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240B1 - 반도체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240B1
KR102617240B1 KR1020170026200A KR20170026200A KR102617240B1 KR 102617240 B1 KR102617240 B1 KR 102617240B1 KR 1020170026200 A KR1020170026200 A KR 1020170026200A KR 20170026200 A KR20170026200 A KR 20170026200A KR 102617240 B1 KR102617240 B1 KR 102617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trobe signal
delay
strobe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9998A (ko
Inventor
김영훈
홍덕화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6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240B1/ko
Priority to US15/725,877 priority patent/US10110228B2/en
Priority to CN201711318414.9A priority patent/CN108512533B/zh
Publication of KR20180099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03Modifications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for protection
    • H03K19/00323Delay compen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57Data out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84Data in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2Clock generating, synchronizing or distributing circuits within memory devi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 H03K5/13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using a chain of active delay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 H03K5/135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by the use of time reference signals, e.g. clock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53Arrangements in which a pulse is delivered at the instant when a predetermined characteristic of an input signal is present or at a fixed time interval after this instant
    • H03K5/1534Transition or edge detec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 H03K19/21EXCLUSIVE-OR circuits, i.e. giving output if input signal exists at only one input; COINCIDENCE circuits, i.e. giving output only if all input signals are identic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ogic Circuits (AREA)
  • Dram (AREA)
  • Pulse Circuit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반도체 장치는 입력 코드신호의 변화에 따라 스트로브 신호의 토글링 구간을 제한하여 제한 스트로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회로; 및 상기 제한 스트로브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코드신호를 동기화하기 위한 제2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설계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장치는 클럭 신호를 기반으로 한 스트로브(strobe) 신호에 따라 상기 클럭 신호와 전혀 무관하게 생성되는 데이터 신호를 동기화한다. 예컨대, 반도체 장치는 상기 스트로브 신호가 천이(transition)할 때 상기 데이터 신호를 래치(latch)한다.
그러나, 상기 데이터 신호와 상기 스트로브 신호 간의 타이밍 마진이 확보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신호가 정상적으로 래치되지 못한다. 만약 상기 스트로브 신호와 상기 데이터 신호가 서로 비슷한 타이밍에 천이된다면, 상기 데이터 신호는 '로우 논리값(0)' 및 '하이 논리값(1)' 중 어느 하나의 값으로써 랜덤하게 래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클럭 신호와 무관하게 입력 또는 생성되는 신호를 항상 정상적으로 동기화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반도체 장치는 입력 코드신호의 변화에 따라 스트로브 신호의 토글링 구간을 제한하여 제한 스트로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회로; 및 상기 제한 스트로브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코드신호를 동기화하기 위한 제2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반도체 장치는 입력 코드신호의 변화에 따라 스트로브 신호를 제1 지연시간 또는 제2 지연시간만큼 지연하여 지연 스트로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회로; 및 상기 지연 스트로브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코드신호를 동기화하기 위한 제2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모드 선택신호와 입력 코드신호에 기초하여, 스트로브 신호의 토글링 구간을 제한하여 튜닝 스트로브 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스트로브 신호를 예정된 지연시간만큼 지연하여 상기 튜닝 스트로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회로; 및 상기 튜닝 스트로브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코드신호를 동기화하기 위한 제2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클럭 신호와 무관하게 생성되는 데이터 신호를 항상 정상적으로 동기화함으로써 반도체 장치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반도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1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반도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가 블록 구성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 장치(100)는 제1 회로(110), 및 제2 회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로(110)는 입력 코드신호(INCD<N:0>)의 변화에 따라 스트로브 신호(STRB)의 토글링 구간을 제한하여 제한 스트로브 신호(LSTRB)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회로(110)는 스트로브 신호(STRB)가 토글링할 때마다 입력 코드신호(INCD<N:0>)의 천이(transition) 여부를 검출할 수 있고, 그 검출결과에 따라 스트로브 신호(STRB)의 한 주기의 토글링 구간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코드신호(INCD<N:0>)는 클럭 신호와 무관하게 생성되는 데이터 신호일 수 있다. 예컨대, 입력 코드신호(INCD<N:0>)는 온도 센서(도면에 미도시)로부터 주기적으로 생성 및 업데이트되는 온도 코드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로브 신호(STRB)는 상기 클럭 신호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제2 회로(120)는 제한 스트로브 신호(LSTRB)에 기초하여 입력 코드신호(INCD<N:0>)를 동기화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회로(120)는 제한 스트로브 신호(LSTRB)에 기초하여 입력 코드신호(INCD<N:0>)의 이전 값을 출력 코드신호(OUTCD<N:0>)로써 래치하거나 또는 입력 코드신호(INCD<N:0)의 현재 값을 출력 코드신호(OUTCD<N:0>)로써 래치할 수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제1 회로(110)가 회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회로(110)는 지연블록(111), 검출블록(113), 및 제한블록(115)을 포함할 수 있다.
