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011B1 - 제타전위값 상승을 유도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제타전위값 상승을 유도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011B1
KR101625011B1 KR1020140092706A KR20140092706A KR101625011B1 KR 101625011 B1 KR101625011 B1 KR 101625011B1 KR 1020140092706 A KR1020140092706 A KR 1020140092706A KR 20140092706 A KR20140092706 A KR 20140092706A KR 101625011 B1 KR101625011 B1 KR 101625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tilizer composition
liquid fertilizer
environmentally
zeta potential
friendly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1503A (ko
Inventor
박철원
써니 김석원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제이원
주식회사 레조나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제이원, 주식회사 레조나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제이원
Priority to KR1020140092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011B1/ko
Publication of KR20160011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CNITROGENOUS FERTILISERS
    • C05C1/00Ammonium nitrate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CNITROGENOUS FERTILISERS
    • C05C5/00Fertilisers containing other nit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 제타전위값 상승을 유도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제타전위값의 상승 유도로 비료 성능이 개선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천연 글리신 20 중량% ~ 99 중량%와 유기태질소 1 중량% ~ 5 중량%를 포함하되 이온성 미네랄 구리이온액을 더 포함하는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 배합 단계; 상기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 배합 단계에서 배합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타전위값 상승을 유도하기 위한 에너지를 생성하는 에너지 생성 단계; 상기 에너지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에너지를 상기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에 유입시키는 에너지 유입 단계; 및 상기 에너지 유입 단계에서 상기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에 유입된 에너지에 의해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타전위값 상승을 유도하는 제타전위값 상승 유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용이하고 경제적이며 효과적인 방법으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타전위값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 상용화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타전위값 상승을 통해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성능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 농작물의 생장 속도와 병충해에 대한 저항력을 상대적으로 상승시키는 효과 및 기존 화학살균제를 대체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타전위값 상승을 유도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How to increase the value of the zeta potential of eco-friendly fluid fertilizer composition}
본 발명은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글리신을 포함하는 친환경 액상 비료 조정물의 제타전위값의 상승을 유도하여 비료 성능을 향상시키는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액 또는 고체(파우더 류)의 분산 현탁된 입자의 거동이나 콜로이드 안정성, 성분의 확산 안정도를 평가하는 수단으로 제타포텐션(zeta potential)의 측정값인 제타전위값을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최적의 광택을 위해 도료가 균일하게 분포되어야 하는 도료산업분야, 폐수 중에 포함된 미세한 오염입자를 처리해야 하는 폐수처리산업분야, 제품이 굳는 것을 방지하거나 유통기한을 늘려야 하는 제약산업분야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제타전위값을 이용하고 있다.
즉, 제타전위값을 변화시켜 각 산업분야에서 요구되는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물질의 물성을 변화시키고 있고, 물질의 물성변화는 특정물질에 대한 확산과 분산을 제어할 수 있는 확산제와 같은 화학물질을 대상 물질과 혼합하는 방법으로 대상 물질의 물성을 변화시켰다.
예를 들어, 이온 계면 활성제와 같은 물질을 대상 물질에 투입하여 대상 물질에 포함된 입자의 제타포텐셜을 높혀 입자들의 반발 경향을 높이거나, 제타포텐셜을 낮출 수 있는 물질을 대상 물질에 투입하여 입자들의 반발 경향을 낮춤으로써 물질의 물리적 성질인 물성을 변화시켰다.
