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602B1 - 장신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신구 - Google Patents

장신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602B1
KR102619602B1 KR1020210074097A KR20210074097A KR102619602B1 KR 102619602 B1 KR102619602 B1 KR 102619602B1 KR 1020210074097 A KR1020210074097 A KR 1020210074097A KR 20210074097 A KR20210074097 A KR 20210074097A KR 102619602 B1 KR102619602 B1 KR 102619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welry
manufacturing
decoration
mold
rec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3458A (ko
Inventor
이지윤
Original Assignee
이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윤 filed Critical 이지윤
Publication of KR20220053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 A44C27/002Metall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신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최소 중량의 귀금속을 사용하여 장신구를 제조하는 장신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수용부(101)가 함몰형성된 성형틀(100) 위에 제1재료(200)를 위치시키는 준비단계(S10)와; 상기 수용부(101)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가압부재(10)가 상기 제1재료(200)에 공간(S)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재료(200)를 가압하여 성형하는 성형단계(S20)와; 상기 공간(S)에 제2재료(300)를 충전 및 경화시켜 상기 제2재료(300)를 상기 제1재료(200)와 일체화시키는 일체화단계(S30)와; 서로 일체화된 상기 제1재료(200) 및 상기 제2재료(300)를 상기 성형틀(100)에서 회수하는 회수단계(S40)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단계(S20)는, 상기 제1재료(200)가 0.01mm 내지 1mm의 두께로 형성되도록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장신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신구{Manufacturing method of accessories and accessorie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장신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최소 중량의 귀금속을 사용하여 장신구를 제조하는 장신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장신구는, 주로 몸치장을 하는데 쓰이는 도구로 옷과 조화를 이루면서 애용되며 모자·머리 핀·브로치·리본·목걸이·반지· 팔찌·단추·귀고리 등 그 종류는 매우 많다.
이러한 장신구는, 빛의 굴절과 산란을 이용하여 반짝거림을 극대화하도록 보석. 귀금속 또는 귀금속 합금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보석이나 귀금속 등은 희소성으로 인하여 가격이 매우 비싸므로 장신구의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이에 소비자의 구입 부담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최소 중량의 금속으로 장신구를 제조하되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는 장신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신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수용부(101)가 함몰형성된 성형틀(100) 위에 제1재료(200)를 위치시키는 준비단계(S10)와; 상기 수용부(101)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가압부재(10)가 상기 제1재료(200)에 공간(S)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재료(200)를 가압하여 성형하는 성형단계(S20)와; 공간(S)에 제2재료(300)를 충전 및 경화시켜 제2재료(300)를 제1재료(200)와 일체화시키는 일체화단계(S30)와; 서로 일체화된 제1재료(200) 및 제2재료(300)를 성형틀(100)에서 회수하는 회수단계(S40)를 포함하며; 성형단계(S20)는, 제1재료(200)가 0.01mm 내지 1mm의 두께로 형성되도록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수용부(101)는, 성형틀(100)의 상면에서 함몰형성되는 몸체수용부(101a)와; 몸체수용부(101a)의 저면에서 장식을 위하여 돌출 또는 함몰형성된 하나 이상의 장식형성부(10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재료(200)는, 성형틀(100)의 상면에 위치되는 프레임부(201)와; 프레임부(201)로부터 몸체수용부(101a)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형성되는 몸체부(202)와; 몸체부(202)로부터 장식형성부(101b)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 또는 돌출형성되는 장식부(203)를 포함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
