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427Y1 - 두 개의 절단부가 형성된 과일수확기 - Google Patents

두 개의 절단부가 형성된 과일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427Y1
KR200380427Y1 KR20-2005-0001303U KR20050001303U KR200380427Y1 KR 200380427 Y1 KR200380427 Y1 KR 200380427Y1 KR 20050001303 U KR20050001303 U KR 20050001303U KR 200380427 Y1 KR200380427 Y1 KR 2003804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inlet
unit
harveste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3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판원
Original Assignee
성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판원 filed Critical 성판원
Priority to KR20-2005-00013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4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4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4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A01D46/247Manually operated fruit-picking to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6/00Harvesters
    • Y10S56/17Cutter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실나무에서 과일을 수확하기 위한 과일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둥근 링으로 형성한 프레임의 지름 방향으로 두 개의 절단부를 형성한 입구부에 따고자하는 과일을 넣고, 과일의 위치에 따라 적절한 곳의 절단부에 과일꼭지를 끼우고, 이어 과일수확기를 밀거나 당겨 과일꼭지를 절단하며, 떨어진 과일은 망을 따라 안전하게 지상에 이송됨에 따라 연속적으로 과일을 수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대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둥근 형태의 링에서 그 일부를 돌출한 U자가이드(12)를 지름 방향으로 두 개 형성하고, 그 링을 따라 통공한 다수개의 고정공(11′) 및 망(17)을 형성한 프레임(11)을 구성하여, 상기 각 U자가이드(12)에 두 개의 칼날부재(14)가 일정각도로 고정된 입구부(10)를 구비하고, 내부가 빈 단위막대(21)에 다수개의 통로링(22)이 형성되어, 이에 양단이 트인 단위망(23)이 고정된 수개의 단위막대(21)가 서로 끼움된 다단막대(20)를 구비하며, 직교조인트(31) 및 회전조인트(32)의 연결 구조로 상·하 및 좌·우로 꺾임이 가능한 꺾임조절부(30)가 구비되어, 꺾임조절부(30)의 양단으로 입구부(10) 및 다단막대(20)가 고정되고, 망(17) 및 각 단위망(23)이 서로 통하도록 연결한 과일수확기(40)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한 과일수확기는 꺾임조절부를 통해 과일을 따기 용이한 각도로 조절하고, 상기 입구부로 과일을 넣어, 절단하기 용이한 쪽의 칼날부재 사이에 과일꼭지를 위치하고, 과일수확기를 밀거나 당겨 과일꼭지를 절단하며, 떨어진 과일은 망 및 단위망을 통해 지상으로 과일을 이송·수확할 수 있음에 따라, 과일의 손상이 없고, 과일이 달린 위치에 상관없이 수확할 수 있으며, 과일꼭지가 절단된 과일은 연결된 단위망을 통해 지상부로 손상 없이 안전하게 이송되므로,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고, 칼날부재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므로, 칼날부재의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고, 본 고안을 쓰지 않을 경우에는, 다단막대를 완전히 접고, 꺾임조절부로 입구부와 다단막대를 간단히 분해할 수 있으므로, 차지하는 부피가 작아서 보관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두 개의 절단부가 형성된 과일수확기 {the fruit harvester with two cutting-part }
본 고안은 과실나무에서 과일을 수확하기 위한 과일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둥근 링으로 형성한 프레임의 지름 방향으로 두 개의 절단부를 형성한 입구부에 따고자하는 과일을 넣고, 과일의 위치에 따라 적절한 곳의 절단부에 과일꼭지를 끼우고, 이어 과일수확기를 밀거나 당겨 과일꼭지를 절단하며, 떨어진 과일은 망을 따라 안전하게 지상에 이송됨에 따라 연속적으로 과일을 수확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 키보다 큰 과일나무로는 열매가 작은 살구, 자두 등에서부터 열매가 비교적 큰 배, 사과, 감 등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맛도 중요하지만, 꼭지가 달려있고, 외관이 매끈하며, 상처가 없을수록 상등급에 속하여 높은 값을 받을 수 있으므로, 가급적 일일이 손으로 따도록 하여 많은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곳의 열매는 다른 기구를 이용하여 수확하게 되며, 이에 대한 몇 가지 방법을 살펴보면, 통상 사다리를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따는 방법과 기구나 동력을 이용한 과일수확기로 간접적으로 따는 방법이 있는데, 사다리를 이용한 수확 방법은 시간과 인건비가 증대할 뿐만 아니라 위험성이 내재되어 있으므로 작업 능률이 떨어져 생산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동력을 이용한 과일수확기의 대부분은 진동식이어서 진동을 주어도 손상이 적고, 탈과가 잘되는 매실이나 가공용 감귤, 감 등에 한정적으로만 쓰이고 있으므로, 기구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열매를 따는 과일수확기가 많이 고안되어 있고, 이와 관련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대체로 국내 실용신안에 공개 또는 등록된 과일수확기에 대한 내용을 보면, 대부분의 과일수확기가 긴 막대의 끝에 막대 길이 정도의 망을 부착한 원형링을 형성하고, 그 원형링 끝단에 절단부재를 형성하여, 흡사 매미채와 같이 형성한 과일수확기를 이용하되, 절단부재로 과일꼭지를 잘라 원형링에 투입되면 망을 따라 지상부로 이송되는 형식의 과일수확기가 주를 이루고 있다.
