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1868B1 - 무화과나무 용기 재배용 양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무화과나무 용기 재배용 양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1868B1
KR101391868B1 KR1020120022400A KR20120022400A KR101391868B1 KR 101391868 B1 KR101391868 B1 KR 101391868B1 KR 1020120022400 A KR1020120022400 A KR 1020120022400A KR 20120022400 A KR20120022400 A KR 20120022400A KR 101391868 B1 KR101391868 B1 KR 101391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rient solution
weight
composition
nutrien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1333A (ko
Inventor
문병우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영암녹색무화과주식회사
문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영암녹색무화과주식회사, 문병우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영암녹색무화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2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1868B1/ko
Publication of KR20130101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1/00Mixtures of fertilisers belonging individually to different subclasses of C05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BPHOSPHATIC FERTILISERS
    • C05B7/00Fertilisers based essentially on alkali or ammonium ortho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CNITROGENOUS FERTILISERS
    • C05C11/00Other nitrogenous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1/00Fertilisers containing potassium
    • C05D1/02Manufacture from potassium chloride or sulfate or double or mixed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5/00Fertilisers containing magne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9/00Other inorganic fertilisers
    • C05D9/02Other in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trace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Hydroponic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화과나무 용기 재배용 양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무화과나무의 생장에 필요한 영양 성분이 골고루 포함되어 있으며, 용기를 이용한 양액재배 시 물로 희석한 양액을 제조하여 급여하기 위한 무화과나무 용기 재배용 양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무화과나무 양액재배를 손쉽게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화과나무 용기 재배용 양액 조성물은 초기, 중기, 후기로 생육단계별로 일정량을 물로 희석하여 급액하면 원수의 pH 및 EC에 맞추어 조성물 량을 조절할 수 있어 pH 및 EC 측정 기기가 필요 없기 때문에 농가에서 쉽게 양액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무화과나무의 생장에 필요한 영양 성분이 적절하게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여 무화과나무 양액재배를 실시할 경우 수량 증수와 우수한 품질의 무화과를 생산할 수 있다. 특히 용기를 사용한 양액재배에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화과나무 용기 재배용 양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Nutrient composition for container culture of fig tree and its using method}
본 발명은 무화과나무 용기 재배용 양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무화과나무의 생장에 필요한 영양 성분이 골고루 포함되어 있으며, 용기를 이용한 양액재배 시 물로 희석한 양액을 제조하여 급여하기 위한 무화과나무 용기 재배용 양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무화과나무 양액재배를 손쉽게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화과나무(Ficus carica L.)는 아열대성의 반교복성 낙엽성 과수로서 뽕나무과의 무화과속(Ficus L.)에 속하고 높은 상품성을 가지는 과실이며, 600여종 이상의 품종이 분포되어 있다.
무화과나무는 강수량이 적고 온난한 환경을 좋아하나 뿌리의 분포가 얕아 심한 건조나 침수에 약한 편이다. 특히 과수 중에서 가장 알카리성 토양을 좋아하며 토양의 pH 7.0 ∼ 7.5 범위의 토양에서 잘 생장하여 매년 석회(Ca)를 기본적으로 사용하여 칼슘의 체내 흡수를 높여 주어야 한다.
저장성이 낮고 수확기의 강우 등으로 인한 생산성 및 상품성의 저하로 조기출하와 수량 및 품질의 향상, 생산의 안정, 수확기의 노력분산을 위하여 여러 가지 기술적인 조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설재배를 하고 있다.
시설재배의 효과는 조기출하에 의한 유리한 가격, 수량 증대와 품질 향상, 기상재해로부터 생육 안정 도모, 노력 배분과 경영규모 확대, 병해 경감 등의 장점이 있으나, 시설비가 많이 소요되며 토경재배에 비하여 염류집적 장해 발생이 많은 단점도 있다. 최근에는 상자 등의 용기에서 양액재배하는 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양액재배는 원예산업 발전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최첨단 농업기술 중 하나로 원칙적으로는 토양을 사용하지 않고 작물 생육에 꼭 필요한 영양액으로 작물을 재배하는 형태를 말한다. 담액수경, 분무경, 모관수경 등과 같은 수경재배가 여기에 포함된다.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양분을 공급하는 것과 별개로 피트모스,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암면, 경석, 훈탄, 톱밥, 자갈, 모래 등으로 만든 고형배지를 이용하여 작물이 생육하는 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성한다.
유럽에서는 네덜란드, 벨기에를 중심으로 과채류 대량 생산 체계의 핵심 기술로서 양액재배가 중심축이 되었고, 엽채류 재배는 순수 수경 방식으로 정착되면서 식물공장으로 발전하였다.
우리나라 과채류의 생산성은 비약적인 발전이 1990년대 들어 이루어져 왔으나 아직도 시설이 낙후되었고, 규모가 작아 제대로 된 현대적 기술 투입이 늦어지면서 유럽 과채류 생산성의 1/2 ~ 1/10의 수준에 머물고 있다.
과수에서 포도 거봉 품종에 대한 수경재배가 상자재배의 형태로 일부 시도되었으나, 재배 기술 미흡으로 더 이상의 발전이 없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무화과나무의 양액재배 기술은 생산성, 품질 및 안정성 향상에 공통적으로 꼭 필요한 작물 생산기술로서 무화과 국제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기존에 채소에서 과채류 양액은 국외에서는 네덜란드 PBG 양액[토마토 : 14(N) - 4.5(P) - 9.25(K) - 9.25(Ca) - 3.5(Mg), 오이 : 15.8(N) - 4.5(P) - 8(K) - 8.5(Ca) - 2.75(Mg), 메론 : 9(N) - 3(P) - 6(K) - 8(Ca) - 4(Mg)]이 작물별로 조성이 각각 다르게 개발되었고, 일본에서는 일본 원시액[토마토, 메론, 딸기, 엽채류 : 17.3(N) - 4(P) - 8(K) - 8(Ca) - 4(Mg), 고추 : 17.3(N) - 4(P) - 8(K) - 8(Ca) - 4(Mg), 오이 : 17.3(N) - 4(P) - 8(K) - 8(Ca) - 4(Mg)], 야마자키 양액[오이 : 14(N) - 3(P) - 6(K) - 7(Ca) - 4(Mg), 딸기 5.5(N) - 1.5(P) - 3(K) - 2(Ca) - 1(Mg)], 시즈오카 대학 양액[메론 : 14.3(N) - 4(P) - 6(K) - 7(Ca) - 3(Mg)] 등이 작물의 재배 특성을 고려하여 개발되었다.
