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502B1 -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 및 이를통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깨기 공법 - Google Patents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 및 이를통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깨기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502B1
KR102621502B1 KR1020230085479A KR20230085479A KR102621502B1 KR 102621502 B1 KR102621502 B1 KR 102621502B1 KR 1020230085479 A KR1020230085479 A KR 1020230085479A KR 20230085479 A KR20230085479 A KR 20230085479A KR 102621502 B1 KR102621502 B1 KR 102621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bar
protrusion
ultra
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5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현남
Original Assignee
차현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현남 filed Critical 차현남
Priority to KR1020230085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5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5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02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존의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의 경우에, 10년전부터 콘크리트구조물의 강도가 세지고, 작업자의 연령 또한 노령화되어 은퇴를 하고 작업자가 부족한 상황과, 좁고 협소한 교량받침 공간에서 허리를 굽히거나, 누워서 작업해야하므로, 콘크리트구조물 파격속도가 더디고, 진동과 소음으로 민원이 많이 발생되며,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시공단축을 위해 여러사람이 붙어서 작업해야 하므로 공사비가 비싼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100), 유압배관(200),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300), 초고압유압펌프모듈(400)로 구성됨으로서,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를 통해, 좁고 협소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에 손쉽게 진입하여,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 삽입만 하면 설치가 완료되므로, 기존에 비해 설치가 용이하고, 작업자의 안전성을 80% 향상시킬 수 있고,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3방향 또는 2방향으로 생성되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3방향 또는 2방향으로 생성되는 3500N의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콘크리트구조물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켜, 기존에 비해 1.5배~2배 빠른 깨기속도와, 80% 향상된 양질의 콘크리트구조물 타격력으로, 별도의 장비사용없이, 비전문가라도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를 손쉽게 깰 수가 있고, 작업시, 저(低)소음, 저(低)진동, 저(低)분진으로 민원발생을 기존에 비해 40%이하로 낮출 수 있고, 기존의 공법에 비해, 한사람만 있어도 충분히 작업할 수 있으므로, 인건비를 줄일 수 있어, 60% 공사비 저감 효과가 있는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 및 이를 통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깨기 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 및 이를 통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깨기 공법{2000 bar type goblin bat crack forming device and concrete butterfly effect type surface contact impact breaking method for concrete structures supporting bridges through it}
본 발명에서는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에 적용시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쓰리웨이(3방향), 또는 투웨이(2방향)으로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생성시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를 깰 수 있는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 및 이를 통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깨기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받침은 상부에 작용하는 하중을 하부에 전달하고, 온도, 건조수축, 크리프와 활하중의 이동과 회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상부구조의 변위, 변형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교량내에 발생하는 2차 응력을 최소화시키는 기계적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교량받침 하단면에는 교량받침을 지지해주는 콘크리트구조물이 형성된다.
시간이 지나면, 균열과 누수가 발생되어, 콘크리트구조물을 깨고, 새로운 신교량받침을 설치해야 한다.
예전에는 엔진 컴프레셔에 대형 에어브레카를 가지고, 사람의 힘으로 콘크리트구조물을 힘들게 깬 후, 기존 교량받침을 제거하고, 새로운 교량받침을 설치했었다.
하지만, 10년전부터 콘크리트구조물의 강도가 세지고, 작업자의 연령 또한 노령화되어 은퇴를 하고 작업자가 부족한 상황이었다.
또한, 좁고 협소한 교량받침 공간에서 허리를 굽히거나, 누워서 작업해야하므로, 콘크리트구조물 파격속도가 더디고, 진동과 소음으로 민원이 많이 발생되며,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며, 시공단축을 위해 여러사람이 붙어서 작업해야 하므로 공사비가 비싼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520895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를 통해, 좁고 협소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에 손쉽게 진입하여,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 삽입만 하면 설치를 완료할 수 있고,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3방향 또는 2방향으로 생성되는 3500N의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콘크리트구조물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작업시, 저(低)소음, 저(低)진동, 저(低)분진으로 민원발생을 낮추고, 한사람만 있어도 충분히 작업할 수 있어, 인건비를 줄일 수 있는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 및 이를 통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깨기 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쓰리웨이(3방향), 또는 투웨이(2방향)으로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생성시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를 깨도록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상기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
표면상에 복수개의 피스톤 돌기가 돌출되는 도깨비 방망이형상으로 형성되고,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유압배관으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3방향, 또는 2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켜 콘크리트를 깨는 역할을 하는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100)과,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과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 사이에 위치되어,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쪽으로 전달시키는 유압배관(200)과,
박스형상의 구조로 형성되어, 유압배관과 연결되면서, 제어신호에 따라 유압배관쪽으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공급시키거나, 유압을 배출시키는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300)와,
입력되는 에어압력을 400:1의 중압비로 최대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생성시켜,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쪽으로 전달시키는 초고압유압펌프모듈(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첫째, 좁고 협소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에 손쉽게 진입하여,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 삽입만 하면 설치가 완료되므로, 기존에 비해 설치가 용이하고, 작업자의 안전성을 80%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3방향 또는 2방향으로 생성되는 3500N의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콘크리트구조물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켜, 기존에 비해 1.5배~2배 빠른 깨기속도와, 80% 향상된 양질의 콘크리트구조물 타격력으로, 별도의 장비사용없이, 비전문가라도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를 손쉽게 깰 수가 있다.
셋째, 작업시, 저(低)소음, 저(低)진동, 저(低)분진으로 민원발생을 기존에 비해 40%이하로 낮출 수 있고, 기존의 공법에 비해, 한사람만 있어도 충분히 작업할 수 있으므로, 인건비를 줄일 수 있어, 60% 공사비 저감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외형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외형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좌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우측 피스톤 돌출 형성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 제1 좌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 제1 우측 피스톤 돌출 형성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 제1 좌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 제1 우측 피스톤 돌출 형성부의 내부구성요소를 도시한 내부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a 상단 피스톤 돌기, 제1b 상단 피스톤 돌기, 제1c 상단 피스톤 돌기, 제1d 상단 피스톤 돌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a 좌측 피스톤 돌기, 제1b 좌측 피스톤 돌기, 제1c 좌측 피스톤 돌기, 제1d 좌측 피스톤 돌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a 우측 피스톤 돌기, 제1b 우측 피스톤 돌기, 제1c 우측 피스톤 돌기, 제1d 우측 피스톤 돌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2000바(Bar)형 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2000바(Bar)형 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외형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외형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우측 피스톤 돌출 형성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 제2 우측 피스톤 돌출 형성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 제2 우측 피스톤 돌출 형성부의 내부구성요소를 도시한 내부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 제2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24은 본 발명에 따른 제2a 상단 피스톤 돌기, 제2b 상단 피스톤 돌기, 제2c 상단 피스톤 돌기, 제2d 상단 피스톤 돌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정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a 우측 피스톤 돌기, 제2b 우측 피스톤 돌기, 제2c 우측 피스톤 돌기, 제2d 우측 피스톤 돌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정면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16채널 유압배기포트와, 16채널 솔레노이드밸브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초고압유압펌프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초고압유압펌프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피타격체인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에 타격체인 피스톤 돌기에 작용하는 힘이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상단 피스톤용 유로부, 제1 좌측 피스톤용 유로부, 제1 우측 피스톤용 유로부, 제2 상단 피스톤용 유로부, 제2 우측 피스톤용 유로부, 제2 우측 피스톤용 유로부의 반경이 0.3~0.5φ로 형성되고, 피스톤 돌기 직경은 9φ~11φ로 형성되어, 실린더 내부의 최고 압력이 1.8MPa이고, 타격체의 최고 속도가 10m/s일 때, 최대 타격력 3500N이 나오는 것을 도시한 그래프,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햄머드릴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에 점(Point)형상으로 복수개의 천공홈을 수평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천공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의 내부공간으로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의 구성요소 중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를 삽입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의 내부공간으로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의 구성요소 중 2000바(Bar)형 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를 삽입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배관으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2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를 깨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의 구성요소 중 2000바(Bar)형 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 및, 2000바(Bar)형 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를 통해,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를 제거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37은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깨기가 완료되면, 쓰리웨이 티스톤에어흡입부 및 투웨이 피스톤에어흡입부에, 에어 흡입의 힘을 가하여,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 및 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에 유입된 오일을 흡입하여 배출시켜, 일렬 돌출된 피스톤 돌기를 하강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상에 하강된 복수개의 피스톤 돌기가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이 전달되면, 순식간에 복수개의 피스톤 돌기가 돌출되는 도깨비 방망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 중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를 통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3방향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깨기 공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 중 2000바(Bar)형 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를 통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2방향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깨기 공법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먼저,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에서 나비효과와 면접촉 타격력이라는 것은 나비의 작은 날갯짓처럼 미세한 변화, 작은 차이, 사소한 사건이 추후 예상하지 못한 엄청난 결과나 파장으로 이어지는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서, 피스톤 돌기의 돌출의 힘이 점접촉으로 타격력이 가해지면, 면형상의 플레이트쪽으로 전달되면서, 이때부터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변환되어,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 10% 크랙이 생기다가, 나비가 날개짓을 반복하듯이 또 다시,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반복하여,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 30% 크랙 -> 50% 크랙 -> 70% 크랙이 생기도록 하여, 콘크리트구조물을 깨는 것을 말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에서 도깨비 방망이는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나와라 뚝딱"하는 것처럼, 표면상에 하강된 복수개의 피스톤 돌기가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이 전달되면, 순식간에 복수개의 피스톤 돌기가 돌출되는 도깨비 방망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은 교량상부를 교량상부 상승용 잭으로 들어올린 후, 교량받침을 제거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로서, 40cm 높이를 갖는 좁고 협소한 교량받침공간에 형성되어, 콘크리트와 철근으로 이루어져 교량받침을 지지해주는 블록구조로 형성된 것을 말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종래기술과 큰 차이점은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 중 콘크리트만을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크랙을 형성시키는 장치 및 깨기 공법으로 이루어진 점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에 관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쓰리웨이(3방향), 또는 투웨이(2방향)으로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생성시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를 깨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1)는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100), 유압배관(200),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300), 초고압유압펌프모듈(4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100)은 표면상에 복수개의 피스톤 돌기가 돌출되는 도깨비 방망이형상으로 형성되고,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유압배관으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3방향, 또는 2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켜 콘크리트를 깨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110), 2000바(Bar)형 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12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다.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110)]
상기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110)는 유압배관으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서 상단, 좌측, 우측의 3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서 천공의 크기는 37φ~43φ로 형성된다.
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도깨비 방망이몸체(111),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112),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113), 쓰리웨이 피스톤에어흡입부(114), 쓰리웨이 유압공급부(115)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제1 도깨비 방망이몸체(111)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1 도깨비 방망이몸체(111)는 표면상에 복수개의 피스톤 돌기가 돌출되는 도깨비 방망이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단 일측에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가 형성되고, 그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를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상단표면, 좌측표면, 우측표면을 따라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가 형성되며, 그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의 후단 일측에 쓰리웨이 피스톤에어흡입부가 형성되며, 그 쓰리웨이 피스톤에어흡입부의 후단 일측에 쓰리웨이 유압공급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112)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112)는 제1 도깨비 방망이몸체의 전단 일측에 위치되고, 쓰리웨이 유압공급부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쪽으로, 상단, 좌측, 우측의 3방향으로 생성되는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단, 좌측, 우측의 3방향으로 생성된다는 것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시계방향에서 0도 기준선상에 위치한 피스톤 돌기들이 일렬로 쭉 나열되어 돌출되는 상단방향과,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시계방향에서 120도 기준선상에 위치한 피스톤 돌기들이 일렬로 쭉 나열되어 돌출되는 우측방향과,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시계방향에서 240도 기준선상에 위치한 피스톤 돌기들이 일렬로 쭉 나열되어 돌출되는 좌측방향으로 생성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일렬 돌출의 힘은 일렬로 쭉 나열된 피스톤 돌기들이 한꺼번에 돌출되는 돌출 힘을 말하고, 하나의 피스톤 돌기에서 생성되는 돌출의 힘은 3500N 타격력을 생성시킨다.
이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헤드봉본체(112a), 제1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112b), 제1 좌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112c), 제1 우측 피스톤 돌출 형성부(112d)로 구성된다.
{제1 헤드봉본체(112a)}
상기 제1 헤드봉본체(112a)는 길이방향의 봉형구조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시계방향에서 0도 기준선상에 위치한 제1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와,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시계방향에서 120도 기준선상에 위치한 제1 우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와,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시계방향에서 240도 기준선상에 위치한 제1 좌측 피스톤 돌출 형성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외경이 32~40φ로 형성된다.
{제1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112b)}
상기 제1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112b)는 제1 헤드봉본체를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시계방향에서 0도 기준선상에 위치하여,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상단방향에 위치한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쪽으로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상단 피스톤용 유로부(112b-1),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112b-2),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112b-3), 제1 상단 피스톤용 실린더부(112b-4),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112b-5)로 구성된다.
(제1 상단 피스톤용 유로부(112b-1))
상기 제1 상단 피스톤용 유로부(112b-1)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쪽으로 공급시키거나, 또는 에어의 힘으로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유로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1 헤드봉본체의 내부공간 중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의 하단면쪽으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반경은 0.3~0.5φ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상단 피스톤용 유로부의 유로반경이 0.3~0.5φ로 형성시키는 이유는 0.3이하일 때는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 그리고, 제1 상단 피스톤용 실린더부의 미세틈새사이로 오일누수발생요인과,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와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사이의 결합력을 약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 0.5φ 이상일 때는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에 가해지는 힘이 약해져, 일렬 돌출의 힘(=평균 3500N 타격력) 또한 약해져, 콘크리트구조물의 크랙형성이 잘 안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기 때문에 0.3~0.5φ로 형성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상단 피스톤용 유로부(112b-1)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112b-1a)와,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112b-1b)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112b-1a)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쪽으로 공급시키거나, 또는 에어의 힘으로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유로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쓰리웨이 유압공급부와 제1a 상단 피스톤 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1a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112b-10a)와, 제1a 상단 피스톤 돌기와 제1b 상단 피스톤 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1b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112b-11a)와, 제1b 상단 피스톤 돌기와 제1c 상단 피스톤 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1c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112b-12a)와, 제1c 상단 피스톤 돌기와 제1d 상단 피스톤 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1d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112b-13a)와, 제1d 상단 피스톤 돌기와 제1e 상단유로용 엣지탭용접부 사이에 형성된 제1e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112b-14a)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112b-1b)는 제1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의 하단면쪽으로 유입시켜,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를 상승시키는 일렬 상승의 힘을 전달시키거나, 또는 에어의 힘으로 흡입시켜,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를 하강시키는 일렬 하강의 힘을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의 구성요소 중 제1 상단 피스톤 돌기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제1a 상단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112b-10b)와, 제2 상단 피스톤 돌기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제1b 상단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112b-11b)와, 제3 상단 피스톤 돌기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제1c 상단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112b-12b)와, 제4 상단 피스톤 돌기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제1d 상단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112b-13b)로 구성된다.
