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792Y1 - 층간소음차단용 판넬조립체 - Google Patents
층간소음차단용 판넬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9792Y1 KR200439792Y1 KR2020070007791U KR20070007791U KR200439792Y1 KR 200439792 Y1 KR200439792 Y1 KR 200439792Y1 KR 2020070007791 U KR2020070007791 U KR 2020070007791U KR 20070007791 U KR20070007791 U KR 20070007791U KR 200439792 Y1 KR200439792 Y1 KR 20043979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sound insulation
- soundproof
- insulation board
- soundproof plat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RNFJDJUURJAICM-UHFFFAOYSA-N 2,2,4,4,6,6-hexaphenoxy-1,3,5-triaza-2$l^{5},4$l^{5},6$l^{5}-triphosphacyclohexa-1,3,5-triene Chemical compound N=1P(OC=2C=CC=CC=2)(OC=2C=CC=CC=2)=NP(OC=2C=CC=CC=2)(OC=2C=CC=CC=2)=NP=1(OC=1C=CC=CC=1)OC1=CC=CC=C1 RNFJDJUURJAIC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81 foam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57—Solid slabs or blocks
- E04B2001/8461—Solid slabs or blocks layer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8—Edge insulation strips, e.g. for floor screed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 공동주택과 같은 집합건물에서의 층간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판넬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폭의 크기가 다른 판넬을 복수 개 적층하여 형성된 복수의 공기층을 통해 효과적으로 층간 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층간소음차단용 판넬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하측 방음판과, 하측 방음판으로부터 일정한 두께로 이격된 상측 방음판 및, 하측 방음판과 상측 방음판의 사이에 위치하며 하측 방음판과 상측 방음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중간 지지판을 포함하며, 중간 지지판의 폭은 하측 방음판 및 상측 방음판의 폭 보다 좁게 형성되어 중간 지지판 각각의 사이 공간을 통해 하측 방음판과 상측 방음판 사이에서 복수의 공기층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차단용 판넬조립체가 제공된다.
층간소음, 차단, 판넬, 방음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차단용 판넬조립체의 개념도.
도 2는 도 1의 판넬조립체에서 바닥부 판넬조립체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와 부분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바닥부 판넬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와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판넬조립체에서 측벽부 판넬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와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간 지지판 2 : 상측 방음판
2' : 벽측 방음판 3 : 하측 방음판
3' : 내측 방음판 4 : 중간 방음판
5 : 방음 덮판 6 : 공기층
7 : 몰탈 차단판 7' : 연장부
100 : 바닥부 판넬조립체 200 : 측벽부 판넬조립체
300 : 바닥벽 400 : 측벽
본 고안은 아파트, 공동주택과 같은 집합건물에서의 층간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판넬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폭의 크기가 다른 판넬을 복수 개 적층하여 형성된 복수의 공기층을 통해 효과적으로 층간 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층간소음차단용 판넬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와 같은 집합건물에서는 아래층과 위층 간에 발생하는 소음으로 인한 거주자들의 불편이 발생한다. 이러한 소음은 위층에 거주하는 사람이 질량이 작은 물건을 바닥에 떨어뜨리거나 가구 등을 옮길 때 발생하는 경량 충격음과, 질량이 큰 물건을 바닥에 떨어뜨리거나 거주하는 어린이 등이 심하게 뛰어다닐 때 발생하는 중량 충격음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다만 소음으로 인해 불편을 느끼는 정도는 거주하는 사람의 주관적인 느낌에 따라 좌우되는 것이므로 어떠한 소음도 거주자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거주자들 간의 법적 분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집합건물의 층간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기술에 의한 층간소음 방지기술은, 아파트를 예로들면, 콘크리트 바닥면 구조물로서 슬라브 위에, 스티로폼과 같은 방음패드를 깐 후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이다. 경량기포 콘크리트 위에는 난방을 위한 온수배관이 설치되고, 온수배관 위로 몰탈을 부어 경화시킨 뒤 장판을 붙이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기술에 의하면, 스티로폼은 바닥면 면적에 대응되는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므로 층간 발생하는 소음이 스티로폼을 통해 충분히 흡수되지 못하며, 스티로폼이 일종의 진동판 역할을 하게 되어 진폭이 크고 지속시간이 긴 진동이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소음차단이 잘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중량충격음에 대해서는 소음차단 효과가 더욱 떨어지게 마련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폭의 크기가 다른 판넬을 복수 개 적층하여 형성된 복수의 공기층을 통해 효과적으로 층간 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층간소음차단용 판넬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차단용 판넬조립체는, 집합건물의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판넬조립체에 있어서, 하측 방음판;과, 상기 하측 방음판으로부터 일정한 두께로 이격된 상측 방음판; 및, 상기 하측 방음판과 상측 방음판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하측 방음판과 