국내에서는 한국 원시액[토마토 : 9(N) - 2(P) - 5(K) - 4(Ca) - 2(Mg), 고추 : 12(N) - 3(P) - 7(K) - 4(Ca) - 2(Mg), 오이 : 12(N) - 2(P) - 7(K) - 5(Ca) - 2(Mg), 엽채류 : 15(N) - 3(P) - 6(K) - 8(Ca) - 4(Mg)] 및 서울시립대액[엽채류 : 10.8(N) - 2(P) - 6(K) - 3(Ca) - 2(Mg)]이 개발되었고, 농촌진흥청에서는 풋고추 배지재배용 양액 조성물[특허 등록번호 : 1001734370000호, 질소 8~22중량%, 인산 5~12중량%, 칼리 20~45중량%, 마그네슘 3~10중량%, 칼슘 10~25중량%, 미량원소 1~2중량% 및 수용성 색소 0.5~1중량%], 토마토의 배지재배 조성물[특허등록번호 : 1002610240000호, 표준액 A제는 질소(T-N) 8.5중량%, 수용성 칼륨(K2O) 26.0중량%, 수용성 인산(P2O5) 5.0중량%, 수용성 붕소(B2O3) 0.15중량%, 수용성 고토(MgO) 4.0중량%, 수용성 철(Fe) 0.2중량%, 수용성 망간(MnO) 0.05중량%, 수용성 아연(Zn) 0.005중량%, 수용성 구리(Cu) 0.001중량%, 수용성 몰리브덴(Mo) 0.0005중량%로 조성되고, 수용성 색소 0.05∼1.0중량%, 표준액 B제는 질소(T-N) 11.0중량%, 수용성 칼슘(CaO) 22중량%로 구성], 오이의 배지재배 조성물[특허등록 : 1002610230000호, 표준액 A제는 질소(T-N) 9.5중량%, 수용성 칼륨(K2O) 29.5 중량%, 수용성 인산 (P2O5) 4.0중량%, 수용성 붕소(B2O3) 0.12중량%, 수용성 고토(MgO) 3.5중량%, 수용성 철(Fe) 0.2중량%, 수용성 망간(MnO) 0.05중량%, 수용성 아연(Zn) 0.004중량%, 수용성 구리(Cu) 0.001중량%, 수용성 몰리브덴(Mo) 0.05중량%로 조성되고, 수용성 색소 0.05∼1.0중량%, 표준액 B제는 질소(T-N) 11.0중량%, 수용성 칼슘(CaO) 22.0중량%로 구성]이 개발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양액 조성물들은 과채류 및 엽채류에 관한 조성물이며, 단지 비료염으로 구성되었고, 생육단계별로의 구체적인 조성물 사용이 없이 구성되어 있어, 무화과나무를 재배하기 위한 양액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못하다.
이에, 본 발명자는 무화과나무를 양액재배하기 위한 방법 및 무화과나무 양액재배에 효과적인 양액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이의 결과, 무화과나무 양액재배 시 각종 필수 성분을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는 양액 조성물을 개발할 수 있었고, 이 양액 조성물을 이용하여 무화과나무를 재배할 경우 우수한 품질의 무화과를 효과적으로 수득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무화과나무의 양액재배에 사용하여 우수한 품질의 무화과를 수득할 수 있는 양액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양액 조성물을 이용한 무화과나무 양액재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질산칼륨(KNO3) 28 내지 40중량%, 제1인산암모늄(NH4H2PO4) 3 내지 7중량%, 질산칼슘(Ca(NO3)2·4H2O) 27 내지 37중량%, 염화칼슘(CaCl2·2H2O) 7 내지 14중량%, 황산마그네슘(MgSO4·7H2O) 13 내지 20중량%, 킬레이트철(Fe-EDTA) 0.5 내지 3중량%, 붕산(H2BO3) 0.05 내지 0.5중량%, 황산망간(MnSO4·4H2O) 0.05 내지 0.5중량%, 황산아연(ZnSO4·7H2O) 0.005 내지 0.05중량%, 황산구리(CuSO4·5H2O) 0.0005 내지 0.01중량% 및 몰리브덴산나트륨(Na2MoO4·2H2O) 0.0005 내지 0.01중량%로 이루어지는 기초 조성물에 바실러스속 또는 페니바실러스속 미생물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미생물을 상기 기초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종의 미생물 당 10 내지 105 CFU/g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화과나무 용기 재배용 양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양액 조성물은 건조된 상태를 의미하며, 사용 전 일정량의 물을 첨가하여 양액으로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무화과나무 재배용 양액 조성물에서, 상기 각 성분의 함량은 용해도 및 무화과나무 재배에 필요한 필수 무기양분의 비율을 고려하여, 용해되었을 때 총 이온 농도 및 pH가 무화과나무 재배에 적절하게 이루어지도록 설계된 것이다. 무화과나무는 다른 과수에 비하여 중성 및 약 알칼리성 토양에서 잘 생장하며 특히 석회(Ca) 요구량이 많은 과수이므로 이에 알맞은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무화과나무가 건전한 생육을 하기 위해서는 16종류의 원소(탄소, 수소, 산소, 질소, 인, 칼륨, 칼슘, 마그네슘, 황, 철, 망간, 붕소, 아연, 구리, 몰리브덴, 염소)가 필요하다. 이중에서 질소(N), 인(P), 칼륨(K), 칼슘(Ca), 마그네슘(Mg), 황(S)과 같은 6가지 원소는 비교적 다량 흡수되는 다량원소이고, 기타 다른 원소는 미량원소이다. 16개의 원소 중 탄소, 수소, 산소는 공기 중에 탄산가스(CO2)와 물(H2O)로서 공급되므로 비료로 보급할 필요가 없으며, 염소(Cl)는 작물 요구량이 적고 용수와 일반 비료에 어느 정도 함유된 경우가 많으므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비료로서 공급하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다량원소와 미량원소는 작물에 따라 그 요구량이 다르다.
양액재배에서 이용되는 배양액의 구비조건은 첫째 필수 무기양분이 함유되어 있어야 하며, 둘째 뿌리에서 흡수하기 쉬운 형태로 물에 용해된 이온상태이어야 하며, 셋째 각각의 이온이 적당한 농도로 용해되어 총 이온 농도가 적절하여야 하며, 무화과에 유해한 이온을 함유하지 않아야 하고, 넷째 용액의 pH 범위가 5.5 ~ 6.5 범위에 있어야 하며, 다섯째 값싼 비료를 사용하여 만들어져야 하고, 여섯째 재배기간이 계속 되어도 농도, 무기원소간의 비율 및 pH 변화가 적어야 한다.
