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596B1 -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16596B1 KR102616596B1 KR1020220013909A KR20220013909A KR102616596B1 KR 102616596 B1 KR102616596 B1 KR 102616596B1 KR 1020220013909 A KR1020220013909 A KR 1020220013909A KR 20220013909 A KR20220013909 A KR 20220013909A KR 102616596 B1 KR102616596 B1 KR 1026165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shielding member
- gap
- door body
- hinge axis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개시되는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는, 문틀에 대해 도어본체가 상하방향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시, 상기 문틀과 상기 도어본체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차폐하는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로서, 상기 도어본체에 의해 구획되는 2개의 영역 중, 상기 힌지축이 위치하는 제1 영역에서 상기 틈새의 일측을 차폐하는 제1 차폐부재; 상기 도어본체에 의해 구획되는 2개의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의 반대 측으로 정의되는 제2 영역에서 상기 틈새의 타측을 차폐하는 제2 차폐부재; 및 상기 틈새를 경유하여 상기 제1 차폐부재와 상기 제2 차폐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Disclosure)은,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경첩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도어본체의 일측 단부와 문틀 사이의 틈새로 신체의 일부 및 기물(器物) 등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일반적으로 건물의 실내는 벽체로 구획되어 여러 공간으로 나누어지며, 구획된 공간에는 출입을 위한 출입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출입구에는 공간을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미닫이식 도어 또는 여닫이식 도어가 시공된다.
전술한 도어 중 여닫이식 도어는 도어본체의 일측 단부가 출입구의 가장자리에 시공되는 문틀에 경첩을 매개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어본체는 경첩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문틀이 형성하는 개방영역을 개폐시킨다.
그런데, 전술한 여닫이식 도어는 도어본체 개방 시 경첩을 사이에 두고 도어본체와 문틀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는데, 이렇게 형성된 틈새에 실수로 실체의 일부(손 및 손가락) 및 기물(器物) 등이 끼이는 문제가 있어 왔다.
특히, 어린이들이나 유아의 경우 놀이를 하는 도중 또는 보호자가 한눈을 파는 사이에 손가락 및 손 등이 끼이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나는데, 이때 실수로 또는 바람에 의해 도어본체가 닫힐 경우 대형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미국등록특허공보 US 5,359,812", "일본공개특허공보 제1994-063778호" 및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8-0044917호" 등에는 구성 및 작용은 서로 다르다 하겠으나, 도어본체를 열 때는 물론 도어본체를 닫을 때에도 틈새의 형성 및 노출을 막아 손가락 등이 끼워지지 않게 하는 손 끼임 방지장치들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문헌들에 개시된 손 끼임 방지장치들은 틈새를 막는 스크린부재의 일단 측이 문틀이나 도어본체에 고정되기 때문에 도어본체의 열림 각도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선행문헌들에 개시된 손 끼임 방지장치들은 도어본체를 닫을 시 커버부재의 일부가 노출되기 때문에 도어본체와 문틀의 통일성을 해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Disclosure)은, 도어본체 또는 문틀에 접착제를 이용한 부착 또는 피스를 이용한 고정이 필요없이 도어본체와 문틀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끼우는 동작만으로 설치가 완료되는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Disclosure)은, 도어본체의 개폐 시 도어본체의 양측(즉, 힌지축이 위치된 일측과 그 반대측)에서 문틀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를 각각 차폐하는 차폐부재를 별도로 두고, 이를 연결부재로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써, 도어본체와 문틀 사이의 공간에 끼워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도어본체의 개폐시 연결부재를 통한 차폐부재 사이의 힘의 상호 작용에 의해 도어본체 양측에 발생되는 틈새를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는, 문틀에 대해 도어본체가 상하방향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시, 상기 문틀과 상기 도어본체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차폐하는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로서, 상기 도어본체에 의해 구획되는 2개의 영역 중, 상기 힌지축이 위치하는 제1 영역에서 상기 틈새의 일측을 차폐하는 제1 차폐부재; 상기 도어본체에 의해 구획되는 2개의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의 반대 측으로 정의되는 제2 영역에서 상기 틈새의 타측을 차폐하는 제2 차폐부재; 및 상기 틈새를 경유하여 상기 제1 차폐부재와 상기 제2 차폐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에서, 상기 틈새는, 수평단면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부채꼴(sector form) 형상을 가지되, 중심각(central angle) 측과 원호(arc) 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정의되며, 상기 제1 차폐부재는 상기 중심각 측을 차폐하고, 상기 제2 차폐부재는 상기 원호 측을 차폐한다.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에서, 상기 제1 차폐부재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본체의 회동 시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도어본체와 상기 문틀 사이의 최대 간격 보다 작지 않은 두께를 가지는 기둥형상으로 구비된다.