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583B1 -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구조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구조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583B1
KR102619583B1 KR1020230021959A KR20230021959A KR102619583B1 KR 102619583 B1 KR102619583 B1 KR 102619583B1 KR 1020230021959 A KR1020230021959 A KR 1020230021959A KR 20230021959 A KR20230021959 A KR 20230021959A KR 102619583 B1 KR102619583 B1 KR 102619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sound
inter
absorbing plate
laminat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1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중현
문정원
Original Assignee
(주)성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성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30021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5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5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61Floor elements with grooved main surface
    • E04F15/02166Floor elements with grooved main surface wherein the grooves are filled with inser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2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resonance eff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Rooms, e.g. ANC inside a room, office, concert hall or automobile cabi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14Architectures, e.g. special construction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구조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는, 실내 바닥에 안착되고 내부에 소정 부피의 수납공간을 가지도록 소정 두께는 가지는 판상형 구조이고, 상부면에 다수의 관통공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배치된 본체하우징; 상기 본체하우징의 수납공간에 장착되고, 상하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의 층상구조를 형성하는 적층프레임; 및 상기 적층프레임의 다수의 층상구조 사이에 장착되고, 본체하우징의 상부면과 대응되는 형상과 면적으로 형성된 흡음판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주택의 실내 바닥에 손쉽게 설치되어 운용될 수 있는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구조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구조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Inter-Floor Noise Prevention Flooring Having Inter-Floor Noise Reduction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s}
본 발명은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실내 바닥에 손쉽게 설치되어 운용될 수 있는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구조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으로 인한 위층과 아래층 간의 다툼이 종종 발생하여 왔으며, 그 다툼은 점차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층간 소음은 주로 이층 거주자의 주거공간에서 이동시 발생되는 발자국 소리 또는 문의 개폐시와 각종 가구와 전자제품의 가동이나 바닥에 부딪치는 충격, 아이들이 뛰거나 구르는 등의 행위 등에 의해 나는 소리가 철근콘크리트로 시공된 바닥슬래브와 벽체를 통해 아래층의 주거공간으로 전달됨에 따른 것이다.
이러한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가 개발되어 왔다.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34429호(2006.10.09. 등록) "층간바닥재 및 이를 이용한 층간바닥재 건식시공방법"(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은 건축물의 슬래브 상면에 시공되는 층간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층간바닥재로서 슬라브 상부 바닥면에 안치되는 소음완충매트는 EVA 칩에 습기경화형 폴리우레탄계 일액형 접착제를 15:1의 비율로 교반하여 고열, 압축성형하고, 상기 소음완충매트 상부에 난방용 파이프를 배관 후 석분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석분 상부에 시공되는 상부매트는 라텍스 26%, 희석제 73.97%, 암모니아 0.01%, 염소 0.02%로 조성된 혼합액 50%와 물 50%를 혼합한 라텍스혼합액 1중량부에 포클랜트 1종 시멘트 27%, 증기양생용고강도혼합재 14.5%, 3호 규사 47.9%, 펄라이트 10.5%, 화이버0.1%를 혼합한 파우더를 4.5중량부로 혼합조성하여 건조로에서 60내지80℃의 온도로 4시간 정도 신속 건조하여 제조된 것으로, 공동주택의 바닥재 시공시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을 하지 않고 건식으로 시공할 수 있음과 아울러 층간 소음 및 진동 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5049호(2016.10.27. 등록) "차음용 층간 바닥재"(이하, '선행기술 2'라 함)는 상부로부터 평판형으로 형성된 제1 차음재, 복수개의 압력공이 형성된 압력분산용 차음재, 복수개의 통풍공이 형성된 필름지, 필름지의 통풍공에 대응하는 요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요철이 형성된 제2 차음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층에서 발생한 충격이 1차 차음재에 의하여 1차적으로 흡수되고, 1차 차음재에 가해진 충격음이 압력분산용 차음재에 형성된 복수개의 압력공 내에서 2차적으로 흡수되며, 나머지 충격음과 압력은 필름지에 형성된 복수개의 통풍공을 통해 2차 차음재에 형성된 요철을 이루는 요홈으로 분산되고, 분산된 충격음이 제2 차음재에 의하여 3차적으로 흡수되어 충격음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 2는 슬래브와 시멘트몰탈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시멘트몰탈은 가장자리가 측벽에 밀착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측벽은 슬래브와 일체로 설치되는 것이며, 실질적으로 충격과 진동이 시작되는 곳이 시멘트몰탈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볼 때, 이층 발생한 충격과 진동이 시멘트몰탈에서 측벽에 전달되고, 다시 측벽에서 슬라브를 통해 아래층으로 전달되므로 층간 소음의 저감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멘트몰탈의 상면에는 장판 등의 바닥재가 시공되고, 측벽에는 벽지 등의 벽체내장재가 시공되는데 바닥재의 가장자리와 벽체내장재의 하단 사이에는 걸레받이를 설치하게 된다.
