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060B1 - 주방 배기 구조물 - Google Patents

주방 배기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060B1
KR102621060B1 KR1020230132062A KR20230132062A KR102621060B1 KR 102621060 B1 KR102621060 B1 KR 102621060B1 KR 1020230132062 A KR1020230132062 A KR 1020230132062A KR 20230132062 A KR20230132062 A KR 20230132062A KR 102621060 B1 KR102621060 B1 KR 102621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oreign matter
unit
exhaust structure
kitchen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2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45980A (ko
Inventor
이능구
Original Assignee
(주)리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베첸 filed Critical (주)리베첸
Priority to KR1020230132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060B1/ko
Publication of KR20230145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5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04B5/08Centrifuge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gaseous mix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04B5/12Centrifuges in which rotors other than bowls generate centrifugal effects in stationary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 배기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주방 배기 구조물은 하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 상기 공기 유입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공기 유입부와 통해 있고 정해진 속도와 방향으로 회전하여 발생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 유입부로부터 인가되는 흡입 공기에서 이물질을 외측으로 이탈시키는 원심 분리부, 상기 공기 유입부와 결합되어 상기 원심 분리부를 에워싸게 위치하고, 상기 원심 분리부로부터 이탈되는 상기 이물질을 수집하는 이물질 수집부 및 상기 이물질 수집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이물질이 배출된 정화된 공기를 상부 쪽으로 안내하는 공기 안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방 배기 구조물{EXHAUST ASSEMBLY FOR KITCHEN}
본 발명은 주방 배기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체가 필요한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세척 가능한 주방 배기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주방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 유증기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유증기는 주방 내부의 공기 및 주변을 오염시키게 된다.
따라서, 조리 시 발생하는 오염 물질을 제거하거나 배출하여 공기를 정화시킬 필요성이 존재하므로, 대부분의 경우, 주방에는 요리 시 발생하는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기 시스템은 주로 유증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그리스(grease)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그리스 필터(grease filter)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배기 시스템에 흡입된 공기는 그리스 필터를 통과하게 되므로, 그리스 성분이 제거된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하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주로 종이 형태로 제작된 그리스 필터는 필터링된 그리스 성분에 의해 오염되어 원활한 필터링 효과를 발휘할 수 없게 되므로, 주기적으로 그리스 필터를 교체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적정한 시기에 그리스 필터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며, 적절한 시기에 그리스 필터의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주방 내의 오염된 공기로 실내 공기질이 악화되어 건강에 위협을 줄 수 있다.
또한, 교체하기 위한 그리스 필터를 구매하는 하는 경제적인 부담 역시 발생한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642796호(발명의 명칭: 쌍방향 세척 기능을 갖는 천장매립형 주방배기시스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853839호(발명의 명칭: 세척기능 내장형 그리스필터 및 그것이 적용된 주방배기시스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교체가 필요한 필터를 이용하지 않고도 오염된 공기의 정화가 가능한 주방 배기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오염 물질의 필터링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주방 배기 구조물은 하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 상기 공기 유입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공기 유입부와 통해 있고 정해진 속도와 방향으로 회전하여 발생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 유입부로부터 인가되는 흡입 공기에서 이물질을 외측으로 이탈시키는 원심 분리부, 상기 공기 유입부와 결합되어 상기 원심 분리부를 에워싸게 위치하고, 상기 원심 분리부로부터 이탈되는 상기 이물질을 수집하는 이물질 수집부 및 상기 이물질 수집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이물질이 배출된 정화된 공기를 상부 쪽으로 안내하는 공기 안내부를 포함한다.
상기 원심 분리부는 상부면과 하부면을 구비하고 있는 분리부 본체 및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에 상기 분리부 본체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정해진 간격으로 나란히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날개의 상단은 상기 상부면과 결합되어 있고, 각 날개의 하단은 하부면에 결합되어 있어 있고, 각 날개는 하부면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외측 가장자리로 연장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부는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유입부 본체 및 상기 유입부 본체를 막고 있고 복수 개의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는 막음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부는 상기 막음판에 이격되게 연결되어 있고 복수 개의 구멍을 구비하고 있는 소음 저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수집부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측 측면 및 상기 상측 측면과 연결되어 있고 제1 수집홈을 구비하고 있는 하측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 측면의 내부면은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수집부는 상기 제1 수집홈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수집홈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는 제2 수집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수집부는 상기 상측 측면의 내부면에는 상기 이물질 수집부의 가운데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속도 저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안내부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원심 분리부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안내부 본체 및 상기 안내부 본체의 측면 외부면에 상기 원심 분리부의 회전 방향을 따라 나란히 이격되게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방향 가이드판을 포함할 수 있고, 인접한 두 방향 가이드판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기 이동 통로가 생성될 수 있다.
