감지된 휠 속도값과 판단된 휠 가속도값 및 판단된 휠 슬립값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일예로, 제어부(104)는 브레이크 장치(10)의 ABS 모드(10a) 동작 시점이 ABS 제어 진입에 도달한 시점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이때, 제어부(104)는 브레이크 장치(10)의 ABS 모드(10a) 동작 시점이 ABS 제어 진입에 도달한 시점인 것으로 판단하면, 판단된 휠 가속도값을 이용하여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다른 일예로, 제어부(104)는 브레이크 장치(10)의 ABS 모드(10a) 동작 시점이 ABS 제어 진입 이후에 ABS 제어를 수행하려는 시점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이때, 제어부(104)는 브레이크 장치(10)의 ABS 모드(10a) 동작 시점이 ABS 제어 진입 이후에 ABS 제어를 수행하려는 시점인 것으로 판단하면, 감지부(102)에 의해 감지된 휠 속도값과 판단된 휠 가속도값 및 판단된 휠 슬립값을 이용하여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또한, 제어부(104)는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고마찰 노면에 대응하는 제동 압력값으로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브레이크 장치(10)를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1의 100)의 차량 제어 방법(200)은 감지 단계(S202)와 판단 단계(S204) 및 제 1 판단 단계(S206)와 제 2 판단 단계(S208) 및 제어 단계(S210, S212)를 포함한다.
감지 단계(S202)는 휠 속도값을 감지부(도1의 102)에서 감지한다.
판단 단계(S204)는 감지부(도1의 102)에 의해 감지된 휠 속도값을 기초로 차량 속도값을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한다.
또한, 판단 단계(S204)는 감지부(도1의 102)에 의해 감지된 휠 속도값을 기초로 휠 가속도값을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한다.
또한, 판단 단계(S204)는 감지부(도1의 102)에 의해 감지된 휠 속도값 및 판단부(도1의 104)에 의해 판단된 차량 속도값을 기초로 휠 슬립값을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한다.
제 1 판단 단계(S206)는 브레이크 장치(도1의 10)의 ABS(Anti-lock Brake System) 모드(도1의 10a)가 동작하는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한다.
일예로, 제 1 판단 단계(S206)는 브레이크 장치(도1의 10)의 ABS 모드(도1의 10a) 동작 시점이 ABS 제어 진입에 도달한 시점인지를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다른 일예로, 제 1 판단 단계(S206)는 브레이크 장치(도1의 10)의 ABS 모드(도1의 10a) 동작 시점이 ABS 제어 진입 이후에 ABS 제어를 수행하려는 시점인지를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제 2 판단 단계(S208)는 브레이크 장치(도1의 10)의 ABS 모드(도1의 10a)가 동작하는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하면, ABS 모드 동작 시점에 따라 감지부(도1의 102)에 의해 감지된 휠 속도값과 제어부(도1의 104)에 의해 판단된 휠 가속도값 및 제어부(도1의 104)에 의해 판단된 휠 슬립값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한다.
일예로, 제 2 판단 단계(S208)는 브레이크 장치(도1의 10)의 ABS 모드(도1의 10a) 동작 시점이 ABS 제어 진입에 도달한 시점인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하면, 제어부(도1의 104)에 의해 판단된 휠 가속도값을 이용하여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다른 일예로, 제 2 판단 단계(S208)는 브레이크 장치(도1의 10)의 ABS 모드(도1의 10a) 동작 시점이 ABS 제어 진입 이후에 ABS 제어를 수행하려는 시점인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하면, 감지부(도1의 102)에 의해 감지된 휠 속도값과 제어부(도1의 104)에 의해 판단된 휠 가속도값 및 제어부(도1의 104)에 의해 판단된 휠 슬립값을 이용하여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제어 단계(S210)는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하면, 고마찰 노면에 대응하는 제동 압력값으로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부(도1의 104)에서 브레이크 장치(도1의 10)를 제어한다.
