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079B1 -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 - Google Patents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079B1
KR102621079B1 KR1020160134571A KR20160134571A KR102621079B1 KR 102621079 B1 KR102621079 B1 KR 102621079B1 KR 1020160134571 A KR1020160134571 A KR 1020160134571A KR 20160134571 A KR20160134571 A KR 20160134571A KR 102621079 B1 KR102621079 B1 KR 102621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frared
guide
detection uni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2025A (ko
Inventor
백성호
김대경
박필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4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079B1/ko
Priority to PCT/KR2017/009711 priority patent/WO2018074733A1/ko
Priority to CN201790001336.7U priority patent/CN210390939U/zh
Publication of KR20180042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0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2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 lighting, e.g. switching by tilting the l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1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Abstract

본 발명은,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10)로서, 차량에 장착되는 램프 하우징(11)과, 상기 램프 하우징(11)에 탑재되는 탑승자의 근접 동작을 감지하는 제스처 감지부(120)를 포함하는 감지부(100)와, 상기 감지부(100)에 감지 제어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감지 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20)와, 상기 제어부(20)의 출력 제어 신호에 따라 빛의 출력를 실행하는 램프 출력부(50)를 포함하고, 상기 제스처 감지부(120)는: 상기 램프 하우징(11)에 배치되는 제스처 감지부 하우징(13)과, 상기 제스처 감지부 하우징(13)의 개방된 제스처 감지부 하우징 개방부(15)를 통하여 빛을 출사하여 탑승자의 근접 동작을 감지하도록 적외선을 송신하는 적외선 송신부(121)와, 탑승자의 근접 동작에 의하여 반사되는 적외선을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부(123)와, 상기 적외선 송신부(121) 및 상기 적외선 수신부(123)에 송출 및 전달되는 적외선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스처 감지부 하우징 개방부(15)와 상기 적외선 송신부(121) 및 상기 적외선 수신부(123)의 사이에 개재되는 적외선 라이트 가이드(130,140)을 구비하고, 상기 적외선 라이트 가이드(130,140)는 비직육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10)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NON CONTACT TYPE AUTOMOTIVE ROOM LAMP MODULE}
본 발명은 차량용 룸램프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간단한 비접촉식 근접 동작으로 조작할 수 있는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자동차 등의 차량은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승차 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장치와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가 구비된다.
그런데 차량에 다양한 편의 장치를 부착하는 것은 운전자의 주의력을 분산시키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이러한 이유로 각종 편의 장치의 구조 단순화 및 컨버전스를 통하여 여러 편의 장치를 단일의 장치로 축약시키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편의 장치의 하나인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단순하게 차량 내부에 조명을 제공해 주는 형태에서 운전자와 동승자에게 편안하고 안락한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진보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차량의 실내 루프의 중앙이나 운전석과 보조석 사이에 매립 설치되어 차량 실내를 조명하게 된다. 차량용 룸램프 모듈은 하우징과, 하우징 속에 설치되는 램프와, 램프를 덮는 조명 렌즈와,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스위치를 포함한다. 작동 스위치로는 일정 길이 연장 돌출된 레버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작동시켜 단자의 전기 접점을 접촉 및 단락시켜 전원을 ON/OFF 하는 토글식 스위치와, 탄성 지지되는 버튼을 눌러 전기 접점을 개폐하여 전원을 ON/OFF 시키는 누름버튼식 스위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운전자가 차량 주행 중 작동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경우, 운전 주의력이 분산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특히, 야간 주행시에는 운전자가 작동 스위치를 손으로 더듬어 찾아서 조작해야 하므로 사고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또한 종래의 작동 스위치는 주로 하우징의 일측에 조명 렌즈와 인접하여 설치되므로, 작동 스위치의 설치 공간 확보를 위해서는 룸램프 모듈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조명 렌즈의 크기를 작게 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종래의 작동 스위치는 룸램프 모듈의 디자인을 제한하는 주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차량용 룸램프 모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조작이 쉬운 터치 방식의 스위치를 적용한 차량용 룸램프 모듈이 개발된 바 있다.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은 사용자가 누르거나 회전시키는 등의 조작을 하지 않고 단순히 손가락으로 터치부를 터치하여 조작할 수 있어 편리하다.
