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5520B1 - 과일수확기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과일수확기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5520B1
KR102615520B1 KR1020200167988A KR20200167988A KR102615520B1 KR 102615520 B1 KR102615520 B1 KR 102615520B1 KR 1020200167988 A KR1020200167988 A KR 1020200167988A KR 20200167988 A KR20200167988 A KR 20200167988A KR 102615520 B1 KR102615520 B1 KR 102615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od
work
rod coupling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8826A (ko
Inventor
최미정
Original Assignee
최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미정 filed Critical 최미정
Priority to KR1020200167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520B1/ko
Publication of KR20220078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5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A01D46/247Manually operated fruit-pick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2Baskets or bags attachable to the pick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6/00Harve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수확기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과일 또는 박과채소를 수확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고 과일 또는 박과채소를 수확할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는 작업프레임; 및 상기 작업프레임의 타측에 위치한 연결프레임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작업봉의 회전작동에 따라 결합 또는 분리되는 봉결합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과일수확기용 프레임{Frame for fruit harvester}
본 발명은 과일수확기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나무 또는 제조된 작업봉에 설치가 용이하고,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과일수확기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은 수확하는 과정에서 낙과에 따른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되고, 이러한 손상은 과일의 상품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과일이 높은 위치에 열리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직접 나무에 올라가거나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서 과일을 수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일의 수확 과정은 작업자가 올라갈 나무의 위치에 사다리를 위치시켜 과일을 수확한 후 사다리를 타고 내려와서 다른 과일 나무로 다시 사다리를 옮겨 이동시키는 방법이 사용된다.
즉, 연속적으로 높은 위치의 과일을 수확하게 되므로, 높은 위치의 과일을 수확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으며, 특히 작업자가 사다리의 위치를 이송시키고, 그 사다리를 타고 올라갔다 내려가는 행위를 반복해야 하는 등 많은 노동력이 소모되고, 작업자가 쉽게 피로감을 느끼고 나무나 사다리에서 떨어질 수 있는 위험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기존의 감나무에서의 감 수확은 장대 끝에 타원형의 프레임을 부착하고, 주머니를 달아 당기거나 꺾어서 주머니에 떨어 뜨려 담는 방식으로 감 수확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감나무는 나무가 약한데도 불구하고 나무에 올라가 감을 수확하다 가지가 부러져 다치게 되는 경우도 많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8131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6320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8386호, 등록특허공보 제10-1373361호, 등록특허공보 제10-1317830호 등의 다양한 형태의 과일 수확기가 선행기술 문헌으로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 문헌들 중, 등록특허공보 제10-1317830호는 연결봉이 프레임과 용접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6320호의 과일 수확기의 프레임 구조는, 프레임에 수확망(주머니)이 달리고, 대나무나 알루미늄 장대와 결합하기 위한 연결봉이 결합 되는데, 프레임과 연결봉이 결합되기 위해서는 보통 용접을 하거나 용접이 아닌 경우에는 연결봉의 홈을 채우면서 프레임 철사를 고정시키는 별도의 플라스틱의 부자재, 그리고 체결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가 필요하고, 장대와의 결합을 위해서는 결속용 구멍이 형성되게 된다.
그러나 선행기술 문헌의 과일 수확기의 프레임 구조는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생산 단가가 올라가고 공정이 많아져서 상품화되기가 어려우며, 수확 주머니 망의 경우에는 한 번 결합되면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고, 오염되거나 헤어져 닳아서 보통 기워서 쓰는 실정이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1373361호의 경우, 망을 교체하는 방안으로 프레임에 일정한 간격으로 철사나 끈으로 묶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 또한 결속하는데 별도의 노력이 필요하고 용이 하지 않을뿐더러 철사의 결속 부위가 과일에 직접 닿아서 수확하는 과일을 상하게 할 우려가 큰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8131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6320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838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336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연결프레임과 작업프레임 및 봉결합프레임을 용이하게 제작하고, 힘이 전달되는 부분에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과일수확기용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대나무 또는 제조된 봉으로 구성되는 작업봉에 조립 또는 분리가 용이한 과일수확기용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과일수확기용 프레임은 과일 또는 박과채소를 수확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고 과일 또는 박과채소를 수확할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는 작업프레임; 및 상기 작업프레임의 타측에 위치한 연결프레임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작업봉의 회전작동에 따라 결합 또는 분리되는 봉결합프레임;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프레임과 작업프레임은 동일한 지름을 가지는 철사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봉결합프레임은 연결프레임과 작업프레임의 지름보다 큰 철사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결합프레임의 