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8137B1 - 스마트 그룹 풀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그룹 풀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137B1
KR102618137B1 KR1020210176188A KR20210176188A KR102618137B1 KR 102618137 B1 KR102618137 B1 KR 102618137B1 KR 1020210176188 A KR1020210176188 A KR 1020210176188A KR 20210176188 A KR20210176188 A KR 20210176188A KR 102618137 B1 KR102618137 B1 KR 102618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air
pulling
cables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7713A (ko
Inventor
김현동
Original Assignee
(주)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에스 filed Critical (주)엔에스
Priority to KR1020210176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137B1/ko
Publication of KR20230087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7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1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means at cable ends, e.g. pulling eyes or 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4Pulleys, rollers, or rotary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6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formed to maintain a plurality of filaments in spaced re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스마트 그룹 풀링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 그룹 풀링 시스템은 복수 개의 케이블(cable)을 밀어 가압하는 방식으로 풀링(cable pulling) 작업을 진행하는 케이블 풀링장치; 상기 케이블 풀링장치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케이블이 로딩되는 케이블 로딩장치; 및 상기 케이블 로딩장치에 각도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 로딩장치에 로딩된 복수 개의 케이블을 가이드해서 상기 케이블 풀링장치로 전달하는 케이블 가이드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그룹 풀링 시스템{SMART GROUP PULLING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그룹 풀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종전과 달리 케이블(cable) 여러 가닥을 동시에 풀링(pulling)하면서 자동 포설할 수 있어서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하는 한편 근골격계 예방에 이바지할 수 있는, 스마트 그룹 풀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풀링(cable pulling) 작업에 있어 어려운 이유 중 하나는 전로(트레이)와 케이블(전선) 간의 마찰에 의한 저항으로 케이블 풀링에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선박 건조 시 전원 공급 및 장치 간 연결을 위해 각종 케이블 또는 튜브 및 케이블 등의 지지 대상물이 풀링된다.
이러한 케이블은 다단의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내에 설치되어 선박에 고정되며, 그 종류 및 사이즈가 다양하며 선종에 따라 많게는 백만 미터가 풀링된다.
케이블 풀링 작업은 작업 인원도 많이 투입될 뿐만 아니라 좁은 작업공간과 높고 깊은 전로로 인해 작업조건이 매우 열악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며, 무엇보다도 케이블 풀링시 인력이 많이 들기 때문에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선행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3291호(2011.03.10. 등록)} 및 선행문헌 2{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05946호(2013.01.16. 공개)} 등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문헌 1에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이 설치되는 받침대, 상기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받침대에 고정되는 롤러, 상기 롤러의 회전으로 이동되는 케이블을 가압하는 가압체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체에는 링크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링크의 타단은 상기 받침대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가압체 일단에는 탄성을 갖는 스프링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받침대의 일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견인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선행문헌 2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200)을 견인하기 위해 트레이(A) 상에 탑재되고,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동력 전달부, 상기 동력 전달부에 체인, 벨트, 기어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연결수단을 통하여 회전력이 전달되면서 프레임의 타측에 지지되는 이동벨트 및 상기 이동벨트의 상부에 위치토록 하면서 이동벨트에 가압력이 작용토록 프레임에 연결되는 가압부재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케이블 견인장치(T)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효율이 높지 않기 때문에, 대안으로서 도 1과 같은 풀링장치(풀링기) 또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은 풀링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대부분이 한 가닥씩 포설하는 방식이라서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근골격계 질환이 유발될 수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형태의 풀링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3291호(2011.03.10 등록) 선행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05946호(2013.01.16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종전과 달리 케이블(cable) 여러 가닥을 동시에 풀링(pulling)하면서 자동 포설할 수 