제1재료(200)는, 금, 은, 백금, 팔라듐, 루테늄, 레늄, 로듐, 이리듐, 오스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재료(300)는, 에폭시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수지, 아크릴 수지, 및 실리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재료(300)는, 하나 이상의 색소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202)로부터 프레임부(201)를 절단하는 절단단계(S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장신구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장신구(1)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제1재료가 형성하는 공간에 제2재료를 충전 및 경화시켜 일체화한 장신구를 제조함으로써 종전의 장신구와 동일한 크기, 규격 및 부피를 가지면서 귀금속의 사용량 및 중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킴으로써 제조원가가 절감되며, 소비자의 구입 부담을 줄임으로써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폭시수지 또는 실리콘의 재질을 포함하는 제2재료를 포함하는 장신구를 제조함으로써 종전과 동일한 크기, 규격 및 부피를 가지면서 가벼운 중량감을 가지는 장신구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박판 두께의 제1재료가 형성하는 공간에 제2재료를 충전 및 경화시켜 제1재료 및 제2재료를 일체화한 장신구를 제조함으로써, 귀금속의 사용량 및 중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킨 동시에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는 장신구를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재질의 장식부분을 장신구의 전면 및 후면 모두에 형성함으로써 독특한 심미감을 나타내는 장신구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장신구 제조방법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장신구의 몸체부 및 장식부의 돌출형성으로 형성된 공간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장신구의 제2장식부분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장신구의 제1장식부분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장신구의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서 Ⅴ-Ⅴ방향의 단면도로서, 문양부의 성형 전의 단면 및 성형 후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신구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수용부(101)가 함몰형성된 성형틀(100) 위에 제1재료(200)를 위치시키는 준비단계(S10)와; 상기 수용부(101)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가압부재(10)가 상기 제1재료(200)에 공간(S)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재료(200)를 가압하여 성형하는 성형단계(S20)와; 상기 공간(S)에 제2재료(300)를 충전 및 경화시켜 상기 제2재료(300)를 상기 제1재료(200)와 일체화시키는 일체화단계(S30)와; 서로 일체화된 상기 제1재료(200) 및 상기 제2재료(300)를 상기 성형틀(100)에서 회수하는 회수단계(S40)를 포함하는 장신구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여기서 준비단계(S10)는, 하나 이상의 수용부(101)가 함몰형성된 성형틀(100) 위에 제1재료(200)를 위치시키는 단계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준비단계(S10)에서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01)가 형성된 성형틀(100)에 제1재료(200)가 위치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재료(200)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체결부재 또는 클램프 등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1재료를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성형틀(100)은, 하나 이상의 상기 수용부(101)가 함몰형성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성형틀(100)은, 상기 수용부(101)의 주변에 상부가 뾰족한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절단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단 돌기는 성형단계(S20)에서 제1재료(200)를 절단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준비단계(S10)에서 상기 복수개의 절단 돌기의 상부에 상기 제1재료(200)가 얹혀질 수 있으며, 후술하는 성형단계(S20)에서 가압부재(10)가 상기 제1재료(200)를 가압할 시, 상부가 뾰족한 상기 절단 돌기가 상기 제1재료(200)를 뚫고 지나가게 되므로, 상기 제1재료(200)는 가압성형과 동시에 가장자리(ex. 프레임부)가 절단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재료(200)는, 후술하는 몸체부(202)로부터 후술하는 프레임부(201)를 용이하게 절단시켜 후술하는 절단단계(S50)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장신구(1)의 제작시간을 단축하며 제작자의 수고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수용부(101)는, 상기 성형틀(100)의 상면에서 함몰형성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수용부(101)는, 상기 성형틀(100)의 상면에서 함몰형성되는 몸체수용부(101a)와; 상기 몸체수용부(101a)의 저면에서 장식을 위하여 돌출 또는 함몰형성된 하나 이상의 장식형성부(101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수용부(101a)는, 상기 성형틀(100)의 상면에서 함몰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몸체수용부(101a)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다각형, 다이아몬드, 별, 하트, 동물 등 어떠한 형상이나 가능하다.
이때, 상기 몸체수용부(101a)는, 후술하는 성형단계(S20)에서 가압성형으로 휘어지는 상기 제1재료(200)의 파단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모서리를 둥글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수용부(101a)는, 다양한 크기 및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후술하는 몸체부(202)의 크기 및 높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장식형성부(101b)는, 상기 몸체수용부(101a)의 저면에서 장식을 위하여 돌출 또는 함몰형성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장식형성부(101b)는, 하나 또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다양한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다각형, 다이아몬드, 별, 하트, 동물 등 어떠한 형상이나 가능하다.
