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351B1 -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351B1
KR102620351B1 KR1020220164339A KR20220164339A KR102620351B1 KR 102620351 B1 KR102620351 B1 KR 102620351B1 KR 1020220164339 A KR1020220164339 A KR 1020220164339A KR 20220164339 A KR20220164339 A KR 20220164339A KR 102620351 B1 KR102620351 B1 KR 102620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fiber
rib
bar cor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4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성열
이교문
Original Assignee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세라믹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to KR1020220164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3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3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5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e.g. prepregs,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cross moulding compounds [XM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24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1/3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B29C53/581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using sheets or strips consisting principally of plastics material
    • B29C53/582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using sheets or strips consisting principally of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e.g. wires, 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1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 B29C70/16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29C70/32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on a rotating mould, former or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5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e.g. prepregs,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cross moulding compounds [XMC]
    • B29C70/52Pultrusion, i.e. forming and compressing by continuously pulling through a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5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e.g. feeding or storage of prepregs or SMC after impregnation or during age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5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e.g. feeding or storage of prepregs or SMC after impregnation or during ageing
    • B29C70/545Perforating, cutting or machining during or after mou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7Reinforcing element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e.g. of glass, of plastics, or not exclusively made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장치는 수지가 함침된 보강근 코어의 외주면에 리브용 섬유를 와인딩하여 리브를 형성하는 와인딩부, 중공을 갖는 베어링이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리브가 형성된 보강근 코어를 상기 베어링 내부로 통과시켜 상기 수지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며 열처리하는 리브성형부, 상기 열처리된 보강근 코어를 후방으로 당겨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된 보강근 코어를 절삭하는 절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DEVICE FOR FIBER REINFORCED PLASTIC REBA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REBA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어링을 이용한 리브 성형을 통하여 보강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건축물이나 교각 등의 구조물은 콘크리트 속에 보강근으로써 철근을 심어 사용한다. 하지만, 콘크리트 속에 보강근으로 사용된 철근은 여러가지 환경적 요인에 의해 부식이 심하게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이로 인한 녹 발생과 강도 저하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철근을 대체하여 섬유강화복합소재와 같은 복합재료로 구성된 보강근이 개발되고 있다. 복합재료란 성질이 서로 다른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이 거시적으로 혼합되어 기존 단일 재료보다 유용한 기능을 발현하는 재료를 말한다. 이에, 복합재료는 단일 소재와는 달리 섬유의 종류, 수지의 종류, 배합비율, 섬유 방향, 첨가제 함유량 등에 따라 다양한 물성으로 설계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복합재료를 구성하는 섬유는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로 복합재료의 강도와 강성에 영향을 준다. 또한, 복합재료를 구성하는 수지는 섬유를 하나로 묶어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복합재료의 전체적인 형상을 만들어주며, 하중을 분산시킨다.
최근에는, 섬유강화복합소재로 만들어진 보강근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섬유강화복합재(Fiber Reinforced Plastic, FRP) 보강근은 내식성, 내열성 및 내부식성이 우수한 섬유강화복합재로 만들어진 보강재료를 말하는 것으로, 큰 강도를 가지고 있어 전 산업분야에 걸쳐서 그 응용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상세하게는, 섬유강화복합재료 보강근은 강화재로는 유리 섬유(glass fiber)나 탄소 섬유(carbon fiber) 등이 적용되며, 기지재로는 에폭시(epoxy)나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등의 열경화성 수지가 적용되며, 두 가지 재료의 복합화에 의해 제조된다. 또한,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은 콘크리트 등 타 재료와의 접합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선행기술1(한국등록특허 제10-1013098호) 및 선행기술2(한국등록특허 제10-2407020호)와 같이, 주로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에 섬유다발을 감은 리브(rebar) 형태로 구성된다.
