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5817B1 -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5817B1
KR102615817B1 KR1020210192672A KR20210192672A KR102615817B1 KR 102615817 B1 KR102615817 B1 KR 102615817B1 KR 1020210192672 A KR1020210192672 A KR 1020210192672A KR 20210192672 A KR20210192672 A KR 20210192672A KR 102615817 B1 KR102615817 B1 KR 102615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iodegradable
resin
polyester fiber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2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2493A (ko
Inventor
김춘기
조창현
황문섭
김남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to KR1020210192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817B1/ko
Publication of KR20230102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8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2Heat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8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2Physical properties biodegra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주성분인 생분해성 수지와 함께 탄산칼슘 및 스테아릭 금속염을 포함하므로 기계적 물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생분해도가 우수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BIOGDGRADABLE POLYESTER FI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플라스틱 제품은 의, 식, 주 뿐만 아니라 각종 산업, 운수, 건설, 환경 보전, 의료, 농업, 수산업, 레저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고성능과 장기 안정성을 추구하여 개발되고 생산되어 온 대부분의 고분자 재료는 자연 환경 분위기에서 분해되지 않기 때문의 대량의 플라스틱 폐기물의 처리는 세계 각국에서 큰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또 강이나 바다로 유출되는 플라스틱 제품은 연간 수백만톤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그 폐기물은 해양 환경 중에 축적되어 해양오염의 원인이 된다.
또한, 합성 플라스틱은 대부분 석유화학 제품으로 고갈되어 가고 있는 석유에 그 원료를 의존하고 있다. 인류는 현재 석유의 90% 정도를 연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석유소비량을 줄여나가지 않는다면 문제가 커질 수 있으므로, 비분해성 쓰레기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합성 플라스틱의 대체 재료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최근 환경친화적인 플라스틱에 대한 관심사가 커지고 있다.
한편, 폴리에스테르는 내열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물성이 뛰어난 합성 수지이다. 폴리에스테르 중에서도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는 플라스틱 소재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소재 중 하나이며, 이외에도 자동차 차체, 가구 등 폭넓게 이용되고 있는 소재이다.
그러나, 최근 플라스틱 폐기 문제와 관련한 환경 문제가 점차 커지면서, 완전 분해가 가능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생분해 또는 생붕괴 특성이 없으므로 이에 생분해성을 부여한다면 환경 문제를 어느정도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는 박테리아, 조류, 곰팡이 등 자연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해 분해될 수 있는 소재를 의미한다.
이에, 환경문제에 대한 대책으로 비분해성 고분자에 대한 대체물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오고 있으며, 일부 선진국에서는 옥수수와 같은 잉여 농산물로부터 원료물질을 생산하여 물리적 물성과 분해성이 우수한 폴리락트산을 생산하고 있으며 미생물로부터 분해가 가능한 폴리에스테르를 합성하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화학 섬유 업계도 이에 발맞추어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한 생분해성 섬유 및 제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그러나 생분해성 화학제품은 가격이 비싸고, 내구성 등의 상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 경우 대기중의 수분 및 고습환경에 의하여 에스테르 결합이 가수분해되어 최종 제품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종래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에 생분해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폴리락트산과 같은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와 혼합하여 이용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폴리락트산,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카프로락톤과 같은 생분해 소재는 생분해성이 우수하나, 낮은 융점으로 내열성 및 내구성이 부족하여 섬유 의류 제품에 적용이 불가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21-010663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생분해성 수지, 탄산 칼슘 및 스테아릭 금속염을 포함하는 생분해도가 우수하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생분해성 수지; 탄산 칼슘(CaCO3); 및 스테아릭 금속염을 포함하고, 상기 생분해성 수지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이다.
