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272B1 - 휀스용 파이프 압입 장치 - Google Patents

휀스용 파이프 압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272B1
KR102617272B1 KR1020210005414A KR20210005414A KR102617272B1 KR 102617272 B1 KR102617272 B1 KR 102617272B1 KR 1020210005414 A KR1020210005414 A KR 1020210005414A KR 20210005414 A KR20210005414 A KR 20210005414A KR 102617272 B1 KR102617272 B1 KR 102617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ence
tapered
press
work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2913A (ko
Inventor
서희준
Original Assignee
정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호 filed Critical 정종호
Priority to KR1020210005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272B1/ko
Publication of KR20220102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23P19/027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2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 B23Q3/064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for holding elongated workpieces, e.g. pipes, bar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이나 별도의 결합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끼움결합을 통해 휀스용 파이프 단부에 장식물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휀스용 파이프 압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휀스용 파이프 압입 장치는 휀스용 파이프(P)의 단부에 테이퍼부(P1)를 성형하는 테이퍼 성형부(100)와, 테이퍼부가 성형된 휀스용 파이프의 단부에 장식물(A)을 압입하여 결합시키는 압입부(2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휀스용 파이프 압입 장치{Pipe pressing apparatus for fence}
본 발명은 용접이나 별도의 결합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끼움결합을 통해 휀스용 파이프 단부에 장식물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휀스용 파이프 압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휀스용 파이프의 상단에는 미관을 고려하여 장식물이 결합된다.
종래에는 휀스용 파이프의 단부에 장식물을 용접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었으나, 용접 특성상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용접가능한 재질의 휀스용 파이프에 한정되며 용접시 유해가스가 발생하는 등 제약조건이 많았으므로 반드시 용접을 해야하는 상황이 아닌 한, 통상적으로는 휀스용 파이프와 장식물을 나선체결하여 간편하게 결합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나선체결 방식은 휀스용 파이프의 단부와 장식물의 단부에 각각 나사부를 형성시켜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될 뿐만 아니라, 체결상태를 인위적으로 해제시키기가 용이하므로 장식물의 분실사고가 잦아 휀스의 미관이 불량해지고 펜스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유지 보수 비용이 크게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하여, 휀스용 파이프와 장식물 간의 결합은 작업성이 우수하고 장식물을 인위적으로 분리시킬 수 없는 억지끼움 방식이 가장 우수한 방법으로 채택되고 있는 바, 억지끼움 방식은 비용측면이나 결합신뢰도 측면에서 우수한 장점이 인정되지만, 휀스용 파이프의 단부가 장식물의 단부로 긴밀히 압입되어야 하는 점을 고려할 때, 휀스용 파이프와 장식물간의 정렬에 있어서 높은 정밀성이 요구되므로 불량발생률이 높아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34301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억지끼움 방식을 통해 휀스용 파이프의 단부에 장식물을 결합시킬 때 정렬 불량으로 인한 불량 발생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휀스용 파이프 압입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휀스용 파이프 압입 장치는 휀스용 파이프의 단부에 테이퍼부를 성형하는 테이퍼 성형부와, 테이퍼부가 성형된 휀스용 파이프의 단부에 장식물을 압입하여 결합시키는 압입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테이퍼 성형부는 작업테이블과, 상기 작업테이블 상부에 설치되어 압입 대상이 되는 휀스용 파이프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제1고정지그와, 상기 제1고정지그의 후방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작업테이블 상에 설치되는 이동작업대와, 상기 이동작업대에 전후 이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부재와, 상기 휀스용 파이프의 중심선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작업대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작업대가 휀스용 파이프의 단부를 향해 전방 이동할 때 상기 휀스용 파이프의 단부에 테이퍼부를 가압 성형시키는 테이퍼 몰드를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압입부는 작업테이블과, 상기 작업테이블 상부에 설치되어 단부에 