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737B1 - 기업 마케팅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업 마케팅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737B1
KR102620737B1 KR1020230126581A KR20230126581A KR102620737B1 KR 102620737 B1 KR102620737 B1 KR 102620737B1 KR 1020230126581 A KR1020230126581 A KR 1020230126581A KR 20230126581 A KR20230126581 A KR 20230126581A KR 102620737 B1 KR102620737 B1 KR 102620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production
information
performer
candi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6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언
김선중
Original Assignee
박준언
김선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언, 김선중 filed Critical 박준언
Priority to KR1020230194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7104A/ko
Priority to KR1020230195004A priority patent/KR20240007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6Advertisement cre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기업 마케팅을 위한 콘텐츠를 제작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르면, 콘텐츠 제작 장치는 콘텐츠 제작을 의뢰한 기업에 대한 기업 정보와 상기 기업의 콘텐츠 컨셉에 관련된 제작 의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기업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업이 업종과 동일한 비교 기업들에 대한 이용자들의 후기 문구를 수집하고, 상기 후기 문구로부터 상기 이용자들의 상기 업종에 대한 반응에 관련된 반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반응 정보, 및 상기 제작 의뢰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의 제작 방향에 대한 연출 기획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연출 기획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상기 연출 기획 정보에 따라 제작된 기초 영상을 수신하고, 영상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UI 화면을 통한 제작자의 제1 입력에 따라 상기 기초 영상을 편집하여, 콘텐츠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업 마케팅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CORPORATE MARKETING CONTENT}
본 개시(disclosure)는 기업 마케팅을 위한 콘텐츠를 제작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서, 기업의 특징을 고려하여 연출 기획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기업에 대한 맞춤형 콘텐츠 영상을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시대로 진화하면서, 영상, 이미지, 음악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이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기업은 이러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자사의 홍보, 캠페인, 및 이벤트 안내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작 및 유통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자유롭게 시청하고 있다.
종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주로, 기업이 TV와 같은 한정된 채널을 통하여 자사의 상품을 광고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그러나, SNS, 포털 사이트, 동영상 스트리밍 사이트, 콘텐츠 공유 플랫폼 등 광고가 제공될 수 있는 채널이 다양해짐에 따라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활용 분야가 다양해지고 파급력이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품을 판매하는 기업으로부터 의뢰를 받아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문적으로 제작하는 멀티미디어 크리에이터(creator)에 대한 중요성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다.
종래에 따르면, 기업이 콘텐츠 제작자에게 콘텐츠의 제작을 의뢰하고, 콘텐츠 제작자가 기업의 제작 의뢰를 참고하여 콘텐츠를 창작하여 기업에 제공한다. 그러나, 콘텐츠는 콘텐츠의 컨셉과 용도, 및 제작 예산 등 다양한 요인이 고려되어 제작되어야 하며, 기업의 요청에 따른 다양한 요인들을 모두 고려하여 새롭게 콘텐츠를 창작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콘텐츠 제작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었다. 또한, 콘텐츠는 기업의 요청에 따른 광고나 안내 등의 목적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콘텐츠를 시청하는 이용자의 성향을 고려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응하여, 콘텐츠 제작자의 제작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 기술을 지시하지 않는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157532호(2022.11.29)
상술한 바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개시(disclosure)는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서, 기업의 특징과 이용자의 반응을 고려하여 기업 마케팅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서 콘텐츠 제작 용도, 콘텐츠 컨셉, 연출 대상 물품, 제작 예산, 및 시청자의 반응을 이용하여, 연출 기획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서, 후보 출연자와 시나리오 사이의 관련도를 이용하여 출연자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서, 연출 기획 정보에 따라 촬영된 기초 영상들을 편집하여, 기업에게 맞춤형 콘텐츠 영상의 제작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서, 콘텐츠 영상을 구성하는 부분 영상들의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숏폼(short-form)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기업 마케팅을 위한 콘텐츠를 제작하는 시스템에서, 콘텐츠 제작 장치의 동작 방법은 콘텐츠 제작을 의뢰한 기업에 대한 기업 정보와 상기 기업의 콘텐츠 컨셉에 관련된 제작 의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기업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업이 업종과 동일한 비교 기업들에 대한 이용자들의 후기 문구를 수집하고, 상기 후기 문구로부터 상기 이용자들의 상기 업종에 대한 반응에 관련된 반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반응 정보, 및 상기 제작 의뢰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의 제작 방향에 대한 연출 기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연출 기획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상기 연출 기획 정보에 따라 제작된 기초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영상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UI(user interface) 화면을 통한 제작자의 제1 입력에 따라 상기 기초 영상을 편집하여, 콘텐츠 영상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작 의뢰 정보는 콘텐츠 제작 용도, 콘텐츠 컨셉, 연출 대상 물품, 및 제작 예산을 포함하고, 상기 연출 기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제작 용도와 상기 콘텐츠 컨셉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시나리오들 중에서 기초 시나리오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기초 시나리오의 등장 인물에 대한 인물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인물 정보, 상기 연출 대상 물품, 및 상기 제작 예산에 기초하여 출연자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반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초 시나리오의 대본 내 문구를 변경하여, 시나리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출연자, 및 상기 시나리오가 포함된 연출 기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출연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미리 저장된 출연자 목록 내에서, 상기 인물 정보에 매칭되는 후보 출연자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후보 출연자들에 대한 활동 정보, 상기 연출 대상 물품에 관련된 관련 물품, 및 상기 제작 예산을 고려하여, 상기 후보 출연자들과 상기 기초 시나리오 사이의 관련도들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관련도들의 크기에 기반하여 출연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물 정보는 상기 등장 인물의 성별, 나이대, 키와 체중 범위, 및 성향을 포함하고, 상기 활동 정보는 상기 후보 출연자들 각각에 대하여, 시기 별 출연 이력, 업종 별 출연 이력, 및 연출 가능 컨셉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시나리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초 시나리오의 대본을 구성하는 문장들 중에서 상기 반응 정보에 관련된 변경 대상 문장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반응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변경 대상 문장을 변경하여 시나리오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제작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UI 화면을 통한 상기 제작자의 제2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콘텐츠 영상을 구성하는 부분 영상들의 우선 순위와 상기 콘텐츠 영상에 대한 요약 레벨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우선 순위와 상기 요약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부분 영상들 중에서 중요 부분 영상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중요 부분 영상들을 이용하여 숏폼(short form) 콘텐츠를 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기업 마케팅을 위한 콘텐츠를 제작하는 시스템에서, 콘텐츠 제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작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콘텐츠 제작을 의뢰한 기업에 대한 기업 정보와 상기 기업의 콘텐츠 컨셉에 관련된 제작 의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기업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업이 업종과 동일한 비교 기업들에 대한 이용자들의 후기 문구를 수집하고, 상기 후기 문구로부터 상기 이용자들의 상기 업종에 대한 반응에 관련된 반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반응 정보, 및 상기 제작 의뢰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의 제작 방향에 대한 연출 기획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연출 기획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상기 연출 기획 정보에 따라 제작된 기초 영상을 수신하고, 영상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UI(user interface) 화면을 통한 제작자의 제1 입력에 따라 상기 기초 영상을 편집하여 콘텐츠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작 의뢰 정보는 콘텐츠 제작 용도, 콘텐츠 컨셉, 연출 대상 물품, 및 제작 예산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콘텐츠 제작 용도와 상기 콘텐츠 컨셉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시나리오들 중에서 기초 시나리오를 추출하고, 상기 기초 시나리오의 등장 인물에 대한 인물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인물 정보, 상기 연출 대상 물품, 및 상기 제작 예산에 기초하여 출연자를 결정하고, 상기 반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초 시나리오의 대본 내 문구를 변경하여, 시나리오를 결정하고, 상기 출연자, 및 상기 시나리오가 포함된 연출 기획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각각의 측면들 및 특징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정의된다. 종속 청구항들의 특징들의 조합들(combinations)은, 단지 청구항들에서 명시적으로 제시되는 것뿐만 아니라, 적절하게 독립항들의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기술된 임의의 하나의 실시 예(any one embodiment)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본 개시에 기술된 임의의 다른 실시 예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징들의 대안적인 조합이 본 개시에 논의된 하나 이상의 기술적 문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감시키거나, 본 개시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식별될 수 있는(discernable) 기술적 문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감시키고, 나아가 실시 예의 특징들(embodiment features)의 이렇게 형성된 특정한 조합(combination) 또는 순열(permutation)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양립 불가능한(incompatible) 것으로 이해되지만 않는다면, 그 조합은 가능하다.