이때,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폴리락트산(Poly Lactic acid, PLA), 폴리글리코르산(Polyglycolic acid, PGA), 폴리에틸렌 아디파트(Polyehtylene adipate, PEA), 폴리하이드로시알카노에이트(Polyhydroxyalkanoate, PHA),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TT) 및 폴리에틸렌 나프탈렌(Polyethylene naphthalate, PEN)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수지는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AT), 폴리 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 폴리부틸렌 석시네이트(Polybutylene succinate, PBS), 폴리부티렌 석시네이트-아디페이트 공중합체(Poly(butylene succinate-adipate, co-PBSA) 및 폴리부티렌 푸마릭 석시네이트(Polybutylene succinate fumaric, PBSF) 중 1종 이상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를 포함하고, 상기 생분해성 수지는 폴리락트산(PLA),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 및 폴리 카프로락톤(PCL) 중 1종 이상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생분해성 수지는 폴리 카프로락톤(PC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수지는,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부의 폴리락트산(PLA)를 포함하거나; 또는 폴리락트산(PLA)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부의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70 내지 99.5중량%; 및 생분해성 수지, 탄산 칼슘 및 스테아릭 금속염 0.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산 칼슘의 함량은 0.05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스테아릭 금속염의 함량은 0.05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스테아릭 금속염은 망간, 철, 구리, 세륨, 코발트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산칼슘은 0.5㎛ 내지 2㎛의 평균 입도를 갖는 타원형의 입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생분해성 수지; 탄산 칼슘(CaCO3); 및 스테아릭 금속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용융하여 수지 용융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제조된 수지 용융물을 방사하여 섬유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분해성 수지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생분해성 수지, 탄산 칼슘 및 스테아릭 금속염을 포함한다. 이러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기계적 물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생분해도가 우수하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생분해성 수지; 탄산 칼슘(CaCO3); 및 스테아릭 금속염을 포함한다. 상기 생분해성 수지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폴리락트산(Poly Lactic acid, PLA), 폴리글리코르산(Polyglycolic acid, PGA), 폴리에틸렌 아디파트(Polyehtylene adipate, PEA), 폴리하이드로시알카노에이트(Polyhydroxyalkanoate, PHA),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TT) 및 폴리에틸렌 나프탈렌(Polyethylene naphthalate, PEN)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수지는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AT), 폴리 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 폴리부틸렌 석시네이트(Polybutylene succinate, PBS), 폴리부티렌 석시네이트-아디페이트 공중합체(Poly(butylene succinate-adipate, co-PBSA) 및 폴리부티렌 푸마릭 석시네이트(Polybutylene succinate fumaric, PBSF) 중 1종 이상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생분해성 수지는 자연 환경 중에서 대단히 안정한 종래의 플라스틱과는 달리 흙이나 물 또는 미생물의 활동에 의하여 섬유 내의 도입된 사슬이 절단됨으로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되는 성질을 가진다.
이 중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락트산(PLA)은 재생자원에서 얻을 수 있는 열가소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로 석유 기초 플라스틱에 상응하는 기계적 특성을 가지고 있음은 물론 생분해될 수 있기 때문에 친환경 소재로 부각되고 있는 소재중 하나이다. 이러한 폴리락트산(PLA)은 생분해성과 순환형 자원 이용의 두가지 측면을 가진 소재로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중간 정도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또한, 폴리락트산(PLA)은 락티드(Lactides)의 축중합(condensation polymerization)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드(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및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Polybutylene adipate; PBA)의 특징을 모두 갖는 공중합체로, 대표적인 지방족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로서 폴리에틸렌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등을 포함하는 합성계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천연물계와 비교하면 가격은 상대적으로 높으나, 인장강도, 내습성, 가공성이 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기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는 높은 강인성 및 고온 내성을 가지며, 에스테르 결합의 존재로 생분해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카프로락톤(PCL)은 음이온, 양이온, 또는 배위 촉매에 의한 개환 중합에 의하여 합성될 수 있으며, 이렇게 합성된 폴리카프로락톤(PCL)은 중량평균분자량(Mw)이 5,000 내지 50,000 g/mol일 수 있다. 본 발명은 PCL의 중량평균분자량(Mw)을 상기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 시 폴리에스테르 수지와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의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부틸렌 석시네이트(PBS)는 대표적인 축중합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로서, 상기 폴리부틸렌 석시네이트(PBS)는 2가 알코올과 2가 산으로부터 합성된 다른 폴리에스테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융점을 갖는 내열성 고분자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PBS 수지는 1,4-부탄디올(1,4-BDO)과 숙신산과의 에스테르화 반응, 및 이에 따라 발생된 올리고머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한 축중합에 의해 합성되는, 생분해성을 갖는 바이오플라스틱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에 폴리부틸렌 석시네이트(PBS)수지를 포함함으로써, 미생물 등에 의해 자연 분해될 수 있어서 친환경적으로 유리하며, 파괴강도, 인장강도, 연신율(신율), 광학특성, 경도, 용융 장력(melt strength) 및 내수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인장 강도 및 연신율(신율)을 향상시켜 적절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를 포함하고, 상기 생분해성 수지는 폴리락트산(PLA),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 및 폴리 카프로락톤(PCL) 중 1종 이상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생분해성 수지는 폴리 카프로락톤(PC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수지는,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부, 8 내지 25 중량부, 또는 12 내지 20 중량부의 폴리락트산(PL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수지는, 폴리락트산(PLA)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부, 8 내지 25 중량부, 또는 12 내지 20 중량부의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량은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70 내지 99.5중량%, 90 내지 99.5중량% 또는 96 내지 99.5중량%일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량이 70중량% 미만인 경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99.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생분해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생분해성 수지, 탄산 칼슘 및 스테아릭 금속염의 총 함량은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0중량%, 1 내지 10 중량% 또는 1 내지 4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수지, 탄산 칼슘 및 스테아릭 금속염의 총 함량이 0.5중량% 미만인 경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생분해성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3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내구성이 저하되며 방사 공정성이 저하되 문제가 있다.