그러나,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리브 제조 시, 섬유다발을 감는 공정에서 점도가 낮은 상태로 경화되지 않은 수지에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리브 양단에 수지가 과다하게 배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구조적 결함이 발생하거나 균일한 품질의 양산품을 제조하기 어려우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13098호 한국등록특허 제10-2407020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 제조시 보강근 리브 부위의 수지 과잉 현상으로 인한 품질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 제조시 균일한 경화 품질을 구현할 수 있는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수지가 함침된 보강근 코어의 외주면에 리브용 섬유를 와인딩하여 리브를 형성하는 와인딩부, 중공을 갖는 베어링이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리브가 형성된 보강근 코어를 상기 베어링 내부로 통과시켜 상기 수지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며 열처리하는 리브성형부, 상기 열처리된 보강근 코어를 후방으로 당겨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된 보강근 코어를 절삭하는 절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리브성형부는 상기 베어링의 내륜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내주면에 상기 리브 형상의 홈이 형성된,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의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중공에 구비되며, 상기 보강근 코어를 수용하는 보강근투입홀과, 상기 탄성부재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보강근 코어에 열을 가하는 열선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보강근 코어를 가압하는 탄성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teflon) 및 필플라이(peel ply)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이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술한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수지가 함침된 보강근 코어의 외주면에 리브용 섬유를 와인딩하여 리브를 형성하는 제 1단계, 상기 리브가 형성된 보강근 코어 표면에 상기 수지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며 열처리하는 제 2단계, 상기 열처리된 보강근 코어를 후방으로 당겨 이송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이송된 보강근 코어를 일정 크기로 절삭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베어링을 이용한 리브성형부를 통해 보강근 코어 및 리브 표면에 수지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한 상태에서 경화할 수 있어, 종래의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 제조 시 리브 부위의 수지 과잉 현상으로 인한 품질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브 형상의 홈과 열선부재를 구비한 탄성부재를 통해 수지를 더욱 균일하게 경화시킬 수 있어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베어링을 무동력으로 회전하여 리브성형부를 작동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이형부재를 구성하여 탄성부재를 수지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하며, 수지 흡수 기능을 통해 균질한 품질의 수지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리브성형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리브성형부를 구성하는 탄성부재의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방법을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장치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리브성형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리브성형부를 구성하는 탄성부재의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장치는, 수지가 함침된 보강근 코어(10)의 외주면에 리브용 섬유(20)를 와인딩하여 리브를 형성하는 와인딩부(100), 중공을 갖는 베어링(210)이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리브가 형성된 보강근 코어(10)를 상기 베어링(210) 내부로 통과시켜 상기 수지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며 열처리하는 리브성형부(200), 상기 열처리된 보강근 코어(10)를 후방으로 당겨 이송하는 이송부(300) 및 상기 이송된 보강근 코어(10)를 절삭하는 절삭부(40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최종제품인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30)이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지가 함침된 보강근 코어(10)는 보강근 로빙(roving) 섬유 다수개를 수지에 함침(impregnation)한 후, 이를 인발(pultrusion) 성형하여 봉 형상으로 형성한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와인딩부(100)가 구비되기 이전에, 상기 다수개의 보강근 로빙 섬유를 상기 수지에 함침시키기 위한 함침부(미도시)와, 상기 함침부를 통해 상기 수지에 함침된 다수개의 보강근 로빙 섬유를 인발 성형하기 위한 인발성형부(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보강근 로빙 섬유는 통상의 복합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근 로빙 섬유는 유리 섬유(glass fiber), 탄소 섬유(carbon fiber), 케블라 섬유(Kevlar fiber), 탄화수소 섬유(SiC fiber), 현무암 섬유, 알루미나 섬유(Al2O3) 및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는 경화제가 혼합된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에폭시 및 비닐에스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의 저온 또는 고온 경화제가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지는 후술하는 열처리에 의해 박판(laminate) 형태의 수지코팅층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수지코팅층을 통해 본 발명의 섬유강화복합재 보강의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된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은 우수한 인장, 압축응력 및 강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발 성형은 일반적으로 강화재인 섬유에 수지를 함침한 후, 일정 형상을 갖는 가열된 몰드를 통과하여 당겨지고 경화시켜 성형하는 것을 말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수지에 함침된 보강근 로빙 섬유를 통상의 인발 성형 공정을 통해 상기 보강근 코어(10)로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보강근 코어(10)는 본 발명의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하고자 하는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중심을 이루는 심재로서 봉(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보강근 코어(10)는 보강근 로빙 섬유 다수개로 구성됨에 따라 금속재료에 비하여 경량이므로, 구조물 제작시 용이하게 활용 가능하며, 기계적 강도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인딩부(100)는 상기 수지가 함침된 보강근 코어(10)와 리브용 섬유(20)가 공급되면, 상기 수지가 함침된 보강근 코어(10)의 외주면에 상기 리브용 섬유(20)를 나선형으로 둘러 감싸는 것일 수 있다. 