상측 방음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중간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 지지판의 폭 은 상기 하측 방음판 및 상측 방음판의 폭 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중간 지지판 각각의 사이 공간을 통해 상기 하측 방음판과 상측 방음판 사이에서 복수의 공기층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 지지판의 상면과 하면에 접하면서 상기 하측 방음판의 상면과 상기 상측 방음판의 하면에 접하여 상기 중간 지지판으로부터 상기 하측 방음판과 상측 방음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방음 덮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측 방음판과 하측 방음판의 사이에는 상기 중간 지지판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는 중간 방음판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중간 지지판은 상기 중간 방음판과 상기 하측 방음판의 사이 및 상기 중간 방음판과 상기 상측 방음판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방음 덮판은, 상기 중간 지지판과, 상기 상측 방음판, 중간 방음판 및 하측 방음판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층간소음차단용 판넬조립체의 양 측단에는, 상기 집합건물의 측벽으로부터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하는 벽측 방음판; 상기 벽측 방음판을 통하여 전달되는 소음이 실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내측 방음판; 및, 상기 벽측 방음판과 내측 방음판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벽측 방음판과 내측 방음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중간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 지지판의 폭은 상기 벽측 방음판 및 내측 방음판의 폭 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중간 지지판 각각의 사이 공간을 통해 상기 벽측 방음판과 내측 방음판 사이에서 복수의 공기층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부 판넬조립체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벽부 판넬조립체의 외부 둘레 일부에는 몰탈 차단판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합건물의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판넬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집합건물 내의 하층으로부터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하는 하측 방음판;, 상기 집합건물 내의 상층으로부터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하는 상측 방음판; 및, 상기 하측 방음판과 상측 방음판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하측 방음판과 상측 방음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중간 지지판;을 포함하는 바닥부 판넬조립체와, 상기 집합건물의 측벽으로부터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하는 벽측 방음판;, 상기 벽측 방음판을 통하여 전달되는 소음이 실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내측 방음판; 및, 상기 벽측 방음판과 내측 방음판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벽측 방음판과 내측 방음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중간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 판넬조립체의 양 측단에 설치되는 측벽부 판넬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 지지판의 폭은 상기 벽측 방음판 및 내측 방음판과 상기 상측 방음판 및 하측 방음판의 폭 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중간 지지판 각각의 사이 공간을 통해 상기 벽측 방음판과 내측 방음판 및 상기 상측 방음판과 하측 방음판의 사이에서 복수의 공기층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차단용 판넬조립체가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차단용 판넬조립체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차단용 판넬조립체는, 바닥(300) 위에 위치하는 바닥부 판넬조립체(100)와 측벽(400)에 접하는 측벽부 판넬 조립체(200)를 포함한다.
측벽부 판넬조립체(200)에는 바닥부 판넬조립체(100)에 적용된 구성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차단용 판넬조립체의 실시예로서 먼저 바닥부 판넬조립체(10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따라서 바닥부 판넬조립체(100)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차단용 판넬조립체의 실시예로 이해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바닥부 판넬조립체(100)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바닥(300) 위에 위치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바닥부 판넬조립체(100)의 하면과 상면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이 설치된다. 여기서 바닥(300)은 아파트와 같은 집합건물에서 위층(상층)의 바닥(300)을 지칭하는 개념으로서 동시에 아래층(하층)의 천정으로 이해하면 족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바닥부 판넬조립체(100)는 하층으로부터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하는 하측 방음판(3), 하측 방음판(3)으로부터 일정한 두께(c)로 이격된 상측 방음판(2), 상측 방음판(2)과 하측 방음판(3)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지지판(1) 및, 각각의 판넬들(1, 2, 3) 사이에 위치하는 방음 덮판(5)을 포함한다. 또한 상측 방음판(2)과 하측 방음판(3)의 사이에는 중간 방음판(4)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측 방음판(2)과 하측 방음판(3)의 폭이 예시적으로 (a)라 하면, 중간 지지판(1)의 폭은 상대적으로 좁다. 따라서 복수의 중간 지지판(1)을 폭 (a) 방향으로 나열하고 중간 지지판(1)의 상하측에 상측 방음판(2)과 하측 방음판(3)을 위치시키면 자연스럽게 복수의 공기층(6)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 층(6)은 층간소음의 원인이 되는 진동음을 적절하게 상쇄시킬 수 있다.