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에서, 상기 제1 차폐부재는,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상기 틈새를 경유하여 상기 제1 영역에 위치된다.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에서, 상기 제1 차폐부재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힌지축과 하나의 라인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에서, 상기 제1 차폐부재는, 상기 힌지축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힌지축이 위치하지 않은 영역을 차폐하도록 분리되어 배치된다.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에서, 상기 제1 차폐부재는, 상기 힌지축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지 않은 힌지축 커버부;를 가진다.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에서, 상기 제1 차폐부재는, 두께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재질 또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에서, 상기 제2 차폐부재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본체의 회동 시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도어본체와 상기 문틀 사이의 최대 간격 보다 작지 않은 폭를 가지는 장방형의 부재로 구비되되, 폭 방향의 양측단은 각각 상기 도어본체와 상기 문틀에 접촉을 유지한다.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에서, 상기 제2 차폐부재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본체가 회동하여 상기 도어본체가 닫혀지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당겨지면서, 폭 방향의 양측이 각각 상기 도어본체와 상기 문틀에 밀착되도록 복원가능하게 굽힘변형된다.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에서, 상기 제2 차폐부재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본체가 회동하여 상기 도어본체가 닫혀진 상태의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도어본체와 상기 문틀이 형성하는 모서리에 대응하는 굽힘선을 가진다.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굽힘선에서 상기 제2 차폐부재와 결합된다.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에서, 상기 제2 차폐부재는, 적어도 상기 굽힘선에 대응하는 영역이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구비된다.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에서, 상기 제2 차폐부재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본체가 회동하여 상기 도어본체가 열려지는 과정에서, 상기 제2 차폐부재의 폭 방향 양측단이 각각 상기 도어본체와 상기 문틀에 접촉을 유지하도록 상기 굽힘선에 복원력을 인가하는 회복력 인가 부재;를 가진다.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에서, 상기 회복력 인가 부재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본체가 회동하여 상기 도어본체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굽힘선이 상기 도어본체와 상기 문틀이 형성하는 모서리에 밀착되도록 가압한다.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에서, 상기 회복력 인가 부재는, 양단에 각각 고정단과 가압단을 가지는 절곡된 판스프링으로 구비되며, 상기 고정단은 상기 굽힘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차폐부재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가압단은 상기 굽힘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차폐부재의 타측에 접촉되어 상대운동 가능하게 위치되며, 상기 가압단은 상기 제2 차폐부재를 가압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에서, 상기 회복력 인가 부재는, 상기 굽힘선과 평행한 토션축을 가지는 토션스프링을 매개로 결합된 제1,2 가압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1 가압부재는 상기 굽힘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차폐부재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가압부재는 상기 굽힘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차폐부재의 타측에 접촉되어 상대운동 가능하게 위치되며, 상기 제2 가압부재는 상기 제2 차폐부재를 가압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본체가 회동하여 상기 도어본체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도어본체와 상기 문틀이 교합하는 면에 대응하여 변형되도록 연질부재로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본체의 개폐 시 도어본체의 양측(즉, 힌지축이 위치된 일측과 그 반대측)에서 문틀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를 각각 차폐하는 차폐부재를 별도로 두고, 이를 연결부재로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써, 도어본체와 문틀 사이의 공간에 끼워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접착제를 이용한 부착 또는 피스를 이용한 고정이 불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본체의 개폐시 연결부재를 통한 차폐부재 사이의 힘의 상호 작용에 의해 도어본체 양측에 발생되는 틈새를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복력 인가 부재를 채용함으로써, 도어본체의 개폐시 도어본체 및 문틀에 대한 차폐부재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를 보인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가 도어본체와 문틀에 설치되어 동작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에서 힌지축 측을 차폐하는 상태 및 그 변형예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를 보인 도면.
