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041B1 - 식판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식판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041B1
KR102619041B1 KR1020230137692A KR20230137692A KR102619041B1 KR 102619041 B1 KR102619041 B1 KR 102619041B1 KR 1020230137692 A KR1020230137692 A KR 1020230137692A KR 20230137692 A KR20230137692 A KR 20230137692A KR 102619041 B1 KR102619041 B1 KR 102619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anagement device
storage space
unit
installa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7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향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Priority to KR1020230137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0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9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specially adapted to wash large items like pots, trays, baking trays, cooking gr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6Details of the tub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3Arrangements for programme selection, e.g. control panels; Indication of the selected programme, programme progress or other parameters of the programme, e.g. by using display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18Air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19Air humidity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는 본체, 설치플레이트 및 격납가이드를 포함한다. 본체는 내부에 미리 정해진 크기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함체로서, 수납공간은 전방을 향해 개방되는 입구인 수납구와 연결되고, 수납구는 개폐도어를 통하여 열리거나 닫힌다. 설치플레이트는 본체 내부에 결합되어 수납공간을 여러 층으로 구획한다. 격납가이드는 설치플레이트에 결합될 수 있으며, 설치플레이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는 설치플레이트의 상부로 돌출되고 적어도 일부는 설치플레이트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가로결합부재를 통하여 다수 개의 가이드부재가 나란하게 결합된다.

Description

식판 관리 장치{TRAY STORAGE}
본 발명은 식판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몇 개의 오목한 부분을 만들어 음식을 담을 수 있도록 한 식판을 정해진 공간에 보다 많이 저장할 수 있고, 식판의 수납과 인출도 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선반구조물을 보다 쉽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는 식판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릇의 종류는 다양하다. 특히, 식기는 때와 장소, 담기는 음식에 맞추어 그 종류가 달리 사용된다.
'식판(Meal tray)'은 다수의 인원에게 단체로 식사를 제공하기에 편한 식기이다. 그리고, 많은 수의 식판을 한 곳에 쌓아 보관하거나 운반하기도 상대적으로 수월하며, 세척이 쉽다는 장점도 있다.
이런 이유로, 단체 배식이 필요한 군대, 학교, 구내 식당, 뷔페 등의 여러 장소에서 식판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식판은 단체 배식에 장점이 큰 식기이므로, 대체로 많은 수의 식판이 한 번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많은 수의 식판을 보관, 운반, 세척 및 관리하기 위한 여러가지 기술들이 제안되어 왔다.
식판은 위생적으로 관리되어야 하므로, 그 보관에 각별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식판은 넓직한 판 형태인데다, 오목 하거나 볼록한 부분이 복잡하게 섞여 있어, 식판들을 저장하기 위해선 이를 위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했다.
식판들을 서로 겹쳐서 적재하는 방식은 식판들 사이의 수분이나 이물질로 인하여 위생에 취약할 뿐만 아니라, 겹쳐서 적층된 식판은 다시 낱개로 분리하기도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877967호(이하, '관련기술 1'이라 함.)는 '개량된 제습 구조를 갖는 내기 순환형 식판 건조 소독고'를 개시한다.
'관련기술 1'은 내기 순환형 구조를 갖는 식판 건조 소독고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식판이 정렬 보관될 수 있는 본체 및 소독 건조실, 개폐도어, 정렬 프레임바 및 선반을 포함한다.
하지만, 식판이 두껍거나 오목 또는 볼록한 형상의 높이 편차가 큰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는 경우가 존재하였고, 거치된 식판의 하단 테두리에 하중이 집중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반복 사용 시 식판이 변형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제안이 필요하였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877967호(등록일: 2018.07.06.)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다수의 식판을 거치 및 보관하기 위해선 충분히 넓은 공간이 요구되었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식판을 적재하거나 인출하기가 불편하고 번거로웠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적재된 식판이 서로 겹치거나 간섭 되어 넘어지거나 손상될 수 있었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젖거나 오염된 식판을 구분하기 힘들었고, 적재된 식판들이 좁은 공간에서 이웃한 식판과 밀착되기도 하여 위생적이지 못하였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는 본체, 설치플레이트 및 격납가이드를 포함한다. 본체는 내부에 미리 정해진 크기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함체로서, 수납공간은 전방을 향해 개방되는 입구인 수납구와 연결되고, 수납구는 개폐도어를 통하여 열리거나 닫힌다. 설치플레이트는 본체 내부에 결합되어 수납공간을 여러 층으로 구획한다. 격납가이드는 설치플레이트에 결합될 수 있으며, 설치플레이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는 설치플레이트의 상부로 돌출되고 적어도 일부는 설치플레이트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가로결합부재를 통하여 다수 개의 가이드부재가 나란하게 결합된다. 