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054B1 - 상추 맞춤형 생장조절제 - Google Patents

상추 맞춤형 생장조절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054B1
KR102620054B1 KR1020210048605A KR20210048605A KR102620054B1 KR 102620054 B1 KR102620054 B1 KR 102620054B1 KR 1020210048605 A KR1020210048605 A KR 1020210048605A KR 20210048605 A KR20210048605 A KR 20210048605A KR 102620054 B1 KR102620054 B1 KR 102620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e
lettuce
particles
fine particles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2182A (ko
Inventor
류형선
김성호
Original Assignee
(주)엠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세스 filed Critical (주)엠세스
Priority to KR1020210048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054B1/ko
Publication of KR20220142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0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상추 맞춤형 생장조절제는 97.5~98.2 중량%의 무기 광물 미립자 및 교류 전압으로 전기 분해된 1.8~2.5 중량%의 자성 광물 미립자를 포함하고, -7.9mV ~ -7.36mV 사이의 제타전위 값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상추 맞춤형 생장조절제{CUSTOMIZED PLANT GROWTH REGULATOR FOR LETTUCE}
본 발명은 상추 맞춤형 생장조절제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상추의 생육량과 신선도 유지기간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키기 위해 제타전위가 상추 맞춤형으로 조절된 상추 맞춤형 생장조절제에 관한 것이다.
향후 생물 유전자원을 활용한 추출물 관련 모든 산업군은 상품화를 위해 해당국에 미리 통보하고 승인을 받아야 하며, 이익의 일부를 공유해야 하는 나고야 의정서 시대에 직면해 있다.
국내 기업들의 생물자원 수입 비중이 높은 인도와 중국 중 인도는 이미 관련 법률을 촘촘히 제정하였고, 중국도 후속 법률 작업을 하고 있어, 우리 정부는 국내 기업이 추가로 부담하는 비용은 연간 '3,500억~5,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위의 상황을 해결하는 방법들 중 가장 먼저 고려되는 것이 국내 재배-제조공급이지만, 국내는 토지가 좁고, 부족한 인프라와 높은 재배-제조 단가로 규모의 경제에 있어 경쟁력이 낮은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농작물의 생육량 및 신선도 유지 기간을 혁신적으로 증가 시킬 수 있는 식물 생장조절제의 개발이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식물 생장 조절은 식물의 생리학적 특성을 변형하여 식물의 성장과 발달을 규제하는 것으로 식물 생장 조절 시장은 세계적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분야이다.
식물 생장 조절물질은 천연 호르몬과 합성 호르몬으로 분류되는 식물 호르몬과 생장 억제제(왜화제), 맹아 발생 억제제 등으로 구성된 기타 화학 물질로 분류될 수 있다.
식물 생장 조절물질로는 지베렐린(GA), 사이토키닌(CYK), 옥신(AUX), 아브시스산(ABA) 및 에틸렌(ETH)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 지벨렐린(GA)는 줄기의 성장촉진과 개화 촉진, 사이토키닌(CYK)은 잎의 생장 세포 분열 촉진, 옥신(AUX)은 길이 생장 촉진, 아브시스산(ABA)은 종자와 눈의 휴면 유지와 개시, 에틸렌(ETH)은 낙엽 낙과 예방을 위한 생장 조절물질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알려진 식물 생장 촉진 물질들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정확한 사용 시기 및 사용량을 지키지 않거나 복수의 식물 생장 촉진 물질을 함께 사용해야 하지 않으면 식물에 부작용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지벨레린(GA)는 식물의 비대에는 도움이 되지만 과가 물러지고 저장성이 나빠지고, 에틸렌(ETH)은 사용 시기와 농도가 적당하지 않으면 식물에 해가되며, 옥신을 단독으로 사용하면 세포만 커지는 부작용이 있다.
