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935B1 - 무대 제어 장치, 무대 제어 방법 및 무대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대 제어 장치, 무대 제어 방법 및 무대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935B1
KR102616935B1 KR1020220097376A KR20220097376A KR102616935B1 KR 102616935 B1 KR102616935 B1 KR 102616935B1 KR 1020220097376 A KR1020220097376 A KR 1020220097376A KR 20220097376 A KR20220097376 A KR 20220097376A KR 102616935 B1 KR102616935 B1 KR 102616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tage
baten
batte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7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진섭
임형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시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시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시스텍
Priority to KR1020220097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63J2001/02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wound up when not in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AREA)

Abstract

무대 제어 장치, 무대 제어 방법 및 무대 제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대 제어 장치는, 무대 관리자로부터 입력되는 무대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무대 설비 중 적어도 하나의 무대 설비를 제어 대상으로 설정하고, 각 제어 대상에 대한 조작 정보를 나타내는 제어 명령을 출력하는 제어 데스크 및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각 제어 대상의 바텐의 이동을 위해 각 제어 대상의 모터 어셈블리를 동작시키도록 유도하는 제어 신호를 각 제어 대상의 모터 구동부에게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데스크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각 제어 대상의 모터 어셈블리에 의해 이동 중인 각 제어 대상의 바텐의 위치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한다.

Description

무대 제어 장치, 무대 제어 방법 및 무대 제어 시스템{STAGE CONTROL APPARATUS, STAGE CONTROL METHOD, AND STAGE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무대 설비를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연장 내 다수의 바텐을 공연 상황에 맞춰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다수의 무대 설비를 공연장의 무대 관리자의 의도에 따라 개별적으로 또는 둘 이상의 무대 설비를 동시에 제어하는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연극, 뮤지컬, 오페라, 서커스, 콘서트와 같은 다양한 장르의 무대 예술을 접하기 위해 공연장을 찾는 관객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되고 있다.
공연장 내 여러 무대 설비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무대 예술의 진행 상황에 맞춰 각 무대 설비를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관객 편의 증대, 몰입감 향상 및 무대 관리 효율화를 꾀할 수 있다.
무대 관람 환경에 큰 영향을 주는 각종 무대 연출 기구(예, 커튼, 스크린, 조명 기구, 음향 기구, 스모그 발생 기구 등) 각각은 무대 설비의 바텐에 결합되어 있으며, 무대 관리자는 무대 예술의 진행 순서에 맞춰 공연장 내 특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어 패널을 이용하여 무대 설비를 원격으로 제어함으로써, 무대 연출 기구별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기존의 무대 설비 조작용 제어 패널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약을 가진다. 첫 번째 제약은, 기존의 제어 패널은 단지 무대 연출 기구의 이동 방향(즉, 바텐의 이동 방향)을 지시 가능할 뿐이어서, 무대 관리자가 이동 중인 무대 연출 기구나 바텐을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여 눈 대중으로 그 위치를 파악해야 한다는 점이다. 두 번째 제약은, 기존의 제어 패널은 무대 관리자가 한 번에 하나의 무대 연출 기구만을 제어 가능하여, 둘 이상의 무대 연출 기구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는 점이다. 세 번째 제약은, 기존의 제어 패널은 공연장 내 특정 위치(예, 벽면)에 고정 부착되도록 제공되어, 무대 관리자가 무대 상황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시야 확보가 어려운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무대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하는 무대 설비의 바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무대 관리자에게 안내하는 장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 가능한 무대 연출 기구의 리스트를 무대 관리자에게 안내하고, 무대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둘 이상의 무대 연출 기구의 무대 내 위치를 동시에 제어 가능한 장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대 관리자에 의해 공연장 내에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무대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대 제어 장치는 복수의 무대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각 무대 설비는, 무대 연출 기구에 결합된 바텐에 와이어 세트를 통해 연결되는 모터 어셈블리, 및 상기 와이어 세트가 상기 모터 어셈블리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상기 모터 어셈블리를 동작시키는 모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무대 제어 장치는, 무대 관리자로부터 입력되는 무대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무대 설비 중 적어도 하나의 무대 설비를 제어 대상으로 설정하고, 각 제어 대상에 대한 조작 정보를 나타내는 제어 명령을 출력하는 제어 데스크 및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각 제어 대상의 바텐의 이동을 위해 상기 모터 어셈블리를 동작시키도록 유도하는 제어 신호를 각 제어 대상의 모터 구동부에게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데스크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각 제어 대상의 모터 어셈블리에 의해 이동 중인 각 제어 대상의 바텐의 위치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어 명령이 각 제어 대상의 바텐의 이동 방향을 지시하는 경우, 각 제어 대상의 모터 어셈블리를 상기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회전 방향으로 동작시키도록 유도하는 제어 신호를 각 제어 대상의 모터 구동부에게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어 명령이 각 제어 대상의 바텐의 희망 위치를 지시하는 경우, 각 제어 대상의 바텐이 상기 희망 위치로 이동하는 데에 요구되는 이동 방향 및 제어 시간을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각 제어 대상의 모터 어셈블리를 상기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회전 방향으로 동작시키도록 유도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 시간 동안 각 제어 대상의 모터 구동부에게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데스크는, 무대 관리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복수의 무대 설비 각각의 바텐의 가동 범위 및 기준 이동 시간을 기록할 수 있다. 상기 가동 범위의 상한 및 하한은 각각 상기 바텐과 무대 내 특정 지점 간의 거리가 최대인 때의 상기 바텐의 제1 기준 위치와, 상기 바텐과 무대 내 특정 지점 간의 거리가 최소인 때의 상기 바텐의 제2 기준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기준 이동 시간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바텐이 상기 제1 기준 위치와 상기 제2 기준 위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이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사전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각 제어 대상에 대하여, 상기 제1 기준 위치와 상기 제2 기준 위치 간의 차이를 상기 기준 이동 시간으로 나눈 값과 동일하게 상기 바텐의 기준 이동 속도를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각 제어 대상에 대하여, 상기 바텐의 현 위치와 상기 희망 위치 간의 차이를 상기 기준 이동 속도로 나눈 값과 동일하도록 상기 제어 시간을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데스크는, 무대 관리자로부터 입력되는 시간 보정값을 더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시간 보정값은, 상기 복수의 무대 설비 각각의 모터 어셈블리가 제1 회전 방향으로 동작 시의 제1 타임 딜레이 및 제2 회전 방향으로 동작 시의 제2 타임 딜레이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각 제어 대상에 대하여, 상기 제1 기준 위치와 상기 제2 기준 위치 간의 차이를 상기 기준 이동 시간으로 나눈 값과 동일하게 각 제어 대상의 바텐의 기준 이동 속도를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각 제어 대상에 대하여, 상기 이동 방향이 상기 제1 회전 방향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바텐의 