상기와 같은 화학물질을 이용하여 물질의 물성을 변화시키는 방법의 일 예로 종래기술 출원번호 10-2009-0063982 "혈액순환 개선용 기능성 음용수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높은 제타포텐셜과 낮은 표면장력을 갖는 혈액순환 개선용 기능성 음용수를 제공하기 위하여 경도가 40~120 mg/l인 일반 음용수에 수용성 규산염을 농도가 22.4~45 mg/l가 되도록 용해시키는 단계 및 단계에서 제조된 규산염 용액을 자화활성수 제조장치에 통과시켜 자화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혈액순환 개선용 기능성 음용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물에 규산나트륨을 첨가함으로써 물의 제타포텐셜을 높이고 표면장력을 낮추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방법으로 대상 물질에 파동 에너지를 가하여 파동 에너지에 의해 물질의 물성이 변화시키는 비화학적인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이 파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물질의 물성을 변화시키는 방법의 일 예로 종래기술 출원번호 10-2007-0098179호 '음향진동숙성을 이용한 부드럽고 순한 희석식 소주의 제조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부드럽고 순한 맛의 희석식 소주를 단시간에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음악의 파장을 물리적인 진동에너지로 전환시키는 음향진동숙성 장치인 트랜스듀서에서 발생시킨 미세한 진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소주 내에 동적인 분자구조 집단인 물분자 또는 알코올과 물분자 간의 수소 결합을 이용하여 큰 무리를 형성한 클러스트(cluster) 입자를 작게 만들어서 장기간 숙성에 의해서만 얻어질 수 있는 부드럽고 순한 맛의 희석식 소주를 단시간에 제조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이처럼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제타전위값의 변화를 일으켜 산업에 이용하고 있으나, 비료산업 분야의 경우 이러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다.
상기와 같은 파동 에너지를 이용하는 비화학적인 방법은 파동 에너지에 의해 물질의 물성 변화를 유발시킬 수는 있으나, 대상 물질이 사용자가 원하는 물성을 갖도록 물성 변화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효과 측면에서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정도의 효과가 발휘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와 효과가 발휘된다 하더라도 효과가 미약한 문제가 있다.
더 나아가 상기와 같은 문제들로 인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용이하고 경제적이며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타전위값이 상대적으로 상승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통해 제타전위값이 상승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용화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성능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농작물의 생장 속도와 병충해에 대한 저항력을 상대적으로 상승시키는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관주 또는 엽면시비에 상대적으로 효과적인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혐기성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시킬 수 있는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염소 등 기존의 화학살균제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 제타전위값 상승을 유도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액상 비료 조성물 제조 방법에 있어서, 천연 글리신 20 중량% ~ 98 중량%와 유기태질소 1 중량% ~ 5 중량%와 이온성 미네랄 구리이온액 1 중량% ~ 75 중량%를 포함하는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을 배합하는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 배합 단계; 상기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타전위값 상승을 유도하는 공명 유도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 단계와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고유주파수를 갖는 고유신호를 발생하는 광물질을 통해 고유주파수의 신호를 발생하는 고유신호 발생 단계 및 상기 고유신호 발생 단계에서 발생된 고유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타전위값의 변화를 일으키는 공명 유도신호를 생성하는 공명 유도신호 생성 단계를 통하여 상기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타전위값 상승을 유도하는 파동 에너지를 생성하는 에너지 생성 단계; 상기 에너지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파동 에너지인 공명 유도신호를 상기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에 조사하여 상기 에너지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파동 에너지를 상기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에 유입시키는 에너지 유입 단계; 및 상기 에너지 유입 단계에서 상기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에 유입된 파동 에너지에 의해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타전위값 상승을 유도하는 제타전위값 상승 유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제타전위값 상승을 유도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고유신호 발생 단계의 광물질에 있어서, 규소, 수정, 자수정, 구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제타전위값 상승을 유도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상기 고유신호 발생 단계는 상기 제어신호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광물질에 직접 조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고유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에 따른 제조 방법을 통해 생산된 제타전위값 상승을 유도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통해 상대적으로 용이하고 경제적이며 효과적인 방법으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타전위값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용화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타전위값 상승을 통해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성능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농작물의 생장 속도와 병충해에 대한 저항력을 상대적으로 상승시키는 효과를 발휘하는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용화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타전위값을 즉각적이고도 보다 효과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주 또는 엽면시비에 상대적으로 효과적인 작용을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혐기성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시킬 수 있는 효과 및 염소 등 기존의 화학살균제를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제타전위값 상승을 유도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기술적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 제타전위값 상승을 유도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 제타전위값 상승을 유도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효과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 제타전위값 상승을 유도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실시를 위한 장치의 예를 보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 제타전위값 상승을 유도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기술적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타전위값 상승을 유도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 배합 단계(S1), 에너지 생성 단계(S2), 에너지 유입 단계(S3) 및 제타전위값 상승 유도 단계(S4)로 이루어진다.
