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794B1 -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794B1
KR102620794B1 KR1020210053748A KR20210053748A KR102620794B1 KR 102620794 B1 KR102620794 B1 KR 102620794B1 KR 1020210053748 A KR1020210053748 A KR 1020210053748A KR 20210053748 A KR20210053748 A KR 20210053748A KR 102620794 B1 KR102620794 B1 KR 102620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element
disposed
tire
ar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6897A (ko
Inventor
김진혁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3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794B1/ko
Publication of KR20220146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60C13/001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72Side-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3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supported by ty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72Side-walls
    • B29D2030/726Decorating or marking the sidewalls before tyre vulcaniz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72Side-walls
    • B29D2030/728Decorating or marking the sidewalls after tyre vulcaniz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포함하는 타이어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는 노면과 접촉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의 양측에서 연장되는 사이드월부 및 상기 사이드월부의 적어도 일측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복수 개의 오목부 및 돌출부, 상기 오목부의 제1 내측벽 및 제2 내측벽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표시 요소 및 복수 개의 제2 표시 요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포함하는 타이어{TIRE INCLUDING DISPLAY ARRAY}
본 발명은 타이어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포함하여 관찰자가 타이어를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다른 형상을 나타내는 타이어에 관한 발명이다.
사이드월은 타이어의 숄더부와 비드부 사이의 측면부에 배치되는 부분으로 굴신 운동을 통해 승차감을 향상시킨다. 최근에는 사이드월에 브랜드 로고 또는 타이어 정보를 각인하거나 다양한 디자인을 갖도록 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타이어 정보를 제공하거나 시각적인 효과를 갖는다.
종래 기술로서 사이드월에 외표면에 돌출부를 배치하거나 오목부를 설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돌출부를 이용할 경우 타이어 공기 저항에 영향을 주며, 오목부를 이용할 경우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종래 오목부에 배치되는 고무 조성물 등 기타 표시 요소는 동일한 형상과 색상을 갖기 때문에 시인성이 떨어진다. 또한 이러한 표시 요소는 관찰자가 타이어를 바라보는 각도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관찰자의 시야에 따라 사이드월의 오목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돌출부에 의해 표시 요소 일부가 가려져 정보 또는 미감을 제대로 전달할 수 없다.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 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56432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 관찰자가 타이어를 보는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구비함으로써 시각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다만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는 노면과 접촉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의 양측에서 연장되는 사이드월부 및 상기 사이드월부의 적어도 일측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복수 개의 오목부 및 돌출부, 상기 오목부의 제1 내측벽 및 제2 내측벽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표시 요소 및 복수 개의 제2 표시 요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요소 및 상기 제2 표시 요소는 상기 돌출부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요소 및 상기 제2 표시 요소는 상기 제1 내측벽 및 상기 제2 내측벽 중 어느 하나에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요소 및 상기 제2 표시 요소는 형상, 크기 및 색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레이는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에 상기 제1 표시 요소 및 상기 제2 표시 요소 중 어느 하나만 배치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에 상기 제1 표시 요소 및 상기 제2 표시 요소가 모두 배치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레이는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에 상기 제1 표시 요소 및 상기 제2 표시 요소가 배치되지 않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레이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일단에서 중앙까지 배치되는 제1 오목부 그룹과 타단에서 중앙까지 배치되는 제2 오목부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요소는 상기 제1 오목부 그룹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표시 요소는 상기 제2 오목부 그룹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요소 및 상기 제2 표시 요소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레이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에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오목부에 배치된 상기 제1 표시 요소 및 상기 제2 표시 요소는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요소 및 상기 제2 표시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상면이 상기 돌출부의 상면과 평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하방을 향해 외측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표시 요소 및 상기 제2 표시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돌출부와 동일한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요소 및 상기 제2 표시 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거나, 상기 오목부에 배치되는 제3 표시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는 사이드월부에 음각으로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배치하여, 타이어의 주행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관찰자에게 다양한 미감과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는 관찰자의 시야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 크기 또는 색상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나타낸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일 방향과 타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의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식별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의 단면을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다.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 및 트레드부(110)의 양측에서 연장되는 사이드월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100)는 사이드월부(120)의 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비드부(130), 트레드부(110)의 아래에 위치하는 바디 플라이(140)와 벨트층(150) 및 벨트층(150)의 상부에 배치되는 캡 플라이(160)를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와 사이드월부(120)의 내측에 위치하여 타이어(100)의 내부 공기압을 유지시키는 이너라이너(17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부(110)는 복수 개의 그루브(115)에 의해서 구획되는 트레드 블록(TB)을 가질 수 있다. 트레드 블록(TB)은 차량의 주행 시에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타이어(1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종 그루브와 타이어(100)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횡 그루브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트레드부(110)는 두꺼운 고무층으로 이루어져 차량의 구동력 및 제동력을 지면에 전달한다.