이에, 상기 보강근 코어(10)의 외주면에서 상기 리브용 섬유(20)가 일정간격을 두고 양각 돌출된 형태의 복수개의 리브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와인딩부(100)는 통상의 보강근 제조시의 와인딩 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리브용 섬유(20)는 통상의 복합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브용 섬유(20)는 유리 섬유(glass fiber), 탄소 섬유(carbon fiber), 케블라 섬유(Kevlar fiber), 탄화수소 섬유(SiC fiber), 현무암 섬유, 알루미나 섬유(Al2O3) 및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리브의 형성으로 본 발명의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된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은 콘크리트의 타설 시 상기 보강근에 접촉되는 면적을 확장할 수 있어 콘크리트와 보강근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나선형으로 와인딩되어 형성된 리브는 전단 하중(shearing load)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리브성형부(200)는 상기 와인딩부(100)에서 리브가 형성된 보강근 코어(10)의 리브를 성형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리브성형부(200)는 상기 와인딩부(100)에서의 와인딩 공정에 의해 상기 보강근 코어(10)에 함침된 수지가 과다하게 함침된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리브를 고유의 돌출된 크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성형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상기 리브성형부(200)는 중공을 갖는 베어링(210)을 일측에 구비하며, 상기 베어링(210) 내부로 상기 리브가 형성된 보강근 코어(10)를 통과시켜 상기 수지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며 열처리를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리브성형부(200)는 상기 중공을 갖는 베어링(210)을 비롯하여, 상기 베어링(210)의 내륜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내주면에 상기 리브 형상의 홈(225)이 형성된,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의 탄성부재(220)와, 상기 탄성부재(220)의 중공에 구비되며, 상기 보강근 코어(10)를 수용하는 보강근투입홀(230)과, 상기 탄성부재(22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보강근 코어에 열을 가하는 열선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베어링(210)은 일반적으로 회전축과 축의 지지대 사이의 마찰을 줄여주는 기계요소로, 본 발명에서는 통상의 베어링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베어링(210)은 볼 베어링(ball bearing)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210)은 내륜, 외륜, 전동체 및 유지기 등으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베어링(210)은 상기 리브가 형성된 보강근 코어(10)가 상기 베어링(210) 내부를 통과하는 힘에 의해 무동력으로 회전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스크류가 회전해서 물질이 이동하는 스크류 펌프의 역원리인, 물질이 이동하는 힘에 의해 스크류가 회전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리브성형부(200)에 상기 베어링(210)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리브가 형성된 보강근 코어(10)에 가해지는 마찰을 최소화하여 상기 베어링(210) 내부를 통과시킬 수 있다. 이에, 상기 리브성형부(200)는 재료 본연의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수지의 올바른 도포 및 경화를 통한 리브 성형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210)이 무동력으로 회전함에 따라 별도의 동력공급장치 없이 상기 리브성형부(200)를 지속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20)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EE), 폴리우레탄(PU) 및 실리콘(silicone)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20)는 중공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그 외주면이 상기 베어링(210)의 내륜과 접촉되도록 상기 베어링(210)의 내륜을 감싸며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상기 탄성부재(220)는 상기 베어링(210) 내부를 통과하는 상기 보강근 코어(10)를 가압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220)는 내주면에 상기 리브 형상의 홈(225)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베어링(210) 내부, 즉, 상기 탄성부재(220)의 중공에 위치한 상기 보강근투입홀(230)을 상기 보강근 코어(10)가 통과할 때, 상기 보강근 코어(10)의 리브가 상기 탄성부재(220)의 홈(225)과 밀착하여 접촉된 상태로 상기 홈(225)을 따라 이동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보강근 코어(10)에 양각 돌출되어 형성된 리브 주변에 과잉 배치된 수지가 균일한 두께로 펼쳐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장치는 상기 베어링(210) 내부에 상기 탄성부재(22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보강근 코어(10)에 함침된 수지가 상기 보강근 코어(10) 및 상기 보강근 코어(10)에 돌출된 리브의 표면에 균일한 두께로 도포되도록 할 수 있어, 균질한 품질을 갖는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는 종래의 리브를 구성하기 위해서 점도가 낮은 수지가 함침된 보강근 코어(10)에 리브용 섬유를 와인딩시, 상기 와인딩된 리브 주변으로 수지가 과다하게 모이는 표면 불균질 영역을 제거할 수 있어, 이로 인한 기포 형성이나 크랙 발생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열선부재는 상기 보강근 코어(10)에 함침되어 있는 수지를 경화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보강근 코어(10)가 통과하는 상기 탄성부재(22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열선부재는 