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728B1 - 프레임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프레임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728B1
KR102622728B1 KR1020180011398A KR20180011398A KR102622728B1 KR 102622728 B1 KR102622728 B1 KR 102622728B1 KR 1020180011398 A KR1020180011398 A KR 1020180011398A KR 20180011398 A KR20180011398 A KR 20180011398A KR 102622728 B1 KR102622728 B1 KR 102622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ers
support
box
frames
suppo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2063A (ko
Inventor
김경중
탁승식
신용승
이서준
이용순
지국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1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728B1/ko
Priority to PCT/KR2019/000706 priority patent/WO2019151683A1/ko
Priority to US16/962,343 priority patent/US11167884B2/en
Publication of KR20190092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65D25/108Devices, e.g. plates, presenting apertures through which the articles proj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을 포장하기 위한 프레임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들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갖는 박스와, 수용 공간 내에 상하로 적층되어 프레임들의 일부 구간을 지지하는 복수의 서포터들과, 박스의 내부 측벽에 배치되어 복수의 서포터들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레임 포장박스{FRAME PACKAGEING BOX}
본 발명은 전자제품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들을 수용하기 위한 프레임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근래에는 사각 링 형상의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측면 케이스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하좌우 네 측면을 덮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을 최소화되도록 하고 있다.
프레임은 바 형상부재를 사각 링 형상으로 밴딩하여 형성되며, 복수의 프레임들이 하나의 박스 내에 적재된 상태로 보관 및 운반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복수의 프레임들이 보다 용이하게 포장되도록 할 수 있는 프레임 포장박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서로 다른 크기에 프레임들을 함께 포장할 수 있는 프레임 포장박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프레임 포장박스는 프레임들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갖는 박스와,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상하로 적층되어 상기 프레임들의 일부 구간을 지지하는 복수의 서포터들과, 상기 박스의 내부 측벽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서포터들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서포터들은 상기 프레임의 일부 구간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상면에 마련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서포터들은 상기 지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돌기와, 상기 지지부의 하면에 오목하게 마련되어 그 하측에 위치한 상기 서포터의 상기 지지돌기가 삽입되는 지지홈을 각각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서포터들은 상기 프레임의 모서리 부위를 지지하는 코너부 서포터를 포함하며, 상기 코너부 서포터는 L자 형상으로 마련된 상기 안착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안착홈을 중심으로 외측 상면에 마련된 L자 형성의 외측 지지돌기와, 상기 안착홈을 중심으로 내측 상면에 마련된 내측 지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홈은 상기 외측 지지돌기와 대응하는 L자 형상의 외측 지지홈과, 상기 내측 지지돌기와 대응하는 형상의 내측 지지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서포터들은 상기 프레임의 직선부를 지지하는 직선부 서포터를 포함하며, 상기 직선부 서포터는 일자 형상으로 마련된 상기 안착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안착홈을 중심으로 외측 상면에 마련된 일자 형상제 1 지지돌기와, 상기 안착홈을 중심으로 내측 상면에 마련된 일자 형상의 제 2 지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홈은 상기 외측 지지돌기와 대응하는 일자 형상의 외측 지지홈과, 상기 내측 지지돌기와 대응하는 일자 형상의 내측 지지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프레임 포장박스는 제 1 프레임들과 상기 제 1 프레임 보다 작은 제 2 프레임들을 함께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갖는 박스와, 상기 박스의 내부 측면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하로 적층되어 상기 제 1 프레임들의 일부 구간을 지지하는 복수의 제 1 서포터들과, 상기 복수의 제 1 서포터들의 내측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 2 프레임들의 일부 구간을 지지하는 복수의 제 2 서포터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박스는 그 내부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제 1 