본 발명의 양액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조건을 모두 만족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무화과나무의 재배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양액 조성물이다.
무화과나무 재배에 있어서 시기에 따라 생장에 요구되는 영양성분이 다르기 때문에, 시기별 영양 공급을 최적화시키기 위해 재배 초기, 중기, 후기로 구분하여 양액 조성물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무화과나무 재배 초기라 함은 발아기부터 착과 시작기(30일)를 의미하며, 중기는 착과 시작기부터 수확기, 후기는 수확 후기부터 낙엽 직전(40일)을 의미한다.
중기에는 상기 양액 조성물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초기에 사용하여 영양 공급을 최적화시키기 위한 양액 조성물은 상기 기초 조성물을 기준으로 4 내지 9중량%의 초안(NH4NO3)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기에 사용하여 영양 공급을 최적화시키기 위한 양액 조성물은 상기 기초 조성물을 기준으로 4 내지 9중량%의 초안(NH4NO3) 및 4 내지 9중량%의 황산칼륨(K2SO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액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식물체가 흡수하지 못하는 형태의 영양성분을 흡수 가능한 형태로 전환시켜주며, 식물체의 생장촉진 및 각종 원소 간 길항작용을 유도하기 때문에 배지 내의 염류 집적 장해를 줄여주고 아울러 무화과나무의 재배 효율 및 무화과의 생산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바실러스속 또는 페니바실러스속의 미생물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미생물을 포함시키는 것이며, 상기 미생물 농도가 1종의 미생물 당 10 내지 105 CFU/g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생물로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바실러스 푸밀러스(Bacillus pumilus), 페니바실러스 폴리믹사(Paenibacillus polymixa)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각 균주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4종의 균주를 모두 포함시키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양액 조성물을 무화과나무 재배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물과 혼합하고 조성물의 각 성분이 충분히 용해되도록 하여 양액의 형태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양액 조성물 0.1 내지 5중량부를 물 1000중량부와 혼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양액 조성물과 물의 비율은 양액 조성물의 각 성분이 물에 충분히 용해될 수 있는 적절한 범위이다. 양액 조성물의 비율을 높이면 양액 조성물의 성분이 충분히 용해되지 못하여 무화과나무가 흡수하지 못하는 형태로 남아있게 되고 다른 원소와 결합하여 침전이 발생할 수 있어 비효율적이며, 양액 조성물의 비율을 낮추면 양액 조성물의 성분이 목표 농도보다 더 희석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양액 조성물은 무화과나무의 생장에 필요한 영양성분을 모두 포함하고 있고 양액으로 제조하여 필요시 언제든지 간단하게 무화과나무에 영양성분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특히 상대적으로 재배공간이 작아 토양만으로는 원활한 영양 공급이 용이하지 못한 용기재배에서 우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일정용량의 용기에 양액재배용 배지를 담고 무화과나무를 식재한 다음, 본 발명의 양액 조성물에 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양액을 주기적으로 급여하는 방법으로 무화과나무 양액재배를 실시할 수 있다.
양액재배용 배지란 토양 대신에 무화과나무 뿌리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고, 영양분, 수분,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중간 역할을 하는 것으로, 펄라이트와 피트모스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화과나무 용기 재배용 양액 조성물은 초기, 중기, 후기로 생육단계별로 일정량을 물로 희석하여 급액하면 원수의 pH 및 EC에 맞추어 조성물 량을 조절할 수 있어 pH 및 EC 측정 기기가 필요 없기 때문에 농가에서 쉽게 양액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무화과나무의 생장에 필요한 영양 성분이 적절하게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여 무화과나무 양액재배를 실시할 경우 수량 증수와 우수한 품질의 무화과를 생산할 수 있다. 특히 용기를 사용한 양액재배에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중기, 후기 양액 조성물의 사진이다.
도 2는 양액에 첨가되는 BS 정의 균사체 생장 상태를 조사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다음 표 1에 따라 각 원료를 분쇄 혼합하는 방법으로 초기, 중기, 후기용 양액 조성물을 제조한다(도 1 참조).
BS 정(Custombio 사, 미국)은 Bacillus subtilis , Bacillus megaterium , Bacillus pumilus , Paenibacillus polymixa 균주가 혼합된 것으로 각 균주가 약 2.0×106 CFU/g의 농도로 존재하는 타블렛이다.
원료 초기 중기 후기
중량(g) 중량(g) 중량(g)
질산칼륨 505 505 505
인산암모늄 76 76 76
초안 100 0 100
황산칼륨 0 0 100
질산칼슘 472 472 472
염화칼슘 156 156 156
황산마그네슘 246 246 246
킬레이트철 25 25 25
붕산 3 3 3
황산망간 2.7 2.7 2.7
황산아연 0.22 0.22 0.22
황산구리 0.05 0.05 0.05
몰리브덴산나트륨 0.03 0.02 0.02
BS 정 0.75 0.75 0.75
1586.75 1486.74 1686.74
* 물 1톤에 사용되는 조성물 량
상기 양액 조성물을 대상으로 RDA 비료분석 방법(농촌진흥청 고시 제2010-3호)에 따라 주성분 함량(표 2 참조), 유해성분 함량(표 3 참조)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비료염의 실제 이론적인 수치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며, 유해성분은 불검출되어 비료등록에는 큰 문제점을 발견할 수 없었다.
주성분 무화과 전용 양액 함량(%)
초 기 중 기 후 기
전량 질소 15.7 13.1 12.3
수용성 인산 4.4 5.4 5.0
수용성 칼륨 25.3 27.5 28.7
수용성 칼슘 10.2 10.2 10.2
수용성 고토 1.9 2.0 2.0
수용성 망간 0.11 0.13 0.12
수용성 붕소 0.22 0.26 0.26
수용성 철 0.21 0.24 0.24
수용성 구리 0.00013 0.00049 0.00030
수용성 아연 0.00540 0.00480 0.00450
수용성 몰리브덴 0.00140 0.00095 0.00055
유해성분 무화과 전용 양액 함량(%)
초 기 중 기 후 기
황청산화물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비소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아질산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뷰렛태질소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설파민산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 질소, 인산, 칼륨성분 합계량의 함유율 1%에 대한 유해성분임.