테이퍼부가 성형된 휀스용 파이프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제2고정지그와, 상기 제2고정지그의 후방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작업테이블 상에 설치되는 이동작업대와, 상기 이동작업대에 전후 이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부재와, 상기 이동작업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작업대가 휀스용 파이프의 단부를 향해 전방 이동할 때 상기 휀스용 파이프의 단부가 장식물의 단부에 압입되도록 상기 장식물을 지지하는 제3고정지그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테이퍼 몰드는 상기 이동작업대 상부에 고정된 본체와, 휀스용 파이프의 단부가 인입되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된 테이퍼 홈과, 상기 테이퍼 홈의 중앙을 전후로 관통하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에 후단이 결합되는 지지관과, 상기 이동작업대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관통공을 경유하여 지지관으로 삽입되는 로드를 구비한 실린더 유닛과, 상기 실린더 유닛의 로드부에 체결되며, 후방으로 수렴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테이퍼 블럭과, 상기 지지관의 전단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테이퍼 블럭의 외주면에 끼워져 테이퍼 블럭이 후방으로 이동할 때 테이퍼 블럭의 외주면을 따라 확장되면서 휀스용 파이프 내주면을 가압하여 휀스용 파이프의 표면에 걸림돌기를 형성시키는 가압링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압링은 상기 테이퍼 블럭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분할 구성된 복수의 가압편과, 상기 가압편을 연결하는 신축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휀스용 파이프 압입 장치는 휀스용 파이프의 단부에 테이퍼부를 성형하는 테이퍼 성형부를 구비하므로 휀스용 파이프와 장식물의 정렬상태가 정밀하지 않더라도 장식물과 원활하게 결합되므로 작업시 불량율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테이퍼부가 성형된 휀스용 파이프의 단부에 장식물을 압입하여 결합시키는 압입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휀스용 파이프의 단부를 장식물의 단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쉽고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테이퍼 성형부의 사용상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테이퍼 성형부의 사용상태 정면도로서, 휀스용 파이프의 단부에 테이퍼가 성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1고정지그에 휀스용 파이프가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압입부를 나타내는 요부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압입부를 나타내는 요부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휀스용 파이프 압입 장치를 통해 휀스용 파이프와 장식물이 압입을 통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테이퍼 몰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단면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컨대,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아울러, "포함한다" 또는 "구비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테이퍼 성형부의 사용상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테이퍼 성형부의 사용상태 정면도로서 휀스용 파이프의 단부에 테이퍼가 성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1고정지그에 휀스용 파이프가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휀스용 파이프 압입 장치는 압입대상이 되는 휀스용 파이프(P)의 단부에 테이퍼부(P1)를 성형하는 테이퍼 성형부(100)와, 테이퍼부(P1)가 성형된 휀스용 파이프(P)의 단부에 장식물(A)을 압입하여 결합시키는 압입부(200)를 포함한다.
이중, 상기 테이퍼 성형부(100)는 작업테이블(110)과, 작업테이블(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고정지그(120)와, 상기 작업테이블(110)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이동작업대(130)와, 상기 이동작업대(130)에 설치된 테이퍼 몰드(14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제1고정지그(120)는 압입 대상이 되는 휀스용 파이프(P)를 수평으로 지지한다.
상기 제1고정지그(120)는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휀스용 파이프(P)를 투입하는 투입구(121)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121)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지지홈(122)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투입구(121)로 휀스용 파이프(P)를 밀어 넣게 되면, 상기 휀스용 파이프(P)가 지지홈(122)에 끼워지게 되며, 지지홈(122)에 끼워진 휀스용 파이프(P)는 양측으로의 유동이 제한되면서 지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고정지그(120)는 휀스용 파이프(P)의 길이를 감안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작업테이블(110)의 전단에는 휀스용 파이프(P)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블럭(125)이 설치된다.