나선 폭은 동일 또는 외부에서 내부방향을 향할수록 나선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일측 끝단에 상기 작업프레임의 끝단이 각각 연결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전방 수평부; 상기 전방 수평부의 타측 끝단에 배치되고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일측 끝단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봉결합프레임과 연결되는 봉연결 마감부와 상기 경사부의 타측 끝단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면서 봉결합프레임에 고정되는 마감부로 구성되는 마감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감부의 끝단에 연장결합부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장결합부는 봉결합프레임의 내부 또는 끝단 또는 지렛대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결합프레임에 장착공이 형성된 끼움 결합구가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마감부의 끝단부분에는 상기 끼움 결합구의 장착공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 결합돌기가 절곡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마감부의 끼움 결합돌기는 상기 끼움 결합구를 관통하고,
상기 끼움 결합구를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한 끼움 결합돌기와 봉결합프레이임에는 절개부가 구비된 고정구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봉결합프레임의 전방 끝단에는 작업봉의 삽입위치를 제한할 수 있도록 봉위치 제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과일수확기용 프레임은 연결프레임과 작업프레임 및 봉결합프레임을 용이하게 제작함에 따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힘이 전달되는 부분에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과일과 박과채소를 용이하게 수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과일수확기용 프레임은 대나무 또는 제조된 봉으로 구성되는 작업봉에 조립 또는 분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환경에 따라 작업봉을 용이하게 대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수확기용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수확기용 프레임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수확기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연결프레임과 봉결합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수확기용 프레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수확기용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수확기용 프레임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수확기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연결프레임과 봉결합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원발명인 과일수확기용 프레임(100)은 연결프레임(200), 작업프레임(300), 봉결합프레임(4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프레임(200), 작업프레임(300), 봉결합프레임(400)은 작업성과 성형성을 높일 수 있도록 동일한 지름을 가지는 철사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결합프레임(400)은 연결프레임(200)과 작업프레임(300)의 지름보다 큰 철사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작업봉(500)의 작동에 따른 강도를 보강하면서도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연결프레임(200)은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21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프레임(200)에는 수확공간이 형성된 공지된 주머니(600)가 장착되고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상기 연결프레임(200)은 작업프레임(300)의 작동을 통해 수확되는 과일 또는 박과채소를 수용공간(210)을 통해 주머니(600)의 수확공간에 삽입시키게 된다.
그리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연결프레임(200)은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일측 끝단에 상기 작업프레임(300)의 끝단이 각각 연결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210)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전방 수평부(220), 상기 전방 수평부(220)의 타측 끝단에 배치되고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부(230), 상기 경사부(230)의 일측 끝단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봉결합프레임(400)과 연결되는 봉연결 마감부(242)와 상기 경사부(230)의 타측 끝단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면서 봉결합프레임(400)에 고정되는 마감부(244)로 구성되는 마감 수평부(2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연결프레임(200)은 한 쌍의 전방 수평부(220)와 상기 전방 수평부(220)의 일단에 형성되는 경사부(230) 및 상기 경사부(230)의 끝단에 형성되는 봉연결 마감부(242)와 마감부(244)를 탁구채 형상으로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방 수평부(220)와 봉결합프레임(400)의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경사부(230)와 마감 수평부(240)는 강도가 취약한 연결부분의 강도를 보강하고 상기 작업봉(500)의 작동시 균등하게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마감부(244)와 봉결합프레임(400)의 고정은 용접이나 공지된 브라켓 등을 통해 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프레임(200)은 도시된 도 3 내지 5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시된 도 3의 연결프레임(200)은 마감부(244)의 끝단에 연장결합부(250)를 연장형성하여 상기 봉결합프레임(400)에 고정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마감부(244)의 끝단에 연장결합부(250)를 연장형성하여, 상기 봉결합프레임(400)의 내부 또는 끝단 또는 지렛대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봉결합프레임(400)은 연장결합부(250)의 결합을 고려하여 작업봉(500)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됨은 당연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4(a) 및 4(b)의 연결프레임(200)은 봉결합프레임(400)에 끼움 결합구(440)을 장착하여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연결프레임(200)의 마감부(244)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봉결합프레임(400)에 장착공(442)이 형성된 끼움 결합구(440)가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마감부(244)의 끝단부분에는 상기 끼움 결합구(440)의 장착공(442)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 결합돌기(246)가 절곡형성된다.
