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506B1 - 블라인드막·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콘크리트깨기·비산먼지에어흡입으로이루어진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장치 및 이를 통한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공법 - Google Patents

블라인드막·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콘크리트깨기·비산먼지에어흡입으로이루어진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장치 및 이를 통한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506B1
KR102621506B1 KR1020230085481A KR20230085481A KR102621506B1 KR 102621506 B1 KR102621506 B1 KR 102621506B1 KR 1020230085481 A KR1020230085481 A KR 1020230085481A KR 20230085481 A KR20230085481 A KR 20230085481A KR 102621506 B1 KR102621506 B1 KR 102621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oncrete structure
bridge support
concret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5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현남
Original Assignee
차현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현남 filed Critical 차현남
Priority to KR1020230085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5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1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7/00Cutting, scarfing, or desurfacing by applying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6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impact tools, e.g. by chisels or other tools having a cutting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removing or laying dust, e.g. by spraying liquids; for cool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종래 좁고 협소한 교량받침 공간으로 중장비 진입이 어렵고, 작업자가 수동방식으로 허리를 굽히거나, 누워서 작업해야하므로, 콘크리트구조물 파격속도가 더디고, 진동과 소음으로 민원이 많이 발생되며,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며, 시공단축을 위해 여러사람이 붙어서 작업해야 하므로 공사비가 비싼 문제점과, 종래기술상에는 단지,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거시킨다는 기능상의 문구만이 기재되어 있을 뿐, 콘크리트와 철근으로 이루어진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작업시, 장비와, 공법에 따른 기준 지침의 제시없이, 작업자의 경험적인 감각만을 의존한 채 작업하기 때문에, 작업기간이 길어지고, 작업중에 뜻하지 않게 또 다른 교량구조물에 침범하여 진동이나 압력을 가해 균열이나 틈을 발생시켜, 교량구조물의 노후화를 앞당기는 요소가 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블라인드막모듈(100), 해머드릴(200), 비산먼지에어흡입모듈(300),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400), 철근절단용 산소절단기(500), 콘크리트바닥용 그라인더 절단모듈(600)이 구성됨으로서, 블라인드막모듈을 통해, 펜스장벽을 형성하면서, 1차로, 작업시 발생되는 비산먼지 및 소음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시키고, 블라인드막 모듈의 외부표면에 텍스트 또는 그림형태로 위험표시, 위험상황등을 표시해 줄 수 있어, 2차로, 현재 위험한 작업을 하고 있음을 지나가는 행인이나 민원인에게 인식시켜 줄 수 있고, 이동하거나, 정위치고정되는 비산먼지에어흡입모듈을 통해,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일측에 1채널(=1개), 3채널(=3개), 5채널(=5개)로 정위치된 상태로 형성되어, 비산먼지에어흡입용 에어컴프레셔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힘으로, 비산먼지를 빨아들이면서 하단방향으로 에어와 함께 비산먼지를 배출시켜 저장시킬 수 있어, 기존보다 비산먼지 제거효율을 80% 향상시켜, 비산먼지에 따른 민원발생율을 60% 이하로 낮출 수 있으며,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을 통해,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3방향으로 생성되는 3500N의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콘크리트구조물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켜, 기존에 비해 1.5배~2배 빠른 깨기속도와, 80% 향상된 양질의 콘크리트구조물 타격력으로, 별도의 장비사용없이, 비전문가라도 콘크리트구조물을 손쉽게 깰 수가 있고, 저(低)소음, 저(低)분진, 저(低)진동으로 민원발생을 기존에 비해 40%이하로 낮출 수 있고, 콘크리트바닥용 그라인더 절단모듈을 통해, 철근을 절단하고 남은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바닥면을 제거하기 위한 테두리 영역과 함께 바닥면 제거깊이를 형성시켜줌으로서, 기존에 비해, 휠씬 깔끔하게 철근배근의 정위치를 잡아줄 수가 있어, 양질의 새로운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시킬 수가 있는 블라인드막·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콘크리트깨기·비산먼지에어흡입으로 이루어진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장치 및 이를 통한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블라인드막·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콘크리트깨기·비산먼지에어흡입으로 이루어진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장치 및 이를 통한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공법{Blind screen Butterfly effect surface contact impact force Crack concrete to Concrete structure removal device for BCD type bridge support made of scattering dust air intake and method for removing concrete structure for BCD type bridge support through it}
본 발명에서는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강가용 콘크리트 구조물, 하천용 콘크리트 구조물, 건축구조물 협소한 곳, 콘크리트벽·바닥, 기타 철거나 구조변경시에 적용되는 것으로, 특히, 교량상부를 교량상부 상승용 잭으로 들어올린 후, 교량받침을 제거한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주위에 블라인드막(Blind screen)을 형성시키고, 천공홀이 형성된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에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크랙을 형성시켜 콘크리트를 깨며(Crack concrete), 발생되는 비산먼지를 에어로 흡입(scattering Dust air intake)시키면서, 남은 철근을 절단시켜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거시킬 수 있는 블라인드막·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콘크리트깨기·비산먼지에어흡입으로 이루어진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장치 및 이를 통한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받침은 상부에 작용하는 하중을 하부에 전달하고, 온도, 건조수축, 크리프와 활하중의 이동과 회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상부구조의 변위, 변형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교량내에 발생하는 2차 응력을 최소화시키는 기계적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교량받침 하단면에는 교량받침을 지지해주는 콘크리트구조물이 형성된다.
시간이 지나면, 균열과 누수가 발생되어, 콘크리트구조물을 깨고, 새로운 신교량받침을 설치해야 한다.
예전에는 엔진 컴프레셔에 대형 에어브레카를 가지고, 사람의 힘으로 콘크리트구조물을 힘들게 깬 후, 기존 교량받침을 제거하고, 새로운 교량받침을 설치했었다.
하지만, 10년전부터 콘크리트구조물의 강도가 세지고, 작업자의 연령 또한 노령화되어 은퇴를 하고 작업자가 부족한 상황이었다.
또한, 좁고 협소한 교량받침 공간으로 중장비 진입이 어렵고, 작업자가 수동방식으로 허리를 굽히거나, 누워서 작업해야하므로, 콘크리트구조물 파격속도가 더디고, 진동과 소음으로 민원이 많이 발생되며,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며, 시공단축을 위해 여러사람이 붙어서 작업해야 하므로 공사비가 비싼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리고, 종래기술상에는 단지,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거시킨다는 기능상의 문구만이 기재되어 있을 뿐, 콘크리트와 철근으로 이루어진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작업시, 장비와, 공법에 따른 기준 지침의 제시없이, 작업자의 경험적인 감각만을 의존한 채 작업하기 때문에, 작업기간이 길어지고, 작업중에 뜻하지 않게 또 다른 교량구조물에 침범하여 진동이나 압력을 가해 균열이나 틈을 발생시켜, 교량구조물의 노후화를 앞당기는 요소가 되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520895호
본 발명에서는 블라인드막모듈을 통해, 펜스장벽을 형성하면서, 1차로, 작업시 발생되는 비산먼지 및 소음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시키고, 블라인드막 모듈의 외부표면에 텍스트 또는 그림형태로 위험표시, 위험상황등을 표시해 줄 수 있어, 2차로, 현재 위험한 작업을 하고 있음을 지나가는 행인이나 민원인에게 인식시켜 줄 수 있고, 비산먼지에어흡입용 에어컴프레셔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힘으로, 비산먼지를 빨아들이면서 하단방향으로 에어와 함께 비산먼지를 배출시켜 저장시킬 수 있으며,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을 통해,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3방향으로 생성되는 3500N의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콘크리트구조물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켜, 별도의 장비사용없이, 비전문가라도 콘크리트구조물을 손쉽게 깰 수가 있는 블라인드막·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콘크리트깨기·비산먼지에어흡입으로 이루어진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장치 및 이를 통한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막·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콘크리트깨기·비산먼지에어흡입으로 이루어진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장치는
교량상부를 교량상부 상승용 잭으로 들어올린 후, 교량받침을 제거한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주위에 블라인드막(Blind screen)을 형성시키고, 천공홀이 형성된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에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크랙을 형성시켜 콘크리트를 깨며(Crack concrete), 발생되는 비산먼지를 에어로 흡입(scattering Dust air intake)시키면서, 남은 철근을 절단시켜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거시키도록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상기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을 제거할 작업공간을 기준으로 3m~10m 떨어진 곳에 위치되어 펜스장벽을 형성하면서, 작업시 발생되는 비산먼지 및 소음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블라인드막모듈(100)과,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의 측면 일측에 위치되어,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상에 천공홈을 형성시키는 해머드릴(200)과,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일측공간상에 위치되어, 해머드릴을 통해 천공홈을 형성시킬 때 생성되는 비산먼지와,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의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생성되는 비산먼지, 그리고, 콘크리트바닥용 그라인더 절단모듈을 통해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의 바닥을 절단시 생성되는 비산먼지를 에어로 흡입시키는 비산먼지에어흡입모듈(300)과,
표면상에 복수개의 피스톤 돌기가 돌출되는 도깨비 방망이형상으로 형성되고,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유압배관으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3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켜 콘크리트를 깨는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400)과,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타측에 위치되어,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을 통해 3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크랙(Crack)을 형성시켜 콘크리트를 깨고 남은 철근을, 산소-프로판가스 불꽃으로 800~900도로 예열시킨 후, 순도가 높은 산소를 분출시켜 절단시키는 철근절단용 산소절단기(500)와,
철근절단용 산소절단기 일측에 위치되어, 철근절단용 산소절단기를 통해 철근을 절단하고 남은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바닥면을 제거하기 위한 테두리 영역과 함께 바닥면 제거깊이를 그라인더날을 통해 형성시키는 콘크리트바닥용 그라인더 절단모듈(6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첫째, 블라인드막모듈을 통해, 펜스장벽을 형성하면서, 1차로, 작업시 발생되는 비산먼지 및 소음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시키고, 블라인드막 모듈의 외부표면에 텍스트 또는 그림형태로 위험표시, 위험상황등을 표시해 줄 수 있어, 2차로, 현재 위험한 작업을 하고 있음을 지나가는 행인이나 민원인에게 인식시켜 줄 수 있다.
둘째, 이동하거나, 정위치고정되는 비산먼지에어흡입모듈을 통해,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일측에 1채널(=1개), 3채널(=3개), 5채널(=5개)로 정위치된 상태로 형성되어, 비산먼지에어흡입용 에어컴프레셔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힘으로, 비산먼지를 빨아들이면서 하단방향으로 에어와 함께 비산먼지를 배출시켜 저장시킬 수 있어, 기존보다 비산먼지 제거효율을 80% 향상시켜, 비산먼지에 따른 민원발생율을 60% 이하로 낮출 수 있다.
셋째,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을 통해,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3방향으로 생성되는 3500N의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콘크리트구조물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켜, 기존에 비해 1.5배~2배 빠른 깨기속도와, 80% 향상된 양질의 콘크리트구조물 타격력으로, 별도의 장비사용없이, 비전문가라도 콘크리트구조물을 손쉽게 깰 수가 있고, 저(低)소음, 저(低)분진, 저(低)진동으로 민원발생을 기존에 비해 40%이하로 낮출 수 있다.
넷째, 콘크리트바닥용 그라인더 절단모듈을 통해, 철근을 절단하고 남은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바닥면을 제거하기 위한 테두리 영역과 함께 바닥면 제거깊이를 형성시켜줌으로서, 기존에 비해, 휠씬 깔끔하게 철근배근의 정위치를 잡아줄 수가 있어, 양질의 새로운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막·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콘크리트깨기·비산먼지에어흡입으로 이루어진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막·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콘크리트깨기·비산먼지에어흡입으로 이루어진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막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쪽끼움형 지지봉과 봉끼움형 블라인드막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쪽끼움형 지지봉과 봉끼움형 블라인드막 후단에 설치된 다채널 후단지지체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머드릴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산먼지에어흡입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산먼지에어흡입모듈의 구성 중 위치고정형 비산먼지에어흡입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산머지에어흡입모듈의 구성 중 이동식 비산먼지에어흡입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비산먼지에어흡입·저장탱크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외형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외형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좌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우측 피스톤 돌출 형성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 제1 좌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 제1 우측 피스톤 돌출 형성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 제1 좌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 제1 우측 피스톤 돌출 형성부의 내부구성요소를 도시한 내부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a 상단 피스톤 돌기, 제1b 상단 피스톤 돌기, 제1c 상단 피스톤 돌기, 제1d 상단 피스톤 돌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정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a 좌측 피스톤 돌기, 제1b 좌측 피스톤 돌기, 제1c 좌측 피스톤 돌기, 제1d 좌측 피스톤 돌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정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a 우측 피스톤 돌기, 제1b 우측 피스톤 돌기, 제1c 우측 피스톤 돌기, 제1d 우측 피스톤 돌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정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16채널 유압배기포트와, 16채널 솔레노이드밸브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초고압유압펌프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초고압유압펌프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피타격체인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에 타격체인 피스톤 돌기에 작용하는 힘이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상단 피스톤용 유로부, 제1 좌측 피스톤용 유로부, 제1 우측 피스톤용 유로부, 제2 상단 피스톤용 유로부, 제2 우측 피스톤용 유로부, 제2 우측 피스톤용 유로부의 반경이 0.3~0.5φ로 형성되고, 피스톤 돌기 직경은 9φ~11φ로 형성되어, 실린더 내부의 최고 압력이 1.8MPa이고, 타격체의 최고 속도가 10m/s일 때, 최대 타격력 3500N이 나오는 것을 도시한 그래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절단용 산소절단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바닥용 그라인더 절단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막모듈을 통해,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을 제거할 작업공간을 기준으로 3m~10m 떨어진 곳에 위치되어 펜스장벽을 형성하면서, 작업시 발생되는 비산먼지 및 소음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해머드릴을 통해,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에 점(Point)형상으로 복수개의 천공홈을 수평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된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의 내부공간으로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의 구성요소 중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를 삽입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3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켜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중 콘크리트를 깨어서 제거시키고, 에어 흡입의 힘을 가하여,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에 유입된 오일을 흡입하여 배출시켜, 일렬 돌출된 피스톤 돌기를 하강시키며, 비산먼지를 에어로 흡입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절단용 산소절단기를 통해, 3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크랙(Crack)을 형성시켜 콘크리트를 깨고 남은 철근을, 산소-프로판가스 불꽃으로 800~900도로 예열시킨 후, 순도가 높은 산소를 분출시켜 절단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기준선을 기준으로 5cm~10cm의 바닥면 제거깊이까지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바닥면을 제거하여,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를 완료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상에 하강된 복수개의 피스톤 돌기가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이 전달되면, 순식간에 복수개의 피스톤 돌기가 돌출되는 도깨비 방망이형상으로 형성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막·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콘크리트깨기·비산먼지에어흡입으로 이루어진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장치를 통한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공법의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먼저,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블라인드막·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콘크리트깨기·비산먼지에어흡입으로 이루어진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장치에서, BCD형 이라는 것은 본 발명인이 수년간의 연구와 실험을 통해 발명한, 기존 특허 및 기술에는 없는 "교량받침을 제거한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주위에 블라인드막( B lind screen)을 형성시키고, 천공홀이 형성된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에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크랙을 형성시켜 콘크리트를 깨며( C rack concrete), 발생되는 비산먼지를 에어로 흡입(scattering D ust air intake)시키면서, 남은 철근을 절단시켜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거시키는 기술"을 모두 함축시키는 의미로서, 본 발명인이 만든 명칭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은 교량상부를 교량상부 상승용 잭으로 들어올린 후, 교량받침을 제거한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로서, 40cm 높이를 갖는 좁고 협소한 교량받침공간에 형성되어, 콘크리트와 철근으로 이루어져 교량받침을 지지해주는 블록구조로 형성된 것을 말한다.
