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553B1 -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553B1
KR102620553B1 KR1020230089044A KR20230089044A KR102620553B1 KR 102620553 B1 KR102620553 B1 KR 102620553B1 KR 1020230089044 A KR1020230089044 A KR 1020230089044A KR 20230089044 A KR20230089044 A KR 20230089044A KR 102620553 B1 KR102620553 B1 KR 102620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chemical
pinion
rotation axis
suppl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9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임
이기곤
Original Assignee
이에스피 주식회사
이기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에스피 주식회사, 이기곤 filed Critical 이에스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89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5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007Guides or funnels for introducing article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23Devices for tilting and empty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는, 상측에 주입부가 구비된 약품탱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승강되는 승강대차; 약품통이 안착 가능한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승강대차를 향하는 측면에 버켓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버켓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약품탱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슬라이드샤프트가 구비되는 버켓; 상기 승강대차와 일체로 결합된 연결브라켓에 자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피니언; 상기 버켓보다 상기 주입부와 가까운 지점에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고정되어, 상기 피니언이 일정 높이 이상 상승되었을 때 상기 피니언과 기어결합되는 래크; 및 길이방향 중단이 상기 버켓회전축에 자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피니언의 회전축에 고정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에는 상기 슬라이드샤프트가 삽입되되 상기 버켓회전축을 중심으로 원호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홈을 구비하는 회전링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Chemical supply device for chemical tank}
본 발명은 약품탱크 내로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약품통을 승강 및 회전시켜 약품통 내의 약품을 약품탱크로 공급하는 약품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서 지역이나 산간 지역 등과 같은 낙후된 지역이나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은 대체적으로 상수도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기 때문에 관정과 같은 간이 상수도를 설치하여 지하수 등을 저장 공급하여 식수 등의 생활 용수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간이 상수도와 같은 정수 처리 설비는 지하수를 사용하거나 빗물을 집수하여 사용하기도 하여 일부에서 계곡물을 집수하여 사용하기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지하수나 빗물 또는 계곡물 등의 원수는 주변의 오염원에 의해 식수 등의 생활용수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 있고 따라서, 지하수나 빗물 또는 계곡물 같은 원수는 집수하여 저장탱크 등에 저장하는 과정 중에 위생적인 원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소독 약품인 염소 등을 투입하는 약품투입장치를 구비하여 운영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염소 등의 소독 약품을 저장해 두기 위해서는 일정 크기 이상의 약품탱크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상기 약품탱크 내의 약품이 소진되면 약품운반 차량을 이용하여 상기 약품탱크 내에 약품을 채우게 된다. 이때, 상기 약품탱크가 차량이 진입하기 어려운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20ℓ 약품통을 이용하여 약품을 운반 한 후 작업자가 직접 약품통을 들어 올려 약품탱크에 약품을 붓는 작업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수동으로 20㎏ 무게의 약품통을 반복적으로 들어 올리는 경우 작업효율이 현저히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실수에 의해 약품통 내의 약품이 작업자에게 쏟아지는 경우 큰 재해사고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약품이 채워진 이송박스를 자동으로 승강시킨 후 상기 이송박스를 기울임으로써 상기 이송박스 내의 약품을 약품탱크에 투입하는 '분말약품용 자동용해탱크'(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74325호)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분말약품용 자동용해탱크를 이용하면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이송박스를 승강 및 기울일 수 있으므로 약품탱크에 약품을 채우는 작업을 매우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종래의 분말약품용 자동용해탱크는 이송박스를 상승시킨 후 상기 이송박스를 제자리에서 기울여 약품을 쏟아내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이송박스에 채워진 약품이 액상인 경우에는 이송박스 내의 약품 중 일부가 약품탱크로 투입되지 아니하고 이송박스를 타고 흘러내리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송박스 내에 액상의 약품이 가득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이송박스가 기울어져 이송박스 내의 액상 약품이 배출되기 시작하는 시작할 때, 상기 이송박스에서 배출되는 액상 약품은 이송박스의 외벽을 타고 흘러내리게 되므로 상기 약품탱크로 투입되지 아니하고 지면으로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KR 10-2020-0074325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기계동력을 이용하여 약품통을 승강 및 회전시킴으로써 약품통 내의 약품을 약품탱크에 채우되, 액상약품을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약품통을 기울였을 때 약품이 바닥으로 떨어지지 아니하도록 구성되는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는, 상측에 주입부가 구비된 약품탱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승강되는 승강대차; 약품통이 안착 가능한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승강대차를 향하는 측면에 버켓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버켓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약품탱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슬라이드샤프트가 구비되는 버켓; 상기 승강대차와 일체로 결합된 연결브라켓에 자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피니언; 상기 버켓보다 상기 주입부와 가까운 지점에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고정되어, 상기 피니언이 일정 높이 이상 상승되었을 때 상기 피니언과 기어결합되는 래크; 및 길이방향 중단이 상기 버켓회전축에 자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피니언의 회전축에 고정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에는 상기 슬라이드샤프트가 삽입되되 상기 버켓회전축을 중심으로 원호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홈을 구비하는 회전링크;를 포함한다.