하지만, 이러한 터치식 룸램프의 경우 터치과정 상에서 직접적 접촉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탑승자, 특히 운전자가 팔을 뻗어 직접 접촉을 하기 위하여 반복적 동작을 하거나 전방 주의력이 분산되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것과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직접적 터치 과정을 이루지 않더라도 근접 동작을 통하여 차량 실내 램프의 동작 구현을 이루도록 하고 비직육면체 형상의 적외선 라이트 가이드를 통하여 동작 인식률을 극대화시킨 구조의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10)로서, 차량에 장착되는 램프 하우징(11)과, 상기 램프 하우징(11)에 탑재되는 탑승자의 근접 동작을 감지하는 제스처 감지부(120)를 포함하는 감지부(100)와, 상기 감지부(100)에 감지 제어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감지 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20)와, 상기 제어부(20)의 출력 제어 신호에 따라 빛의 출력를 실행하는 램프 출력부(50)를 포함하고, 상기 제스처 감지부(120)는: 상기 램프 하우징(11)에 배치되는 제스처 감지부 하우징(13)과, 상기 제스처 감지부 하우징(13)의 개방된 제스처 감지부 하우징 개방부(15)를 통하여 빛을 출사하여 탑승자의 근접 동작을 감지하도록 적외선을 송신하는 적외선 송신부(121)와, 탑승자의 근접 동작에 의하여 반사되는 적외선을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부(123)와, 상기 적외선 송신부(121) 및 상기 적외선 수신부(123)에 송출 및 전달되는 적외선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스처 감지부 하우징 개방부(15)와 상기 적외선 송신부(121) 및 상기 적외선 수신부(123)의 사이에 개재되는 적외선 라이트 가이드(130,140)을 구비하고, 상기 적외선 라이트 가이드(130,140)는 비직육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10)를 제공한다.
상기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100)는 차량 좌석의 착석 여부를 확인하는 웨이트 센서(11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송신부(121)는 상기 적외선 수신부(123)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감지부 하우징(13)는 상기 적외선 송신부(121)와 상기 적외선 수신부(123) 사이에 배치되는 제스처 감지부 하우징 격벽(17)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라이트 가이드(130,140)는: 상기 적외선 송신부(121)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적외선 라이트 송신 가이드(130)와, 상기 적외선 수신부(123)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적외선 라이트 수신 가이드(14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라이트 송신 가이드(130)는: 상기 적외선 송신부(121)와 마주하는 송신 가이드 진입부(133)와, 상기 적외선 송신부(121)의 반대편을 향하는 송신 가이드 진출부(131)와, 상기 송신 가이드 진입부(133) 측의 외측에 형성되는 송신 가이드 경사부(13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송신 가이드 진입부(133)는 상기 송신 가이드 진출부(131)보다 작은 면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라이트 수신 가이드(140)는: 상기 적외선 수신부(123)의 반대편을 향하는 수신 가이드 진입부(141)와, 상기 적외선 수신부(123)와 마주하는 송신 가이드 진출부(143)와, 상기 수신 가이드 진출부(143) 측의 외측에 형성되는 수신 가이드 경사부(14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수신 가이드 진출부(143)는 상기 수신 가이드 진입부(141)보다 작은 면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송신 가이드 경사부(135)가 상기 적외선 송신부(121)가 배치되는 평면에 대하여 이루는 송신 가이드 경사부 경사각(α)은, 상기 수신 가이드 경사부(145)가 상기 적외선 수신부(123)가 배치되는 평면에 대하여 이루는 수신 가이드 경사부 경사각(β)보다 클 수도 있다.
상기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두 개의 적외선 송신부(121)에 교번적으로 감지 송신 제어 신호를 인가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갖는다.
첫번째, 본 발명의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는 비직육면체 형상의 적외선 라이트 가이드를 통하여 근접 동작의 인식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두번째, 본 발명의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는 적외선 라이트 가이드의 적외선 라이트 수신 가이드 및 적외선 라이트 송신 가이드의 소정의 특정 형상 각도관계 구조를 이루도록 하여 동작 인식율을 최적화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의 개략적인 블록 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의 제스처 감지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의 제스처 감지부의 적외선 라이트 가이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의 제스처 감지부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의 제스처 감지부의 개략적인 구성 측면 전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의 제스처 감지부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10)는 차량 실내등 장치로서 차량의 실내, 특히 차량의 실내 천장 내지 전방 좌석 중앙 측의 등에 배치되어 운전자의 근접 동작을 감지하여 온/오프 동작 제어를 이루는 램프 장치이다.