도 10 내지 도 12는, 도 9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가 도어본체와 문틀에 설치되어 동작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3은, 도 9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에서 힌지축 측을 차폐하는 상태 및 그 변형예를 보인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도 9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가 도어본체와 문틀에 설치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를 보인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가 도어본체와 문틀에 설치되어 동작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에서 힌지축 측을 차폐하는 상태 및 그 변형예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를 보인 도면.
도 10 내지 도 12는, 도 9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가 도어본체와 문틀에 설치되어 동작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3은, 도 9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에서 힌지축 측을 차폐하는 상태 및 그 변형예를 보인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도 9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가 도어본체와 문틀에 설치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를 보인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가 도어본체와 문틀에 설치되어 동작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에서 힌지축 측을 차폐하는 상태 및 그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100)는, 제1 차폐부재(110), 제2 차폐부재(120) 및 연결부재(130)를 포함한다.
우선,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100)는 문틀(12)에 대해 도어본체(11)가 상하방향의 힌지축(13)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시, 문틀(12)과 도어본체(11)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G)를 차폐하여 손끼임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문틀(12)에 대한 도어본체(11)의 회동은, 도어본체(11)가 닫혀질 때 문틀(12)과 도어본체(11)가 마주하는 면에 양측 날개가 고정되고, 양측 날개를 하나의 회전축에 결합시킨 경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힌지축(13)은 경첩의 회전축을 의미한다.
한편, 경첩에 의해 문틀(12)과 결합되는 도어본체(11)는 개방된 상태에서, 문틀(12)과 도어본체(11) 사이에 틈새(G)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틈새(G)로 도어본체(11)의 개폐 과정에서 손가락 등이 끼이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틈새(G)로 손가락 등이 끼이는 경로는, 힌지축(13)이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끼이는 것과, 그 반대측으로부터 경첩의 양측 날개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끼이는 것이 있다.
제1 차폐부재(110)는, 힌지축(13)이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어본체(11)에 의해 구획되는 2개의 영역 중, 힌지축(13)이 위치하는 제1 영역(G1)에서 틈새(G)의 일측을 차폐하는 구성이다.
제2 차폐부재(120)는, 힌지축(13)이 위치하는 부분의 반대측으로부터 경첩의 양측 날개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어본체(11)에 의해 구획되는 2개의 영역 중, 제1 영역(G1)의 반대 측으로 정의되는 제2 영역(G2)에서 틈새(G)의 타측을 차폐하는 구성이다.
연결부재(130)는, 틈새(G)를 경유하여 제1 차폐부재(110)와 제2 차폐부재(12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제1,2 차폐부재(110,120)가 각각 제1,2 영역(G1,G2)에서 형성되는 틈새(G)를 차폐하도록 지지한다.
따라서, 제1,2 차폐부재(110,120)를 문틀(12) 또는 도어본체(11)에 고정하거나 부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한다.
