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921B1 - 당구 큐대의 끝단 및 팁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당구 큐대의 끝단 및 팁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921B1
KR102620921B1 KR1020220028590A KR20220028590A KR102620921B1 KR 102620921 B1 KR102620921 B1 KR 102620921B1 KR 1020220028590 A KR1020220028590 A KR 1020220028590A KR 20220028590 A KR20220028590 A KR 20220028590A KR 102620921 B1 KR102620921 B1 KR 102620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ce
tip
processing
blade
c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1563A (ko
Inventor
서용국
서은지
Original Assignee
서용국
서은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용국, 서은지 filed Critical 서용국
Priority to KR1020220028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921B1/ko
Publication of KR20230131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1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9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63D15/08Cues
    • A63D15/14Means for roughening the cue-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5/00Machines designed for producing special profiles or shaped work,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22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sport articles, e.g. bowling pins, frames of tennis rackets, skis, paddles

Abstract

본 발명은 큐대의 끝단 및 팁의 연속 절삭 가공을 가능하게 하는 당구 큐대의 끝단 및 팁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 둘레에 수직 방향으로 직경을 달리하는 다수의 큐대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면의 중앙에는 내부 중앙에 탭홈을 가진 돌출축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중앙이 상기 탭홈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돌출축의 둘레에 회전이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고, 둘레의 전,후방과 양측에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상부의 둘레와 상부를 커버하게 연결되고, 내부의 상부 둘레의 전방에는 큐대의 끝단을 수평으로 가공하는 평면 가공날부가 구비되고, 내부의 상부 둘레의 후방에는 팁의 상부를 곡선형으로 가공하는 원호형 가공날부가 구비되며, 내부 둘레의 상부 일측에는 팁의 둘레를 가공하는 둘레 가공날부가 형성되며, 둘레에는 상기 평편 가공날부, 원호형 가공날부, 둘레 가공날부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다수의 개방부가 형성된 가공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당구 큐대의 끝단 및 팁 가공장치{Billiard cue end and tip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당구 큐대의 끝단 및 팁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큐대의 끝단 및 팁의 연속 절삭 가공을 가능하게 하는 당구 큐대의 끝단 및 팁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당구 게임을 할 때 사용되는 큐대는 사용자가 다루기 쉽도록 소정의 중량을 가질 뿐만 아니라 소정의 직경과 길이로 제작되는 것이다.
그리고 큐대는 완충 고무가 일단에 끼움 결합되어 있는 하부대와, 하부대에 나사 결합됨과 아울러 그 대향되는 단에 본드 등의 접착제로 팁이 부착되어 있는 상부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큐대에 있어서 큐대의 상부대의 끝단 즉 선골에는 팁이 부착 설치되는데 이 선골에 팁을 부착하기 전과 후에 다듬질을 하게 된다.
예컨데 팁 부착 전에는 상부대의 끝단에 팁을 부착하기 위해 평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절단 및 다듬질 작업을 한다. 그런데 상기 평면을 형성시키는 절단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이 어렵고 또한 팁 부착 후에는 선골의 끝단부보다 팁이 외부로 삐져나와 정리작업을 하였다.
상기와 같은 선골의 다듬질과 선골에 부착된 팁의 정리작업 모두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숙련도를 요하며 숙련이 되어 있어도 작업된 큐대가 일정치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선골에 부착된 팁이 소정의 곡율을 형성하여야 하는데 이때 종래의 손질방법은 금속재의 줄을 이용하여 팁을 때리거나 절삭하여 선골에 부착된 팁을 정리하였으며, 상기와 같은 선골에 부착된 팁 정리 방법은 어렵고 또한 팁 파손의 원인이 되었다.