즉, 교량받침을 지지해줘야 하므로, 콘크리트 강도가 강하고, 철근 배근 또한 촘촘이 형성되어 있어, 40cm 높이를 갖는 좁고 협소한 교량받침공간에서, 콘크리트와 철근으로 이루어진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거하는 것은 아주 힘들고 작업기간이 오래 걸리고, 소음과 비산먼지발생으로 민원이 많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인은 블라인드막·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콘크리트깨기·비산먼지에어흡입으로 이루어진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장치를 발명한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에서 도깨비 방망이는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나와라 뚝딱"하는 것처럼, 표면상에 하강된 복수개의 피스톤 돌기가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이 전달되면, 순식간에 복수개의 피스톤 돌기가 돌출되는 도깨비 방망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막·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콘크리트깨기·비산먼지에어흡입으로 이루어진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에 관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막·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콘크리트깨기·비산먼지에어흡입으로 이루어진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블라인드막모듈(100), 해머드릴(200), 비산먼지에어흡입모듈(300),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400), 철근절단용 산소절단기(500), 콘크리트바닥용 그라인더 절단모듈(6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막모듈(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블라인드막모듈(100)은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을 제거할 작업공간을 기준으로 3m~10m 떨어진 곳에 위치되어 펜스장벽을 형성하면서, 작업시 발생되는 비산먼지 및 소음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은 교량상부를 교량상부 상승용 잭으로 들어올린 후, 교량받침을 제거한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을 말한다.
그리고, 펜스장벽의 높이는 3m~10m로 설정된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끼움형 지지봉(110), 봉끼움형 블라인드막(120), 다채널 후단지지체(13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양쪽끼움형 지지봉(1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양쪽끼움형 지지봉(110)은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을 제거할 작업공간을 기준으로 3m~5m 떨어진 곳에 위치되고, 바닥면을 기준으로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양쪽에 형성된 끼움홈을 통해, 봉끼우형 블라인드막이 끼워지도록 안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봉본체(111), 중심지지봉(112), 레프트(Left)끼움홈(113), 라이트(Right)끼움홈(114)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봉본체(111)는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외압으로부터 각 기기를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중심에 중심지지봉에 형성되고, 그 중심지지봉을 기준으로 정면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좌측 일측에 레프트(Left)끼움홈이 형성되며, 우측 일측에 라이트(Right)끼움홈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중심지지봉(112)은 지지봉본체의 중심에 위치되어, 레프트(Left)끼움홈, 라이트(Right)끼움홈을 지지해주면서, 상단방향으로 삽입되어 끼워지는 또 다른 중심지지봉과의 연결매개체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하단일측에 돌기삽입부가 형성되고, 상단 일측에 요홈나사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중심지지봉은 층상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레프트(Left)끼움홈(113)은 중심지지봉을 기준으로 정면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좌측 일측에 위치되어, 좌측방향으로 봉끼움형 블라인드막이 끼워지도록 안내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라이트(Right)끼움홈(114)은 중심지지봉을 기준으로 정면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우측 일측에 위치되어, 우측방향으로 봉끼움형 블라인드막이 끼워지도록 안내시키는 역할을 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봉끼움형 블라인드막(1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봉끼움형 블라인드막(120)은 블라인드막을 기준으로 양쪽에 길이방향의 끼움형 봉이 형성되어, 펜스장벽을 형성하면서, 작업시 발생되는 비산먼지 및 소음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라인드막(121)을 기준으로 양쪽에 길이방향의 끼움형 봉(12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블라인드막은 PVC, 폴리에스터, 나일론, 백포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이루어진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후단지지체(1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다채널 후단지지체(13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끼움형 지지봉 후단에 위치되어, 넘어지거나 쏠리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다채널은 개수로서, 도 5에서는 3개인 3채널로 구성된다.
이처럼, 블라인드막모듈을 통해, 펜스장벽을 형성하면서, 1차로, 작업시 발생되는 비산먼지 및 소음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시키고, 블라인드막 모듈의 외부표면에 텍스트 또는 그림형태로 위험표시, 위험상황등을 표시해 줄 수 있어, 2차로, 현재 위험한 작업을 하고 있음을 지나가는 행인이나 민원인에게 인식시켜 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해머드릴(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해머드릴(200)은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의 측면 일측에 위치되어,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상에 천공홈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은 교량상부를 교량상부 상승용 잭으로 들어올린 후, 교량받침을 제거한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을 말한다.
이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머몸체(210), 드릴피스(220)로 구성된다.
상기 해머몸체(210)는 권총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해주면서, 전기의 힘을 고속회전시켜 망치질 하는 것처럼 드릴피스를 앞뒤로 움직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드릴피스(220)는 해머몸체로부터 망치질하는 것처럼 앞뒤로 움직여주는 힘을 전달받아,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상에 천공홈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드릴피스의 외경은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서 천공의 크기가 37φ~43φ로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37φ~43φ로 형성된다.
이렇게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상에 37φ~43φ의 천공홈이 형성되면,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의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를 맞춤형으로 삽입시켜, 3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켜 콘크리트를 깰 수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비산먼지에어흡입모듈(3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비산먼지에어흡입모듈(300)은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일측공간상에 위치되어, 해머드릴을 통해 천공홈을 형성시킬 때 생성되는 비산먼지와,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의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생성되는 비산먼지, 그리고, 콘크리트바닥용 그라인더 절단모듈을 통해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의 바닥을 절단시 생성되는 비산먼지를 에어로 흡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은 교량상부를 교량상부 상승용 잭으로 들어올린 후, 교량받침을 제거한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을 말한다.
이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고정형 비산먼지에어흡입부(310), 이동식 비산먼지에어흡입부(320), 비산먼지이송파이프(330), 비산먼지에어흡입·저장탱크부(340), 비산먼지에어흡입용 에어컴프레셔(350)로 구성된다.
[위치고정형 비산먼지에어흡입부(310)]
상기 위치고정형 비산먼지에어흡입부(310)는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일측에 정위치된 상태에서, 비산먼지에어흡입용 에어컴프레셔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힘으로, 팬(Fan) 회전에 의한 비산먼지흡입와류를 형성시킴과 동시에, 주위에 생성된 비산먼지를 빨아들이면서 하단방향으로 에어와 함께 비산먼지를 비산먼지이송파이프쪽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각대형몸체(311), 헤드형 비산먼지필터링망(312), 비산먼지흡입와류팬(Fan)(313), 제1 비산먼지에어흡입소켓(314), 제1 배출포트부(315), 삼발이다리(316)로 구성된다.
상기 삼각대형몸체(311)는 삼각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압으로부터 각 기기를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헤드부상에 헤드형 비산먼지필터링망이 형성되고, 그 헤드형 비산먼지필터링망의 내부공간 바닥 중앙부위에 비산먼지흡입와류팬(Fan)이 형성되며, 헤드형 비산먼지필터링망의 하단쪽 길이방향을 따라 비산먼지에어흡입소켓이 형성되고, 그 비산먼지에어흡입소켓의 배출 엣지부위에 제1 배출포트부가 형성되며, 제1 배출포트부 일측에 삼발이다리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헤드형 비산먼지필터링망(312)은 삼각대형몸체의 헤드부상에 위치되고, 원통드럼형 필터링망으로 형성되어,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의 제거작업시 발생되는 비산먼지만을 비산먼지흡입와류팬(Fan)으로 유입시키도록 필터링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원통드럼형 필터링망은 직경 0.2파이~0.9파이의 미세홀로 형성되는 것으로, 돌가루나 파편보다는 0.2파이~0.9파이의 미세홀을 통과할 수 있는 비산먼지만을 필터링시키는 것을 말한다.
상기 비산먼지흡입와류팬(Fan)(313)은 헤드형 비산먼지필터링망의 내부공간 바닥 중앙부위에 위치되어, 제1 비산먼지에어흡입소켓으로부터 비산먼지에어흡입용 에어컴프레셔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힘이 전달되면, 그 에어의 힘으로 팬(Fan) 회전에 의한 비산먼지흡입와류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비산먼지에어흡입소켓(314)은 헤드형 비산먼지필터링망의 하단쪽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일측면쪽으로 공급되는 비산먼지에어흡입용 에어컴프레셔의 에어의 힘으로, 상단방향에서 하단방향까지 에어흡입의 유로를 형성시켜, 비산먼지흡입와류팬(Fan)을 통해 흡입와류된 비산먼지를 빨아들이면서 하단방향으로 에어와 함께 비산먼지를 제1 배출포트부쪽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길이방향의 제1 원통드럼형상몸체로 이루어지고, 제1 원통드럼형상몸체의 상단방향에서 하단방향까지 관통된 내부구조로 형성되고, 일측면에 비산먼지에어흡입용 에어컴프레셔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힘이 유입되는 제1 유입포트(314a)가 형성되며, 그 제1 유입포트 일측에 제1 유입포트로부터 유입된 에어의 힘을 상단방향에서 하단방향까지 관통된 내부구조쪽으로 유입시키는 제1진공홀(314b)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 배출포트부(315)는 제1 비산먼지에어흡입소켓의 배출 엣지부위에 위치되어, 에어와 함께 비산먼지를 비산먼지이송파이프쪽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비산먼지이송파이프와의 접촉연결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외부표면에 테이핑 나사산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삼발이다리(316)는 제1 배출포트부 일측에 삼발이구조로 형성되어, 삼각대형몸체를 지지해주면서,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일측에 삼각대형몸체를 정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동식 비산먼지에어흡입부(320)]
상기 이동식 비산먼지에어흡입부(320)는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비산먼지에어흡입용 에어컴프레셔의 에어의 힘으로, 하단방향에서 상단방향까지 에어흡입의 유로를 형성시켜, 바닥면에 생성된 비산먼지를 빨아들이면서 상단방향으로 에어와 함께 비산먼지를 비산먼지이송파이프쪽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T"자형몸체(321), 바닥형 비산먼지필터링망(322), 비산먼지이송봉(323), 제2 비산먼지에어흡입소켓(324), 제2 배출포트부(325), 손잡이부(326)로 구성된다.