각 방향 가이드판은 일측 방향으로 굽어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주방 배기 구조물은 상기 공기 가이드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고, 원심 분리부와 결합되어 있는 상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과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부 하우징 본체 및 상기 하우징 본체에 연결되어 상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이물질 수집부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원심 분리부와 결합되는 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면에 결합되어 있어 하부 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연결 부분 및 상기 연결 부분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는 장착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분은 상기 상부 하우징 본체의 내부면과 연결되는 연결편 및 각 연결편에 연결되어 하부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원심 분리부와 결합되는 복수 개의 연결 막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수집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한 복수 개의 걸림핀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복수 개의 걸림핀에 각각 대응하는 부분에 복수 개의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걸림핀과 상기 복수 개의 걸림턱에 의해, 상기 이물질 수집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에 탈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본 예의 주방 배기 구조물은 오염 정도에 따라 교체해야 하는 그리스 필터지와 같은 필터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필터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사라질 수 있고, 교체할 필터를 구매하는 경제적인 부담 역시 없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주방 배기 구조물에서 이물질이 수집되는 이물질 수집부가 용이하게 탈거되고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할 때마다 주방 배기 구조물에서 이물질 수집부를 분리한 후 물 등을 이용하여 분리된 이물질 수집부를 세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필터를 필요한 시기에 교체하는 레인지 후드 조립체와 비교할 때, 본 예의 주방 배기 구조물은 수집된 이물질이 깨끗이 제거되므로 청결 상태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 배기 구조물의 사시도로서, 서로 다른 방향에서 획득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 배기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 배기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 배기 구조물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사시도로서, (a)와 (b)는 서로 다른 방향에서 획득된 사시도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 배기 구조물에서 이물질이 흡입 공기에서 분리되어 제1 수집홈에 모이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특별한 인과관계에 의해 나열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나열된 순서와 상관없이 수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 배기 구조물(1)에 대해 설명한다.
본 예의 주방 배기 구조물(1)은 모터 등의 동작에 의해, 주방 배기 구조물(1)이 설치된 공간 내의 공기를 주방 배기 구조물(1) 속으로 흡입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예의 주방 배기 구조물(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상부 하우징(10), 상부 하우징(10)과 결합하는 하부 하우징(20), 하부 하우징(20) 내부에 위치하는 공기 유입부(30), 상부 하우징(10)과 결합되어 있고, 공기 유입부(30)의 상부에 위치하여 공기 유입부(30)와 통해 있는 원심 분리부(40), 원심 분리부(40)를 에워싸게 위치하고 있고, 공기 유입부(30)와 하부 하우징(20)에 결합되어 있는 이물질 수집부(50) 및 이물질 수집부(50) 위에서 상부 하우징(10) 내에 위치하고 있는 공기 안내부(60)를 구비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20) 위에 위치하여 하부 하우징(20)과 결합하는 상부 하우징(10)은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0)은,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상부 하우징 본체(11) 및 상부 하우징 본체(11)에 연결되어 있는 장착부(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 본체(11)는 상부와 하부 역시 개방될 수 있고, 이때, 상부에 위치한 개구부는 공기 배출구(H11)로서 기능하여 도시하지 않은 배관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주방 배기 구조물(1)의 하부로부터 유입된 후 주방 배기 구조물(1)을 통과한 정화된 공기는 공기 배출구(H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 본체(11)는 대략 2단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하부에 위치한 1단 부분의 폭은 상부에 위치한 2단 부분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하우징 본체(11)는 상부와 하부가 모두 개방된 종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 하우징 본체(11)의 내부면에 결합되게 위치하는 장착부(12)는 복수 개의 연결 부분(121)과 장착 부분(122)을 구비할 수 있다.
장착 부분(122)은 복수 개의 연결 부분(121)과 연결되어 상부 하우징 본체(11)로 에워싸여져 있는 내부 공간의 대략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고, 가운데 부분에 원형의 구멍을 갖는 도넛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연결 부분(121)은 상부 하우징 본체(11)의 내부면에서 하부 쪽으로 정해진 길이만큼 연장되게 위치할 수 있고, 상부 하우징 본체(11)의 내부면을 따라 원형으로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연결 부분(121)은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각 연결 부분(121)은 상부 하우징 본체(11)의 내부면과 연결되는 연결편(1211) 및 각 연결편(1211)에 연결되어 하부 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결 막대(1212)를 구비할 수 있다.
