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484B1 - 깨씨무늬증상 개선용 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비료 제제, 상기 비료 조성물을 시비하는 배추의 재배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배추 - Google Patents

깨씨무늬증상 개선용 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비료 제제, 상기 비료 조성물을 시비하는 배추의 재배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배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484B1
KR101998484B1 KR1020170161613A KR20170161613A KR101998484B1 KR 101998484 B1 KR101998484 B1 KR 101998484B1 KR 1020170161613 A KR1020170161613 A KR 1020170161613A KR 20170161613 A KR20170161613 A KR 20170161613A KR 101998484 B1 KR101998484 B1 KR 101998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trogen
composition
nitrate
fertilizer
chinese cabb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2405A (ko
Inventor
오성봉
정지원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ublication of KR20180062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15Leaf crops, e.g. lettuce or spinac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1/00Methods of fertilising, sowing or plan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CNITROGENOUS FERTILISERS
    • C05C11/00Other nitrogenous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1/00Fertilisers containing potassium
    • C05G3/0064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20Liquid fertilis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깨씨무늬증상 개선용 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비료 제제, 상기 비료 조성물을 시비하는 배추의 재배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배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깨씨무늬증상 개선용 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비료 제제, 상기 비료 조성물을 시비하는 배추의 재배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배추{A FERTILIZER COMPOSITION FOR REDUCED PEPPER SPOT, FERTILIZER INCLUDING THE SAME, METHOD FOR GROWING CABBAGE USING THE SAME AND A CABBAGE GROWN THEREBY}
본 출원은 깨씨무늬증상 개선용 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비료 제제, 상기 비료 조성물을 시비하는 배추의 재배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배추에 관한 것이다.
배추는 김치의 주 원료로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채소로서 재배 작형별로 겨울배추, 봄배추 및 여름배추 등으로 나눌 수 있고 청옥, 춘광 등과 같은 배추의 품종으로도 나눠 질 수 있다. 배추의 재배는 씨앗을 묘상에 파종한 후 20 내지 30일 즈음에 본토에 정식하고 정식한 지 60 내지 70일 정도에 수확을 한다. 이렇게 재배된 배추는 0 내지 2 ℃범위에서 90%이상의 습도를 유지하며 저장되어야 하며, 배추 저장 창고에서 겨울배추의 저장 시 습도유지를 위하여 물뿌리기 작업을 진행하기도 한다.
여름철에는 배추의 가격과 수급이 매우 불안정하여, 품질 및 수급안정성이 뛰어나고 가격이 낮은 봄배추를 여름철에 사용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봄배추는 저장 장해 등으로 인해 여름철까지 보관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배추의 저장 장해는 배추 저장중에 배추의 품질이 떨어지는 것으로서 위조, 추대, 깨씨무늬증, 석회결핍증, 다량의 곰팡이 등이 있고, 특히 깨씨무늬증의 경우 모든 종류의 배추 저장중에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깨씨무늬증은 배추의 생장 후기 또는 저장기간에 중륵부와 엽맥에 1 - 2mm 크기의 검은 반점무늬가 발생하는 것을 말하며, 생장 후반으로 갈수록,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심해진다. 이러한 깨씨무늬증이 발생한 배추는 외관상 기호도가 떨어져 배추의 품질 저하를 야기하므로 수확시기뿐 아니라, 저장시기에 발생할 경우에도 배추의 가공 및 상품화가 불가능해진다.
다만, 현재까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57171호 (발명의 명칭: 고 칼슘 배추 및 그 재배 방법) 와 같이 수확된 배추의 영양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질 뿐 깨씨무늬증의 발생 원인과 방지책에 대하여 명확하게 구명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이의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3-0057171호 (2013.05.13)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깨씨무늬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암모니아태질소(NH4-N)가 깨씨무늬증을 심화시키는 것을 확인하였고, 본 출원의 비료 조성물을 고안하였다.