트레드 블록(TB)의 표면에는 조종 안전성, 견인력, 제동성을 위한 향상시키기 위한 사이프(S)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프(S)는 트레드 블록에 형성되며, 그루브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 홈일 수 있다. 사이프(S)는 젖은 노면에서의 주행 시 수분을 흡수하여 수막을 끊음으로써, 타이어(100)의 구동력과 제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사이드월부(120)는 타이어(100)의 트레드부(110)와 비드부(130)의 사이에 위치하며, 굴신 운동을 통해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사이드월부(120)는 일측에 디스플레이 어레이(200)를 포함하여, 타이어(100)의 미감을 향상시키고 소비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레이(20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비드부(130)는 사이드월부(120)의 단부에 배치되며, 타이어(100)를 림(R)에 장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비드부(130)는 비드 코어(131)와 비드 필러(132)를 구비할 수 있다.
비드 코어(131)는 비드 필러(132)의 아래에 배치되며, 고무가 코팅된 강철 비드 코드(와이어)를 복수 개 꼬아 형성될 수 있다.
비드 필러(132)는 비드 코어(131)의 일측에 부착된 고무 충전재로서, 비드 코어(131)를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로 비드 필러(132)는 서로 다른 물성을 갖는 복수 개의 고무 충전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 플라이(140)는 트레드부(110), 사이드월부(120) 및 비드부(130)를 따라 연장되어, 타이어(100)의 골격을 형성한다. 바디 플라이(140)는 일정한 고무 성분 내부에 타이어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바디 플라이(140)는 비드부(130)에서 턴업(turn-up)되어, 바디 플라이(140)에 의해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을 생성할 수 있으며, 내부 공간에는 비드 코어(131)와 비드 필러(132)가 배치될 수 있다.
바디 플라이(140)는 스틸 또는 폴리에스터, 레이온 등과 같은 고강도 섬유 유기재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코드지를 겹친 후,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 플라이(140)는 합성 고무 및 천연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무 성분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이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이어 코드로는 다양한 천연 섬유 또는 레이온,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및 케블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가느다란 철사를 꼬아서 형성한 스틸 코드(steel cord)도 사용될 수 있다.
벨트층(150)은 타이어(100)의 내구성 향상시키고,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벨트층(150)은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키고 트레드부(110)의 접지면을 넓게 유지하여 주행 안정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벨트층(150)은 트레드부(1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스틸 혹은 유기 섬유재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벨트 코드(미도시)를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벨트층(150)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너라이너(170)의 상면에 배치된 제1 벨트층(151)과 제1 벨트층(151)의 상면에 배치된 제2 벨트층(152)을 구비할 수 있다.