상기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 배합 단계(S1)는 천연 글리신 20 중량% ~ 98 중량%와 유기태질소 1 중량% ~ 5 중량%를 포함하도록 액상 비료 조성물을 배합하는 단계로 미량의 몰리브덴(약 0.006 중량%)과 붕소(약 0.06 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칼슘, 마그네슘, 규산 등의 미량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 배합 단계(S1)는 이온성 미네랄 구리이온액(Cu2+) 1 중량% ~ 75 중량% 포함한다. 상기 이온성 미네랄 구리이온액은 미생물 대사에 직접 관여하여 숙주에 아무 영향없이 유해성 및 병원성 미생물을 구제하거나 혐기성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
삭제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은 염소 등과 같은 기존의 화학살균제를 대체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생성 단계(S2)는 상기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 배합 단계(S1)에서 생성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타전위를 상승시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물성이 변화하도록 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생성하는 단계로 전압값(V)과 주파수(Hz)로 운용될 수 있는 전극을 이용한 전기분해장치, 초음파를 통해 분말 또는 액상에 미세진동을 유도할 수 있는 초음파 생성 장치, 조사 대상에 공진에너지를 조사할 수 있는 레이저 장치 등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타전위값을 상승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에너지를 생성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를 통해 실시된다.
즉, 본 발명의 에너지 생성 단계(S2)에서 생성되는 에너지는 파동 에너지로 파동 에너지를 생성하는 다양한 장치를 통해 생성된다.
상기 에너지 유입 단계(S3)는 상기 에너지 생성 단계(S2)에서 생성된 에너지를 기존 상용화되어 있는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에 유입시키는 것으로 상기 에너지 생성 단계(S2)에서 생성된 파동 형태의 에너지를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에 유입시키는 단계로 직접 접촉 또는 전도성이 있는 용기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이때, 에너지의 효과적인 유입과 제타전위값의 상승을 위해 대상이 되는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양에 따라 에너지의 유입 시간을 달리할 수 있다.
상기 제타전위값 상승 단계(S4)는 상기 에너지 유입 단계(S3)에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에 유입된 에너지의 제원에 따라 전기역학적인 전위값의 변화가 생기게 되며 제타전위값이 상승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 제타전위값 상승을 유도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제타전위값 상승을 유도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생성 단계(S2)는 상기 에너지 생성 단계를 상기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타전위값 상승을 유도하기 위한 공명 유도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 단계(S10)와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고유주파수를 갖는 고유신호를 발생하는 고유신호 발생 단계(S20) 및 상기 고유신호 발생 단계(S20)에서 발생된 고유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타전위값의 변화를 일으키는 공명 유도신호를 생성하는 공명 유도신호 생성 단계(S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기 에너지 유입 단계(S3)는 상기 공명 유도신호 생성 단계(S30)에서 생성된 공명 유도신호를 상기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에 조사하는 공명 유도신호 조사 단계(S40)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공명을 유도하여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타전위값을 변화시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이 갖는 성능이 향상되도록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물성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신호 생성 단계(S10)는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에 대하여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이 갖는 성능(효능)이 향상되도록 제타전위값의 변화를 일으키는 공명 유도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로, 상기 고유신호 발생 단계(S20)에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성능(효능)이 향상될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제어신호 생성 단계(S10)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주파수 생성 회로부와 같은 수단을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값에 따른 주파수 신호(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즉, 상기 제어신호 생성 단계(S10)는 상용화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타전위값을 상승시키는 고유한 주파수를 갖는 고유신호가 발생하도록 사전에 연구된 설정값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제어신호는 1㎐ ~ 100㎐ 미만의 극저주파 클럭, 100㎐ ~ 1㎑ 미만의 저주파 클럭 및 1㎑ ~ 1㎒ 미만의 중주파 클럭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진동수를 갖는다.
상기 고유신호 발생 단계(S20)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고유주파수를 갖는 고유신호를 발생한다.
즉, 고유신호 발생 단계(S20)는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공명을 유도할 수 있는 고유한 주파수를 갖는 고유신호를 발생하고, 이와 같은 고유신호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발생된다.
