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620B1 - 파우치 - Google Patents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620B1
KR102616620B1 KR1020220005577A KR20220005577A KR102616620B1 KR 102616620 B1 KR102616620 B1 KR 102616620B1 KR 1020220005577 A KR1020220005577 A KR 1020220005577A KR 20220005577 A KR20220005577 A KR 20220005577A KR 102616620 B1 KR102616620 B1 KR 102616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
pouch
easy
diagonal
st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9834A (ko
Inventor
박충호
Original Assignee
이젠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젠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젠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5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620B1/ko
Publication of KR20230109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9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6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B65D75/5811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and defining, after tearing, a small dispensing spout, a small orific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 B65D2231/02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for permitting the insertion of a tubular contents-removing device, e.g. a drinking stra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이지커트부를 구성한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는 파우치일면부와 파우치타면부로 구성하며,
상기 파우치는 하부인 용액함체부와 상부인 용액함체상부로 구성되되,
상기 이지커트부는 상기 파우치를 용이하게 개봉하여 사용자가 음료하기에 용이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 파우치일면부는 상기 이지커트부가 일정한 직선으로 진행하다가 상기 이지커트부의 직선에서 굴절되어 상기 이지커트부로부터 경사각도를 이루면서 구성되는 이지커트사선부를 가지며,
상기 파우치타면부에는 상기 이지커트사선부를 구성하지 않아 상기 파우치가 사용자에 의하여 개봉될 때, 상기 파우치타면부에는 일직선으로 절단되고 상기 파우치일면부는 상기 이지커트사선부를 따라 절단되어 상기 파우치일면부와 상기 파우치타면부는 서로 다른 부위에 절단단부가 구성되므로 절단되는 힘이 분산되어 사용자가 음용하기 위하여 상기 이지커트부를 개봉할 때, 상기 파우치의 내부에 함유된 용액이 주위로 비산되지 않거나 비산을 최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용액함체상부가 용이하게 이격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우치{Pouch}
본원발명은 개선된 파우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10-0799064(2008.011.29)의 파우치(10)에는 전면 및 후면 필름의 실링을 위한 실링 부(12)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톱 실 부(11)가 형성된다.
상기 실링 부(12)로부터 핀 홀 부(20)를 형성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실링 부(12)의 노치(13)로 부터 핀 홀 부(21)를 형성하도록 한다. 한편, 핀 홀 부(22)는 실링 부(12) 안쪽인 파우치 내측 부 또는 톱 실부(11) 내측 부에까지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파우치(10)는 상부에서 좁아지는 주입구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실링 부(12)의 노치(13)로부터 핀 홀 부(21)를 형성하고, 핀 홀 부(22)는 실링 부(12) 안쪽인 파우치 내측 부에까지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핀 홀 부(20)를 형성하는 경우 핀 홀 부(20) 자체에 의하여 용이 찢김성이 부여되도록 하는 독특한 구조를 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간편하고 저렴하게 용이 찢김성을 부여할 수 있다. 용이하게 찢김성을 부여하고자 핀 홀들을 용이 찢김이 가능할 정도의 거리로 상호 이격시켜 상기 펀칭을 수행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용이 찢김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핀 홀 간을 지나치게 좁게 만드는 경우에는 핀 홀이 필름을 관통한다는 특성에 기인하여 오히려 핀 홀 부(20)가 파우치의 강도를 떨어뜨려 낙하시 해당 부위에서의 터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먼저, 파우치의 전면과 후면이 될 각 필름을 제공한 후, 상기 전면 및 후면 필름을 대향하고 그 상부, 하부 및 사이드 부분 등 필요한 실링 부위에서 각각 실링 한다. 이후, 냉각기를 이용하여 파우치 성형이 잘 되도록 냉각을 시켜주면서 실링 된 부분의 온도를 낮춰준다.
만일, 파우치가 스탠드형 파우치인 경우에는 밑면 필름을 제공하여 전면, 후면 및 밑면을 각각 실링 하도록 한다.
이어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실링 부 중 노치 영역으로부터 핀 홀의 단면 넓이가 감소하도록 펀칭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펀칭은 파우치의 후면에서 전면을 향하도록 실시하는 것이 공정 효율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제품의 규격에 부합하도록 사이드 부분이나 기타 돌출 부분을 제거한다.