공기층(6)의 폭 (a) 방향으로의 개수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구비되는 중간 지지판(1)의 개수와 폭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공기층(6)의 층의 개수는 적층되는 판넬(1, 2, 3)의 개수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중간 방음판(4)은 소음차단효과를 위해 추가적으로 부가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측 방음판(2) 및 하측 방음판(3)과 동일한 폭(a)과 길이(b)를 가진다.
방음 덮판(5)은 중간 지지판(1)의 상면과 하면에 접하면서 하측 방음판(3)의 상면과 상측 방음판(2)의 하면에 접하여 중간 지지판(1)으로부터 하측 방음판(3)과 상측 방음판(2)을 지지한다. 여기서 하면은 도 1의 바닥(300)을 바라보는 면이고 상면은 하면의 정반대면을 의미한다. 방음 덮판(5)은 바람직하게 상측 방음판(2)과 하측 방음판(3)의 폭(a)과 길이(b)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측 방음판(2)과 하측 방음판(3)이 넒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록 수직 하중에 취약할 수 있으므로 이를 지지하기 위해 적절한 강성을 가진 소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측 방음판(2)과 하측 방음판(3) 그리고 중간 방음판(4)은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중간 지지판(1)에 의해 가압되는 압력이 크므로 이로부터 보호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 방음 덮판(5)은 폴리프로필렌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재료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아울러 상측 방음판(2), 하측 방음판(3) 및 중간 방음판(4)의 재료는 일반적으로 발포 폴리에틸렌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측 방음판(2)과 하측 방음판(3) 및 중간 방음판(4)의 재료와, 폭 (a)와 길이 (b)로 규정되는 크기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각각의 판넬(2, 3, 4)은 두께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상측 방음판(2)과 하측 방음판(3)은 10mm, 중간 방음판(4)은 20mm, 중간 지지판(1)은 8mm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시키고, 방음 덮판(5)은 상대적으로 얇게 1mm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공기층의 두께는 중간 지지판(1)의 두께와 같은 8mm로 형성될 것이며, 바람직하게 2층의 공기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도 2의 바닥부 판넬조립체(100)는, 중간 방음판(4)의 상면과 하면에 방음 덮판(5)을 접착하고, 상측 방음판(2)의 하면과 하측 방음판(3)의 상면에 방음 덮판(5)을 접착한 후, 상측 방음판(2)과 중간 방음판(4) 및 중간 방음판(4)과 하측 방음판(3)의 사이에 복수의 중간 지지판(1)을 접착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물론 제조 순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2의 바닥부 판넬조립체(100)의 두께 (c) 는 앞서의 예시에 따라 조립될 때 60mm가 된다. 다만 이러한 수치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다양한 두께의 판넬들(1, 2, 3, 4, 5)이 적용되어 다양한 두께의 바닥부 판넬조립체(100)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중간 지지판(1)의 폭은 상측 방음판(2)과 하측 방음판(3)의 폭에 비해 좁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상측 방음판(2)의 2% 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측 방음판(2)의 폭 (a) 가 1000mm 인 경우 중간 지지판(1)의 폭은 20mm가 된다. 다만 중간 지지판(1)의 길이는 상측 방음판(2) 및 하측 방음판(3)의 길이 (b)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부 판넬조립체(100')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2의 바닥부 판넬조립체(100)에서 중간 방음판(4)이 제거되고, 중간 지지판(1)이 추가된다. 따라서 3층의 공기층(6)이 형성된다.
공기층(6)의 두께는 동일하지만 상측 방음판(2)과 하측 방음판(3)의 두께가 각각 16mm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방음 덮판(5)의 두께가 도 2에서와 같이 1mm로 유지되는 한 도 3의 바닥부 판넬조립체(100')의 두께 (c) 역시 60mm가 될 수 있다. 여기서도 이와 같은 수치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수치가 적용될 수 있다.