이와 같은 상기 고유신호 발생 단계(S20)는 서로 다른 다양한 고유주파수의 신호를 발생하는 광물질을 통해 발생시킬 수 있고, 상기 광물질은 규소, 수정, 자수정, 구리와 같은 광물질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유신호 발생 단계(S20)는 상기 제어신호 생성 단계(S1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광물질에 직접 조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고유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공명 유도신호 생성 단계(S30)는 상기 고유신호 발생 단계(S20)에서 발생된 고유신호를 증폭하여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타전위값 변화를 일으키는 공명 유도신호를 생성한다.
즉, 공명 유도신호 생성 단계(S30)는 고유신호 발생 단계(S20)에서 발생한 고유신호의 파동 에너지를 증가시켜 공명 유도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공명 유도신호 조사 단계(S40)는 제타전위값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 생성된 에너지를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에 유입시키는 단계로 상기 공명 유도신호 생성 단계(S30)에서 생성된 공명 유도신호를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에 조사하여 에너지를 유입시킨다.
이와 같은 공명 유도신호 조사 단계(S40)는 다양한 방식으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에 조사될 수 있으나, 상기 공명 유도신호 생성 단계(S30)에서 생성된 공명 유도신호를 상기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까지 전달하기 위하여 가시광선 영역대의 반송신호와 합성한 공명 유도 가시광선으로 출력하여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유신호 발생 단계(S20)는 서로 다른 다양한 고유주파수의 신호를 발생하는 광물질을 통해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광물질의 예로는 규소, 수정, 자수정, 구리 등이 있다.
또한, 상기 고유신호 발생 단계(S20)는 상기 제어신호 생성 단계(S1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와 같은 광물질에 직접 조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고유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 제조 방법을 통해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타전위값을 변화시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성능(효능)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 상기와 같은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 제조 방법을 통해 생산된 본 발명에 따른 제타전위값이 상대적으로 상승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은 도 3 본 발명 제타전위값 상승을 유도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효과를 보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에 비해 식물의 생장과 작물 수확량에 있어 상당한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도 3에 도시한 비교 결과와 같이 동일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이라 하더라도 제타전위값 상승 친환경 비료 조성물의 경우, 분자구조의 변화로 작물 내로 영양분의 빠른 흡수로 작물의 생장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고 있으며, 작물의 관주 또는 엽면시비를 적용할 시 줄기의 표면과 비료의 효과적인 전기적 반발력이 생성됨에 따라 효과적으로 효용성 성분을 식물세포에 상대적으로 빠르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식물의 생장을 돕는다.
즉, 동일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이라 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제타전위값을 상승을 유도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이 상대적으로 식물 생장 속도도 빠라고 작물의 수확량도 상대적으로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타전위값의 상승이 유도된 친화경 액상 비료 조성물은 생육 초기에는 500 ~ 700 희석배수로 사용하고, 생육 중후기에는 300 ~ 500 희석배수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실시를 위한 장치를 설명하면, 도 4 본 발명 제타전위값 상승을 유도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실시를 위한 장치의 예를 보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신호 생성부(10), 고유신호 발생부(20), 공명 유도신호 생성부(30) 및 공명 유도 가시광선 출력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10)는 상기 공명 유도 가시광선 출력부(40)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타전위값을 상승시키는 공명 유도 가시광선(100)이 출력되도록 상기 고유신호 발생부(20)의 출력신호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고유신호 발생부(20)로 출력하는 수단이다.
이와 같은 제어신호 생성부(10)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설정한 다양한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주파수 생성 회로부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값에 따른 주파수 신호(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고유신호 발생부(20)로 출력한다.
즉,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10)는 대상 물질(50)의 물성을 사용자가 의도한 물성으로 변화시키는 공명 유도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전에 연구된 설정값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상기 고유신호 발생부(20)에 포함된 광물질을 통해 광물질이 갖는 고유한 주파수를 갖는 다양한 고유신호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은 제어신호 발생부(10)에서 생성하는 제어신호는 1㎐ ~ 100㎐ 미만의 극저주파 클럭, 100㎐ ~ 1㎑ 미만의 저주파 클럭 및 1㎑ ~ 1㎒ 미만의 중주파 클럭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진동수를 갖는다.