이때, 상기 장식형성부(101b)는, 후술하는 성형단계(S20)에서 가압성형으로 휘어지는 상기 제1재료(200)의 파단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모서리를 둥글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식형성부(101b)는, 다양한 크기 및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후술하는 장식부(203)의 크기 및 높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식형성부(101b)가 상기 몸체수용부(101a)로부터 돌출형성된 경우, 상기 몸체수용부(101a)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거나, 상기 몸체수용부(101a) 보다 현저히 작은 높이로 돌출형성되는 등 다양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형성부(101b)는 하나 또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거나, 복수개로 구성되어 다양한 높낮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성형단계(S20)는, 상기 수용부(101)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가압부재(10)가 상기 제1재료(200)에 공간(S)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재료(200)를 가압하여 성형하는 단계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1재료(200)는, 장신구를 형성하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이나 가능하나, 상기 성형단계(S20)가 용이하게 수행되며, 상기 제1재료(200)의 파단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연성 및 전성이 높아 쉽게 소성변형되는 재질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재료(200)는, 장신구의 빛의 굴절 및 반사를 극대화하며 심미성을 향상을 위하여 금, 은, 백금, 팔라듐, 루테늄, 레늄, 로듐, 이리듐, 오스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귀금속, 또는 귀금속 합금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재료(200)는, 후술하는 프레임부(201), 몸체부(202) 및 장식부(203)가 각각 다른 재질을 가지도록 다양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성형단계(S20)는, 상기 장신구(1)의 제작비용을 절감하며, 장신구(1)의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장신구(1)에 최소 중량의 제1재료(200)를 사용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재료(200)를 성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성형단계(S20)는, 상기 제1재료(200)의 두께를 최대한 얇고 일정하게 성형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재료(200)에 다른 재료를 충진할 수 있는 공간(S)을 신속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가압부재(10)를 이용하여 상기 제1재료(200)를 가압성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재료(200)는, 다양한 두께로 성형될 수 있으나, 최소 중량의 제1재료(200)가 사용되도록 최대한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박판 또는 시트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0.01mm 내지 1mm의 두께로 형성되도록 가압성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형단계(S2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10)가 상기 제1재료(200)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재료(200)가 상기 수용부(10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할 수 있으며, 이에 상기 제1재료(200)의 내부에는 도 1b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01)가 몸체수용부(101a) 및 장식형성부(101b)로 구성된 경우, 상기 성형단계(S20)는, 상기 제1재료(200)가, 상기 성형틀(100)의 상면에 위치되는 프레임부(201)와; 상기 프레임부(201)로부터 상기 몸체수용부(101a)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형성되는 몸체부(202)와; 상기 몸 체부(202)로부터 상기 장식형성부(101b)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 또는 돌출형성되는 장식부(203)로 성형되도록 상기 제1재료를 가압하여 성형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부(201)는, 상기 성형틀(100)의 상면에 위치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부(201)는, 상기 성형틀(100)의 상면에서 상기 수용부(101)가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 위치됨으로써 쉽게 성형틀(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므로, 후술하는 회수단계(S40)에서 몸체부(202) 및 장식부(203)가 형성된 상기 제1재료(200)를 상기 성형틀(100)로부터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201)는, 상기 제1재료(200)가 상기 성형틀(100)로부터 탈착된 후,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절단단계(S50)에서 몸체부(202)로부터 절단되어 회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프레임부(201)는, 상기 제1재료(200)가 가압성형후 상기 수용부(101)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준비되는 경우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몸체부(202)는, 상기 프레임부(201)로부터 상기 몸체수용부(101a)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즉, 상기 몸체부(202)는, 상술한 몸체수용부(101a)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다각형, 다이아몬드, 별, 하트, 