이애, 상기와 같은 문제접을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하여 실용신안등록을 받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12180호의 "당구 큐대의 선골 및 연마장치"(이하, "종래의 당구 큐대의 선골 및 연마장치"라 한다.)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당구 큐대의 선골 및 연마장치는 상부대의 끝단인 선골의 정리와 선골에 부착된 팁 정리 및 부착된 팁의 곡면 다듬질을 일률적으로 항상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하며 누구나 쉽게 정리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당구 큐대의 선골 및 연마장치는, 큐대가 관통되는 제1,2가이드수단에 형성된 가이드공의 내경과 하우징 중간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큐대가 관통되는 가이드부의 내경이 동일함에 따라, 가이드공 및 가이드부의 내경과 상응되는 한 종류의 큐대만을 가공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당구 큐대의 선골 및 연마장치는 가이드공의 내경과 상응되는 한 종류의 큐대만 가공할 수 있음에 따라, 직경이 서로 다른 큐대의 가공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당구 큐대의 선골 및 연마장치는 큐대가 관통되는 가이드공의 내경이 큐대의 직경보다 클 경우에는 큐대가 가이드공이나 가이드부에서 흔들리게 되어 선골이나 팁의 정밀한 가공이 안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당구 큐대의 선골 및 연마장치는 큐대가 관통되는 제1,2가이드수단과 하우징 중간에 수직으로 형성된 가이드부의 둘레가 막혀 있음에 따라, 큐대의 선골 및 팁의 가공 정도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음으로써 선골 및 팁을 육안으로 보면서 정밀하게 가공할 수 없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당구 큐대의 선골 및 연마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비용이 많이 들게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당구 큐대의 선골 및 연마장치는 중간에 가이드부가 돌출되어 잡고 사용할 때 그립감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12180호의 "당구 큐대의 선골 및 연마장치"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큐대의 끝단 및 팁의 연속 절삭 가공이 가능하며 구조가 간단한 당구 큐대의 끝단 및 팁 가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직경이 다른 큐대 관통홀을 형성하여 직경이 서로 다른 당구 큐대의 끝단 및 팁을 호환적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당구 큐대의 끝단 및 팁 가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큐대의 끝단 및 팁의 가공시 가공 상태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벽할 수 있도록 하는 당구 큐대의 끝단 및 팁 가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당구 큐대의 끝단 및 팁 가공장치"는 내부 둘레에 수직 방향으로 직경을 달리하는 다수의 큐대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면의 중앙에는 내부 중앙에 탭홈을 가진 돌출축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중앙이 상기 탭홈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돌출축의 둘레에 회전이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고, 둘레의 전,후방과 양측에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상부의 둘레와 상부를 커버하게 연결되고, 내부의 상부 둘레의 전방에는 큐대의 끝단을 수평으로 가공하는 평면 가공날부가 구비되고, 내부의 상부 둘레의 후방에는 팁의 상부를 곡선형으로 가공하는 원호형 가공날부가 구비되며, 내부 둘레의 상부 일측에는 팁의 둘레를 가공하는 둘레 가공날부가 형성되며, 둘레에는 상기 평편 가공날부, 원호형 가공날부, 둘레 가공날부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다수의 개방부가 형성된 가공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큐대의 끝단 및 팁의 연속 절삭 가공을 가능함으로써 큐대의 끝단과 팁의 가공에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함에 따라 제조비용을 줄여 가격경쟁력을 가지는 저가의 당구 큐대의 끝단 및 팁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직경이 다른 큐대 관통홀을 형성하여 직경이 서로 다른 당구 큐대의 끝단 및 팁을 호환적으로 가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직경이 서로 다른 당구 큐대의 끝단 및 팁의 가공시 가공 정밀도를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큐대의 끝단 및 팁의 가공시 가공 상태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하면서 가공을 함으로써 가공 정밀도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가공커버와 팁 둘레 누름수단을 확대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a의 A-A선 단면도.