즉,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이 전달되면, 제1a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 제1a상단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 제1b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 제1b 상단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 제1c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 제1c 상단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 제1d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 제1d 상단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 제1e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를 거쳐, 전달시킨다.
이때,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으로 전달시키면,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의 구성요소인 제1a 상단 피스톤 돌기, 제1b 상단 피스톤 돌기, 제1c 상단 피스톤 돌기, 제1d 상단 피스톤 돌기쪽으로, 0.3초~0.9초이내에 전달시킬 수 있어, 동시다발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킬 수 있다.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112b-2))
상기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112b-2)는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을 밀폐시킬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으로 유입되는 오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와 대칭되는 음각의 단턱구조로 이루어져 형성된다.
그리고, 단턱구조 둘레를 따라, 경사면테두리를 형성시켜,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의 헤드부위에 형성된 각진 라운딩부위가 맞춤형으로 결합된 후, 강하게 조여지면서 누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112b-3))
상기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112b-3)는 나사형 캡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에 꽉 끼워지면서 결합되어, 누유가 발생되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에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를 삽입시킨 후,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을 나사산을 따라 돌리면서, 꽉 끼워지면서 결합되도록 조립시킨다.
이어서, 외부방향으로 튀어나오는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의 캡 머리부위를 밀링가공을 통해 삭제시킨다.
그 이유는 튀어나오는 형상없이, 외부표면자체가 길이방향의 봉형구조로 매끄러운 구조가 되어야,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으로 삽입이 쉽고, 일렬 돌출의 힘 생성시, 반작용의 외압접촉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꽉 끼워져 결합된 부위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밀링가공을 통해 삭제시켜 매끄러운 구조로 형성시킨 부위에 "-"형상의 음각 홈을 형성시킨다.
그 이유는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의 이상이나 뒤틀림으로 인해, 누유발생시, 보수를 위해서, "-"홈 핸들을 통해 돌려서 제거시키고, 새로운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로 교체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상단 피스톤용 실린더부(112b-4))
상기 제1 상단 피스톤용 실린더부(112b-4)는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가 상승과 하강의 왕복운동을 하도록 안내시키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112b-5))
상기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112b-5)는 제1 상단 피스톤용 실린더부의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하(下)면 부위에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상단방향에 위치한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쪽으로 일렬 돌출의 상승의 힘을 생성시키고, 에어 흡입의 힘을 전달받아 하강의 힘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a 상단 피스톤 돌기(112b-5a), 제1b 상단 피스톤 돌기(112b-5b), 제1c 상단 피스톤 돌기(112b-5c), 제1d 상단 피스톤 돌기(112b-5d)의 4개(=4채널)로 구성된다.
사용목적과 형태에 따라 4개(=4채널)이외에도, 5개(=5채널), 8개(=8채널), 12개(=12채널), 20개(=20채널) 등 다양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1a 상단 피스톤 돌기(112b-5a), 제1b 상단 피스톤 돌기(112b-5b), 제1c 상단 피스톤 돌기(112b-5c), 제1d 상단 피스톤 돌기(112b-5d)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제1a 유압전달형 하단받침띠(112b-50a)와 제1a 상단라운드띠(112b-50b)로 이루어진 이중띠형상의 제1a 피스톤 돌기몸체(112b-50c)로 이루어지고, 제1a 상단라운드띠의 상단 일측에 제1a 피스톤 돌기((112b-50d)가 형성되고, 제1a 피스톤 돌기에 제1a 탄성스프링((112b-50e)이 삽입 형성되며, 이중띠 부위에 제1a 우레탄 오링((112b-50f)이 형성되며, 제1a 피스톤 돌기몸체의 표면전체가 세라믹 코팅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a 피스톤돌기(112b-50d)는 SNCM(Steel Nickel Chromium Molybdenum, 니켈 크롬 몰리브덴강)소재를 가지고, 침탄 열처리가공해서 형성된다.
상기 제1a 유압전달형 하단받침띠(112b-50a)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1a 탄성스프링(112b-50e)은 제1a 피스톤 돌기몸체에 탄성력과 복원력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a 우레탄 오링(112b-50f)은 제1a 유압전달형 하단받침띠로 전달되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의 오일이 흘러서, 제1a 상단라운드띠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표면전체가 세라믹 코팅되는 이유는 하(下)면 부위에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1 상단 피스톤용 실린더부의 내부공간에서 상승시, 마찰로 인한 내구성 향상과 미끄럼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의 제1a 피스톤 돌기 직경은 9φ~11φ로 형성되고, 제1a 유압전달형 하단받침띠와 제1a 상단라운드띠 직경은 14φ~16φ로 형성되며, 제1a 피스톤 돌기몸체의 전체높이는 23mm~26mm로 형성된다.
이처럼, 제1 상단 피스톤용 유로부(112b-1),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112b-2),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112b-3), 제1 상단 피스톤용 실린더부(112b-4),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112b-5)로 이루어진 제1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112b)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상단 방향으로 생성되는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킨다.
여기서, 일렬 돌출의 힘은 일렬로 쭉 나열된 제1a 상단 피스톤 돌기, 제1b 상단 피스톤 돌기, 제1c 상단 피스톤 돌기, 제1d 상단 피스톤 돌기의 한꺼번에 돌출되는 돌출 힘을 말하고,
제1a 상단 피스톤 돌기, 제1b 상단 피스톤 돌기, 제1c 상단 피스톤 돌기, 제1d 상단 피스톤 돌기 중 하나의 피스톤 돌기에서 생성되는 돌출의 힘은 3500N 타격력을 생성시킨다.
{제1 좌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112c)}
상기 제1 좌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112c)는 제1 헤드봉본체를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시계방향에서 240도 기준선상에 위치하여,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좌측방향에 위치한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쪽으로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좌측 피스톤용 유로부(112c-1),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112c-2),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부(112c-3), 제1 좌측 피스톤용 실린더부(112c-4), 제1 좌측 피스톤 돌기부(112c-5)로 구성된다.
(제1 좌측 피스톤용 유로부(112c-1))
상기 제1 좌측 피스톤용 유로부(112c-1)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1 좌측 피스톤 돌기부쪽으로 공급시키거나, 또는 에어의 힘으로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유로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1 헤드봉본체의 내부공간 중 제1 좌측 피스톤 돌기부의 하단면쪽으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반경은 0.3~0.5φ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좌측 피스톤용 유로부의 유로반경이 0.3~0.5φ로 형성시키는 이유는 0.3이하일 때는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부, 그리고, 제1 좌측 피스톤용 실린더부의 미세틈새사이로 오일누수발생요인과,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와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부사이의 결합력을 약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 0.5φ 이상일 때는 제1 좌측 피스톤 돌기부에 가해지는 힘이 약해져, 일렬 돌출의 힘(=평균 3500N 타격력) 또한 약해져, 콘크리트구조물의 크랙형성이 잘 안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기 때문에 0.3~0.5φ로 형성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좌측 피스톤용 유로부(112c-1)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좌측 피스톤용 직선유로(112c-1a)와, 제1 좌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112c-1b)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좌측 피스톤용 직선유로(112c-1a)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1 좌측 피스톤 돌기부쪽으로 공급시키거나, 또는 에어의 힘으로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유로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쓰리웨이 유압공급부와 제1a 좌측 피스톤 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1a 좌측 피스톤용 직선유로(112c-10a)와, 제1a 좌측 피스톤 돌기와 제1b 좌측 피스톤 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1b 좌측 피스톤용 직선유로(112c-11a)와, 제1b 좌측 피스톤 돌기와 제1c 좌측 피스톤 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1c 좌측 피스톤용 직선유로(112c-12a)와, 제1c 좌측 피스톤 돌기와 제1d 좌측 피스톤 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1d 좌측 피스톤용 직선유로(112c-13a)와, 제1d 좌측 피스톤 돌기와 제1e 좌측유로용 엣지탭용접부 사이에 형성된 제1e 좌측 피스톤용 직선유로(112c-14a)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좌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112c-1b)는 제1 좌측 피스톤용 직선유로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1 좌측 피스톤 돌기부의 하단면쪽으로 유입시켜, 제1 좌측 피스톤 돌기부를 상승시키는 일렬 상승의 힘을 전달시키거나, 또는 에어의 힘으로 흡입시켜, 제1 좌측 피스톤 돌기부를 하강시키는 일렬 하강의 힘을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좌측 피스톤 돌기부의 구성요소 중 제1 좌측 피스톤 돌기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제1a 좌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112c-10b)와, 제2 우측 피스톤 돌기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제1b 좌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112c-11b)와, 제3 좌측 피스톤 돌기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제1c 좌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112c-12b)와, 제4 좌측 피스톤 돌기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제1d 좌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112c-13b)로 구성된다.
즉,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이 전달되면, 제1a 좌측 피스톤용 직선유로, 제1a좌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 제1b 좌측 피스톤용 직선유로, 제1b 좌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 제1c 좌측 피스톤용 직선유로, 제1c 좌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 제1d 좌측 피스톤용 직선유로, 제1d 좌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 제1e 좌측 피스톤용 직선유로를 거쳐, 전달시킨다.
이때,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으로 전달시키면, 제1 좌측 피스톤 돌기부의 구성요소인 제1a 좌측 피스톤 돌기, 제1b 좌측 피스톤 돌기, 제1c 좌측 피스톤 돌기, 제1d 좌측 피스톤 돌기쪽으로, 0.3초~0.9초이내에 전달시킬 수 있어, 동시다발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킬 수 있다.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112c-2))
상기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112c-2)는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을 밀폐시킬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으로 유입되는 오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부와 대칭되는 음각의 단턱구조로 이루어져 형성된다.
그리고, 단턱구조 둘레를 따라, 경사면테두리를 형성시켜,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부의 헤드부위에 형성된 각진 라운딩부위가 맞춤형으로 결합된 후, 강하게 조여지면서 누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부(112c-3))
상기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부(112c-3)는 나사형 캡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에 꽉 끼워지면서 결합되어, 누유가 발생되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에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을 나사산을 따라 돌리면서, 꽉 끼워지면서 결합되도록 조립시킨다.
이어서, 외부방향으로 튀어나오는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부의 캡 머리부위를 밀링가공을 통해 삭제시킨다.
그 이유는 튀어나오는 형상없이, 외부표면자체가 길이방향의 봉형구조로 매끄러운 구조가 되어야,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으로 삽입이 쉽고, 일렬 돌출의 힘 생성시, 반작용의 외압접촉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꽉 끼워져 결합된 부위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밀링가공을 통해 삭제시켜 매끄러운 구조로 형성시킨 부위에 "-"형상의 음각 홈을 형성시킨다.
그 이유는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부의 이상이나 뒤틀림으로 인해, 누유발생시, 보수를 위해서, "-"홈 핸들을 통해 돌려서 제거시키고, 새로운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부로 교체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좌측 피스톤용 실린더부(112c-4))
상기 제1 좌측 피스톤용 실린더부(112c-4)는 제1 좌측 피스톤 돌기부가 상승과 하강의 왕복운동을 하도록 안내시키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좌측 피스톤 돌기부(112c-5))
상기 제1 좌측 피스톤 돌기부(112c-5)는 제1 좌측 피스톤용 실린더부의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하(下)면 부위에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좌측방향에 위치한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쪽으로 일렬 돌출의 상승의 힘을 생성시키고, 에어 흡입의 힘을 전달받아 하강의 힘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a 좌측 피스톤 돌기(112c-5a), 제1b 좌측 피스톤 돌기(112c-5b), 제1c 좌측 피스톤 돌기(112c-5c), 제1d 좌측 피스톤 돌기(112c-5d)의 4개(=4채널)로 구성된다.
사용목적과 형태에 따라 4개(=4채널)이외에도, 5개(=5채널), 8개(=8채널), 12개(=12채널), 20개(=20채널) 등 다양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1a 좌측 피스톤 돌기(112c-5a), 제1b 좌측 피스톤 돌기(112c-5b), 제1c 좌측 피스톤 돌기(112c-5c), 제1d 좌측 피스톤 돌기(112c-5d)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제2a 유압전달형 하단받침띠(112c-50a)와 제2a 상단라운드띠(112c-50b)로 이루어진 이중띠형상의 제2a 피스톤 돌기몸체(112c-50c)로 이루어지고, 제2a 상단라운드띠의 좌측 일측에 제2a 피스톤 돌기(112c-50d)가 형성되고, 제2a 피스톤 돌기에 제2a 탄성스프링((112c-50e)이 삽입 형성되며, 이중띠 부위에 제2a 우레탄 오링((112c-50f)이 형성되며, 제2a 피스톤 돌기몸체의 표면전체가 세라믹 코팅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a 피스톤돌기(112c-50a)는 SNCM(Steel Nickel Chromium Molybdenum, 니켈 크롬 몰리브덴강)소재를 가지고, 침탄 열처리가공해서 형성된다.