또한, 연결부재(130)는, 도어본체(11)가 닫혀지는 과정에서 제2 영역에서 도어본체(11) 및 문틀(12)이 이루는 각도에 맞게 제2 차폐부재(120)를 변형시키는 변형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는 연결부재(130)의 일단에 결합된 제1 차폐부재(110)가 힌지축(13)이 위치된 제1 영역(G1)에서 제2 영역(G2)으로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또한, 연결부재(130)는, 도어본체(11)가 열리는 과정에서 제2 차폐부재(120)에 가해진 변형력이 풀어지면서, 제2 차폐부재(120)가 제2 영역(G2)에서 도어본체(11)와 문틀(12)이 형성하는 간격을 차폐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연결부재(130)는, 힌지축(13)을 중심으로 도어본체(11)가 회동하여 도어본체(11)가 닫혀진 상태에서, 도어본체(11)와 문틀(12)이 교합하는 면에 대응하여 변형되도록 연질부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1,2 영역(G1,G2)에서 형성되는 틈새(G)는, 수평단면이 힌지축(13)을 중심으로 하는 부채꼴(sector form) 형상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중심각(central angle) 측과 원호(arc) 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정의되고, 제1 차폐부재(110)는 중심각 측을 차폐하고, 제2 차폐부재(120)는 원호 측을 차폐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차폐부재(110)는, 힌지축(13)을 중심으로 도어본체(11)의 회동 시 제1 영역(G1)에서 도어본체(11)와 문틀(12) 사이의 최대 간격 보다 작지 않은 두께를 가지는 기둥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차폐부재(110)는, 단면이 원형인 기둥이 일반적일 것이나, 다각기둥이어도 무방하고, 복수의 다면체가 줄지여 배치된 것이어도 제1 차폐부재(110)의 차폐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차폐부재(110)는, 속이 빈 기둥인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속이 빈 상태에서 내부에 보강을 위한 단면이 +자 도는 11자 형의 리브가 제1 차폐부재(1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제1,2 차폐부재(110,120)는, 연결부재(130)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로 구비되므로, 문틀(12)과 도어본체(11) 사이에 설치 시, 제1 차폐부재(110)는, 제2 영역(G2)으로부터 틈새(G)를 경유하여 제1 영역(G1)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제1 차폐부재(110)는, 두께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재질 또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차폐부재(110)는 제1 영역(G1)에 위치되는 틈새를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두께방향의 탄성변형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제1 차폐부재(110)는, 제1 영역(G1)에서 힌지축(13)과 하나의 라인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 차폐부재(110)는, 도 2와 같이, 힌지축(13)의 길이방향으로 힌지축(13)이 위치하지 않은 영역을 차폐하도록 분리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제1 차폐부재(110)는, 힌지축(13)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연결부재(130)와 연결되지 않은 힌지축 커버부(미도시)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제1 차폐부재(110)에서 연장된 힌지축 커버부가 힌지축(13)을 차폐하여 통일감을 이루므로, 외적인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서, 힌지축(13)의 길이방향으로 힌지축(13)이 위치하지 않은 영역을 차폐하도록 분리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차폐부재(110)는, 길이방향으로 일단과 타단을 마감하는 마감부재(11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시공상의 오차로 인해, 이격된 두개의 제1 차폐부재(110) 사이의 간격이, 그 사이에 위치되는 힌지축(13)의 길이보다 큰 경우, 빈 공간이 생기며 이는 제1 차폐부재(110)가 고정되지 못하고 유동하는 문제가 생기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 차폐부재(110)에 구비되는 마감부재(111)는 제1 차폐부재(110)에 대해 나사결합되어, 마감부재(111)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서, 빈 공간을 보상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제2 차폐부재(120)는, 힌지축(13)을 중심으로 도어본체(11)의 회동 시 제2 영역(G2)에서 도어본체(11)와 문틀(12) 사이의 최대 간격 보다 작지 않은 폭를 가지는 장방형의 부재로 구비되되, 폭 방향의 양측단은 각각 도어본체(11)와 문틀(12)에 접촉을 유지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제2 차폐부재(120)는, 힌지축(13)을 중심으로 도어본체(11)가 회동하여 도어본체(11)가 닫혀지는 과정에서 연결부재(130)에 의해 당겨지면서, 폭 방향의 양측이 각각 도어본체(11)와 문틀(12)에 밀착되도록 복원가능하게 굽힘변형 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2 차폐부재(120)는, 도 1에 도시된 상태를 평형상태로 하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상태로 굽힘변형되되, 외력이 사라진 상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상태를 평형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제2 차폐부재(120)는, 힌지축(13)을 중심으로 도어본체(11)가 회동하여 도어본체(11)가 닫혀진 상태의 제2 영역(G2)에서 도어본체(11)와 문틀(12)이 형성하는 모서리에 대응하는 굽힘선(121)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이때, 연결부재(130)는, 굽힘선(121)에서 제2 차폐부재(120)와 결합된다.