서포터들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레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서포터는 상면에 상기 제 1 프레임의 일부 구간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마련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서포터는 상기 박스의 모서리 부위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 1 프레임들의 모서리 부위를 지지하는 복수의 제 1 코너부 서포터들과, 상기 복수의 제 1 코너부 서포터들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프레임들의 직선 부위를 지지하는 복수의 제 1 직선부 서포터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 1 코너부 서포터들은 L자 형상으로 마련된 상기 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 1 직선부 서포터들은 일자 형상으로 마련된 상기 안착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 서포터는 상면에 상기 제 2 프레임의 일부 구간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마련된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 서포터는 상기 박스의 모서리 부위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 2 프레임들의 모서리 부위를 지지하는 복수의 제 2 코너부 서포터들과, 상기 복수의 제 2 코너부 서포터들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프레임들의 직선 부위를 지지하는 복수의 제 2 직선부 서포터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박스는 상기 복수의 제 1 서포터들 중 최하층을 형성하는 제 1 서포터들과 상기 복수의 제 2 서포터들 중 최하층을 형성하는 제 2 서포터들이 서로 이격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바텀 스페이서들과, 상기 복수의 제 1 서포터들 중 최상층을 형성하는 제 1 서포터들과 상기 복수의 제 2 서포터들 중 최상층을 형성하는 제 2 서포터들이 서로 이격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탑 스페이서들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 1 서포터들 및 상기 복수의 제 2 서포터들은 그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돌기들과, 그 하면에 오목하게 마련되어 상기 지지돌기가 삽입되는 지지홈들을 각각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텀 스페이서들은 상기 제 1 서포터들의 상기 지지홈들에 삽입되는 제 1 스페이서 돌기와, 상기 제 2 서포터들의 상기 지지홈들에 삼입되는 제 2 스페이서 돌기를 각각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탑 스페이서는 상기 제 1 서포터들의 상기 지지돌기들이 삽입되는 제 1 스페이서 홀과, 상기 제 2 서포터들의 상기 지지돌기들이 삽입되는 제 2 스페이서 홀을 각각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포장박스는 프레임을 지지하는 서포터들이 가이드레일을 통해 차례로 적층되므로 서포터들을 보다 용이하게 박스 내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프레임 포장박스는 제 1 서포터들과 제 1 서포터들 내측에 이격 배치되는 제 2 서포터들을 통해 박스 내에 제 1 프레임과 제 1 프레임 보다 작은 제 2 프레임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포장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포장 박스에서 바텀 커버가 박스에 설치되는 과정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포장 박스에서 가이드레일이 박스에 설치되는 과정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포장 박스에서 서포터들이 설치되는 과정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포장 박스에 적용된 서포터들 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포장 박스에서 프레임들이 수용되는 과정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포장 박스에서 프레임들이 안착된 서포터의 상측에 다시 서포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포장 박스에서 박스 내에 프레임들의 수용이 완료된 후 탑 커버가 설치되는 과정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이며, 본 출원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포장박스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포장박스(1)는 프레임(F1, F2)들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10a)을 형성하는 박스(10)와, 박스(10)에 상하로 이동하며 적층되어 프레임(F1, F2)들을 지지하는 서포터(11, 12)들과, 서포터(11, 12)들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3)을 포함한다.
박스(10)는 상면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측이 수용 공간(10a)을 형성하며, 박스(10)는 그 상부에 연결되어 수용 공간(10a)을 폐쇄하는 네 개의 커버부(10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박스(10)의 수용 공간(10a)에는 사각 링 형상의 제 1 프레임(F1)들과, 사각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 1 프레임(F1)에 비해 작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제 1 프레임(F1)들의 내측에 수용되는 제 2 프레임(F2)들이 수용된다.
박스(10)는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박스(10)의 내부 하면을 덮는 바텀 커버(14, 도 2 참조)와, 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용 공간(10a) 내에 프레임(F1, F2)들의 수용이 완료된 후 프레임(F1, F2)들의 상측을 덮는 탑 커버(15)를 포함한다.
가이드레일(13)은 상하로 길게 연장되며 박스(10)의 내부 측면에 스크류나 양면테이프 등을 통해 고정된다. 가이드레일(13)은 복수개가 박스(10)의 내부 측면에 서로 이격 배치된다.