동물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202)는,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도 3c 및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202)의 후면에는 상기 제2재료(300)가 채워진 후 상기 제2재료(300)를 노출되지 않게 상기 제2재료(300)를 커버할 수 있는 커버부(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외관상 귀금속제품으로 보이게 하여 심미감을 높이는 동시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커버부(미도시)는, 상기 몸체부(202)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20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202)와 분리형성되어 상기 몸체부(202)와 용접 결합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장식부(203)는, 상기 몸체부(202)로부터 상기 장식형성부(101b)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 또는 돌출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즉, 상기 장식부(203)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며,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다각형, 다이아몬드, 별, 하트, 동물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부(203)는, 상기 몸체부(202)로부터 함몰 또는 돌출형성되어, 음각 또는 양각의 부조장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높이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식부(203)는, 상기 몸체부(202)와 비교하여 다양한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도 3b 및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02)와 비슷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02)의 높이보다 현저히 작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장식부(203)는, 하나 이상의 장식부(203)가 일정한 높이로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상기 장식부(203)간 돌출된 높이를 달리하여 다양한 심미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부(203)는, 상기 몸체부(202)로부터 함몰 또는 돌출형성되는 구성이므로, 상기 제1재료(200)의 성형시 상기 몸체부(202)보다 파단의 위험성이 클 수 있으므로, 상기 몸체부(202)보다 연성 및 전성이 큰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일체화단계(S30)는, 상기 공간(S)에 제2재료(300)를 충전 및 경화시켜 상기 제2재료(300)를 상기 제1재료(200)와 일체화시키는 단계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2재료(300)는, 장신구(1)를 제작하기 위한 재료라면 어떠한 재료라도 가능하며, 예를 들어 에폭시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수지, 아크릴 수지, 및 실리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재료(300)는, 다양한 색깔을 가미하여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합성수지에 하나 이상의 색소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재료(300)는 다양한 재료를 혼합함으로써, 제2재료(300)의 점성, 경도, 색깔 등의 물성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체화단계(S30)에서는, 상기 장신구(1)에 사용되는 제1재료(200)의 중량을 최소화하며, 장신구(1)가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도록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재료(200)의 몸체부(202) 및 장식부(20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하는 공간(S)에 액체 또는 고체상태의 제2재료(300)가 채워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재료(300)의 양은, 필요에 의하여 상기 공간(S)의 높이 이하로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S)에 충전된 상기 제2재료(300)는 경화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재료(300)의 경화와 동시에, 상기 제2재료(300)와 상기 제1재료(200)는 일체화되며, 이에 상기 제2재료(300)는 상기 제1재료(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수단 또는 보강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성형단계(S20) 및 상기 일체화단계(S30)는, 장신구 제작시간 단축을 위하여 상기 준비단계(S10)에서 상기 제1재료(200)의 위에 고체 상태의 상기 제2재료(300)를 위치시킨 후, 상기 성형틀(100)에서 상기 제1재료(200)와 상기 제2재료(300)를 동시에 가압가공함으로써, 동시에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제1재료(200) 위에 위치된 상기 제2재료(300)를 가압부재(10)가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재료(200) 및 상기 제2재료(300)가 동시에 수용부(101)로 밀리게 되며, 상기 제1재료(300)에 몸체부(202) 및 장식부(203)가 형성되며, 상기 제2재료(300)가 상기 제1재료(200)의 몸체부(202) 및 장식부(203)가 형성하는 공간(S)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수단계(S40)는, 서로 일체화된 상기 제1재료(200) 및 상기 제2재료(300)를 상기 성형틀(100)에서 회수하는 단계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수단계(S40)는,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재료(300)가 경화된 뒤, 상기 제1재료(200)와 함께 상기 성형틀(100)에서 탈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수단계(S40)에서는, 상기 제1재료(200)가 