상기 "T"자형몸체(321)는 바닥면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T"자형구조로 이루어져, 외압으로부터 각 기기를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바닥면에 바닥형 비산먼지필터링망이 형성되고, 그 바닥형 비산먼지필터링망 후단 일측에 1축결합되는 비산먼지 이송봉이 연결되어 형성되며, 그 비산먼지 이송봉 후단 일측에 제2 비산먼지에어흡입소켓이 형성되고, 그 제2 비산먼지에어흡입소켓 후단 일측에 제2 배출포트부가 형성되며, 제2 비산먼이에어흡입소켓의 외부 표면상에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바닥형 비산먼지필터링망(322)은 "T"자형몸체의 바닥면에 박스형 필터링망으로 형성되어, 제2 비산먼지에어흡입소켓으로부터 비산먼지에어흡입용 에어컴프레셔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힘이 전달되면, 그 에어의 힘으로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의 제거작업시 발생되는 비산먼지만을 바닥면에서 유입시키도록 필터링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박스형 필터링망은 직경 0.2파이~0.9파이의 미세홀로 형성되는 것으로, 돌가루나 파편보다는 0.2파이~0.9파이의 미세홀을 통과할 수 있는 비산먼지만을 필터링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는 바닥과 접촉되는 부위에 바퀴가 형성되고, 후단 일측에 비산먼지이송봉과 1축결합되는 축결합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축결합부는 바닥형 비산먼지필터링망이 기울어져서 바닥면과 접촉되도록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비산먼지이송봉(323)은 길이방향의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닥형 비산먼지필터링망을 통해 유입된 비산먼지를 제2 비산먼지에어흡입소켓쪽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바닥형 비산먼지필터링망과 결합되는 부위에 탄성스프링이 끼워져 형성되어, 바닥형 비산먼지필터링망을 바닥면을 따라 이동시, 울퉁불퉁한 부위가 있어도 탄성력과 복원력에 의해 기울어진 "T"자 형상을 유지하면서, 유입된 비산먼지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비산먼지에어흡입소켓(324)은 비산먼지이송봉 후단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일측면쪽으로 공급되는 비산먼지에어흡입용 에어컴프레셔의 에어의 힘으로, 하단방향에서 상단방향까지 에어흡입의 유로를 형성시켜, 비산먼지이송봉을 통해 이송된 비산먼지를 빨아들이면서 상단방향으로 에어와 함께 비산먼지를 제2 배출포트부쪽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길이방향의 제2 원통드럼형상몸체로 이루어지고, 제2 원통드럼형상몸체의 하단방향에서 상단방향까지 관통된 내부구조로 형성되고, 일측면에 비산먼지에어흡입용 에어컴프레셔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힘이 유입되는 제2 유입포트(324a)가 형성되며, 그 제2 유입포트 일측에 제2 유입포트로부터 유입된 에어의 힘을 하단방향에서 상단방향까지 관통된 내부구조쪽으로 유입시키는 제2 진공홀(324b)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 배출포트부(325)는 제1 비산먼지에어흡입소켓의 후단 일측에 위치되어, 에어와 함께 비산먼지를 비산먼지이송파이프쪽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비산먼지이송파이프와의 접촉연결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외부표면에 테이핑 나사산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326)는 제2 비산먼이에어흡입소켓의 외부 표면상에 위치되어, 손을 잡으면서 바닥면을 따라 "T"자형몸체을 이송시키는 힘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비산먼지이송파이프(330)]
상기 비산먼지이송파이프(330)는 파이프구조로 형성되어, 위치고정형 비산먼지에어흡입부 및 이동식 비산먼지에어흡입부와 연결되어, 위치고정형 비산먼지에어흡입부 및 이동식 비산먼지에어흡입부로 유입되는 비산먼지를 비산먼지에어흡입·저장탱크부쪽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주름진 형상으로 늘려지거나 줄어드는 플렉시블 재질 또는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진다.
[비산먼지에어흡입·저장탱크부(340)]
상기 비산먼지에어흡입·저장탱크부(340)는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일측에 정위치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의 원통드럼형상으로 형성되어, 비산먼지에어흡입용 에어컴프레셔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힘으로, 유입된 비산먼지를 빨아들이면서 하단방향으로 에어와 함께 비산먼지를 저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드럼형본체(341), 제3 비산먼지에어흡입소켓(342), 저장탱크(343), 밸브형 배출구(344)로 구성된다.
상기 원통드럼형본체(341)는 길이방향의 원통드럼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압으로부터 각 기기를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단 일측에 제3 비산먼지에어흡입소켓이 형성되고, 그 제3 비산먼지에어흡입소켓 하단 일측에 저장탱크가 형성되며, 그 저장탱크 하단 일측에 밸브형 배출구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3 비산먼지에어흡입소켓(342)은 원통드럼형본체의 상단 일측에 위치되어,
일측면쪽으로 공급되는 비산먼지에어흡입용 에어컴프레셔의 에어의 힘으로, 상단방향에서 하단방향까지 에어흡입의 유로를 형성시켜, 비산먼지이송파이프를 통해 유입된 비산먼지를 빨아들이면서 하단방향으로 에어와 함께 비산먼지를 저장탱크쪽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길이방향의 제3 원통드럼형상몸체로 이루어지고, 제3 원통드럼형상몸체의 상단방향에서 하단방향까지 관통된 내부구조로 형성되고, 일측면에 비산먼지에어흡입용 에어컴프레셔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힘이 유입되는 제3 유입포트(342a)가 형성되며, 그 제3 유입포트 일측에 제3 유입포트로부터 유입된 에어의 힘을 상단방향에서 하단방향까지 관통된 내부구조쪽으로 유입시키는 제3진공홀(342b)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저장탱크(343)는 제3 비산먼지에어흡입소켓 하단 일측에 위치되어, 제3 비산먼지에어흡입소켓을 통해 배출된 비산먼지를 저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밸브형 배출구(344)는 저장탱크 하단에 위치되어, 저장탱크에 저장된 비산먼지를 밸브 온오프구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비산먼지에어흡입용 에어컴프레셔(350)]
상기 비산먼지에어흡입용 에어컴프레셔(350)는 위치고정형 비산먼지에어흡입부 일측 및 이동식 비산먼지에어흡입부 일측에 위치되어, 에어를 일정압력 이상으로 압축하여 고압탱크에 저장시킨 후, 에어의 힘을 위치고정형 비산먼지에어흡입부, 이동식 비산먼지에어흡입부, 비산먼지에어흡입·저장탱크부쪽으로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에어의 힘은 사용목적과 형태에 따라 5kgf/㎠~30kgf/㎠로 형성시킨다.
즉, 위치고정형 비산먼지에어흡입부의 제1 비산먼지에어흡입소켓, 이동식 비산먼지에어흡입부의 제2 비산먼지에어흡입소켓, 비산먼지에어흡입·저장탱크부의 제3 비산먼지에어흡입소켓쪽의 에어의 힘을 공급시켜, 상단방향에서 하단방향 또는 하단방향에서 상단방향까지 비산먼지를 빨아들여서 에어와 함께 비산먼지를 배출시키게 된다.
이처럼, 위치고정형 비산먼지에어흡입부, 이동식 비산먼지에어흡입부, 비산먼지이송파이프, 비산먼지에어흡입·저장탱크부, 비산먼지에어흡입용 에어컴프레셔로 이루어진 비산먼지에어흡입모듈은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일측에 1채널(=1개), 3채널(=3개), 5채널(=5개)로 정위치된 상태로 형성되어, 비산먼지에어흡입용 에어컴프레셔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힘으로, 비산먼지를 빨아들이면서 하단방향으로 에어와 함께 비산먼지를 배출시켜 저장시킬 수 있어, 기존보다 비산먼지 제거효율을 80% 향상시켜, 비산먼지에 따른 민원발생율을 60% 이하로 낮출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4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400)은 표면상에 복수개의 피스톤 돌기가 돌출되는 도깨비 방망이형상으로 형성되고,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유압배관으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3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켜 콘크리트를 깨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410), 유압배관(420),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430), 초고압유압펌프부(44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4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410)는 유압배관으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서 상단, 좌측, 우측의 3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서 천공의 크기는 37φ~43φ로 형성된다.
이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도깨비 방망이몸체(411),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412),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413), 쓰리웨이 피스톤에어흡입부(414), 쓰리웨이 유압공급부(415)로 구성된다.
[제1 도깨비 방망이몸체(411)]
상기 제1 도깨비 방망이몸체(411)는 표면상에 복수개의 피스톤 돌기가 돌출되는 도깨비 방망이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단 일측에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가 형성되고, 그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를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상단표면, 좌측표면, 우측표면을 따라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가 형성되며, 그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의 후단 일측에 쓰리웨이 피스톤에어흡입부가 형성되며, 그 쓰리웨이 피스톤에어흡입부의 후단 일측에 쓰리웨이 유압공급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412)]
상기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412)는 제1 도깨비 방망이몸체의 전단 일측에 위치되고, 쓰리웨이 유압공급부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쪽으로, 상단, 좌측, 우측의 3방향으로 생성되는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단, 좌측, 우측의 3방향으로 생성된다는 것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시계방향에서 0도 기준선상에 위치한 피스톤 돌기들이 일렬로 쭉 나열되어 돌출되는 상단방향과,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시계방향에서 120도 기준선상에 위치한 피스톤 돌기들이 일렬로 쭉 나열되어 돌출되는 우측방향과,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시계방향에서 240도 기준선상에 위치한 피스톤 돌기들이 일렬로 쭉 나열되어 돌출되는 좌측방향으로 생성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일렬 돌출의 힘은 일렬로 쭉 나열된 피스톤 돌기들이 한꺼번에 돌출되는 돌출 힘을 말하고, 하나의 피스톤 돌기에서 생성되는 돌출의 힘은 3500N 타격력을 생성시킨다.
이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헤드봉본체(412a), 제1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412b), 제1 좌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412c), 제1 우측 피스톤 돌출 형성부(412d)로 구성된다.
{제1 헤드봉본체(412a)}
상기 제1 헤드봉본체(412a)는 길이방향의 봉형구조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시계방향에서 0도 기준선상에 위치한 제1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와,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시계방향에서 120도 기준선상에 위치한 제1 우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와,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시계방향에서 240도 기준선상에 위치한 제1 좌측 피스톤 돌출 형성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외경이 32~40φ로 형성된다.
{제1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412b)}
상기 제1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412b)는 제1 헤드봉본체를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시계방향에서 0도 기준선상에 위치하여,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상단방향에 위치한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쪽으로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상단 피스톤용 유로부(412b-1),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412b-2),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412b-3), 제1 상단 피스톤용 실린더부(412b-4),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412b-5)로 구성된다.
(제1 상단 피스톤용 유로부(412b-1))
상기 제1 상단 피스톤용 유로부(412b-1)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쪽으로 공급시키거나, 또는 에어의 힘으로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유로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1 헤드봉본체의 내부공간 중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의 하단면쪽으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반경은 0.3~0.5φ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상단 피스톤용 유로부의 유로반경이 0.3~0.5φ로 형성시키는 이유는 0.3이하일 때는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 그리고, 제1 상단 피스톤용 실린더부의 미세틈새사이로 오일누수발생요인과,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와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사이의 결합력을 약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 0.5φ 이상일 때는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에 가해지는 힘이 약해져, 일렬 돌출의 힘(=평균 3500N 타격력) 또한 약해져, 콘크리트구조물의 크랙형성이 잘 안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기 때문에 0.3~0.5φ로 형성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상단 피스톤용 유로부(412b-1)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412b-1a)와,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412b-1b)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412b-1a)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쪽으로 공급시키거나, 또는 에어의 힘으로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유로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쓰리웨이 유압공급부와 제1a 상단 피스톤 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1a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412b-10a)와, 제1a 상단 피스톤 돌기와 제1b 상단 피스톤 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1b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412b-11a)와, 제1b 상단 피스톤 돌기와 제1c 상단 피스톤 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1c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412b-12a)와, 제1c 상단 피스톤 돌기와 제1d 상단 피스톤 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1d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412b-13a)와, 제1d 상단 피스톤 돌기와 제1e 상단유로용 엣지탭용접부 사이에 형성된 제1e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412b-14a)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412b-1b)는 제1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의 하단면쪽으로 유입시켜,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를 상승시키는 일렬 상승의 힘을 전달시키거나, 또는 에어의 힘으로 흡입시켜,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를 하강시키는 일렬 하강의 힘을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의 구성요소 중 제1 상단 피스톤 돌기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제1a 상단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412b-10b)와, 제2 상단 피스톤 돌기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제1b 상단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412b-11b)와, 제3 상단 피스톤 돌기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제1c 상단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412b-12b)와, 제4 상단 피스톤 돌기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제1d 상단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412b-13b)로 구성된다.
즉,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이 전달되면, 제1a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 제1a상단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 제1b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 제1b 상단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 제1c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 제1c 상단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 제1d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 제1d 상단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 제1e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를 거쳐, 전달시킨다.
이때,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으로 전달시키면,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의 구성요소인 제1a 상단 피스톤 돌기, 제1b 상단 피스톤 돌기, 제1c 상단 피스톤 돌기, 제1d 상단 피스톤 돌기쪽으로, 0.3초~0.9초이내에 전달시킬 수 있어, 동시다발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킬 수 있다.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412b-2))
상기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412b-2)는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을 밀폐시킬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으로 유입되는 오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와 대칭되는 음각의 단턱구조로 이루어져 형성된다.
그리고, 단턱구조 둘레를 따라, 경사면테두리를 형성시켜,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의 헤드부위에 형성된 각진 라운딩부위가 맞춤형으로 결합된 후, 강하게 조여지면서 누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412b-3))
상기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412b-3)는 나사형 캡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에 꽉 끼워지면서 결합되어, 누유가 발생되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에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를 삽입시킨 후,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을 나사산을 따라 돌리면서, 꽉 끼워지면서 결합되도록 조립시킨다.
이어서, 외부방향으로 튀어나오는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의 캡 머리부위를 밀링가공을 통해 삭제시킨다.
그 이유는 튀어나오는 형상없이, 외부표면자체가 길이방향의 봉형구조로 매끄러운 구조가 되어야,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으로 삽입이 쉽고, 일렬 돌출의 힘 생성시, 반작용의 외압접촉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꽉 끼워져 결합된 부위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밀링가공을 통해 삭제시켜 매끄러운 구조로 형성시킨 부위에 "-"형상의 음각 홈을 형성시킨다.
그 이유는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의 이상이나 뒤틀림으로 인해, 누유발생시, 보수를 위해서, "-"홈 핸들을 통해 돌려서 제거시키고, 새로운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로 교체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상단 피스톤용 실린더부(412b-4))
상기 제1 상단 피스톤용 실린더부(412b-4)는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가 상승과 하강의 왕복운동을 하도록 안내시키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412b-5))
상기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412b-5)는 제1 상단 피스톤용 실린더부의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하(下)면 부위에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상단방향에 위치한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쪽으로 일렬 돌출의 상승의 힘을 생성시키고, 에어 흡입의 힘을 전달받아 하강의 힘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a 상단 피스톤 돌기(412b-5a), 제1b 상단 피스톤 돌기(412b-5b), 제1c 상단 피스톤 돌기(412b-5c), 제1d 상단 피스톤 돌기(412b-5d)의 4개(=4채널)로 구성된다.