각 연결편(1211)은 대략 삼각형의 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각 연결 막대(1212)는 연결편(1211)을 통해 안전하게 상부 하우징(10)의 내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연결부를 구비한 상부 하우징 본체(11)의 일체의 구조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상부 하우징(10)과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20)은 상부와 하부가 각각 개방되어 있는 원통 형상을 갖고 있다. 따라서, 하부 하우징(2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부 하우징(20)은 상부 하우징(10)과 결합되어 본 예의 주방 배기 구조물(1)을 이물질이나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서로 결합되어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으로 에워싸여진 내부의 빈 공간 속에 공기 유입부(30), 원심 분리부(40), 이물질 수집부(50) 및 공기 안내부(60)를 수납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은 나사 등과 같은 다양한 결합 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공기 유입부(30)는 상부에 위치하는 이물질 수집부(5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유입구(H33)는 역시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는 유입부 본체(31), 유입부 본체(31)의 상부에 위치하는 막음판(32), 유입부 본체(31)의 상부면(411)에 위치하고 있는 복수 개의 연결부, 유입부 본체(31)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소음 저감부(33) 및 유입부 본체(31)의 측면에 위치하고 있는 복수 개의 결합부(34)를 구비할 수 있다.
유입부 본체(31)는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곡면의 측면을 갖고 있고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부의 폭이 하부이 폭보다 좁아, 측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나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므로, 측면으로 에워싸여져 있는 내부의 공간 역시 나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유입부 본체(31)의 측면 상부는 상부에 위치한 이물질 수집부(50)의 하부와 접하게 위치할 수 있고 측면 하부는 하부 하우징(20)의 하단과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공기 유입구(H33)로 유입된 공기는 측면으로 에워싸여져 있는 내부 공간 속으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부 본체(31)의 개방된 상부를 막고 있는 막음판(32)은 유입부 본체(31)의 상부면(411)을 구성할 수 있고 안전망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막음판(32)은 매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유입부 본체(31)의 상부는 막음판(32)의 개방된 부분에 의해 부분적으로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유입부 본체(31) 내로 유입된 공기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막음판(32)을 통과하여 상부에 위치한 원심 분리부(40) 쪽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막음판(32)을 이용하여 소음 저감부(33)가 유입부 본체(31)의 상부면(411)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막음판(32)은 상부에 위치한 원심 분리부(40) 등의 구성요소가 아래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소음 저감부(33)는 주방 배기 구조물(1)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 개의 공기 유입구(H33)를 구비한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진 판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소음 저감부(33)는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상부에서 하부로 정해진 길이만큼 연장된 복수 개의 연결핀(331)에 의해 막음판(32)에 매달려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소음 저감부(33)는 막음판(32)의 하부면(412)에서부터 정해진 길이, 예를 들어, 연결핀(331)의 연장 길이만큼 하부 쪽으로 이격되게 위치할 있다.
이로 인해, 막음판(32)과 소음 저감부(33) 사이에는 정해진 길이만큼 이격 공간이 존재할 수 있고, 이러한 이격 공간에 의해 하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상부 쪽으로 좀 더 원활히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원심 분리부(40) 등의 동작으로 발생하는 소음은 소음 저감부(33)에 형성된 복수 개의 구멍인 공기 유입구(H33)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므로, 주방과 같이 실내에서 느끼는 소음의 크기는 크게 줄어들 수 있다.
복수 개의 결합부(34)는 이물질 수집부(50)와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서, 유입부 본체(31)의 측면 외측, 외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결합부(34)는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외부 측으로 돌출된 결합핀이나 결합 나사와 같은 결합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원심 분리부(40)는 정해진 속도를 갖고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하여, 공기 유입부(30)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시켜, 흡입된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그리스 성분 및 수분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이물질이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원심 분리부(40)의 회전 동작에 의해 흡입된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원심 분리부(40)와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이물질 수집부(50) 쪽으로 튕겨져 나가게 된다. 이때, 흡입된 공기 속에서 외측으로의 튕김 동작에 의한 이물질의 배출 순서는 무게가 무거운 성분부터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예의 원심 분리부(40)는 자체의 회전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이 이루어지는 모터 및 이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부(4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원심 분리부(40)는, 도 8에 도시한 것처처럼, 분리부 본체(41), 분리부 본체(41)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복수 개의 날개(42) 및 구동부(43)를 구비할 수 있다.
분리부 본체(41)는 상부를 덮고 있는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상부면(411)과 상부면(411)의 반대편에서 상부면(411)과 대향하고 있는 하부면(412)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면(411)과 하부면(412)은 서로 정해진 거리를 두고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하고 있고, 이 상하 방향으로의 이격 공간에 복수 개의 날개(42)가 회전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하부면(412)은 가운데 부분에 구멍을 구비하고 구멍을 중심으로 하여 정해진 길이로 아래쪽 방향으로 하강한 하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원심 분리부(40)의 하부면(412)은 설치면에 평행한 평면 방향을 따라 연장한 후 하부 쪽으로 정해진 길이만큼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하부면(412)은 높이에 따라 폭이 상이한 다단 구조(예, 2단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하부면(412)의 상부보다 하부의 폭이 작을 수 있다.