또한, 제2 차폐부재(120)는, 적어도 굽힘선(121)에 대응하는 영역이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구비된다.
이는, 제2 차폐부재(120)가 전체적으로 탄성적으로 굽힘이 가능성이 재질로 구비될 수 있음을 포함하는 의미하다.
다만, 제2 차폐부재(120)의 폭 방향 양측이 각각 도어본체(11)와 문틀(12)에 효과적으로 밀착되기 위해서는, 굽힘선(121)에 대응하는 영역 외에는 경질부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 차폐부재(120)를 탄성변형이 가능한 연질부재로 구비하되, 굽힘선에 대응하는 영역을 제외한 부분에 경질부재를 덧대어 구비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두개의 경질부재를 탄성변형이 가능한 연질부재로 연결하여 구비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를 보인 도면, 도 10 내지 도 12는, 도 9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가 도어본체와 문틀에 설치되어 동작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3은, 도 9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에서 힌지축 측을 차폐하는 상태 및 그 변형예를 보인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도 9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가 도어본체와 문틀에 설치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대동소이하므로,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앞선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100)는, 회복력 인가 부재(140)를 더 구비하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형태와 차이를 가진다.
회복력 인가 부재(140)는, 제2 차폐부재(120)에 부착 또는 결합되거나, 제2 차폐부재(120)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힌지축(13)을 중심으로 도어본체(11)가 회동하여 도어본체(11)가 열려지는 과정에서, 제2 차폐부재(120)의 폭 방향 양측단이 각각 도어본체(11)와 문틀(12)에 접촉을 유지하도록 굽힘선(121)에 복원력을 인가하는 구성이다.
더하여, 회복력 인가 부재(140)는, 힌지축(13)을 중심으로 도어본체(11)가 회동하여 도어본체(11)가 닫혀진 상태에서, 굽힘선(121)이 도어본체(11)와 문틀(12)이 형성하는 모서리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서, 회복력 인가 부재(140)는, 굽힘선(121)과 평행한 토션축을 가지는 토션스프링(143)을 매개로 결합된 제1,2 가압부재(141,142)를 가지며, 제1 가압부재(141)는 굽힘선(121)을 기준으로 제2 차폐부재(120)의 일측에 고정되고, 제2 가압부재(142)는 굽힘선(121)을 기준으로 제2 차폐부재(120)의 타측에 접촉되어 상대운동 가능하게 위치되며, 제2 가압부재(142)는 제2 차폐부재(120)를 가압하도록 구비된다.
다음으로,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도 9 내지 도 15에 도시된 것과 대동소이하므로,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앞선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100)는, 회복력 인가 부재(140)의 구성을 달리하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형태와 차이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서, 회복력 인가 부재(140)는, 양단에 각각 고정단(145a)과 가압단(145b)을 가지는 절곡된 판스프링(145)으로 구비되며, 고정단(145a)은 굽힘선(121)을 기준으로 제2 차폐부재(120)의 일측에 고정되고, 가압단(145b)은 굽힘선(121)을 기준으로 제2 차폐부재(120)의 타측에 접촉되어 상대운동 가능하게 위치되며, 가압단(145b)은 제2 차폐부재(120)를 가압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가압단(145b)은, 힌지축(13)을 중심으로 도어본체(11)가 회동하여 도어본체(11)가 닫혀지는 과정에서, 제2 차폐부재(120)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여 굽힘선(121)을 가압함으로써, 굽힘선(121)이 도어본체(11)와 문틀(12)이 형성하는 모서리에 밀착되도록 가압한다.