파우치의 전면 및 후면 필름을 실링 위치에서 실링 한 후, 상기 실링 부 중 일 측에, 또는 상기 실링 부 중 일 측으로부터 상기 파우치의 내측부로 연장되도록, 상기 파우치의 필름을 관통하는 핀 홀을 상부 및 하부 단면 직경이 상이한 펀치에 의하여 펀칭함으로써 복수 개 형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핀 홀은 용이 찢김성을 부여할 수 있을 정도의 거리를 두고 상호 이격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 찢김성 핀 홀 부를 구비하는 파우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파우치의 실링 부에 노치를 형성하고, 상기 노치에 연결하여 핀 홀을 형성하는 것이다.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10-0799064(2008.011.29) 대한민국특허청특허공개번호10-2018-0133417(2018.12.14)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10-1965960(2019.04.04)
본원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과제는 밀봉된 파우치를 개봉할 때 파우치의 내용물이 비산하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2과제는 밀봉된 파우치를 개봉할 때 파우치의 용액함체부로부터 용액함체부상부가 완전하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3과제는 밀봉된 파우치를 개봉할 때에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은 넓게 하고 이지커트부의 단부로 갈수록 상방향 경사지도록 구성하여 재료의 낭비를 막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이지커트부를 구성한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는 파우치일면부와 파우치타면부로 구성하며,
상기 파우치는 하부인 용액함체부와 상부인 용액함체상부로 구성되되,
상기 이지커트부는 상기 파우치를 용이하게 개봉하여 사용자가 음료하기에 용이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 파우치일면부는 상기 이지커트부가 일정한 직선으로 진행하다가 상기 이지커트부의 직선에서 굴절되어 상기 이지커트부로부터 경사각도를 이루면서 구성되는 이지커트사선부를 가지며,
상기 파우치타면부에는 상기 이지커트사선부를 구성하지 않아 상기 파우치가 사용자에 의하여 개봉될 때, 상기 파우치타면부에는 일직선으로 절단되고 상기 파우치일면부는 상기 이지커트사선부를 따라 절단되어 상기 파우치일면부와 상기 파우치타면부는 서로 다른 부위에 절단단부가 구성되므로 절단되는 힘이 분산되어 사용자가 음용하기 위하여 상기 이지커트부를 개봉할 때, 상기 파우치의 내부에 함유된 용액이 주위로 비산되지 않거나 비산을 최소화시키는 것으로 상기 용액함체상부가 용이하게 이격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파우치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파우치의 상기 파우치타면부에도 타면이지커트부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지커트부와 상기 이지커트사선부는 각각 복수개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상기 파우치의 밀봉을 해제할 때에 상기 이지커트부 및 상기 이지커트사선부로부터 찢어지는 부분이 상기 이지커트부 및 상기 이지커트사선부로부터 벗어나도 주변에 구성한 복수개의 이지커트부 및 복수개의 이지커트사선부를 벗어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파우치에 빨대를 내장하여 상기 빨대와 접촉하는 부위에서 상기 이지커트사선부가 시작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파우치일면부와 상기 파우치타면부가 서로 다른 부위에 상기 절단단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지커트부는 수평방향에서 상부로 경사지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의 손에 잡히는 부분은 크게 하고 빨대가 입으로 음용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부위로 경사지도록 절단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빨대는 상기 이지커트사선부가 시작되는 부위에 잘 휘어지도록 주름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발명이 제1효과는 밀봉된 파우치를 개봉할 때 파우치의 내용물이 비산하지되지 않거나 비산을 최소화 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본원발명이 제2효과는 밀봉된 파우치를 개봉할 때 파우치의 용액함체부로부터 용액함체부상부가 완전하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본원발명이 제3효과는 밀봉된 파우치를 개봉할 때에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은 넓게 하고 이지커트부의 단부로 갈수록 상방향 경사지도록 구성하여 재료의 낭비를 막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도1a는 파우치일면부를 보이는 도로써 이지커트부와 이지커트사선부가 복수개 구성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1b는 파우치타면부를 보이는 도로써 이지커트부가 복수개 구성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2a도는 파우치일면부에 하나의 이지커트부와 하나의 이지커트사선부가 상방향으로 구성된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2b는 파우치타면부에 하나의 이지커트부가 빨대가 내장된 부분까지 구성된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2c는 파우치타면부에 하나의 이지커트부가 빨대가 내장된 부분을 지나서 까지 