캡 플라이(160)는 트레드부(110)와 벨트층(150) 사이에 배치된다. 캡 플라이(160)는 벨트층(150) 위에 부착되는 특수 코드지로서 타이어(100)의 주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캡 플라이(160)는 일 예로 폴리에스테르 합성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캡 플라이(160)는 벨트층(150)과 바디 플라이(140)에 지지되어, 주행 시에 벨트층(150)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너라이너(170)는 타이어(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고, 타이어(100) 내의 공기압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너라이너(170)는 밀폐성이 우수한 고무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이너라이너(170)는 밀도가 높은 부틸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너라이너(170)는 바디 플라이(140)의 내부에 배치되어 비드부(130)로 연장될 수 있다. 이너라이너(170)는 바디 플라이(140)의 일면에 접촉할 수 있으며, 양단은 비드부(130)와 접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레이(200)는 사이드월부(120)의 적어도 일측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는 디스플레이 어레이(200)가 사이드월부(120)의 일측과 타측에 2개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그 개수 및 위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디스플레이 어레이(200)는 타이어(1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는 하나의 예시로서, 디스플레이 어레이(200)는 문자나 숫자 또는 도형 등 다양한 형상을 나타낼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색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어레이(200)는 복수 개의 오목부(210) 및 복수 개의 돌출부(220)와 오목부(210)의 제1 내측벽(211) 및 제2 내측벽(212)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표시 요소(230) 및 복수 개의 제2 표시 요소(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어레이(200)는 복수 개의 오목부(210) 및 복수 개의 돌출부(220)와 오목부(210)의 제1 내측벽(211)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표시 요소(230)를 포함할 수 있다.
오목부(210)는 사이드월부(120)의 일측에 배치되며, 타이어(100)의 폭 방향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210)의 개수 및 깊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어레이(200)로 표시하고자 하는 형상, 색상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오목부(210)는 제1 내측벽(211), 제2 내측벽(212) 및 저벽(213)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레이(200)의 길이 방향으로 제1 내측벽(211)과 제2 내측벽(212)은 오목부(2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며, 저벽(213)은 제1 내측벽(211)과 제2 내측벽(2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220)는 인접하는 오목부(210)의 사이에 배치되며, 타이어(100)의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20)의 개수 및 깊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어레이(200)로 표시하고자 하는 형상, 색상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돌출부(220)의 상면은 사이드월부(12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어레이(200)는 사이드월부(120)에 배치된 상태에서 타이어(100)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주행 시 디스플레이 어레이(200)로 인해 공기 저항이 증가하는 등 차량의 주행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돌출부(220) 또한 미감 또는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즉 돌출부(220)도 오목부(210) 및 오목부(210)에 배치된 표시 요소와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특정한 형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표시 요소(230)는 오목부(210)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어레이(200)의 소정의 형상과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표시 요소(230)는 오목부(210)의 제1 내측벽(211)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는 제1 표시 요소(230)가 제1 내측벽(211)에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1 실시예에서 제1 표시 요소(230)는 제1 내측벽(211) 및 제2 내측벽(212) 중 어느 하나에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제1 표시 요소(230)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제1 표시 요소(23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표시 요소(230)는 타이어(10)의 트레드부(110)와 동일 또는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제1 표시 요소(230)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염화비닐(PVC) 및 폴리프로필렌(PP)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표시 요소(230)는 상면이 돌출부(220)의 상면과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 요소(230)의 일부는 저벽(213)의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표시 요소(230)는 돌출부(220)(또는 오목부(210))와 동일한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220)는 하방을 향해 외측으로 경사진 형상, 즉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오목부(210) 또한 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 요소(230)는 돌출부(220)와 동일한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각각의 제1 표시 요소(230)가 독립적인 미감 또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복수 개의 제1 표시 요소(230)가 디스플레이 어레이(200)에 포함된 상태에서 하나의 미감 또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하나의 디스플레이 어레이(200)에 포함된 복수 개의 제1 표시 요소(230) 중 일부는 어느 하나의 미감 또는 정보를 전달하고, 나머지 일부는 이와 다른 미감 또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표시 요소(230)는 높이 h1을 가질 수 있으며, 돌출부(220)의 높이 H보다 작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표시 요소(230)의 높이 h1는 돌출부(220)의 높이 H의 절반보다 크고, 돌출부(220)의 높이 H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표시 요소(230)의 시인성을 확보하면서, 제1 표시 요소(230)가 돌출부(220)(또는 사이드월부(120))보다 돌출되어 차량의 주행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는 일측(예를 들어 도 4의 좌측)에서 보았을 때는 제1 표시 요소(230)가 돌출부(220)에 가려져 보이지 않으나, 타측(예를 들어 도 4의 우측)에서 보았을 때는 제1 표시 요소(230)가 관찰자의 시야에 들어오게 된다.