상기 고안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733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과일을 받아주는 망 자체가 없어 과실이 그대로 떨어져 과일을 손상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6882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막대 길이를 줄이거나 연장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지 않아 나무 높이에 따른 과일수확기의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68826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재가 원형링 둘레로 다수개의 ‘V’자 형상으로 되어있어, 따야할 과일 이외에도 덜 익은 과일을 따게 되거나, 다른 가지에 손상을 주게되므로 비효율적이었으며, 또, 국내등록실용신안 제35773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원형프레임의 내측으로 칼날을 형성한 절단로를 형성하고, 원형프레임의 하부로 이격프레임을 돌출·형성한 과일수확기에 있어, 칼날을 프레임의 칼날이 일체로 형성되어, 한 방향 즉, 밀어서 수확이 가능하고, 칼날의 교환 및 수리가 용이하지 않으며, 이격프레임이 형성되어 있어 수확된 과일이 손상이 입는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고안은 둥근 형태의 링의 일부를 돌출한 U자가이드를 지름 방향으로 두 개 형성한 프레임에 망을 고정하고, 상기 각 U자가이드에 두 개의 칼날부재를 일정각으로 고정한 입구부와,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단위막대가 서로 끼움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막대와, 직교조인트 및 회전조인트의 연결구조로 꺾임이 가능한 꺾임조절부를 구비하여, 입구부의 U자가이드의 끝단으로 꺾임조절부 및 다단막대가 순차적으로 연결된 과일수확기가 구성되어, 꺾임조절부를 통해 입구부와 다단막대가 이루는 각의 조절이 용이하며, 이 과일수확기의 입구부에 과일을 넣고, 칼날부재 사이에 과일꼭지를 위치시켜, 과일수확기를 밀거나 당겨 과일을 수확함에 따라, 과일의 위치에 상관없이 수확이 용이하고, 칼날부재의 수리 및 교체가 간단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U자가이드에는 스토퍼를 형성하여, 칼날부재가 고정되는 위치를 잡아주고, 칼날부재가 힘을 받는 방향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며, 상기 단위막대에는 다수개의 통로링을 형성하고, 이에 양단이 트인 단위망을 고정하여, 수확된 과일이 망 및 단위망을 따라 지상으로 이송되어, 과일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과실나무에서 과일을 수확하기 위한 과일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둥근 링으로 형성한 프레임의 지름 방향으로 두 개의 절단부를 형성한 입구부에 따고자하는 과일을 넣고, 과일의 위치에 따라 적절한 곳의 절단부에 과일꼭지를 끼우고, 이어 과일수확기를 밀거나 당겨 과일꼭지를 절단하며, 떨어진 과일은 망을 따라 안전하게 지상에 이송됨에 따라 연속적으로 과일을 수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대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둥근 형태의 링에서 그 일부를 돌출한 U자가이드(12)를 지름 방향으로 두 개 형성하고, 그 링을 따라 통공한 다수개의 고정공(11′) 및 망(17)을 형성한 프레임(11)을 구성하여, 상기 각 U자가이드(12)에 두 개의 칼날부재(14)가 일정각도로 고정된 입구부(10)를 구비하고, 내부가 빈 단위막대(21)에 다수개의 통로링(22)이 형성되어, 이에 양단이 트인 단위망(23)이 고정된 수개의 단위막대(21)가 서로 끼움된 다단막대(20)를 구비하며, 직교조인트(31) 및 회전조인트(32)의 연결 구조로 상·하 및 좌·우로 꺾임이 가능한 꺾임조절부(30)가 구비되어, 꺾임조절부(30)의 양단으로 입구부(10) 및 다단막대(20)가 고정되고, 망(17) 및 각 단위망(23)이 서로 통하도록 연결한 과일수확기(40)를 구성한다.