각각의 설치플레이트는 배수공, 다수 개가 적어도 두 개의 열로 배치되는 가이드장공 및 장착공을 포함하는 직사각형의 판상 부재인 선반부, 선반부의 외측둘레를 따라 선반부 저면의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테두리인 외곽프레임, 외곽프레임의 하단을 따라서 적어도 일부분은 편평한 면으로 형성되는 거치단을 포함하며, 각각의 가이드부재는 횡배치유닛, 한 쌍의 종배치유닛, 걸림결합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에서 본체는 수납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직사각형의 바닥구조물, 바닥구조물의 외측둘레 중 일부를 따라 상부로 연장되는 벽체로서, 수납공간의 배면, 양 쪽 측면을 형성하는 벽구조물, 벽구조물의 상부를 덮어 수납공간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구조물을 포함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에서 벽구조물은 설치플레이트가 미리 정해진 높이로 수평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본체 내부의 수납공간을 향하여 돌출되는 다수 개의 거치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에서 본체는 수납공간의 온도, 습도, 압력 및 공기질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싱모듈, 수납공간의 온도, 습도, 압력의 조절, 수납공간에 수납된 대상물의 세척 및 살균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관리모듈,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 또는 센싱모듈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관리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에서 선반부는 선반부에 두 개의 열로 형성되는 가이드장공들 중 각 열의 양 쪽 끝에 위치한 두 개의 가이드장공과 인접한 위치에 장착공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에서 가이드부재는 제1부재를 포함하고, 제1부재는 걸림결합유닛으로서 횡배치유닛을 따라 그은 가상의 직선과 평행한 구간인 제1걸림유닛, 각각의 제1걸림유닛으로부터 횡배치유닛 방향으로 단부가 구부러져 형성되는 장착바, 횡배치유닛을 향하는 각각의 장착바의 단부인 제1단부를 포함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에서 가이드부재는 제2부재를 포함하고, 제2부재는 걸림결합유닛으로서 횡배치유닛을 따라 그은 가상의 직선과 평행한 구간인 제2걸림유닛, 각각의 제2걸림유닛의 단부로서 일측을 향하여 형성되는 제2단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에서 격납가이드는 다수 개의 제2부재가 나란히 배치되고, 제2부재들 양 쪽 끝에 각각 두 개의 제1부재가 배치되며, 제1부재들과 상기 제2부재들은 가로결합부재를 통해 서로 결합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에서 각각의 걸림결합유닛은 적어도 일부분이 미리 정해진 곡률로 휘어짐으로써 상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형 구조물을 형성하는 회전돌출구간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에서 각각의 걸림결합유닛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부로 돌출되도록 휘어진 구간인 만곡돌출구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리 정해진 크기의 공간에 보다 많은 수의 식판을 정결하게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식판의 수납 및 인출을 편하고 쉽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재된 식판들이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되며, 식판들이 서로 부딪치거나 접촉할 확률이 현저히 감소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설치플레이트 및 격납가이드의 장착이나 분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의 개폐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에 식판이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에서 설치플레이트가 올려 놓일 수 있도록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거치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에서 수납공간의 상태 조절에 관여하는 구성들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에서 서로 결합된 상태의 설치플레이트 및 격납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에서 설치플레이트 및 격납가이드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에서 설치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에서 격납가이드의 제1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에서 격납가이드의 제2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에서 설치플레이트에 격납가이드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설치플레이트에 대한 제1부재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에서 설치플레이트에 격납가이드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설치플레이트에 대한 제2부재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에서 제1부재가 설치플레이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에서 제2부재가 설치플레이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에서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형상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에서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형상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에서 제1부재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이나 '부'와 같은 접미사들은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제될 수 있는 관련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이해하기 쉽도록 하는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함을 표시하는 것이지,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 중 어느 하나를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하는 제1방향(X), 제2방향(Y) 및 제3방향(Z)은 입체 형상을 표현할 때 사용되는 3차원 좌표 상의 각 차원 및 각 차원 별로 부여된 방향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1방향(X), 제2방향(Y) 및 제3방향(Z)은 각각 서로 직교하는 차원 상에서 미리 정해진 하나의 방향을 지시한다.
제1방향(X), 제2방향(Y) 및 제3방향(Z)을 따라 그어진 가상의 직선들은 하나의 점, 원점(0)에서 만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차원은 원점(0)을 상대로 하는 방향 및 거리를 통하여 특정 위치를 표현할 수 있다.
제1방향(X) 및 제2방향(Y)은 두 개의 차원으로 표현할 수 있는 제1방향-제2방향(X-Y)평면을 나타낼 수 있다. 제2방향(Y) 및 제3방향(Z)은 두 개의 차원으로 표현할 수 있는 제2방향-제3방향(Y-Z)평면을 나타낼 수 있고, 제1방향(X) 및 제3방향(Z)은 두 개의 차원으로 표현할 수 있는 제1방향-제3방향(X-Z)평면을 나타낼 수 있다.