반면에, 제어 단계(S212)는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가 아닌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하면, 저마찰 노면에 대응하는 제동 압력값으로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부(도1의 104)에서 브레이크 장치(도1의 10)를 제어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제어부에서 노면 천이 추측 신호와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 및 노면 천이 확신 신호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의 제어부(104)는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할 때에, 휠 속도값(FL, FR, RL, RR)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상태(A), 휠 속도값이 차량 속도값에 지속적으로 수렴하는 상태(B)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노면 천이 추측 신호가 설정된 상태(S3)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이때, FL은 전륜 좌측 휠 속도값이고, FR은 전륜 우측 휠 속도값이며, RL은 후륜 좌측 휠 속도값이고, RR은 후륜 우측 휠 속도값일 수가 있다.
여기서, 제어부(104)는 노면 천이 추측 신호가 설정된 상태(S3)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판단된 차량 속도값 및 감지된 휠 속도값간의 차이값, 감지된 휠 속도값중 좌측 휠속도값과 우측 휠속도값간의 차이값, 및 판단된 휠 가속도값이 설정된 임계값의 범위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이때, 제어부(104)는 휠 속도값(FL, FR, RL, RR)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상태(A)일 때에, 차량 속도값 및 휠 속도값간의 차이값, 휠 속도값중 좌측 휠속도값과 우측 휠속도값간의 차이값, 및 휠 가속도값이 임계값의 범위인 것으로 판단하면, 노면 천이 추측 신호를 설정 준비(S1)하면서 노면 천이 상태를 카운팅하기 위한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를 초기화(S2)할 수가 있다.
또한, 제어부(104)는 휠 속도값(FL, FR, RL, RR)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상태(A)일 때에, 차량 속도값 및 휠 속도값간의 차이값, 휠 속도값중 좌측 휠속도값과 우측 휠속도값간의 차이값, 및 휠 가속도값이 임계값의 범위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저마찰 노면에 대응하는 제동 압력값으로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브레이크 장치(10)를 제어할 수가 있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104)는 휠 속도값(FL, FR, RL, RR)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상태(A)일 때에, 차량 속도값 및 휠 속도값간의 차이값이 제 1 임계값보다 작고, 휠 속도값중 좌측 휠속도값과 우측 휠속도값간의 차이값이 제 2 임계값보다 작으며, 휠 가속도값이 제 3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하면, 노면 천이 추측 신호를 설정 준비(S1)하면서 노면 천이 상태를 카운팅하기 위한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를 초기화(S2)할 수가 있다.
또한, 제어부(104)는 휠 속도값(FL, FR, RL, RR)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상태(A)일 때에, 차량 속도값 및 휠 속도값간의 차이값이 제 1 임계값보다 크거나, 휠 속도값중 좌측 휠속도값과 우측 휠속도값간의 차이값이 제 2 임계값보다 크거나, 휠 가속도값이 제 3 임계값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하면, 저마찰 노면에 대응하는 제동 압력값으로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브레이크 장치(10)를 제어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의 제어부(104)는 노면 천이 추측 신호가 설정된 상태(S3)인 것으로 판단하면, 노면 천이 상태를 카운팅하기 위한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를 생성(S4)할 수가 있다.
이때, 제어부(104)는 휠 속도값(FL, FR, RL, RR)이 차량 속도값(V)에 지속적으로 수렴하는 상태(B)일 때에, 판단된 차량 속도값 및 감지된 휠 속도값간의 차이값, 감지된 휠 속도값중 좌측 휠속도값과 우측 휠속도값간의 차이값이 설정된 임계값의 범위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여기서, 제어부(104)는 휠 속도값(FL, FR, RL, RR)이 차량 속도값(V)에 지속적으로 수렴하는 상태(B)일 때에, 차량 속도값 및 휠 속도값간의 차이값, 휠 속도값중 좌측 휠속도값과 우측 휠속도값간의 차이값이 설정된 임계값의 범위인 것으로 판단하면,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의 카운팅 값이 설정된 목표 카운팅값의 범위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이때, 제어부(104)는 목표 카운팅값의 범위인 것으로 판단하면, 노면 천이 추측 신호를 해제(S5)하고,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를 초기화(S6)하며, 노면 천이 상태임을 확신하기 위한 노면 천이 확신 신호를 설정(S7)하고, 고마찰 노면에 대응하는 제동 압력값으로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브레이크 장치(10)를 제어할 수가 있다.