상기 이동작업대(130)는 제1고정지그(120)의 후방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작업테이블(110)에는 전후방향으로 이동레일(131)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작업대(130)의 하단에는 상기 이동레일(131)의 외측으로 끼워진 슬라이더(132)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작업대(130)는 작업테이블(110)에 설치된 구동부재(150)를 통해 전후 이동력을 부여받는다. 상기 구동부재(150)는 이동작업대(130)의 후방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부재(150)가 실린더 유닛(145)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되었으나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고 다양한 방식으로 전후직선 운동을 수행하는 부재라면 얼마든지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이동작업대(130)의 전단에는 이동작업대(130)와 함께 전후로 이동하면서 휀스용 파이프(P)의 전단을 유동됨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보조고정지그(16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고정지그(160)는 상술한 제1고정지그(120)와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테이퍼 몰드(140)는 휀스용 파이프(P)의 중심선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작업대(130)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테이퍼 몰드(140)는 상기 이동작업대(130) 상부에 고정된 본체(141)와, 휀스용 파이프(P)의 단부가 인입되도록 상기 본체(141)의 전면에 형성된 테이퍼 홈(14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구동부재(150)가 작동하여 상기 이동작업대(130)가 휀스용 파이프(P)의 단부를 향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테이퍼 몰드(140)의 테이퍼 홈(142)이 상기 휀스용 파이프(P)의 단부의 외측으로 끼워지게 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휀스용 파이프(P)의 단부가 테이퍼 홈(142)에 의해 내측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휀스용 파이프(P)의 단부에는 테이퍼 홈(142)에 대응되는 테이퍼부(P1)가 성형된다.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압입부를 나타내는 요부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압입부를 나타내는 요부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휀스용 파이프 압입 장치를 통해 휀스용 파이프와 장식물이 압입을 통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입부(200)는 작업테이블(210)과, 상기 작업테이블(210) 상부에 설치되어 단부에 테이퍼부(P1)가 성형된 휀스용 파이프(P)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제2고정지그와, 상기 제2고정지그의 후방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작업테이블(210) 상에 설치되는 이동작업대(220)와, 상기 이동작업대(220)에 전후 이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부재(230)를 구비한다.
상기 작업테이블(210)과 제2고정지그와 이동작업대(220)와 구동부재(230)는 각각 테이퍼 성형부(100)의 작업테이블(110)과 제1고정지그(120)와 이동작업대(130)와 구동부재(150)와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이므로 별도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이동작업대(130)의 상부에는 장식물(A)을 지지하는 제3고정지그(240)가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제3고정지그(240)는 장식물(A)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방향에서 장식물(A)이 유동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그블록(241,242)들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단부에 테이퍼부(P1)가 성형된 휀스용 파이프(P)를 제2고정지그에 수평상태로 지지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3고정지그(240)에 장식물(A)을 고정시킨 다음, 구동부재(230)를 통해 상기 이동작업대(220)를 휀스용 파이프(P)의 단부를 향해 전방 이동시키면, 장식물(A)의 단부가 테이퍼부(P1)가 성형된 휀스용 파이프(P)의 단부의 외측으로 끼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휀스용 파이프(P)는 단부에 테이퍼부(P1)가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휀스용 파이프(P)와 장식물(A)과의 정렬이 정밀하지 않더라도 상기 장식물(A)의 단부는 휀스용 파이프(P)에 원활하게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휀스용 파이프(P)와 장식물(A)과의 정렬불량에 따른 불량발생율을 크게 낮출 수 있게 된다.