물론, 제1방향(X), 제2방향(Y) 및 제3방향(Z)은 공간(X-Y-Z)상에서 특정된 위치나 입체 형상을 표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식판 관리 장치(1)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1)의 개폐도어(40)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1)는 직육면체의 함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바닥면, 뒷면, 양 쪽 옆면, 윗면으로 둘러싸인 소정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본체(10)의 전면에는 수납구(30)가 형성된다.
수납구(30)는 본체(10)의 전방을 향해 개방되는 입구로서, 수납공간과 연결된다.
수납구(30)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도어(40)가 결합될 수 있으며, 개폐도어(40)는 수납구(30)를 열거나 닫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본체(10)는 바닥구조물(11), 벽구조물(13), 상부구조물(21)을 포함한다. 바닥구조물(11)은 본체(10)의 기반이 되는 바닥면에 해당한다.
바닥구조물(11)의 저면에는 본체(10)의 하중을 지지하는 받침구조물(50)이 설치될 수 있다. 받침구조물(50)은 짧은 기둥 형상의 지지레그(52) 및/또는 회전 단속이 가능한 바퀴 형태의 이송휠(5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벽구조물(13)은 바닥구조물(11)의 상부로 연장되는 벽체로서, 바닥구조물(11) 상부에 형성되는 수납공간의 뒷면을 형성하는 제1벽체(15), 좌측면을 형성하는 제2벽체(17), 우측면을 형성하는 제3벽체(19)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벽체(15), 제2벽체(17) 및 제3벽체(19) 상부에는 상부구조물(21)이 구비되며, 상부구조물(21)은 본체(10) 내부 공간(수납공간)을 위에서 덮는다.
따라서, 본체(10)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6개의 면 중 5개의 면(뒷면, 왼쪽면, 오른쪽면, 윗면, 아랫면)이 막힌 구조이며, 전면에는 전방을 향하여 개방된 수납구(30)가 형성된다.
수납구(30)는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고, 수납구(30)를 도어프레임(32)으로 구획함으로써 개방된 입구가 여럿이 될 수도 있다.
도어프레임(32) 또는 수납구(30)와 인접한 위치에 잠금돌기(34)가 구비되고, 개폐도어(40)는 수납구(30)를 열거나 닫을 수 있는 크기로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개폐도어(40)는 주손잡이(42) 및 잠금모듈(44)을 포함한다. 주손잡이(42)는 개폐도어(40)를 열거나 닫기 위하여 사용자가 파지하기 쉬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잠금모듈(44)은 미리 정해진 조건에서 개폐도어(40)가 열리도록 잠금돌기(34)와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체(10)는 입력부(23) 및 표시부(25)를 포함한다.
입력부(23) 및 표시부(25)는 각각 본체(10)의 외측면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입력부(23) 및 표시부(2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구조물(21)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입력부(23) 및 표시부(25)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입력부(23)는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정보를 입력하는 수단이다. 표시부(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1)의 작동상태와 같은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장치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1)는 본체(10) 내부에 형성되는 수납공간에 다수 개의 설치플레이트(100)가 결합될 수 있다.
설치플레이트(100)는 판상의 부재로서, 벽구조물(13) 내면에 구비된 거치부재(S)에 올려 놓일 수 있다.
거치부재(S)는 벽구조물(13)의 내측면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벽구조물(13)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받침결합부와 받침결합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받침유닛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거치부재(S)는 각각의 설치플레이트(100)가 견고하게 안착 되도록 다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설치플레이트(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공간을 여러 개의 층으로 나누는 선반(shelf)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설치플레이트(100)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설치되는 층 수, 서로의 간격 등이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설치플레이트(100)에는 격납가이드(200)가 결합된다.
격납가이드(200)는 설치플레이트(100)의 상부 및 하부로 그 적어도 일부가 돌출된다.
격납가이드(200)는 설치플레이트(100)의 상부와 하부 공간을 일정한 폭으로 제한하는 소정의 칸(partition)을 형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1)에 식판(T)이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1)에서 설치플레이트(100)가 올려 놓일 수 있도록 본체(10) 내부에 구비되는 거치부재(S)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플레이트(100)들은 각각 본체(10)의 내부 공간, 수납공간에 가로방향(X-Z 평면)으로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설치플레이트(100)는 다수 개의 거치부재(S)에 올려 놓이며, 거치부재(S)들은 벽구조물(13)의 내측면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각각의 설치플레이트(100)에는 격납가이드(200)가 결합된다.
격납가이드(200)는 설치플레이트(100)의 하부 공간과 상부 공간에 일련의 칸들을 형성한다.
식판(T)들은 수납구(30)를 통과해 수납공간 내부로 진입하고, 설치플레이트(100)들 사이에서 식판(T)들은 각각 격납가이드(200)가 형성하는 칸에 적재된다.