상기 제2a 유압전달형 하단받침띠(112c-50b)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2a 탄성스프링(112c-50e)은 제2a 피스톤 돌기몸체에 탄성력과 복원력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a 우레탄 오링(112c-50f)은 제2a 유압전달형 하단받침띠로 전달되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의 오일이 흘러서, 제2a 상단라운드띠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표면전체가 세라믹 코팅되는 이유는 하(下)면 부위에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1 좌측 피스톤용 실린더부의 내부공간에서 상승시, 마찰로 인한 내구성 향상과 미끄럼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좌측 피스톤 돌기부의 제2a 피스톤 돌기 직경은 9φ~11φ로 형성되고, 제2a 유압전달형 하단받침띠와 제2a 상단라운드띠 직경은 14φ~16φ로 형성되며, 제2a 피스톤 돌기몸체의 전체높이는 23mm~26mm로 형성된다.
이처럼, 제1 좌측 피스톤용 유로부(112c-1),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112c-2),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부(112c-3), 제1 좌측 피스톤용 실린더부(112c-4), 제1 좌측 피스톤 돌기부(112c-5)로 이루어진 제1 좌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112c)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좌측 방향으로 생성되는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킨다.
여기서, 일렬 돌출의 힘은 일렬로 쭉 나열된 제1a 좌측 피스톤 돌기, 제1b 좌측 피스톤 돌기, 제1c 좌측 피스톤 돌기, 제1d 좌측 피스톤 돌기의 한꺼번에 돌출되는 돌출 힘을 말하고,
제1a 좌측 피스톤 돌기, 제1b 좌측 피스톤 돌기, 제1c 좌측 피스톤 돌기, 제1d 좌측 피스톤 돌기 중 하나의 피스톤 돌기에서 생성되는 돌출의 힘은 3500N 타격력을 생성시킨다.
{제1 우측 피스톤 돌출 형성부(112d)}
상기 제1 우측 피스톤 돌출 형성부(112d)는 제1 헤드봉본체를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시계방향에서 120도 기준선상에 위치하여,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우측방향에 위치한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쪽으로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우측 피스톤용 유로부(112d-1),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112d-2),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112d-3), 제1 우측 피스톤용 실린더부(112d-4), 제1 우측 피스톤 돌기부(112d-5)로 구성된다.
(제1 우측 피스톤용 유로부(112d-1))
상기 제1 우측 피스톤용 유로부(112d-1)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1 우측 피스톤 돌기부쪽으로 공급시키거나, 또는 에어의 힘으로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유로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1 헤드봉본체의 내부공간 중 제1 우측 피스톤 돌기부의 하단면쪽으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반경은 0.3~0.5φ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우측 피스톤용 유로부의 유로반경이 0.3~0.5φ로 형성시키는 이유는 0.3이하일 때는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 그리고, 제1 우측 피스톤용 실린더부의 미세틈새사이로 오일누수발생요인과,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와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사이의 결합력을 약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 0.5φ 이상일 때는 제1 우측 피스톤 돌기부에 가해지는 힘이 약해져, 일렬 돌출의 힘(=평균 3500N 타격력) 또한 약해져, 콘크리트구조물의 크랙형성이 잘 안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기 때문에 0.3~0.5φ로 형성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우측 피스톤용 유로부(112d-1)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우측 피스톤용 직선유로(112d-1a)와, 제1 우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112d-1b)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우측 피스톤용 직선유로(112d-1a)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1 우측 피스톤 돌기부쪽으로 공급시키거나, 또는 에어의 힘으로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유로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쓰리웨이 유압공급부와 제1a 우측 피스톤 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1a 우측 피스톤용 직선유로(112d-10a)와, 제1a 우측 피스톤 돌기와 제1b 우측 피스톤 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1b 우측 피스톤용 직선유로(112d-11a)와, 제1b 우측 피스톤 돌기와 제1c 우측 피스톤 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1c 우측 피스톤용 직선유로(112d-12a)와, 제1c 우측 피스톤 돌기와 제1d 우측 피스톤 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1d 우측 피스톤용 직선유로(112d-13a)와, 제1d 우측 피스톤 돌기와 제1e 우측유로용 엣지탭용접부 사이에 형성된 제1e 우측 피스톤용 직선유로(112d-14a)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우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112d-1b)는 제1 우측 피스톤용 직선유로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1 우측 피스톤 돌기부의 하단면쪽으로 유입시켜, 제1 우측 피스톤 돌기부를 상승시키는 일렬 상승의 힘을 전달시키거나, 또는 에어의 힘으로 흡입시켜, 제1 우측 피스톤 돌기부를 하강시키는 일렬 하강의 힘을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우측 피스톤 돌기부의 구성요소 중 제1 우측 피스톤 돌기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제1a 우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112d-10b)와, 제2 우측 피스톤 돌기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제1b 우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112d-11b)와, 제3 우측 피스톤 돌기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제1c 우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112d-12b)와, 제4 우측 피스톤 돌기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제1d 우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112d-13b)와, 제5 우측 피스톤 돌기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제1e 우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112d-14b)로 구성된다.
즉,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이 전달되면, 제1a 우측 피스톤용 직선유로, 제1a우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 제1b 우측 피스톤용 직선유로, 제1b 우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 제1c 우측 피스톤용 직선유로, 제1c 우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 제1d 우측 피스톤용 직선유로, 제1d 우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 제1e 우측 피스톤용 직선유로를 거쳐, 전달시킨다.
이때,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으로 전달시키면, 제1 우측 피스톤 돌기부의 구성요소인 제1a 우측 피스톤 돌기, 제1b 우측 피스톤 돌기, 제1c 우측 피스톤 돌기, 제1d 우측 피스톤 돌기쪽으로, 0.3초~0.9초이내에 전달시킬 수 있어, 동시다발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킬 수 있다.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112d-2))
상기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112d-2)는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을 밀폐시킬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으로 유입되는 오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와 대칭되는 음각의 단턱구조로 이루어져 형성된다.
그리고, 단턱구조 둘레를 따라, 경사면테두리를 형성시켜,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의 헤드부위에 형성된 각진 라운딩부위가 맞춤형으로 결합된 후, 강하게 조여지면서 누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112d-3))
상기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112d-3)는 나사형 캡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에 꽉 끼워지면서 결합되어, 누유가 발생되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에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을 나사산을 따라 돌리면서, 꽉 끼워지면서 결합되도록 조립시킨다.
이어서, 외부방향으로 튀어나오는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의 캡 머리부위를 밀링가공을 통해 삭제시킨다.
그 이유는 튀어나오는 형상없이, 외부표면자체가 길이방향의 봉형구조로 매끄러운 구조가 되어야,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으로 삽입이 쉽고, 일렬 돌출의 힘 생성시, 반작용의 외압접촉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꽉 끼워져 결합된 부위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밀링가공을 통해 삭제시켜 매끄러운 구조로 형성시킨 부위에 "-"형상의 음각 홈을 형성시킨다.
그 이유는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의 이상이나 뒤틀림으로 인해, 누유발생시, 보수를 위해서, "-"홈 핸들을 통해 돌려서 제거시키고, 새로운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로 교체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우측 피스톤용 실린더부(112d-4))
상기 제1 우측 피스톤용 실린더부(112d-4)는 제1 우측 피스톤 돌기부가 상승과 하강의 왕복운동을 하도록 안내시키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우측 피스톤 돌기부(112d-5))
상기 제1 우측 피스톤 돌기부(112d-5)는 제1 우측 피스톤용 실린더부의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하(下)면 부위에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우측방향에 위치한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쪽으로 일렬 돌출의 상승의 힘을 생성시키고, 에어 흡입의 힘을 전달받아 하강의 힘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a 우측 피스톤 돌기(112d-5a), 제1b 우측 피스톤 돌기(112d-5b), 제1c 우측 피스톤 돌기(112d-5c), 제1d 우측 피스톤 돌기(112d-5d)의 4개(=4채널)로 구성된다.
상기 제1a 우측 피스톤 돌기(112d-5a), 제1b 우측 피스톤 돌기(112d-5b), 제1c 우측 피스톤 돌기(112d-5c), 제1d 우측 피스톤 돌기(112d-5d)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제3a 유압전달형 하단받침띠(112d-50a)와 제3a 상단라운드띠(112d-50b)로 이루어진 이중띠형상의 제3a 피스톤 돌기몸체(112d-50c)로 이루어지고, 제3a 상단라운드띠의 우측 일측에 제3a 피스톤 돌기(112d-50d)가 형성되고, 제3a 피스톤 돌기에 제3a 탄성스프링(112d-50e)이 삽입 형성되며, 이중띠 부위에 제3a 우레탄 오링(112d-50f)이 형성되며, 제3a 피스톤 돌기몸체의 표면전체가 세라믹 코팅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3a 피스톤돌기(112d-50d)는 SNCM(Steel Nickel Chromium Molybdenum, 니켈 크롬 몰리브덴강)소재를 가지고, 침탄 열처리가공해서 형성된다.
상기 제3a 유압전달형 하단받침띠(112d-50a)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3a 탄성스프링(112d-50e)은 제3a 피스톤 돌기몸체에 탄성력과 복원력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a 우레탄 오링(112d-50f)은 제3a 유압전달형 하단받침띠로 전달되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의 오일이 흘러서, 제3a 상단라운드띠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표면전체가 세라믹 코팅되는 이유는 하(下)면 부위에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1 우측 피스톤용 실린더부의 내부공간에서 상승시, 마찰로 인한 내구성 향상과 미끄럼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우측 피스톤 돌기부의 제3a 피스톤 돌기 직경은 9φ~11φ로 형성되고, 제3a 유압전달형 하단받침띠와 제3a 상단라운드띠 직경은 14φ~16φ로 형성되며, 제3a 피스톤 돌기몸체의 전체높이는 23mm~26mm로 형성된다.
이처럼, 제1 우측 피스톤용 유로부(112d-1),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112d-2),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112d-3), 제1 우측 피스톤용 실린더부(112d-4), 제1 우측 피스톤 돌기부(112d-5)로 이루어진 제1 우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112d)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우측 방향으로 생성되는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킨다.
여기서, 일렬 돌출의 힘은 일렬로 쭉 나열된 제1a 우측 피스톤 돌기, 제1b 우측 피스톤 돌기, 제1c 우측 피스톤 돌기, 제1d 우측 피스톤 돌기의 한꺼번에 돌출되는 돌출 힘을 말하고, 제1a 우측 피스톤 돌기, 제1b 우측 피스톤 돌기, 제1c 우측 피스톤 돌기, 제1d 우측 피스톤 돌기 중 하나의 피스톤 돌기에서 생성되는 돌출의 힘은 3500N 타격력을 생성시킨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113)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113)는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를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상단표면, 좌측표면, 우측표면을 따라 덮개구조의 플레이트가 형성되어,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에서 생성시킨 상단, 좌측, 우측의 3방향으로 생성되는 피스톤 돌기의 돌출의 힘을,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서 상단, 좌측, 우측의 3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변환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에서 나비효과와 면접촉 타격력이라는 것은 나비의 작은 날갯짓처럼 미세한 변화, 작은 차이, 사소한 사건이 추후 예상하지 못한 엄청난 결과나 파장으로 이어지는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서, 피스톤 돌기의 돌출의 힘이 점접촉으로 타격력이 가해지면, 면형상의 플레이트쪽으로 전달되면서, 이때부터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변환되어,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 10% 크랙이 생기다가, 나비가 날개짓을 반복하듯이 또 다시,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반복하여,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 30% 크랙, 50% 크랙, 70% 크랙이 생키도록 하여, 콘크리트구조물을 깨는 것을 말한다.
이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상단방향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113a), 제1 좌측방향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113b), 제1 우측방향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113c)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상단방향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113a)는 상단표면을 따라 덮개구조의 플레이트가 형성되어,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에서 생성시킨 상단방향으로 생성되는 피스톤 돌기의 돌출의 힘을,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서 상단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변환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의 구성요소 중 제1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를 덮어주는 덮개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해, 호형상의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구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를 덮어주는 덮개역할을 하는 이유는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서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인해, 먼지가 바로 제1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쪽으로 유입되면, 제1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가 막혀서 제대로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형성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제1 좌측방향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113b)는 상단표면을 따라 덮개구조의 플레이트가 형성되어,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에서 생성시킨 좌측방향으로 생성되는 피스톤 돌기의 돌출의 힘을,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서 좌측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변환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의 구성요소 중 제1 좌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를 덮어주는 덮개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해, 호형상의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구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좌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를 덮어주는 덮개역할을 하는 이유는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서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인해, 먼지가 바로 제1 좌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쪽으로 유입되면, 제1 좌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가 막혀서 제대로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형성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제1 우측방향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113c)는 상단표면을 따라 덮개구조의 플레이트가 형성되어,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에서 생성시킨 우측방향으로 생성되는 피스톤 돌기의 돌출의 힘을,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서 우측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변환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의 구성요소 중 제1 우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를 덮어주는 덮개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해, 호형상의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구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우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를 덮어주는 덮개역할을 하는 이유는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서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인해, 먼지가 바로 제1 우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쪽으로 유입되면, 제1 우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가 막혀서 제대로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형성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쓰리웨이 피스톤에어흡입부(114)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쓰리웨이 피스톤에어흡입부(114)는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의 후단 일측에 위치되어, 에어 흡입의 힘으로,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에 유입된 오일을 흡입하여 배출시켜, 일렬 돌출된 피스톤 돌기를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에어흡입접속관 구조로 형성되고, 그 에어흡입접속관 상단 일측에 에어흡입밸브와, 에어흡입용 에어컴프레셔 연결부위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쓰리웨이 유압공급부(115)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쓰리웨이 유압공급부(115)는 쓰리웨이 피스톤에어흡입부의 후단 일측에 위치되고, 유압배관과 연결되어, 유압배관으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쪽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유압공급접속관 구조로 형성되고, 그 유압공급접속관 상단 일측에 유입개폐밸브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2000바(Bar)형 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120)]
상기 2000바(Bar)형 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120)는 유압배관으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서 상단, 좌측의 2방향 또는 상단, 우측의 2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서 천공의 크기는 37φ~43φ로 형성된다.
