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478B1 - 차량의 기능 동작부 작동 제어방법 및 차량의 언터처블 스위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기능 동작부 작동 제어방법 및 차량의 언터처블 스위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478B1
KR101529478B1 KR1020130113974A KR20130113974A KR101529478B1 KR 101529478 B1 KR101529478 B1 KR 101529478B1 KR 1020130113974 A KR1020130113974 A KR 1020130113974A KR 20130113974 A KR20130113974 A KR 20130113974A KR 101529478 B1 KR101529478 B1 KR 101529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gesture
infrared
image
infrared r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3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3983A (ko
Inventor
허슬기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1020130113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478B1/ko
Publication of KR20150033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기능 동작부 작동 제어방법 및 차량의 언터처블 스위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내부의 특정 승객의 제스쳐만으로도 차량 내에 설치된 복수개의 기능 동작부를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복수개의 기능 동작부에 대응하는 개수의 복수개의 기능 스위치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경우 운전 시야를 확보하면서도 간단한 제스쳐를 통하여 상기 복수개의 기능 동작부를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기능 동작부 작동 제어방법 및 차량의 언터처블 스위치 시스템{Control method for function part and Untouchable switch system of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기능 동작부 작동 제어방법 및 차량의 언터처블 스위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내에 탑승한 특정 승객의 제스쳐를 감지한 결과값을 토대로 차량에 구비된 복수개의 기능 동작부를 작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기능 동작부 작동 제어방법 및 차량의 언터처블 스위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복수개의 기능 동작부가 구비되고, 상기 기능 동작부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차량 내부의 복수개소에 스위치 어셈블리가 구비된다. 여기서의 복수개의 기능 동작부라 함은, 차량 내에 설치된 라디오 시스템을 포함한 오디오 장치, 공조 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 등 상기 스위치 어셈블리로부터 생성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작동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최근에는, 차량의 고급화 및 편의성이 추구됨에 따라, 새로운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동작부의 구비가 필요하고, 이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 어셈블리의 추가 설치가 요구된다.
그러나, 차량 내부에의 스위치 어셈블리의 추가 설치는 복잡한 설계가 요구되는 한편, 차량 내부의 설계 자유도를 크게 해하고, 스위치 어셈블리와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BCU) 사이의 전기적인 통전을 위한 와이어의 배치 설계 등의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사용자가 직접 스위치 어셈블리를 접촉하지 않고서도 스위칭 동작이 실현되도록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차량 내에 복수개 장착하고, 각 장착된 움직임 감지 센서를 소정 시간 사용자가 가리면 해당하는 기능 동작부가 작동되도록 하는 스위칭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스위칭 시스템도 문제라 할 것은, 각 기능 동작부의 개수에 해당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야 함은 물론, 각 움직임 감지 센서와의 통전을 위한 상술한 와이어의 배치 설계 등의 문제점이 여전히 남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 내에 각종 기능 동작부의 개수에 대응되는 스위칭부를 마련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가 직접 접촉하지 않고서도 사용자가 취한 특정 제스쳐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기능 동작부를 작동시키도록 제어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의 기능 동작부 작동 제어방법 및 차량의 언터처블 스위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기능 동작부 작동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차량 내 탑승한 특정 승객의 제스쳐를 감지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제스쳐를 영상 촬영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 의하여 촬영된 상기 제스쳐의 이미지를 저장한 후 상기 이미지의 패턴을 분석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 의하여 분석된 이미지의 패턴별로 차량 내 설치된 복수개의 기능 동작부 중 어느 하나의 기능 동작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기능 동작부를 작동시키는 제5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단계에서 감지하는 상기 특정 승객의 제스쳐는 적외선 인식 카메라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제스쳐는 적외선 인식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단계에서 저장되고 분석되는 상기 제스쳐의 이미지 및 패턴은 카메라 모듈 영상 처리용 PC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차량 내의 특정 구역에서 소정의 시간 이상 상기 특정 승객의 제스쳐가 감지된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내의 특정 구역은 각각의 구역이 겹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복수개소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언터처블 스위치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차량 내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 내에 탑승한 특정 승객의 제스쳐를 적외선을 송출한 후 반사된 적외선을 수렴함으로써 감지하는 제스쳐 감지 모듈과, 상기 제스쳐 감지 모듈에 의하여 감지된 이미지를 패턴별로 분석하고,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송출하는 분석 모듈과,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분석 