있어서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하는 한편 근골격계 예방에 이바지할 수 있는, 스마트 그룹 풀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복수 개의 케이블(cable)을 밀어 가압하는 방식으로 풀링(cable pulling) 작업을 진행하는 케이블 풀링장치; 상기 케이블 풀링장치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케이블이 로딩되는 케이블 로딩장치; 및 상기 케이블 로딩장치에 각도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 로딩장치에 로딩된 복수 개의 케이블을 가이드해서 상기 케이블 풀링장치로 전달하는 케이블 가이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룹 풀링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케이블 풀링장치는, 장치 본체부; 상기 장치 본체부의 하부에 구름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편 위치 고정이 가능한 복수 개의 스토퍼 휠; 및 상기 케이블에 하나씩 대응되어 해당 케이블을 밀어 가압하는 전동 파워볼이 내장되는 케이블 가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로딩장치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각각 고정되게 마련되는 한 쌍의 덕트형 구조물; 상기 한 쌍의 덕트형 구조물을 연결해서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연결 지지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각각 기립하게 용접되는 한 쌍의 컬럼; 상기 컬럼들에 연결되고 상기 컬럼들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서포터; 상기 컬럼들 각각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고리부; 상기 한 쌍의 컬럼을 연결해서 지지하는 복수 개의 컬럼 지지봉; 상기 한 쌍의 컬럼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샤프트와, 상기 회전 샤프트에 등간격으로 돌출되고 상기 케이블을 개별적으로 가이드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 날개를 구비하는 케이블 드럼; 및 상기 케이블 드럼의 양측 단부 영역에서 상기 컬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연장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가이드장치는,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컬럼의 상부 영역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가이드 바;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컬럼의 하부 영역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바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바를 지지하는 한 쌍의 서포팅 바;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바의 단부에 결합하며, 상기 케이블 로딩장치에서 풀리는 케이블을 개별적으로 가이드하는 개별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개별 가이드부재는, 상기 케이블들이 개별적으로 통과하는 장소를 이루는 복수 개의 개별 케이블 통과구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케이블 바; 및 상기 복수 개의 케이블 바를 지지하는 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케이블에 대한 풀링 작업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기; 및 상기 신호 발생기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케이블을 밀어 가압하는 방식으로 풀링 작업이 진행되게 상기 케이블 풀링장치의 동작을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하는 시스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전과 달리 케이블(cable) 여러 가닥을 동시에 풀링(pulling)하면서 자동 포설할 수 있어서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하는 한편 근골격계 예방에 이바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풀링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풀링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그룹 풀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실제 적용 이미지이다.
도 5는 케이블 로딩장치와 케이블 가이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개별 가이드부재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7은 케이블 로딩장치의 이미지이다.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그룹 풀링 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그룹 풀링 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때에 따라 같은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그룹 풀링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실제 적용 이미지, 도 5는 케이블 로딩장치와 케이블 가이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개별 가이드부재의 단면 구조도, 도 7은 케이블 로딩장치의 이미지,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그룹 풀링 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그룹 풀링 시스템은 종전과 달리 케이블(cable) 여러 가닥을 동시에 풀링(pulling)하면서 자동 포설할 수 있어서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하는 한편 근골격계 예방에 이바지할 수 있게끔 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그룹 풀링 시스템은 케이블 풀링장치(110), 케이블 로딩장치(130) 및 케이블 가이드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풀링장치(110)는 복수 개의 케이블(cable)을 밀어 가압하는 방식으로 풀링(cable pulling) 작업을 진행하는 역할을 하는 기계장치이다.
기존의 케이블 풀링 방식이 앞으로 잡아당기는 방식이라면 본 시스템은 케이블 풀링장치(110)에 의한 밀어주는 방식으로 각각의 전동 파워볼(미도시)이 연동되어 시스템 컨트롤러(180)로 컨트롤되는 방식을 이룬다. 따라서, 작업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케이블 풀링장치(110)는 장치 본체부(111)와, 장치 본체부(111)의 하부에 구름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편 위치 고정이 가능한 복수 개의 스토퍼 휠(112)과, 케이블에 하나씩 대응되어 해당 케이블을 밀어 가압하는 전동 파워볼(미도시)이 내장되는 케이블 가압기(11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 휠(112)이 적용되기 때문에 상당한 고중량의 케이블 풀링장치(110)에 대한 위치 이동이 자유롭다.