따라서, 본 출원은 질산태질소를 질소원으로 포함하는, 배추의 깨씨무늬증상 개선용 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상기의 비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료 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출원은 상기 비료 조성물을 시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깨씨무늬증상이 개선된 배추의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상기 재배방법에 의해 재배된 배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출원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출원의 일 양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질산태질소를 질소원으로 포함하는, 배추의 깨씨무늬증상 개선용 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질산태질소는 질산염 (NO3-N)의 형태로 존재하는 질소로서 암모늄태 질소와 함께 식물의 생장에 중요한 무기태 질소이다. 상기 조성물은 질산태질소를 6 내지 20me/L로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8 내지 17me/L, 더욱 구체적으로는 12 내지 17me/L 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조성물 내 질산태질소가 6me/L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배추의 생장이 저해될 수 있고, 20me/L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깨씨무늬증상을 개선할 수 없다. 상기 질산태질소는 질산칼륨, 질산칼슘 및 질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질산칼륨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질산태질소로서 질산칼륨이 사용되는 경우 질산칼륨은 300 내지 2,000ppm, 구체적으로 500 내지 1500ppm의 농도로 희석되어 시비될 수 있다. 질산칼륨이 300ppm미만으로 시비될 경우 배추의 생장이 저해될 수 있고, 2,000ppm 초과하여 시비될 경우 깨씨무늬 증상을 개선될 수 없다.
또한, 상기 비료 조성물은 암모니아태 질소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질소원으로 암모니아태질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암모니아태질소는 암모니아염 (NH3 또는 NH4 이온형태를 포함하는 질산암모늄,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으로 존재하는 질소로서 질산태질소와 함께 식물의 생장에 중요한 무기태 질소이다. 암모니아태질소가 포함될 경우, 상기 질산태질소 및 암모니아태질소는 10:1 내지 1000:1의 당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암모니아태질소는 질산태질소 당량비 대비 10% 이하, 구체적으로는 0 내지 10%, 0.001 내지 10%, 0.01 내지 5%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외의 경우 깨씨무늬증상의 개선을 기대할 수 없다.
또한,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질소원으로 암모니아태질소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암모니아태질소를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깨씨무늬증상의 발달이 더욱 저해될 수 있다 (실험예 1 참조).
상기 배추는 배지 또는 노지에 정식되어 재배된 배추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배추 재배 시 전기전도도를 0.5 내지 3.0dS/m,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3.0dS/m 2.0 내지 2.5dS/m로 유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전기전도도가 0.5dS/m보다 낮을 경우 비료 조성물이 충분히 있는 것이 아니어서 비료 조성물의 효과를 확인하기 어렵고, 3.0dS/m보다 높을 경우 식물의 생육이 저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배추를 정식 후에 후 50 내지 70일 차에 배추 개별 잎의 깨씨무늬증상 정도를 표 1 및 도 2의 기준으로 산출된 깨씨무늬등급이 0 내지 4, 구체적으로 0 내지 3, 1 내지 3 또는 0 내지 2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 출원의 깨씨무늬등급은 배추의 깨씨무늬정도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수확된 배추 개별 잎의 깨씨무늬증상 정도에 기초하여 배추 개별 잎을 도 2와 같이 A 내지 D (D1 ~ D3)로 평가한 것이다. 상기 A는 배추 잎의 중륵부 깨씨무늬가 30개 이하인 것이고, B는 깨씨무늬가 중륵부 면적 15% 이하 발생한 것이며, C는 깨씨무늬가 중륵부 면적 30%이상 발생한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D1은 깨씨무늬가 중륵부 면적 30~50% 발생한 것이고, D2는 깨씨무늬가 중륵부 면적 50~70%발생한 것이며, D3는 깨씨무늬가 중륵부 면적 70~100%발생한 것을 말한다. 즉, 본 출원의 조성물로 재배된 배추는 정식 후 50 내지 70일차에는 배추의 개별잎에 깨씨무늬증상이 전혀 없는 것 (0등급) 내지는 도 2의 C, D 수준의 잎이 없고 B 수준의 잎이 10장 이상인 것 (4등급), 구체적으로는 깨씨무늬증상이 전혀 없는 것 (0등급) 내지는 도 2의 C, D 수준의 잎이 없고 B 수준의 잎이 6장 미만 (2등급)이거나, B 수준의 잎이 7 내지 9장인 것 (3등급),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2의 B, C, D 수준의 잎이 없는 것(1등급)일 수 있다.