구성된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3은 파우치일면부에 하나의 이지커트부와 하나의 이지커트사선부가 하방향으로 구성된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4는 파우치일면부에 하나의 이지커트부와 이지커트사선부가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각각 구성된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5는 실제제품에 적용된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6내지 도7은 도5의 이지커트부를 보다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8 및 도9는 이지커트부와 이지커트사선부를 통하여 찢어진 상태를 보이는 도로써 파우치일면부가 이지커트사선부를 통하여 하방향으로 찢어지고 파우치타면부는 일직선으로 찢어짐으로 절단단부가 이격되어 구성된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10 내지 도12는 도8과 도9의 파우치일면부는 이지커트사선부의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이지커트사선부가 상방으로 찢어진 것으로 보이고 파우치타면부는 직선방향으로 찢어짐으로 절단단부가 이격되어 구성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13은 강한 힘을 주어 용액함체부와 용액함체상부가 완전히 이격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14는 배경기술을 보이는 도이다.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1a는 파우치일면부를 보이는 도로써 이지커트부와 이지커트사선부가 복수개 구성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1b는 파우치타면부를 보이는 도로써 이지커트부가 복수개 구성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2a도는 파우치일면부에 하나의 이지커트부와 하나의 이지커트사선부가 상방향으로 구성된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2b는 파우치타면부에 하나의 이지커트부가 빨대가 내장된 부분까지 구성된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2c는 파우치타면부에 하나의 이지커트부가 빨대가 내장된 부분을 지나서 까지 구성된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3은 파우치일면부에 하나의 이지커트부와 하나의 이지커트사선부가 하방향으로 구성된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4는 파우치일면부에 하나의 이지커트부와 이지커트사선부가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각각 구성된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5는 실제제품에 적용된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6내지 도7은 도5의 이지커트부를 보다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8 및 도9는 이지커트부와 이지커트사선부를 통하여 찢어진 상태를 보이는 도로써 파우치일면부가 이지커트사선부를 통하여 하방향으로 찢어지고 파우치타면부는 일직선으로 찢어짐으로 절단단부가 이격되어 구성된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10 내지 도12는 도8과 도9의 파우치일면부는 이지커트사선부의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이지커트사선부가 상방으로 찢어진 것으로 보이고 파우치타면부는 직선방향으로 찢어짐으로 절단단부가 이격되어 구성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13은 강한 힘을 주어 용액함체부와 용액함체상부가 완전히 이격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이지커트부(200)를 구성한 파우치(1000)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1000)는 하부인 용액함체부(400)와 상부인 용액함체상부(500)로 구성된다.
상기 이지커트부(200)는 상기 파우치(1000)를 용이하게 개봉하여 사용자가 음료하기에 용이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파우치(1000)의 일면부는 상기 이지커트부(200)가 일정한 직선으로 진행하다가 상기 이지커트부(200)의 직선에서 굴절되어 상기 이지커트부(200)로부터 경사각도를 이루면서 구성되는 이지커트사선부(201)를 가진다.
굴절되는 부분은 도면에서 이지커트굴곡부(200a)를 가진다.
이지커트굴곡부(200a)를 중심으로 상부 또는 하부로 구성되어 힘을 가할때 안쪽방향으로 사용자의 힘이 가해질 때에는 하부로 구성된 이지커트사선1부(202)로 파우치일면부(1100)는 찢어지고 사용자의 힘이 외부방향(이지커트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할 때에는 이지커트사선부(201)로 파우치일면부(1100)가 찢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파우치타면부(1200)에는 상기 이지커트사선부(201) 또는 이지커트사선1부 (202)를 구성하지 않아 상기 파우치(1000)가 사용자에 의하여 개봉될 때, 상기 타면부(1200)에는 일직선으로 절단되고 상기 파우치일면부(1100)는 상기 이지커트사선부(201)를 따라 절단되어 상기 파우치일면부(1100)와 상기 파우치타면부(1200)는 서로 다른 부위에 절단단부인 이지커트사선단부(201b) 혹은 이지커트사선1단부(202b)와 타면이지커트단부(250b) 또는 타면이지커트2단부(251b)로 구성되므로 절단되는 힘이 분산되어 사용자가 음용하기 위하여 상기 이지커트부(200)를 개봉할 때, 상기 파우치(1000)의 내부에 함유된 용액이 주위로 비산되지 않거나 비산을 최소화시키는 것으로 상기 용액함체상부가 용이하게 이격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파우치(1000)에 관한 것이다.