지연블록(111)은 스트로브 신호(STRB)를 예정된 지연시간만큼 지연하여 지연 스트로브 신호(DSTRB)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지연시간은 입력 코드신호(INCD<N:0>)의 천이시간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검출블록(113)은 스트로브 신호(STRB)와 지연 스트로브 신호(DSTRB)에 기초하여 입력 코드신호(INCD<N:0>)의 천이 여부를 검출할 수 있고, 그 검출결과에 대응하는 검출 코드신호(D<N:0>)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검출블록(113)은 제1 내지 제N+1 천이 검출부(DET0 ~ DETN)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N+1 천이 검출부(DET0 ~ DETN)는 입력 코드신호(INCD<N:0>)에 포함된 제1 내지 제N+1 입력신호(INCD<N:0>)에 기초하여 검출 코드신호(D<N:0>)에 포함된 제1 내지 제N+1 검출신호(D<N:0>)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N+1 천이 검출부(DET0 ~ DETN)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제1 천이 검출부(DET0)만을 대표적으로 설명한다.
제1 천이 검출부(DET0)는 제1 래치(LAT00), 제2 래치(LAT01), 및 비교기(XOR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래치(LAT00)는 스트로브 신호(STRB)에 기초하여 제1 입력신호(INCD<0>)를 제1 래치신호(LCD<00>)로써 래치할 수 있다. 제2 래치(LAT01)는 지연 스트로브 신호(DSTRB)에 기초하여 제1 입력신호(INCD<0>)를 제2 래치신호(LCD<01>)로써 래치할 수 있다. 비교기(XOR0)는 제1 래치신호(LAT<00>)의 논리 레벨과 제2 래치신호(LAT<01>)의 논리 레벨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대응하는 제1 검출신호(D<0>)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비교결과 제1 래치신호(LAT<00>)의 논리 레벨과 제2 래치신호(LAT<01>)의 논리 레벨이 같으면, 비교기(XOR0)는 제1 입력신호(INCD<0>)가 천이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제1 검출신호(D<0>)를 생성할 수 있다. 반면, 만약 상기 비교결과 제1 래치신호(LAT<00>)의 논리 레벨과 제2 래치신호(LAT<01>)의 논리 레벨이 다르면, 비교기(XOR0)는 제1 입력신호(INCD<0>)가 천이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 검출신호(D<0>)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비교기(XOR0)는 배타적 논리합 게이트(exclusive-OR gate)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블록(115)은 검출 코드신호(D<N:0>)에 기초하여 지연 스트로브 신호(DSTRB)의 토글링 구간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예컨대, 제한블록(115)은 게이팅 제어부(ORG), 보상부(IG), 및 게이팅부(NORG)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팅 제어부(ORG)는 검출 코드신호(D<N:0>)에 기초하여 게이팅 제어신호(GC)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게이팅 제어부(ORG)는 논리합 게이트(OR gate)를 포함할 수 있다. 보상부(IG)는 게이팅 제어부(ORG)의 동작시간에 대응하는 만큼 지연 스트로브 신호(DSTRB)의 출력 타이밍을 보상하여 보상 스트로브 신호(CSTRB)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보상부(IG)는 직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인버터(i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팅부(NORG)는 게이팅 제어신호(GC)에 기초하여 보상 스트로브 신호(CSTRB)를 게이팅(gating)하여 제한 스트로브 신호(LSTRB)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게이팅부(NORG)는 부정 논리합 게이트(NOR gate)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100)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속적으로 토글링하는 스트로브 신호(STRB)와 스트로브 신호(STRB)와 무관한 타이밍에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입력 코드신호(INCD<N:0>)가 생성될 수 있다.