모듈에 의하여 송출된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여 작동 온(ON) 또는 작동 오프(OFF)되는 복수개의 기능 동작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스쳐 감지 모듈은, 적외선 인식 카메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외선 인식 카메라는, 주간 또는 야간에 따라 상이한 조도로 송출 또는 수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외선 인식 카메라는, 상기 차량 내의 평균 온도에 따라 상이한 조도로 송출 또는 수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외선 인식 카메라는, 상기 차량 내에 고정을 위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 내부에 설치되고, 적외선을 송출하는 발광부와, 상기 바디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부로부터 송출된 적외선을 소정 각도로 굴절시켜 상기 차량 내의 특정 구역으로 송출시키는 리플렉터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부로부터 송출된 후 적외선 감지 대상인 대상 물체로부터 반사된 적외선을 수렴하는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는 IR LED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광부는, 상기 IR LED에 의하여 송출된 적외선이 상기 적외선 감지 대상인 대상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올 경우 특정 대역의 적외선만을 투과시키는 IR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 모듈은, 상기 제스쳐 감지 모듈에 의하여 감지된 영상을 처리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영상 처리용 피씨(PC) 및 키오스크용 P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기능 동작부는, 라디오를 포함하는 오디오 장치, 공조 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언터처블 스위치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기능 동작부 작동 제어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제스쳐 감지 모듈의 제스쳐 감지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1의 구성 중 적외선 인식 카메라의 구체적인 작동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기능 동작부 작동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 및 차량의 언터처블 스위치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해의 편의상 장치 발명의 구성을 먼저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언터처블 스위치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먼저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언터처블 스위치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기능 동작부 작동 제어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제스쳐 감지 모듈의 제스쳐 감지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1의 구성 중 적외선 인식 카메라의 구체적인 작동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언터처블 스위치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차량(1) 내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1) 내에 탑승한 특정 승객의 제스쳐를 적외선 이미지 형태로 수렴함으로써 감지하는 제스쳐 감지 모듈(100)을 포함한다.
상기 제스쳐 감지 모듈(100)은, 차량(1) 내에 빌트인 타입으로 설치되어도 무방하고, 별도로 제작되어 차량(1) 내에 임의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스쳐 감지 모듈(100)은, 적외선을 감지하는 것을 최종적인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감지된 적외선을 통해 특정 승객의 특정 제스쳐를 감지하여 이미지화 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구성이다. 그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스쳐 감지 모듈(100)은, 상기 차량(1) 내의 특정 승객이 발산하는 적외선을 감지하고, 감지된 적외선으로부터 소정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적외선 인식 카메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외선 인식 카메라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1) 내의 고정을 위한 바디부(110)와, 상기 바디부(110) 내부에 설치되고, 일정 주파수의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130)와, 상기 바디부(11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부(130)로부터 송출된 후 적외선 감지 대상인 물체로부터 반사된 적외선을 수렴하는 수광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적외선 인식 카메라는, 상기 바디부(11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부(130)로부터 송출된 적외선을 소정 각도로 굴절시켜 상기 차량(1) 내의 특정 구역으로 송출시키는 리플렉터(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발광부(130)로부터 송출되는 적외선과 상기 수광부(150)에 의하여 수렴되는 적외선의 이동 경로가 서로 겹칠 경우 정확한 적외선 감지가 어렵게 되므로, 상기 발광부(130)가 감지 대상 물체의 반대 방향으로 적외선을 송출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발광부(130)로부터 송출된 적외선은 상기 리플렉터(170)에 의하여 굴절되어 상기 감지 대상 물체를 향하여 발산 방향이 변경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리플렉터(170)는 적외선이 후방 굴곡면에 의하여 1차 반사되어 바닥면으로 굴절되도록 하고, 바닥면으로 굴절된 적외선이 바닥면에 의하여 천장 굴곡면으로 2차 반사되어 최종적으로 천장 굴곡면에 의하여 감지 대상 물체를 향하여 송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발광부(130)는, 소정 조도로 송출되는 적외선 LED(IR LED)일 수 있다. 여기서, 소정 조도라 함은 빛의 밝기로 이해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발광부(130)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의 강도로 이해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적외선 인식 카메라는, 상기 IR LED로 하여금 주간 또는 야간에 따라 상이한 조도로 적외선을 송출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수광부(150)로 하여금 이를 수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적외선 인식 카메라에 의하여 감지되는 특정 승객의 제스쳐의 감지 환경이 주간 또는 야간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이다.