깨씨무늬 등급기준
등급 설명 A B C D 기준설명 
0 free 0 0 0 0 전혀 없음 
1 clean > 0 0 0 0 A 무관, B 이상 0
2 good > 0 1 ~ 6 0 0 A 무관, B 6장 이하, C 이상 0
3 fair > 0 7 ~ 9 0 0 A 무관, B 7~9장, C 이상 0
4 poor > 0 ≥≥ 10 0 0 A 무관, B 10장 이상, C 이상 0
5 partially cull > 0 ≥≥ 10 1 ~ 6 0 A 무관, B 10장 이상, C 6장 이하, D 이상 0
6 cull > 0 ≥≥ 10 ≥≥ 7 > 0 A 무관, B 10장 이상, C 7장 이상, D 이상 1장 이상
또한, 본 출원의 다른 양태는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료 제제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제는 정제, 분말, 과립, 액상 (solution) 및 현탁액 (emulsio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비료 제제를 용해하여 배추에 관주 방식으로 시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료 제제는 상기한 비료 조성물 외에 비료 제제의 목적에 맞게 공지의 물질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조성물을 시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깨씨무늬 증상이 개선된 배추의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배추묘를 정식하는 단계, 질산태질소(NO3-N)를 주된 질소원으로 시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깨씨무늬증상을 저감하는 배추의 재배방법일 수 있다.
상기 배추묘를 정식하는 단계에서 배추묘는 공지의 배추 품종을 공지의 재배 방법으로 재배한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25일 내지 50일간 육묘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배추묘는 배지 또는 노지에 정식할 수 있다.
상기 배지에 정식된 배추묘에 양액재배(수분공급이 항상 양액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통해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양액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공급은 정식 후 0 내지 60일차, 구체적으로 30 내지 60일차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질산태질소로서, 질산칼륨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공급하여 시비하여 배추의 영양생장기에 필요한 칼륨을 보충해줄 수 있다. 상기 질산칼륨 함유 조성물은 6 내지 20me/L의 질산태질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7 내지 18 me/L, 더욱 구체적으로 8 내지 17 me/L의 질산태질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양액재배의 조성물은 정식 후 20일간 0.5dS/m 내지 1.5dS/m, 20일 이후부터 1.0dS/m 내지 3.0dS/m의 전기전도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지에 정식된 배추묘에 점적관수 등의 양액관주(상시 수분공급은 원수를 공급하나, 양분의 공급을 위해 일시적으로 수회에 걸쳐 양액을 공급하는 경우)로 관주하여 시비할 수 있다. 상기 양액은 공지의 질산태질소를 질소원으로 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질산칼륨 수용액을 관주하여 시비할 수 있다. 상기 질산칼륨 수용액은 물 1톤당 0.5 내지 1.5kg의 질산칼륨이 용해된 것일 수 있고, 양액관주는 정식 후 3 내지 5회에 걸쳐서 회당 7 내지 8ton/10a씩 관주하여 시비할 수 있으며, 양액관주는 정식 후 60일 동안 수행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질소원으로 유기태 질소 또는 무기태 질소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무기태 질소의 일례로 암모니아태질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암모니아태질소를 추가로 포함할 경우, 질산태질소의 당량비 대비 10% 이하, 5% 이하, 2% 이하, 또는 1%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의 다른 양태는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의 재배방법에 의해 재배된 배추를 제공한다. 상기 배추는 일반적인 저장 조건에서 깨씨무늬등급 3에 도달하기까지의 저장기간이 54 내지 85일, 더욱 구체적으로는 65일 내지 80일, 가장 구체적으로는 70일 내지 75일이 소요될 수 있다. 상기 재배방법은 질산태질소와 함께 암모니아태 질소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비료 조성물을 시비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깨씨무늬증상이 개선되어 기존의 재배방법에 비하여 저장기간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양태로서, 상기 조성물 및 이에 관한 설명서를 포함하는 시판용 키트로서, 상기 설명서에는 상기 조성물이 배추의 깨씨무늬증상 개선에 사용될 수 있거나 사용되어야 함이 명시되어 있는 키트를 제공한다.