본 개시에 기술된 임의의 예시 구현(any described example implementation)에 있어서 둘 이상의 물리적으로 별개의 구성 요소들은 대안적으로, 그 통합이 가능하다면 단일 구성 요소로 통합될 수도 있으며, 그렇게 형성된 단일한 구성 요소에 의해 동일한 기능이 수행된다면, 그 통합은 가능하다. 반대로, 본 개시에 기술된 임의의 실시 예(any embodiment)의 단일한 구성 요소는 대안적으로, 적절한 경우, 동일한 기능을 달성하는 둘 이상의 별개의 구성 요소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들(certain embodiments)의 목적은 종래 기술과 관련된 문제점 및/또는 단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 완화 또는 제거하는 것에 있다. 특정 실시 예들(certain embodiments)은 후술하는 장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서 기업의 특징과 이용자의 반응을 고려하여 기업 마케팅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서 콘텐츠 제작 용도, 콘텐츠 컨셉, 연출 대상 물품, 제작 예산, 및 시청자의 반응을 이용하여, 기업 맞춤형 연출 기획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서 후보 출연자와 시나리오 사이의 관련도를 이용하여, 시나리오에 대응되는 최적의 출연자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서 연출 기획 정보에 따라 촬영된 기초 영상들을 편집하여, 기업에게 맞춤형 콘텐츠 영상을 제작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서 콘텐츠 영상을 구성하는 부분 영상들의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숏폼(short-form) 콘텐츠를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게 한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된, 첨부 도면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업 마케팅을 위한 콘텐츠를 제작하는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작 시스템의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서, 프로그램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서, 콘텐츠 제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서, 콘텐츠 영상을 제작하는 과정에 대한 모식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서, 연출 기획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모식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작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서, 콘텐츠 제작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서, 콘텐츠 제작 장치가 출연자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접근 방법을 예시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소프트웨어 기반의 접근 방법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개시는 기업 마케팅을 위한 콘텐츠를 제작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기업의 특징과 이용자의 반응을 고려하여 연출 기획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기업에 대한 맞춤형 콘텐츠 영상을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기술을 설명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고 기술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요소 외에 또 다른 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예들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설명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능 블록이 수행하는 기능은 복수의 기능 블록에 의해 수행되거나, 본 개시에서 복수의 기능 블록이 수행하는 기능들은 하나의 기능 블록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특정 조건의 만족(satisfied), 충족(fulfilled)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초과 또는 미만의 표현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일 예를 표현하기 위한 기재일 뿐 이상 또는 이하의 기재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으로 기재된 조건은 '초과', '이하'로 기재된 조건은 '미만', '이상 및 미만'으로 기재된 조건은 '초과 및 이하'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영상은 평면 또는 공간에 배열된 광선, 혹은 매체에 의해 정보를 시각으로 포착하도록 구상화한 이미지를 지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업 마케팅을 위한 콘텐츠를 제작하는 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은 기업의 콘텐츠 제작 의뢰에 대응되는 맞춤형 콘텐츠를 제작하는 시스템을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에 따르면, 기업은 콘텐츠 제작자에게 콘텐츠의 제작을 의뢰하고, 콘텐츠 제작자는 기업의 제작 의뢰와 기업 정보를 고려하여 콘텐츠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제작자는 기업으로부터의 제작 의뢰 정보와 콘텐츠 이용자들에 대한 반응 정보를 고려하여 콘텐츠의 용도, 컨셉, 연출 대상 물품, 및 제작 예산 등을 고려하여 영상 제작을 위한 연출 기획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연출 기획 정보를 고려하여 영상을 촬영함으로써, 콘텐츠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은 기업 단말(101), 영상 촬영 장치(103), 콘텐츠 제작 장치(105), 서버(107), 및 네트워크(109)를 포함할 수 있다.
기업 단말(101)은 기업이 운용하는 전자 장치를 지시한다. 기업은 마케팅을 위한 콘텐츠 영상을 필요로 하는 자연인 또는 법인을 지시하며, 기업의 임직원은 기업 단말(101)을 이용하여 콘텐츠 제작자에게 콘텐츠를 의뢰할 수 있다. 기업 단말(101)은 기업의 임직원으로부터의 입력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콘텐츠 제작을 위한 제작 의뢰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업 단말(101)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업 단말(101)은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를 지시할 수 있다. 기업 단말(101)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09)를 통해 서버(107), 및 콘텐츠 제작 장치(105)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103)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를 지시한다. 콘텐츠 제작자는 영상 촬영 장치(103)를 이용하여 기초 영상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기초 영상을 콘텐츠 제작 장치(105)로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촬영 장치(103)는 고정 렌즈가 구비되어 촬영 범위가 고정된 단일 고정식 카메라 또는 촬영 범위가 가변적인 PTZ(pan-tilt-zoom)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PTZ 카메라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는 팬(pan) 동작과 수직 방향으로 회전되는 틸트(tilt) 동작 및 줌인/줌아웃 동작에 의해 한 대의 카메라로 다양한 감시 영역을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103)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109)를 통해 다른 장치와 연결되어 영상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콘텐츠 제작자가 운용하는 전자 장치로서, 콘텐츠 영상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콘텐츠의 제작을 의뢰하는 기업에 대한 기업 정보와 제작 의뢰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촬영을 위한 연출 기획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연출 기획 정보를 콘텐츠 제작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영상 촬영 장치(103)로부터 연출 기획 정보에 따라 촬영된 기초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기초 영상을 편집함으로써, 콘텐츠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제작 장치(105) 또한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7)는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전자 장치를 지시한다. 즉, 서버(107)는 콘텐츠 제작 과정에서 요구되는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 장치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7)는 영상을 시청한 이용자에 대한 반응을 기록한 외부 기업이나 콘텐츠 제작자가 운용하는 전자 장치를 지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107)는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콘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의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109)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네트워크(109)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 (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에 따르면,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기업 정보와 제작 의뢰 정보로부터 콘텐츠 컨셉과 용도에 따른 연출 기획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자는 출력된 연출 기획 정보를 확인하고 영상 촬영 장치(103)를 이용하여 기초 영상을 제작할 수 있으며, 콘텐츠 제작 장치(105)를 이용하여 기초 영상을 편집함으로써 콘텐츠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 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에서 콘텐츠 제작 장치(105)가 콘텐츠 영상을 제작하는 구체적인 방법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의 네트워크 환경(200)을 도시한다.