KR 2017-0098515호(2017.08.30. 공개) JP 2014-009152A호(2014.01.20.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농작물의 생육량 및 신선도 유지 기간을 혁신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며 천연광물로 이루어져 있어 식물 부작용이 없는 환경 친화적 식물 생장조절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추 맞춤형 생장조절제는 탄산염(Carbonate), 산화나트륨(Na2O), 산화마그네슘(MgO), 산화알루미늄(Al2O3), 이산화규소(SiO2), 산화인(P2O3), 삼산화황(SO3), 산화칼륨(K2O), 산화칼슘(CaO), 이산화티타늄(TiO2), 산화망가니즈(MnO), 산화아연(ZnO), 산화루비듐(Rb2O), 산화스트론튬(SrO), 산화이트륨(Y2O3) 및 산화지르코늄(ZrO2)의 미립자로 이루어진 무기 광물 미립자 97.5~98.2 중량% 및 교류 전압으로 전기 분해된 제타전위 값이 -24.45mV인 자철석(Fe3O4) 미립자로 이루어진 자성 광물 미립자 1.8~2.5 중량%를 포함하고, 산화칼슘(CaO) 미립자, 이산화규소(SiO2) 미립자와 자철석(Fe3O4) 미립자의 중량% 비율에 따라 -7.9mV ~ -7.36mV 사이의 제타전위 값을 가질 수 있으며, 무기 광물 미립자 및 자성 광물 미립자 총량을 기준으로 이산화규소(SiO2) 미립자의 중량 %는 45.01~48.90 사이이고 이산화규소(SiO2) 미립자의 제타전위 값은 -15.9mV이며, 산화칼슘(CaO) 미립자의 중량 %는 16.51~20.00 사이이고, 산화칼슘(CaO) 미립자의 제타전위 값은 -19.59mV일 수 있다.
삭제
또한, 양이온 교환능력(CEC)이 357.19~450.05(cmol/kg) 사이 일 수 있다.
또한, 무기 광물 미립자 및 자성 광물 미립자 총량을 기준으로 무기 광물 미립자의 중량 %는 97.5이고, 산화칼슘(CaO) 미립자의 중량%는 20.00 이며, 이산화규소(SiO2) 미립자의 중량%는 45.01이고, 자철석(Fe3O4) 미립자의 중량 %는 2.5이며, 7.9mV의 제타전위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추 맞춤형으로 조절된 상추 맞춤형 생장조절제에 의하면 부작용 없이 상추의 생육량과 신선도 유지 기간이 획기적으로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물 생장조절제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무기 광물 미립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방법으로 제조된 맞춤형 식물 생장조절제의 제타전위 값 및 기타 값의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4는 도 1의 방법으로 제조된 맞춤형 식물 생장조절제의 구성 성분들의 제타전위 값 및 기타 값의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물 생장조절제와 대조구의 상추 식재후 15일 경과 후 상추 성장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물 생장조절제와 대조구의 상추 식재후 36일 경과 후 상추 성장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물 생장조절제와 대조구의 상추 식재후 42일 경과 후 상추 성장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물 생장조절제와 대조구의 상추 식재후 49일 경과 후 상추 성장 상태 및 상추 수확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물 생장조절제와 대조구의 재배일 수에 따른 상추 엽수(개) 증가율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물 생장조절제와 대조구의 상추 평균 수확량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물 생장조절제와 대조구의 염록소 함량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물 생장조절제와 대조구의 수확 후 일 수에 따른 상추의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물 생장조절제와 대조구의 수확 후 일 수에 따른 상추 중량감소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의 표현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물 생장조절제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물 생장조절제 제조방법(S100)은 무기광물 미립자 제조 단계(S110), 교류전압으로 자성 광물 미립자를 전기 분해하는 단계(S120), 무기광물 미립자와 전기 분해된 자성 광물 미립자를 혼합하는 단계(S130) 및 200mesh이하의 미립자로 분쇄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무기광물 미립자와 전기 분해된 자성 광물 미립자를 혼합하는 단계(S130)에서 무기광물 미립자와 전기 분해된 자성 광물 미립자의 중량 % 비율을 조절하여 식물 생장조절제의 제타전위를 변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타전위 변동과 이를 이용한 맞춤형 식물 생장조절제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무기 광물 미립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기 광물 미립자의 제조 방법(S110)은 분쇄된 무기 광물을 증류수에 넣어 광물 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S111), 광물 현탁액을 과산화 수소로 처리하는 단계(S112), 과산화 수소 처리된 광물 현탁액에 수용성 점증제를 첨가하는 단계(S113), 가열과 냉각을 반복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는 단계(S114) 및 200메쉬(mesh)이하로 분쇄하는 단계(s115)를 포함할 수 있다.
광물 현탁액을 과산화 수소로 처리하는 단계(S112)는 80°c~150°c 사이의 온도에서 2시간~5시간 처리될 수 있다.