이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도깨비 방망이몸체(121), 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122), 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123), 투웨이 피스톤에어흡입부(124), 투웨이 유압공급부(125)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제2 도깨비 방망이몸체(121)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2 도깨비 방망이몸체(121)는 표면상에 복수개의 피스톤 돌기가 돌출되는 도깨비 방망이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단 일측에 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가 형성되고, 그 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를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상단표면, 좌측표면, 우측표면을 따라 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가 형성되며, 그 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의 후단 일측에 투웨이 피스톤에어흡입부가 형성되며, 그 투웨이 피스톤에어흡입부의 후단 일측에 투웨이 유압공급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122)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122)는 제2 도깨비 방망이몸체의 전단 일측에 위치되고, 투웨이 유압공급부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쪽으로, 상단, 좌측의 2방향 또는 상단, 우측의 2방향으로 생성되는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단, 좌측의 2방향으로 생성된다는 것은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시계방향에서 0도 기준선상에 위치한 피스톤 돌기들이 일렬로 쭉 나열되어 돌출되는 상단방향과,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시계방향에서 270도 기준선상에 위치한 피스톤 돌기들이 일렬로 쭉 나열되어 돌출되는 좌측방향으로 생성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상단, 우측의 2방향으로 생성된다는 것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시계방향에서 0도 기준선상에 위치한 피스톤 돌기들이 일렬로 쭉 나열되어 돌출되는 상단방향과,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시계방향에서 90도 기준선상에 위치한 피스톤 돌기들이 일렬로 쭉 나열되어 돌출되는 우측방향으로 생성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일렬 돌출의 힘은 일렬로 쭉 나열된 피스톤 돌기들이 한꺼번에 돌출되는 돌출 힘을 말하고, 하나의 피스톤 돌기에서 생성되는 돌출의 힘은 3500N 타격력을 생성시킨다.
이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헤드봉본체(122a), 제2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122b), 제2 우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122c)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2 좌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122d)의 구성요소는 제2 우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122c)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제2 헤드봉본체(122a)}
상기 제2 헤드봉본체(122a)는 길이방향의 봉형구조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시계방향에서 0도 기준선상에 위치한 제2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와,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시계방향에서 90도 기준선상에 위치한 제2 우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가 형성되어 구성되거나, 또는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시계방향에서 0도 기준선상에 위치한 제2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와,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시계방향에서 270도 기준선상에 위치한 제2 좌측 피스톤 돌출 형성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외경이 32~40φ로 형성된다.
{제2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122b)}
상기 제2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122b)는 제2 헤드봉본체를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시계방향에서 0도 기준선상에 위치하여,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상단방향에 위치한 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쪽으로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상단 피스톤용 유로부(122b-1), 제2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122b-2), 제2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122b-3), 제2 상단 피스톤용 실린더부(122b-4), 제2 상단 피스톤 돌기부(122b-5)로 구성된다.
(제2 상단 피스톤용 유로부(122b-1))
상기 제2 상단 피스톤용 유로부(122b-1)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2 상단 피스톤 돌기부쪽으로 공급시키거나, 또는 에어의 힘으로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유로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2 헤드봉본체의 내부공간 중 제2 상단 피스톤 돌기부의 하단면쪽으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반경은 0.3~0.5φ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2 상단 피스톤용 유로부의 유로반경이 0.3~0.5φ로 형성시키는 이유는 0.3이하일 때는 제2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 그리고, 제2 상단 피스톤용 실린더부의 미세틈새사이로 오일누수발생요인과, 제2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와 제2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사이의 결합력을 약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 0.5φ 이상일 때는 제2 상단 피스톤 돌기부에 가해지는 힘이 약해져, 일렬 돌출의 힘(=평균 3500N 타격력) 또한 약해져, 콘크리트구조물의 크랙형성이 잘 안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기 때문에 0.3~0.5φ로 형성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 상단 피스톤용 유로부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122b-1a)와, 제2 상단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122b-1b)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122b-1a)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2 상단 피스톤 돌기부쪽으로 공급시키거나, 또는 에어의 힘으로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유로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웨이 유압공급부와 제2a 상단 피스톤 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2a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122b-10a)와, 제2a 상단 피스톤 돌기와 제2b 상단 피스톤 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2b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122b-11a)와, 제2b 상단 피스톤 돌기와 제2c 상단 피스톤 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2c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122b-12a)와, 제2c 상단 피스톤 돌기와 제2d 상단 피스톤 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2d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122b-13a)와, 제2d 상측 피스톤 돌기와 제2e 상단유로용 엣지탭용접부 사이에 형성된 제2e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122b-14a)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상단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122b-1b)는 제2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2 상단 피스톤 돌기부의 하단면쪽으로 유입시켜, 제2 상단 피스톤 돌기부를 상승시키는 일렬 상승의 힘을 전달시키거나, 또는 에어의 힘으로 흡입시켜, 제2 상단 피스톤 돌기부를 하강시키는 일렬 하강의 힘을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상단 피스톤 돌기부의 구성요소 중 제2 상단 피스톤 돌기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제2a 상단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122b-10b)와, 제2 상단 피스톤 돌기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제2b 상단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122b-11b)와, 제3 상단 피스톤 돌기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제2c 상단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122b-12b)와, 제4 상단 피스톤 돌기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제2d 상단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122b-13b)로 구성된다.
즉,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이 전달되면, 제2a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 제2a상단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 제2b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 제2b 상단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 제2c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 제2c 상단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 제2d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 제2d 상단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 제2e 상단 피스톤용 직선유로를 거쳐, 전달시킨다.
이때,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으로 전달시키면, 제2 상단 피스톤 돌기부의 구성요소인 제2a 상단 피스톤 돌기, 제2b 상단 피스톤 돌기, 제2c 상단 피스톤 돌기, 제2d 상단 피스톤 돌기쪽으로, 0.3초~0.9초이내에 전달시킬 수 있어, 동시다발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킬 수 있다.
(제2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122b-2))
상기 제2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122b-2)는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을 밀폐시킬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으로 유입되는 오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2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와 대칭되는 음각의 단턱구조로 이루어져 형성된다.
그리고, 단턱구조 둘레를 따라, 경사면테두리를 형성시켜, 제2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의 헤드부위에 형성된 각진 라운딩부위가 맞춤형으로 결합된 후, 강하게 조여지면서 누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제2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122b-3))
상기 제2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122b-3)는 나사형 캡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에 꽉 끼워지면서 결합되어, 누유가 발생되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에 제2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을 나사산을 따라 돌리면서, 꽉 끼워지면서 결합되도록 조립시킨다.
이어서, 외부방향으로 튀어나오는 제2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의 캡 머리부위를 밀링가공을 통해 삭제시킨다.
그 이유는 튀어나오는 형상없이, 외부표면자체가 길이방향의 봉형구조로 매끄러운 구조가 되어야,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으로 삽입이 쉽고, 일렬 돌출의 힘 생성시, 반작용의 외압접촉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꽉 끼워져 결합된 부위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밀링가공을 통해 삭제시켜 매끄러운 구조로 형성시킨 부위에 "-"형상의 음각 홈을 형성시킨다.
그 이유는 제2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의 이상이나 뒤틀림으로 인해, 누유발생시, 보수를 위해서, "-"홈 핸들을 통해 돌려서 제거시키고, 새로운 제2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로 교체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 상단 피스톤용 실린더부(122b-4))
상기 제2 상단 피스톤용 실린더부(122b-4)는 제2 상단 피스톤 돌기부가 상승과 하강의 왕복운동을 하도록 안내시키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상단 피스톤 돌기부(122b-5))
상기 제2 상단 피스톤 돌기부(122b-5)는 제2 상단 피스톤용 실린더부의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하(下)면 부위에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상단방향에 위치한 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쪽으로 일렬 돌출의 상승의 힘을 생성시키고, 에어 흡입의 힘을 전달받아 하강의 힘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a 상단 피스톤 돌기(122b-5a), 제2b 상단 피스톤 돌기(122b-5b), 제2c 상단 피스톤 돌기(122b-5c), 제2d 상단 피스톤 돌기(122b-5d)의 4개(=4채널)로 구성된다.
사용목적과 형태에 따라 4개(=4채널)이외에도, 5개(=5채널), 8개(=8채널), 12개(=12채널), 20개(=20채널) 등 다양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2a 상단 피스톤 돌기(122b-5a), 제2b 상단 피스톤 돌기(122b-5b), 제2c 상단 피스톤 돌기(122b-5c), 제2d 상단 피스톤 돌기(122b-5d)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제4a 유압전달형 하단받침띠(122b-50a)와 제4a 상단라운드띠(122b-50b)로 이루어진 이중띠형상의 제4a 피스톤 돌기몸체(122b-50c)로 이루어지고, 제4a 상단라운드띠의 상단 일측에 제4a 피스톤 돌기(122b-50d)가 형성되고, 제4a 피스톤 돌기에 제4a 탄성스프링(122b-50e)이 삽입 형성되며, 이중띠 부위에 제4a 우레탄 오링(122b-50f)이 형성되며, 제4a 피스톤 돌기몸체의 표면전체가 세라믹 코팅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4a 피스톤돌기(122b-50d)는 SNCM(Steel Nickel Chromium Molybdenum, 니켈 크롬 몰리브덴강)소재를 가지고, 침탄 열처리가공해서 형성된다.
상기 제4a 유압전달형 하단받침띠(122b-50a)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4a 탄성스프링(122b-50e)은 제4a 피스톤 돌기몸체에 탄성력과 복원력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4a 우레탄 오링(122b-50f)은 제4a 유압전달형 하단받침띠로 전달되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의 오일이 흘러서, 제4a 상단라운드띠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표면전체가 세라믹 코팅되는 이유는 하(下)면 부위에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2 상단 피스톤용 실린더부의 내부공간에서 상승시, 마찰로 인한 내구성 향상과 미끄럼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상단 피스톤 돌기부의 제4a 피스톤 돌기 직경은 9φ~11φ로 형성되고, 제4a 유압전달형 하단받침띠와 제4a 상단라운드띠 직경은 14φ~16φ로 형성되며, 제4a 피스톤 돌기몸체의 전체높이는 23mm~26mm로 형성된다.
이처럼, 제2 상단 피스톤용 유로부(122b-1), 제2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122b-2), 제2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122b-3), 제2 상단 피스톤용 실린더부(122b-4), 제2 상단 피스톤 돌기부(122b-5)로 이루어진 제2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122b)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상단 방향으로 생성되는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킨다.
여기서, 일렬 돌출의 힘은 일렬로 쭉 나열된 제2a 상단 피스톤 돌기, 제2b 상단 피스톤 돌기, 제2c 상단 피스톤 돌기, 제2d 상단 피스톤 돌기의 한꺼번에 돌출되는 돌출 힘을 말하고,
제2a 상단 피스톤 돌기, 제2b 상단 피스톤 돌기, 제2c 상단 피스톤 돌기, 제2d 상단 피스톤 돌기 중 하나의 피스톤 돌기에서 생성되는 돌출의 힘은 3500N 타격력을 생성시킨다.
{제2 우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122c)}
상기 제2 우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122c)는 제2 헤드봉본체를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시계방향에서 90도 기준선상에 위치하여,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우측방향에 위치한 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쪽으로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우측 피스톤용 유로부(122c-1), 제2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122c-2), 제2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122c-3), 제2 우측 피스톤용 실린더부(122c-4), 제2 우측 피스톤 돌기부(122c-5)로 구성된다.
(제2 우측 피스톤용 유로부(122c-1))
상기 제2 우측 피스톤용 유로부(122c-1)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2 우측 피스톤 돌기부쪽으로 공급시키거나, 또는 에어의 힘으로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유로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2 헤드봉본체의 내부공간 중 제2 우측 피스톤 돌기부의 하단면쪽으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반경은 0.3~0.5φ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2 우측 피스톤용 유로부의 유로반경이 0.3~0.5φ로 형성시키는 이유는 0.3이하일 때는 제2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 그리고, 제2 우측 피스톤용 실린더부의 미세틈새사이로 오일누수발생요인과, 제2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와 제2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사이의 결합력을 약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 0.5φ 이상일 때는 제2 우측 피스톤 돌기부에 가해지는 힘이 약해져, 일렬 돌출의 힘(=평균 3500N 타격력) 또한 약해져, 콘크리트구조물의 크랙형성이 잘 안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기 때문에 0.3~0.5φ로 형성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 우측 피스톤용 유로부(122c-1)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우측 피스톤용 직선유로(122c-1a)와, 제2 우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122c-1b)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우측 피스톤용 직선유로(122c-1a)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2 우측 피스톤 돌기부쪽으로 공급시키거나, 또는 에어의 힘으로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유로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웨이 유압공급부와 제2a 좌측 피스톤 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2a 좌측 피스톤용 직선유로(122c-10a)와, 제2a 좌측 피스톤 돌기와 제2b 좌측 피스톤 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2b 좌측 피스톤용 직선유로(122c-11a)와, 제2b 좌측 피스톤 돌기와 제2c 좌측 피스톤 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2c 좌측 피스톤용 직선유로(122c-12a)와, 제2c 좌측 피스톤 돌기와 제2d 좌측 피스톤 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2d 좌측 피스톤용 직선유로(122c-13a)와, 제2d 좌측 피스톤 돌기와 제2e 좌측유로용 엣지탭용접부 사이에 형성된 제2e 좌측 피스톤용 직선유로(122c-14a)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우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122c-1b)는 제2 우측 피스톤용 직선유로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2 우측 피스톤 돌기부의 하단면쪽으로 유입시켜, 제2 우측 피스톤 돌기부를 상승시키는 일렬 상승의 힘을 전달시키거나, 또는 에어의 힘으로 흡입시켜, 제2 우측 피스톤 돌기부를 하강시키는 일렬 하강의 힘을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우측 피스톤 돌기부의 구성요소 중 제2 우측 피스톤 돌기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제2a 좌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122c-10b)와, 제2 우측 피스톤 돌기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제2b 좌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122c-11b)와, 제3 좌측 피스톤 돌기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제2c 좌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122c-12b)와, 제4 좌측 피스톤 돌기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된 제2d 좌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122c-13b)로 구성된다.