네트워크 환경(200)에서, 기업 단말(101)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콘텐츠 제작 장치(105)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업 단말(101)은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모듈(150), 음향 출력 모듈(155), 디스플레이 모듈(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연결 단자(178),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에서 기업 단말(101)이 기업 정보나 제작 의뢰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기업 단말(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메모리(130)에 저장하거나,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업 단말(101)이 메인 프로세서(121)와 보조 프로세서(123)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111)로부터 기업에 대한 업종, 규모, 소재지, 판매 정보 등에 관한 입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기업 단말(101)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기업 단말(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소프트웨어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그램(140)은 운영 체제(142), 미들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기업 단말(101)과 외부 전자 장치, 전자 장치, 또는 투자 정보 제공 장치(105)) 간의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 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과 유선 통신 모듈(194)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추가로, 기업 단말(101)은 구성 요소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기업 단말(101)의 외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입력 모듈(150),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음향 출력 모듈(155), 기업 단말(101)의 외부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160),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키는 오디오 모듈(170), 기업 단말(101)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하는 센서 모듈(176), 기업 단말(101)이 외부 전자 장치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177), 외부 전자 장치와 물리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 단자(178),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하는 햅틱 모듈(179),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180), 기업 단말(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하는 전력 관리 모듈(188),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18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각각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기능적으로 분리된 경우를 예시하지만, 기업 단말(101)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되거나, 추가되거나 통합되어 동작할 수 있다.
기업 단말(101)은 서버(107), 영상 촬영 장치(103), 및 콘텐츠 제작 장치(105)와 같은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메모리(130)에 저장 후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기업 단말(101)은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60)에 콘텐츠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기업의 임직원에게 콘텐츠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서, 기업 단말(101)이 콘텐츠 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에서 프로그램(140)의 구성과 동작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에서, 프로그램(140)의 구성(300)을 도시한다.
프로그램(140)은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서, 콘텐츠의 제작을 의뢰하는 기업의 기업 단말(101)에 의하여 구현되는 소프트웨어 등을 지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그램(140)은 기업 단말(101)의 하나 이상의 리소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 체제(142), 미들웨어(144), 및 운영 체제(142)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체제(142)는 AndroidTM, iOSTM, WindowsTM, SymbianTM, TizenTM, 또는 BadaTM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140) 중 적어도 일부 프로그램은 제조 시에 단말(101)에 프리로드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다운로드 및 갱신될 수 있다.
운영 체제(142)는 단말(101)의 하나 이상의 시스템 리소스들의 관리를 제어할 수 있다. 운영 체제(142)는 단말(101)의 다른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구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드라이버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144)는 단말(101)의 하나 이상의 리소스들로부터 제공되는 기능 또는 정보가 어플리케이션(146)에 의해 사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들을 어플리케이션(146)으로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44)는 어플리케이션(146)의 생명 주기를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 매니저(201), 화면에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GUI 자원들을 관리하는 윈도우 매니저(203), 미디어 파일의 인코딩 또는 디코딩을 수행하는 멀티미디어 매니저(205), 어플리케이션(146)의 소스 코드 또는 메모리(130)의 메모리의 공간을 관리하는 리소스 매니저(207), 단말(101)의 동작에 필요한 관련 정보를 결정 또는 제공하는 파워 매니저(209),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검색, 또는 변경하는 데이터베이스 매니저(211), 패키지 파일의 형태로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갱신을 관리하는 패키지 매니저(213), 단말(101)과 외부 전자 장치 간의 무선 연결 또는 직접 연결을 관리하는 커넥티비티 매니저(215), 이벤트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제공하는 노티피케이션 매니저(217), 단말(101)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로케이션 매니저(219), 그래픽 효과들 또는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그래픽 매니저(221), 시스템 보안 또는 사용자 인증을 제공하는 시큐리티 매니저(223), 통화 기능을 관리하는 통화 매니저(225), 및 음성 인식 매니저(227)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46) 콘텐츠의 제작을 위한 기업 정보와 제작 의뢰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 등, 제작된 콘텐츠 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에서 수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을 지시한다. 어플리케이션(146)은 홈(251), 다이얼러(253), SMS/MMS(255), IM(instant message)(257), 브라우저(259), 카메라(261), 알람(263), 컨택트(265), 음성 인식(267), 이메일(269), 달력(271), 미디어 플레이어(273), 앨범(275), 와치(277), 헬스(279), 또는 환경 정보(281)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146)은 단말(101)과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정보 교환을 지원할 수 있는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은 외부 전자 장치로 지정된 정보를 전달하도록 설정된 노티피케이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도록 설정된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노티피케이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은, 단말(101)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된 지정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단말(101)과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 또는 그 일부 구성 요소의 전원 또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삭제, 또는 갱신을 지원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에서, 기업 단말(101)은 디스플레이 모듈(160)에 어플리케이션(146)을 통해 제공받은 UI 화면들을 표시할 수 있으며, 기업의 임직원은 UI 화면을 통해 기업 정보나 콘텐츠 제작 의뢰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콘텐츠 제작 장치(105)로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 콘텐츠 제작 장치(105)의 구체적인 구성과 동작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에서, 콘텐츠 제작 장치(105)의 구성(400)을 도시한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메모리(410), 프로세서(420), 통신부(430), 입출력 인터페이스(440), 및 디스플레이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410)는 콘텐츠 제작 장치(105)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지시한다. 