또한, 가열과 냉각 반복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는 단계(S114)는 1500°c~2000°c 사이의 온도로 가열 3시간~6시간 사이의 시간 동안 냉각 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방법으로 제조된 맞춤형 식물 생장조절제의 제타전위 값 및 기타 값의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방법으로 제조된 맞춤형 식물 생장조절제의 구성 성분들의 제타전위 값 및 기타 값의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생장조절제 시료1 내지 시료9의 제타전위(mV), 양이온 교환능력(CEC)(cmol/kg) 및 전기 전도도(EC)(mS/cm)는 무기 광물 미립자와 자성 광물 미립자의 중량 % 비율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생장조절제 시료1 내지 시료9의 제타전위(mV), 양이온 교환능력(CEC)(cmol/kg) 및 전기 전도도(EC)(mS/cm)는 산화칼슘(CaO) 미립자, 이산화 규소(Sio2) 미립자와 자철석(Fe3O4) 미립자의 중량 %를 변동 시킴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다만, 생장조절제 시료1 내지 시료9의 제타전위, 양이온 교환능력(CEC) 및 전기 전도도(EC)는 산화칼슘(CaO) 미립자, 이산화 규소(Sio2) 미립자와 자철석(Fe3O4) 미립자의 중량 %의 변동에 한정되지 않고 산화칼슘(CaO) 미립자, 이산화 규소(Sio2) 미립자 이외의 무기 광물 미립자와 자철석(Fe3O4) 미립자 이외의 자성 광물 미립자의 중량 % 변동에 따라서도 증감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무기 광물 미립자인 이산화 규소(Sio2) 미립자의 제타전위는 -15.9mV일 수 있고, 양이온 교환능력(CEC)은 1.9(cmol/kg)일 수 있다.
또한, 무기 광물 미립자인 산화칼슘(CaO)의 제타전위는 -19.59mV일 수 있고, 양이온 교환능력(CEC)은 840.84(cmol/kg)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추 맞춤형 생장조절제는 탄산염(Carbonate), 산화나트륨(Na2O), 산화마그네슘(MgO), 산화알루미늄(Al2O3), 이산화규소(SiO2), 산화인(P2O3), 삼산화황(SO3), 산화칼륨(K2O), 산화칼슘(CaO), 이산화티타늄(TiO2), 산화망가니즈(MnO), 산화아연(ZnO), 산화루비듐(Rb2O), 산화스트론튬(SrO), 산화이트륨(Y2O3) 및 산화지르코늄(ZrO2)의 미립자로 이루어진 무기 광물 미립자 97.5~98.2 중량% 및 교류 전압으로 전기 분해된 제타전위 값이 -24.45mV인 자철석(Fe3O4) 미립자로 이루어진 자성 광물 미립자 1.8~2.5 중량%를 포함하고, 산화칼슘(CaO) 미립자, 이산화규소(SiO2) 미립자와 자철석(Fe3O4) 미립자의 중량% 비율에 따라 -7.9mV ~ -7.36mV 사이의 제타전위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무기광물 미립자 및 자성 광물 미립자 총량을 기준으로 이산화규소(SiO2) 미립자의 중량 %는 52~57사이 일 수 있고 이산화규소(SiO2) 미립자의 제타전위 값은 -15.9mV일 수 있으며, 산화칼슘(CaO) 미립자의 중량 %는 16.51~20.00 사이이고, 산화칼슘(CaO) 미립자의 제타전위 값은 -19.59mV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상추 맞춤형 생장조절제의 양이온 교환능력(CEC)은 357.19~450.05(cmol/kg) 사이일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상추 맞춤형 생장조절제는 생장조절제 시료1~시료9 중 시료1, 시료2 및 시료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생장조절제 시료1, 시료2 및 시료7의 상추 생장 조절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무기 광물 미립자 및 자성 광물 미립자 총량을 기준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상추 맞춤형 생장조절제의 탄산염(Carbonate), 산화나트륨(Na2O), 산화마그네슘(MgO), 산화알루미늄(Al2O3), 이산화규소(SiO2), 산화인(P2O3), 삼산화황(SO3), 산화칼륨(K2O), 산화칼슘(CaO), 이산화티타늄(TiO2), 산화망가니즈(MnO), 산화아연(ZnO), 산화루비듐(Rb2O), 산화스트론튬(SrO), 산화이트륨(Y2O3) 및 산화지르코늄(ZrO2)의 미립자로 이루어진 무기 광물 미립자의 중량%는 97.5이고, 무기 광물 미립자 중 산화칼슘(CaO)의 중량%는 20.00이며, 이산화규소(SiO2)의 중량%는 45.01이고 자철석(Fe3O4) 미립자의 중량 %는 2.5이며, 제타전위 값은 -7.9mV일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상추 맞춤형 생장조절제는 시료2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맞춤형 생장조절제로서 시료2의 상추 생장 조절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이하에서는 실시예 1에 따른 생장조절제 시료1~시료9 및 대조구를 사용하여 재배된 상추 재배결과 및 이에 따른 상추의 수확량 및 유효 성분 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에 따르면, 난석 고형배지를 이용한 담액 수경법으로 대조구 및 시료1~시료9 각각에 50개의 상추를 식재하여 상추를 재배하였다.