본 출원은 배추의 급격한 질소 과다 흡수를 막고 적정한 질소형태를 공급하여 배추의 깨씨무늬증상을 저감할 수 있는 비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료 제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은 상기 비료 조성물을 시비함으로써 배추에 수분 및 질소를 적정량으로 제어하면서 배추의 급격한 질소 과다 흡수를 막아 배추의 깨씨무늬증상을 저감할 수 있는 상기 비료 조성물을 시비하는 재배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저장기간에 발생하는 깨씨무늬증상이 저감된 배추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재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기준예 1에 따른 깨씨무늬증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사진이다.
도 3은 실험예 1에 따른 저장기간 중 깨씨무늬 증상 발달 정도를 나타낸 도표 이다.
도 4는 실험예 2에 따른 수확 후 배추 채내 질산태질소(NO3-N) 함량 (도 4a), 암모니아태질소(NH4-N) 함량 (도 4b), 전체 질소함량 (도 4c) 및 저장기간 중 깨씨무늬 증상 발달 정도를 나타낸 도표 (도 4d)이다.
도 5는 실험예 3에 따른 수확 후 배추 채내 질산태질소(NO3-N) 함량 (도 5a), 암모니아태질소(NH4-N) 함량 (도 5b), 전체 질소함량 (도 5c) 및 저장기간 중 깨씨무늬 증상 발달 정도를 나타낸 도표 (도 5d)이다.
도 6은 실험예 4에 따른 배추의 저장기간 중 깨씨무늬증상 발달을 나타낸 도표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출원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출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시일 뿐 본 출원의 범위가 실시예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기준예 1 : 깨씨무늬증상 평가방법
깨씨무늬증상의 정도를 구체적으로 비교하기 위하여 개별 잎에 대한 깨씨무늬증상의 기준을 도입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잎에 대하여 A 내지 D (D1 ~ D3)로 평가하였고, 표 1과 같은 기준을 통해 판단하되, 판단의 예시는 표 2에 기재하였다. 이하의 실험예에서는 본 기준예를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깨씨무늬등급 결정의 예시
배추 외부 발생 내부 발생 각 배추
깨씨무늬등급
처리구 평균
깨씨무늬등급
깨씨무늬등급
표준편차
A B C D A B C D
A1 2 10 0 0 7 8 0 0 3 2.3 0.58
A2 8 6 0 0 9 3 0 0 2
A3 2 4 0 0 7 2 0 0 2
B1 2 8 0 0 6 1 0 0 2 3.7 1.53
B2 5 6 0 0 15 4 1 0 5
B3 2 8 0 0 7 12 0 0 4
C1 2 0 0 0 6 0 0 0 1 1.3 0.58
C2 5 0 0 0 15 0 0 0 1
C3 8 2 0 0 16 3 0 0 2
실험예 1: 양액 내 질산태질소: 암모니아태질소의 비율에 따른 깨씨무늬증 발달 비교
깨씨무늬증상의 발달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질산태질소(NO3 -N)와 암모니아태질소(NH4 +-N) 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30일간 육묘한 배추묘를 암면큐브배지(10×10×7 cm)에 정식한 후, 암면슬라브(90×15×7 cm)에 정치하였다. 실험 배추 품종은 봄배추로서 가장 널리 재배하는 '춘광'(사카다종묘)를 사용하였다. 각 실험의 처리구 별 배추묘는 각각 64개체였다.
양액은 질산태질소와 암모니아태질소의 당량비(me/L)는 각각 9:1 15:0, 12:3, 15:4로 달리 조성하여 저장 용액(stock solution)을 제조한 후, 정해진 전기전도도가 나오도록 원수에 희석하여 점적관수(2 L/h)를 통해 공급되었으며, 주간에 2시간 간격으로 5분간 5회씩 관주하였다. 전기전도도 (Electronic conductivity, EC)는 정식 후 20일간 1.0 dS/m, 이후부터 2.0 dS/m를 유지하였고, pH는 6.5로 맞추었다.