다수개의 열선으로 구성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보강근 코어(10)에 균일하게 열을 가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부재(220)의 내부에 고르게 분산하여 배치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장치는 상기 탄성부재(220) 내주면에 형성된 홈(225)에 의해 균일한 두께로 도포된 수지를 상기 열선부재를 통해 바로 열처리함으로써, 균일하게 도포된 상태로 수지를 경화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리브성형부(200)를 통과하는 상기 보강큰 코어(10)에 함침된 수지는 상기 수지에 포함된 경화제와 상기 수지의 경화 반응이 일부 진행되어 일정 점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즉, 상술한 상기 리브성형부(200)에서의 수지의 균일한 도포와 경화를 통한 리브 성형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보강근 코어(10)에 함침된 수지가 경화제와 완전히 반응하여 경화되면서 가교결합이 이뤄지기 전에, 상기 와인딩부(100)에서 상기 리브성형부(200)로 공급되도록 공정을 설계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22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보강근 코어(10)를 가압하는 탄성홀(221)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탄성홀(221)은 홀(hole) 형상으로 내부에 공기가 충진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탄성부재(220) 내에 다수개의 탄성홀(221)를 구비하여 상기 탄성부재(220)의 중공을 통과하는 상기 보강근 코어(10)에 가해지는 압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에, 수지의 균일한 도포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뤄질 수 있어, 상기 보강근 코어(10)에 형성된 리브의 성형효율이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220)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teflon) 및 필플라이(peel ply)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이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탄성부재(220)의 내주면은 상기 탄성부재(220)의 중공을 통과하는 상기 보강근 코어(10)와 접촉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220)의 내주면에 이형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2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수지가 상기 탄성부재(220)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선부재에 의한 경화시 상기 탄성부재(220)가 수지와 함께 경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필플라이(peel ply)와 같은 수지 흡수 기능을 갖는 이형부재를 통해 상기 수지의 균일한 도포를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리브성형부(200)에서 열처리된 상기 보강근 코어(10)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송풍기 또는 냉각기 등을 구비한 냉각부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열처리된 보강근 코어(10)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송 공정의 편이성 및 공정과정에서 변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송부(300)는 상기 열처리된 보강근 코어(10)를 후방으로 당겨 이송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이송부(300)는 상기 와인딩부(100) 및 상기 리브성형부(200)에서 상기 보강근 코어(10)가 후방을 향해 지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이송부(300)는 통상의 보강근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이송장치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개의 캐터필러(caterpillar)로 구성된 이송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300)에 의해 상기 열처리된 보강근 코어(10)는 후술하는 절삭부(400)로 공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절삭부(400)는 상기 이송된 보강근 코어(10)를 절삭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절삭부(400)는 상기 이송부(300)에 의해 이송된 연속적인 봉 형상의 보강근 코어(10)를 용도에 따라 일정 길이를 갖도록 절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도 4와 같이, 상기 절삭부(400)에 의해 절단된 보강근 코어(10)는 최종제품인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30)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절삭부(400)는 통상의 장치를 적용할 수 있어,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장치는 리브성형부를 통해 보강근 코어 및 리브에 수지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한 상태에서 경화하여 균질한 품질을 갖는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을 제조할 수 있다. 이에, 종래의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 제조 시 리브 부위의 수지 과잉 현상으로 인한 품질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술한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장치를 이용한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상기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에 대해서는 상술한 설명을 원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방법은 수지가 함침된 보강근 코어의 외주면에 리브용 섬유를 와인딩하여 리브를 형성하는 제 1단계(S10), 상기 리브가 형성된 보강근 코어 표면에 상기 수지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며 열처리하는 제 2단계(S20), 상기 열처리된 보강근 코어를 후방으로 당겨 이송하는 제 3단계(S30) 및 상기 이송된 보강근 코어를 일정 크기로 절삭하는 제 4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지가 함침된 보강근 코어(10)는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중심을 이루는 심재로서 보강근 로빙(roving) 섬유 다수개를 수지에 함침(impregnation)한 후, 이를 인발(pultrusion) 성형하여 봉 형상으로 형성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보강근 로빙 섬유는 유리 섬유(glass fiber), 탄소 섬유(carbon fiber), 케블라 섬유(Kevlar fiber), 탄화수소 섬유(SiC fiber), 현무암 섬유, 알루미나 섬유(Al2O3) 및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는 경화제가 