열변형에 의하여 축소가 일어나 상기 성형틀(100)로부터 용이하게 탈착되도록 상기 성형틀(100)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신구 제조방법은, 상기 몸체부(202)로부터 상기 프레임부(201)를 절단하는 절단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단단계(S50)는,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02)로부터 상기 프레임부(201)를 절단하는 단계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절단단계(S50)에서는, 상기 프레임부(201)로부터 상기 몸체부(202)를 다양하게 절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레이저 커팅기, 워터젯 등을 통해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단단계(S50)는, 상기 프레임부(201) 및 상기 몸체부(202)의 구성이 형성되는 성형단계(S20) 이후라면 어느 시점에나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절단단계(50)는, 상기 준비단계(S10)에서 상기 성형틀(100)에 상술한 바와 같은 절단 돌기가 구비되거나, 상기 제1재료(200)가 가압 성형 후 상기 수용부(101)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준비되어 프레임부(201)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준비단계(S10), 성형단계(S20), 일체화단계(S30), 회수단계(S40) 및 절단단계(S50)는 서로 순서가 바뀔 수 있으며,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계가 생략되거나, 추가되어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장신구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장신구(1)는, 도 2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재료(200)가 노출되는 제1장식부분 및 제2재료(300)가 노출되는 제2장식부분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장식부분은,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재료(200)가 노출된 부분으로서, 양각 또는 음각의 부조장식이 형성된 장식부(202)를 통해 심미감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장식부분은, 상기 제1재료(200)로 형성된 몸체부(202) 및 장식부(203)를 통해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02)는 원형으로, 상기 장식부(203)는 원형, 하트모양 등으로 형성함으로써 장신구(1)를 보다 아름답게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장식부분에 보석, 큐빅과 같은 장식부재가 하나 이상 용접 또는 끼움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제2장식부분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재료(300)가 노출된 부분으로서, 상기 제2재료(300)의 색깔, 상기 제1재료와의 상이한 재질 등을 통해 심미감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이때, 제2장식부분은, 상기 제2재료(300)를 다양한 색으로 표현하거나, 상기 공간(S)의 내부에 보석, 사진 등과 같은 장식재를 하나 이상 용접 또는 끼움결합시키며 상기 제2재료(300)를 투명하게 표현함으로써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장신구(1)는, 장신구(1)의 전면 및 후면을 모두 장식부분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기분에 따라 전면 및 후면을 다르게 착용할 수 있으며, 상기 장신구(1)가 흔들리는 경우, 전면 및 후면이 모두 노출됨으로써 장식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장신구(1)는, 도 금 등의 귀금속 시트재(200) 및 그 형을 유지시켜주는 형체유지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형체유지부(300)는, 에폭시 등의 재질을 가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귀금속 시트재(200)를 먼저 설치한 후 형변형이 가능한 액체 상태의 에폭시를 주입하여 미리 설정된 형상의 장신구(1)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제조방법은, 상기 귀금속 시트재(200) 및 형체유지부(300)의 결합에 의하여 성형 후에, 형체유지부(300)를 가공하는 후가공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가공단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귀금속 시트재(200) 및 형체유지부(300)의 결합에 의하여 성형 후에 형체유지부(300)를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하는 단계로서,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후가공단계는, 형체유지부(300)의 경화 후 커팅장치 및/또는 연마장치에 의하여 도 4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금속 시트재(200)에 결합된 상태의 형체유지부(300)의 경화 후에 커팅장치에 의하여 돌출부(311) 및 요홈부(312)를 형성함으로써 문양부(31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가공단계는, 상기 문양부(310)의 형성 후 형체유지부(300)의 측면의 상단으로 연장된 상단부분(290)을 형체유지부(300)의 표면으로 밀착시켜 마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신구(1)의 평면형상을 원형, 다각형, 타원형, 별모양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신구(1)은, 목걸이 등의 팬던트로 사용될 수 있는바, 목걸이 줄에 결합될 수 있도록 고리부(2)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리부(2)는, 형체유지부(300)를 관통하여 결합되거나, 귀금속 시트재(300)와 용접 등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S10 : 준비단계 S20 : 성형단계
S30 : 일체화단계 S40 : 회수단계
S50 : 절단단계

Claims (8)

  1. 하나 이상의 수용부(101)가 함몰형성된 성형틀(100) 위에 제1재료(200)를 위치시키는 준비단계(S10)와;