약 50 ~ 60일 후 수확한 배추는 1 ±0.5℃ 저온창고에 저장하였으며, 이 때의 상대습도는 86 ~ 95 %RH로 유지되었다. 초기 수확한 배추는 5개체씩 동결건조하여 분쇄 후 질산태질소(NO3 -N), 암모니아태질소(NH4 +-N), 전질소 함량을 분석하였다. 저장 중 각 처리 별 10개체씩 0, 5, 7, 10 및 15주째에 샘플링하여 깨씨무늬증상을 확인하였고, 확인 결과를 도 2A 내지 2D에 나타내었다.
조사 결과 암모니아태질소를 포함하는 양액을 공급한 처리구와 비교하여 암모니아태를 포함하지 않는 처리구에서 깨씨무늬증상 발달이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도 3).
실험예 2: 양액 내 암모니아태질소를 제거한 질산태질소의 함량에 따른 깨씨무늬증 발달 비교
암모니아태질소를 제외하고 질산태질소만을 비율을 달리하여 공급하였을 때, 저장중 깨씨무늬증상 발달을 비교하였다. 정식 후부터 양액 내 질산태질소함량을 달리하여 공급하였다. 구체적으로 공급양액의 질산태질소 조성은 9, 12, 15 me/L 였으며 암모니아태질소를 제외하며 그 외 조성은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전기전도도 (Electronic conductivity, EC)는 정식 후 20일간 1.0 dS/m, 이후부터 2.0 dS/m를 유지하였고, pH는 6.5로 맞추었다.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저장 후 샘플링 하여 깨씨무늬증상을 확인하였고, 확인 결과를 도 4a 내지 4d에 나타내었다.
암모니아태질소를 제외하고 질산태질소만을 공급한 모든 처리구에서 깨씨무늬증상 발달 양상에서 10주 전까지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실험예 1의 암모니아태를 포함하는 처리구의 깨씨무늬증상 발달 (도 3)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느린 발달속도를 보였다 (도 4d). 식물체 분석결과, 상대적으로 빠른 깨씨무늬증상 발달을 보인 12 me/L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암모니아태질소 함량을 보였고, 가장 느린 깨씨무늬증상 발달을 보인 15 me/L 처리구에서는 가장 높은 질산태질소 함량을 나타내었다(도 4A, B).
실험예 3: 양액 내 질소공급원으로서 질산태질소만을 사용한 양액의 전기전도도에 따른 깨씨무늬증상 발달 비교
암모니아태질소를 제외하고 질산태질소만을 공급하였을 때 전기전도도에 따른, 저장중 깨씨무늬증상 발달을 비교하였다. 양액조성 중 양액 내 질소공급은 질산태질소를 당량비 15me/L로 설정하였으며, 암모니아태질소는 사용하지 않았다. 그 외 조성은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전기전도도 (Electronic conductivity, EC)는 정식 후 20일간 1.0 dS/m, 이후부터 두 처리구를 각각 2.0과 2.5 dS/m를 유지하였고, pH는 6.5로 맞추었다.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저장 후 샘플링 하여 깨씨무늬증상을 확인하였고, 확인 결과를 도 5a 내지 5d에 나타내었다.
질산태질소만을 사용한 양액의 전기전도도 2.0과 2.5 dS/m 처리 간에 배추의 깨씨무늬증상 발달에는 별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5d). 전기전도도 2.0과 2.5 dS/m 사이에서 질산태질소만을 처리하였을 때 이의 흡수 및 이용이 깨씨무늬증상의 발달에는 유의한 차이를 주지 않았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노지에서의 양액관주를 활용한 깨씨무늬증상 발달 비교
양액재배 결과를 토대로, 노지에서 암모니아태질소를 배제하고 질산태질소만을 공급하는 시비방법으로 재배한 배추와, 관행재배방법으로 재배한 배추에서의 깨씨무늬증상 발달을 비교하였다.