걸레받이는 걸레질을 할 경우 또는 진공청소기에 의하여 청소하는 경우 걸레 또는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가 벽지 등의 벽체내장재와 접촉하게 되어 벽지가 더렵혀지거나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일 뿐만 아니라 실내 미관과 실내분위기를 살리기 위한 것이다.
즉, 같은 거주공간이라고 하더라도 걸레받이 하나만 교체하더라도 실내분위기를 바꿀 수 있으며, 거주자의 취향에 따라, 그리고 계절별 부위기에 맞춰서 선택될 수 있다.
걸레받이는 벽체내장제의 시공과 바닥재의 시공이 완료된 후 시공하게 되는데, 상기 선행기술 1, 2와 같이 층간 소음 차단하기 위한 층간바닥재가 슬라브와 시멘트몰탈 사이에 완전히 묻힐 경우, 걸레받이는 벽지 등의 벽체내장재의 하단에 접착해야 하는데 이 경우 시공후 2 내지 3년이 경과하면 접착력이 저하되면서 떨어지게 되고, 이 과정에서 걸레받이에 접착되어 있던 백체내장재의 하단부가 뜯어지게 되며, 걸레받이를 교체를 위하여 걸레받이를 뜯어내는 과정에서 걸레받이에 접착되어 있던 벽체내장재가 손상되기 쉽기 때문에 걸레받이 교체만 하려고 했던 공사가 벽체내장재 공사까지 확대되어 많은 시간과 비용을 부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바닥내장재에서 시작된 충격 및 진동이 바닥재가 부착된 시멘트몰탈을 통해 벽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벽체와 일체로 형성된 슬래브로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층간소음 저감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걸레받이의 교체시 벽체내장재가 손상되지 않게 함으로써 시간과 비용을 절감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34429호 (등록일자: 2006년10월09일)
본 발명의 목적은, 공동주택의 실내 바닥에 손쉽게 설치되어 운용될 수 있는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구조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는, 실내 바닥에 안착되고 내부에 소정 부피의 수납공간을 가지도록 소정 두께는 가지는 판상형 구조이고, 상부면에 다수의 관통공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배치된 본체하우징; 상기 본체하우징의 수납공간에 장착되고, 상하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의 층상구조를 형성하는 적층프레임; 및 상기 적층프레임의 다수의 층상구조 사이에 장착되고, 본체하우징의 상부면과 대응되는 형상과 면적으로 형성된 흡음판 조립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하우징은, 설치하고자 하는 실내 바닥에 안착되는 다각형 판상형 구조이고, 바닥면에 기능층 장착구조가 형성되며, 상부면에 적층프레임 안착구조가 형성된 구조의 바닥거치부; 상기 바닥거치부의 테두리를 따라 일체형 구조로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어 본체하우징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측벽을 형성하고, 또 다른 본체하우징의 측면결속부와 맞닿아 부착되거나 결속되는 구조의 측면결속부; 및 상기 측면결속부의 상단에 결속되어 본체하우징의 수납공간을 밀폐하는 구조이고, 다수의 관통공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배치되며, 절단면상 H형 구조의 지지바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하부면에 다수 장착된 상부밀폐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층프레임은, 상기 본체하우징의 수납공간의 측벽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수납공간의 측벽을 따라 소정 폭을 가지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내측방향으로 흡음판 조립체를 결속할 수 있는 결속홈이 상하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된 측벽안착부; 상기 측벽안착부와 일체형 구조로 측벽안착부를 서로 연결하는 구조이고, 측벽안착부의 결속홈의 일격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며, 평면상 다수의 격자 구획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흡음판 조립체의 각각의 흡음판의 상부면 및 하부면과 접촉하여 고정하는 구조의 흡음판결착부; 및 상기 흡음판결착부의 교차부분에 장착되고, 적층프레임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의 중공형 원기둥 구조이며, 내부에 소정 크기의 강성을 가지는 유연한 소재로 구성된 완충부재를 탈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하는 완충장착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음판 조립체는, 상기 적층프레임의 층상구조에 상단층, 하단층 및 정중앙층에 삽입되는 판상형 구조이고,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며,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유연한 박막구조의 공명진동판; 상기 상단층과 정중앙층에 장착된 공명진동판 사이에 장착되고, 공명진동판과 3 내지 5 