한편, 적외선은 감지 대상 물체로부터 발산되는 일정 온도의 파장이므로, 상기 차량(1) 내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적외선 인식 카메라가 감지하는 상기 특정 승객의 제스쳐의 강도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적외선 인식 카메라가 주간 또는 야간에 따라 상이한 조도로 적외선을 송출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상기 차량(1) 내의 평균 온도에 따라 상이한 조도로 송출 또는 수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스쳐 감지 모듈(100)은 감지된 적외선을 통하여 상기 감지 대상 물체의 유무만을 판정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상기 적외선의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기 저장된 패턴별 알고리즘에 의하여 소정의 결과값을 출력하도록 상기 적외선을 촬영한 후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스쳐 감지 모듈(100)은, 특히, 상기 차량(1) 내에 탑승한 특정 승객의 제스쳐를 감지할 수 있도록 기설정된 특정 구역으로 상기 적외선을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특정 구역은 상기 차량(1) 내에서 각각의 구역이 겹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복수개소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차량(1)이 운전자를 포함하여 적어도 4명의 승객이 탑승할 수 있는 승용 차량(1)일 경우에, 상기 차량(1) 내의 좌석들(운전석, 조수석 및 뒷자석들)에 탑승한 각각의 특정 승객의 제스쳐를 감지하도록 상기 특정 구역이 복수개소에 구비되는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언터처블 스위치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운전자 뿐만 아니라 조수석에 탑승한 조수석 탑승객 및 그 이외의 승객들에 의하여도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인식 카메라에서, 상기 수광부(150)는 상기 IR LED에 의하여 송출된 적외선이 상기 적외선 감지 대상인 대상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올 경우 특정 대역의 적외선만을 투과시키는 IR 필터(19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대역의 적외선은 주파수 대역이 850nm인 것으로, 감지 대상 물체의 특정 대역의 적외선은 상기 적외선 인식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면 백색으로 인식되며, 그 이외의 부분은 흑색으로 인식되어 이미지 촬영된다. 상기 IR 필터(190)는 외부의 빛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언터처블 스위치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기 제스쳐 감지 모듈(100)에 의하여 감지된 이미지를 패턴별로 분석하고,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송출하는 분석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석 모듈은, 상기 제스쳐 감지 모듈(100)에 의하여 감지된 영상을 처리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영상 처리용 피씨(PC)일 수 있고, 키오스크용 PC일 수 있다.