또한, 제어부(104)는 휠 속도값(FL, FR, RL, RR)이 차량 속도값(V)에 지속적으로 수렴하는 상태(B)일 때에, 차량 속도값 및 휠 속도값간의 차이값, 휠 속도값중 좌측 휠속도값과 우측 휠속도값간의 차이값이 설정된 임계값의 범위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노면 천이 추측 신호를 해제(S5)하고,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를 초기화(S6)하며, 저마찰 노면에 대응하는 제동 압력값으로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브레이크 장치(10)를 제어할 수가 있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104)는 휠 속도값(FL, FR, RL, RR)이 차량 속도값(V)에 지속적으로 수렴하는 상태(B)일 때에, 차량 속도값 및 휠 속도값간의 차이값이 제 4 임계값보다 작고, 휠 속도값중 좌측 휠속도값과 우측 휠속도값간의 차이값이 제 5 임계값보다 작으며,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의 카운팅 값이 목표 카운팅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하면, 노면 천이 추측 신호를 해제(S5)할 수가 있다.
이 후, 제어부(104)는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를 초기화(S6)하며, 노면 천이 상태임을 확신하기 위한 노면 천이 확신 신호를 설정(S7)하고, 고마찰 노면에 대응하는 제동 압력값으로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브레이크 장치(10)를 제어할 수가 있다.
또한, 제어부(104)는 휠 속도값(FL, FR, RL, RR)이 차량 속도값(V)에 지속적으로 수렴하는 상태(B)일 때에, 차량 속도값 및 휠 속도값간의 차이값이 제 4 임계값보다 크거나, 휠 속도값중 좌측 휠속도값과 우측 휠속도값간의 차이값이 제 5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하면, 노면 천이 추측 신호를 해제(S5)할 수가 있다.
이 후, 제어부(104)는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를 초기화(S6)하며, 저마찰 노면에 대응하는 제동 압력값으로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브레이크 장치(10)를 제어할 수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1의 100)의 차량 제어 방법중 제 2 판단 단계(S208)는 제 1 단계(S208a)와 제 2 단계(S208b, S208c, S208d) 및 제 3 단계(S208e, S208f)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제 1 단계(S208a)는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할 때에, 휠 속도값(도3의 FL, FR, RL, RR)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상태(도3의 A), 휠 속도값(도3의 FL, FR, RL, RR)이 차량 속도값(도3의 V)에 지속적으로 수렴하는 상태(도3의 B)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노면 천이 추측 신호가 설정된 상태(도3의 S3)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여기서, 제 2 단계(S208b, S208c, S208d)는 노면 천이 추측 신호가 설정된 상태(도3의 S3)가 아닌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하면(S208a), 판단된 차량 속도값 및 감지된 휠 속도값간의 차이값, 감지된 휠 속도값중 좌측 휠속도값과 우측 휠속도값간의 차이값, 및 판단된 휠 가속도값이 설정된 임계값의 범위인지를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3 단계(S208e)는 휠 속도값(도3의 FL, FR, RL, RR)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상태(도3의 A)일 때에, 차량 속도값 및 휠 속도값간의 차이값, 휠 속도값중 좌측 휠속도값과 우측 휠속도값간의 차이값, 및 휠 가속도값이 임계값의 범위인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하면(S208b, S208c, S208d), 제어부(도1의 104)에서 노면 천이 추측 신호를 설정 준비(도3의 S1)할 수가 있다.
이 후, 제 3 단계(S208f)는 제어부(도1의 104)에서 노면 천이 상태를 카운팅하기 위한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를 초기화(도3의 S2)할 수가 있다.