상기 고유신호 발생부(20)는 서로 다른 다양한 고유주파수의 신호를 발생하는 광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1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상기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광물질을 통해 고유한 주파수를 갖는 고유신호를 출력한다.
즉, 고유신호 발생부(20)는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과 공명을 통해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타전위값을 변화시킬 수 있는 광물질이 갖는 고유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고유신호 발생부(20)의 광물질은 규소, 수정, 자수정, 구리 등과 같은 연구된 다양한 광물질이 될 수 있고, 이와 같은 광물질은 파우더 형태로 상기 고유신호 발생부(2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유신호 발생부(20)는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10)로부터 입력받은 제어신호를 상기 광물질에 직접 조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고유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공명 유도신호 생성부(30)는 상기 고유신호 발생부(20)에서 발생한 고유신호가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에 투사되어 공명을 일으킬 수 있도록 고유신호가 갖는 에너지(파동 에너지)를 증폭시키는 수단으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 회로부를 포함하여 상기 고유신호 발생부(20)에서 입력받은 고유신호를 증폭시켜 고유신호가 갖는 파동 에너지를 증가시킨 공명 유도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공명 유도 가시광선 출력부(40)는 상기 공명 유도신호 생성부(30)로 부터 고유신호를 증폭한 공명 유도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공명 유도신호를 상기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까지 전달하기 위하여 가시광선 영역대의 반송신호와 합성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공명 유도 가시광선 출력부(40)는 입력신호(공명 유도신호)와 가시광선 영역대의 반송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가시광선 출력회로부를 포함하여 상기 공명 유도신호 생성부(30)에서 생성된 공명 유도신호를 가시광선 영역대의 반송신호와 합성하여 출력하고, 이렇게 합성된 공명 유도 가시광선(100)은 대상 물질(50)에 조사되어 대상 물질(50)의 공명을 유도시킴으로써 대상 물질(50)이 갖는 물성(제타포텐셜 및 입도)을 변화시킨다.
이때, 대상 물질(50)의 물성 변화는 연구된 고유신호 발생을 위한 제어신호에 따라 생성된 공명 유도 가시광선(100)에 의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제어된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물성 변화 장치는 고유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어신호 생성부(10)에서 생성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고유신호 발생부(20)에서 고유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고유신호 발생부(20)에서 발생한 고유신호의 파동 에너지를 증가시킨 공명 유도신호를 공명 유도신호 생성부(30)에서 생성한 후, 상기 공명 유도신호를 가시광선 영역의 반송신호와 합성한 공명 유도 가시광선(100)을 공명 유도 가시광선 출력부(40)에서 생성하여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로 조사한다.
이렇게 조사된 공명 유도 가시광선(100)은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공명을 유도하여 제타전위값을 상승시킨다.
실험 예
1) 측정기계 : ELSZ series
2) 측정 조건 및 시료 제조 방법 : 액상비료 샘플을 2배 희석 후 원본 샘플과 에너지 유입 단계를 거친 샘플을 측정
3) 측정결과

Zeta potential (mV)
1차 2차 평균값
원본 샘플 -25.06 -26.38 -25.72
에너지 유입 샘플 -67.23 -75.25 -71.24
약, 에너지 유입을 통해 약 3배 가량 제타전위값이 상승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제어신호 생성부
20 : 고유신호 발생부
30 : 공명 유도신호 생성부
40 : 공명 유도 가시광선 출력부
100 : 공명 유도 가시광선

Claims (7)

  1. 액상 비료 조성물 제조 방법에 있어서,
    천연 글리신 20 중량% ~ 98 중량%와 유기태질소 1 중량% ~ 5 중량%를 포함하되 이온성 미네랄 구리이온액을 더 포함하는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을 배합하는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 배합 단계;
    상기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타전위값 상승을 유도하는 공명 유도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 단계와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고유주파수를 갖는 고유신호를 발생하는 규소, 수정, 자수정, 구리 중 어느 하나인 광물질에 직접 조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고유주파수의 신호를 발생하는 고유신호 발생 단계 및 상기 고유신호 발생 단계에서 발생된 고유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타전위값의 변화를 일으키는 공명 유도신호를 생성하는 공명 유도신호 생성 단계를 통하여 상기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타전위값 상승을 유도하는 파동 에너지를 생성하는 에너지 생성 단계;
    상기 에너지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파동 에너지인 공명 유도신호를 상기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에 조사하여 상기 에너지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파동 에너지를 상기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에 유입시키는 에너지 유입 단계; 및