혼합된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에폭시 및 비닐에스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의 저온 또는 고온 경화제가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리브용 섬유(20)는 유리 섬유(glass fiber), 탄소 섬유(carbon fiber), 케블라 섬유(Kevlar fiber), 탄화수소 섬유(SiC fiber), 현무암 섬유, 알루미나 섬유(Al2O3) 및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 1단계(S10)에서, 수지가 함침된 보강근 코어(10)의 외주면에 리브용 섬유(20)를 와인딩하여 리브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상술한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장치의 와인딩부(100)에 수지가 함침된 보강근 코어(10)와 상기 리브용 섬유(20)를 공급하여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수지가 함침된 보강근 코어(10)에 상기 리브용 섬유(20)를 나선형으로 감아 와인딩하여 상기 보강근 코어(10)에 일정 간격으로 양각 돌출된 리브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리브 사이의 간격은 10 내지 15mm가 되도록 상기 와인딩 공정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리브 사이의 간격이 10mm미만인 경우, 좁은 리브 간격으로 상기 리브 사이에 함침된 수지가 짜내듯이 손실되어 제조된 보강근의 강도 저하 및 물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브 사이의 간격이 15mm를 초과하는 경우, 넓은 리브 간격으로 수지의 함침량이 증가하면서 경화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을 수 있어 수지의 결합력 및 제품의 접합성이 낮아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리브가 상기 보강근 코어(10)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0.5 내지 1.0mm가 되도록 상기 와인딩 공정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리브의 높이가 0.5mm미만인 경우, 제조된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콘크리트와의 붙임강도가 낮아져 제품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브의 높이가 1.0mm를 초과하는 경우, 리브의 높이가 높아 상기 보강근 코어(10)에 함침된 수지가 상기 리브를 함침시킬 수 어려워 리브용 섬유(20)만 돌출되므로 적합한 제품이 생산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2단계(S20)에서, 상기 리브가 형성된 보강근 코어(10) 표면에 상기 수지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며 열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상술한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장치의 리브성형부(200)에 상기 리브가 형성된 보강근 코어(10)를 공급하여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1단계를 통해 리브가 형성된 보강근 코어(10)에는 수지가 함침되어 있으므로, 상기 리브성형부(200)를 통과시켜 상기 수지를 상기 보강근 코어(10)의 표면에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고 이를 열처리하여 상기 수지를 경화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열처리된 보강근 코어(10)를 송풍기 등을 이용하여 냉각시키는 공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3단계(S30)에서, 상기 열처리된 보강근 코어(10)를 후방으로 당겨 이송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상술한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장치의 이송부(300)에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2단계에서 열처리된 보강근 코어(10)를 후방으로 당겨 상기 절삭부(400)로 이송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방법은 연속적인 공정 수행이 가능하며, 장(長)형의 보강근 코어(10)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4단계(S40)에서, 상기 이송된 보강근 코어(10)를 일정 크기로 절삭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상술한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장치의 절삭부(400)에 상기 이송된 보강근 코어(10)를 공급하여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이송된 보강근 코어(10)를 사용자가 설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것일 수 있다. 절단방법은 통상의 섬유 절단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방법은 수지가 함침된 보강근 코어(10)가 리브용 섬유에 와인딩에 의해 수지가 리브 주변에 과다하게 몰려 배치되지 않도록 수지를 균일하게 펼친 상태에서 경화할 수 있어, 균질한 수지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보강근 코어
20. 리브용 섬유
30.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
100. 와인딩부
200. 리브성형부
300. 이송부
400. 절삭부
S10. 수지가 함침된 보강근 코어의 외주면에 리브용 섬유를 와인딩하여 리브를 형성하는 제 1단계
S20. 상기 리브가 형성된 보강근 코어 표면에 상기 수지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며 열처리하는 제 2단계
S30. 상기 열처리된 보강근 코어를 후방으로 당겨 이송하는 제 3단계
S40. 상기 이송된 보강근 코어를 일정 크기로 절삭하는 제 4단계

Claims (5)

  1. 수지가 함침된 보강근 코어의 외주면에 리브용 섬유를 와인딩하여 리브를 형성하는 와인딩부;
    중공을 갖는 베어링이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리브가 형성된 보강근 코어를 상기 베어링 내부로 통과시켜 상기 수지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며 열처리하는 리브성형부;
    상기 열처리된 보강근 코어를 후방으로 당겨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된 보강근 코어를 절삭하는 절삭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브성형부는,
    상기 베어링의 내륜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내주면에 상기 리브 형상의 홈이 형성된,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의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중공에 구비되며, 상기 보강근 코어를 수용하는 보강근투입홀과,
    상기 탄성부재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보강근 코어에 열을 가하는 열선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보강근 코어를 가압하는 탄성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teflon) 및 필플라이(peel ply)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이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장치.