mm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스펀지 구조이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구조의 제1진동흡수판; 및 상기 정중앙층과 하단층에 장착된 공명진동판 사이에 장착되고, 공명진동판과 1 내지 3 mm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스펀지 구조이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구조의 제2진동흡수판;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층프레임은, 상기 적층프레임의 테두리에 장착되고, 다수의 층상구조의 이격 거리를 변경하여, 공명진동판, 제1진동흡수판 및 제2진동흡수판의 이격 거리를 각각 서로 다르게 변경하는 구조의 층상간격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본체하우징, 적층프레임 및 흡음판 조립체를 구비함으로써, 공동주택의 실내 바닥에 손쉽게 설치되어 운용될 수 있는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구조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바닥거치부, 측면결속부 및 상부밀폐부를 포함하는 본체하우징을 구비함으로써, 시공하고자 하는 실내 바닥의 면적과 상태에 따라 맞춤 적용하여 본체하우징 다수를 측면 접촉하여 손쉽게 구성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층간소음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건물에 바닥에 용이하게 시공될 수 있는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측벽안착부, 흡음판결착부 및 완충장착부를 포함하는 적층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실내 바닥에 시공된 후 상부면으로부터 인가되는 충격 하중을 완충장착부를 통해 추가로 지지만 흡수할 수 있고, 흡음판 조립체를 본체하우징 내부에 안정적으로 장착 고정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구조적 건전성과 안정적인 흡음기능을 보장할 수 있는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공명진동판, 제1진동흡수판 및 제2진동흡수판을 포함하는 흡음판 조립체를 구비함으로써, 실내 바닥에 시공된 후 상부면으로부터 인가되는 충격 하중의 다양한 진동 주파수에 따라 공명진동판을 진동시킨 후 공명진동판의 진동을 제1진동흡수판과 제2진동흡수판을 통해 소멸시킬 수 있고, 층상간격변경부를 통해 인가되는 충격 하중의 진동 주파수에 맞춰 적용할 수 있어, 다양한 생활 환경 및 생활 습관 등을 반영하여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흡음 바닥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를 나타내는 종절단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의 적층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의 적층프레임과 흡음판 조립체의 절단면 일부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의 절단면 일부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를 나타내는 종절단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100)는 특정 구조의 본체하우징(110), 적층프레임(120) 및 흡음판 조립체(130)를 구비함으로써, 공동주택의 실내 바닥에 손쉽게 설치되어 운용될 수 있는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구조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의 적층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3에 도시된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의 적층프레임과 흡음판 조립체의 절단면 일부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도 3에 도시된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의 절단면 일부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100)의 본체하우징(110)은 실내 바닥에 안착되고 내부에 소정 부피의 수납공간을 가지도록 소정 두께는 가지는 판상형 구조이고, 상부면에 다수의 관통공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배치된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본체하우징(110)은 특정 구조의 바닥거치부(111), 측면결속부(112) 및 상부밀폐부(113)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체하우징(110)의 바닥거치부(111)는 설치하고자 하는 실내 바닥에 안착되는 다각형 판상형 구조이고, 바닥면에 기능층 장착구조(111a)가 형성되며, 상부면에 적층프레임(120) 안착구조가 형성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언급한 기능층 장착구조(111a)는 황토층, 살균제층, 소독제층 등 다양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소재를 주입하거나 장착할 수 있다.