즉 파우치일면부(1100)는 이지커트사선단부(201b)와 파우치의 타면은 타면이지커트단부(250b)로 찢어지는 단부가 결정됨으로 힘이 분사되어 이지커트부를 찢는 힘으로는 용액함체부와 용액함체상부가 이격되지 않도록 구성하고 내부에 함유된 용액이 주위로 비산되지 않거나 비산을 최소화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파우치일면부(1100)는 이지커트사선단부(201b)와 파우치의 타면은 타면이지커트2단부(251b)로 찢어지는 단부가 결정됨으로 힘이 분사되어 이지커트부를 찢는 힘으로는 용액함체부와 용액함체상부가 이격되지 않도록 구성하고 내부에 함유된 용액이 주위로 비산되지 않거나 비산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파우치일면부(1100)는 이지커트사선1단부(202b)와 파우치의 타면은 타면이지커트2단부(251b)로 찢어지는 단부가 결정됨으로 힘이 분사되어 이지커트부를 찢는 힘으로는 용액함체부와 용액함체상부가 이격되지 않도록 구성하고 내부에 함유된 용액이 주위로 비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파우치일면부(1100)는 이지커트사선1단부(202b)와 파우치의 타면은 타면이지커트단부(250b)로 찢어지는 단부가 결정됨으로 힘이 분사되어 이지커트부를 찢는 힘으로는 용액함체부와 용액함체상부가 이격되지 않도록 구성하고 내부에 함유된 용액이 주위로 비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파우치(1000)의 상기 파우치타면부(1100)에도 타면 이지커트부(250)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면이지커트단부(250b)와 타면이지커트2단부(251b)로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파우치타면부는 이지커트부(200)가 구성되지 않을수도 있다.
상기 이지커트부(200)와 상기 이지커트사선부(201)는 각각 복수개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상기 파우치(1000)의 밀봉을 해제할 때에 상기 이지커트부(200) 및 상기 이지커트사선부(201)로부터 찢어지는 부분이 상기 이지커트부(200) 및 상기 이지커트사선부(201)로부터 벗어나도 주변에 구성한 복수개의 이지커트부(210,220) 및 복수개의 이지커트사선부(211,221,231,232)를 벗어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파우치를 찢는 사용자 및 파우치의 재질여부에 따라 이지커트부(200)를 이탈하여 찢어질 경우에도 복수개의 이지커트부(210,220)가 주변에 구성되어 있어 주변이지커트부로 찢어지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용액함체상부(500)를 용액함체부(400)로부터 개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왼손잡이와 오른손잡이가 있고 찢는 사람의 성향상 용액함체부와 용액함체상부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찢는 사람이 있을 가능성이 있고 용액함체부와 용액함체상부가 내부방향으로 찢는 사람이 있는 경우를 고려하여 복수개의 이지커트사선부(201,202,211,221,231,232,)를 각각 구성한것이다.
상기 파우치(1000)에 빨대를 내장하여 상기 빨대와 접촉하는 부위에서 상기 이지커트사선부(201)가 시작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파우치일면부와 상기 파우치타면부가 서로 다른 부위에 상기 절단단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즉 이지커트부(200)는 이지커트굴곡부(200a)를 통하여 이지커트사선부(201)와 이지커트사선1부(202)로 구성한다.
또한 제2이지커트부(210)는 제2이지커트굴곡부(210a)를 통하여 제2이지커트사선부(211)을 구성한다.
또한 제3이지커트부(220)는 제3이지커트굴곡부(220a)를 통하여 제3이지커트사선부(221)를 구성한다.