본 고안은 크게 입구부(10)와 다단막대(20) 및 꺾임조절부(30)로 이루어지며, 각 세부 구조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먼저, 입구부(10)는 프레임(11)과 칼날부재(13) 및 망(17)으로 구성되며, 이는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은 둥근 형태의 링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U자가이드(12)를 지름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두 개 형성하되, 각 U자가이드(12)를 제외한 일부분을 제거한 트임부(11″)를 형성하며, 프레임(11)의 테두리를 따라 통공한 고정공(11′)을 다수개 형성하며, 각 U자가이드(12)에는 후설할 칼날부재(14)가 놓이는 위치 및 힘이 받는 방향을 고려하여, ‘一’자, ‘ㄱ’자, ‘ㄷ’자 등의 형상을 가지는 스토퍼(13)를 일체로 형성하며, U자가이드(12)의 끝단에는 판부재에 관통한 연결공(16′)을 형성한 연결부(16)를 형성한다.
또한, 칼날부재(14)는 다수개의 장공(14′)을 형성한 판부재의 일측에 칼날을 형성한 것으로, 이는 상기 U자가이드(12)에 스토퍼(13)에 맞게 고정하되, 두 개의 칼날이 일정각도로 서로 마주보게 위치시키고, 겹쳐지는 장공(14′) 및 고정공(11′)에 고정부재(15′)를 삽입·고정하여 절단부(15)를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11)의 고정공(11′)을 따라 망(17)이 고정되되, 이 망(17) 그물 또는 천류로 형성한 것으로, 일단이 막힌 것을 사용하거나, 후설할 다단막대(20)의 단위망(23)과 같이 사용할 경우에는 양단이 트인 것을 사용하고, 이와 같이, 망(17)이 고정된 프레임(11)과 이의 U자가이드(12)에는 절단부(15)가 형성되어 입구부(10)를 형성한다.
그리고 도1 및 도2를 참고하여 다단막대(20)를 설명하면, 이는 내부가 비고, 서로 직경이 다른 단위막대(21)를 다수개 구비하여, 각 단위막대(21)의 일측 또는 양측에 링형상의 통로링(22)을 다수개 형성하여, 이 통로링(22)에 양단이 트인 단위망(23)을 고정한 다수개의 단위막대(21)를 서로 끼워,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막대(20)를 형성하며, 첫 번째 형성하는 단위막대(21′)에는 후설할 꺾임조절부(30)의 회전조인트(32)에 연결되는 나사산(미도시)을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꺾임조절부(30)는 직교조인트(31)로 회전조인트(32)로 구성되며, 이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교조인트(31)는 상기 입구부(10)의 연결부(16)가 중간에 끼움되게 그 단면이 말굽모양, 즉, ‘U’자 모양을 하고, 이에 관통한 연결공(31′)을 형성한 끼움연결부(31″)를 원통형 또는 직육면체 형상의 양단에 각각 형성하되, 길이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90도 회전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각 끼움연결부(31″)의 연결공(31′)의 축이 서로 수직하고, 이에 상기 입구부(10) 및 후설할 회전조인트(31)가 조립되어, 각 수직 방향으로 꺾임이 가능하다.
또한, 회전조인트(32)는 나사산(32″)을 형성한 원통형의 일단에, 상기 연결끼움부(31″)에 끼움되는 판부재를 일체로 형성하고, 그 판부재에 관통한 연결공(32′)을 형성한 것으로, 상기 직교조인트(31)의 끼움연결부(31″)에 회전조인트(32)가 끼움되어, 각 연결공(31′)(32′)에 연결부재(33)로 조립되어 꺾임조절부(30)가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입구부(10)와 단위막대(20) 및 꺾임조절부(30)로 구성된 과일수확기(40)의 구조를 도1 내지 도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이는 꺾임조절부(20)의 양단에 각각 입구부(10) 및 단위막대(20)가 연결되되, 꺾임조절부(20)의 끼움연결부(31″)에 상기 입구부(10)의 연결부(16)를 끼우고, 각 연결공(16′)(31′)에 연결부재(33)를 끼워 연결하며, 꺾임조절부(20)의 나사산(32″)에 다단막대(20)의 첫 번째 단위막대(21′)를 끼워 연결하고, 입구부(10)의 망(17)과 다단막대(20)의 각 단위망(23)이 서로 통하게 연결된 과일수확기(40)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한 과일수확기(40)의 사용방법을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는 먼저, 나무의 종류 및 과일(1)의 위치에 따라, 꺾임조절부(20)의 연결부재(33)를 풀고 입구부(10)와 다단막대(20)가 이루는 각도를 적절히 조절하고, 다시 연결부재(33)를 죄이며, 따고자 하는 과일(1)을 트임부(11″)를 통해 과일수확기(40)의 입구부(10)로 넣고, 과일꼭지의 방향에 따라 원하는 절단부(15)에 과일꼭지를 위치시켜, 과일수확기(40)를 밀거나 당기면, 스토퍼(13)에 의해 칼날부재(14)의 밀림 현상 없이, 과일(1)이 망(17)으로 떨어지고, 이는 단위망(23)을 따라 지상에 안전하게 도달되어 과일(1)을 수확할 수 있다.