또는 디스플레이 어레이(200)를 정면에서 보거나 타이어(10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 볼 경우, 관찰자는 제1 표시 요소(230) 전체를 인식할 수 있으나 상기 각도 범위를 초과할 경우 제1 표시 요소(230)의 일부만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어레이(200)는 관찰자의 시야에 따라 서로 다른 미감과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A)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어레이(200A)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와 비교했을 때, 제1 표시 요소(230)가 오목부(210)의 제1 내측벽(211) 및 제2 내측벽(212)에 모두 배치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A)의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의 나머지 구성과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어레이(200A)에서 제1 표시 요소(230)는 오목부(210)의 제1 내측벽(211) 및 제2 내측벽(212)에 모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제1 표시 요소(230)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하나의 오목부(210)의 제1 내측벽(211) 및 제2 내측벽(212)에 배치된 제1 표시 요소(230)는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A)는 관찰자의 시야에 따라 서로 다른 미감과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어레이(200A)의 길이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예를 들어 도 5의 좌측)과 타측(예를 들어 도 5의 우측)에서 바라보는 각도가 동일하면 동일한 미감과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B)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어레이(200B)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와 비교했을 때, 제2 표시 요소(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B)의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의 나머지 구성과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B)는 오목부(210)에 제2 표시 요소(24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표시 요소(240)는 제1 표시 요소(230)와 형상, 크기 및 색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목부(210)의 제1 내측벽(211)에는 제1 표시 요소(230)가 배치되고, 제2 내측벽(212)에는 제2 표시 요소(24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표시 요소(240)의 높이 h2는 돌출부(220)의 높이 H의 절반보다 크고, 돌출부(220)의 높이 H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표시 요소(240)의 시인성을 확보하면서, 제2 표시 요소(240)가 돌출부(220)(또는 사이드월부(120))보다 돌출되어 차량의 주행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높이 h2는 높이 h1과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B)는 서로 다른 종류의 표시 요소를 구비함으로써 관찰자의 시야에 따라 보다 다양하고 다채로운 미감과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어레이(200B)는 오목부(210)에 제1 표시 요소(230)와 제2 표시 요소(240)를 모두 배치함으로써 관찰자의 시야에 따라 하나의 오목부(210)에서 전혀 다른 형상을 나타내는 모핑(morphing)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C)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어레이(200C)는 전술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B)와 비교했을 때, 오목부(210)에 배치되는 표시 요소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C)의 나머지 구성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B)의 나머지 구성과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어레이(200C)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은 복수 개의 오목부(210)에 제1 표시 요소(230) 및 제2 표시 요소(240) 중 어느 하나만 배치되는 영역이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은 복수 개의 오목부(210)에 제1 표시 요소(230) 및 제2 표시 요소(240)가 모두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은 복수 개의 오목부(210) 및 돌출부(220)에 의해 구획되는 표시 영역일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은 디스플레이 어레이(200C)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며, 각각 제1 내측벽(211)에 배치되는 제1 표시 요소(230) 및 제2 내측벽(212)에 배치되는 제2 표시 요소(2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은 디스플레이 어레이(200C)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제1 표시 요소(230) 및 제2 표시 요소(240)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는 디스플레이 어레이(200C)에 있어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이 중앙부에 배치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각각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제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C)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함으로써 한층 더 다양하고 다채로운 미감과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D)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어레이(200D)는 전술한 제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C)와 비교했을 때, 제3 디스플레이 영역(D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D)의 나머지 구성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C)의 나머지 구성과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어레이(200D)는 오목부(210)에 제1 표시 요소(230) 및 제2 표시 요소(240)가 배치되지 않는 영역인 제3 디스플레이 영역(D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D3)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3 디스플레이 영역(D3)은 디스플레이 어레이(200D)의 중앙부에 하나 배치되거나,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제5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D)는 서로 다른 표시 요소를 구비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D1), 제2 디스플레이 영역(D2)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D3)을 포함함으로써 한층 더 다양하고 다채로운 