서포터(11, 12)는 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사출 성형 등의 방식을 통해 대량 생산될 수 있다. 따라서 서포터(11, 12)들의 제조는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일단 사용된 후에도 다시 수거되어 용이하게 재사용될 수 있다.
서포터(11, 12)들은 제 1 프레임(F1)들을 지지하는 제 1 서포터(11)들과, 제 1 서포터(11)들의 내측에 이격 배치되어 제 2 프레임(F2)들을 지지하는 제 2 서포터(12)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하나의 박스(10) 내에 제 1 프레임(F1)들과 제 1 프레임(F1)들에 비해 작은 제 2 프레임(F2)들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다.
제 1 서포터(11)는 제 1 프레임(F1)의 일부 구간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부(111)와, 제 1 지지부(111)의 일측에 연결되며 가이드레일(13)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112)를 포함한다.
제 2 서포터(12)는 제 2 프레임(F2)의 일구 구간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부(121)를 포함한다.
제 1 서포터(11)의 제 1 지지부(111)와 제 2 서포터(12)의 제 2 지지부(121)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제 1 서포터(11)는 제 2 서포터(12)에 가이드부(112)를 추가한 형태로 형성된다.
지지부(111, 121)는 대략 사각 블록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상면에 마련되어 프레임(F1, F2)들의 일부 구간이 안착되는 안착홈(111a, 121a)을 포함한다. 안착홈(111a, 121a)은 프레임(F1, F2)의 모서리 부위에 대응하도록 L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프레임(F1, F2)의 직선 부위에 대응하도록 일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서포터(11, 12)는 지지부(111, 121)에 마련된 안착홈(111a, 121a)의 형태에 따라 프레임(F1, F2)의 모서리 부위를 지지하는 코너부 서포터(110A, 120A)와 프레임(F1, F2)의 직선 부위를 지지하는 직선부 서포터(110B, 120B)로 나누어진다. 즉, 제 1 서포터(11)는 제 1 코너부 서포터(110A)와 제 1 직선부 서포터(110B)를 포함하며, 제 2 서포터(12)는 제 2 코너부 서포터(120A)와 제 2 직선부 서포터(120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제 1 프레임(F1)은 4개의 제 1 코너부 서포터(110A)들 및 6개의 제 1 직선부 서포터(110B)들에 의해 지지되며, 하나의 제 2 프레임(F2)은 4개의 제 2 코너부 서포터(120A)들 및 6개의 제 2 직선부 서포터(120B)들에 의해 지지된다. 즉, 제 1 프레임(F1)들은 10개의 제 1 서포터(11)들에 의해 각각 지지되고, 제 2 프레임(F2)들은 10개의 제 2 서포터(12)들에 의해 각각 지지된다.
서포터(11, 12)들은 지지부(111, 12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돌기(111b, 111c, 121b, 121c)와, 지지부(111, 121)의 하면에 오목하게 마련되어 하측에 위치한 서포터(11, 12)의 지지돌기(111b, 111c, 121b, 121c)가 삽입되는 지지홈(111d, 111e, 121d, 121e)을 각각 포함한다.
지지돌기(111b, 111c, 121b, 121c)는 안착홈(111a, 121a)을 중심으로 외측에 위치한 외측 지지돌기(111b, 121b)와, 안착홈(111a, 121a)을 중심으로 내측에 위치한 내측 돌기(111c, 121c)를 포함하며, 지지홈(111d, 111e, 121d, 121e)은 외측 지지돌기(111b, 121b)와 대응하는 외측 지지홈(111d, 121d)과 내측 지지돌기(111c, 121c)와 대응하는 내측 지지홈(111e, 121e)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코너부 서포터(110A)들 및 제 2 코너부 서포터(120A)들은 L자 형상의 외측 지지돌기(111b, 121b)들과 L자 형상의 외측 지지홈(111d, 121d)들을 포함하며, 제 1 직선부 서포터(110B)들과 제 2 직선부 서포터(120B)들은 각각 일자 형상으로 형성된 외측 지지돌기(111d, 121d)들과 내측 지지돌기(111b, 121b)들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외측"은 서포터(11, 12)에서 안착홈(111a, 121a)을 중심으로 박스(10)의 내부 측면에 인접한 부위를 나타내며, "내측"는 서포터(11, 12)에서 안착홈(111a, 121a)을 중심으로 박스(10)의 내부 중앙측에 인접한 부위를 나타내기 위한 표현이다.