현 위치와 상기 희망 위치 간의 차이를 상기 기준 이동 속도로 나눈 값에 상기 제1 타임 딜레이를 합산한 값과 동일하도록 상기 제어 시간을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각 제어 대상에 대하여, 상기 이동 방향이 상기 제2 회전 방향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바텐의 현 위치와 상기 희망 위치 간의 차이를 상기 기준 이동 속도로 나눈 값에 상기 제2 타임 딜레이를 합산한 값과 동일하도록 상기 제어 시간을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각 제어 대상의 모터 구동부에 대한 상기 제어 신호의 출력 중에, 상기 제어 신호의 출력 시간 및 상기 기준 이동 속도를 기초로, 각 제어 대상의 바텐의 위치를 연산하고, 각 제어 대상의 바텐에 대해 연산된 위치를 상기 제어 데스크에게 통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데스크는, 각 제어 대상의 바텐에 대해 연산된 위치를 지시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각 제어 대상의 모터 어셈블리에 대한 상기 제어 신호의 출력 시간이 상기 제어 시간에 도달 시, 각 제어 대상의 모터 구동부에 대한 상기 제어 신호의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소정의 초기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복수의 무대 설비 각각에 마련된 바텐을 상기 제1 기준 위치 또는 상기 제2 기준 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유도하는 초기화 신호를 상기 복수의 무대 설비 각각의 모터 구동부에게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무대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하는 무대 설비의 바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무대 관리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대 설비의 바텐의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인코더(encoder) 등의 센서들이 불필요하여 저가로 구현될 수 있고, 무대 관리자는 무대 상황을 직접 관찰하지 않고도 무대 설비 별 바텐의 위치를 원하는 대로 정확히 제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어 가능한 무대 연출 기구의 리스트를 무대 관리자에게 안내하고, 무대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둘 이상의 무대 연출 기구의 무대 내 위치를 동시에 제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한 번에 하나의 무대 연출 기구의 위치만을 제어 가능한 기존의 방식에 비하여, 무대 연출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관객에게 인상 깊은 관람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무대 제어 장치가 무대 관리자에 의해 공연장 내에서 자유로운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됨으로써, 무대 관리자가 시야 방해없이 공연 진행 상황에 맞춰 여러 무대 연출 기구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대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특정 무대 설비의 바텐과 모터 어셈블리 간의 연결 관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대 설비의 모터 어셈블리와 모터 구동부 간의 연결 관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무대 제어 장치의 제어 데스크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어 데스크에서 제공하는 로그인 화면을 예시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어 데스크에서 제공하는 비밀번호 변경 화면을 예시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어 데스크에서 제공하는 무대 설비 설정 화면을 예시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제어 데스크에서 제공하는 무대 제어 화면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제어 데스크에서 제공하는 무대 제어 화면의 다른 예를 보여준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제어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대 제어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대 제어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 어느 하나를 나머지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고, 그러한 용어들에 의해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대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특정 무대 설비의 바텐과 모터 어셈블리 간의 연결 관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대 설비의 모터 어셈블리와 모터 구동부 간의 연결 관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무대 제어 장치의 제어 데스크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시스템(10)은 복수의 무대 연출 기구(20), 복수의 무대 설비(100) 및 무대 제어 장치(200)를 포함한다.
복수의 무대 설비(100)는, 복수의 무대 연출 기구(20)에 일대일 결합되도록 제공된다. 무대 설비(100)는, 그에 결합된 무대 연출 기구(20)의 무대 내 위치가 변경되도록 무대 연출 기구(20)를 이동시킨다. 무대 연출 기구(20)는 예를 들어 커튼, 스크린, 조명 기구, 음향 기구, 스모그 발생 기구 등과 같이 각종 무대 효과를 부여하는 수단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무대 설비(100)는, 그에 결합되는 무대 연출 기구(20)까지 포함하는 용어일 수 있다.
무대 설비(100)는, 바텐(110), 와이어 세트(120), 모터 어셈블리(130) 및 모터 구동부(140)를 포함한다. 도 2는 무대 연출 기구(20)로서의 커튼을 무대 바닥에서 수직축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무대 설비(100)를 예시하고 있다.
바텐(110)은, 무대 연출 기구(20)가 직접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미리 정해진 이동축에 대응하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바(BAR) 형상, 사다리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텐(110)은, 그에 결합된 무대 연출 기구(20)의 하중을 지지하며, 무대 지면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예, 수평, 수직)를 유지하면서 그 위치가 변화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텐(110)과 그에 결합되는 무대 연출 기구(20)의 상대적인 위치는 고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바텐(110)의 위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은 무대 연출 기구(20)의 위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을 등가적으로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와이어 세트(120)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121)를 포함하며, 각 와이어(121)의 일 단부는 바텐(110)에 고정 연결되고 타 단부는 모터 어셈블리(130)에 고정 연결된다. 와이어(121)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중간 지점은, 무대에 설치된 도르레(30, '활차'라고 칭할 수도 있음)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130)는, 모터 구동부(140)에 의해 동작 가능한 것으로서, 모터(131) 및 드럼(132)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리미터(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131)는, 3상 유도 모터일 수 있으며, 동작 중에 모터(131)의 회전축은 정속으로 회전할 수 있다. 모터(131)는, 모터 구동부(140)의 전원부(141)로부터 3상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제1 회전 방향(정방향) 또는 제2 회전 방향(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모터 구동부(140)는, 전원부(141)의 전력선(R, S, T)와 모터(131)의 전력선(U, V, W) 간의 결선 관계를 변경함으로써, 모터(131)의 회전축의 회전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130)는 모터(131)에 결합되는 감속기를 포함할 수 있다. 감속기는 모터(131)로부터 드럼(132)으로 전달되는 출력 회전수를 일정 비율로 감소시키는 한편 출력 토크를 증가시키는 구성이다. 일 예로, 모터(131)의 회전축이 분 당 10회 정속 회전하는 경우, 감속 비율이 1/2인 감속기에 의해 드럼(132)은 분 당 5회 정속 회전하게 된다. 물론, 모터(131)의 회전 속도에 대한 감속이나 회전 토크의 증가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감속기를 생략할 수도 있다.
드럼(132)은, 모터(131) 또는 감속기의 회전축과 동일 회전축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감속기는 그 종류(예, 웜기어 타입 등)에 따라, 2 이상의 회전축을 가질 수 있으며, 2 이상의 회전축 중 어느 하나는 모터(132)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드럼(132)의 회전축에 결합될 수도 있다. 모터(131)의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감속기에 구비된 2 이상의 회전축이 서로 맞물려 회전됨으로써, 감속기의 어느 한 회전축에 결합된 드럼(132)의 회전축 또한 회전될 수 있다. 드럼(132)에는 와이어 세트(120)에 포함된 와이어 개수 이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와이어(121) 별 단부는 홈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드럼(132)은 모터(131)의 동작 중에 모터(131)의 회전축과 함께 등속도로 회전하고, 와이어 세트(120)의 각 와이어는 드럼(132)에 의해 가이드된 채로 감기거나 풀리게 된다. 이에 따라, 바텐(110)이 무대 내에서 이동하면서 그 위치가 변화하게 된다.