메모리(410)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을 이용하여 메모리(410)와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부(430)를 통해 메모리(4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410)는 프로세서(42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410)는 콘텐츠 컨셉에 관련된 제작 의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410)는 연출 기획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후보 출연자들에 대한 목록, 활동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420)는 콘텐츠 제작 장치(105)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20)는 통신부(430)를 통해 신호가 송신 및 수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410) 또는 통신부(430)에 의해 프로세서(4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20)는 메모리(4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20)는 콘텐츠 제작 장치(105)가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20)는 콘텐츠 제작을 의뢰한 기업에 대한 기업 정보와 기업의 콘텐츠 컨셉에 관련된 제작 의뢰 정보를 획득하고, 기업 정보를 이용하여, 기업이 업종과 동일한 비교 기업들에 대한 이용자들의 후기 문구를 수집하고, 후기 문구로부터 이용자들의 업종에 대한 반응에 관련된 반응 정보를 생성하고, 반응 정보, 및 제작 의뢰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의 제작 방향에 대한 연출 기획 정보를 생성하고, 연출 기획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연출 기획 정보에 따라 제작된 기초 영상을 수신하고, 영상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UI 화면을 통한 제작자의 제1 입력에 따라 기초 영상을 편집하여, 콘텐츠 영상을 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43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통신부(43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통신부(430)는 통신망을 통해 콘텐츠 제작 장치(105)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노드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제작 장치(105)의 프로세서(420)가 메모리(4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요청 신호를 생성한 경우, 요청 신호는 통신부(430)의 제어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다른 노드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노드의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콘텐츠, 파일 등이 통신부(430)를 통해 콘텐츠 제작 장치(105)로 수신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430)는 제작된 콘텐츠 영상을 기업 단말(101)로 송신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440)는 입출력 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이때 입력 장치는 예를 들어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등과 같은 장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4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제작 장치(105)의 프로세서(420)는 메모리(410)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콘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440)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출력 인터페이스(440)는 디스플레이부(45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440)는 디스플레이부(450)에 표시된 웹 브라우징 윈도우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전술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부(450)를 통해 출력할 출력 데이터를 프로세서(420)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출력 인터페이스(440)는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콘텐츠의 제작 과정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50)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시한다. 디스플레이부(45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각각은 개별적으로 독립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고, 전술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가 결합하여 단일 콘텐츠를 표시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45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다중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물리적으로 결합된 다중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으며, 하나의 화면을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450)는 콘텐츠 제작의 진행 현황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기업 정보와 제작 의뢰 정보를 획득한 이후에, 콘텐츠 제작을 의뢰한 기업의 업종과 동일한 비교 기업들을 추출하고 비교 기업의 후기들을 수집함으로써 이용자의 반응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제작 의뢰 정보와 반응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 영상의 출연자, 시나리오를 추천함으로써, 기업의 특징과 이용자의 반응이 모두 고려된 콘텐츠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에서, 콘텐츠 영상을 제작하는 과정에 대한 모식도(500)를 도시한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기업 정보(501)와 제작 의뢰 정보(503)를 이용하여 연출 기획 정보(509)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연출 기획 정보(509)를 콘텐츠 제작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콘텐츠 제작자는 연출 기획 정보(509)를 활용하여 기초 영상(511)을 촬영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UI(user interface) 화면을 통한 제작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기초 영상(511)을 편집함으로써 콘텐츠 영상(515)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기업에 대한 기업 정보(501)와 콘텐츠 컨셉에 관련된 제작 의뢰 정보(503)를 획득한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기업 단말(101)로부터 기업 정보(501)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기업 정보(501)는 기업에 대한 업종, 규모, 소재지, 기업이 판매하는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제작 의뢰 정보(503)를 획득한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기업 단말(101)로부터 제작 의뢰 정보(503)를 수신하거나,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UI 화면을 통한 입력에 따라, 제작 의뢰 정보(503)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작 의뢰 정보(503)는 콘텐츠 제작 용도, 콘텐츠 컨셉, 연출 대상 물품, 및 제작 예산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콘텐츠의 제작을 의뢰한 기업의 업종 등에 관한 기업 상세 정보와 콘텐츠의 방향성을 결정하기 위한 제작 의뢰 정보(503)를 획득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기업 정보(501)를 이용하여, 기업의 업종과 동일한 비교 기업들에 대한 이용자들의 후기 문구(505)를 수집한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기업 정보(501)에 포함된 기업의 업종을 확인하고 기업과 업종이 동일한 비교 기업들을 검색할 수 있다. 이후,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웹 크롤링(crawling)을 이용하여 비교 기업들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의 후기에 관련된 문구를 모두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비교 기업들 각각에 대하여, 상품 판매 페이지나 광고 페이지에서 구매자 이용 후기에 입력된 문구들을 크롤링 함으로써 후기 문구(505)를 수집할 수 있다.
이후,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후기 문구(505)를 이용하여 반응 정보(507)를 생성한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후기 문구(505)로부터 이용자들의 해당 업종에 대한 반응에 관련된 반응 정보(507)를 획득할 수 있다. 후기 문구(505)는 이용자들의 의견이 다수의 문장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반응 정보(507)는 후기 문구(505)에 따라 해당 업종에 대하여 자주 언급된 이용자들의 불만 사항, 요구 사항, 만족도, 등에 관련된 키워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후기 문구(505)를 요약하거나, 후기 문구(505)에 포함된 키워드를 추출하거나, 자주 사용된 문장을 추출함으로써 반응 정보(507)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업의 업종이 미백 화장품을 판매하는 업인 경우, 반응 정보(507)는 키워드로부터 추출되는 '촉촉해요', '산뜻해요'와 같이 미백 화장품에 대한 이용자들의 요구사항을 지시할 수 있다. 즉,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업종이 동일한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하여, 비교 기업에 대한 후기를 참고함으로써 이용자들이 관심 있어 하는 내용이 무엇인지,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효과가 무엇인지를 확인함으로써, 이를 콘텐츠 영상에 활용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반응 정보(507)와 제작 의뢰 정보(503)를 이용하여 콘텐츠 영상의 제작 방향에 대한 연출 기획 정보(509를 생성한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기업의 요청 사항에 대한 제작 의뢰 정보(503)와 이용자의 반응에 대한 반응 정보(507)를 모두 고려하여, 연출 기획 정보(509)를 생성함으로써, 기업과 이용자 모두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연출 기획 정보(509)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연출 기획 정보(509)는 시나리오와 출연자를 지시할 수 있으며,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시나리오와 출연자를 콘텐츠 제작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가 연출 기획 정보(509)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도 6에서 설명된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연출 기획 정보(509)를 디스플레이부(450)에 표시하여 콘텐츠 제작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기초 영상(511)을 획득(561)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제작자는 콘텐츠 제작 장치(105)가 생성한 연출 기획 정보(509)를 확인하고 영상 촬영 장치(103)를 이용하여 기초 영상(511)을 촬영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영상 촬영 장치(103)로부터 기초 영상(511)을 수신함으로써, 기초 영상(511)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기초 영상(511)은 콘텐츠 제작의 기초가 되는 영상으로써, 연출 기획 정보(509)의 시나리오와 출연자에 맞게 제작된 영상을 지시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영상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UI 