초기용 양액 조성물에서 BS 정을 첨가한 것과 첨가하지 않은 것의 주성분 함량을 비교하면, 다음 표 4와 같이 BS 정 첨가에 따라 수용성칼륨, 수용성아연 및 수용성몰리브덴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주 성 분 BS 정
첨가 무첨가
전량 질소(%) 11.73 12.31
수용성 인산(%) 4.40 4.78
수용성 칼륨(%) 25.29 23.61
수용성 고토(%) 1.94 1.96
수용성 망간(%) 0.11 0.12
수용성 붕소(%) 0.22 0.23
수용성 철(%) 0.21 0.21
수용성 구리(%) 0.00013 0.00014
수용성 아연(%) 0.0054 0.0036
수용성 몰리브덴(%) 0.0014 0.00086
비료량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양액 조성물을 반량, 표준량, 배량으로 하여 양액을 제조하고, pH 및 EC를 측정하면 다음 표 5와 같다. 초기 및 후기 양액에서 반량은 양액 조성물 0.8㎏/물 1톤, 표준은 1.6㎏/톤, 배량은 3.2㎏/톤이며, 중기 양액에서 반량은 0.75㎏/1톤, 표준은 1.5㎏/1톤, 배량은 3.0㎏/1톤이다.
양액종류 비료량 pH EC(dS·m-1)
초기 원수 8.01 0.017
반량 7.06 1.001
표준 6.91 1.799
배량 6.55 3.100
중기 원수 7.74 0.018
반량 6.98 0.930
표준 6.73 1.678
배량 6.47 2.500
후기 원수 7.70 0.018
반량 6.90 1.024
표준 6.62 1.745
배량 6.44 2.900
* 초기, 후기양액 : 반량 0.8kg/물 1톤, 표준 1.6kg/톤, 배량 3.2kg/톤
* 중기양액 : 반량 7.5kg/물 1톤, 표준 1.5kg/톤, 배량 3.0kg/톤
사용된 BS 정의 균사체 생장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PDA배지에서 28℃의 조건으로 각각 초기, 중기, 후기용 양액과 관행 양액을 접종하여 배양하면 도 2와 같이 균사체 생장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무화과나무는 중성 및 알카리성 토양에서 잘 자라므로 원수의 pH에 따라 양액의 조성물을 희석하면, 다음 표 6과 같이 EC 및 pH 변화는 초기 및 중기 양액 조성물에서는 큰 차이가 없으며 후기양액 조성물은 원수의 pH가 낮을수록 EC는 높은 경향이 있으나 pH는 오히려 낮은 결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양액 조성물 량에 따라 EC 및 pH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구 분 원수 pH 희석 양액
양액온도(℃) EC(dS·m-1) pH
초기양액
(1.6kg/물 1톤)
5 12.3 1.50 5.40
6 12.9 1.30 6.43
7 12.4 1.47 6.60
8 12.8 1.57 6.88
중기양액
(1.5kg/물 1톤)
5 12.5 1.40 6.60
6 11.3 1.27 6.39
7 10.5 1.27 6.71
8 12.0 1.10 6.90
후기양액
(1.6kg/물 1톤)
5 12.1 1.70 5.57
6 11.9 1.33 6.27
7 11.0 1.20 6.69
8 10.4 1.10 6.88
실시예 2.
개발양액을 이용하여 상자재배 포장시험을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실시한다.
장소 :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농가
품종 : 승정도우핀(MasuiDauphine) 7년생 개심자연형
양액 : 관행(농가), 개발양액(초기, 중기, 후기)
상자 크기 : 40ℓ
배지 종류 : 피트모스 5 : 펄라이트 5
양액재배 면적 및 재식거리 : 2a(2×1m) 100주
양액관리 : 초기 0.4 ~ 0.6, 착과기 0.9 ~ 1.1, 수확기 1.8 ~ 2.0 dS·m-1 조절
양액관리시스템 : 한국형 관비기(pH 및 EC 조절기능 없음)
급액량 : 5월 19일(전엽기) 물 관수 → 5월 20일 1ℓ/주 → 6월 21일 1.5ℓ/주 → 7월 18일 2.0ℓ/주 → 7월 27일 3.0ℓ/주 → 9월 20일 2.5ℓ/주 → 9월 30일 2.0ℓ/주
급액횟수 : 3회/일(8시 30분, 12시 30분, 16시 30분)
재배방법 : 관행재배
시험포장에서 원수 및 공급 양액의 무기성분 함량은 다음 표 7과 같다. 양액 공급기간 초기, 중기, 후기의 무기성분 함량을 조사한 결과는 최초 조성물의 이론적인 농도와 유사한 함량을 나타낸다. 수용성 아연, 구리, 몰리브덴, 염소의 함량이 불검출 되었는데, 이는 함량이 분석기기에 나타나지 않은 아주 미량이기 때문인 것이라 생각된다.
무기 성분(%) 원수 양액의 종류
관행 초기 중기 후기
pH 8.08 7.04 6.82 6.83 7.04
EC(dS·m-1) 0.215 1.156 1.682 1.966 1.682
전량 질소 0.0032 0.0212 0.0264 0.0175 0.0194
암모니아태 질소 불검출 0.0012 0.0022 0.0005 0.0014
질산태 질소 0.0032 0.020 0.0242 0.0170 0.0180
수용성 인산 불검출 0.015 0.0048 0.0050 0.0046
수용성 칼륨 불검출 0.045 0.0230 0.0230 0.0250
수용성 칼슘 0.00033 0.0095 0.0160 0.0160 0.0130
수용성 고토 불검출 0.00021 0.00023 0.0043 0.0037
수용성 망간 불검출 0.00005 0.00010 0.00011 0.00010
수용성 붕소 불검출 0.00007 0.00023 0.00024 0.00022
수용성 철 불검출 0.00013 0.00025 0.00024 0.00021
수용성 아연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수용성 구리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수용성 몰리브덴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수용성 염소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수용성 황 0.00016 0.0040 0.0039 0.0036 0.0037
* 초기, 후기 양액조성물 : 1.6kg/물 1톤, 중기 양액조성물 : 15kg/물 1톤.
* 양액 : 8월 21일 조사
양액 처리에 따른 조사시기별 양액의 pH는 다음 표 8과 같다. 개발양액 모두 조사 시기에 따른 pH 변화가 거의 없고, 무화과의 적정 pH인 7.0 ~ 7.5에 근접하다.