제1 회로(110)는 스트로브 신호(STRB)가 토글링할 때마다 입력 코드신호(INCD<N:0>)가 업데이트되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회로(110)는 스트로브 신호(STRB)의 라이징 에지(rising edge)에 기초하여 입력 코드신호(INCD<N:0>)에 포함된 제1 내지 제N+1 입력신호(INCD<N:0>) 중 적어도 하나가 천이되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회로(110)는 상기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스트로브 신호(STRB)의 토글링 구간을 선택적으로 제한함으로써 제한 스트로브 신호(LSTRB)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검출결과 입력 코드신호(INCD<N:0>)가 업데이트되지 않았다면, 제1 회로(110)는 스트로브 신호(STRB)의 한 주기에 대응하는 토글링 구간을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제1 회로(110)는 스트로브 신호(STRB)와 동일하게 토글링하는 제한 스트로브 신호(LSTRB)를 생성할 수 있다. 반면, 만약 상기 검출결과 입력 코드신호(INCD<N:0>)가 업데이트되었다면, 제1 회로(110)는 스트로브 신호(STRB)의 한 주기에 대응하는 토글링 구간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제1 회로(110)는 로우 논리 레벨의 제한 스트로브 신호(LSTRB)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2 회로(120)는 제한 스트로브 신호(LSTRB)에 기초하여 입력 코드신호(INCD<N:0>)를 동기화할 수 있다. 만약 제한 스트로브 신호(LSTRB)가 토글링한다면, 제2 회로(120)는 제한 스트로브 신호(LSTRB)의 라이징 에지에 대응하는 입력 코드신호(INCD<N:0>)의 현재 값을 출력 코드신호(OUTCD<N:0>)로써 래치할 수 있다. 반면, 만약 제한 스트로브 신호(LSTRB)가 토글링하지 않는다면, 제2 회로(120)는 입력 코드신호(INCD<N:0>)의 이전 값을 출력 코드신호(OUTCD<N:0>)로써 지속적으로 래치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가 블록 구성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반도체 장치(200)는 제1 회로(210), 및 제2 회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로(210)는 입력 코드신호(INCD<N:0>)의 변화에 따라 스트로브 신호(STRB)를 제1 지연시간 또는 제2 지연시간만큼 지연하여 지연 스트로브 신호(DDSTRB)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회로(210)는 스트로브 신호(STRB)가 토글링할 때마다 입력 코드신호(INCD<N:0>)의 천이(transition) 여부를 검출할 수 있고, 그 검출결과에 따라 스트로브 신호(STRB)를 상기 제1 지연시간 또는 상기 제2 지연시간만큼 지연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연시간은 입력 코드신호(INCD<N:0>)의 천이시간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제2 지연시간은 상기 제1 지연시간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코드신호(INCD<N:0>)는 클럭 신호와 무관하게 생성되는 데이터 신호일 수 있다. 예컨대, 입력 코드신호(INCD<N:0>)는 온도 센서(도면에 미도시)로부터 주기적으로 생성 및 업데이트되는 온도 코드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로브 신호(STRB)는 상기 클럭 신호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제2 회로(220)는 지연 스트로브 신호(DDSTRB)에 기초하여 입력 코드신호(INCD<N:0>)를 동기화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회로(220)는 지연 스트로브 신호(DDSTRB)에 기초하여 입력 코드신호(INCD<N:0>)의 이전 값을 출력 코드신호(OUTCD<N:0>)로써 래치하거나 또는 입력 코드신호(INCD<N:0)의 현재 값을 출력 코드신호(OUTCD<N:0>)로써 래치할 수 있다.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제1 회로(210)가 회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회로(210)는 지연블록(211), 검출블록(213), 및 선택블록(215)을 포함할 수 있다.