여기서, 대조구는 농촌진흥청 고시 상추 양액으로 아래 표 1에 기재된 조성물로 이루어져 있다.
항목 KNO3 Ca(NO3)2·4H20 MgSO4·7H20 NH4H2PO4 FE-EDTA
(mg/kg) 505 354 185 136.8 16
항목 H3BO3 MnCl2·4H2O ZnSO4·7H2O CuSO4·5H2O (NH4)MoO4
(mg/kg) 1.2 0.72 0.09 0.04 0.01
또한, 상추 재배 기간은 49일로 2주, 4주, 7주 간격으로 상추 생육을 조사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물 생장조절제와 대조구의 상추 식재후 15일 경과 후 상추 성장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물 생장조절제와 대조구의 상추 식재후 36일 경과 후 상추 성장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물 생장조절제와 대조구의 상추 식재후 42일 경과 후 상추 성장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물 생장조절제와 대조구의 상추 식재후 49일 경과 후 상추 성장 상태 및 상추 수확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물 생장조절제와 대조구의 재배일 수에 따른 상추 엽수(개) 증가율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시료5의 상추 엽수는 대조구의 엽수(개) 및 증가율(%)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대조구 대비 시료2 및 시료7 각각의 상추 엽수는 12.3개와 11.3개로 증가율이 119.42%와 109.71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미도시 되었으나 시료1를 이용하여 재배된 상추 엽수도 대조구 대비 증가된 것으로 확인 되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물 생장조절제와 대조구의 상추 평균 수확량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대조구 대비 시료5의 상추 평균 수확량(g)과 증가율(%)은 대조구의 상추 평균 수확량(g) 및 증가율(%)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대조구 대비 시료2 및 시료7 각각의 상추 평균 수확량은 40.5g과 37.3g으로 증가율이 122.36%과 112.69%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미도시 되었으나 시료1의 상추 평균 수확량도 대조구 대비 증가된 것으로 확인 되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물 생장조절제와 대조구의 염록소 함량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11를 참고하면, 대조구 대비 시료5의 상추 염록소 함량은 대조구의 상추 염록소 함량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대조구 대비 시료2 및 시료7 각각의 상추 염록소 함량은 23과 21로 증가율이 121.05%과 110.53%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미도시 되었으나 시료1의 상추 염록소 함량도 대조구 대비 증가된 것으로 확인 되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물 생장조절제와 대조구의 수확 후 일 수에 따른 상추의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물 생장조절제와 대조구의 수확 후 일 수에 따른 상추 중량감소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면, 냉장보관 및 상온보관에서 대조구 대비 시료5의 상추 중량 감소율은 대조구의 상추 중량 감소율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냉장보관 상태에서 대조구 대비 시료2 및 시료7 각각의 상추 중량 감소율은 84.90% 및 83.10%로 대조구로 재배된 상추 중량 감소율 79.80%와 비교하여 중량 감소율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미도시 되었으나 냉장보관 상태에서 시료1의 상추 중량 감소율도 대조구 대비 낮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또한, 상온보관 상태에서 대조구 대비 시료2 및 시료7 각각의 상추 중량 감소율은 81.5%와 79.89%로 대조구로 재배된 상추 중량 감소율 76.80%와 비교하여 중량 감소율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미도시 되었으나 상온보관 상태에서 시료1의 상추 중량 감소율도 대조구 대비 낮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상기에 검토된 결과에 따르면, 시료2 및 시료7을 이용하여 재배된 상추 엽수, 상추 평균 수확량, 염록소 함량이 대조구와 시료5를 이용하여 재배된 상추 엽수와 상추 평균 수확량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증가되었으며, 대조구 대비 시료2 및 시료7의 중량 감소율 역시 현저하게 낮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시료1(결과 미도시), 시료2 및 시료7중 시료2의 상추 엽수와 상추 평균 수확량, 염록소 함량이 가장 많이 증가되었으며, 시료2의 중량 감소율이 가장 낮음을 알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고하면, 시료1, 시료2 및 시료7의 제타전위 값은 --7.9mV ~ -7.36mV사이이다.
