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1113A - 식물 생장 조절제 - Google Patents

식물 생장 조절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1113A
KR20170061113A KR1020170035252A KR20170035252A KR20170061113A KR 20170061113 A KR20170061113 A KR 20170061113A KR 1020170035252 A KR1020170035252 A KR 1020170035252A KR 20170035252 A KR20170035252 A KR 20170035252A KR 20170061113 A KR20170061113 A KR 20170061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lant growth
growth regulator
present
y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5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형선
신동균
김성호
박종찬
Original Assignee
(주)다산메디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산메디켐 filed Critical (주)다산메디켐
Priority to KR1020170035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1113A/ko
Publication of KR20170061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11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8Alkali metal chlorides; Alkaline earth metal chlor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6Aluminium; Calcium; Magnesium; Compound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조절제는 100~500°c로 열처리된 분쇄 무기 광물 및 10,000~100,000Volt의 교류 전압으로 전기 분해된 분쇄 자성 광물을 포함하고 500 ~1,000°c로 열처리된 혼합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식물 생장 조절제{PLANT GROWTH REGULATOR}
본 발명은 식물 부작용 없이 수확량 및 유용 성분 추출량을 증대시키는 식물 생장 조절제에 관한 것이다.
식물 생장 조절은 식물의 생리학적 특성을 변형하여 식물의 성장과 발달을 규제하는 것으로 식물 생장 조절 시장은 세계적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분야이다.
식물 생장 조절물질은 천연 호르몬과 합성 호르몬으로 분류되는 식물 호르몬과 생장 억제제(왜화제), 맹아 발생 억제제 등으로 구성된 기타 화학 물질로 분류될 수 있다.
식물 생장 조절물질로는 지베렐린(GA), 사이토키닌(CYK), 옥신(AUX), 아브시스산(ABA) 및 에틸렌(ETH)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 지벨렐린(GA)는 줄기의 성장촉진과 개화 촉진, 사이토키닌(CYK)은 잎의 생장 세포 분열 촉진, 옥신(AUX)은 길이 생장 촉진, 아브시스산(ABA)은 종자와 눈의 휴면 유지와 개시, 에틸렌(ETH)은 낙엽 낙과 예방을 위한 생장 조절물질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알려진 식물 생장 촉진 물질들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정확한 사용 시기 및 사용량을 지키지 않거나 복수의 식물 생장 촉진 물질을 함께 사용해야 하지 않으면 식물에 부작용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지벨레린(GA)는 식물의 비대에는 도움이 되지만 과가 물러지고 저장성이 나빠지고, 에틸렌(ETH)은 사용 시기와 농도가 적당하지 않으면 식물에 해가되며, 옥신을 단독으로 사용하면 세포만 커지는 부작용이 있다.
JP 2014-014297호(2014.01.30. 공개) JP 2011-072302(2011.04.14.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식물 부작용이 없고 무기물로 이루어지며 생장 촉진 효과가 뛰어난 식물 생장 조절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조절제는 100~500°c로 열처리된 분쇄 무기 광물 및 10,000~100,000Volt의 교류 전압으로 전기 분해된 분쇄 자성 광물을 포함하고 500 ~1,000°c로 열처리된 혼합물을 포함한다.
또한, 분쇄 무기 광물은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사문석, 게리마늄, 페그마타이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혼합물은 95~99중량 %의 열처리된 분쇄 무기 광물과 1~5 중량 %의 전기 분해된 분쇄 자성 광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부작용 없이 식물의 생장을 현저하게 촉진시킬 수 있는 식물 생장 조절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식재 후 56일 경과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조절제 및 대조구들 사용하여 재배된 각각의 페퍼민트 재배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2는 식재 후 64일 경과 후 수확된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조절제 및 대조구들 사용하여 재배된 각각의 페퍼민트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3은 식재 후 57일 경과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조절제 및 대조구들 사용하여 재배된 각각의 페퍼민트 재배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4는 식재 후 77일 경과 후 수확된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조절제 및 대조구들 사용하여 재배된 각각의 페퍼민트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의 표현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조절제는 100~500°c로 열처리된 분쇄 무기 광물 및 10,000~100,000Volt의 교류 전압으로 전기 분해된 분쇄 자성 광물을 포함하고 500 ~1,000°c로 열처리된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무기 광물은 비자성 무기 광물 또는 비자성 처리된 무기 광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자성 광물은 자철광 같은 자성 광물 또는 자성 처리된 광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물은 95~99중량 %의 열처리된 무기 광물과 1~5 중량 %의 전기 분해된 자성 광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물은 98~99중량 %의 열처리된 무기 광물과 1~2 중량 %의 전기 분해된 자성 광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식물 부작용이 없고 무기물로 이루어지며 식물 생장 촉진 효과가 뛰어난 식물 생장 조절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조절제의 생장 촉진 효과에 대해서는 이하의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서는 수경 재배 환경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조절제 및 대조구들을 사용하여 페퍼민트를 재배하였다.