    상기 수용부(101)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가압부재(10)가 상기 제1재료(200)에 공간(S)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재료(200)를 가압하여 성형하는 성형단계(S20)와;
    상기 제1재료(200)에 형성된 상기 공간(S)에 액체 상태의 제2재료(300)를 충전 및 경화시켜 상기 제2재료(300)를 상기 제1재료(200)와 일체화시키는 일체화단계(S30)와;
    서로 일체화된 상기 제1재료(200) 및 상기 제2재료(300)를 상기 성형틀(100)에서 회수하는 회수단계(S40)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단계(S20)는,
    상기 제1재료(200)가 0.01mm 내지 1mm의 두께로 형성되도록 성형하며,
    상기 수용부(101)는,
    상기 성형틀(100)의 상면에서 함몰형성되는 몸체수용부(101a)와;
    상기 몸체수용부(101a)의 저면에서 장식을 위하여 돌출 또는 함몰형성된 하나 이상의 장식형성부(101b)를 포함하며,
    상기 제1재료(200)는, 금, 은, 백금, 팔라듐, 루테늄, 레늄, 로듐, 이리듐, 오스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재료(300)는, 에폭시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수지, 아크릴 수지, 및 실리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제조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재료(200)는,
    상기 성형틀(100)의 상면에 위치되는 프레임부(201)와;
    상기 프레임부(201)로부터 상기 몸체수용부(101a)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형성되는 몸체부(202)와;
    상기 몸체부(202)로부터 상기 장식형성부(101b)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 또는 돌출형성되는 장식부(203)를 포함하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재료(300)는, 하나 이상의 색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제조방법.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2)로부터 상기 프레임부(201)를 절단하는 절단단계(S5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제조방법.
  8. 청구항 제1항, 청구항 3,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 따른 장신구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장신구(1).
KR1020210074097A 2020-10-22 2021-06-08 장신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신구 KR1026196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37441 2020-10-22
KR1020200137441 2020-10-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458A KR20220053458A (ko) 2022-04-29
KR102619602B1 true KR102619602B1 (ko) 2023-12-29

Family

ID=81428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097A KR102619602B1 (ko) 2020-10-22 2021-06-08 장신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6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317B1 (ko) * 2012-10-11 2014-02-11 주식회사 금화글로벌 내부에 수지가 충진된 펜던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69057B1 (ko) * 2018-12-05 2020-01-22 최승희 제작단가가 절감되면서 볼륨감이 있는 펜던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317B1 (ko) * 2012-10-11 2014-02-11 주식회사 금화글로벌 내부에 수지가 충진된 펜던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69057B1 (ko) * 2018-12-05 2020-01-22 최승희 제작단가가 절감되면서 볼륨감이 있는 펜던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458A (ko) 202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57651B2 (ja) 時計部品、及びこのような時計部品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CN101112263A (zh) 一种部件式镶口钻石首饰
CA3000208A1 (fr) Element decoratif portatif comportant une garniture plaquee sous une tole decoupee
EP2522242A2 (en) Decorative clip assembly
KR102619602B1 (ko) 장신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신구
CN113827009B (zh) 一种用于彩色宝石的补色型镶嵌方法
KR200468937Y1 (ko) 보석체의 움직임이 가능한 장신구용 보석난집
KR20100099829A (ko) 생화를 이용한 장신구 제조방법
KR20150136836A (ko)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
KR200406078Y1 (ko) 입체 장식판의 이격 내장구조를 갖는 보석장식구
WO2007053039A1 (en) Jewelry article
JP2000093216A (ja) 指輪用装飾カバー
WO2021235982A1 (ru) Ювелирное изделие
JP3210197U (ja) 装飾具
JP3112421U (ja) 骨片・骨粉入り装飾品並びにその装飾品からなる装身具並びに置物
US20140013800A1 (en) Jewelry article with formed illusion plate
RU106080U1 (ru) Ювелирное изделие
TW202014262A (zh) 用於製造裝飾性零件的方法
CN201299173Y (zh) 珠宝首饰饰件
KR101386234B1 (ko) 동 메탈스톤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악세사리
KR200392456Y1 (ko) 장신구를 이루는 보석고정용 홀더를 갖춘 원본프레임
CN218605393U (zh) 一种可晃动的吊坠
CN218418724U (zh) 一种镶嵌式饰品及用于加工该饰品的模具
KR200438263Y1 (ko) 장식일체형 장식부재
CN218303750U (zh) 一种可转动的吊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