또한 제4굴곡부(230a)를 구성하여 이지커트사선부의 내부쪽에서 또 다른 별도의 제4이지커트사선부(231)와 제5이지커트사선부(232)를 구성하여 사용자의 어떠한 파우치를 찢는 성향과 상관없이 복수개로 구성한 이지커트부 및 복수개의 이지커트사선부의 범위내에서 밀봉을 해제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이지커트부(200)는 수평방향에서 상부로 경사지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의 손에 잡히는 부분은 크게 하고 빨대가 입으로 음용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부위로 경사지도록 절단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빨대는 상기 이지커트사선부(201)가 시작되는 부위에서 잘 휘어지도록 주름부를 구성한 것으로 함유된 용액이 외부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13은 강한 힘을 주어 용액함체부(400)와 용액함체상부(500)가 완전히 이격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본원발명은 가능한 한 용액함체부와 용액함체상부가 완전히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기대하는 것이다.
완전히 찢어지지 않게 되면 내부에 있던 용액이 사용자의 손 또는 옷에 튀는 것을 방지할 수있다.
또한 힘을 너무 가하게 되면 도13과 같이 이격되면 내장된 빨대가 우측방향으로 심하게 변형이 되었다가 원위치되는 과정에서 내부의 용액이 일부 튈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작은 힘으로 밀봉부를 해제하더라도 단부에 와서는 서로 다른 절단단부에 파우치일면부와 파우치타면부가 형성되어 도13과 같은 현상은 거의 일어나지 않게 되어 파우치를 음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옷과 손에 음용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빨대부 110:절곡주름부
200:이지커트부 200a:이지커트굴곡부 201:이지커트사선부
201b:이지커트사선단부
202: 이지커트사선1부 202b:이지커트사선1단부
210:제2이지커트부 210a:제2이지커트굴곡부 211:제2이지커트사선부
211b:제2이지커트사선단부
220:제3이지커트부 220a:제3이지커트굴곡부
221:제3이지커트사선부 231b:제2이지커트사선단부
230a:제4굴곡부 231:제4이지커트사선부 231b:제4이지커트사선단부
232:제5이지커트사선부 232b:제5이지커트사선단부
250:타면이지커트부 250b:타면이지커트단부 251b:타면이지커트2단부
260:타면이지커트2부 260b:타면이지커트3단부
270:타면이지커트3부 270b:타면이지커트4단부
300:봉합부 400:용액함체부 500:용액함체상부
1000:파우치 1100:파우치일면부 1200:파우치타면부

Claims (6)

  1. 이지커트부를 구성한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는 파우치일면부와 파우치타면부로 구성하며,
    상기 파우치는 하부인 용액함체부와 상부인 용액함체상부로 구성되되,
    상기 이지커트부는 상기 파우치를 용이하게 개봉하여 사용자가 음료하기에 용이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 파우치일면부는 상기 이지커트부가 일정한 직선으로 진행하다가 상기 이지커트부의 직선에서 굴절되어 상기 이지커트부로부터 경사각도를 이루면서 구성되는 이지커트사선부를 가지며,
    상기 파우치타면부에도 상기 파우치일면부의 상기 이지커트부와 일치되도록 타면이지커트부를 구성하되,
    상기 파우치타면부에는 상기 이지커트사선부를 구성하지 않아 상기 파우치가 사용자에 의하여 개봉될 때, 상기 파우치타면부에는 일직선으로 절단되고 상기 파우치일면부는 상기 이지커트사선부를 따라 절단되어 상기 파우치일면부와 상기 파우치타면부는 서로 다른 부위에 절단단부가 구성되므로 절단되는 힘이 분산되어 사용자가 음용하기 위하여 상기 이지커트부를 개봉할 때, 상기 파우치의 내부에 함유된 용액이 주위로 비산되지 않거나 비산을 최소화시키도록 상기 용액함체상부가 상기 용액함체부로부터 용이하게 이격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상기 파우치에 빨대를 내장하여 상기 빨대와 접촉하는 부위에서 상기 이지커트사선부가 시작되도록 상기 파우치일면부를 구성하고,
    상기 파우치타면부에는 상기 파우치일면부에 구성한 상기 이지커트부와 동일한 위치에 구성되고 상기 파우치타면부에는 상기 이지커트사선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지커트부가 시작되는 부분에 구성한 노치부는 상기 빨대가 구성된 부분의 반대편에 구성되어 상기 빨대가 구성된 부분이 이격되는 부분의 최종부분이 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이지커트부는 수평방향에서 상부로 경사지도록 구성하여 상기 이지커트부를 개봉하고 난 후에 상기 빨대의 주변부를 사용자의 손에 잡히는 부분은 크게 하도록 상기 빨대가 입으로 음용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부위로 경사지도록 절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지커트부와 상기 이지커트사선부는 각각 복수개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상기 파우치의 밀봉을 해제할 때에 상기 이지커트부 및 상기 이지커트사선부로부터 찢어지는 