한편, 테이퍼부(P1)가 성형된 휀스용 파이프(P)의 단부의 외측으로 상기 장식물(A)의 단부가 끼워진 이후에 구동부재(230)의 지속적인 동작에 의하여 상기 테이퍼부(P1)가 성형된 휀스용 파이프(P)의 단부는 압입되면서 억지끼움을 통해 장식물(A)의 단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테이퍼 몰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테이퍼 몰드(140a)는 상기 이동작업대(130) 상부에 고정된 본체(141)와, 휀스용 파이프(P)의 단부가 인입되도록 상기 본체(141)의 전면에 형성된 테이퍼 홈(142)과, 상기 테이퍼 홈(142)의 중앙을 전후로 관통하도록 상기 본체(141)에 형성된 관통공(143)과, 상기 관통공(143)에 후단이 결합되는 지지관(144)과, 상기 이동작업대(130)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관통공(143)을 경유하여 지지관(144)으로 삽입되는 로드(145a)를 구비한 실린더 유닛(145)과, 상기 실린더 유닛(145)의 로드(145a)에 체결되며 후방으로 수렴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테이퍼 블럭(146)과, 상기 지지관(144)의 전단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테이퍼 블럭(146)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된 가압링(147)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압링(147)은 상기 테이퍼 블럭(146)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분할 구성된 복수의 가압편(147a)과, 상기 가압편(147a)을 연결하는 고무나 스프링과 같이 자체 탄성력을 가진 신축부재(147b)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휀스용 파이프(P)의 단부에 테이퍼부(P1)의 성형이 완료된 상태에서 실린더 유닛(145)이 전방으로 인출된 로드(145a)를 후퇴시키면, 상기 테이퍼 블럭(146)이 가압링(147)을 확장시키면서 로드(145a)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가압링(147)은 휀스용 파이프(P) 내주면을 가압하여 휀스용 파이프(P)의 단부 표면에 걸림돌기(P2)를 형성시키게 된다.
한편, 확장된 가압링(147)은 로드(145a)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신축부재(147b)의 작용으로 수축되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휀스용 파이프(P)의 단부 표면에 걸림돌기(P2)가 형성되면 장식물(A)에 압입될 때 상기 걸림돌기(P2)에 의해 압입강도가 증가하면서 보다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장식물(A)의 단부 내측면에 상기 걸림돌기(P2)에 대응되는 홈부가 형성되는 경우, 압입과정에서 상기 걸림돌기(P2)가 홈부에 삽입되면서 휀스용 파이프(P)와 장식물(A) 간의 결합강도는 크게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0...테이퍼 성형부 110,210...작업테이블
120...제1고정지그 130,220...이동작업대
150,230...구동부재 140,140a...테이퍼 몰드
141...본체 142...테이퍼 홈
143... 관통공 144...지지관
145a...로드 145...실린더 유닛
146...테이퍼 블럭 147...가압링
147a...가압편 147b...신축부재
200...압입부 240...제3고정지그
P...휀스용 파이프 P1...테이퍼부
P2...걸림돌기

Claims (5)

  1. 휀스용 파이프의 단부에 테이퍼부를 성형하는 테이퍼 성형부; 및
    테이퍼부가 성형된 휀스용 파이프의 단부에 장식물을 압입하여 결합시키는 압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테이퍼 성형부는
    작업테이블;
    상기 작업테이블 상부에 설치되어 압입 대상이 되는 휀스용 파이프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제1고정지그;
    상기 제1고정지그의 후방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작업테이블 상에 설치되는 이동작업대;
    상기 이동작업대에 전후 이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부재; 및
    상기 휀스용 파이프의 중심선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작업대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작업대가 휀스용 파이프의 단부를 향해 전방 이동할 때 상기 휀스용 파이프의 단부에 테이퍼부를 가압 성형시키는 테이퍼 몰드를 구비하고,
    상기 테이퍼 몰드는,
    상기 이동작업대 상부에 고정된 본체;
    휀스용 파이프의 단부가 인입되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된 테이퍼 홈;
    상기 테이퍼 홈의 중앙을 전후로 관통하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된 관통공;
    상기 관통공에 후단이 결합되는 지지관;
    상기 이동작업대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관통공을 경유하여 지지관으로 삽입되는 로드를 구비한 실린더 유닛;
    상기 실린더 유닛의 로드에 체결되며, 후방으로 수렴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테이퍼 블럭; 및
    상기 지지관의 전단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테이퍼 블럭의 외주면에 끼워져 테이퍼 블럭이 후방으로 이동할 때 테이퍼 블럭의 외주면을 따라 확장되면서 휀스용 파이프 내주면을 가압하여 휀스용 파이프의 표면에 걸림돌기를 형성시키는 가압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용 파이프 압입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부는
    작업테이블;
    상기 작업테이블 상부에 설치되어 단부에 테이퍼부가 성형된 휀스용 파이프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제2고정지그;
    상기 제2고정지그의 후방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작업테이블 상에 설치되는 이동작업대;
    상기 이동작업대에 전후 이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부재; 및
    상기 이동작업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작업대가 휀스용 파이프의 단부를 향해 전방 이동할 때 상기 휀스용 파이프의 단부가 장식물의 단부에 압입되도록 상기 장식물을 지지하는 제3고정지그를 구비하는 휀스용 파이프 압입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은
    상기 테이퍼 블럭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분할 구성된 복수의 가압편; 및
    상기 가압편을 연결하는 신축부재를 구비한 휀스용 파이프 압입 장치.