양액 조사시기별 pH
5/22 6/21 7/19 7/23 7/27 8/1 8/10 8/20 8/29 9/18 9/29 10/11 10/25
초기 7.63 6.99 7.29 6.64 7.13 7.09 6.98 7.43 7.18 6.58 6.96 7.07 7.22
중기 7.61 6.98 7.24 7.04 7.16 7.21 7.07 7.47 7.06 6.49 6.46 7.08 7.11
후기 7.59 6.89 7.26 7.04 6.94 7.32 7.16 7.61 7.55 6.61 6.51 7.12 7.11
관행 - - 7.15 7.04 7.38 6.86 6.72 7.27 6.71 6.73 6.95 7.11 6.70
원수 8.40 8.59 8.88 - - 8.83 - - - - - - -
* 7월 19일부터 수확
* 초기, 후기 양액 조성물 : 1.6kg/물 1톤, 중기 양액 조성물: 1.5kg/물 1톤
조사시기별 양액의 EC는 다음 표 9와 같다. 개발양액 모두 권장 적정 범위 0.4 ~ 0.6 dS·m-1 와 비교할 때 큰 차이가 없다. 착과기(7/19 ~ 8/20)의 적정 EC는 0.9 ~ 1.1 dS·m- 1 로 초기, 중기, 후기 양액이 약간 높은 EC를 나타낸다.
양액 조사시기별 EC(dS·m-1)
5/22 6/21 7/19 7/23 7/27 8/1 8/10 8/20 8/29 9/18 9/29 10/11 10/25
초기 0.88 0.88 1.17 0.91 1.96 1.79 1.08 1.89 1.31 1.98 1.91 1.87 1.43
중기 0.77 0.45 1.05 1.11 1.96 1.88 0.99 1.70 1.30 1.87 1.87 1.75 1.46
후기 0.83 0.69 0.93 0.88 1.65 1.87 1.09 1.28 1.55 1.88 1.85 1.96 1.54
관행 - - 1.87 1.16 1.94 1.99 1.15 1.91 1.34 1.86 1.80 1.59 1.67
원수 0.22 0.11 0.25 - - 0.23 - - - - - - -
* 7월 19일부터 수확
* 초기, 후기 양액 조성물 : 1.6kg/물 1톤, 중기 양액 조성물: 1.5kg/물 1톤
양액 처리에 따른 배지 내 수분함량, EC 및 온도는 다음 표 10과 같다. 배지 내 수분함량은 착과기에는 수분함량이 16.8 ~ 25.9%로 낮으며, 9월 8일에는 관행재배 59.4%로 큰 차이가 없다. 배지 내 EC는 관행재배보다 낮고, 온도 차이는 없다.
양 액 수분함량(%) EC
(dS·m-1)
온도
(℃)
8/20 8/29 9/8
초 기 19.0 19.8 61.7 1.11 25.5
중 기 18.0 25.9 59.2 1.64 25.2
후 기 18.6 23.1 57.9 1.40 24.8
관 행 16.8 25.8 59.4 2.02 25.0
* 7월 19일부터 수확
* 초기, 후기양액 조성물 : 1.6kg/물 1톤, 중기 양액 조성물 : 1.5kg/물 1톤
양액 처리에 따른 엽신의 무기성분 함량은 다음 표 11과 같다. T-N 및 K는 관행 및 중기 양액에 비하여 초기 및 후기 양액이 많고, P 함량은 후기 양액이, Ca 및 Mg는 관행에 비하여 초기, 중기, 후기 모두 함량이 현저하게 높다.
처 리 T-N(%) P(%) K(%) Ca(%) Mg(%)
초기 양액
중기 양액
후기 양액
관 행
2.69a
2.42b
2.69a
2.49b
0.249b
0.234b
0.338a
0.271b
4.15a
3.34b
3.98a
3.27b
2.33a
2.53a
2.18a
1.81b
0.731a
0.609a
0.659a
0.595b
* 초기, 후기 양액 조성물 : 1.6kg/물 1톤, 중기 양액 조성물 : 1.5kg/물 1톤
* DMRT, 5% 수준
* 같은 칼럼에 다른 알파벳으로 표시된 값은 p<0.05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양액 처리에 따른 엽병의 무기성분 함량은 다음 표 12와 같다. T-N은 중기, 후기, 관행에 비하여 초기 양액이 높다. P 함량은 관행에 비하여 초기 및 후기 양액이 높으나, K 및 Ca는 처리간 차이가 없다. Mg 함량은 후기 및 관행에 비하여 초기 및 중기 양액이 높다.
처 리 T-N(%) P(%) K(%) Ca(%) Mg(%)
초기 양액
중기 양액
후기 양액
관 행
2.09a
1.32b
1.43b
1.36b
0.420a
0.377b
0.402a
0.352b
8.59a
7.49a
8.39a
8.36a
1.24a
1.38a
1.23a
1.31a
0.606a
0.715a
0.521b
0.462b
* 초기, 후기 양액 조성물 : 1.6kg/물 1톤, 중기 양액 조성물: 1.5kg/물 1톤
* DMRT, 5% 수준
* 같은 칼럼에 다른 알파벳으로 표시된 값은 p<0.05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양액 처리에 따른 과실의 무기성분 함량은 다음 표 13과 같다. T-N은 중기 및 관행 양액에 비해 초기 및 후기 양액 처리구가 높다. P, K 및 Mg의 함량은 개발양액 처리구가 관행에 비해 증가한다.
처 리 T-N(%) P(%) K(%) Ca(%) Mg(%)
초기 양액
중기 양액
후기 양액
관 행
0.89a
0.76b
1.05a
0.70b
0.131a
0.132a
0.153a
0.118b
1.93a
1.89a
2.11a
1.66b
0.143b
0.157b
0.189a
0.145b
0.132a
0.108a
0.140a
0.084b
* 초기, 후기 양액 조성물 : 1.6kg/물 1톤, 중기 양액 조성물 : 1.5kg/물 1톤
* DMRT, 5% 수준
* 같은 칼럼에 다른 알파벳으로 표시된 값은 p<0.05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양액 처리에 따른 식물체 생장량은 다음 표 14와 같다. 엽 두께는 초기에는 차이가 있으나, 9월 18일에는 큰 차이가 없고, 신초장은 관행에 비하여 초기, 중기, 후기 양액 처리가 짧다. 신초경은 신초장과 비슷한 경향을 보인다. 엽록소 함량은 초기에는 차이가 있으나, 9월 18일에는 관행 양액 처리구가 감소한다.