그리고, 케이블 가압기(113)에 전동 파워볼이 탑재되고 이 전동 파워볼이 시스템 컨트롤러(180)로 컨트롤되는 방식을 이루기 때문에, 작업성이 매우 높다.
케이블 로딩장치(130)는 케이블 풀링장치(110)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복수 개의 케이블이 로딩되는 장소를 이루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케이블 로딩장치(130)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31)와, 베이스 플레이트(131) 상에 각각 고정되게 마련되는 한 쌍의 덕트형 구조물(132)과, 한 쌍의 덕트형 구조물(132)을 연결해서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31)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연결 지지대(133)와, 베이스 플레이트(131)에 각각 기립하게 용접되는 한 쌍의 컬럼(134)과, 컬럼(134)들에 연결되고 컬럼(134)들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서포터(135)와, 컬럼(134)들 각각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고리부(136)와, 한 쌍의 컬럼(134)을 연결해서 지지하는 복수 개의 컬럼 지지봉(137)과, 케이블 드럼(138)과, 케이블 드럼(138)의 양측 단부 영역에서 컬럼(13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연장바(139)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케이블 드럼(138)은 한 쌍의 컬럼(134)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샤프트(138a)와, 회전 샤프트(138a)에 등간격으로 돌출되고 케이블을 개별적으로 가이드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 날개(138b)를 구비한다. 복수 개의 가이드 날개(138b)가 케이블을 개별적으로 가이드하는 형태라서 여러 가닥의 케이블에 대한 동시 풀링 작업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케이블 가이드장치(150)는 케이블 로딩장치(130)에 각도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케이블 로딩장치(130)에 로딩된 복수 개의 케이블을 가이드해서 케이블 풀링장치(11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케이블 가이드장치(150)는 별도의 독립된 구조물이나, 사용 시 도 3 내지 도 5처럼 케이블 로딩장치(130)에 연결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케이블 가이드장치(150)는 단부가 한 쌍의 컬럼(134)의 상부 영역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가이드 바(151)와, 단부가 한 쌍의 컬럼(134)의 하부 영역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가이드 바(151)와 연결되어 가이드 바(151)를 지지하는 한 쌍의 서포팅 바(152)와, 한 쌍의 가이드 바(151)의 단부에 결합하며, 케이블 로딩장치(130)에서 풀리는 케이블을 개별적으로 가이드하는 개별 가이드부재(160)를 포함한다.
이때, 개별 가이드부재(160)는 케이블들이 개별적으로 통과하는 장소를 이루는 복수 개의 개별 케이블 통과구(162)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케이블 바(161)와, 복수 개의 케이블 바(161)를 지지하는 바 지지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개별 가이드부재(160)의 구조로 인해 케이블을 개별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어서 여러 가닥의 케이블에 대한 동시 풀링 작업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그룹 풀링 시스템에는 시스템의 컨트롤을 위해 신호 발생기(170)와 시스템 컨트롤러(180)가 더 갖춰진다.
신호 발생기(170)는 복수 개의 케이블에 대한 풀링 작업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이다. 케이블 풀링장치(110)에 버튼의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고, 혹은 별도의 리모컨일 수도 있다.
시스템 컨트롤러(180)는 신호 발생기(17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케이블을 밀어 가압하는 방식으로 풀링 작업이 진행되게 케이블 풀링장치(11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시스템 컨트롤러(180)는 중앙처리장치(181, CPU), 메모리(1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81)는 본 실시예에서 신호 발생기(17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케이블을 밀어 가압하는 방식으로 풀링 작업이 진행되게 케이블 풀링장치(110)의 동작을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81)와 연결된다. 메모리(1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8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8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시스템 컨트롤러(180)는 신호 발생기(17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케이블을 밀어 가압하는 방식으로 풀링 작업이 진행되게 케이블 풀링장치(11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전과 달리 케이블(cable) 여러 가닥을 동시에 풀링(pulling)하면서 자동 포설할 수 있어서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하는 한편 근골격계 예방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그룹 풀링 시스템의 작용, 효과를 좀 더 부연해서 설명한다.