사용목적과 형태에 따라 4개(=4채널)이외에도, 5개(=5채널), 8개(=8채널), 12개(=12채널), 20개(=20채널) 등 다양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1a 상단 피스톤 돌기(412b-5a), 제1b 상단 피스톤 돌기(412b-5b), 제1c 상단 피스톤 돌기(412b-5c), 제1d 상단 피스톤 돌기(412b-5d)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제1a 유압전달형 하단받침띠(412b-50a)와 제1a 상단라운드띠(412b-50b)로 이루어진 이중띠형상의 제1a 피스톤 돌기몸체(412b-50c)로 이루어지고, 제1a 상단라운드띠의 상단 일측에 제1a 피스톤 돌기((412b-50d)가 형성되고, 제1a 피스톤 돌기에 제1a 탄성스프링((412b-50e)이 삽입 형성되며, 이중띠 부위에 제1a 우레탄 오링((412b-50f)이 형성되며, 제1a 피스톤 돌기몸체의 표면전체가 세라믹 코팅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a 피스톤돌기(412b-50d)는 SNCM(Steel Nickel Chromium Molybdenum, 니켈 크롬 몰리브덴강)소재를 가지고, 침탄 열처리가공해서 형성된다.
상기 제1a 유압전달형 하단받침띠(412b-50a)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1a 탄성스프링(412b-50e)은 제1a 피스톤 돌기몸체에 탄성력과 복원력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a 우레탄 오링(412b-50f)은 제1a 유압전달형 하단받침띠로 전달되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의 오일이 흘러서, 제1a 상단라운드띠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표면전체가 세라믹 코팅되는 이유는 하(下)면 부위에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1 상단 피스톤용 실린더부의 내부공간에서 상승시, 마찰로 인한 내구성 향상과 미끄럼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의 제1a 피스톤 돌기 직경은 9φ~11φ로 형성되고, 제1a 유압전달형 하단받침띠와 제1a 상단라운드띠 직경은 14φ~16φ로 형성되며, 제1a 피스톤 돌기몸체의 전체높이는 23mm~26mm로 형성된다.
이처럼, 제1 상단 피스톤용 유로부(412b-1),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412b-2),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412b-3), 제1 상단 피스톤용 실린더부(412b-4),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412b-5)로 이루어진 제1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412b)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상단 방향으로 생성되는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킨다.
여기서, 일렬 돌출의 힘은 일렬로 쭉 나열된 제1a 상단 피스톤 돌기, 제1b 상단 피스톤 돌기, 제1c 상단 피스톤 돌기, 제1d 상단 피스톤 돌기의 한꺼번에 돌출되는 돌출 힘을 말하고,
제1a 상단 피스톤 돌기, 제1b 상단 피스톤 돌기, 제1c 상단 피스톤 돌기, 제1d 상단 피스톤 돌기 중 하나의 피스톤 돌기에서 생성되는 돌출의 힘은 3500N 타격력을 생성시킨다.
{제1 좌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412c)}
상기 제1 좌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412c)는 제1 헤드봉본체를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시계방향에서 240도 기준선상에 위치하여,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좌측방향에 위치한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쪽으로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좌측 피스톤용 유로부(412c-1),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412c-2),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부(412c-3), 제1 좌측 피스톤용 실린더부(412c-4), 제1 좌측 피스톤 돌기부(412c-5)로 구성된다.
(제1 좌측 피스톤용 유로부(412c-1))
상기 제1 좌측 피스톤용 유로부(412c-1)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1 좌측 피스톤 돌기부쪽으로 공급시키거나, 또는 에어의 힘으로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유로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1 헤드봉본체의 내부공간 중 제1 좌측 피스톤 돌기부의 하단면쪽으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반경은 0.3~0.5φ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좌측 피스톤용 유로부의 유로반경이 0.3~0.5φ로 형성시키는 이유는 0.3이하일 때는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부, 그리고, 제1 좌측 피스톤용 실린더부의 미세틈새사이로 오일누수발생요인과,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와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부사이의 결합력을 약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 0.5φ 이상일 때는 제1 좌측 피스톤 돌기부에 가해지는 힘이 약해져, 일렬 돌출의 힘(=평균 3500N 타격력) 또한 약해져, 콘크리트구조물의 크랙형성이 잘 안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기 때문에 0.3~0.5φ로 형성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좌측 피스톤용 유로부(412c-1)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좌측 피스톤용 직선유로(412c-1a)와, 제1 좌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412c-1b)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좌측 피스톤용 직선유로(412c-1a)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1 좌측 피스톤 돌기부쪽으로 공급시키거나, 또는 에어의 힘으로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유로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쓰리웨이 유압공급부와 제1a 좌측 피스톤 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1a 좌측 피스톤용 직선유로(412c-10a)와, 제1a 좌측 피스톤 돌기와 제1b 좌측 피스톤 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1b 좌측 피스톤용 직선유로(412c-11a)와, 제1b 좌측 피스톤 돌기와 제1c 좌측 피스톤 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1c 좌측 피스톤용 직선유로(412c-12a)와, 제1c 좌측 피스톤 돌기와 제1d 좌측 피스톤 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1d 좌측 피스톤용 직선유로(412c-13a)와, 제1d 좌측 피스톤 돌기와 제1e 좌측유로용 엣지탭용접부 사이에 형성된 제1e 좌측 피스톤용 직선유로(412c-14a)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좌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412c-1b)는 제1 좌측 피스톤용 직선유로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1 좌측 피스톤 돌기부의 하단면쪽으로 유입시켜, 제1 좌측 피스톤 돌기부를 상승시키는 일렬 상승의 힘을 전달시키거나, 또는 에어의 힘으로 흡입시켜, 제1 좌측 피스톤 돌기부를 하강시키는 일렬 하강의 힘을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좌측 피스톤 돌기부의 구성요소 중 제1 좌측 피스톤 돌기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제1a 좌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412c-10b)와, 제2 우측 피스톤 돌기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제1b 좌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412c-11b)와, 제3 좌측 피스톤 돌기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제1c 좌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412c-12b)와, 제4 좌측 피스톤 돌기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제1d 좌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412c-13b)로 구성된다.
즉,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이 전달되면, 제1a 좌측 피스톤용 직선유로, 제1a좌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 제1b 좌측 피스톤용 직선유로, 제1b 좌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 제1c 좌측 피스톤용 직선유로, 제1c 좌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 제1d 좌측 피스톤용 직선유로, 제1d 좌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 제1e 좌측 피스톤용 직선유로를 거쳐, 전달시킨다.
이때,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으로 전달시키면, 제1 좌측 피스톤 돌기부의 구성요소인 제1a 좌측 피스톤 돌기, 제1b 좌측 피스톤 돌기, 제1c 좌측 피스톤 돌기, 제1d 좌측 피스톤 돌기쪽으로, 0.3초~0.9초이내에 전달시킬 수 있어, 동시다발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킬 수 있다.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412c-2))
상기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412c-2)는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을 밀폐시킬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으로 유입되는 오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부와 대칭되는 음각의 단턱구조로 이루어져 형성된다.
그리고, 단턱구조 둘레를 따라, 경사면테두리를 형성시켜,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부의 헤드부위에 형성된 각진 라운딩부위가 맞춤형으로 결합된 후, 강하게 조여지면서 누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부(412c-3))
상기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부(412c-3)는 나사형 캡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에 꽉 끼워지면서 결합되어, 누유가 발생되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에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을 나사산을 따라 돌리면서, 꽉 끼워지면서 결합되도록 조립시킨다.
이어서, 외부방향으로 튀어나오는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부의 캡 머리부위를 밀링가공을 통해 삭제시킨다.
그 이유는 튀어나오는 형상없이, 외부표면자체가 길이방향의 봉형구조로 매끄러운 구조가 되어야,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으로 삽입이 쉽고, 일렬 돌출의 힘 생성시, 반작용의 외압접촉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꽉 끼워져 결합된 부위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밀링가공을 통해 삭제시켜 매끄러운 구조로 형성시킨 부위에 "-"형상의 음각 홈을 형성시킨다.
그 이유는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부의 이상이나 뒤틀림으로 인해, 누유발생시, 보수를 위해서, "-"홈 핸들을 통해 돌려서 제거시키고, 새로운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부로 교체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좌측 피스톤용 실린더부(412c-4))
상기 제1 좌측 피스톤용 실린더부(412c-4)는 제1 좌측 피스톤 돌기부가 상승과 하강의 왕복운동을 하도록 안내시키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좌측 피스톤 돌기부(412c-5))
상기 제1 좌측 피스톤 돌기부(412c-5)는 제1 좌측 피스톤용 실린더부의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하(下)면 부위에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좌측방향에 위치한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쪽으로 일렬 돌출의 상승의 힘을 생성시키고, 에어 흡입의 힘을 전달받아 하강의 힘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a 좌측 피스톤 돌기(412c-5a), 제1b 좌측 피스톤 돌기(412c-5b), 제1c 좌측 피스톤 돌기(412c-5c), 제1d 좌측 피스톤 돌기(412c-5d)의 4개(=4채널)로 구성된다.
사용목적과 형태에 따라 4개(=4채널)이외에도, 5개(=5채널), 8개(=8채널), 12개(=12채널), 20개(=20채널) 등 다양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1a 좌측 피스톤 돌기(412c-5a), 제1b 좌측 피스톤 돌기(412c-5b), 제1c 좌측 피스톤 돌기(412c-5c), 제1d 좌측 피스톤 돌기(412c-5d)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제2a 유압전달형 하단받침띠(412c-50a)와 제2a 상단라운드띠(412c-50b)로 이루어진 이중띠형상의 제2a 피스톤 돌기몸체(412c-50c)로 이루어지고, 제2a 상단라운드띠의 좌측 일측에 제2a 피스톤 돌기(412c-50d)가 형성되고, 제2a 피스톤 돌기에 제2a 탄성스프링((412c-50e)이 삽입 형성되며, 이중띠 부위에 제2a 우레탄 오링((412c-50f)이 형성되며, 제2a 피스톤 돌기몸체의 표면전체가 세라믹 코팅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a 피스톤돌기(412c-50a)는 SNCM(Steel Nickel Chromium Molybdenum, 니켈 크롬 몰리브덴강)소재를 가지고, 침탄 열처리가공해서 형성된다.
상기 제2a 유압전달형 하단받침띠(412c-50b)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2a 탄성스프링(412c-50e)은 제2a 피스톤 돌기몸체에 탄성력과 복원력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a 우레탄 오링(412c-50f)은 제2a 유압전달형 하단받침띠로 전달되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의 오일이 흘러서, 제2a 상단라운드띠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표면전체가 세라믹 코팅되는 이유는 하(下)면 부위에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1 좌측 피스톤용 실린더부의 내부공간에서 상승시, 마찰로 인한 내구성 향상과 미끄럼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좌측 피스톤 돌기부의 제2a 피스톤 돌기 직경은 9φ~11φ로 형성되고, 제2a 유압전달형 하단받침띠와 제2a 상단라운드띠 직경은 14φ~16φ로 형성되며, 제2a 피스톤 돌기몸체의 전체높이는 23mm~26mm로 형성된다.
이처럼, 제1 좌측 피스톤용 유로부(412c-1),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412c-2),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부(412c-3), 제1 좌측 피스톤용 실린더부(412c-4), 제1 좌측 피스톤 돌기부(412c-5)로 이루어진 제1 좌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412c)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좌측 방향으로 생성되는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킨다.
여기서, 일렬 돌출의 힘은 일렬로 쭉 나열된 제1a 좌측 피스톤 돌기, 제1b 좌측 피스톤 돌기, 제1c 좌측 피스톤 돌기, 제1d 좌측 피스톤 돌기의 한꺼번에 돌출되는 돌출 힘을 말하고,
제1a 좌측 피스톤 돌기, 제1b 좌측 피스톤 돌기, 제1c 좌측 피스톤 돌기, 제1d 좌측 피스톤 돌기 중 하나의 피스톤 돌기에서 생성되는 돌출의 힘은 3500N 타격력을 생성시킨다.
{제1 우측 피스톤 돌출 형성부(412d)}
상기 제1 우측 피스톤 돌출 형성부(412d)는 제1 헤드봉본체를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시계방향에서 120도 기준선상에 위치하여,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우측방향에 위치한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쪽으로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우측 피스톤용 유로부(412d-1),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412d-2),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412d-3), 제1 우측 피스톤용 실린더부(412d-4), 제1 우측 피스톤 돌기부(412d-5)로 구성된다.