본 발명의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10)는 램프 하우징(11)과, 감지부(100)와, 제어부(20)와, 램프 출력부(50)를 포함한다.
램프 하우징(11)은 차량에 장착되는데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램프 하우징(11)은 차량의 천장 중앙 내지 전방 좌석 중앙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램프 하우징(11)에는 하기되는 구성요소들에 의하여 출력 제어되는 램램프 출력부(50)가 배치된다.
램프 하우징(11)의 중앙에는 하기되는 감지부(100)의 제스처 감지부(120)가 배치된다.
감지부(100)는 램프 하우징(11)에 탑재되는 탑승자의 근접 동작을 감지하는 제스처 감지부(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지부(100)는 웨이트 감지부(110)를 포함하는데, 웨이트 감지부(110)는 차량의 좌석에 배치되어 탑승자의 자중에 의한 가압 상태를 감지하여 탑승자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탑승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램프 하우징(11)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미도시)에 배치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램프 하우징(11)의 외부에 별도 장치로 연결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제어부(20)는 감지부(100)에 감지 제어 신호를 인가하고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저장부(30)에 저장하고, 저장부(30)에 저장된 사전 설정 데이터와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탑승자의 근접 동작을 판단하여 소정의 출력 제어 신호를 램램프 출력부(50)로 인가할 수 있다.
저장부(30)에 저장되는 사전 설정 데이터는 하기되는 제스처 감지부(120)의 적외선 수신부(123)에서 감지되는 전기적 신호를 반사 광량의 크기 데이터로 전환하기 위한 기준값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사전 설정 데이터와 제스처 감지부(120)에서 감지되는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비접촉 차량용 실내 램프 유니트(10)에 대한 근접 동작,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탑승자의 손이 비접촉 차량용 실내 램프 유니트(10)로부터 멀어지는지 아니면 가까워지는지 등의 동작 유형을 감지 판단할 수도 있도록 한다.
또한 저장부(30)에는 제스처 감지부(120) 등에서 감지되는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저장하여 현재 탑승자의 동작 유형을 판단하도록 하는데, 예를 들어 이전 단계에서 제스처 감지부(120)에서 감지된 감지 신호가 도 7의 (a)에서와 같이 좌측에 있었고, 현 단계에서의 감지 신호가 도 7의 (b)에서와 같이 우측 영역에 존재하는 값으로 순차적 변화를 이루어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의 스와이핑 동작이라는 것을 판단하기 위한 저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0)에는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은 스와이핑 내지 수직 근접 동작 등의 동작 유형에 대응하는 하기되는 램프 출력부(50)의 동작 모드, 예를 들어 스와이핑 동작 인식시 램프 출력부(50)는 스와이핑 동작의 회수에 따른 온/오프 출력 모드를 구현하도록 할 수 있고, 수직 근접 동작 인식시 램프 출력부(50)는 근접도에 따른 광량을 조절하는 디밍 출력 모드를 구현하도록 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램프 출력부(50)의 다양한 출력 동작 구현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연산부(40)는 제어부(20)의 연산 제어 신호에 따라 연산 실행하여 사전 설정 데이터와 감지 신호를 이용한 소정의 연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램프 출력부(50)는 제어부(20)의 출력 제어 신호에 따라 빛의 출력을 실행하거나 출력을 차단하여 소정의 조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감지부(100)의 제스처 감지부(120)는 제스처 감지부 하우징(13)과, 적외선 송신부(121)와, 적외선 수신부(123)와, 적외선 라이트 가이드(130,140)를 구비한다.