즉, 상기 마감부(244)의 끼움 결합돌기(246)와 대응하는 위치에 끼움 결합구(440)를 위치시킨 후 상기 끼움 결합돌기(246)를 장착공(442)에 끼움 결합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끼움 결합구(440)의 내면에는 끼움 결합돌기(246)와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밀착부재(450)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5의 연결프레임(200)은 끼움 결합구(440)의 양측으로 고정구(460)를 장착하여, 상기 끼움 결합돌기(246)가 끼움결합된 끼움 결합구(440)의 위치변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마감부(244)의 끼움 결합돌기(246)는 상기 끼움 결합구(440)의 장착공(442)을 관통하고, 상기 끼움 결합구(440)를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한 끼움 결합돌기(246)와 봉결합프레임(400)의 나선(410)에는 절개부가 구비된 고정구(460)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작업프레임(300)은 연결프레임(200)의 일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프레임(300)은 지그재그 형상이 수직 또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작업프레임(300)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어 과일 또는 박과채소를 용이하게 수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작업프레임(300)의 간격과 폭은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봉결합프레임(400)은 연결프레임(200)의 타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봉결합프레임(400)은 소정의 지름을 가지며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작업봉(500)과 결합 또는 분리된다.
여기서, 상기 작업봉(500)은 대나무 또는 끼움돌기가 구비된 봉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봉결합프레임(400)에 회전작동하여 결합 또는 분리하게 된다.
즉, 상기 작업봉(500)은 대나무의 마디 또는 봉의 끼움돌기가 상기 봉결합프레임(400)을 구성하는 나선(410)과 나선(41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420)을 따라 이동하여 결합 또는 분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봉결합프레임(400)의 나선(410)과 나선(410)의 폭은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동일 또는 외부에서 내부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또한, 상기 봉결합프레임(400)은 전방 끝단에 작업봉(500)의 삽입위치를 제한할 수 있도록 봉위치 제한부(43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봉위치 제한부(430)는 작업봉(50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본원발명에서 상기 봉위치 제한부(430)은 작업봉(500)의 지름보다 작은 형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과일수확기용 프레임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일측 끝단에 상기 작업프레임(300)의 끝단이 각각 연결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210)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전방 수평부(220), 상기 전방 수평부(220)의 타측 끝단에 배치되고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부(230), 상기 경사부(230)의 일측 끝단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봉결합프레임(400)과 연결되는 봉연결 마감부(242)와 상기 경사부(230)의 타측 끝단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면서 봉결합프레임(400)에 고정되는 마감부(244)로 구성되는 마감 수평부(240)로 이루어지는 연결프레임(200)과 상기 연결프레임(200)의 전방 수평부(220)에 지그재그 형상이 수직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작업프레임(300) 및 상기 연결프레임(200)의 마감 수평부(240)에 소정의 지름을 가지며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봉결합프레임(400)을 일체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봉결합프레임(400)에 대나무의 마디 또는 봉의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작업봉(500)을 끼움 결합한 후 상기 연결프레임(200)에 주머니(600)를 결합하면, 과일수확기용 프레임(100)의 조립작업은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과일수확기용 프레임의 조립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작업봉(500)을 통해 과일수확기용 프레임(100)을 과일 또는 박과채소에 위치한 후, 상기 작업봉(500)의 작동을 통해 과일 또는 박과채소를 수확하며, 상기 과일 또는 박과채소는 주머니(600)에 보관되는 과정을 통해 과일 또는 박과채소를 수확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과일수확기용 프레임
200 : 연결프레임 210 : 수용공간
220 : 전방 수평부 230 : 경사부
240 : 마감 수평부 242 : 봉연결 마감부
244 : 마감부 246 : 끼움 결합돌기
250 : 연장결합부
300 : 작업프레임
400 : 봉결합프레임 410 : 나선
420 : 공간 430 : 봉위치 제한부
440 : 끼움 결합구 442 : 장착공
450 : 밀착부재
500 : 작업봉 600 : 주머니

Claims (8)

  1. 과일 또는 박과채소를 수확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고 과일 또는 박과채소를 수확할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는 작업프레임; 및
    상기 작업프레임의 타측에 위치한 연결프레임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작업봉의 회전작동에 따라 결합 또는 분리되는 봉결합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양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일측 끝단에 상기 작업프레임의 끝단이 각각 연결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전방 수평부; 상기 전방 수평부의 타측 끝단에 배치되고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일측 끝단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봉결합프레임과 연결되는 봉연결 마감부와 상기 경사부의 타측 끝단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면서 봉결합프레임에 고정되는 마감부로 구성되는 마감 수평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감부의 끝단에 연장결합부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장결합부는 봉결합프레임의 내부 또는 끝단 또는 지렛대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통해 고정되며,
    상기 봉결합프레임에 장착공이 형성된 끼움 결합구가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마감부의 끝단부분에는 상기 끼움 결합구의 장착공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 결합돌기가 절곡형성되며,
    상기 마감부의 끼움 결합돌기는 상기 끼움 결합구를 관통하고,
    상기 끼움 결합구를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한 끼움 결합돌기와 봉결합프레이임에는 절개부가 구비된 고정구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수확기용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과 작업프레임은 동일한 지름을 가지는 철사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봉결합프레임은 연결프레임과 작업프레임의 지름보다 큰 철사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수확기용 프레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결합프레임의 나선 폭은 동일 또는 외부에서 내부방향을 향할수록 나선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수확기용 프레임.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결합프레임의 전방 끝단에는 작업봉의 삽입위치를 제한할 수 있도록 봉위치 제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수확기용 프레임.