또한, 제 2 단계(S208b, S208c, S208d)는 휠 속도값(도3의 FL, FR, RL, RR)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상태(도3의 A)일 때에, 차량 속도값 및 휠 속도값간의 차이값, 휠 속도값중 좌측 휠속도값과 우측 휠속도값간의 차이값, 및 휠 가속도값이 임계값의 범위가 아닌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하면, 저마찰 노면에 대응하는 제동 압력값으로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부(도1의 104)에서 브레이크 장치(도1의 10)를 제어할 수가 있다(도2의 S212).
다시 말하면, 제 3 단계(S208e)는 휠 속도값(도3의 FL, FR, RL, RR)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상태(도3의 A)일 때에, 차량 속도값 및 휠 속도값간의 차이값이 제 1 임계값보다 작고(S208b), 휠 속도값중 좌측 휠속도값과 우측 휠속도값간의 차이값이 제 2 임계값보다 작으며(S208c), 휠 가속도값이 제 3 임계값보다 큰 것(S208d)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하면, 제어부(도1의 104)에서 노면 천이 추측 신호를 설정 준비(도3의 S1)할 수가 있다.
이 후, 제 3 단계(S208f)는 제어부(도1의 104)에서 노면 천이 상태를 카운팅하기 위한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를 초기화(도3의 S2)할 수가 있다.
또한, 제 2 단계(S208b)는 휠 속도값(도3의 FL, FR, RL, RR)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상태(A)일 때에, 차량 속도값 및 휠 속도값간의 차이값이 제 1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하면, 저마찰 노면에 대응하는 제동 압력값으로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부(도1의 104)에서 브레이크 장치(도1의 10)를 제어할 수가 있다(도2의 S212).
또한, 제 2 단계(S208c)는 휠 속도값(도3의 FL, FR, RL, RR)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상태(A)일 때에, 휠 속도값중 좌측 휠속도값과 우측 휠속도값간의 차이값이 제 2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하면, 저마찰 노면에 대응하는 제동 압력값으로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부(도1의 104)에서 브레이크 장치(도1의 10)를 제어할 수가 있다(도2의 S212).
또한, 제 2 단계(S208d)는 휠 속도값(도3의 FL, FR, RL, RR)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상태(A)일 때에, 휠 가속도값이 제 3 임계값보다 작은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하면, 저마찰 노면에 대응하는 제동 압력값으로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부(도1의 104)에서 브레이크 장치(도1의 10)를 제어할 수가 있다(도2의 S212).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1의 100)의 차량 제어 방법중 제 2 판단 단계(S208)는 제 4 단계(S208g)와 제 5 단계(S208h, S208i) 및 제 6 단계(S208j)와 제 7 단계(S208k, S208l, S208m) 및 제 8 단계(S208n, S208p)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제 4 단계(S208g)는 노면 천이 추측 신호가 설정된 상태(도3의 S3)인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하면(S208a), 노면 천이 상태를 카운팅하기 위한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를 제어부(도1의 104)에서 생성(도4의 S4)할 수가 있다.
이때, 제 5 단계(S208h, S208i)는 휠 속도값(도3의 FL, FR, RL, RR)이 차량 속도값(도3의 V)에 지속적으로 수렴하는 상태(도3의 B)일 때에, 판단된 차량 속도값 및 감지된 휠 속도값간의 차이값, 감지된 휠 속도값중 좌측 휠속도값과 우측 휠속도값간의 차이값이 설정된 임계값의 범위인지를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여기서, 제 6 단계(S208j)는 휠 속도값(도3의 FL, FR, RL, RR)이 차량 속도값(도3의 V)에 지속적으로 수렴하는 상태(도3의 B)일 때에, 차량 속도값 및 휠 속도값간의 차이값, 휠 속도값중 좌측 휠속도값과 우측 휠속도값간의 차이값이 설정된 임계값의 범위인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하면(S208h, S208i),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의 카운팅 값이 설정된 목표 카운팅값의 범위인지를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7 단계(S208k)는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의 카운팅 값이 목표 카운팅값의 범위인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하면, 제어부(도1의 104)에서 노면 천이 추측 신호를 해제(도3의 S5)할 수가 있다.