각 날개(42)의 일측단은 하부면(412)의 구멍과 접해있는 내측 가장자리(IB)와 접하게 위치하고 타측단은 외측 가장자리(OB)에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 날개(42)는 내측 가장자리에서 외측 가장자리)(OB)로 사선으로 연장되게 위치할 수 있고, 인접한 두 날개(42) 사이에는 빈 공간이 위치하여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원심 분리부(40)의 측부는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게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날개(4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각 날개(42)는 주방 배기 구조물(1)의 높이 방향(즉,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복수 개의 날개(42)는 원심 분리부(40)의 상부면(411)의 연장 방향(즉, 원형 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이런 상태로 각 날개(42)의 상단은 상부면(411)에 일체로 결합되게 위치하고 하단은 하부면(412)에 일체로 결합되게 위치하므로, 상부면(411), 하부면(412) 및 복수 개의 날개(42)는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면(411), 하부면(412) 및 복수의 날개(42)로 인해, 원심 분리부(40)는 상부면(411), 하부면(412) 및 복수의 날개(42)로 에워싸여진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이 내부 공간 속으로 공기 유입부(30)로부터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구동부(43)의 상부면(411)의 빈 구멍에 장착되어 상부면(411)과 일체로 연결된 후, 상하 방향으로의 이격 공간을 통해 아래쪽인 공기 유입구(H33) 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원심 분리부(40)의 상부는 상부면(411)과 구동부(43)에 의해 막혀 있어, 하부면(412)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공기 유입부(30)로부터 유입된 흡입 공기는 인접한 두 날개(42) 사이를 통해 원심 분리부(4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43)는 모터 및 모터와 연결되어 있는 회전축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구동부(43)의 상부는 상부 하우징(10)의 장착 부분(122)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부 하우징(10)의 장착 부분(122)과 구동부(43) 사이에는 베어링 등이 위치하므로, 구동부(43)의 회전 동작에도 상부 하우징(10)의 장착 부분(122)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43)의 회전 동작에 의해, 구동부(43)와 일체로 연결된 상부면(411)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상부면(411)의 회전에 의해 복수 개의 날개(42) 및 하부면(412) 역시 구동부(43)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원심 분리부(4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원심 분리부(4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한 공기는 인접한 날개(42)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원심 분리부(4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날개(42)가 사선으로 위치하므로 원심 분리부(40)의 외부로 배출된 공기는 외측으로 흩어지지 않고 날개(42)의 설치 방향을 따라서 원심 분리부(4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원심 분리부(40)의 회전에 의해 원심력이 발생하고, 이러한 원심력에 의해 흡입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은 외측 방향으로 튕겨져 나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원심 분리부(40)의 하부면(412) 끝단은 이물질 수집부(50)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원심 분리부(40)가 정해진 속도로 정해진 방향을 따라 회전하므로, 원심 분리부(40)의 외측면 쪽으로 배출된 공기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원심 분리부(40)의 외측면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원심 분리부(40)는 고속으로 정해진 방향(예,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공기보다 무거운 무게를 갖는 수분과 유분 들의 이물질은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튕겨져 나가게 되므로, 흡입 공기로부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원심 분리부(40)를 외측에서 감싸고 있는 이물질 수집부(50)는 원심 분리부(4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외측으로 튕겨진 이물질이 부딪히는 부분일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예의 이물질 수집부(50)는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어 있는 수집부 본체(51) 및 수집부 본체(51)에 위치하는 속도 저감부(52)를 구비할 수 있다.
수집부 본체(51)는 곡면의 측면을 갖는 상측 측면(511)과 상측 측면(511)의 아래에 위치하고 가장자리에 수집홈(P511, P512)을 구비하고 있는 하측 측면(51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측 측면(511)의 지름은 하측 측면(512)의 지름보다 클 수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수집부 본체(51)의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어 있으므로, 수집부 본체(51)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으며 곡면의 측면을 갖는 대략 항아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측 측면(511)의 내부면은 가운데 쪽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하측 측면(512)은 상부 측면과 끊김없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이물질 수집부(50)의 하측 측면(512)은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제1 수집홈(P511)과 이 제1 수집홈(P511)에 끊김없이 연결되어 있는 제2 수집홈(P512)이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물질 수집부(50)의 내부에는 가운데 쪽으로 제1 수집홈(P511)과 제2 수집홈(P512)이 연속해서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원심 분리부(40)에서 튕겨져 나온 이물질은 상측 측면(511)의 내부면에 부딪힌 후 경사면인 상측 측면(511)의 내부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흘러내려와 하측 측면(512)에 위치한 제1 수집홈(P511) 속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수집홈(P511)은, 도 9의 (b)에 도시한 것처럼, 상측 측면(511)의 끝단과 끊김없이 연결되어 있고 정해진 깊이와 폭을 갖고 있으며, 개방된 하측 측면(512)을 따라 원형으로 위치할 수 있다.