격납가이드(200)는 수납구(30)와 제1벽체(15)를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Z축 방향)을 따라서 미리 정해진 길이로 곧게 형성되는 칸막이들을 다수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식판(T)은 격납가이드(200)로 구획된 칸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수납공간에 적재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1)에서 수납공간의 상태 조절에 관여하는 구성들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1)는 관리모듈(60), 센싱모듈(70) 및 제어모듈(80)을 더 포함한다.
관리모듈(60)은 수납공간의 상태를 조절한다. 센싱모듈(70)은 수납공간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정보를 수집한다. 제어모듈(80)은 센싱모듈(70)을 통해 수집된 정보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 등을 기초로 관리모듈(60)을 비롯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1)의 작동을 제어한다.
관리모듈(60), 센싱모듈(70) 및 제어모듈(80)은 각각 본체(10)에 내장되거나, 본체(10)의 내부 또는 외부 공간에 결합될 수 있다.
관리모듈(60)은 온도조절기(62), 습도조절기(64), 살균기(66), 환풍기(68)를 포함한다. 그리고, 관리모듈(60)은 배수기(미도시), 급수기(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조절기(62)는 수납공간의 온도를 조절한다. 습도조절기(64)는 수납공간의 습도를 조절한다. 살균기(66)는 수납공간 내부를 살균 및 소독하며, 구체적으로 수납공간에 살균액을 분사하거나 특정 파장의 빛이 조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환풍기(68)는 수납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기와 순환되도록 한다. 환풍기(68)는 수납공간의 공기를 본체(10) 외부로 배출하거나, 본체(10) 외부의 공기를 수납공간에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환풍기(68)는 수납공간 중 미리 정해진 구역에서 공기의 흐름이 주변보다 세지거나 약해지도록 작동할 수도 있다.
본체(10)에는 수납공간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인 배수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배수기(미도시)는 배수로(미도시)를 개폐하거나 배수로(미도시)를 통하여 배출되는 액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급수기(미도시)는 본체(10) 외부의 수전과 연결될 수 있다. 급수기(미도시)는 수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수납공간에 유입시킬 수 있으며, 유입량도 조절할 수 있다.
센싱모듈(70)은 수납공간의 온도, 습도, 압력, 공기질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한다.
센싱모듈(70)은 온도계, 습도계, 압력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센싱모듈(70)은 수납공간 내부의 먼지 농도를 계측하거나 특정 기체의 농도를 감지함으로써 공기질을 계측할 수 있다.
제어모듈(80)은 입력부(23)를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및/또는 센싱모듈(70)을 통하여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관리모듈(60)의 작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1)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1)에서 서로 결합된 상태의 설치플레이트(100) 및 격납가이드(2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1)에서 설치플레이트(100) 및 격납가이드(200)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1)에서 설치플레이트(100)의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설치플레이트(100) 및 격납가이드(200)는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격납가이드(200)는 설치플레이트(100)의 저면에 결합된다.
설치플레이트(100)는 선반부(110), 외곽프레임(120) 및 거치단(122)을 포함한다.
선반부(110)는 상면이 편평하게 형성된 판상의 부재로서, 미리 정해진 넓이로 넓직하게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다.
외곽프레임(120)은 선반부(110)의 외측둘레를 따라 선반부(110)의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테두리이다. 외곽프레임(120)은 선반부(110) 저면의 법선 방향으로 연장된다. 외곽프레임(120)은 선반부(110)의 편평한 상면과 수직인 벽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곽프레임(120)은 선반부(110)를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한다.
외곽프레임(120)의 하단에는 선반부(110)이 상면과 평행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거치단(122)이 구비될 수 있다. 거치단(122)은 외곽프레임(120)의 하단 중 일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거치단(122)이 형성하는 편평한 면은 아래쪽(-Y축 방향)을 바라본다. 거치단(122)은 거치부재(S)의 상면과 접하며, 설치플레이트(100)가 본체(10) 내부에서 거치부재(S)들을 통하여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선반부(110)의 저면에는 선반부(110)의 구조적인 강성을 높이기 위한 보강프레임(1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보강프레임(130)은 외곽프레임(120)들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선반부(110)에는 가이드장공(112), 장착공(114) 및 배수공(116)이 형성된다.
가이드장공(112)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통공이다.
선반부(110)에는 다수 개의 가이드장공(112)이 적어도 두 개의 열(row)을 이루어 배치된다.
가이드장공(112)들은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적어도 두 개의열을 이루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도 6 내지 도 8에는 11개의 가이드장공(112)이 하나의 열을 이루며, 서로 평행하게 나란히 배치된 것을 도시한다. 가이드장공(112)들이 형성하는 열은 선반부(110)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두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장공(112)들은 선반부(110)에서 서로 평행한 두 개의 열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장공(112)들이 형성하는 두 개의 열에서 각각 최외곽에 위치한 두 개의 가이드장공(112)에는 각각 인접한 위치에 장착공(114)이 더 형성된다.