제스처 감지부 하우징(13)는 램프 하우징(11)에 배치되고 내부 공간을 구비하여 다른 구성요소의 수용을 가능하게 한다. 제스처 감지부 하우징(13)의 일단은 개방된 제스처 감지부 하우징 개방부(15)를 구비한다. 제스처 감지부 하우징 개방부(15)가 탑승자 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제스처 감지부 하우징 개방부(15)를 통하여 하기되는 적외선 신호가 송출 및 수신될 수 있다. 제스처 감지부 하우징(13)은 개별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램프 하우징(11)에 장착 공간으로 일체 형성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제스처 감지부 하우징 개방부(15)에는 이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개방부 커버(19)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스처 감지부(120)는 적외선 센서로 구현된다. 제스처 감지부(120)의 적외선 송신부(121)는 제스처 감지부 하우징(13)의 개방된 제스처 감지부 하우징 개방부(15)를 통하여 빛을 출사하여 탑승자의 근접 동작을 감지하도록 적외선을 송신한다. 적외선 송신부(121)는 기판(미도시)에 배치될 수도 있고, 배선 라인이 인서트 사출 형성되는 경우 제스처 감지부 하우징(13) 내지 램프 하우징(11)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적외선 수신부(123)는 탑승자의 근접 동작에 의하여 반사되는 적외선을 수신한다. 적외선 수신부(123)는 적외선 송신부(121)에서 송신된 적외선 신호가 탑승자의 근접 동작에 의하여 반사된 후 적외선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부(121)는 적외선 수신부(123)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이격 배치된다. 즉,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부(121)는 하나의 제스처 감지부 하우징(13)에 두 개가 구비되는 구성을 취하는데, 복수 개의 구성을 취하는 범위에서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적외선 송신부(121)는 적외선 수신부(123)를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어부(20)는 적외선 송신부(121)에 감지 송출 제어 신호를 인가하되, 제어부(20)는 두 개의 적외선 송신부(121)에 교번적으로 감지 송신 제어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도 7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스와이핑 동작의 운행 방향을 감지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잇다.
또한 적외선 수신부(123)는 탑승자의 손동작 등의 근접 동작에 의하여 반사되는 반사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이전 단계에서 제스처 감지부(120)에서 감지된 감지 신호가 도 7의 (a)에서와 같이 좌측에 있었고, 현 단계에서의 감지 신호가 도 7의 (b)에서와 같이 우측 영역에 존재하는 값으로 순차적 변화를 이루어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의 스와이핑 동작이라는 것을 판단하도록 하는 반사 적외선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기도 하고, 도 8에서와 같은 반사 적외선의 반사 광량에 따른 적외선 감지 신호의 반사 광량을 감지하여 램프 출력부(50)로 하여금 제어부(20)의 출력 제어 신호에 따라 근접도에 따른 광량을 조절하는 디밍 출력 모드 구현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스처 감지부 하우징(13)는 제스처 감지부 하우징 격벽(17)을 더 구비하는데, 제스처 감지부 하우징 격벽(17)는 적외선 송신부(121)와 적외선 수신부(123) 사이에 배치된다. 제스처 감지부 하우징 격벽(17)은 제스처 감지부 하우징(13)의 내부에 배치되어 적외선 송신부(121) 및 적외선 수신부(123) 간의 신호 간섭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보다 정확한 송수신을 이루어 탑승자의 근접 동작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10)는 적외선 라이트 가이드(130,140)를 포함한다. 적외선 라이트 가이드(130,140)는 적외선 송신부(121) 및 적외선 수신부(123)에 송출 및 전달되는 적외선을 안내하도록 제스처 감지부 하우징 개방부(15)와 적외선 송신부(121) 및 적외선 수신부(123)의 사이에 개재된다. 적외선 라이트 가이드(130,140)는 적외선 송신부(121)로부터 출력되는 적외선을 외부로 전달하고, 외부에서 반사된 적외선을 입력받아 적외선 수신부(123)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적외선 라이트 가이드(130,140)는 종래의 직육면체 구조와는 다른 비직육면체 구조를 이룬다.
적외선 라이트 가이드(130,140)는 적외선 라이트 송신 가이드(130)와, 적외선 라이트 수신 가이드(140)를 포함한다.
적외선 라이트 송신 가이드(130)는 적외선 송신부(121)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적외선 라이트 수신 가이드(140)는 적외선 수신부(123)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적외선 라이트 송신 가이드(130)는 송신 가이드 진입부(133)와, 송신 가이드 진출부(131)와, 송신 가이드 경사부(135)를 포함한다.
송신 가이드 진입부(133)는 적외선 라이트 송신 가이드(130)의 적외선 송신부(121)와 마주하는 면이고, 송신 가이드 진출부(131)는 적외선 라이트 송신 가이드(130)의 적외선 송신부(121) 반대편을 향한 면이다.