리미터(133)는, 적어도 하나의 리미트 스위치(또는 근접센서, 포토센서 등 위치 변화 감지 목적의 센서 등)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벨트 등을 통해 모터(131) 및/또는 드럼(132)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모터(131)의 정방향 회전과 역방향 회전을 각각 모니터링하면서, 모터(131)의 정방향 회전량과 역방향 회전량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모터(131)의 정방향 회전량이 리미터(133)에 설정된 제1 제한값에 도달하거나 모터(131)의 역방향 회전량이 리미터(133)에 설정된 제2 제한값에 도달시, 리미터(133)는 모터 구동부(140)에게 구동 정지 신호를 출력한다. 리미터(133)의 회전축에는 모터(13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왕복 운동하는 이동 부재가 결합되어 있다. 모터(131)가 정방향(예,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리미터(133)의 이동 부재가 회전축의 일 단부를 향하여 직선 이동 중에 리미터(133)의 제1 리미트 스위치의 레버를 가압(*센서의 종류에 따라서 센싱 방식이 달라 질 수 있다)하게 되면, 모터의 정방향 회전을 정지시키는 구동 정지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반대로, 모터(131)가 역방향(예,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리미터(133)의 이동 부재가 회전축의 타 단부를 향하여 직선 이동 중에 리미터(133)의 제2 리미트 스위치의 레버를 가압하게 되면, 모터의 역방향 회전을 정지시키는 구동 정지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모터 구동부(140)는 구동 정지 신호에 응답하여 모터(131)에 대한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모터(131)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 접촉기(143)가 턴 온되어 모터(131)가 정방향 회전 중에 리미터(133)에 설정된 제1 제한값에 도달 시, 제1 접촉기(143)는 구동 정지 신호에 의해 턴 오프된다. 다른 예로, 제2 접촉기(145)가 턴 온되어 모터(131)가 역방향 회전 중에 리미터(133)에 설정된 제2 제한값에 도달 시, 제2 접촉기(145)는 구동 정지 신호에 의해 턴 오프된다.
모터 구동부(140)는, 전원부(141), 제1 접촉기(143) 및 제2 접촉기(145)를 포함한다.
전원부(141)는, 모터(131)의 동작에 요구되는 3상 교류 전원을 공급한다.
제1 접촉기(143)는, 제어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턴 온)되어 있는 동안, 모터(131)가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전원부(141)로부터의 3상 교류 전력을 모터(131)에 연결(공급)한다. 도 3에서는, 제1 접촉기(143)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전원부(141)의 R선, S선 및 T선이 모터(131)의 U선, V선 및 W선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2 접촉기(145)는, 제어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있는 동안, 모터(131)가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전원부(141)로부터의 3상 교류 전력을 모터(131)에 연결(공급)한다. 도 3에서는, 제2 접촉기(145)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전원부(141)의 R선, S선 및 T선이 모터(131)의 U선, W선 및 V선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전원부(141)와 모터(131) 간의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접촉기(143)와 제2 접촉기(145)는 둘 다 디스에이블(턴 오프)될 수 있으나, 어느 하나가 인에이블되어 있는 때는 다른 하나는 디스에이블되도록 제어된다.
전원부(141), 제1 접촉기(143) 및 제2 접촉기(145) 중 적어도 하나는, 본 발명에 따른 무대 제어 시스템(10)이 설치되는 공연장 내의 분전반에 배치될 수 있다.
무대 제어 장치(200)는, 제어 데스크(210) 및 컨트롤러(230)를 포함한다.
제어 데스크(210)는, 물리적으로는 정보 입출력부(211), 정보 저장부(213), 정보 처리부(215) 및 통신부(217)가 구비된 본체를 포함하고, 본체에 결합되어 이동성을 부여하는 이동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기구는, 본체의 하부에 마련된 복수의 휠(wheel)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입출력부(211)는, 무대 설비(100)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무대 관리자로부터 입력받거나 무대 관리자에게 출력(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정보 입출력부(211)는, 예컨대 터치 패널, 키보드, 조이스틱, 버튼, 마이크로폰 등와 같은 공지의 입력 수단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정보 입출력부(211)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광원, 진동기 등과 같은 공지의 입력 수단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한다. 참고로, 터치 패널은, 정보 입력 수단임과 동시에 정보 출력 수단이다.
정보 저장부(213)는, 복수의 무대 설비(100)의 제어를 위해 요구되는 정보를 저장(기록)한다. 정보 저장부(213)는, 하드웨어적으로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저장부(21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대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들 중 적어도 일부가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가 포함될 수 있다.
정보 저장부(213)는, 복수의 무대 설비(100) 각각의 바텐(110)의 가동 범위 및 기준 이동 시간을 기록할 수 있다. 바텐(110)의 가동 범위 및 기준 이동 시간은, 무대 관리자로부터 정보 입출력부(211)를 통해 입력된 것일 수 있다.
특정 무대 설비(100)에 있어서, 가동 범위의 상한 및 하한은 각각 바텐(110)과 무대 내 특정 지점(예, 바닥면, 천장 그리드 등) 간의 거리가 최대인 때의 바텐(110)의 제1 기준 위치와, 바텐(110)과 무대 내 특정 지점 간의 거리가 최소인 때의 바텐(110)의 제2 기준 위치를 나타낸다. 제1 기준 위치와 제2 기준 위치는 무대에 대한 연출 효과 및 작업 편의성 그리고 안전 거리 확보 등을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바텐(110)이 바닥면에 대해 수직하게 승강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제1 기준 위치(H1)는 바닥으로부터의 바텐(110)의 최대 높이를 나타내고, 제2 기준 위치(H2)는 바닥으로부터의 바텐(110)의 최소 높이를 나타내며, 바텐(110)의 가동 범위는 제1 기준 위치(H1) 및 제2 기준 위치(H2)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까지이다. 기준 이동 시간은, 모터 어셈블리(130)에 의해 바텐(110)이 제1 기준 위치(H1)와 제2 기준 위치(H2)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이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일 수 있으며, 모터(131)의 회전 속도에 의존한다. 참고로, 제1 기준 위치(H1)는 리미터(133)의 제1 제한값에 대응하고, 제2 기준 위치(H2)는 리미터(133)의 제2 제한값에 대응할 수 있다.