화면을 통한 콘텐츠 제작자의 입력에 따라 기초 영상(511)을 편집함으로써 콘텐츠 영상(515)을 제작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영상 편집을 위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UI 화면을 통한 콘텐츠 제작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으며, 제작자의 입력에 따라 기초 영상(511)을 편집함으로써 콘텐츠 영상(515)을 생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콘텐츠 영상(515)이 제작된 이후에, 콘텐츠 영상(515)을 홍보하기 위한 숏폼(short-form)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숏폼 콘텐츠는 15초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짧은 영상 콘텐츠를 지시하며, 대형 영상 공유 플랫폼들은 이용자가 보다 많은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숏폼 콘텐츠들로만 구성된 채널을 제공하고 있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콘텐츠 영상(515)을 제작한 이후, 콘텐츠 영상(515)을 이용하여 숏폼 콘텐츠를 추가적으로 제작함으로써, 기업에게 보다 다양한 콘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UI 화면을 통하여 제작자의 숏폼 제작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숏폼 제작 입력은 콘텐츠 영상(515)을 복수의 부분 영상들로 구분하는 구분 지점, 각각의 부분 영상들에 대한 우선 순위, 및 콘텐츠 영상(515)에 대한 요약률을 지시하는 요약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초 영상은 연출 기획 정보에 따라 여러 구도에서 촬영된 영상들을 지시하고, 콘텐츠 영상(515)은 기초 영상(511)을 편집하여 제작되므로, 콘텐츠 영상은 촬영 구도가 변화는 시점을 기준으로 복수의 부분 영상들의 구분될 수 있다. 콘텐츠 제작자는 콘텐츠 영상(515)에서 촬영 구도가 변화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콘텐츠 영상(515)을 복수의 부분 영상들로 분할할 수 있으며, 각각의 부분 영상들에 중요도를 입력함으로써 우선 순위를 지정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부분 영상들의 우선 순위, 요약 레벨을 획득한 이후, 우선 순위와 요약 레벨에 기초하여 부분 영상들 중에서 중요 부분 영상들을 추출하고, 중요 부분 영상들을 이용하여 숏폼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영상(515)의 재생 시간이 100초이고 요약 레벨이 0.15인 경우에서,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복수의 부분 영상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 나열한 이후에 우선 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부분 영상들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부분 영상들의 재생 시간의 합과 15초의 차이가 증가하는 지점 이후에 영상 추출을 멈춤으로써, 15초에 근접하게 중요 부분 영상들을 추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중요 부분 영상들을 합성함으로써 숏폼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에서, 연출 기획 정보(509)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모식도(600)를 도시한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제작 의뢰 정보(503)를 이용하여 기초 시나리오(611)를 생성할 수 있으며, 반응 정보(507)를 이용하여 기초 시나리오(611)를 갱신함으로써 시나리오(621)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기초 시나리오(611)로부터 출연자(622)를 결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시나리오(621)와 출연자(622)가 포함된 연출 기획 정보(509)를 생성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기업 단말(101)로부터 수신하거나 콘텐츠 제작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제작 의뢰 정보(503)를 획득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작 의뢰 정보(503)는 콘텐츠 제작 용도(601), 콘텐츠 컨셉(602), 연출 대상 물품(603), 및 제작 예산(60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제작 용도(601)는 콘텐츠 영상(515)의 제작 목적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기업 브랜드 광고, 기업이 판매하는 상품 광고, 기업이 진행하는 캠페인, 행사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컨셉(602)은 기업이 요구하는 영상 분위기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편안한, 재미있는, 엄숙한, 감동적인, 무거운, 들뜬 등 다양한 분위기 키워드를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연출 대상 물품(603)은 기업이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지시할 수 있으며, 제작 예산(604)은 기업이 요구하는 제작 예산 범위를 지시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콘텐츠 제작 용도(601)와 콘텐츠 컨셉(602)에 기초하여 기초 시나리오(611)를 결정한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데이터베이스나 메모리에 콘텐츠 제작 방향에 대한 복수의 시나리오들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즉,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크리에이터가 구상한 복수의 시나리오들을 콘텐츠 제작 용도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고, 콘텐츠 제작 용도 각각에서 콘텐츠 컨셉 각각에 대응되는 시나리오를 미리 저장해둘 수 있다. 그에 따라,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콘텐츠 제작 용도(601)와 콘텐츠 컨셉(602)에 기반하여 복수의 시나리오들 중 하나의 기초 시나리오(611)를 추출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기초 시나리오(611)에서 등장 인물에 대한 인물 정보를 획득하고, 인물 정보, 연출 대상 물품(603), 및 제작 예산(604)을 고려하여 출연자(622)를 결정한다. 기초 시나리오(611)는 크리에이터가 제작한 시나리오 대본, 등장 인물의 스펙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기초 시나리오(611)에서 등장 인물의 스펙에 대한 인물 정보를 이용하여 출연자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인물 정보는 시나리오 구성에 필요한 등장 인물의 성별, 나이대, 키와 체중 범위, 및 출연자 성향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메모리(410)에 미리 저장된 출연자 목록들을 참고하여 인물 정보에 매칭되는 후보 출연자들을 추출하고, 후보 출연자들에 대한 활동 정보, 연출 대상에 관련된 관련 물품, 및 제작 예산을 고려하여 후보 출연자들과 기초 시나리오(611) 사이의 관련도를 산출함으로써, 출연자(622)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관련 물품은 해당 물품을 포괄하는 확장 물품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출 대상 물품(603)이 '미백 화장품'인 경우, 관련 물품은 미백 화장품을 포괄하는 '화장품'을 지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출연 가능한 배우들의 성별, 나이대, 키와 체중 범위, 및 성향에 대한 출연자 목록을 미리 저장할 수 있으며, 출연자 목록에서 인물 정보에 매칭되는 후보 출연자들을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후보 출연자들 각각에 대한 활동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활동 정보는 후보 출연자 각각에 대한 시기 별 출연 이력, 업종 별 출연 이력, 및 연출 가능 컨셉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후보 출연자들 각각에 대하여, 활동 정보, 연출 대상 물품(603), 및 제작 예산(604)을 이용하여 후보 출연자와 기초 시나리오(611) 사이의 관련도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관련도는 <수학식 1>에 기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1>을 참고하면, Rk는 기초 시나리오와 k번 후보 출연자 사이의 관련도, Cb는 제작 예산 중 출연자 비용, Cp는 k번 후보 출연자의 출연료, N0는 k번 후보 출연자에 대하여 전체 활동 이력에서 후보 출연자로 추출된 횟수, NT는 k번 후보 출연자가 최종 출연자로 결정된 횟수, M0는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서 k번 후보 출연자가 후보 출연자로 추출된 횟수, MT는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서 k번 후보 출연자가 최종 출연자로 결정된 횟수, xr은 k번 후보 출연자가 관련 물품에 관련하여 활동한 비율, c1은 콘텐츠 제작자가 설정한 제1 환상 상수, c2는 콘텐츠 제작자가 설정한 제2 환산 상수, L0는 k번 후보 출연자의 전체 컨셉의 수, Lr는 k번 후보 출연자의 전체 컨셉 중에서 제작 의뢰 정보의 콘텐츠 컨셉에 매칭되는 컨셉의 수를 지시할 수 있다.
<수학식 1>에 따르면, 관련도는 최근 출연 비중, 비용 차이, 컨셉 매칭률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후보 출연자들 각각에 대하여 시나리오 사이의 관련도를 연산하고, 관련도가 가장 높은 후보 출연자를 출연자(622)로 선택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반응 정보(507)를 이용하여 기초 시나리오(611)의 대본을 수정함으로써, 시나리오(621)를 결정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기초 시나리오(611)의 대본을 구성하는 문장들에서 반응 정보에 관련된 변경 대상 문장을 추출할 수 있다. 반응 정보(507)는 상품의 효과를 설명하거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요청 사항에 관련되므로,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문장들에서 효과에 관련된 문장을 추출하거나, 반응 정보(507)에 포함된 키워드가 검출되는 문장을 추출하여 변경 대상 문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반응 정보(507)의 키워드를 이용하여 변경 대상 문장에 포함시킴으로써, 시나리오의 대본을 수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시나리오(621)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반응 정보가 '촉촉한'인 경우에서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기초 시나리오(611)의 대본 중 상품의 재질을 설명하는 문장을 변경 대상 문장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변경 대상 문장의 효과에 '촉촉한'의 내용을 추가하고 강조 표시를 하여 대본을 갱신함으로써 시나리오(621)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시나리오(621)와 출연자(622)가 포함된 연출 기획 정보(509)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700)를 도시한다.
도 7을 참고하면 단계(701)에서, 기업 단말(101)은 기업 정보(501)와 제작 의뢰 정보(503)를 콘텐츠 제작 장치(105)로 송신한다. 기업 단말(101)은 기업의 임직원으로부터 기업의 업종에 대한 기업 정보와 기업이 요구하는 콘텐츠 영상의 제작 의뢰 내용을 콘텐츠 제작 장치(105)로 송신할 수 있다.