이하에서는 수경 재배 환경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조절제 및 대조구들 사용하여 재배된 각각의 페퍼민트 재배결과 및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조절제 및 대조구들 사용하여 재배된 각각의 페퍼민트의 수확량 및 유효 성분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식재 후 56일 경과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조절제 및 대조구들 사용하여 재배된 각각의 페퍼민트 재배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2는 식재 후 64일 경과 후 수확된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조절제 및 대조구들 사용하여 재배된 각각의 페퍼민트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대조구 1 대조구 2 본 발명 1
수확량(g) 52.2 67.4 73.3
증가율(%) 100 128 140
표 1은 본 발명, 대조구 1 및 대조구 2의 수확량(g) 및 증가율을 나타낸다.
여기서 본 발명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조절제를 사용하여 재배된 페퍼민트이고, 대조구 1은 A사의 수경 재배 양액을 사용하여 재배된 페퍼민트이며, 대조구 2는 A사의 수경 재배 양액에 광물질을 첨가하여 재배된 페퍼민트이다.
표 1을 참조하면, 수확량(g)이 가장 적은 대조구 1과 비교하여 대조구 2의 수확량은 128% 증가하였고 본 발명 1의 수확량은 140%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대조구 1 대조구 2 본 발명
단위 추출량(μl/g) 3.4 7.4 9.6
추출수율(%) 0.35 0.74 0.97
표 2는 본 발명 1, 대조구 1 및 대조구 2에서 추출된 오일의 단위 추출량(μl/g) 및 추출수율(%)을 나타낸다.
표 2를 참조하면, 대조구 1의 단위 추출량(μl/g)은 3.4, 대조구 2의 단위 추출량(μl/g)은 7.4, 본 발명의 단위 추출량(μl/g)은 9.6이고, 대조구 1의 추출수율(%)은 0.35, 대조구 2의 추출수율(%)은 0.74, 본 발명 1의 추출수율(%)은 0.97임을 알 수 있다.
대조구 1 대조구 2 본 발명
총 추출량(μl) 178.5 498.8 703.7
표 3은 본 발명 1, 대조구 1 및 대조구 2에서 추출된 오일의 총 추출량(μl)을 나타낸다.
표 3을 참조하면, 대조구 1의 총 추출량(μl) 178.5, 대조구 2의 총 추출량(μl)은 498.8, 본 발명 1의 총 추출량(μl) 703.7 임을 알 수 있다.
결국, 실시예 1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조절제를 사용하여 수경 재배 환경에서 재배된 본 발명 1의 수확량, 오일 단위 추출량 및 오일 총 추출량이 대조구 1 및 대조구 2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증가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 의하면 본 발명 1의 페퍼민트에 부작용이 발생되지 않았음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노지 재배 환경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조절제 및 대조구들을 사용하여 페퍼민트를 재배하였다.
이하에서는 노지 재배 환경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조절제 및 대조구들 사용하여 재배된 각각의 페퍼민트 재배결과 및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조절제 및 대조구들 사용하여 재배된 각각의 페퍼민트의 수확량 및 유효 성분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식재 후 57일 경과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조절제 및 대조구들 사용하여 재배된 각각의 페퍼민트 재배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4는 식재 후 77일 경과 후 수확된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조절제 및 대조구들 사용하여 재배된 각각의 페퍼민트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대조구 3 대조구 4 본 발명 2
수확량(g) 138.1 181.7 195.9
증가율(%) 100 132 142
표 4는 본 발명 2, 대조구 3 및 대조구 4의 수확량(g) 및 증가율(%)을 나타낸다.
여기서 본 발명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조절제를 사용하여 재배된 페퍼민트이고, 대조구 3은 B사의 화학비료를 사용하여 재배된 페퍼민트이며, 대조구 4는 B사의 화학비료에 수용성 규산을 첨가하여 재배된 페퍼민트이다.
표 4을 참조하면, 수확량(g)이 가장 적은 대조구 3과 비교하여 대조구 4의 수확량은 132% 증가하였고 본 발명 1의 수확량은 142%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대조구 3 대조구 4 본 발명 2
단위 추출량(μl/g) 5.28 6.17 6.79
추출수율(%) 0.53 0.62 0.68
표 5는 본 발명 2, 대조구 3 및 대조구 4에서 추출된 오일의 단위 추출량(μl/g) 및 추출수율(%)을 나타낸다.
표 5를 참조하면, 대조구 3의 단위 추출량(μl/g)은 5.28, 대조구 4의 단위 추출량(μl/g)은 6.17, 본 발명의 단위 추출량(μl/g)은 6.79이고, 대조구 3의 추출수율(%)은 0.53, 대조구 4의 추출수율(%)은 0.52, 본 발명 2의 추출수율(%)은 0.68임을 알 수 있다.