지연블록(211)은 제1 지연부(DLY1), 및 제2 지연부(DLY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연부(DLY1)는 스트로브 신호(STRB)를 상기 제1 지연시간만큼 지연하여 제1 지연 스트로브 신호(DSTRB1)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지연부(DLY2)는 제1 지연 스트로브 신호(DSTRB1)를 제3 지연시간만큼 지연하여 제2 지연 스트로브 신호(DSTRB2)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3 지연시간은 상기 제2 지연시간에서 상기 제1 지연시간만큼 뺀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블록(213)은 스트로브 신호(STRB)와 제1 지연 스트로브 신호(DSTRB1)에 기초하여 입력 코드신호(INCD<N:0>)의 천이 여부를 검출할 수 있고, 그 검출결과에 대응하는 검출 코드신호(D<N:0>)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검출블록(213)은 제1 내지 제N+1 천이 검출부(DET0 ~ DETN)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N+1 천이 검출부(DET0 ~ DETN)는 입력 코드신호(INCD<N:0>)에 포함된 제1 내지 제N+1 입력신호(INCD<N:0>)에 기초하여 검출 코드신호(D<N:0>)에 포함된 제1 내지 제N+1 검출신호(D<N:0>)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N+1 천이 검출부(DET0 ~ DETN)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1 내지 제N+1 천이 검출부(DET0 ~ DETN)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선택블록(215)은 검출 코드신호(D<N:0>)에 기초하여 제1 지연 스트로브 신호(DSTRB1)와 제2 지연 스트로브 신호(DSTRB2) 중 어느 하나를 지연 스트로브 신호(DDSTRB)로써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선택블록(215)은 선택 제어부(ORG), 및 선택부(MUX)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 제어부(ORG)는 검출 코드신호(D<N:0>)에 기초하여 선택 제어신호(SC)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선택 제어부(ORG)는 논리합 게이트(OR gate)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부(MUX)는 선택 제어신호(SC)에 기초하여 제1 지연 스트로브 신호(DSTRB1)와 제2 지연 스트로브 신호(DSTRB2) 중 어느 하나를 지연 스트로브 신호(DDSTRB)로써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선택부(MUX)는 다중화기(multiplex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200)의 동작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는 도 4에 도시된 반도체 장치(2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속적으로 토글링하는 스트로브 신호(STRB)와 스트로브 신호(STRB)와 무관한 타이밍에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입력 코드신호(INCD<N:0>)가 생성될 수 있다.
제1 회로(210)는 스트로브 신호(STRB)가 토글링할 때마다 입력 코드신호(INCD<N:0>)가 업데이트되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회로(210)는 스트로브 신호(STRB)의 라이징 에지(rising edge)에 기초하여 입력 코드신호(INCD<N:0>)에 포함된 제1 내지 제N+1 입력신호(INCD<N:0>) 중 적어도 하나가 천이되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회로(210)는 상기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스트로브 신호(STRB)를 토글링 구간별로 상기 제1 지연시간 또는 상기 제2 지연시간만큼 지연하여 지연 스트로브 신호(DDSTRB)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검출결과 입력 코드신호(INCD<N:0>)가 업데이트되지 않았다면, 제1 회로(110)는 스트로브 신호(STRB)에 비하여 상기 제1 지연시간만큼 지연된 지연 스트로브 신호(DDSTRB)를 생성할 수 있다. 반면, 만약 상기 검출결과 입력 코드신호(INCD<N:0>)가 업데이트되었다면, 제1 회로(110)는 스트로브 신호(STRB)에 비하여 제2 지연시간만큼 지연된 지연 스트로브 신호(DDSTRB)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2 회로(220)는 지연 스트로브 신호(DDSTRB)에 기초하여 입력 코드신호(INCD<N:0>)를 동기화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회로(220)는 지연 스트로브 신호(DDSTRB)의 라이징 에지에 대응하는 입력 코드신호(INCD<N:0>)의 현재 값을 출력 코드신호(OUTCD<N:0>)로써 래치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300)가 블록 구성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반도체 장치(300)는 제1 회로(310), 및 제2 회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로(310)는 모드 선택신호(SEL)에 기초하여 입력 코드신호(INCD<N:0>)의 변화에 따라 스트로브 신호(STRB)를 튜닝(tuning)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회로(310)는 스트로브 신호(STRB)가 토글링할 때마다 입력 코드신호(INCD<N:0>)의 천이(transition) 여부를 검출할 수 있고, 그 검출결과와 모드 선택신호(SEL)에 기초하여 스트로브 신호(STRB)의 한 주기의 토글링 구간을 선택적으로 제한한 튜닝 스트로브 신호(SSTRB)를 생성하거나 또는 스트로브 신호(STRB)를 제1 지연시간 또는 제2 지연시간만큼 지연한 튜닝 스트로브 신호(SSTRB)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코드신호(INCD<N:0>)는 클럭 신호와 무관하게 생성되는 데이터 신호일 수 있다. 예컨대, 입력 코드신호(INCD<N:0>)는 온도 센서(도면에 미도시)로부터 주기적으로 생성 및 업데이트되는 온도 코드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로브 신호(STRB)는 상기 클럭 신호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제2 회로(320)는 튜닝 스트로브 신호(SSTRB)에 기초하여 입력 코드신호(INCD<N:0>)를 동기화할 수 있다.