KR1020210005414A 2021-01-14 2021-01-14 휀스용 파이프 압입 장치 KR102617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414A KR102617272B1 (ko) 2021-01-14 2021-01-14 휀스용 파이프 압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414A KR102617272B1 (ko) 2021-01-14 2021-01-14 휀스용 파이프 압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913A KR20220102913A (ko) 2022-07-21
KR102617272B1 true KR102617272B1 (ko) 2023-12-28

Family

ID=82610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414A KR102617272B1 (ko) 2021-01-14 2021-01-14 휀스용 파이프 압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72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372B1 (ko) * 2016-08-03 2016-11-09 지은희 튜브 조립 장치
KR101909875B1 (ko) * 2018-06-19 2018-12-18 나재훈 축관기
JP2020044538A (ja) * 2018-09-14 2020-03-26 奥村金属株式会社 銅管とアルミニウム管の接合体およびその接合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8162A (ja) * 1996-08-23 1998-03-03 Peerless Of America Inc ハンダ無し冶金的接合
JP3028230B1 (ja) 1999-04-16 2000-04-04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樹脂製管継手のインナリング圧入治具
KR101025854B1 (ko) * 2008-10-20 2011-03-30 부국산업주식회사 금속튜브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372B1 (ko) * 2016-08-03 2016-11-09 지은희 튜브 조립 장치
KR101909875B1 (ko) * 2018-06-19 2018-12-18 나재훈 축관기
JP2020044538A (ja) * 2018-09-14 2020-03-26 奥村金属株式会社 銅管とアルミニウム管の接合体およびその接合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913A (ko)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94736B (zh) 用于将夹装件紧固于装饰板的结构、夹装件及其紧固方法
US9802284B2 (en) Clamping device
CN205254472U (zh) 一种气囊零件装配夹具
KR102617272B1 (ko) 휀스용 파이프 압입 장치
KR102111545B1 (ko) 파이프 벤딩 장치
US20170282308A1 (en) Vacuum-based weld fixtur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0944723B1 (ko) 자동차 브레이크 실린더 클램핑용 유압척
DK1336767T3 (da) Kobling til modulært opbygget værktöjsholderarm
KR101954405B1 (ko) 가스버너 설치대의 상판 전용 자동 용접기
CN210147574U (zh) 一种钻孔夹具
CN104353743B (zh) 汽车天窗玻璃滑轨和支架自动铆接装置
CN104551655B (zh) 一种用于化油器工件的安装设备
CN106271735B (zh) 用于加工条形钣金件的手动式多面夹具及使用其的机床
CN205363145U (zh) 用于管件焊接的夹具
CN204700793U (zh) 油量传感器密封垫圈装配夹具
US7708336B2 (en) Chassis fr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hassis frame
KR102038402B1 (ko) 파이프 벤딩 장치
KR100882683B1 (ko) 차량용 루프패널과 사이드아우터의 접합구조물
CN212191858U (zh) 一种汽车油箱密封阀门组装用的定位装置
CN214108808U (zh) 一种xy自动顶针
CN214922446U (zh) 一种行星齿轮架压紧工装
KR102552561B1 (ko) 플랜지 대칭형 체결홀 가공용 소재 고정장치
KR20030005832A (ko) 복합 프레스 금형
CN210421447U (zh) 一种装配式钢架的快速连接结构
CN210998468U (zh) 一种喷浆车混凝土输送软管管夹装配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