무대 관리자는, 무대 제어 장치(200)의 최초 설치 시에 또는 점검 시에, 바텐(110) 별로 가동 범위의 상한 및 하한 그리고 기준 이동 시간을 측정하고, 이를 정보 입출력부(211)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모터(131)의 회전 속도는 그에 결합된 무대 연출 기구(20)와 바텐(110) 그리고 와이어 세트(120)의 무게 등에 따라 미소하게 나마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무대 관리자는 모터(131)의 회전 속도에 영향을 주는 이벤트가 발생 시에 바텐(100) 별 기준 이동 시간을 새로이 측정하여 기존의 기준 이동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정보 처리부(215)는, 정보 입출력부(211)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연관된 각종 기능을 실행하고, 하드웨어적으로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정보 처리부(215)는, 후술된 무대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어를 실행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로그인 화면과 비밀번호 변경 화면을 예시한다. 정보 처리부(215)는, 제어 데스크(210)가 전원 Off 상태로부터 전원 On 상태로 전환 시, 로그인 화면을 출력하도록 정보 입출력부(211)를 제어할 수 있다. 로그인 화면에는, 사용자 ID(아이디) 및 비밀번호의 입력을 위한 입력창이 표시되며, 공연장 식별 정보 및 날짜 정보 등의 부가 정보가 추가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정보 저장부(213)에는 제어 데스크(210)에 접근 가능한 무대 관리자 별 비밀번호와 그에 매핑된 권한 레벨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정보 처리부(215)는, 로그인 화면의 출력 중에 정보 입출력부(211)를 통해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정보 저장부(213)에서 조회하고, 동일 비밀번호가 존재하는 경우 그에 매핑된 권한 레벨에 대응하는 사용 권한을 무대 관리자에게 허용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비밀번호에 매핑된 사용 권한은, 복수의 무대 설비(100) 중 무대 관리자가 제어 가능한 몇몇 무대 설비를 정의할 수 있다.
로그인 화면에는 아이디 찾기 버튼 및 비밀번호 찾기 버튼이 표시될 수 있고, 무대 관리자는 아이디나 비밀번호를 분실 시에 해당 버튼을 선택하여, 아이디나 비밀번호를 찾을 수 있다. 정보 처리부(215)는, 전술된 로그인 화면을 통해 무대 관리자에 대한 로그인 인증이 완료된 후, 무대 관리자의 요청 또는 일정 주기에 따라 비밀번호 변경 화면을 출력하도록 정보 입출력부(211)를 제어할 수 있다. 무대 관리자는, 비밀번호 변경 화면을 통해 현재 비밀번호와 신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비밀번호를 갱신할 수 있다.
도 7은 무대 설비 설정 화면을 예시한다. 정보 처리부(215)는, 정보 입출력부(211)를 통해 무대 관리자로부터의 무대 설비 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무대 설비 설정 화면을 출력하도록 정보 입출력부(211)를 제어할 수 있다.
무대 설비 설정 화면은, 무대 설비(100) 별 바텐(110)의 가동 범위, 기준 이동 시간, 이동축 및 시간 보정값 중 적어도 하나를 무대 설비 설정 정보로서 입력받는 화면이다. 가동 범위 및 기준 이동 시간은 전술된 바와 같다. 이동축은, 무대 설비(100) 별 바텐(110)이 공연장의 특징 지점(예, 바닥면)에 대해 수직하게 이동하도록 설치되었는지 수평하게 이동하도록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시간 보정값은, 복수의 무대 설비(100) 각각의 모터 어셈블리(130)가 제1 회전 방향으로 동작 시의 제1 타임 딜레이 및 제2 회전 방향으로 동작 시의 제2 타임 딜레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미리 정해진 것이다. 각각의 타임 딜레이는 제어 데스크(210)로부터 모터(131)로의 제어 경로 길이와 모터(131) 자체의 동작 특성에 의해 발생되는 것일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130) 별 제1 타임 딜레이와 제2 타임 딜레이는 무대 관리자가 무대 설비(100)를 시험 운전하면서 정보 입출력부(211)를 통한 조작 시점과 모터 어셈블리(130)의 실제 동작 시점을 측정하고, 측정된 두 시점 간의 시간차를 구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미리 정해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무대 설비(100) 별로 바텐(110)이 1개씩 포함되므로, 공연장에 설치된 무대 설비(100)의 개수가 10개인 경우, 무대 설비 설정 화면에는 10개의 바텐(110)을 지시하는 10개의 바텐 아이콘(바텐1~바텐10)과 함께, 무대 설비 설정 정보(가동 범위, 기준 이동 시간, 이동축 및 시간 보정값)의 입력창이 바텐 아이콘 별로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첫번째 바텐 아이콘(바텐1)에서는 제1 기준 위치는 5m, 제2 기준 위치는 0.5m, 기준 이동 시간은 60초, 이동축은 수직, 제1 타임 딜레이는 0.5초, 제2 타임 딜레이는 0.3초로 입력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나머지 두번째 바텐 아이콘(바텐2)부터 열번째 바텐 아이콘(바텐10)에 대한 무대 설비 설정 정보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다.
무대 관리자는 특정 바텐(110)이 제거되거나 고장난 경우, 무대 설비 설정 화면의 바텐 아이콘 별로 근접 표시되는 바텐 삭제 버튼(-)을 선택하여, 특정 바텐(110)을 제어 가능 바텐에서 제거할 수 있다. 무대 관리자는 새로운 바텐이 추가되는 경우, 무대 설비 설정 화면에 표시되는 바텐 추가 버튼(+)을 선택하여, 새로운 바텐에 대한 무대 설비 설정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정보 처리부(215)는, 무대 설비 설정 화면의 입력 완료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무대 설비 설정 화면에 입력된 무대 설비 설정 정보를 정보 저장부(213)에 기록할 수 있다.