따라서, 서포터(11, 12)들은 지지돌기(111b, 111c, 121b, 121c)와 지지홈(111d, 111e, 121d, 121e)을 통해 그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한 서포터(11, 12)들에 지지되므로 서포터(11, 12)들이 상하로 적층된 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박스(10)는 도 3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서포터(11)와 제 2 서포터(12)가 서로 이격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바텀 스페이서(16, 17)와 탑 스페이서(18, 19)를 포함한다. 바텀 스페이서(16, 17) 및 탑 스페이서(18, 19)는 제 1 서포터(11)들 및 제 2 서포터(12)들을 지지하므로 하나의 층을 형성하는 제 1 서포터(11)들 및 제 2 서포터(12)들과 동일한 개수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최하층을 형성하는 제 1 서포터(11)들 및 제 2 서포터(12)들은 각각 10개씩 마련되어 있으므로 프레임 포장박스(1)는 바텀 스페이서(16, 17)들 및 탑 스페이서(18, 19)들을 각각 10개씩 포함한다.
바텀 스페이서(16, 17)들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 등을 통해 바텀 커버(14)의 상면에 고정된다.
바텀 스페이서(16, 17)들은 제 1 코너부 서포터(110A)와 제 2 코너부 서포터(120A)가 서로 이격 배치되도록 하는 바텀 코너부 스페이서(16)들과, 제 1 직선부 서포터(110B)와 제 2 직선부 서포터(120B)가 서로 이격 배치되도록 하는 바텀 직선부 스페이서(17)들을 포함한다.
바텀 스페이서(16, 17)는 바텀 스페이서(16, 17)의 상면으로부터 제 1 서포터(11)의 외측 지지돌기(111b) 및 내측 지지돌기(111c)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되는 두 개의 제 1 스페이서 돌기(16a, 17a)들과, 바텀 스페이서(16, 17)의 상면으로부터 제 2 서포터(12)의 외측 지지돌기(121b) 및 내측 지지돌기(121c)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되는 두 개의 제 2 스페이서 돌기(16b, 17b)들을 포함한다. 제 1 스페이서 돌기(16a, 17a)들과 제 2 스페이서 돌기(16b, 17b)들은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다.
제 1 스페이서 돌기(16a, 17a)들은 제 1 서포터(11)들 중 최하층을 형성하는 제 1 서포터(11)의 외측 지지홈(111d) 및 내측 지지홈(111e)에 삽입되고 제 2 스페이서 돌기(16b, 17b)들은 제 2 서포터(12)들 중 최하층을 형성하는 제 2 서포터(12)의 외측 지지홈(121d) 및 내측 지지홈(121e)에 삽입된다.
탑 스페이서(18, 19)들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 등을 통해 탑 커버(15)의 하면에 고정된다.
탑 스페이서(18, 19)들은 제 1 코너부 서포터(110A)와 제 2 코너부 서포터(120A)가 서로 이격 배치되도록 하는 탑 코너부 스페이서(18)들과, 제 1 직선부 서포터(110B)와 제 2 직선부 서포터(120B)가 서로 이격 배치되도록 하는 탑 직선부 스페이서(19)들을 포함한다.
탑 스페이서(18, 19)는 제 1 서포터(11)의 외측 지지홈(111d) 및 내측 지지홈(111e)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두 개의 제 1 스페이서 홀(18a, 19a)들과, 제 2 서포터(12)의 외측 지지홈(121b) 및 내측 지지홈(121c)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두 개의 제 2 스페이서 홀(18b, 19b)들을 포함한다. 제 1 스페이서 홀(18a, 19a)과 제 2 스페이서 홀(18b, 19b)은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다.