도 4는 큐대의 팁의 둘레를 가공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큐대의 팁의 상부를 가공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장치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가공커버와 팁 둘레 누름수단을 확대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a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큐대의 팁의 둘레를 가공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큐대의 팁의 상부를 가공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구 큐대(10)의 끝단 및 팁 가공장치(이하, "가공장치"라 한다.)는 큐대(10)의 끝단 및 팁(20)의 연속 절삭 가공이 가능함으로써 큐대(10)의 끝단과 팁(20)의 가공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몸체(1), 회전판(2), 가공커버(3)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는 내부 둘레에 큐대(10)의 상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직경을 달리하는 다수의 큐대 관통홀(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의 상면의 중앙에는 내부 중앙에 탭홈(121)을 가진 돌출축(12)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몸체(1)의 내부 둘레에 다수의 직경이 다른 큐대 관통홀(11)을 형성하여 직경이 서로 다른 당구 큐대(10)의 끝단 및 팁(20)을 호환적으로 가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직경이 서로 다른 당구 큐대(10)의 끝단 및 팁(20)의 가공시 흔들림을 방지하여 가공 정밀도를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2)은 중앙이 상기 탭홈(121)에 체결되는 볼트(21)에 의해 돌출축(12)의 둘레에 회전이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 둘레의 전,후방과 양측에는 큐대(10)의 상부가 삽입 과통되는 다수의 관통홀(22)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공커버(3)는 회전판(2)의 상부의 둘레와 상부를 커버하는 것으로, 다수의 볼트들의 연결을 통해 회전판(2)의 상부에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내부의 상부 둘레의 전방에는 큐대(10)의 끝단을 수평으로 가공하는 평면 가공날부(31)가 구비되고, 내부의 상부 둘레의 후방에는 탭의 곡선형의 가공하는 원호형 가공날부(32)가 구비되며, 내부 둘레의 상부 일측에는 팁(20)의 둘레를 가공하는 둘레 가공날부(33)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공커버(3)의 둘레에는 상기 평면 가공날부(31), 원호형 가공날부(32), 둘레 가공날부(33)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다수의 개방부(34)가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큐대(10)의 끝단 및 팁(20)의 가공시 가공 상태를 상기 개방부(34)들을 통해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벽하면서 가공을 함으로써, 큐대(10)의 상부 끝단의 평면 가공이나 팁(20)의 가공 정밀도롤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공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장치는 큐대(10)의 상부 끝단을 수평으로 가공할 수 있고, 큐대(10)의 끝단에 팁(20)을 부착한 다음 팁(20)의 둘레를 가공할 수 있으며, 팁(20)의 둘레를 가공한 다음 팁(20)의 상부를 가공할 수 있는 것이다.
먼저, 큐대(10)의 상부 끝단을 수평으로 가공할 경우에는, 몸체(1)를 회전시켜 큐대(10)의 직경과 상응되는 직경을 가진 하나의 큐대 관통홀(11)을 상기 가공커버(3)의 내부에 구비된 평면 가공날부(31)의 하부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평면 가공날부(31)의 하부에 위치된 큐대 관통홀(11)에 큐대(10)의 상부를 관통시켜 큐대(10)의 상부 끝단을 상기 평면 가공날부(31)메 밀착시킨 다음, 큐대(10)를 돌려 큐대(10)의 상부 끝단을 수평으로 절삭 가공하는 것이다.
다음, 큐대(10)의 상부 끝단을 수평으로 가공하여 수평으로 가공된 부분에 팁(20)을 부착한 후 팁(20)의 둘레를 가공할 경우에는, 먼저 몸체(1)를 회전시켜 큐대(10)의 직경과 상응되는 직경을 가진 하나의 큐대 관통홀(11)을 상기 가공커버(3)의 내부에 구비된 둘레 가공날부(33)의 하부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둘레 가공날부(33)의 하부에 위치된 큐대 관통홀(11)에 큐대(10)의 상부를 관통시켜 큐대(10) 상부의 팁(20)을 상기 둘레 가공날부(33)메 밀착시킨 다음, 큐대(10)를 돌려 큐대(10) 상부의 팁(20)의 둘레를 절삭 가공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큐대(10) 상부의 팁(20)의 둘레를 가공한 다음, 팁(20)의 상부를 곡선형의 가공할 경우에는, 먼저 몸체(1)를 회전시켜 큐대(10)의 직경과 상응되는 직경을 가진 하나의 큐대 관통홀(11)을 상기 가공커버(3)의 내부에 구비된 원호형 가공날부(32)의 하부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원호형 가공날부(32)의 하부에 위치된 큐대 관통홀(11)에 