이 후, 제 7 단계(S208l, S208m)는 제어부(도1의 104)에서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를 초기화(도3의 S6)하며(S208l), 제어부(도1의 104)에서 노면 천이 상태임을 확신하기 위한 노면 천이 확신 신호를 설정(도3의 S7)하고(S208m), 고마찰 노면에 대응하는 제동 압력값으로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부(도1의 104)에서 브레이크 장치(도1의 10)를 제어할 수가 있다(도2의 S210).
또한, 제 8 단계(S208n)는 휠 속도값(도3의 FL, FR, RL, RR)이 차량 속도값(도3의 V)에 지속적으로 수렴하는 상태(도3의 B)일 때에, 차량 속도값 및 휠 속도값간의 차이값, 휠 속도값중 좌측 휠속도값과 우측 휠속도값간의 차이값이 설정된 임계값의 범위가 아닌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하면(S208h, S208i), 제어부(도1의 104)에서 노면 천이 추측 신호를 해제(도3의 S5)할 수가 있다.
이 후, 제 8 단계(S208p)는 제어부(도1의 104)에서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를 초기화(도3의 S6)하며, 저마찰 노면에 대응하는 제동 압력값으로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부(도1의 104)에서 브레이크 장치(도1의 10)를 제어할 수가 있다(도2의 S212).
다시 말하면, 제 7 단계(S208k)는 휠 속도값(도3의 FL, FR, RL, RR)이 차량 속도값(도3의 V)에 지속적으로 수렴하는 상태(도3의 B)일 때에, 차량 속도값 및 휠 속도값간의 차이값이 제 4 임계값보다 작고(S208h), 휠 속도값중 좌측 휠속도값과 우측 휠속도값간의 차이값이 제 5 임계값보다 작으며(S208i),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의 카운팅 값이 목표 카운팅값보다 큰 것(S208j)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하면, 제어부(도1의 104)에서 노면 천이 추측 신호를 해제(도3의 S5)할 수가 있다.
이 후, 제 7 단계(S208l)는 제어부(도1의 104)에서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를 초기화(도3의 S6)할 수가 있다.
이 후, 제 7 단계(S208m)는 제어부(도1의 104)에서 노면 천이 상태임을 확신하기 위한 노면 천이 확신 신호를 설정(도3의 S7)할 수가 있고, 고마찰 노면에 대응하는 제동 압력값으로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부(도1의 104)에서 브레이크 장치(도1의 10)를 제어할 수가 있다(도2의 S210).
또한, 제 8 단계(S208n)는 휠 속도값(도3의 FL, FR, RL, RR)이 차량 속도값(도3의 V)에 지속적으로 수렴하는 상태(도3의 B)일 때에, 차량 속도값 및 휠 속도값간의 차이값이 제 4 임계값보다 큰 것(S208h)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하면, 제어부(도1의 104)에서 노면 천이 추측 신호를 해제(도3의 S5)할 수가 있다.
이 후, 제 8 단계(S208p)는 제어부(도1의 104)에서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를 초기화(도3의 S6)하며, 저마찰 노면에 대응하는 제동 압력값으로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부(도1의 104)에서 브레이크 장치(도1의 10)를 제어할 수가 있다(도2의 S212).
또한, 제 8 단계(S208n)는 휠 속도값(도3의 FL, FR, RL, RR)이 차량 속도값(도3의 V)에 지속적으로 수렴하는 상태(도3의 B)일 때에, 휠 속도값중 좌측 휠속도값과 우측 휠속도값간의 차이값이 제 5 임계값보다 큰 것(S208i)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하면, 제어부(도1의 104)에서 노면 천이 추측 신호를 해제(도3의 S5)할 수가 있다.
이 후, 제 8 단계(S208p)는 제어부(도1의 104)에서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를 초기화(도3의 S6)하며, 저마찰 노면에 대응하는 제동 압력값으로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부(도1의 104)에서 브레이크 장치(도1의 10)를 제어할 수가 있다(도2의 S212).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의 감지부(102)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휠 속도값을 감지하기 위한 휠 속도 센서(미도시)일 수가 있다.