  5. 삭제
KR1020220164339A 2022-11-30 2022-11-30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방법 KR102620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4339A KR102620351B1 (ko) 2022-11-30 2022-11-30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4339A KR102620351B1 (ko) 2022-11-30 2022-11-30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351B1 true KR102620351B1 (ko) 2024-01-02

Family

ID=89512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4339A KR102620351B1 (ko) 2022-11-30 2022-11-30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3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4116A (ja) * 1989-10-27 1991-06-19 Iseki & Co Ltd 軸受け
KR101013098B1 (ko) 2008-03-13 2011-02-14 (주)대성마린텍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만들어진 콘크리트용 보강근
KR101602160B1 (ko) * 2015-10-16 2016-03-10 주식회사 신성소재 Frp 리바 성형장치 및 frp 리바 제조방법
KR102407020B1 (ko) 2022-03-04 2022-06-13 명성씨앤피(주) 일체형 리브를 갖는 복합소재 리바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4116A (ja) * 1989-10-27 1991-06-19 Iseki & Co Ltd 軸受け
KR101013098B1 (ko) 2008-03-13 2011-02-14 (주)대성마린텍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만들어진 콘크리트용 보강근
KR101602160B1 (ko) * 2015-10-16 2016-03-10 주식회사 신성소재 Frp 리바 성형장치 및 frp 리바 제조방법
KR102407020B1 (ko) 2022-03-04 2022-06-13 명성씨앤피(주) 일체형 리브를 갖는 복합소재 리바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8226B1 (ko) 콘크리트용 섬유강화 복합체 보강근 제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섬유강화 복합체 보강근
US4620401A (en) Structural rod for reinforcing concrete material
JP5416341B2 (ja) 丸形状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線材の製造方法
US5871117A (en) Tubular load-bearing composite structure
US68935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einforcement
JP7236725B2 (ja) 繊維強化樹脂製ボルト製造方法及び繊維強化樹脂製ボルト
JPH0622885B2 (ja) 繊維強化樹脂線状体の製法
KR101697273B1 (ko) 필 플라이 적용 frp 리바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9054296A (zh) 一种表面带树脂肋的高强度碳纤维复合材料筋材及其制备方法
US7329444B2 (en) Composite poles with an integral mandrel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2620351B1 (ko)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섬유강화복합재 보강근의 제조방법
JP3901299B2 (ja) Uボルトの製法
KR102407020B1 (ko) 일체형 리브를 갖는 복합소재 리바의 제조방법
GB2245893A (en) Fibre reinforced plastic composites
JPH0489346A (ja) コンクリート補強部材及びその製造法
JPH03249287A (ja) 繊維強化熱硬化性樹脂製撚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074427A (ja) 成形体の連続製造方法及び成形体
JPH0324892B2 (ko)
KR102589369B1 (ko) 철근 대용 보강근 제조장치
JPH0523323Y2 (ko)
JPH0473501B2 (ko)
JPS6249171B2 (ko)
JP2003245985A (ja) 成形体の連続製造方法
JPH01192946A (ja) コンクリートの緊張材代替用繊維強化プラスチツクロツド
JPH05200884A (ja) 繊維強化合成樹脂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