본 시스템은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밀어주는 방식으로 각각의 파워볼이 연동되어 하나의 컨트롤로 제어할 수 있으며, 정/역 기능이 있고,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어 케이블 풀링 작업 방식을 새롭고 안전하게 함에 따라 비용 절감 효과가 있으며, 기존 8자 포설(풀링) 없이 한 번에 많은 거리 포설(풀링) 작업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게 케이블 풀링 작업할 수 있다.
이때, 케이블 포설 가능 길이는 예컨대 10~70m이고, 허용 가능 케이블 무게는 단위무게 최대 3.687kg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전과 달리 케이블(cable) 여러 가닥을 동시에 풀링(pulling)하면서 자동 포설할 수 있어서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하는 한편 근골격계 예방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그룹 풀링 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그룹 풀링 시스템 역시, 시스템의 컨트롤을 위해 신호 발생기(170)와 시스템 컨트롤러(280)가 갖춰지는데, 이에 더해서 케이블 풀링 감지기(291)와 경보 알림기(292)가 추가된다.
케이블 풀링 감지기(291)는 케이블에 대한 풀링 작업이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러 개의 센서와 카메라로 케이블 풀링 감지기(291)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경보 알림기(292)는 케이블 풀링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을 때, 이를 작업자에게 알리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경보 알림기(292)는 경보용 램프나 부저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시스템 컨트롤러(280)는 신호 발생기(17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케이블을 밀어 가압하는 방식으로 풀링 작업이 진행되게 케이블 풀링장치(110)의 동작을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하는 한편, 케이블 풀링 감지기(291)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경보 알림기(292)의 동작을 자동으로 컨트롤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전과 달리 케이블(cable) 여러 가닥을 동시에 풀링(pulling)하면서 자동 포설할 수 있어서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하는 한편 근골격계 예방에 이바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케이블 풀링장치 111 : 장치 본체부
112 : 스토퍼 휠 113 : 가압기
130 : 케이블 로딩장치 131 : 베이스 플레이트
132 : 덕트형 구조물 133 : 플레이트 연결 지지대
134 : 컬럼 135 : 서포터
136 : 고리부 137 : 컬럼 지지봉
138 : 케이블 드럼 138a : 회전 샤프트
138b : 가이드 날개 139 : 연장바
150 : 케이블 가이드장치 151 : 가이드 바
152 : 서포팅 바 160 : 개별 가이드부재
161 : 케이블 바 162 : 개별 케이블 통과구
163 : 바 지지부 170 : 신호 발생기
180 : 시스템 컨트롤러

Claims (5)

  1. 복수 개의 케이블(cable)을 밀어 가압하는 방식으로 풀링(cable pulling) 작업을 진행하는 케이블 풀링장치;
    상기 케이블 풀링장치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케이블이 로딩되는 케이블 로딩장치; 및
    상기 케이블 로딩장치에 각도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 로딩장치에 로딩된 복수 개의 케이블을 가이드해서 상기 케이블 풀링장치로 전달하는 케이블 가이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로딩장치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각각 고정되게 마련되는 한 쌍의 덕트형 구조물;
    상기 한 쌍의 덕트형 구조물을 연결해서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연결 지지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각각 기립하게 용접되는 한 쌍의 컬럼;
    상기 컬럼들에 연결되고 상기 컬럼들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서포터;
    상기 컬럼들 각각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고리부;
    상기 한 쌍의 컬럼을 연결해서 지지하는 복수 개의 컬럼 지지봉;
    상기 한 쌍의 컬럼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샤프트와, 상기 회전 샤프트에 등간격으로 돌출되고 상기 케이블을 개별적으로 가이드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 날개를 구비하는 케이블 드럼; 및
    상기 케이블 드럼의 양측 단부 영역에서 상기 컬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연장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룹 풀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풀링장치는,
    장치 본체부;
    상기 장치 본체부의 하부에 구름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편 위치 고정이 가능한 복수 개의 스토퍼 휠; 및
    상기 케이블에 하나씩 대응되어 해당 케이블을 밀어 가압하는 전동 파워볼이 내장되는 케이블 가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룹 풀링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가이드장치는,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컬럼의 상부 영역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가이드 바;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컬럼의 하부 영역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바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바를 지지하는 한 쌍의 서포팅 바;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바의 단부에 결합하며, 상기 케이블 로딩장치에서 풀리는 케이블을 개별적으로 가이드하는 개별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개별 가이드부재는,
    상기 케이블들이 개별적으로 통과하는 장소를 이루는 복수 개의 개별 케이블 통과구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케이블 바; 및
    상기 복수 개의 케이블 바를 지지하는 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룹 풀링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케이블에 대한 풀링 작업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기; 및
    상기 신호 발생기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케이블을 밀어 가압하는 방식으로 풀링 작업이 진행되게 상기 케이블 풀링장치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시스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그룹 풀링 시스템.