도 8에는 도 7에 도시된 제1 회로(310)가 회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회로(310)는 지연블록(311), 검출블록(313), 튜닝블록(315), 및 선택블록(317)을 포함할 수 있다.
지연블록(311)은 스트로브 신호(STRB)를 제1 지연시간만큼 지연하여 제1 지연 스트로브 신호(DSTRB1)를 생성할 수 있고, 스트로브 신호(STRB)를 제2 지연시간만큼 지연하여 제2 지연 스트로브 신호(DSTRB2)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연시간은 입력 코드신호(INCD<N:0>)의 천이시간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제2 지연시간은 상기 제1 지연시간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지연블록(3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지연블록(211)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검출블록(313)은 스트로브 신호(STRB)와 제1 지연 스트로브 신호(DSTRB1)에 기초하여 입력 코드신호(INCD<N:0>)의 천이 여부를 검출할 수 있고, 그 검출결과에 대응하는 검출 코드신호(D<N:0>)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검출블록(313)은 제1 내지 제N+1 천이 검출부(DET0 ~ DETN)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N+1 천이 검출부(DET0 ~ DETN)는 입력 코드신호(INCD<N:0>)에 포함된 제1 내지 제N+1 입력신호(INCD<N:0>)에 기초하여 검출 코드신호(D<N:0>)에 포함된 제1 내지 제N+1 검출신호(D<N:0>)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N+1 천이 검출부(DET0 ~ DETN)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1 내지 제N+1 천이 검출부(DET0 ~ DETN)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튜닝블록(315)은 제1 및 제2 지연 스트로브 신호(DSTRB1, DSTRB2)와 검출 코드신호(D<N:0>)에 기초하여, 제1 지연 스트로브 신호(DSTRB1)의 토글링 구간이 선택적으로 제한된 제한 스트로브 신호(LSTRB)를 생성할 수 있고, 제1 지연 스트로브 신호(DSTRB1)와 제2 지연 스트로브 신호(DSTRB2)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지연 스트로브 신호(DDSTRB)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튜닝블록(315)은 공통 제어부(ORG), 보상부(IG), 게이팅부(NORG), 및 선택부(MUX)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팅 제어부(ORG)는 검출 코드신호(D<N:0>)에 기초하여 공통 제어신호(CC)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게이팅 제어부(ORG)는 논리합 게이트(OR gate)를 포함할 수 있다. 보상부(IG)는 게이팅 제어부(ORG)의 동작시간에 대응하는 만큼 제1 지연 스트로브 신호(DSTRB1)의 출력 타이밍을 보상하여 보상 스트로브 신호(CSTRB)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보상부(IG)는 직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인버터(i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팅부(NORG)는 공통 제어신호(CC)에 기초하여 보상 스트로브 신호(CSTRB)를 게이팅(gating)하여 제한 스트로브 신호(LSTRB)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게이팅부(NORG)는 부정 논리합 게이트(NOR gate)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부(MUX)는 공통 제어신호(CC)에 기초하여 제1 지연 스트로브 신호(DSTRB1)와 제2 지연 스트로브 신호(DSTRB2) 중 어느 하나를 지연 스트로브 신호(DDSTRB)로써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선택부(MUX)는 다중화기(multiplexer)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블록(317)은 모드 선택신호(SEL)에 기초하여 제한 스트로브 신호(LSTRB)와 지연 스트로브 신호(DDSTRB) 중 어느 하나를 튜닝 스트로브 신호(SSTRB)로써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선택블록(317)은 다중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300)의 동작을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에는 도 7에 도시된 반도체 장치(300)의 동작을 제1 모드에 따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도 7에 도시된 반도체 장치(300)의 동작을 제2 모드에 따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모드에 따른 반도체 장치(300)의 동작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100)의 동작과 거의 동일하고(도 3 참조), 상기 제2 모드에 따른 반도체 장치(300)의 동작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200)의 동작과 거의 동일하므로(도 