실험 배추 품종은 봄배추로서 가장 널리 재배하는 '춘광'(사카다종묘)를 사용하였다. 노지에서 질소시비 중 주된 질소공급원으로서 암모니아태질소를 사용한 기존 입제비료 추비방식(비교예 1)과 관주처리를 통해 암모니아태질소를 사용하지 않고 질산태질소를 사용하는 방식에서의 배추재배 (실시예 1) 후 깨씨무늬증상 발달을 비교하였다.
실시예 1은 질산칼륨(KNO3)를 용수 1ton 당 1kg을 용해하여 정식 후 23, 30, 37, 42일째 4회에 걸쳐서 7.5ton/10a씩 관주하였다. 암모니아태질소를 입제비료 추비처리구는 정식 30일, 42일째 90kg/10a씩 고랑 살포하였다. 관수량의 편차를 제거하기 위해 관수시설은 동일하게 설치하고, 질산칼륨(KNO3)을 관주처리 시 암모니아태질소 비료 추비 처리구도 동일관수 실시하였다. Ca엽면시비, 병충해 방제 등의 일반관리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수확한 배추는 1 ± 0.5 ℃ 저온창고에 저장하였으며, 이 때의 상대습도는 86 ~ 95 %RH로 유지되었다. 초기 수확한 배추는 5개체씩 동결건조하여 분쇄 후 질산태질소, 암모니아태질소, 전질소 함량을 분석하였다. 저장중 각 처리 별 10개체씩 5, 7, 10, 15주째에 샘플링하여 깨씨무늬증상을 조사하였고 이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재배 중에 추가되는 질소공급원을 관주방식을 통해 질산태질소만을 추비한 처리구에서는 저장 중 깨씨무늬증상의 발달이 관행추비처리방식에 비해 현저하게 늦음을 알 수 있었다. 깨씨무늬 증상이 심하여 상품화가 어려운 깨씨무늬등급 3 에 도달하기 까지 소요되는 일수를 파악하기 위하여 회귀 분석한 결과 (표 3 참조), 양액관주를 통하여 관주하여 시비하였을 때 (실시예 1) 74일 소요되고 기존의 추비방식으로 시비처리 시 (비교예 1) 38일이 소요되는 것으로 판단되어 기존의 재배방법에 비하여 두 배 가까운 저장기간 연장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회귀분석에 의한 깨씨무늬등급 3 도달 소요일 수 비교
처리 깨씨무늬평가등급 도달 소요일수 회귀방정식
2.0 2.5 3.0
KNO3관주처리 33 54 74 y=0.0394x+1.4878
R2=0.8655
NH4 +-N포함 추비처리 13 26 38 y=0.0252x+1.1745
R2=0.8927

Claims (17)

  1. 질산태질소를 질소원으로 포함하고,
    상기 질소원은 암모니아태질소를 상기 질산태질소의 당량비 대비 0% 내지 10%의 범위로 포함하는, 배추의 깨씨무늬증상 개선용 비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질산태질소를 6 내지 20me/L로 포함하는, 비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산태질소는 질산칼륨, 질산칼슘, 질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비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질산칼륨은 300 내지 2,000ppm의 농도로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질소원으로 암모니아태질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비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질산태질소 및 암모니아태질소를 10:1 내지 1000:1 의 당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질소원으로 암모니아태질소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추는 배지 또는 노지에 정식되어 재배된 배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배추 재배 시 전기전도도를 0.5 내지 3.0dS/m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표 1 및 도 2의 기준으로 배추묘 정식 후 50 내지 70일 차에 평가된 깨씨무늬등급이 0 내지 4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료 제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정제, 분말, 과립, 액상(solution) 및 현탁액(emulsio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형태를 갖는 것인, 제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제제는 관주 방식으로 시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14.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시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깨씨무늬증상이 개선된 배추의 재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관주 방식으로 시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방법.