도 8은 무대 제어 화면의 일 예를 보여준다. 정보 처리부(215)는, 정보 입출력부(211)를 통해 무대 관리자로부터의 무대 제어 요청에 응답하여, 무대 제어 화면을 출력하도록 정보 입출력부(21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전술된 예와 연관시켜 설명하자면, 무대 제어 화면에는 10개의 바텐 아이콘(바텐1~바텐10), 10개의 바텐 관리창(MW), 완료 버튼 및 제어 시작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무대 관리자는, 10개 바텐 아이콘 중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바텐(110)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텐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바텐(110)1, 바텐(110)2 및 바텐(110)4가 선택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정보 처리부(215)는, 선택된 각각의 바텐 아이콘에 대응하는 바텐 관리창(MW)을 활성화시키도록 정보 입출력부(21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에서 8개의 바텐 아이콘(바텐1~바텐8)에 대응하는 각각의 바텐 관리창(MW)은 세로 방향으로 표시되는 한편, 나머지 2개의 바텐 아이콘(바텐9 및 바텐10)에 대응하는 각각의 바텐 관리창(MW)은 가로 방향으로 표시되고 있다. 이는, 도 7의 무대 설비 설정 화면에서 바텐1~바텐8에 대한 이동축은 '수직'으로 입력되었고 바텐9 및 바텐10의 이동축은 '수평'으로 입력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정보 처리부(215)는, 수직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바텐(110)에 대한 바텐 관리창(MW)은 세로 방향으로 표시하고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바텐(110)에 대한 바텐 관리창(MW)은 가로 방향으로 표시하도록 정보 입출력부(211)를 제어함으로써, 무대 관리자에게 바텐들의 이동축에 대하여 직관적인 정보를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바텐 관리창(MW)에는 그에 대응하는 바텐(110)의 가동 범위를 지시하는 그래픽 객체 및/또는 현 위치를 지시하는 그래픽 객체가 표시될 수 있다. 활성화된 바텐 관리창(MW)에는 바텐(110)의 희망 위치를 지시하는 그래픽 객체가 추가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바텐 관리창(MW)의 최상단(또는 최좌측)에는 제1 기준 위치를 나타내는 수치가 표시될 수 있고, 바텐 관리창(MW)의 최하단(또는 최우측)에는 제2 기준 위치를 나타내는 수치가 표시될 수 있다. 정보 처리부(215)는, 바텐 관리창(MW)에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에 대한 무대 관리자의 입력(예, 터치 앤 드래그)에 따라 바텐(110)의 희망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2개의 바텐 아이콘(바텐1 및 바텐2) 각각에 대한 희망 위치가 현 위치보다 상측으로 지정되었고, 다른 바텐 아이콘(바텐4)에 대한 희망 위치는 현 위치보다 하측으로 지정된 것을 예시한다.
무대 관리자는, 10개 바텐 아이콘 중에서 적어도 하나(도 8에서는 '바텐1', '바텐2', '바텐4')를 선택한 후, 무대 제어 화면의 선택 완료 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정보 처리부(215)는, 정보 입출력부(211)를 통해 선택 완료 버튼이 선택된 것을 감지 시, 바텐1, 바텐2 및 바텐4 각각에 대응하는 무대 설비(100) 3개를 제어 대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정보 처리부(215)는, 무대 제어 화면의 제어 시작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 대상으로 설정된 무대 설비(100)의 리스트 및 제어 대상 별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명령을 컨트롤러(230)에게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대상 별 조작 정보는 바텐(110)의 이동 방향을 포함하고 희망 위치 및 이동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230)는, 제어 명령에 따라 각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를 실시하며, 이에 따라 각 제어 대상의 바텐(110)에 대응하는 바텐 관리창(MW) 내에서 바텐(110)의 현 위치를 지시하는 그래픽 객체는 희망 위치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에 점차 근접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각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가 진행되는 중에, 제어 대상 별 바텐(110)의 현 위치와 희망 위치 간의 거리차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가 바텐 관리창(MW)에 추가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9는 무대 제어 화면의 다른 예를 보여준다. 도 9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8의 무대 제어 화면과 공통된 내용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9를 참조하면, 무대 제어 화면에는 바텐 관리창(MW)에 바텐(110)의 희망 위치를 지시하는 그래픽 객체가 생략되는 대신, 제1 방향 버튼(D1) 및 제2 방향 버튼(D2)이 표시될 수 있다. 제1 방향 버튼(D1)은 상측 방향 및 좌측 방향에 대응하고, 제2 방향 버튼(D2)은 하측 방향 및 우측 방향에 대응한다.
정보 처리부(215)는, 바텐1, 바텐2 및 바텐4 각각에 대응하는 무대 설비(100)가 제어 대상으로 설정된 후, 제1 방향 버튼(D1) 및 제2 방향 버튼(D2) 중 어느 하나가 이동 방향으로 선택된 상태에서 제어 시작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 대상으로 설정된 무대 설비(100)의 리스트 및 제어 대상 별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정보 처리부(215)는, 제1 방향 버튼(D1) 및 제2 방향 버튼(D2) 대신, 정보 입출력부(211)에 구비된 조이스틱을 통해 입력되는 방향 지시 정보를 기초로, 제어 대상에 공통 적용되는 이동 방향을 식별할 수도 있다.
이때, 도 8에서와는 달리, 제어 대상 별 조작 정보는 바텐(110)의 이동 방향을 지시하는 한편 바텐(110)희망 위치 및 이동 거리를 포함하지 않는다. 바텐1, 바텐2 및 바텐4에 대응하는 3개의 바튼(110)의 이동축은 모두 '수직'이므로, 제1 방향 버튼(D1)이 선택된 경우에는 바텐1, 바텐2 및 바텐4에 대응하는 3개의 바튼(110) 모두 상측으로 이동하고, 제2 방향 버튼(D2)이 선택된 경우에는 제어 명령에 의해 바텐1, 바텐2 및 바텐4에 대응하는 3개의 바튼(110) 모두 하측으로 이동할 것이다.
통신부(217)는, 컨트롤러(230)와 유무선 채널을 통해 접속된다. 통신부(217)는, 정보 처리부(215)에 의해 생성된 제어 대상 별 조작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명령을 컨트롤러(230)에게 출력한다. 제어 대상 별 조작 정보에는, 제어 대상에 구비된 바텐(110)의 현 위치(즉, 조작 정보의 입력 시각에서의 위치)가 포함될 수 있다.
컨트롤러(230)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로 구현될 수 있다. 컨트롤러(230)는, 제어 데스크(210)가 출력한 제어 명령으로부터 복수의 무대 설비(100) 중에서 제어 대상을 식별하고, 각 제어 대상에 대한 조작 정보를 기초로 각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컨트롤러(230)는 공연장의 분전반 내에 설치될 수 있고 유선 통신 케이블을 통해 제어 데스크(210)에 접속될 수 있다. 한편, 공연장의 분전반 내에 공간적 여유가 없을 경우, 컨트롤러(230)는 외부의 별도의 분전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각 제어 대상에 대한 조작 정보에 이동 방향이 포함되지만 희망 위치 및 이동 거리는 포함되지 않은 경우, 컨트롤러(230)는 그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회전 방향으로 모터 어셈블리(130)를 동작시키도록 유도하는 제어 신호를 각 제어 대상의 모터 구동부(140)에게 출력한다. 일 예로, 이동 방향이 상측(또는 좌측)인 경우 제1 회전 방향에 연관된 제1 접촉기(143)에게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이동 방향이 하측(또는 우측)인 경우 제2 회전 방향에 연관된 제2 접촉기(145)에게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각 제어 대상에 대한 조작 정보에 희망 위치가 포함되지만 이동 방향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컨트롤러(230)는 바텐(110)이 현 위치로부터 희망 위치로 이동하는 데에 요구되는 이동 방향 및 제어 시간을 연산할 수 있다. 제어 시간은, 바텐(110)의 현 위치로부터 희망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데에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이다.