양액 엽중
(g)
엽병
(g)
엽장
(cm)
엽폭
(cm)
엽두께
(mm)
Hunter 값 신초장
(cm)
신초경
(mm)
절간장
(cm)
엽록소
(SPAD)
L a b
5월 28일
초기 - - - - 0.49b - - - 40b 10.5b - 55.3a
중기 - - - - 0.49b - - - 46b 12.0a - 58.8a
후기 - - - - 0.53a - - - 30a 10.0b - 59.5a
관행 - - - - 0.43b - - - 33a 10.7b - 53.0a
6월 21일
초기 - - - - 0.34a - - - 63b 12.9b - 54.0a
중기 - - - - 0.37a - - - 74b 15.2a - 58.6a
후기 - - - - 0.39a - - - 41c 12.5b - 57.2a
관행 - - - - 0.36a - - - 89a 14.2a - 50.4a
7월 19일
초기 9.5a 3.3 21.5a 21.6 0.33a 28.3 -5.87 6.16 69c 13.3b - 54.3a
중기 8.6a 3.0 20.6a 21.6 0.34a 28.4 -5.96 6.47 80a 14.1a - 55.1a
후기 9.7a 3.3 21.4a 21.7 0.37a 28.1 -5.22 5.57 41c 11.6b - 56.6a
관행 7.2b 2.6 18.9b 20.7 0.33a 26.5 -5.92 5.99 103a 14.9a - 51.1a
8월 20일
초기 - - - - 0.35a - - - 96b 14.8b 5.4 56.6a
중기 - - - - 0.36a - - - 91b 14.8b 6.2 55.7a
후기 - - - - 0.37a - - - 77c 15.7a 5.0 57.5a
관행 - - - - 0.32a - - - 128a 16.1a 5.8 52.5a
9월 18일
초기 - - - - 0.35a - - - 105b 16.1a - 57.8a
중기 - - - - 0.35a - - - 112b 17.5a - 56.7a
후기 - - - - 0.35a - - - 91b 16.8a - 57.7a
관행 - - - - 0.32a - - - 139a 16.9a - 51.9b
* 초기, 후기 양액 조성물 : 1.6kg/물 1톤, 중기 양액 조성물 : 1.5kg/물 1톤
* DMRT, 5% 수준
* 같은 칼럼에 다른 알파벳으로 표시된 값은 p<0.05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양액 처리에 따른 수확시기별 과실의 특성은 다음 표 15 내지 표 21과 같다. Hunter L, a, b값은 처리간 수확 시기별 큰 차이가 없다. 당도는 전반기에는 큰 차이가 없으나, 10월 19일 이후에는 관행에 비하여 초기, 중기, 후기 양액 처리가 감소한다. 평균 과중은 초기에는 관행이 증가하나, 8월 18일 이후부터는 전반적으로 감소한다. 수확 시기별 주당 수량은 7월 23일부터 9월 8일까지는 관행에 비하여 중기 양액이 가장 많으며, 후기, 초기 양액 순이다. 9월 28일 이후는 후기, 관행, 초기, 중기 순이다.
양 액 Hunter L값
7/23 7/27 8/1 8/7 8/10 8/16 8/20 8/24 8/29 9/3 9/8
초 기 33.9 26.8 28.8 26.9 37.9 34.5 40.0 33.4 26.8 32.7 28.1
중 기 33.2 25.9 30.9 24.7 33.4 32.6 53.1 32.7 27.4 28.9 27.9
후 기 32.9 24.4 33.2 33.2 38.4 33.6 51.6 44.3 33.8 32.5 32.5
관 행 - 29.2 33.6 28.8 44.3 31.9 44.8 36.0 27.4 28.1 27.9
양 액 Hunter L값
9/15 9/18 9/22 9/29 10/6 10/11 10/13 10/19 10/25 10/29
초 기 - - 27.2 36.6 30.1 27.7 35.2 27.0 26.3 30.9
중 기 - - 25.9 30.6 28.3 31.4 27.1 27.0 27.7 27.8
후 기 - - 32.6 38.9 31.9 27.0 30.8 31.0 26.9 29.9
관 행 - - 26.7 36.6 28.1 32.0 30.2 29.5 25.0 26.7
* 초기, 후기 양액 조성물 : 1.6kg/물 1톤, 중기 양액 조성물 : 1.5kg/물 1톤
양 액 Hunter a값
7/23 7/27 8/1 8/7 8/10 8/16 8/20 8/24 8/29 9/3 9/8
초 기 9.48 13.4 11.4 11.8 10.6 13.7 9.85 8.63 13.8 15.2 12.8
중 기 12.2 12.4 10.5 10.1 14.5 15.7 3.84 12.0 14.6 15.3 12.9
후 기 11.0 10.3 10.6 12.0 7.70 15.0 2.98 7.50 18.1 16.1 14.6
관 행 - 10.6 11.1 12.7 6.52 15.7 4.94 8.28 11.6 14.4 13.5
양 액 Hunter a값
9/15 9/18 9/22 9/29 10/6 10/11 10/13 10/19 10/25 10/29
초 기 - - 12.8 13.4 9.54 12.2 9.28 13.0 11.6 11.7
중 기 - - 12.5 10.8 13.6 12.1 13.0 12.1 12.5 13.2
후 기 - - 10.6 13.3 13.6 12.0 12.4 14.3 13.3 12.3
관 행 - - 13.3 12.9 12.9 13.1 13.0 12.4 8.59 10.5
* 초기, 후기 양액 조성물 : 1.6kg/물 1톤, 중기 양액 조성물: 1.5kg/물 1톤
양 액 Hunter b값
7/23 7/27 8/1 8/7 8/10 8/16 8/20 8/24 8/29 9/3 9/8
초 기 10.7 4.14 4.74 4.72 11.6 8.66 12.4 9.67 3.78 6.70 3.78
중 기 10.1 2.70 6.57 2.31 7.44 6.21 19.2 7.73 4.47 4.60 3.70
후 기 9.8 1.96 8.83 8.79 12.3 8.52 20.1 14.8 8.77 7.12 8.08
관 행 - 5.71 8.63 5.73 15.0 5.48 18.0 11.1 3.76 4.26 5.89
양 액 Hunter b값
9/15 9/18 9/22 9/29 10/6 10/11 10/13 10/19 10/25 10/29
초 기 - - 3.50 11.5 5.89 5.68 11.6 5.60 4.02 8.06
중 기 - - 3.28 6.66 5.27 7.88 4.83 4.35 5.06 5.24
후 기 - - 6.97 9.96 9.02 4.74 7.56 8.15 4.61 6.93