또한, 송신 가이드 경사부(135)는 송신 가이드 진입부(133) 측의 외측에 형성되는 측면부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라이트 송신 가이드(130)는 뒤집어진 대체적인 사다리꼴 측면 형상의 블록을 이루고 송신 가이드 경사부(135)는 적외선 송신부(121)가 배치되는 측에 가까운 부분의 측면의 경사진 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송신 가이드 진입부(133)가 갖는 면적(A133)은 송신 가이드 진출부(131)의 면적(A131)보다 작다. 도 6에는 적외선 라이트 송신 가이드(130) 및 적외선 라이트 수신 가이드(140)가 모두 측면이 전개된 형태로 도시되는데, 송신 가이드 진입부(133)가 갖는 측면 길이(l133)는 송신 가이드 진출부(131)의 측면 길이(l131)보다 작다.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라이트 수신 가이드(140)는 수신 가이드 진입부(141)와, 수신 가이드 진출부(143)와, 수신 가이드 경사부(145)를 포함한다.
수신 가이드 진입부(141)는 적외선 라이트 수신 가이드(140)의 적외선 수신부(121) 반대편을 향한 면이고, 수신 가이드 진출부(143)는 적외선 라이트 수신 가이드(140)의 적외선 수신부(121)와 마주하는 면이다.
또한, 수신 가이드 경사부(145)는 수신 가이드 진출부(143) 측의 외측에 형성되는 측면부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라이트 수신 가이드(140)는 뒤집어진 대체적인 사다리꼴 측면 형상의 블록을 이루고 수신 가이드 경사부(145)는 적외선 수신부(121)가 배치되는 측에 가까운 부분의 측면의 경사진 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수신 가이드 진입부(141)가 갖는 면적(A141)은 수신 가이드 진출부(143)의 면적(A143)보다 크다. 도 6에는 적외선 라이트 수신 가이드(140) 및 적외선 라이트 수신 가이드(140)가 모두 측면이 전개된 형태로 도시되는데, 수신 가이드 진입부(141)가 갖는 측면 길이(l141)는 수신 가이드 진출부(143)의 측면 길이(l143)보다 크다.
또한, 송신 가이드 경사부(135)가 적외선 송신부(121)가 배치되는 평면에 대하여 이루는 송신 가이드 경사부 경사각(α)은 수신 가이드 경사부(145)가 적외선 수신부(123)가 배치되는 평면에 대하여 이루는 수신 가이드 경사부 경사각(β)보다 큰 값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적외선 송신부(121)로부터 출사되는 적외선은 광범위하게 직진성을 갖도록 유도하고, 외부에서 탑승자의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에 대하여 근접 동작을 통하여 반사되는 적외선을 적외선 수신부(123)로 안정적으로 유도한다.
10...비접촉식 차량용 램프 유니트
11...램프 하우징 20...제어부
30...저장부 40...연산부
50...램프 출력부 100...감지부
110...웨이트 감지부 120...제스처 감지부
121...적외선 송신부 123...적외선 수신부
130,140...적외선 라이트 가이드
1

Claims (11)

  1. 램프 하우징(11)에 탑재되는 탑승자의 근접 동작을 감지하는 제스처 감지부(120)를 구비하는 감지부(100)를 포함하고, 상기 제스처 감지부(120)는: 적외선 송신부(121)와, 적외선 수신부(123)와, 상기 적외선 송신부(121) 및 상기 적외선 수신부(123)에 송출 및 전달되는 적외선을 안내하고 비직육면체인 적외선 라이트 송신 가이드(130) 및 적외선 라이트 수신 가이드(140)를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 라이트 송신 가이드(130)는, 상기 적외선 송신부(121)와 마주하는 송신 가이드 진입부(133)와, 상기 적외선 송신부(121)의 반대편을 향하는 송신 가이드 진출부(131)와, 상기 송신 가이드 진입부(133) 측의 외측에 형성되는 송신 가이드 경사부(135)를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 라이트 수신 가이드(140)는, 상기 적외선 수신부(123)의 반대편을 향하는 수신 가이드 진입부(141)와, 상기 적외선 수신부(123)와 마주하는 송신 가이드 진출부(143)와, 상기 수신 가이드 진출부(143) 측의 외측에 형성되는 수신 가이드 경사부(145)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가이드 경사부(135)가 상기 적외선 송신부(121)가 배치되는 평면에 대하여 이루는 송신 가이드 경사부 경사각(α)은, 상기 수신 가이드 경사부(145)가 상기 적외선 수신부(123)가 배치되는 평면에 대하여 이루는 수신 가이드 경사부 경사각(β)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1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100)는 차량 좌석의 착석 여부를 확인하는 웨이트 센서(11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10).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송신부(121)는 상기 적외선 수신부(123)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10).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감지부(120)는:상기 램프 하우징(11)에 배치되는 제스처 감지부 하우징(13)를 구비하고, 상기 적외선 송신부(121)는 상기 제스처 감지부 하우징(13)의 개방된 제스처 감지부 하우징 개방부(15)를 통하여 빛을 출사하고,
    상기 제스처 감지부 하우징(13)는 상기 적외선 송신부(121)와 상기 적외선 수신부(123) 사이에 배치되는 제스처 감지부 하우징 격벽(17)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10).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가이드 진입부(133)는 상기 송신 가이드 진출부(131)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10).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가이드 진출부(143)는 상기 수신 가이드 진입부(141)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10).