단계(703)에서,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비교 기업들에 대한 이용자들의 후기 문구(505)를 수집하여 반응 정보(507)를 생성한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기업 정보(501)를 이용하여, 기업과 업종이 동일한 비교 기업들을 선택하고, 비교 기업들의 광고 페이지나 판매 페이지, 홈페이지 등에서 비교 기업에 대한 후기들을 수집할 수 있다. 이후,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후기들으로부터 반응 정보(507)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705)에서,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반응 정보(507)와 제작 의뢰 정보(503)를 이용하여 연출 기획 정보(509)를 생성한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제작 의뢰 정보(503)에 포함된 콘텐츠 제작 용도(601)와 콘텐츠 컨셉(602)에 대응되는 기초 시나리오(611)를 추출할 수 있다. 반응 정보(507)를 이용하여 기초 시나리오(611)로부터 시나리오(621)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기초 시나리오(611)와 연출 대상 물품(603), 및 제작 예산(604)을 이용하여 출연자(622)를 생성할 수 있으며, 시나리오(621)와 출연자(622)를 종합하여 연출 기획 정보(509)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707)에서,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연출 기획 정보(509)를 영상 촬영 장치(103)로 송신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연출 기획 정보(509)에 따른 기초 영상(511)을 획득하기 위하여, 연출 기획 정보(509)를 영상 촬영 장치(103)로 송신할 수 있다. 도 7은 콘텐츠 제작 장치(105)가 연출 기획 정보(509)를 영상 촬영 장치(103)로 직접 전달하는 경우를 예시하지만,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디스플레이부(450)에 연출 기획 정보(509)를 표시하여 콘텐츠 제작자에게 제공하고, 콘텐츠 제작자가 연출 기획 정보(509)를 확인하여 영상 촬영 장치(103)에 연출 기획 정보(509)를 입력하거나 연출 기획 정보에 따라 기초 영상(511)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709)에서 영상 촬영 장치(103)는 기초 영상(511)을 콘텐츠 제작 장치(105)로 송신한다. 영상 촬영 장치(103)는 연출 기획 정보(509)에 따라 기초 영상(511)을 생성하고, 생성된 기초 영상(511)을 콘텐츠 제작 장치(105)로 송신할 수 있다.
단계(711)에서,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제작자의 입력에 따라 기초 영상(511)을 편집하여 콘텐츠 영상(515)을 생성한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기초 영상(511)을 수신한 이후에, 영상 편집을 위한 UI 화면을 콘텐츠 제작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자는 UI 화면을 통하여 편집 방법을 입력함으로써, 기초 영상(511)을 편집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콘텐츠 영상(515)을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에서, 콘텐츠 제작 장치(105)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800)를 도시한다. 도 8은 기업 마케팅을 위한 콘텐츠를 제작하는 시스템에서 콘텐츠 제작 장치(105)의 프로세서(420)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
도 8을 참고하면 단계(801)에서,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콘텐츠 제작을 의뢰한 기업에 대한 기업 정보와 기업의 콘텐츠 컨셉에 관련된 제작 의뢰 정보를 획득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기업 단말(101)로부터 기업에 대한 기업 정보(501)와 콘텐츠 제작 방향성에 대한 제작 의뢰 정보(503)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기업 정보(501)와 제작 의뢰 정보(503)를 직접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여기서, 제작 의뢰 정보는 콘텐츠 제작 용도, 콘텐츠 컨셉, 연출 대상 물품, 및 제작 예산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803)에서,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기업 정보를 이용하여, 기업이 업종과 동일한 비교 기업들에 대한 이용자들의 후기 문구를 수집하고, 후기 문구로부터 이용자들의 업종에 대한 반응에 관련된 반응 정보를 생성한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기업 정보(501)를 이용하여 콘텐츠 제작을 의뢰한 기업과 업종이 동일한 비교 기업을 선택하고, 비교 기업에 대한 후기로부터 반응 정보(507)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805)에서,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반응 정보, 및 제작 의뢰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의 제작 방향에 대한 연출 기획 정보를 생성한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반응 정보(507), 제작 의뢰 정보(503)를 이용하여 영상의 시나리오 및 출연자가 포함된 연출 기획 정보(509)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콘텐츠 제작 용도와 콘텐츠 컨셉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시나리오들 중에서 기초 시나리오를 추출하고, 기초 시나리오의 등장 인물에 대한 인물 정보를 획득하고, 인물 정보, 연출 대상 물품, 및 제작 예산에 기초하여 출연자를 결정하고, 반응 정보를 이용하여 기초 시나리오의 대본 내 문구를 변경하여, 시나리오를 결정하고, 출연자, 및 시나리오가 포함된 연출 기획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기초 시나리오의 대본을 구성하는 문장들 중에서 반응 정보에 관련된 변경 대상 문장을 추출하고, 반응 정보에 기반하여 변경 대상 문장을 변경하여 시나리오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807)에서,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연출 기획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연출 기획 정보에 따라 제작된 기초 영상을 수신한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연출 기획 정보(509)를 디스플레이부(450)에 표시하여 콘텐츠 제작자에게 알릴 수 있다. 콘텐츠 제작자는 표시된 연출 기획 정보(509)를 확인하여 기초 영상(511)을 제작할 수 있으며, 영상 촬영 장치(103)는 제작된 영상을 콘텐츠 제작 장치(105)로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영상 촬영 장치(103)로 연출 기획 정보(509)를 직접 송신하고 기초 영상(511)을 수신할 수도 있다.
단계(809)에서,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영상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UI 화면을 통한 제작자의 제1 입력에 따라 기초 영상을 편집하여, 콘텐츠 영상을 제작한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콘텐츠 제작자가 기초 영상(511)을 편집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자는 UI 화면을 통한 편집 내용을 입력하여 기초 영상(511)을 편집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콘텐츠 영상(515)을 제작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콘텐츠 영상(515)을 이용하여 숏폼 콘텐츠를 추가로 제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UI 화면을 통한 제작자의 제2 입력에 기반하여, 콘텐츠 영상을 구성하는 부분 영상들의 우선 순위와 콘텐츠 영상에 대한 요약 레벨을 획득하고, 우선 순위와 요약 레벨에 기초하여 부분 영상들 중에서 중요 부분 영상들을 추출하고, 중요 부분 영상들을 이용하여 숏폼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콘텐츠 제작 시스템(100)에서, 콘텐츠 제작 장치(105)가 출연자(622)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900)를 도시한다. 도 9는 콘텐츠 제작 장치(105)의 프로세서(420)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
도 9를 참고하면 단계(901)에서,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미리 저장된 출연자 목록 내에서, 인물 정보에 매칭되는 후보 출연자들을 추출한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영상을 촬영하는 출연 배우의 목록을 지시하는 출연자 목록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미리 저장된 출연자 목록을 이용하여 인물 정보에 매칭되는 후보 출연자들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인물 정보는 등장 인물의 성별, 나이대, 키와 체중 범위, 및 성향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903)에서,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후보 출연자들에 대한 활동 정보, 연출 대상 물품에 관련된 관련 물품, 및 제작 예산을 고려하여, 후보 출연자들과 기초 시나리오(611) 사이의 관련도들을 산출한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후보 출연자들을 추출한 이후, 후보 출연자들에 대한 활동 정보, 관련 물품, 및 제작 예산을 고려하여 후보 출연자와 기초 시나리오(611) 사이의 관련도들을 연산할 수 있다. 여기서, 활동 정보는 후보 출연자들 각각에 대하여, 시기 별 출연 이력, 업종 별 출연 이력, 및 연출 가능 컨셉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수학식 1>에 기반하여, 후보 출연자와 기초 시나리오(611) 사이의 관련도를 연산할 수 있다.