장착공(114)은 가이드장공(112)의 길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로서 선반부(110)가 상하로 뚫린 통공으로 형성된다.
설치플레이트(100)는, 본체(10)의 수납공간에 결합 시 수납구(30)와 제1벽체(15)를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Z축 방향)과 가이드장공(112)의 길이 방향이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선반부(110)에 형성되는 가이드장공(112) 및 장착공(114)은 설치플레이트(100)가 본체(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인접한 가이드장공(112)보다 장착공(114)이 본체(1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배수공(116)은 선반부(110)에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선반부(110)에 미리 정해진 크기로 뚫어진 통공으로서 설치플레이트(100)의 상부 및 하부 사이에 물이나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1)에서 격납가이드(200)의 제1부재(21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1)에서 격납가이드(200)의 제2부재(22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납가이드(200)는 가이드부재(210, 220) 및 가로결합부재(2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격납가이드(200)는 다수 개의 가이드부재(210, 220)와 가로결합부재(230)가 서로 결합된 구조물로 형성된다. 가이드부재(210, 220) 및 가로결합부재(230)는 선형의 부재이며, 탄성 변형되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부재(210, 220)는 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가로방향(Z축 방향)으로 곧게 형성된 횡배치유닛(202), 횡배치유닛(202)의 양단으로부터 세로 방향(Y축 방향)의 위 쪽으로 곧게 연장되는 한 쌍의 종배치유닛(204), 각각의 종배치유닛(204) 상단부 중 일부분으로서 횡배치유닛(202)과 평행하도록 굽어진 걸림결합유닛(212, 222)을 포함한다.
가로결합부재(230)는 다수 개의 가이드부재(210, 220)를 연결하여 격납가이드(200)를 형성한다.
가로결합부재(230)는 가이드부재(210, 220)들의 횡배치유닛(202)들이 서로 동일한 높이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각각의 가이드부재(210, 220)들의 종배치유닛(204) 일측에 융착될 수 있다.
각각의 종배치유닛(204) 일 측에는 교차결합부(206)가 표시될 수 있으며, 동일한 높이로 정렬된 교차결합부(206)들에 가로결합부재(230)가 융착될 수 있다.
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다수 개의 가이드부재(210, 220)가 한 쌍의 가로결합부재(230)를 통하여 서로 정렬 및 결합됨으로써 격납가이드(200)를 형성하게 된다.
가이드부재(210, 220)는 제1부재(210)와 제2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부재(210)의 걸림결합유닛(212, 222)을 제1걸림유닛(212)이라 하면 제1걸림유닛(212)의 끝단부는 그 일부 구간이 횡배치유닛(202)을 향하여 구부러진 구간인 장착바(214)를 더 포함한다.
장착바(214)의 하단은 횡배치유닛(202)이 위치한 방향(-Y축 방향)을 바라보는 제1단부(216)로 이루어진다.
제2부재(220)의 걸림결합유닛(212, 222)을 제2걸림유닛(222)이라 하면, 제2걸림유닛(222)의 끝단인 제2단부(224)는 도 9 및 도 10을 통하여 오른 쪽(-Z축 방향)을 바라보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격납가이드(200)는 다수 개의 제2부재(220)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가로결합부재(230)에 융착되고, 제2부재(220)들의 최외곽에는 제1부재(210)가 각각 두 개씩 가로결합부재(230)와 융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1)에서 설치플레이트(100)에 격납가이드(20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설치플레이트(100)에 대한 제1부재(210)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1)에서 설치플레이트(100)에 격납가이드(20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설치플레이트(100)에 대한 제2부재(220)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1)에서 각각의 격납가이드(200)는 설치플레이트(100)의 하부에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부재(210) 및 제2부재(220)의 상단에 해당하는 각각의 제1걸림유닛(212), 제2걸림유닛(222)들은 각각 설치플레이트(100)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장공(112)들에 아래로부터 위로 삽입된다.
제1걸림유닛(212) 및 제2걸림유닛(222)들은 각각의 대응되는 가이드장공(112)을 아래에서 위로 통과하여 선반부(110)의 상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격납가이드(200)를 오른쪽(-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1부재(210) 및 제2부재(220)들은 각각의 종배치유닛(204)이 가이드장공(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된다.
격납가이드(200)를 형성하는 제1부재(210) 및 제2부재(220)들이 가이드장공(112)가 형성하는 직선경로를 따라 이동한 후, 설치플레이트(100)를 상대로 격납가이드(200)를 아래쪽(-Y축 방향)으로 하강 시키면 제1부재(210)의 제1단부(216)들이 각각 대응되는 위치의 장착공(114)에 삽입되며, 제1부재(210)의 장착바(214)들은 각각의 대응되는 장착공(114)에 끼워진다.