관 행 - - 4.28 5.98 5.66 8.93 7.38 6.43 2.74 4.28
* 초기, 후기 양액 조성물 : 1.6kg/물 1톤, 중기 양액 조성물 : 1.5kg/물 1톤
양 액 당도(˚Bx)
7/23 7/27 8/1 8/7 8/10 8/16 8/20 8/24 8/29 9/3 9/8
초 기 13.2 12.6 11.1 14.0 9.7 11.1 10.7 11.7 12.1 13.2 13.6
중 기 11.6 13.0 10.5 13.9 9.7 10.3 10.7 10.8 13.3 12.0 13.1
후 기 11.8 13.0 10.6 12.6 10.7 10.4 10.2 10.6 11.9 11.5 14.2
관 행 - 11.7 11.3 12.9 9.8 12.6 12.2 12.7 12.3 14.0 13.1
양 액 당도(˚Bx)
9/15 9/18 9/22 9/29 10/6 10/11 10/13 10/19 10/25 10/29
초 기 - - 15.2 14.7 14.9 14.4 14.5 14.5 15.2 13.9
중 기 - - 15.1 14.0 14.4 13.9 13.9 10.9 13.8 10.9
후 기 - - 16.0 13.9 14.4 14.3 14.1 13.6 12.5 13.8
관 행 - - 15.8 15.4 14.3 13.5 14.5 15.2 15.9 15.1
* 초기, 후기 양액 조성물: 1.6kg/물 1톤, 중기 양액 조성물: 1.5kg/물 1톤
양 액 산함량(%)
7/23 7/27 8/1 8/7 8/10 8/16 8/20 8/24 8/29 9/3 9/8
초 기 0.55 0.60 0.60 0.78 0.41 0.43 0.64 0.46 0.48 0.45 0.44
중 기 0.66 0.68 0.54 0.68 0.49 0.47 0.70 0.47 0.43 0.41 0.46
후 기 0.46 0.68 0.58 0.54 0.42 0.47 0.43 0.50 0.44 0.41 0.48
관 행 - 0.43 0.53 0.66 0.42 0.46 0.45 0.48 0.42 0.44 0.50
양 액 산함량(%)
9/15 9/18 9/22 9/29 10/6 10/11 10/13 10/19 10/25 10/29
초 기 - - 0.41 0.48 0.61 0.66 0.34 0.54 0.54 0.49
중 기 - - 0.40 0.46 0.58 0.63 0.41 0.66 0.38 0.66
후 기 - - 0.40 0.54 0.67 0.75 0.43 0.54 0.54 0.59
관 행 - - 0.53 0.65 0.78 0.70 0.44 0.81 0.70 0.61
* 초기, 후기 양액 조성물 : 1.6kg/물 1톤, 중기 양액 조성물 : 1.5kg/물 1톤
양 액 평균과중(g)
7/23 7/27 8/1 8/7 8/10 8/16 8/20 8/24 8/29 9/3 9/8
초 기 72.1 56.2 66.5 77.4 81.6 85.8 91.3 82.3 69.9 57.9 60.2
중 기 73.4 91.0 65.9 75.7 74.4 63.1 66.3 74.7 69.0 54.9 53.1
후 기 85.2 95.1 84.5 71.7 89.8 69.1 66.3 89.3 83.8 58.1 72.6
관 행 - 90.5 76.0 72.7 91.5 44.5 50.8 57.5 36.6 46.1 50.9
양 액 평균과중(g)
9/15 9/18 9/22 9/29 10/6 10/11 10/13 10/19 10/25 10/29
초 기 0 0 59.9 97.1 68.5 79.3 84.6 82.5 0 84.1
중 기 0 0 58.6 70.4 68.0 72.2 86.0 60.6 0 90.5
후 기 0 0 80.7 81.6 67.1 71.8 84.7 72.6 0 94.7
관 행 0 0 62.8 66.4 60.8 62.1 66.6 69.7 67.8 72.8
* 초기, 후기 양액 조성물 : 1.6kg/물 1톤, 중기 양액 조성물 : 1.5kg/물 1톤
양 액 수량(g/주)
7/23 7/27 8/1 8/7 8/10 8/16 8/20 8/24 8/29 9/3 9/8
초 기 144 71 93 168 109 107 102 226 105 212 130
중 기 208 338 121 411 170 210 106 171 83 212 159
후 기 85 133 169 126 120 124 82 304 196 115 109
관 행 0 91 127 182 220 45 102 144 92 178 144
양 액 수량(g/주)
9/15 9/18 9/22 9/29 10/6 10/11 10/13 10/19 10/25 10/29
초 기 0 0 60 85 122 79 169 363 0 252
중 기 0 0 129 66 94 120 258 61 0 0
후 기 0 0 141 121 134 126 233 165 0 426
관 행 0 0 110 66 122 104 203 256 136 255
* 초기, 후기 양액 조성물 : 1.6kg/물 1톤, 중기 양액 조성물 : 1.5kg/물 1톤
양액 처리에 따른 초기 과실의 특성은 다음 표 22와 같다. 관행 양액에 비하여 초기, 중기, 후기 양액의 초기 수량이 많으며, 당도는 초기 양액이 다른 양액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다.
양액 과중
(g)
수량
(g/주)
당도
(˚Bx)
산함량
(%)
Hunter 값
L a b
초기 72.1a 144.2b 13.2a 0.55a 33.92a 9.48a 10.72a
중기 73.4a 208.0a 11.6b 0.66a 33.15a 12.15a 10.11a
후기 85.2a 85.2c 11.8b 0.46a 32.90a 11.0a 9.80a
관행 0 0 - - - - -
* 7월 23일조사
* 초기, 후기 양액 조성물 : 1.6kg/물 1톤, 중기 양액 조성물: 1.5kg/물 1톤
* DMRT, 5% 수준
* 같은 칼럼에 다른 알파벳으로 표시된 값은 p<0.05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양액 처리에 따른 과실 품질 및 10a 당 수량은 다음 표 23과 같다. 무화과 과피의 Hunter L, a, b값, 당도, 산함량은 처리 양액 간 큰 차이는 없으나, 과중은 관행 및 초기에 비하여 중기 및 후기 양액에서 현저하게 증가한다. 주당 수량은 과중과 비슷한 경향으로 관행에 비하여 중기 및 후기 양액이 현저하게 높다. 10a 수량은 관행 1,289㎏에 비하여 초기 양액이 1,299㎏으로 비슷하나, 중기 양액은 1,459㎏, 후기 양액은 1,455㎏으로 13%로 증수할 수 있다.