단계(905)에서, 콘텐츠 제작 장치(105)는 관련도들의 크기에 기반하여 출연자를 결정한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0)는 후보 출연자들 각각과 기초 시나리오 사이의 관련도들을 이용하여, 관련도의 크기가 가장 큰 후보 출연자를 최종 출연자로 선택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 장치(105) 결정된 최종 출연자와 갱신된 시나리오를 합하여 연출 기획 정보(509)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으며,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ompact disc-ROM, CD-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s, DVD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1 기업 단말 103 영상 촬영 장치
105 콘텐츠 제작 장치 107 서버
109 네트워크 501 기업 정보
503 제작 의뢰 정보 505 후기 문구
507 반응 정보 509 연출 기획 정보
511 기초 영상 513 제작자 입력 정보
515 콘텐츠 영상 601 콘텐츠 제작 용도
602 콘텐츠 컨셉 603 연출 대상 물품
604 제작 예산 611 기초 시나리오
621 시나리오 622 출연자

Claims (10)

  1. 기업 마케팅을 위한 콘텐츠를 제작하는 시스템에서, 콘텐츠 제작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제작을 의뢰한 기업에 대한 기업 정보와 상기 기업의 콘텐츠 컨셉에 관련된 제작 의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기업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업이 업종과 동일한 비교 기업들에 대한 이용자들의 후기 문구를 수집하고, 상기 후기 문구로부터 상기 이용자들의 상기 업종에 대한 반응에 관련된 반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반응 정보, 및 상기 제작 의뢰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의 제작 방향에 대한 연출 기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연출 기획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상기 연출 기획 정보에 따라 제작된 기초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영상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UI(user interface) 화면을 통한 제작자의 제1 입력에 따라 상기 기초 영상을 편집하여, 콘텐츠 영상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작 의뢰 정보는 콘텐츠 제작 용도, 콘텐츠 컨셉, 연출 대상 물품, 및 제작 예산을 포함하고,
    상기 연출 기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콘텐츠 제작 방향에 대하여 미리 저장된 복수의 시나리오들 중에서 상기 콘텐츠 제작 용도와 상기 콘텐츠 컨셉에 대응되는 기초 시나리오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기초 시나리오의 등장 인물에 대한 인물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인물 정보, 상기 연출 대상 물품, 및 상기 제작 예산에 기초하여 출연자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반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초 시나리오의 대본 내 문구를 변경하여, 시나리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출연자, 및 상기 시나리오가 포함된 연출 기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연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미리 저장된 출연자 목록 내에서, 상기 인물 정보에 매칭되는 후보 출연자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후보 출연자들에 대한 활동 정보, 상기 연출 대상 물품에 관련된 관련 물품, 및 상기 제작 예산을 고려하여, 상기 후보 출연자들과 상기 기초 시나리오 사이의 관련도들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관련도들의 크기에 기반하여 출연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련도들은 <수학식 1>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수학식 1)

    상기 Rk는 기초 시나리오와 k번 후보 출연자 사이의 관련도, 상기 Cb는 제작 예산 중 출연자 비용, 상기 Cp는 k번 후보 출연자의 출연료, 상기 N0는 k번 후보 출연자에 대하여 전체 활동 이력에서 후보 출연자로 추출된 횟수, 상기 NT는 k번 후보 출연자가 최종 출연자로 결정된 횟수, 상기 M0는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서 k번 후보 출연자가 후보 출연자로 추출된 횟수, 상기 MT는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서 k번 후보 출연자가 최종 출연자로 결정된 횟수, 상기 xr은 k번 후보 출연자가 관련 물품에 관련하여 활동한 비율, 상기 c1은 콘텐츠 제작자가 설정한 제1 환상 상수, 상기 c2는 콘텐츠 제작자가 설정한 제2 환산 상수, 상기 L0는 k번 후보 출연자의 전체 컨셉의 수, 상기 Lr는 k번 후보 출연자의 전체 컨셉 중에서 제작 의뢰 정보의 콘텐츠 컨셉에 매칭되는 컨셉의 수를 지시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물 정보는 상기 등장 인물의 성별, 나이대, 키와 체중 범위, 및 성향을 포함하고,
    상기 활동 정보는 상기 후보 출연자들 각각에 대하여, 시기 별 출연 이력, 업종 별 출연 이력, 및 연출 가능 컨셉을 포함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나리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초 시나리오의 대본을 구성하는 문장들 중에서 상기 반응 정보에 관련된 변경 대상 문장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반응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변경 대상 문장을 변경하여 시나리오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UI 화면을 통한 상기 제작자의 제2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콘텐츠 영상을 구성하는 부분 영상들의 우선 순위와 상기 콘텐츠 영상에 대한 요약 레벨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우선 순위와 상기 요약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부분 영상들 중에서 중요 부분 영상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중요 부분 영상들을 이용하여 숏폼(short form) 콘텐츠를 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기업 마케팅을 위한 콘텐츠를 제작하는 시스템에서, 콘텐츠 제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작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콘텐츠 제작을 의뢰한 기업에 대한 기업 정보와 상기 기업의 콘텐츠 컨셉에 관련된 제작 의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기업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업이 업종과 동일한 비교 기업들에 대한 이용자들의 후기 문구를 수집하고, 상기 후기 문구로부터 상기 이용자들의 상기 업종에 대한 반응에 관련된 반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반응 정보, 및 상기 제작 의뢰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의 제작 방향에 대한 연출 기획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연출 기획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상기 연출 기획 정보에 따라 제작된 기초 영상을 수신하고,
    영상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UI(user interface) 화면을 통한 제작자의 제1 입력에 따라 상기 기초 영상을 편집하여 콘텐츠 영상을 제작하고,
    상기 제작 의뢰 정보는 콘텐츠 제작 용도, 콘텐츠 컨셉, 연출 대상 물품, 및 제작 예산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콘텐츠 제작 방향에 대하여 미리 저장된 복수의 시나리오들 중에서 상기 콘텐츠 제작 용도와 상기 콘텐츠 컨셉에 대응되는 기초 시나리오를 추출하고,
    상기 기초 시나리오의 등장 인물에 대한 인물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인물 정보, 상기 연출 대상 물품, 및 상기 제작 예산에 기초하여 출연자를 결정하고,
    상기 반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초 시나리오의 대본 내 문구를 변경하여, 시나리오를 결정하고,
    상기 출연자, 및 상기 시나리오가 포함된 연출 기획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미리 저장된 출연자 목록 내에서, 상기 인물 정보에 매칭되는 후보 출연자들을 추출하고,
    상기 후보 출연자들에 대한 활동 정보, 상기 연출 대상 물품에 관련된 관련 물품, 및 상기 제작 예산을 고려하여, 상기 후보 출연자들과 상기 기초 시나리오 사이의 관련도들을 산출하고,
    상기 관련도들의 크기에 기반하여 출연자를 결정하고,
    상기 관련도들은 <수학식 1>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수학식 1)

    상기 Rk는 기초 시나리오와 k번 후보 출연자 사이의 관련도, 상기 Cb는 제작 예산 중 출연자 비용, 상기 Cp는 k번 후보 출연자의 출연료, 상기 N0는 k번 후보 출연자에 대하여 전체 활동 이력에서 후보 출연자로 추출된 횟수, 상기 NT는 k번 후보 출연자가 최종 출연자로 결정된 횟수, 상기 M0는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서 k번 후보 출연자가 후보 출연자로 추출된 횟수, 상기 MT는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서 k번 후보 출연자가 최종 출연자로 결정된 횟수, 상기 xr은 k번 후보 출연자가 관련 물품에 관련하여 활동한 비율, 상기 c1은 콘텐츠 제작자가 설정한 제1 환상 상수, 상기 c2는 콘텐츠 제작자가 설정한 제2 환산 상수, 상기 L0는 k번 후보 출연자의 전체 컨셉의 수, 상기 Lr는 k번 후보 출연자의 전체 컨셉 중에서 제작 의뢰 정보의 콘텐츠 컨셉에 매칭되는 컨셉의 수를 지시하는 콘텐츠 제작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초 시나리오의 대본을 구성하는 문장들 중에서 상기 반응 정보에 관련된 변경 대상 문장을 추출하고,
    상기 반응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변경 대상 문장을 변경하여 시나리오를 결정하는 콘텐츠 제작 장치.