    상기 에너지 유입 단계에서 상기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에 유입된 파동 에너지에 의해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타전위값 상승을 유도하는 제타전위값 상승 유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타전위값 상승을 유도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40092706A 2014-07-22 2014-07-22 제타전위값 상승을 유도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625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706A KR101625011B1 (ko) 2014-07-22 2014-07-22 제타전위값 상승을 유도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706A KR101625011B1 (ko) 2014-07-22 2014-07-22 제타전위값 상승을 유도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503A KR20160011503A (ko) 2016-02-01
KR101625011B1 true KR101625011B1 (ko) 2016-05-27

Family

ID=55354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706A KR101625011B1 (ko) 2014-07-22 2014-07-22 제타전위값 상승을 유도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0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156B1 (ko) * 2018-06-15 2020-04-20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제타전위차 조절이 적용된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KR102620054B1 (ko) * 2021-04-14 2024-01-02 (주)엠세스 상추 맞춤형 생장조절제
KR102620050B1 (ko) * 2021-04-14 2024-01-02 (주)엠세스 페퍼민트 맞춤형 생장 조절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EXPRESS POLYMER LETTERS.
논문2:ACADEMIC JOU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503A (ko) 201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ng et al. Hydrophobic interactions increase attachment of gum arabic-and PVP-coated Ag nanoparticles to hydrophobic surfaces
KR101625011B1 (ko) 제타전위값 상승을 유도한 친환경 액상 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Ragha et al. Effects of low-power microwave fields on seed germination and growth rate
CN104289181B (zh) 一种磁性羟基磷灰石/氧化石墨烯吸附剂的制备及应用
ATE365537T1 (de) Wässrige dispersion stabiler nanopartikel eines wasserunlöslichen wirkstoffs und ein hilfsstoff wie mittelkettige triglyceride (mct)
Srinath et al. Rapid biosynthesis of gold nanoparticles by Staphylococcus epidermidis: its characterisation and catalytic activity
Dong et al. Bactericidal evaluation of N-halamine-functionalized silica nanoparticles based on barbituric acid
CN107055681B (zh) 一种电磁波共振改变水体性能的装置
Kalaycıoğlu et al. Efficient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methylene blue dye from aqueous solution with cerium oxide nanoparticles and graphene oxide-doped polyacrylamide
Velmurugan et al. Crystallization of silver through reduction process using Elaeis guineensis biosolid extract
Su et al. Amyloid‐like protein aggregation toward pesticide reduction
Ma et al. Ultrasound for pectinase modification: an investigation into potential mechanisms
Li et al. Phosphate fertilizer enhancing soil erosion: effects and mechanisms in a variably charged soil
Zhang et al. Formulating zwitterionic, responsive polymers for designing smart soils
Paul et al. Lignin-based CdS dots as multifunctional platforms for sensing and wearable photodynamic coatings
Zhu et al. Sodium dodecyl sulfate assisted synthesis hydroxyapatite for effective adsorption of methylene blue
Abdualrahman et al. Effects of ultrasound pretreatment on enzymolysis of sodium caseinate protein: Kinetic study,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an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hydrolysates
CN105234157A (zh) 一种激活赤泥中有效性硅的改性方法
More et al. Microwave enhanced oxidation treatment of organic fertilizers
KR101569211B1 (ko)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물질의 물성을 제어하는 물성 변화 장치 및 방법
CN107265663A (zh) 一种城镇居民生活污水处理剂及其制备方法
Zou et al. Efficient microalgae harvesting using a thermal flotation method with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CN107233572A (zh) 一种基于淀粉样多肽为模板的光热剂的制备方法及用途
JP2014200762A (ja) ナノバブル含有水の製造方法及びナノバブル含有水
Shi et al. Swelling behavior of guar gum-g-poly (sodium acrylate-co-styrene)/attapulgite superabsorbent compos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