상기 피니언이 래크를 타고 자전될 때 상기 회전링크 중 상기 버켓회전축이 결합된 지점의 상승속도는, 상기 승강대차의 상승 속도보다 빠르게 설정된다.
상기 버켓의 전체 또는 일부가 상기 약품탱크의 주입부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전링크가 회전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드샤프트는 상기 슬라이드홈의 길이방향 일단에 위치되어, 상기 슬라이드샤프트가 상기 슬라이드홈의 길이방향 일단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피니언이 더 상승함에 따라 상기 회전링크가 더 회전되면, 상기 버켓은 상기 버켓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버켓회전축의 연장선은, 상기 버켓의 무게중심을 지나도록 설정된다.
상기 승강대차와 상기 피니언과 상기 래크와 상기 회전링크는 상기 버켓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약품탱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중공관 형상의 고정케이스와, 상기 고정케이스의 중심축을 지나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는 스크류바와, 상기 스크류바를 자전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대차는, 상기 스크류바가 나사결합구조로 관통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스크류바 자전 시 상기 고정케이스 내측면을 타고 승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버켓이 안착되되, 연결브라켓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승강대차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케이스를 더 포함한다.
상기 주입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승강케이스가 사전에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상승될 때 상기 승강케이스에 걸려 상승되는 이송블록과, 상기 커버와 상기 이송블록을 연결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이송블록 상승 시 상기 주입부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커버를 견인하는 견인와이어를 더 포함한다.
상기 주입부가 닫히는 방향으로 상기 커버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복원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이송블록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주행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원스프링은 길이방향 양단이 상기 커버와 주행레일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한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를 이용하면, 기계동력을 이용하여 약품통을 승강 및 회전시킴으로써 약품통 내의 약품을 약품탱크에 채울 수 있고, 상기 약품통을 상승시켰을 때 상기 약품통의 전체 또는 일부가 약품탱크의 주입부 상에 위치되므로 상기 약품통을 기울이는 과정에서 약품통 내의 액상약품이 지면으로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에 포함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장착위치를 도시한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 제2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에 포함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장착위치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는 약품통(10)(도 5 참조)에 채워진 액상의 약품을 약품탱크(100)로 주입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측에 주입부가 구비된 약품탱크(10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도 1에서는 우측으로 이격된 지점)에서 승강되는 승강대차(300)와, 약품통(10)이 안착 가능한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버켓(500)과, 상기 승강대차(300)와 일체로 결합된 연결브라켓에 자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피니언(620)과, 상기 버켓(500)보다 상기 주입부(110)와 가까운 지점(본 실시예에서는 버켓(500)보다 좌측에 위치하는 지점)에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고정되어 상기 피니언(620)이 일정 높이 이상 상승되었을 때 상기 피니언(620)과 기어결합되는 래크(610)와, 길이방향 중단이 상기 버켓회전축(510)에 자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길이방향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좌측)이 상기 피니언(620)의 회전축에 고정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본 실시예에서는 우측)이 버켓(500)에 연결되는 회전링크(700)를 포함한다.