여기서, 탄산염(Carbonate), 산화나트륨(Na2O), 산화마그네슘(MgO), 산화알루미늄(Al2O3), 이산화규소(SiO2), 산화인(P2O3), 삼산화황(SO3), 산화칼륨(K2O), 산화칼슘(CaO), 이산화티타늄(TiO2), 산화망가니즈(MnO), 산화아연(ZnO), 산화루비듐(Rb2O), 산화스트론튬(SrO), 산화이트륨(Y2O3) 및 산화지르코늄(ZrO2)의 미립자로 이루어진 무기 광물 미립자와 교류 전압으로 전기 분해된 제타전위 값이 -24.45mV인 자철석(Fe3O4) 미립자로 이루어진 자성 광물 미립자 1.8~2.5 중량%를 포함하고, 산화칼슘(CaO) 미립자, 이산화규소(SiO2) 미립자와 자철석(Fe3O4) 미립자의 중량% 비율에 따라 -7.9mV ~ -7.36mV사이의 제타전위 값을 가진 시료1, 시료2 및 시료7은 상추의 생장을 획기적으로 촉진할 수 있는 상추 맞품형 생장조절제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시료1, 시료2 및 시료7 중 시료2의 생장촉진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제타전위 -7.9mV인 생장조절제가 상추 맞춤형 생장조절제로서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타전위 값이 -7.9mV ~ -7.36mV 사이이고 Carbonate(탄산염), Na2O(산화나트륨), MgO(산화마그네슘), Al2O3(산화알루미늄), SiO2(이산화규소), P2O3(산화인), SO3(삼산화황), K2O(산화칼슘), CaO(생석회), TiO2(이산화티타늄), MnO(산화망가니즈), ZnO(산화아연), Rb2O(산화루비듐), SrO(산화스트론튬), Y2O3(산화이트륨) 및 ZrO2(산화지르코늄)의 미립자로 이루어진 무기 광물 미립자와 자철석(Fe3O4) 미립자 이루어진 자성 광물 미립자를 포함하여 생육량과 유효 성분 등이 획기적으로 증대된 상추 맞춤형 생장조절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7.9mV ~ -7.36mV의 제타전위 값을 가지는 시료1, 시료2 및 시료7은 상기의 상추 예와 달리 고추, 인삼, 당귀, 콩나물, 페퍼민트 등의 생육 촉진에 큰 영향이 없고 상기 제타전위 값을 변동시켜야 일부 작물에 생장 촉진 효과가 있다는 것이 다른 실시예(미기재)에서 확인되었다.
한편, 상술한 여러 실시예에서 기재하고 있는 각종 구성량, 비율 등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각 구성량, 비율 등을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4)

  1. 탄산염(Carbonate), 산화나트륨(Na2O), 산화마그네슘(MgO), 산화알루미늄(Al2O3), 이산화규소(SiO2), 산화인(P2O3), 삼산화황(SO3), 산화칼륨(K2O), 산화칼슘(CaO), 이산화티타늄(TiO2), 산화망가니즈(MnO), 산화아연(ZnO), 산화루비듐(Rb2O), 산화스트론튬(SrO), 산화이트륨(Y2O3) 및 산화지르코늄(ZrO2)의 미립자로 이루어진 무기 광물 미립자 97.5~98.2 중량%; 및
    교류 전압으로 전기 분해된 제타전위 값이 -24.45mV인 자철석(Fe3O4) 미립자로 이루어진 자성 광물 미립자 1.8~2.5 중량%; 를 포함하고
    상기 산화칼슘(CaO) 미립자, 상기 이산화규소(SiO2) 미립자와 상기 자철석(Fe3O4) 미립자의 중량% 비율에 따라 -7.9mV ~ -7.36mV 사이의 제타전위 값을 가지며,
    상기 무기 광물 미립자 및 상기 자성 광물 미립자 총량을 기준으로 상기 이산화규소(SiO2) 미립자의 중량%는 45.01~48.90 사이이고, 상기 이산화규소(SiO2) 미립자의 제타전위 값은 -15.9mV이고, 상기 산화칼슘(CaO) 미립자의 중량%는 16.51~20.00 사이이고, 상기 산화칼슘(CaO) 미립자의 제타전위 값은 -19.59mV인 상추 맞춤형 생장조절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양이온 교환능력(CEC)이 357.19~450.05(cmol/kg) 사이인 상추 맞춤형 생장조절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광물 미립자 및 상기 자성 광물 미립자 총량을 기준으로 상기 무기 광물 미립자의 중량%는 97.5이고, 상기 산화칼슘(CaO) 미립자의 중량%는 20.00 이며, 상기 이산화규소(SiO2) 미립자의 중량%는 45.01이고, 상기 자철석(Fe3O4) 미립자의 중량%는 2.5이며, -7.9mV의 제타전위 값을 가지는 상추 맞춤형 생장조절제.