(제1 우측 피스톤용 유로부(412d-1))
상기 제1 우측 피스톤용 유로부(412d-1)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1 우측 피스톤 돌기부쪽으로 공급시키거나, 또는 에어의 힘으로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유로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1 헤드봉본체의 내부공간 중 제1 우측 피스톤 돌기부의 하단면쪽으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반경은 0.3~0.5φ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우측 피스톤용 유로부의 유로반경이 0.3~0.5φ로 형성시키는 이유는 0.3이하일 때는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 그리고, 제1 우측 피스톤용 실린더부의 미세틈새사이로 오일누수발생요인과,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와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사이의 결합력을 약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 0.5φ 이상일 때는 제1 우측 피스톤 돌기부에 가해지는 힘이 약해져, 일렬 돌출의 힘(=평균 3500N 타격력) 또한 약해져, 콘크리트구조물의 크랙형성이 잘 안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기 때문에 0.3~0.5φ로 형성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우측 피스톤용 유로부(412d-1)는 도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우측 피스톤용 직선유로(412d-1a)와, 제1 우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412d-1b)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우측 피스톤용 직선유로(412d-1a)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1 우측 피스톤 돌기부쪽으로 공급시키거나, 또는 에어의 힘으로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유로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쓰리웨이 유압공급부와 제1a 우측 피스톤 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1a 우측 피스톤용 직선유로(412d-10a)와, 제1a 우측 피스톤 돌기와 제1b 우측 피스톤 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1b 우측 피스톤용 직선유로(412d-11a)와, 제1b 우측 피스톤 돌기와 제1c 우측 피스톤 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1c 우측 피스톤용 직선유로(412d-12a)와, 제1c 우측 피스톤 돌기와 제1d 우측 피스톤 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1d 우측 피스톤용 직선유로(412d-13a)와, 제1d 우측 피스톤 돌기와 제1e 우측유로용 엣지탭용접부 사이에 형성된 제1e 우측 피스톤용 직선유로(412d-14a)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우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412d-1b)는 제1 우측 피스톤용 직선유로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1 우측 피스톤 돌기부의 하단면쪽으로 유입시켜, 제1 우측 피스톤 돌기부를 상승시키는 일렬 상승의 힘을 전달시키거나, 또는 에어의 힘으로 흡입시켜, 제1 우측 피스톤 돌기부를 하강시키는 일렬 하강의 힘을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우측 피스톤 돌기부의 구성요소 중 제1 우측 피스톤 돌기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제1a 우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412d-10b)와, 제2 우측 피스톤 돌기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제1b 우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412d-11b)와, 제3 우측 피스톤 돌기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제1c 우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412d-12b)와, 제4 우측 피스톤 돌기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제1d 우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412d-13b)와, 제5 우측 피스톤 돌기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제1e 우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412d-14b)로 구성된다.
즉,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이 전달되면, 제1a 우측 피스톤용 직선유로, 제1a우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 제1b 우측 피스톤용 직선유로, 제1b 우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 제1c 우측 피스톤용 직선유로, 제1c 우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 제1d 우측 피스톤용 직선유로, 제1d 우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 제1e 우측 피스톤용 직선유로를 거쳐, 전달시킨다.
이때,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으로 전달시키면, 제1 우측 피스톤 돌기부의 구성요소인 제1a 우측 피스톤 돌기, 제1b 우측 피스톤 돌기, 제1c 우측 피스톤 돌기, 제1d 우측 피스톤 돌기쪽으로, 0.3초~0.9초이내에 전달시킬 수 있어, 동시다발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킬 수 있다.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412d-2))
상기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412d-2)는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을 밀폐시킬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으로 유입되는 오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와 대칭되는 음각의 단턱구조로 이루어져 형성된다.
그리고, 단턱구조 둘레를 따라, 경사면테두리를 형성시켜,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의 헤드부위에 형성된 각진 라운딩부위가 맞춤형으로 결합된 후, 강하게 조여지면서 누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412d-3))
상기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412d-3)는 나사형 캡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에 꽉 끼워지면서 결합되어, 누유가 발생되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에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을 나사산을 따라 돌리면서, 꽉 끼워지면서 결합되도록 조립시킨다.
이어서, 외부방향으로 튀어나오는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의 캡 머리부위를 밀링가공을 통해 삭제시킨다.
그 이유는 튀어나오는 형상없이, 외부표면자체가 길이방향의 봉형구조로 매끄러운 구조가 되어야,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으로 삽입이 쉽고, 일렬 돌출의 힘 생성시, 반작용의 외압접촉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꽉 끼워져 결합된 부위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밀링가공을 통해 삭제시켜 매끄러운 구조로 형성시킨 부위에 "-"형상의 음각 홈을 형성시킨다.
그 이유는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의 이상이나 뒤틀림으로 인해, 누유발생시, 보수를 위해서, "-"홈 핸들을 통해 돌려서 제거시키고, 새로운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로 교체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우측 피스톤용 실린더부(412d-4))
상기 제1 우측 피스톤용 실린더부(412d-4)는 제1 우측 피스톤 돌기부가 상승과 하강의 왕복운동을 하도록 안내시키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우측 피스톤 돌기부(412d-5))
상기 제1 우측 피스톤 돌기부(412d-5)는 제1 우측 피스톤용 실린더부의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하(下)면 부위에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우측방향에 위치한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쪽으로 일렬 돌출의 상승의 힘을 생성시키고, 에어 흡입의 힘을 전달받아 하강의 힘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a 우측 피스톤 돌기(412d-5a), 제1b 우측 피스톤 돌기(412d-5b), 제1c 우측 피스톤 돌기(412d-5c), 제1d 우측 피스톤 돌기(412d-5d)의 4개(=4채널)로 구성된다.
상기 제1a 우측 피스톤 돌기(412d-5a), 제1b 우측 피스톤 돌기(412d-5b), 제1c 우측 피스톤 돌기(412d-5c), 제1d 우측 피스톤 돌기(412d-5d)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제3a 유압전달형 하단받침띠(412d-50a)와 제3a 상단라운드띠(412d-50b)로 이루어진 이중띠형상의 제3a 피스톤 돌기몸체(412d-50c)로 이루어지고, 제3a 상단라운드띠의 우측 일측에 제3a 피스톤 돌기(412d-50d)가 형성되고, 제3a 피스톤 돌기에 제3a 탄성스프링(412d-50e)이 삽입 형성되며, 이중띠 부위에 제3a 우레탄 오링(412d-50f)이 형성되며, 제3a 피스톤 돌기몸체의 표면전체가 세라믹 코팅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3a 피스톤돌기(412d-50d)는 SNCM(Steel Nickel Chromium Molybdenum, 니켈 크롬 몰리브덴강)소재를 가지고, 침탄 열처리가공해서 형성된다.
상기 제3a 유압전달형 하단받침띠(412d-50a)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3a 탄성스프링(412d-50e)은 제3a 피스톤 돌기몸체에 탄성력과 복원력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a 우레탄 오링(412d-50f)은 제3a 유압전달형 하단받침띠로 전달되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의 오일이 흘러서, 제3a 상단라운드띠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표면전체가 세라믹 코팅되는 이유는 하(下)면 부위에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1 우측 피스톤용 실린더부의 내부공간에서 상승시, 마찰로 인한 내구성 향상과 미끄럼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우측 피스톤 돌기부의 제3a 피스톤 돌기 직경은 9φ~11φ로 형성되고, 제3a 유압전달형 하단받침띠와 제3a 상단라운드띠 직경은 14φ~16φ로 형성되며, 제3a 피스톤 돌기몸체의 전체높이는 23mm~26mm로 형성된다.
이처럼, 제1 우측 피스톤용 유로부(412d-1),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412d-2),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412d-3), 제1 우측 피스톤용 실린더부(412d-4), 제1 우측 피스톤 돌기부(412d-5)로 이루어진 제1 우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112d)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우측 방향으로 생성되는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킨다.
여기서, 일렬 돌출의 힘은 일렬로 쭉 나열된 제1a 우측 피스톤 돌기, 제1b 우측 피스톤 돌기, 제1c 우측 피스톤 돌기, 제1d 우측 피스톤 돌기의 한꺼번에 돌출되는 돌출 힘을 말하고, 제1a 우측 피스톤 돌기, 제1b 우측 피스톤 돌기, 제1c 우측 피스톤 돌기, 제1d 우측 피스톤 돌기 중 하나의 피스톤 돌기에서 생성되는 돌출의 힘은 3500N 타격력을 생성시킨다.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413)]
상기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413)는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를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상단표면, 좌측표면, 우측표면을 따라 덮개구조의 플레이트가 형성되어,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에서 생성시킨 상단, 좌측, 우측의 3방향으로 생성되는 피스톤 돌기의 돌출의 힘을,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서 상단, 좌측, 우측의 3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변환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에서 나비효과와 면접촉 타격력이라는 것은 나비의 작은 날갯짓처럼 미세한 변화, 작은 차이, 사소한 사건이 추후 예상하지 못한 엄청난 결과나 파장으로 이어지는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서, 피스톤 돌기의 돌출의 힘이 점접촉으로 타격력이 가해지면, 면형상의 플레이트쪽으로 전달되면서, 이때부터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변환되어,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 10% 크랙이 생기다가, 나비가 날개짓을 반복하듯이 또 다시,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반복하여,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 30% 크랙, 50% 크랙, 70% 크랙이 생키도록 하여, 콘크리트구조물을 깨는 것을 말한다.
이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상단방향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413a), 제1 좌측방향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413b), 제1 우측방향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413c)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상단방향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413a)는 상단표면을 따라 덮개구조의 플레이트가 형성되어,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에서 생성시킨 상단방향으로 생성되는 피스톤 돌기의 돌출의 힘을,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서 상단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변환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의 구성요소 중 제1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를 덮어주는 덮개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해, 호형상의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구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를 덮어주는 덮개역할을 하는 이유는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서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인해, 먼지가 바로 제1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쪽으로 유입되면, 제1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가 막혀서 제대로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형성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제1 좌측방향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413b)는 상단표면을 따라 덮개구조의 플레이트가 형성되어,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에서 생성시킨 좌측방향으로 생성되는 피스톤 돌기의 돌출의 힘을,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서 좌측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변환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의 구성요소 중 제1 좌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를 덮어주는 덮개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해, 호형상의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구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좌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를 덮어주는 덮개역할을 하는 이유는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서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인해, 먼지가 바로 제1 좌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쪽으로 유입되면, 제1 좌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가 막혀서 제대로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형성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제1 우측방향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413c)는 상단표면을 따라 덮개구조의 플레이트가 형성되어,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에서 생성시킨 우측방향으로 생성되는 피스톤 돌기의 돌출의 힘을,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서 우측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변환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의 구성요소 중 제1 우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를 덮어주는 덮개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해, 호형상의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구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우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를 덮어주는 덮개역할을 하는 이유는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서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인해, 먼지가 바로 제1 우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쪽으로 유입되면, 제1 우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가 막혀서 제대로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형성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쓰리웨이 피스톤에어흡입부(414)]
상기 쓰리웨이 피스톤에어흡입부(414)는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의 후단 일측에 위치되어, 에어 흡입의 힘으로,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에 유입된 오일을 흡입하여 배출시켜, 일렬 돌출된 피스톤 돌기를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에어흡입접속관 구조로 형성되고, 그 에어흡입접속관 상단 일측에 에어흡입밸브와, 에어흡입용 에어컴프레셔 연결부위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쓰리웨이 유압공급부(415)]
상기 쓰리웨이 유압공급부(415)는 쓰리웨이 피스톤에어흡입부의 후단 일측에 위치되고, 유압배관과 연결되어, 유압배관으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쪽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유압공급접속관 구조로 형성되고, 그 유압공급접속관 상단 일측에 유입개폐밸브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유압배관(4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유압배관(420)은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과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 사이에 위치되어,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쪽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최대 2000바(Bar)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되고, 사용목적과 형태에 따라 10m~200m 길이를 갖으면서, 강관재질 또는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유압배관, 제2 유압배관, 제3 유압배관, 제4 유압배관, 제5 유압배관, 제6 유압배관, 제7 유압배관, 제8 유압배관, 제9 유압배관, 제10 유압배관, 제11 유압배관, 제12 유압배관, 제13 유압배관, 제14 유압배관, 제15 유압배관, 제16 유압배관으로 총 16채널구조로 구성된다.
즉,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제1 유압배기포트와 연결되는 제1 유압배관과,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제2 유압배기포트와 연결되는 제2 유압배관과,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제3 유압배기포트와 연결되는 제3 유압배관과,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제4 유압배기포트와 연결되는 제4 유압배관과,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제5 유압배기포트와 연결되는 제5 유압배관과,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제6 유압배기포트와 연결되는 제6 유압배관과,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제7 유압배기포트와 연결되는 제7 유압배관과,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제8 유압배기포트와 연결되는 제8 유압배관과,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제9 유압배기포트와 연결되는 제9 유압배관과,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제10 유압배기포트와 연결되는 제10 유압배관과,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제11 유압배기포트와 연결되는 제11 유압배관과,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제12 유압배기포트와 연결되는 제12 유압배관과,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제13 유압배기포트와 연결되는 제13 유압배관과,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제14 유압배기포트와 연결되는 제14 유압배관과,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제15 유압배기포트와 연결되는 제15 유압배관,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제16 유압배기포트와 연결되는 제16 유압배관으로 구성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4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430)는 박스형상의 구조로 형성되어, 유압배관과 연결되면서,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된 유압배관쪽으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분배본체(431), 16채널 유압배기포트(432), 16채널 솔레노이드밸브부(433)로 구성된다.
상기 유압분배본체(431)는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전단일측에 16채널 유압배기포트가 형성되고, 16채널 유압배기포트 후단 일측에 16채널 솔레노이드밸브부가 형성되며, 그 16채널 솔레노이드밸브부를 기준으로 밑단에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16채널 유압실린더부가 형성되고,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상단 일측에 유압 인디게이트와 함께 16채널 유압센서가 형성되며, 16채널 유압실린더부 하단 일측에 박스형상의 오일탱크부가 형성된다.