한편, 가압단(145b)은, 힌지축(13)을 중심으로 도어본체(11)가 회동하여 도어본체(11)가 열려지는 과정에서, 제2 차폐부재(120)의 폭 방향 양측단이 각각 도어본체(11)와 문틀(12)에 접촉을 유지하도록 굽힘선(121)에 복원력을 인가한다.
Claims (18)
- 문틀에 대해 도어본체가 상하방향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시, 상기 문틀과 상기 도어본체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차폐하는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로서,
상기 도어본체에 의해 구획되는 2개의 영역 중, 상기 힌지축이 위치하는 제1 영역에서 상기 틈새의 일측을 차폐하는 제1 차폐부재;
상기 도어본체에 의해 구획되는 2개의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의 반대 측으로 정의되는 제2 영역에서 상기 틈새의 타측을 차폐하는 제2 차폐부재; 및
상기 틈새를 경유하여 상기 제1 차폐부재와 상기 제2 차폐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차폐부재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본체의 회동 시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도어본체와 상기 문틀 사이의 최대 간격 보다 작지 않은 폭를 가지는 장방형의 부재로 구비되되, 폭 방향의 양측단은 각각 상기 도어본체와 상기 문틀에 접촉을 유지하며,
상기 제2 차폐부재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본체가 회동하여 상기 도어본체가 닫혀지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당겨지면서, 폭 방향의 양측이 각각 상기 도어본체와 상기 문틀에 밀착되도록 복원가능하게 굽힘변형되는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틈새는, 수평단면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부채꼴(sector form) 형상을 가지되, 중심각(central angle) 측과 원호(arc) 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정의되며,
상기 제1 차폐부재는 상기 중심각 측을 차폐하고,
상기 제2 차폐부재는 상기 원호 측을 차폐하는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차폐부재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본체의 회동 시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도어본체와 상기 문틀 사이의 최대 간격 보다 작지 않은 두께를 가지는 기둥형상으로 구비되는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차폐부재는,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상기 틈새를 경유하여 상기 제1 영역에 위치되는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차폐부재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힌지축과 하나의 라인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차폐부재는, 상기 힌지축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힌지축이 위치하지 않은 영역을 차폐하도록 분리되어 배치되는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차폐부재는, 상기 힌지축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지 않은 힌지축 커버부;를 가지는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차폐부재는, 두께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재질 또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차폐부재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본체가 회동하여 상기 도어본체가 닫혀진 상태의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도어본체와 상기 문틀이 형성하는 모서리에 대응하는 굽힘선을 가지는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굽힘선에서 상기 제2 차폐부재와 결합되는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차폐부재는, 적어도 상기 굽힘선에 대응하는 영역이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구비되는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차폐부재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본체가 회동하여 상기 도어본체가 열려지는 과정에서, 상기 제2 차폐부재의 폭 방향 양측단이 각각 상기 도어본체와 상기 문틀에 접촉을 유지하도록 상기 굽힘선에 복원력을 인가하는 회복력 인가 부재;를 가지는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회복력 인가 부재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본체가 회동하여 상기 도어본체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굽힘선이 상기 도어본체와 상기 문틀이 형성하는 모서리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회복력 인가 부재는, 양단에 각각 고정단과 가압단을 가지는 절곡된 판스프링으로 구비되며, 상기 고정단은 상기 굽힘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차폐부재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가압단은 상기 굽힘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차폐부재의 