KR1020210048605A 2021-04-14 2021-04-14 상추 맞춤형 생장조절제 KR102620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605A KR102620054B1 (ko) 2021-04-14 2021-04-14 상추 맞춤형 생장조절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605A KR102620054B1 (ko) 2021-04-14 2021-04-14 상추 맞춤형 생장조절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182A KR20220142182A (ko) 2022-10-21
KR102620054B1 true KR102620054B1 (ko) 2024-01-02

Family

ID=83805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605A KR102620054B1 (ko) 2021-04-14 2021-04-14 상추 맞춤형 생장조절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054B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512A (ko) * 2002-08-21 2004-02-27 서희동 상토의 제조방법
KR20090049966A (ko) * 2007-11-14 2009-05-19 김희빈 농작물의 영양공급 및 생육촉진과 병해충예방을 위한조성물
JP5443551B2 (ja) 2012-06-29 2014-03-19 一隆 今井 液体珪酸肥料
KR101625011B1 (ko) * 2014-07-22 2016-05-27 주식회사 엠제이원 제타전위값 상승을 유도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799780B1 (ko) 2016-02-22 2017-11-21 김동섭 미네랄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영양제의 제조방법
KR20170061113A (ko) * 2017-03-21 2017-06-02 (주)다산메디켐 식물 생장 조절제
KR20170061112A (ko) * 2017-03-21 2017-06-02 (주)다산메디켐 식물 생장 조절제 제조방법
KR102128279B1 (ko) * 2018-09-18 2020-06-30 한국원자력연구원 양이온성 자성나노입자를 이용한 토양 내 미세입자의 분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182A (ko)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9631B2 (en) Ferrous modified selenium sol for inhibiting accumulation of cadmium and arsenic in rice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CN106187441A (zh) 有机液肥及其制备方法
CN107556118A (zh) 一种园林植物生长调节剂
CN104844387A (zh) 一种蓝莓有机专用肥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WO2019013346A1 (ja) 養液
CN113896599A (zh) 一种含矿源黄腐酸钾和微量元素的有机肥
KR101391868B1 (ko) 무화과나무 용기 재배용 양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101194193B1 (ko) 규산염광물을 포함한 천연광물자원들로부터 제조된 수용성무기조성물재료
KR102620054B1 (ko) 상추 맞춤형 생장조절제
KR100634334B1 (ko) 고 활성칼슘 및 필수미량원소를 이용한 액상 복합비료조성물
KR102620050B1 (ko) 페퍼민트 맞춤형 생장 조절제
CN113728908B (zh) 抑藻材料及其在无土栽培中的应用
KR102013024B1 (ko) 가축분뇨액비를 배지로 이용한 클로렐라 배양여액 및 미네랄을 포함하는 미량요소복합비료 조성물
US11897824B2 (en) Method of preparing activated mineral solution
Jones The effect of liming a neutral soil on the uptake of manganese by plants
KR20170061112A (ko) 식물 생장 조절제 제조방법
CN107372617A (zh) 拟康氏木霉菌可湿性粉剂及其制备方法
CA2966913A1 (en) Growing media and method for growing grapes in an enclosed environment
CN102531772A (zh) 一种用盐析工艺制备有机钛-植醋铵盐有机肥的方法
CN107188728A (zh) 一种含钾生物活化酶液体解磷剂及其制备方法
CN106748216A (zh) 一种抗逆促生长的叶面肥及其制备方法
KR102625565B1 (ko) 복합이온미네랄을 함유한 액상비료 제조방법
CN108383600A (zh) 一种葡萄专用复合微生物肥料及其制备方法
RU2708544C1 (ru) Способ вегетативного размножения корневищных растений в почвенном субстрате
US20230320290A1 (en) Farming method and zeolite subst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