본체하우징(110)의 측면결속부(112)는 바닥거치부(111)의 테두리를 따라 일체형 구조로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어 본체하우징(110)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측벽을 형성하고, 또 다른 본체하우징(110)의 측면결속부(112)와 맞닿아 부착되거나 결속되는 구조이다.
또한, 본체하우징(110)의 상부밀폐부(113)는 측면결속부(112)의 상단에 결속되어 본체하우징(110)의 수납공간을 밀폐하는 구조로서, 다수의 관통공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배치되며, 절단면상 H형 구조의 지지바(114)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하부면에 다수 장착된 구조이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114)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구조가 형성되어 완충장착부(123)의 완충부재(124)의 상부면 접촉하는 상태로 거치되며, 상부밀폐부(113)로부터 인가되는 충격 하중을 완충부재(124)에 전달하여 소멸시킬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지지바(114)의 하단에 형성된 돌출된 구조는 완충장착부(123)의 중공형 내부에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는 원기둥 구조이다. 완충부재(124)는 지지바(114)의 하단에 형성된 돌출된 구조에 의해 하방으로 눌렸다가 상방으로 서서히 복원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바닥거치부(111), 측면결속부(112) 및 상부밀폐부(113)를 포함하는 본체하우징(110)을 구비함으로써, 시공하고자 하는 실내 바닥의 면적과 상태에 따라 맞춤 적용하여 본체하우징(110) 다수를 측면 접촉하여 손쉽게 구성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층간소음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건물에 바닥에 용이하게 시공될 수 있는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적층프레임(120)은 본체하우징(110)의 수납공간에 장착되고, 상하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의 층상구조를 형성하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적층프레임(120)은 특정 구조의 측벽안착부(121), 흡음판결착부(122) 및 완충장착부(123)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적층프레임(120)의 측벽안착부(121)는 본체하우징(110)의 수납공간의 측벽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수납공간의 측벽을 따라 소정 폭을 가지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내측방향으로 흡음판 조립체(130)를 결속할 수 있는 결속홈이 상하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된 구조이다. 적층프레임(120)의 흡음판결착부(122)는 측벽안착부(121)와 일체형 구조로 측벽안착부(121)를 서로 연결하는 구조로서, 측벽안착부(121)의 결속홈의 일격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며, 평면상 다수의 격자 구획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흡음판 조립체(130)의 각각의 흡음판의 상부면 및 하부면과 접촉하여 고정하는 구조이다. 적층프레임(120)의 완충장착부(123)는 흡음판결착부(122)의 교차부분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적층프레임(12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의 중공형 원기둥 구조이며, 내부에 소정 크기의 강성을 가지는 유연한 소재로 구성된 완충부재를 탈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측벽안착부(121), 흡음판결착부(122) 및 완충장착부(123)를 포함하는 적층프레임(120)을 구비함으로써, 실내 바닥에 시공된 후 상부면으로부터 인가되는 충격 하중을 완충장착부(123)를 통해 추가로 지지만 흡수할 수 있고, 흡음판 조립체(130)를 본체하우징(110) 내부에 안정적으로 장착 고정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구조적 건전성과 안정적인 흡음기능을 보장할 수 있는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흡음판 조립체(130)는 적층프레임(120)의 다수의 층상구조 사이에 장착되고, 본체하우징(110)의 상부면과 대응되는 형상과 면적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흡음판 조립체(130)는 특정 구조의 공명진동판(131), 제1진동흡수판(132) 및 제2진동흡수판(133)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흡음판 조립체(130)의 공명진동판(131)은 적층프레임(120)의 층상구조에 상단층, 하단층 및 정중앙층에 삽입되는 판상형 구조로서,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며,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유연한 박막구조이다. 이때, 공명진동판(131)은 서로 다른 두께와 공명 진동수를 가지는 세 개의 공명진동판(131a, 131b, 131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다른 두께와 공명 진동수를 가지는 다수의 공명진동판(131a, 131b, 131c)을 이용하여 충격 하중에 따라 발생하는 다양한 소음과 공명하여 진동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공명진동판(131a, 131b, 131c)과 인접하여 배치된 제1진동흡수판(132)과 제2진동흡수판(133)에 의해 공명진동판(131a, 131b, 131c)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의 진동을 소멸시킬 수 있다.