부분이 상기 이지커트부 및 상기 이지커트사선부로부터 벗어나도 주변에 구성한 복수개의 이지커트부 및 복수개의 이지커트사선부를 벗어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는 상기 이지커트사선부가 시작되는 부위에 잘 휘어지도록 주름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KR1020220005577A 2022-01-14 2022-01-14 파우치 KR102616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577A KR102616620B1 (ko) 2022-01-14 2022-01-14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577A KR102616620B1 (ko) 2022-01-14 2022-01-14 파우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834A KR20230109834A (ko) 2023-07-21
KR102616620B1 true KR102616620B1 (ko) 2023-12-27

Family

ID=87429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577A KR102616620B1 (ko) 2022-01-14 2022-01-14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6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9407A (ja) * 2004-03-31 2005-10-20 Dainippon Printing Co Ltd 包装袋
JP2017222372A (ja) * 2016-06-14 2017-12-21 凸版印刷株式会社 包装袋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064B1 (ko) 2006-05-18 2008-01-29 율촌화학 주식회사 용이 찢김성 핀 홀 부를 구비하는 파우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71172A (ko) * 2015-12-15 2017-06-23 손명출 음용 편의성이 향상된 빨대 내장형 파우치
BR112018070620A2 (pt) 2016-04-13 2019-02-05 Monosol Llc filmes solúveis em água, cápsulas e sistemas de recipiente
KR101965960B1 (ko) 2017-08-11 2019-04-04 양재형 재사용할 수 있는 캡 형 파우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9407A (ja) * 2004-03-31 2005-10-20 Dainippon Printing Co Ltd 包装袋
JP2017222372A (ja) * 2016-06-14 2017-12-21 凸版印刷株式会社 包装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834A (ko) 2023-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06298A (en) Reclosable pour opening structure for a packaging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FI65202C (fi) Vaetsketaet kartongfoerpackning som bestaor av kartongmaterialpao vars baoda sidor aer faesta konstaemnesfilmer
FI83615C (fi) Doseringsfoerpackning.
US6375067B1 (en) Packaging container
US4513876A (en) Container lid with an opener device
JP2013537506A (ja) ミシン目付き収縮包装スリーブおよび容器
JP2009515782A (ja) 容器
JP3312761B2 (ja) 開口装置とその製造方法
CA2427582C (en) Opening device
KR102616620B1 (ko) 파우치
WO2018135666A1 (ja) 注出具
US7225947B2 (en) Pouring spout seal for composite packagings
US6003713A (en) Opening arrangement for packaging containers
JP4868449B2 (ja) 包装容器及び包装容器用開封装置
US6354467B1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package
JP3549776B2 (ja) 液体用紙容器のストロー挿入穴形成構造
JP2005047599A (ja) プルタブ付き成形容器
JPH0454917Y2 (ko)
US20060144876A1 (en) Lock for a flat and low pourer with a removable element in the form of a laminate of film for a composite package for container openings closed by nonpermeable film
JP2897978B2 (ja) 注ぎ出し口を有する合成樹脂フィルム製袋
JP6155145B2 (ja) 閉鎖膜付きチューブ容器
JP4560320B2 (ja) 開口形成用スコア付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US20040094581A1 (en) Container for dispensing liquids
JP2001080637A (ja) 包装容器
JP5203254B2 (ja)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