따라서, 과일수확기(40)를 이용하여 과일(1)을 수확하는 과정에서, 트임부(11″)를 통해 과일(1)을 용이하게 입구부(10)에 수용할 수 있으며, 꺾임조절부(30)를 통해 입구부(10) 및 다단막대(20)가 이루는 각을 조절할 수 있고, 절단부(15)는 두 개가 형성되어 있어, 나무의 종류와 과일(1)의 위치 및 과일꼭지의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과일(1)을 딸 수 있으며, 절단부(15)에 의해 꼭지가 잘려진 과일(1)은 연결된 망(17) 및 각 단위망(23)을 통해 지상부로 손상 없이 안전하게 이송됨에 따라,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며, 이 다단막대(20) 및 꺾임조절부(30)는 다른 형상의 입구부(10)에도 적용될 수 있고, 칼날부재(14)의 조립 및 분해가 간단하므로 칼날부재(14)의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며, 본 고안을 쓰지 않을 경우에는, 꺾임조절부(30)로 입구부(10)와 다단막대(20)를 분해하거나, 다단막대(20)를 완전히 접으면, 차지하는 부피가 작아져 보관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본 고안은 둥근 형태의 링의 일부를 돌출한 U자가이드를 지름 방향으로 두 개 형성한 프레임에 망을 고정하고, 상기 각 U자가이드에 두 개의 칼날부재를 일정각으로 고정한 입구부와,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단위막대가 서로 끼움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막대와, 직교조인트 및 회전조인트의 연결구조로 꺾임이 가능한 꺾임조절부를 구비하여, 입구부의 U자가이드의 끝단으로 꺾임조절부 및 다단막대가 순차적으로 연결된 과일수확기가 구성되어, 꺾임조절부를 통해 입구부와 다단막대가 이루는 각의 조절이 용이하며, 이 과일수확기의 입구부에 과일을 넣고, 칼날부재 사이에 과일꼭지를 위치시켜, 과일수확기를 밀거나 당겨 과일을 수확함에 따라, 과일의 위치에 상관없이 수확이 용이하고, 칼날부재의 수리 및 교체가 간단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U자가이드에는 스토퍼를 형성하여, 칼날부재가 고정되는 위치를 잡아주고, 칼날부재가 힘을 받는 방향으로 밀리지 않으며, 상기 단위막대에는 다수개의 통로링을 형성하고, 이에 양단이 트인 단위망을 고정하여, 수확된 과일이 망 및 단위망을 따라 지상으로 이송되어, 과일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과일수확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단막대를 접었을 때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꺾임조절부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과일수확기의 사용 실시예.
도 5는 도 4의 AA′부분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입구부 11 : 프레임 15 : 절단부
20 : 다단막대 21 : 다단막대 30 : 꺾임조절부
31 : 직교조인트 32 : 회전조인트

Claims (5)

  1. 둥근 형태의 링의 일부를 돌출한 U자가이드(12)를 지름 방향으로 두 개 형성하고, 그 링을 따라 통공한 고정공(11′)을 다수개 형성하여 망(17)을 고정한 프레임(11)을 구성하고, 각 U자가이드(12)에 두 개의 칼날부재(14)가 일정각으로 고정되어 절단부(15)를 형성한 입구부(10)와,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단위막대(21)가 서로 끼움되어 형성한 다단막대(20)와,
    상기 입구부(10) 및 다단막대(20)를 연결하는 꺾임조절부(30)가 구비되어,
    입구부(10)의 U자가이드(12)의 끝단으로 꺾임조절부(30) 및 다단막대(20)가 순차적으로 연결·고정된 과일수확기(40)를 구성하여,
    입구부에 과일을 넣어, 과일의 위치에 따라 절단부에서 밀거나 당겨 과일을 수확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절단부가 형성된 과일 수확기.