도 3의 바닥부 판넬조립체(100')는 3층의 공기층(6)을 가진 것과 중간 방음판(4)이 제거되고 중간 지지판(1)이 추가된 점에서 도 2의 바닥부 판넬조립체(100)와 차이가 있으나, 각각의 판넬들(1, 2, 3, 5)의 재료와 폭 (a) 및 길이 (b)에 있어서는 동일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판넬조립체(100, 100')들은 집합건물의 층간소음방지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측벽간의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층간소음방지용이란 집합건물의 가구주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폭 넓게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측벽부 판넬조립체(200)는, 앞서 설명한 바닥부 판넬조립체(100, 100')의 양 측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측벽(400)으로부터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하는 벽측 방음판(2'), 벽측 방음판(2')을 통하여 전달되는 소음이 실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내측 방음판(3') 및 벽측 방음판(2')과 내측 방음판(3')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지지판(1)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내측 방음판(3')과 벽측 방음판(2')의 사이에 중간 방음판(4) 및 각각의 판넬들(1, 2', 3', 4) 사이에 방음 덮판(5)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측벽부 판넬조립체(200)의 구성에서 적층되는 판넬들(1, 2', 3', 4, 5)의 순서는 도 2의 바닥부 판넬조립체(100)와 동일하며, 각각의 판넬들(1, 2', 3', 4, 5)의 재료와 길이 (b) 및 공기층의 개수는 도 2의 바닥부 판넬조립체(100)와 동일하다.
다만 각각의 판넬들(1, 2', 3', 4, 5)의 두께에 있어서, 벽측 방음판(2')은 14mm로 형성되고, 중간 지지판(1) 및 중간 방음판(4)과 내측 방음판(3')은 10mm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층의 두께는 10mm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수치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수치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방음 덮판(5)의 두께를 1.5mm 형성시키면 전체 두께 (c)는 도 2 및 도 3의 바닥부 판넬조립체(100, 100')와 같게 60mm로 형성시킬 수 있다.
측벽부 판넬조립체(200)의 외부 둘레 일부에는 도 4에서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탈 차단판(7)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바닥부 판넬조립체(100, 100')에는 몰탈이 부어지게 되므로, 바닥부 판넬조립체(100, 100')와 측벽부 판넬조립체(200)가 접하는 틈새 부분으로 몰탈의 수분이 침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수분 차단 효과를 보장하기 위해서 도 4에서와 같이 몰탈 차단판(7)에는 연장부(7')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부(7')는 측벽부 판넬조립 체(200)에 접하는 바닥부 판넬조립체(100, 100')의 상면 일부를 덮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닥부 판넬조립체(100, 100')와 측벽부 판넬조립체(200)가 조합되면 하나의 층간소음차단용 판넬조립체로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차단용 판넬조립체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주식회사 한국소음진동(성적서번호 : KNVT07-036, 037)에 의뢰하여 실험한 데이터를 상술한다.
제1 실험조건에서는 0.5mm 두께의 방음덮판(5) 4개와 5mm 두께의 방음판(2, 3, 3', 4, 4') 5 개를 교대로 적층하여 형성된 총 두께 27mm의 판넬조립체를 시료로 사용했다. 여기서 방음판(2, 3, 3', 4, 4')은 앞서 설명한 명칭에 구애될 필요 없이 EPE난연판으로 된 판넬이 사용되었으며 방음 덮판(5)과 방음판(2, 3, 3', 4, 4')적층 순서는 도 2 또는 도 3과 동일하다.
제2 실험조건에서는 1mm 두께의 방음덮판(5) 4개와 5mm 두께의 방음판(2, 3, 3', 4, 4') 5 개를 교대로 적층하여 형성된 총 두께 29mm의 판넬조립체를 시료로 사용했다. 여기서 방음판(2, 3, 3', 4, 4')은 앞서 설명한 명칭에 구애될 필요 없이 EPE난연판으로 된 판넬이 사용되었으며 방음 덮판(5)과 방음판(2, 3, 3', 4, 4')의 적층 순서는 도 2 또는 도 3과 동일하다.
제1 및 제2 실험조건 모두 경량 충격음으로는 1/3 옥타브밴드 중심주파수 100 ~ 5000 Hz를, 중량 충격음으로는 63 ~ 500 Hz를 사용하였다.