제 1 스페이서 홀(18a, 19a)들에는 제 1 서포터(11)들 중 최상층을 형성하는 제 1 서포터(11)들의 외측 지지돌기(111b) 및 내측 지지돌기(111c)가 삽입되고, 제 2 스페이서 홀(18b, 19b)들에는 제 2 서포터(12)들 중 최상층을 형성하는 제 2 서포터(12)들의 외측 지지돌기(121b) 및 내측 지지돌기(121c)가 삽입된다.
따라서 제 1 서포터(11)들 중 최하층을 형성하는 제 1 서포터(11)들과 제 2 서포터(12)들 중 최하층을 형성하는 제 2 서포터(12)들은 바텀 스페이서(16, 17)들에 의해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고, 제 1 서포터(11)들 중 최상층을 형성하는 제 1 서포터(11)들과 제 2 서포터(12)들 중 최상층을 형성하는 제 2 서포터(12)들은 탑 스페이서(18, 19)들에 의해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박스(10) 내에 설치된 제 1 서포터(11)들과 제 2 서포터(12)들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제 1 프레임(F1)들과 제 2 프레임(F2)들을 각각 지지할 수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이 프레임 포장박스(1)에 프레임(F1, F2)들을 수용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텀 스페이서(16, 17)들이 설치된 바텀 커버(14)를 박스(10)의 수납 공간(10a) 내부에 삽입하여 박스(10)의 하면이 바텀 커버(14)에 의해 덮도록 하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3)을 박스(10)의 내부 측면에 설치한다. 여기서 바텀 스페이서(16, 17), 바텀 커버(14) 및 가이드레일(13)의 설치 순서는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코너부 서포터(110A)에 마련된 가이드부(112) 및 제 1 직선부 서포터(110B)들에 마련된 가이드부(112)를 가이드레일(13)에 끼운 후, 제 1 코너부 서포터(110A) 및 제 1 직선부 서포터(110B)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코너부 서포터(110A)의 하면 및 제 1 직선부 서포터(110B)의 하면에 마련된 지지홈(111d, 111e)들에 바텀 스페이서(16, 17)들의 제 1 스페이서 돌기(16a, 17a)들이 삽입되어, 하나의 제 1 코너부 서포터(110A) 및 하나의 제 1 직선부 서포터(110B)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4개의 제 1 코너부 서포터(110A)들 및 6개의 제 1 직선부 서포터(110B)들을 바텀 스페이서(16, 17)들에 설치함으로써 최하층을 형성하는 제 1 서포터(11)들 설치가 완료된다. 최하층을 형성하는 제 1 서포터(11)들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제 1 서포터(11)들의 안착홈(111a)들 내에 제 1 프레임(F1)을 안착시킴으로써 하나의 제 1 프레임(F1)이 박스(10) 내에 수용된다.
다음으로 제 2 코너부 서포터(120A)의 지지홈(121d, 121e)들 및 제 2 직선부 서포터(120B)의 지지홈(121d, 121e)들에 바텀 스페이서(16, 17)들의 제 2 스페이서 돌기(16b, 17b)들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제 2 코너부 서포터(120A) 및 하나의 제 2 직선부 서포터(120B)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4개의 제 2 코너부 서포터(120A)들 및 6개의 제 2 직선부 서포터(120B)들을 바텀 스페이서(16, 17)들에 설치함으로써 최하층을 형성하는 제 2 서포터(12)들 설치가 완료된다. 최하층을 형성하는 제 2 서포터(12)들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제 2 서포터(12)들의 안착홈(121a)들 내에 제 2 프레임(F2)을 안착시킴으로써 하나의 제 2 프레임(F2)이 박스(10) 내에 수용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되어 있는 제 1 서포터(11)들의 상측에 제 1 서포터(11)들을 다시 한층 적층시키면, 하측에 위치한 제 1 서포터(11)들의 지지돌기(111b, 111c)들이 상측에 위치한 제 1 서포터(11)들의 지지홈(111d, 111e)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웃한 두 제 1 서포터(11)들이 서로 지지된다.