즉,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이 전달되면, 제2a 좌측 피스톤용 직선유로, 제2a좌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 제2b 좌측 피스톤용 직선유로, 제2b 좌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 제2c 좌측 피스톤용 직선유로, 제2c 좌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 제2d 좌측 피스톤용 직선유로, 제2d 좌측 피스톤 돌기부용 하단면유로, 제2e 좌측 피스톤용 직선유로를 거쳐, 전달시킨다.
이때,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으로 전달시키면, 제2 우측 피스톤 돌기부의 구성요소인 제2a 좌측 피스톤 돌기, 제2b 좌측 피스톤 돌기, 제2c 좌측 피스톤 돌기, 제2d 좌측 피스톤 돌기쪽으로, 0.3초~0.9초이내에 전달시킬 수 있어, 동시다발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킬 수 있다.
(제2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122c-2))
상기 제2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122c-2)는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을 밀폐시킬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으로 유입되는 오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2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와 대칭되는 음각의 단턱구조로 이루어져 형성된다.
그리고, 단턱구조 둘레를 따라, 경사면테두리를 형성시켜, 제2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의 헤드부위에 형성된 각진 라운딩부위가 맞춤형으로 결합된 후, 강하게 조여지면서 누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제2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122c-3))
상기 제2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122c-3)는 나사형 캡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에 꽉 끼워지면서 결합되어, 누유가 발생되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에 제2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을 나사산을 따라 돌리면서, 꽉 끼워지면서 결합되도록 조립시킨다.
이어서, 외부방향으로 튀어나오는 제2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의 캡 머리부위를 밀링가공을 통해 삭제시킨다.
그 이유는 튀어나오는 형상없이, 외부표면자체가 길이방향의 봉형구조로 매끄러운 구조가 되어야,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으로 삽입이 쉽고, 일렬 돌출의 힘 생성시, 반작용의 외압접촉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꽉 끼워져 결합된 부위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밀링가공을 통해 삭제시켜 매끄러운 구조로 형성시킨 부위에 "-"형상의 음각 홈을 형성시킨다.
그 이유는 제2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의 이상이나 뒤틀림으로 인해, 누유발생시, 보수를 위해서, "-"홈 핸들을 통해 돌려서 제거시키고, 새로운 제2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로 교체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 우측 피스톤용 실린더부(122c-4))
상기 제2 우측 피스톤용 실린더부(122c-4)는 제2 우측 피스톤 돌기부가 상승과 하강의 왕복운동을 하도록 안내시키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우측 피스톤 돌기부(122c-5))
상기 제2 우측 피스톤 돌기부(122c-5)는 제2 우측 피스톤용 실린더부의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하(下)면 부위에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좌측방향에 위치한 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쪽으로 일렬 돌출의 상승의 힘을 생성시키고, 에어 흡입의 힘을 전달받아 하강의 힘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a 좌측 피스톤 돌기(122c-5a), 제2b 좌측 피스톤 돌기(122c-5b), 제2c 좌측 피스톤 돌기(122c-5c), 제2d 좌측 피스톤 돌기(122c-5d)의 4개(=4채널)로 구성된다.
사용목적과 형태에 따라 4개(=4채널)이외에도, 5개(=5채널), 8개(=8채널), 12개(=12채널), 20개(=20채널) 등 다양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2a 좌측 피스톤 돌기(122c-5a), 제2b 좌측 피스톤 돌기(122c-5b), 제2c 좌측 피스톤 돌기(122c-5c), 제2d 좌측 피스톤 돌기(122c-5d)는
각각, 제5a 유압전달형 하단받침띠(122c-50a)와 제5a 상단라운드띠(122c-50b)로 이루어진 이중띠형상의 제5a 피스톤 돌기몸체(122c-50c)로 이루어지고, 제5a 상단라운드띠의 좌측 일측에 제5a 피스톤 돌기(122c-50d)가 형성되고, 제5a 피스톤 돌기에 제5a 탄성스프링(122c-50e)이 삽입 형성되며, 이중띠 부위에 제5a 우레탄 오링(122c-50f)이 형성되며, 제5a 피스톤 돌기몸체의 표면전체가 세라믹 코팅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5a 피스톤돌기(122c-50d)는 SNCM(Steel Nickel Chromium Molybdenum, 니켈 크롬 몰리브덴강)소재를 가지고, 침탄 열처리가공해서 형성된다.
상기, 제5a 유압전달형 하단받침띠(122c-50a)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5a 탄성스프링(122c-50e)은 제5a 피스톤 돌기몸체에 탄성력과 복원력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5a 우레탄 오링(122c-50f)은 제5a 유압전달형 하단받침띠로 전달되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의 오일이 흘러서, 제5a 상단라운드띠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표면전체가 세라믹 코팅되는 이유는 하(下)면 부위에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2 우측 피스톤용 실린더부의 내부공간에서 상승시, 마찰로 인한 내구성 향상과 미끄럼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우측 피스톤 돌기부의 제2a 피스톤 돌기 직경은 9φ~11φ로 형성되고, 제2a 유압전달형 하단받침띠와 제2a 상단라운드띠 직경은 14φ~16φ로 형성되며, 제2a 피스톤 돌기몸체의 전체높이는 23mm~26mm로 형성된다.
이처럼, 제2 우측 피스톤용 유로부(122c-1), 제2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122c-2), 제2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122c-3), 제2 우측 피스톤용 실린더부(122c-4), 제2 우측 피스톤 돌기부(122c-5)로 이루어진 제2 우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122c)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좌측 방향으로 생성되는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킨다.
여기서, 일렬 돌출의 힘은 일렬로 쭉 나열된 제2a 좌측 피스톤 돌기, 제2b 좌측 피스톤 돌기, 제2c 좌측 피스톤 돌기, 제2d 좌측 피스톤 돌기, 제2e 좌측 피스톤 돌기의 한꺼번에 돌출되는 돌출 힘을 말하고, 제2a 좌측 피스톤 돌기, 제2b 좌측 피스톤 돌기, 제2c 좌측 피스톤 돌기, 제2d 좌측 피스톤 돌기 중 하나의 피스톤 돌기에서 생성되는 돌출의 힘은 3500N 타격력을 생성시킨다.
이처럼, 제1 도깨비 방망이몸체,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 쓰리웨이 피스톤에어흡입부, 쓰리웨이 유압공급부로 이루어진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가 쓰리웨이 유압공급부를 통해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이 입력(Input)되고, 쓰리웨이 피스톤에어흡입부를 통해 에어흡입의 힘으로, 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에 유입된 오일을 흡입하여 배출(Output)시키는 단동식 구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에어흡입의 힘은 에어흡입용 에어컴프레셔에서 생성된다.
단동식 구조로 구성됨으로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3방향으로 생성되는 3500N의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콘크리트구조물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켜, 기존에 비해 1.5배~2배 빠른 깨기속도와, 80% 향상된 양질의 콘크리트구조물 파쇄율로, 별도의 장비사용없이,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를 손쉽게 깰 수가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123)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123)는 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를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상단표면, 좌측표면 또는 상단표면, 우측표면을 따라 덮개구조의 플레이트가 형성되어, 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에서 생성시킨 상단, 좌측의 2방향 또는 상단, 우측의 2방향으로 생성되는 피스톤 돌기의 돌출의 힘을,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서 상단, 좌측의 2방향 또는 상단, 우측의 2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변환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이라는 것은 피스톤 돌기의 돌출의 힘이 점접촉으로 타격력이 가해지면, 면형상의 플레이트쪽으로 전달되면서, 이때부터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변환되어,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 중 상단, 좌측의 2방향 또는 상단, 우측의 2방향으로 면접촉 타격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상단방향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123a), 제2 우측방향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123b), 제2 우측방향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123c)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상단방향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123a)는 상단표면을 따라 덮개구조의 플레이트가 형성되어, 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에서 생성시킨 상단방향으로 생성되는 피스톤 돌기의 돌출의 힘을,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서 상단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변환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의 구성요소 중 제2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를 덮어주는 덮개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해, 호형상의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구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2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를 덮어주는 덮개역할을 하는 이유는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서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인해, 먼지가 바로 제2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쪽으로 유입되면, 제2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가 막혀서 제대로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형성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제2 우측방향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123b)는 상단표면을 따라 덮개구조의 플레이트가 형성되어, 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에서 생성시킨 좌측방향으로 생성되는 피스톤 돌기의 돌출의 힘을,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서 좌측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변환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의 구성요소 중 제2 우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를 덮어주는 덮개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해, 호형상의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구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2 우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를 덮어주는 덮개역할을 하는 이유는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서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인해, 먼지가 바로 제2 우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쪽으로 유입되면, 제2 우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가 막혀서 제대로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형성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제2 우측방향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123c)는 상단표면을 따라 덮개구조의 플레이트가 형성되어, 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에서 생성시킨 우측방향으로 생성되는 피스톤 돌기의 돌출의 힘을,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서 우측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변환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의 구성요소 중 제2 우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를 덮어주는 덮개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해, 호형상의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구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2 우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를 덮어주는 덮개역할을 하는 이유는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서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인해, 먼지가 바로 제2 우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쪽으로 유입되면, 제2 우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가 막혀서 제대로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형성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투웨이 피스톤에어흡입부(124)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투웨이 피스톤에어흡입부(124)는 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의 후단 일측에 위치되어, 에어 흡입의 힘으로, 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에 유입된 오일을 흡입하여 배출시켜, 일렬 돌출된 피스톤 돌기를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에어흡입접속관 구조로 형성되고, 그 에어흡입접속관 상단 일측에 에어흡입밸브와, 에어흡입용 에어컴프레셔 연결부위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투웨이 유압공급부(125)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투웨이 유압공급부(125)는 투웨이 피스톤에어흡입부의 후단 일측에 위치되고, 유압배관과 연결되어, 유압배관으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쪽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유압공급접속관 구조로 형성되고, 그 유압공급접속관 상단 일측에 유입개폐밸브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처럼, 제2 도깨비 방망이몸체, 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 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 투웨이 피스톤에어흡입부, 투웨이 유압공급부로 이루어진 2000바(Bar)형 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가 투웨이 유압공급부를 통해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이 입력(Input)되고, 투웨이 피스톤에어흡입부를 통해 에어흡입의 힘으로, 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에 유입된 오일을 흡입하여 배출(Output)시키는 단동식 구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에어흡입의 힘은 에어흡입용 에어컴프레셔에서 생성된다.
단동식 구조로 구성됨으로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2방향으로 생성되는 3500N의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콘크리트구조물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켜, 기존에 비해 1.5배~2배 빠른 깨기속도와, 80% 향상된 양질의 콘크리트구조물 파쇄율로, 별도의 장비사용없이, 콘크리트구조물 중 콘크리트를 손쉽게 깰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 2000바(Bar)형 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100)은 사용목적과 형태에 따라, 한줄의 복수개의 피스톤 돌기로 이루어진 2000바(Bar)형 원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압배관(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유압배관(200)은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과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 사이에 위치되어,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쪽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최대 2000바(Bar)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되고, 사용목적과 형태에 따라 10m~200m 길이를 갖으면서, 강관재질 또는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유압배관, 제2 유압배관, 제3 유압배관, 제4 유압배관, 제5 유압배관, 제6 유압배관, 제7 유압배관, 제8 유압배관, 제9 유압배관, 제10 유압배관, 제11 유압배관, 제12 유압배관, 제13 유압배관, 제14 유압배관, 제15 유압배관, 제16 유압배관으로 총 16채널구조로 구성된다.
즉,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제1 유압배기포트와 연결되는 제1 유압배관과,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제2 유압배기포트와 연결되는 제2 유압배관과,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제3 유압배기포트와 연결되는 제3 유압배관과,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제4 유압배기포트와 연결되는 제4 유압배관과,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제5 유압배기포트와 연결되는 제5 유압배관과,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제6 유압배기포트와 연결되는 제6 유압배관과,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제7 유압배기포트와 연결되는 제7 유압배관과,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제8 유압배기포트와 연결되는 제8 유압배관과,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제9 유압배기포트와 연결되는 제9 유압배관과,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제10 유압배기포트와 연결되는 제10 유압배관과,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제11 유압배기포트와 연결되는 제11 유압배관과,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제12 유압배기포트와 연결되는 제12 유압배관과,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제13 유압배기포트와 연결되는 제13 유압배관과,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제14 유압배기포트와 연결되는 제14 유압배관과,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제15 유압배기포트와 연결되는 제15 유압배관,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제16 유압배기포트와 연결되는 제16 유압배관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3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300)는 박스형상의 구조로 형성되어, 유압배관과 연결되면서,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된 유압배관쪽으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분배본체(310), 16채널 유압배기포트(320), 16채널 솔레노이드밸브부(33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유압분배본체(3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유압분배본체(310)는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전단일측에 16채널 유압배기포트가 형성되고, 16채널 유압배기포트 후단 일측에 16채널 솔레노이드밸브부가 형성되며, 그 16채널 솔레노이드밸브부를 기준으로 밑단에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16채널 유압실린더부가 형성되고,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상단 일측에 유압 인디게이트와 함께 16채널 유압센서가 형성되며, 16채널 유압실린더부 하단 일측에 박스형상의 오일탱크부가 형성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16채널 유압배기포트(3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16채널 유압배기포트(320)는 유압분배본체의 전단일측에 길이방향의 16채널구조로 형성되어, 유압배관과 1:1로 연결되어, 흡기 또는 배기의 역할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유압배기포트(321), 제2 유압배기포트(322), 제3 유압배기포트(323), 제4 유압배기포트(324), 제5 유압배기포트(325), 제6 유압배기포트(326), 제7 유압배기포트(327), 제8 유압배기포트(328), 제9 유압배기포트(329), 제10 유압배기포트(329a), 제11 유압배기포트(329b), 제12 유압배기포트(329c), 제13 유압배기포트(329d), 제14 유압배기포트(329e), 제15 유압배기포트(329f), 제16 유압배기포트(329g)로 총 16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유압배기포트는 제1 유압배관과 1:1로 연결되고, 제2 유압배기포트는 제2 유압배관과 1:1로 연결되며, 제3 유압배기포트는 제3 유압배관과 1:1로 연결되고, 제4 유압배기포트는 제4 유압배관과 1:1로 연결되며, 제5 유압배기포트는 제5 유압배관과 1:1로 연결되고, 제6 유압배기포트는 제6 유압배관과 1:1로 연결되며, 제7 유압배기포트는 제7 유압배관과 1:1로 연결되고, 제8 유압배기포트는 제8 유압배관과 1:1로 연결되며, 제9 유압배기포트는 제9 유압배관과 1:1로 연결되고, 제10 유압배기포트는 제10 유압배관과 1:1로 연결되며, 제11 유압배기포트는 제11 유압배관과 1:1로 연결되고, 제12 유압배기포트는 제12 유압배관과 1:1로 연결되며, 제13 유압배기포트는 제13 유압배관과 1:1로 연결되고, 제14 유압배기포트는 제14 유압배관과 1:1로 연결되며, 제15 유압배기포트는 제15 유압배관과 1:1로 연결되고, 제16 유압배기포트는 제16 유압배관과 1:1로 연결된다.