미감과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E)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어레이(200E)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와 비교했을 때, 제2 표시 요소(2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표시 요소(230)와 제2 표시 요소(240)는 서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제6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E)의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의 나머지 구성과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어레이(200E)는 제1 표시 요소(230) 및 제2 표시 요소(2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표시 요소(230)와 제2 표시 요소(240)는 디스플레이 어레이(200E)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오목부(210)에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어레이(200E)의 복수 개의 오목부(210)에는 각각 하나의 제1 표시 요소(230) 또는 제2 표시 요소(24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어레이(200E)의 일단에 배치된 오목부(210)에는 제1 표시 요소(230)가 배치되고, 이와 인접하는 오목부(210)에는 제2 표시 요소(24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9에는 제1 표시 요소(230)는 제1 내측벽(211)에 배치되고 제2 표시 요소(240)는 제2 내측벽(212)에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1 표시 요소(230)와 제2 표시 요소(240)는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면 충분하고, 그 위치를 제1 내측벽(211) 또는 제2 내측벽(212)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제6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E)는 관찰자가 디스플레이 어레이(200E)를 일측(예를 들어 도 9의 좌측)에서 봤을 때와 타측(예를 들어 도 9의 우측)에서 봤을 때, 전혀 다른 미감과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F)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어레이(200F)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와 비교했을 때, 복수 개의 오목부(210)가 제1 오목부 그룹(210A)과 제2 오목부 그룹(210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7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F)의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의 나머지 구성과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어레이(200F)에 포함된 복수 개의 오목부(210)는 디스플레이 어레이(200F)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일단에서 중앙까지 배치되는 제1 오목부 그룹(210A)과 타단에서 중앙까지 배치되는 제2 오목부 그룹(210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오목부 그룹(210A)과 제2 오목부 그룹(210B)은 디스플레이 어레이(200F)의 중심축 Ax을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표시 요소(230)는 제1 오목부 그룹(210A)에 배치되고, 제2 표시 요소(240)는 제2 오목부 그룹(210B)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어레이(200F)에서 제1 표시 요소(230) 및 제2 표시 요소(240)는 각각 서로 다른 오목부(21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들 오목부(210)는 디스플레이 어레이(200F)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표시 요소(230)는 제1 오목부 그룹(210A)의 제1 내측벽(211)에 배치되고, 제2 표시 요소(240)는 제2 오목부 그룹(210B)의 제2 내측벽(212)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오목부 그룹 내에서 제1 표시 요소(230)와 제2 표시 요소(240)는 각각 동일한 내측벽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제7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F)는 관찰자가 디스플레이 어레이(200F)를 일측(예를 들어 도 10의 좌측)에서 봤을 때와 타측(예를 들어 도 10의 우측)에서 봤을 때, 전혀 다른 미감과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어느 한 방향에서 봤을 때 동일한 형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G)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어레이(200G)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와 비교했을 때, 복수 개의 돌출부(220A)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제8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G)의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의 나머지 구성과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어레이(200G)의 복수 개의 돌출부(220A)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돌출부(220A)는 서로 다른 상면의 면적, 크기 및 인접하는 제1 표시 요소(230)와의 배치 관계 등을 가져,
일 실시예로 복수 개의 돌출부(220A) 중 가장 높이가 큰 돌출부(220A)의 높이 H는 사이드월부(120)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돌출부(220A) 모두 디스플레이 어레이(200G)에 음각으로 형성되어, 차량의 주행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표시 요소(230)의 높이 h1은 모든 돌출부(220A)의 높이보다 작고, 돌출부(220A)의 높이의 절반보다 클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H)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어레이(200H)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와 비교했을 때, 제2 표시 요소(240)를 더 포함하며, 제1 표시 요소(230)와 제2 표시 요소(240)는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0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H)의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의 나머지 구성과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어레이(200H)에서 제1 표시 요소(230) 및 제2 표시 요소(240)는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표시 요소(230) 및 제2 표시 요소(240)는 타이어(10)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됨으로써 오목부(210)의 저벽(213)이 노출될 수 있다. 