또한, 적층되어 있는 제 2 서포터(12)들의 상측에 제 2 서포터(12)들을 다시 한층 적층시키면, 하측에 위치한 제 2 서포터(12)들의 지지돌기(121b, 121c)들이 상측에 위치한 제 2 서포터(12)들의 지지홈(121d, 121e)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웃한 두 제 2 서포터(12)들이 서로 지지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 1 서포터(11)들을 한 층씩 쌓아 올리면서 제 1 프레임(F1)들을 차례로 박스(10) 내에 수용하고, 제 2 서포터(12)들을 한 층씩 쌓아 올리면서 제 2 프레임(F2)들을 차례로 박스 내에 수용한다.
하나의 프레임 포장박스(1) 내에 수용될 프레임(F1, F2)들의 수용이 완료된 후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면에 탑 스페이서(18, 19)들이 고정된 탑 커버(15)로 수용 공간 덮는다.
탑 커버(15)가 수용 공간(10a)을 덮는 과정에서 제 1 서포터(11)들 중 최상층을 형성하는 제 1 서포터(11)들의 지지돌기(111b, 111c)들과 제 2 서포터(12)들 중 최상층을 형성하는 제 2 서포터(12)들의 지지돌기(121b, 121c)들은 모두 탑 스페이서(18, 19)에 마련된 지지홀(18a, 18b, 19a, 19b)들에 삽입된다. 따라서 최상층에 위치한 제 1 서포터(11)들과 제 2 서포터(12)들은 탑 스페이서(18, 19)에 의해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서포터(11)들과 제 2 서포터(12)들은 바텀 스페이서(16, 17)들 및 탑 스페이서(18, 19)들에 의해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그에 따라 제 1 프레임(F1)들과 제 2 프레임(F2)들은 박스 내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 1 서포터(11)들은 가이드레일(13)뿐만 아니라 지지돌기(111b, 111c) 및 지지홈(111d, 111e)을 통해 적층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서포터들이 가이드레일 없이 지지돌기와 지지홈을 통해서만 적층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제 1 서포터들이 지지돌기와 지지홈 없이 가이드레일을 통해서만 적층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 포장박스는 제 1 서포터(11)들 및 제 2 서포터(12)들을 통해 제 1 프레임(F1)들 및 제 2 프레임(F2)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를 보인 것으로, 가이드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종류의 서포터들을 통해서 프레임 포장박스에 한 종류의 프레임들 만을 수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 포장박스(1)는 네 개의 모서리를 갖는 사각 링 형상의 프레임(F1, F2)을 수납 지지하기 위해 네 개의 코너부 서포터(110A, 120A)들을 포함하나, 이는 일례를 보인 것으로, 프레임 포장박스는 U자 형상의 프레임이나 L자 형상의 프레임들을 수납할 수도 있으며, 코너부 서포터와 직선부 서포터의 개수는 프레임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다는 점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프레임 포장박스 10: 박스
11: 제 1 서포터 110A: 제 1 코너부 서포터
110B: 제 1 직선부 서포터 12: 제 2 서포터
120A: 제 2 코너부 서포터 120B: 제 2 직선부 서포터
13: 가이드레일 14: 바텀 커버
15: 탑 커버 16, 17 : 바텀 스페이서
18, 19: 탑 스페이서

Claims (18)

  1. 프레임들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갖는 박스와,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상하로 적층되어 상기 프레임들의 일부 구간을 지지하는 복수의 서포터들로서, 상기 박스의 내면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1서포터와, 상기 박스의 내측으로 상기 복수의 제1서포터와 이격되는 복수의 제2서포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포터들과,
    상기 박스의 내부 측벽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서포터들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서포터는,