상기 16채널 유압배기포트(432)는 유압분배본체의 전단일측에 길이방향의 16채널구조로 형성되어, 유압배관과 1:1로 연결되어, 흡기 또는 배기의 역할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유압배기포트(432a), 제2 유압배기포트(432b), 제3 유압배기포트(432c), 제4 유압배기포트(432d), 제5 유압배기포트(432e), 제6 유압배기포트(432f), 제7 유압배기포트(432g), 제8 유압배기포트(432h), 제9 유압배기포트(432i), 제10 유압배기포트(432j), 제11 유압배기포트(432k), 제12 유압배기포트(432l), 제13 유압배기포트(432m), 제14 유압배기포트(432n), 제15 유압배기포트(432o), 제16 유압배기포트(432p)로 총 16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유압배기포트는 제1 유압배관과 1:1로 연결되고, 제2 유압배기포트는 제2 유압배관과 1:1로 연결되며, 제3 유압배기포트는 제3 유압배관과 1:1로 연결되고, 제4 유압배기포트는 제4 유압배관과 1:1로 연결되며, 제5 유압배기포트는 제5 유압배관과 1:1로 연결되고, 제6 유압배기포트는 제6 유압배관과 1:1로 연결되며, 제7 유압배기포트는 제7 유압배관과 1:1로 연결되고, 제8 유압배기포트는 제8 유압배관과 1:1로 연결되며, 제9 유압배기포트는 제9 유압배관과 1:1로 연결되고, 제10 유압배기포트는 제10 유압배관과 1:1로 연결되며, 제11 유압배기포트는 제11 유압배관과 1:1로 연결되고, 제12 유압배기포트는 제12 유압배관과 1:1로 연결되며, 제13 유압배기포트는 제13 유압배관과 1:1로 연결되고, 제14 유압배기포트는 제14 유압배관과 1:1로 연결되며, 제15 유압배기포트는 제15 유압배관과 1:1로 연결되고, 제16 유압배기포트는 제16 유압배관과 1:1로 연결된다.
상기 제1 유압배기포트, 제2 유압배기포트, 제3 유압배기포트, 제4 유압배기포트, 제5 유압배기포트, 제6 유압배기포트, 제7 유압배기포트, 제8 유압배기포트, 제9 유압배기포트, 제10 유압배기포트, 제11 유압배기포트, 제12 유압배기포트, 제13 유압배기포트, 제14 유압배기포트, 제15 유압배기포트, 제16 유압배기포트는 각각, 유압을 갖는 유체를 유압배관쪽으로 공급시키는 배기포트로 구성된다. 그리고,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이 단동형 구조로 이루어져, 유압배기포트또한 유압배기의 하나의 기능만으로 이루어지며, 총 16개가 구성된다.
상기 16채널 솔레노이드밸브부(433)는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후단 일측에 길이방향의 16채널구조로 형성되어, 초고압유압펌프부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16채널 유압배기포트쪽으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의 유체를 공급시키는 유로를 형성시켜, 유압으로 이루어진 유체공급의 힘을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단동스풀형 3포트 솔레노이드밸브가 16개인 16채널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초고압유압펌프부과 16채널 솔레노이드밸브부는 1:16 비율로 연결되어 구성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된 유압배관쪽으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공급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16채널 솔레노이드밸브부는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솔레노이드밸브(433a), 제2 솔레노이드밸브(433b), 제3 솔레노이드밸브(433c), 제4 솔레노이드밸브(433d), 제5 솔레노이드밸브(433e), 제6 솔레노이드밸브(433f), 제7 솔레노이드밸브(433g), 제8 솔레노이드밸브(433h), 제9 솔레노이드밸브(433i), 제10 솔레노이드밸브(433j), 제11 솔레노이드밸브(433k), 제12 솔레노이드밸브(433l), 제13 솔레노이드밸브(433m), 제14 솔레노이드밸브(433n), 제15 솔레노이드밸브(433o), 제16 솔레노이드밸브(433p)로 총 16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솔레노이드밸브는 제1 유압배기포트와 1:1로 연결되고, 제2 솔레노이드밸브는 제2 유압배기포트와 1:1로 연결되며, 제3 솔레노이드밸브는 제3 유압배기포트와 1:1로 연결되고, 제4 솔레노이드밸브는 제4 유압배기포트와 1:1로 연결되며, 제5 솔레노이드밸브는 제5 유압배기포트와 1:1로 연결되고, 제6 솔레노이드밸브는 제6 유압배기포트와 1:1로 연결되며, 제7 솔레노이드밸브는 제7 유압배기포트와 1:1로 연결되고, 제8 솔레노이드밸브는 제8 유압배기포트와 1:1로 연결되며, 제9 솔레노이드밸브는 제9 유압배기포트와 1:1로 연결되고, 제10 솔레노이드밸브는 제10 유압배기포트와 1:1로 연결되며, 제11 솔레노이드밸브는 제11 유압배기포트와 1:1로 연결되고, 제12 솔레노이드밸브는 제12 유압배기포트와 1:1로 연결되며, 제13 솔레노이드밸브는 제13 유압배기포트와 1:1로 연결되고, 제14 솔레노이드밸브는 제14 유압배기포트와 1:1로 연결되며, 제15 솔레노이드밸브는 제15 유압배기포트와 1:1로 연결되고, 제16 솔레노이드밸브는 제16 유압배기포트와 1:1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솔레노이드밸브는 제1 유압배기포트와 1:1로 연결된다는 것은 제1 솔레노이드밸브의 공급유로에 초고압유압펌프부의 출력포트가 연결되고, 또 다른 제1 솔레노이드밸브의 배출유로에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제1 유압배기포트가 연결되는 것을 말한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초고압유압펌프부(4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초고압유압펌프부(440)은 입력되는 에어압력을 400:1의 중압비로 최대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생성시켜,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쪽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사용목적과 형태에 따라 2000바(Bar)이외에도, 2500바(Bar), 3000바(Bar), 4000바(Bar)의 유압을 생성시킬 수 있다.
상기 유압은 최대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생성시키는 초고압유압펌프부에 의해 기계적 에너지를 유체의 압력 에너지로 변환시켜, 그 유체에너지에 압력, 유향, 방향의 3가지의 기본적인 제어를 실시하여,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의 구성요소 중 세라믹형 실린더 피스톤의 실린더운동으로 다시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움직임을 말한다.
이는 지속(Continuous)압력 1500바(Bar), 피크압력 2000바(Bar)로 구성되고,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을 최대 20개 설치하고,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 동시 작동을 최대 10개가 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방향제어밸브는 10개 작동시, 10개 드레인, 중립시 20개 드레인으로 구성된다.
상기 초고압유압펌프부(440)은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모듈본체(441), 유량제어밸브부(442), 체크밸브부(443), 방향제어밸브부(444), 압력제어밸브부(445), 유압펌프부(446), 펌프용 에어컴퓨레셔부(447), 오일필터부(448), 오일탱크부(449)로 구성된다.
그리고, 피스톤 돌기를 하강시키기 위해, 에어흡입의 힘을 생성시키는 에어흡입용 에어컴프레셔(449a)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에어흡입용 에어컴프레셔는 실린더 피스톤 진공흡입장치의 구조로 구성된다.
[펌프모듈본체(441)]
상기 펌프모듈본체(441)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 일측에 유량제어밸브부가 형성되고, 그 유량제어밸브부 일측에 체크밸브부가 형성되며, 그 체크밸브부 일측에 방향제어밸브부와 압력제어밸브부가 형성되고, 내부공간 중앙부위에 유압펌프부가 형성되며, 그 유압펌프부 일측에 펌프용 에어컴퓨레셔부가 형성되고, 유압펌프부 하단면 일측에 오일탱크부가 형성되며, 그 오일탱크부와 유압펌프부 사이에 오일필터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유량제어밸브부(442)]
상기 유량제어밸브부(442)는 유압펌프부 일측에 위치되어, 오일필터부를 통과한 오일의 유동량을 제어하고, 유압펌프부의 속도를 조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체크밸브부(443)]
상기 체크밸브부(443)는 유량제어밸브부 일측에 위치되어, 유압을 작동시키는 작동유인 오일을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하고 반대방향으로 흐르지 못하도록 하는 밸브의 역할을 수행한다.
[방향제어밸브부(444)]
상기 방향제어밸브부(444)는 유압장치 회로 내의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갖는 유체의 흐름 방향을 조절하여 유압펌프부의 작동방향을 변환시키는 밸브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 중 선택된 16채널 솔레노이드밸브부쪽으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갖는 유체가 흐르도록 방향제어시키도록 구성된다.
또는, 수동밸브구조로 이루어져, 수동밸브를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 중 선택된 16채널 솔레노이드밸브부쪽으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갖는 유체가 흐르도록 방향제어시키도록 구성된다.
[압력제어밸브부(445)]
상기 압력제어밸브부(445)는 유압장치 회로 내의 압력 상승을 제한하여 설정된 압력의 오일을 공급시키는 밸브의 역할을 수행한다.
[유압펌프부(446)]
상기 유압펌프부(446)는 중심축인 캠을 기준으로 방사형구조로 복수개의 피스톤이 형성되고, 그 복수개의 피스톤이 로테이팅 실린더 속을 왕복운동하면서 입력포트에서 오일을 흡입시키고, 압축해서 출력포트쪽으로 출력시켜, 최대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회전모터에 의해 중심축인 캠이 회전되고, 캠이 플런저를 회전시켜, 피스톤을 입력포트와 출력포트의 일직선상에 위치시키면, 피스톤이 로테이팅 실린더 속을 왕복운동하면서, 입력포트에서 오일을 흡입시키고, 압축해서 출력포트쪽으로 출력시킨다.
즉, 피스톤펌프구조로 형성되어, 최대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생성시키고, 가변 용량형에 적합하며, 다른 유압펌프에 비해 효율이 가장 좋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에어(Air) 1바(Bar)시 유압(Hydraulic)이 400바(Bar)로 생성되도록 구성되고, 에어 5바(Bar)시 유압(Hydraulic)이 2000바(Bar)로 생성되도록 구성된다.
[펌프용 에어컴퓨레셔부(447)]
상기 펌프용 에어컴퓨레셔부(447)는 유압펌프부 일측에 위치되어, 유압펌프부쪽으로 에어압력을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펌프용 에어컴퓨레셔부와 유압펌프부는 입력되는 에어압력을 400:1의 중압비로 최대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생성시키도록 설정된다.
[오일필터부(448)]
상기 오일필터부(448)는 오일탱크부에 저장시킨 오일의 오염입자를 필터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40마이크로미터 이상이고 10마이크로미터 보다 큰 오일의 오염입자를 필터링시키도록 구성된다.
[오일탱크부(449)]
상기 오일탱크부(449)는 유압을 자동시키는 유압 작동유인 오일을 저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오일에 포함된 열을 방출하고, 오일에 포함된 공기를 분리시키며, 거품을 제거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초고압유압펌프부의 구성요소 중 유량제어밸브부, 체크밸브부, 방향제어밸브부, 압력제어밸브부는 최대 2000바(Bar)의 압력을 견딜 수 있고, 안전율 20%~30%로 구성되며, 에어컴퓨레셔를 통한 에어공급파이프 라인은 자체적으로 온(ON)/오프(OFF)가 되도록 구성된다.
작동시, 초고압유압펌프부의 구성요소 중 니들밸브 손잡이(=드레인 밸브)를 반시계방향으로 모두 푼 상태에서 에어(Air)를 공급하여, 유압펌프부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시킨다.
유압펌프부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 후, 니들밸브 손잡이를 시계방향으로 모두 잠그고, 블럭에 설치된 방향제어밸브부를 작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압력은 에어레귤레이터가 포함되어 구성된 압력제어밸브부를 통해서 조절되고, 0바(Bar)에서 시작하여 압력게이지를 보고 원하는 압력으로 천천히 상승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에어 공급 및 압력 조작은 스플리터 실린더가 파쇠 구멍에 설치된 이후에 하도록 구성된다.
즉, 스플리터 실린더가 노지에 노출된 상태에서는 절대 압력 조절을 하지 않아야 한다.
긴급상황시, 유압의 압력을 해소해야 할 경우에 블럭에 설치된 압력제어밸브부를 중립으로 위치(또는 판넬에 설치된 니들 밸브를 반시계방향으로)시킨 후, 에어라인을 오프(OFF)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 유압배관,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 초고압유압펌프부로 이루어진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이 구성됨으로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3방향으로 생성되는 3500N의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콘크리트구조물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켜, 기존에 비해 1.5배~2배 빠른 깨기속도와, 80% 향상된 양질의 콘크리트구조물 타격력으로, 별도의 장비사용없이, 비전문가라도 콘크리트구조물을 손쉽게 깰 수가 있고, 저(低)소음, 저(低)분진, 저(低)진동으로 민원발생을 기존에 비해 40%이하로 낮출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 을 전달받아 3방향으로 생성되는 3500N 의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타격체인 피스톤 돌기에 작용하는 힘은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 돌기의 윗면에 작용하는 압력 P1, 피스톤 돌기의 아래면에 작용하는 압력 P2, 그리고, 마찰력 F 및 타격체의 관성력이다.
따라서, 이때에 작용하는 운동방정식은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된다.
여기서, ms는 타격체 질량, A는 제1 상단 피스톤용 실린더부, 제1 좌측 피스톤용 실린더부, 제1 우측 피스톤용 실린더부, 제2 상단 피스톤용 실린더부, 제2 우측 피스톤용 실린더부, 제2 우측 피스톤용 실린더부(이하, "실린더"라고 함)의 실린더 단면적, x는 기준점에서부터 타격체 윗면까지의 거리, g는 중력가속도를 나타낸다.