흡음판 조립체(130)의 제1진동흡수판(132)은 상단층과 정중앙층에 장착된 공명진동판(131a, 131b) 사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공명진동판(131)과 3 내지 5 mm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스펀지 구조이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구조이다. 또한, 흡음판 조립체(130)의 제2진동흡수판(133)은 정중앙층과 하단층에 장착된 공명진동판(131) 사이에 장착되고, 공명진동판(131b, 131c)과 1 내지 3 mm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스펀지 구조이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구조이다.
경우에 따라서, 적층프레임(120)의 테두리에 층상간격변경부(도시하지 않음)를 장착하여, 다수의 층상구조의 이격 거리를 변경하여, 공명진동판(131), 제1진동흡수판(132) 및 제2진동흡수판(133)의 이격 거리를 각각 서로 다르게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공명진동판(131), 제1진동흡수판(132) 및 제2진동흡수판(133)을 포함하는 흡음판 조립체(130)를 구비함으로써, 실내 바닥에 시공된 후 상부면으로부터 인가되는 충격 하중의 다양한 진동 주파수에 따라 공명진동판(131)을 진동시킨 후 공명진동판(131)의 진동을 제1진동흡수판(132)과 제2진동흡수판(133)을 통해 소멸시킬 수 있고, 층상간격변경부를 통해 인가되는 충격 하중의 진동 주파수에 맞춰 적용할 수 있어, 다양한 생활 환경 및 생활 습관 등을 반영하여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
110: 본체하우징
111: 바닥거치부
111a: 기능층 장착구조
111b: 미세관통구
112: 측면결속부
113: 상부밀폐부
114: 지지바
115: 관통공
120: 적층프레임
121: 측벽안착부
122: 흡음판결착부
123: 완충장착부
124: 완충부재
130: 흡음판 조립체
131: 공명진동판
131a: 상부 공명진동판
131b: 중앙부 공명진동판
131c: 하부 공명진동판
132: 제1진동흡수판
133: 제2진동흡수판

Claims (5)

  1. 실내 바닥에 안착되고 내부에 소정 부피의 수납공간을 가지도록 소정 두께는 가지는 판상형 구조이고, 상부면에 다수의 관통공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배치된 본체하우징(110);
    상기 본체하우징(110)의 수납공간에 장착되고, 상하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의 층상구조를 형성하는 적층프레임(120); 및
    상기 적층프레임(120)의 다수의 층상구조 사이에 장착되고, 본체하우징(110)의 상부면과 대응되는 형상과 면적으로 형성된 흡음판 조립체(130);
    를 포함하고,
    상기 적층프레임(120)은,
    상기 본체하우징(110)의 수납공간의 측벽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수납공간의 측벽을 따라 소정 폭을 가지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내측방향으로 흡음판 조립체(130)를 결속할 수 있는 결속홈이 상하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된 측벽안착부(121);
    상기 측벽안착부(121)와 일체형 구조로 측벽안착부(121)를 서로 연결하는 구조이고, 측벽안착부(121)의 결속홈의 일격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며, 평면상 다수의 격자 구획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흡음판 조립체(130)의 각각의 흡음판의 상부면 및 하부면과 접촉하여 고정하는 구조의 흡음판결착부(122); 및
    상기 흡음판결착부(122)의 교차부분에 장착되고, 적층프레임(12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의 중공형 원기둥 구조이며, 내부에 소정 크기의 강성을 가지는 유연한 소재로 구성된 완충부재를 탈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하는 완충장착부(12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하우징(110)은,
    설치하고자 하는 실내 바닥에 안착되는 다각형 판상형 구조이고, 바닥면에 기능층 장착구조가 형성되며, 상부면에 적층프레임(120) 안착구조가 형성된 구조의 바닥거치부(111);
    상기 바닥거치부(111)의 테두리를 따라 일체형 구조로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어 본체하우징(110)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측벽을 형성하고, 또 다른 본체하우징(110)의 측면결속부(112)와 맞닿아 부착되거나 결속되는 구조의 측면결속부(112); 및
    상기 측면결속부(112)의 상단에 결속되어 본체하우징(110)의 수납공간을 밀폐하는 구조이고, 다수의 관통공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배치되며, 절단면상 H형 구조의 지지바(114)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하부면에 다수 장착된 상부밀폐부(11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판 조립체(130)는,
    상기 적층프레임(120)의 층상구조에 상단층, 하단층 및 정중앙층에 삽입되는 판상형 구조이고,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며,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유연한 박막구조의 공명진동판(131);
    상기 상단층과 정중앙층에 장착된 공명진동판(131) 사이에 장착되고, 공명진동판(131)과 3 내지 5 mm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스펀지 구조이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구조의 제1진동흡수판(132); 및