상기 분석 모듈의 주요 역할은, 상기 제스쳐 감지 모듈(100)에 의하여 감지되어 촬영 저장된 적외선 이미지를 기 입력된 패턴 알고리즘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알고리즘의 결과값에 대응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생성된 상기 전기적인 신호는 해당하는 기능 동작부의 작동 온(ON) 또는 작동 오프(OFF) 신호로써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스쳐 감지 모듈(100)에 의하여 상기 차량(1) 내의 특정 구역에서 상기 특정 승객이 주먹을 쥐었다가 손가락 중 어느 하나를 펼친 경우의 이미지(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이미지"라고 약칭함)를 촬영한 경우, 촬영된 상기 제1이미지와 대응되는 패턴 알고리즘이 어느 하나의 기능 동작부의 작동을 온(ON)시키는 전기적인 신호(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신호"라고 약칭함)를 생성하는 것과 부합한다고 가정하고, 상기 특정 승객이 손가락 중 어느 하나를 펼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손가락을 펼친 이미지(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이미지"라고 약칭함)를 촬영한 경우, 촬영된 상기 제2이미지와 대응되는 패턴 알고리즘이 상기 어느 하나의 기능 동작부의 작동을 오프(OFF)시키는 전기적인 신호(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신호"라고 약칭함)를 생성하는 것과 부합한다고 가정하면, 상기 분석 모듈은, 상기 제1이미지를 기 입력된 패턴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제2이미지를 기 입력된 패턴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2신호를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기 입력된 패턴 알고리즘은,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승객의 손을 촬영하여 그 이미지를 패턴화시켜 이에 부합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도록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복수개의 기능 동작부 중 스위칭시키고자 하는 특정의 기능 동작부와 구별되는 신호의 생성이 가능한 경우라면 적외선을 방출하는 감지 대상 물체라는 한정 요건을 충족하는 한 여하한 대상이어도 본 발명의 이미지에 해당되는 것이고, 각 기능 동작부의 작동을 제어함에 있어서 혼선이 생기지 않도록 구별하여 패턴화시키는 한도에서는 손가락의 구부림 정도나, 펼쳐진 손가락의 종류 및 펼친 손가락의 정지 시간 등 다양한 변수가 고려되어 패턴화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기능 동작부는, 차량(1)에 설치되되, 차량(1)의 주행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기능성 장치이면 모두 해당된다고 할 것이고, 예를 들면, 라디오를 포함하는 오디오 장치, 차량(1) 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공조 장치 및 GPS와 연동되는 네비게이션 장치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언터처블 스위치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차량(1)에 설치되고, 상기 분석 모듈에 의하여 송출된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여 작동(ON) 또는 작동 오프(OFF)되는 복수개의 기능 동작부를 더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언터처블 스위치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기능 동작부의 개수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기능 스위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하나의 제스쳐 감지 모듈(100)과 감지된 이미지를 패턴별로 분석하여 복수개의 기능 동작부를 개별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각 복수개의 기능 스위치의 제작 및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운전자가 주행 중 주행 시선을 분산하지 않고서도 간단한 제스쳐를 통하여 상기 복수개의 기능 동작부를 작동시킬 수 있어 주행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기능 동작부 작동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기능 동작부 작동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차량(1) 내 탑승한 특정 승객의 제스쳐를 감지하는 제1단계(S10)와, 상기 제1단계(S10)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제스쳐를 영상 촬영하는 제2단계(S20)와, 상기 제2단계(S20)에 의하여 촬영된 상기 제스쳐의 이미지를 저장한 후 상기 이미지의 패턴을 분석하는 제3단계(S30)와, 상기 제3단계(S30)에 의하여 분석된 이미지의 패턴별로 차량(1) 내 설치된 복수개의 기능 동작부 중 어느 하나의 기능 동작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제4단계(S40)와, 상기 제4단계(S40)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기능 동작부를 작동시키는 제5단계(S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기능 동작부는, 상술한 차량의 언터처블 스위치 시스템에서 이미 기술하고 있는 장치가 모두 해당됨은 물론이다.
상기 제1단계(S10)에서 감지하는 상기 특정 승객의 제스쳐는 적외선 인식 카메라를 이용하여 감지 대상 물체를 감지한 후, 상기 감지 대상 물체로부터 발산되는 특정 파장 대역의 적외선을 필터링하여 수렴하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언터처블 스위치 시스템의 구성 중 적외선 감지 카메라의 구성인 발광부(130)로부터 소정의 주파수를 가진 빛을 발광하고, 감지 대상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적외선을 수광부(150)가 수렴함으로써 상기 제1단계(S10)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단계(S10)는, 상기 차량(1) 내부 중 특정 구역에서 상기 특정 승객의 제스쳐를 감지하는데, 상기 특정 구역은 각각의 구역이 겹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복수개소로 설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언터처블 스위치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밝힌 바와 같이, 상기 차량(1) 내에 탑승한 승객 모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복수개소의 특정 구역 내부에서 적외선을 감지할 경우 작동되는 기능 동작부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알고리즘을 추가하여 설정할 필요가 있다.