즉, 각각의 장착바(214)들은 대응되는 장착공(114)에 끼워져 고정 및 결합될 수 있으며, 이는 도 11에 도시된 바를 참고할 수 있다.
격납가이드(200)가 설치플레이트(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2부재(220)는 그 제2걸림유닛(222)이 선반부(110)의 편평한 면과 접하게 되므로, 제2걸림유닛(222)은 아래쪽(-Y축 방향)을 향한 힘이 제2부재(220)에 작용할 경우 이에 저항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1)에서 격납가이드(200)들은 각각의 설치플레이트(100)에 장착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1)에서 제1부재(210)가 설치플레이트(100)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1)에서 제2부재(220)가 설치플레이트(100)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부재(210)의 제1걸림유닛(212)은 선반부(110)의 상면과 접촉하여 아래쪽(-Y축 방향)을 향한 힘을 지탱하고, 각각의 장착바(214)들이 대응되는 장착공(114)에 체결됨으로써 설치플레이트(100)에 격납가이드(200)가 장착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1부재(210)들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제2부재(220)들은 그 상단에 형성되는 제2걸림유닛(222)들이 역시 선반부(110)의 상면과 접촉함으로써 아래쪽(-Y축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지탱할 수 있게 된다.
제1부재(210) 및 제2부재(220)들 각각의 횡배치유닛(202)들은, 설치플레이트(100)의 하부에서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본체(10) 내부의 수납공간상에서 설치플레이트(100)들 사이의 공간을 평행한 다수 개의 칸으로 구획한다.
그리고, 제1부재(210) 및 제2부재(220)들은 각각 선반부(110)의 상부로 돌출 되는 구간을 가지며, 제1부재(210) 및 제2부재(220)들 각각의 선반부(110) 상부로 돌출된 구간은 횡배치유닛(202)들과 함께 소정의 칸을 이루게 된다.
설치플레이트(100)들 사이에 수납되는 식판들은 각각 상부가 격납가이드(200)의 횡배치유닛(202)들 사이로 슬라이딩하여 진입하게 되고, 식판들의 하단부는 제1부재(210) 및 제2부재(220)의 일부로서 설치플레이트(100) 상부로 돌출된 구조물에 의하여 이동 경로가 안내되거나 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1a)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1a)에서 제1부재(210a) 및 제2부재(220a)의 형상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납가이드(200a)를 형성하는 가이드부재(210, 220a)의 걸림결합유닛(212, 222a)들에는 각각 회전돌출구간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제1부재(210a) 및 제2부재(220a)는 각각 그 제1걸림유닛(212a) 및 제2걸림유닛(222a)에 제1회전구간(218a) 및 제2회전구간(228a)이 포함될 수 있다.
제1회전구간(218a) 및 제2회전구간(228a)은 각각 선형의 부재인 제1걸림유닛(212a) 및 제2걸림유닛(222a) 구간 중 적어도 일부분이 미리 정해진 곡률에 따라 휘어져 상부로 돌출되는 원형의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제1회전구간(218a) 및 제2회전구간(228a)은 선반부(110a)의 상부로 돌출되는 높이를 보다 높게 형성함으로써 수납되는 식판의 하단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식판의 하단부와 접촉하는 구간을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회전돌출구간은 선형의 부재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구간으로서 각각의 제1부재(210a)의 경우 횡배치유닛(202a)에 대한 장착바(214a)의 탄성 변형 변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1b)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1b)에서 제1부재(210b) 및 제2부재(220b)의 형상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납가이드(200b)를 형성하는 가이드부재(210, 220b)의 걸림결합유닛(212, 222b)들에는 각각 만곡돌출구간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제1부재(210b) 및 제2부재(220b)는 각각 그 제1걸림유닛(212b) 및 제2걸림유닛(222b)에 제1만곡구간(219b) 및 제2만곡구간(229b)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만곡구간(219b) 및 제2만곡구간(229b)은 각각 선형의 부재인 제1걸림유닛(212b) 및 제2걸림유닛(222b) 구간 중 적어도 일부분이 상부로 돌출되도록 휘어짐으로써 형성된다.
제1만곡구간(219b) 및 제2만곡구간(229b)은 각각 제1부재(210b) 및 제2부재(220b)에서 선반부(110b)의 상부로 돌출되는 부분을 보다 높게 형성할 수 있다.
이 또한, 수납되는 식판의 하단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식판의 하단부와 접촉한는 구간의 면적을 보다 넓힐 수 있게 한다.