상기 버켓(5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대차(300)를 향하는 측면(도 3에서는 상측 및 하측)에 버켓회전축(510)이 구비되고, 상기 버켓회전축(510)으로부터 상기 약품탱크(100)와 멀어지는 방향(도 3에서는 우측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슬라이드샤프트(5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전링크(700)는 가운데 부위에 상기 버켓회전축(510)이 관통하는 구조로 삽입되고 길이방향 타측에는 상기 슬라이드샤프트(520)가 삽입되는 슬라이드홈(710)이 형성되는데, 상기 슬라이드홈(710)은 상기 버켓회전축(510)을 중심으로 원호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대차(300)가 상승할 때 상기 연결브라켓에 결합된 피니언(620)은 상기 승강대차(300)와 일체로 상승되며, 도 4에 도시된 상태(더 명확하게는 피니언(620)이 래크(610)에 접하도록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대차(300)가 더 상승하면 상기 피니언(620)은 래크(610)를 타고 자전하면서 승강대차(300)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피니언(620)이 자전하게 되면, 길이방향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좌측)이 피니언(620)의 회전축에 일체로 결합된 회전링크(700)는 피니언(620)을 따라 상승하면서 상기 피니언(620)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링크(700)가 상승을 함과 동시에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회전링크(700)에 장착되어 있던 버켓(500)은 단순히 상승 및 회전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높이까지 상승하였다가 약품탱크(100)의 주입부(110) 상측으로 수평방향 이동한 이후 회전을 하게 되는바, 상기 버켓(500)에 안착되어 있던 약품통(10)에서 액상의 약품이 인출될 때 인출된 액상약품이 지면에 떨어지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회전링크(700)가 상승 및 회전됨에 따라 버켓(500)이 수평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이하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는 상기 승강대차(300)가 보다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대차(30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는, 약품탱크(10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중공관 형상의 고정케이스(200)와, 상기 고정케이스(200)의 중심축을 지나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는 스크류바(210)와, 상기 스크류바(210)를 자전시키는 모터(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대차(300)는 상기 스크류바(210)가 나사결합구조로 관통하도록 체결되므로, 상기 스크류바(210) 자전 시 상기 승강대차(300)는 스크류바(2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고정케이스(200) 내측면을 타고 상승 또는 하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승강대차(300)가 모터(220)의 구동력에 의해 스크류바(210) 길이방향으로 승강하도록 구성되면, 상기 승강대차(300)의 상승 및 하강을 매우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승강대차(300)가 고정케이스(200)의 내벽을 타고 주행하도록 구성되면, 상기 승강대차(300)에 외부 충격이 인가되더라도 상기 승강대차(300)는 일정한 경로를 따라 안정적으로 승강운동을 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때, 상기 승강대차(300)는 고정케이스(200)와의 마찰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구름바퀴 및 베어링이 구비되는데, 이와 같은 승강대차(300)의 구성은 종래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상용화되어 있는바, 상기 승강대차(300)의 내부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버켓(500)이 버켓회전축(510), 회전링크(700) 및 피니언(620)을 통해서만 연결브라켓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면, 상기 버켓(500)에 약품통(10)이 안착되었을 때 상기 약품통(10)의 중량이 상기 버켓회전축(510), 회전링크(700) 및 피니언(620)에 집중되므로 상기 버켓회전축(510), 회전링크(700) 및 피니언(6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는, 상기 버켓(500)이 안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되 상기 연결브라켓과 일체로 결합되는 승강케이스(40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브라켓과 직접 일체로 결합되는 승강케이스(400)가 