  10. 삭제
  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송신부(121)는 두 개가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100)에 감지 제어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감지 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20)는 상기 두 개의 적외선 송신부(121)에 교번적으로 감지 송신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10).

KR1020160134571A 2016-10-17 2016-10-17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 KR102621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571A KR102621079B1 (ko) 2016-10-17 2016-10-17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
PCT/KR2017/009711 WO2018074733A1 (ko) 2016-10-17 2017-09-05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
CN201790001336.7U CN210390939U (zh) 2016-10-17 2017-09-05 用于车辆的非接触式室内灯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571A KR102621079B1 (ko) 2016-10-17 2016-10-17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025A KR20180042025A (ko) 2018-04-25
KR102621079B1 true KR102621079B1 (ko) 2024-01-05

Family

ID=62018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571A KR102621079B1 (ko) 2016-10-17 2016-10-17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621079B1 (ko)
CN (1) CN210390939U (ko)
WO (1) WO20180747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3850A1 (ko) * 2019-04-17 2020-10-22 주식회사 온유테크 제스쳐 기반 조명 제어 장치
KR102632934B1 (ko) * 2019-04-23 2024-02-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실내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158941A (ko) 2021-05-25 2022-12-02 (주)대한솔루션 손전등이 구비된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
KR102543701B1 (ko) * 2023-03-02 2023-06-15 (주) 아하 영상 품질 및 외부 입력 감지의 성능이 향상된 광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132Y1 (ko) * 2008-05-07 2014-02-05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
KR101081131B1 (ko) * 2009-03-19 2011-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실내 조명 자동 제어장치
KR101223322B1 (ko) * 2009-07-27 2013-01-1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접촉 및 비접촉식 차량용 룸램프 스위치 장치
KR20130037522A (ko) * 2011-10-06 2013-04-16 강영훈 낙하감지센서
TR201809175T4 (tr) * 2012-01-17 2018-07-23 Koninklijke Philips Nv Bir canlıyı ısıtmak için ısıtma sistemi.
KR101698430B1 (ko) * 2015-03-31 2017-01-20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근접센서 방식 차량용 룸 램프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74733A1 (ko) 2018-04-26
CN210390939U (zh) 2020-04-24
KR20180042025A (ko) 2018-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1079B1 (ko)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
US9641172B2 (en) Proximity switch assembly having varying size electrode fingers
US10684620B2 (en)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US8878438B2 (en) Lamp and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method
EP2084686B1 (en) Optical user interface system for automotive modules
EP3018560A1 (en) Integrated overhead console assembly for vehicle
US10534440B2 (en) Vehicle display device and vehicle
KR20140042378A (ko) 차량의 전조등 제어 시스템
US20140368029A1 (en) System for providing vehicle manipulation device information
JP5476263B2 (ja) 車室内照明装置
US20220250547A1 (en) Rearview mirror device
JP6980690B2 (ja) 車両ドア開閉装置
KR101223322B1 (ko) 접촉 및 비접촉식 차량용 룸램프 스위치 장치
CN107298048B (zh) 汽车照明系统
KR102367942B1 (ko) 차량용 모션 인식 장치
JP5763582B2 (ja) 自動車用照明装置
KR200471132Y1 (ko)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
JP4238795B2 (ja) 非接触型検出装置及び制御装置
KR102594479B1 (ko) 스위치 노브 및 이를 갖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JP6006526B2 (ja) 自動車用照明装置
JP4289297B2 (ja) 車両用ルームミラーを利用したスイッチ装置
WO2014076992A1 (ja) 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入力受付方法
KR101529478B1 (ko) 차량의 기능 동작부 작동 제어방법 및 차량의 언터처블 스위치 시스템
US20040165397A1 (en) Automotive interior mirror module with proximity switch
CN215773072U (zh) 一种汽车室内手势感应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