또한, 감지부(102)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차량 속도값을 감지하기 위한 차량 속도 센서(미도시)와, 휠 가속도값을 감지하기 위한 휠 가속도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의 제어부(10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차량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판단하기 위한 ECU(Electronic Control Unit, 미도시) 또는 MCU(Micro Control Unit, 미도시)일 수가 있다.
또한, 제어부(104)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차량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판단할 수 있는 모든 제어 수단과 판단 수단이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및 차량 제어 방법(200)은 브레이크 장치(10)의 ABS(Anti-lock Brake System) 모드(10a) 동작시에, ABS 모드 동작 시점에 따라 감지된 휠 속도값과 판단된 휠 가속도값 및 판단된 휠 슬립값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및 차량 제어 방법(200)은 브레이크 장치(10)의 ABS 제어시에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를 빠르게 판단할 수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및 차량 제어 방법(200)은 ABS 제어 성능을 빠르게 향상시킬 수가 있으므로, 제동 밀림 현상을 빠르게 억제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및 차량 제어 방법(200)은 제어부(104)에서 노면 천이 추측 신호와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 및 노면 천이 확신 신호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및 차량 제어 방법(200)은 브레이크 장치(10)의 ABS 제어시에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및 차량 제어 방법(200)은 ABS 제어 성능을 정확하게 향상시킬 수가 있으므로, 제동 밀림 현상을 정확하게 억제시킬 수가 있게 된다.

Claims (16)

  1. 휠 속도값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된 휠 속도값을 기초로 차량 속도값을 판단하고, 상기 감지된 휠 속도값을 기초로 휠 가속도값을 판단하며, 상기 감지된 휠 속도값 및 상기 판단된 차량 속도값을 기초로 휠 슬립값을 판단하고,
    브레이크 장치의 ABS(Anti-lock Brake System) 모드 동작시에 ABS 모드 동작 시점에 따라 감지된 휠 속도값과 상기 판단된 휠 가속도값 및 상기 판단된 휠 슬립값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저마찰 노면에서 상기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이면 상기 고마찰 노면에 대응하는 제동 압력값으로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할 때에,
    상기 감지된 휠 속도값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상태, 상기 감지된 휠 속도값이 상기 판단된 차량 속도값에 지속적으로 수렴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노면 천이 추측 신호가 설정된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노면 천이 추측 신호가 설정된 상태가 아니면, 상기 판단된 차량 속도값 및 상기 감지된 휠 속도값간의 차이값, 상기 감지된 휠 속도값중 좌측 휠속도값과 우측 휠속도값간의 차이값, 및 상기 판단된 휠 가속도값이 설정된 임계값의 범위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임계값의 범위이면, 상기 노면 천이 추측 신호를 설정 준비하면서 노면 천이 상태를 카운팅하기 위한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를 초기화하는 차량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ABS 모드 동작 시점이 ABS 제어 진입에 도달한 시점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ABS 모드 동작 시점이 상기 ABS 제어 진입에 도달한 시점이면, 상기 판단된 휠 가속도값을 이용하여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차량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ABS 모드 동작 시점이 ABS 제어 진입 이후에 ABS 제어를 수행하려는 시점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ABS 모드 동작 시점이 상기 ABS 제어 진입 이후에 ABS 제어를 수행하려는 시점이면, 상기 감지된 휠 속도값과 상기 판단된 휠 가속도값 및 상기 판단된 휠 슬립값을 이용하여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차량 제어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계값의 범위가 아니면, 상기 저마찰 노면에 대응하는 제동 압력값으로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는 차량 제어 장치.