추가로 구비되면, 상기 승강대차(300)가 최대한 하강한 지점과 도 1에 도시된 지점(더 명확하게는 래크(610)와 피니언(620)이 접하는 지점) 사이를 승강할 때 약품통(10)의 하중이 승강케이스(400)를 통해 연결브라켓에 직접 전달되므로, 상기 버켓회전축(510), 회전링크(700) 및 피니언(620)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피니언(620)의 자전에 의해 회전링크(700)가 회전될 때 상기 버켓(500)은 회전링크(700)를 따라 상승 및 회전되는데, 상기 버켓회전축(510), 회전링크(700) 및 피니언(620)이 버켓(500)의 어느 일측에만 구비되면 상기 버켓(500)이 정상적으로 상승 및 회전되지 못하고 일측으로 기울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대차(300)와 상기 피니언(620)과 상기 래크(610)와 상기 회전링크(700)는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켓(5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약품탱크(100)에 액상약품을 주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액상약품이 채워진 약품통(10)을 버켓(500)에 안착시킨 후 모터(220)를 구동시켜 승강대차(300)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승강대차(300)와 일체로 결합된 연결브라켓과 승강케이스(400)를 상승시킨다. 이때, 상기 버켓(5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620)이 래크(610)에 접하기 이전까지는 승강케이스(400)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케이스(400)가 더 상승하면, 상기 피니언(620)은 래크(610)를 타고 자전하면서 상승하고, 상기 래크(610)와 일체로 결합된 회전링크(7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피니언(620)이 래크(610)를 타고 자전할 때 상기 회전링크(700) 중 상기 버켓회전축(510)이 결합된 지점이 상승하는 속도는 상기 승강대차(300) 및 승강케이스(400)의 상승 속도보다 빠르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버켓(5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케이스(400)의 바닥으로부터 상향 이격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샤프트가 삽입된 슬라이드홈(710)은 상기 버켓회전축(510)을 중심으로 원호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5에서 도 8에 이르도록 회전링크(700)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슬라이드샤프트(520)는 슬라이드홈(710)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된다.
한편, 상기 버켓회전축(510)의 연장선은 상기 버켓(500)의 무게중심을 지나도록 설정되므로, 상기 버켓(500)이 회전링크(700)를 따라 상승하여 승강케이스(400)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더라도 상기 버켓(500)은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아니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회전링크(700)가 90도 더 회전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켓회전축(510)이 피니언(620)의 수직 상방에 위치되어 버켓(500)은 최대한 높은 지점에 위치하게 되며,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 회전링크(700)가 더 회전되면 상기 버켓(500)은 주입부(11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수평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켓(500)의 전체 또는 일부가 상기 약품탱크(100)의 주입부(110)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전링크(700)가 회전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드샤프트(520)는 상기 슬라이드홈(710)의 길이방향 일단(본 실시예에서는 우측단)에 위치되는데, 도 8에 도시된 상태에서 회전링크(700)가 더 회전되면 상기 버켓(500)은 상기 버켓회전축(51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바, 상기 버켓(500)에 안착되어 있던 약품통(10) 역시 버켓(500)과 함께 기울어지고 이에 따라 약품통(10) 내에 채워져 있던 액상약품이 흐르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약품통(10) 내에 채워져 있던 액상약품이 흘러 나오기 시작하는 시점에서는 상기 액상약품이 약품통(10) 및 버켓(500)의 벽면을 타고 아래로 흘러내리게 되는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약품통(10) 및 버켓(500)은 주입부(110) 상측에 위치된 상태이므로 상기 약품통(10) 및 버켓(500)의 벽면을 타고 아래로 흘러내리는 액상약품은 지면으로 떨어지지 아니하고 주입부(110)를 통해 약품탱크(100) 내부에 채워지게 된다.