반면 디스플레이 어레이(200H)에서 제1 표시 요소(230) 및 제2 표시 요소(240)는 저벽(213)과 접촉한 단부가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저벽(213)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표시 요소(230) 및 제2 표시 요소(240)의 단부가 서로 지지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크기, 형상 또는 색상을 갖는 제1 표시 요소(230) 및 제2 표시 요소(240)가 보다 인접하기 배치됨으로써 관찰자의 시야에 따라 디스플레이 어레이(200H)가 표시하는 미감, 정보 또는 형상 등이 보다 급격하게 변화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I)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어레이(200I)는 전술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B)와 비교했을 때, 제3 표시 요소(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0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I)의 나머지 구성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200B)의 나머지 구성과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어레이(200I)는 제3 표시 요소(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표시 요소(250)는 제1 표시 요소(230) 및/또는 제2 표시 요소(240)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3 표시 요소(250)는 제1 내측벽(211) 및/또는 제2 내측벽(212)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표시 요소(250)는 제1 표시 요소(230) 및/또는 제2 표시 요소(240)와 형상, 크기 또는 색상 등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3 표시 요소(250)의 높이 h3는 제1 표시 요소(230)의 높이 h1의 절반보다 크고, h1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h3는 제2 표시 요소(240)의 높이 h2의 절반보다 크고, h2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3 표시 요소(250)는 제1 표시 요소(230) 및 제2 표시 요소(240)의 외측면에 각각 배치되고, 일 방향(예를 들어 도 13의 X축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디스플레이 어레이(200I)는 보다 다양한 미감과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일 방향과 타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어레이는 일측(예를 들어 좌측)에서 보았을 때와 타측(예를 들어 우측)에서 보았을 때, 서로 다른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는 디스플레이 어레이가 동일한 색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표시했으나,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 크기 또는 형상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100)는 사이드월부(120)에 음각으로 디스플레이 어레이(200)를 배치하여, 타이어(100)의 주행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관찰자에게 다양한 미감과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100)는 관찰자의 시야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 크기 또는 색상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초하여 정해져야 한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기술 내용은 일 실시예들로서, 실시예의 기술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설명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기재하기 위해,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과 구성에 대한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는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상기" 또는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타이어
200: 디스플레이 어레이

Claims (12)

  1. 노면과 접촉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의 양측에서 연장되는 사이드월부; 및
    상기 사이드월부의 적어도 일측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제1 내측벽과 제2 내측벽을 갖는 복수 개의 오목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와 교대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 복수 개의 상기 제1 내측벽 및 복수 개의 상기 제2 내측벽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표시 요소 및 복수 개의 제2 표시 요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고,
    상기 디스플레이 어레이는 상기 제1 표시 요소 및 상기 제2 표시 요소의 외측면에 각각 일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상기 오목부의 저벽을 향해 경사져 연장되며, 상기 제1 표시 요소 및 상기 제2 표시 요소보다 낮은 높이를 갖고, 상기 제1 표시 요소 및 상기 제2 표시 요소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한 쌍의 제3 표시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어레이는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제1 표시 요소, 상기 제3 표시 요소, 상기 제3 표시 요소 및 상기 제2 표시 요소가 반복하여 배치되는, 타이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요소 및 상기 제2 표시 요소는 상기 돌출부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타이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요소 및 상기 제2 표시 요소는 상기 제1 내측벽 및 상기 제2 내측벽 중 어느 하나에만 배치되는, 타이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요소 및 상기 제2 표시 요소는 형상, 크기 및 색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이한, 타이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레이는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에 상기 제1 표시 요소 및 상기 제2 표시 요소 중 어느 하나만 배치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에 상기 제1 표시 요소 및 상기 제2 표시 요소가 모두 배치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타이어.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레이는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에 상기 제1 표시 요소 및 상기 제2 표시 요소가 배치되지 않는 제3 디스플레이 영역을 더 포함하는, 타이어.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레이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일단에서 중앙까지 배치되는 제1 오목부 그룹과 타단에서 중앙까지 배치되는 제2 오목부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요소는 상기 제1 오목부 그룹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표시 요소는 상기 제2 오목부 그룹에 배치되는, 타이어.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요소 및 상기 제2 표시 요소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레이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에 교대로 배치되는, 타이어.