제1 실험조건에서, 경량 충격음의 경우, 판넬조립체를 사용하기 전에는 평균적으로 65.6 내지 74.9 데시벨의 레벨이 검출된 반면, 판넬조립체를 사용한 경우 평균적으로 36.2 내지 58.1 데시벨의 레벨이 검출되었다.
아울러 제1 실험조건에서, 중량 충격음의 경우, 판넬조립체를 사용하기 전에는 평균적으로 65.9 내지 84.7 데시벨의 레벨이 검출된 반면, 판넬조립체를 사용한 경우 평균적으로 47.9 내지 74.5 데시벨이 검출되었다.
제2 실험조건에서, 경량 충격음의 경우, 판넬조립체를 사용하기 전에는 평균적으로 65.6 내지 74.9 데시벨의 레벨이 검출된 반면, 판넬조립체를 사용한 경우 평균적으로 32.8 내지 60.3 데시벨의 레벨이 검출되었다.
아울러 제2 실험조건에서, 중량 충격음의 경우, 판넬조립체를 사용하기 전에는 평균적으로 65.9 내지 84.7 데시벨의 레벨이 검출된 반면, 판넬조립체를 사용한 경우 평균적으로 48.3 내지 75.7 데시벨이 검출되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차단용 판넬조립체에 의하면, 폭의 크기가 다른 판넬을 복수 개 적층하여 형성된 복수의 공기층을 통해 효과적으로 층간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Claims (13)
- 집합건물의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판넬조립체에 있어서,하측 방음판;과,상기 하측 방음판으로부터 일정한 두께로 이격된 상측 방음판; 및,상기 하측 방음판과 상측 방음판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하측 방음판과 상측 방음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중간 지지판;을 포함하며,상기 중간 지지판의 폭은 상기 하측 방음판 및 상측 방음판의 폭 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중간 지지판 각각의 사이 공간을 통해 상기 하측 방음판과 상측 방음판 사이에서 복수의 공기층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차단용 판넬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중간 지지판의 상면과 하면에 접하면서 상기 하측 방음판의 상면과 상기 상측 방음판의 하면에 접하여, 상기 중간 지지판으로부터 상기 하측 방음판과 상측 방음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방음 덮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차단용 판넬조립체.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상측 방음판과 하측 방음판의 사이에는 상기 상측 방음판과 하측 방음판의 폭과 같은 폭을 갖는 중간 방음판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차단용 판넬조립체.
- 제3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중간 지지판은 상기 중간 방음판과 상기 하측 방음판의 사이 및 상기 중간 방음판과 상기 상측 방음판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며,상기 복수의 방음 덮판은, 상기 중간 지지판과, 상기 상측 방음판, 중간 방음판 및 하측 방음판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차단용 판넬조립체.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중간 방음판과 상기 상측 방음판의 사이와, 상기 중간 방음판과 상기 하측 방음판의 사이에, 각각 공기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차단용 판넬조립체.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상측 방음판과 하측 방음판의 사이에, 상기 방음 덮판으로 구획되는 3 층의 공기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차단용 판넬조립체.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소음차단용 판넬조립체의 양 측단에는,상기 집합건물의 측벽으로부터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하는 벽측 방음판;상기 벽측 방음판을 통하여 전달되는 소음이 실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내측 방음판; 및,상기 벽측 방음판과 내측 방음판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벽측 방음판과 내측 방음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중간 지지판;을 포함하며,상기 중간 지지판의 폭은 상기 벽측 방음판 및 내측 방음판의 폭 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중간 지지판 각각의 사이 공간을 통해 상기 벽측 방음판과 내측 방음판 사이에서 복수의 공기층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부 판넬조립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차단용 판넬조립체.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측벽부 판넬조립체의 외부 둘레 일부에는 몰탈 차단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차단용 판넬조립체.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상기 중간 지지판의 상면과 하면에 접하면서 상기 내측 방음판의 상면과 상기 벽측 방음판의 하면과 접하여 상기 중간 지지판으로부터 상기 내측 방음판과 벽측 방음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방음 덮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차단용 판넬조립체.