제어 시간은 바텐(110)의 현 위치와 희망 위치 간의 차이를 기준 이동 속도로 나눈 값과 동일하도록 연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어 시간은, 바텐(110)의 현 위치와 희망 위치 간의 차이(거리 단위임)를 기준 이동 속도로 나눈 값(시간 단위임)에 제1 타임 딜레이(연산된 이동 방향이 제1 회전 방향에 대응하는 경우) 또는 제2 타임 딜레이(연산된 이동 방향이 제2 회전 방향에 대응하는 경우)를 합산한 값과 동일하도록 연산될 수 있다. 기준 이동 속도는, 제1 기준 위치와 제2 기준 위치 간의 차이를 기준 이동 시간으로 나눈 값과 동일하게 연산된 것일 수 있다. 기준 이동 속도는 하기의 수식 1에 의해 연산될 수 있다.
<수식 1>
위 수식 1에서, ΔTR는 기준 이동 시간, P1은 제1 기준 위치, P2는 제2 기준 위치를 각각 나타낸다.
그 다음, 각 제어 대상의 모터 어셈블리(130)를 앞서 연산된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회전 방향으로 동작시키도록 유도하는 제어 신호를, 기 연산된 제어 시간 동안 각 제어 대상의 모터 구동부(140)에게 출력할 수 있다.
컨트롤러(230)는, 각 제어 대상에게 제어 신호를 출력 중에, 제어 신호의 출력 시간 및 기준 이동 속도를 기초로, 각 제어 대상의 바텐(110)의 위치를 연산할 수 있다. 제어 신호의 출력 시간이란,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의 출력이 개시된 시각으로부터의 경과 시간 즉, 제어 신호의 출력이 지속된 시간 길이를 의미한다. 특정 제어 대상을 제어 중인 특정 시각에서의 바텐(110)의 위치는 다음의 수식 2에 의해 연산될 수 있다.
<수식 2>
위 수식 2에서, Po는 제어 신호의 출력 전의 바텐(110)의 위치, VR는 기준 이동 속도, ΔTC는 제어 신호의 출력 시간, Pc는 제어 중인 바텐(110)에 대해 연산된 위치(즉, 바텐(110)의 추정 위치)를 나타낸다.
컨트롤러(230)는, 각 제어 대상의 바텐(110)에 대해 연산된 위치를 통지하는 모니터링 신호를 제어 데스크(210)에게 출력(회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데스크(210)의 정보 입출력부(211)를 통해 출력 중인 무대 제어 화면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각 제어 대상의 바텐(110)의 이동 중의 위치(위 수식의 PC)를 지시하는 그래픽 객체가 바텐 관리창(MW) 내에서 이동 표시되며, 이러한 작용은 제어 신호의 출력 시간이 제어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지속된다. 컨트롤러(230)는, 각 제어 대상에 대하여, 제어 신호의 출력 시간이 제어 시간에 도달 시, 각 제어 대상의 모터 구동부(140)에 대한 제어 신호의 출력을 중단한다. 이에 따라, 각 제어 대상의 바텐(110)의 이동이 중단되어, 바텐(110)이 희망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하게 된다.
한편, 컨트롤러(230)는, 소정의 초기화 이벤트(예, 전원 Off 상태로부터 전원 On 상태로 전환)가 발생한 경우, 제어 데스크(210)로부터의 별도의 제어 명령없이도, 복수의 무대 설비(100) 각각에 마련된 바텐(110)을 소정의 원점(예, 제1 기준 위치, 제2 기준 위치 또는 그 밖에 미리 정해진 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유도하는 초기화 신호를 복수의 무대 설비(100) 각각의 모터 구동부(140)에게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제어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순서도이다. 도 10의 방법은 무대 제어 시스템(10)이 공연장에 최초 설치하거나, 복수의 무대 설비(100) 중 적어도 하나가 제거되거나, 또는 새로운 무대 설비(100)가 새로이 설치되는 경우에 실행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 S1010에서, 제어 데스크(210)의 정보 처리부(215)는 무대 설비 설정 화면을 출력하도록 정보 입출력부(211)를 제어한다(도 7 참조).
단계 S1020에서, 제어 데스크(210)의 정보 처리부(215)는 정보 입출력부(211)를 통해, 무대 관리자로부터 복수의 무대 설비(10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무대 설비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 무대 설비 설정 정보는, 바텐(110)의 가동 범위 및 기준 이동 시간을 포함하고, 이동축 및 시간 보정값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텐(110)의 가동 범위는, 상한으로서의 제1 기준 위치와 하한으로서의 제2 기준 위치를 나타낸다. 바텐(110)의 이동축이 수직축인 경우, 제1 기준 위치와 제2 기준 위치는 무대 내 특정 지점으로부터의 최대 높이와 최소 높이를 각각 나타낸다. 복수의 무대 설비(100)의 바텐(110) 별 가동 범위는 서로 상이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무대 관리자는, 바텐(110) 별 제1 기준 위치 및 제2 기준 위치를 각각 측정한 다음 측정된 제1 기준 위치 및 제2 기준 위치를 가동 범위로서 무대 설비 설정 화면에 입력할 수 있다. 기준 이동 시간은, 바텐(110)이 제1 기준 위치와 제2 기준 위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이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이며, 마찬가지로 무대 관리자에 의해 측정된 다음 무대 설비 설정 화면에 입력될 수 있다. 이동축은, 바텐(110)의 왕복 이동이 이루어지는 축으로서 이 역시 무대 관리자로부터 무대 설비 설정 화면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무대 설비(100) 별 시간 보정값은, 무대 설비(100)에 구비된 모터 어셈블리(130)의 제1 회전 방향에 대한 제1 타임 딜레이 및 제2 회전 방향에 대한 제2 타임 딜레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무대 관리자에 의해 측정되어 무대 설비 설정 화면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단계 S1030에서, 제어 데스크(210)의 정보 처리부(215)는 단계 S1020에서 수신된 무대 설비 설정 정보를 컨트롤러(230)에게 출력한다.
단계 S1040에서, 컨트롤러(230)는 무대 설비 설정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무대 설비(100) 중 적어도 하나의 바텐(110)의 기준 이동 속도를 연산한다(수식 1 참조). 컨트롤러(230)는 기준 이동 속도를 자체적으로 기록할 수 있고, 제어 데스크(210)에게 기준 이동 속도를 통지할 수 있다. 제어 데스크(210)는 컨트롤러(230)로부터 통지된 기준 이동 속도를 정보 저장부(213)에 기록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대 제어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순서도이다. 도 11의 방법은 도 10의 방법에 따라 컨트롤러(230)에 의해 무대 설비(100) 각각에 구비된 바텐(110)의 기준 이동 속도가 정해진 후, 공연장에서 무대 예술이 공연되는 중에 실행될 수 있다.