KR1020210176188A 2021-12-10 2021-12-10 스마트 그룹 풀링 시스템 KR102618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188A KR102618137B1 (ko) 2021-12-10 2021-12-10 스마트 그룹 풀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188A KR102618137B1 (ko) 2021-12-10 2021-12-10 스마트 그룹 풀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713A KR20230087713A (ko) 2023-06-19
KR102618137B1 true KR102618137B1 (ko) 2023-12-29

Family

ID=86988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188A KR102618137B1 (ko) 2021-12-10 2021-12-10 스마트 그룹 풀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1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017B1 (ko) * 2014-07-16 2014-12-10 승리전력기술(주) 케이블 멀티 풀링장치
KR101486212B1 (ko) * 2013-12-11 2015-01-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포설 장치의 중앙 연동제어 시스템 및 연동제어 방법
KR102329579B1 (ko) * 2021-01-06 2021-11-22 (주)엔에스 전선 케이블 포설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291B1 (ko) 2009-11-16 2011-03-18 최경철 케이블 견인장치
KR101315185B1 (ko) 2011-07-08 2013-10-14 노우철 케이블 견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212B1 (ko) * 2013-12-11 2015-01-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포설 장치의 중앙 연동제어 시스템 및 연동제어 방법
KR101471017B1 (ko) * 2014-07-16 2014-12-10 승리전력기술(주) 케이블 멀티 풀링장치
KR102329579B1 (ko) * 2021-01-06 2021-11-22 (주)엔에스 전선 케이블 포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713A (ko) 202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17521B (zh) 一种电缆敷设装置
KR100978064B1 (ko) 무대구동장치
CN104265334A (zh) 盾构机管片快速卸载装置
US7024806B2 (en) Auxiliary assembly for reducing unwanted movement of a hoist rope
CN110803584B (zh) 一种电缆生产用收卷装置
CN104310099B (zh) 拉链链带自主送带机
CN105641880B (zh) 一种用于仿生爬梯机器人的爬杆机构
KR102618137B1 (ko) 스마트 그룹 풀링 시스템
CN113006500B (zh) 全装配式混凝土节点减隔震装置的安全施工安装装置
CN103790113A (zh) 一种钢绞线斜拉索穿索装置及其穿索方法
KR20150012683A (ko) 케이블 포설 장치
KR101804113B1 (ko) 배전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CN102616627B (zh) 电梯钢丝绳放绳方法及其放绳机构
SG180076A1 (en) Elevator rope tension adjusting device and elevator rope tension adjusting system
CN110977871B (zh) 皮带穿条拆卸装置
CN210926884U (zh) 一种大直径电缆敷设装置
CN108642846A (zh) 一种服装加工用裁剪装置
KR101486212B1 (ko) 포설 장치의 중앙 연동제어 시스템 및 연동제어 방법
KR102416617B1 (ko)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 및 그 방법
CN202149284U (zh) 管道穿管器及其构成的布管作业系统
KR101103134B1 (ko) 리깅장치
KR20220006954A (ko) 무대장치
KR101804021B1 (ko) 장경간 교량의 동(動) 하중 시험장치
CN102290747A (zh) 在水平桥架内敷设电缆的辅助装置及敷设方法
KR101658293B1 (ko) 새우조망용 로프 인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