대조구 3 대조구 4 본 발명 2
총 추출량(μl) 1191.2 1809.0 2147.7
표 6은 본 발명 2, 대조구 3 및 대조구 4에서 추출된 오일의 총 추출량(μl)을 나타낸다.
표 6을 참조하면, 대조구 3의 총 추출량(μl) 1191.2, 대조구 4의 총 추출량(μl)은 1809.0, 본 발명 2의 총 추출량(μl) 2147.7 임을 알 수 있다.
결국, 실시예 2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조절제를 사용하여 노지 재배 환경에서 재배된 본 발명 2의 수확량, 오일 단위 추출량 및 오일 총 추출량이 대조구 3 및 대조구 4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증가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에 의하면 본 발명 2의 페퍼민트에 부작용이 발생되지 않았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상술한 여러 실시예에서 기재하고 있는 각종 구성량, 비율 등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각 구성량, 비율 등을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3)

100~500°c로 열처리된 분쇄 무기 광물 및 10,000~100,000Volt의 교류 전압으로 전기 분해된 분쇄 자성 광물을 포함하고 500 ~1,000°c로 열처리된 혼합물을 포함하는 식물 생장 조절제.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무기 광물은,
일라이트, 제올라이트, 사문석, 게리마늄, 페그마타이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식물 생장 조절제.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95~99중량 %의 상기 열처리된 분쇄 무기 광물과 1~5 중량 %의 상기 전기 분해된 분쇄 자성 광물을 포함하는 식물 생장 조절제.
KR1020170035252A 2017-03-21 2017-03-21 식물 생장 조절제 KR201700611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252A KR20170061113A (ko) 2017-03-21 2017-03-21 식물 생장 조절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252A KR20170061113A (ko) 2017-03-21 2017-03-21 식물 생장 조절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113A true KR20170061113A (ko) 2017-06-02

Family

ID=59222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252A KR20170061113A (ko) 2017-03-21 2017-03-21 식물 생장 조절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11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182A (ko) * 2021-04-14 2022-10-21 (주)엠세스 상추 맞춤형 생장조절제
KR20220142178A (ko) * 2021-04-14 2022-10-21 (주)엠세스 페퍼민트 맞춤형 생장 조절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182A (ko) * 2021-04-14 2022-10-21 (주)엠세스 상추 맞춤형 생장조절제
KR20220142178A (ko) * 2021-04-14 2022-10-21 (주)엠세스 페퍼민트 맞춤형 생장 조절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202090394A1 (ru) Нов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крепления, питания и защиты культур
EA202090293A1 (ru) Нов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крепления, питания и защиты культур
UA88244C2 (ru) Применение соединений пиперазина в качестве гербицидов, гербицидное средство на их основе,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редства и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нежелательным ростом растительности, соединения пиперазина и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WO2011117198A3 (en) Pyridazine compounds for controlling invertebrate pests
EA201101586A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жизнеспособности и/или урожайности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растений при практически несуществующем давлении патогенов
NZ599312A (en) Plant disease controll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
PH12017501482A1 (en) Composition for use as pesticide, plant growth regulator, or both, and uses thereof
CN103613454A (zh) 草莓种植专用土壤改良剂及其制备方法
CN103894400A (zh) 一种利用植物生长调节剂促进红苋菜富集镉的方法
MX2020001692A (es) Sistema y metodos de aceleración de crecimiento de plantas.
CN103962367A (zh) 一种利用植物激素和螯合剂复合促进红苋菜富集镉的方法
KR20170061113A (ko) 식물 생장 조절제
KR20200029488A (ko) 양액(養液)
KR20170061112A (ko) 식물 생장 조절제 제조방법
CN104222113A (zh) 一种水稻移栽田除草剂
KR20120112278A (ko) N-Acetyl thiazolidine carboxylic acid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영양제용 복합비료
CN107087640B (zh) 一种含解淀粉芽孢杆菌和咪鲜胺的杀菌组合物及其应用
CN107318865A (zh) 克菌丹和呋吡菌胺复配的农药组合物
CN103894398A (zh) 一种利用植物生长调节剂促进红苋菜富集铯或/和锶的方法
KR101364017B1 (ko) 고추병 방제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추작물 재배방법
NZ603079A (en) Herbicidal composition
Tripathi et al. Effect of Integrated Nutrient Management on Bulb Yield of Tuberose (Polianthes tuberosa L.)
JP2006191848A (ja) 低栄養条件下での果菜類作物の新規栽培方法
Kä mpf et al. Lowering pH value with elemental sulfur in the substrate for ex vitro acclimatization
CN115349520B (zh) 一种除树灭灌剂组合物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