  9.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청구항 1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청구항 1의 동작을 실행시키기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30126581A 2023-09-19 2023-09-21 기업 마케팅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620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94995A KR20240007104A (ko) 2023-09-19 2023-12-28 기업 마케팅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230195004A KR20240007105A (ko) 2023-09-19 2023-12-28 기업 마케팅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4938 2023-09-19
KR20230124938 2023-09-19
KR1020230125745 2023-09-20
KR20230125745 2023-09-20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95004A Division KR20240007105A (ko) 2023-09-19 2023-12-28 기업 마케팅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230194995A Division KR20240007104A (ko) 2023-09-19 2023-12-28 기업 마케팅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737B1 true KR102620737B1 (ko) 2024-01-05

Family

ID=8954102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6581A KR102620737B1 (ko) 2023-09-19 2023-09-21 기업 마케팅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230195004A KR20240007105A (ko) 2023-09-19 2023-12-28 기업 마케팅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230194995A KR20240007104A (ko) 2023-09-19 2023-12-28 기업 마케팅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95004A KR20240007105A (ko) 2023-09-19 2023-12-28 기업 마케팅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230194995A KR20240007104A (ko) 2023-09-19 2023-12-28 기업 마케팅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620737B1 (ko)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7911A (ko) * 2006-12-15 2008-10-02 윤소연 광고 생성을 위한 방법 그리고 체계
KR20160095662A (ko) * 2015-01-08 2016-08-12 (주) 애드잇 광고 배너 자동 제작방법 및 광고 배너 자동 제작서버
JP2017167586A (ja) * 2016-03-14 2017-09-21 株式会社エフォートサイエンス 広告提案システム、プログラム
KR102224706B1 (ko) * 2020-08-24 2021-03-08 주식회사 뉴앤락 광고 매칭 관리 서버
KR20210065563A (ko) * 2019-11-27 2021-06-04 황희찬 광고 마케팅 업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45487A (ko) * 2020-10-05 2022-04-12 주식회사 모먼트랩 가상 인물 객체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38558A (ko) * 2021-04-06 2022-10-13 주식회사 에스엠시스템즈 머신 러닝 기반의 영상 자동 편집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57532A (ko) 2021-05-21 2022-11-29 이승우 기업 홍보 콘텐츠 공유 sns 제작 방법
KR20230014421A (ko) * 2021-07-21 2023-01-30 주식회사 텐원더스 인플루언서 마케팅 플랫폼을 이용한 온라인 마켓 홍보 서비스 제공방법,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KR20230027618A (ko) * 2021-08-19 2023-02-28 주식회사 앱플러 비디오 커머스 시스템에서 다수의 동일 상품의 영상을 이용해 특정 구간의 종단 검색과 이를 수집된 영상으로 판매 비디오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029161A (ko) * 2021-08-24 2023-03-03 주식회사 아이클레이브 프로모션 배너 출력 시스템
KR20230099180A (ko) * 2021-12-27 2023-07-0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디오 영상의 시각 및 음성 정보의 개별적 맥락을 고려한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 장치 및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 방법
KR102567931B1 (ko) * 2022-09-30 2023-08-18 주식회사 아리아스튜디오 시청자 반응을 기초로 인터랙티브 시나리오를 업데이트하는 콘텐츠 생성 플랫폼 장치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7911A (ko) * 2006-12-15 2008-10-02 윤소연 광고 생성을 위한 방법 그리고 체계
KR20160095662A (ko) * 2015-01-08 2016-08-12 (주) 애드잇 광고 배너 자동 제작방법 및 광고 배너 자동 제작서버
JP2017167586A (ja) * 2016-03-14 2017-09-21 株式会社エフォートサイエンス 広告提案システム、プログラム
KR20210065563A (ko) * 2019-11-27 2021-06-04 황희찬 광고 마케팅 업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224706B1 (ko) * 2020-08-24 2021-03-08 주식회사 뉴앤락 광고 매칭 관리 서버
KR20220045487A (ko) * 2020-10-05 2022-04-12 주식회사 모먼트랩 가상 인물 객체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38558A (ko) * 2021-04-06 2022-10-13 주식회사 에스엠시스템즈 머신 러닝 기반의 영상 자동 편집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57532A (ko) 2021-05-21 2022-11-29 이승우 기업 홍보 콘텐츠 공유 sns 제작 방법
KR20230014421A (ko) * 2021-07-21 2023-01-30 주식회사 텐원더스 인플루언서 마케팅 플랫폼을 이용한 온라인 마켓 홍보 서비스 제공방법,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KR20230027618A (ko) * 2021-08-19 2023-02-28 주식회사 앱플러 비디오 커머스 시스템에서 다수의 동일 상품의 영상을 이용해 특정 구간의 종단 검색과 이를 수집된 영상으로 판매 비디오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029161A (ko) * 2021-08-24 2023-03-03 주식회사 아이클레이브 프로모션 배너 출력 시스템
KR20230099180A (ko) * 2021-12-27 2023-07-0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디오 영상의 시각 및 음성 정보의 개별적 맥락을 고려한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 장치 및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 방법
KR102567931B1 (ko) * 2022-09-30 2023-08-18 주식회사 아리아스튜디오 시청자 반응을 기초로 인터랙티브 시나리오를 업데이트하는 콘텐츠 생성 플랫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104A (ko) 2024-01-16
KR20240007105A (ko) 202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32108B9 (en) Object based contextual menu controls
KR102225941B1 (ko) 멀티미디어 커머스 서비스 처리 장치 및 방법
JP6574409B2 (ja) コンテンツ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60300594A1 (en) Video creation, editing, and sharing for social media
CN108781311B (zh) 用于媒体分发和管理平台的视频播放器框架
US20170294212A1 (en) Video creation, editing, and sharing for social media
CN102662919A (zh) 对内容片段设置书签
US9256395B1 (en) Previewing audio data associated with an item
TWI489297B (zh) 貿易卡服務
CN103136326A (zh) 与媒体一起呈现评论的系统和方法
US11928133B2 (en) Unit group generation and relationship establishment
JP2017519312A (ja) 映画産業プロフェッショナルのためのグローバル交換プラットホーム
CN104375742A (zh) 一种能在激活时呈现动态信息的便携式电子装置,系统和方法
KR20160098951A (ko) 컨텐츠 공유 서버, 컨텐츠 공유 서버의 컨텐츠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23040443A1 (zh) 用于绘制画布的方法和装置
US20130117147A1 (en) Similarity and Relatedness of Content
US9940645B1 (en) Application installation using in-video programming
KR102620737B1 (ko) 기업 마케팅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1158678B (zh) 视频播放的方法、设备、客户端装置及电子设备
KR102468393B1 (ko) 플랫폼 앨범 서비스 시스템
US11250460B1 (en) System and method of collecting and using user data gathered by use of a rewards-based, universal, integrated code base
KR101734309B1 (ko) 3차원 광고 컨텐츠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CN110909206A (zh) 用于输出信息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