물론, 도 9에 도시된 상태에서 회전링크(700)가 더 회전하여 버켓(500) 및 약품통(10)의 기울어짐 각도가 커지게 되면, 상기 약품통(10) 내에 채워져 있던 액상 약품은 버켓(500) 및 약품통(10)의 벽면을 타고 흐르지 아니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곧바로 주입부(110)로 투입되므로, 상기 버켓(500) 및 약품통(10)의 일부가 주입부(110) 상부를 벗어난다 하더라도 액상약품이 지면으로 떨어지는 현상은 발생하지 아니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켓(500)이 90도 이상 기울어졌을 때 상기 버켓(500)에 안착되어 있던 약품통(10)이 상기 버켓(500)으로부터 빠지지 아니하도록, 상기 버켓(500)에는 약품통(10) 고정을 위한 별도의 고정후크가 구비되거나 상기 약품통(10)이 걸리는 걸림단이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를 이용하면, 모터(220)의 동력을 이용하여 약품통(10)을 승강 및 회전시켜 약품통(10) 내의 액상약품을 약품탱크(100)에 채울 수 있으므로, 약품탱크(100)를 액상약품으로 채우는 작업을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를 이용하면 약품통(10)이 기울어지기 시작하는 시점부터 약품통(10) 내의 액상약품이 약품통(10) 외부로 흘러나와 버켓(500) 및 약품통(10)의 측벽을 타고 흘러내리더라도 상기 액상약품이 지면으로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 제2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약품탱크(100)의 주입부(110)가 항상 개방되어 있으면 상기 주입부(110)를 통해 각종 이물질이 약품탱크(100) 내로 투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주입부(110)는 별도의 커버(120)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약품탱크(100)는 통상적으로 규격이 매우 크게 제작되므로, 주입부(110)에 장착된 커버(120)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개폐시키고자 하는 경우 작업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추락 위험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120)가 평소에는 주입부(110)를 폐쇄시키고 있다가 약품 주입이 시작되는 시점 즉, 승강케이스(400)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었을 때 상기 주입부(110)를 자동으로 개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의한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입부(110)를 덮는 커버(120)와, 상기 승강케이스(400)가 사전에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상승될 때 상기 승강케이스(400)에 걸려 이송레일(130)을 따라 상승되는 이송블록(140)과, 상기 커버(120)와 상기 이송블록(140)을 연결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이송블록(140) 상승 시 상기 주입부(11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커버(120)를 견인하는 견인와이어(15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견인와이어(150)는 다른 구성요소에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다수 개의 방향전환롤러(160)에 걸쳐지도록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커버(120)와 이송블록(140)과 견인와이어(150)가 구비되면, 도 11에 도시된 상태에서 승강케이스(400)가 상승되었을 때, 상기 이송블록(140)은 승강케이스(400)의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좌측)에 구비된 턱에 걸려 승강케이스(400)를 따라 상승하게 되므로, 상기 견인와이어(15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부(11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커버(120)를 이송시키게 된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상태에서 승강케이스(400)가 하강되었을 때 상기 커버(120)가 주입부(11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120)에 복원탄성력을 인가하는 별도의 복원스프링(17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원스프링(170)은 상기 주입부(110)가 닫히는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좌측방향)으로 상기 커버(120)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설치되므로, 상기 도 12에 도시된 상태에서 승강케이스(400)가 하강되면, 상기 커버(120)는 복원스프링(170)의 복원탄성력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하여 주입부(110)를 폐쇄시키고, 상기 커버(120)에 연결된 견인와이어(150)는 상기 커버(120)를 따라 끌려가게 되므로 상기 이송블록(140)은 도 11에 도시된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20)가 승강케이스(400)의 승강력에 의해 개방되고 복원스프링(170)에 의해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구성되면, 별도의 제어장치 없이도 약품 주입 시기에 커버(120)를 개방시키고 약품 주입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커버(120)가 자동으로 폐쇄되는바, 본 발명에 의한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의 단순화 및 이에 따른 제조원가 절감을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약품통 100 : 약품탱크
110 : 주입부 120 : 커버
130 : 이송레일 140 : 이송블록
150 : 견인와이어 160 : 방향전환롤러
170 : 복원스프링 200 : 고정케이스
210 : 스크류바 220 : 모터
300 : 승강대차 310 : 연결브라켓
400 : 승강케이스 500 : 버켓
510 : 버켓회전축 520 : 슬라이드샤프트
610 : 래크 620 : 피니언
700 : 회전링크 710 : 슬라이드홈

Claims (10)

  1. 상측에 주입부가 구비된 약품탱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승강되는 승강대차;
    약품통이 안착 가능한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승강대차를 향하는 측면에 버켓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버켓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약품탱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슬라이드샤프트가 구비되는 버켓;
    상기 승강대차와 일체로 결합된 연결브라켓에 자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피니언;
    상기 버켓보다 상기 주입부와 가까운 지점에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고정되어, 상기 피니언이 일정 높이 이상 상승되었을 때 상기 피니언과 기어결합되는 래크;