    상기 프레임들의 모서리 부위를 지지하도록 상기 박스의 모서리 부위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코너부 서포터와, 상기 프레임들의 직선 부위를 지지하도록 상기 박스의 직선 부위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직선부 서포터를 포함하는 프레임 포장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서포터는 상기 프레임의 일부 구간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상면에 마련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포장박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포터들은 상기 지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돌기와, 상기 지지부의 하면에 오목하게 마련되어 그 하측에 위치한 상기 서포터의 상기 지지돌기가 삽입되는 지지홈을 각각 포함하는 프레임 포장박스.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프레임들과 상기 제 1 프레임 보다 작은 제 2 프레임들을 함께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갖는 박스와,
    상기 박스의 내부 측면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하로 적층되어 상기 제 1 프레임들의 일부 구간을 지지하는 복수의 제 1 서포터들과,
    상기 복수의 제 1 서포터들의 내측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 2 프레임들의 일부 구간을 지지하는 복수의 제 2 서포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서포터들은,
    상기 박스의 모서리 부위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 2 프레임들의 모서리 부위를 지지하는 복수의 제 2 코너부 서포터들과, 상기 복수의 제 2 코너부 서포터들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프레임들의 직선 부위를 지지하는 복수의 제 2 직선부 서포터들을 포함하는 프레임 포장박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는 그 내부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제 1 서포터들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프레임 포장박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포터는 상면에 상기 제 1 프레임의 일부 구간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마련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포장박스.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포터는 상기 박스의 모서리 부위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 1 프레임들의 모서리 부위를 지지하는 복수의 제 1 코너부 서포터들과, 상기 복수의 제 1 코너부 서포터들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프레임들의 직선 부위를 지지하는 복수의 제 1 직선부 서포터들을 포함하는 프레임 포장박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코너부 서포터들은 L자 형상으로 마련된 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 1 직선부 서포터들은 일자 형상으로 마련된 안착홈을 포함하는 프레임 포장박스.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포터는 상면에 상기 제 2 프레임의 일부 구간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마련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포장박스.
  14. 삭제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는 상기 복수의 제 1 서포터들 중 최하층을 형성하는 제 1 서포터들과 상기 복수의 제 2 서포터들 중 최하층을 형성하는 제 2 서포터들이 서로 이격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바텀 스페이서들과, 상기 복수의 제 1 서포터들 중 최상층을 형성하는 제 1 서포터들과 상기 복수의 제 2 서포터들 중 최상층을 형성하는 제 2 서포터들이 서로 이격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탑 스페이서들을 더 포함하는 프레임 포장박스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서포터들 및 상기 복수의 제 2 서포터들은 그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돌기들과, 그 하면에 오목하게 마련되어 상기 지지돌기가 삽입되는 지지홈들을 각각 포함하는 프레임 포장박스.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스페이서들은 상기 제 1 서포터들의 상기 지지홈들에 삽입되는 제 1 스페이서 돌기와, 상기 제 2 서포터들의 상기 지지홈들에 삼입되는 제 2 스페이서 돌기를 각각 포함하는 프레임 포장박스.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탑 스페이서는 상기 제 1 서포터들의 상기 지지돌기들이 삽입되는 제 1 스페이서 홀과, 상기 제 2 서포터들의 상기 지지돌기들이 삽입되는 제 2 스페이서 홀을 각각 포함하는 프레임 포장박스.