만곡돌출구간은 선형의 부재 중 일부가 휘어진 구간이므로, 격납가이드(200b)에 아래쪽(-Y축 방향b)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선반부(110b)와 접촉하는 만곡돌출구간이 일부 탄성 변형할 수 있게 되어, 파손이나 변형될 확률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1c)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1c)에서 제1부재(210c)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1c)에서 제1부재(210c)에 형성되는 장착바(214c)는 그 중단부의 직경(d1c)이 제1단부(216c)의 직경(d2c)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종배치유닛(204c)이 상하 수직한 방향(Y축 방향c)을 따라 곧게 형성되고, 장착바(214c)는 제1단부(216c)에 인접할수록 종배치유닛(204c)과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1c)에서 격납가이드(200c)가 식판가이드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식판을 수납 또는 인출하는 과정에서 격납가이드(200c)의 제1부재(210c) 또는 제2부재(220c)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파손이나 변형에 대한 가능성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1)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판 관리 장치(1)는 본체(10) 내부에 형성되는 소정의 수납공간을 포함한다.
수납공간에는 여러 층으로 결합플레이트들이 결합된다. 각각의 결합플레이트에는 격납가이드(200)가 결합되고, 격납가이드(200)는 결합된 결합플레이트의 하부 및 상부로 그 일부가 돌출된다.
또한, 결합플레이트의 상하로 돌출된 격납가이드(200)의 일부는 결합플레이트들 사이의 공간을 여러 개의 칸으로 구획하고, 구획된 각각의 칸에는 식판이 가로로 세워져 수납 될 수 있다.
식판의 수납 또는 인출은 수납구(30)를 통하여 본체(10)의 내부 수납공간으로 식판을 밀어 넣거나 당기는 동작만으로 쉽고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미리 정해진 부피의 공간상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식판을 규칙적으로 정돈해 보관할 수 있으며, 수납된 식판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는 장점도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면과 함께 설명되었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도면의 내용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개시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변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로 보아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설명된 실시예를 통해서만 정하여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으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구성에 따른 작용이나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작용이나 효과들도 당연히 본 발명으로 인정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1: 식판 관리 장치
10: 본체 11: 바닥구조물
13: 벽구조물 15: 제1벽체
17: 제2벽체 19: 제3벽체
21: 상부구조물 23: 입력부
25: 표시부 30: 수납구
32: 도어프레임 34: 잠금돌기
40: 개폐도어 42: 주손잡이
44: 잠금모듈 50: 받침구조물
52: 지지레그 54: 이송휠
60: 관리모듈 62: 온도조절기
64: 습도조절기 66: 살균기
68: 환풍기 70: 센싱모듈
80: 제어모듈
100: 설치플레이트 110: 선반부
112: 가이드장공 114: 장착공
116: 배수공 120: 외곽프레임
122: 거치단 130: 보강프레임
200: 격납가이드 202: 횡배치유닛
204: 종배치유닛
210: 제1부재(가이드부재) 212: 제1걸림유닛(걸림결합유닛)
214: 장착바 216: 제1단부
218: 제1회전구간(회전돌출구간)
219: 제1만곡구간(만곡돌출구간)
220: 제2부재(가이드부재) 222: 제2걸림유닛(걸림결합유닛)
224: 제2단부 228: 제2회전구간
229: 제2만곡구간 230: 가로결합부재
S: 거치부재

Claims (10)

  1. 내부에 미리 정해진 크기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함체로서, 상기 수납공간은 전방을 향해 개방되는 입구인 수납구와 연결되고, 상기 수납구는 개폐도어를 통하여 열리거나 닫히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여러 층으로 구획하는 다수 개의 설치플레이트; 및
    상기 설치플레이트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설치플레이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는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상부로 돌출되고 적어도 일부는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가로결합부재를 통하여 다수 개의 가이드부재가 나란하게 결합되는 격납가이드;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설치플레이트는,
    미리 정해진 크기로 뚫어진 배수공, 일 방향을 향하여 미리 정해진 길이로 길게 뚫어지며 다수 개가 적어도 두 개의 열로 배치되는 가이드장공 및 상기 가이드장공과 인접한 위치에 원형으로 뚫어지는 장착공을 포함하는 직사각형의 판상 부재인 선반부;
    상기 선반부의 외측둘레를 따라 상기 선반부 저면의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테두리인 외곽프레임; 및
    상기 외곽프레임의 하단을 따라서 적어도 일부분은 편평한 면으로 형성되는 거치단;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가이드부재는,
    선형 부재인 횡배치유닛;
    각각 상기 횡배치유닛의 양 쪽 끝으로부터 같은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한 쌍의 종배치유닛; 및
    상기 가이드장공의 길이보다 짧아 상기 가이드장공을 통과할 수 있으며, 각각의 상기 횡배치유닛 상단부 중 일부가 일 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걸림결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부는, 상기 선반부에 두 개의 열로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장공들 중 각 열의 양 쪽 끝에 위치한 두 개의 상기 가이드장공과 인접한 위치에 상기 장착공이 각각 형성되는,
    식판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직사각형의 바닥구조물;
    상기 바닥구조물의 외측둘레 중 일부를 따라 상부로 연장되는 벽체로서, 상기 수납공간의 배면, 양 쪽 측면을 형성하는 벽구조물; 및
    상기 벽구조물의 상부를 덮어 상기 수납공간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구조물;을 포함하는,