상측 측면(511)과 연결된 제1 수집홈(P511)의 내부면은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있으므로, 도 11에 도시한 것처럼, 상측 측면(511)의 내부면 쪽으로 튕겨져 나가 상측 측면(511)의 내부면에 부착된 이물질(100)은 경사진 상측 측면(511)의 내부면을 따라 제1 수집홈(P511) 쪽으로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흘러내려가 제1 수집홈(P511) 내에 모일 수 있다.
따라서, 흡입된 공기 속에 포함된 이물질(100)은 원심력에 의해 무게에 따라서 이물질 수집부(50)의 제1 수집홈(P511) 속으로 순차적으로 고이게 되므로, 필요에 따라 교체를 해야 되는 별도의 필터 없이도 흡입 공기에서 이물질이 분리 배출될 수 있다.
제2 수집홈(P512)은 제1 수집홈(P511)의 외주연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수집홈(P511)의 외주연을 따라 원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수집홈(P512)은 제1 수집홈(P511)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고, 정해진 폭과 깊이를 갖는 원형의 홈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집홈(P511)의 내부 바닥면의 높이는 제2 수집홈(P512)의 내부 바닥면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제1 수집홈(P511)과 제2 수집홈(P512)을 구분하기 위해, 제1 수집홈(P511)과 제2 수집홈(P512) 사이에는 격벽(W511)이 존재할 수 있고, 격벽(W511)을 넘어서, 제1 수집홈(P511)과 제2 수집홈(P512)의 공간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수집홈(P512)은 제1 수집홈(P511)에 고인 이물질이 제1 수집홈(P511)과 제2 수집홈(P512) 사이에 위치한 격벽(W511)을 넘어 제1 수집홈(P511) 외부, 즉 제2 수집홈(P512) 쪽으로 넘칠 경우를 대비한 예비 수집홈일 수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제2 수집홈(P512)은 제1 수집홈(P511)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1 수집홈(P511)에서 격벽을 넘어 외부로 이탈한 이물질은 제1 수집홈(P511)과 연결되어 있는 제2 수집홈(P512) 내로 유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수집홈(P512)에 의해, 원심 분리부(40)의 동작에 의해 흡입 공기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안전하게 이물질 수집부(50) 내에 위치할 수 있어, 공기 유입구(H33)의 외측면와 같이 주방 배기 구조물(1)의 다른 구성요소가 분리된 이물질에 의해 2차적으로 오염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원심 분리부(40)의 분리부 본체(41)의 하단은 제2 수집홈(P512)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제2 수집홈(P512)과 인접하거나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원심 분리부(40)의 내부로 유입된 흡입 공기는 가능한 한 인접한 두 날개(42) 사이의 이격 공간만을 통해 원심 분리부(40)의 외부로 배출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흡입 공기 속에 이물질이 원심력이 의해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있다.
속도 저감부(52)는 상측 측면(511)의 내부면 상부쪽에 위치하고 있는 원형의 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속도 저감부(52)는 후크 형식으로 이물질 수집부(50)의 해당 위치에 억지 끼움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속도 저감부(52)는 상측 측면(511)의 내부면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속도 저감부(52)는 상측 측면(511)의 내부면에서 가운데 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후 다시 상측 측면(511)의 내부면 쪽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속도 저감부(52)의 하단은 이물질 수집부(50)의 내부면에 가운데 부분으로 돌출되어 내부 쪽으로 평탄하게 튀어나온 평탄면일 수 있고, 이러한 하단이 공기의 속도를 늦추는 속도 저감턱(521)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때, 속도 저감턱(521)을 포함하는 속도 저감부(52)의 적어도 일부에는 기름과 수분 등과 같은 이물질을 흡착하는 이물질 흡착재(예, 부직포)가 도포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원심 분리부(4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이물질이 분리된 공기, 즉 정화된 공기는 이물질 수집부(50)의 내부면을 따라 상부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이물질 수집부(50)의 내부면 상부에 속도 저감부(52)의 속도 저감턱(521)이 돌출되어 있으므로, 이물질 수집부(50)의 내부면을 따라 상부 쪽으로 이동하는 정화된 공기는 속도 저감부(52)의 속도 저감턱(521)에 부딪힌 후 다시 상부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처럼, 정화된 공기가 속도 저감턱(521)에 부딪히게 되면, 위쪽으로 상승하는 공기의 속도가 줄어들어 공기 속에 남아있는 이물질(100)이 아래쪽 방향으로 추가적으로 떨어질 수 있다(도 11 참고). 또한, 정화된 공기 속에 잔존하는 이물질 역시 속도 저감턱(521)에 부착되어 정화된 공기 속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속도 저감턱(521)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100) 역시 자중에 의해 하부 쪽으로 이동하여 제1 수집홈(P511) 속으로 흘러내려갈 수 있다.