KR1020200167988A 2020-12-04 2020-12-04 과일수확기용 프레임 KR102615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988A KR102615520B1 (ko) 2020-12-04 2020-12-04 과일수확기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988A KR102615520B1 (ko) 2020-12-04 2020-12-04 과일수확기용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826A KR20220078826A (ko) 2022-06-13
KR102615520B1 true KR102615520B1 (ko) 2023-12-19

Family

ID=81984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988A KR102615520B1 (ko) 2020-12-04 2020-12-04 과일수확기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5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0161A1 (en) 2000-01-25 2002-02-21 Gilbert Simmons Manual fruit harvesting tool
JP2005253444A (ja) 2004-03-08 2005-09-22 Akira Hina 果実収穫ホ−ス。
JP4095549B2 (ja) 2003-12-20 2008-06-04 章 日名 果実収穫装置
JP2010068794A (ja) * 2008-09-19 2010-04-02 Seizo Ando 果実摘果及び収穫具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320Y1 (ko) 2009-06-02 2009-10-16 김규석 과일 수확기의 프레임 구조
KR20130035632A (ko) * 2011-09-30 2013-04-09 김용철 과실수확기
KR200478386Y1 (ko) 2013-01-22 2015-09-25 김규석 과일 수확기
KR200468131Y1 (ko) 2013-03-04 2013-07-24 한우석 과일 수확기
KR101373361B1 (ko) 2013-03-05 2014-03-13 이상화 과일 수확기
KR102218285B1 (ko) * 2018-11-30 2021-02-22 최미정 임의의 장대 봉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과일 수확 장치용 프레임 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0161A1 (en) 2000-01-25 2002-02-21 Gilbert Simmons Manual fruit harvesting tool
JP4095549B2 (ja) 2003-12-20 2008-06-04 章 日名 果実収穫装置
JP2005253444A (ja) 2004-03-08 2005-09-22 Akira Hina 果実収穫ホ−ス。
JP2010068794A (ja) * 2008-09-19 2010-04-02 Seizo Ando 果実摘果及び収穫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826A (ko) 202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6320Y1 (ko) 과일 수확기의 프레임 구조
MX2014013060A (es) Implemento cortador hilerador para cultivos diversos.
KR102615520B1 (ko) 과일수확기용 프레임
KR20190029394A (ko) 자석 스톱퍼를 갖는 과일수확기
KR200478386Y1 (ko) 과일 수확기
KR20110011329A (ko) 과일 수확기
KR102218285B1 (ko) 임의의 장대 봉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과일 수확 장치용 프레임 모듈
KR102034242B1 (ko) 농작물 수확기
CN207948314U (zh) 可升降黄瓜爬藤架
KR102555187B1 (ko) 농작물 줄기 고정구
KR101373361B1 (ko) 과일 수확기
KR200357736Y1 (ko) 과일 수확기
KR200362582Y1 (ko) 과일수확기
KR200380427Y1 (ko) 두 개의 절단부가 형성된 과일수확기
US20160081274A1 (en) Berry Picking Systems
KR200477174Y1 (ko) 농작물 지지대
KR101323682B1 (ko) 과실수확기구
CN210519480U (zh) 采集装置
CN105638104B (zh) 垄沟田地拾禾专用仿生梳齿
CN212232426U (zh) 一种猕猴桃栽培架
KR101643664B1 (ko) 방조망 걸이 겸용 로프 지주캡
KR101861415B1 (ko) 과실수 보호 차양 거치대
KR102577095B1 (ko) 원터치 결합구조를 가지는 수초낫 겸용 낚시뜰채
CN201972588U (zh) 加设支承的组合式蜈蚣梯
ITMI20091409A1 (it) Sistema di copertura per frutteti, in particolare copertura antigrandine per vigneti, palo intermedio e palo di testata utilizzati per realizzarequesto sistem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