단계 S1110에서, 제어 데스크(210)의 정보 처리부(215)는 무대 제어 화면을 출력하도록 정보 입출력부(211)를 제어한다(도 8 참조).
단계 S1120에서, 제어 데스크(210)의 정보 처리부(215)는 정보 입출력부(211)를 통해, 복수의 무대 설비(10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이동 방향을 지시하는 무대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도 9 참조).
단계 S1130에서, 제어 데스크(210)의 정보 처리부(215)는 무대 제어 정보에 따라, 복수의 무대 설비(100) 중 적어도 하나의 무대 설비(100)를 제어 대상으로 설정(식별)한다.
단계 S1140에서, 제어 데스크(210)의 정보 처리부(215)는 제어 대상 별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제어 명령을 출력하도록 통신부(217)를 제어한다.
단계 S1150에서, 컨트롤러(230)는, 제어 명령을 기초로, 제어 대상 별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모터 구동부(140)에게 출력한다.
일 예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특정 제어 대상의 이동 방향이 수직 상부인 경우, 컨트롤러(230)는 특정 제어 대상의 모터 구동부(140)에 구비된 제1 접촉기(143)를 턴 온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제어 대상의 모터(131)는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바텐(110)을 수직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대로, 특정 제어 대상의 이동 방향이 수직 하부인 경우, 컨트롤러(230)는 특정 제어 대상의 모터 구동부(140)에 구비된 제2 접촉기(145)를 턴 온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제어 대상의 모터(131)는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바텐(110)을 수직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단계 S1160에서, 컨트롤러(230)는, 제어 대상 별 제어 신호의 출력 시간 및 기준 이동 속도를 기초로, 제어 대상 별로 구비된 바텐의 위치(또는 이동 거리)를 연산한다(수식 2 참조).
단계 S1170에서, 컨트롤러(230)는, 제어 대상 별로 구비된 바텐(110)에 대해 연산된 위치(또는 이동 거리)를 제어 데스크(210)에게 통지한다.
단계 S1180에서, 제어 데스크(210)의 정보 처리부(215)는 제어 대상 별로 구비된 바텐(110)에 대해 연산된 위치(또는 이동 거리)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도록 정보 입출력부(211)를 제어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대 제어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순서도이다. 도 11의 방법은 도 10의 방법에 따라 컨트롤러(230)에 의해 무대 설비(100) 각각에 구비된 바텐(110)의 기준 이동 속도가 정해진 후, 공연장에서 무대 예술이 공연되는 중에 실행될 수 있다.
단계 S1210에서, 제어 데스크(210)의 정보 처리부(215)는 무대 제어 화면을 출력하도록 정보 입출력부(211)를 제어한다(도 8 참조).
단계 S1220에서, 제어 데스크(210)의 정보 처리부(215)는 정보 입출력부(211)를 통해, 복수의 무대 설비(10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희망 위치를 지시하는 무대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도 9 참조). 대안적으로, 무대 제어 정보는 희망 위치 대신,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함께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단계 S1230에서, 제어 데스크(210)의 정보 처리부(215)는 무대 제어 정보에 따라, 복수의 무대 설비(100) 중 적어도 하나의 무대 설비(100)를 제어 대상으로 설정(식별)한다.
단계 S1240에서, 제어 데스크(210)의 정보 처리부(215)는 제어 대상 별 희망 위치를 나타내는 제어 명령을 출력하도록 통신부(217)를 제어한다.
단계 S1250에서, 컨트롤러(230)는, 제어 명령을 기초로, 제어 대상 별 이동 방향 및 제어 시간을 연산한다. 특정 제어 대상의 이동 방향은 특정 제어 대상에 구비된 바텐(110)의 현 위치와 희망 위치 간의 위치 차이가 양수인지 음수인지에 따라 연산될 수 있다. 제어 시간은 위치 차이를 기준 이동 속도로 나눈 값에 대해 시간 보정값을 선택적으로 가감함으로써 연산될 수 있다.
단계 S1260에서, 컨트롤러(230)는, 제어 명령을 기초로, 제어 대상 별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모터 구동부(140)에게 출력한다.
단계 S1270에서, 컨트롤러(230)는, 제어 대상 별 제어 신호의 출력 시간 및 기준 이동 속도를 기초로, 제어 대상 별로 구비된 바텐의 위치(또는 이동 거리)를 연산한다(수식 2 참조).
단계 S1280에서, 컨트롤러(230)는, 제어 대상 별로 구비된 바텐(110)에 대해 연산된 위치(또는 이동 거리)를 제어 데스크(210)에게 통지한다.
단계 S1290에서, 제어 데스크(210)의 정보 처리부(215)는 제어 대상 별로 구비된 바텐(110)에 대해 연산된 위치(또는 이동 거리)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도록 정보 입출력부(211)를 제어한다.