상기 제2단계(S20)는, 상기 수광부(150)에 의하여 수렴된 상기 특정 승객의 제스쳐를 영상 촬영하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감지 대상 물체로부터 반사된 적외선 중 특정 파장 대역(예컨대, 850nm)의 파장만을 IR 필터(190)가 통과시켜 상기 수광부(150)가 수렴하면, 수렴된 상기 특정 파장 대역의 파장이 형성하는 이미지는 백색의 실루엣 형상으로 인식되고, 그 외의 나머지는 흑색으로 인식된다.
한편, 상기 제3단계(S30)에서 저장되고 분석되는 상기 제스쳐의 이미지 및 패턴은 카메라 모듈 영상 처리용 피씨(PC)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4단계는, 상기 카메라 모듈 영상 처리용 PC를 이용하여 처리된 이미지를 기 입력된 패턴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분석된 처리 결과값을 사용자가 관찰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해주는 키오스크용 피씨(PC)에 출력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언터처블 스위치 시스템 및 차량의 기능 동작부 작동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1) 내부의 특정 승객의 제스쳐만으로도 차량(1) 내에 설치된 복수개의 기능 동작부를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복수개의 기능 동작부에 대응하는 개수의 복수개의 기능 스위치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경우 운전 시야를 확보하면서도 간단한 제스쳐를 통하여 상기 복수개의 기능 동작부를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기능 동작부 작동 제어방법 및 차량의 언터처블 스위치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 차량 10A: 운전석
10B: 조수석 10C,10D: 뒷자석
100: 제스쳐 감지 모듈 110: 바디부
130: 발광부 150: 수광부
170: 리플렉터 190: IR 필터

Claims (15)

  1. 차량 내 탑승한 특정 승객의 제스쳐를 주간 또는 야간에 따라 상이한 조도로 송출 또는 수렴하거나 차량 내의 평균 온도에 따라 상이한 조도로 송출 또는 수렴하는 적외선 인식 카메라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제스쳐를 상기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촬영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 의하여 촬영된 상기 제스쳐의 이미지를 저장한 후 상기 이미지의 패턴을 분석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 의하여 분석된 이미지의 패턴별로 차량 내 설치된 복수개의 기능 동작부 중 어느 하나의 기능 동작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기능 동작부를 작동시키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기능 동작부 작동 제어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저장되고 분석되는 상기 제스쳐의 이미지 및 패턴은 카메라 모듈 영상 처리용 PC를 이용하는 차량의 기능 동작부 작동 제어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차량 내의 특정 구역에서 소정의 시간 이상 상기 특정 승객의 제스쳐가 감지된 경우에만 수행되는 차량의 기능 동작부 작동 제어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의 특정 구역은 각각의 구역이 겹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복수개소로 설정되는 차량의 기능 동작부 작동 제어방법.
  7. 차량 내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 내에 탑승한 특정 승객의 제스쳐를 적외선을 송출한 후 반사된 적외선을 수렴함으로써 감지하는 적외선 인식 카메라로 이루어진 제스쳐 감지 모듈과;
    상기 제스쳐 감지 모듈에 의하여 감지된 이미지를 패턴별로 분석하고,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송출하는 분석 모듈과;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분석 모듈에 의하여 송출된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여 작동 온(ON) 또는 작동 오프(OFF)되는 복수개의 기능 동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 인식 카메라는, 주간 또는 야간에 따라 상이한 조도로 송출 또는 수렴하는 차량의 언터처블 스위치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인식 카메라는, 상기 차량 내의 평균 온도에 따라 상이한 조도로 송출 또는 수렴하는 차량의 언터처블 스위치 시스템.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인식 카메라는,
    상기 차량 내에 고정을 위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 내부에 설치되고, 적외선을 송출하는 발광부와;
    상기 바디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부로부터 송출된 적외선을 소정 각도로 굴절시켜 상기 차량 내의 특정 구역으로 송출시키는 리플렉터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부로부터 송출된 후 적외선 감지 대상인 대상 물체로부터 반사된 적외선을 수렴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언터처블 스위치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IR LED인 차량의 언터처블 스위치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는, 상기 IR LED에 의하여 송출된 적외선이 상기 적외선 감지 대상인 대상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올 경우 특정 대역의 적외선만을 투과시키는 IR 필터를 포함하는 차량의 언터처블 스위치 시스템.