6 참조), 상기 제1 및 제2 모드에 따른 반도체 장치(300)의 동작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제1 모드는 로우 논리 레벨의 모드 선택신호(SEL)가 생성되는 경우에 대응할 수 있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생성되는 튜닝 스트로브 신호(SSTR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도시된 제한 스트로브 신호(LSTRB)에 대응함에 유의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모드는 하이 논리 레벨의 모드 선택신호(SEL)가 생성되는 경우에 대응할 수 있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생성되는 튜닝 스트로브 신호(SSTR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도시된 지연 스트로브 신호(DDSTRB)에 대응함에 유의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트로브 신호와 무관한 타이밍에 생성(또는 업데이트)되는 입력 코드신호를 항상 정상적으로 래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으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반도체 장치 110 : 제1 회로
111 : 지연블록 113 : 검출블록
115 : 제한블록 120 : 제2 회로

Claims (21)

  1. 입력 코드신호의 변화에 따라 스트로브 신호의 토글링 구간을 제한하여 제한 스트로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회로; 및
    상기 제한 스트로브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코드신호를 동기화하기 위한 제2 회로
    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는 상기 스트로브 신호가 토글링할 때마다 상기 입력 코드신호의 천이(transition) 여부를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스트로브 신호의 한 주기의 토글링 구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반도체 장치.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는,
    상기 스트로브 신호를 예정된 지연시간만큼 지연하여 지연 스트로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지연블록;
    상기 스트로브 신호와 상기 지연 스트로브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코드신호의 천이 여부를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에 대응하는 검출 코드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검출블록; 및
    상기 검출 코드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지연 스트로브 신호의 토글링 구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제한블록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시간은 상기 입력 코드신호의 천이시간보다 길게 설정된 반도체 장치.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천이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천이 검출부는,
    상기 스트로브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코드신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신호를 제1 래치신호로써 래치하기 위한 제1 래치;
    상기 지연 스트로브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신호를 제2 래치신호로써 래치하기 위한 제2 래치; 및
    상기 제1 래치신호의 논리 레벨과 상기 제2 래치신호의 논리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검출 코드신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검출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비교기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블록은,
    상기 검출 코드신호에 기초하여 게이팅 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게이팅 제어부;
    상기 게이팅 제어부의 동작시간에 대응하는 만큼 상기 지연 스트로브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보상하여 보상 스트로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보상부; 및
    상기 게이팅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보상 스트로브 신호를 게이팅(gating)하여 상기 제한 스트로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게이팅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로는 상기 제한 스트로브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코드신호의 이전 값을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입력 코드신호의 현재 값을 래치하는 반도체 장치.