단계 S1260~단계 S1290의 과정은 제어 대상 별 제어 신호의 출력 시간이 단계 S1250에서 연산된 제어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에 걸쳐 소정 주기로 반복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특히,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블록도와 순서도에 포함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는 구성들은 상기 구성들 사이의 논리적인 경계를 의미한다. 그러나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시된 구성들과 그 기능들은 독립형 소프트웨어 모듈, 모놀리식 소프트웨어 구조, 코드, 서비스 및 이들을 조합한 형태로 실행되며,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 등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어 그 기능들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모든 실시 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과 그에 대한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는 하나, 이러한 기술적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특정 배열이 분명하게 언급되지 않는 한, 단순히 추론되어서는 안 된다. 즉, 이상에서 기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그러한 실시 예들이 본 발명과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보유하면서 일부 변형될 수 있으므로,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순서도의 경우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것으로서, 도시된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반드시 실행되어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반드시 실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 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10)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10)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무대 제어 시스템
20: 무대 연출 기구
100: 무대 설비 110: 바텐
120: 와이어 세트 130: 모터 어셈블리
131: 모터 132: 드럼
133: 리미터
140: 모터 구동부 141: 전원부
143: 제1 접촉기 145: 제2 접촉기
200: 무대 제어 장치
210: 제어 데스크 230: 컨트롤러

Claims (10)

  1. 복수의 무대 설비 - 각 무대 설비는 무대 연출 기구에 결합된 바텐에 와이어 세트를 통해 연결되는 모터 어셈블리 및 상기 와이어 세트가 상기 모터 어셈블리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상기 모터 어셈블리를 동작시키는 모터 구동부를 포함함 - 를 제어하기 위한 무대 제어 장치에 있어서,
    무대 관리자로부터 입력되는 무대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무대 설비 중 적어도 하나의 무대 설비를 제어 대상으로 설정하고, 각 제어 대상에 대한 조작 정보를 나타내는 제어 명령을 출력하는 제어 데스크; 및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각 제어 대상의 바텐의 이동을 위해 상기 모터 어셈블리를 동작시키도록 유도하는 제어 신호를 각 제어 대상의 모터 구동부에게 출력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데스크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각 제어 대상의 모터 어셈블리에 의해 이동 중인 각 제어 대상의 바텐의 위치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어 명령이 각 제어 대상의 바텐의 희망 위치를 지시하는 경우, 각 제어 대상의 바텐이 상기 희망 위치로 이동하는 데에 요구되는 이동 방향 및 제어 시간을 연산하고, 각 제어 대상의 모터 어셈블리를 상기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회전 방향으로 동작시키도록 유도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 시간 동안 각 제어 대상의 모터 구동부에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 데스크는,
    무대 관리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복수의 무대 설비 각각의 바텐의 가동 범위 및 기준 이동 시간을 기록하되, 상기 가동 범위의 상한 및 하한은 각각 상기 바텐과 무대 내 특정 지점 간의 거리가 최대인 때의 상기 바텐의 제1 기준 위치와, 상기 바텐과 무대 내 특정 지점 간의 거리가 최소인 때의 상기 바텐의 제2 기준 위치를 나타내고, 상기 기준 이동 시간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바텐이 상기 제1 기준 위치와 상기 제2 기준 위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이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사전 측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 데스크는,
    무대 관리자로부터 입력되는 시간 보정값을 더 기록하되, 상기 시간 보정값은,상기 복수의 무대 설비 각각의 모터 어셈블리가 제1 회전 방향으로 동작 시의 제1 타임 딜레이 및 제2 회전 방향으로 동작 시의 제2 타임 딜레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각 제어 대상에 대하여,
    상기 제1 기준 위치와 상기 제2 기준 위치 간의 차이를 상기 기준 이동 시간으로 나눈 값과 동일하게 각 제어 대상의 바텐의 기준 이동 속도를 연산하고,
    상기 이동 방향이 상기 제1 회전 방향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바텐의 현 위치와 상기 희망 위치 간의 차이를 상기 기준 이동 속도로 나눈 값에 상기 제1 타임 딜레이를 합산한 값과 동일하도록 상기 제어 시간을 연산하고,
    상기 이동 방향이 상기 제2 회전 방향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바텐의 현 위치와 상기 희망 위치 간의 차이를 상기 기준 이동 속도로 나눈 값에 상기 제2 타임 딜레이를 합산한 값과 동일하도록 상기 제어 시간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무대 관리자는, 상기 그래픽 객체가 표시된 바텐 관리창(MW)을 통하여 상기 바텐의 희망 위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어 명령이 각 제어 대상의 바텐의 이동 방향을 지시하는 경우, 각 제어 대상의 모터 어셈블리를 상기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회전 방향으로 동작시키도록 유도하는 제어 신호를 각 제어 대상의 모터 구동부에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제어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각 제어 대상에 대하여,
    상기 제1 기준 위치와 상기 제2 기준 위치 간의 차이를 상기 기준 이동 시간으로 나눈 값과 동일하게 상기 바텐의 기준 이동 속도를 연산하고,
    상기 바텐의 현 위치와 상기 희망 위치 간의 차이를 상기 기준 이동 속도로 나눈 값과 동일하도록 상기 제어 시간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제어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각 제어 대상의 모터 구동부에 대한 상기 제어 신호의 출력 중에, 상기 제어 신호의 출력 시간 및 상기 기준 이동 속도를 기초로, 각 제어 대상의 바텐의 위치를 연산하고,
    각 제어 대상의 바텐에 대해 연산된 위치를 상기 제어 데스크에게 통지하고,
    상기 제어 데스크는,
    각 제어 대상의 바텐에 대해 연산된 위치를 지시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각 제어 대상의 모터 어셈블리에 대한 상기 제어 신호의 출력 시간이 상기 제어 시간에 도달 시, 각 제어 대상의 모터 구동부에 대한 상기 제어 신호의 출력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제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소정의 초기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복수의 무대 설비 각각에 마련된 바텐을 상기 제1 기준 위치 또는 상기 제2 기준 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유도하는 초기화 신호를 상기 복수의 무대 설비 각각의 모터 구동부에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제어 장치.
KR1020220097376A 2022-08-04 2022-08-04 무대 제어 장치, 무대 제어 방법 및 무대 제어 시스템 KR102616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376A KR102616935B1 (ko) 2022-08-04 2022-08-04 무대 제어 장치, 무대 제어 방법 및 무대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376A KR102616935B1 (ko) 2022-08-04 2022-08-04 무대 제어 장치, 무대 제어 방법 및 무대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6935B1 true KR102616935B1 (ko) 2023-12-27

Family

ID=89377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376A KR102616935B1 (ko) 2022-08-04 2022-08-04 무대 제어 장치, 무대 제어 방법 및 무대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9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938B1 (ko) * 2014-11-11 2015-12-08 (주)하온아텍 무대 장치의 가상 위치 운전 시스템
KR101794288B1 (ko) * 2017-07-24 2017-11-16 사단법인 꿈드래장애인협회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938B1 (ko) * 2014-11-11 2015-12-08 (주)하온아텍 무대 장치의 가상 위치 운전 시스템
KR101794288B1 (ko) * 2017-07-24 2017-11-16 사단법인 꿈드래장애인협회 무대장치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86120B (zh) 电梯虚拟门厅呼叫面板系统和操作方法
JP654906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2201504A (ja) エレベータ機能の模擬確認システム
KR102616935B1 (ko) 무대 제어 장치, 무대 제어 방법 및 무대 제어 시스템
KR20120115040A (ko) 엘리베이터 관리 장치 및 방법
CN101531303B (zh) 电梯的控制装置
JP2010208754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6306577A (ja) エレベーターの地震時運転装置
KR101574938B1 (ko) 무대 장치의 가상 위치 운전 시스템
JP2023523460A (ja) 待ち時間および占有率シンボル化を有するエレベータ動作デバイス
CN107792738B (zh) 具有自动恢复功能的电梯的控制盘及维护用终端
JP4562727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101314065B1 (ko) 엘리베이터의 행선층 예약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436245B2 (ja) 監視システム
JP5608332B2 (ja) 電動ブラインドの制御装置
JP2019190117A (ja) 保安機能付きブラインド
JP2013227837A (ja) 昇降式足場装置
JP670577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そのかご表示位置制御方法
US20220349197A1 (en) Stage with moving parts
JP7223497B2 (ja) 移動端末
JP2000240375A (ja) 電動ブラインドの制御装置
US201301240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al devices
JPH06205881A (ja) 舞台機構の吊物制御装置
JP2000220366A (ja) 電動ブラインド
KR100776001B1 (ko) 시스템 에어컨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