상기 제1 유압배기포트, 제2 유압배기포트, 제3 유압배기포트, 제4 유압배기포트, 제5 유압배기포트, 제6 유압배기포트, 제7 유압배기포트, 제8 유압배기포트, 제9 유압배기포트, 제10 유압배기포트, 제11 유압배기포트, 제12 유압배기포트, 제13 유압배기포트, 제14 유압배기포트, 제15 유압배기포트, 제16 유압배기포트는 각각, 유압을 갖는 유체를 유압배관쪽으로 공급시키는 배기포트로 구성된다. 그리고,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이 단동형 구조로 이루어져, 유압배기포트또한 유압배기의 하나의 기능만으로 이루어지며, 총 16개가 구성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16채널 솔레노이드밸브부(3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16채널 솔레노이드밸브부(330)는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후단 일측에 길이방향의 16채널구조로 형성되어, 초고압유압펌프모듈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16채널 유압배기포트쪽으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의 유체를 공급시키는 유로를 형성시켜, 유압으로 이루어진 유체공급의 힘을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단동스풀형 3포트 솔레노이드밸브가 16개인 16채널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초고압유압펌프모듈과 16채널 솔레노이드밸브부는 1:16 비율로 연결되어 구성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된 유압배관쪽으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공급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16채널 솔레노이드밸브부는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솔레노이드밸브(331), 제2 솔레노이드밸브(332), 제3 솔레노이드밸브(333), 제4 솔레노이드밸브(334), 제5 솔레노이드밸브(335), 제6 솔레노이드밸브(336), 제7 솔레노이드밸브(337), 제8 솔레노이드밸브(338), 제9 솔레노이드밸브(339), 제10 솔레노이드밸브(339a), 제11 솔레노이드밸브(339b), 제12 솔레노이드밸브(339c), 제13 솔레노이드밸브(339d), 제14 솔레노이드밸브(339e), 제15 솔레노이드밸브(339f), 제16 솔레노이드밸브(339g)로 총 16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솔레노이드밸브는 제1 유압배기포트와 1:1로 연결되고, 제2 솔레노이드밸브는 제2 유압배기포트와 1:1로 연결되며, 제3 솔레노이드밸브는 제3 유압배기포트와 1:1로 연결되고, 제4 솔레노이드밸브는 제4 유압배기포트와 1:1로 연결되며, 제5 솔레노이드밸브는 제5 유압배기포트와 1:1로 연결되고, 제6 솔레노이드밸브는 제6 유압배기포트와 1:1로 연결되며, 제7 솔레노이드밸브는 제7 유압배기포트와 1:1로 연결되고, 제8 솔레노이드밸브는 제8 유압배기포트와 1:1로 연결되며, 제9 솔레노이드밸브는 제9 유압배기포트와 1:1로 연결되고, 제10 솔레노이드밸브는 제10 유압배기포트와 1:1로 연결되며, 제11 솔레노이드밸브는 제11 유압배기포트와 1:1로 연결되고, 제12 솔레노이드밸브는 제12 유압배기포트와 1:1로 연결되며, 제13 솔레노이드밸브는 제13 유압배기포트와 1:1로 연결되고, 제14 솔레노이드밸브는 제14 유압배기포트와 1:1로 연결되며, 제15 솔레노이드밸브는 제15 유압배기포트와 1:1로 연결되고, 제16 솔레노이드밸브는 제16 유압배기포트와 1:1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솔레노이드밸브는 제1 유압배기포트와 1:1로 연결된다는 것은 제1 솔레노이드밸브의 공급유로에 초고압유압펌프모듈의 출력포트가 연결되고, 또 다른 제1 솔레노이드밸브의 배출유로에 16채널 유압배기포트의 제1 유압배기포트가 연결되는 것을 말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초고압유압펌프모듈(4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초고압유압펌프모듈(400)은 입력되는 에어압력을 400:1의 중압비로 최대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생성시켜,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쪽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사용목적과 형태에 따라 2000바(Bar)이외에도, 2500바(Bar), 3000바(Bar), 4000바(Bar)의 유압을 생성시킬 수 있다.
상기 유압은 최대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생성시키는 초고압유압펌프모듈에 의해 기계적 에너지를 유체의 압력 에너지로 변환시켜, 그 유체에너지에 압력, 유향, 방향의 3가지의 기본적인 제어를 실시하여,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의 구성요소 중 세라믹형 실린더 피스톤의 실린더운동으로 다시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움직임을 말한다.
이는 지속(Continuous)압력 1500바(Bar), 피크압력 2000바(Bar)로 구성되고,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을 최대 20개 설치하고,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 동시 작동을 최대 10개가 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방향제어밸브는 10개 작동시, 10개 드레인, 중립시 20개 드레인으로 구성된다.
상기 초고압유압펌프모듈(400)은 도 28 및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모듈본체(410), 유량제어밸브부(420), 체크밸브부(430), 방향제어밸브부(440), 압력제어밸브부(450), 유압펌프부(460), 펌프용 에어컴퓨레셔부(470), 오일필터부(480), 오일탱크부(490)로 구성된다.
그리고, 피스톤 돌기를 하강시키기 위해, 에어흡입의 힘을 생성시키는 에어흡입용 에어컴프레셔(490a)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에어흡입용 에어컴프레셔는 실린더 피스톤 진공흡입장치의 구조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펌프모듈본체(4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펌프모듈본체(410)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정면 일측에 유량제어밸브부가 형성되고, 그 유량제어밸브부 일측에 체크밸브부가 형성되며, 그 체크밸브부 일측에 방향제어밸브부와 압력제어밸브부가 형성되고, 내부공간 중앙부위에 유압펌프부가 형성되며, 그 유압펌프부 일측에 펌프용 에어컴퓨레셔부가 형성되고, 유압펌프부 하단면 일측에 오일탱크부가 형성되며, 그 오일탱크부와 유압펌프부 사이에 오일필터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유량제어밸브부(4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유량제어밸브부(420)는 유압펌프부 일측에 위치되어, 오일필터부를 통과한 오일의 유동량을 제어하고, 유압펌프부의 속도를 조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체크밸브부(4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체크밸브부(430)는 유량제어밸브부 일측에 위치되어, 유압을 작동시키는 작동유인 오일을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하고 반대방향으로 흐르지 못하도록 하는 밸브의 역할을 수행한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어밸브부(4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방향제어밸브부(440)는 유압장치 회로 내의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갖는 유체의 흐름 방향을 조절하여 유압펌프부의 작동방향을 변환시키는 밸브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 중 선택된 16채널 솔레노이드밸브부쪽으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갖는 유체가 흐르도록 방향제어시키도록 구성된다.
또는, 수동밸브구조로 이루어져, 수동밸브를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 중 선택된 16채널 솔레노이드밸브부쪽으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갖는 유체가 흐르도록 방향제어시키도록 구성된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압력제어밸브부(4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압력제어밸브부(450)는 유압장치 회로 내의 압력 상승을 제한하여 설정된 압력의 오일을 공급시키는 밸브의 역할을 수행한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유압펌프부(46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유압펌프부(460)는 중심축인 캠을 기준으로 방사형구조로 복수개의 피스톤이 형성되고, 그 복수개의 피스톤이 로테이팅 실린더 속을 왕복운동하면서 입력포트에서 오일을 흡입시키고, 압축해서 출력포트쪽으로 출력시켜, 최대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회전모터에 의해 중심축인 캠이 회전되고, 캠이 플런저를 회전시켜, 피스톤을 입력포트와 출력포트의 일직선상에 위치시키면, 피스톤이 로테이팅 실린더 속을 왕복운동하면서, 입력포트에서 오일을 흡입시키고, 압축해서 출력포트쪽으로 출력시킨다.
즉, 피스톤펌프구조로 형성되어, 최대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생성시키고, 가변 용량형에 적합하며, 다른 유압펌프에 비해 효율이 가장 좋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에어(Air) 1바(Bar)시 유압(Hydraulic)이 400바(Bar)로 생성되도록 구성되고, 에어 5바(Bar)시 유압(Hydraulic)이 2000바(Bar)로 생성되도록 구성된다.
일곱째, 본 발명에 따른 펌프용 에어컴퓨레셔부(47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펌프용 에어컴퓨레셔부(470)는 유압펌프부 일측에 위치되어, 유압펌프부쪽으로 에어압력을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펌프용 에어컴퓨레셔부와 유압펌프부는 입력되는 에어압력을 400:1의 중압비로 최대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생성시키도록 설정된다.
여덟째, 본 발명에 따른 오일필터부(48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오일필터부(480)는 오일탱크부에 저장시킨 오일의 오염입자를 필터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40마이크로미터 이상이고 10마이크로미터 보다 큰 오일의 오염입자를 필터링시키도록 구성된다.
아홉째, 본 발명에 따른 오일탱크부(49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오일탱크부(490)는 유압을 자동시키는 유압 작동유인 오일을 저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오일에 포함된 열을 방출하고, 오일에 포함된 공기를 분리시키며, 거품을 제거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초고압유압펌프모듈의 구성요소 중 유량제어밸브부, 체크밸브부, 방향제어밸브부, 압력제어밸브부는 최대 2000바(Bar)의 압력을 견딜 수 있고, 안전율 20%~30%로 구성되며, 에어컴퓨레셔를 통한 에어공급파이프 라인은 자체적으로 온(ON)/오프(OFF)가 되도록 구성된다.
작동시, 초고압유압펌프모듈의 구성요소 중 니들밸브 손잡이(=드레인 밸브)를 반시계방향으로 모두 푼 상태에서 에어(Air)를 공급하여, 유압펌프부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시킨다.
유압펌프부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 후, 니들밸브 손잡이를 시계방향으로 모두 잠그고, 블럭에 설치된 방향제어밸브부를 작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압력은 에어레귤레이터가 포함되어 구성된 압력제어밸브부를 통해서 조절되고, 0바(Bar)에서 시작하여 압력게이지를 보고 원하는 압력으로 천천히 상승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에어 공급 및 압력 조작은 스플리터 실린더가 파쇠 구멍에 설치된 이후에 하도록 구성된다.
즉, 스플리터 실린더가 노지에 노출된 상태에서는 절대 압력 조절을 하지 않아야 한다.
긴급상황시, 유압의 압력을 해소해야 할 경우에 블럭에 설치된 압력제어밸브부를 중립으로 위치(또는 판넬에 설치된 니들 밸브를 반시계방향으로)시킨 후, 에어라인을 오프(OFF)시키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 을 전달받아 3방향 또는 2방향으로 생성되는 3500N 의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타격체인 피스톤 돌기에 작용하는 힘은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 돌기의 윗면에 작용하는 압력 P1, 피스톤 돌기의 아래면에 작용하는 압력 P2, 그리고, 마찰력 F 및 타격체의 관성력이다.
따라서, 이때에 작용하는 운동방정식은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23072682419-pat00001
여기서, ms는 타격체 질량, A는 제1 상단 피스톤용 실린더부, 제1 좌측 피스톤용 실린더부, 제1 우측 피스톤용 실린더부, 제2 상단 피스톤용 실린더부, 제2 우측 피스톤용 실린더부, 제2 우측 피스톤용 실린더부(이하, "실린더"라고 함)의 실린더 단면적, x는 기준점에서부터 타격체 윗면까지의 거리, g는 중력가속도를 나타낸다.
상기 마찰력 F는 상승시 실린더 내벽과 마찰되는 제1a 우레탄 오링, 제2a 우레탄 오링, 제3a 우레탄 오링, 제4a 우레탄 오링, 제5a 우레탄 오링에 의한 것으로, 이는 마찰 모델인 콜롬보(Coulomb)마찰과 점성감쇄 모델의 조합된 형태로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23072682419-pat00002
여기서, μ는 마찰계수를 나타내고, Fn은 제1a 우레탄 오링, 제2a 우레탄 오링, 제3a 우레탄 오링, 제4a 우레탄 오링, 제5a 우레탄 오링에 의해 타격체 원주면에 가해지는 수직력, c는 점성감쇄계수,
Figure 112023072682419-pat00003
는 타격체 속도, sgn(
Figure 112023072682419-pat00004
)은 타격체 속도의 방향을 나타내는 함수이다.
α는 0과 1 사이의 값을 갖는 인자로서, 콜롬보(Coulomb)마찰과 점성감쇄 마찰의 기여도를 나타낸다.
즉, α가 0일 때는 완전한 콜롬보(Coulomb)마찰 모델을 나타내고, 1일 때는 완전한 점성감쇄의 마찰모델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타격체의 윗면에 작용하는 압력 P1은 타격체인 피스톤 돌기가 실린더 내벽을 타고 올라가면서 공기 구멍을 가기 이전에는 대기압과 가깝지만, 일단 공기 구멍이 닫히면, 피스톤 돌기의 하단면에 가해지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에 의해 압축되어 높은 압력을 만들게 된다.