  8. 입력 코드신호의 변화에 따라 스트로브 신호를 제1 지연시간 또는 제2 지연시간만큼 지연하여 지연 스트로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회로; 및
    상기 지연 스트로브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코드신호를 동기화하기 위한 제2 회로
    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는 상기 스트로브 신호가 토글링할 때마다 상기 입력 코드신호의 천이(transition) 여부를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스트로브 신호를 상기 제1 지연시간 또는 제2 지연시간만큼 지연하는 반도체 장치.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는,
    상기 스트로브 신호를 상기 제1 지연시간만큼 지연하여 제1 지연 스트로브 신호와, 상기 스트로브 신호를 상기 제2 지연시간만큼 지연하여 제2 지연 스트로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지연블록;
    상기 스트로브 신호와 상기 제1 지연 스트로브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코드신호의 천이 여부를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에 대응하는 검출 코드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검출블록; 및
    상기 검출 코드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지연 스트로브 신호와 상기 제2 지연 스트로브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지연 스트로브 신호로써 선택하기 위한 선택블록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연시간은 상기 입력 코드신호의 천이시간보다 길게 설정되고,
    상기 제2 지연시간은 상기 제1 지연시간보다 길게 설정되는 반도체 장치.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블록은,
    상기 스트로브 신호를 상기 제1 지연시간만큼 지연하여 상기 제1 지연 스트로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지연부; 및
    상기 제1 지연 스트로브 신호를 제3 지연시간 - 상기 제2 지연시간에서 상기 제1 지연시간만큼 뺀 시간을 포함함 - 만큼 지연하여 상기 제2 지연 스트로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지연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천이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천이 검출부는,
    상기 스트로브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코드신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신호를 제1 래치신호로써 래치하기 위한 제1 래치;
    상기 지연 스트로브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신호를 제2 래치신호로써 래치하기 위한 제2 래치; 및
    상기 제1 래치신호와 상기 제2 래치신호의 논리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검출 코드신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검출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비교기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블록은,
    상기 검출 코드신호에 기초하여 선택 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선택 제어부; 및
    상기 선택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지연 스트로브 신호와 상기 제2 지연 스트로브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지연 스트로브 신호로써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5. 모드 선택신호와 입력 코드신호에 기초하여, 스트로브 신호의 토글링 구간을 제한하여 튜닝 스트로브 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스트로브 신호를 예정된 지연시간만큼 지연하여 상기 튜닝 스트로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회로; 및
    상기 튜닝 스트로브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코드신호를 동기화하기 위한 제2 회로
    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는,
    상기 스트로브 신호를 제1 지연시간만큼 지연하여 제1 지연 스트로브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스트로브 신호를 제2 지연시간만큼 지연하여 제2 지연 스트로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지연블록;
    상기 스트로브 신호와 상기 제1 지연 스트로브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코드신호의 천이(transition) 여부를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에 대응하는 검출 코드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검출블록;
    상기 제1 및 제2 지연 스트로브 신호와 상기 검출 코드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지연 스트로브 신호의 토글링 구간이 선택적으로 제한된 제한 스트로브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지연 스트로브 신호와 상기 제2 지연 스트로브 신호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지연 스트로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튜닝블록; 및
    상기 모드 선택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한 스트로브 신호와 상기 지연 스트로브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튜닝 스트로브 신호로써 선택하기 위한 선택블록
    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블록은 상기 스트로브 신호가 토글링할 때마다 상기 입력 코드신호의 천이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튜닝블록은 상기 검출 코드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스트로브 신호의 한 주기의 토글링 구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여 상기 제한 스트로브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스트로브 신호를 상기 제1 지연시간 또는 제2 지연시간만큼 지연하여 상기 지연 스트로브 신호를 생성하는 반도체 장치.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천이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천이 검출부는,
    상기 스트로브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코드신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신호를 제1 래치신호로써 래치하기 위한 제1 래치;
    상기 제1 지연 스트로브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신호를 제2 래치신호로써 래치하기 위한 제2 래치; 및
    상기 제1 래치신호와 상기 제2 래치신호의 논리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검출 코드신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검출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비교기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블록은,
    상기 검출 코드신호에 기초하여 공통 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공통 제어부;
    상기 공통 제어부의 동작시간에 대응하는 만큼 상기 제1 지연 스트로브 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보상하여 보상 스트로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보상부;
    상기 공통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보상 스트로브 신호를 게이팅(gating)하여 상기 제한 스트로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게이팅부; 및
    상기 공통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지연 스트로브 신호와 상기 제2 지연 스트로브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지연 스트로브 신호로써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연시간은 상기 입력 코드신호의 천이시간보다 길게 설정되고,
    상기 제2 지연시간은 상기 제1 지연시간보다 길게 설정되는 반도체 장치.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스트로브 신호가 상기 튜닝 스트로브 신호로써 선택될 때, 상기 제2 회로는 상기 튜닝 스트로브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코드신호의 이전 값을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입력 코드신호의 현재 값을 래치하는 반도체 장치.