    길이방향 중단이 상기 버켓회전축에 자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피니언의 회전축에 고정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에는 상기 슬라이드샤프트가 삽입되되 상기 버켓회전축을 중심으로 원호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홈을 구비하는 회전링크;
    약품탱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중공관 형상의 고정케이스;
    상기 고정케이스의 중심축을 지나도록 수직으로 세워지는 스크류바; 및
    상기 스크류바를 자전시키는 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대차는, 상기 스크류바가 나사결합구조로 관통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스크류바 자전 시 상기 고정케이스 내측면을 타고 승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이 래크를 타고 자전될 때 상기 회전링크 중 상기 버켓회전축이 결합된 지점의 상승속도는, 상기 승강대차의 상승 속도보다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켓의 전체 또는 일부가 상기 약품탱크의 주입부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전링크가 회전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드샤프트는 상기 슬라이드홈의 길이방향 일단에 위치되어,
    상기 슬라이드샤프트가 상기 슬라이드홈의 길이방향 일단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피니언이 더 상승함에 따라 상기 회전링크가 더 회전되면, 상기 버켓은 상기 버켓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버켓회전축의 연장선은, 상기 버켓의 무게중심을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차와 상기 피니언과 상기 래크와 상기 회전링크는 상기 버켓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
  6. 삭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버켓이 안착되되, 연결브라켓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승강대차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승강케이스가 사전에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상승될 때 상기 승강케이스에 걸려 상승되는 이송블록과, 상기 커버와 상기 이송블록을 연결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이송블록 상승 시 상기 주입부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커버를 견인하는 견인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가 닫히는 방향으로 상기 커버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복원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송블록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주행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원스프링은 길이방향 양단이 상기 커버와 주행레일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
KR1020230089044A 2023-07-10 2023-07-10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 KR102620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9044A KR102620553B1 (ko) 2023-07-10 2023-07-10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9044A KR102620553B1 (ko) 2023-07-10 2023-07-10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553B1 true KR102620553B1 (ko) 2024-01-04

Family

ID=89542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9044A KR102620553B1 (ko) 2023-07-10 2023-07-10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5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9841A (ko) * 1997-04-04 1997-11-07 여광웅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
KR20200074325A (ko) 2018-12-14 2020-06-25 동아플레이팅 주식회사 분말약품용 자동용해탱크
KR20230031018A (ko) * 2021-08-26 2023-03-07 주식회사 포스코 운반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9841A (ko) * 1997-04-04 1997-11-07 여광웅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
KR20200074325A (ko) 2018-12-14 2020-06-25 동아플레이팅 주식회사 분말약품용 자동용해탱크
KR20230031018A (ko) * 2021-08-26 2023-03-07 주식회사 포스코 운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67475B1 (fr) Installation mecanisee automatique de stockage d'objets, notamment de voitures
KR102620553B1 (ko) 약품탱크용 약품공급장치
KR20100097775A (ko) 로봇을 이용한 자전거 주차장치
ES2223376T3 (es) Carro para el desplazamiento de vehiculos motorizados en el interior de un aparcamiento.
CN112124385A (zh) 一种新型桶装液体运输装置
CN212050245U (zh) 一种市政污水管网改造工程装置
KR101170324B1 (ko) 도로용 빗물 저류조시설
CN108979225B (zh) 双层停车装置
CN112960315B (zh) 举升翻桶式车厢垂直湿垃圾收集设备
JPH1025917A (ja) 2段式駐輪施設
JP2673274B2 (ja) 魚の搬送設備
JPH0734436A (ja) 魚の搬送設備
JP2673275B2 (ja) 魚道設備
CN107108189A (zh) 用于升降负载、被固定以在叉上运输的紧凑设备
CN218622211U (zh) 一种锚固桩施工吊架
KR101652280B1 (ko) 자전거 주차장치
CN217076895U (zh) 一种市政辅助设施建设用的升降装置
CN217263354U (zh) 配液间胶水辅助倾倒装置
JP6010400B2 (ja) 駐車装置
KR102552940B1 (ko) 수문용 권양기
JP4505298B2 (ja) 立体駐車装置のパレット固定装置
CN2424159Y (zh) 摆动式落地全封闭垃圾中转站
ES2264595B1 (es) Mejoras introducidas en plataformas de elevacion de contenedores soterrados.
CN212315296U (zh) 一种旋转压入工法用钢管桩吊装机
KR101261886B1 (ko) 제품 탱크의 승하강식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