즉, 타격체가 공기구멍을 막을 때의 압력을
Figure 112023072682419-pat00005
, 이때의 타격체의 위치를
Figure 112023072682419-pat00006
이라고 하면, 이상기체방정식에 의해서 밀폐된 공간내에 있는 공기밀도는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23072682419-pat00007
공기구멍이 막힌 이후의 공기량은 일정하므로 밀폐된 이후의 압력은 실린더 내에서의 공기압력과 체적의 관계를 나타내듯이, 폴리트로픽(Polytropic) 변화과정으로 수학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23072682419-pat00008
여기서, v1은 구멍이 막힌 이후의 공기의 비체적이고,
Figure 112023072682419-pat00009
는 공기구멍이 막히는 순간의 비체적이다.
그리고, n은 polytropic 지수로서, 공기의 비열비인 1.4로 설정된다.
따라서, 타격체의 위치로서, 수학식 4를 다시 쓰면, 타격체의 윗면에 작용하는 압력 P1은 다음의 수학식 5와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23072682419-pat00010
다음으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에 타격체인 피스톤 돌기가 타격할 때, 타격체 운동방정식에 관해 살펴본다.
즉,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에 타격체인 피스톤 돌기가 타격하기 직전에 타격체의 속도를
Figure 112023072682419-pat00011
를,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인 피타격체의 속도를
Figure 112023072682419-pat00012
라고 하고, 타격 직후의 타격체와 피타격체의 속도를 각각
Figure 112023072682419-pat00013
,
Figure 112023072682419-pat00014
라고 하면, 타격체 및 피타격체간의 타격으로 인한 속도는 다음의 수학식 6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23072682419-pat00015
Figure 112023072682419-pat00016
Figure 112023072682419-pat00017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인 피타격체에 타격 후 속도는 타격체인 피스톤 돌기에 최대 타격력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타격체와 피타격체간의 타격 시간이 t0라면, 최대 타격력은 다음의 수학식 9와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23072682419-pat00018
그리고, 일렬 돌출의 힘(N개의 타격점)을 통한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평균 타격력으로 설정하면 다음의 수학식 10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23072682419-pat00019
그리고, 일렬 돌출의 힘(N개의 타격점)을 통한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의 최대 타격력은 타격체가 비타격체를 때릴 때의 순간이다.
즉, 제1 상단 피스톤용 유로부, 제1 좌측 피스톤용 유로부, 제1 우측 피스톤용 유로부, 제2 상단 피스톤용 유로부, 제2 우측 피스톤용 유로부, 제2 우측 피스톤용 유로부의 반경이 0.3~0.5φ로 형성되고, 피스톤 돌기 직경은 9φ~11φ로 형성되어,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내부의 최고 압력이 1.8MPa이고, 타격체의 최고 속도가 10m/s일 때, 최대 타격력 3500N이 나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를 통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깨기 공법의 구체적인 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 중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를 통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3방향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깨기 공법]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 중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를 통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3방향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깨기 공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에 관한 것이다.
먼저,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의 주위를 물을 뿌려서 수분을 머금게하고, 이물질을 제거하여 주변을 깨끗하게 청소한다(S11).
여기서, 물을 뿌려서 수분을 머금게 하는 이유는 햄머드릴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을 천공시, 비산먼지의 발생율을 줄이고, 햄머드릴을 통해,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햄머드릴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에 점(Point)형상으로 복수개의 천공홈을 수평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시킨다(S12).
여기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에 천공되는 천공홈의 외경은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 및 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의 외경크기인 32~40φ보다 큰 33~42φ로 형성된다.
그 이유는 천공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의 내부공간으로,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의 구성요소 중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를 선택해서, 손쉽게 삽입 및 설치할 수 있고,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3방향으로 생성되는 3500N의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크랙(Crack)을 보다 많이 형성시키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공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의 내부공간으로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의 구성요소 중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를 삽입시킨다(S13).
다음으로, 초고압유압펌프모듈에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생성시켜,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쪽으로 전달시킨다(S14).
다음으로,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를 통해, 유압배관쪽으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공급시킨다(S15).
다음으로,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의 구성요소 중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에서, 유압배관으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3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를 깬다(S16).
이때,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3방향으로 생성되는 3500N의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콘크리트구조물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를 깬다.
즉, 피스톤 돌기의 돌출의 힘이 점접촉으로 타격력이 가해지면, 면형상의 플레이트쪽으로 전달되면서, 이때부터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변환되어,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 10% 크랙이 생기다가, 나비가 날개짓을 반복하듯이 또 다시,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N회(일예, 3회~10회) 반복하여,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 30% 크랙 -> 50% 크랙 -> 70% 크랙이 생기도록 하여, 콘크리트구조물을 깬다.
이로 인해,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를 제거시킨다.
끝으로,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깨기가 완료되면,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의 쓰리웨이 피스톤에어흡입부에, 에어 흡입의 힘을 가하여,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에 유입된 오일을 흡입하여 배출시켜, 일렬 돌출된 피스톤 돌기를 하강시킨다(S17). 피스톤 돌기를 하강시키기 위해, 에어흡입의 힘을 생성시키는 에어흡입용 에어컴프레셔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에어흡입용 에어컴프레셔는 실린더 피스톤 진공흡입장치의 구조로 구성된다.
이때, 사용목적 및 형태에 따라, 상기 단계 S14~S17를 반복하는 과정을 통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N회(일예, 3회~10회) 반복시킨다.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 중 2000바(Bar)형 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를 통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2방향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깨기 공법]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 중 2000바(Bar)형 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를 통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2방향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깨기 공법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에 관한 것이다.
먼저,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의 주위를 물을 뿌려서 수분을 머금게하고, 이물질을 제거하여 주변을 깨끗하게 청소한다(S21).
여기서, 물을 뿌려서 수분을 머금게 하는 이유는 햄머드릴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을 천공시, 비산먼지의 발생율을 줄이고, 햄머드릴을 통해,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햄머드릴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에 점(Point)형상으로 복수개의 천공홈을 수평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시킨다(S22).
여기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에 천공되는 천공홈의 외경은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 및 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의 외경크기인 32~40φ보다 큰 33~42φ로 형성된다.
그 이유는 천공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의 내부공간으로,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의 구성요소 중 2000바(Bar)형 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를 선택해서, 손쉽게 삽입 및 설치할 수 있고,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2방향으로 생성되는 3500N의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크랙(Crack)을 보다 많이 형성시키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공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의 내부공간으로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의 구성요소 중 2000바(Bar)형 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를 삽입시킨다(S23).
다음으로, 초고압유압펌프모듈에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생성시켜,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쪽으로 전달시킨다(S24).
다음으로,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를 통해, 유압배관쪽으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공급시킨다(S25).
다음으로,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의 구성요소 중 2000바(Bar)형 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에서, 유압배관으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2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를 깬다(S26).
이때,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2방향으로 생성되는 3500N의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콘크리트구조물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를 깬다.
즉, 피스톤 돌기의 돌출의 힘이 점접촉으로 타격력이 가해지면, 면형상의 플레이트쪽으로 전달되면서, 이때부터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변환되어,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 10% 크랙이 생기다가, 나비가 날개짓을 반복하듯이 또 다시,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N회(일예, 3회~10회) 반복하여,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 30% 크랙 -> 50% 크랙 -> 70% 크랙이 생기도록 하여,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를 깬다.
이로 인해,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를 제거시킨다.
끝으로,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깨기가 완료되면, 2000바(Bar)형 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의 투웨이 피스톤에어흡입부에, 에어 흡입의 힘을 가하여, 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에 유입된 오일을 흡입하여 배출시켜, 일렬 돌출된 피스톤 돌기를 하강시킨다(S27). 피스톤 돌기를 하강시키기 위해, 에어흡입의 힘을 생성시키는 에어흡입용 에어컴프레셔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에어흡입용 에어컴프레셔는 실린더 피스톤 진공흡입장치의 구조로 구성된다.
이때, 사용목적 및 형태에 따라, 상기 단계 S24~S27를 반복하는 과정을 통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N회(일예, 3회~10회) 반복시킨다.
1 :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
100 :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
110 :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
111 : 제1 도깨비 방망이몸체
112 :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
113 :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
114 : 쓰리웨이 피스톤에어흡입부
115 : 쓰리웨이 유압공급부
120 : 2000바(Bar)형 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
121 : 제2 도깨비 방망이몸체
122 : 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
123 : 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
124 : 투웨이 피스톤에어흡입부
125 : 투웨이 유압공급부
200 : 유압배관
300 :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
310 : 유압분배본체,
320 : 16채널 유압배기포트
330 : 16채널 솔레노이드밸브부
400 : 초고압유압펌프모듈
410 : 펌프모듈본체
420 : 유량제어밸브부
430 : 체크밸브부
440 : 방향제어밸브부
450 : 압력제어밸브부
460 : 유압펌프부
470 : 펌프용 에어컴퓨레셔부
480 : 오일필터부
490 : 오일탱크부

Claims (18)

  1.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쓰리웨이(3방향), 또는 투웨이(2방향)으로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생성시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를 깨도록 하는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는
    표면상에 복수개의 피스톤 돌기가 돌출되는 도깨비 방망이형상으로 형성되고,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유압배관으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3방향, 또는 2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켜 콘크리트를 깨는 역할을 하는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100)과,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과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 사이에 위치되어,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쪽으로 전달시키는 유압배관(200)과,
    박스형상의 구조로 형성되어, 유압배관과 연결되면서, 제어신호에 따라 유압배관쪽으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공급시키거나, 유압을 배출시키는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300)와,
    입력되는 에어압력을 400:1의 중압비로 최대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생성시켜,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쪽으로 전달시키는 초고압유압펌프모듈(400)로 구성되고;,
    상기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100)은
    유압배관으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서 상단, 좌측, 우측의 3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키는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110)와,
    유압배관으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서 상단, 좌측의 2방향 또는 상단, 우측의 2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키는 2000바(Bar)형 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12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되며;,
    상기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110)는
    표면상에 복수개의 피스톤 돌기가 돌출되는 도깨비 방망이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제1 도깨비 방망이몸체(111)와,
    제1 도깨비 방망이몸체의 전단 일측에 위치되고, 쓰리웨이 유압공급부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쪽으로, 상단, 좌측, 우측의 3방향으로 생성되는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키는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112)와,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를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상단표면, 좌측표면, 우측표면을 따라 덮개구조의 플레이트가 형성되어,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에서 생성시킨 상단, 좌측, 우측의 3방향으로 생성되는 피스톤 돌기의 돌출의 힘을,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서 상단, 좌측, 우측의 3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변환 형성시키는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113)와,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의 후단 일측에 위치되어, 에어 흡입의 힘으로,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에 유입된 오일을 흡입하여 배출시켜, 일렬 돌출된 피스톤 돌기를 하강시키는 쓰리웨이 피스톤에어흡입부(114)와,
    쓰리웨이 피스톤에어흡입부의 후단 일측에 위치되고, 유압배관과 연결되어, 유압배관으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쪽으로 전달시키는 쓰리웨이 유압공급부(115)로 구성되는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112)는
    길이방향의 봉형구조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제1 헤드봉본체(112a)와,
    제1 헤드봉본체를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시계방향에서 0도 기준선상에 위치하여,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상단방향에 위치한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쪽으로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키는 제1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112b)와,
    제1 헤드봉본체를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시계방향에서 240도 기준선상에 위치하여,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좌측방향에 위치한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쪽으로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키는 제1 좌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112c)와,
    제1 헤드봉본체를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시계방향에서 120도 기준선상에 위치하여,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우측방향에 위치한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쪽으로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키는 제1 우측 피스톤 돌출 형성부(112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112b)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쪽으로 공급시키거나, 또는 에어의 힘으로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유로를 형성시키는 제1 상단 피스톤용 유로부(112b-1)와,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을 밀폐시킬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으로 유입되는 오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112b-2)와,
    나사형 캡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에 꽉 끼워지면서 결합되어, 누유가 발생되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제1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112b-3)와,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가 상승과 하강의 왕복운동을 하도록 안내시키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제1 상단 피스톤용 실린더부(112b-4)와,
    제1 상단 피스톤용 실린더부의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하(下)면 부위에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상단방향에 위치한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쪽으로 일렬 돌출의 상승의 힘을 생성시키고, 에어 흡입의 힘을 전달받아 하강의 힘을 생성시키는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112b-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단 피스톤 돌기부(112b-5)는
    제1a 상단 피스톤 돌기(112b-5a), 제1b 상단 피스톤 돌기(112b-5b), 제1c 상단 피스톤 돌기(112b-5c), 제1d 상단 피스톤 돌기(112b-5d), 제1e 상단 피스톤 돌기(112b-5e)의 5개(=5채널)로 구성되고,
    상기 제1a 상단 피스톤 돌기(112b-5a)는