  2. 제 1항에 있어서,
    단면이 말굽모양을 하고, 이에 통공한 연결공(31′)을 형성한 끼움연결부(31″)를 양단에 형성하되, 같은 축에 90도 회전한 방향으로 형성한 직교조인트(31)와, 나사산(32″)을 형성한 원통형의 일단에 관통한 연결공(32′)을 형성한 판부재를 일체로 형성한 회전조인트(32)가 구비되어, 직교조인트(31)에 회전조인트(32)가 끼움·고정된 꺾임조절부(30)를 형성하고,
    상기 입구부(10)에서, 일측 U자가이드(12)의 끝단에 판부재에 연결공(16′)을 형성한 연결부(16)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다단막대(20)의 직경이 제일 작은 단위막대(21′)에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양단으로 입구부 및 다단막대가 조립된 꺾임조절부에 의해 입구부와 다단막대 사이의 각을 조절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절단부가 형성된 과일수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막대(20)의 각 단위막대(21)에 다수개의 통로링(22)을 형성하고, 이에 양단이 트인 단위망(23)을 형성하며, 입구부(10)에 형성한 망(17)과 통하도록 하여,
    과일을 딴 후, 망 및 단위망을 따라 지상으로 안전하게 이송되어, 수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절단부가 형성된 과일수확기.
  4.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에는 그 테두리의 일정부분을 제거한 트임부(11″)를 형성하여,
    입구부에 과일을 넣는 것이 용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절단부가 형성된 과일수확기.
  5.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자가이드(12)에는 절단부재(14)가 놓이는 위치 및 방향에 따라 스토퍼(13)를 형성하여,
    절단부재의 고정이 용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절단부가 형성된 과일수확기.
KR20-2005-0001303U 2005-01-15 2005-01-15 두 개의 절단부가 형성된 과일수확기 KR2003804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303U KR200380427Y1 (ko) 2005-01-15 2005-01-15 두 개의 절단부가 형성된 과일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303U KR200380427Y1 (ko) 2005-01-15 2005-01-15 두 개의 절단부가 형성된 과일수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427Y1 true KR200380427Y1 (ko) 2005-03-31

Family

ID=43682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303U KR200380427Y1 (ko) 2005-01-15 2005-01-15 두 개의 절단부가 형성된 과일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42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320Y1 (ko) 2009-06-02 2009-10-16 김규석 과일 수확기의 프레임 구조
KR101163147B1 (ko) 2010-04-02 2012-07-06 이경형 과일수확기
KR20140045472A (ko) * 2014-03-03 2014-04-16 정혜원 다단식 카본파이프로 구성된 고지작업구용 샤프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320Y1 (ko) 2009-06-02 2009-10-16 김규석 과일 수확기의 프레임 구조
KR101163147B1 (ko) 2010-04-02 2012-07-06 이경형 과일수확기
KR20140045472A (ko) * 2014-03-03 2014-04-16 정혜원 다단식 카본파이프로 구성된 고지작업구용 샤프트
KR101596312B1 (ko) 2014-03-03 2016-02-22 정혜원 다단식 카본파이프로 구성된 고지작업구용 샤프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2184B2 (en) Plant support system and method of use
US7219467B1 (en) Plant support system
US6374538B1 (en) Vineyar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vineyard mechanization
US10349576B1 (en) Vegetation cutter and mulcher
US6453606B1 (en) Collapsible plant support structure
US6454244B1 (en) Trellis post and method of holding tensioned wires
US7188448B2 (en) Plant support clip, kit and method therefor
US11737395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removing plant material
KR200380427Y1 (ko) 두 개의 절단부가 형성된 과일수확기
KR20180093845A (ko) 고추나무 지지장치
US20050039394A1 (en) Plant support device
KR20150002757U (ko) 과일 수확기
KR200362582Y1 (ko) 과일수확기
KR102169301B1 (ko) 온실내 고상작물의 자율형 지지대
KR200357736Y1 (ko) 과일 수확기
US5881543A (en) Guard assembly for cane cutter
US6044638A (en) Fruit harvesting tool
US20140101995A1 (en) Plant Support and Stabilization System
Strik et al. Pruning and training
KR200219512Y1 (ko) 과일 및 열매수확기
US6539695B1 (en) Seedpod harvester
KR20080001559U (ko) 잣 열매 채취 기구
KR102334572B1 (ko) 휴대형 과실 수확 장치
KR200315272Y1 (ko) 과실 채취기
CN218526949U (zh) 一种用于罗汉果一年两收种植的棚下支架及具有其的棚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