  6. 휠 속도값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된 휠 속도값을 기초로 차량 속도값을 판단하고, 상기 감지된 휠 속도값을 기초로 휠 가속도값을 판단하며, 상기 감지된 휠 속도값 및 상기 판단된 차량 속도값을 기초로 휠 슬립값을 판단하고,
    브레이크 장치의 ABS(Anti-lock Brake System) 모드 동작시에 ABS 모드 동작 시점에 따라 감지된 휠 속도값과 상기 판단된 휠 가속도값 및 상기 판단된 휠 슬립값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저마찰 노면에서 상기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이면 상기 고마찰 노면에 대응하는 제동 압력값으로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할 때에,
    상기 감지된 휠 속도값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상태, 상기 감지된 휠 속도값이 상기 판단된 차량 속도값에 지속적으로 수렴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노면 천이 추측 신호가 설정된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노면 천이 추측 신호가 설정된 상태이면, 노면 천이 상태를 카운팅하기 위한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제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차량 속도값 및 상기 감지된 휠 속도값간의 차이값, 상기 감지된 휠 속도값중 좌측 휠속도값과 우측 휠속도값간의 차이값이 설정된 임계값의 범위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임계값의 범위이면, 상기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의 카운팅 값이 설정된 목표 카운팅값의 범위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임계값의 범위가 아니면, 상기 노면 천이 추측 신호를 해제하고 상기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를 초기화하며 상기 저마찰 노면에 대응하는 제동 압력값으로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는 차량 제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 카운팅값의 범위이면,
    상기 노면 천이 추측 신호를 해제하고 상기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를 초기화하며 상기 노면 천이 상태임을 확신하기 위한 노면 천이 확신 신호를 설정하고 고마찰 노면에 대응하는 제동 압력값으로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는 차량 제어 장치.
  9. 휠 속도값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휠 속도값을 기초로 차량 속도값을 판단하고, 상기 감지된 휠 속도값을 기초로 휠 가속도값을 판단하며, 상기 감지된 휠 속도값 및 상기 판단된 차량 속도값을 기초로 휠 슬립값을 판단하는 단계;
    브레이크 장치의 ABS(Anti-lock Brake System) 모드가 동작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ABS 모드가 동작하는 상태이면, ABS 모드 동작 시점에 따라 감지된 휠 속도값과 상기 판단된 휠 가속도값 및 상기 판단된 휠 슬립값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저마찰 노면에서 상기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이면, 상기 고마찰 노면에 대응하는 제동 압력값으로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할 때에,
    상기 감지된 휠 속도값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상태, 상기 감지된 휠 속도값이 상기 판단된 차량 속도값에 지속적으로 수렴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노면 천이 추측 신호가 설정된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노면 천이 추측 신호가 설정된 상태가 아니면, 상기 판단된 차량 속도값 및 상기 감지된 휠 속도값간의 차이값, 상기 감지된 휠 속도값중 좌측 휠속도값과 우측 휠속도값간의 차이값, 및 상기 판단된 휠 가속도값이 설정된 임계값의 범위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임계값의 범위이면, 상기 노면 천이 추측 신호를 설정 준비하면서 노면 천이 상태를 카운팅하기 위한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를 초기화하는 차량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ABS 모드 동작 시점이 ABS 제어 진입에 도달한 시점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ABS 모드 동작 시점이 상기 ABS 제어 진입에 도달한 시점이면, 상기 판단된 휠 가속도값을 이용하여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차량 제어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ABS 모드 동작 시점이 ABS 제어 진입 이후에 ABS 제어를 수행하려는 시점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ABS 모드 동작 시점이 상기 ABS 제어 진입 이후에 ABS 제어를 수행하려는 시점이면, 상기 감지된 휠 속도값과 상기 판단된 휠 가속도값 및 상기 판단된 휠 슬립값을 이용하여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차량 제어 방법.
  12. 삭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의 범위가 아니면, 상기 저마찰 노면에 대응하는 제동 압력값으로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는 차량 제어 방법.