    제1a 유압전달형 하단받침띠(112b-50a)와 제1a 상단라운드띠(112b-50b)로 이루어진 이중띠형상의 제1a 피스톤 돌기몸체(112b-50c)로 이루어지고, 제1a 상단라운드띠의 상단 일측에 제1a 피스톤 돌기((112b-50d)가 형성되고, 제1a 피스톤 돌기에 제1a 탄성스프링((112b-50e)이 삽입 형성되며, 이중띠 부위에 제1a 우레탄 오링((112b-50f)이 형성되며, 제1a 피스톤 돌기몸체의 표면전체가 세라믹 코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좌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112c)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1 좌측 피스톤 돌기부쪽으로 공급시키거나, 또는 에어의 힘으로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유로를 형성시키는 제1 좌측 피스톤용 유로부(112c-1)와,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을 밀폐시킬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으로 유입되는 오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112c-2)와,
    나사형 캡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에 꽉 끼워지면서 결합되어, 누유가 발생되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제1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부(112c-3)와,
    제1 좌측 피스톤 돌기부가 상승과 하강의 왕복운동을 하도록 안내시키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제1 좌측 피스톤용 실린더부(112c-4)와,
    제1 좌측 피스톤용 실린더부의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하(下)면 부위에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좌측방향에 위치한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쪽으로 일렬 돌출의 상승의 힘을 생성시키고, 에어 흡입의 힘을 전달받아 하강의 힘을 생성시키는 제1 좌측 피스톤 돌기부(112c-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우측 피스톤 돌출 형성부(112d)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1 우측 피스톤 돌기부쪽으로 공급시키거나, 또는 에어의 힘으로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유로를 형성시키는 제1 우측 피스톤용 유로부(112d-1)와,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을 밀폐시킬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으로 유입되는 오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112d-2)와,
    나사형 캡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에 꽉 끼워지면서 결합되어, 누유가 발생되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제1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112d-3)와,
    제1 우측 피스톤 돌기부가 상승과 하강의 왕복운동을 하도록 안내시키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제1 우측 피스톤용 실린더부(112d-4)와,
    제1 우측 피스톤용 실린더부의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하(下)면 부위에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우측방향에 위치한 쓰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쪽으로 일렬 돌출의 상승의 힘을 생성시키고, 에어 흡입의 힘을 전달받아 하강의 힘을 생성시키는 제1 우측 피스톤 돌기부(112d-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000바(Bar)형 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120)는
    표면상에 복수개의 피스톤 돌기가 돌출되는 도깨비 방망이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제2 도깨비 방망이몸체(121)와,
    제2 도깨비 방망이몸체의 전단 일측에 위치되고, 투웨이 유압공급부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쪽으로, 상단, 좌측의 2방향 또는 상단, 우측의 2방향으로 생성되는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키는 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122)와,
    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를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상단표면, 좌측표면 또는 상단표면, 우측표면을 따라 덮개구조의 플레이트가 형성되어, 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에서 생성시킨 상단, 좌측의 2방향 또는 상단, 우측의 2방향으로 생성되는 피스톤 돌기의 돌출의 힘을,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서 상단, 좌측의 2방향 또는 상단, 우측의 2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변환 형성시키는 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123)와,
    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의 후단 일측에 위치되어, 에어 흡입의 힘으로, 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에 유입된 오일을 흡입하여 배출시켜, 일렬 돌출된 피스톤 돌기를 하강시키는 투웨이 피스톤에어흡입부(124)와,
    투웨이 피스톤에어흡입부의 후단 일측에 위치되고, 유압배관과 연결되어, 유압배관으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쪽으로 전달시키는 투웨이 유압공급부(125)로 구성되되;
    상기 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122)는
    길이방향의 봉형구조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제2 헤드봉본체(122a)와,
    제2 헤드봉본체를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시계방향에서 0도 기준선상에 위치하여,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상단방향에 위치한 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쪽으로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키는 제2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122b)와,
    제2 헤드봉본체를 좌측 정면도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시계방향에서 270도 기준선상에 위치하여,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좌측방향에 위치한 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쪽으로 일렬 돌출의 힘을 생성시키는 제2 우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122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단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122b)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2 상단 피스톤 돌기부쪽으로 공급시키거나, 또는 에어의 힘으로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유로를 형성시키는 제2 상단 피스톤용 유로부(122b-1)와,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을 밀폐시킬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으로 유입되는 오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제2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122b-2)와,
    나사형 캡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에 꽉 끼워지면서 결합되어, 누유가 발생되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제2 상단 피스톤용 밀폐캡부(122b-3)와,
    제2 상단 피스톤 돌기부가 상승과 하강의 왕복운동을 하도록 안내시키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제2 상단 피스톤용 실린더부(122b-4)와,
    제2 상단 피스톤용 실린더부의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하(下)면 부위에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상단방향에 위치한 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쪽으로 일렬 돌출의 상승의 힘을 생성시키고, 에어 흡입의 힘을 전달받아 하강의 힘을 생성시키는 제2 상단 피스톤 돌기부(122b-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제2 우측 피스톤 일렬 돌출 형성부(122c)는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제2 우측 피스톤 돌기부쪽으로 공급시키거나, 또는 에어의 힘으로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유로를 형성시키는 제2 우측 피스톤용 유로부(122c-1)와,
    좌측 피스톤용 밀폐캡을 밀폐시킬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으로 유입되는 오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제2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122c-2)와,
    나사형 캡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 삽입하(下)면부에 꽉 끼워지면서 결합되어, 누유가 발생되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제2 우측 피스톤용 밀폐캡부(122c-3)와,
    제2 우측 피스톤 돌기부가 상승과 하강의 왕복운동을 하도록 안내시키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제2 우측 피스톤용 실린더부(122c-4)와,
    제2 우측 피스톤용 실린더부의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하(下)면 부위에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좌측방향에 위치한 투웨이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형성플레이트부쪽으로 일렬 돌출의 상승의 힘을 생성시키고, 에어 흡입의 힘을 전달받아 하강의 힘을 생성시키는 제2 우측 피스톤 돌기부(122c-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
  14. 삭제
  15.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의 주위를 물을 뿌려서 수분을 머금게하고, 이물질을 제거하여 주변을 깨끗하게 청소하는 단계(S11)와,
    햄머드릴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에 점(Point)형상으로 복수개의 천공홈을 수평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시키는 단계(S12)와,
    천공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의 내부공간으로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의 구성요소 중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를 삽입시키는 단계(S13)와,
    초고압유압펌프모듈에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생성시켜,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쪽으로 전달시키는 단계(S14)와,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를 통해, 유압배관쪽으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공급시키는 단계(S15)와,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의 구성요소 중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에서, 유압배관으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3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를 깨는 단계(S16)와,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깨기가 완료되면, 2000바(Bar)형 쓰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의 쓰리웨이 피스톤에어흡입부에, 에어 흡입의 힘을 가하여, 쓰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에 유입된 오일을 흡입하여 배출시켜, 일렬 돌출된 피스톤 돌기를 하강시키는 단계(S17)로 이루어지는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를 통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깨기 공법에 있어서,
    상기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를 깨는 단계(S16)는
    피스톤 돌기의 돌출의 힘이 점접촉으로 타격력이 가해지면, 면형상의 플레이트쪽으로 전달되면서, 이때부터 3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변환되어,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 10% 크랙이 생기다가, 나비가 날개짓을 반복하듯이 또 다시, 3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10회 반복하여,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 30% 크랙 -> 50% 크랙 -> 70% 크랙이 생기도록 하여, 콘크리트구조물 중 콘크리트를 깨어서 제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를 통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깨기 공법.
  16. 삭제
  17.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의 주위를 물을 뿌려서 수분을 머금게하고, 이물질을 제거하여 주변을 깨끗하게 청소하는 단계(S21)와,
    햄머드릴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에 점(Point)형상으로 복수개의 천공홈을 수평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시키는 단계(S22)와,
    천공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의 내부공간으로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의 구성요소 중 2000바(Bar)형 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를 삽입시키는 단계(S23)와,
    초고압유압펌프모듈에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생성시켜,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쪽으로 전달시키는 단계(S24)와,
    다채널 초고압유압분배기를 통해, 유압배관쪽으로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공급시키는 단계(S25)와,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모듈의 구성요소 중 2000바(Bar)형 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에서, 유압배관으로부터 2000바(Bar)의 초고압 유압을 전달받아 2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를 깨는 단계(S26)와,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깨기가 완료되면, 2000바(Bar)형 투웨이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부의 투웨이 피스톤에어흡입부에, 에어 흡입의 힘을 가하여, 투웨이 피스톤 돌출형 헤드봉부에 유입된 오일을 흡입하여 배출시켜, 일렬 돌출된 피스톤 돌기를 하강시키는 단계(S27)로 이루어지는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를 통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깨기 공법에 있어서,
    상기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통해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표면 및 내부공간에 크랙(Crack)을 형성시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를 깨는 단계(S26)는
    피스톤 돌기의 돌출의 힘이 점접촉으로 타격력이 가해지면, 면형상의 플레이트쪽으로 전달되면서, 이때부터 2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으로 변환되어,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 10% 크랙이 생기다가, 나비가 날개짓을 반복하듯이 또 다시, 2방향으로 생성되는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을 10회 반복하여, 천공된 콘크리트구조물 내부공간에 30% 크랙 -> 50% 크랙 -> 70% 크랙이 생기도록 하여, 콘크리트구조물 중 콘크리트를 깨어서 제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를 통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깨기 공법.
  18. 삭제
KR1020230085479A 2023-07-03 2023-07-03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 및 이를통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깨기 공법 KR102621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5479A KR102621502B1 (ko) 2023-07-03 2023-07-03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 및 이를통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깨기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5479A KR102621502B1 (ko) 2023-07-03 2023-07-03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 및 이를통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깨기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1502B1 true KR102621502B1 (ko) 2024-01-04

Family

ID=89542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5479A KR102621502B1 (ko) 2023-07-03 2023-07-03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 및 이를통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깨기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502B1 (ko)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020Y1 (ko) * 1999-03-23 2001-09-13 권대륙 유압식 암반 파쇄기
KR20050030236A (ko) * 2004-10-11 2005-03-29 한윤규 틸트형 공/유압브레이커
KR20050097239A (ko) * 2004-04-01 2005-10-07 유병중 유압식 암반 파쇄기
KR20060072911A (ko) * 2004-12-24 2006-06-28 주식회사 일해토건 암반에 크랙을 형성하는 치즐 및 이를 구비하는 암반 크랙형성 조립체
KR100753139B1 (ko) * 2006-06-22 2007-09-03 김형구 암 파쇄기
KR100942729B1 (ko) * 2009-07-09 2010-02-16 주식회사 이디마이트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파쇄방법
KR101520895B1 (ko) 2013-12-23 2015-05-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고압 튜브형 부재를 이용한 플랫 잭 장치
KR101572019B1 (ko) * 2015-07-30 2015-11-25 케이알엠건설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 저면 보수용 파쇄장치 및 그 공법
KR101929477B1 (ko) * 2018-05-15 2018-12-17 김성진 유압 파쇄기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파쇄 방법
KR102094416B1 (ko) * 2019-03-29 2020-03-27 이동균 도로 원형 파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수 시공 방법
KR20200049173A (ko) * 2018-10-31 2020-05-08 최찬희 수압을 이용한 무진동 무소음 암반파쇄기
JP7028772B2 (ja) * 2016-06-28 2022-03-02 古河ロックドリル株式会社 2ピストン型油圧打撃装置
JP2023066748A (ja) * 2021-10-29 2023-05-16 株式会社神島組 割岩工具、破砕装置および破砕方法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020Y1 (ko) * 1999-03-23 2001-09-13 권대륙 유압식 암반 파쇄기
KR20050097239A (ko) * 2004-04-01 2005-10-07 유병중 유압식 암반 파쇄기
KR20050030236A (ko) * 2004-10-11 2005-03-29 한윤규 틸트형 공/유압브레이커
KR20060072911A (ko) * 2004-12-24 2006-06-28 주식회사 일해토건 암반에 크랙을 형성하는 치즐 및 이를 구비하는 암반 크랙형성 조립체
KR100753139B1 (ko) * 2006-06-22 2007-09-03 김형구 암 파쇄기
KR100942729B1 (ko) * 2009-07-09 2010-02-16 주식회사 이디마이트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파쇄방법
KR101520895B1 (ko) 2013-12-23 2015-05-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고압 튜브형 부재를 이용한 플랫 잭 장치
KR101572019B1 (ko) * 2015-07-30 2015-11-25 케이알엠건설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 저면 보수용 파쇄장치 및 그 공법
JP7028772B2 (ja) * 2016-06-28 2022-03-02 古河ロックドリル株式会社 2ピストン型油圧打撃装置
KR101929477B1 (ko) * 2018-05-15 2018-12-17 김성진 유압 파쇄기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파쇄 방법
KR20200049173A (ko) * 2018-10-31 2020-05-08 최찬희 수압을 이용한 무진동 무소음 암반파쇄기
KR102094416B1 (ko) * 2019-03-29 2020-03-27 이동균 도로 원형 파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수 시공 방법
JP2023066748A (ja) * 2021-10-29 2023-05-16 株式会社神島組 割岩工具、破砕装置および破砕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52297A2 (en) Hydraulic percussion hammer
CN103079769B (zh) 使用在用于处理岩石和混凝土的设备中的液压冲击机构
EP0692061B1 (en) Percussion drilling improvements
WO1996032228A1 (fr) Dispositif pour produire des vibrations
US4569412A (en) Seismic source
JP2919610B2 (ja) 液圧駆動反復衝撃ハンマ
EP1651390B1 (en) Method of generating stress pulse in tool by means of pressure fluid operated impact device, and impact device
EP1651391B1 (en) Impact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stress pulse therein
US5979291A (en) Hydraulically operated percussion hammer
KR102621502B1 (ko)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 및 이를통한 교량받침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깨기 공법
CN103372851B (zh) 手持式工具机及其控制方法
JP2014513221A (ja) 岩盤及びコンクリートの機械掘り用装置及び方法
KR102621509B1 (ko) 2000바(Bar)형 도깨비 방망이 크랙 형성장치 및 이를통한 강가·하천·교각 물속 콘크리트구조물용 콘크리트 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깨기 공법
US4052850A (en) Thrust generator
EP0085279B1 (en) Directional control valve to obtain in a hydraulic appliance the alternative motion of a piston operating to charge and fire a tool, specially suitable for hydraulic hammers
AU676077C (en) Impact hammer
WO2011123918A1 (ru) Способ бестраншейной прокладки коммуникаций в грунте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KR102621506B1 (ko) 블라인드막·나비효과형 면접촉 타격력 콘크리트깨기·비산먼지에어흡입으로이루어진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장치 및 이를 통한 bcd형 교량받침용 콘크리트 구조물 제거공법
JP3538426B2 (ja) 直線運動を行う圧力媒体駆動装置
CN1032851A (zh) 气动弹
US3999384A (en) Thrust generator
CN114293915B (zh) 一种快速钻进硬岩的装置及方法
JP2930888B2 (ja) 起動手段付きハンマー装置
RU6579U1 (ru) Гидромолот
RU211425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бивания в грунт длинномерных элемен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