상기 마찰력 F는 상승시 실린더 내벽과 마찰되는 제1a 우레탄 오링, 제2a 우레탄 오링, 제3a 우레탄 오링, 제4a 우레탄 오링, 제5a 우레탄 오링에 의한 것으로, 이는 마찰 모델인 콜롬보(Coulomb)마찰과 점성감쇄 모델의 조합된 형태로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μ는 마찰계수를 나타내고, Fn은 제1a 우레탄 오링, 제2a 우레탄 오링, 제3a 우레탄 오링, 제4a 우레탄 오링, 제5a 우레탄 오링에 의해 타격체 원주면에 가해지는 수직력, c는 점성감쇄계수, 는 타격체 속도, sgn()은 타격체 속도의 방향을 나타내는 함수이다.
α는 0과 1 사이의 값을 갖는 인자로서, 콜롬보(Coulomb)마찰과 점성감쇄 마찰의 기여도를 나타낸다.
즉, α가 0일 때는 완전한 콜롬보(Coulomb)마찰 모델을 나타내고, 1일 때는 완전한 점성감쇄의 마찰모델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타격체의 윗면에 작용하는 압력 P1은 타격체인 피스톤 돌기가 실린더 내벽을 타고 올라가면서 공기 구멍을 가기 이전에는 대기압과 가깝지만, 일단 공기 구멍이 닫히면, 피스톤 돌기의 하단면에 가해지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에 의해 압축되어 높은 압력을 만들게 된다.
즉, 타격체가 공기구멍을 막을 때의 압력을 , 이때의 타격체의 위치를 이라고 하면, 이상기체방정식에 의해서 밀폐된 공간내에 있는 공기밀도는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된다.
공기구멍이 막힌 이후의 공기량은 일정하므로 밀폐된 이후의 압력은 실린더 내에서의 공기압력과 체적의 관계를 나타내듯이, 폴리트로픽(Polytropic) 변화과정으로 수학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v1은 구멍이 막힌 이후의 공기의 비체적이고, 는 공기구멍이 막히는 순간의 비체적이다.
그리고, n은 polytropic 지수로서, 공기의 비열비인 1.4로 설정된다.
따라서, 타격체의 위치로서, 수학식 4를 다시 쓰면, 타격체의 윗면에 작용하는 압력 P1은 다음의 수학식 5와 같이 표현된다.
다음으로,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에 타격체인 피스톤 돌기가 타격할 때, 타격체 운동방정식에 관해 살펴본다.
즉,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에 타격체인 피스톤 돌기가 타격하기 직전에 타격체의 속도를 를,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인 피타격체의 속도를 라고 하고, 타격 직후의 타격체와 피타격체의 속도를 각각 , 라고 하면, 타격체 및 피타격체간의 타격으로 인한 속도는 다음의 수학식 6과 같이 표현된다.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인 피타격체에 타격 후 속도는 타격체인 피스톤 돌기에 최대 타격력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타격체와 피타격체간의 타격 시간이 t0라면, 최대 타격력은 다음의 수학식 9와 같이 표현된다.
그리고, 일렬 돌출의 힘(N개의 타격점)을 통한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평균 타격력으로 설정하면 다음의 수학식 10과 같이 표현된다.
그리고, 일렬 돌출의 힘(N개의 타격점)을 통한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의 최대 타격력은 타격체가 비타격체를 때릴 때의 순간이다.
즉, 제1 상단 피스톤용 유로부, 제1 좌측 피스톤용 유로부, 제1 우측 피스톤용 유로부, 제2 상단 피스톤용 유로부, 제2 우측 피스톤용 유로부, 제2 우측 피스톤용 유로부의 반경이 0.3~0.5로 형성되고, 피스톤 돌기 직경은 9~11로 형성되어,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내부의 최고 압력이 1.8MPa이고, 타격체의 최고 속도가 10m/s일 때, 최대 타격력 3500N이 나오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철근절단용 산소절단기(5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철근절단용 산소절단기(500)는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타측에 위치되어,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을 통해 3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크랙(Crack)을 형성시켜 콘크리트를 깨고 남은 철근을, 산소-프로판가스 불꽃으로 800~900도로 예열시킨 후, 순도가 높은 산소를 분출시켜 절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식 대차형 몸체(510), LPG용기(520), 산소용기(530), 가스호스릴(540), 가스호스(550), 토치(560)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식 대차형 몸체(510)는 이동바퀴와 거치대가 형성되어, 외압으로부터 각 기기를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사"자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바닥부위에 바퀴가 형성되고, 바퀴 상단에 거치대프레임이 형성되며, 거치대프레임 중 전단 사선형거치대쪽에 LPG용기와 산소용기가 형성되고, 그 전단 사선형거치대 후단 일측에 가스호스릴이 형성되며, 그 가스호스릴에 감겨진 가스호스가 토치와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LPG용기(520)는 이동식 대차형 몸체에 거치식으로 거치되면서, 프로판가스호스를 통해 토치쪽으로 프로판가스를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산소용기(530)는 LPG용기 일측에 위치되어, 산소가스호스를 통해 토치쪽으로 산소를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스호스릴(540)은 LPG용기와 산소용기 후단 일측에 위치되어, 가스호스를 감거나 늘리는 역할을 한다.
이는 10m~100m길이로 형성되어, 좁고 협소한 교량받침형 콘크리트구조물까지 길게 늘어뜨려 토치만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스호스(550)는 LPG용기에서 나오는 프로판가스와 토치 사이, 그리고, 산소용기에서 나오는 산소가스와 토치 사이를 연결시켜, 토치쪽으로 LPG가스와 산소가스를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LPG가스용 압력계, 산소가스용 압력계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토치(560)는 산소-프로판가스 불꽃으로 철근을 800~900도로 예열시킨 후, 순도가 높은 산소를 분출시키고, 철근에 접촉시켜 급격한 연소작용으로 절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수평의 길이방향을 갖는 "
Figure 112023072683476-pat00023
"형상에 몸체에다가, 전단 일측에 전단토출부가 형성되고, 중단 상부방향 일측에 산소가스입력포트가 형성되며, 산소가스입력포트 하단 일측에 혼합가스생성부가 형성되고, 후단 엣지부위에 프로판가스입력포트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처럼, 이동식 대차형 몸체, LPG용기, 산소용기, 가스호스릴, 가스호스, 토치로 이루어진 철근절단용 산소절단기를 통해, 전기없이, 좁고 협소한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쪽에 접근이 용이하고, 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중 콘크리트가 깨지고 남은 철근만을 손쉽게 절단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바닥용 그라인더 절단모듈(6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콘크리트바닥용 그라인더 절단모듈(600)은 철근절단용 산소절단기 일측에 위치되어, 철근절단용 산소절단기를 통해 철근을 절단하고 남은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바닥면을 제거하기 위한 테두리 영역과 함께 바닥면 제거깊이를 그라인더날을 통해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단모듈본체(610), 그라인더 날 헤드끼임부(620), 그라인더 날(630)로 구성된다.
상기 절단모듈본체(610)는 손잡이형태의 바(Bar) 구조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내부공간에 고속회전모터가 형성되고, 헤드부 상에 그라인더 날 헤드끼임부가 형성되며, 그 그라인더 날 헤드끼임부에 그라인더 날이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그라인더 날 헤드끼임부(620)는 절단모듈본체의 헤드부 상에 위치되어, 고속회전모터로부터 생성된 회전력을 그라인더 날 쪽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그라인더 날(630)은 그라인더 날 헤드끼임부상에 탈부착식으로 연결되어, 그라인더 날 헤드끼임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철근절단용 산소절단기를 통해 철근을 절단하고 남은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바닥면을 제거하기 위한 테두리 영역과 함께 바닥면 제거깊이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절단모듈본체, 그라인더 날 헤드끼임부, 그라인더 날로 이루어진 콘크리트바닥용 그라인더 절단모듈을 통해, 철근을 절단하고 남은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바닥면을 제거하기 위한 테두리 영역과 함께 바닥면 제거깊이를 형성시켜줌으로서, 기존에 비해, 휠씬 깔끔하게 철근배근의 정위치를 잡아줄 수가 있어, 양질의 새로운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시킬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막·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콘크리트깨기·비산먼지에어흡입으로 이루어진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장치를 통한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공법의 구체적인 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막·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콘크리트깨기·비산먼지에어흡입으로 이루어진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장치를 통한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공법의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라인드막모듈을 통해,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을 제거할 작업공간을 기준으로 3m~10m 떨어진 곳에 위치되어 펜스장벽을 형성하면서, 작업시 발생되는 비산먼지 및 소음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시킨다(S10).
다음으로,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머드릴을 통해,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에 점(Point)형상으로 복수개의 천공홈을 수평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시킨다(S20).
여기서,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에 천공되는 천공홈의 외경은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 및 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의 외경크기인 32~40φ보다 큰 33~42φ로 형성된다.
그 이유는 천공된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의 내부공간으로,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의 구성요소 중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를 선택해서, 손쉽게 삽입 및 설치할 수 있고,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3방향으로 생성되는 3500N의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크랙(Crack)을 보다 많이 형성시키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비산먼지에어흡입모듈에서, 해머드릴을 통해 천공홈을 형성시킬 때 생성되는 비산먼지를 에어로 흡입시켜, 비산먼지를 제거시킨다(S30).
다음으로,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공된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의 내부공간으로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의 구성요소 중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를 삽입시킨다(S40).
다음으로, 초고압유압펌프모듈에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생성시켜,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쪽으로 전달시킨다(S50).
다음으로,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를 통해, 유압배관쪽으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공급시킨다(S60).
다음으로,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의 구성요소 중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에서, 유압배관으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3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켜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중 콘크리트를 깨어서 제거시킨다(S70).
이때,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3방향으로 생성되는 3500N의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콘크리트구조물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켜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중 콘크리트를 깨어서 제거시킨다.
즉, 피스톤 돌기의 돌출의 힘이 점접촉으로 타격력이 가해지면, 면형상의 플레이트쪽으로 전달되면서, 이때부터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변환되어,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 10% 크랙이 생기다가, 나비가 날개짓을 반복하듯이 또 다시,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N회(일예, 3회~10회) 반복하여,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 30% 크랙 -> 50% 크랙 -> 70% 크랙이 생기도록 하여, 콘크리트구조물 중 콘크리트를 깨어서 제거시킨다.
여기서, N회 반복이라는 것은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표면상에 복수개의 피스톤 돌기를 돌출시키는 과정과, 에어 흡입의 힘을 가하여,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에 유입된 오일을 흡입하여 배출시켜, 일렬 돌출된 피스톤 돌기를 하강시키는 과정을 N회 반복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로 인해,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중 콘크리트를 제거시킨다.
다음으로,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깨기가 완료되면,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의 쓰리웨이 피스톤에어흡입부에, 에어 흡입의 힘을 가하여,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에 유입된 오일을 흡입하여 배출시켜, 일렬 돌출된 피스톤 돌기를 하강시킨다(S80). 피스톤 돌기를 하강시키기 위해, 에어흡입의 힘을 생성시키는 에어흡입용 에어컴프레셔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에어흡입용 에어컴프레셔는 실린더 피스톤 진공흡입장치의 구조로 구성된다.
이때, 사용목적 및 형태에 따라, 상기 단계 S50~S80을 반복하는 과정을 통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N회(일예, 3회~10회) 반복시킨다.
다음으로,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산먼지에어흡입모듈에서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의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생성되는 비산먼지를 에어로 흡입시킨다(S90).
다음으로,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근절단용 산소절단기를 통해, 3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크랙(Crack)을 형성시켜 콘크리트를 깨고 남은 철근을, 산소-프로판가스 불꽃으로 800~900도로 예열시킨 후, 순도가 높은 산소를 분출시켜 절단시킨다(S100).
다음으로, 콘크리트바닥용 그라인더 절단모듈에서, 철근절단용 산소절단기를 통해 철근을 절단하고 남은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바닥면을 제거하기 위한 테두리 영역과 함께 바닥면 제거깊이를 그라인더날을 통해 형성시킨다(S110).
끝으로,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기준선을 기준으로 5cm~10cm의 바닥면 제거깊이까지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바닥면을 제거하여,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를 완료시킨다(S120).