속도 저감부(52)에 이물질 흡착재가 존재할 경우, 속도 저감부(52)에 의한 이물질 흡착 효과는 더욱더 향상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예의 주방 배기 구조물(1) 속으로 흡입된 흡입 공기 속의 이물질(100)은 1차적으로 원심 분리부(40)의 회전 동작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분리되고 2차적으로 속도 저감턱(521)에 의해 분리되어 이물질 수집부(50) 속으로 모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두 번의 이물질 분리 동작에 의해, 주방 배기 구조물(1) 속으로 흡입된 흡입 공기의 정화 효율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수집부(50)의 내부면을 따라 이동하는 1차 정화된 공기의 이동 속도는 속도 저감턱(521)에 부딪히면서 크게 감소하여 정화된 공기의 회전 속도는 크게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속도 감소로 인해, 공기 안내부(60) 쪽으로 흘러가는 정화된 공기의 편류 현상은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집부 본체(51)의 외측 하부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결합부(53)는 공기 유입부(30)에 위치한 복수 개의 결합부(34)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대응되는 수집부 본체(51)의 결합부(53)와 공기 유입부(30)의 결합부(34)의 결합에 의해, 공기 유입부(30)는 이물질 수집부(50)에 결합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 유입부(30)와 결합되어 있는 이물질 수집부(50)는,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하부 하우징(20)의 내부면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하우징(20)과의 결합을 위해, 도 6과 도 9에 도시한 것처럼, 이물질 수집부(50)의 수집부 본체(51)의 외측면에는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게 위치하고 있는 복수 개의 걸림핀(P513)이 존재할 수 있고, 하부 하우징(20)의 대응되는 내부면에는 각 걸림핀(P513)이 위치하는 걸림턱(P20)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홈의 형성으로 발생된 걸림턱(P20)에 걸림핀(P513)이 장착되어, 이물질 수집부(50)는 하부 하우징(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걸림핀(P513)이 위치하는 이물질 수집부(50)를 하부 하우징(20) 속에 삽입한 후 회전 동작을 통해 걸림턱(P20)에 걸림핀(P513)이 안착되거나 빠져나오게 하여, 하부 하우징(20)에 이물질 수집부(50)를 장착하거나 탈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공기 유입부(30)와 결합되어 있는 이물질 수집부(50)를 수동으로 하부 하우징(20)에 결합하거나 결합 상태를 해제하여 공기 유입부(30)가 결합된 이물질 수집부(50)만을 주방 배기 구조물(1)에서 빼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이물질 수집부(50)는 하부 하우징(20)으로부터 탈거된 후 세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물질 수집부(50)에 고여있는 이물질은 용이하고 깨끗하게 제거되므로, 본 예의 주방 배기 구조물(1)의 청결 상태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미 기술한 것처럼, 이물질 수집부(50)의 부착 및 탈거가 용이하므로, 사용자의 편리성 역시 크게 향상될 수 있다.
공기 안내부(60)는 상부 하우징(1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부 하우징(1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연결핀(331)이나 나사 등을 통해 상부 하우징(10)과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이러한 공기 안내부(60)는 상부와 하부가 각각 개방되어 있는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는 안내부 본체(61) 및 안내부 본체(61)의 외부면에 안내부 본체(61)의 연장 방향 또는 원심 분리부(40)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방향 가이드판(62)을 구비할 수 있다.