KR1020180011398A 2018-01-30 2018-01-30 프레임 포장박스 KR102622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398A KR102622728B1 (ko) 2018-01-30 2018-01-30 프레임 포장박스
PCT/KR2019/000706 WO2019151683A1 (ko) 2018-01-30 2019-01-17 프레임 포장박스
US16/962,343 US11167884B2 (en) 2018-01-30 2019-01-17 Frame packaging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398A KR102622728B1 (ko) 2018-01-30 2018-01-30 프레임 포장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063A KR20190092063A (ko) 2019-08-07
KR102622728B1 true KR102622728B1 (ko) 2024-01-10

Family

ID=67479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398A KR102622728B1 (ko) 2018-01-30 2018-01-30 프레임 포장박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67884B2 (ko)
KR (1) KR102622728B1 (ko)
WO (1) WO20191516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86433B (zh) * 2021-03-24 2023-01-10 惠州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包装结构
CN113716196B (zh) * 2021-08-25 2023-05-30 无锡新清洋工业包装有限公司 一种环保木质包装箱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7474A (ja) * 2009-08-10 2011-02-24 Sekisui Plastics Co Ltd 太陽電池パネル用梱包材
KR101104849B1 (ko) * 2011-01-05 2012-01-16 안종범 디스플레이 유닛 운반 장치
JP2012188122A (ja) * 2011-03-08 2012-10-04 Sharp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多段積載具及びこの多段積載具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多段積載方法
JP2013180787A (ja) * 2012-02-29 2013-09-12 Kyoraku Co Ltd 矩形薄板パネルの搬送ユニット
JP2014019486A (ja) 2012-07-20 2014-02-03 Sanko Co Ltd パネル材の梱包用コーナー支持機構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18045C2 (de) * 1993-05-29 1997-04-10 Hasenkamp Int Transporte Transporthalterung für Gemälderahmen o. dgl.
DE202005011897U1 (de) * 2005-07-26 2005-10-06 Hasenkamp Internationale Transporte Gmbh Transportkiste für Gemälderahmen o.dgl.
KR101898134B1 (ko) * 2012-03-30 2018-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드 프레임 이송용 매거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7474A (ja) * 2009-08-10 2011-02-24 Sekisui Plastics Co Ltd 太陽電池パネル用梱包材
KR101104849B1 (ko) * 2011-01-05 2012-01-16 안종범 디스플레이 유닛 운반 장치
JP2012188122A (ja) * 2011-03-08 2012-10-04 Sharp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多段積載具及びこの多段積載具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多段積載方法
JP2013180787A (ja) * 2012-02-29 2013-09-12 Kyoraku Co Ltd 矩形薄板パネルの搬送ユニット
JP2014019486A (ja) 2012-07-20 2014-02-03 Sanko Co Ltd パネル材の梱包用コーナー支持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063A (ko) 2019-08-07
US11167884B2 (en) 2021-11-09
US20200339306A1 (en) 2020-10-29
WO2019151683A1 (ko) 201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9509B2 (en) Assembly box for transportation
KR102622728B1 (ko) 프레임 포장박스
CA2569237A1 (en) Pallet base packaging system
US20120273389A1 (en) Semiconductor tray carrier
KR20120070505A (ko) 수납 트레이
CN104210725B (zh) 包装单元
KR20150052985A (ko) 포장 트레이
KR100979375B1 (ko) 제품 보호구조를 가지는 포장 용기
KR20180133655A (ko) 디스플레이장치용 포장박스
US20140291348A1 (en) Dispensing device for vending machine
US3583783A (en) Bookcase
JP6577905B2 (ja) 集合包装ホルダー
US4828111A (en) Container for holding packages of cover glass and individual glass slides
TWI713135B (zh) 承載盤組件及承載盤堆疊組件
JP5323649B2 (ja) 平板状部品を梱包した梱包体および梱包方法
CN213229630U (zh) 一种包装箱
KR200458066Y1 (ko) 평판표시장치용 포장도구
JP3246166U (ja) 収納具
KR200466835Y1 (ko) 다단수납장
WO2023127332A1 (ja) 緩衝材、梱包体および梱包方法
JP6079928B2 (ja) 梱包体
KR20150004374U (ko) 안정적인 연직 적층이 가능한 전시용 상자 및 이를 이용한 전시용 상자 조립체
JPH11278453A (ja) 搬送用トレイ
KR20210002740U (ko) 포장상자
KR20230070185A (ko) 전자제품 수납용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