큐대(10)의 상부를 관통시켜 큐대(10) 상부의 팁(20)을 상기 원호형 가공날부(32)메 밀착시킨 다음, 큐대(10)를 돌려 큐대(10) 상부의 팁(20)의 상부를 곡선형으로 가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큐대(10)의 끝단 및 팁(20)의 절삭 가공을 가능함으로써 큐대(10)의 끝단과 팁(20)의 가공에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함에 따라 제조비용을 줄여 가격경쟁력을 가지는 저가의 당구 큐대의 끝단 및 팁 가공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공장치는 상기 가공커버(3)의 둘레 가공날부(33)를 통해 팁(20)의 둘레를 가공할 때, 팁(20)의 둘레를 상기 둘레 가공날부(33)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눌러주는 팁 둘레 누름수단(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팁 둘레 누름수단(4)은 팁의 둘레를 가공할 때 팁(20)의 둘레를 상기 둘레 가공날부(33)의 방향으로 원활하게 눌러줄 수 있도록, 상기 가공커버(3)의 상판 하부에 하부가 개방되게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횡방향의 장홀이 형성된 함몰홈(41)과, 상기 함몰홈(41)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측에 상기 팁(20)의 둘레를 눌러주는 원호형 홈(421)이 형성된 누름부재(42)와, 상기 누름부재(42)의 타측과 함몰홈(41)의 사이에 설치되어 누름부재(42)를 일측 방향으로 눌러주는 스프링(43)과, 상기 가공커버(3)의 상부에 조작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44)와, 상기 장홀에 관통되어 이동부재(44)와 누름부재(42)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볼트(4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재(42)의 하부 타측에는 누름부재(42)가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팁(20)의 상부을 곡면으로 더 가공하는 원호형 날부(422)가 종방향으로 더 구비될 수 있고, 가공커버(3)의 둘레에는 상기 원호형 날부(422)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개방부(3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팁(20)의 둘레 가공 후, 팁 둘레 누름수단(4)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을 통해 팁(20)과 큐대(10)의 상부가 하부로 원활하게 빠질 수 있게 하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회전판(2)의 하부 둘레에는 다수의 록킹홈(23)가 더 형성되고, 상기 몸체(1)의 상부 둘레에는 하나 이상의 홈(13)이 더 형성되며, 상기 홈(13)에는 스프링(14)이 더 삽입되고 스프링(14)의 상부에는 상기 록킹홈(23)들 중 하나에 삽입되는 록킹볼(15)이 승강이 가능하게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공장치를 구성하는 몸체(1)와 가공커버(3)를 원통형으로 형성함으로써, 가공장치를 잡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그립감이 우수한 당구 큐대(10)의 끝단 및 팁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몸체
11 : 큐대 관통홀
12 : 돌출축
13 : 홈
14 : 스프링
15 : 록킹볼
2 : 회전판
21 : 볼트
22 : 관통홀
23 : 록킹홈
3 : 가공커버
31 : 평면 가공날부
32 : 원호형 가공날부
33 : 둘레 가공날부
34 : 개방부
4 : 팁 둘레 누름수단
41 : 함몰홈
42 : 누름부재
43 : 스프링
44 : 이동부재
45 : 연결볼트

Claims (5)

  1. 내부 둘레에는 수직 방향으로 직경을 달리하는 다수의 큐대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면의 중앙에는 내부 중앙에 탭홈을 가진 돌출축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중앙이 상기 탭홈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돌출축의 둘레에 회전이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고, 둘레의 전,후방과 양측에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상부의 둘레와 상부를 커버하게 연결되고, 내부의 상부 둘레의 전방에는 큐대의 끝단을 수평으로 가공하는 평면 가공날부가 구비되고, 내부의 상부 둘레의 후방에는 팁의 상부를 곡선형으로 가공하는 원호형 가공날부가 구비되며, 내부 둘레의 상부 일측에는 팁의 둘레를 가공하는 둘레 가공날부가 형성되며, 둘레에는 상기 평면 가공날부, 원호형 가공날부, 둘레 가공날부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다수의 개방부가 형성된 가공 커버;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가공커버의 상부에는 상기 둘레 가공날부를 통해 팁의 둘레를 가공할 때 팁의 둘레를 상기 둘레 가공날부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눌러주는 팁 둘레 누름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이고, 상기 팁 둘레 누름수단은
    상기 가공커버의 상판 하부에 하부가 개방되게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횡방향의 장홀이 형성된 함몰홈과,