  14.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분석 모듈은,
    상기 제스쳐 감지 모듈에 의하여 감지된 영상을 처리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영상 처리용 피씨(PC) 및 키오스크용 PC를 포함하는 차량의 언터처블 스위치 시스템.
  15.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기능 동작부는, 라디오를 포함하는 오디오 장치, 공조 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언터처블 스위치 시스템.
KR1020130113974A 2013-09-25 2013-09-25 차량의 기능 동작부 작동 제어방법 및 차량의 언터처블 스위치 시스템 KR101529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974A KR101529478B1 (ko) 2013-09-25 2013-09-25 차량의 기능 동작부 작동 제어방법 및 차량의 언터처블 스위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974A KR101529478B1 (ko) 2013-09-25 2013-09-25 차량의 기능 동작부 작동 제어방법 및 차량의 언터처블 스위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983A KR20150033983A (ko) 2015-04-02
KR101529478B1 true KR101529478B1 (ko) 2015-06-17

Family

ID=53031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3974A KR101529478B1 (ko) 2013-09-25 2013-09-25 차량의 기능 동작부 작동 제어방법 및 차량의 언터처블 스위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4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3373A (ja) * 2007-12-13 2009-07-02 Denso Corp 車両用操作入力装置
JP2010184600A (ja) * 2009-02-12 2010-08-26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車載用ジェスチャースイッチ装置
KR20120048190A (ko) * 2010-11-05 2012-05-15 전자부품연구원 동작인식을 이용한 차량 기능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3373A (ja) * 2007-12-13 2009-07-02 Denso Corp 車両用操作入力装置
JP2010184600A (ja) * 2009-02-12 2010-08-26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車載用ジェスチャースイッチ装置
KR20120048190A (ko) * 2010-11-05 2012-05-15 전자부품연구원 동작인식을 이용한 차량 기능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983A (ko) 2015-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7419B2 (en) Control device and method with voice and/or gestural recognition for the interior lighting of a vehicle
EP3105160B1 (en) Elevator operator interface
KR101556521B1 (ko)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19509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actlessly detecting objects and/or persons and gestures and/or operating procedures made and/or carried out thereby
WO2016152844A1 (ja) ジェスチャー作動車両照明システムを含む車両パネルアッセンブリ
KR20160036242A (ko) 제스처 인식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JP2017515024A (ja) 組立体モジュール
US11132534B2 (en) Monitoring system
KR101484202B1 (ko) 제스쳐 인식 시스템을 갖는 차량
US11181909B2 (en) Remote vehicle control device, remote vehicle control system, and remote vehicle control method
US20190286123A1 (en) Remote vehicle control device and remote vehicle control method
KR101946746B1 (ko) 차량에서 비-차량 오브젝트의 위치 결정
KR101663096B1 (ko) 차량의 도난 방지 장치
US20170050523A1 (en) Control panels
US9399429B2 (en) Predictive cockpit lighting and performance mode via touch
US20190095734A1 (en) Monitoring system
KR102621079B1 (ko)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
JP2018503899A (ja) 発光ユニットの同期作動によって自動車の乗員のジェスチャおよび/または視線方向を認識するための取込装置、操作装置、自動車、ならびに方法
US20190286118A1 (en) Remote vehicle control device and remote vehicle control method
US20130054048A1 (en) Vehicle control system
JP2005047412A (ja) 非接触式情報入力装置
KR101529478B1 (ko) 차량의 기능 동작부 작동 제어방법 및 차량의 언터처블 스위치 시스템
US10599226B2 (en) Operat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n operat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CN105589549A (zh) 一种基于红外感应的光学控制装置
JP6451390B2 (ja) 動き検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