위에 기술한 것처럼, 안내부 본체(61)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므로, 이 개방된 안내부 본체(61)의 상부를 통과하여 상부 하우징(10)의 장착부(12)가 아래쪽에 위치한 원심 분리부(40)의 상부면(411)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원형판 형태의 장착 부분(122)은 원심 분리부(40)의 상부면(411)에 위치한 구동부(43)와 결합되므로, 원심 분리부(40)는 상부 하우징(10)에 결합되어 상부 하우징(10)에 매달려 있는 형태로 회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방향 가이드판(62)은, 도 10에 도시한 것처럼,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정해진 곡률을 갖는 곡면판이 공기 안내부(60)의 외부면을 따라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위치할 수 있다. 각 방향 가이드판(62)은 동일한 방향(예, 오른쪽 방향)으로 굽어진 곡면판일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한 두 방향 가이드판(62) 사이에는 공기 안내부(60)의 외부면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고, 이 노출된 외부면의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기 이동 통로가 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것처럼, 공기 이동 통로는 인접한 두 방향 가이드판(62)이 위치하여 공기 이동 통로의 양 측은 곡면을 갖는 두 방향 가이드판(62)으로 막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각 공기 이동 통로 역시 직선의 경로가 아닌 곡선의 경로를 가지고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방향 가이드판(62)에 의해, 이물질 수집부(50)의 내부면을 따라 상부 쪽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정화된 공기는 대략 직선의 공기 이동 통로 속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정화된 공기의 회전 동작은 대응하는 공기 이동 통로를 지나면서 곡면인 공기 안내부(60)의 외부면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정화된 공기의 회전 운동은 공기 이동 통로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거의 직선 운동으로 변하면서 상부 쪽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부 쪽으로 이동하는 정화된 공기의 배출 속도는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안내부(60)는 상부가 개방된 상부 하우징(10)과 결합되어 상부 하우징(10) 내에 위치하므로, 공기 이동 통로를 따라 상부 쪽으로 이동한 정화된 공기는 상부 하우징(10)의 상부에 위치한 공기 배출구(H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 이동 통로에 의해, 정화된 공기의 이동 속도가 향상되므로 신속한 공기 배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각 기술적 특징이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서로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주방 배기 구조물 10: 상부 하우징
11: 상부 하우징 본체 H11: 공기 배출구
12: 장착부 121: 연결 부분
1211: 연결편 1212: 연결 막대
122: 장착 부분 20: 하부 하우징
P20: 걸림홈 30: 공기 유입부
31: 유입부 본체 32: 막음판
33: 소음 저감부 331: 연결핀
H33: 공기 유입구 34: 결합부
40: 원심 분리부 41: 분리부 본체
411: 상부면 412: 하부면
42: 날개 43: 구동부
50: 이물질 수집부 51: 수집부 본체
511: 상측 측면 512: 하측 측면
52: 소음 저감부 53: 결합부
P511: 제1 수집홈 P512: 제2 수집홈
P513: 걸림핀 60: 공기 안내부
61: 안내부 본체 62: 방향 가이드판

Claims (14)

  1. 하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
    상기 공기 유입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공기 유입부와 통해 있고 정해진 속도와 방향으로 회전하여 발생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 유입부로부터 인가되는 흡입 공기에서 이물질을 외측으로 이탈시키는 원심 분리부;
    상기 공기 유입부와 결합되어 상기 원심 분리부를 에워싸게 위치하고, 상기 원심 분리부로부터 이탈되는 상기 이물질을 수집하는 이물질 수집부; 및
    상기 이물질 수집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이물질이 배출된 정화된 공기를 상부 쪽으로 안내하는 공기 안내부;
    상기 공기 안내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원심 분리부와 결합되어 있는 상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과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부 하우징 본체; 및
    상기 하우징 본체에 연결되어 상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이물질 수집부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원심 분리부와 결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주방 배기 구조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 분리부는,
    상부면과 하부면을 구비하고 있는 분리부 본체; 및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에 상기 분리부 본체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정해진 간격으로 나란히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날개
    를 포함하는 주방 배기 구조물.
  3. 제2 항에 있어서,
    각 날개의 상단은 상기 상부면과 결합되어 있고, 각 날개의 하단은 하부면에 결합되어 있어 있고, 각 날개는 하부면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외측 가장자리로 연장되게 위치하고 있는 주방 배기 구조물.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부는,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유입부 본체; 및
    상기 유입부 본체를 막고 있고 복수 개의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는 막음판
    을 포함하는 주방 배기 구조물.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부는 상기 막음판에 이격되게 연결되어 있고 복수 개의 구멍을 구비하고 있는 소음 저감부를 더 포함하는 주방 배기 구조물.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수집부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측 측면; 및
    상기 상측 측면과 연결되어 있고 제1 수집홈을 구비하고 있는 하측 측면
    을 포함하고 있는 주방 배기 구조물.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측면의 내부면은 경사면을 갖는 주방 배기 구조물.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수집부는 상기 제1 수집홈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수집홈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는 제2 수집홈을 더 포함하는 주방 배기 구조물.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수집부는 상기 상측 측면의 내부면에는 상기 이물질 수집부의 가운데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속도 저감부를 더 포함하는 주방 배기 구조물.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안내부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원심 분리부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안내부 본체; 및
    상기 안내부 본체의 측면 외부면에 상기 원심 분리부의 회전 방향을 따라 나란히 이격되게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방향 가이드판
    을 포함하고,
    인접한 두 방향 가이드판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기 이동 통로가 생성되는
    주방 배기 구조물.