- 제9항에 있어서,상기 내측 방음판과 벽측 방음판의 사이에는 상기 중간 지지판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는 중간 방음판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차단용 판넬조립체.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중간 지지판은 상기 중간 방음판과 상기 내측 방음판의 사이 및 상기 중간 방음판과 상기 벽측 방음판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며,상기 복수의 방음 덮판은, 상기 중간 지지판과, 상기 내측 방음판, 중간 방 음판 및 벽측 방음판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차단용 판넬조립체.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중간 방음판과 상기 벽측 방음판의 사이와, 상기 중간 방음판과 상기 내측 방음판의 사이에, 각각 공기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차단용 판넬조립체..
- 집합건물의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판넬조립체에 있어서,상기 집합건물 내의 하층으로부터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하는 하측 방음판;, 상기 집합건물 내의 상층으로부터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하는 상측 방음판; 및, 상기 하측 방음판과 상측 방음판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하측 방음판과 상측 방음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중간 지지판;을 포함하는 바닥부 판넬조립체와,상기 집합건물의 측벽으로부터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하는 벽측 방음판;, 상기 벽측 방음판을 통하여 전달되는 소음이 실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내측 방음판; 및, 상기 벽측 방음판과 내측 방음판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벽측 방음판과 내측 방음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중간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 판넬조립체의 양 측단에 설치되는 측벽부 판넬조립체를 포함하며,상기 중간 지지판의 폭은 상기 벽측 방음판 및 내측 방음판과 상기 상측 방음판 및 하측 방음판의 폭 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중간 지지판 각각의 사이 공간을 통해 상기 벽측 방음판과 내측 방음판 및 상기 상측 방음판과 하측 방음판의 사이에서 복수의 공기층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차단용 판넬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7791U KR200439792Y1 (ko) | 2007-05-11 | 2007-05-11 | 층간소음차단용 판넬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7791U KR200439792Y1 (ko) | 2007-05-11 | 2007-05-11 | 층간소음차단용 판넬조립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9792Y1 true KR200439792Y1 (ko) | 2008-05-06 |
Family
ID=41641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07791U KR200439792Y1 (ko) | 2007-05-11 | 2007-05-11 | 층간소음차단용 판넬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9792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81643A (ko) * | 2014-12-31 | 2016-07-08 | 두산건설 주식회사 | 공동주택의 평면분할 차음구조 및 시공방법 |
KR20240020085A (ko) | 2022-08-05 | 2024-02-14 | 주식회사 다인텍 | 모듈화된 방음판 및 그 설치 방법 |
-
2007
- 2007-05-11 KR KR2020070007791U patent/KR20043979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81643A (ko) * | 2014-12-31 | 2016-07-08 | 두산건설 주식회사 | 공동주택의 평면분할 차음구조 및 시공방법 |
KR101656794B1 (ko) * | 2014-12-31 | 2016-09-22 | 두산건설 주식회사 | 공동주택의 평면분할 차음구조 및 시공방법 |
KR20240020085A (ko) | 2022-08-05 | 2024-02-14 | 주식회사 다인텍 | 모듈화된 방음판 및 그 설치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63097B1 (ko) |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 |
KR101145878B1 (ko) | 공기층으로 소음을 유도하는 층간소음 방지장치 | |
KR101698572B1 (ko) | 층간소음방지용 매트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시공방법 | |
US9567742B2 (en) | Acoustic damping building material | |
KR101324261B1 (ko) | 공동주택의 층간바닥구조 | |
KR100718701B1 (ko) | 건축물의 층간 소음저감재 | |
KR100762925B1 (ko) |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재 | |
KR101492508B1 (ko) | 건축물의 층간 소음 차단 구조 | |
KR200439792Y1 (ko) | 층간소음차단용 판넬조립체 | |
KR200433766Y1 (ko) |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 |
KR20100001719U (ko) | 층간소음차단용 소음 방지 조립체 | |
KR100718698B1 (ko) |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 |
KR101479167B1 (ko) | 건축물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 |
KR20090087772A (ko) |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 |
KR200421085Y1 (ko) |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재 | |
KR200423540Y1 (ko) |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 |
KR100718700B1 (ko) |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 |
KR100546445B1 (ko) | 건축물의 층간바닥구조 | |
KR20100046842A (ko) |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 |
KR101207288B1 (ko) |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 |
KR20070104824A (ko) |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경량패널 및 이를 이용한차음바닥구조 | |
KR200455544Y1 (ko) | 공동주택용 층간차음재 | |
KR100825889B1 (ko) |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 |
KR20100047106A (ko) |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 |
KR20070110630A (ko) | 공동주택 층간소음 차단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