KR1020170026200A 2017-02-28 2017-02-28 반도체 장치 KR102617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200A KR102617240B1 (ko) 2017-02-28 2017-02-28 반도체 장치
US15/725,877 US10110228B2 (en) 2017-02-28 2017-10-05 Semiconductor device
CN201711318414.9A CN108512533B (zh) 2017-02-28 2017-12-12 半导体器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200A KR102617240B1 (ko) 2017-02-28 2017-02-28 반도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998A KR20180099998A (ko) 2018-09-06
KR102617240B1 true KR102617240B1 (ko) 2023-12-27

Family

ID=63246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200A KR102617240B1 (ko) 2017-02-28 2017-02-28 반도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10228B2 (ko)
KR (1) KR102617240B1 (ko)
CN (1) CN1085125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6795B1 (en) * 2017-10-11 2019-04-09 Micron Technology, Inc. Pipelined latches to prevent metastability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0346A (en) * 1985-05-10 1987-10-13 Tandem Computers Incorporated Self-checking, dual railed, leading edge synchronizer
US5128970A (en) * 1990-12-20 1992-07-07 Unisys Corporation Non-return to zero synchronizer
KR100252048B1 (ko) * 1997-11-18 2000-05-01 윤종용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데이터 마스킹 회로 및 데이터 마스킹방법
US20040225976A1 (en) * 2002-05-30 2004-11-11 Cheung Daniel Y. Glitch free programmable delay line for edge sensitive design
US7543172B2 (en) * 2004-12-21 2009-06-02 Rambus Inc. Strobe masking in a signaling system having multiple clock domains
CN100336370C (zh) * 2005-02-25 2007-09-05 西安邮电学院 Sdh帧头检测及数据重排电路
KR101010649B1 (ko) * 2006-12-05 2011-01-24 후지쯔 세미컨덕터 가부시키가이샤 디지털 dll 회로
TWI351198B (en) * 2007-12-26 2011-10-21 Altek Corp Delay apparatus for phase adjustment under smia
JP2014109453A (ja) * 2012-11-30 2014-06-12 Renesas Electronics Corp 半導体装置
KR20140080382A (ko) * 2012-12-20 2014-06-3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파라미터를 제어할 수 있는 테스트를 수행하는 반도체메모리장치 및 반도체시스템
KR102059914B1 (ko) * 2013-08-30 2020-02-1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스트로브 신호 생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메모리 장치
KR102089488B1 (ko) 2013-10-14 2020-03-1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CN103873031B (zh) * 2014-03-06 2016-06-01 无锡力芯微电子股份有限公司 非时钟触发寄存器
KR20160054793A (ko) * 2014-11-07 2016-05-1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998A (ko) 2018-09-06
CN108512533B (zh) 2022-06-28
US10110228B2 (en) 2018-10-23
CN108512533A (zh) 2018-09-07
US20180248549A1 (en) 201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2312A (ko) 지연 고정 루프 회로 및 그의 구동 방법
TWI603586B (zh) 時脈延遲偵測電路
KR102001692B1 (ko) 멀티 채널 지연 고정 루프
KR20140029738A (ko) 지연 고정 루프 회로 및 그 지연 고정 방법
US201301411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uty cycle calibration
US8291257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compensate for injection locking
KR101196706B1 (ko) 지연 고정 루프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TW201622349A (zh) 高精度之電容式開關
KR102617240B1 (ko) 반도체 장치
KR100878259B1 (ko) 위상 검출기, 이를 포함하는 지연 고정 루프 및 이를구동하는 방법
WO2016150182A1 (zh) 一种锁相环中的时间数字转换器
KR100925393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도메인 크로싱 회로
KR20100062547A (ko) 지연고정루프회로
KR20120119441A (ko) 레이턴시 조절 회로,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레이턴시 조절 방법
JP6631117B2 (ja) 半導体装置、デマルチプレクサ、半導体回路、データ処理方法及び検査方法
KR101074453B1 (ko) 지연 동기 루프 및 그것의 지연 동기 방법
US10014849B2 (en) Clock detectors and methods of detecting clocks
KR20120111074A (ko) 내부 클럭 신호 생성 회로 및 그의 동작 방법
US8907709B1 (en) Delay difference detection and adjustment device and method
KR102002466B1 (ko) 디지털 카운터
KR100845784B1 (ko) 지연 고정 루프의 지연 장치
US8270557B2 (en)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10158351B1 (en) Skew control apparatus and algorithm using a low pass filter
KR20110075357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dll 회로
KR100935605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도메인 크로싱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