    식판 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벽구조물은,
    상기 설치플레이트가 미리 정해진 높이로 수평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내부의 상기 수납공간을 향하여 돌출되는 다수 개의 거치부재;를 포함하는,
    식판 관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수납공간의 온도, 습도, 압력 및 공기질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싱모듈;
    상기 수납공간의 온도, 습도, 압력의 조절,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대상물의 세척 및 살균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관리모듈; 및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 또는 상기 센싱모듈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관리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식판 관리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제1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재는,
    상기 걸림결합유닛으로서, 상기 횡배치유닛을 따라 그은 가상의 직선과 평행한 구간인 제1걸림유닛;
    각각의 상기 제1걸림유닛으로부터 상기 횡배치유닛 방향으로 단부가 구부러져 형성되는 장착바: 및
    상기 횡배치유닛을 향하는 각각의 상기 장착바의 단부인 제1단부;를 포함하는,
    식판 관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제2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부재는,
    상기 걸림결합유닛으로서, 상기 횡배치유닛을 따라 그은 가상의 직선과 평행한 구간인 제2걸림유닛; 및
    각각의 상기 제2걸림유닛의 단부로서 일측을 향하여 형성되는 제2단부;를 포함하는,
    식판 관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격납가이드는,
    다수 개의 상기 제2부재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제2부재들 양 쪽 끝에 각각 두 개의 상기 제1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제1부재들과 상기 제2부재들은 가로결합부재를 통해 서로 결합되는,
    식판 관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걸림결합유닛은,
    적어도 일부분이 미리 정해진 곡률로 휘어짐으로써 상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형 구조물을 형성하는 회전돌출구간;을 포함하는,
    식판 관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걸림결합유닛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부로 돌출되도록 휘어진 구간인 만곡돌출구간;을 포함하는,
    식판 관리 장치.
KR1020230137692A 2023-10-16 2023-10-16 식판 관리 장치 KR102619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7692A KR102619041B1 (ko) 2023-10-16 2023-10-16 식판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7692A KR102619041B1 (ko) 2023-10-16 2023-10-16 식판 관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041B1 true KR102619041B1 (ko) 2023-12-28

Family

ID=89384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7692A KR102619041B1 (ko) 2023-10-16 2023-10-16 식판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0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55568U (ko) * 1975-06-06 1976-12-11
KR200434403Y1 (ko) * 2006-09-27 2006-12-20 (주)대신전기산업 전기 식기 소독고
KR20110029251A (ko) * 2009-09-15 2011-03-23 김종석 식기 건조 및 살균기
KR101877967B1 (ko) 2017-02-27 2018-07-12 주식회사 휴먼자숨 개량된 제습구조를 갖는 내기 순환형 식판 건조 소독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55568U (ko) * 1975-06-06 1976-12-11
KR200434403Y1 (ko) * 2006-09-27 2006-12-20 (주)대신전기산업 전기 식기 소독고
KR20110029251A (ko) * 2009-09-15 2011-03-23 김종석 식기 건조 및 살균기
KR101877967B1 (ko) 2017-02-27 2018-07-12 주식회사 휴먼자숨 개량된 제습구조를 갖는 내기 순환형 식판 건조 소독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4657B1 (en) Rethermalization / refrigeration food delivery system
US5098676A (en) Sterilization and storage container tray
US7320294B2 (en) Cage and rack system for housing animals in cages having different widths
US4436352A (en) Kitchen furnishings
ES2277573B1 (es) Dispositivo para la carga de tarjetas de reactivos para analizadores clinicos.
ES2418839T3 (es) Sistema de estanterias y procedimiento para el almacenamiento automatizado de mercancía en fardos pequeños
JP4417860B2 (ja) 細胞培養設備
AU782224B2 (en) Rethermalization / refrigeration food delivery system
KR102619041B1 (ko) 식판 관리 장치
JP3181083U (ja) 試料を自動的に取り扱うための装置
CN100595504C (zh) 蛋架
JP7281432B2 (ja) パスボックス
US20180084754A1 (en) Habitat container system
JP2014008350A (ja) 物品支持器具
US5651469A (en) Garment rack assembly
KR200436565Y1 (ko) 수납용 가구
JP4023589B2 (ja) 自動倉庫設備
JP2000346534A (ja) ドレン水蒸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冷却装置
JP6914231B2 (ja) 出入り可能な省スペース型クローゼット
CN219150179U (zh) 生物安全柜用收纳架
JP7258547B2 (ja) 収納什器
JP2005059997A (ja) 図書入出庫方法及び自動書庫
KR200422145Y1 (ko) 조립식 측판이 구비된 운반용 카트
JP7271414B2 (ja) 開閉装置用収納構造
IT201700022326A1 (it) Vetrina gelato e cassetto gela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