타측에 접촉되어 상대운동 가능하게 위치되며, 상기 가압단은 상기 제2 차폐부재를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회복력 인가 부재는, 상기 굽힘선과 평행한 토션축을 가지는 토션스프링을 매개로 결합된 제1,2 가압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1 가압부재는 상기 굽힘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차폐부재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2 가압부재는 상기 굽힘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차폐부재의 타측에 접촉되어 상대운동 가능하게 위치되며, 상기 제2 가압부재는 상기 제2 차폐부재를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본체가 회동하여 상기 도어본체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도어본체와 상기 문틀이 교합하는 면에 대응하여 변형되도록 연질부재로 구비되는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3909A KR102616596B1 (ko) | 2022-02-03 | 2022-02-03 |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3909A KR102616596B1 (ko) | 2022-02-03 | 2022-02-03 |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18201A KR20230118201A (ko) | 2023-08-11 |
KR102616596B1 true KR102616596B1 (ko) | 2023-12-28 |
Family
ID=87566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13909A KR102616596B1 (ko) | 2022-02-03 | 2022-02-03 |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16596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084400A (ja) * | 2008-09-30 | 2010-04-15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指詰防止具およびこれを装着した折戸 |
WO2011082133A2 (en) * | 2010-01-04 | 2011-07-07 | Klauber Robert D | Door finger pinch preventer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751754B2 (ja) | 1992-08-20 | 1998-05-18 | 日本鋼管株式会社 | レーザー切断機による鋼板の切断方法 |
US5359812A (en) | 1993-10-25 | 1994-11-01 | Mayfield Charles D | Finger guard |
EP3135851A1 (de) | 2015-08-31 | 2017-03-01 | Planet GDZ AG | Fingerschutzvorrichtung für eine flügeltür |
-
2022
- 2022-02-03 KR KR1020220013909A patent/KR10261659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084400A (ja) * | 2008-09-30 | 2010-04-15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指詰防止具およびこれを装着した折戸 |
WO2011082133A2 (en) * | 2010-01-04 | 2011-07-07 | Klauber Robert D | Door finger pinch preven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18201A (ko) | 2023-08-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98605B1 (en) | Mechanical safety device for a door pivotally mounted on a frame | |
WO2019223183A1 (zh) | 可弯曲显示终端 | |
JPS62164977A (ja) | 固定部材に対する可動部材の相対位置を選定する装置 | |
JP6613963B2 (ja) | 窓用装置 | |
KR102616596B1 (ko) |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 |
EP1928155B1 (en) |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102616591B1 (ko) |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 |
KR102005842B1 (ko) | 도어용 손낌 방지장치 | |
KR101279776B1 (ko) | 회전식 강화도어용 프레임구조 | |
EP0932740A1 (en) | Hinge, e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
KR20210000582A (ko) | 손가락 끼임 방지 커버 | |
JP4089879B2 (ja) | 扉の異物引き込み防止装置 | |
KR102245818B1 (ko) | 여닫이문용 패널형 손끼임 방지구 | |
KR102152797B1 (ko) | 도어 틈새 손 끼임 방지장치 | |
KR102278145B1 (ko) | 미닫이 도어 및 도어 손잡이 | |
JP5154073B2 (ja) | エレベータ乗降口の扉装置 | |
JP3136109U (ja) | ドアにおける挟み込み防止装置 | |
KR102038854B1 (ko) | 보호경첩 | |
KR20210009857A (ko) | 도어의 신체 끼임 방지장치 | |
CN220014993U (zh) | 防夹手安全门 | |
KR102703893B1 (ko) | 손끼임 방지 안전장치 | |
KR102537702B1 (ko) | 출입문의 손끼임 방지장치 | |
KR102319247B1 (ko) | 창호용 손 끼임 방지 장치 | |
KR20230018279A (ko) | 도어 에지용 커버 조립체 | |
JP4984065B2 (ja) | スライド式折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