1 :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장치
100 : 블라인드막모듈
110 : 양쪽끼움형 지지봉
120 : 봉끼움형 블라인드막
130 : 후단지지체
200 : 해머드릴
300 : 비산먼지에어흡입모듈
310 : 위치고정형 비산먼지에어흡입부
320 : 이동식 비산먼지에어흡입부
330 : 비산먼지이송파이프
340 : 비산먼지에어흡입·저장탱크부
350 : 비산먼지에어흡입용 에어컴프레셔
400 :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
410 :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
420 : 유압배관
430 :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
440 : 초고압유압펌프부
500 : 철근절단용 산소절단기
600 : 콘크리트바닥용 그라인더 절단모듈

Claims (14)

  1. 교량상부를 교량상부 상승용 잭으로 들어올린 후, 교량받침을 제거한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주위에 블라인드막(Blind screen)을 형성시키고, 천공홀이 형성된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에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크랙을 형성시켜 콘크리트를 깨며(Crack concrete), 발생되는 비산먼지를 에어로 흡입(scattering Dust air intake)시키면서, 남은 철근을 절단시켜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거시키는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장치는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을 제거할 작업공간을 기준으로 3m~10m 떨어진 곳에 위치되어 펜스장벽을 형성하면서, 작업시 발생되는 비산먼지 및 소음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블라인드막모듈(100)과,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의 측면 일측에 위치되어,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상에 천공홈을 형성시키는 해머드릴(200)과,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일측공간상에 위치되어, 해머드릴을 통해 천공홈을 형성시킬 때 생성되는 비산먼지와,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의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생성되는 비산먼지, 그리고, 콘크리트바닥용 그라인더 절단모듈을 통해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의 바닥을 절단시 생성되는 비산먼지를 에어로 흡입시키는 비산먼지에어흡입모듈(300)과,
    표면상에 복수개의 피스톤 돌기가 돌출되는 도깨비 방망이형상으로 형성되고,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유압배관으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3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켜 콘크리트를 깨는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400)과,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타측에 위치되어,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을 통해 3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크랙(Crack)을 형성시켜 콘크리트를 깨고 남은 철근을, 산소-프로판가스 불꽃으로 800~900도로 예열시킨 후, 순도가 높은 산소를 분출시켜 절단시키는 철근절단용 산소절단기(500)와,
    철근절단용 산소절단기 일측에 위치되어, 철근절단용 산소절단기를 통해 철근을 절단하고 남은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바닥면을 제거하기 위한 테두리 영역과 함께 바닥면 제거깊이를 그라인더날을 통해 형성시키는 콘크리트바닥용 그라인더 절단모듈(600)로 구성되고;,
    상기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400)은
    유압배관으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서 상단, 좌측, 우측의 3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키는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410)와,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과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 사이에 위치되어,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쪽으로 전달시키는 유압배관(420)과,
    박스형상의 구조로 형성되어, 유압배관과 연결되면서,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된 유압배관쪽으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공급시키는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430)와,
    입력되는 에어압력을 400:1의 중압비로 최대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생성시켜,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쪽으로 전달시키는 초고압유압펌프부(440)로 구성되는 블라인드막·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콘크리트깨기·비산먼지에어흡입으로 이루어진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410)는
    표면상에 복수개의 피스톤 돌기가 돌출되는 도깨비 방망이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제1 도깨비 방망이몸체(411)와,
    제1 도깨비 방망이몸체의 전단 일측에 위치되고, 쓰리웨이 유압공급부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쪽으로, 상단, 좌측, 우측의 3방향으로 생성되는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키는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412)와,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를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상단표면, 좌측표면, 우측표면을 따라 덮개구조의 플레이트가 형성되어,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에서 생성시킨 상단, 좌측, 우측의 3방향으로 생성되는 피스톤 돌기의 돌출의 힘을,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서 상단, 좌측, 우측의 3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변환 형성시키는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413)와,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의 후단 일측에 위치되어, 에어 흡입의 힘으로,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에 유입된 오일을 흡입하여 배출시켜, 일렬 돌출된 피스톤 돌기를 하강시키는 쓰리웨이 피스톤에어흡입부(414)와,
    쓰리웨이 피스톤에어흡입부의 후단 일측에 위치되고, 유압배관과 연결되어, 유압배관으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쪽으로 전달시키는 쓰리웨이 유압공급부(415)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막·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콘크리트깨기·비산먼지에어흡입으로 이루어진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412)는
    길이방향의 봉형구조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제1 헤드봉본체(412a)와,
    제1 헤드봉본체를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시계방향에서 0도 기준선상에 위치하여,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상단방향에 위치한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쪽으로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키는 제1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412b)와,
    제1 헤드봉본체를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시계방향에서 240도 기준선상에 위치하여,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좌측방향에 위치한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쪽으로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키는 제1 좌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412c)와,
    제1 헤드봉본체를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시계방향에서 120도 기준선상에 위치하여,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우측방향에 위치한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쪽으로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키는 제1 우측 피스톤 돌출 형성부(412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막·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콘크리트깨기·비산먼지에어흡입으로 이루어진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412b)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쪽으로 공급시키거나, 또는 에어의 힘으로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유로를 형성시키는 제1 상단 피스톤용 유로부(412b-1)와,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을 밀폐시킬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으로 유입되는 오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412b-2)와,
    나사형 캡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에 꽉 끼워지면서 결합되어, 누유가 발생되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412b-3)와,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가 상승과 하강의 왕복운동을 하도록 안내시키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제1 상단 피스톤용 실린더부(412b-4)와,
    제1 상단 피스톤용 실린더부의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하(下)면 부위에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상단방향에 위치한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쪽으로 일렬 돌출의 상승의 힘을 생성시키고, 에어 흡입의 힘을 전달받아 하강의 힘을 생성시키는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412b-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막·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콘크리트깨기·비산먼지에어흡입으로 이루어진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블라인드막모듈을 통해,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을 제거할 작업공간을 기준으로 3m~10m 떨어진 곳에 위치되어 펜스장벽을 형성하면서, 작업시 발생되는 비산먼지 및 소음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단계(S10)와,
    해머드릴을 통해,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에 점(Point)형상으로 복수개의 천공홈을 수평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시키는 단계(S20)와,
    비산먼지에어흡입모듈에서, 해머드릴을 통해 천공홈을 형성시킬 때 생성되는 비산먼지를 에어로 흡입시켜, 비산먼지를 제거시키는 단계(S30)와,
    천공된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의 내부공간으로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의 구성요소 중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를 삽입시키는 단계(S40)와,
    초고압유압펌프모듈에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생성시켜,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쪽으로 전달시키는 단계(S50)와,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를 통해, 유압배관쪽으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공급시키는 단계(S60)와,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의 구성요소 중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에서, 유압배관으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3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켜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을 깨어서 콘크리트를 제거시키는 단계(S70)와,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깨기가 완료되면,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의 쓰리웨이 피스톤에어흡입부에, 에어 흡입의 힘을 가하여,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에 유입된 오일을 흡입하여 배출시켜, 일렬 돌출된 피스톤 돌기를 하강시키는 단계(S80)와,
    비산먼지에어흡입모듈에서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의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생성되는 비산먼지를 에어로 흡입시키는 단계(S90)와,
    철근절단용 산소절단기를 통해, 3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크랙(Crack)을 형성시켜 콘크리트를 깨고 남은 철근을, 산소-프로판가스 불꽃으로 800~900도로 예열시킨 후, 순도가 높은 산소를 분출시켜 절단시키는 단계(S100)와,
    콘크리트바닥용 그라인더 절단모듈에서, 철근절단용 산소절단기를 통해 철근을 절단하고 남은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바닥면을 제거하기 위한 테두리 영역과 함께 바닥면 제거깊이를 그라인더날을 통해 형성시키는 단계(S110)와,
    수평기준선을 기준으로 5cm~10cm의 바닥면 제거깊이까지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바닥면을 제거하여,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를 완료시키는 단계(S120)로 이루어지는 블라인드막·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콘크리트깨기·비산먼지에어흡입으로 이루어진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장치를 통한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공법에 있어서,
    상기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켜 교량받침용 콘크리트구조물을 깨어서 콘크리트를 제거시킨다는 것은
    피스톤 돌기의 돌출의 힘이 점접촉으로 타격력이 가해지면, 면형상의 플레이트쪽으로 전달되면서, 이때부터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변환되어,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 10% 크랙이 생기다가, 나비가 날개짓을 반복하듯이 또 다시,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10회 반복하여,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 30% 크랙 -> 50% 크랙 -> 70% 크랙이 생기도록 하여, 콘크리트구조물 중 콘크리트를 깨어서 제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막·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콘크리트깨기·비산먼지에어흡입으로 이루어진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장치를 통한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공법.
  14. 삭제
KR1020230085481A 2023-07-03 2023-07-03 블라인드막·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콘크리트깨기·비산먼지에어흡입으로이루어진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장치 및 이를 통한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공법 KR102621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5481A KR102621506B1 (ko) 2023-07-03 2023-07-03 블라인드막·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콘크리트깨기·비산먼지에어흡입으로이루어진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장치 및 이를 통한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5481A KR102621506B1 (ko) 2023-07-03 2023-07-03 블라인드막·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콘크리트깨기·비산먼지에어흡입으로이루어진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장치 및 이를 통한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1506B1 true KR102621506B1 (ko) 2024-01-04

Family

ID=89542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5481A KR102621506B1 (ko) 2023-07-03 2023-07-03 블라인드막·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콘크리트깨기·비산먼지에어흡입으로이루어진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장치 및 이를 통한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506B1 (ko)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020Y1 (ko) * 1999-03-23 2001-09-13 권대륙 유압식 암반 파쇄기
KR20040046022A (ko) * 2002-11-26 2004-06-05 인영건설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해체공법
KR20050030236A (ko) * 2004-10-11 2005-03-29 한윤규 틸트형 공/유압브레이커
KR20050097239A (ko) * 2004-04-01 2005-10-07 유병중 유압식 암반 파쇄기
KR20060072911A (ko) * 2004-12-24 2006-06-28 주식회사 일해토건 암반에 크랙을 형성하는 치즐 및 이를 구비하는 암반 크랙형성 조립체
JP2007177419A (ja) * 2005-12-27 2007-07-12 Okumura Corp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破砕装置
KR100753139B1 (ko) * 2006-06-22 2007-09-03 김형구 암 파쇄기
KR100942729B1 (ko) * 2009-07-09 2010-02-16 주식회사 이디마이트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파쇄방법
KR20120033058A (ko) * 2010-09-29 2012-04-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철강 소재 절단장치
KR101520895B1 (ko) 2013-12-23 2015-05-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고압 튜브형 부재를 이용한 플랫 잭 장치
KR101572019B1 (ko) * 2015-07-30 2015-11-25 케이알엠건설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 저면 보수용 파쇄장치 및 그 공법
KR101929477B1 (ko) * 2018-05-15 2018-12-17 김성진 유압 파쇄기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파쇄 방법
KR102094416B1 (ko) * 2019-03-29 2020-03-27 이동균 도로 원형 파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수 시공 방법
KR20200049173A (ko) * 2018-10-31 2020-05-08 최찬희 수압을 이용한 무진동 무소음 암반파쇄기
JP7028772B2 (ja) * 2016-06-28 2022-03-02 古河ロックドリル株式会社 2ピストン型油圧打撃装置
KR102470578B1 (ko) * 2021-11-04 2022-11-25 주식회사 대본테크 원전 해체용 콘크리트 구조물 절단공법
JP2023066748A (ja) * 2021-10-29 2023-05-16 株式会社神島組 割岩工具、破砕装置および破砕方法

Patent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020Y1 (ko) * 1999-03-23 2001-09-13 권대륙 유압식 암반 파쇄기
KR20040046022A (ko) * 2002-11-26 2004-06-05 인영건설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해체공법
KR20050097239A (ko) * 2004-04-01 2005-10-07 유병중 유압식 암반 파쇄기
KR20050030236A (ko) * 2004-10-11 2005-03-29 한윤규 틸트형 공/유압브레이커
KR20060072911A (ko) * 2004-12-24 2006-06-28 주식회사 일해토건 암반에 크랙을 형성하는 치즐 및 이를 구비하는 암반 크랙형성 조립체
JP2007177419A (ja) * 2005-12-27 2007-07-12 Okumura Corp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破砕装置
KR100753139B1 (ko) * 2006-06-22 2007-09-03 김형구 암 파쇄기
KR100942729B1 (ko) * 2009-07-09 2010-02-16 주식회사 이디마이트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파쇄방법
KR20120033058A (ko) * 2010-09-29 2012-04-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철강 소재 절단장치
KR101520895B1 (ko) 2013-12-23 2015-05-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고압 튜브형 부재를 이용한 플랫 잭 장치
KR101572019B1 (ko) * 2015-07-30 2015-11-25 케이알엠건설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 저면 보수용 파쇄장치 및 그 공법
JP7028772B2 (ja) * 2016-06-28 2022-03-02 古河ロックドリル株式会社 2ピストン型油圧打撃装置
KR101929477B1 (ko) * 2018-05-15 2018-12-17 김성진 유압 파쇄기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파쇄 방법
KR20200049173A (ko) * 2018-10-31 2020-05-08 최찬희 수압을 이용한 무진동 무소음 암반파쇄기
KR102094416B1 (ko) * 2019-03-29 2020-03-27 이동균 도로 원형 파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수 시공 방법
JP2023066748A (ja) * 2021-10-29 2023-05-16 株式会社神島組 割岩工具、破砕装置および破砕方法
KR102470578B1 (ko) * 2021-11-04 2022-11-25 주식회사 대본테크 원전 해체용 콘크리트 구조물 절단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71183B (zh) 一种烟囱类构筑物拆除装置及拆除方法
KR102621506B1 (ko) 블라인드막·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콘크리트깨기·비산먼지에어흡입으로이루어진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장치 및 이를 통한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공법
US7314098B2 (en) Apparatus for driving and extracting stakes
CN103255793B (zh) 手持式挖土机
US5806608A (en) Air-driven post driver
KR102621502B1 (ko)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 및 이를통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깨기 공법
KR100732646B1 (ko) 슬라임 제거를 위한 메커니컬 펌프
US20080000661A1 (en) Apparatus for driving and extracting stakes
KR102621509B1 (ko)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 및 이를통한 강가·하천·교각 물속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깨기 공법
CN104196075A (zh) 破碎器
JP2008031756A (ja) 中空材の中掘り圧入装置
CN204112388U (zh) 破碎器
JPH09177077A (ja) 杭切断装置
Hudgins et al. Demolition of concrete structures
KR100804751B1 (ko) 자주식 지반 굴착기 및 그 굴착기를 이용한 굴착방법
KR200320036Y1 (ko) 중장비 연결형 암반 절개장치
KR20090002634U (ko) 굴삭기용 집게장치의 유압실린더
KR20060073010A (ko) 분진확산 방지용 천공기
CN104278847B (zh) 砖墙砂浆灰缝清理装置及清理方法
CN218027242U (zh) 一种立柱混凝土高压水射流凿毛机器人
CN202451045U (zh) 一种桩工钻进装置
JP6284150B2 (ja) 水中でコンクリート壁面等の物体面を切削処理する装置及び方法
JP3778887B2 (ja) 建築物解体装置
CN211193756U (zh) 一种可自动吹风的电镐
CN220150412U (zh) 一种具有降噪降尘效果的挖掘机破碎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