  14. 휠 속도값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휠 속도값을 기초로 차량 속도값을 판단하고, 상기 감지된 휠 속도값을 기초로 휠 가속도값을 판단하며, 상기 감지된 휠 속도값 및 상기 판단된 차량 속도값을 기초로 휠 슬립값을 판단하는 단계;
    브레이크 장치의 ABS(Anti-lock Brake System) 모드가 동작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ABS 모드가 동작하는 상태이면, ABS 모드 동작 시점에 따라 감지된 휠 속도값과 상기 판단된 휠 가속도값 및 상기 판단된 휠 슬립값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저마찰 노면에서 상기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이면, 상기 고마찰 노면에 대응하는 제동 압력값으로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저마찰 노면에서 고마찰 노면으로 천이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할 때에,
    상기 감지된 휠 속도값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상태, 상기 감지된 휠 속도값이 상기 판단된 차량 속도값에 지속적으로 수렴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노면 천이 추측 신호가 설정된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노면 천이 추측 신호가 설정된 상태이면, 노면 천이 상태를 카운팅하기 위한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차량 속도값 및 상기 감지된 휠 속도값간의 차이값, 상기 감지된 휠 속도값중 좌측 휠속도값과 우측 휠속도값간의 차이값이 설정된 임계값의 범위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임계값의 범위이면, 상기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의 카운팅 값이 설정된 목표 카운팅값의 범위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임계값의 범위가 아니면, 상기 노면 천이 추측 신호를 해제하고 상기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를 초기화하며 상기 저마찰 노면에 대응하는 제동 압력값으로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는 차량 제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카운팅값의 범위이면,
    상기 노면 천이 추측 신호를 해제하고 상기 노면 천이 카운팅 신호를 초기화하며 상기 노면 천이 상태임을 확신하기 위한 노면 천이 확신 신호를 설정하고 고마찰 노면에 대응하는 제동 압력값으로 ABS 제어를 수행하도록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하는 차량 제어 방법.
KR1020190048397A 2019-04-25 2019-04-25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KR102623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397A KR102623778B1 (ko) 2019-04-25 2019-04-25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397A KR102623778B1 (ko) 2019-04-25 2019-04-25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925A KR20200124925A (ko) 2020-11-04
KR102623778B1 true KR102623778B1 (ko) 2024-01-11

Family

ID=73571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397A KR102623778B1 (ko) 2019-04-25 2019-04-25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778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8720B2 (ja) * 1993-01-29 2000-07-24 トキコ株式会社 アンチスキッド制御装置
DE102014216265A1 (de) 2014-08-15 2016-02-18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r Anpassung der Regelstrategie eines Schlupfregelsystems eines Fahrzeugs in einer μ-Split-Sit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925A (ko) 202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9148B2 (ja) 車両制御装置
JP5156717B2 (ja) 2輪車用ブレーキ制御装置
US8676463B2 (en) Travel controlling apparatus of vehicle
WO1996002410A1 (fr) Unite de commande antipatinage des roues
US6928356B2 (en) Antiskid control system for four-wheel-drive vehicle
KR101249216B1 (ko) 전자 제어 가능 차동 락의 락킹 정도를 제어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1083201B1 (ko) 차량의 제어방법
KR101619418B1 (ko) 차량의 제동 장치 및 방법
JP2001270432A (ja) 車両におけるブレーキ・システム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2623778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JP2007296908A (ja) 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JP5749124B2 (ja) 二輪車用車両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JP4680872B2 (ja) 自動二輪車用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JP4897732B2 (ja) バーハンドル車両用リフト傾向判定装置
JP5916879B2 (ja) 1チャンネルabsシステムにおける基準車体速度の切り替え検出を行うモータサイクル及びその方法
US20170066422A1 (en) Method For Setting A Slip Threshold and Vehicle Movement Dynamics Control Device
KR100774122B1 (ko) 차량의 안정성 제어방법
KR101372348B1 (ko) 차량의 제동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3496401B2 (ja) アンチスキッド制御装置
JP2015209047A (ja) ブレーキ装置
JP5040562B2 (ja) アンチスキッド制御装置
KR100946190B1 (ko) 요우레이트센서의 충격 오프셋 에러 검출방법
JP2001071887A (ja) アンチスキッドブレーキ制御装置
KR101365008B1 (ko) 차량 자세 제어방법
KR100401876B1 (ko) 차량용 안티브레이크시스템의 작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