  11. 제10 항에 있어서,
    각 방향 가이드판은 일측 방향으로 굽어진 형태를 갖는 주방 배기 구조물.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면에 결합되어 있어 하부 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연결 부분; 및
    상기 연결 부분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는 장착 부분을 포함하는 주방 배기 구조물.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분은 상기 상부 하우징 본체의 내부면과 연결되는 연결편 및 각 연결편에 연결되어 하부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원심 분리부와 결합되는 복수 개의 연결 막대를 포함하는 주방 배기 구조물.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수집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한 복수 개의 걸림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복수 개의 걸림핀에 각각 대응하는 부분에 복수 개의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걸림핀과 상기 복수 개의 걸림턱에 의해, 상기 이물질 수집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에 탈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주방 배기 구조물.
KR1020230132062A 2022-02-14 2023-10-04 주방 배기 구조물 KR102621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2062A KR102621060B1 (ko) 2022-02-14 2023-10-04 주방 배기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184A KR102621055B1 (ko) 2022-02-14 2022-02-14 주방 배기 구조물
KR1020230132062A KR102621060B1 (ko) 2022-02-14 2023-10-04 주방 배기 구조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9184A Division KR102621055B1 (ko) 2022-02-14 2022-02-14 주방 배기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5980A KR20230145980A (ko) 2023-10-18
KR102621060B1 true KR102621060B1 (ko) 2024-01-05

Family

ID=8784913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9184A KR102621055B1 (ko) 2022-02-14 2022-02-14 주방 배기 구조물
KR1020230132062A KR102621060B1 (ko) 2022-02-14 2023-10-04 주방 배기 구조물
KR1020230132059A KR102621059B1 (ko) 2022-02-14 2023-10-04 주방 배기 구조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9184A KR102621055B1 (ko) 2022-02-14 2022-02-14 주방 배기 구조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2059A KR102621059B1 (ko) 2022-02-14 2023-10-04 주방 배기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6210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840937U (zh) 2010-10-21 2011-05-25 北京蓝博同创环保科技有限公司 油气分离装置
CN207634353U (zh) * 2017-11-28 2018-07-20 胡俊铨 吸油烟机用高性能轴流风机
CN208139374U (zh) * 2018-04-17 2018-11-23 中山市丽盈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水雾冷却离心吸附吸油烟机
CN210135621U (zh) 2019-03-13 2020-03-10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带噪声过滤装置的油烟分离式烟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796B1 (ko) 2015-11-03 2016-07-28 주식회사 동방포쎄 쌍방향 세척 기능을 갖는 천장매립형 주방배기시스템
KR101658430B1 (ko) * 2016-01-13 2016-09-21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화장실의 환기시설
KR101853839B1 (ko) 2018-01-25 2018-06-08 (주) 아시안룩스 세척기능 내장형 그리스필터 및 그것이 적용된 주방배기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840937U (zh) 2010-10-21 2011-05-25 北京蓝博同创环保科技有限公司 油气分离装置
CN207634353U (zh) * 2017-11-28 2018-07-20 胡俊铨 吸油烟机用高性能轴流风机
CN208139374U (zh) * 2018-04-17 2018-11-23 中山市丽盈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水雾冷却离心吸附吸油烟机
CN210135621U (zh) 2019-03-13 2020-03-10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带噪声过滤装置的油烟分离式烟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5979A (ko) 2023-10-18
KR20230145980A (ko) 2023-10-18
KR102621055B1 (ko) 2024-01-05
KR20230123063A (ko) 2023-08-23
KR102621059B1 (ko) 2024-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7163B (fi) Luftrenare.
RU2181254C1 (ru) Пылесобир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циклонного типа для вакуумного пылесоса
CN1226012C (zh) 吸尘器旋风集尘装置的格栅组件
RU2238022C2 (ru) Циклонный пылесборник пылесоса
RU2438758C1 (ru)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ь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ем
KR100485715B1 (ko) 사이클론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
RU2234232C2 (ru) Решетка циклонного пылеулавлива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пылесоса (варианты)
RU2292834C1 (ru) Циклонный пылеуловитель с элементом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противотока загрязняющих частиц
KR101816516B1 (ko) 라디에이터 그릴
US20060130445A1 (en) Cyclone air purifier
KR20020091994A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그릴 조립체
JP4390738B2 (ja) 空気清浄機
CN1440718A (zh) 用于吸尘器中旋风式集尘器的格栅组件
CN101772676A (zh) 油脂过滤器和包括该油脂过滤器的抽油烟机
KR100902921B1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KR102621060B1 (ko) 주방 배기 구조물
CN111102663A (zh) 一种智能空气净化器
KR101833162B1 (ko) 연속 필터청소기능이 구비된 집진장치
KR102656812B1 (ko) 레인지 후드
KR100437156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가지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JP4942573B2 (ja) 電気機器及び電気掃除機
CN1625430A (zh) 两级空气过滤器
KR101864499B1 (ko) 습식 공기청정기용 필터디스크 어셈블리
KR100605729B1 (ko) 습식 공기 청정기
CN217549287U (zh) 一种无尘室高效空气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