탄산칼슘은 제조되는 펠릿의 내구성 강화에 기여하는 무기필러 성분으로 결정화도를 증대하여 강성, 투명성 및 광택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탄산칼슘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분 친화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미생물이 생분해성 수지에 쉽게 접촉하거나 성장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생분해 성능을 촉진시킬 수 있다. 상기 탄산칼슘은 0.5㎛ 내지 2㎛의 평균 입도를 갖는 타원형의 입자이되, 상기 입자의 구형도는 1.1 내지 2.0인 것이 물성 향상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산칼슘은 0.5㎛ 내지 2㎛; 또는 0.5㎛ 내지 2㎛의 평균 입도를 갖는 타원형 입자일 수 있으며, 상기 입자는 1.1 내지 1.8; 또는 1.2 내지 1.6의 구형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탄산칼슘의 입자 크기 및 형태를 상기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기계적 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섬유 내에 균일하게 함유된 생분해성 수지 및 스테아릭산 금속염와의 접촉 면적을 극대화하여 섬유의 생분해를 보다 촉진시킬 수 있다.
상기 탄산 칼슘의 함량은 0.1 내지 5.0 중량%, 0.1 내지 2.0중량%, 0.3 내지 1.8중량% 또는 0.4 내지 1.6중량%일 수 있다.
스테아릭 금속염은 탄산칼슘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생분해 성능을 촉진시키는 역할과 함께,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펠렛 형태로 성형 시 또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필름으로 성형 시 기계적 마찰을 적게 하고 미끄럼을 촉진하여 열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스테아릭 금속염은 망간, 철, 구리, 세륨, 코발트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스테아릭 금속염은 스테아릭 망간염(manganese stearate) 및 스테아릭 철염 (iron stearate)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아릭 금속염은 0.05 내지 5.0 중량%, 0.05 내지 2.0중량%, 0.05 내지 1.5중량% 또는 0.05 내지 1.2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고유점도(Intrinsic Viscosity, IV)는 0.4 dl/g 내지 0.9 dl/g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유점도는 0.50 dl/g 내지 0.70 dl/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생분해성 수지; 탄산 칼슘; 및 스테아릭 금속염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방사 이전에 용융된 상태에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공중합된 형태의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중합된 형태의 수지는 생분해성 수지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를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5내지 30중량% 또는 0.1 내지 30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높은 생분해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SDY(Spin draw yarn) 또는 DTY (Draw textured yarn)일 수 있고, 상기 SDY 또는 DTY는 섬도가 20~1000 데니어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30~600 데니어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열 안정제, 착색제, 발수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 안정제는 5가 및/또는 3가의 인 화합물이나, 화학구조적 입체장애가 큰 페놀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5가 및/또는 3가의 인 화합물은 트리메틸포스파이트, 인산, 아인산,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고, 화학구조적 입체장애가 큰 페놀계 화합물은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 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 에스테르(Pentaerythritol tetrakis(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Irganox 1010),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ert-부틸페닐)부탄(1,1,3-tris(2-methyl-4-hydroxy-5-tert-butylphenyl)butane), 옥타데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 에스테르(octadecyl-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N,N'-헥사메틸렌비스(3,5-ter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남아미드)(N,N'-hexamethylenebis(3,5-di-t-butyl-4-hydroxyhydrocinnamamide)), 에틸렌비스(옥시에틸렌)비스[3-(5-tert-부틸-4-히드록시-m-트릴)프로피온 에스테르](ethylenebis(oxyethylene)bis[3-(5-tert-butyl-4-hydroxy-m-tryl) 및 N,N'-(헥산-1,6-디일)비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아미드(N,N'-(Hexane-1,6-diyl)bis(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anamide))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생분해성 수지; 탄산 칼슘(CaCO3); 및 스테아릭 금속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용융하여 수지 용융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제조된 수지 용융물을 방사하여 섬유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분해성 수지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은 상술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으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생분해성 수지, 탄산 칼슘 및 스테아릭 금속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용융한 