    상기 함몰홈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측에 상기 팁의 둘레를 눌러주는 원호형 홈이 형성된 누름부재와,
    상기 누름부재의 타측과 함몰홈의 사이에 설치되어 누름부재를 일측 방향으로 눌러주는 스프링과,
    상기 가공커버의 상부에 조작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장홀에 관통되어 이동부재와 누름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큐대의 끝단 및 팁 가공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의 하부 타측에는 누름부재가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팁의 상부을 곡면으로 더 가공하는 원호형 날부가 종방향으로 더 구비되고,
    가공커버의 둘레에는 상기 원호형 날부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개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큐대의 끝단 및 팁 가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하부 둘레에는 다수의 록킹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 둘레에는 하나 이상의 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홈에는 스프링이 삽입되고 스프링의 상부에는 상기 록킹홈들 중 하나에 삽입되는 록킹볼이 승강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큐대의 끝단 및 팁 가공장치.
KR1020220028590A 2022-03-07 2022-03-07 당구 큐대의 끝단 및 팁 가공장치 KR102620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590A KR102620921B1 (ko) 2022-03-07 2022-03-07 당구 큐대의 끝단 및 팁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590A KR102620921B1 (ko) 2022-03-07 2022-03-07 당구 큐대의 끝단 및 팁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563A KR20230131563A (ko) 2023-09-14
KR102620921B1 true KR102620921B1 (ko) 2024-01-03

Family

ID=88014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590A KR102620921B1 (ko) 2022-03-07 2022-03-07 당구 큐대의 끝단 및 팁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9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417B1 (ko) * 2010-08-23 2011-10-06 이동철 당구 큐의 팁 가공장치
KR200491629Y1 (ko) * 2019-11-27 2020-05-12 신길호 당구 큐대의 팁 측면 가공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0685A (ja) 2001-03-08 2002-09-20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417B1 (ko) * 2010-08-23 2011-10-06 이동철 당구 큐의 팁 가공장치
KR200491629Y1 (ko) * 2019-11-27 2020-05-12 신길호 당구 큐대의 팁 측면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563A (ko) 2023-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6080B1 (ko) 상하방향 가압 지그
KR102620921B1 (ko) 당구 큐대의 끝단 및 팁 가공장치
US6048262A (en) Honing device for culinary knives
US3733663A (en) Corner shaping tool
US4512111A (en) Knife blade sharpener
CH407522A (de) Vorrichtung zum Kantenbrechen, insbesondere von plattenförmigen Werkstücken aus Holz, Kunststoff o. dgl.
US5887350A (en) Trimming and shaping tool for billiard cue sticks
US7571505B2 (en) Embellishment setting apparatus
US5199224A (en) Dart sharpener
US5715878A (en) Jig for a molder-planar
US5099722A (en) Cabinet scraper burnishing tool
US6279238B1 (en) Carpenter's pencil sharpener
JP3223454U (ja) 刃物研ぎ装置
CN213851956U (zh) 经络拍打棒及加工设备
US2732868A (en) barta
CN213197131U (zh) 一种高尔夫球钉生产打磨装置
TWI665071B (zh) 可放置刀套之木工夾具
US342285A (en) crowell
CN214211884U (zh) 一种主轴轴头冲孔用夹具
CN112046177A (zh) 一种自持画笔的圆规的削笔方法
EP1683450A1 (de) Schälmesser
US3106047A (en) Holding fixture
CN112046176A (zh) 一种自持画笔的圆规
DE102015111603B4 (de) Vorrichtung zum Halten eines Werkstücks und Werkzeugmaschine
DE869688C (de) Schwenkbar gelagerte Halterung eines Niederhalters fuer das Werkstue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