  16. 제14항의 재배방법으로 재배된 깨씨무늬증상이 개선된 배추.
  17.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 및 이에 관한 설명서를 포함하는 시판용 키트로서, 상기 설명서에는 배추의 깨씨무늬증상 개선에 사용될 수 있거나 사용되어야 함이 명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KR1020170161613A 2016-11-30 2017-11-29 깨씨무늬증상 개선용 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비료 제제, 상기 비료 조성물을 시비하는 배추의 재배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배추 KR1019984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182 2016-11-30
KR20160162182 2016-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405A KR20180062405A (ko) 2018-06-08
KR101998484B1 true KR101998484B1 (ko) 2019-07-09

Family

ID=62600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613A KR101998484B1 (ko) 2016-11-30 2017-11-29 깨씨무늬증상 개선용 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비료 제제, 상기 비료 조성물을 시비하는 배추의 재배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배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48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3929A (ja) * 2007-05-21 2008-11-27 Sumitomo Chemical Co Ltd ハクサイの病害発生を抑制するための窒素成分含有被覆肥料の使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904B1 (ko) 2011-11-23 2013-06-19 윤상용 고 칼슘 배추 및 그 재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3929A (ja) * 2007-05-21 2008-11-27 Sumitomo Chemical Co Ltd ハクサイの病害発生を抑制するための窒素成分含有被覆肥料の使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405A (ko)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1306B2 (en) Environmentally-friendly high potassium-content liquid fertilizer and uses for the fertilizer
Trejo-Téllez et al. Nutrient solutions for hydroponic systems
EP2693868B1 (en) Potassium sulfite/potassium bisulfite (ks/kbs) liquid as fertilizers
EP2229054B1 (en) Use of a fertilizer containing l-amino acid for improving root growth and growth of mycorrhiza
KR102382105B1 (ko) 벼의 중금속 카드뮴 오염 또는 축적을 제어하기 위한 신규한 유기 비료 및 이의 제조, 사용 방법
JP3687455B2 (ja) 作物の栽培方法および作物の品質改善剤
KR100698282B1 (ko) 천기토를 함유하는 비료 조성물
KR101391868B1 (ko) 무화과나무 용기 재배용 양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Maboko et al. Response of hydroponically grown cherry and fresh market tomatoes to reduced nutrient concentration and foliar fertilizer application under shadenet conditions
Kleiber Pollu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in intensive cultures under greenhouses
Silberbush et al. Nitrogen concentration, ammonium/nitrate ratio and NaCl interaction in vegetative and reproductive growth of peanuts
KR102001524B1 (ko) 저질산 함유 엽채류 생산을 위한 수경재배방법
Amberger Soil fertility and plant nutrition in the tropics and subtropics
KR101998484B1 (ko) 깨씨무늬증상 개선용 비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비료 제제, 상기 비료 조성물을 시비하는 배추의 재배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배추
SINHA Influence of soil and nutritional factors on the effectivity of Trichoderma harzianum against sheath blight of rice
Thakur et al. Nutrient Dynamics for Hydroponic Production System
CN107041245B (zh) 一种同时提高作物氮素利用效率和抗镉胁迫能力的方法
Salkić et al. The ecophysiological needs of plums and their impact on ecological production of plum in Bosnia and Herzegovina
Prabucki et al. Influence of salt stress on stock plant growth and cutting performance of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Ganeshamurthy et al. Potassiu m nutrition of fruit crops: comparative evaluation of potassic fertilizers
EA028406B1 (ru) Удобрение, содержащее в качестве действующего вещества высокодисперсную серу
Jat et al. Impact of integrated nutrient management on growth, yield and quality of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L.)
Deer et al. Grafted and Nongrafted ‘Cherokee Purple’Tomato Performance in Aquaponic and Hydroponic Greenhouse Production in Oklahoma
Voogt et al. Dealing with Na accumulation in soilless systems with recirculation of drainwater: a case study with sweet pepper (Capsicum annuum)
Abdullatif et al. Effect of Azospirillum brasilense, water type and potassium in the growth and flowering of the Gladiolus 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