양 액 Hunter 값 당도
(˚Bx)
산함량
(%)
과중
(g)
주당 수량
(g)
10a당 수량
(kg)
L a b
초 기 28.1a 10.7a 6.51a 11.9a 0.47a 67.0a 2,597a 1,299b
(101)
중 기 27.5a 11.1a 5.60a 11.2a 0.48a 64.9b 2,917b 1,459a
(113)
후 기 30.5a 10.8a 7.95a 11.4a 0.47a 70.1a 2,909b 1,455a
(113)
관 행 28.3a 10.3a 6.46a 12.1a 0.50a 57.3b 2,577a 1,289b
(100)
* 7/23∼10/29 합계 수량
* 지수임
* DMRT, 5% 수준
* 같은 칼럼에 다른 알파벳으로 표시된 값은 p<0.05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조성물의 실제 사용 시 초기양액(착과 시작기까지) 0.8kg/ 물 1톤, 중기(착과 시작기부터 수확기) 1.5kg/ 물 1톤, 후기(수확 후기부터 낙엽 직전) 1.6kg/ 물 1톤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5)

  1. 질산칼륨(KNO3) 28 내지 40중량%, 제1인산암모늄(NH4H2PO4) 3 내지 7중량%, 질산칼슘(Ca(NO3)2·4H2O) 27 내지 37중량%, 염화칼슘(CaCl2·2H2O) 7 내지 14중량%, 황산마그네슘(MgSO4·7H2O) 13 내지 20중량%, 킬레이트철(Fe-EDTA) 0.5 내지 3중량%, 붕산(H2BO3) 0.05 내지 0.5중량%, 황산망간(MnSO4·4H2O) 0.05 내지 0.5중량%, 황산아연(ZnSO4·7H2O) 0.005 내지 0.05중량%, 황산구리(CuSO4·5H2O) 0.0005 내지 0.01중량% 및 몰리브덴산나트륨(Na2MoO4·2H2O) 0.0005 내지 0.01중량%로 이루어지는 기초 조성물에,
    바실러스속 또는 페니바실러스속 미생물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미생물을 상기 기초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종의 미생물 당 10 내지 105 CFU/g으로 더 포함하고,
    상기 기초 조성물을 기준으로 4 내지 9중량%의 초안(NH4NO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화과나무 용기 재배용 양액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조성물을 기준으로 4 내지 9중량%의 황산칼륨(K2SO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화과나무 용기 재배용 양액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바실러스 푸밀러스(Bacillus pumilus) 및 페니바실러스 폴리믹사(Paenibacillus polymixa)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화과나무 용기 재배용 양액 조성물.
  5. 제 1항, 제 3항 및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 0.1 내지 5중량부에 1000중량부의 물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화과나무 용기 재배용 양액.
KR1020120022400A 2012-03-05 2012-03-05 무화과나무 용기 재배용 양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101391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400A KR101391868B1 (ko) 2012-03-05 2012-03-05 무화과나무 용기 재배용 양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400A KR101391868B1 (ko) 2012-03-05 2012-03-05 무화과나무 용기 재배용 양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333A KR20130101333A (ko) 2013-09-13
KR101391868B1 true KR101391868B1 (ko) 2014-05-07

Family

ID=49451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400A KR101391868B1 (ko) 2012-03-05 2012-03-05 무화과나무 용기 재배용 양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18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727A (ko) 2015-02-25 2016-09-02 문병우 사과나무 생리장해 방지용 칼슘제 조성물
CN107586218A (zh) * 2017-07-24 2018-01-16 张剑秋 一种园林用无土培育营养液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000B1 (ko) * 2012-11-14 2014-10-02 전라남도 과실 상자재배용 양액조성물
CN106045610A (zh) * 2016-05-25 2016-10-26 句容市农业技术推广中心 一种无花果专用追肥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008102A (zh) * 2016-05-25 2016-10-12 句容市农业技术推广中心 一种棒状无花果专用基肥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8383641A (zh) * 2018-05-30 2018-08-10 安徽润航农业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豆类作物无土栽培营养液及其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727A (ko) 2015-02-25 2016-09-02 문병우 사과나무 생리장해 방지용 칼슘제 조성물
CN107586218A (zh) * 2017-07-24 2018-01-16 张剑秋 一种园林用无土培育营养液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333A (ko) 201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92217B1 (en) Fertilizer for potting soil
KR101391868B1 (ko) 무화과나무 용기 재배용 양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CN101627706B (zh) 一种蚓粪复配蔬菜育苗基质及其制备方法
KR101120635B1 (ko) 고품질 ? 고기능성 과채류의 재배방법
Muthoni Soil fertility situation in potato producing Kenyan highlands Case of KALRO-Tigoni
EP1975141A1 (en) Method for promoting plant growth and improving plant quality and growth-promoting agent and quality-improving agent to be used in the method
CN105248213A (zh) 一种观赏槭树高效栽培技术
Pineda-Pineda et al. Nutrimental balance in aquaponic lettuce production
Claassens et al. The fertilizer requirements of cactus pear (Opuntia ficus-indica) under summer rainfall conditions in South Africa
Maboko et al. Yield and mineral content of hydroponically grown mini-cucumber (Cucumis sativus L.) as affected by reduced nutrient concentration and foliar fertilizer application
KR101826256B1 (ko) 상용 다액형 양액 비료 대체형 비침전 1액형 양액 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A2966913A1 (en) Growing media and method for growing grapes in an enclosed environment
CN107739222A (zh) 一种草莓有机无土栽培复合基质
JPS60239403A (ja) 植物活性付与剤
CN107082730A (zh) 一种含稀土的油茶专用有机肥
CN108218611A (zh) 一种新型植物营养剂及其制备方法
CN111296227A (zh) 一种有机种植土及其制备方法
KR102225884B1 (ko) 규산질 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Islam et al. Response of organic & inorganic fertilizers to the growth, yield and soil nutrient status in tomato (Lycopersion esculentum)
KR102259960B1 (ko) 작물재배용 양액 조성물
KR102471240B1 (ko) 토양의 염류집적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복합기능의 토양복원제 제조방법
CN110937948B (zh) 一种番茄营养液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998484B1 (ko) 깨씨무늬증상 개선용 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비료 제제, 상기 비료 조성물을 시비하는 배추의 재배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배추
CN112824354B (zh) 一种金钻小苹果无土栽培用营养液及其配制方法和应用
Verma et al. Potassium-the key nutrient for tea grown in Latosols of south India: Glimpses of seven decades of potassium resear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