수지 용융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용융물을 방사하여 섬유를 제조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렇게 제조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생분해성 수지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방사 이전에 용융된 상태에서 이들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공중합된 형태의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생분해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사는 200℃ 내지 290℃에서 1,000 내지 9,000 m/min의 속도로 수행될 수 있고, 상기 방사는 섬유의 연신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으며, 이때의 연신은 1.1~5.0배의 연신비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연신은 방사공정 중 고뎃롤러(godet roller)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용융방사하여 제조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100℃내지 150℃의 온도에서 열처리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110℃내지 130℃의 온도에서 열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열처리를 통하여 제조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결정성을 증가시켜 기계적 물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 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3.
폴리에스테르 수지, 생분해성 수지, 스테아릭 금속염, 및 탄산칼슘을 하기 표 1과 같이 칭량 및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물을 용융하여 수지 용융물을 형성한 뒤, 상기 수지 용융물을 270℃ 내지 285℃에서 1500 내지 2500 m/min의 속도로 방사하고 3~4배의 연신비로 연신하여 SDY 75/72인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제조하였다.
단위: wt% 수지 스테아릭 금속염 탄산칼슘
PLA PBAT PCL PET 망간염 철염
실시예 1 - - 4.0 95.0 - 0.5 0.5
실시예 2 0.5 3.5 - 95.0 - 0.5 0.5
실시예 3 3.5 0.5 - 95.0 - 0.5 0.5
실시예 4 - - 4.0 95.0 0.5 - 0.5
실시예 5 - - 3.5 95.0 1.0 - 0.5
실시예 6 - - 3.0 95.0 - 0.5 1.5
실시예 7 - - 1.7 98.0 - 0.1 0.2
실시예 8 - - 8.0 90.0 - 1.0 1.0
비교예 1 - - 4.0 95.0 - - 1.0
비교예 2 - - 4.0 95.0 - 1.0 -
비교예 3 - - - 100.0 - - -
실험예.
본 발명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들을 대상으로 강도, 신도 및 생분해도를 각각 측정하였으며,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섬유의 강도 및 신도: Instron사의 UTM을 이용, KS K 0412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2) 생분해도: ISO21701 방법에 의하여 180일 경과 후의 생분해도를 분석하였다.
실험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강도(g/d) 신도(%) 생분해도(%/180일)
실시예 1 4.2 35.4 64.7
실시예 2 4.21 34.9 62.6
실시예 3 4.17 35.1 61.7
실시예 4 4.2 35.4 63.7
실시예 5 4.1 35.6 72.5
실시예 6 4.12 35.8 65.7
실시예 7 4.2 35.3 61.3
실시예 8 3.8 35.7 87.9
비교예 1 4.2 35.4 1.2
비교예 2 4.1 35.3 1.5
비교예 3 4.4 35.7 0.1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경우, 3.5 g/d 이상, 구체적으로는 3.7 내지 4.25 g/d의 높은 강도를 나타내고, 35% 이상의 우수한 신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더불어, 실시예의 섬유들은 생분해도가 60%/180일 이상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생분해성 고분자, 스테아릭 금속염 및 탄산 칼슘(CaCO3)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제조하는 경우, 기계적 물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생분해도가 높은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2)

  1. 폴리에스테르 수지; 생분해성 수지; 탄산 칼슘(CaCO3); 및 스테아릭 금속염을 포함하고,
    상기 생분해성 수지는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8 내지 25 중량부의 폴리락트산을 포함하거나,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8 내지 25 중량부의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폴리락트산(Poly Lactic acid, PLA), 폴리글리코르산(Polyglycolic acid, PGA), 폴리에틸렌 아디파트(Polyehtylene adipate, PEA), 폴리하이드로시알카노에이트(Polyhydroxyalkanoate, PHA),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TT) 및 폴리에틸렌 나프탈렌(Polyethylene naphthalate, PEN)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70 내지 99.5중량%; 및
    생분해성 수지, 탄산 칼슘 및 스테아릭 금속염 0.5 내지 30 중량%,
    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8. 제1항에 있어서,
    탄산 칼슘의 함량은 0.05 내지 5.0중량%인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9. 제1항에 있어서,
    스테아릭 금속염의 함량은 0.05 내지 5.0중량%인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10. 제1항에 있어서,
    스테아릭 금속염은 망간, 철, 구리, 세륨, 코발트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11. 제1항에 있어서,