    상기 정중앙층과 하단층에 장착된 공명진동판(131) 사이에 장착되고, 공명진동판(131)과 1 내지 3 mm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스펀지 구조이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구조의 제2진동흡수판(13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프레임(120)은,
    상기 적층프레임(120)의 테두리에 장착되고, 다수의 층상구조의 이격 거리를 변경하여, 공명진동판(131), 제1진동흡수판(132) 및 제2진동흡수판(133)의 이격 거리를 각각 서로 다르게 변경하는 구조의 층상간격변경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
KR1020230021959A 2023-02-20 2023-02-20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구조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 KR102619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1959A KR102619583B1 (ko) 2023-02-20 2023-02-20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구조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1959A KR102619583B1 (ko) 2023-02-20 2023-02-20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구조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583B1 true KR102619583B1 (ko) 2023-12-29

Family

ID=89334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1959A KR102619583B1 (ko) 2023-02-20 2023-02-20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구조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5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4429B1 (ko) 2005-05-03 2006-10-16 최화용 층간바닥재 및 이를 이용한 층간바닥재 건식시공방법
KR20140001027A (ko) * 2012-06-27 2014-01-06 강성길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으로 사용되는 고무·섬유구조체 및 그 이용방법
KR102065729B1 (ko) * 2019-06-12 2020-01-13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용 바닥 구조물
KR20220156291A (ko) * 2021-05-18 2022-11-25 이광우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4429B1 (ko) 2005-05-03 2006-10-16 최화용 층간바닥재 및 이를 이용한 층간바닥재 건식시공방법
KR20140001027A (ko) * 2012-06-27 2014-01-06 강성길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으로 사용되는 고무·섬유구조체 및 그 이용방법
KR102065729B1 (ko) * 2019-06-12 2020-01-13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건축용 바닥 구조물
KR20220156291A (ko) * 2021-05-18 2022-11-25 이광우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5259A (en) Sound rated floor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KR100563097B1 (ko)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TWI791780B (zh) 隔間壁構造及其施工方法
CA2808903A1 (en) Lightweight acoustical flooring underlayment
KR20090035125A (ko) 건물의 바닥의 형성을 위한 모듈화된 바닥완충재 및 이를이용한 건물의 바닥시공방법
KR100770004B1 (ko)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KR102619583B1 (ko)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구조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 바닥재
KR200236412Y1 (ko) 건물 바닥재용 방음보드
JP2002138597A (ja) 間仕切り壁構造
KR20090090925A (ko)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KR100806728B1 (ko) 소음 및 충격음 저감용 완충재
KR100546445B1 (ko) 건축물의 층간바닥구조
KR100718700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200423540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200439792Y1 (ko) 층간소음차단용 판넬조립체
KR200378945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저감재
JP7448402B2 (ja) 防音構造
KR100629954B1 (ko) 건축물의 층간바닥 충격음 차단구조
JPH0630981Y2 (ja) 床パネル
KR200438177Y1 (ko) 층간 소음 저감재
KR200351882Y1 (ko) 건물의 조립식 난방 바닥 구조물
KR200447815Y1 (ko) 건물 바닥용 복층 구조의 완충재 조립체
KR100641873B1 (ko) 건축물의 층간바닥 충격음 차단구조
KR200405617Y1 (ko)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층간차음재
JPH01192952A (ja) 浮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