  9. 제1 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오목부에 배치된 상기 제1 표시 요소 및 상기 제2 표시 요소는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타이어.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요소 및 상기 제2 표시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상면이 상기 돌출부의 상면과 평행한, 타이어.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하방을 향해 외측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표시 요소 및 상기 제2 표시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돌출부와 동일한 기울기를 갖는, 타이어.
  12. 삭제
KR1020210053748A 2021-04-26 2021-04-26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KR102620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748A KR102620794B1 (ko) 2021-04-26 2021-04-26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748A KR102620794B1 (ko) 2021-04-26 2021-04-26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897A KR20220146897A (ko) 2022-11-02
KR102620794B1 true KR102620794B1 (ko) 2024-01-05

Family

ID=84084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748A KR102620794B1 (ko) 2021-04-26 2021-04-26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79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070B1 (ko) 1995-06-28 2004-04-13 더 굿이어 타이어 앤드 러버 캄파니 무늬 패턴을 갖는 타이어 측벽을 구비한 타이어
JP2012076649A (ja) * 2010-10-04 2012-04-19 Bridgestone Corp タイヤ
JP5447570B2 (ja) 2012-03-27 2014-03-19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JP5618058B2 (ja) 2010-06-10 2014-11-05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010615B2 (ja) 2011-06-15 2016-10-19 カンパニー ジェネラレ デ エスタブリシュメンツ ミシュラン ハイコントラストパターンを備えたタイヤ及びこのようなパターンを保護するリブ
JP2019081510A (ja) * 2017-10-31 2019-05-30 Toyo Tire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8058B2 (ko) * 1974-05-24 1981-04-25
JPS6010615B2 (ja) * 1979-04-09 1985-03-19 久雄 滝 投影画像の接続方法
JP2006256432A (ja) 2005-03-16 2006-09-28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070B1 (ko) 1995-06-28 2004-04-13 더 굿이어 타이어 앤드 러버 캄파니 무늬 패턴을 갖는 타이어 측벽을 구비한 타이어
JP5618058B2 (ja) 2010-06-10 2014-11-05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2012076649A (ja) * 2010-10-04 2012-04-19 Bridgestone Corp タイヤ
JP6010615B2 (ja) 2011-06-15 2016-10-19 カンパニー ジェネラレ デ エスタブリシュメンツ ミシュラン ハイコントラストパターンを備えたタイヤ及びこのようなパターンを保護するリブ
JP5447570B2 (ja) 2012-03-27 2014-03-19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9081510A (ja) * 2017-10-31 2019-05-30 Toyo Tire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897A (ko) 202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1829B2 (en) Pneumatic tire
US8631845B2 (en) Motorcycle tire for running on rough terrain
US20220111685A1 (en) Pneumatic tire
US20160368325A1 (en) Pneumatic Tire
KR101822665B1 (ko) 공기 타이어
US20150210122A1 (en) Pneumatic Tire
ITMI20091182A1 (it) Pneumatico per motoveicolo fuoristrada
US3842884A (en) Radial ply tire with reinforcing belt
US20180264886A1 (en) Tyre for motorcyle wheels
WO2017204300A1 (ja) 空気入りタイヤ
CN104010840A (zh) 用于摩托车的充气轮胎
KR102620794B1 (ko) 디스플레이 어레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US20160176239A1 (en) Pneumatic tire
EP3369590B1 (en) Pneumatic tire for motorcycles
JP2007168651A (ja) 不整地走行用空気入りタイヤ
US4585045A (en) Pneumatic tire for passenger car
US10202008B2 (en) Tire
KR102082950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1905117B1 (ko) 타이어
US11951775B2 (en) Pneumatic tire
KR102118105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661522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561573B1 (ko) 타이어
KR102471064B1 (ko) 타이어
US11667161B2 (en) Pneumatic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