    탄산칼슘은 0.5㎛ 내지 2㎛의 평균 입도를 갖는 타원형의 입자인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12. 폴리에스테르 수지; 생분해성 수지; 탄산 칼슘(CaCO3); 및 스테아릭 금속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용융하여 수지 용융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제조된 수지 용융물을 방사하여 섬유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분해성 수지는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8 내지 25 중량부의 폴리락트산을 포함하거나,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8 내지 25 중량부의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
KR1020210192672A 2021-12-30 2021-12-30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15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672A KR102615817B1 (ko) 2021-12-30 2021-12-30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672A KR102615817B1 (ko) 2021-12-30 2021-12-30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493A KR20230102493A (ko) 2023-07-07
KR102615817B1 true KR102615817B1 (ko) 2023-12-21

Family

ID=87153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2672A KR102615817B1 (ko) 2021-12-30 2021-12-30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81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8219A (ja) * 2009-08-17 2011-02-24 Unitika Ltd 生分解性フェイスカバー
KR101464496B1 (ko) 2014-08-12 2014-11-26 주식회사 디유케이 생분해성 섬유의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분해성 섬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84981T3 (es) * 2014-07-01 2018-10-05 Omya International Ag Fibras de poliéster de múltiples filamentos
US10683399B2 (en) * 2018-06-26 2020-06-16 Intrinsic Advanced Materials, LLC Biodegradable textiles, masterbatches, and method of making biodegradable fibers
KR20210106632A (ko) 2020-02-21 2021-08-31 효성첨단소재 주식회사 생분해성이 우수한 산업용 폴리에스테르 원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8219A (ja) * 2009-08-17 2011-02-24 Unitika Ltd 生分解性フェイスカバー
KR101464496B1 (ko) 2014-08-12 2014-11-26 주식회사 디유케이 생분해성 섬유의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분해성 섬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493A (ko) 202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02940B1 (de) Biologisch abbaubare polymer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bioabbaubarer formkörper
EP0802941B1 (de) Biologisch abbaubare polymer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bioabbaubarer formkörper
EP1795561B1 (en) Resin composition and molding thereof
US5952450A (en) Crosslinked polycarbonate and polylactic aci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ES2535394T3 (es) Uso de mezclas de polímeros para la fabricación de cintas de lámina
DE19505186A1 (de) Biologisch abbaubare Polymer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bioabbaubarer Formkörper
CN102070880A (zh) 一种生物降解树脂组合物及其制品
DE19500756A1 (de) Biologisch abbaubare Polymer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bioabbaubarer Formkörper
EP2169006A1 (en) Injection molded article of fiber-reinforced polylactic acid resin
KR20210106632A (ko) 생분해성이 우수한 산업용 폴리에스테르 원사
KR100642289B1 (ko) 생분해성 수지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생분해성 필름
KR101225944B1 (ko) 천연 보강제 강화 폴리유산 복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20096165A (ko) 바이오매스 원료로부터 만들어지는 생분해성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Alhanish et al. Biobased thermoplastic polyurethanes and their capability to biodegradation
KR102615817B1 (ko)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12429B1 (ko)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수지 조성물
KR20230102477A (ko) 생분해성 마스터배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93643B1 (ko) 표면처리된 부산석고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필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73199A (ko)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79973A (ko)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원착 섬유
KR20240079942A (ko)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복합 섬유
CN112322008B (zh) 一种可降解合成纤维组合物及其制备方法
Kuru et al. Poly (lactic acid)/polyester blends: review of current and future applications
KR20240079971A (ko) 생분해성 사이드 바이 사이드 중공 섬유
KR101850514B1 (ko) 3d 프린터 필라멘트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유연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